KR101629846B1 -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846B1
KR101629846B1 KR1020160041496A KR20160041496A KR101629846B1 KR 101629846 B1 KR101629846 B1 KR 101629846B1 KR 1020160041496 A KR1020160041496 A KR 1020160041496A KR 20160041496 A KR20160041496 A KR 20160041496A KR 101629846 B1 KR101629846 B1 KR 10162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il
long rail
lo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치율
Original Assignee
화성궤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성궤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성궤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long loads, e.g. with separate wheeled load suppor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60P7/12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the load being tree-trunks, beams, drums,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장대레일의 운반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일 실시예는, 지면에 대해 수평되게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을 굴러 이동하는 바퀴를 포함하고, 프레임은, 상면에 장대레일이 안착되도록 홈이 형성되고, 장대레일의 측면을 지지하는 단턱이 형성되어 장대레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착수단;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수평되게 형성되며 높이가 조절되는 압지부재로 구성되어 장대레일을 가압시켜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길이가 긴 장대레일을 노면을 이용해서 이동할 수 있어 대량 운반이 가능해질 수 있고, 직선구간의 이동 또는 곡선구간의 이동 과정에서도 장대레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이탈이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고, 작업 능률 향상과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장대레일의 운반장치{Continuous Welded Rail Carrying Apparatus}
개시되는 내용은 장대레일의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대레일을 노면을 이용해서 대량으로 필요로하는 장소까지 안정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대레일의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의 신규 궤도 공사를 하거나 과격한 차량 하중과 기상작용에 의해 레일 표면이 심하게 마모되어 레일을 교체할 때에는 통상 장대레일을 운반하는 무동력 트롤리를 이용하게 된다
현장으로 운반되는 장대레일의 길이는 약 100~200m로서 모터카로 견인 운반시에는 트롤리를 10~20량 정도 연결시켜 장대레일을 운반하고 있다.
그리고 철도 차량의 승차감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기존에 설치된 이음매 부위가 다수인 단레일(25m 미만)을 장대레일로 교체하는 보수공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실용신안출원 20-1999-0014454호에는 "장대레일 운반용 제동 트롤리"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기술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대차상의 중앙부위에 롤러로 회동되는 회전받침대 상에 좌우 이동적재대를 탑재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차륜의 차축은 대차에 고정되고 차축 연결파이프로 차축을 볼팅고정시키고, 차축의 외주연에 볼 베어링으로 차륜을 회전시킬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은 철도 레일을 이용하여 장대레일을 운반하였으므로 운반 능력에 제약이 따랐고, 운반하는 과정에서 장대레일의 고정력이 미흡하여 곡선 구간을 주행할때 적재된 장대레일이 탈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개시되는 내용은, 길이가 긴 장대레일을 노면을 이용해서 안정적이면서 대량으로 운반할 수 있고, 장대레일의 안착된 위치를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과정에서 안정성과 견고성을 제공하게 되고, 이를 통해 다수개의 장대레일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는, 지면에 대해 수평되게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을 굴러 이동하는 바퀴를 포함하고, 프레임은, 상면에 장대레일이 안착되도록 홈이 형성되고, 장대레일의 측면을 지지하는 단턱이 형성되어 장대레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착수단;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수평되게 형성되며 높이가 조절되는 압지부재로 구성되어 장대레일을 가압시켜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길이가 긴 장대레일을 적재한 후 노면을 이용해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대량 운반이 가능해질 수 있고, 직선구간의 이동 또는 곡선구간의 이동 과정에서도 장대레일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이탈이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고, 작업 능률 향상과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에서 'A-A'선 단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에서 'B-B'선 단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에서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에서 A-A선 단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에서 B-B선 단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는, 지면에 대해 수평되게 배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을 굴러 이동하는 바퀴(2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H빔과 같은 강성을 갖는 강재가 바람직하다.
프레임(100)의 상면은 평평한 형상이 되도록 하여 장대레일(300)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장대레일(3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안착수단(400)이 형성된다.
안착수단(400)은 프레임(100)의 상면에 장대레일(300)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홈(420)과, 장대레일(300)의 측면을 지지하는 단턱(440)을 포함하는 것이며, 홈(420)에 안착된 장대레일(300)이 단턱(4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안착수단(400)에는 장대레일(300)을 지지하고 전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동부(500)가 구비된다.
연동부(500)의 일 실시예는,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대향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브라켓(520)과, 상기 복수의 브라켓(520) 사이에 수평되게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장대레일(30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로울러(540)를 포함한다.
로울러(540)는 장대레일(300)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때 롤링됨으로써 장대레일(300)의 하역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장대레일(300)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장대레일(300)이 상부로 튀는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600)이 형성된다.
고정수단(600)은 프레임(100)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지주(620)와, 상기 지주(620)의 상부에 수평되게 형성되며 높이가 조절되는 압지부재(640)로 구성된다.
지주(62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00)의 상부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되며,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단에 핸들(622)이 형성된다. 따라서 핸들(622)을 회전시키면 지주(620)가 상하로 승강되며 그에 연결된 압지부재(640)가 승강되어 장대레일(300)을 눌러 가압하거나 또는 누름이 해제될 수 있다.
압지부재(640)는 지주(62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642)와, 나사결합부(642)의 양측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누름부재(6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사결합부(642)는 지주(620)가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누름부재(644)는 장대레일(300)의 상면이 삽입되도록 하면에 삽입부가 형성된다.
삽입부는 누름부재(644)의 하면에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턱(6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2개의 걸림턱(645)이 장대레일(300)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2개의 걸림턱(645)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2개의 걸림턱(645)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장대레일(300)의 상단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면서 이탈은 방지하게 된다.
한편 장대레일(300)의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프레임(100)의 상면에는 복수의 로프걸이구(150)가 형성된다.
복수의 로프걸이구(150)는 고정수단(600)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로프를 로프걸이구(150)에 결박하여 장대레일(300)을 강하게 결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주(620)의 핸들(622)을 회전시켜서 고정수단(600)을 상승시켜 장대레일(300)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을 준비한다.
더욱 편리하게 하기 위해 누름부재(644)를 회전시켜 장대레일(300)과 평행한 상태로 하면 장대레일(300)을 안착수단(400)에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더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이후 장대레일(300)을 안착수단(400)에 안착시켜 삽입한다. 장대레일(300)이 안착수단(400)에 안착되면 로울러(540)에 하면이 지지되므로 앞뒤로 밀어 적절한 길이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장대레일(300)의 길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는 운반장치는 2~4개 정도가 한개의 장대레일(300)을 운반하는데 소요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를 나타낸 결합된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에서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A2)는, 지면에 대해 수평되게 배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을 굴러 이동하는 바퀴(20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금속판을 용접하여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저면 및 측판으로 구성되는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의 하부로 수직하게 지지바(108)가 양측에 결합되고, 양측 지지바(108)에 결합되며 수평하게 평판(104)이 형성된다.
평판(104)은 도시하지 않은 지면의 받침턱에 안착됨으로써 본 장대레일의 운반장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장대레일(300)의 하역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평판(104)은 지지바(108)를 타고 승강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지지바(108)에는 평판(104)을 지지하는 너트(107)가 나사 결합된다.
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에는 장대레일(3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2)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는 프레임(100)의 상단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어 장대레일(300)의 측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단턱(22)과, 상기 복수의 단턱(22) 각각이 장착되도록 프레임(100)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받침대(24); 상기 복수의 받침대(24) 사이에 형성되며 장대레일(300)을 받치는 드럼(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단턱(22) 사이에 안착된 장대레일(300)이 단턱(2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드럼(26)에 지지됨으로써 장대레일(300)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킬때 드럼이 롤링되므로 장대레일(300)의 하역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장대레일(300)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장대레일(300)이 상부로 튀는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3)이 구비된다.
고정수단(3)은 프레임(100)의 저면에 안착되는 장착판(32)과, 상기 장착판(32)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높이가 조절되어 프레임(100)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지주(34)와, 상기 지주(34)의 상부에 수평되게 형성되며 높이가 조절되는 압지부재(36)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판(32)은 금속판재이며 일측에 원형공(321)이 형성되고, 원형공(321)의 일측에 장공(322)이 통하도록 길게 형성된다.
프레임(100)의 저면에도 원형공(101)과 장공(102)이 장착판(32)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지주(34)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결합부(35)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압지부재(36)가 나사 결합되고, 상부에는 핸들바(342)가 구비된다.
결합부(35)는 지주(34) 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상이며, 지주(34)의 하단과 결합되는 베어링(미도시)이 내부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장공(322)에 끼워지도록 홈(351)이 형성된다.
따라서 베어링이 결합부(35)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지주(34)의 회전에도 결합부(35)는 회전되지 않으며 지주(34)의 회전에 의해 압지부재(36)만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될 수 있다.
압지부재(36)는 장착판(32)의 상부에 나사 결합으로 장착되며 지주(34)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며, 중앙부위가 지주(34)에 나사결합된다.
압지부재(36)는 지주(34)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도록 중앙부위에 나사결합부(364)가 형성되고, 이 나사결합부(364)의 양측에 수평하게 누름부재(3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핸들바(342)를 회전시키면 지주(34)가 회전되고, 이에 나사결합된 압지부재(36)가 하강되어 장대레일(300)을 눌러 가압하여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는 핸들바(342)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지부재(36)가 상승하여 누름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압부재(3)를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하여 장대레일(300)을 가이드부(2)에 안착시키기 위한 공간을 넓게 확보한다.
이후 장대레일(300)을 가이드부(2)에 안착시킨다.
장대레일(300)이 가이드부(2)에 안착되면 드럼(26)에 지지되므로 앞뒤로 밀면 용이하게 구름작동될 수 있어 적절한 길이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후 장착판(4)의 상부 장착판에 압지부재(36)를 결합시킨다.
압지부재(36)를 결합시키면 장대레일(300)의 상면에 평행하게 누름부재(362)가 배치된다.
이후 핸들바(342)를 올리면 전술한 바와 같이 누름부재(362)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장대레일(300)의 상부를 가압하여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장대레일(300)을 운반하게 되고, 하역 위치에 도달하면 핸들바(342)를 내리면 누름부재(362)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해제된 상태가 되므로 장대레일(300)의 하역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압지부재(36)를 장착판(4)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프레임 200 : 바퀴
300 : 장대레일 400 : 안착수단
420 : 홈 440 : 단턱
500 : 연동부 520 : 브라켓
540 : 로울러 600 : 고정수단
620 : 지주 640 : 압지부재
622 : 핸들 364,642 : 나사결합부
644 : 누름부재 645 : 걸림턱

Claims (13)

  1. 장대레일을 운반하는 운반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 수평되게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을 굴러 이동하는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면에 장대레일이 안착되도록 홈이 형성되고, 장대레일의 측면을 지지하는 단턱이 형성되어 장대레일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안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고 대향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브라켓 사이에 수평되게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장대레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수평되게 형성되며 높이가 조절되는 압지부재로 구성되어 장대레일을 가압시켜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고정수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단에 핸들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압지부재는 지주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와,
    상기 나사결합부의 양측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장대레일의 상면이 삽입되도록 하면에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누름부재의 하면에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복수의 로프걸이구가 형성되며,
    복수의 로프걸이구는 고정수단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8. 장대레일을 운반하는 운반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 수평되게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을 굴러 이동하는 바퀴;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장대레일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프레임의 상단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어 장대레일의 측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단턱;
    상기 복수의 단턱 각각이 장착되도록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받침대;
    상기 복수의 받침대 사이에 형성되며 장대레일을 받치는 드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장대레일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안착되는 장착판;
    상기 장착판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높이가 조절되어 프레임의 상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에 수평되게 형성되며 높이가 조절되는 압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일측에 원형공이 형성되고, 원형공의 일측에 장공이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도 원형공과 장공이 장착판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하부에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압지부재와 핸들바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지주의 하단에 결합되는 베어링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장착판의 장공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부재는 지주와 결합되는 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의 양측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KR1020160041496A 2016-04-05 2016-04-05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KR10162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96A KR101629846B1 (ko) 2016-04-05 2016-04-05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96A KR101629846B1 (ko) 2016-04-05 2016-04-05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846B1 true KR101629846B1 (ko) 2016-06-14

Family

ID=5619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496A KR101629846B1 (ko) 2016-04-05 2016-04-05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8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791U (ko) * 2013-08-16 2015-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레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791U (ko) * 2013-08-16 2015-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레일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70468A1 (en) Trailer Train Having a Lifting Device
CN106892281B (zh) 一种适合装载卷钢的集装箱配套系统及该系统的使用方法
CN101242998A (zh) 废物容器的可移动支撑装置
CN205675067U (zh) 一种运输焊接设备的平板车
KR101760923B1 (ko) 걸림부가 형성된 중량물의 운반대차
US7918637B2 (en) Assist device for a tire and wheel assembly
KR101629846B1 (ko) 장대레일의 운반장치
US1932955A (en) Loading method and apparatus
CN104097664A (zh) 一种适用于野外的手拖车
JP2009249968A (ja) 屋根上搬送装置
JP2010000988A (ja) エスカレータの運搬台車
CN205440465U (zh) 一种四无货厢底板转运车
CN210437468U (zh) 辐照箱送入辐照区的转运系统
CN210618175U (zh) 一种移动小车安全装置
CN112278770A (zh) 一种大口径管材防摔落地装置
KR101643565B1 (ko) 타이어 운반장치
CN206344842U (zh) 客车车身转运工艺小车
JP6055247B2 (ja) 運搬台車
JP6182042B2 (ja) ケーブル搬送装置
CN209921364U (zh) 一种油桶搬运车
CN220603324U (zh) 一种刹车盘翻转检测设备
CN218805843U (zh) 一种货仓车
KR20150098044A (ko) 자전거 견인 짐받이
CN203237315U (zh) 焊装滑撬承载车
CN108529043A (zh) 一种圆柱形货物运输用集装箱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