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380A -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홍경천복합조성물 - Google Patents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홍경천복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380A
KR20190080380A KR1020170182786A KR20170182786A KR20190080380A KR 20190080380 A KR20190080380 A KR 20190080380A KR 1020170182786 A KR1020170182786 A KR 1020170182786A KR 20170182786 A KR20170182786 A KR 20170182786A KR 20190080380 A KR20190080380 A KR 20190080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jube
composition
hydrolyzate
enzyme
der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7252B1 (ko
Inventor
홍희도
이영철
조장원
임태규
장미
정경희
송영란
김염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8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2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4Ganoder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홍경천, 대추 및 영지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면역기능이 우수하게 향상되며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일상생활의 식이 및 생활습관을 통하여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홍경천복합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immune comprising enzyme hydrolysate containing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본 발명은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영양과잉, 운동부족 등으로 인한 비만, 당뇨, 고혈압 및 심장병 등과 같은 생활 습관병(성인병) 발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한 노령화 사회로의 진입 속도가 빨라지면서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증진(health promotion)이란 질병, 특히 만성 퇴행성질환이나 감염증, 계속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의 증가 그리고 일상의 활동력의 증대를 꾀하는 것으로 그 방책으로는 영양의 개선, 면역기능 강화, 적절한 운동과 휴식, 정신적 활동의 지속 등 생활양식 전반에 미치는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면역력이 높으면 평소에 질병이 잘 걸리지 않으며, 설혹 질병에 걸리더라도 회복이 빠르다. 이러한 건강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나이를 먹으면 수명이 연장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면역력은 인간의 건강과 수명에 직결되어 있으며, 건강을 유지하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면역력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면역(Immune)이란, 인간 및 동물의 체내에서 외래성 및 내인성 이물질을 생리적으로 인식하여 배제하고, 항상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기작을 일컫는다. 여기에서 이물질을 항원(antigen)이라고 하며, 이를 제거하는 과정에 수많은 종류의 백혈구 세포와 단백질이 관여한다. 면역은 크게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선천면역과 후천적으로 생활 등에 적응되어 얻어지는 획득면역으로 구분된다.
선천면역(innate immunity)은 자연면역, 자연저항이라고도 한다. 항원에 대해 비특이적으로 반응하며 특별한 기억작용은 없다. 선천적인 면역체계로는 항원의 침입을 차단하는 피부·점액조직, 상산성의 위산, 혈액에 존재하는 보체(complement) 등이 있다. 세포로는 식균작용을 담당하는 대식세포(macrophage)와 다형핵 백혈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 감염세포를 죽일 수 있는 K세포 등이 있다. 또한, 대식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사이토카인(cytokine)이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감염은 상기 선천면역에 의해 방어된다.
획득면역(acquired immunity)은 선천면역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후천면역, 적응면역(adaptive immunuty)이라고도 한다. 항원이 체내에 침입하면 림프구에 의한 면역반응이 일어나 항원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기억되어 다시 항원이 침입할 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효과적으로 항원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림프구 (lymphocytes)는 척추동물 및 포유류에서 면역 반응을 맡고 있는 백혈구 가운데 하나로 전체 백혈구 중 약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흉선(thymus)에서 성숙되고 변형되어 면역항체를 보유하고 있어서 항원이 체내에 침입하면 그 항원이 몸 안에서 해로운 반응을 하지 못하도록 인체의 면역반응에 일차적으로 반응하는 세포이다.
획득면역에는 두 종류의 림프구가 있는데 세포성 면역(cellular immunity)을 담당하는 T세포와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을 담당하는 B세포로 크게 구분된다. T세포는 가슴샘의 상피세포에서 특수한 내부 환경과 흉선의 액성인자에 의해 림프구로 분화하는 세포로, B세포에 항체생산 자극을 주고 종양 세포 등의 항원을 직접 공격한다. B세포는 가슴샘과는 독립되어 골수에서 림프구로 분화하는 세포로, 항원자극 및 T세포를 매개로 한 자극에 따라 항체생산세포로 성숙하여 IgM, IgG, IgA, IgE의 항체를 생산하고 분비한다.
항원 감염에 대한 최초의 인식은 주로 대식세포(macrophage)가 수행한다. 대식세포가 항원을 탐식하는 과정에서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이 생산된다.
사이토카인은 신체의 방어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물질로 사용되는 당단백질로 면역, 감염병, 조혈기능, 조직회복, 세포의 발전 및 성장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사이토카인은 국소부위에 염증을 유발함으로서 면역세포가 감염부위에 모이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이라 불리기도 한다. 가장 중요한 면역기능은 인터루킨(Interleukin-1,-6,-12), 인터페론 감마(IFN-γ), 종양괴사인자(TNF)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의 집단에 의해 수행된다.
인터루킨(Interleukin)은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여러 단계에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인체의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 그 종류는 IL-1,6,12 등이 있다. 이 중 IL-12는 p35와 p40 단백질로 구성된 사이토카인으로, 선천면역과 획득면역을 서로 연결시키는 매우 중요한 면역학적 기능을 하며, 내인성 항원의 제거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작동세포 즉, 대식세표(macrophage), NK 세포 및 T-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IL-12의 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 NK 세포 및 T-세포는 IFN-γ의 생산을 자극함으로서 초기 선천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주요 인자로의 특성을 가진다. 또한 T-세포의 면역기구를 주로 Th-1 성향이 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세포성 면역 매개자이다.
IFN-γ(interferon gamma)는 T 림프구와 대과립구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포식된 미생물이나 항원의 살해를 유도하는 물질이다. 또한, 다양한 면역조절작용을 하며,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종양괴사인자인 TNF(tumor necrosis factor)는 세균벽에서 나오는 내독소인 지다당체에 의해 T세포에서 분비되는 종양을 괴사시키는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가장 중요한 염증인자이며 때때로 중증의 전신적 염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면역학적 측면에서 TNF는 감염부위로 혈액 내 백혈구인 호중구 및 단핵구를 집합시키고 감염세포의 살해능을 가지는 작동세포로의 분화 및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TNF의 기능은 화학주성을 가지는 사이토카인의 생산 유도능과 함께 혈관내피세포 및 백혈구 간의 부착분자(adhesionmolecule)의 친화력을 높이는 기능에 의한다.
이와 같이 면역기능은 대식세포, 림프구(T세포, B세포) 등의 매우 다양한 세포와 인터루킨, TNF 등의 사이토카인과 같은 단백질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578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81112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은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에서 유래된 셀룰라아제,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에서 유래된 아밀라아제,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에서 유래된 아밀라아제,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에서 유래된 펙티나이제,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유래된 엔도펩티다아제, 돼지 췌장세포(Pig's pancreas)에서 유래된 프로테아제, 돼지 췌장세포(Pig's pancreas)에서 유래된 알파아밀라아제 및 돼지 췌장세포(Pig's pancreas)에서 유래된 리파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로 분해된 분해물일 수 있다.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는 1 : 2-5 : 2-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약학 조성물은 홍경천, 대추 및 영지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은 홍경천, 대추 및 영지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홍경천, 대추 및 영지를 혼합한 혼합물과 용매를 혼합하여 40 내지 60 ℃에서 10 내지 8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교반한 혼합물에 효소를 첨가하여 40 내지 6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및 (C) 상기 교반한 효소 분해물을 80 내지 110 ℃에서 50 내지 120분 동안 열처리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는 1 : 2-5 : 2-5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은 면역 기능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매우 뛰어나며, 독성이 없으므로 장기적으로 일상생활의 식이 및 생활습관을 통하여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은 경쟁력 있는 면역 증강용 식품, 면역 증강용 화장품 및 면역 증강용 의약품 제조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RAW 264.7 세포 증식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a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IL-6 cytokine의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b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TNF-α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a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시 비장지수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b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시 흉선지수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a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시 비장세포 내 INF-γ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b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시 비장세포 내 TNF-α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c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시 비장세포 내 IL-10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d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시 비장세포 내 IL-6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은 단순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혼합 추출물에 비하여 수율이 높고 면역증진 효능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은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홍경천(Rhodiola sachalinensis A. Bor)은 유럽과 아시아의 고산지대에 널리 분포되여 서식하는 식물로서, 피로 회복, 고산병 예방 등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며 우울증 감소, 작업능력의 향상 등의 다양한 기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상기 홍경천은 동유럽과 아시아에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백두산 해발 1800-2300 m 사이의 이끼 긴 원시림 속 자작나무숲과 협곡의 바위틈에서 많이 자라고 있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일교차가 크고 건조하며 산소가 희박하고 자외선이 강한 고산지대의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특수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어 고산경천 또는 고산홍경천 등의 별명으로도 불린다.
상기 홍경천의 주요성분은 살리도사이드(Salidroside), 티로솔(tyrosol) 및 배당체를 비롯하여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플라본류 화합물, 아미노산, 무기원소, 미량의 정유성분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경천에 대한 연구는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인삼과 유사한 수준의 약리작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 중국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고 국내 일부 제품에서도 홍경천 추출물이 일부 혼합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상기 대추는 대추나무의 열매로서, 이뇨, 강장(强壯), 완화제(緩和劑)로 쓰인다.
또한, 상기 영지(靈芝)는 담자균류 구멍장이버섯목 불로초과의 버섯으로서, 심신을 안정시켜주고 기혈을 보충해주며 기침을 진정시키는 등의 효능이 있어 신경쇠약, 불면증, 어지러움증, 오래된 기침 등에 사용한다.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은 1 : 2-5 : 2-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3-4 : 3-4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홍경천을 기준으로 대추 및 영지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면역기능이 향상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면약기능 향상을 방해하는 물질들이 다량으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소 분해물을 수득하는데 사용되는 효소는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에서 유래된 셀룰라아제,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에서 유래된 아밀라아제,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에서 유래된 아밀라아제,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에서 유래된 펙티나이제,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유래된 엔도펩티다아제, 돼지 췌장세포(Pig's pancreas)에서 유래된 프로테아제, 돼지 췌장세포(Pig's pancreas)에서 유래된 알파아밀라아제 및 돼지 췌장세포(Pig's pancreas)에서 유래된 리파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로서; 상기 효소 이외의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면역기능이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 함유하는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홍경천, 대추 및 영지를 혼합한 혼합물과 용매를 혼합하여 40 내지 60 ℃에서 10 내지 8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및 (B) 상기 교반한 혼합물에 효소를 첨가하여 40 내지 60 ℃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및 (C) 상기 교반한 효소 분해물을 80 내지 110 ℃에서 50 내지 120분 동안 열처리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홍경천, 대추 및 영지를 혼합한 혼합물과 용매를 1 : 20 내지 50 중량비로 혼합한 후 4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에서 10 내지 80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분 동안 교반한다.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를 혼합한 혼합물과 용매를 교반하는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면역기능이 향상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추후 효소처리 후 불순물의 효소 분해물이 다량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면역기능 향상에 바람직하게 작용할 수 있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교반한 혼합물을 첨가될 효소의 적정 pH로 조정한 후 효소를 첨가하여 4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에서 20 내지 30시간,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6시간 동안 교반하여 효소 분해물을 수득한다.
상기 온도는 (A)단계에서 수행한 온도와 동일하게 수행하는 것이 높은 수율을 얻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효소 분해물을 수득하기 위한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수율이 낮고 면역기능 향상이 미미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수율이 급격히 저하되고 면역기능 역시 저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교반한 효소 분해물을 80 내지 110 ℃에서 50 내지 120분 동안 열처리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홍경천, 대추 및 영지를 혼합한 혼합물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효소 분해물'은 효소를 처리하여 얻은 분해물뿐만 아니라 그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은 광의로는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 가공물, 예컨대, 분말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로 실험을 진행하긴 하였으나,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의 가공물과 같은 형태로도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예상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부 외용제,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경구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백수오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물은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향상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대파의 엽초부, 엽신부 또는 이들 혼합물의 추출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합 성분으로서는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향제, 보존제, 중화제, 에몰리언트제, 피부보호제 및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예로 스킨, 유액, 에센스, 로션, 미용액, 바디로션, 바디젤,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클렌징 겔, 팩, 마사지크림, 마사지겔, 영양크림, 수면크림 및 수분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7. 홍경천 ,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
홍경천, 영지 및 대추를 1 : 3 : 3의 중량비로 혼합된 분말에 20배(w/v)의 증류수를 가하여 50 ℃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효소의 적정 pH로 조정한 다음 효소(분말형 0.5%, w/w; 액체형 2.0%, v/w)를 첨가하여 50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물을 90 ℃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효소 불활성화시킨 후 냉각하고 원심분리(6,000Xg, 30분, 4 ℃)한 다음 추출 상등액을 Whatman No.2 filter paper로 여과하고 동결건조(Tokoyo Rikakikai Co. Ltd, FD-1000, Tokyo, Japan)하여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CEO 1 내지 7)을 제조하였다.
구분 효소 소스 최적의 조건 형태 반응 조건
온도() pH 온도() pH
실시예 1 Cellulase A. niger 40-50 4.0-6.0 분말 50 5.0
실시예 2 Amylase A. oryzae 50 5.0 액체 50 5.0
실시예 3 Amylase A. niger 20-60 3.0-5.0 액체 50 4.0
실시예 4 Pectinase A. niger 10-55 3.0-5.0 액체 50 4.0
실시예 5 endo-Peptidase B. amyloliquefaciens 50-70 6.5-7.5 액체 50 7.0
실시예 6 Cellulase A. niger 60 4.0 분말 50 4.0
실시예 7 Protease,
-amylase, lipase
Pig's pancreas 40-50 7.0-8.0 분말 50 7.5
비교예 1.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열수 추출물
홍경천, 영지 및 대추를 1 : 3 : 3의 중량비로 혼합된 분말에 20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50 ℃에서 24시간 교반한 후 90 ℃에서 1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다음 원심분리(6,000Xg, 30 min, 4 ℃)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이후 상기 상등액을 Whatman No.2 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Tokoyo Rikakikai Co. Ltd, FD-1000, Tokyo, Japan)하여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열수 추출물(CWO)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수율 측정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중량법으로 계산하여 수율(%)을 구하였다.
[수학식 1]
수율(%) = 추출물의 건조 중량(g)/추출에 사용된 원재료의 중량(g) X 100
구분 수율(%) 증가율(%)
실시예 1 30.70.4 103.1
실시예 2 30.50.8 102.2
실시예 3 31.40.9 105.3
실시예 4 37.11.2 124.6
실시예 5 32.40.9 108.7
실시예 6 35.31.0 118.4
실시예 7 31.50.7 105.8
비교예 1 29.80.3 100.0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7에 따라 제조된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이 비교예 1의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수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은 실시예 1-3 및 5-7의 효소 분해물에 비하여 수율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후 실험에서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을 이용하였다.
시험예 2. RAW 264.7 세포에서 면역조절 효과 측정
세포 배양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은 한국세포주은행(KCLB)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RAW 264.7 세포는 10% FBS 및 1% 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 5% CO2로 조절된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1 세포 증식능 측정
RAW 264.7 세포 증식능을 측정하기 위해 96-well plate에 2X105 cell/mL의 되도록 분주한 후 24시간 배양한 후, 배양한 세포에 복합추출물 시료를 각각 1, 10,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20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한 후 10배 희석한 CCK-8(Cell cytotoxicity kit-8, Dojindo Co. Ltd., Japan) 시약을 각 well에 100 μL 첨가하여 37 ℃, 5% CO2의 조건하의 암실에서 90분간 반응시키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은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RAW 264.7 세포 증식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음성 대조군(NC)의 세포증식 정도를 100%로 하고 각 실험군의 대식세포 증식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1 μg/mL 농도의 LPS 처리구)의 대식세포 증식은 160.3%로 가장 높았으며, 실시예 4 및 비교예 1의 처리군에서도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대식세포 증식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비교예 1의 처리군은 1, 10, 1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105.5%, 128.9%, 133.5%의 증식능을 보였으며, 실시예 4의 처리군은 1, 10, 1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106.5%, 132.6% 및 146.1%의 수준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1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실시예 4의 처리군이 비교예 1의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대식세포 증식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2.2 Cytokine 분비능 측정
세포배양액 내의 TNF-α 및 IL-6 cytokine의 분비량 측정을 위해 RAW 264.7 세포를 48-well plate에 2X105 cell/mL의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에 복합추출물 시료를 각각 1, 10, 10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20시간 배양한 후, 상등액으로 분비된 IL-6 및 TNF-α의 양은 ELISA kit(BD Biosciences, USA)을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도 2a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IL-6 cytokine의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2b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TNF-α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IL-6에서 비교예 1의 처리군은 10 μg/mL 및 1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2.18 pg/mL, 32.3 pg/mL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실시예 4의 처리군은 10 μg/mL 및 1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22.8 pg/mL 및 45.9 pg/mL 수준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실시예 4의 처리군이 비교예 1의 처리군에 비하여 더 높은 IL-6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NF-α에서 실시예 4의 처리군 및 비교예 1의 처리군은 1-100 μg/mL의 농도 모두에서 유사한 수준을 나타태었으며, 특히 100 μg/mL의 농도의 실시예 4의 처리군 및 비교예 1의 처리군은 각각 6117.1 pg/mL 및 6117.1 pg/mL로서 실시예 4의 처리군이 비교예 1의 처리군에 비하여 더 높은 TNF-α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면역억제동물모델을 활용한 면역증진 활성 평가
실험동물 준비
사용된 8주령된 웅성 Clean grade BALB/c 마우스를 연변대학 실험동물센터로부터 분양 받아 멸균된 고형 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공급하면서 5일 정도 실험동물실의 IVC시설에서 순화시킨 후 무작위로 10마리씩 8개 군으로 나누어 30일간 각종 시료를 증류수에 용해하여 매일 경구투여하였으며, 식이섭취량과 체중의 변화는 1주일에 2회씩 측정하였다. 마우스 사양조건은 온도 24±1 ℃, 습도는 40~60%로 유지하였고, 명암 주기(Light and dark cycle)는 12시간 간격으로 조절하였다. 실험은 한국식품연구원 동물 실험 윤리위원회의 승인(KFRI-M-15040)을 받았으며 실험동물의 관리 및 사용은 NIH(미국국립보건원)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면역억제 동물모델 실험을 위하여 마우스를 8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정상대조군(CON)과 면역억제 모델 군(CYC)은 30일간 매일 1회씩 생리식염수를 경구 투여하였다. 또한, 양성대조군(PC)은 면역증진 활성이 우수한 시판 화기삼유래 다당추출물(80%, PC)을 100 및 200 mg/kg B.W.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실시예 4 및 비교예 1의 처리 군은 100 및 200 mg/kg B.W. 농도로 각각 준비된 시료를 30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면역억제를 위해 면역억제제인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를 투여 시작 일로부터 8일, 9일, 10일째 되는 날에 150 mg/kg B.W.으로 매일 1회씩 복강 투여하여 면역력을 억제하였다.
3.1 비장 및 흉선 지수 측정
실험 종료일에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하고 희생시킨 후 흉선 및 비장을 적출하여 체중에 대한 흉선 및 비장시루로 계산하였다. 비장 지수(spleen index) 및 흉선 지수(thymus index)는 적출된 비장 및 흉선의 장기무게와 마우스의 체중을 바탕으로 계산하였다.
도 3a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시 비장지수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3b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시 흉선지수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역억제 모델 군(CYC)은 정상대조군(CON)에 비해 비장지수가 감소하였지만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을 100 및 200 mg/kg으로 투여한 군에서는 비장지수가 면역억제 모델 군(CYC)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대조군(CON)에 비해 면역억제 모델 군(CYC)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지만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을 200 mg/kg으로 투여한 군에서는 면역억제 모델 군(CYC)에 비해 약 24% 정도로 증가하여 정상수준으로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YC로 처리된 면역억제 모델 군의 감소된 비장 및 흉선의 무게를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의 투여로 인해 회복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에 비해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의 비장 및 흉선지수가 전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3.2 비장세포 내 사이토킨(cytokines) 측정
실험 종료일에 마우스의 비장을 무균적으로 적출하여 멸균 유리봉으로 가볍게 분쇄한 후 세포를 유리시켰다. RPMI 1640 medium(Hyclone, Logan, UT, USA)내에서 분리된 세포현탁액을 200 mesh 스테인리스 체에 통과시킨 후 배양액으로 2번 세척한 다음 분리된 세포 현탁액을 100 μm cell strainers (BD Falcon, Palo Alto, CA, USA)에 통과시켜 1,000 rpm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이를 Tris-buffered ammonium chloride(NH4Cl, pH7.2)에 5분간 처리하여 적혈구를 제거하고 다시 RPMI medium 1640 용액에 분산시켜, trypan blue solution으로 염색한 후 혈구계수기를 이용하여 세포 수를 측정하여 24-well plate에 3.0X106 cell/mL로 분주하였다. Con A(concanavalin A, 7.5 μg/mL)를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한 후에 비장세포 내에서의 cytokines(INF-γ, TNF-α, IL-10 및 IL-6) 생성량을 ELISA kit(BD Bioscience, San Diego,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4a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시 비장세포 내 INF-γ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4b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시 비장세포 내 TNF-α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4c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시 비장세포 내 IL-10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4d는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시 비장세포 내 IL-6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의 투여가 Con A로 처리된 비장세포의 사이토킨(cytokines)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장으로부터 분리된 비장세포에 T세포의 mitogen인 Con A를 이용하여 처리한 비장세포 내에서 사이토킨(cytokines)인 INF-γ, TNF-α, IL-10 및 IL-6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도 4a 내지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역억제 모델 군(CYC)에서는 INF-γ, TNF-α, IL-10 및 IL-6 생성량이 정상대조군(CON)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지만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 및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는 INF-γ, TNF-α, IL-10 및 IL-6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의 효소 분해물을 투여한 군은 비교예 1의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 비하여 INF-γ, IL-10 및 IL-6의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이는 정상대조군(CON)에 비해서도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효소 분해물 분말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효소 분해물 분말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효소 분해물 분말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효소 분해물 분말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효소 분해물 분말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효소 분해물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효소 분해물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8. 유화 제형의 화장품의 제조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 내지 70 ℃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 내지 70 ℃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 내지 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 내지 35 ℃로 냉각시킴으로써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증류수 ~ 100 ~ 100 ~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 0.0001 1 10
제제예 9.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의 제조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 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 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 100 ~ 100 ~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2

Claims (10)

  1.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의 효소 분해물은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에서 유래된 셀룰라아제,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에서 유래된 아밀라아제,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에서 유래된 아밀라아제,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에서 유래된 펙티나이제,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에서 유래된 엔도펩티다아제, 돼지 췌장세포(Pig's pancreas)에서 유래된 프로테아제, 돼지 췌장세포(Pig's pancreas)에서 유래된 알파아밀라아제 및 돼지 췌장세포(Pig's pancreas)에서 유래된 리파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효소로 분해된 분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는 1 : 2-5 : 2-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식품 조성물.
  4. 홍경천, 대추 및 영지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는 1 : 2-5 : 2-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약학 조성물.
  6. 홍경천, 대추 및 영지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는 1 : 2-5 : 2-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8. (A) 홍경천, 대추 및 영지를 혼합한 혼합물과 용매를 혼합하여 40 내지 60 ℃에서 10 내지 80분 동안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교반한 혼합물에 효소를 첨가하여 40 내지 60 ℃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및
    (C) 상기 교반한 효소 분해물을 80 내지 110 ℃에서 50 내지 120분 동안 열처리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홍경천, 대추 및 영지는 1 : 2-5 : 2-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70182786A 2017-12-28 2017-12-28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홍경천복합조성물 KR10252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786A KR102527252B1 (ko) 2017-12-28 2017-12-28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홍경천복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786A KR102527252B1 (ko) 2017-12-28 2017-12-28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홍경천복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380A true KR20190080380A (ko) 2019-07-08
KR102527252B1 KR102527252B1 (ko) 2023-04-28

Family

ID=6725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786A KR102527252B1 (ko) 2017-12-28 2017-12-28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홍경천복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2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288A (ko) * 2000-12-08 2002-06-19 정헌택 홍경천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기능강화제 조성물
CN102143691A (zh) * 2008-08-29 2011-08-03 (株)韩国巴碧斯R&D 食用植物或食用动植物发酵物制备方法、以及由该方法制备的食用植物或食用动植物发酵物及包含该发酵物的食品
KR101090284B1 (ko) * 2011-07-21 2011-12-07 김진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81112B1 (ko) 2011-11-30 2014-04-14 한국식품연구원 홍삼을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KR20140143121A (ko) * 2014-09-24 2014-12-15 한국식품연구원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풍미가 향상된 대추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1757852B1 (ko) 2015-12-08 2017-07-14 (주) 레비레스코 미백 활성을 갖는 홍경천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288A (ko) * 2000-12-08 2002-06-19 정헌택 홍경천 뿌리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기능강화제 조성물
CN102143691A (zh) * 2008-08-29 2011-08-03 (株)韩国巴碧斯R&D 食用植物或食用动植物发酵物制备方法、以及由该方法制备的食用植物或食用动植物发酵物及包含该发酵物的食品
KR101090284B1 (ko) * 2011-07-21 2011-12-07 김진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81112B1 (ko) 2011-11-30 2014-04-14 한국식품연구원 홍삼을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KR20140143121A (ko) * 2014-09-24 2014-12-15 한국식품연구원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풍미가 향상된 대추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1757852B1 (ko) 2015-12-08 2017-07-14 (주) 레비레스코 미백 활성을 갖는 홍경천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건강+] ‘멀티플레이어’ 영지버섯, 이렇게 다뤄라. JTBC 뉴스. [online], 2014.03.17., [2022.11.27. 검색], 인터넷: <URL: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Print.aspx?news_id=NB10447345>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252B1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983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and related speci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and non-allergic inflammatory disease
KR101585159B1 (ko)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78926B1 (ko)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피로 조성물과 그의 용도
KR20150132616A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045031B1 (ko)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15959B1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915715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당근박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6783B1 (ko) 백수오 추출물 또는 백수오 조다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
KR102294288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5009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케일박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7252B1 (ko)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홍경천복합조성물
KR102093817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2282B1 (ko) 황칠나무 및 가시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200069077A (ko) 셀러리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2214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4293B1 (ko) 동과자 추출물 또는 동과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534513B1 (ko) 부리붉은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326439B1 (ko)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11779626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by using goji berries, mulberries and jujubes
KR101033003B1 (ko) 저실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1894657B1 (ko) 맥문동과 누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230171712A (ko) 유글레나 속 미생물을 포함하는 조혈장애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8761A (ko) 알팔파 새싹 가수분해물 또는 이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