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214B1 -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214B1
KR102652214B1 KR1020210061283A KR20210061283A KR102652214B1 KR 102652214 B1 KR102652214 B1 KR 102652214B1 KR 1020210061283 A KR1020210061283 A KR 1020210061283A KR 20210061283 A KR20210061283 A KR 20210061283A KR 102652214 B1 KR102652214 B1 KR 102652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saccharide fraction
polysaccharide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283A (ko
Inventor
김동구
신지영
유광원
김훈
신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주식회사 조은푸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주식회사 조은푸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시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6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21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04Monosaccharide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2Compounds having a free or esterified carboxyl group attached, directly or through a carbon chain,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glucuronic acid, neuram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당귀, 천궁, 칡, 백출, 감초, 복령, 산약 및 생강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조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면역기능이 우수하게 향상되며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일상생활의 식이 및 생활습관을 통하여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Polysaccharide fraction isolated from natural plant with immune-enhancing activity and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면역기능이 우수하게 향상되며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일상생활의 식이 및 생활습관을 통하여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영양과잉, 운동부족 등으로 인한 비만, 당뇨, 고혈압 및 심장병 등과 같은 생활 습관병(성인병) 발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한 노령화 사회로의 진입 속도가 빨라지면서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증진(health promotion)이란 질병, 특히 만성 퇴행성질환이나 감염증, 계속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의 증가 그리고 일상의 활동력의 증대를 꾀하는 것으로 그 방책으로는 영양의 개선, 면역기능 강화, 적절한 운동과 휴식, 정신적 활동의 지속 등 생활양식 전반에 미치는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면역력이 높으면 평소에 질병이 잘 걸리지 않으며, 설혹 질병에 걸리더라도 회복이 빠르다. 이러한 건강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나이를 먹으면 수명이 연장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면역력은 인간의 건강과 수명에 직결되어 있으며, 건강을 유지하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면역력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면역(Immune)이란, 인간 및 동물의 체내에서 외래성 및 내인성 이물질을 생리적으로 인식하여 배제하고, 항상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기작을 일컫는다. 여기에서 이물질을 항원(antigen)이라고 하며, 이를 제거하는 과정에 수많은 종류의 백혈구 세포와 단백질이 관여한다. 면역은 크게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선천면역과 후천적으로 생활 등에 적응되어 얻어지는 획득면역으로 구분된다.
선천면역(innate immunity)은 자연면역, 자연저항이라고도 한다. 항원에 대해 비특이적으로 반응하며 특별한 기억작용은 없다. 선천적인 면역체계로는 항원의 침입을 차단하는 피부ㅇ점액조직, 상산성의 위산, 혈액에 존재하는 보체(complement) 등이 있다. 세포로는 식균작용을 담당하는 대식세포(macrophage)와 다형핵 백혈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 감염세포를 죽일 수 있는 K세포 등이 있다. 또한, 대식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사이토카인(cytokine)이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감염은 상기 선천면역에 의해 방어된다.
획득면역(acquired immunity)은 선천면역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후천면역, 적응면역(adaptive immunuty)이라고도 한다. 항원이 체내에 침입하면 림프구에 의한 면역반응이 일어나 항원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기억되어 다시 항원이 침입할 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효과적으로 항원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림프구 (lymphocytes)는 척추동물 및 포유류에서 면역 반응을 맡고 있는 백혈구 가운데 하나로 전체 백열구 중 약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흉선(thymus)에서 성숙되고 변형되어 면역항체를 보유하고 있어서 항원이 체내에 침입하면 그 항원이 몸 안에서 해로운 반응을 하지 못하도록 인체의 면역반응에 일차적으로 반응하는 세포이다.
획득면역에는 두 종류의 림프구가 있는데 세포성 면역(cellular immunity)을 담당하는 T세포와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을 담당하는 B세포로 크게 구분된다. T세포는 가슴샘의 상피세포에서 특수한 내부 환경과 흉선의 액성인자에 의해 림프구로 분화하는 세포로, B세포에 항체생산 자극을 주고 종양 세포 등의 항원을 직접 공격한다. B세포는 가슴샘과는 독립되어 골수에서 림프구로 분화하는 세포로, 항원자극 및 T세포를 매개로 한 자극에 따라 항체생산세포로 성숙하여 IgM, IgG, IgA, IgE의 항체를 생산하고 분비한다.
항원 감염에 대한 최초의 인식은 주로 대식세포(macrophage)가 수행한다. 대식세포가 항원을 탐식하는 과정에서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이 생산된다.
사이토카인은 신체의 방어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물질로 사용되는 당단백질로 면역, 감염병, 조혈기능, 조직회복, 세포의 발전 및 성장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사이토카인은 국소부위에 염증을 유발함으로서 면역세포가 감염부위에 모이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이라 불리기도 한다. 가장 중요한 면역기능은 인터루킨(Interleukin-1,-6,-12), 인터페론 감마(IFN-γ), 종양괴사인자(TNF)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의 집단에 의해 수행된다.
인터루킨(Interleukin)은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여러 단계에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인체의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 그 종류는 IL-1,6,12 등이 있다. 이 중 IL-12는 p35와 p40 단백질로 구성된 사이토카인으로, 선천면역과 획득면역을 서로 연결시키는 매우 중요한 면역학적 기능을 하며, 내인성 항원의 제거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작동세포 즉, 대식세표(macrophage), NK 세포 및 T-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종양괴사인자인 TNF(tumor necrosis factor)는 세균벽에서 나오는 내독소인 지다당체에 의해 T세포에서 분비되는 종양을 괴사시키는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가장 중요한 염증인자이며 때때로 중증의 전신적 염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면역학적 측면에서 TNF는 감염부위로 혈액 내 백혈구인 호중구 및 단핵구를 집합시키고 감염세포의 살해능을 가지는 작동세포로의 분화 및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TNF의 기능은 화학주성을 가지는 사이토카인의 생산 유도능과 함께 혈관내피세포 및 백혈구 간의 부착분자(adhesionmolecule)의 친화력을 높이는 기능에 의한다.
이와 같이 면역기능은 대식세포, 림프구(T세포, B세포) 등의 매우 다양한 세포와 인터루킨, TNF 등의 사이토카인과 같은 단백질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면역기능을 향상시키면서 독성이 없는 생약을 이용한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322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745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면역기능 증진 활성용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은 당귀, 천궁, 칡, 백출, 감초, 복령, 산약 및 생강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조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산수유, 백작약, 계피, 하수오 및 마가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궁 40 내지 80 중량부, 칡 20 내지 60 중량부, 백출 20 내지 60 중량부, 감초 5 내지 50 중량부, 복령 5 내지 50 중량부, 산약 5 내지 50 중량부 및 생강 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수유 20 내지 60 중량부, 백작약 5 내지 50 중량부, 계피 5 내지 50 중량부, 하수오 20 내지 60 중량부 및 마가목 5 내지 50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당 분획물은 전체 다당 분획물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 55 내지 75 중량% 및 산성 다당(uronic acid) 25 내지 4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성 다당은 아라비오스(arabinose), 자일로스(xylose), 푸코스(fucose), 람노오스(rhamnose), 만노스(mannose), 글루코스(glucose) 및 갈락토오스(galactos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성 다당은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 및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역기능 저하로 기인되는 질환은 감염성 질환, 염증성 질환, 알러지 질환 또는 만성피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면역기능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은 상기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면역기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은 면역 기능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매우 뛰어나며, 독성이 없으므로 장기적으로 일상생활의 식이 및 생활습관을 통하여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은 경쟁력이 있는 면역 증강용 식품, 면역 증강용 화장품 및 면역 증강용 의약품 제조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조다당 분획물과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열수추출물의 IL-6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조다당 분획물과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열수추출물의 IL-12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조다당 분획물과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열수추출물의 TNF-α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면역기능이 우수하게 향상되며 독성이 없으므로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일상생활의 식이 및 생활습관을 통하여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은 당귀, 천궁, 칡, 백출, 감초, 복령, 산약 및 생강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조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혼합물은 산수유, 백작약, 계피, 하수오 및 마가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귀는 당귀의 뿌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천궁은 천궁의 뿌리줄기를 의미한 것으로서,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부로 사용된다. 천궁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면역기능 증진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독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칡은 칡의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된다. 칡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면역기능 증진 효과가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출은 백출의 뿌리줄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된다. 백출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면역기능 증진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두통과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초는 감초의 뿌리 및 줄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부로 사용된다. 감초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면역기능 증진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두드러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령은 복령의 균핵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부로 사용된다. 복령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면역기능 증진 효과가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약은 산약의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로 사용된다. 산약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면역기능 증진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설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강은 생강의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부로 사용된다. 생강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면역기능 증진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위궤양 또는 위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수유는 산수유의 열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된다. 산수유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면역기능 증진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설사, 위궤양 또는 위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작약은 백작약의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부로 사용된다. 백작약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면역기능 증진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설사, 두통과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계피는 계피의 줄기껍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부로 사용된다. 계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면역기능 증진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알러지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하수오는 하수오의 덩이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된다. 하수오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면역기능 증진 효과가 없을 수 있다.
상기 마가목은 마가목의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당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부로 사용된다. 마가목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면역기능 증진 효과가 없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변비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은 당귀, 천궁, 칡, 백출, 감초, 복령, 산약 및 생강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제1 추출용매를 1 : 1 내지 10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5 내지 2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0 내지 100 ℃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상기 추출물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제2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원심분리, 용매분획 또는 여과 등의 방법으로 잔사가 제거된 다당 추출물을 수득한 후 이를 투석하여 분자량 12-14 KDa 미만의 것을 제거함으로써 다당 분획물을 회수한다. 상기 혼합물에는 산수유, 백작약, 계피, 하수오 및 마가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종 다당 분획물에 50~10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을 첨가하여 저분자 물질 및 불순물을 제거하는 다당 정제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과 제1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혼합물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제1 및 제2 추출용매는 각각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추출용매로는 물을 사용하고 제2 추출용매로는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수득된 분획물이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다당 분획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전체 다당 분획물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 55 내지 75 중량% 및 산성 다당(uronic acid) 25 내지 45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중성 다당은 아라비오스(arabinose), 자일로스(xylose), 푸코스(fucose), 람노오스(rhamnose), 만노스(mannose), 글루코스(glucose) 및 갈락토오스(galactose)를 포함하며, 상기 산성 다당은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 및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로는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면역 증진용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생약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분획물뿐만 아니라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은 광의로는 생약을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 생약의 가공물, 예컨대, 생약 분말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로 실험을 진행하긴 하였으나, 생약의 가공물과 같은 형태로도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예상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부 외용제,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경구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은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향상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대파의 엽초부, 엽신부 또는 이들 혼합물의 추출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합 성분으로서는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향제, 보존제, 중화제, 에몰리언트제, 피부보호제 및 피부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예로 스킨, 유액, 에센스, 로션, 미용액, 바디로션, 바디젤,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클렌징 겔, 팩, 마사지크림, 마사지겔, 영양크림, 수면크림 및 수분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BM-CP)
당귀 100 중량부, 천궁 60 중량부, 칡 40 중량부, 백출 40 중량부, 감초 20 중량부, 복령 20 중량부, 산약 20 중량부, 생강 20 중량부, 산수유 40 중량부, 백작약 20 중량부, 계피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과 증류수를 1 : 2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95 ℃에서 12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추출물을 다시 증류수에 용해시킨 용해물과 95% 에탄올 수용액을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교반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이를 투석(MWCO 12-14 kDa, Spectra/PorTM, Spectrum Lab. Inc., Rancho Dominguez, CA, USA)하며, 상기 투석액을 농축 및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조다당 분획물(BM-CP)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RM-CP)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혼합물 대신 당귀 100 중량부, 천궁 60 중량부, 칡 40 중량부, 백출 40 중량부, 감초 20 중량부, 복령 20 중량부, 산약 40 중량부, 생강 20 중량부, 하수오 40 중량부, 마가목 20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조다당 분획물(RM-CP)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생약 유래 열수추출물(BM-HW)
당귀 100 중량부, 천궁 60 중량부, 칡 40 중량부, 백출 40 중량부, 감초 20 중량부, 복령 20 중량부, 산약 20 중량부, 생강 20 중량부, 산수유 40 중량부, 백작약 20 중량부, 계피 20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과 증류수를 1 : 2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95 ℃에서 12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열수추출물(BM-HW)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생약 유래 열수추출물(RM-HW)
당귀 100 중량부, 천궁 60 중량부, 칡 40 중량부, 백출 40 중량부, 감초 20 중량부, 복령 20 중량부, 산약 40 중량부, 생강 20 중량부, 하수오 40 중량부, 마가목 20 중량부가 혼합된 혼합물과 증류수를 1 : 20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95 ℃에서 12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열수추출물(RM-HW)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구성당 분석
조다당 분획물의 구성당은 조다당 시료를 2 M trifluoroacetic acid(TFA)로 처리하여 단당류 aldose로 분해한 후 NaOH와 PMP(1-phenyl-3-methyl-5-pyrazoline)를 첨가하여 단당류의 PMP 유도체로 전환시킨다(Honda 등 1989). 다음으로 당-PMP 유도체는 HCl로 중화하고 물과 클로로포름 혼합용매에서 물층만을 회수하여 PVDF membrane filter(0.45 μm, Jaema Trade Inc., Gwangwon-do, Korea)로 여과한 후 Thermo Scientific Accaim 120 C18 column(5 μm, 2.1X100 mm,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이 장착된 HPLC(YL 9100, Young Lin Instrument Co. Ltd., Gyeonggi-do, Korea)에서 UV(254 nm)로 분석하고 단당류의 mole%는 peak area와 response factor로 부터 결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BM-CP)
실시예 2
(RM-CP)
수율 (%) 3.3 4.2
Chemical composition (%)
Fucose 0.1 0.1
Rhamnose 1.3 0.9
Arabinose 16.0 5.0
Galactose 7.1 4.5
Glucose 33.9 59.2
Mannose 0.3 0.2
Xylose 6.3 0.2
Galacturonic acid 34.5 29.5
Glucoronic acid 0.5 0.4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조다당 분획물은 실시예 1의 조다당 분획물에 비하여 글루코스(glucose)의 함량이 월등히 높으며, 갈락토오스(galactose)의 함량이 다소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2의 조다당 분획물은 실시예 1에 비하여 아라비오스(arabinose) 및 자일로스(xylose)의 함량이 현저히 맞으므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조다당 분획물은 서로 다른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다.
시험예 2. 면역증진 활성 측정
동물모델
생후 5주령 웅성의 BALB/c 마우스를 두열바이오텍(Seoul, Korea)사로부터 구입하여 정수와 실험동물용 펠렛사료(Samyang Co., Incheon, Korea)를 자유공급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주의하여 사육하였고, 모든 실험은 경기대학교 실험동물윤리위원회(2019-012)의 승인을 거쳐 진행하였다. 대식세포 자극활성은 BALB/c 마우스 복강에 1 mL thioglycollate medium(Sigma-Aldrich)을 주사하여 3일 동안 복강으로 대식세포를 침출시킨 후 RPMI-1640 배지로 대식세포를 회수하고 1X106 cells/RPMI-1640 mL로 현탁한 세포현탁액을 96 well plate에 200 μL씩 분주하였다. 37 ℃, 5%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여 plate벽에 부착한 대식세포 monolayer를 형성하였다(Conrad RE 1981). RPMI-1640 배지를 이용한 세척과정으로 plate에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한 후 FBS-함유 RPMI-1640 배지를 plate well에 180 μL씩 분주한 다음 용매추출물을 넣고 37 ℃,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대식세포와 배양하였다. 대식세포 자극활성은 세포배양 상등액을 취하여 BD Biosciences사 메뉴얼에 따라 ELISA법을 이용하여 표준물질의 검량곡선으로부터 사이토카인 양을 산출한 후 시료에 따라 대식세포로부터 생산되는 대식세포 활성화 촉진 사이토카인(IL-6, IL-12와 TNF-α) 생산능으로 측정하였다.
통계처리
모든 실험은 3번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평균치± S.D.(standard deviation)로 나타낸 후 대식세포 자극활성의 통계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한 Student's t-test로 계산하여 각각 p<0.05, p<0.01 및 p<0.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조다당 분획물과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열수추출물의 IL-6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조다당 분획물과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열수추출물의 IL-12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조다당 분획물과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열수추출물의 TNF-α 분비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양성대조군으로 시판 면역증가제로 사용되는 polysaccharide-K(PSK)를 사용하였으며, 조다당 분획물을 농도별(10, 100, 1000 μg/mL)로 처리했을 때의 TNF-α, IL-6 및 IL-12 분비량을 측정함으로써 면역반응의 활성화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분비되어 획득면역계의 중요한 세포인 B 세포의 증식과 항체생산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IL-6 생성능을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PSK는 10~1,000 μg/mL 농도범위에서 71.9~1,722.6 pg/mL의 농도 의존적인 IL-6 생성량을 보였으며, 이는 saline 대조군 대비 4.6~111배 증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다당 분획물인 실시예 1(BM-CP)은 10~1,000 μg/mL 농도범위에서 43.3~1,759.4 pg/mL(2.8~113.5배 증진)의 IL-6 생성능을 보여 비교예 1(BM-HW)에 비해 활성이 월등히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동일농도범위에서 PSK의 활성과 유사한 수준으로 판단된다. 또한, 조다당 분획물인 실시예 2(RW-CP)는 LPS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측정시료들 중에서 가장 우수한 IL-6 생성능(121.2~1,932.0 pg/mL; 7.8~124.6배 증진)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10 μg/mL 농도에서는 1,358.0 pg/mL의 생성능(87.6배 증진)을 보여 동일농도의 PSK(736.8 pg/mL; 47.5배 증진)와 비교하여 약 1.8배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비교예 1(BM-HW) 및 비교예 2(RW-HW)는 동일 농도범위에서 각각 18.2~163.3 pg/mL(1.2~10.5배 증진) 및 20.3~398.6 pg/mL(1.3~25.7배 증진)의 IL-6 생성능을 나타내어 PSK와 비교했을 때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식세포 활성화 관련 사이토카인으로 자연살해세포와 보조 T 세포의 성숙과 분화를 촉진하는 IL- 12의 생성능을 평가한 결과, 비교예 1(BM- HW) 및 비교예 2(RW-HW)는 10~1,000 μg/mL 농도범위에서 각각 30.5~ 58.7 pg/mL 및 34.3~119.1 pg/mL의 농도-의존적인 IL-12 생성능을 나타냈으며, 이는 saline 대조군에 비해 각각 1.3~2.4배 및 1.4~4.9배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다당 분획물인 실시예 1(BM-CP) 및 실시예 2(RW-CP)에서는 활성이 크게 증가하여 동일 농도범위에서 각각 47.1~551.3 pg/mL(1.9~22.7배 증진) 및 142.5~ 565.1 pg/mL(5.9~23.2배 증진)을 보였는데, 이는 양성대조군인 PSK 대조군(4.3~10.9배 증진)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활성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어 변형세포의 자살(apoptosis)이나 바이러스 복제의 억제를 유도하는 TNF-α 생성능을 평가한 결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PSK는 10~1,000 μg/mL의 농도범위에서 255.4~1,023.1 pg/mL의 TNF-α 생성능을 보여 saline 대조군 대비 19.1~76.4배 증진된 것을 확인하였따.
반면, 비교예 1(BM- HW) 및 비교예 2(RW-HW)에서는 10~1,000 μg/mL 농도범위에서 각각 40.1~436.6 pg/mL(3.0~32.6배 증진) 및 42.7~624.5 pg/mL (3.2~46.6배 증진)의 농도-의존적인 TNF-α 생성능 활성을 보였으나, PSK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을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들로부터 분획된 조다당 분획물인 실시예 1(BM-CP) 및 실시예 2(RW-CP)에서는 활성이 크게 증가하여 71.9~880.0 pg/mL(5.4~65.7배 증진)과 217.4~720.5 pg/mL(16.2~53.8배 증진)의 TNF-α 생성능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PSK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의 활성인 것을 확인하였다.
열수추출물에 비하여 조다당 분획물이 우수한 면역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실시예 2(RW-CP)가 실시예 1(BM-CP)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더 우수한 대식세포 자극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시판 면역증강제로 사용되는 PSK보다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생약 유래 조다당 분획물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생약 유래 조다당 분획물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생약 유래 조다당 분획물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생약 유래 조다당 분획물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생약 유래 조다당 분획물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생약 유래 조다당 분획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얻은 생약 유래 조다당 분획물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8. 유화 제형의 화장품의 제조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 내지 70 ℃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 내지 70 ℃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 내지 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 내지 35 ℃로 냉각시킴으로써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증류수 ~ 100 ~ 100 ~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실시예 2의 분획물 0.0001 1 10
제제예 9.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 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 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 100 ~ 100 ~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실시예 2의 분획물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2

Claims (10)

  1. 당귀 100 중량부, 천궁 60 중량부, 칡 40 중량부, 백출 40 중량부, 감초 20 중량부, 복령 20 중량부, 산약 20 중량부, 생강 20 중량부, 산수유 40 중량부, 백작약 20 중량부 및 계피 20 중량부가 혼합된 제1 혼합물의 제1 다당 분획물; 또는
    당귀 100 중량부, 천궁 60 중량부, 칡 40 중량부, 백출 40 중량부, 감초 20 중량부, 복령 20 중량부, 산약 40 중량부, 생강 20 중량부, 하수오 40 중량부 및 마가목 20 중량부가 혼합된 제2 혼합물의 제2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제1 다당 분획물 또는 제2 다당 분획물은 상기 각 제1 혼합물 또는 제2 혼합물을 열수로 추출한 열수 추출물과 증류수 및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교반한 후 원심분리 및 투석을 수행하여 수득한 투석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증진 활성용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 분획물은 전체 다당 분획물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 55 내지 75 중량% 및 산성 다당(uronic acid) 25 내지 4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증진 활성용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다당은 아라비오스(arabinose), 자일로스(xylose), 푸코스(fucose), 람노오스(rhamnose), 만노스(mannose), 글루코스(glucose) 및 갈락토오스(galacto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증진 활성용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다당은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 및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증진 활성용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8. 제1항의 제1 다당 분획물 또는 제2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면역력 저하로 기인되는 질환은 만성피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의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210061283A 2021-05-12 2021-05-12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652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283A KR102652214B1 (ko) 2021-05-12 2021-05-12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283A KR102652214B1 (ko) 2021-05-12 2021-05-12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283A KR20220154283A (ko) 2022-11-22
KR102652214B1 true KR102652214B1 (ko) 2024-04-01

Family

ID=84236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283A KR102652214B1 (ko) 2021-05-12 2021-05-12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2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789A (ja) * 2007-10-16 2009-05-07 Medical & Pharmaceutical Industry Technology & Development Center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に関連する疾患を治療する際の、生姜の根茎から抽出された有効産物の使用
JP2011178679A (ja) * 2010-02-26 2011-09-15 Kitasato Institute 和漢生薬由来多糖体を有効成分とする免疫調節剤及び飲食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288B1 (ko) * 1996-12-30 1999-12-01 김용구 항종양 활성을 갖는 새로운 수용성 다당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06396B1 (ko) * 2005-05-25 2005-08-10 한국원자력연구소 항암, 면역 및 조혈 기능 증진 효과와 산화적 생체 손상의억제 효과를 갖는 생약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429379B1 (ko) * 2013-01-23 2014-08-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지상세포 활성화를 위한 갈근 조성물의 용도
KR101332215B1 (ko) 2013-07-30 2013-11-22 주식회사 더마랩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KR101774566B1 (ko) 2015-11-05 2017-09-04 한국식품연구원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우수한 효소처리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6789A (ja) * 2007-10-16 2009-05-07 Medical & Pharmaceutical Industry Technology & Development Center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に関連する疾患を治療する際の、生姜の根茎から抽出された有効産物の使用
JP2011178679A (ja) * 2010-02-26 2011-09-15 Kitasato Institute 和漢生薬由来多糖体を有効成分とする免疫調節剤及び飲食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283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983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and related speci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and non-allergic inflammatory disease
KR101585159B1 (ko)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46388B1 (ko) 쑥부쟁이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45031B1 (ko)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2294288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15959B1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915715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당근박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2214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생약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56783B1 (ko) 백수오 추출물 또는 백수오 조다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조성물
KR100670850B1 (ko) 진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EP302572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comprising pistacia weinmannifolia j. poiss. ex franch extract or fraction thereof
KR101534498B1 (ko) 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61788B1 (ko) 누에동충하초(눈꽃동충하초)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140108104A (ko) 한인진 및 울금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8698A (ko) 정제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조성물
KR101905009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케일박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0932B1 (ko)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102093817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9314B1 (ko)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27252B1 (ko)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홍경천복합조성물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9188A (ko) 능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2119B1 (ko) 애기우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유발 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