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334A - 스텐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텐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334A
KR20190080334A KR1020170182726A KR20170182726A KR20190080334A KR 20190080334 A KR20190080334 A KR 20190080334A KR 1020170182726 A KR1020170182726 A KR 1020170182726A KR 20170182726 A KR20170182726 A KR 20170182726A KR 20190080334 A KR20190080334 A KR 2019008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tent
wires
manufacturing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상일
신호용
김종호
박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82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0334A/ko
Publication of KR2019008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Abstract

스텐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츠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나선으로 배치되는 제1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과 제1 와이어의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과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교차되는 부분에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 중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하단에,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상단에 위치하고,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평 또는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용이하게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강한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카고메 구조를 가진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제작이 용이하여 스텐트의 제작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텐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텐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나 와이어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을 이용한 스텐트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stent)는 혈관, 위장관 등 혈액이나 체액의 흐름이 순조롭지 못한 경우 그 폐색을 방지하기 위해 좁아지거나 막힌 부위에 삽입하여 그 흐름을 정상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의료용 재료이다.
이러한 스텐트는 그 적용되는 인체 부위나 구조 및 재질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스텐트가 가능하다.
특히, 스텐트의 재질로는 금속, 플라스틱과 중합체인 폴리머(polymer) 등의 재료가 주로 적용되지만, 인체 내부의 압력에 의해 막히는 재협착 등의 문제와 인체 내부에서의 압력 등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상기억 합금 등의 금속을 많이 이용한다.
또한, 인체 내부로의 삽입 등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므로 어느 정도의 변형성도 가져야 하므로 특히 금속 재질의 와이어(wire)로 형성되는 그물망과 같은 형상으로 이뤄진 스텐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 재질의 와이어로 형성되는 스텐트의 경우에도 혈관이나 인체 내부의 위장관 등으로부터의 외압을 지탱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러한 외압의 지탱은 스텐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종래의 와이어나 그물망을 이용한 스텐트의 경우 인체 내부의 압력 등 외압으로부터 스텐트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들이 상호 만나는 부분에 별도의 결합이나 다른 부가적인 설계를 해주어 와이어들끼리 서로 미끄러지지 않게 해주면서도 구조적으로도 외압으로부터 더 강력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해주어야만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 출원의 출원인 및 발명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47126호에서 카고메 구조를 가진 스텐트를 제안하였다.
카고메는 격자 구조로서 일반적으로 대바구니를 역어 짠 무늬를 뜻하는 일본어인 카고메(kagome)라는 명칭에 따라 카고메 구조 또는 카고메 격자 구조 등의 명칭으로 불리운다.
이러한 카고메 격자 구조는 현재까지 알려진 어떤 격자 구조보다 안정되고 특히 좌굴(buckling)에 강한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스텐트와 같이 매우 작은 물체를 카고메 구조로 만드는 경우 와이어들의 간격을 유지하면서도 와이어들을 상호 엮어주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실제로 카고메 구조를 가진 스텐트를 제작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47126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다 용이하게 카고메 구조를 가진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제작이 용이하여 스텐트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텐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텐트(stent)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텐트(stent)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나선으로 배치되는 제1 와이어(wire)가 배치될 수 있는 홈과 상기 제1 와이어의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과 상기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하단에,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텐트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와이어들의 재질은 금속 및 폴리머(polymer)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홈들은 다수의 원기둥들이 배치되어 형성되는 통로들에 의해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스텐트(stent)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텐트(stent)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나선으로 배치되는 제1 와이어(wire)가 배치될 수 있는 홈과 상기 제1 와이어의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과 상기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하단에,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미리 형성된 홈들을 따라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나선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제2 와이어를 배치하고, 상기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하단과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상단에 와이어가 위치하도록 제3 와이어를 배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와이어들의 재질은 금속 및 폴리머(polymer)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스텐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와이어들이 교차하는 부분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보다 용이하게 구조적으로 안정적이고 강한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카고메 구조를 가진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작이 용이하여 스텐트의 제작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하려는 스텐트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하려는 스텐트의 구조를 평면으로 표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하려는 스텐트에서 각각의 와이어들이 상호 교차하는 접점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스텐트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순서를 예시를 통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하고자 하는 카고메 구조를 가지는 스텐트의 형상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하려는 스텐트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하려는 스텐트의 구조를 평면으로 표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에 의해 제조하려는 스텐트에서 각각의 와이어들이 상호 교차하는 접점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 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려 하는 카고메 구조의 스텐트는 적어도 3방향을 가지는 와이어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 스텐트이다.
이러한 3방향은 먼저 스텐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축으로 하는 경우 기준축을 중심으로 나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 와이어(100)와 이러한 제1 와이어(100)의 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 와이어(110) 그리고 제1 와이어(100) 및 제2 와이어(110)가 상호 교차하는 접점부(130)에서 기준축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는 제3 와이어(120)로 구성된다.
제1 와이어(100), 제2 와이어(110) 및 제3 와이어(120)는 각각 스텐트의 전체적인 형상에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관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도 1의 예시와 같이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스텐트에서 원통형 구조를 이루기 위해 제1 와이어(100)가 원통형의 외부에서 원통형의 기준축에 대하여 나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제2 와이어(110)는 원통형의 외부에서 제1 와이어(100)의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3 와이어(120)는 원통형의 길이 방향 즉 기준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이 완성되게 된다.
이러한 제1 와이어(100), 제 2 와이어(110) 및 제3 와이어(120) 상호간의 배치에 의한 스텐트 구조의 형성을 도 2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카고메 구조의 스텐트에서 와이어들에 형성되는 스텐트의 구조를 평면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구조를 평면적으로 펼쳐서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텐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축으로 하는 경우 기준축을 중심으로 나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1 와이어(100)와 이러한 제1 와이어(100)와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2 와이어(110) 그리고 제1 와이어(100) 및 제2 와이어(110)가 상호 교차하는 접점부(130)에서 기준축과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제3 와이어(120)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와이어들은 각각의 와이어들이 상호 교차하는 접점부(130)에서 서로 완전히 밀착되는 것도 가능하나, 도 2의 예시와 같이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격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격자 구조를 일반적으로 대바구니를 역어 짠 무늬를 뜻하는 일본어인 카고메(kagome)라는 명칭에 따라 카고메 구조 또는 카고메 격자 구조 등의 명칭으로 불리운다.
이러한 카고메 격자 구조는 현재까지 알려진 어떤 격자 구조보다 안정되고 특히 좌굴(buckling)에 강한 특성을 갖고 있다.
카고메 구조의 스텐트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제1 와이어(100)와 제2 와이어(110)가 상호 교차하면서 상호 지지를 해주게 되어 1차적인 구조적 안정성을 획득한다.
그리고 스텐트의 길이 방향 즉 기준축 방향으로 위치하는 제3 와이어(120)가 제1 와이어(100)와 제2 와이어(110) 각각과 상호 지지하게 됨으로써 제1 와이어(100) 및 제2 와이어(110)에 의해서만 스텐트의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보다 훨씬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게 되며, 특히 좌굴에 대하여 강한 특성을 가지게 된다.
특히, 제3 와이어(120)가 제1 와이어(100)의 하단과 제2 와이어(110)의 상단에 위치함으로써 각각의 와이어들이 서로를 지지해 줄뿐만 아니라 각각의 와이어들이 미끄러져 스텐트의 구조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의 미끄럼 방지 성능에 대해 도 3의 예시를 통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스텐트에서 각각의 와이어들이 상호 교차하는 접점부(13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예시에서 만약 스텐트의 제1 와이어(100)가 A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우 제2 와이어(110)와 제3 와이어(120)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인 a부분에 의해 제1 와이어(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와이어(110)가 B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우 제1 와이어(100)와 제3 와이어(120)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인 b부분에 의해 제2 와이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3 와이어(120)가 C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우 제1 와이어(100)와 제2 와이어(110)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인 c부분에 의해 제3 와이어(1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미끄럼의 방지는 이러한 각각의 와이어들 상호 교차하는 부분들이 연속되므로 각각의 와이어들이 다른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다른 와이어들이 상호 교차하는 부분에 의해 와이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와이어를 이용한 스텐트에서와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에서는 와이어들이 상호 교차하는 부분에 용접과 같은 별도의 결합 처리를 할 필요성이 없게 된다.
물론 구조적 안정성 및 와이어들 상호간의 미끄럼 방지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 스텐트를 구성하는 와이어들이 상호 교차하는 부분에 종래와 같이 용접과 같은 별도의 결합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나, 별도의 결합 처리가 반드시 필요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스텐트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100) 및 제2 와이어(110)가 배치되는 형태를 나선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표현은 스텐트가 원통 형상의 관인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 및 스텐트의 제조 방법이 스텐트의 형상이 사각형이나 오각형 등 다른 형상의 관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제1, 제2 및 제3이라는 용어는 단순히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스텐트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2개의 나선 방향과 스텐트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와이어를 배치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이러한 스텐트의 재질은 금속뿐만 아니라 플라스틱(plastic)과 같은 천연 또는 합성의 수지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중합체인 폴리머(polymer)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스텐트의 재질은 스텐트의 용도와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며, 전술한 금속이나 폴리머 외에도 스텐트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아무런 제한이 없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고메 구조의 스텐트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의 제조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스텐트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순서를 예시를 통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형성된 홈 사이로 와이어가 배치되게 한다.
각각의 홈들의 형성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나선으로 배치되는 제1 와이어(wire)가 배치될 수 있는 홈과 제1 와이어의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 그리고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교차되는 부분에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 중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하단에,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상단에 위치하고,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평 또는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여 스텐트 제조 장치가 구성된다.
카고메 구조에 따라 홈의 위치를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원기둥을 배치하되, 길이 방향이 바뀔 때 마다 원기둥이 각각 엇갈려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와이어는 엇갈린 원기둥 사이로 배치되게 하고, 제2 와이어는 반대 방향으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만 원기둥들에 의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제3 와이어를 배치함으로써 카고메 구조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원통형으로 만드는 것이 용이하므로 특히 스텐트의 형상을 만드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의 제조 방법을 평면적으로 도시하여 예시한 도 5의 예시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단계 1에서와 같이 제1 와이어를 본 발명에 의한 스텐트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면적으로 보면 사선 방향 즉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나선 방향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단계 2에서와 같이 제2 와이어를 제1 와이어와 반대 방향으로 배치한다.
다음으로 단계 3에서 제3 와이어(120)를 스텐트의 길이 방향으로 접점부에서 제1 와이어의 하단과 제2 와이어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제3 와이어(120)를 배치한다.
도 5의 예시에서는 단계 1과 단계 2에서 제1 및 제2 와이어가 복수개의 와이어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 스텐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예를 들면, 원통형 관의 형상을 가지는 스텐트로 형성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원통형 틀의 외부에 하나의 와이어를 가지고 먼저 사선의 나선 방향으로 감고 다음으로 또 다른 와이어를 반대 방향의 사선의 나선 방향으로 감아서 이러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 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원통형으로 만드는 것이 용이하므로 특히 스텐트의 형상을 만드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교차하는 부분에 제3 와이어가 연속적으로 하나의 와이어에는 하단으로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는 상단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제3 와이어를 끼우게 되면 스텐트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스텐트의 끝부분은 별도의 처리를 통해 스텐트를 형성하는 관의 끝부분들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스텐트(stent)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나선으로 배치되는 제1 와이어(wire)가 배치될 수 있는 홈과 상기 제1 와이어의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과 상기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하단에,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텐트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의 재질은 금속 및 폴리머(polymer)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은 평면에 다수의 원기둥들이 배치되어 형성되는 통로들에 의해 형성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장치.
  4. 스텐트(stent)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나선으로 배치되는 제1 와이어(wire)가 배치될 수 있는 홈과 상기 제1 와이어의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과 상기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하단에,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제3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 장치를 이용하고,
    상기 미리 형성된 홈들을 따라 상기 제1 와이어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나선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1 와이어의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의 나선 방향으로 제2 와이어를 배치하고, 상기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 중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하단과 다른 하나의 와이어에 대하여는 상단에 와이어가 위치하도록 제3 와이어를 배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의 재질은 금속 및 폴리머(polymer)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와이어들이 교차하는 부분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의 제조 방법.
KR1020170182726A 2017-12-28 2017-12-28 스텐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 KR20190080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726A KR20190080334A (ko) 2017-12-28 2017-12-28 스텐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726A KR20190080334A (ko) 2017-12-28 2017-12-28 스텐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334A true KR20190080334A (ko) 2019-07-08

Family

ID=6725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726A KR20190080334A (ko) 2017-12-28 2017-12-28 스텐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03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26B1 (ko) 2010-11-12 2013-03-29 한국세라믹기술원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26B1 (ko) 2010-11-12 2013-03-29 한국세라믹기술원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3522B2 (en) Self-expandable shape memory alloy st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04203329A (zh) 医疗器械以及医疗器械的制造方法
KR20170139086A (ko) 스텐트 및 의료 기기
JP5013380B2 (ja) 医療用チュ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カテーテル
JP6153011B2 (ja) 滑り止めステントの製造方法
EP2346450B1 (de) Medizinische vorrichtung
CN107537086A (zh) 导管
DE60211620T2 (de) VERSTÄRKTER KATHETER Für venösen Drainage
KR101247126B1 (ko) 스텐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1615B1 (ko) 스텐트 제조방법
JP6290908B2 (ja) 断面が変化するステント
KR20190080334A (ko) 스텐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제조 방법
KR20170086666A (ko) 스텐트 및 스텐트 그래프트
JP6470219B2 (ja) ステントおよび医療機器
KR101764420B1 (ko) 스텐트
KR101764405B1 (ko) 스텐트
KR101602400B1 (ko) 스텐트 제조 방법
US20170128245A1 (en) Stent made of polymer material having ratchet
JP2016013285A (ja) 医療用チューブ体
JP6761741B2 (ja) マンドレル及び該マンドレルを用いた生体内留置部材の製造方法
KR101764417B1 (ko) 스텐트
KR101764419B1 (ko) 스텐트
JP4842615B2 (ja) カテーテル補強材
CN219940911U (zh) 血管支架
US11224529B2 (en) Tubular knitted st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