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159A - 코일 폭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폭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159A
KR20190080159A KR1020170182434A KR20170182434A KR20190080159A KR 20190080159 A KR20190080159 A KR 20190080159A KR 1020170182434 A KR1020170182434 A KR 1020170182434A KR 20170182434 A KR20170182434 A KR 20170182434A KR 20190080159 A KR20190080159 A KR 20190080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coil
post
heat treatment
treatment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529B1 (ko
Inventor
김동일
김상주
김형진
선정안
정지웅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529B1/ko
Priority to US15/914,841 priority patent/US10814366B2/en
Publication of KR2019008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48Tension control; Compres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56Elonga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58Roll-force control; Roll-gap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1/00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for heat 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21D9/564Tens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rol Of Heat Treatment Processes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폭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가, 조업 실적을 토대로,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열처리 공정 및 후처리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코일의 폭 수축량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제어부가,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는 코일의 입측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제어부가, 입력받은 입측폭과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기초하여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을 예측하고, 예측된 출측폭 및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열처리 공정의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과 후처리 공정의 연신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일 폭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COIL WIDTH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코일 폭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열처리 공정 및 후처리 공정에서 발생하는 코일의 폭 수축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 폭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 강판의 제조 공정은 금속의 재결정 온도 이하(상온)에서 두께 정도가 우수하고 표면이 깨끗한 압연 제품을 만드는 공정을 말하며, 열연코일을 소재로 하여 산 세척에 의하여 표면스케일을 제거하는 산세 공정, 상온에서의 냉간 압연 공정, 열처리가 수행되는 소둔 공정, 및 판의 형상을 교정하는 조질 압연 공정을 거치게 된다.
냉연 강판의 제조 공정 중 소둔 공정은 코일이 상하로 설치된 이송 롤에 의해 이송되면서 가열대 및 냉각대 등의 열처리 설비를 통해 열처리되는 공정으로서, 소둔 공정에 의한 열처리를 통해 코일의 가공도를 높이고 용도에 적합한 윤택성과 조도를 코일에 부여할 수 있다.
소둔 공정에서 코일은 형상 교정 및 사행 방지를 위해 이송 롤에 의해 적당한 장력이 부여되며 이송된다. 이때, 고온 하에서 코일에 장력이 가해지고 이송 롤에 의한 코일의 반복 굽힘이 발생함에 따라 코일의 소성 변형에 의한 길이 방향(이송 방향) 신장이 발생하여 폭 방향의 수축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0193호(2013. 02. 06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조업 조건의 변동과 코일 폭 수축량 간의 정량적인 상관 관계를 확립하고 조업 조건을 자동 제어하여 공정 과정에서의 코일 폭 수축을 제어함으로써 종래 조업자의 경험에 의존하였던 코일의 폭 제어 상의 부정확성을 개선하기 위한 코일 폭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코일 폭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조업 실적을 토대로,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열처리 공정 및 후처리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코일의 폭 수축량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는 코일의 입측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받은 입측폭과 상기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열처리 공정의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과 상기 후처리 공정의 연신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예측 모델은, 상기 조업 실적을 최소제곱법을 통해 회귀 분석하여 생성된, 조업 조건과 코일 폭 수축량 간의 상관 모델이되, 상기 조업 조건은 상기 로내 온도, 상기 로내 장력 및 상기 연신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해당 코일이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기 전, 상기 입력받은 입측폭과 상기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상기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실적 DB를 이용하여 1차 예측하고, 상기 1차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로내 온도를 사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해당 코일이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된 후, 현재 열처리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상기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2차 예측하고, 상기 2차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로내 장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해당 코일이 상기 열처리 공정을 통과한 후, 현재 후처리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상기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3차 예측하고, 상기 3차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연신율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연신율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조질 압연기의 압하력 및 텐션 레벨러의 압하력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연신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후처리 공정을 통과한 코일의 실제 출측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입력받은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 모델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코일 폭 제어 장치는 열처리 공정 및 후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냉연 강판 제조 공정에서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는 코일의 입측폭을 측정하는 입측폭 측정부, 상기 열처리 공정의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을 조절하는 열처리 제어부, 상기 후처리 공정의 연신율을 조절하는 후처리 제어부, 및 조업 실적을 토대로 상기 열처리 공정 및 상기 후처리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코일의 폭 수축량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입측폭 측정부로부터 입력받은 입측폭과 상기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을 예측하며, 상기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열처리 제어부를 통해 상기 로내 온도 및 상기 로내 장력을 제어하고 상기 후처리 제어부를 통해 상기 연신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해당 코일이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기 전, 상기 입력받은 입측폭과 상기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상기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실적 DB를 이용하여 1차 예측하고, 상기 1차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열처리 제어부를 통해 상기 로내 온도를 사전 제어하고, 상기 해당 코일이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된 후, 현재 열처리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상기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2차 예측하고, 상기 2차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열처리 제어부를 통해 상기 로내 장력을 제어하며, 상기 해당 코일이 상기 열처리 공정을 통과한 후, 현재 후처리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상기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3차 예측하고, 상기 3차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후처리 제어부를 통해 상기 연신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후처리 공정을 통과한 코일의 출측폭을 측정하는 출측폭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측폭 측정부로부터 상기 후처리 공정을 통과한 코일의 실제 출측폭을 입력받고, 상기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입력받은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 모델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업 조건과 코일 폭 수축량 간의 상관 모델인 예측 모델을 기반으로 냉연 강판 제조 공정에서의 폭 수축량을 사전 예측하여 그에 따라 조업 조건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공정 과정에서의 코일 폭 수축량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객사에서 요구하는 허용 기준을 충족하는 제품의 생산량을 증가시켜 수율 확보가 가능하며, 폭 부족재 및 폭 초과재의 처리에 따른 비용적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냉연 강판 제조 공정 설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방법에서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방법에서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을 제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방법에서 예측된 출측폭 및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를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일 폭 제어 방법 및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냉연 강판 제조 공정 설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냉연 강판 제조 공정 설비의 동작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용접기(20)는 페이오프 릴(10)로부터 권취 해제되는 선행 코일의 후단과 후행 코일의 선단을 연결하며, 입측루퍼(30)는 용접기(20)에서의 용접 시간을 보상하기 위해 열처리 장치(40, 소둔로)로 진행하는 코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열처리 장치(40)는 입측루퍼(30)로부터 전달되는 코일을 열처리하여 코일의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재결정을 유도한다. 열처리 장치(40)로부터의 코일은 도금 장치(50)에서 아연 도금되어 후처리 장치로 전달되며, 후처리 장치의 조질 압연기(60)는 코일의 표면을 조질한다. 후처리 공정 과정에서 코일의 장력에 대한 조절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질 압연기(60)의 출측에서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 레벨러(70)가 후처리 장치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후처리 장치로부터의 코일은 출측루퍼(80)를 거쳐 텐션 릴(90)에 의해 권취된다.
전술한 내용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장치는 입측폭 측정부(100), 열처리 제어부(200), 후처리 제어부(300), 출측폭 측정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측폭 측정부(100)는 입측루퍼(30)의 출측에 구비되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는 코일의 입측폭을 측정하여 후술할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입측폭은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는 코일의 폭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입측폭 측정부(100)는 코일의 입측폭을 측정하기 위해 Laser 센서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입측폭 측정부(100)에 의해 측정된 코일의 입측폭은 후술할 것과 같이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과 함께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열처리 제어부(200)는 열처리 공정의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을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열처리 공정의 로내 온도는 열처리 장치(40) 내부의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열처리 공정의 로내 장력은 열처리 장치(40)에 의해 이송되며 열처리되는 코일에 가해지는 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후처리 제어부(300)는 후처리 공정의 연신율을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후처리 공정의 연신율은 후처리 장치의 조질 압연기(60)의 압하력에 따른 코일의 연신율(이하 SPM(Skin Pass Mill) 연신율)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처리 장치에 텐션 레벨러(70)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텐션 레벨러(70)의 압하력에 따른 코일의 연신율(이하 TL(Tension Leveler) 연신율)까지 포함할 수 있다.
출측폭 측정부(400)는 후처리 공정을 통과한 코일의 출측폭을 측정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출측폭 측정부(400)는 후처리 장치의 출측(후처리 장치가 조질 압연기(60)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조질 압연기(60)의 출측, 후처리 장치가 텐션 레벨러(70)까지 포함하는 경우에는 텐션 레벨러(70)의 출측)에 구비되거나 출측루퍼(80)의 출측에 구비되어 후처리 공정을 통과한 코일의 출측폭을 측정할 수 있다. 출측폭 측정부(400)는 코일의 출측폭을 측정하기 위해 Laser 센서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출측폭 측정부(400)에 의해 측정된 코일의 실제 출측폭은 후술할 것과 같이 예측된 출측폭과의 편차 분석을 통해 예측 모델을 갱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조업 실적을 토대로, 열처리 공정 및 후처리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코일의 폭 수축량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입측폭 측정부(100)로부터 입력받은 입측폭과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기초하여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을 예측하며, 예측된 출측폭 및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열처리 공정의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과 후처리 공정의 연신율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0)가 예측된 출측폭 및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을 제어한다는 것은, 입측폭 측정부(100)로부터 입력받은 입측폭과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기초하여 예측된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을 기반으로, 예측 모델을 통해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을 제어하여 후처리 공정을 통과한 실제 출측폭이 미리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한다는 의미를 가지며, 상기 허용 오차 범위는 고객사에서 요구하는 코일의 최종 폭 범위를 고려하여 제어부(5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열처리 제어부(200) 및 후처리 제어부(300)의 상위 제어 장치로서, 예측 모델을 토대로 열처리 제어부(200)를 제어하여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을 제어하고 후처리 제어부(300)를 제어하여 연신율을 제어함으로써,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실제 출측폭이 미리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상위 제어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방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방법에서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방법에서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을 제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폭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500)는 조업 실적을 토대로,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열처리 공정 및 후처리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코일의 폭 수축량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 모델을 생성한다(S100).
구체적으로, 코일의 출측폭은 코일의 입측폭 및 조업 조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과거 수행된 냉연 강판 제조 공정에서의 코일의 입측폭, 조업 조건 및 코일의 출측폭에 대한 실적을 누적한 조업 실적을 토대로 조업 조건과 코일의 폭 수축량 간의 상관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예측 모델은 조업 조건과 코일 폭 수축량(코일 폭 수축비(입측폭 대비 출측폭의 수축율)가 채용할 수도 있다) 간의 상관 모델로 정의되며, 조업 조건은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SPM 연신율 및/또는 TL 연신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예측 모델은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과 코일 폭 수축량 간의 상관 모델을 의미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조업 실적을 최소제곱법을 통해 회귀 분석하여 예측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며, 도 4는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Y 변수가 폭 수축비, x 변수가 조업 조건으로 설정된 예측 모델인 수학식 1에 대하여, 수학식 2에 따라 최소제곱법을 통해 다중 선형 회귀 분석하여 오차의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는 예측 계수(βk)를 산출함으로써 예측 모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수학식 3은 최종적으로 도출된 예측 모델의 일 예시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한편, 조업 조건은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뿐만 아니라 코일의 이송 속도, 코일의 강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본 실시예는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열처리 공정 및 후처리 공정 과정에서 코일 폭 수축량을 제어하는 것을 구성으로 하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제어부(500)는 예측 모델의 조업 조건 중 열처리 공정 및 후처리 공정 과정에서 제어 가능한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을 제어하여 폭 수축량을 제어한다.
S100 단계 이후 코일의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이 개시되면, 제어부(500)는 입측루퍼(30)를 거쳐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는 코일의 입측폭을 입측폭 측정부(100)로부터 입력받는다(S200).
이어서, 제어부(500)는 입측폭 측정부(100)로부터 입력받은 입측폭과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기초하여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을 예측하고, 예측된 출측폭 및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열처리 공정의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과 후처리 공정의 연신율을 제어한다(S300). 즉, 제어부는(500)는 입측폭 측정부(100)로부터 입력받은 입측폭과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기초하여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을 예측하고, 예측된 출측폭을 기반으로 후처리 공정을 통과한 실제 출측폭이 미리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예측 모델을 통해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을 제어한다.
도 5를 참조하여 S300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500)는 해당 코일이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기 전, 입측폭 측정부(100)로부터 입력받은 입측폭과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실적 DB를 이용하여 1차 예측하고, 1차 예측된 출측폭 및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로내 온도를 사전 제어한다(S310). 이하에서 표기하는 해당 코일이라 함은, 전체 코일이 아닌, 입측루퍼(3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코일의 특정 위치를 의미하며, 이는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코일의 특정 위치가 트래킹되면서 그 특정 위치에 대한 폭 수축량을 제어하기 위해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이 제어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은 코일 정보(두께, 강종 등)와, 코일의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코일 이송 속도,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500)는 코일의 출측폭에 대한 조업 실적이 코일의 강종별, 크기(폭, 두께)별로 구분되어 공정 조건과 함께 제어부(5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베이스인 실적 DB를 토대로,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될 해당 코일의 규격(강종, 크기)에 대응되는 공정 조건을 열처리 장치(40) 및 후처리 장치(60, 70)를 포함하는 냉연 강판 제조 공정 설비에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입측폭 측정부(100)로부터 입력받은 입측폭 및 현재 설정된 공정 조건에 대한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실적 DB로부터 추출하는 방식을 통해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1차 예측할 수 있다. 이때,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과 같은 제어 인자의 최대/최소 조건이 고려되어, 제어 인자의 최대/최소 범위 내에서 해당 코일의 출측폭이 1차 예측될 수도 있다.
해당 코일의 출측폭이 1차 예측되면, 제어부(500)는 1차 예측된 출측폭을 기반으로 후처리 공정 후의 해당 코일의 실제 출측폭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열처리 제어부(200)를 통해 로내 온도를 사전 제어한다. 즉, 로내 온도의 변화에 따라 코일의 판 온도가 변화하는 온도 응답성은 낮기 때문에, 제어부(500)는 해당 코일이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기 전, 예측 모델의 조업 조건 중 로내 온도를 조절하여 폭 수축량을 제어함으로써 해당 코일의 실제 출측폭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열처리 공정의 로내 온도를 사전적으로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해당 코일이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된 후, 현재 열처리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2차 예측하고, 2차 예측된 출측폭 및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로내 장력을 제어한다(S330).
구체적으로, S310 단계에서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포함된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에 따라 설정된 열처리 장치(40)의 공정 조건은 로내 온도의 사전 제어로 인해, 또는 공정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500)는 현재 열처리 공정 조건에 대한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실적 DB로부터 추출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2차 예측할 수 있다.
해당 코일의 출측폭이 2차 예측되면, 제어부(500)는 2차 예측된 출측폭을 기반으로 후처리 공정 후의 해당 코일의 실제 출측폭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열처리 제어부(200)를 통해 로내 장력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500)는 예측 모델의 조업 조건 중 로내 장력을 조절하여 폭 수축량을 제어함으로써 해당 코일의 실제 출측폭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열처리 공정의 로내 장력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해당 코일이 열처리 공정을 통과한 후, 현재 후처리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3차 예측하고, 3차 예측된 출측폭 및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연신율을 제어한다(S350).
구체적으로, S310 단계에서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포함된 연신율에 따라 설정된 후처리 장치(60, 70)의 공정 조건은 공정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500)는 현재 후처리 공정 조건에 대한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실적 DB로부터 추출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3차 예측할 수 있다.
해당 코일의 출측폭이 3차 예측되면, 제어부(500)는 3차 예측된 출측폭을 기반으로 후처리 공정 후의 해당 코일의 실제 출측폭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후처리 제어부(300)를 통해 연신율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500)는 예측 모델의 조업 조건 중 연신율을 조절하여 폭 수축량을 제어함으로써 해당 코일의 실제 출측폭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후처리 공정의 연신율을 제어한다.
한편, S350 단계에서 제어부(500)는 조질 압연기(60)의 압하력 및 텐션 레벨러(70)의 압하력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연신율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후처리 장치가 조질 압연기(60)와 텐션 레벨러(70)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후처리 공정은 조질 압연기(60)에 의한 코일 표면 조질 및 텐션 레벨러(70)에 의한 장력 조절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해당 코일이 열처리 공정을 통과한 후, 현재 후처리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3.1차 예측하고, 3.1차 예측된 출측폭을 기반으로 후처리 공정 후의 해당 코일의 실제 출측폭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조질 압연기(60)의 압하력을 제어할 수 있다(즉, SPM 연신율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조질 압연기(60)의 압하력을 제어한 후, 제어부(500)는 현재 후처리 공정 조건에 대한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3.2차 예측하고, 3.2차 예측된 출측폭을 기반으로 후처리 공정 후의 해당 코일의 실제 출측폭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텐션 레벨러(70)의 압하력을 제어할 수 있다(즉, TL 연신율을 제어할 수 있다).
S310 단계, S330 단계 및 S350 단계를 통해 제어부(500)는 현재 공정 조건에 대한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각 단계마다 예측하고 각 단계에서 제어 가능한 조업 조건을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제어함으로써 코일 폭 수축량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S300 단계에 의해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이 제어되어 해당 코일이 후처리 공정을 통과하면, 제어부(500)는 후처리 공정을 통과한 해당 코일의 실제 출측폭을 출측폭 측정부(400)로부터 입력받는다(S400).
이어서, 제어부(500)는 S300 단계에서 예측된 출측폭 및 S400 단계에서 출측폭 측정부(400)로부터 입력받은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에 기초하여 예측 모델을 갱신한다(S500).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S300 단계에서 예측된 출측폭 및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를 누적하고, 누적된 편차의 분산을 분석하여 예측 모델의 예측 계수를 갱신하는 방식을 통해 예측 모델을 갱신한다. 즉, S300 단계에서 예측된 출측폭 및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는 예측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 제어의 정확도를 지표하므로, 제어부(500)는 분산의 크기에 따라 가중치를 결정하고 예측 계수에 적용(가감 또는 곱셈)함으로써 예측 모델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S300 단계에서 예측된 출측폭 중 S350 단계에서 예측된 출측폭(즉, 3.1차 예측된 출측폭 또는 3.2차 예측된 출측폭)과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를 계산할 수 있으며, 즉 최종 제어 단계인 S350 단계의 연신율 제어 단계에서 예측된 출측폭 및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는 연신율 제어의 정밀도와 함께 그 선행 단계인 S310 단계 및 S330 단계에서의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의 제어 정밀도까지 반영하고 있으므로, 제어부(500)는 S350 단계에서 예측된 출측폭 및 S400 단계에서 출측폭 측정부(400)로부터 입력받은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에 기초하여 예측 모델을 갱신할 수 있다.
만약, S500 단계에서 도출되는 분산이 미리 설정되는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어부(500)는 예측 모델을 재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기준치는 예측 모델을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분산의 상한값으로서 제어부(50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전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실시예를 구체적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기 표 1은 냉연 강판 제조 공정에서 실제 적용되고 있는 열처리 공정에서의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과 후처리 공정에서의 연신율 각각에 대한 제어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체 제어 범위 중 제3사분위와 제1사분위 간의 범위인 IQR(InterQuartile Range)을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난 제어 범위에서, 과거 수행된 냉연 강판 제조 공정에서의 코일의 입측폭, 조업 조건 및 코일의 출측폭에 대한 실적을 누적한 조업 실적을 수학식 2에 따른 최소제곱법을 통해 회귀 분석하여 수학식 1에 따른 예측 모델을 생성했을 때, 로내 온도, 로내 장력, SPM 연신율 및 TL 연신율 각각에 대한 예측 계수는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출되었다. 예측 모델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복강도(YP: Yield Point 또는 Yield Strength)가 190MPa(YP19), 192MPa(YP19.2), 193MPa(YP19.3), 291MPa(YP29.1) 및 430MPa(YP43)인 각 경우에 대하여 예측 모델을 생성하였다. 도 6은 예측 모델을 통해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이 제어됨으로써 예측되는 출측폭 및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를 나타낸 결과 그래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예측되는 출측폭 및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 중 90% 이상이 입출측 폭계의 관리 기준에 대한 RMS 평균값인 ±0.7mm의 범위 이내에 위치하여 본 실시예의 예측 모델의 신뢰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항복
강도
제어 범위 예측 계수(β)
로내
온도
(℃)
로내
장력
(kg)
SPM
연신율
(%)
TL
연신율
(%)
로내
온도
로내
장력
SPM
연신율
TL
연신율
YP19 ±10 ±111 ±0.02 0~0.02 0.0006424 0.000169 0.0994775 0.6701814
YP19.2 ±10 ±24 ±0.02 0~0.02 0.0009581 0.0002128 0.1665089 0.5625182
YP19.3 ±10 ±64 ±0.02 0~0.02 0.000593 0.0001613 0.1997561 0.5937593
YP29.1 ±10 ±73 ±0.18 0~0.02 0.0006977 0.0002406 0.0962992 0.397929
YP43 ±10 ±290 ±0.19 0~0.02 0.0020646 0.0001275 0.0616989 0.2854343
하기 표 2는 표 1에 따른 예측 모델(즉, 표 1에 나타난 예측 계수를 갖는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열처리 공정의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과 후처리 공정의 연신율을 제어할 경우의 폭 제어량(폭 수축량 및 폭 퍼짐량)을 나타내고 있다. 후처리 장치는 전술한 것과 같이 조질 압연기(60)뿐만 아니라 텐션 레벨러(70)를 포함할 수도 있는 점에서, 조질 압연기(60)만을 사용하여 연신율을 제어하는 경우와, 조질 압연기(60) 및 텐션 레벨러(70)를 함께 사용하여 연신율을 제어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폭 제어량을 표시하였다. 텐션 레벨러(7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의 폭 제어량(표 2에서 TL 미사용)은 조질 압연기(60)의 출측에 위치한 이송롤에 의한 폭 제어량을 나타낸다. 한편, 표 2에서 코일의 폭(즉, 입측폭)은 1517.7mm로 설정하였으며, (-) 및 (+)의 부호는 각각 폭 수축 및 폭 퍼짐을 의미한다.
항복
강도
항목별 폭 제어량(mm)
로내
온도
로내
장력
SPM
연신율
TL
미사용
TL
연신율
YP19 ±0.09749 ±0.284759 ±0.030195 -0.203427 -2.034268
YP19.2 ±0.145412 ±0.077526 ±0.050542 -0.170747 -1.707468
YP19.3 ±0.089998 ±0.156705 ±0.060634 -0.18023 -1.802297
YP29.1 ±0.105889 ±0.266518 ±0.263076 -0.120787 -1.207874
YP43 ±0.313351 ±0.56124 ±0.177917 -0.086641 -0.866407
평균 ±0.150428 ±0.26935 ±0.116473 -0.152366 -1.523663
표 1 및 표 2의 항복강도 190MPa(YP19)의 경우로서 텐션 레벨러(7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를 예시로서 설명하면, 표 1의 제어 범위(±10℃, ±111kg, ±0.02%)에서 예측 계수(0.0006424, 0.000169, 0.0994775)에 따른 예측 모델을 통해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SPM 연신율을 제어하는 경우 폭 제어량은 각각 ±0.09749mm, ±0.284759mm, ±0.030195mm로 나타나고, 조질 압연기(60)의 출측에 위치한 이송롤에 의한 폭 제어량은 -0.203427mm로 나타나며, 따라서 총 폭 제어량은 약 -0.62 ~ +0.41mm가 된다. 여기서, 허용 오차 범위는 1510mm ~ 1515mm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만약, 코일의 입측폭인 1517.7mm에 대하여 실적 DB를 통해 코일의 출측폭이 1515.5mm로 1차 예측된 경우를 가정하면, 1차 예측된 코일의 출측폭을 허용 오차 범위 이내로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0.5mm 이상의 폭 수축이 요구되며, 이는 표 2에 따른 총 폭 제어량 범위인 -0.62 ~ +0.41mm에 따라 제어 가능한 폭 제어량에 해당하므로, 제어부(500)는 표 1에 따른 로내 온도 예측 계수를 갖는 예측 모델을 통해 로내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실적 DB를 통해 코일의 출측폭이 1509.8mm로 1차 예측된 경우를 가정하면, 1차 예측된 코일의 출측폭을 허용 오차 범위 이내로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0.2mm 이상의 폭 퍼짐이 요구되며, 이는 표 2에 따른 총 폭 제어량 범위인 -0.62 ~ +0.41mm에 따라 제어 가능한 폭 퍼짐량에 해당하므로, 제어부(500)는 표 1에 따른 로내 온도 예측 계수를 갖는 예측 모델을 통해 로내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과정은 코일의 출측폭을 2차 및 3차 예측하고 예측된 출측폭을 기반으로 로내 장력 및 연신율을 제어함으로써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표 1 및 표 2에서 텐션 레벨러(70)를 사용한 경우도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이 제어된다. 즉, 항복강도 190MPa(YP19)의 경우로서 표 1의 제어 범위(±10℃, ±111kg, ±0.02%, 0~0.02%)에서 예측 계수(0.0006424, 0.000169, 0.0994775, 0.6701814)에 따른 예측 모델을 통해 로내 온도, 로내 장력, SPM 연신율 및 TL 연신율을 제어하는 경우 폭 제어량은 각각 ±0.09749mm, ±0.284759mm, ±0.030195mm, -2.034268mm로 나타나고, 따라서 총 폭 제어량은 약 -2.45 ~ +0.41mm가 되며, 제어부(500)는 이러한 폭 제어량을 기반으로 예측 모델을 통해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연신율을 제어함으로써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이 허용 오차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항복강도 190MPa(YP19)의 경우로서, 텐션 레벨러(70)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총 폭 제어량은 약 -0.62 ~ +0.41mm가 되고, 텐션 레벨러(70)를 사용한 경우 총 폭 제어량은 약 -2.45 ~ +0.41mm가 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텐션 레벨러(70)를 사용하여 연신율을 제어하는 경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는 코일의 폭의 범위가 확장됨을 의미한다. 연신율 제어의 효과를 하기에서 표 3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 3은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만 제어한 경우와, 추가적으로 후처리 공정의 연신율을 제어한 경우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제어대상: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
제어대상:
로내 온도, 로내 장력 및 SPM 연신
제어대상:
로내 온도, 로내 장력, SPM 연신율, TL 연신율

SPM 연신율 제어 효과

TL 연신율 제어 효과
폭 수축량 폭 퍼짐량 폭 수축량 폭 퍼짐량 폭 수축량 폭 퍼짐량 폭 수축량 폭 퍼짐량 폭 수축량 폭 퍼짐량
YP19 -0.38 0.38 -0.62 0.41 -2.45 0.41 -0.24 0.03 -2.07 0.03
YP19.2 -0.22 0.22 -0.44 0.27 -1.98 0.27 -0.22 0.05 -1.76 0.05
YP19.3 -0.25 0.25 -0.49 0.31 -2.11 0.31 -0.24 0.06 -1.86 0.06
YP29.1 -0.37 0.37 -0.76 0.64 -1.84 0.64 -0.39 0.27 -1.47 0.27
YP43 -0.87 0.87 -1.14 1.05 -1.92 1.05 -0.27 0.18 -1.05 0.18
평균 -0.42 0.42 -0.69 0.54 -2.06 0.54 -0.27 0.12 -1.64 0.12
항복강도 190MPa(YP19)의 경우를 예시로서 설명하면,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만을 고려하여 예측 모델을 적용하면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0.38 ~ +0.38mm의 범위에서 폭 제어량이 예측된다. 이는 열처리 공정에서의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만을 제어하는 경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는 코일의 폭의 범위가 -0.38 ~ +0.38mm로 제한됨을 의미한다.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과 함께 SPM 연신율을 추가로 고려하여 예측 모델을 적용하게 되면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0.62 ~ +0.41mm의 범위에서 폭 제어량이 예측된다. 이는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과 함께 SPM 연신율을 추가로 제어하는 경우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만을 제어하는 경우 대비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는 코일의 폭의 범위가 확장됨을 의미한다. 즉,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과 함께 SPM 연신율을 추가로 제어하는 경우, 표 3의 SPM 연신율 제어 효과에 나타난 것과 같이 -0.24 ~ +0.03mm 만큼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는 코일의 폭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나아가, TL 연신율을 고려하여 예측 모델을 적용할 경우,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2.45 ~ +0.41mm의 범위에서 폭 제어량이 예측된다. 이는 로내 온도, 로내 장력과 함께 TL 연신율을 추가로 제어하는 경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는 코일의 폭의 범위가 확장됨을 의미한다. 즉, 로내 온도, 로내 장력과 함께 TL 연신율을 추가로 제어하는 경우, 표 3의 TL 연신율 제어 효과에 나타난 것과 같이 -2.07 ~ +0.03mm 만큼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는 코일의 폭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조업 조건과 코일 폭 수축량 간의 상관 모델인 예측 모델을 기반으로 냉연 강판 제조 공정에서의 폭 수축량을 사전 예측하여 그에 따라 조업 조건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공정 과정에서의 코일 폭 수축량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객사에서 요구하는 허용 기준을 충족하는 제품의 생산량을 증가시켜 수율 확보가 가능하며, 폭 부족재 및 폭 초과재의 처리에 따른 비용적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페이오프 릴
20: 용접기
30: 입측루퍼
40: 열처리 장치
50: 도금 장치
60: 조질 압연기
70: 텐션 레벨러
80: 출측루퍼
90: 텐션 릴
100: 입측폭 측정부
200: 열처리 제어부
300: 후처리 제어부
400: 출측폭 측정부
500: 제어부

Claims (8)

  1. 제어부가, 조업 실적을 토대로,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열처리 공정 및 후처리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코일의 폭 수축량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는 코일의 입측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받은 입측폭과 상기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열처리 공정의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과 상기 후처리 공정의 연신율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폭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모델은, 상기 조업 실적을 최소제곱법을 통해 회귀 분석하여 생성된, 조업 조건과 코일 폭 수축량 간의 상관 모델이되, 상기 조업 조건은 상기 로내 온도, 상기 로내 장력 및 상기 연신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폭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해당 코일이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기 전, 상기 입력받은 입측폭과 상기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상기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실적 DB를 이용하여 1차 예측하고, 상기 1차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로내 온도를 사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해당 코일이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된 후, 현재 열처리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상기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2차 예측하고, 상기 2차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로내 장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해당 코일이 상기 열처리 공정을 통과한 후, 현재 후처리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상기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3차 예측하고, 상기 3차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연신율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폭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율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조질 압연기의 압하력 및 텐션 레벨러의 압하력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연신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폭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후처리 공정을 통과한 코일의 실제 출측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입력받은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 모델을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폭 제어 방법.
  6. 열처리 공정 및 후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냉연 강판 제조 공정에서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는 코일의 입측폭을 측정하는 입측폭 측정부;
    상기 열처리 공정의 로내 온도 및 로내 장력을 조절하는 열처리 제어부;
    상기 후처리 공정의 연신율을 조절하는 후처리 제어부; 및
    조업 실적을 토대로 상기 열처리 공정 및 상기 후처리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코일의 폭 수축량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입측폭 측정부로부터 입력받은 입측폭과 상기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후처리 공정 후의 코일의 출측폭을 예측하며, 상기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열처리 제어부를 통해 상기 로내 온도 및 상기 로내 장력을 제어하고 상기 후처리 제어부를 통해 상기 연신율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폭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코일이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되기 전, 상기 입력받은 입측폭과 상기 냉연 강판 제조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상기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실적 DB를 이용하여 1차 예측하고, 상기 1차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열처리 제어부를 통해 상기 로내 온도를 사전 제어하고,
    상기 해당 코일이 상기 열처리 공정으로 장입된 후, 현재 열처리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상기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2차 예측하고, 상기 2차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열처리 제어부를 통해 상기 로내 장력을 제어하며,
    상기 해당 코일이 상기 열처리 공정을 통과한 후, 현재 후처리 공정의 공정 조건에 대한 상기 해당 코일의 출측폭을 3차 예측하고, 상기 3차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예측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후처리 제어부를 통해 상기 연신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폭 제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공정을 통과한 코일의 출측폭을 측정하는 출측폭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측폭 측정부로부터 상기 후처리 공정을 통과한 코일의 실제 출측폭을 입력받고, 상기 예측된 출측폭 및 상기 입력받은 실제 출측폭 간의 편차에 기초하여 상기 예측 모델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폭 제어 장치.
KR1020170182434A 2017-12-28 2017-12-28 코일 폭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43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434A KR102043529B1 (ko) 2017-12-28 2017-12-28 코일 폭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914,841 US10814366B2 (en) 2017-12-28 2018-03-07 Coil width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434A KR102043529B1 (ko) 2017-12-28 2017-12-28 코일 폭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159A true KR20190080159A (ko) 2019-07-08
KR102043529B1 KR102043529B1 (ko) 2019-11-11

Family

ID=6705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434A KR102043529B1 (ko) 2017-12-28 2017-12-28 코일 폭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14366B2 (ko)
KR (1) KR1020435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9163A1 (de) * 2019-05-07 2020-11-12 Sms Group Gmbh Verfahren zur Wärmebehandlung eines metallischen Produkts
CN113145654A (zh) * 2021-03-31 2021-07-23 北京首钢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热成型用钢酸洗板表面锈蚀发生率的方法
TWI806709B (zh) * 2022-07-15 2023-06-2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鋼帶寬度的參數調控系統以及參數調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820A (ja) * 1994-09-06 1996-05-21 Nkk Corp 金属帯熱処理装置における幅縮み量予測方法、熱処理方 法、幅調整方法
KR20040019732A (ko) * 2002-08-29 2004-03-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질압연기에서 일정 연신율 확보를 위한 압연하중설정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37118T2 (de) * 1995-03-28 2008-01-31 Nippon Steel Corp. Korrosionsbeständiges stahlblech für treibstofftank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bleches
KR100543956B1 (ko) * 2000-09-21 2006-01-23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96607B1 (ko) * 2000-12-27 2005-06-22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8057913B2 (en) * 2004-07-27 2011-11-15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sheet having high young'S modulus,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using the same, alloyed hot-dip galvanized steel sheet, steel pipe having high young'S modulu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30193B1 (ko) 2012-04-30 2013-02-06 주식회사 포스코 준연속방식에 의한 냉연 스테인레스 코일 제조장치
AT514380B1 (de) * 2013-05-03 2015-04-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Bestimmung des ferritischen Phasenanteils nach dem Erwärmen oder Abkühlen eines Stahlbands
JP6327737B2 (ja) * 2013-07-09 2018-05-23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マルテンサイト鋼及びその製造方法
EP3190203A4 (en) * 2014-09-05 2018-04-18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Quasicrystal-containing pl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quasicrystal-containing plated steel sheet
EP3199649B1 (en) * 2014-09-26 2021-02-17 JFE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and method for evaluating grain 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s
JP6692200B2 (ja) * 2016-03-31 2020-05-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メカニカルクリンチ接合部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820A (ja) * 1994-09-06 1996-05-21 Nkk Corp 金属帯熱処理装置における幅縮み量予測方法、熱処理方 法、幅調整方法
KR20040019732A (ko) * 2002-08-29 2004-03-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질압연기에서 일정 연신율 확보를 위한 압연하중설정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529B1 (ko) 2019-11-11
US10814366B2 (en) 2020-10-27
US20190201954A1 (en)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2764B2 (ja) 圧延、鍛造又は矯正ラインの材質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90080159A (ko) 코일 폭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03008943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or regulating the cooling stretch of a hot strip rolling mill for rolling metal strip, and corresponding device
JP2006508803A (ja) 金属の成形、冷却、及び/又は熱処理をするための設備のプロセス制御又はプロセス調整をするための方法
CN108026604B (zh) 用于钢带热处理的热处理设备以及控制用于钢带热处理的热处理设备的方法
JP6068146B2 (ja) 設定値計算装置、設定値計算方法、及び設定値計算プログラム
JP2002153909A (ja) 平坦度を測定及び/又は制御する方法乃至装置、平坦度制御システム
KR100685038B1 (ko) 압연두께 제어장치
KR20000052719A (ko) 밀 트레인 상의 밴드 단부에서 밴드 폭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JP2010066132A (ja) 連続焼鈍炉における温度制御方法および連続焼鈍炉
JP3384330B2 (ja) リバース圧延機における板厚制御方法
JP2007289990A (ja) 圧延装置の板厚制御方法と圧延装置
KR101536461B1 (ko) 다중스탠드압연밀의 폭 제어장치 및 폭 제어방법
KR100660204B1 (ko) 압연두께 제어장치
JP2008043967A (ja) 熱間圧延における板形状の制御方法
CN109563559B (zh) 使用于金属带材的退火的退火炉运行的方法
JP6075309B2 (ja) 加熱炉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3520868B2 (ja) 鋼板の製造方法
JP6414101B2 (ja) 圧下レベル制御装置および圧下レベル制御方法
KR101519434B1 (ko) 냉연 강판의 연속 소둔시 장력 설정 조절 방법 및 장치
JP6569691B2 (ja) 不等辺不等厚山形鋼の製造方法
JP2021010914A (ja) 圧延形状制御装置
JP3848618B2 (ja) 冷間圧延工程における板幅制御方法
KR100660215B1 (ko) 연속 압연기의 압연롤 속도 제어 장치
KR102032612B1 (ko) 압연 공정에서의 폭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