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053A - 내후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내후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9053A KR20190079053A KR1020170180973A KR20170180973A KR20190079053A KR 20190079053 A KR20190079053 A KR 20190079053A KR 1020170180973 A KR1020170180973 A KR 1020170180973A KR 20170180973 A KR20170180973 A KR 20170180973A KR 20190079053 A KR20190079053 A KR 201900790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n composition
- weight
- parts
- fiber
- thermoplastic resi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2—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carbon fib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장섬유를 사용하여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내후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후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장섬유를 사용하여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내후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최고의 관심사 중 하나인 고효율은 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쳐, 빠른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보통 기계적인 효율 증가를 뜻하였으나, 높은 물성을 보이는 경량화 소재를 적용하여 중량 감소를 통해 효율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산업 전반에 걸쳐 빠르게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고분자 소재가 점점 기능화, 성능화 및 다양화됨에 따라서 특정 산업 분야에서는 금속을 대체할 수 있을 수준에 이르렀다. 그러나 고분자 소재 단독으로는 발현할 수 없는 성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고충격 및 고강성의 복합 소재인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LFT)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LFT 가공 기술이 발달하여 복잡한 금형 설계가 가능해지고, 기계적 물성 또한 향상되어 LFT 소재의 금속 대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용 부품 소재인 도어 모듈, 캐리어, 암레스트, 선루프 프레임 등을 LFT로 대체하고 있다.
자동차용 부품 소재를 LFT로 대체할 경우, 경량화뿐만 아니라 금형 설계를 통한 복잡한 부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사출 성형을 적용한 모듈화된 부품은, 부품의 통합을 가능케 한다. 모듈화는 최근 자동차 업계의 핵심으로서, 각 자동차 업계에서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로 LFT의 사용은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전술한 다양한 산업적 이슈에 따라 고강성 소재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예컨데,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222208호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중 수평균분자량 50,000 정도의 폴리아미드 수지(PA6)를 적용하였으나, 유동성이 떨어져 유동화제를 첨가제로 추가로 투입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78776호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중 결정성 고분자인 폴리아미드 수지에 유리 단섬유, 유리 버블 및 기타 난연제를 첨가시켜 강도, 내열성, 치수안정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에 대해 소개하고 있으나, 이는 단섬유 강화 수지 조성물 형태로서, 폴리아미드 수지 및 모든 첨가제를 토탈 믹싱을 통해 용융 혼련하는 과정에서 단섬유 및 유리 버블의 파쇄로 인해 그 목적에 맞는 물성과 경량화 효과를 얻기가 힘들다. 또한, 이를 극복하고자 다량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성형 공정에서 과다한 가스가 발생되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기존 산업에 적용되던 LFT와 대비하여, 자동차 소재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뿐 아니라 내후성까지 개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강성, 고충격 및 우수한 내후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내후 특성을 모두 구현하고, 고유동성의 폴리아미드 수지와 장섬유 카본 강화제를 이용함으로써 인발 성형 과정에서 높은 섬유 함침 특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 수평균분자량(Mn)이 7,000 내지 17,000인 폴리아미드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B)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 0.5 내지 9.5 중량부, (C) 충격 보강제 2 내지 18 중량부, (D) 열 안정제 0.1 내지 2.8 중량부 및 (E) 카본 장섬유 12 내지 48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높은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 특성과 함께, 우수한 섬유 함침성과 생산성을 나타내고, 제조 원가도 저렴하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여 우수한 내후 특성을 나타내는 압/사출 성형품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성형품은 특히 자동차 부품, 전기 부품 및 전자 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중량부"는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강화제인 카본 장섬유를 인발 성형장치에 걸어두고, 이를 나머지 조성물 구성성분들이 용융되어 있는 함침조를 통과시켜, 함침조 내의 용융 혼합물로 "피복"된 섬유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최종적으로, 예컨대, 5 내지 30mm 길이의 펠렛 형태로 제조되며, 장섬유가 펠렛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보강되어 있다.
(A) 폴리아미드 수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기초 수지 성분으로서, 수평균분자량(Mn)이 7,000 내지 17,000인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수평균분자량(Mn)은, 바람직하게는 9,000 내지 14,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3,00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1,000 내지 12,0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이 7,000 미만일 경우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17,000을 초과하면 유동성 및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반복 단위로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수지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60 내지 150의 정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5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는 고리 구조의 락탐(lactam), w-아미노산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축중합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2가산(diacids) 및 디아민(diamine)을 단량체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로는 호모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결정성, 반결정성 또는 비결정성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는 구체적으로, 폴리 헥사메틸렌디아민 아디프아미드(나일론 6,6), 폴리헥사메틸렌디아민 세바스 아미드(나일론 6,10), 폴리헥사메틸렌 라우로아미드(나일론 6,12), 폴리테트라메틸렌디아민 아디프아마이드(나일론 4,6), 폴리카프로락탐(나일론 6), 폴리라우로락탐(나일론 12)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에는, 상기 폴리아미드 수지가 30 내지 8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75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가공성 및 사출 성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폴리아미드 수지의 함량이 80 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굴곡 강도 및 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 또는 내후성 및 열 안정성 등의 기타 물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전반적인 물성 저하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B)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내후성 향상을 위해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포함한다.
상기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는 열가소성 수지에,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폴리아미드 수지에 카본블랙을 분산시킨 혼합물을 의미한다. 폴리아미드 수지에 카본블랙을 분산시킨 형태의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사용함으로써, 카본블랙이 용이하게 분산되어, 내후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에 함유된 카본블랙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케첸블랙, 아세틸렌블랙, 채널블랙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카본블랙의 입경은 10nm 내지 40nm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본블랙의 질소흡착 비표면적(NSA)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50 내지 250 m2/g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 내지 240 m2/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질소흡착 비표면적(NSA)은, 카본블랙 표면에의 질소 흡착량을 JIS K6217-2: 2001 ‘제2부: 비표면적의 구하는 방법-질소 흡착법-단점법’에 따라서 측정한 값이다.
상기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 내의 카본블랙의 함량은, 마스터 배치 총 100 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 총 100 중량부 기준으로, 카본 블랙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카본블랙의 함량이 너무 적어 내후성의 상승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열악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에는, 상기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가 0.5 내지 9.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내후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반대로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의 함량이 9.5 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C) 충격
보강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기계적 물성 중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충격 보강제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 보강제로는 코어-쉘 타입의 공중합체 또는 사슬 형태의 중합체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보강제로서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Acrylic impact modifier), 올레핀계 충격 보강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 보강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 보강제, 실리콘계 충격보강제,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충격 보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충격보강제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어-쉘 타입의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일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코어-쉘 타입의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계 충격 보강제(Methacrylate-Butadiene-Styrene emulsion copolymer impact modifier)와 비교할 때, 코어-쉘 타입의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는 부타디엔 고무 구조의 코어를 갖는 MBS계 충격 보강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색 재현성과 열 안정성을 가지며, 사출 성형시 사이클 타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코어-쉘 타입의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의 코어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에틸아크릴 고무, 부틸아크릴 고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부틸아크릴 고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코어의 직경은 200 내지 350 nm일 수 있다. 코어-쉘 타입의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의 쉘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물질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충격 보강제로는 일반적으로 그래프트된 고분자 또는 금속 이오노머(ionomer)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에는, 상기 충격 보강제가 2 내지 18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7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6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충격 보강제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 개선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고, 반대로 충격 보강제의 함량이 18 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더 이상 충격강도가 향상되지 않으면서,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D) 열 안정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내후성 향상을 위해 열 안정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1차 산화 방지제는 라디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1차 산화 방지제의 가공 안정성의 향상 및 가혹한 가공 조건을 적용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페놀, 황 또는 인 등이 적용된 2차 산화 방지제를 병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2차 산화 방지제에 준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열 안정제를 사용한다. 열 안정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요오드(iodine)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에는, 상기 열 안정제가 0.1 내지 2.8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2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열 안정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열 안정제 첨가에 따른 내후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반대로 열 안정제의 함량이 2.8 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E) 카본
장섬유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강화제로서 카본 장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카본 장섬유는 5 내지 30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mm일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길이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본 장섬유는 표면 처리된 것일 수 있으며, 이때 표면 처리제로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실란계 또는 티타네이트계 저분자량 또는 고분자량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표면처리제 중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 수지와 친화성이 좋은 표면처리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융 함침 방법, 분말 대전 방식 등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열가소성 수지에 연속적으로 함침시킬 수 있다.
상기 카본 장섬유는 우레탄 수지로 집속되어 있을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대량생산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인발 성형(pultrusion) 방법을 사용하여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인발 성형(pultrusion) 장비의 수지 주입부에 투입하여, 다이스에 통과시키면서 로브 형태의 카본 장섬유를 풀링 및 스퀴징의 공정을 거쳐 함침시키고, 상기 함침된 상태로 연속상의 스트랜드를 인발(pultrusion)하여 냉각하고 펠렛 형태로 절단하여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에는, 상기 카본 장섬유가 12 내지 48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 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4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내의 카본 장섬유의 함량이 12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 강성의 개선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고, 반대로 카본 장섬유의 함량이 48 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충격 보강제, 열 안정제 및 기타 첨가제의 투입량이 제한되므로 내충격성 및 내후성이 저하되고, 가공성이 떨어지며, 열가소성 수지 표면으로 카본 장섬유가 도출되거나, 사출 성형품 내의 카본 장섬유의 분산이 불균일할 수 있다.
(F) 기타 임의의 추가 성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전술한 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용화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부 기준하여, 15 중량부까지, 예컨대, 약 7 내지 13 중량부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및
비교예
]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분들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A-1) 폴리아미드 수지
황산 용매에 대한 상대 점도가 2.2이고, 수평균분자량이 11,500인 폴리아미드 6 수지
(A-2) 폴리아미드 수지
황산 용매에 대한 상대 점도가 2.2이고, 수평균분자량이 18,000인 폴리아미드 6 수지
(B-1) 카본블랙
Raven 2350 Ultra (Birla Carbon 社)(NSA 표면적: 203 m2/g, 평균 입경: 15 nm)
(B-2)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
전술한 (A-1) 폴리아미드 6 수지 내에 전술한 (B-1) 카본블랙을 분산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A-1) 폴리아미드 6 수지 : (B-1) 카본블랙의 중량비가 70:30인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로서,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상기 (A-1) 폴리아미드 6 수지를 분쇄한 후, 분쇄된 (A-1) 폴리아미드 6 수지와 (B-1) 카본블랙을 70:30의 중량비로, L/D=48 및 Φ=25mm인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에서 용융 온도 230~250℃, 스크류 회전 속도 150 rpm, 제 1 벤트 (vent) 압력 약 -600 mmHg 및 자가 공급 속도 20kg/h의 조건 하에서 압출하였고, 압출된 스트랜드를 물에서 냉각시킨 후, 회전 절단기로 절단함으로써,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C) 충격
보강제
무수물로 개질된 에틸렌 공중합체(anhydride modified ethylene copolymer)(벌크 밀도: 0.9g/cm3, 용융 지수: 1.6g/min, 190oC 온도 및 2.16kg 하중 조건)
(D)
열안정제
CuI (Incasa 社)(Cuprous Iodide)
KI (Incasa 社)(Potassium Iodide)
(E-1) 카본
장섬유
직경이 5 내지 10㎛, 길이가 15 내지 20 mm이며, 우레탄 레진으로 집속되어 있고, 필라멘트 number 12,000을 가지는 PAN계 탄소 장섬유 토우
(E-2) 유리
장섬유
직경이 10 내지 15㎛이며, 에폭시 레진으로 집속되어 있고,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필라멘트 number 2,000을 가지는 유리 장섬유 토우
(E-3) 카본
단섬유
직경이 5 내지 10㎛, 길이가 3 내지 6 mm이며, 우레탄 레진으로 집속되어 있고, 필라멘트 number 12,000을 가지는 PAN계 탄소 단섬유
(E-4) 유리
단섬유
직경이 10 내지 14 ㎛, 길이가 2 내지 4 mm이며,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필라멘트 number 3,500을 가지는 유리 단섬유
(F) 기타 첨가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벌크 밀도: 1.03g/cm3, 용융온도범위: 230~260℃)
하이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벌크 밀도: 1.22g/cm3, 용융온도범위: 137~141℃)
1,6-헥산디아민 및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파이퍼리딘일)-폴리머(벌크 밀도: 1.01g/cm3, 용융온도범위: 120~150℃)
트리스(2,4-다이-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벌크 밀도: 1.03g/cm3, 용융온도범위: 183~186℃)
N,N-헥산-1,6-디일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온아미드))(벌크 밀도: 1.04g/cm3, 용융온도범위: 156~161℃)
하기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분 및 함량으로 폴리아미드 수지,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 또는 카본블랙, 열 안정제, 충격 보강제 및 기타 첨가제를 L/D=48 및 Φ=25mm인 이축 용융 혼련 압출기에서 용융온도 230 내지 250oC, 스크류 회전 속도 150rpm, 제 1 벤트(vent) 압력 약 -600mmHg 및 자가 공급 속도 20 kg/h의 조건 하에서 압출하였다. 압출된 스트랜드를 물에서 냉각시킨 후, 회전 절단기로 절단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그 후 하기 표 1에 나타낸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분 및 함량으로 폴리아미드 수지로 제조된 마스터 배치를 인발 성형(pultrusion) 장비의 수지 주입부에 투입하여, 다이스에 통과시키면서 로브 형태의 카본 장섬유(E-1), 유리 장섬유(E-2), 카본 단섬유(E-3) 또는 유리 단섬유(E-4)를 풀링 및 스퀴징의 공정을 거쳐 함침시키고, 상기 함침된 상태로 연속상의 스트랜드를 인발(pultrusion)하여 냉각하고 30mm 길이의 펠렛 형태로 절단하여 장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장섬유 강화 폴리아미드 펠렛을 80℃ 내지 100℃에서 4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250℃ 내지 270℃의 실린더 온도와 90℃의 금형 온도로 사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각 시편의 물성을 하기에 명시된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 벌크 밀도: ASTM B527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3) 굴곡강도 및 굴곡 탄성율: ASTM D79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4) 상온충격강도 및 저온충격강도: ASTM D256에 의거하여 상온(room temperature) 및 저온(-30℃)에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5) 열변형 온도: ASTM D64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하중 조건: 18.6kgf/cm2)
(6) 내후성: 외부 시험 의뢰(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340 nm의 파장 및 2500 KJ/m2의 광 조사량 조건 하에서, SAE J 1960에 의거하여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건으로 광을 조사한 후, 시편의 색 변화를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하기 식에 의해 색차(ΔE)를 계산하였고, 색차(ΔE값)가 낮을수록, 특히 3 이하일 경우, 내후성이 우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ΔE
(L*, a*, b*)={(
ΔL
*)
2
+(
Δa
*)
2
+
(Δb*)
2
}
1/2
(7) 압출 가공성: 마스터 배치 제조 시 스트랜드(strand)의 끊어짐 정도에 따라 하기 기준으로 상대 평가하였다.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비교예에 제시된 수지 조성물 대비 인장강도, 굴곡 특성(굴곡강도 및 굴곡 탄성률), 상온 충격강도 및 저온 충격 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과 내열성, 내후성 및 압출 가공성에서 모두 우수한 균형 잡힌 물성을 보이고 있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분자량이 높은 폴리아미드로 인해 압출 가공성이 떨어져 전체적인 물성이 하락함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2의 경우는 마스터배치 형태가 아닌 카본블랙을 첨가하여 분산성이 저하되어 전체적인 기계적 물성 하락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3은 카본블랙이 첨가되지 않아 내후성이 크게 저하되었으며, 비교예 4는 마스터배치가 과량 첨가되어 실시예 1 대비 전반적인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연속적인 압출 가공이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5는 충격보강제가 첨가되지 않아 충격강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반대로 비교예 6은 충격보강제가 과량 첨가되어 굴곡 특성이 감소되어 고충격 및 고강성 제품 구현에 적합하지 않다. 열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7의 경우 열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결과를 보이며, 반대로 열 안정제를 과량 첨가한 비교예 8에서는 전반적인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보였다. 카본 장섬유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9는 실시예 1에 비해 모든 특성에서 큰 저하를 확인하였으며, 반대로 카본 장섬유가 과량 첨가된 비교예 10에서도 전반적인 물성 하락 및 압출 가공성 저하를 확인하였다. 유리 강화제를 사용한 비교예 11 및 비교예 13은 카본 장섬유 강화제를 사용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낮은 기계적 특성을 보이며, 카본 단섬유 강화제를 사용한 비교예 12의 역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낮은 물성을 나타내었다. 카본 장섬유 강화제가 1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된 비교예 14 역시 전반적으로 낮은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12)
- 수지 조성물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A) 수평균분자량(Mn)이 7,000 내지 17,000인 폴리아미드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B)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 0.5 내지 9.5 중량부,
(C) 충격 보강제 2 내지 18 중량부,
(D) 열 안정제 0.1 내지 2.8 중량부 및
(E) 카본 장섬유 12 내지 48 중량부를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A) 폴리아미드 수지의 수평균분자량(Mn)이 9,000 내지 14,000인,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A) 폴리아미드 수지가 폴리헥사메틸렌디아민 아디프아미드(나일론 6,6), 폴리헥사메틸렌디아민 세바스아미드(나일론 6,10), 폴리헥사메틸렌 라우로아미드(나일론 6,12), 폴리테트라메틸렌디아민 아디프아미드(나일론 4,6), 폴리카프로락탐(나일론 6), 폴리라우로락탐(나일론 12)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B)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는 폴리아미드 수지 및 카본블랙의 혼합물인,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카본블랙의 함량은 (B) 카본블랙 마스터 배치 총 100 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인,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C) 충격 보강제는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올레핀계 충격 보강제,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 보강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 보강제, 실리콘계 충격 보강제,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충격 보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D) 열 안정제는 요오드(iodine)계 화합물인,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E) 카본 장섬유는 실란계 또는 티타네이트계 중합체로 표면 처리된 것인,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이 펠렛 형태로 제조되고, (E) 카본 장섬유가 상기 펠렛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E) 카본 장섬유의 길이와 상기 펠렛의 길이가 5 내지 30mm로 동일한 것인,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용화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 제11항에 있어서, 자동차 부품, 전기 제품, 전자 제품 또는 LED 조명용품인, 성형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0973A KR102020606B1 (ko) | 2017-12-27 | 2017-12-27 | 내후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0973A KR102020606B1 (ko) | 2017-12-27 | 2017-12-27 | 내후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9053A true KR20190079053A (ko) | 2019-07-05 |
KR102020606B1 KR102020606B1 (ko) | 2019-09-10 |
Family
ID=6722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0973A KR102020606B1 (ko) | 2017-12-27 | 2017-12-27 | 내후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060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44436B2 (ja) * | 2000-04-26 | 2006-11-15 |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法 |
JP2011057977A (ja) * | 2009-08-12 | 2011-03-24 |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 耐候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4185371A1 (ja) * | 2013-05-15 | 2014-11-20 | 東洋紡株式会社 | 発泡成形体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ポリアミド樹脂発泡成形体 |
KR20160094724A (ko) * | 2015-02-02 | 2016-08-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탄소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 |
-
2017
- 2017-12-27 KR KR1020170180973A patent/KR1020206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44436B2 (ja) * | 2000-04-26 | 2006-11-15 |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 導電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法 |
JP2011057977A (ja) * | 2009-08-12 | 2011-03-24 |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 耐候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4185371A1 (ja) * | 2013-05-15 | 2014-11-20 | 東洋紡株式会社 | 発泡成形体用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ポリアミド樹脂発泡成形体 |
KR20160094724A (ko) * | 2015-02-02 | 2016-08-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탄소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0606B1 (ko) | 2019-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66769B1 (ko) | 폴리프로필렌계 장섬유 강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도어 쉴드 모듈 플레이트 성형품 | |
KR101526742B1 (ko) | 성형성이 우수한 탄소섬유 보강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
CN105838063B (zh) | 碳纤维增强的热塑性树脂组合物及使用其制造的模制品 | |
DE102005023420A1 (de) | Polyamidformmassen mit verbesserter Fliessfähigkeit,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 |
JP3216428B2 (ja) | 長繊維強化ポリマーアロイ樹脂組成物 | |
JP2006524594A (ja) | 引き抜き成形法及び該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る物品 | |
WO2015174488A1 (ja) | 結晶性ポリアミド系樹脂組成物 | |
WO2014084314A1 (ja) | ペレット混合物、炭素繊維強化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ペレット混合物の製造方法 | |
CN103732682B (zh) | 用于制备热稳定聚酰胺填充的丙烯酸酯聚合物的方法 | |
KR20150043996A (ko) |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 |
JP4606719B2 (ja) | 黒系着色した繊維強化樹脂組成物 | |
CN108026369B (zh) | 树脂组合物和抑制脂组合物的弯曲断裂应变降低的方法 | |
KR20190075248A (ko) | 폴리아마이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Im et al. | Facile preparation and immediate effect of novel flow modifiers for engineering the flowability of high-filled composites | |
KR101602814B1 (ko) | 고인장강도용 유리 섬유 강화 폴리아마이드66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TW201229599A (en) | Flexible strength members for wire cables | |
WO2020173766A1 (de) | Thermoplastische formmasse | |
CN1218998C (zh) | 一种聚对苯二甲酸乙二醇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JP4956974B2 (ja) |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 |
KR102020606B1 (ko) | 내후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20210051930A (ko) | 자동차 전장부품용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 |
JP2005082786A (ja) | 長繊維強化樹脂ペレット及びその成形体 | |
WO2015022404A1 (de) | Faserverstärkte thermoplastische formmasse mit verbesserter bindenahtfestigkeit | |
KR20200078749A (ko) | 내후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 |
KR20190064305A (ko) |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