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930A - 자동차 전장부품용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장부품용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930A
KR20210051930A KR1020190137850A KR20190137850A KR20210051930A KR 20210051930 A KR20210051930 A KR 20210051930A KR 1020190137850 A KR1020190137850 A KR 1020190137850A KR 20190137850 A KR20190137850 A KR 20190137850A KR 20210051930 A KR20210051930 A KR 20210051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wave
wave shielding
plastic molded
molded article
shielding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이희진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에스엔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에스엔프라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1930A/ko
Publication of KR2021005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9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9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fibres, e.g. metal fibres, carbon fibres, metallised textile fibres, electro-conductive mesh, woven, non-woven mat, fleece, cross-link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2Ingredients treated with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평균 섬유장(Fiber length)이 0.01 내지 15 mm인 금속코팅 탄소섬유 및 흑연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어 있는 분산필러를 구비하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전장부품용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PLASTIC ARTICLE HAVING EMI SHIELDING PROPERTY FOR ELECTRIC PART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평균 섬유장(Fiber length)이 0.01 내지 15 mm인 금속코팅 탄소섬유 및 흑연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어 있는 분산필러를 구비하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의 자동차 부품기업들은 자동차 소재 경량화를 위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기계적 강도와 내충격성, 인성의 균형이 우수한 소재를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신규한 소재는 물성이 우수함에도, 원재료 값이 비싸거나 가공이 어려워 제조단가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는 바, 신규한 소재를 직접 산업에 활용하는 것은 제한적인 실정이다.
아울러,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온 지구온난화 문제와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친환경 소재에 관한 수요 또한 증가함에 따라, 원가가 높고, 가공이 어려우며 생산비가 비싼 경우에는, 산업현장에서 직접 사용되기가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가공이 용이하면서도 경량성을 확보하기에 유리한 플라스틱 소재는 이를 활용한 복합소재로 개발함으로써 신규한 소재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원료이다. 자동차 부품분야에 있어서도,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한 신규한 물성의 복합소재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바, 이는 미래형 자동차의 개발과 맞물려, 미래형 자동차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전자파 차폐 성능을 구비하고, 전장부품에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발열성능과 방열성능이 모두 우수한 복합소재의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와 개발을 거듭한 끝에, 상술한 바와 같이, 신규한 소재의 개발에 있어서 가장 문제시되는 제조단가의 증가, 가공난이도 증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자동차 전장부품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물성을 가지는 신규한 조성의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장부품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서, 전자파 차폐성능 및 방열성능이 우수한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량생산과 생산효율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산업에서 활용성이 높은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장부품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강성과 전자파 차폐 성능을 동시에 가지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평균 섬유장(Fiber length)이 0.01 내지 15 mm인 금속코팅 탄소섬유 및 흑연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어 있는 분산필러; 를 구비하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산필러는 상기 전도성 플라스틱 성형품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산필러는 상기 금속코팅 탄소섬유와 상기 흑연을 1: 1 내지 2.5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코팅 탄소섬유는 카드뮴(Cd), 니켈(Ni), 인청동(Phosphor Bronze), 주석(Sn), 베릴륨(Be), 티타늄(T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전자파 차폐율이 50 dB 이상이고, 인장강도는 30 Mpa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 중량%의 보조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조첨가제는 산화방지제, 난연제, 난연보조제, 충격보강제, 윤활제, 가소제, 열안정제, 적하방지제, 상용화제, 광안정제, 안료, 염료, 무기필러 및 드립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자동차 전장부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자동차 전장부품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30 Mpa 이상의 인장강도와 전자파 차폐율이 50 dB 이상인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수지와 필러를 포함함으로써 자동차 전장부품을 경량화하면서도, 전자파 차폐효과 및 발열성능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성능을 만족하면서도, 가공성과 생산효율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평균 섬유장(Fiber length)이 0.01 내지 15 mm인 금속코팅 탄소섬유 및 흑연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어 있는 분산필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구 온난화와 대기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자동차 부품에 있어서 부품의 경량화가 여전히 화두가 되고 있다. 자동차 부품은 부품의 용도나 자동차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성형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고, 가벼우며, 제조단가가 낮은 플라스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내외의 전자파 발생량이 증가하고, 이에 의한 간섭문제가 증가됨에 따라, 플라스틱을 이용한 자동차 전장부품은 기존의 경량성 외에 전자파 차폐 성능이 요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자동차 부품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기계적 강도, 내충격성 및 성형성이 요구되고 있다.
플라스틱을 이용한 자동차 부품은 계기판, 범퍼 등과 같은 부품에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으나, 향후 미래형 자동차의 개발과 함께, 자동차 전장부품에의 플라스틱의 활용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내충격성이나 강도 등의 성능만이 요구되던 기존의 범퍼와 같은 부품과는 달리, 자동차 전장부품은 전자파 차폐 성능 및 발열성능이 반드시 구비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하여 자동차 전장부품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수한 전자파 차폐 성능, 발열성능 및 인장강도를 가지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생산효율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나일론 수지로 불리우며, 아미드 결합의 반복으로 주쇄를 구성하는 선상고분자물질이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내열성이 높고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용 부품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특히, 자동차 전장부품과 같이 발열량이 많은 부품에 사용하더라도 내열성이 우수함에 따라, 바람직한 특성을 가진다.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나, 예를 들면,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또는 나일론11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나일론6, 나일론6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에르테르 결합의 반복으로 주쇄를 구성하는 고분자물질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경제성이 우수한 수지로서, 이에 해당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올레핀 단량체를 중합하여 얻어진 수지이다. 단량체로는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이 탄소사슬 내에 불포화결합이 하나 이상 포함된 단량체가 첨가중합반응을 통해 얻어진다. 이에 해당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함에 따라 자동차 전장부품에 사용하기에 더욱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분산필러를 포함하는데, 상기 분산필러는 평균 섬유장(Fiber length)이 0.01 내지 15 mm인 금속코팅 탄소섬유 및 흑연을 포함하여,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산필러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보다 적게 첨가되는경우에는, 방열성능, 발열성능 및 전자파 차폐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성형품의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표면품질이 저하되며, 충격에 의한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금속코팅 탄소섬유는 탄소섬유의 표면이 금속으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 상기 금속은 1 종의 금속에 한정되지 않고, 합금이나, 2 종 이상의 금속을 순차로 코팅하여 얻어진 것일 수도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드뮴(Cd), 니켈(Ni), 인청동(Phosphor Bronze), 주석(Sn), 베릴륨(Be), 티타늄(T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코팅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니켈(Ni)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코팅 탄소섬유는 평균 섬유장(Fiber length)가 0.01 내지 1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금속코팅 탄소섬유는 평균직경이 3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섬유장보다 더 짧은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과 전자파 차폐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섬유장보다 긴 경우에는, 필러가 표면으로 돌출되는 문제나 사출성형이 필러의 쏠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의 섬유장을 가지는 탄소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흑연은 탄소 동소체의 하나로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의 평균입경을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흑연이 상기의 평균입경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전차파 차폐 성능이 가장 우수하면서도 성형품 내의 분산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산필러는 상기 금속코팅 탄소섬유와 상기 흑연을 1: 1 내지 2.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율보다 흑연을 소량으로 첨가하면, 방열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하면 전자파 차폐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전자파 차폐율이 50 dB 이상이고, 인장강도는 30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자동차 전장부품에 사용하기 적합한 특성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와 분산필러를 상기함량으로 포함하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이 갖는 특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 중량%의 보조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조첨가제는 산화방지제, 난연제, 난연보조제, 충격보강제, 윤활제, 가소제, 열안정제, 적하방지제, 상용화제, 광안정제, 안료, 염료, 무기필러 및 드립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함량보다 과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복합소재인 성형품의 기본 성능 즉, 기계적 물성이나 전자파 차폐 성능 및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함량보다 소량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보조첨가제의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첨가제는 산화방지제일 수 있고,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 화합물, 유황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를 첨가함에 따라 열성형 공정 중 열가소성 수지가가 받는 열 이력을 저하시켜 물성 유지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옥타딜-3-(4-하이드록시-3,5-디-터트-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에틸렌 비스(옥시에틸렌) 비스[3-(5-터셔리-부틸-4-하이드록시-m-톨일)프로피오네이트 등일 수 있고,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4,4-비스(α,α-디메틸벤질)디페닐 아민일 수 있다.
상기 포스파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데실 포스파이트, 페닐이소데실 포스파이드, 트리(노닐페닐) 포스파이트 및 트리라우릴 트리티오 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유황 화합물은 예를 들어, 도데실 메르캅단, 1,2-디페닐-2-티올,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첨가제로서, 무기필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기필러는 바람직하게는, 유리섬유일 수 있다.
상기 난연제와 난연보조제는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의 난연성을 확보함으로써, 발열성능 및 방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충격보강제는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를 주재로 포함함에 따라, 다소 낮은 내충격성을 보완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발열성능과 방열성능의 확보를 위해 열안정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윤활제, 상용화제 및 가소제는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정량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안정제는 빛에 의해 플라스틱 성형품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으며, 미감이나, 기능적인 이유에 의하여 안료, 염료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와 상술한분산필러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련하고 압출하여 자동차 전장부품용 펠렛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혼련은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을 단축 또는 2축의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믹싱 롤 등 통상의 용융 혼합기에 공급하여 대략 100 내지 500℃, 또는 2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혼련하는 방법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원료의 혼합 순서는 특별히 없이 혼합이 가능하나,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폴리아미드 수지, 분산필러 및 보조첨가제를 사전에 블렌드한 후, 폴리아미드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단축 또는 2축 압출기로 균일하게 용융 혼련한 뒤 압출법을 통해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혼련이나 압출은 선택되는 매트릭스 성분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해당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자동차 전장부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제어장치(ECU) 케이스, LED 장치 모듈(LDM) 케이스 등의 전장부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조예: 플라스틱 시편의 제작]
나일론66과 분산필러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했다. 구체적으로 분산필러로 직경이 약 8.6㎛이며, 평균 섬유장이 10 ㎜이고, 다분산값이 0%인 니켈코팅된 탄소섬유와 평균입경이 40㎛인 흑연을 사용했다.
이때, 금속코팅 탄소섬유와 흑연은 1:1 중량비로 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 이들 중량 총합이 20중량%가 되도록 하고, 잔량의 나일론66를 첨가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은 믹서로 혼합하고 270℃ 조건 하에서 이축압출기(twin-screw extruder)로 압출한 후, 펠렛 형태로 제조하여, 80℃에서 4시간 이상 건조한 다음, 이를 사출 성형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조하였다.
필러 (중량%) 나일론66
금속코팅
탄소섬유
흑연
실시예1 10 10 잔량
실시예2 14 6 잔량
실시예3 3 17 잔량
실시예4 1.5 18.5 잔량
실시예5 10 7 잔량
실시예6 10 15 잔량
실시예7 10 22 잔량
실시예8 10 25 잔량
실시예9 10 10 잔량
실시예10 10 10 잔량
[실험예: 성능 측정]
상기 실시예의 시편에 대해 i) 열전도도 ii) 전자파 차폐율 및 iii)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값을 100%로 기준하여 얻어진 백분율 값을 표 2에 나타냈다.
(1) 인장강도 측정
인장강도(MPa)는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각 실시예에서 결과값을 실시예 1의 값을 100%로 기준해서 나머지 실시예의 값을 백분율 값으로 표기했다. 이때, 실시예 1보다 백분율이 클수록 해당 강도 특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2) 전자파 차폐 성능 측정
ASTM D4935에 의거하여 전자파 무반사실에서 1GHz 대역에서 전자파 차폐율(dB)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에서 측정된 결과값을 100%로 기준하여 나머지 실시예을 백분율 값으로 표기했다. 이때, 백분율이 클수록 1 GHz에서 전자파차폐 성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열전도도 전자파
차폐율
인장강도
실시예1 100 100 100
실시예2 103 104 106
실시예3 91 92 88
실시예4 82 80 78
실시예5 96 87 85
실시예6 105 107 106
실시예7 111 108 109
실시예8 115 109 110
실시예9 85 102 101
실시예10 108 92 89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3 및 4와 같이, 분산필러에 포함된 흑연의 중량비율이 금속코팅 탄소섬유보다 과량으로 첨가된 경우에는, 열전도도, 전자파 차폐 성능 및 인장강도 모두에서 성능이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전자파 차폐 성능이 크게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와 같이 금속코팅 탄소섬유보다 흑연의 함량을 과량으로 첨가한 경우에도, 모든 물성이 실시예 1에 비해 크게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바, 금속코팅 탄소섬유와 흑연의 중량비율이 1:1 내지 2.5일 때, 전자파 차폐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발열성능, 방열성능 및 인장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평균 섬유장(Fiber length)이 0.01 내지 15 mm인 금속코팅 탄소섬유 및 흑연을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어 있는 분산필러; 를 구비하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필러는 상기 전도성 플라스틱 성형품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필러는 상기 금속코팅 탄소섬유와 상기 흑연을 1: 1 내지 2.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코팅 탄소섬유는 카드뮴(Cd), 니켈(Ni), 인청동(Phosphor Bronze), 주석(Sn), 베릴륨(Be), 티타늄(T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전자파 차폐율이 50 dB 이상이고, 인장강도는 30 Mpa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 중량%의 보조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조첨가제는 산화방지제, 난연제, 난연보조제, 충격보강제, 윤활제, 가소제, 열안정제, 적하방지제, 상용화제, 광안정제, 안료, 염료, 무기필러 및 드립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은 자동차 전장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9. 제8항에 따른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90137850A 2019-10-31 2019-10-31 자동차 전장부품용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KR20210051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50A KR20210051930A (ko) 2019-10-31 2019-10-31 자동차 전장부품용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50A KR20210051930A (ko) 2019-10-31 2019-10-31 자동차 전장부품용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930A true KR20210051930A (ko) 2021-05-10

Family

ID=7591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850A KR20210051930A (ko) 2019-10-31 2019-10-31 자동차 전장부품용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19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760B1 (ko) 전자파 차폐용 열가소성 복합수지 조성물
CN112500644B (zh) 一种导电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897347B (zh) 一种军工电连接器绝缘体及其制备方法
CN107541049B (zh) 一种石墨烯协同连续玻纤增强无卤阻燃耐候ppo/hip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258483B1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는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체
CN107418197B (zh) 一种导热尼龙工程塑料及其制备方法
CN112574535A (zh) 一种减震阻尼无卤阻燃增强pbt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60971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09867859B (zh) 具有导电性的聚丙烯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10051930A (ko) 자동차 전장부품용 전자파 차폐 플라스틱 성형품
KR20220067748A (ko) 자동차 부품용 열전도성 플라스틱
CN112778716A (zh) 一种高热变形温度无卤阻燃增强pet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820440A (zh) 一种高性能pp/epdm热塑性弹性体及其制备方法
CN112341747A (zh) 一种碳纳米管改性的永久抗静电abs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353150B1 (ko) 내열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19143A (zh) 高韧性抗静电阻燃pet/abs复合材料
CN115536971B (zh) 一种耐热老化asa/pbt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467933A (zh) 一种改性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颗粒料的制备方法
CN115418055B (zh) 一种高流动性聚丙烯塑料及其制备方法
CN114644793B (zh) 一种高韧电磁屏蔽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218209B (zh) 一种聚酰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02570B1 (ko)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제조방법
CN112795151B (zh) 一种抗静电tpee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020606B1 (ko) 내후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US20230192954A1 (en)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electromagnetic radiation shielding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