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651A -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display scree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display scree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651A
KR20190078651A KR1020197017441A KR20197017441A KR20190078651A KR 20190078651 A KR20190078651 A KR 20190078651A KR 1020197017441 A KR1020197017441 A KR 1020197017441A KR 20197017441 A KR20197017441 A KR 20197017441A KR 20190078651 A KR20190078651 A KR 20190078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cover plate
bracket
screen assembly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617B1 (ko
Inventor
위구이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013734.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6847091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024309.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6363698U/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7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04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joining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전자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브라켓, 디스플레이 스크린, 커버 플레이트 및 장식 엔클로저를 포함한다. 브라켓은 하단벽 및 측벽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단면 및 하단벽 상에 제공되는 하단면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측벽은 각각 하단벽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에 위치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단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단면과 결합된다. 커버 플레이트는 그 측벽에 홈을 가진다. 장식 엔클로저는 상호 연결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홈에 수용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의 측벽과 결합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DISPLAY SCREE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내용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전자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들이 점점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그리고 보다 많은 기능들을 가짐으로 인해,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필수적인 전자 장치들이 되었다. 현재, 대형-스크린 스마트폰들은 웹 페이지 브라우징(browsing), 독서, 비디오 시청, 게임 플레이 등의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보다 큰 대형-스크린을 가진다. 따라서, 스마트 폰의 스크린 대 몸체 비율을 높이기 위해 베젤(bezel)이 점점 더 좁아져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스마트폰들의 베젤들이 좁아질수록, 스마트폰들에 커버 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어셈블링하는 난이도가 커진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전자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 1 양상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는 브라켓(bracket), 디스플레이 스크린, 커버 플레이트(cover plate) 및 장식 엔클로저(decoration enclosure)를 포함한다. 브라켓은 하단벽 및 상기 하단벽으로부터 굴절되는 측벽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상단면 및 하단면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단면은 브라켓의 하단벽 상에 제공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브라켓의 측벽은 각각 브라켓의 하단벽의 두 개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위치한다. 커버 플레이트의 하단면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단면과 결합되고,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는 그 측벽에 홈을 가진다. 장식 엔클로저는 서로 연결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 1 결합부는 상기 홈에 수용되고, 그리고 제 2 결합부는 브라켓의 측벽과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제 2 결합부는 접착(adhering), 나사결합(screwing), 스냅(snap) 및 용접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브라켓의 측벽과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하단면은 블랙-잉크 엣지(black-ink edge)로 스크린-프린팅되고(screen-print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단면은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정의하고, 그리고 블랙-잉크 엣지는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차폐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는 인-몰드 사출 성형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와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단면은 전체-라미네이션(full lamination) 방식으로 커버 플레이트의 하단면과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단면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의 하단면과 라미네이팅된다(laminated).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단면은 접착 방식으로 브라켓의 하단벽과 결합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커버 플레이트는 터치-스크린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의 외부면은 원호면(arc surface)으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 2 양상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상술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후방(rear) 커버를 포함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후방 커버는 장식 엔클로저와 스냅결합된다(snapped).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는 그 측면에 보스(boss)를 구비하고, 후방 커버는 상기 보스에 대응하는 홈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보스는 후방 커버의 홈으로 스냅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장식 엔클로저와 후방 커버를 연결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 3 양상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방법은:
장식 엔클로저,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브라켓을 제공하는 단계;
장식 엔클로저를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장식 엔클로저와 커버 플레이트를 인-몰드 사출 성형시키는 단계 - 커버 플레이트는 그 측벽에 홈을 가지고, 장식 엔클로저는 서로 연결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 1 결합부는 상기 홈에 수용됨 -;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부면을 커버 플레이트의 하단면과 전체적으로 라미네이팅시키는 단계;
브라켓의 측벽을 장식 엔클로저에 고정적으로 연결시키고, 그리고 브라켓의 하단벽을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단면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의 하단면과 라미네이팅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브라켓의 측벽은 접착, 나사결합, 스냅 및 용접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장식 엔클로저와 결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전자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장식 엔클로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브라켓의 구조들이 합리적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전자 디바이스의 둘레의 베젤들이 매우 좁은 경우에도 전자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커버 플레이트를 어셈블링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로 인해 전자 디바이스의 매우 좁은 베젤에 의해 발생하는 어셈블링의 어려움의 문제가 해결된다. 따라서, 매우 좁은 베젤이 구현되어, 스크린 대 몸체 비율이 높아지므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양상들 및 이점들은 이하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제공될 것이며, 이하의 설명들로부터 부분적으로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실시로부터 학습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이러한 그리고/또는 다른 양상들 및 이점들이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설명들로부터 명백해지고 그리고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서의 선 A-A 및/또는 선 B-B를 따라 취해진, 전자 디바이스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그리고 실시예들의 예시들이 도면에서 도시될 것이며, 여기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들 또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들을 가지는 부재들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설명적이고, 예시적이며, 그리고 본 개시내용을 일반적으로 이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중앙", "종방향", "측방향", "길이", "폭", "두께", "상부", "하부",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세로", "가로" "상단", "하단", "내부", "외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과 같은 용어들은 후속하여 기술되는 바와 같은 방향을 지칭하거나 또는 검토되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대적인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내용이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될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 1" 및 "제 2"와 같은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었으며,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중대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려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에 의해 정의되는 특징은 하나 이상의 이러한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또는 암시하도록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복수"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2 개 또는 2 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달리 명시되거나 제한되지 않는 한, "장착되는", "연결되는", "결합되는", "고정되는" 등의 용어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예를 들어 고정 연결,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 또는 중간 구조를 통한 간접 연결일 수도 있으며; 두 요소들의 내부 통신일 수도 있다. 상기 용어들은 특정 상황에 따라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제 1 특징이 제 2 특징 "상에" 있다는 구조는 제 1 특징이 제 2 특징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추가적인 특징이 제 1 특징과 제 2 특징 사이에서 형성되어 있어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제 1 특징이 제 2 특징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특징 "상에", "위에" 또는 "상단에" 제 1 특징이 있다는 것은 제 1 특징이 제 2 특징 "상에", "위에", 또는 "상단에" 정확히 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제 1 특징이 제 2 특징 "상에", "위에", 또는 "상단에" 정확히 있지 않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단지 제 1 특징이 제 2 특징의 고도 보다 높은 고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에 제 2 특징 "아래에", "밑에", 또는 "하단에" 있다는 것은 제 1 특징이 제 2 특징의 "아래에", "밑에", 또는 "하단에"에 정확히 있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제 1 특징이 제 2 특징의 "아래", "밑에", 또는 "하단"에 직접적으로 있지 않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단지 제 1 특징이 제 2 특징의 고도 보다 낮은 고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개시는 본 개시내용의 상이한 구조들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상이한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개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특정 예시들에서의 컴포넌트들 및 구성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물론, 이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참조 번호들 및/또는 문자들은 단순화 및 명확화를 위해 본 개시내용의 상이한 예시들에서 반복될 수 있고, 이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구성들 간에 관계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구성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특정 프로세스들 및 재료들의 예시들을 제공하나, 다른 프로세스들의 적용가능성 및/또는 다른 재료들의 활용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용이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 (10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및 후방(rear) 커버 (20)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 (100)는 모바일 폰, 테플릿 컴퓨터, 스마트 시계 등일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는 이미지들, 텍스트들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는 브라켓 (12), 디스플레이 스크린 (14), 커버 플레이트(16) 및 장식 엔클로저 (18)를 포함한다.
브라켓 (12)은 하단벽 (122) 및 상기 하단벽 (122)으로부터 굴절되는(bending) 측벽 (124)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하단벽 (122) 및 측벽 (124)은 서로 수직이고, 그리고 4개의 측벽 (124)들이 제공되며, 즉, 측벽 (124)들은 각각 하단벽 (122)의 4개의 측면들로부터 연장된다. 다른 예시들에서, 하단벽 (122)은 측벽 (124)에 수직하지 않을 수 있다. 브라켓 (12)은 철, 알루미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 (12)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비금속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 (12)의 재료는 상술한 재료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실제 적용시 필요에 따라 적합한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은 상단면 (144) 및 하단면 (146)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하단면 (146)은 브라켓 (12)의 하단벽 (122) 상에 제공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하단면 (146)은 접착(adhering) 방식으로 하단벽 (12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양면 접착제 또는 발포(form) 접착제의 층이 요구사항들에 따라 브라켓 (12)의 하단벽 (122)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하단면 (146) 사이에 패딩(padded)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완충(buffering) 공간을 제공하도록 브라켓 (12)의 하단벽 (122)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하단면 (146) 사이에 틈(gap)이 유지되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을 보호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14)과 측벽 (124)은 각각 하단벽 (122)의 두개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위치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은 디스플레이 영역 (141) 및 비-디스플레이 영역 (142)을 포함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영역 (141)은 이미지들, 텍스트들 등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커버 플레이트 (16)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4) 상에 제공된다. 커버 플레이트 (16)의 하단면 (162)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상단면 (144)은 전체-라미네이션(full lamination)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커버 플레이트 (16)의 하단면 (162)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상단면 (144)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에 의해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 (16)는 터치-스크린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즉, 터치 스크린의 터치 제어 회로가 커버 플레이트에 통합되며,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 (16)를 클릭함으로써 터치 제어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 (16)는 유리, 사파이어,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등과 같은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커버 플레이트 (16)는 2개 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들(즉,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상에 제공되는 보호 커버 시트)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터치 패널은 터치 스크린의 터치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의 터치 동작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보호 커버 시트는 터치 패널 상의 직접 터치 동작들로 인해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터치 패널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즉, 커버 플레이트 (16)는 보다 양호한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기능한다. 커버 플레이트 (16)는 그 측벽에 홈(groove) (164)을 가진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홈 (164)은 계단 형상(stepped shape)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홈 (164)은 또한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홈 (164)의 형상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 플레이트 (16)의 하단면 (162)은 그 둘레부에서 블랙-잉크 엣지(edge)의 원(circle)로 스크린-프린팅되어(screen-printed), 비-디스플레이 영역 (142) 및 다른 내부 구조들을 차폐한다.
장식 엔클로저 (18)는 서로 연결되는 제 1 결합부 (182) 및 제 2 결합부 (184)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 (182)는 홈 (164)에 수용된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제 1 결합부 (182)는 홈 (164)에 스냅결합되고(snapped), 그리고 장식 엔클로저 (18)는 인-몰드 사출 성형에 의해 전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 (16)와 결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제 1 결합부 (182)는 홈 (164)의 형상에 매칭되는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 1 결합부 (182)가 홈 (164)에 맞춰지고 연결되는 한, 제 1 결합부 (182)는 홈 (164)의 형상에 매칭되는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결합부 (184)는 측벽 (124)과 결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제 2 결합부 (184)는 그 내측면에 나사형 개구(threaded hole) (1842)를 가지고, 측벽 (124)은 나사형 개구 (1842)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연결-개구(coupling through-hole) (1242)를 가지고, 관통 연결-개구 (1242)는 나사형이고 그리고 제 2 결합부 (184)는 나사 (1844)를 통해 측벽 (124)에 결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나사 (1844)는 관통 연결-개구 (1242)를 통과하고 제 2 결합부 (184)의 나사형 개구 (1842) 내로 나사결합(screwed)되어 제 2 결합부를 측벽 (124)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른 예시들에서, 제 2 결합부 (184)는 접착, 나사결합, 스냅결합 및 용접 중 하나 또는 이들 중 몇 가지의 조합에 의해 측벽 (124)과 결합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실제 요구사항들에 따라 적합한 연결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제 2 결합부 (184)가 측벽 (124)과 결합될 수 있다. 제 2 결합부 (184)와 측벽 (124) 간의 연결 방식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식 엔클로저 (18)의 외부벽 (188)은 원호(arc)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 (18)의 외부벽 (188)은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들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 (18)는 커버 플레이트 (16)의 둘레부를 둘러싼다.
후방 커버 (20)는 장식 엔클로저 (18)와 스냅결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 (18)는 나사형 개구 (1842)에 대향하는 장식 엔클로저 (18)의 측면에 보스(boss) (186)를 구비하고, 후방 커버 (20)는 보스 (186)에 대응하는 홈 (22)을 가지며, 그리고 보스 (186)는 장식 엔클로저 (18)와 후방 커버 (20)를 연결하도록 홈 (22)으로 스냅결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를 어셈블링하는 중에, 먼저 장식 엔클로저 (18)가 인-몰드 사출 성형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 (16)와 전체적으로 결합되며, 그리고 제 1 결합부 (182)가 홈 (164)에 수용된다. 다음으로, 커버 플레이트 (16)의 하단면 (162)이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를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상단면 (144)과 전체적으로 라미네이팅되어, 장식 엔클로저 (18), 커버 플레이트 (16)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상단면 (144)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브라켓 (12)이 장식 엔클로저 (18)와 결합되고, 브라켓 (12)의 측벽 (124)이 장식 엔클로저 (18)의 제 2 결합부 (184)에 고정되며,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하단면 (146)이 브라켓 (12)의 하단벽 (122)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가 형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및 전자 디바이스 (100)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의 브라켓 (12), 디스플레이 스크린 (14), 커버 플레이트 (16), 및 장식 엔클로저 (18)의 구조들이 합리적으로 설계되어, 전자 디바이스 (100)의 둘레의 베젤들이 매우 좁은 경우에도 전자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스크린 (14)과 커버 플레이트 (16)를 어셈블링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로 인해 전자 디바이스 (100)의 매우 좁은 베젤에 의해 발생하는 어셈블링의 어려움의 문제가 해결된다. 따라서, 매우 좁은 베젤이 구현되어, 스크린 대 몸체의 비율이 높아지므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및 전자 디바이스 (100)는 단순한 구조 및 용이한 어셈블링 프로세스를 가지며, 이는 생산 효율의 개선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장식 엔클로저 (18)는 인-몰드 사출 성형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 (16)와 전체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제 1 결합부 (182)는 홈 (164)에 수용된다. 이러한 몰딩 방식은 장식 엔클로저 (18)가 커버 플레이트 (16)와 잘 맞춰지도록 허용하며, 그리고 계단 형상을 가지는 홈 (164)은 장식 엔클로저 (18)가 전자 디바이스 (100)에서의 커버 플레이트 (16)를 좀 더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제 1 결합부 (182)는 계단 형상을 가지는 홈 (164)에 수용되어, 제 1 결합부 (182)가 커버 플레이트 (16)의 블랙-잉크 엣지의 일부를 커버하여, 이로 인해 블랙-잉크 엣지의 너비를 감소시킨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 (10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보이는 블랙-잉크 엣지가 더 좁아지고 보다 예술적이므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조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를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제조 방법은 이하의 블록들에서의 동작들을 포함한다.
블록 S11: 장식 엔클로저 (18), 커버 플레이트 (16), 디스플레이 스크린 (14) 및 브라켓 (12)이 제공된다.
블록 S12: 장식 엔클로저 (18)와 커버 플레이트 (16)가 장식 엔클로저 (18)를 커버 플레이트 (16)에 고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인-몰드 사출 성형되고, 여기서 커버 플레이트 (16)는 그 측벽에 홈 (164)을 가지고, 장식 엔클로저 (18)는 서로 연결되는 제 1 결합부 (182) 및 제 2 결합부 (184)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 1 결합부 (182)는 홈 (164)에 수용된다.
블록 S13: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상단면 (144)이 커버 플레이트 (16)의 하단면 (162)과 완전히 라미네이팅된다.
블록 S14: 브라켓 (12)의 측벽 (124)이 장식 엔클로저 (18)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브라켓 (12)의 하단벽 (122)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14) 아래에 배치된다.
브라켓 (12)은 하단벽 (122) 및 하단벽 (122)으로부터 굴절되는 측벽 (124)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하단벽 (122)과 측벽 (124)은 서로 수직이며, 그리고 4개의 측벽 (124)들이 제공되고, 즉, 측벽 (124)들은 각각 하단벽 (122)의 4개의 측면들로부터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단벽 (122)이 측벽 (124)에 수직하지 않을 수 있다. 브라켓 (12)은 철, 알루미늄 합금, 및 마그네슘 합금과 같은, 금속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 (12)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염화비닐(PVC),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비금속 재료들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 (12)의 재료는 상술한 재료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실제 적용시 필요에 따라 적합한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은 상단면 (144) 및 하단면 (146)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하단면 (146)은 브라켓 (12)의 하단벽 (122) 상에 제공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하단면 (146)은 접착 방식으로 하단벽 (12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양면 접착제 또는 발포 접착제의 층이 요구사항들에 따라 브라켓 (12)의 하단벽 (122)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하단면 (146) 사이에 패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완충 공간을 제공하도록 브라켓 (12)의 하단벽 (122)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단면 (146) 사이에 틈이 유지될 수도 있어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을 보호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14)과 측벽 (124)은 각각 하단벽 (122)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위치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은 디스플레이 영역 (141) 및 비-디스플레이 영역 (142)을 포함하며, 그리고 디스플레이 영역 (141)은 이미지들, 텍스트들 등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커버 플레이트 (16)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4) 상에 제공된다. 커버 플레이트 (16)의 하단면 (162)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상단면 (144)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에 의해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 (16)는 터치-스크린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환언하면, 터치 스크린의 터치 제어 회로가 커버 플레이트 (16)에 통합되고,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 (16)를 클릭함으로써 터치 제어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 (16)는 유리, 사파이어,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등과 같은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커버 플레이트 (16)는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구조들(즉,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상에 제공되는 보호 커버 시트)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의 터치 동작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보호 커버 시트는 터치 패널 상의 직접 터치 동작들로 인해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터치 패널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커버 플레이트 (16)는 그 측벽에 홈 (164)을 가진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홈 (164)은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홈 (164)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홈 (164)의 형상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 플레이트 (16)의 하단면 (162)은 그 둘레부에서 블랙-잉크 엣지의 원으로 스크린-프린팅되어 있어, 비-디스플레이 영역 (142) 및 다른 내부 구조들을 차폐한다.
장식 엔클로저 (18)는 서로 연결되는 제 1 결합부 (182) 및 제 2 결합부 (184)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 (182)는 홈 (164)에 수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 1 결합부 (182)는 홈 (164)에 스냅결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제 1 결합부 (182)는 홈 (164)의 형상에 매칭되는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 1 결합부 (182)가 홈 (164)에 맞춰지고 연결되는 한, 제 1 결합부 (182)는 홈 (164)의 형상에 매칭되는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결합부 (184)는 측벽 (124)과 결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제 2 결합부 (184)는 그 내측면에 나사형 개구 (1842)를 가지고, 측벽 (124)은 나사형 개구 (1842)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연결-개구 (1242)를 가지고, 관통 연결-개구 (1242)는 나사형이고 그리고 제 2 결합부 (184)는 나사 (1844)를 통해 측벽 (124)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나사 (1844)는 관통 연결-개구 (1242)를 통과하고 제 2 결합부 (184)의 나사형 개구 (1842) 내로 나사결합(screwed)되어 제 2 결합부를 측벽 (124)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른 예시들에서, 제 2 결합부 (184)는 접착, 나사결합, 스냅결합 및 용접 중 하나 또는 이들 중 몇 가지의 조합에 의해 측벽 (124)과 결합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실제 요구사항들에 따라 적합한 연결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제 2 결합부 (184)가 측벽 (124)과 결합될 수 있다. 제 2 결합부 (184)와 측벽 (124) 간의 연결 방식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식 엔클로저 (18)의 외부벽 (188)은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 (18)의 외부벽 (188)은 원호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들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장식 엔클로저 (18)는 커버 플레이트 (16)의 둘레부를 둘러싼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조 방법에 제조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의 브라켓 (12), 디스플레이 스크린 (14), 커버 플레이트 (16), 및 장식 엔클로저 (18)의 구조들이 합리적으로 설계되어, 전자 디바이스 (100)의 둘레의 베젤들이 매우 좁은 경우에도 전자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스크린 (14)과 커버 플레이트 (16)를 어셈블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로 인해 전자 디바이스 (100)의 매우 좁은 베젤에 의해 발생하는 어셈블링의 어려움의 문제가 해결된다. 따라서, 매우 좁은 베젤이 구현되어, 스크린 대 몸체의 비율이 높아지므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및 전자 디바이스 (100)는 단순한 구조 및 용이한 어셈블링 프로세스를 가지며, 이는 생산 효율의 개선 및 제조 비용의 절감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장식 엔클로저 (18)는 인-몰드 사출 성형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 (16)와 전체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제 1 결합부 (182)는 홈 (164)에 수용된다. 이러한 몰딩 방식은 장식 엔클로저 (18)가 커버 플레이트 (16)와 잘 맞춰지도록 허용하며, 그리고 계단 형상을 가지는 홈 (164)은 장식 엔클로저 (18)가 전자 디바이스 (100)에서의 커버 플레이트 (16)를 좀 더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제 1 결합부 (182)는 계단 형상을 가지는 홈 (164)에 수용되어, 제 1 결합부 (182)가 커버 플레이트 (16)의 블랙-잉크 엣지의 일부를 커버하여, 이로 인해 블랙-잉크 엣지의 너비를 감소시킨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 (10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보이는 블랙-잉크 엣지가 더 좁아지고 보다 예술적이므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 "몇몇의 실시예들", "예시적인 실시예", "일례", "특정 예시" 또는 "몇몇의 예시들"에 대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언급은, 실시예 또는 예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상기 문구들에 대한 출현은, 반드시 본 개시내용의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와 같은 용어들은 설명의 목적으로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 또는 중대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로 정의된 특징은 이러한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설명에서, "복수" 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2 개 또는 2 개 이상을 의미한다.
비록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상기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들, 대안들 및 수정들이 상기 실시예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청구항들 및 이와 동등한 것에 의해 제한된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로서,
    하단벽 (122) 및 상기 하단벽 (122)으로부터 굴절되는(bending) 측벽 (124)을 가지는 브라켓(bracket) (12);
    상단면 (144) 및 하단면 (146)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14) -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상기 하단면 (144)은 상기 브라켓 (12)의 상기 하단벽 (122) 상에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브라켓 (12)의 상기 측벽 (124)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은 각각 상기 브라켓 (12)의 상기 하단벽 (122)의 2개의 측면들에 배치됨 -;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상단면 (144)과 결합되는 하단면 (162)을 가지는 커버 플레이트 (16) - 상기 커버 플레이트 (16)는 그 측벽에 홈(groove) (164)을 가짐 -; 및
    서로 연결되는 제 1 결합부 (182) 및 제 2 결합부 (184)를 포함하는 장식 엔클로저(decoration enclosure) (18) - 상기 제 1 결합부 (182)는 상기 홈 (164)에 수용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부 (184)는 상기 브라켓 (12)의 상기 측벽 (124)에 결합됨 -;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 (184)는 접착(adhering), 나사결합(screwing), 스냅결합(snapping), 및 용접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상기 브라켓 (12)의 상기 측벽 (124)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16)의 상기 하단면 (162)은 블랙-잉크 엣지(black-ink edge)로 스크린-프린팅되고(screen-printed),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상기 상단면 (144)은 비-디스플레이 영역 (142)을 정의하고, 그리고 상기 블랙-잉크 엣지는 상기 비-디스플레이 영역 (142)을 차폐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엔클로저 (18)는 인-몰드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 (16)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상단면 (144)은 전체 라미네이션(full lamination) 방식으로 상기 커버 플레이트 (16)의 상기 하단면 (162)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상기 상단면 (144)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를 통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 (16)의 하단면 (162)과 라미네이팅되는(laminated),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14)의 상기 하단면 (146)은 접착 방식으로 상기 브라켓 (12)의 상기 하단벽 (122)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 (16)는 터치-스크린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엔클로저 (18)의 외부면은 원호면(arc surface)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10. 전자 디바이스 (100)로서,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10)에 연결되는 후방(rear) 커버 (20)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0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커버 (20)는 상기 장식 엔클로저 (18)와 스냅결합되는,
    전자 디바이스 (10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 엔클로저 (18)는 그 측면에 보스(boss) (186)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커버 (20)는 상기 보스 (186)에 대응하는 홈 (22)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보스 (186)는 상기 후방 커버 (20)의 상기 홈 (22)으로 스냅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장식 엔클로저 (18)와 상기 후방 커버 (20)를 연결시키는,
    전자 디바이스 (100).
  13.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장식 엔클로저,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브라켓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장식 엔클로저를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장식 엔클로저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인-몰드 사출 성형하는 단계 -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그 측벽에 홈을 가지고, 상기 장식 엔클로저는 서로 연결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홈에 수용됨 -;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단면을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단면과 전체적으로 라미네이팅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브라켓의 측벽을 상기 장식 엔클로저에 고정적으로 연결시키고,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하단벽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아래에 배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상기 상단면은 광학용 접착 투명제(OCA)를 통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하단면과 라미네이팅되는,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측벽은 접착, 나사결합, 스냅결합, 및 용접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상기 장식 엔클로저와 결합되는,
    제조 방법.
KR1020197017441A 2017-01-09 2017-08-25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display scree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2182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13734.7 2017-01-09
CN201710013734.7A CN106847091B (zh) 2017-01-09 2017-01-09 显示屏组件及其制造方法与电子装置
CN201720024309.3 2017-01-09
CN201720024309.3U CN206363698U (zh) 2017-01-09 2017-01-09 显示屏组件及电子装置
PCT/CN2017/098973 WO2018126708A1 (en) 2017-01-09 2017-08-25 Display scree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651A true KR20190078651A (ko) 2019-07-04
KR102182617B1 KR102182617B1 (ko) 2020-11-25

Family

ID=5974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441A KR102182617B1 (ko) 2017-01-09 2017-08-25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display scree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534462B2 (ko)
EP (2) EP3346675B1 (ko)
JP (1) JP6812557B2 (ko)
KR (1) KR102182617B1 (ko)
ES (1) ES2729806T3 (ko)
WO (1) WO20181267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793A1 (ko) * 2021-01-08 2022-07-14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 패널을 덮는 글래스기판 상에 개구 형성을 위해 인쇄되는 잉크층을 가지는 전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8828S1 (en) * 2015-10-02 2018-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EP3346675B1 (en) * 2017-01-09 2019-03-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2392246B1 (ko) * 2017-11-13 2022-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JP7132741B2 (ja) * 2018-04-25 2022-09-07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装置の筐体
CN108873675A (zh) * 2018-08-03 2018-11-23 歌尔科技有限公司 防水智能手表
KR102504397B1 (ko) * 2018-08-20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장치 제조방법
KR102652773B1 (ko) * 2018-12-13 2024-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용 이형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20205864A1 (de) 2020-05-11 2021-11-11 BSH Hausgeräte GmbH 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und Haushaltsgerät
DE102022209679A1 (de) 2022-09-15 2024-03-2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Anzeigeein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734A (ko) * 2010-10-28 2012-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239781A1 (en) * 2013-02-25 2014-08-2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60095235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6169393A1 (zh) * 2015-04-20 2016-10-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0571B1 (en) * 1998-10-21 2002-06-04 Furukawa Electric Co., Ltd. Electronic equipment housing
JP2012078385A (ja) * 2010-09-30 2012-04-19 Casio Comput Co Ltd 保護板一体型電子部材の製造方法及び保護板一体型電子部材
WO2013118164A1 (ja) 2012-02-06 2013-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CN202872874U (zh) 2012-11-06 2013-04-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摸屏装饰圈结构
US9716307B2 (en) * 2012-11-08 2017-07-25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KR102025706B1 (ko) * 2013-01-30 2019-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9658479B2 (en) * 2013-01-31 2017-05-2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backlight unit and display assembly
CN103116229B (zh) * 2013-02-04 2015-08-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保护壳和液晶显示终端
CN104010458B (zh) 2013-02-25 2017-09-08 谷歌技术控股有限责任公司 具有显示器的电子装置及制造方法
FR3021134B1 (fr) * 2014-05-14 2023-01-06 Lg Electronics Inc Terminal mobile
CN104503540A (zh) 2014-12-19 2015-04-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4406408U (zh) 2014-12-27 2015-06-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组件及便携式电子装置
EP3537694B1 (en) * 2015-02-06 2023-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with bent area
CN104866017A (zh) * 2015-04-20 2015-08-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前盖及终端
KR102149780B1 (ko) * 2015-07-03 2020-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158951B (zh) * 2015-09-22 2019-01-25 北京京东方多媒体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206363698U (zh) * 2017-01-09 2017-07-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电子装置
EP3346355B1 (en) * 2017-01-09 2020-06-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EP3346675B1 (en) * 2017-01-09 2019-03-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N106847091B (zh) * 2017-01-09 2019-05-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其制造方法与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4734A (ko) * 2010-10-28 2012-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239781A1 (en) * 2013-02-25 2014-08-2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60095235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6169393A1 (zh) * 2015-04-20 2016-10-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及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793A1 (ko) * 2021-01-08 2022-07-14 삼성전자(주) 디스플레이 패널을 덮는 글래스기판 상에 개구 형성을 위해 인쇄되는 잉크층을 가지는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2617B1 (ko) 2020-11-25
US10521040B2 (en) 2019-12-31
WO2018126708A1 (en) 2018-07-12
EP3346675B1 (en) 2019-03-27
EP3487157B1 (en) 2020-01-29
US10534462B2 (en) 2020-01-14
EP3487157A1 (en) 2019-05-22
US20190294286A1 (en) 2019-09-26
JP2020506412A (ja) 2020-02-27
JP6812557B2 (ja) 2021-01-13
ES2729806T3 (es) 2019-11-06
EP3346675A1 (en) 2018-07-11
US20180196559A1 (en)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617B1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display screen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2182613B1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어셈블링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isplay screen assembly, method for assembling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102220753B1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이의 어셈블링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2182614B1 (ko)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스크린 어셈블리를 어셈블링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display screen assembly, method for assembling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20180199457A1 (en)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897837B2 (en) Mobile terminal
EP3346355B1 (en) Display screen assembly,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1577336B1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JP6862554B2 (ja) 表示装置アセンブリ、電子機器、およびそれらの組み立て方法
US10412843B2 (en) Display panel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380254B2 (en) Display and electronic unit
US10405439B2 (en) Display panel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5045343B (zh) 一种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