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560A - 판유리 제조 방법 및 판유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판유리 제조 방법 및 판유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560A
KR20190078560A KR1020197009113A KR20197009113A KR20190078560A KR 20190078560 A KR20190078560 A KR 20190078560A KR 1020197009113 A KR1020197009113 A KR 1020197009113A KR 20197009113 A KR20197009113 A KR 20197009113A KR 20190078560 A KR20190078560 A KR 20190078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lass
plate glass
rollers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952B1 (ko
Inventor
슈사쿠 타마무라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8Means for providing the drawing force, e.g. traction or draw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판유리 제조 방법은, 판유리(GR)의 연속적인 제조의 개시시에 있어서, 성형체(4)로부터 용융 유리(GM)의 일부를 유리 덩어리(GR)로서 수하시키는 공정과, 유리 덩어리(GL)를 제 1 롤러(10)에 의해 협지시키기 위해, 성형체(4)의 폭방향(X)에 있어서의 제 1 롤러(10)의 이간 거리(D1)를 성형체(4)의 폭방향(X)에 있어서의 제 2 롤러(11)의 이간 거리(D2)보다 작게 설정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판유리 제조 방법 및 판유리 제조 장치
본 발명은, 용융 유리로부터 판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유기 EL 디스플레이(OLED)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용의 유리 기판으로 대표되듯이, 각종 분야에 이용되는 판유리에는 표면결함이나 웨이브에 대해서 엄격한 제품품위가 요구되는 것이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판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다운드로우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다운드로우법으로서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이나 슬롯 다운드로우법이 알려져 있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은 단면이 대략 쐐기형인 성형체의 상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홈에 용융 유리를 흘려 넣고, 이 오버플로우 홈으로부터 양측으로 넘쳐 나온 용융 유리를 성형체의 양측 측벽부를 따라 유하시키면서, 성형체의 하단부에서 융합 일체화하여 1매의 판유리를 연속 성형한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슬롯 다운드로우법은 용융 유리가 공급되는 성형체의 저벽에 슬롯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를 통해 용융 유리를 유하시킴으로써 1매의 판유리를 연속 성형한다고 하는 것이다.
특히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은 성형된 판유리의 표리 양면이 성형 과정에 있어서 성형체의 어떤 부위와도 접촉하지 않고 성형되므로, 매우 평면도가 좋고 상처 등의 결함이 없는 단조면으로 된다.
예를 들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을 사용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성형체를 내부에 갖는 성형로와, 성형로의 하방에 설치되는 서랭로와, 서랭로의 하방에 설치되는 냉각부 및 절단부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 판유리 제조 장치는 성형체의 꼭대기부로부터 용융 유리를 넘치게 함과 아울러, 그 하단부에서 융합시킴으로써 판유리(유리 리본)를 성형하고, 이 판유리를 서랭로에 통과시켜서 그 내부 변형을 제거하고, 냉각부에서 실온까지 냉각한 후에, 절단부에서 소정 치수로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랭로 내에는 성형체에 의해 성형된 판유리를 견인하는 상하 복수단의 롤러가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2-197185호 공보
성형로에 의한 성형 공정에 있어서의 준비 단계에 있어서, 성형체로부터 넘쳐 나온 용융 유리는 성형체의 하단부에 있어서 괴상(이하 「유리 덩어리」라고 한다)으로 구성된다. 성형 공정을 개시함에 있어서, 이 유리 덩어리를 잡아 늘려서 서랭로 내의 롤러에 협지시키는 준비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성형 공정의 준비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판유리 제조 방법 및 판유리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성형체로부터 용융 유리를 유하시켜서 판유리로서 성형함과 아울러, 상기 성형체의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성형체의 폭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이루어지는 1세트의 제 1 롤러와, 상기 제 1 롤러의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성형체의 폭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이루어지는 1세트의 제 2 롤러를 포함하는 상하 복수단의 롤러에 의해 상기 판유리를 견인함으로써 상기 판유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의 연속적인 제조의 개시시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로부터 상기 용융 유리의 일부를 유리 덩어리로서 수하시키는 공정과, 상기 유리 덩어리를 상기 제 1 롤러에 의해 협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롤러의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거리를 상기 제 2 롤러의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거리보다 작게 설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유리의 제조 개시시, 즉 성형 공정의 준비 단계에 있어서 성형체의 하단부에 생기는 유리 덩어리는 성형체의 폭방향 중앙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방법에서는 성형체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롤러의 이간 거리를 제 2 롤러의 이간 거리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이 유리 덩어리를 제 1 롤러에 의해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유리 덩어리는 제 1 롤러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냉각되고, 그 폭이 넓어짐과 아울러 판상으로 변형된다. 이 판상으로 변형된 부분을 하방의 제 2 롤러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그 폭을 더 확장시켜서 소망의 폭을 갖는 판유리를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의 위치 관계에 의해, 성형 공정의 준비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판유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제 1 롤러를 지지하는 축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축부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롤러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유리 덩어리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제 1 롤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롤러는 적합한 위치에서 유리 덩어리를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상기 판유리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유리 덩어리를 협지한 후에, 상기 제 2 롤러와 같은 위치가 되도록 상기 성형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단부 부근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롤러는 유리 덩어리를 제 2 롤러측으로 안내할 수 있고, 이 유리 덩어리를 조기에 제 2 롤러에 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롤러가 상기 판유리의 상기 단부를 협지한 후에,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판유리에 접촉하지 않도록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롤러에 의해, 소정 폭의 판유리가 연속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롤러를 판유리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판유리의 온도를 급격하게 변화시키지 않고, 이 판유리를 제 2 롤러에 의해 안정되게 견인할 수 있다.
상기 판유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유리 덩어리를 협지하는 압력은 상기 제 2 롤러가 상기 판유리를 협지하는 압력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롤러에 의해 유리 덩어리를 확실하게 협지하고, 제 2 롤러에 이 유리 덩어리의 일부가 향하도록 상기 유리 덩어리의 폭을 적합하게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판유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롤러는 상기 제 2 롤러를 지지하는 축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롤러의 상기 축부의 길이는 상기 제 2 롤러의 상기 축부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 1 롤러의 축부를 길게 구성함으로써, 제 1 롤러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범위를 가급적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롤러는 판유리의 치수나 온도조건 등에 따라 변화되는 유리 덩어리의 크기나 위치에 대응해서 상기 유리 덩어리를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상기 판유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의 폭은 상기 제 2 롤러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롤러는 유리 덩어리를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롤러는 유리 덩어리를 냉각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협지한 유리 덩어리를 효과적으로 제 2 롤러의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용융 유리의 일부를 유리 덩어리로서 수하함과 아울러, 상기 용융 유리를 판유리로서 성형하는 성형체와, 상기 성형체의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판유리를 견인하는 상하 복수단의 롤러를 구비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성형체의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성형체의 폭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이루어지는 1세트의 제 1 롤러와, 상기 제 1 롤러의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성형체의 폭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이루어지는 1세트의 제 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 덩어리를 상기 제 1 롤러에 의해 협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롤러의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거리를 상기 제 2 롤러의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거리보다 작게 설정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형 공정의 준비 단계에 있어서, 성형체의 하단부에 생기는 유리 덩어리는 성형체의 폭방향 중앙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판유리 제조 장치에서는, 성형체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롤러의 이간 거리를 제 2 롤러의 이간 거리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이 유리 덩어리를 제 1 롤러에 의해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제 1 롤러가 협지한 유리 덩어리는 상기 제 1 롤러에 냉각됨으로써 그 폭이 점차 늘려져서 제 2 롤러에 협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판유리는 소정의 폭을 유지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롤러 및 제 2 롤러의 위치 관계에 의해, 판유리 제조 장치는 성형 공정의 준비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 공정의 준비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판유리 제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판유리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롤러 및 축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판유리 제조 방법의 일공정을 나타내는 판유리 제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판유리 제조 방법의 일공정을 나타내는 판유리 제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판유리 제조 방법의 일공정을 나타내는 판유리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판유리 제조 방법의 일공정을 나타내는 판유리 제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판유리 제조 방법의 일공정을 나타내는 판유리 제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판유리 제조 방법의 일공정을 나타내는 판유리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제조 방법 및 판유리 제조 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판유리 제조 장치(1)는 성형로(2)와, 성형로(2)의 하방에 위치하는 서랭로(3)를 주로 구비한다. 판유리 제조 장치(1)는 상류측에 설치되는 용해로로부터 공급되는 용융 유리(GM)를 성형로(2)에 의해 판유리(GR)로 성형한 후, 이 판유리(GR)의 내부변형을 서랭로(3)에서 제거한다.
성형로(2)는 노벽의 내측에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을 실행하는 성형체(4)와, 성형체(4)로부터 넘쳐 나온 용융 유리(GM)를 판유리(GR)로서 뽑아 내는 엣지 롤러(5)를 구비한다.
성형체(4)는 장척상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꼭대기부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버플로우 홈(6)을 갖는다. 또한 성형체(4)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벽부를 구성하는 수직면부(7) 및 경사면부(8)를 구비한다. 수직면부(7)의 하단부에는 경사면부(8)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한쌍의 경사면부(8)는 하방을 향해서 점차 접근함으로써 교차하여 성형체(4)의 하단부(9)를 구성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엣지 롤러(5)는 성형체(4)의 바로 하방에 있어서 판유리(GR)에 있어서의 폭방향(X)의 각 단부(GRa,GRb)를 협지하도록 정면으로 볼 때에 좌우 1세트로서 구성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듯이, 엣지 롤러(5)는 판유리(GR)에 있어서의 폭방향(X)의 단부(GRa,GRb)를 협지하도록 판유리(GR)의 판 두께방향(Y)으로 병설되는 롤러쌍으로서 구성된다. 또, 이하에서는, 성형체(4)의 길이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하고, 성형체(4)의 폭방향과 판유리(GR)의 폭방향에 공통의 부호 X를 사용한다(도 1, 도 4, 도 5, 도 7 및 도 8 참조).
이 성형로(2)에서는, 성형체(4)의 오버플로우 홈(6)에 용융 유리(GM)를 흘려 넣고, 이 오버플로우 홈(6)으로부터 양측으로 넘쳐 나온 용융 유리(GM)를 수직면부(7) 및 경사면부(8)를 따라 유하시키면서, 하단부(9)에서 융합 일체화하여 1매의 판유리(GR)를 연속 성형한다. 또, 성형체(4)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슬롯 다운드로우법을 실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서랭로(3)는 상하방향으로 복수단(도면예에서는4단)으로서 구성되는 롤러(어닐러 롤러)(10∼13)를 갖는다. 이하, 이들 복수단의 롤러(10∼13)를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제 1 롤러(10) 내지 제 4 롤러(13)라고 한다. 도 2에 나타내듯이, 각 롤러(10∼13)는 판유리(GR)를 판 두께방향(Y)에 있어서 협지하는 롤러쌍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각 롤러(10∼13)는 판유리(GR)에 있어서의 폭방향(X)의 각 단부(GRa,GRb)를 협지하도록, 정면으로 볼 때(도 1 참조) 좌우 1세트가 되도록 구성된다.
각 롤러(10∼13)는 상기 롤러(10∼13)를 지지하는 축부(10a∼13a)를 개별로 구비한다. 각 롤러(10∼13)는 각 축부(10a∼13a)의 일단부에 지지되는 편측 지지 롤러이다. 제 1 롤러(10)의 축부(10a)의 길이(L1)는 다른 롤러(11∼13)의 축부(11a∼13a)의 길이(L2∼L4)보다 길게 설정된다. 제 2 롤러(11), 제 3 롤러(12) 및 제 4 롤러(13)의 각 축부(11a∼13a)는 그 길이(L2∼L4)가 같아지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각 롤러(10∼13)의 각 축부(10a∼13a)에는 냉각 장치(14)가 설치된다. 냉각 장치(14)는 중공상으로 구성되는 축부(10a∼13a)의 내부에 냉각 배관(15)을 배치해서 이루어진다. 냉각 배관(15)은 공기 등의 냉각 매체를 토출하는 구부(口部)(15a)를 갖는다. 구부(15a)로부터 토출되는 냉각 매체는 축부(10a∼13a)를 유통함으로써, 상기 축부(10a∼13a) 및 롤러(10∼13)를 냉각한다.
판유리(GR)의 판 두께방향(Y)에 있어서 쌍이 되는 각 롤러(10∼13)는 그 축간 거리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각 롤러(10∼13)는 그 축방향, 즉 성형체(4) 또는 판유리(GR)에 있어서의 폭방향(X)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성형체(4)의 단부(4a,4b)로부터 중앙부(4c)를 향하는 방향을 「축방향 안쪽」이라고 하고, 중앙부(4c)으로부터 단부(4a,4b)를 향하는 방향을 「축방향 바깥쪽」이라고 한다.
제 1 롤러(10)의 폭(W1)은 다른 롤러(11∼13)의 폭(W2∼W4)보다 커지도록 구성된다. 제 2 롤러(11)의 폭(W2)과, 제 3 롤러(12)의 폭(W3)과, 제 4 롤러(13)의 폭(W4)은 같아지도록 구성된다.
제 1 롤러(10)는 주로 판유리(GR)의 성형 준비 공정에 있어서, 성형체(4)로부터 넘쳐 나온 용융 유리(GM)에 의해 형성되는 유리 덩어리(GL)를 협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롤러(11) 내지 제 4 롤러(13)는 제 1 롤러(10)에 의해 협지되는 유리 덩어리(GL)가 변형되어 판상으로 구성된 경우에, 그 일부를 협지함과 아울러, 소정 폭으로 된 판유리(GR)에 있어서의 폭방향(X)의 단부(GRa,GRb)를 협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 구성의 판유리 제조 장치(1)에 의해 판유리(GR)를 성형하는 방법(판유리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판유리(GR)의 제조 개시시에 있어서, 성형체(4)로부터 유하하는 용융 유리(GM)를 각 롤러(5,10∼13)에 협지시키는 작업(성형 공정의 준비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즉, 용해로로부터 공급되는 용융 유리(GM)는 성형체(4)의 오버플로우 홈(6)에 주입됨과 아울러, 이 오버플로우 홈(6)으로부터 넘쳐 나와서 수직면부(7) 및 경사면부(8)를 따라 하단부(9)에서 합류한다. 이 때, 좌우 1세트의 엣지 롤러(5)는 합류해서 낙하(수하)하려고 하는 용융 유리(GM)의 일부를 협지한다(도 4 참조).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판유리(GR)의 제조 개시시란, 판유리(GR)의 성형 공정의 준비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를 말하고, 예를 들면, 판유리 제조 장치(1)의 조업이 일단 중단된 후, 판유리(GR)의 성형을 재개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4에 나타내듯이, 용융 유리(GM)는 성형체(4)에 있어서의 폭방향(X)의 중앙부(4c)에 있어서 유리 덩어리(GL)를 형성한다. 이 유리 덩어리(GL)는 성형체(4)로부터 주기적으로 복수회에 걸쳐 낙하(수하)한다. 제 1 롤러(10)는 성형체(4)에 있어서의 폭방향(X)의 단부(4a,4b) 부근의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 이 대기위치에서는 제 1 롤러(10)는 폭방향(X)에 있어서 다른 롤러(11∼13)와 같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제 1 롤러(10)의 이간 거리(D1)는 다른 롤러(11∼13)의 이간 거리(D2∼D4)와 같다.
유리 덩어리(GL)가 형성되면, 도 5에 나타내듯이, 제 1 롤러(10)는 대기위치로부터 성형체(4)에 있어서의 폭방향(X)의 중앙부(4c) 부근의 위치(초기 협지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고, 이 유리 덩어리(GL)를 협지한다(제 1 롤러(10)에 의한 유리 덩어리(GL)의 협지 공정). 이 경우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듯이, 롤러쌍인 제 1 롤러(10)는 서로 접근함으로써(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유리 덩어리(GL)를 낙하(수하) 도중에 협지한다.
여기에서, 유리 덩어리(GL)의 폭은 나중에 성형되는 판유리(GR)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제 1 롤러(10)는 성형체(4)의 중앙부(4c) 부근의 위치, 즉, 나중에 성형되는 판유리(GR)에 있어서의 폭방향(X)의 중앙부(GRc) 부근의 위치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정면으로 볼 때에 좌우 1세트로 되는 제 1 롤러(10)에 있어서의 축방향(폭방향(X))에 있어서의 이간 거리(D1)는 다른 롤러(11∼13)의 좌우 세트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이간 거리(D2∼D4)보다 작아진다(도 5 참조).
유리 덩어리(GL)는 성형되는 판유리(GR)의 치수나 온도조건에 따라 그 크기가 변화된다. 이 때문에, 제 1 롤러(10)는 축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그 이간 거리(D1)가 조정된다. 판유리(GR)의 판 두께방향(Y)에 있어서 쌍이 되는 제 1 롤러(10)는 유리 덩어리(GL)를 협지하는 압력이 다른 롤러(11∼13)가 판유리(GR)를 협지하는 압력보다 커지도록 설정된다.
제 1 롤러(10)는 유리 덩어리(GL)를 협지함으로써 냉각하고, 상기 유리 덩어리(GL)의 폭을 확장시킨다. 이러한 유리 덩어리(GL)의 확장에 대응하도록 제 1 롤러(10)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성형체(4)의 중앙부(4c) 부근의 위치로부터 축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따라, 유리 덩어리(GL)의 폭은 더욱 확장된다. 이것에 의해, 유리 덩어리(GL)는 제 2 롤러(11)에 가까워진다.
좌우 세트인 제 2 롤러(11)는 유리 덩어리(GL)의 일부를 협지하기 위해 축방향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각 제 2 롤러(11)는 서로 접근하게 되고, 그 이간 거리(D2)가 작아진다. 이 때, 제 2 롤러(11)의 이간 거리(D2)는 제 1 롤러(10)의 이간 거리(D1)와 대략 같거나, 또는 약간 커지도록 설정된다. 그 후, 제 2 롤러(11)는 제 1 롤러(10)에 의해 확장된 유리 덩어리(GL)의 일부를 협지한다. 제 2 롤러(11)는 유리 덩어리(GL)의 일부를 협지하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이간 거리(D2)가 다시 커진다). 제 1 롤러(10) 및 제 2 롤러(11)의 이러한 동작에 의해, 유리 덩어리(GL)는 그 폭이 넓어져서 서서히 판상으로 변형된다. 이것에 따라, 이 유리 덩어리(GL)에 이어지는 상류측(상방측)의 용융 유리(GM)도 그 폭을 확장하면서 판형상으로 성형된다.
제 2 롤러(11)에 의해 더욱 폭이 확장된 유리 덩어리(GL)는 제 3 롤러(12)에 도달한다. 이것에 의해, 제 3 롤러(12)는 유리 덩어리(GL)의 일부를 협지하여 하방으로 안내한다. 그 후에 제 4 롤러(13)는 유리 덩어리(GL)의 일부를 협지하여 하방으로 안내한다(도 8 참조). 이렇게, 제 2 롤러(11) 내지 제 4 롤러(13)에 협지됨으로써, 유리 덩어리(GL)에 이어지는 판상의 용융 유리(GM)는 더욱 폭을 확장하고, 그 결과, 소기의 폭을 갖는 판유리(GR)가 제 2 롤러(11) 내지 제 4 롤러(13)에 견인되게 된다(도 1 참조).
제 2 롤러(11) 내지 제 4 롤러(13)는 용융 유리(GM)가 소정 폭의 판유리(GR)로 성형된 경우에, 상기 판유리(GR)에 있어서의 폭방향(X)의 단부(GRa,GRb)를 협지하도록 폭방향(X)(축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이간 거리(D2∼D4)로 이간된다(도 1 참조). 이 경우, 각 이간 거리(D2∼D4)는 같아지도록 설정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판유리(GR)의 상태에 따라 다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 1 롤러(10)는 제 2 롤러(11) 내지 제 4 롤러(13)에 의해 판유리(GR)가 협지되면, 판유리(GR)의 협지를 해제한다. 즉, 도 9에 나타내듯이, 쌍의 제 1 롤러(10)는 그 축간 거리가 커져서 판유리(GR)로부터 떨어진다. 이것에 의해, 제 1 롤러(10)가 판유리(GR)에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판유리(GR)는 제 1 롤러(10)에 의해 냉각되는 일은 없다. 그 후, 이 제 1 롤러(10)를 축방향 바깥쪽으로 이동시켜서 판유리(GR)로부터 더욱 이간시켜도 좋다. 이 경우, 좌우 1세트의 제 1 롤러(10)의 이간 거리(D1)는 다른 롤러(11∼13)의 이간 거리(D2∼D4)보다 커져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판유리 제조 장치(1) 및 판유리 제조 방법에 의하면, 판유리(GR)의 제조 개시시(성형 공정의 준비 작업시)에 있어서, 제 1 롤러(10)를 성형체(4)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4)에 있어서의 폭방향(X)의 중앙부(4c) 부근의 위치(판유리(GR)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중앙부(GRc) 부근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 1 롤러(10)의 이간 거리(D1)를 제 2 롤러(11)의 이간 거리(D2)보다 작게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성형 공정의 준비 단계에서 발생하는 유리 덩어리(GL)를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유리 덩어리(GL)는 제 1 롤러(10)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냉각되고, 그 폭이 넓어짐과 아울러 판상으로 변형된다. 이 판상으로 변형된 부분을 하방의 제 2 롤러(11)에 의해 협지함으로써, 용융 유리(GM) 그 폭을 더 확장시켜서 소망의 폭을 갖는 판유리(GR)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판유리 제조 장치(1) 및 판유리 제조 방법은 성형 공정의 준비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롤러(10)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유리 덩어리(GL)의 발생 위치나 크기에 따라, 제 1 롤러(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롤러(10)는 적합한 위치에서 이 유리 덩어리(GL)를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롤러(10)는 유리 덩어리(GL)를 협지한 후에, 제 2 롤러(11)와 같은 위치가 되도록 축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제 1 롤러(10)가 성형체(4)에 있어서의 폭방향(X)의 단부(4a,4b) 부근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유리 덩어리(GL)를 제 2 롤러(11)측으로 안내하고, 이 유리 덩어리(GL)를 조기에 제 2 롤러(11)에 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롤러(11)가 판유리(GR)의 단부(GRa,GRb)를 협지한 후에, 제 1 롤러(10)가 판유리(GR)에 접촉하지 않도록 떨어짐으로써, 제 1 롤러(10)의 냉각 효과를 판유리(GR)에 미치지 않아 제 2 롤러(11) 내지 제 4 롤러(13)에 의해 균일한 두께의 판유리(GR)를 적합하게 견인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롤러(10)가 유리 덩어리(GL)를 협지하는 압력은 제 2 롤러(11)가 판유리(GR)를 협지하는 압력보다 크게 설정되는 점에서, 판유리(GR)보다 두께가 큰 유리 덩어리(GL)을 제 1 롤러(10)에 의해 확실하게 협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롤러(10)에 의해, 유리 덩어리(GL)의 일부가 제 2 롤러(11)를 향하도록 유리 덩어리(GL)의 폭을 적합하게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롤러(10)의 축부(10a)의 길이(L1)를 제 2 롤러(11) 내지 제 4 롤러(13)의 각 축부(11a∼13a)의 길이(L2∼L4)보다 길게 설정함으로써, 제 1 롤러(10)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이동범위를 가급적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롤러(11) 내지 제 4 롤러(13)의 축부(11a∼13a)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제 2 롤러(11) 내지 제 4 롤러(13)의 코어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판유리(GR)를 적합하게 견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롤러(10)의 폭(W1)을 다른 롤러(11∼13)의 폭(W2∼W4)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제 1 롤러(10)에 유리 덩어리(GL)를 확실하게 협지시키고, 또한, 유리 덩어리를 냉각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작용 효과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리 덩어리(GL)를 협지한 후에 제 1 롤러(10)를 축방향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롤러(10)는 유리 덩어리(GL)를 협지한 상태로 그 위치에 고정된 채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롤러(10) 및 제 2 롤러(1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이들에 유리 덩어리(GL)를 협지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3 롤러(12) 및 제 4 롤러(13)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이들에 유리 덩어리(GL)를 협지시켜도 좋다.
1: 판유리 제조 장치
4: 성형체
10: 제 1 롤러
10a: 제 1 롤러의 축부
11: 제 2 롤러
11a: 제 2 롤러의 축부
GL: 유리 덩어리
GM: 용융 유리
GR: 판유리
L1: 제 1 롤러의 축부의 길이
L2: 제 2 롤러의 축부의 길이
W1: 제 1 롤러의 폭
W2: 제 2 롤러의 폭

Claims (8)

  1. 성형체로부터 용융 유리를 유하시켜서 판유리로서 성형함과 아울러, 상기 성형체의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성형체의 폭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이루어지는 1세트의 제 1 롤러와, 상기 제 1 롤러의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성형체의 폭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이루어지는 1세트의 제 2 롤러를 포함하는 상하 복수단의 롤러에 의해 상기 판유리를 견인함으로써 상기 판유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의 연속적인 제조의 개시시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로부터 상기 용융 유리의 일부를 유리 덩어리로서 수하시키는 공정과,
    상기 유리 덩어리를 상기 제 1 롤러에 의해 협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롤러의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거리를 상기 제 2 롤러의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거리보다도 작게 설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제 1 롤러를 지지하는 축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축부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판유리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유리 덩어리를 협지한 후에, 상기 제 2 롤러와 같은 위치가 되도록 상기 성형체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단부 부근의 위치로 이동하는 판유리 제조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롤러가 상기 판유리의 상기 단부를 협지한 후에,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판유리에 접촉하지 않도록 떨어지는 판유리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유리 덩어리를 협지하는 압력은 상기 제 2 롤러가 상기 판유리를 협지하는 압력보다도 크게 설정되는 판유리 제조 방법.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롤러는 상기 제 2 롤러를 지지하는 축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롤러의 상기 축부의 길이는 상기 제 2 롤러의 상기 축부의 길이보다도 길게 설정되는 판유리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의 폭은 상기 제 2 롤러의 폭보다도 크게 설정되는 판유리 제조 방법.
  8. 용융 유리의 일부를 유리 덩어리로서 수하함과 아울러, 상기 용융 유리를 판유리로서 성형하는 성형체와, 상기 성형체의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판유리를 견인하는 상하 복수단의 롤러를 구비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성형체의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성형체의 폭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이루어지는 1세트의 제 1 롤러와, 상기 제 1 롤러의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성형체의 폭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이루어지는 1세트의 제 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 덩어리를 상기 제 1 롤러에 의해 협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롤러의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거리를 상기 제 2 롤러의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거리보다도 작게 설정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
KR1020197009113A 2016-11-11 2017-09-15 판유리 제조 방법 및 판유리 제조 장치 KR102317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0610 2016-11-11
JP2016220610A JP6834379B2 (ja) 2016-11-11 2016-11-11 板ガラス製造方法及び板ガラス製造装置
PCT/JP2017/033506 WO2018088029A1 (ja) 2016-11-11 2017-09-15 板ガラス製造方法及び板ガラス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560A true KR20190078560A (ko) 2019-07-04
KR102317952B1 KR102317952B1 (ko) 2021-10-27

Family

ID=6211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113A KR102317952B1 (ko) 2016-11-11 2017-09-15 판유리 제조 방법 및 판유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34379B2 (ko)
KR (1) KR102317952B1 (ko)
CN (1) CN109963817B (ko)
TW (1) TWI741034B (ko)
WO (1) WO20180880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98054A1 (en) * 2019-06-26 2022-09-22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separating and transporting a glass sheet from a glass ribbon
WO2023112731A1 (ja) * 2021-12-17 2023-06-2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967A (ko) * 2009-07-13 2012-04-24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12197185A (ja) 2010-03-23 2012-10-1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
JP2013516386A (ja) * 2010-01-08 2013-05-13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板引きプロセスにおける能動エッジロール制御
JP2016190776A (ja) * 2015-03-31 2016-11-1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4644B2 (ja) * 1991-10-31 2001-06-11 ホーヤ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420195B1 (ko) * 2006-10-24 2014-07-17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리본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177790B2 (ja) * 2006-10-24 2013-04-1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リボン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627684B2 (en) * 2007-10-29 2014-01-14 Corning Incorporated Pull rol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lass sheet tension
JP2010143800A (ja) * 2008-12-19 2010-07-0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製造装置
JP5005717B2 (ja) * 2009-03-13 2012-08-22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8047085B2 (en) * 2009-05-27 2011-11-01 Corning Incorporated Force monitoring methods and apparatus
KR101300934B1 (ko) * 2011-06-30 2013-08-27 아반스트레이트코리아 주식회사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의 제조 장치
US9315409B2 (en) * 2011-11-29 2016-04-19 Corning Incorporate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TWI561481B (en) * 2012-02-29 2016-12-11 Corning Inc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JP5574454B2 (ja) * 2012-04-06 2014-08-20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US9145324B2 (en) * 2012-12-20 2015-09-29 Corning Incorporated Roller pairs for processing glass ribbons and draw apparatuses incorporating the same
JP5768082B2 (ja) * 2013-03-27 2015-08-26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板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製造装置
US9388066B2 (en) * 2013-05-31 2016-07-12 Corning Incorporated Glass forming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glass ribbons
US9593033B2 (en) * 2013-10-04 2017-03-14 Corning Incorporated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sheet
JP2015105215A (ja) * 2013-11-30 2015-06-08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製造装置及び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DE102014214893A1 (de) * 2014-07-30 2016-02-0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radreifen
KR101972254B1 (ko) * 2015-03-30 2019-04-24 아반스트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CN108349772A (zh) * 2015-11-05 2018-07-31 康宁股份有限公司 形成层压玻璃制品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967A (ko) * 2009-07-13 2012-04-24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13516386A (ja) * 2010-01-08 2013-05-13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板引きプロセスにおける能動エッジロール制御
JP2012197185A (ja) 2010-03-23 2012-10-18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基板
JP2016190776A (ja) * 2015-03-31 2016-11-1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76213A (ja) 2018-05-17
TW201829326A (zh) 2018-08-16
CN109963817A (zh) 2019-07-02
JP6834379B2 (ja) 2021-02-24
CN109963817B (zh) 2021-12-31
WO2018088029A1 (ja) 2018-05-17
KR102317952B1 (ko) 2021-10-27
TWI741034B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3814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in glass panes
JP5933655B2 (ja) ガラス帯体をドロー成形する方法
JP5645063B2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TWI771321B (zh) 用於處理玻璃基板之設備及方法
JP5717053B2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5177790B2 (ja) ガラスリボン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2077254A1 (en) Glass ribbon produc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90082338A (ko) 유리 리본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2096936A (ja) ガラスリボンの耳切断装置および耳切断方法とガラス製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6189584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
KR20120121877A (ko)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90078560A (ko) 판유리 제조 방법 및 판유리 제조 장치
WO2016104805A1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JP2015105206A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
JP2002265229A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プレス成形用素材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部品の製造方法
KR20190038367A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JP5075228B2 (ja) ガラス板、プレス成形用素材、光学素子、薄板ガラスそれぞれの製造方法
JP2019026509A (ja)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2035320A (zh) 用於處理與移除玻璃片外圍區域的系統與方法
JP6733343B2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TW201410621A (zh) 薄板玻璃之製造方法
KR20230041714A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JP2019064903A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
KR20100104066A (ko) 판상 유리 성형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