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522A -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522A
KR20190077522A KR1020197016583A KR20197016583A KR20190077522A KR 20190077522 A KR20190077522 A KR 20190077522A KR 1020197016583 A KR1020197016583 A KR 1020197016583A KR 20197016583 A KR20197016583 A KR 20197016583A KR 20190077522 A KR20190077522 A KR 20190077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er
fiber material
glycol
emulsifier
resi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967B1 (ko
Inventor
까리 홀로빠이넨
Original Assignee
노르딕 바이오테크 그룹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딕 바이오테크 그룹 오와이 filed Critical 노르딕 바이오테크 그룹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9007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6/00Biochem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enzymat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carboxylic groups or thio analogues thereof, directly attached by the carbon atom to a cycloaliphatic ring;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84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06M13/203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7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0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organic solvents; Processes for the recovery of organic solv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단계에서, 유화제 및 습윤제를 사용하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수용액에 유화시키고, 제 2 단계에서, 이와 같이 형성된 유화액을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로 이동시키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 재료의 처리에서 수용성 농축액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성 항균 조성물, 및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 및 예를 들어, 직물, 모피, 피혁, 의류, 캔버스, 티슈, 플라스틱, 웹, 액세서리, 포장 재료, 벽지, 식품 관련 제품, 가정용 제품, 신발, 건축 재료, 절연 재료 및 의료 제품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섬유 또는 직물과 같은 항균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 및 보다 특히 침엽수 수지 산을 포함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섬유 재료, 및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직물과 같은 섬유 제품은 전형적으로, 많은 세균, 진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양호한 성장 배지를 제공하는 섬유성 및 다공성 구조를 가진다. 대부분의 텍스타일은 미생물에 대해 불량한 내성을 가지며, 따라서 직물의 항균 가공은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방지하기 위한 경제적인 방식이다. 또한, 높은 습도 및 온도 값으로 인해, 기후가 세균 성장에 유리한 국가에서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제품이 실제로 요구되며, 필요하다.
전형적으로, 항균 효과는, 섬유 제품의 가공 단계 동안에 특정한 화학 제품의 적용을 통해, 또는 스핀 공정 동안에 화학 섬유에의 이들 물질의 혼입을 통해 수득된다. 예를 들어, 아염소산 나트륨은, 이들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물과 같은 섬유 제품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곰팡이 방지제 (anti-mold agent) 이다. 그러나, 이것은 독성이고, 환경에 위험하며, 건강에 유해한 것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상기 화학 물질을 함유하는 섬유 제품은 신중하게 취급해야 하며, 당업계에서는 끊임없이 이를 대체하기 위한 대안적인 보다 안전한 화합물을 찾고 있다.
현재, 시장에는 항균 특성을 갖는 많은 종류의 섬유 제품이 있으며, 이들 제품의 대부분은 항균제로서 유기 또는 무기 입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구리, 은, 주석 및 아연은, 이들의 효과적인 항균 및/또는 항진균 특성 때문에, 항균제로서 사용된다. 이들 화합물은 섬유 재료의 제조 공정 동안에, 섬유 또는 직물에 국소적으로, 또는 섬유 내에 적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은과 같은 항균제는, 비교적 고온에서, 예를 들어 180 ℃ 에서 30 분 동안 비등시킴으로써, 섬유 재료 내에 혼입된다.
US 20050136100 에는, 항균 및/또는 항진균 합성 중공 섬유, 및 이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조되는 다양한 제품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순수한 중공 또는 모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르코늄 포스페이트, 제올라이트 또는 용해 가능한 유리와 같은 담체 내에 혼입된 유기 또는 무기의 항균 첨가제가 내부에 분산된 다양한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유기 작용제는 트리클로산 및/또는 다른 항균 화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은 섬유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를 고온수 중에서 180 내지 230 ℉ 로 가열함으로써 수득되며, 이것은 추가의 금속 적재, 또는 상주하는 금속 이온을 또다른 이온 또는 이온 혼합물로 대체하기 위한 이온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EP 2102408 에는, 텍스타일 또는 섬유의 표면의 소수성을 증가시키는 유기 프라이머 성분의 수용액, 및 항균 성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유기 4 차 암모늄 화합물, 및 용매를 텍스타일 또는 섬유에 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간에 적용하는, 본질적으로 합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텍스타일 또는 섬유의 항균 가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 성분은 하기 화합물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방향족 모노- 또는 디카르복실산 (이들은 또한 히드록시기로 치환될 수 있다); 방향족 모노- 및 디아민; 방향족 모노- 또는 디알코올; 6 내지 2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모노- 또는 디카르복실산 (이들은 또한 히드록시 또는 아미노기로 치환될 수 있다); 6 내지 2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1 차, 2 차 또는 3 차 아민; 6 내지 2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1 차 또는 2 차 알코올; 6 내지 2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1 차 메르캅탄; 아미노산. 상기 공보에는, 또한 항균 조성물, 및 패딩 공정, 폼 (foam) 적용, 스프레이 공정, 코팅 또는 추출 방법에 의해, 텍스타일, 섬유 및 원사의 항균 가공을 위한, 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일부의 단점 중 하나는, 전형적으로 항균 첨가제가 섬유 또는 직물에 국소적으로 적용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씻겨져 나가거나 또는 마모되며, 비효율적이 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세정에 의해, 첨가제는 폐수 스트림 중에 위치한다. 또한, 항균 첨가제가 텍스타일과 같은 섬유로부터 방출되기 때문에, 이들은 피부에 대해 알레르기 반응 또는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은과 같은 항균 첨가제가 제조 공정 동안에 섬유에 미리 적용되는 경우, 섬유는 통기성 및 평활성과 같은, 이들의 품질 특성의 일부를 상실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반복 사용 후에도 이들의 항균 효과를 유지하며, 우수한 질감, 평활성 및 착용성을 제공하는 항균 (항세균, 항바이러스 및/또는 항진균) 섬유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제품, 및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성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항에서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 및 이와 같이 제조된 제품의 용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먼저 유화제를 사용하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수용액에 유화시키고, 이어서 이와 같이 형성된 유화액을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로 이동시키고, 임의로 섬유 재료를 후-처리하여 최종 제품을 형성함으로써,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를 제조하는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이점은 신규 방법에 의해, 오래 지속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이점은 신규 방법에 의해, 환경 또는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에게 유해하지 않은,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이점은, 고온 및 긴 공정 시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이 간단하고, 시간 절약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이점은, 상기 방법에 의해,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에게 부패, 악화 또는 임의의 유해성을 유발하지 않고서, 다양한 환경에서 저장 및 수송될 수 있는 섬유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또다른 이점은 신규 방법에 의해, 다양한 의료 용도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예를 들어 외과용 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이 경우, 예를 들어 상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로 봉합될 수 있으며, 상기 비-독성 항균 실은 상처에서 녹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이점은 신규 방법에 의해, 추가로 가공될 수 있는 섬유 재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신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취급이 용이하며, 용이하게 염색 및 가공될 수 있다. 이것은, 일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균제, 예컨대 4 차 암모늄 화합물이 섬유 제품의 염색 능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점으로 간주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독립 청구항 1 에서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독립 청구항 14 에서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섬유 재료의 처리에서 수용성 농축액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성 항균 조성물은 독립 청구항 18 에서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용도는 독립 청구항 24 에서 기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2 는 침엽수 수지 산의 알코올 용액으로 처리된 섬유 재료를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상기 용액은 약 70 % 의 에탄올 및 약 1 % 의 침엽수 수지 산을 포함하였다. 섬유 재료는 직물이었으며, 함침 후에, 상기 직물은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적절히 건조시켰다.
도 3 및 4 는 도 1 및 2 에서와 동일한 섬유 재료를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지만, 대신에,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침엽수 수지 산 유화액에 함침시켰다. 상기 침엽수 수지 산 유화액은 알코올 용액과 동일한 양의 수지 산, 즉, 약 1 % 의 침엽수 수지 산을 포함하였다. 도 3 및 4 는 섬유를 덮는 섬유 재료 상의, 침엽수 수지 산의 균일하게 분포되고 평활한 분자 네트를 나타낸다.
도 5 및 6 은 도 1-4 에서와 동일한 초기 (original) 섬유 재료를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지만, 섬유 재료는 처리되지 않았다.
도 7 및 8 은 도 1-6 에서와 동일한 초기 섬유 재료를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지만, 대신에, 이것은 물 (aqua),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노르웨이 스프루스 (Picea abies) 수지 추출물,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롤 라우레이트, 디라우릴 시트레이트, 크산탄 검, 칼륨 소르베이트, 데나토뮴 벤조에이트, 수산화 나트륨을 포함하는, 상표명 AniDes® 를 갖는 수성 침엽수 수지 산 분산액 (Repolar Pharmaceuticals 로부터의 상처 스프레이) 에 함침시켰다. 함침 후에, 상기 섬유 재료는 적절히 건조시켰다.
본 발명은, 먼저 유화제를 사용하여 침엽수 수지/로진 산 조성물을 수용액에 유화시키고, 이어서 이와 같이 형성된 유화액을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로 이동시키고, 임의로 섬유 재료를 후-처리하여 최종 제품을 형성함으로써,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를 제조하는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I) 유화제 및 습윤제를 사용하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수용액에 유화시키는 단계,
II) 이와 같이 형성된 유화액을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 1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I) 습윤제로서도 작용하는 유화제를 사용하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수용액에 유화시키는 단계,
II) 이와 같이 형성된 유화액을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로 이동시키는 단계,
III) 함침된 섬유 재료를 후-처리하는 단계,
단계 I) 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용성 농축액은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과 적합한 용매 및 수성 유화제 용액을 혼합하여 제조하고; 단계 II) 에서, 이와 같이 형성된 유화액은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로 이동시킨 후, 건조시키며; 단계 III) 에서, 섬유 재료는 세정 및/또는 건조에 의해 후-처리한다.
또한, 제 1 구현예에 따르면,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은 3 단계로 수행되며, 단계 I) 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적합한 용매와 혼합하고, 동시에 습윤제로도 작용하는 유화제의 수용액을 제공하고, 이어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과 유화제 용액을 혼합하여 수용성 농축액을 수득하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용성 농축액을 먼저 제조함으로써, 유화제 및 습윤제를 사용하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수용액에 유화시키고; 단계 II) 에서, 다양한 비율의 물로 희석시켜 수용성 농축액의 안정한 수성 작업 용액을 먼저 제조하고, 이어서 섬유 재료를 완전히 습윤화될 때까지 작업 용액에 담구고, 그 후, 섬유 재료를 건조시켜 용매의 완전한 제거를 보장함으로써, 이와 같이 형성된 유화액을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로 이동시키고; 단계 III) 에서, 건조된 섬유 재료를 발포가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물로 세정하고, 이어서 세정된 섬유 재료를 건조될 때까지 임의로 건조시킴으로써, 섬유 재료를 후-처리하여 최종 제품을 형성한다.
제 2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은 2 단계로 수행되며, 단계 I) 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적합한 용매와 혼합하고, 이어서 임의로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그 후, 유화제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마지막으로 기포가 제거될 때까지 습윤제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어서 통상적으로 증류수를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하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용성 농축액을 먼저 제조함으로써, 유화제 및 습윤제를 사용하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수용액에 유화시키고; 단계 II) 에서, 예를 들어 1:200 이상의 다양한 비율의 물로 희석시켜 수용성 농축액의 안정한 수성 작업 용액을 먼저 제조하고, 이어서 섬유 재료를 완전히 습윤화될 때까지 작업 용액에 함침시키고, 그 후, 섬유 재료를 임의로 건조시켜 용매의 완전한 제거를 보장함으로써, 이와 같이 형성된 유화액을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로 이동시킨다.
제 2 구현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을 포함하는 섬유 재료의 후-처리는 필요하지 않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용매 및 유화제의 양이 제품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만큼 충분히 적기 때문에, 세정 및/또는 건조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은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 제품을 수득하기 위해서, 세정 및/또는 건조와 같은 임의의 후-처리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은 2 단계로 수행되며, 단계 I) 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적합한 용매와 혼합하고, 동시에 유화제 및 습윤제의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어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과 유화제 용액을 혼합하여 수용성 농축액을 수득하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용성 농축액을 먼저 제조함으로써, 유화제 및 습윤제를 사용하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수용액에 유화시키고; 단계 II) 에서, 다양한 비율의 물로 희석시켜 수용성 농축액의 안정한 수성 작업 용액을 먼저 제조하고, 이어서 섬유 재료를 완전히 습윤화될 때까지 작업 용액에 함침시키고, 그 후, 섬유 재료를 건조시켜 용매의 완전한 제거를 보장함으로써, 이와 같이 형성된 유화액을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로 이동시키고; 단계 III) 에서, 완전히 건조된 섬유 재료를 발포가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물로 세정하고, 이어서 세정된 섬유 재료를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건조시킴으로써, 섬유 재료를 후-처리하여 최종 제품을 형성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유화제는 습윤제로도 작용한다.
본원에서, 용어 "섬유 재료" 는, 동물성, 식물성, 광물성 또는 합성 섬유 및/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섬유 재료를 의미한다. 따라서, 섬유 재료는 실, 펄프, 종이, 탄소 섬유 (복합 재료), 비스코스 섬유, 나일론, 쿠프로 (cupro), 폴리에스테르, 케블라, 엘라스탄, 레이온, 유리 섬유, 금속 섬유, 비니온, 사란, 스판덱스 (spandex), 비날론, 아라미드, 모달, 디니마/스펙트라, PBI (폴리벤즈이미다졸 섬유), 아세테이트, 셀로판, 폴리올레핀, 아크릴 및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 섬유에서, 또는 실크, 울, 알파카, 키비우트, 메리노, 앙고라, 캐시미어, 비손, 비쿠나 (vicuna), 야크 다운, 알파카 (후아카야), 낙타, 구아나코, 라마 (타파다), 친칠라, 모헤어, 라마 (카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동물성 섬유에서, 또는 코튼, 린넨, 카폭, 아마, 대마, 사이잘, 황마, 케나프, 대나무 및 코코넛, 산세비에리아, 피케, 바나나, 용설란, 아마, 황마, 케나프, 모시, 등나무, 포도나무, 밀, 쌀, 보리, 및 풀 및 나무 섬유 및/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른 곡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식물성 섬유에서, 또는 글래스 울, 스톤 울, 슬래그 울 및 세라믹 섬유 및/또는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광물성 섬유에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섬유 재료는 섬유 자체 또는 섬유 제품, 예를 들어 직물일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유화액" 은, 유화액이 안정하고 부드러운 반면, 분산액이 보다 큰 입자를 함유한다는 점에서, 분산액과는 상이한, 부드럽고 안정적인 용액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용어 "함침" 은, 함침, 침지, 분무, 코팅, 담금에 의해, 및/또는 공기 또는 습식 레이드 웹 (laid web) 형성 동안에, 유화액을 섬유 재료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코팅은 나이프 코팅 (플로팅 코팅) 또는 직접 코팅, 다이렉트 롤 코팅, 패드-드라이-큐어, 캘린더 코팅, 핫 멜트 압출 코팅 및/또는 폼 가공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함침은 함침, 침지, 분무, 코팅, 담금에 의해, 및/또는 공기 또는 습식 레이드 웹 형성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분자 네트" 는, 처리된 표면 상에 및/또는 이의 기공 내에 형성되는 네트를 의미한다. 분자 네트는 생체 활성 분자 네트로서, 및 물리적 차단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생체 활성 분자 네트는, 미생물을 고정시키고, 주변 지역으로의 이들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항균 특성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코튼 또는 폴리에스테르이다.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코튼과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다. 또한, 또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코튼, 폴리에스테르 및 스판덱스의 혼합물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실크이다.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 이다. 또한,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PVDF) 이다. PVDF 로 이루어진 섬유 재료는 봉합 재료 및/또는 외과용 메쉬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PGA 또는 PLLA 및/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섬유 재료는 직포 (woven) 또는 부직포 (non-woven) 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섬유 재료는 봉합 재료, 예를 들어 분해 가능한 생물학적 봉합 재료, 예컨대 콜라겐 기재 재료, 장선, 또는 비-분해성 생체 중합체, 예컨대 실크 또는 셀룰로오스 (코튼) 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합성 재수착성 재료, 예컨대 폴리(글리콜산) (PGA) 및/또는 폴리(L-락트산) (PLLA) 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의료 제품, 장치 및 용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섬유 재료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상처 드레싱, 봉합 재료, 외과용 메쉬 및/또는 정형 외과 임플란트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섬유 재료에서 선택된다.
본원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침엽수 나무의 크라프트 펄핑 공정으로부터 유도되는, 미정제 톨유의 분별 증류로부터 수득되는 수지/로진 산을 의미한다.
용어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 은, 로진과 같은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되는 침엽수 수지 산, 예컨대 스프루스 수지, 및 목재의 크라프트 펄핑 공정으로부터 유도되는 미정제 톨유를 증류함으로써 수득되는 수지 산의 분획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적어도 하기의 침엽수 수지 산을 포함한다: 피마르산, 산다라코피마르산,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레보피마르산, 팔루스트르산, 이소피마르산, 8,12-아비에트산, 아비에트산,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데하이드로데하이드로 아비에트산. 따라서, 용어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 은, 용어 "침엽수 로진 산 조성물" 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은 미정제 톨유의 증류로부터의 증류 분획으로서 수득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침엽수 수지 산을 적어도 하기의 비율로 포함한다: 팔루스트르산 대 피마르산 0.9:1, 팔루스트르산 대 아비에트산 1:6, 팔루스트르산 대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 1:0.8,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 대 아비에트산 1:8, 네오아비에트산 대 아비에트산 1:7, 네오아비에트산 대 팔루스트르산 0.9:1, 피마르산 대 아비에트산 1:7.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침엽수 수지 산을 적어도 하기의 비율로 포함한다: 팔루스트르산 대 피마르산 1.9:1, 팔루스트르산 대 아비에트산 1:4.9, 팔루스트르산 대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 1:2.7,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 대 아비에트산 1:1.8, 네오아비에트산 대 아비에트산 1:11, 네오아비에트산 대 팔루스트르산 1:2.2, 피마르산 대 아비에트산 1:9.4.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피마르산, 산다라코피마르산,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레보피마르산, 팔루스트르산, 이소피마르산, 8,12-아비에트산, 아비에트산,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 네오아비에트산, 데하이드로데하이드로 아비에트산 및 소량의 다른 수지 산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하기의 로진/수지 산 조성물을 포함한다: 40-50 wt-% 의 아비에트산, 0.5-1 wt-% 의 8,12-아비에트산, 6-7 wt-% 의 피마르산, 1-2 wt-% 의 산다라코피마르산, 1-1.5 wt-% 의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기), 0-0.5 wt-% 의 레보피마르산, 6.5-7.5 wt-% 의 팔루스트르산, 6-7 wt-% 의 네오아비에트산, 5-6 wt-% 의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 0.5-1.5 wt-% 의 이소피마르산, 및 소량의 다른 수지 산.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팔루스트르산의 양은 로진/수지 산 조성물의 6 wt-% 이상,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 wt-% 이다.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하기의 로진/수지 산 조성물을 포함한다: 30-40 wt-% 의 아비에트산, 1-2 wt-% 의 8,12-아비에트산, 2-5 wt-% 의 피마르산, 2-3 wt-% 의 산다라코피마르산, 1.2-1.5 wt-% 의 디하이드로아비에트산 (기), 0-0.1 wt-% 의 레보피마르산, 6.7-7.5 wt-% 의 팔루스트르산, 3-4 wt-% 의 네오아비에트산, 18-20.5 wt-% 의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 2-4 wt-% 의 이소피마르산, 및 소량의 다른 수지 산.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5-7 wt-% 의 미지의 로진 산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팔루스트르산의 양은 수지/로진 산 조성물의 6.5 wt-% 이상,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9 wt-% 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2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 의 불검화물 (unsaponifiable matter) 을 포함한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산 가는 전형적으로 160 내지 180 mg KOH/g, 전형적으로 약 170 mg KOH/g 이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융점은 전형적으로 62 ℃ 내지 95 ℃ 이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발화/인화점은 전형적으로 180 ℃ 내지 225 ℃ 이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에서의 침엽수 수지 산은 전형적으로 70 내지 90 wt-%,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wt-% 이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 90 wt-%, 바람직하게는 > 95 wt-% 의 자유 수지/로진 산을 포함한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0.4 내지 4 wt-% 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wt-% 의 양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wt-% 의 양으로 수용액에 첨가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유화제는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유화제 및/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유화제는 지방족 아민기에서 선택되며, 에톡시화도는 2 내지 15 mole 의 범위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유화제는 아민 에톡시레이트이다.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유화제는 낮은 점착 잔류성 및 탁월한 습윤성을 갖는 알파 올레핀에서, 바람직하게는 C10-C18 알파 올레핀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C12-C16 알파 올레핀에서 선택된다. 또한,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유화제는 C14/16-알파 올레핀 술포네이트 나트륨 염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용성 농축액은, 상기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적합한 용매 중에서 유화제 및 습윤제와 혼합하고, 상기 수용성 농축액을 1:200 이하의 비율로 수용액에 추가로 희석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제 1 구현예에 있어서, 유화제의 양은 수용성 농축액의 30 내지 70 wt-%,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5 wt-% 이다.
제 2 구현예에 있어서, 유화제의 양은 수용성 농축액의 0.5 내지 5 wt-%,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wt-% 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용성 농축액은 침엽수 수지 산을, 약 4000 ppm 내지 약 40000 ppm 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5000 ppm 내지 약 30000 ppm 의 양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0 ppm 내지 20000 ppm 의 양으로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수용성 농축액은 1:300 의 비율로, 바람직하게는 1:200 의 비율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의 비율로 수용액에 희석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수용성 농축액은 섬유 재료의 처리에서 수용성 농축액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성 항균 조성물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항균 조성물은 침엽수 수지 산, 용매, 유화제 및 물을 포함한다.
섬유 재료의 처리에서 수용성 농축액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성 항균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 다가의 지환족 알코올 또는 다가의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수성 항균 조성물은 추가로 pH 조절제 및 습윤제를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수성 항균 조성물은 아민 옥사이드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C10-C16 알킬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에서 선택되는 습윤제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수성 항균 조성물은 에톡시화된 지방족 아민에서 선택되는 유화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에톡시화도는 2 내지 15 mole 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유화제는 코코 기재 (base), 올레산 기재, 대두 기재 또는 우지 기재를 갖는 아민 에톡시레이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수성 항균 조성물은 아민 옥사이드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C10-C16 알킬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에서 선택되는 습윤제, 및 에톡시화된 지방족 아민에서 선택되는 유화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에톡시화도는 2 내지 15 mole 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유화제는 코코 기재, 올레산 기재, 대두 기재 또는 우지 기재를 갖는 아민 에톡시레이트이고, 용매는 이소프로판올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수성 항균 조성물은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및/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pH 조절제를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조성물은 용매로서 이소프로판올을 포함한다.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조성물은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2-메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2-에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2-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테르 (2-이소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2-부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2-페녹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벤질 에테르 (2-벤질옥시에탄올),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메틸 카르비톨),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카르비톨 셀로솔브),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n-부틸 에테르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부틸 카르비톨) 와 같은 E-시리즈 글리콜 에테르,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또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및/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P-시리즈 글리콜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용매, 및 낮은 점착 잔류성 및 탁월한 습윤성을 갖는 알파 올레핀에서, 바람직하게는 C10-C18 알파 올레핀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C12-C16 알파 올레핀에서 선택되는 유화제를 포함한다.
습윤제는 전형적으로 아민 옥사이드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C10-C16 알킬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에서 선택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습윤제는 다양한 사슬 길이의 알킬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에서, 바람직하게는 아민 N,N-디메틸-1-도데칸 아민 N-옥사이드 (C12 아민 옥사이드), N,N-디메틸-테트라데칸 아민 N-옥사이드 (C14 아민 옥사이드), C10-16-알킬디메틸 아민 N-옥사이드 (C10-16 아민 옥사이드), C12-C16-알킬 디메틸 N-옥사이드, 코코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 라우릴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 우지 아민 옥사이드에서 선택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습윤제는 장쇄 C10-C16 알킬 아민 옥사이드에서 선택되며, 그 이유는 긴 사슬 길이가 아민 옥사이드의 고유의 발포 특성을 안정화시키고, 더욱 낮추기 때문이다.
제 2 구현예에 있어서, 습윤제의 양은 수용성 농축액의 5 내지 20 wt-%,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 wt-% 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단계 I) 에서 수득되는 수용액은,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또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및/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P-시리즈 글리콜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적합한 용매에 함침시킴으로써 텍스타일/섬유로 이동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I) 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2-메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2-에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2-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테르 (2-이소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2-부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2-페녹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벤질 에테르 (2-벤질옥시에탄올),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메틸 카르비톨),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카르비톨 셀로솔브),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n-부틸 에테르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부틸 카르비톨) 와 같은 E-시리즈 글리콜 에테르,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또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및/또는 이의 혼합물과 같은 P-시리즈 글리콜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용매에 먼저 용해시킨다.
제 1 구현예에 있어서, 단계 I) 에서, 용매는 E-시리즈 및 P-시리즈 글리콜 에테르 및/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며, 용매의 양은 수용성 농축액의, 바람직하게는 10 wt-% 내지 3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wt-% 내지 2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wt-% 내지 19 wt-% 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I) 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이소프로판올에 먼저 용해시킨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이소프로판올의 양은 수용성 농축액의,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3 wt-% 이다.
제 2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단계 I) 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에탄올에 먼저 용해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에탄올에 의해, 생성되는 용액이 혼탁하고 불안정하기 때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단계 I) 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유화제 및 습윤제를 사용하여 수용액에 유화시키며, pH 조절제는 섬유 제품의 후-처리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pH 조절제는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에서 선택된다. pH 조절제의 양은 수용성 농축액의, 바람직하게는 0.3 wt-% 내지 1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wt-% 내지 0.6 wt-% 이다.
제 1 구현예에 있어서, 첨가되는 물의 양은 수용성 농축액의, 바람직하게는 15 wt-% 내지 4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wt-% 내지 35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wt-% 내지 30 wt-% 이다.
제 2 구현예에 있어서, 첨가되는 물의 양은 수용성 농축액의, 바람직하게는 60 wt-% 내지 9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wt-% 내지 80 wt-% 이다.
상기 방법의 단계 II) 에서, 단계 I) 로부터 수득되는 에멀젼을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로 이동시키는 것은, 항균제의 섬유 재료에의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0 초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초 동안,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초 동안, 적합한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단계 II) 에서, 함침은 항균제의 섬유 재료에의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80 초 미만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0 초 동안,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초 동안, 적합한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제 1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단계 III) 에서, 후-처리는, 섬유 재료를 주위 온도에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80 ℃ 에서 1 내지 120 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 에서 10 내지 120 분 동안, 또는 건조될 때까지 건조시켜, 용매를 증발시키고, 섬유 재료를 물로 세정하여, 유화제를 제거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단계 III) 에서, 후-처리는, 섬유 재료를 37 ℃ 에서 120 분 동안, 또는 건조될 때까지 가열하여, 함침 용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유화제는, 섬유 재료를 전형적으로 물로 세정함으로써 제거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유화제는, 섬유 재료를 세제로 세정함으로써 제거된다.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유화제는, 섬유 재료를 물 및/또는 수성 세제 용액으로 세정함으로써 제거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단계 II) 에서, 함침은, 섬유 제품의 가공 단계 동안의, 또는 방적 공정 동안에 섬유에의 이들 물질의 혼입을 통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적용을 의미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단계 II) 에서, 섬유 재료는, 섬유 제품으로 추가로 가공될 수 있는 섬유 재료, 예컨대 섬유 재료의 공급 원료를 의미한다.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단계 II) 에서, 함침은, 섬유 제품의 가공 단계 이전의, 침엽수 수지/로진 산 조성물의 적용을 의미한다.
상이한 구현예에 있어서, 수성 수지 산 조성물에 의한 섬유 재료의 처리는, 함침, 침지, 분무, 코팅, 담금에 의해, 및/또는 공기 또는 습식 레이드 웹 형성 동안에 수행된다. 함침에 의해, 생체 활성 분자 네트가 섬유 재료 상에, 및 이의 기공 내에 형성되며, 상기 분자 네트는 전체 섬유를 덮는다.
본 발명은 또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에 관한 것이며, 상기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하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세균, 진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특히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및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에 대한 항균 특성을 포함한다.
또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오래 지속되는 항균 특성을 가지며,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습식 헹굼에서 적어도 10 회 세정 동안 이의 항균 특성을 유지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0.15-0.5 g/㎡, 바람직하게는 0.3-0.37 g/㎡ 의 비율로 항균제로 포화된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적어도 100-200 ppm (0.01 % - 0.02 %) 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포함한다.
섬유성 항균 제품은 환경 및/또는 동물에 유해한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피부에 대해 알레르기 또는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섬유를 덮는 섬유 재료 상에 분자 네트를 형성하는 침엽수 수지 산의 수성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습도 및 온도가 미생물 성장에 유리한 장소에서 저장 및 포장될 수 있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우수한 착용성을 가지며,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은 섬유 재료의 품질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대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철에 대해 용이하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표준 SFS-EN ISO 9073-10 에 따라서 퀵 린팅 시험 (QLT: quick linting test) 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상응하는 미처리 섬유 재료에 비해서, 현저하게 낮은 입자 방출 값을 갖기 때문에, 예를 들어 클린룸 및 수술방/수술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을 포함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표준 SFS-EN ISO 9073-10 에 따라 QLT 측정 (퀵 린팅 시험) 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300000 pcs 미만의 입자 방출을 가진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은 원료의 조성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섬유성 원료가 실질적인 입자 방출을 갖는 경우, 본 발명에 따라서 처리된 이러한 섬유 재료는, 단지 중간의 처음의 입자 방출을 갖는 섬유성 원료에 비해서, 훨씬 더 현저한 입자 방출 감소를 가진다. 예를 들어, 주로 폴리에스테르 (PES) 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섬유의 입자 방출은, 폴리에스테르, 코튼 및 스판덱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플렉스의 입자 방출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다. 이러한 섬유 재료를 본 발명에 따른 수성 항균 조성물로 처리함으로써,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은 실질적으로 감소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약 90 % 의 PES 및 약 10 % 의 스판덱스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섬유이며,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은, 표준 SFS-EN ISO 9073-10 에 따라 결정되는 바와 같이, 미처리 섬유 재료에 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재료에 의해, 40 내지 100 % 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 의 양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내지 85 % 의 양으로 감소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약 62 % 의 PES 및 약 35 % 의 CO 및 약 10 % 의 스판덱스로 이루어지는 플렉스이며,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은, 표준 SFS-EN ISO 9073-10 에 따라 결정되는 바와 같이, 미처리 섬유 재료에 비해서, 5 내지 30 % 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0 % 의 양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 의 양으로 감소한다.
또한, 또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약 90 % 의 PES 및 약 10 % 의 스판덱스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섬유 저지이며,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은 50 내지 100 % 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 % 의 양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 의 양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 값은, 대부분의 섬유 재료의 경우, 미처리 섬유 재료보다 5 내지 1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5 % 이하의 범위이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 값은, 초기 미처리 섬유 재료에 비해서,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및 100 % 의 범위로 감소한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 값은, 대조군에 비해서, 1 내지 100 %, 5 내지 100 %, 5 내지 90 %, 5 내지 85 %, 5 내지 80 %, 5 내지 75 %, 5 내지 70 %, 5 내지 65 %, 5 내지 60 %, 5 내지 55 %, 5 내지 50 %, 5 내지 45 %, 5 내지 40 %, 5 내지 35 %, 5 내지 30 %, 5 내지 25 %, 5 내지 20 %, 5 내지 15 %, 1 내지 10 %, 5 내지 10 %, 10 내지 15 %, 10 내지 20 %, 10 내지 25 %, 10 내지 30 %, 10 내지 35 %, 10 내지 40 %, 10 내지 45 %, 10 내지 50 %, 10 내지 55 %, 10 내지 60 %, 10 내지 65 %, 10 내지 70 %, 10 내지 75 %, 10 내지 80 %, 10 내지 85 %, 10 내지 90 %, 10 내지 100 %, 15 내지 20 %, 15 내지 25 %, 15 내지 30 %, 15 내지 35 %, 15 내지 40 %, 15 내지 45 %, 15 내지 50 %, 15 내지 55 %, 15 내지 60 %, 15 내지 65 %, 15 내지 70 %, 15 내지 75 %, 15 내지 80 %, 15 내지 85 %, 15 내지 90 %, 15 내지 95 %, 15 내지 100 %, 20 내지 25 %, 20 내지 30 %, 20 내지 35 %, 20 내지 40 %, 20 내지 45 %, 20 내지 50 %, 20 내지 55 %, 20 내지 60 %, 20 내지 65 %, 20 내지 70 %, 20 내지 75 %, 20 내지 80 %, 20 내지 85 %, 20 내지 90 %, 20 내지 95 %, 20 내지 100 %, 25 내지 30 %, 25 내지 35 %, 25 내지 40 %, 25 내지 45 %, 25 내지 50 %, 25 내지 55 %, 25 내지 60 %, 25 내지 65 %, 25 내지 70 %, 25 내지 75 %, 25 내지 80 %, 25 내지 85 %, 25 내지 90 %, 25 내지 95 %, 25 내지 100 %, 30 내지 35 %, 30 내지 40 %, 30 내지 45 %, 30 내지 50 %, 30 내지 55 %, 30 내지 60 %, 30 내지 65 %, 30 내지 70 %, 30 내지 75 %, 30 내지 80 %, 30 내지 85 %, 30 내지 90 %, 30 내지 95 %, 30 내지 100 %, 35 내지 40 %, 35 내지 45 %, 35 내지 50 %, 35 내지 55 %, 35 내지 60 %, 35 내지 65 %, 35 내지 70 %, 35 내지 75 %, 35 내지 80 %, 35 내지 85 %, 35 내지 90 %, 35 내지 95 %, 35 내지 100 %, 40 내지 45 %, 40 내지 50 %, 40 내지 55 %, 40 내지 60 %, 40 내지 65 %, 40 내지 70 %, 40 내지 75 %, 40 내지 80 %, 40 내지 85 %, 40 내지 90 %, 40 내지 95 %, 40 내지 100 %, 45 내지 50 %, 45 내지 60 %, 45 내지 65 %, 45 내지 70 %, 45 내지 75 %, 45 내지 80 %, 45 내지 85 %, 45 내지 90 %, 45 내지 95 %, 45 내지 100 %, 50 내지 55 %, 50 내지 60 %, 50 내지 65 %, 50 내지 70 %, 50 내지 75 %, 50 내지 80 %, 50 내지 85 %, 50 내지 90 %, 50 내지 95 %, 50 내지 100 %, 55 내지 60 %, 55 내지 65 %, 55 내지 70 %, 55 내지 75 %, 55 내지 80 %, 55 내지 85 %, 55 내지 90 %, 55 내지 95 %, 55 내지 100 %, 60 내지 65 %, 60 내지 70 %, 60 내지 75 %, 60 내지 80 %, 60 내지 85 %, 60 내지 90 %, 60 내지 95 %, 60 내지 100 %, 65 내지 70 %, 65 내지 75 %, 65 내지 80 %, 65 내지 85 %, 65 내지 85 %, 65 내지 90 %, 65 내지 95 %, 65 내지 100 %, 70 내지 75 %, 70 내지 80 %, 70 내지 85 %, 70 내지 90 %, 70 내지 95 %, 70 내지 100 %, 75 내지 80 %, 75 내지 85 %, 75 내지 90 %, 75 내지 95 %, 75 내지 100 %, 80 내지 85 %, 80 내지 90 %, 80 내지 95 %, 80 내지 100 %, 85 내지 90 %, 85 내지 95 %, 85 내지 100 %, 90 내지 95 %, 90 내지 100 % 및/또는 95 내지 100 % 의 범위인 값으로 감소한다.
하나의 매우 놀라운 발견은, 알코올성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된 섬유 재료가, 미처리 섬유 재료에 비해서, 현저히 더 높은 입자 방출 값을 갖는다는 것이다. 알코올성 수지 산 조성물은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 값을 50 % 초과로 증가시킨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된 섬유 재료는, 미처리 섬유 재료에 비해서, 현저히 더 낮은 입자 방출 값을 가진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의 수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침엽수 수지 산에 의해 형성되는 분자 네트를 가진다. 따라서, 침엽수 수지 산의 수성 조성물로 처리된 섬유 재료는, 침엽수 수지 산이, 섬유를 덮는 섬유 재료 상에 분자 네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자 네트는 항균 특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및/또는 물리적 차단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체 활성이다.
또한,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처리된 표면 상에 및/또는 이의 기공 내에 형성되는 침엽수 수지 산의 분자 네트를 포함한다. 분자 네트는 생체 활성 분자 네트로서, 및 물리적 차단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생체 활성 분자 네트는, 미생물을 고정시키고, 주변 지역으로의 이들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항균 특성을 제공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은, 표준 SFS-EN ISO 9073-10 에 따라 QLT 측정 (퀵 린팅 시험) 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미처리 섬유 재료에 비해서, 약 5-100 %, 바람직하게는 약 10-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85 %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되는 섬유 재료로부터 전자 현미경에 의해 수득되는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내는 도 3 및 4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표면 및 침엽수 수지 산의 균일한 분포를 가진다. 또한, 도 3 및 4 에는, 섬유를 덮는 섬유 재료 상의 침엽수 수지 산의 분자 네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2 로부터, 알코올성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된 섬유 재료는,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불균일한 분포에서 유래하는 작은 액적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5 및 6 은 미처리 섬유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촬영한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그러나, 임의의 수성 수지 산 조성물에 의해, 도 3 및 4 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한 매끄러운 표면 및 침엽수 수지 산의 균일한 분포를 수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7 및 8 은 도 1-6 에서와 동일한 초기 섬유 재료를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지만, 대신에, 이것은 물, 글리세린, 프로판디올, 카프릴산/카프르산 트리글리세리드, 노르웨이 스프루스 (Picea abies) 수지 추출물,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롤 라우레이트, 디라우릴 시트레이트, 크산탄 검, 칼륨 소르베이트, 데나토뮴 벤조에이트 및 수산화 나트륨을 포함하는, 상표명 AniDes® 를 갖는 수성 침엽수 수지 산 분산액 (Repolar Pharmaceuticals 로부터의 상처 스프레이) 에 함침시켰다. 함침 후에, 상기 섬유 재료는 적절히 건조시켰으며, 건조는 글리세린의 흡습 특성으로 인해, 오랜 시간이 걸렸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강력한 항세균 및 정진균 (fungistatic) 활성을 가진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표준 방법 EN20743:2013 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에 대해, ≥ lg 2, 바람직하게는 ≥ lg 3, 보다 바람직하게는 ≥ lg 5 의 항균 활성 값을 가진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표준 방법 EVS-EN ISO 20743:2013 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이전,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Aspergillus niger)) ATCC 16404 에 대해, 수지 산 농도 100 ppm, 200 ppm 또는 400 ppm 에서, ≥ lg 2, 바람직하게는 ≥ lg 3, 보다 바람직하게는 ≥ lg 5 의 강력한 정진균 활성 값을 가진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항세균 및 항진균 특성을 가지며, 항균 활성 값은, 표준 방법 EVS-EN ISO 20743:2013 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 lg 2 이다.
또한,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표준 방법 EVS-EN ISO 20743:2013 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및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16404 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진다.
또한,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표준 방법 EVS-EN ISO 20743:2013 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 lg 3 의 항균 활성 값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하며, 직물, 예컨대 텍스타일, 의류, 예컨대 모피, 캔버스, 티슈, 웹 (web), 액세서리, 포장 재료, 벽지, 건축 제품, 식품 관련 제품, 가정용 제품, 신발 및 의료 제품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직물, 모피, 피혁, 의류, 캔버스, 티슈, 플라스틱, 웹, 액세서리, 포장 재료, 벽지, 식품 관련 제품, 가정용 제품, 신발, 건축 재료, 절연 재료 및 의료 제품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방법에 의해 수득 가능한 항균 섬유 재료는 많은 상이한 용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용도의 예는 텍스타일, 종이, 의류, 원사, 직물 (직포 및 부직포, 뿐만 아니라, 편직물), 티슈, 헤어 및 모피, 웹, 액세서리, 포장 재료, 벽지, 가구, 병원용 텍스타일, 수술 부위 보호용 천, 보호 장갑, 헤어 커버, 앞치마, 상처 드레싱, 수술 상처용 및 수술 중의 피부 오픈용 붕대, 체 내에 삽입되며, 섬유 재료로 제조된 인조 부품용 코팅, 보호 붕대, 의료 제품, 예컨대 붕대, 봉합사, 드레싱 천, 외과용 실 및 치실, 소시지 스킨 및 다른 식품 관련 용도, 건축 재료, 절연 재료, 신발 안창 및 이의 코팅과 같은 많은 종류의 섬유 제품을 포함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은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조성, 및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뿐만 아니라, 침엽수 수지 산의 수용성 농축액의 생태 독성학 결과를 제시한다. 실시예 1.1 은 직물 포화를 위한 수용성 농축액의 제조 및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를 제시한다. 실시예 1.2 는 제 2 구현예에 따른, 직물 포화를 위한 수용성 농축액의 제조 및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를 제시한다. 실시예 1.3 은 침엽수 수지 산의 수용성 농축액의 생태 독성학 연구로부터의 결과를 제시한다. 실시예 2 는 세정 전 및 후에 결정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세정 내성 특성 및 섬유 재료의 항균 활성을 제시한다. 또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물리적 특성이 초기 미처리 섬유 재료와 비교하여 제시된다. 실시예 2.1 은 실시예 1.1 로부터 수득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항균 특성에 대한 반복 세정의 효과를 제시하고, 실시예 2.2 는 실시예 1.2 로부터 수득되는 섬유 재료의 항균 특성에 대한 반복 세정의 효과를 나타내며, 실시예 2.3 은 미처리 섬유 재료의 물리적 특성과 비교한, 처리 섬유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은 비교예이다; 여기에서, 섬유 재료는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코올-기재 용액 (실시예 3.1) 및 수계 용액 (실시예 3.2) 에 침지시켰으며, 세정 후에 항세균 활성을 결정하였다. 실시예 4 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를 제시하고, 여기에서, 상기 섬유 재료는 PVDF 로 이루어지며, 이것은 외과용 실, 봉합 재료 및/또는 외과용 메쉬의 제조에서 섬유성 원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5 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를 제시하고, 여기에서, 상기 섬유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PP) 으로 이루어지며, 이것은 부직포 수술용 마스크 및/또는 의류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실시예 6 은 초기 미처리 섬유 재료와 비교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을 제시한다. 실시예 7 은 비교예를 제시하며, 여기에서는, 3 가지 상이하게 처리된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1
목재의 크라프트 펄핑 공정으로부터 유도되는 미정제 톨유를 증류함으로써 수득되는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로진 산 조성물을 표준 방법 ASTM D5974 에 따라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하였다.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로진 산 조성물은 주로 아비에트산으로 이루어지지만, 또한 유의한 양의 피마르산, 팔루스트르산,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 및 네오아비에트산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하기의 비율이 표 1 의 값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피마르산 대 팔루스트르산의 비율은 1:1.1 이고, 팔루스트르산 대 아비에트산의 비율은 1:6.4 이며, 데하이드로아비에트산 대 아비에트산의 비율은 1:8.4 이고, 네오아비에트산 대 아비에트산의 비율은 1:7 이며, 네오아비에트산 대 팔루스트르산의 비율은 1:1.1 이고, 피마르산 대 아비에트산의 비율은 1:7 이다.
표 1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로진 산 조성물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낸 로진 산 이외에,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또한 약 20.9 wt-% 의 비-용출 화합물을 포함하였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불검화물은 표준 방법 ASTM D1965 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약 3.4 % 의 불검화물을 포함하였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이의 지방 산 조성물에 대해 추가로 분석하였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단지 소량의 지방산, 즉, 0.1 중량-% 의 안테이소-헵타데칸산 및 0.2 중량-% 의 미지의 지방산으로 이루어졌다.
실시예 1.1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용성 농축액은, 유화제로서 C14/C16-알파 올레핀 술포네이트 나트륨 염 38 % CAS 68439-57-6 및 용매로서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CAS 111-76-2 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는 소수성 및 친수성 특성의 동등한 균형을 갖기 때문에, 적합한 용매로서 선택하였으며, 이것은 가장 빨리 증발하는 글리콜 에테르 중 하나이다. C14/C16-알파 올레핀 술포네이트 나트륨 염은, 낮은 점착 잔류성 및 탁월한 습윤성을 갖기 때문에, 적합한 유화제로서 선택하였다.
수용성 농축액의 제조
활성제의 수용성 농축액은, 먼저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CAS-111-76-2) 중에서의 항균제의 용해도를 측정하여 제조하였다. 10 % 의 항균제가 실온 및 대기압에서 30 분 동안 90 % 의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용매에 용해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용성 농축액의 제조를 위해, 0.1 ㎏ 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소정량 (0.9 ㎏) 의 용매인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와 혼합하였으며, 30 분 내에 완전한 용해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용액은 황색 색상을 가졌으며, 이것은 균질하고, 투명하며, 약간 혼탁하였다. 병행하여, 유화제 C14/16-알파 올레핀 술포네이트 나트륨 염의 38 중량-% 수용액을 실온에서 3 분 동안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황색 색상을 가졌으며, 이것은 균질하고, 투명하며, 선명하였다. 그 후, 최종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활성제를 포함하는 200 ㎖ 의 제 1 용액을 530 ㎖ 의 상기 수성 유화제 용액 및 270 ㎖ 의 물과 5 분 동안 혼합하고, 10 분 동안 정치시켜 기포를 제거하였다. 모든 작업은 약 20 ℃ 의 실온 및 대기압에서 수행하였다. 수용성 농축액의 제조에서 사용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 용매, 유화제 용액 및 물의 중량 비율을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수용성 농축액에서의 화합물의 중량 비율
Figure pct00002
이와 같이 제조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용성 농축액은 황색 액체의 외관, 특정한 용매 냄새, 1.02 ㎏/ℓ 의 밀도 및 pH 5.5 (1:10 수용액 중에서 측정함) 를 가졌다. 수용성 농축액에서의 활성제의 함량은 2 % 였다. 수용성 농축액을 사용하여, 1:200 이상의 농도 비율을 갖는 안정한 수성 작업 용액을 제조하였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63 × 100 ㎜ 의 크기, 중량 0.4 g (EN20743:2013 의 조건에 따름) 을 갖는 천연 섬유 (100 % 코튼) 로부터 제조된 직물이 선택되었다. 0.02 % (200 ppm) 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함유하는 작업 용액은, 수용성 농축액을 물로 1:100 의 비율로 희석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이 공정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이 추정으로 50 % 씻겨져 나가면, 잔류 농도 0.01 % (100 ppm) 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살균 특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직물을 완전히 습윤화될 때까지, 작업 용액에 담궜다. 습윤 공정은, 용액 중에서의 유화제 C14/16-알파 올레핀 술포네이트 나트륨 염의 존재로 인해, 즉시 발생하였다. 침지된 직물을 배수시키고, 칭량하여, 작업 용액의 소비를 모니터하였다. 이어서, 직물을 금속 표면 상에 놓고, 건조를 위해 37 ℃ 에서 온도 조절기 내에 놓았다. 건조는 직물이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120 분 동안 수행하였다. 이것은, 직물 구조로부터 용매인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의 완전한 제거를 보장하여, 친수성 활성 물질 결합을 중화시킨다.
완전히 건조되면, 직물은 거품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흐르는 물에서 세정한다. 거품의 부재는, 직물로부터 유화제 C14/16-알파 올레핀 술포네이트 나트륨 염의 완전한 제거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세정한 직물을 금속 표면 상에 놓고, 건조를 위해 37 ℃ 에서 온도 조절기 내에 놓았다. 건조는 직물이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120 분 동안 수행하였다. 37 ℃ 의 건조 온도가, 미생물 성장에 대해 양호한 조건을 제공하였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건조 후, 처리 직물을 미처리 대조 샘플과 비교하였다. 직물의 관능 특성 및 색상은 대조 샘플과 비교했을 때, 동일하였다.
작업 용액의 소비는 1.15 g/0.00063 ㎡ 의 직물 = 1.825 ㎏/1 ㎡ 의 직물이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를, 0.3-0.365 g/㎡ 직물의 비율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로 포화시켰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는, 유화제로서 에톡시화된 올레아민 및 습윤제로서 알킬아민 옥사이드 및 pH 조절제로서 에탄올아민을 사용하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용성 농축액을 제조한, 다른 구현예를 제시한다. 이어서, 이와 같이 제조된 유화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용액을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에 이동시키고, 마지막으로 섬유 재료를 후-처리하여, 최종 제품, 즉,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를 형성하였다.
수용성 농축액의 제조
수용성 농축액의 제조를 위해, 20 g 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110 g 의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혼합하였으며, 60 분 내에 완전한 용해가 관찰되었다. 이어서, 5 g 의 pH 조절제 에탄올 아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15 g 의 에톡시화된 올레아민 유화제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100 g 의 습윤제 알킬아민 옥사이드를 첨가하고, 15 분 동안 교반하여, IPA 의 가수 분해 동안에 형성된 기포를 제거하였다. 모든 작업은 실온인 20 ℃ 및 대기압에서 수행하였다. 그 후, 750 ㎖ 의 증류수를 서서히 첨가하고,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은 황색 색상을 가졌으며, 이것은 균질하고, 투명하며, 선명하였다.
수용성 농축액의 제조에서 사용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 용매, 유화제 용액 및 물의 중량 비율을 표 3 에 나타낸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용성 농축액은 황색 액체의 외관, 특정한 알코올 냄새, pH 8.5 (작업 용액 1:100 중) 및 0.95 ㎏/㎥ 의 밀도를 가졌다.
표 3 수용성 농축액에서의 화합물의 중량 비율
Figure pct00003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천연 및 인조 섬유의 혼합 재료 (폴리에스테르 62 %, 코튼 35 %, 스판덱스 3 %) 로부터의 직물을 선택하여 제조하였다. 직물의 크기는 45 × 60 ㎜, 중량 0.6 g 이었다. 0.02 % (200 ppm) 의 활성제를 함유하는 작업 용액은, 수용성 농축액을 물로 1:100 의 비율로 희석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직물을 완전히 습윤화될 때까지, 작업 용액에 담궜다. 습윤 공정은, 용액 중에서의 습윤제의 존재로 인해, 즉시 발생하였다. 침지된 직물을 배수시키고, 칭량하여, 작업 용액의 소비를 모니터하였다. 이어서, 직물을 금속 표면 상에 놓고, 건조를 위해 37 ℃ 에서 온도 조절기 내에 놓았다. 건조는 직물이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120 분 동안 수행하였다. 이것은, 직물 구조로부터 용매인 이소프로판올의 완전한 제거를 보장하였다.
살균 활성 시험 동안에 보조 성분의 가능한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서, 완전히 건조시킨 직물을 거품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흐르는 물에서 세정하였다. 거품의 부재는, 직물로부터 계면활성제의 완전한 제거를 나타냈다. 이어서, 세정한 직물을 금속 표면 상에 놓고, 건조를 위해 37 ℃ 에서 온도 조절기 내에 놓았다. 건조는 직물이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120 분 동안 수행하였다. 건조 후, 처리 직물을 미처리 대조 샘플과 비교하였다. 직물의 관능 특성 및 색상은 대조 샘플과 비교했을 때, 동일하였다. 작업 용액의 소비는 0.2 g/0.00027 ㎡ 의 직물이었으며, 이는 0.74 ㎏/㎡ 의 직물에 상응한다. 이로써, 수득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를, 0.1-0.15 g/㎡ 의 비율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로 포화시켰으며, 직물 구조에서의 보조 성분의 총 함량은 0.25-0.375 g/㎡ 였다.
생성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매끄러웠으며, 전자 현미경 사진은 침엽수 수지 산의 균일한 분포를 나타냈다. 침엽수 수지 산은, 섬유 재료에서의 섬유를 덮는 분자 네트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1.3
본 실시예는, 수용성 농축액 (실시예 1.2 에서 제시한 바와 같음) 의 생태 독성학 연구로부터의 결과를 제시한다. 이들 연구에서 사용된 상기 수용성 농축액의 제조는 실시예 1.2 에 제시되어 있다.
급성 수생 독성 및 장기적인 부작용
생태 독성학 시험은 공인된 실험실에서 표 4 에 따라서 수행하였으며, 시험 결과 및 시험한 미생물은 표 5 에 나타낸다.
급성 독물학 및 장기적인 부작용
표 4 항균 농축액의 생태 독성학
Figure pct00004
위험성에 대한 규정:
H410: 장기적인 해로운 영향과 함께 수생 생물에게 매우 유독함
H411: 오래 지속되는 해로운 영향과 함께 수생 생활에 유독함
H412: 오래 지속되는 영향과 함께 수생 생물에 유해함
H413: 수생 생물에 대해 장기적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
독성의 추정
독성은 하기의 분류에 따라서 추정하였다:
LC50/EC50 (㎎/ℓ) 범주
< 1 매우 독성
1-10 중간 독성
10-100 약간 독성
표 5 수성 항균 농축액의 생태 독성학 연구로부터의 시험 결과
Figure pct00005
표 5 에 제시한 바와 같이, 결과는 항균 농축액이 환경에 대해 비-독성이라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또한, 작업 용액 (희석된 수성 농축액) 도 환경에 대해 비-독성이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세정 전 및 후에 결정되는 바와 같은,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세정 저항성 특성 및 섬유 재료의 항세균 활성을 제시한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살균 특성
실시예 2.1 은 표준 방법 EN20743:2013 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 1.1 로부터 수득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항균 특성에 대한 반복 세정의 효과를 제시한다. 또한, 실시예 1.1 로부터 수득되는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용성 용액으로 함침된 섬유 재료의 정진균 활성이 또한 제시된다. 실시예 2.2 에서는, 실시예 1.2 로부터 수득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항균 특성에 대한 반복 세정의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실시예 2.3 에서는, 미처리 섬유 재료의 물리적 특성과 비교한, 처리 섬유 재료의 물리적 특성이 나타난다.
실시예 2.1
항균 특성
실시예 1.1 에서 제조되는 섬유 재료의 살균 특성은 표준 방법 EN20743:2013 에 의해 결정하였다. 세균 모델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을 선택하고, 직물의 시험 샘플을 놓은 페트리 접시에서 시험을 3 회 수행하였다. 미생물 현탁액을 상기 방법에 따라서 직물에 적용하였다. 대조를 위해, 또한 미생물 용액을,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하지 않은 직물 샘플에 적용하였다. 미생물 현탁액을 직물 상에서 23.5 ± 0.5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시험 방법 SFS-EN ISO 20743 에 따라서 후속 절차를 수행하였다.
0.3-0.365 g/㎡ 의 양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된 직물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에 대한 강력한 살균 활성을 지속하였으며, 미처리 샘플 (EN20743:2013 의 관점) 에 비해서, 7 배가 넘는 지수의 세균 성장의 감소를 나타냈다.
함침된 코튼의 항세균 활성은 세정 없이는 lg 7.2 이었으며, 10 회 세정 후에는 lg 5.2 이었다. 표 6 은 대조 샘플에서의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의 성장을 예시하고, 표 7 은 새롭게 함침된 텍스타일에서의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의 성장을 예시하며, 표 6 은 새롭게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의 요약을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수식 및 약어가 사용되었다.
표 6 새롭게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대조군 (24 h)
Figure pct00006
표 7 새롭게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 (24 h)
Figure pct00007
표 8 새롭게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
Figure pct00008
직물의 살균 특성의 지속 가능성
본 실시예는 실시예 1.1 로부터 수득되는 함침된 직물의 세정 저항성 특성을 예시한다.
표 9 는 10 회 세탁된 대조 샘플에서의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의 성장을 예시하고, 표 10 은 10 회 세탁된 함침된 텍스타일에서의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의 성장을 예시하며, 표 11 은 10 회 세탁된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의 요약을 예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수식 및 약어가 사용되었다.
표 9 10 회 세탁된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대조군 (24 h)
Figure pct00009
표 10 10 회 세탁된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 (24 h)
Figure pct00010
표 11 10 회 세탁된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
Figure pct00011
정진균 활성
혼합 섬유 (폴리에스테르 62 %, 코튼 35 %, 스판덱스 3 %) 로부터의, 크기 63 × 100 ㎜, 중량 0.6 g 의 적색 색상의 직물이 모델로서 선택되었다. 대조군은 0.6 g 의 손상되지 않은 텍스타일 샘플을 함유하였으며, 시험군은 3 개의 0.6 g 의 함침된 텍스타일 샘플을 함유하였다.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이전,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Aspergillus niger)) ATCC 16404 가 미생물학적 모델로서 사용되었다.
직물을 완전히 습윤화될 때까지, 작업 용액에 담궜다. 침지된 직물을 배수시키고, 이어서 이것을 금속 표면 상에 놓고, 건조를 위해 37 ℃ 에서 온도 조절기 내에 놓았다. 건조는 직물이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120 분 동안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직물 표면을, 각각의 측면 상에서 UV 선으로 1.5 시간 동안 멸균시켰다.
직물을,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2 % 수용성 농축액의 하기 농도의 작업 용액으로 처리하였다:
Figure pct00012
각각의 직물 샘플을 멸균 페트리 접시에 놓고, 0.2 ㎖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포자 현탁액 (3 × 104 cfu/㎖) 을 표면 상에 도입하였다. 현탁액을 2-3 분 동안 직물 표면에 침지시켰다. 이 후, 이러한 20 ㎖ 의 트립톤 생리 식염수 (0.85 % NaCl 및 0.2 % 폴리소르베이트 80) 를, 직물 표면과 접촉시키지 않으면서, 각각의 페트리 접시에 신중하게 도입하였다. 모든 접시를 표시하였으며, 30 ℃ 에서 30 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2 일째에, 대조 샘플에서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균사 성장이 나타났으며; 5 일째에,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검정색 포자 형태가 나타났다. 접촉 후 21 일 동안 농도 0.005 % (50 ppm) 에서, 가시적인 성장, 즉, 직물 표면 상에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검정색 콜로니가 나타났다. 0.02 % (200 ppm), 0.01 % (100 ppm) 및 0.04 % (400 ppm) 의 농도에서의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의 가시적인 성장은, 모든 배양 시간 동안에 존재하지 않았다. 표 12 는 대조 샘플에서의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16404 의 성장을 제시하고, 표 13 은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에서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16404 의 성장을 제시한다.
표 12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대조군 (30 일)
Figure pct00013
표 13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 (30 일)
Figure pct00014
수정된 EVS-EN ISO 20743:2013 에 따르면, 함침된 텍스타일에서의 농도 100 ppm, 200 ppm 및 400 ppm 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참조 균주인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이전,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Aspergillus niger)) ATCC 16404 에 대해, 29.5 ℃ ± 0.5 ℃ (> 5 lg) 에서의 30 일 접촉 시간에서 강력한 정진균 활성을 가진다.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의 요약을 표 14 에 제시한다. 하기의 수식 및 약어가 계산에 사용되었다:
M = CB × 20;
CB = Z × R;
M 은 견본 당 진균의 수이다;
CB 는 진균 농도 (CFU/㎖) 이다;
Z 는 CFU/1 ㎖ 의 접종원으로의, 페트리 접시의 평균 값이다;
R 은 희석율이다;
CFU 는 콜로니 형성 단위이다;
F 는 대조 견본에 대한 성장 값이다;
lg Ct 는 30 일의 배양 후 대조 견본으로부터 수득되는 진균의 수의 산술 평균의 일반적인 대수이다;
lg Co 는 접종 직후 대조 견본으로부터 수득되는 진균의 수의 산술 평균의 일반적인 대수이다;
A 는 정진균 활성 값이다;
G 는 항진균 시험 견본에 대한 성장 값이다;
lg Tt 는 18 일의 배양 후 항진균 시험 견본으로부터 수득되는 진균의 수의 산술 평균의 일반적인 대수이다;
lg To 는 접종 직후 항진균 시험 견본으로부터 수득되는 진균의 수의 산술 평균의 일반적인 대수이다.
표 14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동시에,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1:600 및 1:800 의 보다 큰 희석율을 연구하였다. 제품 활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에서, 아스페르길루스 (Aspergillus) 검정색 콜로니의 가시적인 성장은 접촉 시간 5 일째에 나타났다.
표 14 에 제시된 시험 결과의 요약은, 강력한 정진균 활성이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100 ppm 의 농도에서 이미 달성되었으며, 보다 큰 농도, 즉, 200 ppm 및 400 ppm 에서의 정진균 활성 값은,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보다 적은 100 ppm 농도로 달성한 것과 매우 유사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100 ppm 의 농도에서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텍스타일과 같은 섬유 재료에 강력한 정진균 활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겹쳐진 직물의 살진균 특성
동시에, 패키지 내의 직물의 살진균 특성을 연구하였다. 직물을,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2 % 수용성 농축액의 하기 농도로 처리하였다:
Figure pct00017
먼저, 시험 및 대조 견본을 UV 로 멸균시켰다 (각각의 측면 상에서 1.5 시간 동안). 동일한 샘플의 4 개의 직물 조각을 멸균 페트리 접시에 연속적으로 놓고, 0.05 ㎖ 의 접종원 (포자 현탁액 3 × 104 cfu/㎖) 을, 각각의 시험 견본 상의 몇개의 지점에서 정확하게 피펫팅하였다. 각각의 시험 견본 (층) 을 하나씩 접종하였다. 이어서, 4 개의 시험 견본 (층) 을, 하나의 플레이트 (페트리 접시) 에 하나의 농도로 놓았다 (쌓았다). 접종 직후, 20 ㎖ 의 트립톤 염화 나트륨 용액을 각각의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밀폐시켰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손으로 신중하게 서서히 혼합하였다. 플레이트를 29.5 ℃ ± 0.5 ℃ 에서 18 일 동안 배양하였다 (대조 견본 및 3 개의 시험 견본: 200 ppm, 400 ppm 및 800 ppm).
대조 샘플에서의 시험 유기체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16404 의 성장을 표 15 에 제시하고, 3 가지 농도 수준 (200, 400 및 800 ppm) 에서의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상응하는 결과를 표 16 에 제시한다.
표 15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대조군 (18 일)
Figure pct00018
표 16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 (18 일)
Figure pct00019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의 요약을 표 17 에 제시한다. 정진균 활성의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수식 및 약어가 사용되었다. 수정된 EVS-EN ISO 20743:2013 에 따르면, 함침된 텍스타일에서의 농도 200 ppm, 400 ppm 및 800 ppm (v/v) 에서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2 % 농축액은, 참조 균주인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이전,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Aspergillus niger)) 에 대해, 29.5 ℃ ± 0.5 ℃ 에서의 18 일 접촉 시간에서 강력한 정진균 활성 (> 7 lg) 을 가진다.
표 17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
Figure pct00020
결과는, 0.15-0.3 g/㎡ 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된 직물이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이전, 아스페르길루스 니게르 (Aspergillus niger)) ATCC 16404 에 대해 안정한 정진균 활성을 수득하며, 포자의 영양 형태로의 발달을 저해하고, 그 결과로서 진균의 번식을 억제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예시한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고습도 환경에서의 직물 제품의 곰팡이 생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항진균 방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처리된 직물 조각이 겹쳐지면, 이들의 항진균 특성이 유지된다.
실시예 2.2
실시예 1.2 에서 기술한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항균 특성에 대한 반복 세정의 효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항균 특성
실시예 1.2 에서 제조되는 섬유 재료의 살균 특성은 표준 방법 EN20743:2013 에 의해 결정하였다. 세균 모델인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을 선택하고, 직물의 시험 샘플을 놓은 페트리 접시에서 시험을 3 회 수행하였다. 0.2 ㎖ 의 미생물 현탁액을 상기 방법에 따라서 직물에 적용하였다. 각각의 군은 0.4 g 의 손상되지 않은 직물의 3 개의 샘플 및 0.4 g 의 함침된 직물의 3 개의 샘플 (폴리에스테르 62 %, 코튼 35 %, 스판덱스 3 %) 을 함유하였으며, 0.4 g 의 함침된 직물의 3 개의 샘플 (폴리에스테르 62 %, 코튼 35 %, 스판덱스 3 %) 은 10 회 세탁하고, 건조시켰다. 대조를 위해, 또한 미생물 용액을,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하지 않은 직물 샘플에 적용하였다. 미생물 현탁액을 직물 상에서 23.5 ± 0.5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시험 방법 EN20743:2013 에 따라서 후속 절차를 수행하였다.
표 18 은 대조 샘플에서의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의 성장을 예시하고, 표 19 는 새롭게 함침된 텍스타일에서의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의 성장을 예시하며, 표 20 은 새롭게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의 요약을 예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수식 및 약어가 사용되었다.
표 18 새롭게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대조군 (24 h)
Figure pct00021
표 19 새롭게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 (24 h)
Figure pct00022
표 20 새롭게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
Figure pct00023
결과적으로, 0.15/㎡ 의 양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된 직물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에 대한 강력한 살균 활성을 지속하였으며, 미처리 샘플 (EN20743:2013 의 관점) 에 비해서, 3 배가 넘는 지수의 세균 성장의 감소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직물의 살균 특성의 지속 가능성
본 실시예는 실시예 1.2 로부터 수득되는 함침된 직물의 세정 저항성 특성을 예시한다.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수용액 중에서 고정시키는 주요 보조 물질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복합체인 것으로 고려되기 때문에, 직물 구조로부터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씻겨낼 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을 함유하는 세제의 효과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진 것으로 여겨진다.
실시예 1.2 에 따른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된 직물을 모델 직물로서 취하고, 화학적 살생물제의 중화를 위한 과학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제품인 Tween 80 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모델로서 선택하였다. 세제의 작업 용액은, 2.5 g Tween 80/1 리터 물을 40 ℃ 의 온도에서 칭량하여 제조하였다.
계면활성제 용액을 플라스크에 붓고, 30 ℃ 의 가열 온도를 갖는 자석 교반기 상에 놓았다. 3 개의 직물 샘플을 용액 중에 넣고, 세제 용액 중에서 40 rpm 으로 15 분 동안 회전시켰다. 이로써, 기계적 작용 및 직물의 시험 샘플에 대한 세제의 영향의 조합이 시뮬레이션되었다. 상기 절차 후, 직물 샘플을 금속 표면 상에 놓고, 건조를 위해 37 ℃ 에서 온도 조절기 내에 놓았다. 건조는 직물이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120 분 동안 수행하였다. 기계적 충격 및 세제 효과, 헹굼 및 건조로 이루어진 완전한 세정 사이클을 시뮬레이션하여, 총 10 회의 전체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살균 특성에 대해 시험하였으며, 시험은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및 방법 EN20743:2013 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표 21 은 10 회 세탁된 대조 샘플에서의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의 성장을 예시하고, 표 22 는 10 회 세탁된 함침된 텍스타일에서의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의 성장을 예시하며, 표 23 은 10 회 세탁된 함침된 텍스타일의 시험에 대한 요약을 예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수식 및 약어가 사용되었다.
표 21 10 회 세탁된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대조군 (24 h)
Figure pct00024
표 22 10 회 세탁된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 (24 h)
Figure pct00025
표 23 10 회 세탁된 함침된 텍스타일에 대한 시험
Figure pct00026
표 21-23 에 제시한 결과에 따르면, 중화제 Tween 80 으로 10 회의 세정 사이클 후에, 0.15 g/㎡ 의 양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된 직물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에 대한 강력한 살균 활성을 지속하였으며, 미처리 샘플 (EN20743: 2013 의 관점) 에 비해서, 3 배가 넘는 지수의 세균 성장의 감소를 나타냈다.
실시예 2.3
실시예 2.3 에서는, 미처리 섬유 재료의 물리적 특성과 비교한, 처리 섬유 재료의 물리적 특성이 나타난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물리적 특성
표 24 는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된 섬유 재료의 생리적 특성을 제시한다.
표 24 섬유 재료의 생리적 특성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표 2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초기 미처리 섬유 재료와 거의 동일한 생리적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수성 수지 산 조성물을 사용하여 섬유 재료를 제조하는 것은, 생성된 섬유 제품의 물리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수성 수지 산 조성물로 섬유 재료를 처리하는 것은, 제품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실시예 3
이 비교예는 알코올-기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 뿐만 아니라, 수계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로 함침된 섬유 재료의 항균 특성을 나타낸다. 이들 연구의 세부 사항은 실시예 3.1 및 3.2 에서 제시된다.
실시예 3.1
본 실시예는,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코올-기재 용액에 섬유 재료를 침지시키고, 상기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SFS-EN ISO 20743 방법에 따라서 세정 전 및 후에 항세균 활성을 결정하는, 실험의 결과를 제시한다. 상기 알코올 기재 침엽수 수지 산 용액은 유화제 또는 습윤제를 함유하지 않았다. 그러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항균 특성은 4 차 암모늄 화합물에 의해 향상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소량의 4 차 암모늄 화합물을 조성물에 첨가하였다.
알코올-기재 침엽수 수지 산 용액의 조성물
알코올-기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은 70-80 % 의 에탄올, ≤ 0.03 % 의 4 차 암모늄 화합물, < 1 % 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 및 물로 이루어졌다.
알코올-기재 침엽수 수지 산 용액으로 함침된 섬유 재료의 항균 특성
시험은 3 개의 상이한 직물 재료로 수행하였으며, 10 회 세정 후에 항균 활성을 결정하였다. 표 25 는 스포츠 양말에 대한 시험 결과를 제시한다. 스포츠 텍스타일 및 트리코트 니트에 대한 상응하는 결과는 각각 표 26 및 27 에 제시한다. 시험한 재료 중 어느 것도, 오래 지속되는 항균 특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결과는 알코올-기재 용액에 의한 함침이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섬유 재료에 결합시키는데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표 25 10 회 세정 후의 스포츠 양말의 항균 특성의 결정을 위한 시험 결과
Figure pct00029
*항세균 특성의 효능은 하기의 등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표준에 따라서 정의하였다: 2 ≤ A < 3 유의함, A ≥ 3 강력함. 표준은 2 미만의 결과에 대한 등급을 부여하지 않는다.
표 26 10 회 세정 후의 스포츠 텍스타일의 항균 특성의 결정을 위한 시험 결과
Figure pct00030
*항세균 특성의 효능은 하기의 등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표준에 따라서 정의하였다: 2 ≤ A < 3 유의함, A ≥ 3 강력함. 표준은 2 미만의 결과에 대한 등급을 부여하지 않는다.
표 27 10 회 세정 후의 트리코트 니트의 항균 특성의 결정을 위한 시험 결과
Figure pct00031
*항세균 특성의 효능은 하기의 등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표준에 따라서 정의하였다: 2 ≤ A < 3 유의함, A ≥ 3 강력함. 표준은 2 미만의 결과에 대한 등급을 부여하지 않는다.
결과는, 알코올-기재 침엽수 수지 산 용액에 의한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의 오래 지속되는 항세균 특성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실시예 3.2
본 실시예는,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계 용액에 섬유 재료를 침지시키고, 상기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SFS-EN ISO 20743 방법에 따라서 10 회 세정 후에 항세균 활성을 결정하는, 실험의 결과를 제시한다. 상기 수계 침엽수 수지 산 용액은 유화제 또는 습윤제를 함유하지 않았다. 그러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항균 특성은 4 차 암모늄 화합물에 의해 향상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소량의 4 차 암모늄 화합물을 조성물에 첨가하였다.
수계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조성
수계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은, 먼저 알코올 중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30 % 용액을 제조하고, 이어서 이 알코올성 침엽수 수지 산 용액을 약 0.9 wt-% 의 양으로 수성 세제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생성된 수계 용액은 ≤ 5 % 의 지방 알코올 에톡시레이트, ≤ 7 % 의 4 차 암모늄 화합물, ≤ 2 % 의 탄산 나트륨, ≤ 1 % 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 물 및 착물 형성제로서 테트라칼륨 피로포스페이트로 이루어졌다.
수계 침엽수 수지 산 용액으로 함침된 섬유 재료의 항균 특성
시험은 3 개의 상이한 직물 재료로 수행하였으며, 10 회 세정 후에 항균 활성을 결정하였다. 표 28 은 스포츠 양말에 대한 시험 결과를 제시한다. 스포츠 텍스타일 및 트리코트 니트에 대한 상응하는 결과는 각각 표 29 및 30 에 제시한다. 시험한 재료 중 어느 것도, 오래 지속되는 항균 특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결과는 수계 용액에 의한 함침이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섬유 재료에 결합시키는데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표 28 10 회 세정 후의 스포츠 양말의 항균 특성의 결정을 위한 시험 결과
Figure pct00032
*항세균 특성의 효능은 하기의 등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표준에 따라서 정의하였다: 2 ≤ A < 3 유의함, A ≥ 3 강력함. 표준은 2 미만의 결과에 대한 등급을 부여하지 않는다.
표 29 10 회 세정 후의 스포츠 텍스타일의 항균 특성의 결정을 위한 시험 결과
Figure pct00033
*항세균 특성의 효능은 하기의 등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표준에 따라서 정의하였다: 2 ≤ A < 3 유의함, A ≥ 3 강력함. 표준은 2 미만의 결과에 대한 등급을 부여하지 않는다.
표 30 10 회 세정 후의 트리코트 니트의 항균 특성의 결정을 위한 시험 결과
Figure pct00034
*항세균 특성의 효능은 하기의 등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표준에 따라서 정의하였다: 2 ≤ A < 3 유의함, A ≥ 3 강력함. 표준은 2 미만의 결과에 대한 등급을 부여하지 않는다.
결과는, 수계 침엽수 수지 산 용액에 의한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의 오래 지속되는 항세균 특성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비교예 3 의 결과는,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계 용액으로, 텍스타일 제품에서의 오래 지속되는 항균 특성을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비교예 3 은,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알코올-기재 용액 및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수계 용액 모두가 텍스타일 제품에서의 오래 지속되는 항균 특성을 수득하는데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결과는,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유화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I)) 시키지 않고서, 오래 지속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교예의 결과는,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의 두 용액 모두가, 침엽수 수지 산의 항균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4 차 암모늄 화합물을 함유하였기 때문에, 더욱더 중요하고, 놀랍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PVDF 로 이루어졌으며, 이것은 외과용 실, 봉합 재료 또는 외과용 메쉬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상기 섬유 재료는, 실시예 1.2 의 수용성 농축액을 1:100 의 비율로 희석시킴으로써 수득되는 항균 조성물로 처리한다. 항균 시험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에 대해 표준 SFS-EN ISO 20743 에 따라서 수행하였으며, 정진균 시험은 실시예 2.1 에서와 같이,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16404 에 대해 표준 EVS-EN ISO 20743:2013 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수득된 결과는, 상기에서 제시된 섬유 재료에 대한 실시예와 유사하였다. 외과용 실의 미생물 활성은, 대조군으로서 사용된 미처리 외과용 실에 비해서, 3 배가 넘는 지수의 감소를 나타냈다. 따라서, 섬유 재료는 강력한 살균 및 살진균 활성을 가졌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섬유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PP) 으로 이루어졌으며, 이것은 부직포 수술용 마스크 및/또는 수술복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상기 섬유 재료는, 실시예 1.2 의 수용성 농축액을 1:100 의 비율로 희석시킴으로써 수득되는 항균 조성물로 처리한다. 섬유 재료를, 실시예 1.2 에서와 같이, 상기에서 제시된 방법에 따라서 수성 수지 산 유화액에 함침시켰다. 항균 시험은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에 대해 표준 SFS-EN ISO 20743 에 따라서 수행하였으며, 정진균 시험은 실시예 2.1 에서와 같이,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16404 에 대해 표준 EVS-EN ISO 20743:2013 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수득된 결과는, 상기에서 제시된 섬유 재료에 대한 실시예와 유사하였다. 수술용 마스크 및 수술복의 미생물 활성은, 대조군으로서 사용된 미처리 수술용 마스크 및 의류에 비해서, 3 배가 넘는 지수의 감소를 나타냈다. 따라서, 섬유 재료는 강력한 항균 및 항진균 특성을 가졌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미처리 섬유 재료에 비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을 제시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초기의 (미처리된), 및 침엽수 수지 산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로 처리된 3 가지 재료의 입자 방출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는 실시예 1.2 에서와 같이 제조하였다. 건조 상태에서의 린트 (lint) 및 다른 입자의 발생은, QLT (퀵 린팅 시험) 장치와 거의 차이가 없는 표준 SFS-EN ISO 9073-10 에 따라서 결정하였다.
실시예 6.1 은 초기 및 처리의 3 가지 재료의 입자 방출을 제시한다.
실시예 6.1
처리된 섬유 재료는 실시예 1.2 에서와 같이, 수용성 농축액의 작업 용액으로 제조하였다. 재료의 방출은 QLT 측정 (퀵 린팅 시험) 으로 결정하였다. 측정은 하기의 재료 (초기 및 처리) 에 대해 수행되었다:
1. 마이크로섬유, 회색, 110 g, 90 % PES - 10 % 스판덱스,
2. 플렉스, 백색, 200 g, 62 % PES - 35 % CO - 10 % 스판덱스,
3. 마이크로섬유 저지, 검정색, 175-185 g, 90 % PES - 10 % 스판덱스.
QLT (퀵 린팅 시험)
건조 상태에서의 린트 및 다른 입자의 발생은, QLT (퀵 린팅 시험) 장치와 거의 차이가 없는 표준 SFS-EN ISO 9073-10 에 따라서 결정하였다. 샘플은 시험 챔버에서, 조합된 비틀림 및 압축 작용을 받았다.
3 가지 평행한 결정은 재료의 양측 (A 우측 및 B 나쁨) 에 대해 수행하였다. 견본을 QLT 측정 장치의 챔버 (27 d㎥) 내의 샤프트 위에 놓았다. 샤프트는 비틀림 및 압축 운동을 일으켰다. 구부리는 동안, 공기가 챔버로부터 제거되었으며, 레이저 입자 카운터 Hiac Royco 5230 에서 공기 스트림 중의 미립자 (0.3 - 25 ㎛) 를 계수하고, 분류하였다. QLT 장치의 챔버의 공기는 HEPA 여과하였다. 챔버의 입자 농도는 시험전에 측정하였으며, 이것은 샘플의 결과로부터 공제하였다. 측정은 (50 ± 5) % RH 의 상대 습도 및 (23 ± 2) ℃ 의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재료의 입자 방출은, 상이한 크기의 입자의 방출이 나타나도록, 입자 크기 카테고리로부터 계산하였다. 린팅 값은 양측 (A 및 B) 에 대해 별도로 계산하였으며, 재료에 대해 양측의 평균 (재료의 린팅) 으로서 계산하였다. 총 린팅은 모든 카운트의 합계이다.
재료의 입자 방출
입자의 방출은 표 31 에서 입자 크기 분류에 의해 나타내고, 표 32 에서 전체 재료의 린팅으로서 나타낸다.
표 31 QLT 측정을 통한 재료의 입자 방출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표 32 0.3-25 ㎛ 의 입자 크기 범위에서의 전체 재료의 린팅 [pcs]
Figure pct00037
실시예 7
실시예 7 은, 3 가지 상이하게 처리된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을 비교한 비교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예는 미처리 섬유 재료, 실시예 1.2 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처리된 섬유 재료, 및 실시예 3.1 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알코올성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된 섬유 재료로부터의 입자 방출 값을 보여준다. 이들 연구의 세부 사항은 실시예 7.1 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7.1
이 연구의 목적은 3 가지 재료의 입자 방출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재료의 방출은 상기 실시예 5 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QLT 측정 (퀵 린팅 시험) 으로 결정하였다. 측정은 하기의 재료에 대해 수행되었다:
1. 적색, 100 % 코튼, 초기 (미처리)
2. 적색, 100 % 코튼, 알코올성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
3. 적색, 100 % 코튼, 수성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 및 실시예 1.2 에서와 같이 제조
QLT (퀵 린팅 시험)
QLT 측정은 상기 실시예 6.1 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표준 SFS-EN ISO 9073-10 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재료의 입자 방출
입자의 방출은, 표 33 에서 입자 크기 분류에 의해 나타내고, 표 34 에서 전체 재료의 린팅으로서 나타낸다.
표 33 QLT 측정을 통한 재료의 입자 방출
Figure pct00038
표 34 0.3-25 ㎛ 의 입자 크기 범위에서의 전체 재료의 린팅 [pcs]
Figure pct00039
표 33 및 3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코올성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된 섬유 재료는 놀랍게도, 초기 (미처리) 섬유 재료 및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수지 산 조성물로 처리된 섬유 재료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전체 입자 방출 값을 가진다. 알코올성 수지 산 조성물로의 처리는, 전체 입자 방출 값을 50 % 초과로 증가시킨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수지 산 조성물로의 처리는, 전체 입자 방출 값을 거의 50 % 감소시킨다. 이러한 매우 놀라운 발견은, 상이한 종류의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 (즉, 알코올성 대 수성 유화액) 로 제조된 섬유 제품이 완전히 상이한 제품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Claims (24)

  1.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
    I) 유화제 및 습윤제를 사용하여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수용액에 유화시키는 단계,
    II) 이와 같이 형성된 유화액을 함침에 의해 섬유 재료로 이동시키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II) 에서, 함침이, 함침, 침지, 분무, 코팅, 담금에 의해, 및/또는 공기 또는 습식 레이드 웹 (laid web) 형성 동안에, 유화액을 섬유 재료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섬유 재료를 후-처리하여 최종 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III)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단계 III) 에서, 후-처리가, 섬유 재료를 주위 온도에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80 ℃ 에서 1 내지 120 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 에서 10 내지 120 분 동안, 또는 건조될 때까지 건조시켜 용매를 증발시키고, 섬유 재료를 물로 세정하여 유화제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 에서의 유화제가 유화제 및 습윤제로서 모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 이 낮은 점착 잔류성 및 탁월한 습윤성을 갖는 알파 올레핀에서, 바람직하게는 C10-C18 알파 올레핀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C12-C16 알파 올레핀에서 선택되는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I) 이 에톡시화된 지방족 아민에서 선택되는 유화제를 포함하고, 에톡시화도가 2 내지 15 mole 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유화제가 코코 기재 (base), 올레산 기재, 대두 기재 또는 우지 기재를 갖는 아민 에톡시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단계 I) 이 아민 옥사이드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C10-C16 알킬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에서 선택되는 습윤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 1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pH 조절제가 단계 I) 에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 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먼저, 이소프로판올에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 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을 먼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2-메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2-에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2-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테르 (2-이소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2-부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2-페녹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벤질 에테르 (2-벤질옥시에탄올),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메틸 카르비톨),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카르비톨 셀로솔브),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n-부틸 에테르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부틸 카르비톨) 와 같은 E-시리즈 글리콜 에테르,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또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P-시리즈 글리콜 에테르, 및/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용매에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 에서, 침엽수 수지 산 조성물이 적어도 70-80 wt-% 의 수지/로진 산을 포함하고, 이 중, > 90 wt-%, 바람직하게는 > 95 wt-% 가 자유 수지/로진 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I) 에서, 함침이, 섬유 재료로의 항균제의 접착을 가능하게 하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80 초 미만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0 초 동안,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초 동안, 적합한 용매 중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4. 침엽수 수지 산이, 섬유를 덮는 섬유 재료 상에 분자 네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엽수 수지 산의 수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
  15. 제 14 항에 있어서,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입자 방출이, 표준 SFS-EN ISO 9073-10 에 따라 QLT 측정 (퀵 린팅 시험 (Quick Linting Test)) 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미처리 섬유 재료에 비해서, 약 5-100 %, 바람직하게는 약 10-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85 %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재료가 항세균 및 항진균 특성을 가지며, 항균 활성 값이, 표준 방법 EVS-EN ISO 20743:2013 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 ≥ lg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재료가, 표준 방법 EVS-EN ISO 20743:2013 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ATCC6538 및 아스페르길루스 브라실리엔시스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16404 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
  18. 침엽수 수지 산, 용매, 유화제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재료의 처리에서 수용성 농축액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수성 항균 조성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pH 조절제 및 습윤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항균 조성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습윤제가 아민 옥사이드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C10-C16 알킬 디메틸 아민 옥사이드에서 선택되고, 유화제가 에톡시화된 지방족 아민에서 선택되며, 에톡시화도가 2 내지 15 mole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유화제가 코코 기재, 올레산 기재, 대두 기재 또는 우지 기재를 갖는 아민 에톡시레이트이며, 용매가 이소프로판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항균 조성물.
  21. 제 19 항에 있어서, pH 조절제가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 및/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항균 조성물.
  22. 제 18 항에 있어서,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2-메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2-에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2-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테르 (2-이소프로폭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2-부톡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2-페녹시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벤질 에테르 (2-벤질옥시에탄올),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2-(2-메톡시에톡시)에탄올, 메틸 카르비톨),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2-(2-에톡시에톡시)에탄올, 카르비톨 셀로솔브),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n-부틸 에테르 (2-(2-부톡시에톡시)에탄올, 부틸 카르비톨) 와 같은 E-시리즈 글리콜 에테르,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또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P-시리즈 글리콜 에테르, 및/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용매, 및 낮은 점착 잔류성 및 탁월한 습윤성을 갖는 알파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C10-C18 알파 올레핀, 특히 바람직하게는 C12-C16 알파 올레핀에서 선택되는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항균 조성물.
  23.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 재료가 동물성, 식물성, 광물성 또는 합성 섬유 및/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
  24. 직물, 모피, 피혁, 의류, 캔버스, 티슈, 플라스틱, 웹 (web), 액세서리, 포장 재료, 벽지, 식품 관련 제품, 가정용 제품, 신발, 건축 재료, 절연 재료 및 의료 제품에서의,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용도.
KR1020197016583A 2016-11-17 2017-11-16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 KR102477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65868A FI129406B (en) 2016-11-17 2016-11-17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ibrous materials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FI20165868 2016-11-17
PCT/FI2017/050790 WO2018091783A1 (en) 2016-11-17 2017-11-16 Process for producing fibrous material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522A true KR20190077522A (ko) 2019-07-03
KR102477967B1 KR102477967B1 (ko) 2022-12-14

Family

ID=6214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583A KR102477967B1 (ko) 2016-11-17 2017-11-16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1598047B2 (ko)
EP (1) EP3541987A4 (ko)
JP (1) JP7081834B2 (ko)
KR (1) KR102477967B1 (ko)
CN (1) CN110312831B (ko)
AU (1) AU2017361917B2 (ko)
BR (1) BR112019010031B1 (ko)
CA (1) CA3044141A1 (ko)
FI (1) FI129406B (ko)
WO (1) WO201809178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519B1 (ko) 2022-09-09 2023-01-12 권명진 구리섬유를 활용한 임산복
KR20230085359A (ko) 2021-12-07 2023-06-14 한전건 금속나노 이온 클러스터를 함유한 미술용 천 또는 종이
KR20230106438A (ko) * 2022-01-06 2023-07-13 장선경 다층 구조를 가지는 고성능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185450A1 (en) * 2018-05-16 2019-11-17 Nordic Biotech Group Oy Antimicrobial composition
JP7269796B2 (ja) * 2019-05-27 2023-05-09 東洋紡株式会社 動物用衣類、および動物用生体情報計測装置
FI129488B (en) * 2020-04-28 2022-03-15 Nordic Biotech Group Oy LUBRICATE COMPOSITION,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OF THE COMPOSITION
US20230089270A1 (en) * 2021-08-17 2023-03-23 Ishika Nag Dual application nanoparticle coated filtration system for air pollution and virus abatement
US20230405371A1 (en) * 2022-06-09 2023-12-21 Ishika Nag Dual layered nanoparticle coated masks for efficient and cost-effective filtration of air pollutants and viruses
WO2024052528A1 (en) 2022-09-09 2024-03-14 Shl Medical Ag Drug delivery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6436A (ko) * 2008-05-15 2011-02-1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항균성 습윤 와이프
JP2013507347A (ja) * 2009-10-08 2013-03-04 タイガ ポリマーズ オーワイ 抗微生物組成物
WO2016116668A1 (en) * 2015-01-20 2016-07-28 Repolar Pharmaceuticals Oy Microbicidal oil-in-water dispers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8973A (en) * 1935-06-27 1938-09-06 Du Pont Protective composition for fruits and the like
CO5170451A1 (es) * 1999-04-23 2002-06-27 Kimberly Clark Co Panos limpiadores humedos que tienen beneficios de salud para la piel
US20050136100A1 (en) 1999-05-27 2005-06-23 Foss Manufacturing Co., Inc. Hollow anti-microbial fibers and fibrous products
US6908962B1 (en) * 1999-07-26 2005-06-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silicone oil emulsion composition, article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fabric wrinkle control
CA2538119C (en) * 2003-09-09 2013-05-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centrated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070048345A1 (en) * 2005-08-31 2007-03-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timicrobial composition
DE102006058790A1 (de) 2006-12-12 2008-06-19 Sanitized Ag Verfahren zur antimikrobiellen Ausrüstung von Textilien und Faser
US20100136074A1 (en) 2007-05-01 2010-06-03 Oplon B.V. Biocidic textiles and fabrics
BRPI0814335A2 (pt) * 2007-07-31 2015-01-20 Basf Se Uso de uma nanodispersão, e, formulação final cosmética
CN101642110A (zh) * 2009-08-21 2010-02-10 青岛星牌作物科学有限公司 松脂酸铜·叶枯唑悬乳剂及应用
FI20120287A (fi) * 2011-10-26 2013-04-27 Patolab Oy Hartsihappoja sisältävä vesikoostumus käytettäväksi antimikrobisena hoitoaineena ja lisäaineena
RU2543163C2 (ru) * 2012-12-25 2015-02-27 Аризона Кемикал Кампани, ЛЛК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канифоли
CA2924311C (en) * 2013-11-13 2023-11-21 Hankkija Oy A feed supplement and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resin acid based composition
CN106259335B (zh) * 2016-08-03 2019-04-02 顾爱国 一种松脂酸钠微乳剂
JP2018066090A (ja) * 2016-10-21 2018-04-26 リグニ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Lignin Co., Ltd. 天然抗菌性松脂吸着装置及び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6436A (ko) * 2008-05-15 2011-02-1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항균성 습윤 와이프
JP2013507347A (ja) * 2009-10-08 2013-03-04 タイガ ポリマーズ オーワイ 抗微生物組成物
WO2016116668A1 (en) * 2015-01-20 2016-07-28 Repolar Pharmaceuticals Oy Microbicidal oil-in-water dispers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359A (ko) 2021-12-07 2023-06-14 한전건 금속나노 이온 클러스터를 함유한 미술용 천 또는 종이
KR20230106438A (ko) * 2022-01-06 2023-07-13 장선경 다층 구조를 가지는 고성능 패드
KR102487519B1 (ko) 2022-09-09 2023-01-12 권명진 구리섬유를 활용한 임산복
KR102528374B1 (ko) 2022-09-09 2023-05-02 권명진 항균 기능성 원단을 이용한 임산복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2375A (ja) 2020-01-23
US11598047B2 (en) 2023-03-07
EP3541987A4 (en) 2020-05-27
WO2018091783A1 (en) 2018-05-24
BR112019010031B1 (pt) 2023-11-28
EP3541987A1 (en) 2019-09-25
FI20165868A (fi) 2018-05-18
AU2017361917A1 (en) 2019-06-06
BR112019010031A2 (pt) 2019-09-03
CN110312831A (zh) 2019-10-08
JP7081834B2 (ja) 2022-06-07
CA3044141A1 (en) 2018-05-24
FI129406B (en) 2022-01-31
AU2017361917B2 (en) 2023-03-16
KR102477967B1 (ko) 2022-12-14
CN110312831B (zh) 2023-02-28
FI20165868L (fi) 2018-05-18
US20190271111A1 (en) 2019-09-05
US20230250578A1 (en)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7967B1 (ko) 항균 특성을 갖는 섬유 재료의 제조 방법
EP2694721A1 (en)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synthetic textiles with cationic biocides
CN102933762A (zh) 合成无纺织物的抗微生物处理
CN102459747A (zh) 包含过氧化物的抗菌纺织物
TWI676723B (zh) 抗菌/抗真菌加工製品的製法及利用此製法得到之抗菌/抗真菌加工製品
CN112236037A (zh) 抗微生物组合物
WO2018085564A2 (en) 3-in-one fabric conditioners and softeners comprising antimicrobial agents
US20030026833A1 (en) Synergistic antimicrobial textile finish
CN116575235A (zh) 一种生物基防螨抗菌整理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DE60027951T2 (de) Cellulosefasern enthaltendes Flächengebilde
JP3887053B2 (ja) 抗菌性繊維製品およびその製造法
JP2022129672A (ja) 害虫の忌避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害虫忌避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洗濯洗剤、洗濯仕上げ剤
Sagar Biodeterioration of textile materials and textile preservation
JP4324893B2 (ja) 衛生性に優れる変性ポリエステル系繊維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436458B (zh) 一种家居用防螨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3413399A (en) Water-repellent and preservat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JP7321062B2 (ja) 繊維用抗菌防臭剤、繊維用処理液および抗菌防臭繊維
US9743661B2 (en) Method of killing bedbug eggs
US20220349117A1 (en) Plant based anti-microbial fabric treatment, treated fabrics, and associated methods
JPH11246308A (ja) 抗菌防ダニ剤組成物
JP2019081970A (ja) 繊維製品から発生する異臭物質に対する消臭加工剤、ならびにそれを用いて処理した繊維製品ならびに加工方法。
WO2013175527A1 (ja) 繊維用抗菌性コート剤及び抗菌性繊維製品
CN109853232A (zh) 一种衣物调理剂及其制备方法
KR910003655B1 (ko) 항균방취(抗菌防臭)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JP2001271269A (ja) 繊維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