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037A -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및 그의 예방과 치료 - Google Patents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및 그의 예방과 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037A
KR20190077037A KR1020197015338A KR20197015338A KR20190077037A KR 20190077037 A KR20190077037 A KR 20190077037A KR 1020197015338 A KR1020197015338 A KR 1020197015338A KR 20197015338 A KR20197015338 A KR 20197015338A KR 20190077037 A KR20190077037 A KR 20190077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px2
diabetes
expression
type
glucose metabol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룽 위
완-롱 추앙
지-푸 후앙
치아-옌 다이
위-민 코
Original Assignee
카오슝 메디칼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슝 메디칼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카오슝 메디칼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19007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4Oxidoreductases (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enzymes or isoenzy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26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 C12Q1/2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involving peroxid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11/00Oxidoreductases acting on a peroxide as acceptor (1.11)
    • C12Y111/01Peroxidases (1.11.1)
    • C12Y111/01009Glutathione peroxidase (1.11.1.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8RNA viruses
    • G01N2333/18Togaviridae; Flaviviridae
    • G01N2333/183Flaviviridae, e.g. pestivirus, mucosal disease virus,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classical swine fever virus (hog cholera virus) or border disease virus
    • G01N2333/186Hepatitis C; Hepatitis NAN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02Oxidoreductases (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02Oxidoreductases (1.)
    • G01N2333/908Oxidoreductases (1.) acting on hydrogen peroxide as acceptor (1.1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01N2800/042Disorders of carbohydrate metabolism, e.g. diabetes, glucose metabol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0Determining the risk of developing a dise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70Mechanisms involved in disease identification
    • G01N2800/7057(Intracellular) signaling and trafficking pathways
    • G01N2800/7066Metabolic pathways
    • G01N2800/7071Carbohydrate metabolism, e.g. glycolysis, gluconeogen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hepatitis
    • G01N33/5767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hepatitis non-A, non-B hepat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abet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험체 중 GPx2 유전자 발현, GPx2 단백질 발현량, 또는 GPx2의 단백질 활성을 검출하여 정상 개체의 GPx2 발현량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개체의 GPx2 발현량이 상기 정상 개체의 GPx2 발현량보다 현저하게 낮다는 것은 상기 개체가 당대사 이상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GPx2를 제2형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의약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및 그의 예방과 치료
본 발명은 글루타티온 과산화효소 2(glutathione peroxidase 2, GPx2)를 이용해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및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하는 분야에 관한 것이다.
식습관이 변화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발병률이 해마다 높아지고 있으며, 그 합병증은 이미 인류의 주요한 사망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C형 간염 바이러스가 당뇨병의 위험인자 중 하나이며 당뇨병 환자를 증가시키고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증거가 다수 발견되었다.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점차 심각한 과제로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 당뇨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유효 약물이 없는 상황이다. 치료 측면에서 저혈당 약물이 있기는 하나 사용 측면에서 여전히 제한적이며, 일부 약물은 치료 효과가 한정적이고 저혈당 합병증을 쉽게 유발하기도 한다.
만성 C형 간염 환자는 자주 혈당치가 이상적으로 높아지며 당뇨병까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현상의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TNF-α계의 활성화, 간세포의 지방화 또는 섬유화가 인슐린 저항성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종래 연구에서는 인슐린 저항성과 C형 간염 질환에 대한 진전이 있었는데 특히 간섬유화 정도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페론(interferon)과 리바비린(ribavirin)을 함께 사용해 C형 간염을 치료하는 상황에서, 치료 전 환자의 인슐린 저항성이 치료의 성공여부를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라는 것이 검증되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만약 C형 간염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면 체내 인슐린 저항성 상황, 췌도 β세포 기능, 및 간 인슐린 수용체의 발현이 모두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C형 간염 바이러스 자체는 인슐린 저항성은 물론 제2형 당뇨병의 형성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역할 및 그 작용 방식에 대한 논의는 당뇨병의 발병기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당뇨병 예방 및 치료의 표적을 찾는 데 보다 유익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C형 간염 유발 숙주의 혈당대사 이상 유전자와 그 상관 인자를 조절하고 나아가 당뇨병 예방 및 치료 표적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또는 고지방 식이는 모두 GPx2 발현을 감소시켜 간세포의 포도당 섭취 능력을 저하시키고 간세포 당신생(gluconeogenesis)을 증가시키며 혈중 포도당 농도를 높여 당뇨병을 유발한다. 유전자 네트워크 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분석한 바에 따르면 GPx2는 지방산 산화, 내당능, 포도당 섭취, 및 당신생의 유전자와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 인슐린 저항성 및 간세포 당신생 증가는 제2형 당뇨병의 중요한 발병기전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간 GPx2의 발현을 당뇨병 예방 및 치료의 새로운 표적으로 삼고 저혈당의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체의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는 상기 개체의 시험체 중 GPx2 유전자(DNA 또는 RNA) 발현, GPx2 단백질 발현량, 또는 GPx2의 단백질 활성을 검출하여 정상 개체의 GPx2 발현량과 비교하는 단계가 포함되며, 여기에서 상기 개체의 GPx2 발현량이 상기 정상 개체의 GPx2 발현량보다 현저하게 낮다는 것은 상기 개체가 당대사 이상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상기 당대사 이상이라 함은 혈당 농도가 정상 범위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GPx2를 당대사 이상의 표지로 삼을 수 있다.
본 발명은 GPx2를 제2형 당뇨병 치료 및 예방용 의약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는 용도를 더 제공한다. 고지방 식이를 처음 시작할 때 GPx2를 투여하면 당신생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이 감소하고 GLUT(포도당 수송 단백질) 발현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GPx2는 제2형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고지방 식이로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한 후 GPx2를 투여해도 당신생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이 감소하고 GLUT 발현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GPx2는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효과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험체”는 생물 개체에서 수집한 것이며, 여기에서 상기 시험체는 조직, 대변, 요액, 세포 균질물, 혈액, 혈청, 혈장,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생물학적 유체 또는 그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한 개체는 동물이며 여기에는 인류 및 포유류가 포함되고 여기에서 비교적 바람직하게는 인류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제2형 당뇨병의 고위험군에 적용하는데, 예를 들어 과체중자, 활동하기 싫어하는 자, 가족 요소(예를 들어 양친 중 일방 또는 형제 중에 제2형 당뇨병 환자가 있는 경우), 종족 요소, 노화 진행자(특히 45세를 넘긴 경우), 당뇨병 초기자(초기 당뇨병은 신체 중의 혈당치가 정상치보다 높으나 제2형 당뇨병으로 분류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이나, 조절하지 않을 경우 제2형 당뇨병으로 발전할 수 있는 경우), 또는 임신성 당뇨병 병력이 있는 자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C형 간염 바이러스 단백질 발현이 있는 간세포에서(C형 간염 바이러스 레플리콘(replicon)) GPx2의 발현량이 감소하고 세포의 포도당 섭취도 저하되며 당신생이 대폭 증가한다. 항C형 간염 바이러스 약물(예를 들어 Daclatasvir)을 투여하면 C형 간염 바이러스 단백질을 억제하거나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plasmid) 형질 주입을 통해 GPx2 발현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간세포 포도당의 섭취를 증가시키고 당신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C형 간염 바이러스 레플리콘이 없고 GPx2 발현이 정상인 간세포를 통해 GPx2의 siRNA 형질 주입을 거쳐 GPx2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GPx2가 영향을 미치는 대사 메커니즘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GPx2의 siRNA를 추가하면 GPx2의 발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인슐린의 정보 경로에 영향을 주어 간세포의 포도당 섭취를 줄이고 간세포 당신생의 진행을 대폭 증가시킨다. 도 1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5A는 Huh7.5 세포에서 GPx2 siRNA 처리를 거쳐 GPx2 발현을 억제한 후 웨스턴블로트법(western blotting)을 거쳐 GPx2 발현량이 감소할 때 세포 내의 GLUT 1(포도당 수송 단백질 1)과 GLUT 2(포도당 수송 단백질 2)의 발현량이 감소하고, 세포 내의 PEPCK와 G6PC(G6Pase)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도 15B)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간세포 당신생의 증가는 당뇨병을 유발하는 주요 인자 중 하나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GPx2는 간세포가 포도당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핵심이며, C형 간염 바이러스가 바로 간세포 GPx2의 발현에 영향을 주어 숙주의 당대사 이상을 초래해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한다. 따라서 간세포 GPx2의 저발현을 교정하거나 강화시킴으로써 간세포의 당대사 이상 현상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
GPx2이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를 구축하고, 플라스미드를 정맥주사로 고지방 식이로 사육된 생쥐 체내에 주입하여 GPx2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GPx2가 정상 발현된 생쥐와 비교할 때 초기에 GPx2가 고도 발현된 플라스미드를 주입한 생쥐는 당신생 증가가 현저하게 예방되고 당대사 이상이 효과적으로 개선되며 혈당이 조절되고 나아가 당뇨병을 앓을 위험을 경감시켰다. 또한 이미 당대사 이상이 유발된 고지방 섭식 당뇨병 쥐의 경우,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를 주입하여 치료를 진행하였는데 마찬가지로 당대사 이상이 효과적으로 개선되어 혈당 조절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16주간 고지방 섭식을 통해 당뇨병이 유발된 쥐에게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를 32주간 꼬리 정맥에 주사하자 당대사 이상이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상기 결과는 간세포 GPx2가 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관건이며, 간세포 GPx2의 발현을 교정하거나 강화시키면 당대사 이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나아가 혈당 조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준다. 따라서 GPx2는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뇨병이 이미 발생한 경우에도 치료 효과를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장관내 또는 장관외로 응용하는 유기 또는 무기의 운반체 또는 부형제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성분을 통상적으로 독성이 없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용액, 현탁액, 및 임의 기타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식의 운반체에 복합시킬 수 있다. 사용하는 운반체에는 포도당, 유당, 아라비아 고무, 젤라틴, 만니톨, 녹말풀, 삼규산염, 활석, 옥수수 전분, 케라틴, 실리카졸, 감자 전분, 요소, 중간 결합 길이의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덱스트란(dextran), 및 기타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형태 제제로 제조하기에 적합한 운반체가 포함된다. 그 외 보조제, 안정제, 점증제, 착색제, 향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복용에 적합한 형식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트로키제(troche), 정제, 당정제,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분말제 또는 과립제, 유제, 경성 또는 연성 캡슐, 또는 시럽 또는 일릭서(elixir)가 있다. 경구 복용에 사용하는 조성물 또는 혼합물은 제조 의약품 분야에 공지된 임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무균 주사 현탁액일 수도 있다. 상기 현탁액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적합한 분산제, 침윤제, 현탁제를 사용해 배합 제조할 수 있다. 무균 주사액은 무독성의 위장관에 허용 가능한 희석제 또는 용매에 배합 제조한 무균 주사 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도 있다.
도 1은 pPCR 분석을 거친 GPx2 Log2 단백질 발현량이며, 여기에서 도 1a는 내당능 이상군에서의 GPx2 발현량이고, 도 1b는 검증군에서의 GPx2 발현량이다.
도 2는 2-ΔCT 방법을 이용해 24주간 고지방 섭식을 진행한 생쥐의 간장 GPx2, PEPCK, G6PC(G6Pase) 발현량이다(GAPDH와 비교해 배수로 표시)(대조군과 비교, *: p<0.05, **: p<0.01, ***: p<0.001; 운반체(vehicle)와 비교, ###: p<0.001).
도 3은 고지방 섭식을 진행한 후 생쥐의 IPGTT 결과이며, 여기에서 3A는 24주간 고지방 섭식을 진행하고 GPx2 과도 발현 플라스미드를 투여한 IPGTT 결과이고, 3B는 16주간 고지방 섭식을 진행해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한 후 GPx2 과도 발현 플라스미드를 투여한 IPGTT 결과이다(**: 대조군과 비교, p<0.01; ##: 운반체(vehicle)와 비교, p<0.01).
도 4는 C형 간염 환자의 간조직 절편의 RNA 및 cDNA 완전성 확인도이며, 여기에서 4A는 RNA 농도 및 완전성 확인도이고, 4B는 cDNA 완전성 확인도이다.
도 5는 마이크로어레이 칩 실험으로 진행한 전체 유전자 발현 검출 결과도이다.
도 6은 HepG2, Con1, Huh7.5 세포주 내에서 GPx2의 발현량이다.
도 7은 GPx2 과도 발현 운반체를 투여한 Con1 세포주의 GLUT1 및 GLUT2 발현량이다(*: 운반체(vehicle)와 비교, p<0.05; **: 운반체(vehicle)와 비교, p<0.01; #: 대조군과 비교 p<0.05).
도 8은 GPx2 과도 발현 운반체를 투여한 Con1 세포주의 G6Pase 및 PEPCK 발현량이다(*: 운반체(vehicle)와 비교, p<0.05; **: 운반체(vehicle)와 비교, p<0.01; ##: 대조군과 비교 p<0.01; ###: 대조군과 비교 p<0.001).
도 9는 다른 농도의 HCV 특이적 바이러스 억제제(Daclatasvir)를 투여한 Con1 세포주의 GPx2, GLUT1 및 GLUT2 발현량이다(DMSO(Daclatasvir 농도 0pM)와 비교, *: p<0.05, **: p<0.01, ***: p<0.001; Daclatasvir와 다른 농도와 비교, #: p<0.05, ##: p<0.01).
도 10은 다른 농도의 HCV 특이적 바이러스 억제제(Daclatasvir)를 투여한 Con1 세포주의 G6PC(G6Pase) 및 PEPCK 발현량이다(DMSO(Daclatasvir 농도 0pM)와 비교, *: p<0.05, **: p<0.01, ***: p<0.001; Daclatasvir와 다른 농도와 비교, #: p<0.05, ##: p<0.01).
도 11은 24주간 고지방 섭식을 진행한 생쥐의 간 GPx2 발현량이다.
도 12는 48주간 고지방 섭식을 진행한 생쥐의 간 GPx2 발현량이다.
도 13은 48주간 고지방 섭식을 진행한 생쥐의 간 GLUT 발현량이다.
도 14는 48주간 고지방 섭식을 진행한 생쥐의 간 당신생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이다.
도 15는 GPx2 siRNA 처리를 거쳐 GPx2 발현을 억제한 후 GLUT 2, G6PC(G6Pase) 및 PEPCK의 발현량이다.
세포 실험
레플리콘 세포 Huh7.5 및 Huh7.5/Con1(유전자형 1b)을 고포도당의 Dulbecco's Modified Eagle's 배지(DMEM)에서 배양하며, 5% 이산화탄소/37℃ 인큐베이터 내에서 기르고, 10%의 열 불활성화된 소태아혈청(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heat-inactivated FBS), 5%의 항생제-항진균제(antibiotic-antimycotic) 용액, 100U/mL의 페니실린(penicillin), 100㎍/mL의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및 5%의 비필수아미노산(nonessential amino acid) 용액을 보충한다. 세포주는 먼저 기아 상태 처리(starvation)를 24시간 진행한 후 다시 10% FBS 및 아노나신(annonacin)을 함유한 신선 배지에 넣고 세포 실험을 진행한다. Con1 세포주는 계속해서 완전 배지(0.5mg/mL의 G418 함유)에서 배양한다.
웨스턴블로트법
30㎍의 세포 용해물 샘플을 10% SDS-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콜로이드(colloid) 상에 위치시키고, 전기영동을 진행하고 PVDF 필름에 블로팅한다. 저항 후 다시 상기 필름을 목표 단백질 GPx2, GLUTI, PCK1(PEPCK), GLUT2와 G6PC(G6Pase) 항체(1차 항체)를 함유한 용액 내에 각각 담그며, 기른 지 2시간이 되면 다시 0.1% Tween 20가 함유된 PBS를 사용해 5분간 세척한다. 이어서 상기 필름을 HRP 복합 2차 항체에서 1시간 동안 기른다. 화학발광 시약(ECL)을 필름 상에 첨가해 빛을 비추어 단백질 분포를 관찰한다.
플라스미드 준비 및 일시적 형질 주입
세포를 1.2x105cell/well의 수량으로 6웰 플레이트(six well plate) 배지 내에 위치시키고 이를 하룻저녁 동안 성장시킨다. 특정한 지정 기간에 LipofectAMINE를 이용해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 및 siGPx2(GPx2siRNA)를 상기 세포로 형질 주입한다. 또한 운반체는 pcDNA(운반체, vehicle) 또는 siNC(control siRNA)만 형질 주입하여 대조군으로 삼는다.
동물 실험
24주: 고지방 섭식으로 당대사 이상을 유도한 생쥐. 6주령의 C57BL/6 숫생쥐를 병원균이 없는 환경에서 2주간 사육한다. 그 후 모든 생쥐를 무작위로 6개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적어도 5마리의 생쥐를 배치한다. 1그룹에는 정상적인 음식물을 섭취시키고; 2그룹에는 정상적인 음식물을 섭취시키며 매주 1회 생쥐 꼬리부에 플라스미드 운반체(50㎍/plasmid/생쥐/주(周), Turbofect에 용해)를 정맥 주사하고; 3그룹에는 정상적인 음식물을 섭취시키며 매주 1회 생쥐 꼬리부에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 운반체(50㎍/plasmid/생쥐/주, Turbofect에 용해)를 정맥 주사하고; 4그룹에는 정상적인 음식물보다 30%가 넘는 고지방 음식물을 섭취시키고; 5그룹에는 정상적인 음식물보다 30%가 넘는 고지방 음식물을 섭취시키며 매주 1회 생쥐 꼬리부에 플라스미드 운반체(50㎍/plasmid/생쥐/주, Turbofect에 용해)를 정맥 주사하고; 6그룹에는 정상적인 음식물보다 30%가 넘는 고지방 음식물을 섭취시키며 매주 1회 생쥐 꼬리부에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 운반체(50㎍/plasmid/생쥐/주, Turbofect에 용해)를 정맥 주사한다. 모든 생쥐를 24주 후에 죽이고 그 조직을 꺼내어 세 부분으로 나눈다. 여기에서 제1 부분은 4%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로 고정하고 파라핀(paraffin)으로 포매시켜 조직 절편으로 삼아 연구하고; 제2 부분의 조직은 조직 RNA 샘플 보존액(RNAlater)에 저장하며 -80℃ 환경에 거치하여 이후 유전자 발현 검출을 위해 준비하고; 제3 부분의 조직은 액체 질소에 저장한다.
48주: 6주령의 C57BL/6 숫생쥐를 병원균이 없는 환경에서 2주간 사육한다. 그 후 모든 생쥐를 무작위로 4개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적어도 5마리의 생쥐를 배치한다. 1그룹에는 정상적인 음식물을 섭취시키고; 2그룹에는 정상적인 음식물보다 30%가 넘는 고지방 음식물을 섭취시키고; 3그룹에는 정상적인 음식물보다 30%가 넘는 고지방 음식물을 섭취시키며 실험에서 섭식을 시작한 지 16주 후 매주 1회 생쥐 꼬리부에 플라스미드 운반체(50㎍/plasmid/생쥐/주, Turbofect에 용해)를 정맥 주사하고; 4그룹에는 정상적인 음식물보다 30%가 넘는 고지방 음식물을 섭취시키며 실험에서 섭식을 시작한 지 16주 후 매주 1회 생쥐 꼬리부에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 운반체(50㎍/plasmid/생쥐/주, Turbofect에 용해)를 정맥 주사한다. 모든 생쥐를 48주 후에 죽이고 그 조직을 꺼내어 세 부분으로 나눈다. 여기에서 제1 부분은 4% 포름알데히드로 고정하고 파라핀으로 포매시켜 조직 절편으로 삼아 연구하고; 제2 부분의 조직은 조직 RNA 샘플 보존액(RNAlater)에 저장하며 -80℃ 환경에 거치하여 이후 유전자 발현 검출을 위해 준비하고; 제3 부분의 조직은 액체 질소에 저장한다.
고지방 섭식으로 당대사 이상을 유도한 생쥐는 간 GPx2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고지방 섭식을 진행한 생쥐에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를 꼬리 정맥주사하고 qPCR 검출을 진행한 결과,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가 있는 생쥐 간의 GPx2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당신생 관련 유전자(PEPCK와 G6PC(G6Pase))의 발현이 효과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내당능 시험(Glucose tolerance test, GTT )
모든 생쥐를 12시간 동안 금식시키고 복강내 포도당(2g 포도당/kg체중)을 주사하며, 이어서 포도당 주사 후 0분, 30분, 60분 및 120분의 시간 지점에 꼬리부에서 채혈하고 혈당 검출기를 이용해 혈당 농도를 검출한다.
결과는 도 3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지방 섭식을 진행한 생쥐에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를 24주간 꼬리 정맥주사한 후 내당능을 테스트하였으며,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를 투여한 생쥐는 비교적 바람직한 당대사 기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16주간 고지방 섭식을 진행해 성공적으로 당뇨병 쥐를 만든 다음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를 32주간 꼬리 정맥주사한 후, IPGTT(Intraperitoneal glucose tolerance test, 복강 내당능 시험)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르면 GPx2가 당대사 이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를 투여한 생쥐는 비교적 바람직한 당대사 기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정상 섭식을 진행한 당뇨병이 없는 쥐에 맞먹는 수준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분석법
파라핀으로 포매한 간 조직을 4㎛ 크기의 절편으로 자르고, 100℃ 마이크로웨이브를 30분간 이용해 비특이적 반응을 차단한다. 1차 항체로 절편을 4℃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한 후 0.2% Tween 20을 함유한 PBS로 10분간 2회 세척한다. 비오틴 표지화(biotin labeling)한 2차 항체로 상기 절편을 1시간 배양한 후 0.2% Tween 20을 함유한 PBS로 10분간 2회 세척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절편을 염색하여 각종 단백질의 발현을 관찰한다.
환자 모집
48명의 C형 간염 환자를 모집하고, 개인의 경구복용 내당능 시험 및 당화혈색소에 따라 분류하며(표 1 참고), 여기에서 19명은 정상 혈당 환자이고, 11명은 내당능 이상 환자이고, 18명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이다.
Figure pct00001
바이러스 정형 분석
각각의 환자에 대해 바이러스 정형 분석을 진행하며 바이러스 유전자형과 바이러스 정량 분석을 확정하고 무작위로 5명의 정상 혈당 환자, 3명의 내당능 이상 환자, 3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 인슐린을 복용하거나 저혈당 약물을 경구투여한 적 없는 환자를 샘플로 뽑아 유전자칩 시험을 진행해 후보 유전자를 선별하고, 다른 샘플은 검증군으로 삼아 후보 유전자 사용을 검증하는 데 사용한다. 두 샘플군의 기본 데이터는 표 2와 같다.
Figure pct00002
간 절편
환자의 간 절편을 수집하고 개별적으로 그 RNA를 추출해 RNA 농도를 측정하고 다시 개별적으로 cDNA로 전환하여 완전성을 확인한다. 그 결과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전체 유전자 발현 검출
마이크로어레이 칩 실험을 이용해 전체 유전자 발현 검출을 진행하여 모든 칩 결과는 정규화시켰으며 이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이어서 유전자 발현 차이를 분석한다. 1.5배 차이를 역치로 삼고, 발현 차이가 있는 유전자를 선별한다. 내당능 이상 환자와 정상 혈당 환자의 비교에서, 81개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고 77개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다. 제2형 당뇨병 환자와 정상 혈당 환자의 비교에서, 161개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고 99개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다.
유전자 네트워크 분석에 따르면, 내당능 이상 환자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비교에서 발현 차이가 있는 유전자의 기능이 지질대사(Lipid metabolism), 분자 수송(molecular transport), 소분자 생화학(small molecule biochemistry) 및 비타민과 광물질 대사(vitamin and mineral metabolism) 등 기능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Figure pct00003
내당능 이상 및 제2형 당뇨병 두 군을 비교한 결과를 합쳐 현저한 차이가 있는 후보 유전자 GPx2를 얻었으며, qPCR 방식으로 GPx2를 분석하여 각기 다른 내당능 정도에 따라 GPx2도 그 정도를 달리하여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는 도 1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qPCR 방식으로 검증군 샘플을 테스트하였으며, GPx2가 여전히 현저한 차이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당능이 떨어짐에 따라 GPx2 유전자의 발현량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도 1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유전자 네트워크 분석
유전자 네트워크 분석에서 GPx2가 지방산 산화, 내당능, 포도당 섭취 및 당신생의 유전자와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당대사에서 GPx2의 역할
세포 실험을 통해 당대사에서 GPx2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C형 간염 환자(Hepatitis C virus, HCV)는 GPx2의 발현을 억제하면 HCV가 간세포 당대사 이상(포도당 운송을 줄이고 당신생을 증가)을 유발하며, GPx2의 발현을 증가시키면 HCV가 유발하는 당대사 이상 현상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플라스미드 및 웨스턴블로트법의 실험을 통해, HCV 관련 유전자가 없는 세포(HepG2와 Huh7.5)와 비교할 때, GPx2의 발현량이 HCV type 1b 레플리콘 관련 유전자를 가진 세포(Con1 세포) 중에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종래의 문헌에 따르면, HCV 관련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Con1)에서 HCV는 GLUT의 발현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GPx2가 과도 발현된 운반체를 투여해 GPx2의 발현량을 증가시킨 후 GLUT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GPx2가 세포의 포도당 수송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종래의 문헌에 따르면, HCV 관련 유전자가 발현된 세포(Con1)에서 HCV가 당신생 관련 유전자(G6PC(G6Pase)와 PEPCK)의 발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GPx2가 과도 발현된 운반체를 투여해 GPx2의 발현량을 증가시킨 결과, G6PC(G6Pase)와 PEPCK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세포 내의 당신생 작용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Con1 세포는 HCV 특이적 바이러스 억제제(Daclatasvir)를 통해 처리하고 웨스턴블로트법을 통해 검출한 결과, 억제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바이러스 양이 감소하며 나아가 GPx2 및 GLUT 발현량이 증가되는 농도 의존적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또한 Daclatasvir도 당신생 관련 단백질 G6PC(G6Pase) 및 PEPCK를 떨어뜨리는 농도 의존적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도 10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면역조직 염색도에서 알 수 있듯이, 고지방 섭식으로 당뇨병을 유도한 생쥐는 그 GPx2 발현량이 감소하며;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를 투여한 후 그 GPx2 발현량이 다시 증가하는데 이는 도 1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48주간의 고지방 섭식 실험에서도 GPx2의 발현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는 도 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고지방 섭식으로 당뇨병을 유도한 생쥐는 그 GLUT 발현량이 감소하며;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를 투여한 후 그 GLUT 발현량이 다시 증가하는데 이는 도 1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고지방 섭식으로 당뇨병을 유도한 생쥐는 그 G6PC(G6Pase) 및 PEPCK 발현량이 증가하며; GPx2가 과도 발현된 플라스미드를 투여한 후 그 G6PC(G6Pase) 및 PEPCK 발현량이 다시 감소하는데 이는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Claims (8)

  1. 당대사 이상의 검출을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의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요 개체의 시험체 중 GPx2 유전자 발현, GPx2 단백질 발현량, 또는 GPx2의 단백질 활성을 검출하는 단계 (a); 및
    정상 개체의 GPx2 발현량과 비교하는 단계 (b)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필요 개체의 GPx2 발현량이 상기 정상 개체의 GPx2 발현량보다 현저하게 낮다는 것은 상기 필요 개체가 당대사 이상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요한 개체의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체는 조직, 대변, 요액, 세포 균질물, 혈액, 혈청, 혈장,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생물학적 유체 또는 그 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요한 개체의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동물이고, 인류 및 포유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요한 개체의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인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요한 개체의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 개체는 제2형 당뇨병의 고위험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요한 개체의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6. GPx2를 이용해 제2형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용도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량의 GPx2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운반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x2를 이용해 제2형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용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 당뇨병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서 감염되거나 고지방 식이로 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x2를 이용해 제2형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용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량은 적어도 투약 대상의 GPx2를 정상 발현량으로 회복시킬 수 있는 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x2를 이용해 제2형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용도.
KR1020197015338A 2016-11-14 2016-11-14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및 그의 예방과 치료 KR201900770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105759 WO2018086126A1 (zh) 2016-11-14 2016-11-14 一种检测糖代谢异常的方法及其预防及治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037A true KR20190077037A (ko) 2019-07-02

Family

ID=6211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338A KR20190077037A (ko) 2016-11-14 2016-11-14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및 그의 예방과 치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39689B2 (ko)
EP (1) EP3540072A4 (ko)
JP (1) JP7066209B2 (ko)
KR (1) KR20190077037A (ko)
CN (1) CN110168098A (ko)
WO (1) WO2018086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0194B (zh) * 2013-09-07 2015-12-23 中国石油集团西部钻探工程有限公司 易上卸套管母扣护丝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56312A (zh) * 1998-10-29 2000-06-14 复旦大学 新的人谷胱苷肽过氧化酶、其编码序列及制法和用途
US20050191649A1 (en) 2003-10-23 2005-09-01 Illumigen Biosciences, Inc. Detection of mutations in a gene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viral infection, OAS1
WO2005046718A1 (en) * 2003-11-06 2005-05-26 Ohio University Diagnosis and hyperinsulinemia and type ii diabetes and protection against same based on gene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pancreas cells (12.1)
WO2005058142A2 (en) 2003-12-16 2005-06-30 Emory University Diabetes diagnostic
WO2006056080A1 (en) * 2004-11-29 2006-06-01 Diagnocure Inc. Gpx2 a specific and sensitive target for lung cancer diagnosis, prognosis and/or theranosis
CA2729605A1 (en) 2008-06-30 2010-01-14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ocular oxidative stress and retinitis pigmentosa
NZ606888A (en) 2009-04-16 2014-07-25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CN104651329A (zh) * 2014-02-18 2015-05-27 吉林大学 一种含有丝氨酸的谷胱甘肽过氧化物酶gpx2突变体及其制备方法
EP3204502B1 (en) * 2014-10-06 2021-04-21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 Method to reduce oncogenic potential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from aged don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93897A1 (en) 2020-03-26
JP2020513232A (ja) 2020-05-14
US11439689B2 (en) 2022-09-13
WO2018086126A1 (zh) 2018-05-17
EP3540072A4 (en) 2020-05-20
JP7066209B2 (ja) 2022-05-13
CN110168098A (zh) 2019-08-23
EP3540072A1 (en)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 et al. Liver‐specific loss of glucose‐regulated protein 78 perturbs the unfolded protein response and exacerbates a spectrum of liver diseases in mice
McMullen et al. Early growth response-1 transcription factor is essential for ethanol-induced fatty liver injury in mice
Lang et al. Alcohol myopathy: impairment of protein synthesis and translation initiation
Lin et al. Dietary glycotoxins promote diabetic atherosclerosis in apolipoprotein E-deficient mice
CZ330896A3 (cs) Použití látky, která brání nebo minimalizuje oxidaci polynenasycené mastné kyseliny a způsoby s tímto použitím spojené
JP5745488B2 (ja) C型肝炎ウイルス感染の治療
JP2012522013A (ja) 調節ires媒介翻訳
US2008024186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meliorating hyperlipidemia
US20060173011A1 (en)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with praziquantel
EP1596859B1 (en)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ljungan virus by using pleconaril
US9693994B2 (en) Class IIa HDAC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n
KR20190077037A (ko) 당대사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 및 그의 예방과 치료
EA027810B1 (ru)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ие карбоксамиды для лечения вирус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Luo et al.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downregulates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de oxide synthase and caspase-3 after intestin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rats
TWI620933B (zh) 一種檢測醣類代謝異常的方法及其預防及治療
CN104812383A (zh) 治疗hcv感染的治疗剂组合
CN113677336B (zh) 包含式(i)化合物和glp-1受体激动剂的组合疗法
Ji et al. Liver-specific loss of GRP78 perturbs the global unfolded protein response and exacerbates a spectrum of acute and chronic liver diseases
US20040109870A1 (en) Therapeutic agent for acute hepatitis and chronic hepatitis including hepatic fibrosis and cirrhosis
KR102497760B1 (ko) 발데콕시브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44211B1 (ko) 대사성 글루타메이트 수용체 5가 활성화된 자연 살해 세포 및 이의 용도
JP2015020969A (ja) 脂肪肝の予防・改善剤
KR101617512B1 (ko) 헤파토시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9000886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gpr119 ligand as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N111529689A (zh) 转录因子klf16蛋白在制备防治脂质和糖代谢异常相关疾病药物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