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889A - 기호성이 증진된 경구 투여 제제를 포함하는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제제 - Google Patents

기호성이 증진된 경구 투여 제제를 포함하는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889A
KR20190076889A KR1020180166718A KR20180166718A KR20190076889A KR 20190076889 A KR20190076889 A KR 20190076889A KR 1020180166718 A KR1020180166718 A KR 1020180166718A KR 20180166718 A KR20180166718 A KR 20180166718A KR 20190076889 A KR20190076889 A KR 20190076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oral administration
acceptable sal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712B1 (ko
Inventor
김태환
조은행
홍원익
허순복
김우진
박희명
강민희
노웅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비엔피
Publication of KR20190076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61K31/501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호성이 증진된 경구 투여 제제 등은 개과 동물의 기호성이 월등하게 개선되어 장기적인 경구투여가 용이하며, 이첨판 판막 변성증을 포함하는 심장질환의 치료 또는 증상완화, 혈액순환 개선 등의 활성을 갖는다.

Description

기호성이 증진된 경구 투여 제제를 포함하는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제제{FORMULATIONS FOR CANINE HEART DISEASE CONTAINING ORAL DOSING FORMULATIONS WITH HIGHLY PALATABLE EXCIPIENTS}
본 발명은 기호성이 증진된 경구 투여 제제를 포함하는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제제 등에 대한 것으로, 효과가 기존의 제품과 비교해 동등 또는 그 이상이면서 기호성이 개선되어 경구투여가 용이한 산제 형태의 약학조성물, 사료 첨가물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환축의 경우,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제와 다르게, 아무리 좋은 치료제를 처방하여도 환축이 섭취하지 않으면 치료의 의미가 없으며, 특히 개의 경우 기호성을 가진 경우가 많으므로, 기호성의 문제 때문에 의도하는 약물을 적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흔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기호성을 증진시킨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최근 반려동물산업은 지속적으로 증가 중이며,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질병 예방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심장질환은 노령견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늘어나고 있으며, 만성 심부전과 같은 심장질환의 치료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심장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꾸준한 동물병원 내원과 장기적인 심질환 치료제 급여가 필요한 상황이다.
세계 소동물심장학회(ISACHC)의 심부전 분류에 따르면, Class I으로 분류되는 환축은, 자각증상이 없는 환자(The asymptomatic patient)로 임상증상과 관련이 없는 심장 질환: 심장잡음(cardiac murmur), 부정맥(arrhythmia), 또는 심실확장증(cardiac chamber enlargement)와 같은 이상이 확인되지만 명확한 심질환의 임상증상이 없는 경우와 같은 임상증상을 보인다. Class 1a로 분류되는 환축은, 심질환 증상이 있지만 대상작용(volume or pressure overload ventricular hypertrophy)의 증상이 보이지 않는 경우이다. Class 1b로 분류되는 환축은, 심질환 증상도 보이고 대상작용이 ECG나 방사선적으로 검출 가능한 경우이다. Class II로 분류되는 환축은, 미약하거나 중등도의 심질환(Mild-to-moderate heart failure)를 보이는 경우로, 쉬고 있는 상태 또는 약간의 운동에서 환축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의 심질환 임상증상이 보이는 경우, 운동 기피, 기침, 호흡촉박, 호흡곤란 등 심질환의 전형적인 임상증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휴식 시 전관류증(Hypoperfusion)은 일반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는 경우로, 통원치료가 가능한 단계이다. Class III로 분류되는 환축은, 높은 수준의 심질환 (Advanced heart failure)을 보이는 경우로, 전형적인 울혈성 심부전의 임상증상을 명백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경우, 임상증상으로 호흡곤란 빈호흡, 복수, 심한 운동불내성 등으로 휴식시 hypoperfusion도 관찰되는 경우로, 상태가 심각해지면 심인성 쇼크 증상도 보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예후가 불량할 수 있다. Class 3a로 분류되는 경우는 통원 치료 (가정 치료)가 가능한 경우이나, Class 3b로 분류되는 경우는 입원이 불가피한 경우 (심인성 쇼크, 생명에 영향을 주는 폐부종, 다량의 흉수 등)이다.
이러한 증상의 치료로 사용되는 약물로는, ACE 억제제, ARB제제, 강심제, 영양보조제, 혈전억제제, 항부정맥제 등이 적용되고 있으며, 그 치료를 위하여 동물병원의 꾸준한 내원 및 치료제의 장기적인 급여가 필요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특허출원번호, 10-1991-000822 미국특허출원번호, US 06/259537
본 발명의 목적은 위의 기호성이 증진된 경구 투여 제제를 포함하는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호성이 증진된 개과 동물용 경구 투여 제제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는, 피모벤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그리고 소고기 분말, 닭 간 분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호성 부형제;를 포함한다.
상기 피모벤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5 내지 0.0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감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고결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결방지제는 함수 이산화규소, 경질무수규산, 규산수화물, 스테아르산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사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글리실리진산, 스테비아,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과당, 자이리톨,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호성 부형제는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5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산제로, 0.3 내지 0.8 g/kgBW/day를 하루 2회 나누어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개과 동물의 사료에 첨가되여 급여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이첨판 판막 변성증을 갖는 개과 동물의 좌심실 이완기 직경 개선율이 향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이첨판 판막 변성증을 갖는 개과 동물의 기침 발생 정도를 줄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과 동물용 기호성이 향상된 경구 투여 제제는,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그리고 소고기 분말, 닭 간 분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호성 부형제;를 포함한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감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고결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결방지제는 함수 이산화규소, 경질무수규산, 규산수화물, 스테아르산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사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글리실리진산, 스테비아,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과당, 자이리톨,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호성 부형제는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모벤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5 내지 0.0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산제로, 0.3 내지 0.8 g/kgBW/day를 하루 2회 나누어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말초혈액순환 개선, 심장 내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를 포함하는 혈행개선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개과 동물의 사료에 첨가되어 급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화합물과 연관하여 설명하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염"이라 함은, 모계 화합물(parent compounds)의 생물학적 유효성 및 특성을 보유하고, 1회 용량(dosage)이 투여될 때,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른 방향으로 해롭지 않은 염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의 염"은 특정 화합물의 염기 부가 염일 수 있고, 무기 및 유기 염기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무기 염기들로부터 유도된 염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칼슘, 및 마그네슘 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염기들로부터 유도된 염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차, 이차 및 삼차 아민; 천연적으로 발생하는 치환된 아민들을 포함하는 치환된 아민들; 및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트로메타민(tromethamine),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카페인, 프로카인(procaine), 히드라바민 (hydrabamine), 콜린(choline), 베타인(betaine), 에틸렌디아민, 글루코사민, N-알킬글루카민, 테오브로민(theobromine), 퓨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및/또는 N-에틸피페리딘을 포함하는 시클릭 아민들의 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카르복실산 유도체, 예를 들어 카르복사미드(carboxamides), 저급 알킬 카르복사미드, 디(저급 알킬) 카르복사미드 등을 포함하는 카르복실산 아미드도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유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 또는 "완화"는 본 발명의 제제 투여로 개과 동물이 가지고 있는 심장병 등의 증상이 진행 억제, 발생 억제, 또는 발생 정도를 완화시키는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제제 투여로 개과 동물이 가지고 있는 심장병 등의 증상을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임상적 증상을 없애거나 발생 정도를 완화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치료"는 심장병 등의 증상과 투약 스트레스 증상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상태의 완화 또는 개선, 증상 범위의 축소, 증상의 안정화, 증상의 비확산, 증상 발생의 억제, 증상진행의 지연 또는 늦춤, 증상 상태의 개선 또는 경감, 및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증상 발생의 감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할 때, 명사의 "단수"와 "복수"를 구별하지 않으며, 단수는 문맥상 단수만을 의미하는 것이 분명한 경우를 제외하면 단수표현은 단수와 복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또는", "및/또는" 은 혼용되며,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의 의미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는, 피모벤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그리고 소고기 분말, 닭 간 분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호성 부형제;를 포함한다.
상기 피모벤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물에 녹지 않으나 디메틸폼아마이드(dimethylformamide)에 잘 녹고 아세톤(acetone)과 메탄올(methanol)에 약간 용해성이 있는 흰색 또는 약간 노란색의 분말인 강심제로, 강력한 강심 작용과 동맥, 정맥 혈관 확장 활성을 가진다. 또한, 포스포디에스터라제 III 억제 작용을 한다.
상기 피모벤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함께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으로 적용 시에 그 효과가 탁월하다.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물에 녹고,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에 잘 녹으나, 에탄올(ethanol)에는 용해성이 없는 흰색 또는 거의 하얀색의 결정형 분말로, 혈행개선 활성을 갖는다.
상기 피모벤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5 내지 0.0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고, 0.009 내지 0.015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쓴 맛이 강하여, 특히 개과 동물과 같이 기호성이 분명한 포유동물이 경구 섭취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아서 장기적인 급여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펜톡시필린과 같은 혈행개선 활성을 갖는 약물의 투여가 장기적으로 필요하나, 경구 섭취를 거부하는 개과 동물의 자발적 경구 섭취를 유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호성 부형제를 적용한다.
상기 기호성 부형제는, 유럽 가이드라인(EU guideline)에서 제시하는 기호도 80% 이상의 부형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기호성 부형제는, 실험적으로 기호성 80% 이상의 부형제임을 확인한 소고기 분말, 또는 닭 간 분말이 포함한다. 좋게는 상기 기호성 부형제로 닭 간 분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소고기 분말보다 더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것으로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감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상기 펜톡시필린을 다량 적용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쓴 맛의 차폐 기능과 동시에 기호성 향상시켜 상기 경구 투여 제제의 기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감미제로는,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사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글리실리진산, 스테비아,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과당, 자이리톨,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사카린나트륨,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감미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과 동물용 기호성이 향상된 경구 투여 제제는, 고결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결방지제(anticaking agent)는 함수 이산화규소, 경질무수규산, 규산수화물, 스테아르산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상기 기호성 부형제를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의 상대적인 양으로서 개과 동물의 기호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는 양으로 적용할 수 있는데,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1 내지 20 중량부의 기호성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3 내지 15 중량부의 기호성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8 내지 14 중량부의 기호성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함량으로 기호성 부형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펜톡시필린의 쓴 맛에도 불구하고 개과 동물의 경구섭취시 기호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상기 펜폭시필린의 쓴 맛을 차폐하는 역할을 하며 경구 섭취 시 기호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감미제는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1: 0.2 내지 1.5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으며, 1: 0.4 내지 0.8 중량의 사카린나트륨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함량으로 감미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호성 부형제만을 적용한 경우보다 더 기호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경구 투여 시에도 우수한 기호성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고결방지제는 상기 기호성 부형제와 상기 펜톡시필린을 포함하는 상기 경구 투여 제제의 성분들이 충분하게 혼합, 분산되어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0.5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고, 0.1 내지 0.4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위에서 언급한 것 이외에 약학 조성물에 적용되는 담체(carrier), 기타부형제, 향미제, 염료, 및/또는 보존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나 기타부형제의 경우 통상 수의학적 제제에 적용되는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담체 또는 부형제로서 적용 가능하다.
상기 향미제로는 과실 엑기스(예를 들어, 바닐라, 레몬, 오렌지, 포도, 라임, 사과, 바나나, 배, 복숭아, 딸기, 체리, 자두, 파인애플, 살구와 같은 과일 엑기스); 식물의 잎, 꽃, 과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등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미제로 상기 과실 엑기스 또는 식물의 잎 등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등의 향을 갖는 인공향미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인공 가금류향과 같은 향미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향미제의 함량은 분말제제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의 범위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식품첨가제 또는 사료용첨가제로 적용되는 염료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산제(散劑)일 수 있고, 상기 각 조성들을 혼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담체를 상기 언급한 제제에 추가적하여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산제는 입자 크기가 850um 이하일 수 있고, 입자 크기가 500um인 것이 95 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제제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함량 정도, 개체의 상태(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증상과 부작용 여부 또는 스트레스 상태의 심각성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1일 총 투여량을 수회에 나누어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3 내지 0.8 g/kgBW/day를 하루 2회 나누어 투여되는 것일 수 있고, 0.35 내지 0.55 g/kgBW/day를 하루 2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물이 투과하지 않는 포장 재료로 포장되어 있으면서, 포장지 내부에 상기 제제와 직접 닿지 않는 제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피모벤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그리고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여, 보다 향상된 강심 효과와 혈행개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리활성 물질 중 적어도 일부에서 유래하는 쓴 맛에도 불구하고 개과 동물에 자발적인 경구 투여가 가능하도록 기호성을 월등하게 향상시켜 장기 급여시 섭취용이성을 월등하게 향상시켰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이첨판 판막 변성증을 갖는 개과 동물의 좌심실 이완기 직경 개선율이 향상된 것일 수 있고, 이는 피모벤단을 단독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이첨판 판막 변성증을 갖는 개과 동물의 기침 발생 정도를 줄이는 것일 수 있고, 이는 피모벤단을 단독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말초혈액순환 개선, 심장 내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와 같은 혈행 개성 활성을 갖으며, 이첨판 판막 변성증을 갖는 개과 동물이 좋은 예후를 보이도록 돕는다.
상기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는, 상기에서 언급된 약물 이외에 이뇨제, ACE 억제제, ARB 제제, 강심제 및 영양보조제, 혈전억제제, 항부정맥제, 지방산 등이 필요에 따라 추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뇨제로는 푸로세마이드, 토르세마이드, 스피로노락톤, 히드로클로로치아자이드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ACE 억제제로는 에날라프릴, 라미프릴, 베나제프릴 등이, 동맥확장제로는 히드랄라진, 칼슘채널차단제로는 암로디핀, 폐동맥확장제로는 실데나필, 타달라필, 동정맥확장제로는 니트로혈관확장제, 상기 강심제로는 디곡신, 카테콜아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약학조성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개과 동물용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육포 첨가제 조성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개과 동물이 자발적으로 경구 투여의 방식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사료와 별도로 또는 사료에 첨가되어 급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경구 투여 제제를 기호성이 월등하게 개선되어, 투여하는 투여자와 섭취하는 개과 동물 모두 급여/섭취에 대한 스트레스가 경감되고 필요한 약물을 경구 섭취의 방식으로 장기 투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과 동물용 기호성이 향상된 경구 투여 제제는,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그리고 소고기 분말, 닭 간 분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호성 부형제;를 포함한다.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물에 녹고,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에 잘 녹으나, 에탄올(ethanol)에는 용해성이 없는 흰색 또는 거의 하얀색의 결정형 분말로, 혈행개선 활성을 갖는 것이다. 이는 쓴 맛이 강하여, 특히 개과 동물과 같이 기호성이 분명한 포유동물이 경구 섭취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아서 장기적인 급여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펜톡시필린과 같은 혈행개선 활성을 갖는 약물의 투여가 장기적으로 필요하나, 경구 섭취를 거부하는 개과 동물의 자발적 경구 섭취를 유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호성 부형제를 적용한다.
상기 기호성 부형제는, 유럽 가이드라인(EU guideline)에서 제시하는 기호도 80% 이상의 부형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기호성 부형제는, 실험적으로 기호성 80% 이상의 부형제임을 확인한 소고기 분말, 또는 닭 간 분말이 포함한다. 좋게는 상기 기호성 부형제로 닭 간 분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소고기 분말보다 더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것으로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감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상기 펜톡시필린을 다량 적용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쓴 맛의 차폐 기능과 동시에 상기 경구 투여 제제의 기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감미제로는,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사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글리실리진산, 스테비아,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과당, 자이리톨,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사카린나트륨,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감미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과 동물용 기호성이 향상된 경구 투여 제제는, 고결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결방지제(anticaking agent)는 함수 이산화규소, 경질무수규산, 규산수화물, 스테아르산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상기 기호성 부형제를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의 상대적인 양으로서 개과 동물의 기호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는 양으로 적용할 수 있는데,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1 내지 20 중량부의 기호성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3 내지 15 중량부의 기호성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8 내지 14 중량부의 기호성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함량으로 기호성 부형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펜톡시필린의 쓴 맛에도 불구하고 개과 동물의 경구섭취시 기호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상기 펜톡시필린의 쓴 맛을 차폐하는 역할을 하며 경구 섭취 시 기호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감미제는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1: 0.2 내지 1.5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으며, 1: 0.4 내지 0.8 중량의 사카린나트륨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함량으로 감미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호성 부형제만을 적용한 경우보다 더 기호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경구 투여 시에도 우수한 기호성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고결방지제는 상기 기호성 부형제와 상기 펜톡시필린을 포함하는 상기 경구 투여 제제의 성분들이 충분하게 혼합, 분산되어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0.5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고, 0.1 내지 0.4 중량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위에서 언급한 것 이외에 약학 조성물에 적용되는 담체(carrier), 부형제, 향미제, 염료, 및/또는 보존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나 부형제의 경우 통상 수의학적 제제에 적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라면 적용 가능하다.
상기 향미제로는 과실 엑기스(예를 들어, 바닐라, 레몬, 오렌지, 포도, 라임, 사과, 바나나, 배, 복숭아, 딸기, 체리, 자두, 파인애플, 살구와 같은 과일 엑기스); 식물의 잎, 꽃, 과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등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향미제의 함량은 분말제제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의 범위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식품첨가제 또는 사료용첨가제로 적용되는 염료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40호 등의 색소를 미량(예를 들어 약 0.01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산제(散劑)일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을 혼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적당한 담체를 추가적으로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산제는 입자 크기가 850um 이하일 수 있고, 입자 크기가 500um인 것이 95 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제제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함량 정도, 개체의 상태(체중 등), 치료하고 있는 증상과 부작용 여부 또는 스트레스 상태의 심각성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1일 총 투여량을 수회에 나누어 하루 동안 여러 번 나누어 투여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3 내지 0.8 g/kgBW/day를 하루 2회 나누어 투여되는 것일 수 있고, 0.35 내지 0.55 g/kgBW/day를 하루 2회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물이 투과하지 않는 포장 재료로 포장되어 있으면서, 포장지 내부에 상기 제제와 직접 닿지 않는 제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약리활성을 갖는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여, 혈행개선 활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약리활성 물질의 쓴 맛에도 불구하고 개과 동물에 자발적인 경구 투여가 가능하도록 기호성을 월등하게 향상시켰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말초혈액순환 개선, 심장 내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와 같은 혈행 개성 활성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다른 약물과 병용 투여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상기에서 언급된 약물 이외에 이뇨제, ACE 억제제, ARB 제제, 강심제 및 영양보조제, 혈전억제제, 항부정맥제, 지방산 등이 필요에 따라 추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뇨제로는 푸로세마이드, 토르세마이드, 스피로노락톤, 히드로클로로치아자이드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ACE 억제제로는 에날라프릴, 라미프릴, 베나제프릴 등이, 동맥확장제로는 히드랄라진, 칼슘채널차단제로는 암로디핀, 폐동맥확장제로는 실데나필, 타달라필, 동정맥확장제로는 니트로혈관확장제, 상기 강심제로는 디곡신, 카테콜아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약학조성물로써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개과 동물용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육포 첨가제 조성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개과 동물이 자발적으로 경구 투여의 방식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사료와 별도로 또는 사료에 첨가되어 급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경구 투여 제제를 기호성이 월등하게 개선되어, 투여하는 투여자와 섭취하는 개과 동물 모두 급여/섭취에 대한 스트레스가 경감되고 필요한 약물을 경구 섭취의 방식으로 장기 투여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호성이 증진된 경구 투여 제제 등은 기호성이 월등하게 개선되어 개과 동물 등에 장기적인 경구투여가 용이하며, 피모벤단 등과 함께 산제 등으로 적용되어 개의 심장질환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한 약물약력학 시험 결과 중 LC-MS/MS를 통한 실험군의 시간에 따른 피모벤단 농도의 변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한 약물약력학 시험 결과 중 LC-MS/MS를 통한 실험군의 시간에 따른 펜톡시필린 농도의 변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한 약물약력학 시험 결과 중 심혈관 지표인 FS (fractional shortening)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은 time=0 인 때를 기준으로 하는 해당 시간에서의 유의차 (P < 0.05)를, †은 같은 시간에 비교예의 결과를 기준으로 한 유의차 (P < 0.05)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한 약물약력학 시험 결과 중 심혈관 지표인 LVIDs (lef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systole)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은 time=0 인 때를 기준으로 하는 해당 시간에서의 유의차 (P < 0.05)를, †은 같은 시간에 비교예의 결과를 기준으로 한 유의차 (P < 0.05)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한 약물약력학 시험 결과 중 심혈관 지표인 PEP (pre-ejection period)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은 time=0 인 때를 기준으로 하는 해당 시간에서의 유의차 (P < 0.05)를, †은 같은 시간에 비교예의 결과를 기준으로 한 유의차 (P < 0.05)를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한 안전성 실험에서 그룹 1의 심전도 검사 결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한 안전성 실험에서 그룹 2의 심전도 검사 결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한 안전성 실험에서 그룹 3의 심전도 검사 결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한 안전성 실험에서 그룹 4의 심전도 검사 결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한 안전성 실험에서 그룹 4의 실험견의 심장과 신장의 부검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한 안전성 실험에서 진행한 심장 조직검사 결과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소규모 단기평가에서 촬영한 흉부 방사선 평가 결과.
도 13은 본 발명의 소규모 단기평가에서 실시한 대조군의 심장초음파 평가 사진.
도 14는 본 발명의 소규모 단기평가에서 실시한 실시예의 심장초음파 평가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소규모 단기평가에서 실시한 대조군의 심전도 평가 결과.
도 16은 본 발명의 소규모 단기평가에서 실시한 실험군의 심전도 평가 결과.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기호성 증진을 위한 부형제 시험 및 평가
(1) 실험 방법
본 실험은 실험동물윤리위원회(IACUC)의 승인을 받아 실시하였으며 (실험동물윤리위원회 승인번호 KBNP 17-01-01), 기호성 테스트를 통하여 EU guideline에서 제시하는 기호도 80% 이상의 부형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실험 준비
견종과 성별을 구분하지 않고 다양한 조건의 건강한 개를 실험동물로 선택하였다.
부형제 후보군으로는, 수산물 가공품(가다랭이 엑기스, 굴 엑기스, 가쓰오 농축액 분말, 멸치분말, 대구살 분말, 새우 분말, 새우 엑기스, 참치분말, 전복 분말), 축산물 가공품(쇠고기 엑기스 분말, 쇠고기 분말, 닭고기 분말, 닭 간 분말), 농산물 가공품(생강 분말, 마늘 분말, 후추 분말, 콘 과립)과 같은 물질들 중에서, 기호성 증진의 효과가 기대되는 물질로 후보군의 범위를 한정한 후 이 중 소고기 분말, 닭 간 분말, 청국장을 부형제 후보 물질로 선택하였다.
- 시험 방법의 설정
동물용 의약품의 기호성 테스트에 대한 선행조사를 실시하여 2014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실시하여 출판된 반려동물용 의약품의 기호성 테스트에 대한 논문과 EMA에서 규정한 기호성 테스트 가이드 라인을 바탕으로 시험 방법을 설계하였다. 또한 2007년에 수행된 연구를 통계 분석에 참고하였다.
참고문헌 1: Comparison of the Palatability of a New Flavoured Drontal® Plus Tablet (Drontal® Plus Treat 10 kg) and Milbemax® Chewable Tablets When Presented to Privately Owned Dogs, Open Journal of Veterinary Medicine, 2014, 4, 163-169, Gabriele Petry, Josephus Fourie, Sonja Wolken
참고문헌 2: Guideline on the demonstration of palatability of veterinary medicinal products EMA/CVMP/EWP/206024/2011-CONSULTATION
참고문헌 3: An evaluation of the relative palatability of two commercial oral tablet formulations of carprofen and meloxicam in dogs using acceptance and preference tests, Revue Med. Vet., 2007, 158, 10, 519-524, M. Payne-Johnson, T. P. Maitland, N. Tilt and J. Gossellin
2017년 4월 8일에서 2107년 5월 2일까지 경기도 용인시 소재 농장에서 실험을 진행했으며, 견종 및 성별 구분없이 다양한 조건의 건강한 개를 대상으로 각각 10마리씩 3그룹으로 나누어, 3가지의 후보 물질에 대하여 기호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특이 조건 등의 변수를 배제하기 위하여 실험 장소 및 사료의 종류, 급여자를 변경하지 않고 실시하였다.
30마리의 건강한 실험견을 각각 10마리씩 3그룹으로 나누어 소고기분말, 닭 간 분말, 청국장분말을 3일 간격으로 급여하고 자발적으로 먹는 양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결과는 '자발적으로 모든 양을 먹음' 또는 '주어진 시간 내에 부분적으로 먹음' 또는 '자발적 섭취의 거부' 등 3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체크하였으며, 동일한 실험을 3회 반복하였다.
실험 결과는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카이제곱을 계산하여 평가하였다.
Palatability success (%) (1분 이내에 자발적으로 모두 먹은 경우)
= (자발적으로 모두 먹은 실험견의 마릿수/총 실험견 마릿수) x 100
(2) 시험 결과
- 급여량의 결정
기호성 테스트의 본 실험에 앞서 부형제 급여량 결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무작위로 10마리의 실험동물을 선별하고, 급여의 편리성을 위하여 1 큰술 기준인 10g의 닭 간 분말과 1 작은술 기준인 2g의 닭 간 분말을 주고 모든 시험견이 주어진 시간 안에 주어진 부형제를 모두 먹을 수 있는 양을 평가하였다. 동일 실험의 반복 시험을 2회 실시한 결과 20마리의 시험견 모두가 모든 부형제를 빠른 시간 안에 먹을 수 있었던 2g의 부형제를 기호성 테스트의 투여량으로 결정하였다.
- 기호성 평가
1차 실험 수행 시 A 그룹의 시험견들이 전체적으로 소고기 분말에 관심을 보였으나 3마리는 주어진 1분 안에 주어진 분말을 다 먹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남겼으며, 청국장가루를 받은 B 그룹의 시험견들은 대부분 섭취를 거부하거나 조금 먹었다. 닭 간 분말을 받은 C 그룹의 시험견 모두는 주어진 시간안에 주어진 닭 간 분말을 모두 먹었다.
2차 실험 수행 시 청국장 분말을 받은 A 그룹 시험견들은 역시 대부분 남겼으며, 닭 간 분말을 받은 B 그룹 강아지들은 대부분 다 잘 먹었으며, 소고기를 받은 C 그룹의 시험견들도 부분적으로 섭취한 2마리의 시험견을 제외하고는 모두 잘 먹었다.
3차 실험 수행 시 닭 간 분말을 받은 A 그룹 시험견 중 2마리를 제외한 시험견은 모두 닭 간 분말을 잘 먹었으며, 소고기 분말을 받은 B 그룹도 대부분의 시험견들이 주어진 부형제를 다 먹었다. 다만 청국장 분말을 받은 C 그룹의 시험견들 대부분은 냄새만 맡고 바로 흥미를 잃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2차 재시험 및 3차 재시험에도 비슷한 경향성을 보였으며, 위의 결과를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
소고기 분말 닭 간 분말 청국장 분말
Entire Partial Refusal Entire Partial Refusal Entire Partial Refusal
1차 4월 08일 7 3 0 10 0 0 0 4 6
4월 11일 8 2 0 10 0 0 0 1 9
4월 14일 9 1 0 8 2 0 0 7 3
2차 4월 17일 8 2 0 9 1 0 0 6 4
4월 20일 8 2 0 9 1 0 0 5 5
4월 23일 8 2 0 9 1 0 0 5 5
3차 4월 26일 9 1 0 8 2 0 0 7 3
4월 29일 8 2 0 9 1 0 0 7 3
5월 02일 7 3 0 9 1 0 0 4 6
Total 72 18 0 81 9 0 0 46 44
Palatability success (%) 80 20 0 90 10 0 0 51.11 48.89
위의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계산된 기호성 성공률은 소고기 분말과 닭 간 분말이 모두 성공기준 이상인 수치를 나타냈다(소고기 분말 80%, 닭 간 분말 90%). 하지만 부분적으로 섭취한 것으로 평가되는 횟수가 비슷하여도, 그 남은 양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대부분의 시험견들은 1분 내에 모두 섭취하지 못하여도 남긴 닭 간 분말의 양은 소량이었으나, 그에 비해 소고기 분말을 부분적으로 섭취한 경우는 대부분이 처음양의 1/2 ~ 1/4를 남긴 횟수도 여러 차례 있었다. 따라서, 시험견들이 시험 종료 후 남긴 양까지 고려하면 닭 간 분말의 기호성이 소고기 분말의 기호성보다 훨씬 높다고 평가하였다.
이하 시험에서는, 기호성 부형제로써 닭 간 분말을 적용했다.
2. 기호성이 향상된 약학조성물의 제조 및 약물약력학적 평가
(1) 기호성 테스트
- 실시예 1의 조성물 제작 및 기호성 평가 결과
2017년 4 내지 5월에 실시된 기호성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닭 간 분말을 첨가하여 기호성을 높인 펜톡시필린과 피모벤단을 합제 제조를 위한 실시예 1의 조성을 아래 표 2와 같이 설정하였다.
성분 피모벤단 펜톡시필린 고결방지제
(실리카 분말)
부형제
(옥수수전분)
기호성 부형제
(닭 간 분말)
함량 10.102 mg 0.594 g 0.132 g 2.970 g 2.894 g
실시예 1의 조성에 따른 시제품을 이용하여 안전성 테스트를 위한 시험견들을 대상으로 기호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량 및 4 배 용량의 시제품을 급여할 때는 섭취에 문제가 없었으나, 용량의 16배를 과량 복용을 위한 기호성 조사 시에는 섭취를 거부하는 시험견들이 있었다. 이의 원인으로 펜톡시필린의 쓴맛이 강하여 기존 기호성 테스트 상의 닭 간 분말의 함량으로는 기호성을 높이기에 부족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실시예 2의 조성물 제작 및 기호성 평가 결과
닭 간 분말의 함량을 높이는 조성을 다시 산출하여 아래 표 3과 같은 조성으로 시제품을 제작하였고, 이를 다시 시험견들을 대상으로 기호성 테스트를 실시했다.
성분 피모벤단 펜톡시필린 고결방지제
(실리카
분말)
감미제
(사카린
나트륨)
기호성
부형제
(닭 간 분말)
총합
함량
(중량부)
1.25 75 20 50 853.75 1,000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로 기호성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실시예 1의 조성과는 달리 정량 및 4배 용량뿐만 아니라 16배의 과량 복용 시에도 기호성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하 실험에서는 실시예 2의 조성을 적용하였다.
(2) 약물약력학 시험(PD)
- 실험 재료 및 방법
다른 질환이 없는 건강한 개체로 8 마리의 건강한 실험견(비글견)을 사용하였고, 무작위적, 실험자-맹검적인 단회 투여, 동일 용량 실험방법이 실시되었다.
실험견은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 두 그룹으로 나누었고(각 4마리씩), 약물 투여 당일, 각 그룹에 할당된 양의 경구용량을 단회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10mL의 물을 급여하며, 실험군은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이용해 Pimobendan 0.27 mg/kg (범위: 0.26-0.28 mg/kg), Pentoxifylline 15 mg/kg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모든 개체는 투여 후 5-10 mL의 물을 급여하여 약물이 확실히 섭취되도록 하였다.
- 약물약동학 분석
약물약동학 (Pharmacokinetics) 분석은 외부 실험실에 의뢰하여 진행하였고, 약물을 섭취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실험견으로부터 채혈한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혈청을 전처리를 거친 후 LC-MS/MS로 피모벤단과 펜톡시필린의 함량을 분석하여 PK 분석을 실시하였다.
- 심초음파 및 혈압 측정
실험견들은 심초음파 실시 전 Lateral recumbency 자세에 익숙해지도록 미리 교육하였다. 보정자 외에 다른 진정 약물은 사용하지 않았다. 심초음파는 본 실험 동안 한 명의 조사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하였으며, EPIQ 7 Cardiology Ultrasound Machine (Philips, USA)이 사용되었다.
조사항목은, LA size (mm, 좌심방 크기), Ao size (mm, 대동맥 크기, 내경), LA/Ao (좌심방과 대동맥 비율), IVSd (mm, 이완기말 심실중격 두께), IVSs (mm, 수축기말 심실중격 두께), LVIDd (mm, 이완기말 좌심실 직경), LVIDs (mm, 수축기말 좌심실 직경), LVPWd (mm, 이완기말 좌심실 후벽 두께), LVPWs (mm, 수축기말 좌심실 후벽 두께), FS (%, 좌심실 단축률), Ao vel (대동맥 최대 혈류 속도), PEP (수축 전 기간), 및 LVET (좌심실 수축시간)으로 평가했다.
- 약물약력학 (Pharmacodynamics) 분석
개의 크기에 따라 IVSs, IVSDd, LVIDs, LVIDd, LVPWs, LVPWd, LA, Ao의 크기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Cornell et al., 2004), 몸무게를 통해 수치를 보정하였다. 두 그룹간 지표의 차이는 p값이 0.05 이하일 때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약물약력학 분석의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3) 약물약력학 시험 결과
- 실험 결과 분석
약물약동학 (Pharmacokinetics) 분석은, 정확도(회수율)와 정밀도(변이계수, CV)를 산출하기 위하여 QC sample을 이용하여 각 농도에 대하여 최소 3번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검량선을 작성하여 혈청에서 피모벤단과 펜톡시필린을 정량하였고, 검출한계 (LOD)는 S/N (Signal to noise) 비율의 3배로, 정량한계(LOQ)는 S/N 비율의 10배 이상의 농도로 계산하였다. 질량 분석은 API 4000 MS/MS System (SCIEX, USA)를 사용하였고 ESI(Electrospray Ionization)로 fragmentation이 일어난 Positive ion은 MS/MS mode로 검출하였다. LC-MS/MS를 이용하여 피모벤단 및 펜톡시필린의 혈중 최고 농도 도달 시간 (Tmax), 혈중 최고 농도 (Cmax), 혈중 분포 용적 (AUC(inf)) 및 반감기 (T1/2)를 측정하였다.
약물약력학 (Pharmacodynamics) 분석은, 모든 자료는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데이터 비교 및 약물 투여 전후 데이터 비교에는 Mann-Whitney test 방법이 사용되었다. 약물 투여 후 시간에 따른 LA size, Ao size, LA/Ao, IVSd, IVSs, LVIDd, LVIDs, LVPWd, LVPWs, FS, Ao vel, PEP, LVET 및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평균 동맥압을 측정하였으며 이러한 지표에서 나타난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 혹은 약물 투여 전후의 차이가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지 분석하였다. P-value 0.05 이하의 경우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통계적 분석에는 SPSS version 20 (SPSS, Inc., Chicago, IL, USA)이 이용되었다.
- 약물약동학 (Pharmacokinetics) 실험 결과
피모벤단 경구투여 이후 실험군의 시간에 따른 피모벤단 농도 변화는 도 1에 나타냈고, 펜톡시필린 경구투여 이후 실험군의 시간에 따른 펜톡시필린 농도 변화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LC-MS/MS를 이용하여 피모벤단의 약물동태를 분석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의 피모벤단 혈중 최고농도도달시간(Tmax)은 1.08 ± 0.72 시간이었으며, 혈중최고농도 (Cmax)는 2.83 ± 1.50 ng/mL으로 나타났다. 혈중 분포 용적(AUC(inf))은 5.04 ± 0.84 이었고, 반감기(T1/2)는 2.65 ± 1.42 시간이었다. 펜톡시필린의 약물동태를 분석한 결과, 모든 개체에서의 펜톡시필린의 혈중 최고농도도달시간(Tmax)은 0.29 ± 0.14 시간이었으며, 혈중최고농도(Cmax)는 1184.33 ± 932.37 ng/mL으로 나타났다. 혈중 분포 용적(AUC(inf))은 1648.15 ± 723.56 이었고, 반감기(T1/2)는 0.29 ± 0.23 시간이었다.
- 약물약력학 (Pharmacodynamics) 시험결과
실험전 기본 심초음파 지표 검사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음을 아래 표 4와 같이 확인하였다. 아래 표 4는 실험 전 (약물 투여 전) 물만 투여한 대조군 (Control; n = 4) 과 실시예 2의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 (PP; n = 4)의 기본 심초음파 지표를 나타낸다.
Parameter (units) 대조군(Control) 실험군(PP)
Ao Vel (m/s) 127.4 ± 30.2 123.3 ± 29.8
Ao* (cm) 1.7 ± 0.0 1.5 ± 0.6
FS (%) 43.1 ± 4.3 37.7 ± 2.5
HR (bpm) 134.5 ± 16.0 94.3 ± 17.9
IVSd* (cm) 0.9 ± 0.1 0.8 ± 0.1
IVSs* (cm) 1.2 ± 0.2 1.1 ± 0.1
LA* (cm) 2.0 ± 0.1 1.8 ± 0.7
LVET (ms) 174.2 ± 7.1 198.7 ± 9.2
LVIDd* (cm) 3.0 ± 0.2 2.6 ± 0.8
LVIDs* (cm) 1.7 ± 0.2 1.6 ± 0.5
LVPWd* (cm) 0.9 ± 0.2 0.7 ± 0.2
LVPWs* (cm) 1.3 ± 0.1 1.1 ± 0.2
PEP (ms) 20.5 ± 3.1 25.8 ± 4.6
MBP (mmHg) 94.3 ± 6.7 101.5 ± 8.6
DBP (mmHg) 74.5 ± 13.5 90.0 ± 7.5
SBP (mmHg) 127.5 ± 10.1 123.5 ± 9.9
Ao Vel, aortic velocity; Ao, aortic diameter; FS, fractional shortening; HR, heart rate; IVSd, interventricular septum (diastole); IVSs, interventricular septum (systole); LA, left atrium; LVET, left ventricular ejection time; LVIDd, lef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diastole); LVIDs, lef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systole); LVPWd,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diastole); LVPWs,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systole); PEP, pre-ejection period; MBP, mean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SBP, systolic blood pressure.
No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 groups (P > 0.05).
Values expressed as mean standard ± deviation.
*Indexed to body weight (Cornell et al., 2004).
물만 투여한 대조군(Control; n=4)과 피모벤단과 펜톡시필린 합제를 투여한 실험군 (PP; n=4)에서 시간에 따라 심혈관 지표들의 변화를 살폈고, FS, LVIDs, PEP 변화를 각각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냈다.
실험 결과, 기존 지표 값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지표는 다음과 같았다: FS (1-4 h), LVIDs (1-3 h), PEP (3, 4 h), FS는 기존 지표값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LVIDs 와 PEP는 감소하였다. 약물의 최대 효과는 투여 후 2시간과 4시간 사이에 나타났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의적 차이 (P < 0.05) 는 FS에서 2시간에서 4시간째에, LVIDs에서 1시간에서 3시간째에, 그리고 PEP에서 3시간과 4시간째에 관찰되었다.
종합하면, 피모벤단과 펜톡시필린 합제인 위의 실시예 2의 조성은 경구투여를 통해 적절히 투여 가능하였으며, 반감기 (T1/2)는 피모벤단 2.65 ± 1.42 시간, 펜톡시필린 0.29 ± 0.23 시간으로 체내에서 빠르게 배출되었다. 모든 개체에서의 혈중 최고 농도 도달시간 (Tmax)은 피모벤단 1.08 ± 0.72 시간, 펜톡시필린 0.29 ± 0.14 시간이었으며, 혈중최고농도 (Cmax)는 피모벤단 2.83 ± 1.50 ng/mL, 펜톡시필린 1184.33 ± 932.37 ng/mL이었다. 혈중 분포 용적 (AUC(inf))은 피모벤단 5.04 ± 0.84, 펜톡시필린 1648.15 ± 723.56 이었다.
위의 실시예에서 단회 투여한 결과, 상기 조성물이 심장의 수축기능을 확연히 증진시킴을 심초음파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좌심실 단축률 (Fractional shortening)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약물 투여 1시간, 1.5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째에 약물 투여 전 수치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약물 투여 2시간, 3시간, 4시간째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수축기말 좌심실 직경 (Lef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at end systole)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약물 투여 후 1시간, 1.5시간, 2시간, 3시간째에 약물 투여 전 기존 수치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약물 투여 후 1시간, 1.5시간, 2시간, 3시간째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수축 전 기간 (Pre-ejection period)은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약물 투여 후 3시간과 4시간째에 약물 투여 전 수치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지표들의 변화는 약물의 효과를 확인하는 데에 유용한 지표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약물 효과의 지속 시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물의 최대 효과는 투여 후 2-4 시간에 관찰되었으며, 8시간 이내의 시간 동안 효과가 유지되었다.
3. 안전성 평가
(1) 실험 방법
단회투여 및 반복투여시 독성을 다양한 용량에서 실시하였다.
암수 구별없이 임상적으로 건강한 10마리의 비글견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몸무게는 8-14kg 내외이며, 실험 시작 전 모든 개체는 전반적인 신체검사를 포함한 건강 검진을 진행하며, 이후 1 주간 동일한 실험 사육 시설에서 적응기간을 가졌다. 사료는 동일한 브랜드의 건사료를 하루 2회 일정한 시간에 급여하였으며, 물은 상시 급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동물이 머무는 사육 시설은 일정 온도와 습도, 인공적인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있었다. 실험동물의 사육 및 관리는 모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허가를 받고 규정에 맞게 진행하였다.
실험견은 무작위로 4 그룹으로 나뉘었다. 각 그룹은 그룹 1 (대조군), 그룹 2 (권장용량 투여군), 그룹 3 (권장용량의 4배 과용량 투여군), 그룹 4 (권장용량의 16배 과용량 투여군)로 나뉘었으며, 그룹2 (권장용량 투여군)는 4마리, 나머지 그룹 1, 그룹 3과 그룹 4는 각 그룹당 2마리씩 배정하였다. 총 4주간 서로 다른 용량의 약물을 경구투여 하였으며, 각 그룹에 투여된 약물의 용량은 다음 표 5와 같다.
그룹 개체 수 약물 용량 독성 용량 약물 투여 방법
Pimobendan Pentoxifylline
1 2 마리 0 mg/kg/day 0 mg/kg/day 대조군 약물 투여 없음
2 4 마리 0.5 mg/kg/day 30 mg/kg/day 권장용량 하루 2회에 나누어 총 4주간 경구투여
3 2 마리 2.0 mg/kg/day 120 mg/kg/day 권장용량의 4배
4 2 마리 8.0 mg/kg/day 480 mg/kg/day 권장용량의 16배
(2) 안전성의 평가
- 평가 방법
폐사율/이환율 (Mortality/Morbidity)은, 4주의 실험기간 동안 매일 실험견을 관찰하여 발생한 폐사 혹은 이환율을 기록하는 방법으로 평가했다.
신체검사 (Physical examination) 항목은, 4주의 실험기간 동안 매일 기본 신체검사상 이상소견을 확인하며, 사료 섭취량을 확인하여 건강이상 유무를 체크한다. 체중은 0일, 7일, 14일, 21일, 28일차에 측정하였다.
혈액검사 (Blood examination) 항목은, 전혈구검사 (CBC; WBC, RBC, Hb, HCT, MCV, MCH, MCHC, PLT), 혈청화학검사 (BUN, Cre, ALT, AST, ALP, TP, Alb) 및 전해질 검사 (Na, K, Cl)를 0일, 7일, 14일, 21일, 28일차에 실시하여 이상유무를 체크하였다.
뇨 검사 (Urinalysis)는, 0일, 7일, 14일, 21일, 28일차에 뇨 검사를 실시하여 약물 투여에 따른 신장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뇨 비중 (Urine specific gravity; USG), 뇨 스틱 검사 (Urine dip stick), Wet preparation 및 세포검사 (Cytology)를 실시하였다.
심전도 검사 (Electrocardiography)는, 0일, 7일, 14일, 21일, 28일차에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약물 투여에 따른 부정맥, 심방세동, 그 외의 이상파형 등이 나타나지 않는지 이상유무를 체크한다. 심전도 기기는 ECG-1350 (Nihon kohden, Tokyo, Japan)이 사용되었으며, 비글견은 Lateral recumbency 혹은 sitting or standing 자세로 측정되었다. 보정자 외에 진정 약물은 사용되지 않았다.
심초음파 검사 (Echocardiography)는, 0일, 28일차에 심초음파를 검사를 실시하여 심장의 형태학적 변화 및 기본적 기능지표를 확인하고 이상유무를 체크한다. 심초음파 기기는 EPIQ 7 Cardiology Ultrasound Machine (Philips, USA)이 사용되었다.
부검 (Necropsy)은, 28일간의 실험 종료 이후 부검을 통해 장기 (심장, 폐, 간, 비장, 신장, 소화기) 독성여부를 육안 평가하였으며, 심장의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 평가 결과
폐사율/이환율 (Mortality/Morbidity) 평가 결과로, 총 4주간의 실험기간 중 매일 실험견을 관찰하였으며, 폐사하거나 질병에 이환된 실험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기력저하, 과민반응, 소화기 부작용 등의 약물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신체검사 (Physical examination) 결과로, 실험 기간 동안 측정 시점에 따른 신체 검사 결과의 변화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험기간 동안 개체의 체중, 심박수, 호흡수 및 체온의 경우 특이할 만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Variables Day 0 Day 7 Day 14 Day 21 Day 28
BW(Kg) 10.5 ± 2.3 10.4 ± 2.1 10.5 ± 1.9 10.6 ± 1.7 10.5 ± 2.1
HR(bpm) 116 ± 24 121 ± 9 127 ± 10 114 ± 11 112 ± 8
RR(/min) 32 ± 4 34 ± 3 28 ± 6 24 ± 2 32 ± 3
BT (℃) 38.4 ± 0.4 38.7 ± 0.4 38.5 ± 0.8 38.6 ± 0.5 38.5 ± 0.4
* BW, body weight; HR, heart rate; RR, respiratory rate; BT, body temperature.
혈액검사 (Blood examination) 결과는, 실험기간 동안 측정 시점에 따른 혈액 검사 결과의 변화를 관찰해 아래 표 7에 제시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개체의 전혈구 검사, 혈청화학 및 전해질 검사상 특이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수치는 참고범위 이내에 존재하였다.
Variables Day 0 Day 7 Day 14 Day 21 Day 28 참조값
CBC WBC
(x103/ul)
10.1
± 2.1
9.5
± 2.1
9.1
± 2.1
9.3
± 1.5
10.0
± 1.7
5.2~13.9
RBC
(x106/ul)
7.3
± 1.0
7.3
± 0.7
6.7
± 0.9
7.4
± 1.0
7.3
± 0.9
5.7~8.8
Hb(gm/dl) 16.4
± 2.4
16.5
± 1.5
15.0
± 1.8
16.5
± 1.8
16.2
± 1.7
12.9~18.4
HCT(%) 52.2
± 9.1
51.5
± 4.7
46.5
± 6.7
52.0
± 6.2
51.0
± 6.9
37.1~57.0
MCV(fL) 71.1
± 2.2
70.3
± 1.9
63.4
± 20.2
70.4
± 2.5
70.1
± 3.3
58.8~71.2
MCH(pg) 20.6
± 6.4
22.6
± 0.8
20.4
± 6.3
22.4
± 0.8
22.3
± 0.6
20.5~24.2
MCHC(%) 31.7
± 1.3
32.1
± 5.5
32.3
± 1.5
31.8
± 0.9
31.8
± 1.3
31.0~36.2
PLT(x103/ul) 281
± 69
284
± 76
255
± 69
296
± 74
240
± 73
143~400
Serum Chemistry TP
(g/dL)
6.9
± 0.4
6.8
± 0.5
6.2
± 0.5
6.2
± 0.5
6.2
± 0.6
5.4~7.4
ALB
(g/dL)
3.3
± 0.1
3.4
± 0.2
3.2
± 0.1
3.3
± 0.2
3.2
± 0.1
2.9~4.2
BUN(mg/dL) 14.2
± 3.3
10.6
± 3.3
10.6
± 3.8
12.2
± 4.3
13.3
± 4.8
8~26
CREA(mg/dL) 0.7
± 0.1
0.8
± 0.1
0.7
± 0.1
0.8
± 0.1
0.9
± 0.1
0.5~1.3
AST(U/L) 33.7
± 7.4
33.2
± 5.9
26.1
± 5.3
25.5
± 5.0
25.6
± 4.7
15~43
ALT(U/L) 34.9
± 14.0
33.9
± 12.6
38.4
± 15.8
34.7
± 13.5
35.0
± 21A.0
19~70
ALP(U/L) 55.8
± 28.3
47.3
± 22.0
47.3
± 21.5
50.4
± 21.4
58.6
± 24.9
15~127
Na(mmol/L) 145.9
± 1.9
145.1
± 0.6
145.7
± 2.0
145.6
± 1.6
146.5
± 2.3
144~154
K(mmol/L) 5.0
± 0.2
4.9
± 0.3
4.7
± 0.3
4.8
± 0.3
4.7
± 0.3
4.1~5.3
Cl(mmol/L) 109.4
± 1.6
110.5
± 1.4
110.2
± 2.2
110.9
± 1.3
110.4
± 2.2
105~116
*CBC, complete blood count; WBC, white blood cell; RBC, red blood cell; Hb, haemoglobin; HCT, hematocrit; MCV, mean corpuscular volume; MCH, mean corpuacular haemoglobin; MCHC, mean corpuscular haemoglobin concentration; PLT, platelets; TP, total protein; ALB, albumin; BUN, blood urea nitrogen; CREA, creatinine; AST, aspartate transmain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ALP, alkaline phosphatase; Na, sodium; K, potassium; Cl, Chloride.
뇨 검사 (Urinalysis) 결과는, 실험기간 동안 모든 실험견에 대해 뇨 비중 (Urine specific gravity; USG), 뇨 스틱 검사 (Urine dip stick), Wet preparation 및 세포검사 (Cytology)를 실시하였으며, 각 그룹별 뇨 검사 결과는 다음 표 8 과 같다.
그룹 1 (대조군) Day0 Day7 Day14 Day21 Day28
Urin-alysis S.G. 1.038
± 0.003
1.041
± 0.002
1.042
± 0.001
1.041
± 0.004
1.039
± 0.004
Dip stick - protein trace protein trace - -
Wet - - - - -
Cytology - - - - -
그룹 2 (X1) Day0 Day7 Day14 Day21 Day28
Urin-alysis S.G. 1.035
± 0.005
1.038
± 0.004
1.040
± 0.002
1.034
± 0.005
1.036
± 0.005
Dip stick - - protein trace - -
Wet - - - - -
Cytology - - - - -
그룹 3 (X4) Day0 Day7 Day14 Day21 Day28
Urin-alysis S.G. 1.045 ± 0.000 1.037 ± 0.006 1.039 ± 0.005 1.040 ± 0.001 1.037 ± 0.004
Dip stick protein trace - - protein trace -
Wet - - - - -
Cytology - - - - -
그룹 4 (X16) Day0 Day7 Day14 Day21 Day28
Urin-alysis S.G. 1.042 ± 0.002 1.040 ± 0.001 1.037 ± 0.002 1.036 ± 0.003 1.040 ± 0.001
Dip stick protein trace protein trace - - -
Wet - - - - -
Cytology - - - - -
*S.G., specific gravity; No remarkable finding was indicated as “-”.
실험기간 전체 동안 뇨 검사상 이상소견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농축뇨에 의한 단백뇨 흔적 (protein trace)이 몇몇 개체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는 정상적 수치로 평가되며, 모든 수치는 참고범위 이내에 존재하였다.
심전도 검사 (Electrocardiography) 결과는, 실험기간 동안 모든 실험견에 대해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정맥, 심방세동, 그 외의 이상파형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P파 amplitude (mV), duration (s), QRS파 amplitude (mV), QRS duration (s), T파 amplitude (mV) 등의 지표를 측정하여 심장변형, Bundle branch block 등의 이상소견이 관찰되는지 확인하였다.
심전도 검사 결과는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냈다. 이 결과를 참고하면, 모든 실험기간 동안 전체 실험견의 심전도 결과 상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모든 수치는 참고범위 이내에 존재하였다.
심초음파 검사 (Echocardiography) 결과는, 실험 전 (0일 차)과 실험 후 (28일 차)에 모든 실험견에 대해 심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심장의 형태학적 변화 및 기본적 기능지표를 확인하고 이상유무를 체크하였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냈다. 심초음파 기기는 EPIQ 7 Cardiology Ultrasound Machine (Philips, USA)이 사용되었다.
Parameter (units) of Day 0 Dogs (n = 10) Parameter (units) of Day 28 Dogs (n = 10)
Ao Vel (m/s) 124.6 ± 31.4 Ao Vel (m/s) 126.3 ± 27.8
Ao* (cm) 1.7 ± 0.1 Ao* (cm) 1.7 ± 0.6
FS (%) 44.1 ± 4.6 FS (%) 51.7 ± 3.5
HR (bpm) 137.5 ± 16.2 HR (bpm) 142.3 ± 16.7
IVSd* (cm) 0.9 ± 0.2 IVSd* (cm) 0.9 ± 0.1
IVSs* (cm) 1.2 ± 0.3 IVSs* (cm) 1.3 ± 0.4
LA* (cm) 2.1 ± 0.1 LA* (cm) 2.0 ± 0.7
LVET (ms) 186.2 ± 8.1 LVET (ms) 198.7 ± 9.2
LVIDd* (cm) 3.1 ± 0.3 LVIDd* (cm) 3.0 ± 0.8
LVIDs* (cm) 1.7 ± 0.4 LVIDs* (cm) 1.6 ± 0.6
LVPWd* (cm) 0.9 ± 0.2 LVPWd* (cm) 0.8 ± 0.2
LVPWs* (cm) 1.3 ± 0.2 LVPWs* (cm) 1.3 ± 0.2
PEP (ms) 21.5 ± 2.8 PEP (ms) 24.8 ± 3.6
MBP (mmHg) 94.7 ± 6.5 MBP (mmHg) 100.5 ± 7.6
DBP (mmHg) 77.5 ± 12.5 DBP (mmHg) 89.0 ± 6.5
SBP (mmHg) 127.8 ± 9.1 SBP (mmHg) 129.5 ± 8.9
Ao Vel, aortic velocity; Ao, aortic diameter; FS, fractional shortening; HR, heart rate; IVSd, interventricular septum (diastole); IVSs, interventricular septum (systole); LA, left atrium; LVET, left ventricular ejection time; LVIDd, lef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diastole); LVIDs, lef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systole); LVPWd,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diastole); LVPWs, left ventricular posterior wall (systole); PEP, pre-ejection period; MBP, mean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SBP, systolic blood pressure.
Values expressed as mean standard ± deviation. *Indexed to body weight (Cornell et al., 2004).
상기 표 9의 결과를 참조하면, 심초음파 결과 실험 전 (0일 차)과 실험 후 (28일 차)에 각 개체별로 유의적인 심장 크기의 변화나 이상지표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모든 결과는 정상 범위 이내로 나타났다.
부검 (Necropsy)은, 28일간의 실험 종료 이후 부검을 통해 장기 (심장, 폐, 간, 비장, 신장, 소화기) 독성여부를 육안평가 하였으며, 심장의 경우 조직검사를 통해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각 장기별 육안 검사시, 그룹 1 (대조군), 그룹 2 (권장용량군), 그룹 3 (권장용량의 4배 과용량군), 그룹 4 (권장용량의 16배 과용량군) 모두에서 심장, 폐, 간, 비장, 신장, 소화기의 어떠한 육안적 병변도 관찰되지 않았다.
각 실험견의 심장 육안검사상 이첨판과 좌심실 유출로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에 특이적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첨판의 점액종성 변성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좌심실 유두근 (Papillary muscle), 심실 중격 (Interventricular septum)의 심근에도 특이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실험견의 이첨판 무게는 300 mg 이내였으며, 이첨판의 증식 혹은 이첨판 기저부의 국소적 출혈은 관찰되지 않았다. 유두근 (Papillary muscle) 부착부의 힘줄끈 (Chordae tendineae)의 증식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좌심실 유출로 심내막의 변색, 좌심실 심근의 육안적 괴사 혹은 흉터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삼첨판 (Tricuspid valve)의 혈액종 등의 병변도 관찰되지 않았다. 그룹 4 (권장용량의 16배 과용량군) 실험견의 부검을 통한 장기 육안검사의 결과들 중에서 심장과 신장의 사진을 도 10에 첨부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견의 심장 조직검사를 통해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냈다. 그룹 1 (대조군), 그룹 2 (권장용량군), 그룹 3 (권장용량의 4배 과용량군), 그룹 4 (권장용량의 16배 과용량군) 모두에서 이첨판의 점액종성 변성 및 증식, 좌심실 유출로 심내막의 증식, 좌심실과 심실 중격 심근의 다발성 괴사, 좌심실 내 동맥벽의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위의 실시예 2의 조성은 권장용량뿐만 아니라 권장용량의 4배, 16배 과용량군에서도 특이적인 육안 장기 이상 소견 및 심근 조직병리학적 이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위와 같은 검사 결과를 종합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조성은, 권장용량 (피모벤단 기준 체중 당 0.25 mg 하루 2회), 권장용량의 4배 (피모벤단 기준 체중 당 1 mg 하루 2회), 권장용량의 16배 (피모벤단 기준 체중 당 4 mg 하루 2회)의 다양한 독성 용량으로 총 4주간 투여하였을 때 개에서 기력저하, 과민반응, 소화기 증상 등을 포함하는 특이적인 임상증상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기본 신체검사, 혈액검사, 뇨 검사, 심전도 검사, 심초음파 결과, 부검을 통한 육안 검사 및 조직검사상에 어떠한 특이적인 부작용 혹은 독성의 증거도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위의 조성물은 개에게 투여하였을 때 특이적인 부작용 없이 사용될 수 있는 안전한 약물로 판단된다.
4. 단기 임상평가
(1) 실험 방법
자연적으로 발생한 이첨판 판막 변성증 (MMVD)을 가진 개에서 기존 약물에 비교하여 본 발명 조성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소규모로 단기적으로 평가하였다.
자연적으로 발생한 이첨판 판막 변성증 (Myxomatous mitral valve degeneration)를 가진 환축을 모집하여 참여시켰다. 실험에는, 기존 약물인 Pimobendan (Vetmedin®, Boeringer Ingelheim, Germany)를 투여하는 대조군 1마리와, 본 발명에서 제조된 실시예 2의 시제품을 투약하는 실험군 1마리가 포함되었다.
대조군 및 실험군 포함기준은 동물병원에서 이첨판 판막 변성증 (Myxomatous mitral valve degeneration)으로 진단받은 1년령 이상의 개이며, 청진상 심잡음이 이첨판 부위에서 확인되어야 하며, 심초음파 검사상 판막의 변성과 Color Doppler 상 판막 혈액 역류를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미국수의내과학회 (ACVIM) 만성 판막 심질환 분류 Stage B 이상의 개체 중, Pimobendan의 투여가 지시되는 개체로 한정하였다. 배제 기준은 이첨판 판막변성증 (MMVD)이 아닌 기타 심질환 (예, 선천성 심질환)을 가진 개이며, 심질환 이외의 심각한 전신 질환을 가진 개체 (신체검사, 혈액 및 혈청화학검사) 역시 배제되었다. 또한 심장관련 약물 외의 기타 약물을 처방받은 환축은 배제하였다.
소규모 실험에 선발된 개체(n = 2)는 무작위로 대조군 (기존 약물 투여군)과 실험군 (실시예 2의 조성 투여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아래 항목으로 평가했다.
- 신체검사 (탈수, 신체충실지수, 체중, 체온, 심박수, 호흡수, 혈압)
- 혈액검사 (전혈구검사: CBC (WBC, HCT, Plt, 혈청화학 검사: ALT, AST, ALP, TP, Alb, BUN, Cre, 전해질 검사: Na, K, Cl)
- 영상 평가 (방사선 평가, 심전도 평가, 심초음파 평가)
- 심초음파 (Echocardiography) [MV prolapse(Y/N), FS, EF, LVIDd, LVIDs, ESVI, EDVI, LA/Ao, AT (RVOTflow), AT/RVET, E, A, E/A, Em, Am, E/Em], 유효성 평가 (심장지표 점수표 및 유효성 평가표의 항목 및 점수 평가)]
* 심장지표 점수표 기준
- 심전도(이상 없음, 부정맥 관찰, 심방 세동 관찰, 그 외 이상파형 관찰)
- 방사선검사(심장크기, VHS; 심비대 없음, 약한 심비대, 중등도의 심비대, 심한 심비대),
- 폐수종 평가(폐수종 없음, 폐실질 음영 약하게 증가, 폐실질 음영 중등도 증가, Alveolar pattern 존재, 심한consolidation존재)
- 약물투약 후 임상 효용성(임상증상이 확연히 개선됨, 임상증상이 개선됨, 임상증상이 조금 개선됨, 임상증상이 개선되지 않음, 치료 실패),
- 부작용 여부(있음, 없음).
*유효성 평가표 기준
- 식욕: 1 증가, 2 정상, 3 감소 (정상의 2/3), 4 현저한 감소 (정상의 2/3 이하)
- 행동: 1 민감하고 반응 있음, 2 약간 우울, 3 중증도 우울, 4 최소 반응, 5 무반응
- 운동불내성: 1 매우 양호, 2 양호 (달리기능력이 약간 저하됨), 3 감소 (정상보다 비활동적, 긴 운동을 피하려고 함), 4 불량 (식사, 음수, 배뇨 외에 거의 움직이지 않음)
- 호흡상태 평가: 1 정상, 2 미약하게 호흡 노력증가, 3 중증도의 호흡곤란, 4 심한 호흡곤란)
-기침: 1 없음, 2 가끔 (한주에 몇번), 3 자주 (하루에 몇번), 4 지속 (하루 중 여러 번)
- 야간 호흡곤란 증상: 1 없음, 2 야간에 때때로 기침을 하지만 호흡곤란은 없음, 3 야간에 기침을 하며, 불편한 호흡 관찰
- 심부전 단계, ISACHC: 1 심질환 증상이 있지만 보상작용 (volume or pressure overload ventricular hypertrophy)의 증상이 보이지 않음; 2 심질환 증상이 보이고 보상작용이 심초음파나 방사선적으로 검출 가능함; 3 휴식시 또는 가벼운 운동시 심부전 증상이 뚜렷하며, 삶의 질을 떨어뜨림. 심부전의 전형적 증상은 운동불내성, 기침, 빈호흡, 경도의 호흡곤란, 경도에서 중증도의 복수가 포함됨. 휴식시 Hypoperfusion은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음; 4 진행된 울혈성 심부전의 증상이 명백함. 임상증상은 호흡곤란, 뚜렷한 복수, 심한 운동불내성, 혹은 휴식시 Hypoperfusion이 나타남. 통원치료(가정치료)가 가능함; 5 입원치료가 필수적임 (심인성 쇼크, 생명을 위협하는 폐부종, 다량의 흉수).
- 부작용 평가
전신반응, 피부 반응, 소화기 증상, 혈액학적 이상유무, 혈청학적 이상유무, 뇨검사 이상유무, 심장약 관련성, 응급 처치 및 치료, 회복의 항목 평가
개체는 실험 시작일을 기점으로 투여 전 (0일), 투여 후 7일에 평가하였다.
(2) 실험 결과
- 기본정보와 신체검사/혈액검사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에 포함된 환축의 기본정보 및 신체검사 결과를 다음 표 10에 제시하였다.
정보 대조군 실험군
Breed Pekignese Schunauzer
Age (years) 10 8
Gender Intact female Intact female
History of present illness 임상증상 없이 심 잡음 존재 임상증상 없이 심 잡음 존재
항목 대조군 실험군
General condition Mild depression NRF
Body condition score 5점 중 3점 5점 중 3점
Body weight (Kg) 6.62 7.6
Body temperature (℃) 38.8 38.7
Heart rate (bpm) 138 126
Respiratory rate (/min) 18 36
Blood pressure S 146 D 89 MAP 120 S 142 D 95 MAP 117
*NRF, no remarkable findings; S, systolic blood pressure; D, diastolic blood pressure; MAP, mean arterial pressure.
대조군과 실험군 환축에 있어 실험 0일차와 7일차에 혈액검사 (전혈구검사, 혈청화학검사, 전해질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1에 제시하였다.
평가항목 대조군 실험군 참고범위
Day 0 Day 7 Day 0 Day 7
CBC WBC (x103/ul) 13.61 11.15 13.02 12.85 5.2~13.9
RBC (x106/ul) 5.78 6.37 7.94 8.35 5.7~8.8
Hb (gm/dl) 13.6 15.7 17.6 18.2 12.9~18.4
HCT (%) 44.3 46.2 49.7 51.2 37.1~57.0
MCV (fL) 64.5 72.5 62.6 62.3 58.8~71.2
MCH (pg) 23.5 24.6 22.2 21.8 20.5~24.2
MCHC (%) 36.5 34 35.4 35.5 31.0~36.2
PLT (x103/ul) 486 411 432 476 143~400
Serum
Chemistry
TP (g/dL) 7.3 7.1 7.2 7.1 5.4~7.4
ALB (g/dL) 3.4 3.4 3.2 3.3 2.9~4.2
BUN (mg/dL) 18 13 19 23 8~26
CREA (mg/dL) 0.8 0.6 1 0.9 0.5~1.3
AST (U/L) 32 43 34 36 15~43
ALT (U/L) 56 61 116 87 19~70
ALP (U/L) 66 52 129 116 15~127
Na (mmol/L) 146 145 153 153 144~154
K (mmol/L) 4.3 4.3 4.4 4 4.1~5.3
Cl (mmol/L) 116 115 111 109 105~116
*CBC, complete blood count; WBC, white blood cell; RBC, red blood cell; Hb, haemoglobin; HCT, hematocrit; MCV, mean corpuscular volume; MCH, mean corpuacular haemoglobin; MCHC, mean corpuscular haemoglobin concentration; PLT, platelets; TP, total protein; ALB, albumin; BUN, blood urea nitrogen; CREA, creatinine; AST, aspartate transmain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ALP, alkaline phosphatase; Na, sodium; K, potassium; Cl, Chloride.
위의 표 11을 참조하면,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약물 투여 전 0일차와 투여 후 7일차에 실시한 혈액검사 결과는 모든 수치에서 참고범위 안에 속하였다.
- 영상 평가 결과
흉부 방사선 평가와 심초음파검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2 내지 14에 나타냈다.
* 대조군의 결과
- 이첨판 판막의 변성을 확인하였다.
- Color Doppler상 이첨판 역류가 확인되었다.
- 0일차 검사상 좌심방 확장 (LA/Ao = 1.64)이 확인되었으며, 약물 투여 후 7일차 검사시 LA/Ao = 1.54로 감소되었다.
- 좌심실 단축률 (FS)는 0일차 검사상 43.8 % 였으며, 7일차 검사상 48.1 %로 증가되었으며, 박출률 (EF) 역시 0일차 검사상 76.9 %에서 7일차 검사상 81.3 %로 증가되었다.
- 좌심실 이완기 직경 (LVIDd)은 0일차에 2.65 cm에서 7일차 검사상 2.58 cm로 약간 감소하였으며, 좌심실 수축기 직경 (LVIDs) 역시 0일차에 1.49 cm에서 7일차 검사상 1.34 cm로 감소하였다.
- 수축기말 용적 지표 (ESVI)는 0일차에 5.95에서 7일차에 4.5로 감소하였으며, 이완기말 용적 지표 (EDVI)는 0일차에 25.8에서 7일차에 24.1로 약간 감소하였다.
- 폐동맥 수축기 혈액의 가속 시간(AT)은 0일차에 87 ms, 7일차에 88 ms로, 폐동맥 고혈압의 가능성이 낮았으며, 우심실 가속시간대 박출시간의 비율 (AT/RVET)은 0일차와 7일차 모두 0.4로 역시 폐동맥 고혈압의 가능성이 낮았다.
- Trans-mitral flow의 E/A ratio는 1.2로 나타났으며, Tissue-Doppler imaging의 Em/Am은 0.63으로 이완기 기능저하를 의심할 수 있었다. 이는 7일차에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 기타 심장초음파 검사상 심장구조의 이상이나 특이사항/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 실험군의 결과
- 이첨판 판막의 변성을 확인하였다.
- Color Doppler상 이첨판 역류가 확인되었다.
- 0일차 검사상 좌심방 확장 (LA/Ao = 1.67)이 확인되었으며, 약물 투여 후 7일차 검사시 LA/Ao = 1.57로 감소되었다.
- 좌심실 단축률 (FS)는 0일차 검사상 49.23 % 이었으며, 7일차 검사상 55.4 %로 증가되었으며, 박출률 (EF) 역시 0일차 검사상 82.8 %에서 7일차 검사상 87.3 %로 증가되었다.
- 좌심실 이완기 직경 (LVIDd)은 0일차에 3.23 cm에서 7일차 검사상 2.85 cm로 약간 감소하였으며, 좌심실 수축기 직경 (LVIDs) 역시 0일차에 1.64 cm에서 7일차 검사상 1.27 cm로 감소하였다.
- 수축기말 용적 지표 (ESVI)는 0일차에 4.87에서 7일차에 3.91로 감소하였으며, 이완기말 용적 지표 (EDVI)는 0일차에 34.2에서 7일차에 30.9로 약간 감소하였다.
- 폐동맥 수축기 혈액의 가속 시간(AT)은 0일차에 87 ms, 7일차에 89 ms로, 폐동맥 고혈압의 가능성이 낮았으며, 우심실 가속시간대 박출시간의 비율 (AT/RVET)은 0일차와 7일차 모두 0.4로 역시 폐동맥 고혈압의 가능성이 낮았다.
- Trans-mitral flow의 E/A ratio는 1.34 로 나타났으며, Tissue-Doppler imaging의 Em/Am은 0.50으로 이완기 기능저하를 의심할 수 있었다. 이는 7일차에도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 기타 심장초음파 검사 상 심장 구조의 이상이나 특이사항/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심초음파 결과는 다음 표 12와 같다.
Variables 대조군 실험군
Day 0 Day 7 Day 0 Day 7
Echocardio-graphy MV prolapse (Y/N) N N N N
FS (%) 43.8 48.1 49.23 55.4
EF (%) 76.9 81.3 82.8 87.3
LVIDd (cm) 2.65 2.58 3.23 2.85
LVIDs (cm) 1.49 1.34 1.64 1.27
ESVI 5.95 4.5 4.87 3.91
EDVI 25.8 24.1 34.2 30.9
LA/Ao 1.64 1.54 1.67 1.57
AT (RVOT flow)(ms) 87 88 87 89
AT/RVET 0.4 0.4 0.4 0.4
E (cm/s) 68 81 58 75
A (cm/s) 56 68 43 58
E/A 1.2 1.2 1.34 1.29
Em (cm/s) 4.58 7.86 5.95 7.45
Am(cm/s) 7.26 10.6 8.75 14.7
E/Em 14.8 10.3 9.88 10.12
*MV, mitral valve; FS, fractional shortening; EF, ejectional fraction; LVIDd, lef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diastole); LVIDs, left ventricular internal diameter (systole); ESVI, end systolic volume index; EDVI, end diastolic volume index; LA, left atrium; Ao, Aorta; AT, acceleration time; RVOT,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RVET, right ventricular ejection time; E, e peak flow velocity of transmitral flow; A, a peak flow velocity of transmitral flow; Em, e peak flow velocity of tissue doppler imaging; Am, a peak flow velocity of tissue doppler imaging.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대조군과 실험군의 환축 모두에서 약물 투여 후 동일한 지표에서 비슷한 경향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수축력 증가, 심장크기 개선을 확인하였다.
- 심전도 검사 결과
약물 투여 전 0일차와 투여 후 7일차에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냈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대조군 환축에서 실시한 심전도 검사 결과, 정상 sinus rhythm을 나타내었으며, QRS amplitude가 2.8 mV로, 소형견임을 감안할 때 다소 증가된 QRS amplitude를 나타내었고, 이는 좌심실 확장을 의심할 수 있다. 기타 모든 수치는 정상 범위 내에 존재하였다. 실험군 환축에서 실시한 심전도 검사 결과, 정상 sinus rhythm을 나타내었으며, QRS amplitude가 4 mV로, 소형견임을 감안할 때 다소 증가된 QRS amplitude를 나타내었고, 이는 좌심실 확장을 의심할 수 있다. 기타 모든 수치는 정상 범위 내에 존재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 환축 모두에서 약물 투여 전후의 유의적인 심전도상의 변화나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 유효성 평가
대조군과 실험군 각 환자에게 유효성 평가표의 항목 및 점수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3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1
위의 표 13을 참조하면, 대조군 환축에서 유효성 평가표 점수의 합은 0일차에 9점이며, 투약 후 7일차에 역시 9점으로 동일하였다. 이는 본 환자가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ACVIM B2 환자이기 때문에 임상증상 개선을 뚜렷하게 관찰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군 환축에서 유효성 평가표 점수의 합은 0일차에 9점이며, 투약 후 7일차에 8점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간헐적으로 존재하던 심원성 기침이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 이후 호전된 것으로 판단된다.
- 심장지표 점수표
약물 투여 전/후의 심장지표 개선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의 표 14 항목에 따라 대조군과 실험군 환축의 심장지표를 점수화 하였다.
점수 심전도 방사선검사
(심장크기, VHS)
방사선 검사
(폐수종 평가)
약물투약 후 임상 효용성 부작용 여부
1 이상 없음 심비대 없음 폐수종 없음 임상증상이 확연히 개선됨 부작용 없음
2 부정맥 관찰 약한 심비대 폐실질 음영 약하게 증가 임상증상이 개선됨 부작용 존재
3 심방 세동 관찰 중등도의 심비대 폐실질 음영 중등도 증가 임상증상이 조금 개선됨 -
4 그 외 이상파형 관찰 심한 심비대 Alveolar pattern 존재 임상증상이 개선되지 않음 -
5 - - 심한consolidation존재 치료 실패 -
점수표에 따른 각 환자의 점수는, 대조군 환축의 심장지표 점수 : 9점; 실험군 환축의 심장지표 점수 : 9점으로, 동일하였다.
- 부작용 평가
대조군과 실험군 환축에서 부작용 평가표에 따라 부작용 여부를 판단하였으며, 모든 항목에서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았다.
(3) 약물 간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 유효성 평가 방법
대조군에 투여된 기존 약물과 실험군에 투여된 실시예 2의 조성물 의 유효성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유효성 평가 점수 개선율
2) 심장지표 점수
3) 심장크기 개선율 (LA/Ao, 좌심실 이완기 직경)
4) 좌심실 단축률 개선율
- 유효성 평가 결과
유효성 평가 점수 및 심장크기 지표의 개선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한다.
개선율 (%) = (0일차 결과값 - 7일차 결과값) ÷ (0일차 결과 값) x 100 (%)
(단, 좌심실 단축률의 경우 7일차 결과값과 0일차 결과값의 위치를 바꾼다)
다음의 표 15에 대조군과 실험군의 유효성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항목 대조군 실험군
유효성 평가 점수 개선율 (%) 0 11
심장지표 점수 (점) 9 9
심장크기 개선율(%) LA/Ao 개선율 6 6
좌심실 이완기 직경 개선율 3 12
좌심실 단축률 (FS) 개선율 9 11
종합하면, 시험에 참여한 개체는 총 2마리로, 대조군 (기존 약물 투여군)과 실험군 (본 발명의 조성)으로 나뉘었다. 대조군은 Pekignese, 10살 intact female로, 임상증상은 없이 심 잡음이 존재하였다. 실험군은 Schunauzer, 8살령 intact female로, 역시 임상증상은 없이 심 잡음이 존재하였다.
두 환축에 대해 탈수, 신체충실지수, 체중, 체온, 심박수, 호흡수, 혈압과 같은 기본 신체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조군 환축에서 신체검사 상 mild depression을 나타내었고, systolic blood pressure 146 mmHg 으로 hypertensive 한 혈압을 나타내었으며, 기타 모든 항목은 정상 범위 내에 존재하였다. 실험군 환축 역시 systolic blood pressure 142 mmHg 로 hypertensive한 혈압을 나타내었으며, 기타 모든 항목은 정상 범위 내에 존재하였다. 이는 두 환축에서 심장병에 의한 보상적 혈압 상승에 의한 가능성이 있다. 대조군과 실험군 환축에 있어 실험 0일차와 7일차에 혈액검사 (전혈구검사, 혈청화학검사, 전해질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약물 투여 전 0일차와 투여 후 7일차에 실시한 혈액검사 결과는 모든 수치에서 참고범위 안에 속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의 정량적 목표였던 기존 약물 (pimobendan) 대비 부작용 0~10% 이하 - 평가항목 : 혈액검사 (혈액, 혈청 화학검사, 특히 간과 신장수치, 전해질 수치 평가), 부작용 발생의 빈도, 종류 평가 -를 만족하였다.
대조군에서 실시한 흉부 방사선의 평가 결과는 미약한 기관지-간질 패턴을 폐야 전체에 걸쳐 나타내었으며, 좌측과 우측의 심장비대를 의심할 수 있었다. 실험군에서 실시한 흉부 방사선의 평가 결과 역시 미약하거나 중증도의 기관지-간질 패턴을 폐야 전체에 걸쳐 나타내었으며, 두 환축 모두에서 기타 특이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과 실험군에 있어 0일차와 7일차에 심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두 환축 모두 약물 (기존 약물과 본 발명의 조성) 투여 후 동일한 지표에서 비슷한 경향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수축력 증가, 심장크기 개선을 확인하였다.
약물 투여 전 0일차와 투여 후 7일차에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조군 환축에서 실시한 심전도 검사 결과, 정상 sinus rhythm을 나타내었으며, QRS amplitude가 2.8 mV로, 소형견임을 감안할 때 다소 증가된 QRS amplitude를 나타내었고, 이는 좌심실 확장을 의심할 수 있다. 기타 모든 수치는 정상 범위내에 존재하였다. 실험군 환축에서 실시한 심전도 검사 결과, 정상 sinus rhythm을 나타내었으며, QRS amplitude가 4 mV로, 소형견임을 감안할 때 다소 증가된 QRS amplitude를 나타내었고, 이는 좌심실 확장을 의심할 수 있다. 기타 모든 수치는 정상 범위 내에 존재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 환축 모두에서 약물 투여 전후의 유의적인 심전도상의 변화나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 환축에서 유효성 평가표 점수의 합은 0일차에 9점이며, 투약 후 7일차에 역시 9점으로 동일하였다. 이는 본 환자가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ACVIM B2 환자이기 때문에 임상증상 개선을 뚜렷하게 관찰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군 환축에서 유효성 평가표 점수의 합은 0일차에 9점이며, 투약 후 7일차에 8점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간헐적으로 존재하던 심원성 기침이 본 발명의 조성 투여 이후 호전된 것으로 판단된다. 약물 투여 전/후의 심장지표 개선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과 실험군 환축의 심장지표를 점수화 하였으며, 점수표에 따른 각 환자의 점수는 각각 9점으로 동일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 환축에서 부작용 평가표에 따라 부작용 여부를 판단하였으며, 모든 항목에서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았다.
대조군에 투여된 기존 약물과 실험군에 투여된 실시예 2의 조성 약물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1) 유효성 평가 점수 개선율, 2) 심장지표 점수, 3) 심장크기 개선율 (LA/Ao, 좌심실 이완기 직경), 4) 좌심실 단축률 개선율을 평가하였다. 유효성 평가 결과, 유효성 평가 점수 개선율은 대조군에서 0%, 실험군에서 11%로 실험군이 유의적 개선율을 보였으며, 심장지표 점수는 9점으로 동일하여 유의적이지 않았다. 심장크기 개선율의 경우, LA/Ao 개선율은 대조군에서 6%, 실험군에서 6%로 동일한 효과, 즉 기존 약물 대비 본 발명 조성의 개선율이 0%를 보였다. 좌심실 이완기 직경 개선율의 경우, 대조군에서 3%, 실험군에서 12%로, 기존약물 대비 유의적인 개선율을 보였다. 또한 좌심실 단축률 (FS)의 개선율의 경우 대조군은 9%, 실험군은 11%를 나타내어 기존 약물 대비 22%의 유의적인 개선율을 보였다. 이는 본 실험의 정량적 목표인 유효성 평가 - 기존약물 (pimobendan) 대비 심장질환 0~10% 개선 - 평가항목: 임상증상 점수표, 심장지표 점수표 및 심장크기 (LA/Ao ratio, 좌심실 이완기 직경) -를 만족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본 실험에서 개발한 피모벤단과 펜톡시필린 합제 조성은 기존 약물 대비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유효성을 가지며, 실제 심장병 환축에서 확실한 심장 기능 개선의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제 환축에서 임상증상, 신체검사, 방사선, 심초음파, 심전도 등의 검사상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아, 기존 약물과 비교하여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안전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피모벤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그리고
    소고기 분말, 닭 간 분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호성 부형제;를 포함하는,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모벤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5 내지 0.0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감미제를 더 포함하는,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고결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호성 부형제는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인,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제는 상기 펜톡시필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인,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산제로, 0.3 내지 0.8 g/kgBW/day를 하루 2회 나누어 투여되는 것인,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말초혈액순환 개선, 심장 내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를 포함하는 혈행개선 활성을 갖는 것인,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이첨판 판막 변성증을 갖는 개과 동물의 좌심실 이완기 직경 개선율이 향상된 것인,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이첨판 판막 변성증을 갖는 개과 동물의 기침 발생 정도를 줄이는 것인,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 투여 제제는 개과 동물의 사료에 첨가되어 급여되는 것인,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경구 투여 제제.
KR1020180166718A 2017-12-22 2018-12-20 기호성이 증진된 경구 투여 제제를 포함하는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제제 KR102116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77771 2017-12-22
KR1020170177771 2017-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889A true KR20190076889A (ko) 2019-07-02
KR102116712B1 KR102116712B1 (ko) 2020-05-29

Family

ID=672581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703A KR102165805B1 (ko) 2017-12-22 2018-12-20 기호성이 증진된 개과 동물용 경구 투여 제제
KR1020180166718A KR102116712B1 (ko) 2017-12-22 2018-12-20 기호성이 증진된 경구 투여 제제를 포함하는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제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703A KR102165805B1 (ko) 2017-12-22 2018-12-20 기호성이 증진된 개과 동물용 경구 투여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658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250B1 (ko) * 2020-12-07 2023-08-2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비드 조리법에 의한 반려묘 츄르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822A (ko) 1989-06-19 1991-01-30 원본미기재 탈산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포장 용기
KR20060052935A (ko) * 2003-07-30 2006-05-19 노파르티스 아게 기호성의 유연한 저작성 수의학 조성물
KR101290077B1 (ko) * 2004-03-08 2013-08-01 베링거잉겔하임베트메디카게엠베하 피모벤단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47456A3 (en) 2001-02-28 2003-12-10 Pfizer Products Inc. Pala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companion animals
JP2004194514A (ja) 2002-12-16 2004-07-15 Biomedeikusu:Kk ペット嗜好性製剤
KR101359759B1 (ko) * 2010-02-09 2014-02-07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펜톡시필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타우 단백질 과인산화 억제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822A (ko) 1989-06-19 1991-01-30 원본미기재 탈산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포장 용기
KR20060052935A (ko) * 2003-07-30 2006-05-19 노파르티스 아게 기호성의 유연한 저작성 수의학 조성물
KR101290077B1 (ko) * 2004-03-08 2013-08-01 베링거잉겔하임베트메디카게엠베하 피모벤단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888A (ko) 2019-07-02
KR102165805B1 (ko) 2020-10-14
KR102116712B1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20655B (zh) 用于改善/预防类固醇治疗中的不利副作用的组合物
Thompson et al. Use of rutin for medical management of idiopathic chylothorax in four cats
US11826378B2 (en) Use of SGLT-2 inhibitor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cardiac diseases in felines
CN104824464A (zh) 用于在甲状腺机能亢进的猫科动物中预防或治疗心血管疾病的组合物和方法
Orcutt et al. Cardiovascular disease
Ware et al. Management of heart failure
JPWO2007072911A1 (ja) 塩酸サプロプテリンの生体内吸収性を向上させた製剤
KR102165805B1 (ko) 기호성이 증진된 개과 동물용 경구 투여 제제
van Zeeland et al. Ferret cardiology
CN109562071A (zh) 延迟释放口服盐酸坦索罗辛
CN117715640A (zh) Sglt-2抑制剂用于在不包括猫科动物的非人哺乳动物,特别是犬科动物中预防和/或治疗心脏疾病的用途
US11318171B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eletal muscle protein fractional synthetic rate
JP2002255801A (ja) 高血圧予防用組成物
JP3248170B2 (ja) コンドロイチン硫酸蛋白複合体含有食品
RU2228745C1 (ru) Адаптогенный лекарственный перепарат для перораль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KR20200079843A (ko) 기호성이 증진된 경구 투여 액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개과 동물의 이첨판 판막 변성증 치료 또는 증상 완화용 액제 조성물
JP7430442B2 (ja) グレリン受容体の活性化剤
US20230293453A1 (en) Spermidine and uses thereof
US20210113501A1 (en) Method of administering beta-hydroxy-beta-methylbutyrate (hmb)
Palmero Respiratory distress in a domestic rabbit (Oryctolagus cuniculus)
US11278586B2 (en) Highly absorbable oral tyrosine formulation
Aoki et al. Two cases of new-born puppies with transient pulmonary edema
JP5076327B2 (ja) 分岐鎖アミノ酸の心不全適応
JP5477413B2 (ja) 分岐鎖アミノ酸の心不全適応
EP4291190A1 (en) Methods for treating glioblastomas with sepiapter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