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209A -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209A
KR20190076209A KR1020170177815A KR20170177815A KR20190076209A KR 20190076209 A KR20190076209 A KR 20190076209A KR 1020170177815 A KR1020170177815 A KR 1020170177815A KR 20170177815 A KR20170177815 A KR 20170177815A KR 20190076209 A KR20190076209 A KR 20190076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light source
lens
light sou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0232B1 (ko
Inventor
박종렬
이재익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7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2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6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individual cut-out symbols or cut-out silhouettes, e.g. perforated signs
    • G09F2013/04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에도 식별 가능한 엠블럼 등을 표시하는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투광부로 조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벽은 상기 광원부로부터 상기 표시부 방향으로 접촉되지 않게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표시장치{Light emi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에도 식별 가능한 엠블럼 등을 표시하는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엠블럼은 회사나 단체의 상징이나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도형, 문자, 기호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형상화한 표장으로, 상품을 제조하는 회사들의 경우 해당 회사의 엠블럼을 상품의 표면에 부착시켜, 제품의 출처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해당 회사나 상품을 광고하기 위해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차량의 명칭이나 제조사를 나타내는 고유 엠블럼을 차량 후미나 측면에 부착시켜 회사의 이미지나 차종에 따른 다양한 심볼을 부각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엠블럼이 단순히 차량 등 제품의 출처를 표시하던 것에서 벗어나, 차량 외부 디자인과의 조화를 이루면서 나타나는 미감 또는 엠블럼 독자적인 형태로서의 미감도 중시되고 있으며, 엠블럼이 주간에는 물론 야간에도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부가 투광부로 구성된 그 후면에 광원부를 결합시키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엠블럼 등을 표시하는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균일한 점등 이미지를 제공하는 동시에 시각적으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방법들의 창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36900 (2016.11.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암영대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이미지를 발생시키는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투광부로 조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벽은 상기 광원부로부터 상기 표시부 방향으로 접촉되지 않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의 개별적인 점소등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벽은, 상기 표시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에 대해 절반 이하의 높이를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이 복수일 경우, 상기 복수의 격벽 각각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격벽은, 상기 복수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각각의 높이가 점점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격벽은, 상기 복수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각각의 높이가 점점 낮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벽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그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위치하여 적어도 상기 투광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베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베젤부 중 상기 표시부의 투광부를 바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위치하는 확산 렌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 렌즈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 상기 표시부에 균일한 점등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산 렌즈부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제1 방향으로 광을 확산시키는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렌즈로부터 확산된 광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확산 렌즈부의 적어도 일부는 입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복수의 옵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하프미러 층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발광 표시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암영대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이미지를 발생시키는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산 렌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를 포함하는 베젤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이미지 상에 암영대가 발생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 상에 순차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점등 엠블럼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격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그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 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격벽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산란 옵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발광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는 표시부(100), 확산 렌즈부(200), 베젤부(300), 광원부(400) 및 하우징(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00)는 평면 또는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인 발광 표시장치(1)가 표시하고자 하는 엠블럼 등을 표시하기 위해 투광부(110)와 불투광부 또는 반투광부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00)의 투광부(110)는 광원부(400)로부터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렌즈, 유리,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불투광부는 광이 투과될 수 없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광을 차단하도록 페인트 코팅 또는 증착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엠블럼 디자인과 형상에 따라 광의 일부만 투과되는 반투광부가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방은, 본 발명의 발광 표시장치(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서, 본 발명의 발광 표시장치(1)가 설치되는 위치나 방향 등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광원부(400)는 복수의 광원(410), 방열부(420) 및 구동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410)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D(Laser Diode), 벌브 타입의 램프가 광원(410)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벌브 타입의 램프로는 할로겐 램프, HID(High Intendity Dischage)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410)은 표시부(100)를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되고, 방열부(420)는 광원(4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기능을 하며, 방열되는 면적을 넓혀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400)의 구동부(430)는 복수의 광원(410)의 개별적인 점소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부(430)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가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410)이 각각 점등 또는 소등되는 순서와 지속 시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산 렌즈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면, 확산 렌즈부(200)는 표시부(100)와 광원부(400) 사이에 위치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가 균일한 점등 이미지를 가지는 엠블럼 등을 표시하도록, 그 후방에 위치하는 광원부(4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확산시켜 표시부(100)로 출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산 렌즈부(200)는 광이 최종적으로 출사되는 표시부(100)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제1 렌즈(210) 및 제2 렌즈(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렌즈(210)는 제1 방향으로 그 길이가 연장되는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L)를 포함하고, 제2 렌즈(220)는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그 길이가 연장되는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L)를 포함한다.
렌티큘러 렌즈(L)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일 방향으로 그 길이가 연장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원통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반으로 자른 형상을 가진다. 렌티큘러 렌즈(L)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렌티큘러 렌즈(L)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광을 확산시키는 빔 패턴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산 렌즈부(200)에서, 제1 렌즈(210)는 제1 방향으로 광을 확산시키고, 제2 렌즈(220)는 제1 렌즈(21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다시 제2 방향으로 확산시킴으로써,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엠블럼 등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점등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산 렌즈부(200)의 제1 렌즈(210) 및 제2 렌즈(220)의 입출사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고, 제1 렌즈(210) 및 제2 렌즈(220) 각각에 의해 광이 수직으로 교차되게 확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렌즈(210) 및 제2 렌즈(220)가 포함하는 렌티큘러 렌즈(L)는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교차하여 광을 확산시킬 수도 있다.
베젤부(300)는 표시부(100)와 광원부(400)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가 광원부(400)가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410)을 둘러싸는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젤부(300)는 표시부(100)가 포함하는 투광부(11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베젤부(300)가 투광부(11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복수의 광원(410)을 둘러싸는 테두리를 포함함으로써, 광원부(400)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표시부(100)의 투광부(110) 외의 불필요한 방향으로 세어나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광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젤부(300)의 일단은 광원부(400)에 접촉되고, 타단은 확산 렌즈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광원부(400)와 확산 렌즈부(200) 사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광원부(400)로부터 발생한 광이 확산 렌즈부(200)로 입사하기 위한 소정의 광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젤부(300)는 격벽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350)를 포함하는 베젤부(3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격벽부(350)는 복수의 광원(410) 사이에 위치되어 투광부(110)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부(350)는 구동부(430)가 복수의 광원(410)의 개별적인 점소등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표시부(100)의 투광부(110)에 표시되는 엠블럼 등의 점등 이미지에 애니메이션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의 종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격벽은 베젤부(300) 중 표시부(100)의 투광부(110)를 바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일단이 광원부(400)에 접촉되고 타단이 광원부(400)로부터 표시부(100) 방향으로 접촉되지 않는 높이를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는 표시부(100)와 광원부(40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확산 렌즈부(200)와 광원부(4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를 H라고 하면, 격벽의 높이인 h가 H만큼 확산 렌즈부(200)에 접촉되는 높이로 형성되거나, 표시부와 광원부 사이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 H에 대해 절반을 초과하는 높이로 형성될 경우, 엠블럼 등의 점등 이미지를 형성하는 투광부(110) 중 격벽이 형성되는 위치에 암영대(D)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영대(D)가 형성되고 심미성이 떨어지는 부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 효과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의 격벽 높이 h는 표시부(100)와 광원부(400) 사이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 H에 대해, 절반 이하인 0.5H 이하의 높이로 형성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430)가 복수의 광원(410)의 개별적인 점소등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0.5H 이하의 높이로 형성되는 격벽부(350)에 의해 투광부(110)로 조사되는 광의 일부는 차단되고 일부는 그대로 조사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 점등 이미지에 암영대(D)가 형성되지 않는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가 복수의 격벽을 포함할 경우, 복수의 격벽 각각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차점등 엠블럼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격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의 격벽부(350)는 제1 내지 제4 격벽(351, 352, 353, 3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격벽(351, 352, 353, 354)은 복수의 광원(410) 사이에 위치하고, 복수의 광원(410)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격벽 각각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광원(410)이 제1 격벽(351)으로부터 제4 격벽(354)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될 경우, 제2 격벽(352)은 제1 격벽(351)보다 높게 형성되고, 제3 격벽(353)은 제2 격벽(352)보다 높게 형성되며, 제4 격벽(354)은 제3 격벽(353)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h1<h2<h3<h4).
상기와 같이 복수의 광원(410)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격벽 각각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게 형성될 경우, 격벽 사이에 위치하는 광원(410)으로부터 격벽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투광부(110)로 조사되는 광 조사각의 범위가 점점 좁아지는 효과가 발생한다(?1>?2>?3).
이에 따라 순차 점등되는 엠블럼 이미지를 형성할 때 인접하는 광원(410)으로부터 투광부(110)로 조사되어 서로 중첩되는 점등 이미지의 범위가 점점 좁아지면서(A1>A2), 그라데이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광원(410)이 제1 격벽(351)으로부터 제4 격벽(354)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점등될 경우, 제2 격벽(352)은 제1 격벽(351)보다 낮게 형성되고, 제3 격벽(353)은 제2 격벽(352)보다 낮게 형성되며, 제4 격벽(354)은 제3 격벽(353)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h1>h2>h3>h4).
상기와 같이 복수의 광원(410)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복수의 격벽 각각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형성될 경우, 격벽 사이에 위치하는 광원(410)으로부터 격벽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투광부(110)로 조사되는 광 조사각의 범위가 점점 넓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1<?2<?3).
이에 따라 순차 점등되는 엠블럼 이미지를 형성할 때 인접하는 광원(410)으로부터 투광부(110)로 조사되어 서로 중첩되는 범위가 점점 넓어지면서(A1<A2), 그라데이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가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410)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광원(410)이 순차적으로 소등되는 경우에도 소등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격벽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현하고자 하는 애니메이션 효과에 따라 복수의 격벽 각각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격벽이 복수의 광원(410) 사이를 동일한 간격으로 나누어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광원(410) 각각의 위치나 이를 나누는 격벽의 간격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가 포함하는 격벽은 광원(410)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그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taper)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그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 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격벽부(3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은 광원(410)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그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 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투과부에 대해 더 넓은 범위의 광 조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β>?).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격벽의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광원(410)이 순차 점등되는 방향으로 시각적으로 심미감이 향상된 순차 점등 그라데이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격벽의 폭이 좁아지게 형성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복수의 격벽 각각 중 표시부(100)를 바라보는 면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암영대(D)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표시부(100)는 하우징(500)과 전후방으로 결합되어, 그 내부에 확산 렌즈부(200), 베젤부(300) 및 광원부(400)를 수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100)와 하우징(500)이 마주보는 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나사 결합될 수도 있으며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표시부(100) 또는 확산 렌즈부(200)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광원부(4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산란시키는 복수의 산란 옵틱(13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산란 옵틱(13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부(100) 또는 확산 렌즈부(100)의 입사면 또는 출사면에 외측을 향해 돌출되거나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산란 옵틱(130)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돌출되거나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산란 옵틱(130)이 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되거나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산란 옵틱(130) 각각의 깊이나 형상은 달라질 수 있으며, 표시부(100)의 투광부(110) 또는 확산 렌즈부(200)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광을 산란시키는 복수의 산란 옵틱(130)이 비정형 패턴으로 형성됨으로써, 확산 패턴부로부터 확산된 광이 산란되어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고, 관찰자가 보는 방향에 따라 표시부(100)의 투광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엠블럼이 반짝이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00)에는 하프미러 층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하프미러 층은 입사되는 광의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되도록 구성된 거울 구조로서, 하프미러 층이 적용된 영역은 크롬, 알루미늄, 금속 산화물 등 입자가 증착되어 거울과 같이 광을 반사 및 차단시키는 층을 형성하고, 하프미러 층이 적용된 영역으로 입사되는 광 중 일부만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결과적으로 광원부(400)로부터 하프미러 층이 적용되는 영역으로 조사되는 광 중 그 일부만을 전방으로 투과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하프미러 층이 적용된 영역에 형성되는 코팅층 두께에 따라 광 차단율 또는 광 투과율은 조절될 수 있다.
띠라서, 표시부(100) 중 하프미러 층이 적용된 영역은 광원부(400)가 소등되는 주간 중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금속 질감을 형성하고, 야간 중에는 광원부(400)로부터 조사되고 확산 렌즈부(200)에 의해 확산된 광을 투과시킴으로써 점등 이미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발광 표시장치
100: 표시부
110: 투광부
200: 확산 렌즈부
300: 베젤부
350: 격벽부
351, 352, 353, 354: 격벽
400: 광원부
410: 광원

Claims (12)

  1. 투광부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복수의 광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투광부로 조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격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벽은 상기 광원부로부터 상기 표시부 방향으로 접촉되지 않게 연장되는 발광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의 개별적인 점소등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벽은,
    상기 표시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 형성되는 공간의 높이에 대해 절반 이하의 높이를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발광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이 복수일 경우,
    상기 복수의 격벽 각각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발광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벽은,
    상기 복수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각각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는 발광 표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벽은,
    상기 복수의 광원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각각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발광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격벽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그 폭이 좁아지게 테이퍼 지는 발광 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위치하여 적어도 상기 투광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베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베젤부 중 상기 표시부의 투광부를 바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발광 표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위치하는 확산 렌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 렌즈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시켜 상기 표시부에 균일한 점등 이미지를 형성하는 발광 표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렌즈부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제1 방향으로 광을 확산시키는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렌즈로부터 확산된 광을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렌티큘러 렌즈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확산 렌즈부의 적어도 일부는 입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복수의 옵틱이 적용되는 발광 표시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하프미러 층이 적용되는 발광 표시장치.
KR1020170177815A 2017-12-22 2017-12-22 발광 표시장치 KR102370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815A KR102370232B1 (ko) 2017-12-22 2017-12-22 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815A KR102370232B1 (ko) 2017-12-22 2017-12-22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209A true KR20190076209A (ko) 2019-07-02
KR102370232B1 KR102370232B1 (ko) 2022-03-04

Family

ID=6725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815A KR102370232B1 (ko) 2017-12-22 2017-12-22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9078B1 (en) 2019-10-17 2021-04-06 Hyundai Mobis Co., Ltd. Light guide device and method for sequentially lighting light guide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533A (ja) * 1999-09-09 2001-03-30 Mixed Reality Systems Laboratory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0296222Y1 (ko) * 2002-08-20 2002-11-23 주식회사 윈스텍 거울 겸용 이미지 디스플레이장치
KR100790698B1 (ko) * 2006-04-19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20110125518A (ko) * 2010-05-13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60136900A (ko) 2015-05-21 2016-11-3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70049803A (ko) * 2015-10-28 2017-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격벽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533A (ja) * 1999-09-09 2001-03-30 Mixed Reality Systems Laboratory Inc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0296222Y1 (ko) * 2002-08-20 2002-11-23 주식회사 윈스텍 거울 겸용 이미지 디스플레이장치
KR100790698B1 (ko) * 2006-04-19 2008-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KR20110125518A (ko) * 2010-05-13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60136900A (ko) 2015-05-21 2016-11-3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70049803A (ko) * 2015-10-28 2017-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격벽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9078B1 (en) 2019-10-17 2021-04-06 Hyundai Mobis Co., Ltd. Light guide device and method for sequentially lighting light guide device
US11280467B2 (en) 2019-10-17 2022-03-22 Hyundai Mobis Co., Ltd. Light guide device and method for sequentially lighting light guide device
DE102020103809B4 (de) 2019-10-17 2022-07-21 Hyundai Mobis Co., Ltd. Lichtleit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equentiellen Beleuchten einer Lichtleiter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232B1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2387B2 (ja) 3次元光学効果を有する車両の信号伝達装置
EP2524841B1 (en) Vehicle lighting unit
JP6264789B2 (ja) 車両用灯具
US10036528B2 (en) Vehicle combination lamp
JP4735852B2 (ja) 車両用前照灯
JP5581824B2 (ja) 車両用灯具
JP2002237206A (ja) 自動車に用いる照明装置またはインジケータ装置のための光学構成要素
KR101684117B1 (ko) 차량용 무드등
JP2013048036A (ja) 車両用灯具
JP2006012837A (ja) 光ガイドを有する照明装置または信号装置
JP2010040322A (ja) 車両用灯具
JP2014063736A (ja) 3d効果を有する自動車用点灯装置
JP2017152171A (ja) 車両用灯具
EP2824383A1 (en) Vehicle lamp fitting
JP6221438B2 (ja) 車両用灯具
JP2022127302A (ja) 車両用灯体装置
KR20190076209A (ko) 발광 표시장치
JP2018198134A (ja) 車両用灯具
KR20150107332A (ko) 차량용 램프
JP2017208261A (ja) 車両用灯具
JP6918653B2 (ja) 車両用灯具
JP7279358B2 (ja) 車両用灯具
EP1344975B1 (fr) Composant d&#39;optique ou de style pour dispositif d&#39;eclairage ou de signalisat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JP2019139932A (ja) 車両用灯具
EP2824382A1 (en) Vehicle lamp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