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173A -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173A
KR20190076173A KR1020170177758A KR20170177758A KR20190076173A KR 20190076173 A KR20190076173 A KR 20190076173A KR 1020170177758 A KR1020170177758 A KR 1020170177758A KR 20170177758 A KR20170177758 A KR 20170177758A KR 20190076173 A KR20190076173 A KR 20190076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traffic
traffic sign
information
road
gd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985B1 (ko
Inventor
이상운
Original Assignee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7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9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2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generates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roadside individual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2LED transmitter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교통표지에 관련된 정보를 정의한 GDD를 이용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LiFi를 포함한 가시광 통신 방식으로 도로를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 전송함으로써, 전방의 도로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OAD TRAFFIC SIGN INFORMATION THROUGH LANGUAGE INDEPENDENT GDD}
본 발명은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교통표지(traffic sign)에 관련된 정보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한 GDD(Graphic Data Dictionary)를 이용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도로를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 전송함으로써, 전방의 도로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차는 물론이고 일반 자동차에 있어서도, 도로교통표지판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자동차가 도로에서 운행할 때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교통체증을 줄이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를 표준화하여 전 세계적으로 공통으로 인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도로교통표지(traffic sign)에 관련된 정보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한 GDD(Graphic Data Dictionary)가 표준화되어 있다.
또한 LiFi(Light Fidelity)는 빛을 이용한 통신기술이며, 빛에 정보를 실어 전구와 스마트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다. 또한 LiFi는 무선전파를 이용한 통신규격인 WiFi와 달리 가시광선을 이용한 통신 방법으로, 기존의 전자파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이 아니라 LED 조명에 칩을 달아 가시광선에 데이터를 보내는 원리이다.
즉 상기 LiFi 기술은 LED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의 일종으로서, 조명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하고, 짧은 도달 거리, 저비용, 고속 통신, 안정성, 보안성 등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으며, 허가 불필요 대역으로 주파수 사용 대가가 무료인 장점이 있다.
특히 LiFi는 LED 기술의 발전 및 고성능화에 따라 LED 헤드라이트 램프, 시그널 램프 등 차량의 다양한 장치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에 LiFi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기술적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 운전자는 각종 도로교통표지판을 통해 위험하거나 문제가 있는 전방의 도로상황, 통행 제한이나 금지안내, 현재 이용하는 도로의 지시내용 등을 확인한다. 그러나 자율주행차량은 도로교통표지판 인식하기 위해서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GDD에 매칭하여 해당 정보를 인식해야 하는데, 아직 이러한 도로교통 환경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가 자율자동차의 대중화를 위해서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은 십자형 교차로, T자형 교차로, 좌합류도로, 이중굽은도로, 미끄러운도로, 노면고르지못함 등의 위험하거나 문제가 있는 것을 알리는 표지판인 주의표지, 통행금지, 진입금지, 직진금지, 유턴금지, 일시정지 등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알리는 표지판인 규제표지, 자동차전용도로, 일방통행, 어린이보호, 버스전용차로 등을 알리는 표지판인 지시표지와 같이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처럼 자동차 운전자는 주행 중에 도로 상부나 도로변에 설치된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지만, 일반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나 나 자율주행차량은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정보를 이미지로 인식하여 전방의 도로상황을 확인하고, 확인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활용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로교통표지판은 자동차 운전자나 자율주행차량이 도로교통표지판에 표시된 그래픽 정보의 인식을 토대로 도로상황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를 확인하지 못하거나 잘못 인식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목적지까지의 안전운행에 지장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도로교통표지판은 주간에는 그래픽 정보의 인식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으나 안개, 비, 눈 등의 악천후로 인해 시계가 좋지 않으면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웠고, 야간의 경우에는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정보를 전혀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자동차 운전자나 자율주행차량이 악천후나 시각적인 제한으로 인해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도로교통표지판이 의미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즉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교통표지판에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주행 중인 자동차로 제공하고, 자동차에서 이를 수신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에 표시하거나 음성신호로 안내하는 기술의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로교통표지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하고 이들을 사전으로 구성한 GDD를 바탕으로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를 도로를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 전송함으로써, 차량 운전자 및 자율주행차량이 전방의 도로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여 안전운행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배치하거나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을 LED, LCD 등의 전광판으로 구현하고,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 광원을 통해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6-0096972호(2016.08.17.)는 교통 표지판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교통 표지판의 표지판 ID, 표지판 용도, 표지판 종류, 표지판 위치, 표지판 정보 및 표지판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교통 표지판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교통 표지판 정보를 헤더와 페이로드로 구성된 데이터 패킷으로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패킷을 RF 신호로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RF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수신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본 발명과는 달리 각각의 도로교통표지판별로 표지판의 용도, 종류, 위치, 표지판 이미지정보 등을 일일이 확인하여 인코딩함에 따라 무선신호의 전송처리 작업이 복잡하고 이로 인해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자동차에서의 디코딩 과정 또한 복잡하고, RF 통신의 경우 통신속도가 느려 빠르게 이동하는 자동차에 표지판의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음은 물론, 전파간섭이 있는 경우 정확한 신호전달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도로교통표지판에서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 이미지를 목록화하고 특정 코드로 정의한 GDD를 토대로 특정 도로교통표지 정보에 대해서 유일한 코드로 매치한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LiFi 통신기술을 통해 주행 중인 자동차로 전송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므로, 양자 간의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명확하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998-0048394호(1998.09.15.)는 교통정보를 송출하는 도로 표지판 및 수신차량에 관한 것으로, 송신 장치를 통해 주파수 형태로 해당 교통정보를 지속적으로 송출하게 하며, 도로 표시판의 근접 지역을 주행하는 차량은 수신 장치를 통해 이를 수신하여 음성 정보로 재생함으로써 교통 정보가 주행 중에 지속적으로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하여 복잡한 시가지의 도로나 초행길에서 교통정보를 명확하게 전달받아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에는 주파수 형태로 도로 표시판에 대한 정보를 주파수 형태로 제공하는 구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을 뿐,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 이미지를 목록화하고 특정 코드로 정의한 GDD를 토대로 특정 도로교통표지 정보에 대해서 유일한 코드로 매치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구성, 인코딩된 데이터를 LiFi 통신기술을 통해 주행 중인 자동차로 전송하는 구성에 대한 기재가 되어 있지 않다.
즉 상기 선행기술들은 표지판 정보를 무선으로 자동차로 전송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도로교통표지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한 GDD를 이용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인코딩하는 구성, 인코딩한 데이터를 전파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고 LiFi 통신방식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로 전송하는 구성,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배치하거나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을 LED, LCD 등의 전광판으로 구현하여 광원을 통해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재가 없기 때문에 기술적 차이점이 분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도로교통표지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하고 이들을 사전으로 구성한 GDD를 이용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GDD를 바탕으로 도로의 각 위치에 도로교통표지판을 설치한 상태에서 도로를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코드화한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배치하거나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을 LED, LCD 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를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아 도로교통표지판의 오인식이나 인식불가로 인한 혼란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무선신호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교통표지 신호를 가시적인 도로교통표지 자체,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코드화된 신호를 가시통신과 비가시통신의 조합을 통해서 이중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차량이 인식할 수 없는 상황을 최소화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는,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어 도로를 운행하는 자동차에게 해당 도로의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도로교통표지판 및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이 나타나며, 사전에서 정의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인코딩된 정보를 생성하는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GDD에 기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성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를 통해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송신부를 통해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송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대한 상기 LED의 점멸조작에 따라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에 LED 또는 LCD 디스플레이로 구성한 전광판으로서,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광판에 표시되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대한 점멸조작에 따라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방법은,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표지판을 통해 도로를 운행하는 자동차에게 해당 도로의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부를 통해 사전에서 정의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인코딩된 정보를 생성하는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GDD에 기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성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OCC를 통해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송신부를 통해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대한 상기 LED의 점멸조작에 따라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전광판으로 구성된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전광판에 표시되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대한 점멸조작에 따라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도로교통표지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하고 이들을 사전으로 구성한 GDD를 바탕으로 도로의 각 위치에 도로교통표지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로를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 LiFi를 포함한 가시광 통신 방식 등을 통해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주행 중인 전방의 도로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 차량의 운전자는 물론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배치하거나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을 LED, LCD 등의 전광판으로 구현하고, 광원을 통해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주간 또는 야간에 상관없이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가 시각적으로 잘 인식되지 않을 것을 대비하여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를 무선신호로 전송함으로써, 도로교통표지판의 오인식이나 인식불가로 인한 혼란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로교통표지 신호를 가시적인 도로교통표지 자체,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코드화된 신호를 가시통신과 비가시통신의 조합을 통해서 이중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차량이 인식할 수 없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도로교통표지판의 외관에 대한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GDD에 정의된 도로방향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어 도로를 운행하는 자동차에게 해당 도로의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도로교통표지판의 도로교통표지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하여 사전으로 구성한 GDD를 사용하고, 상기 GDD로 정의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한 후 주변을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로 전송함으로써, 도로교통표지판의 오인식이나 인식불가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하여 차량 운행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교통표지판은 GDD에 따른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포함하고, 이를 코드화한 신호를 송신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를 포함한다. 송신된 도로교통표지 정보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200)에서 수신한다. 또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와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200)는 차량용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어, 해당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무선통신으로 각 자동차에 설치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차량용 무선 네트워크는 5G의 경우, 유즈 케이스(use case)로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저 지연이면서 신뢰도가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한다. 아울러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은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 서버(3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GDD 정보와 도로교통정보의 업데이트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를 장착한 자율주행차를 포함한 차량에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그 자체로 제공하기도 하지만, GDD의 코드정보를 가시적인 통신수단인 LiFi, VLC, OCC 등으로 송신하거나, 비가시적인 통신수단인 적외선, 초음파, 무선통신(5G 등) 수단으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송신하는데 오류가 발생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신수단으로 이중화하여 송신하는 기술적 특징을 더 포함한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교통표지판에 나타난 그래픽 정보에 대하여 고유의 코드로 정의한 GDD를 토대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면, 무선신호로 변환된 GDD 데이터를 자동차에서 수신하여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통해 전방의 도로상황을 확인한 일반 운전자나 자율주행차량이 안전한 운행 및 고속 운행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즉 십자형 교차로, T자형 교차로, 직진 등의 표식)의 외곽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배치하고, 상기 LED에서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로교통표지판을 LED, LCD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전광판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을 전광판에 표시함으로써, 전광판에 표시되는 그래픽 부분의 빛을 통해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는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 LED의 점멸이나 전광판에 표시되는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대한 빛을 카메라로 감지하고, 이미지 인식을 토대로 어떠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자동차에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인식방식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LED에서 방출되는 빛이나 전광판에 표시되는 빛을 카메라로 감지하고, 상기 빛에 포함되어 있는 GDD 데이터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LiFi/OCC/VLC를 포함한 가시광 통신방식을 적용한 LED 기반의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를 기존의 도로교통표지판에 부가하거나, 또는 새로이 제작하여 제공하는 것을 제시하며,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에서 주기적으로 LED의 빛을 이용하여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주변을 운행하는 자동차로 전송한다.
또한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 구비된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20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에서 LED의 빛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일반 차량 운전자나 자율주행차량이 전방의 도로상황을 확인하도록 한다. 즉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200)는 OCC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OCC 카메라를 통해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에서 송신하는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해당 도로교통표지판에 나타난 그래픽 정보에 대하여 고유의 코드로 정의한 GDD 데이터를 확인한다. 이처럼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200)에서 GDD 데이터를 획득하면, 상기 GDD 데이터에 정의된 정보를 토대로 어떠한 도로교통표지 정보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로교통표지판에 나타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무선신호로 전송할 때 LiFi/OCC/VLC를 포함한 가시광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현재 사용되는 어떠한 종류의 통신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도로교통표지판에 구비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에서 주기적으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LiFi/OCC/VLC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에서, 만일 안개, 비, 눈 등의 악천후나 주변 자동차로 인해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LTE/WiFi 등의 광대역 통신망을 동시에 활용하거나 대체하여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 환경에 따라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LiFi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과 광대역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비가시적인 통신수단으로 초음파나 적외선 통신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는 도로교통표지판에 나타난 도로교통표지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한 GDD를 토대로 인코딩을 수행한 후, 상기 인코딩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LiFi/OCC/VLC 신호로 변환하여 LED를 통해 주변을 운행하는 자동차로 송신한다. 즉 OCC를 통하여 무선으로 주변의 자동차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OCC는 신호 전달을 위해 무지향성 가시광선, 적외선 또는 자외선을 사용하는 광 통신의 한 형태이다.
이때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는 그래픽 데이터로 사전에 정의된 GDD를 토대로 인코딩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OCC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온-오프 키잉 방식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오프 키잉 방식 이외에 현재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LED를 통해 LiFi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종래에 사용하였던 RF 통신에서의 문제점인 통신속도가 느려 빠르게 이동하는 자동차에 표지판의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 차량의 운전자는 물론 자율주행차량이 안전하고 고속 주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GDD 데이터를 토대로 변환된 OCC 신호(즉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가 두 가지 형태로 설치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를 통해 주변을 운행하는 일반 자동차 및 자율주행차량으로 전송된다.
하나의 설치방식은 기존의 도로교통표지판에 LED 기반의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는 가장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기존의 모든 도로교통표지판에 응용되는 장점이 있으며, 시스템 구축에 따른 소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기존의 도로교통표지판과의 차이점은 단지 도로교통표지판에서 유일하게 인코딩된 데이터가 무선으로 송신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의 설치방식은 상기 방식과 비교할 때 다소 복잡하다. 각각의 도로교통표지를 LED 부품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이 타입의 장점은 새롭게 설계된 도로교통표지판이 기존의 도로교통표지판에 비해서 운전자와 자율주행차량 모두에게 더욱 시각적으로 개선된다는 점이다. 그 이외에도 LED로 만들어진 새롭게 설계된 도로교통표지판이 특별하게 인코딩된 GDD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주변을 운행하는 일반 운전자의 차량 및 자율주행차량에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200)를 통해 도로교통표지판으로부터 수신한 GDD 데이터의 인식을 토대로 특정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200)는 자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기존의 카메라 시스템에 부가되거나 신규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OCC 카메라와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에서 전송한 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에서 OCC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되는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OCC 카메라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에서 감지하고, 이를 디코딩부를 통해 디코딩하여 GDD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20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GDD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자동차에 구비된 내비게이션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여 차량 운전자가 확인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시각적인 정보 이외에 음성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200)는 자동차가 자율주행차량인 경우 상기 인식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자동차의 운행을 관리하는 중앙처리장치에 제공하여, 차량의 자동제어를 토대로 정확한 경로 유지 및 도로규정에 맞는 안전운행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도로교통표지판의 외관에 대한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표지판은 도 3의 (a)와 같이 LED를 포함한 광원을 도로교통표지판의 일 측면에 부착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도 3의 (b)와 같이 LED를 도로교통표지의 윤곽을 따라 일부 설치하여 가시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LED의 점멸을 통해서 GDD 코드 정보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의 (c)와 같이 도로교통표지판의 주위를 따라 LED를 배치하여 가시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이와 별도로 도로교통표지를 따라 LED를 설치하여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직접적인 가시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때 테두리나 도로교통표지를 따라 설치된 LED는 GDD의 코드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점멸하도록 구성되거나, 점등되는 순서를 좌에서 우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또는 그 반대로 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 3의 (d)와 같이 도로교통표지판에 LED를 배열하여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로교통표지판에 설치된 LED, LCD 등은 컬러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컬러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전송하거나 더 풍부한 신호를 정의하여 자동차 운전자나 자율주행차량에 탑승한 승객을 포함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GDD에 정의된 도로방향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는 전원부(110), 저장부(120),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부(130),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부(140), 제어부(150) 및 유무선통신부(160)를 포함한다.
전원부(1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110V/220V의 AC 전원을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에서 사용하는 DC 전원으로 변환(예를 들어, 5V, 12V 등)하고, 해당 전원을 각각의 구성 부분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SMPS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110)는 도로교통표지판에 태양전지 등을 설치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 없이 자체적으로 전원을 생성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휴대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저장부(120)는 도로교통표지판에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주변의 자동차로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도로교통표지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하고 이들을 사전으로 구성한 GDD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GDD 정보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교통표지가 의미하는 직진, 직진 및 좌회전, 직진 및 우회전 등의 그래픽 부분과 상기 그래픽 부분에 따라 정해진 고유의 코드값 등이 포함된 정보로서,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에 따른 특정 GDD 정보이다. 또한 상기 GDD 정보는 도로교통표지판이 영향을 미치는 도로의 특정구간정보, 특정구간정보에 대한 도로의 시작점, 길이, 끝나는 지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도로교통표지판이 변경되는 경우 도로교통표지판을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전용선을 통해 새로운 GDD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현장 관리자에 의해 직접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GDD 정보는 어느 하나의 도로교통 표지에 대하여 정의한 정보가 아닌, 모든 종류의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정의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교통표지판이 전광판으로 구성되어 설치 장소, 도로 상황 등의 변동에 따라 다양한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경우, 각각의 도로교통표지판에 따른 그래픽 정보와 코드값을 포함한 GDD 정보를 주변을 운행하는 자동차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GDD 정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업데이트가 발생할 때마다)으로 업데이트된 내용을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 서버(300)를 포함한 GDD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부(13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에 대한 GDD 정보를 상기 저장부(120)로부터 추출하여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인코딩된 정보를 생성하고, 인코딩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부(140)로 출력한다.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부(14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부(130)에서 인코딩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도로교통표지판을 지나는 자동차로 송신한다.
즉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부(140)는 도로교통표지판의 전방에 위치한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을 정의한 GDD 정보를 수신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부(130)에서 인코딩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OCC 형식으로 변조하여 LED 광원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부(140)는 다음의 두 가지의 형태로 구성하여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LED 기반의 광 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부(14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의 외곽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배치하고, 상기 각각의 LED의 점멸조작(즉 온-오프 키잉)을 토대로 상기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부(130)에서 인코딩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가시적인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부(14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의 외곽을 따라 LED를 배치한 방식 이외에,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을 LED 또는 LC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광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부(140)는 상기 광원으로 표시되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대한 점멸조작을 토대로 상기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부(130)에서 인코딩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가시적인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한다.
특히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부(140)는 가시광통신으로 LiFi/OCC/VLC 등의 통신수단을 포함하며, 비가시적인 통신수단으로 WiFi, LTE 등의 무선통신 수단과 적외선, 초음파 통신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에서 수행하는 각종 기능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전원부(110)에서의 동작전원 변환 및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120)에서의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의 전송에 사용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 및 도로교통표지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하고 이들을 사전으로 구성한 GDD 정보의 저장과 업데이트 관리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부(130)에서의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에 대한 GDD 데이터 인코딩을 제어하며,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부(140)에서의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의 가시적인 신호의 변조 및 송신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도로교통표지 코드를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부(140), 유무선통신부(160)의 무선통신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송신할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이중화의 필요성이 있는 중요하고 위급한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있을 경우, 가시적, 비가시적 신호를 이중으로 송신하도록 한다. 만약에 교통상황이 변경되었거나 위급한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 서버(300)로부터 명령을 받아 도로교통표지 코드를 WiFi, LTE 등의 무선통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종류와 도로교통표지판이 설치된 장소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그에 따라 신호를 송신할 수단을 이중화 또는 삼중화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중요성,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단일/이중/삼중 등의 송신수단을 결정하여 송신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일 송신수단은 가시광 통신, 무선통신, 적외선, 초음파 통신 중 하나만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이고, 이중은 가시광 통신을 기본으로 이용하는 상태에서 무선통신, 적외선, 초음파 통신 중 하나를 더 이용하는 구조이고, 삼중은 상기 열거된 통신수단 중 적어도 3개 이상을 동시에 이용하는 구조이다. 복수의 통신수단을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 도로교통표지 정보가 시급성이 있거나 중요도가 높은 정보에 대해서 적용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유무선통신부(160)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 서버(300)로부터 LTE 등의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인터넷 등)을 통해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도로교통표지 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부(140)에서 필요로 하는 무선통신과 유무선통신부(160)의 무선통신 기능은 둘 중 어느 한 부분에만 존재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로교통표지판에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의 동작을 현장에서 바로 제어하기 위한 통신(시리얼) 포트(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간단하게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의 동작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어 패널이나 컴퓨터 키보드 인터페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표지판 각각마다 도로교통표지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하여 사전으로 구성한 GDD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로교통표지판에 구비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에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주변을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로 전송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로딩한다(S100).
그리고 상기 설정정보에 대한 변경이 있는지 체크(S200)하고, 변경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최신의 설정정보를 로딩하여 사용한다.
상기 S200 단계의 판단결과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설정정보에 대한 변경사항이 없으면, 주변을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는 상기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도로교통표지판에 나타낸 그래픽에 대하여 정의한 GDD 데이터를 저장부(120)로부터 추출한 다음 상기 GDD 정보를 인코딩한다(S300). 즉 특정 도로교통표지에 대하여 유일한 그래픽 정보 및 코드값으로 정의된 GDD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는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인코딩된 특정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GDD 데이터를 가시 혹은 비가시 신호로 변조하고(S400), 주변에 운행중인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로 송신한다(S500). 예를 들어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의 외곽을 따라 배치한 LED에서 방출되는 빛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로교통표지판을 전광판으로 구현한 경우 전광판에 표시되는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의 빛을 이용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S400 단계를 통해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에서 특정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GDD 데이터를 가시 및 비가시 신호로 변조한 후,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가시, 비가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송신하면(광원 점멸, 무선통신, 적외선, 초음파 등)(S500),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 구비된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200)에서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의 외곽을 따라 배치된 LED의 점멸이나 전광판에 표시되는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대한 빛을 수신 및 디코딩하여 GDD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GDD 데이터를 기 저장되어 있는 GDD 정보와 매칭하여 어떠한 도로교통표지인지를 확인한다.
즉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로부터 수신하여 확인한 특정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내비게이션 화면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하여 일반 차량 운전자가 확인하도록 하거나, 자율주행차량인 경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자동차의 운행을 관리하는 중앙처리장치에 제공하여 전방의 도로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경로 유지 및 도로규정에 맞는 안전운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100)는 도로교통표지판을 빠르게 통과하는 자동차에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GDD 데이터의 인코딩 및 LED를 통한 무선 전송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로교통표지에 관련된 정보를 정의한 GDD를 바탕으로 도로의 각 위치에 도로교통표지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로를 주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 LiFi를 포함한 가시광 통신 방식으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방의 도로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반 차량의 운전자는 물론 자율주행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배치하거나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을 LED, LCD 등의 전광판으로 구현하고, 광원을 통해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주간 또는 야간에 상관없이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가 시각적으로 잘 인식되지 않을 것을 대비하여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를 무선신호로 전송함으로써, 도로교통표지판의 오인식이나 인식불가로 인한 혼란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기 110 : 전원부
120 : 저장부 130 :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부
140 : 송신부 150 : 제어부
160 : 유무선통신부 200 :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
300 :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 서버

Claims (10)

  1.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어 도로를 운행하는 자동차에게 해당 도로의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도로교통표지판; 및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이 나타나며, 사전에서 정의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인코딩된 정보를 생성하는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GDD(Graphic Data Dictionary)에 기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를 통해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송신부를 통해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대한 상기 LED의 점멸조작에 따라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에 LED 또는 LCD 디스플레이로 구성한 전광판으로서,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광판에 표시되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대한 점멸조작에 따라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 장치.
  6.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표지판을 통해 도로를 운행하는 자동차에게 해당 도로의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부를 통해 사전에서 정의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인코딩된 정보를 생성하는 도로교통표지 코드 생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GDD에 기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OCC를 통해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송신부를 통해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는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대한 상기 LED의 점멸조작에 따라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는,
    전광판으로 구성된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전광판에 표시되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부분에 대한 점멸조작에 따라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 방법.
KR1020170177758A 2017-12-22 2017-12-22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 KR102060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758A KR102060985B1 (ko) 2017-12-22 2017-12-22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758A KR102060985B1 (ko) 2017-12-22 2017-12-22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173A true KR20190076173A (ko) 2019-07-02
KR102060985B1 KR102060985B1 (ko) 2019-12-31

Family

ID=67258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758A KR102060985B1 (ko) 2017-12-22 2017-12-22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065A (ko) * 2020-09-29 2022-04-06 주식회사 더코더 자율 주행 차량의 안전 운전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2741A (ja) * 2000-11-02 2002-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edによる情報提供装置
KR101625670B1 (ko) 2015-11-06 2016-05-30 (주)동방데이타테크놀러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무선데이터 전송 기반의 led 전광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4065A (ko) * 2020-09-29 2022-04-06 주식회사 더코더 자율 주행 차량의 안전 운전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985B1 (ko)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5292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vehicle,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
US11136730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dynamic pavement markings
KR101352971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신호등 정보 제공 시스템
KR20010076344A (ko) 자동차 대화형 통신 시스템
KR102125285B1 (ko) 도로교통표지 정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CN111762167B (zh) 车辆用驾驶辅助装置
KR20160055482A (ko) 회전 교차로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69568A1 (en) Interactive Vehicular Communication System, Particular Between Cars And Its Method Of Use
CA3034485C (en) Communication system for traffic control equipment
KR102060985B1 (ko)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
JP2004184176A (ja)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US10201062B2 (en) Vehicle-based lighting control
KR102025593B1 (ko) 도로교통표지 정보 전파 장치 및 그 방법
KR102060974B1 (ko)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KR200249452Y1 (ko) 보행자 안전장치
KR100577932B1 (ko) 통합형 교통정보 표시장치
KR20030080842A (ko) 차량의 과속 및 도로상태 표시장치
KR102449234B1 (ko) 표지병을 적용한 스마트 신호등 제어시스템
JP2007086981A (ja) 交通管制情報送信装置、交通管制情報報知装置及び交通管制システム
KR20200056371A (ko) 도로교통표지 정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102403128B1 (ko) 우측 차로의 시간대별 용도 표시 장치
JP2009086781A (ja) 運転支援システム、光ビーコン、および、車載機
KR102507553B1 (ko) 어린이 보호구역 내 도로교통 안전표시 시스템
CN104021681A (zh) 基于卫星定位的道路预警方法及道路预警系统
KR20210026236A (ko) 안전유도등을 이용한 교통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