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974B1 -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974B1
KR102060974B1 KR1020170182787A KR20170182787A KR102060974B1 KR 102060974 B1 KR102060974 B1 KR 102060974B1 KR 1020170182787 A KR1020170182787 A KR 1020170182787A KR 20170182787 A KR20170182787 A KR 20170182787A KR 102060974 B1 KR102060974 B1 KR 102060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traffic
traffic sign
information
road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381A (ko
Inventor
이상운
Original Assignee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9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동적으로 적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주변을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전방의 변동된 도로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안전 운행을 수행하도록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가변적인 제공과 해당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동적인 적용 및 전달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DELIVERING VARIABLE ROAD TRAFFIC SIGNS}
본 발명은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동적으로 적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주변을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전방의 변동된 도로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안전 운행을 수행하도록 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가변적인 제공과 해당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동적인 적용 및 전달을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교통표지판은 단독으로 설치되거나 노면 표시 및 신호기와 유기적 또는 보완적으로 결합하여 설치되어,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해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 규제, 지시 등의 정보를 전달하는 교통안전시설물을 의미한다. 즉, 도로교통표지판은 차량의 운전자에게 일관성 있고 통일된 방법으로 교통안전과 원활한 차량의 흐름을 도모하고, 도로시설물이나 운전자 및 보행자를 보호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율주행차량은 물론이고 일반 자동차에 있어서도, 도로교통표지판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자동차가 도로에서 운행할 때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교통체증을 줄이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를 표준화하여 전 세계적으로 공통으로 인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도로교통표지에 관련된 정보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한 GDD(Graphic Data Dictionary)가 표준화되어 있다.
한편 일반 자동차 운전자는 그래픽으로 된 각종 도로교통표지판을 통해 위험하거나 문제가 있는 전방의 도로상황, 통행 제한이나 금지안내, 현재 이용하는 도로의 지시내용 등을 확인한다. 또한 자율주행차량은 도로교통표지판 인식하기 위해서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정보를 우선 인식한 후, 이를 상기 GDD에 매칭하여 해당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를 인식한다.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은 십자형 교차로, T자형 교차로, 좌합류도로, 이중굽은도로, 미끄러운도로, 노면고르지못함 등의 위험하거나 문제가 있는 것을 알리는 표지판인 주의표지, 통행금지, 진입금지, 직진금지, 유턴금지, 일시정지 등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알리는 표지판인 규제표지, 자동차전용도로, 일방통행, 어린이보호, 버스전용차로 등을 알리는 표지판인 지시표지와 같이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이처럼 자동차 운전자나 자율주행차량은 주행 중에 도로 상부나 도로변에 설치된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이미지로 인식하여 전방의 도로상황을 확인하고, 확인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활용하여 목적지까지 차량을 운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로교통표지판은 도로교통표지 정보가 페인트로 도색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의 도로상황이 변경되는 경우 작업자가 해당 위치의 도로교통표지판을 찾아서 변경된 도로상황에 맞는 내용으로 직접 변경하거나, 새로운 도로교통표지판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도로교통표지판은 주간에는 그래픽 정보의 인식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으나 안개, 비, 눈 등의 악천후로 인해 시계가 좋지 않으면 도로교통표지판에 나타난 그래픽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웠고, 야간의 경우에는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도로교통표지판의 그래픽 정보를 전혀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율주행차량의 경우 자동차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도로교통표지판을 인식하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지만, 도로교통표지판에 근접한 경우에만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인식이 가능하고, 가시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도로교통표지판에 나타난 그래픽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 운행을 위해 필수적인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 인식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가변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동적으로 적용하여 가시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주변을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전방의 변동된 도로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안전 운행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도로교통표지 자체, 또는 도로교통표지에 관련된 정보를 정의한 GDD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적용되는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코드화된 신호를 주변을 운행하는 자동차에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0558467호(2006.03.17.)는 표시내용 가변형 도로교통표지판 및 그것을 이용한 도로교통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시각에 따라 가변되는 좌회전 구간을 갖는 교차로에서 표지판의 이정표시만 보고도 한 눈에 좌회전 가능/불가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표시내용 가변형 도로교통표지판 및 그것을 이용한 도로교통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을 중앙의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에서 확인하고,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가변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동적으로 표시하는 구성과,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도로교통표지 자체, 또는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코드화된 신호를 주변을 운행하는 자동차에 전달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은 본 발명과는 달리 현재 시각에 따라 주행이 가능한 도로의 이정표시를 수행하는 구성을 제시한 것으로서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동적으로 가변시켜 표시할 수 있고,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동적으로 변화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주변을 운행하는 자동차로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양자 간의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명확하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2-0012671호(2002.02.20.)는 교차로의 좌전 가변차로제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간대별 좌회전 교통량의 다소에 따라 좌회전 차로를 신축적으로 증감 배정하는 좌회전 가변차로제 운영방법으로서 좌회전 차량이 증가하면 좌회전 전용차로에 바로 인접해 있는 직진차로 또는 공용차로(직진+좌회전)를 동적으로 좌회전 전용차로로 변경하여 차량 소통을 원활히 함으로서 교차로에서의 좌회전 차로의 정체 및 그로 인한 다른 차로의 정체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에는 좌회전 교통량에 따라 인접해 있는 직진차로를 동적으로 좌회전 차로로 변경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을 뿐,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동적으로 가변시켜 표시하고, 동적으로 가변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사전으로 구성한 GDD를 이용하여 도로교통표지판 주변을 운행 중인 자동차로 전송하는 기술적 구성에 대한 기재가 되어 있지 않다.
즉 상기 선행기술들은 현재 시각에 따라 주행이 가능한 도로의 이정표시를 변경하는 구성, 좌회전 교통량에 따라 인접해 있는 직진차로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구성을 제시하고는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를 통해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가변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동적으로 표시하고, 도로교통표지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한 GDD를 이용하여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가변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주변을 주행하는 자동차로 전송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재가 없기 때문에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도로교통표지판을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른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동적으로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는 LCD 또는 LED 디스플레이로 구성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에서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위치에 설치된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로 도로교통표지 변경을 위한 제어명령을 제공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가변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동적으로 적용하여 표시할 때, 변동되는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과 함께 메시지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 동적으로 적용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주변을 해당 위치를 운행하는 자동차로 전송하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동적으로 적용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주변을 운행하는 자동차로 전송할 때, 가시적인 도로교통표지 자체, 또는 도로교통표지에 관련된 정보를 정의한 GDD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적용되는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코드화된 신호를 가시 통신, 비가시 통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로부터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도로교통표지 변경을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부 및 상기 수신한 도로교통표지 변경을 위한 제어명령을 토대로 도로교통표지를 변경시켜 표시하는 도로교통표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도로교통표지는 가변적으로 변하며, 상기 도로교통표지는 해당 도로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은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에서 중앙집중적으로 관리되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은 LCD 또는 LED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도로교통표지를 변경시켜 표시할 때,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 정보와 함께 도로상황 변화를 알려주는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에 변경 표시된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에 대하여 정의한 GDD 데이터와 도로교통표지판의 GPS정보를 인코딩하는 정보 변환부 및 상기 인코딩한 GDD 데이터와 도로교통표지판의 GPS정보가 포함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는 LiFi(Light Fidelity), OCC(Optical Camera Communication), VLC(Visual Light Communication)를 포함한 가시적인 통신수단, 무선통신, 적외선, 초음파를 포함한 비가시적인 통신수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방법은,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로부터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도로교통표지 변경을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도로교통표지 변경명령 수신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도로교통표지 변경을 위한 제어명령을 토대로 도로교통표지판의 도로교통표지를 변경시켜 표시하는 도로교통표지 변경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도로교통표지는 가변적으로 변하며, 상기 도로교통표지는 해당 도로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동적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은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에서 중앙집중적으로 관리되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 변경 단계는,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도로교통표지를 변경시켜 표시할 때,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 정보와 함께 도로상황 변화를 알려주는 메시지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방법은,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에 변경 표시된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에 대하여 정의한 GDD 데이터와 도로교통표지판의 GPS정보를 인코딩하는 정보 변환 단계 및 상기 인코딩한 GDD 데이터와 도로교통표지판의 GPS정보가 포함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정보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LiFi, OCC, VLC를 포함한 가시적인 통신수단, 무선통신, 적외선, 초음파를 포함한 비가시적인 통신수단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에서 제공하는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동적으로 적용하여 표시함으로써, 주변을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전방의 변동된 도로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 차량의 운전자는 물론 자율주행차량에서 안전한 운행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로를 운행하고 있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로부터 도로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가변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시적인 도로교통표지 자체,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코드화된 신호를 가시 통신, 비가시 통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차량이 인식할 수 없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GDD에 정의된 도로방향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로교통표지판의 가변 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도로를 운행하는 자동차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도로교통표지판에서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맞추어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교통표지판을 지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전방의 변동된 도로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여 안전한 운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 도로교통표지 정보 관제서버(200), 데이터베이스(300), 관리자 단말(400),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500)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도로교통표지판은 LCD 또는 LED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 의하여 전방의 도로상황에 따라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변하여 동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변하여 표시하기 위해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로부터 도로의 상황변화에 따른 도로교통표지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또한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동적으로 적용하여 표시할 때, 변동되는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 정보와 함께 메시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를 구성하는 LED, LCD 등은 컬러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컬러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전송하거나 더 풍부한 신호를 정의하여 자동차 운전자, 탑승 승객을 포함한 사용자나 자율주행차량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는 각각의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별 설치 위치, 현재 표시중인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는 각종 도로를 관리 감독하는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공사현황, 도로변경 사항 등을 포함한 각종 도로의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도로의 교통상황에 따라 도로교통표지를 변경시켜야 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는 상기 관리자 단말(400) 이외에 기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교통정보 수집기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의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는 도로의 교통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도로교통표지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변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 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해당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로 상기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동적으로 적용하여 즉시 변경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300)는 상기 각각의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GDD 정보와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업데이트와 관리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GDD에 따른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포함하고, 도로교통표지판에 가변적으로 표시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와 도로교통표지판의 GPS 정보를 코드화한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서 가변 표시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도로교통표지판의 GPS 정보를 코드화하여 전송하면, 이를 자동차에 구비된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500)에서 수신하여 도로교통표지판까지의 거리정보와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인식을 토대로 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200)가 구비된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 가변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그 자체로 제공하기도 하지만, 도로교통표지판의 GPS 정보, GDD의 코드정보를 가시적인 통신수단인 LiFi, VLC, OCC 등으로 송신하거나, 비가시적인 통신수단인 적외선, 초음파, 무선통신(5G 등) 수단으로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복수의 가시 혹은 비가시 무선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은 각 차량에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이중화 혹은 삼중화를 포함한 다중화된 환경에서 수신하여 오인식 되거나 인식되지 않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인식하는데 오류가 발생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통신수단으로 이중화하여 수신과 인식의 오류율을 감소시킨다. 복수의 통신수단으로 복수의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동시에 인식하는 경우, 각 통신수단에서 인식한 정보가 동일하면 문제가 없으나,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WiFi, 5G, LTE 등의 무선통신 신호, 가시신호, 초음파, 적외선 신호등에 대한 신뢰 레벨을 지정하여 신뢰도가 높은 순으로 해당 신호에 가중치를 두어 채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차량용 무선 네트워크는 5G의 경우, 유즈 케이스(use case)로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저 지연이면서 신뢰도가 높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지원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에서 각종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을 확인하고, 특정 위치에 설치된 도로교통표지판의 정보를 변경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해당 위치의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로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현재 표시중인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도로의 상황변화에 맞게 가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의 제어를 토대로 교로교통표지를 가변시켜 표시한 후, 상기 가변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와 도로교통표지판의 GPS 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를 지나는 자동차에서 이를 수신하여, 상기 가변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통해 전방의 변동된 도로상황을 확인한 일반 운전자나 자율주행차량에서 안전한 운행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는 관리자 단말(400) 등으로부터 수집한 각종 도로에 대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특정 위치의 도로교통표지를 변경하여야 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고(①), 분석결과 도로교통표지의 변경이 필요하면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변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해당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로 전송한다(②).
그러면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토대로 교로교통표지를 동적으로 가변시켜 표시한다(③).
또한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도로교통표지판에 나타난 그래픽 정보에 대하여 고유의 코드로 정의한 GDD를 토대로 상기 가변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도로교통표지판의 GPS 정보와 함께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주변을 지나는 자동차가 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④).
즉 본 발명은 도로를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로부터 전방의 도로상황에 의해 가변된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GPS 정보, 가변된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 정보에 대하여 고유의 코드로 정의한 GDD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인식하여 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500)에서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 표시된 그래픽 부분의 이미지를 인식하거나, 무선으로 전송되는 빛을 감지한다. 그리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 나타난 그래픽 정보를 직접 인식하거나 또는 GPS 정보와 GDD 정보를 인식하여 어떠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인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500)는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가 설치된 GPS 정보와 자신의 차량에서 확인한 GPS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를 토대로 자신의 차량에서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까지의 거리정보를 확인하고, 그 정보를 운전자나 자율주행차량이 인식하여 차량 운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모든 형태의 도로교통표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LCD 또는 LED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변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토대로 현재 표시중인 도로교통표지를 동적으로 가변시키며, 상기 가변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와 도로교통표지판의 GPS 정보를 LED의 빛을 이용하여 주변을 운행하는 자동차로 전송한다.
또한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 구비된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500)는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서 LED의 빛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일반 차량 운전자나 자율주행차량이 전방의 도로상황을 확인한다. 이때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500)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GDD 정보의 수신 및 확인 이외에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 시각적으로 표시된 그래픽 부분을 직접 이미지로 인식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500)는 OCC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으며, OCC 카메라를 통해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서 전송하는 LiFi/OCC/VLC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도로교통표지판에 동적으로 표시한 그래픽 정보에 대하여 고유의 코드로 정의한 GDD 데이터, 교통표지판의 GPS 정보를 확인한다. 이처럼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500)에서 GDD 데이터를 획득하면, 상기 GDD 데이터에 정의된 정보를 토대로 어떠한 도로교통표지 정보인지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의 GPS 정보와 자신의 차량에서 확인한 GPS 정보의 비교를 토대로 자신의 차량에서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까지의 거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의 제어를 토대로 전방의 도로상황 변경에 따른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를 동적으로 표시하고, 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때, LiFi/OCC/VLC를 포함한 가시광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현재 사용되는 어떠한 종류의 통신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서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의해 가변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LiFi/OCC/VLC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에서, 만일 안개, 비, 눈 등의 악천후나 주변 자동차로 인해 도로교통표지 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5G, WiFi, LTE 등의 무선 통신이나 비가시적인 통신수단인 초음파나 적외선 통신을 혼용하여 활용하거나 대체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전방의 도로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표시중인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LiFi/OCC/VLC를 통해 무선으로 송신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온-오프 키잉 방식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오프 키잉 방식 이외에 현재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500)는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 시각적으로 표시한 것을 인식하거나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서 전송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GDD 정보와 GPS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자동차에 구비된 내비게이션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정보로 출력하여 차량 운전자가 가변 표시중인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 정보 및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까지의 거리정보를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500)는 자동차가 자율주행차량인 경우 상기 인식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자동차의 운행을 관리하는 중앙처리장치에 제공하여, 차량의 자동제어를 토대로 정확한 경로 유지 및 도로규정에 맞는 안전운행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도 1의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GDD에 정의된 도로방향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로교통표지판의 가변 표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전원부(110), 저장부(120), 유무선 통신부(130), 도로교통표지 정보 생성부(140), 정보 변환부(150), 정보 전송부(160), 제어부(170)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는 기기의 동작을 현장에서 바로 제어하기 위한 통신(시리얼) 포트,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의 동작조건을 간단하게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어 패널이나 컴퓨터 키보드 인터페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원부(1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상용전원인 110V/220V의 AC 전원을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서 사용하는 DC 전원으로 변환(예를 들어, 5V, 12V 등)하고, 해당 전원을 각각의 구성 부분에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110)는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전원을 발생시켜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휴대용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저장부(12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관제센서(200)로부터 제공받은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변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토대로 도로교통표지판에 가변하여 표시할 각종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그래픽 정보나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가변 표시 및 주변 자동차로의 무선 전송을 위한 각종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도로교통표지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하고 이들을 사전으로 구성한 GDD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GDD 정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교통표지가 의미하는 직진, 직진 및 좌회전, 직진 및 우회전 등의 그래픽 부분과 상기 그래픽 부분에 따라 정해진 고유의 코드값 등이 포함된 정보이다. 또한 상기 GDD 정보는 도로교통표지판이 영향을 미치는 도로의 특정구간정보, 특정구간정보에 대한 도로의 시작점, 길이, 끝나는 지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DD 정보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업데이트가 발생할 때마다)으로 업데이트된 내용을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13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로부터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변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즉 상기 유무선 통신부(13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로부터 LTE 등의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인터넷 등)을 통해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를 가변하기 위한 도로교통표지 정보에 관련된 명령을 수신하는 것이다.
도로교통표지 정보 생성부(140)는 상기 유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을 토대로 도로교통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도로교통표지를 도로교통표지판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생성부(140)는 해당 도로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반영한 도로교통표지를 동적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 직진 표시를 나타내는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로부터 전방의 도로공사가 확인되어 차로 변경에 관련된 도로교통표지 정보로 바꾸기 위한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생성부(14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직진 표시의 도로교통표지를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도 5의 (b)에서와 같이 동적으로 가변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생성부(140)는 차로변경에 대한 그래픽 정보와 함께 "공사중-차로변경"의 메시지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정보 변환부(15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생성부(140)에서 동적으로 변경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에 대한 GDD 정보를 상기 저장부(12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의 GPS 정보와 함께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인코딩된 정보를 생성하고, 인코딩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정보 전송부(160)로 출력한다.
정보 전송부(160)는 가시광통신으로 LiFi/OCC/VLC 등의 통신수단을 포함하며, 비가시적인 통신수단으로 5G, WiFi, LTE 등의 무선통신 수단과 적외선, 초음파 통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보 전송부(160)는 상기 정보 변환부(150)에서 인코딩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를 지나는 자동차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전송부(160)는 상기 정보 변환부(150)에서 인코딩한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정보인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에 대한 GDD 정보와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가 설치된 위치의 GPS 정보를 LiFi/OCC/VLC를 포함한 가시광 통신방식으로 변조하여 LED 광원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보 전송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를 토대로 주변의 자동차로 전송하는 현재 표시중인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GDD 정보와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GPS 정보를 비가시적인 통신수단인 무선통신(5G, WiFi, LTE 등)수단, 적외선/초음파 통신수단 등을 통해 전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전송부(160)는 사용 환경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어느 하나의 수단을 통해 현재 표시중인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GDD 정보와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GPS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할 통신수단을 이중화 또는 삼중화할 수 있다. 이때 이중화 또는 삼중화는 가시광 통신, 무선통신, 적외선, 초음파 통신 등의 수단을 복수 개 이용하는 구조로서, 복수의 통신수단을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는 도로교통표지 정보가 시급성이 있거나 중요도가 높은 정보에 대해서 적용하는 것이고, 이를 통해 전파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제어부(170)는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서 수행하는 각종 기능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전원부(110)에서의 동작전원 변환 및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120)에서의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동적 변경 및 주변 자동차로의 전송에 필요한 각종 동작프로그램과 도로교통표지를 그래픽 데이터로 정의하고 이들을 사전으로 구성한 GDD 정보의 저장과 업데이트 관리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무선 통신부(130)에서의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관제서버(200)로부터의 도로 교통상황에 따른 도로교통표지 변경을 위한 제어명령 수신,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생성부(140)에서의 상기 제어명령을 토대로 한 도로교통표지의 동적인 변경 및 표시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정보 변환부(150)에서의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 정보와 관련된 GDD 데이터와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의 설치위치에 대한 GPS 정보의 인코딩을 제어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160)에서의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 정보와 관련된 GDD 데이터와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의 설치위치에 대한 GPS 정보의 가시적인 신호 또는 비가시적인 신호의 변조 및 전송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정보 전송부(160)에서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 정보와 관련된 GDD 데이터와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의 설치위치에 대한 GPS 정보를 변조하여 전송할 때, 이중화 또는 삼중화의 필요성이 있는 중요하고 위급한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있을 경우, 가시적, 비가시적 신호를 이중, 삼중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 서버(20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도로교통표지 정보와 GPS 정보를 WiFi, LTE 등의 무선통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에 동적으로 표시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종류와 설치된 장소에 따라 현재 표시중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중요성,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단일/이중/삼중 등의 송신수단을 결정하여 전송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도로교통표지 정보와 GPS 정보를 주변의 자동차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는 각종 도로를 관리 감독하는 관리자,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교통정보 수집기 등을 통해 공사현황, 도로변경 사항 등을 포함한 각종 도로의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도로의 교통상황 정보를 통해 특정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의 도로교통표지를 변경시켜야 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특정 도로에 설치된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의 도로교통표지를 변경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는 도로교통표지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 후,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로부터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도로교통표지를 가변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고(S100), 상기 제어명령을 확인하여 현재 표시중인 도로교통표지판의 표시내용 변경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200).
상기 S200 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표시중인 도로교통표지판의 표시내용 변경이 필요하면,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제어명령을 토대로 전방의 도로상황에 따라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변하여 동적으로 표시한다(S300). 즉 현재 표시중인 도로교통표지를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전방의 도로상황 변화에 맞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로 변경시켜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200)의 제어에 따라 도로교통표지를 동적으로 가변시킨 후, 동적으로 가변된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주변의 자동차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로교통표지판에 나타낸 그래픽에 대하여 정의한 GDD 데이터를 저장부(120)로부터 추출한 후 상기 GDD 정보를 인코딩한다(S400). 즉 동적으로 가변된 도로교통표지에 대하여 유일한 그래픽 정보 및 코드값으로 정의된 GDD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상기 GDD 데이터와 함께 설치위치에 대한 GPS 정보를 함께 인코딩한다.
이후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는 상기 S400 단계를 통해 인코딩된 동적으로 가변한 특정 도로교통표지에 대한 GDD 데이터와 GPS 정보를 가시 혹은 비가시 신호로 변조하고(S500),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가시, 비가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통신방식으로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를 지나는 자동차로 전송한다(S600).
이에 따라 상기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100)를 지나는 자동차에서 동적으로 가변된 도로교통표지 정보와 GPS 정보를 수신하여, 전방의 변동된 도로상황을 확인한 일반 운전자나 자율주행차량에서 안전한 운행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에서 제공하는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가변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동적으로 적용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주변을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전방의 변동된 도로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 차량의 운전자는 물론 자율주행차량에서 안전한 운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로를 운행하고 있는 자율주행차량을 포함한 자동차에서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로부터 도로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가변되는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가시적인 도로교통표지 자체,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코드화된 신호를 가시 통신, 비가시 통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서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차량이 인식할 수 없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 110 : 전원부
120 : 저장부 130 : 유무선 통신부
140 : 도로교통표지 정보 생성부 150 : 정보 변환부
160 : 정보 전송부 170 : 제어부
200 :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 300 : 데이터베이스
400 : 관리자 단말 500 : 도로교통표지 정보 수신기

Claims (10)

  1.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로부터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도로교통표지의 변경을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부;
    상기 수신한 도로교통표지의 변경을 위한 제어명령을 토대로 도로교통표지를 변경시켜 표시하는 도로교통표지판;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에 변경하여 표시된 상기 수신한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에 대하여 정의한 GDD(Graphic Data Dictionary) 데이터와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설치위치에 대한 GPS정보를 인코딩하는 정보 변환부;
    상기 인코딩한 GDD 데이터와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설치위치에 대한 GPS정보가 포함된 도로교통표지의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정보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에 의해서 해당 도로상황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동적으로 생성되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GDD 데이터는, 상기 도로교통표지가 의미하는 바를 기호로 나타낸 그래픽 부분과 상기 그래픽 부분에 따라 정해진 고유의 코드값을 포함한 정보이며,
    상기 GDD 데이터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변경 표시된 도로교통표지가 영향을 미치는 도로의 특정구간정보, 상기 특정구간정보에 대한 도로의 시작점, 길이 및 끝나는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정보는,
    상기 가시광 통신 외에, 무선통신, 적외선통신 또는 초음파통신 중 하나를 더 추가로 포함한 이중화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6. 가변 도로교통표지 장치에서,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로부터 도로의 교통상황 변경에 따라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변경을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도로교통표지 변경명령 수신 단계;
    상기 수신한 도로교통표지의 변경을 위한 제어명령을 토대로 도로교통표지판의 상기 도로교통표지를 변경시켜 표시하는 도로교통표지 변경 단계;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에 변경하여 표시된 상기 수신한 도로교통표지의 그래픽에 대하여 정의한 GDD(Graphic Data Dictionary) 데이터와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설치위치에 대한 GPS정보를 인코딩하는 정보 변환 단계; 및
    상기 인코딩한 GDD 데이터와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설치위치에 대한 GPS정보가 포함된 도로교통표지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정보는 상기 도로교통표지 정보 통제서버에 의해서 해당 도로상황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동적으로 생성되고,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되며,
    상기 GDD 데이터는, 상기 도로교통표지가 의미하는 바를 기호로 나타낸 그래픽 부분과 상기 그래픽 부분에 따라 정해진 고유의 코드값을 포함한 정보이며,
    상기 GDD 데이터는, 상기 도로교통표지판의 변경 표시된 도로교통표지가 영향을 미치는 도로의 특정구간정보, 상기 특정구간정보에 대한 도로의 시작점, 길이 및 끝나는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로교통표지의 정보는,
    상기 가시광 통신 외에, 무선통신, 적외선통신 또는 초음파통신 중 하나를 더 추가로 포함한 이중화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방법.
KR1020170182787A 2017-12-28 2017-12-28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KR102060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787A KR102060974B1 (ko) 2017-12-28 2017-12-28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787A KR102060974B1 (ko) 2017-12-28 2017-12-28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381A KR20190080381A (ko) 2019-07-08
KR102060974B1 true KR102060974B1 (ko) 2019-12-31

Family

ID=6725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787A KR102060974B1 (ko) 2017-12-28 2017-12-28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9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517B1 (ko) * 2020-12-21 2022-10-0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IoT 기반 교통안전시설정보 전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187A (ja) 1999-01-01 2000-05-30 Kokusai Electric Co Ltd 自動車用警報装置
KR100800513B1 (ko) * 2006-10-30 2008-02-04 손은익 지능형 종합도시정보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가변형 교통정보표지판
KR101223740B1 (ko) * 2012-05-21 2013-01-17 (주)원지리정보 지피에스 기반 실사 지상물의 게시를 위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187A (ja) 1999-01-01 2000-05-30 Kokusai Electric Co Ltd 自動車用警報装置
KR100800513B1 (ko) * 2006-10-30 2008-02-04 손은익 지능형 종합도시정보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가변형 교통정보표지판
KR101223740B1 (ko) * 2012-05-21 2013-01-17 (주)원지리정보 지피에스 기반 실사 지상물의 게시를 위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381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5950B2 (en) Autonomous vehicle safe stop
CN112092827B (zh) 自动驾驶功能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069234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on between traffic controller systems and mobile transmitters and receivers
CN105489032A (zh) 实时显示红绿灯信息的方法及系统
CN103473939B (zh) 一种道路信号控制方法和系统
CN113692360A (zh) 用于运行自我车辆中的驾驶员信息系统的方法和驾驶员信息系统
US11945433B1 (en) Risk mitigation in speed planning
KR102508510B1 (ko) 도로설치 기반 도로표면 레이저 마킹 시스템 및 방법
CN211044523U (zh) 一种城市交叉口行人安全向导系统
KR102483716B1 (ko) 사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42283B1 (ko) 회전 교차로 교통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060974B1 (ko) 가변적인 도로교통표지 정보의 제공과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US20220148417A1 (en) Roadside service unit, traffic prompt device, traffic prompt system and method
KR102125285B1 (ko) 도로교통표지 정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200483183Y1 (ko) 지능 인식형 디지털 신호등
CA3034485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traffic control equipment
KR102060985B1 (ko) 언어에 독립적인 gdd를 통한 도로교통표지 정보 송신장치 및 그 방법
KR102025593B1 (ko) 도로교통표지 정보 전파 장치 및 그 방법
CN103050015A (zh) 城市平交道口交通诱导系统
KR20230009338A (ko) 차량-인프라 협력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5158340A (zh) 驾驶辅助系统及其控制方法、装置、介质
CN211319386U (zh) 一种车路协同系统
KR20120039979A (ko)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도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KR102635356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
CN220820849U (zh) 一种智慧交通疏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