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159A - 폐전선 분류 장치 - Google Patents

폐전선 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159A
KR20190076159A KR1020170177737A KR20170177737A KR20190076159A KR 20190076159 A KR20190076159 A KR 20190076159A KR 1020170177737 A KR1020170177737 A KR 1020170177737A KR 20170177737 A KR20170177737 A KR 20170177737A KR 20190076159 A KR20190076159 A KR 20190076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cutting
wire
aluminum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2112B1 (ko
Inventor
한상용
한민희
Original Assignee
한상용
한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용, 한민희 filed Critical 한상용
Priority to KR1020170177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1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0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 B03C1/14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with non-movable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전선 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연피복을 커팅하고,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분쇄물을 공급하는 분쇄부와 상기 절단된 분쇄물을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분쇄물을 알루미늄, 강선과 절연피복으로 분류하는 진동선별부 그리고, 상기 진동선별부에 의해 분류된 절연피복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와 상기 진동선별부에 의해 분류된 알루미늄 및 강선을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3 컨베이어 끝단에 설치되어 강선과 알루미늄을 분류하는 영구자석 선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전선 분류 장치{Apparatus for sorting Waste electric wire}
본 발명은 폐전선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전선의 절연피복, 알루미늄, 강선을 절단하여 각각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폐전선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전선류에는 동선과 철선, 알루미늄 선재에 합성수지재가 피복되어져 상품화 되거나 여러소재의 전선류가 하나의 케이블로 구성되도록 다른 수지재 피복물로 피복이 이루어져 구성되는등 다양한 전선류가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고, 사용이 완료되어 폐기되면 폐전선류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거되어져 2~3mm의 길이로 세절 또는 분쇄되어 수지재 피복물과 금속재로 분리하여 산업자원소재로 각각 재사용하게 된다.
이때, 폐전선류는 자원소재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동선과 철선 또는 알루미늄 등의 소재에 따라 인력으로 우선 선별한 다음 이를 세절 또는 분쇄하고 금속소재와 합성수지소재로 분리하여 산업자원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선별작업이 비능률적인 결점이 있고, 선별 작업없이 세절 또는 분쇄하게 될 경우 작업능률은 향상되는데 반하여 금속소재에는 동과 철 및 알루미늄이 혼재하게 됨으로써 금속소재의 순도가 떨어지고 품질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폐전선류의 합성수지재 피복과 피복 안의 철선 및 알루미늄을 커팅하고 세절 및 분쇄하는 작업과 각각의 철선, 알루미늄 및 합성수지재 피복을 분류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4923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강선, 알루미늄 및 절연피복의 탈피 및 세절, 분쇄를 통하여 각 공정을 거쳐 각각의 강선, 알루미늄 및 절연피복으로 분류할 수 있는 폐전선 분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연피복을 커팅하고,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분쇄물을 공급하는 분쇄부와 상기 절단된 분쇄물을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와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분쇄물을 알루미늄, 강선과 절연피복으로 분류하는 진동선별부 그리고, 상기 진동선별부에 의해 분류된 절연피복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와 상기 진동선별부에 의해 분류된 알루미늄 및 강선을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와 상기 제3 컨베이어 끝단에 설치되어 강선과 알루미늄을 분류하는 영구자석 선별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부는 몸체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복수의 커팅지지대와 상기 커팅지지대 내측의 가이드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한쌍의 원형 커터와 상기 원형커터 상부에 설치되어 맞물리는 커터 사이의 간격조절을 위한 높이조절부와 상기 커팅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폐전선 투입을 위한 폐전선 투입구;를 포함하는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를 통해 배출되는 폐전선을 일정간격으로 절단하도록 절단날이 구비된 절단부 그리고, 상기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분쇄물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분쇄물 배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선별부는 투입되는 절단된 분쇄물을 입자가 작은 알루미늄, 강선과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절연피복을 구분되어 걸려지도록 설치된 분리망과 상기 분리망을 통해 분리된 분쇄물을 각각 제1 및 제2 배출구로 가이드 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 가이드바를 포함한다.
상기 영구자석 선별부는 제3 컨베이어의 끝단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양끝단에 설치되는 롤러와 상기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지지재와 상기 프레임과 롤러에 벨트를 연결하여 제3 컨베이어의 진행방향과 직각되게 설치되는 제4 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되며, 제4 컨베이어 내부에 설치되어 제3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강선을 분리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컨베이어의 끝단에 설치되는 롤러는 영구자석 선별부를 통과한 분쇄물에서 강선을 분리하기 위해 영구자석으로 구성한 영구자석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류 장치.
상기 분쇄부의 폐전선 투입구의 일측에는 인입되는 폐전선의 유무를 센싱하여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감지센서가 더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하부에 조절바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바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커팅지지대에 설치된 한쌍의 원형 커터 사이의 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폐전선의 절연피복, 알루미늄 및 강선을 세절 및 분쇄하여 각각의 절연피복, 알루미늄 및 강선으로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전선의 커팅, 세절 및 분쇄작업을 각각의 공정을 거쳐 한번에 분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과정에서 혼재될 수 있는 알루미늄, 강선 및 절연피복을 섞이지 않는 이점이 있어 작업의 생산성 향상과 능률성을 높여줄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장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장치의 분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장치의 분쇄부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장치의 진동선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장치의 영구자석 선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장치의 폐전선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장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장치의 분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장치의 분쇄부를 나타내는 후면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장치의 진동선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장치의 영구자석 선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장치의 폐전선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 장치(10)는 폐전선(L)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연피복을 커팅하고,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분쇄물을 공급하는 분쇄부(100)와 절단된 분쇄물을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200)와 제1 컨베이어(200)에서 이송되는 분쇄물을 알루미늄, 강선과 절연피복으로 분류하는 진동선별부(300)와 진동선별부(300)에 의해 분류된 절연피복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400)와 진동선별부(300)에 의해 분류된 알루미늄 및 강선을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500)와 제3 컨베이어(500) 끝단에 설치되어 강선과 알루미늄을 분류하는 영구자석 선별부(600)를 포함한다.
폐전선(L)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피복, 알루미늄 및 강선으로 구분되어지고, 이런 폐전선(L)를 분쇄부(200)의 폐전선 투입구(125)에 투입하면, 원형의 커터(122)에 의해 폐전선(L)의 절연피복이 길이방향으로 커팅된다.
이후, 절연피복이 커팅된 폐전선(L)이 절단부(130)의 절단날(131)에 의해 세절 또는 분쇄되어 분쇄물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되면, 이를 제1 컨베이어(200)에 의해 진동선별부(300)로 이송된다.
진동선별부(300)에 투입된 분쇄물은 진동에 따라 분리망(310)에 1차적으로 입자가 작은 강선 및 알루미늄은 분리망(310) 아래로 걸러지고,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절연피복은 분리망(310)위에 그대로 남게 되며, 제1 및 제2 가이드바(320, 330)에 의해 제1 및 제2 배출구(340, 350)로 이송된다.
제1 배출구(340)로 배출된 절연피복은 제2 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되어 적재되고, 제2 배출구(350)로 배출된 강선, 알루미늄은 제3 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된다.
제3 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알루미늄과 강선은 제3 컨베이어(500)의 끝단에 설치된 영구자석 선별부(600)에 의해 알루미늄과 강선이 분리된다.
즉, 제3 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되면서 영구자석 선별부(600)를 지나게 되면, 금속인 강선은 영구자석 선별부(600)에 흡착되고, 흡착된 강선은 제4 컨베이어(640)에 의해 이송되어 적재되며, 비철금속인 알루미늄은 그대로 제3 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되어 적재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부(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있어 커터부(120)와 절단부(13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된 몸체(110)와 몸체(110) 상부에 가이드홈(126)이 형성된 한쌍의 커팅지지대(121)가 좌우로 설치되고, 한쌍의 커팅지지대(121) 내측의 가이드홈(126)에는 한쌍의 원형 커터(122)가 맞물리도록 끼워지며, 한쌍의 원형 커터(122)의 상부에 설치되어 맞물리는 커터 사이의 간격조절을 위한 조절바(123)가 위치한다.
높이조절부(124)는 하부에 조절바(123)가 형성되며, 높이조절부(124)를 회전하여 조절바(123)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커팅지지대(121)에 설치된 한쌍의 원형 커터(122) 사이의 공간을 조절한다.
즉, 투입되는 폐전선(L)의 굵기가 다르기 때문에, 절연피복의 굵기나 지름이 달라 그에 맞는 한쌍의 원형 커터(122)의 간격조절이 중요하다.
또한, 커팅지지대(121)의 일측에 설치되는 폐전선(L) 투입을 위한 폐전선 투입구(125)를 포함하고, 폐전선 투입구(125)의 일측에는 인입되는 폐전선(L)의 유무를 센싱하여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감지센서(7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커팅부(120) 통해 배출되는 폐전선(L)을 일정간격으로 절단하도록 절단날(131)이 구비된 절단부(130)가 형성되고, 절단부(130)로부터 절단된 분쇄물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분쇄물 배출구(140)를 포함한다.
도2 및 도3에서는 절단기 케이스(132)가 열려 있는 상태로 도시된 것이다.
진동선별부(300)는 투입되는 절단된 분쇄물을 입자가 작은 알루미늄, 강선과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절연피복을 구분되어 걸려지도록 설치된 분리망(310)과 분리망(310)을 통해 분리된 분쇄물을 각각 제1 및 제2 배출구(340, 350)로 가이드 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 가이드바(320, 330)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바(320)은 분리망(3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걸려진 강선 및 알루미늄을 제1 배출구(340)로 인도하게되고, 제2 가이드바(330)는 분리망(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걸려지지않고 남은 절연피복을 제2 배출구(350)로 인도한다.
분쇄물의 크기를 비교해보면 일정간격으로 절단하기 때문에 폐전선(L)의 중심에 있는 강선과 강선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가닥의 알루미늄이 폐전선(L)의 가장외곽에 있는 절연피복에 비해 입자가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되어, 분리망(310)에서 진동분리시 절연피복을 제외한 강선 및 알루미늄을 거를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1 배출구(340)로 걸러진 절연피복은 제2 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되어 적재되고, 제2 배출구(350)로 걸러진 강선 및 알루미늄은 제3 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된다.
제3 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되는 강선 및 알루미늄은 제3 컨베이어(500) 끝단에 설치된 영구자석 선별부(600)에 의해 강선과 알루미늄이 각각 분리되게된다.
영구자석 선별부(600)는 제3 컨베이어(500)의 끝단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프레임(610)과 프레임(610) 양끝단에 설치되는 롤러(630)와 프레임(610)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복수의 롤러(630)를 포함하는 지지재(620)와 프레임(610)과 지지대(620)에 설치된 롤러(630)를 벨트로 연결하여 제3 컨베이어(500)의 진행방향과 직각되게 설치되는 제4 컨베이어(640) 그리고, 프레임(610)의 내부에 고정되며, 제4 컨베이어(640) 내부에 설치되어 제3 컨베이어(500)에서 이송되는 강선을 흡착하여 분리하는 영구자석(650)을 포함한다.
또한, 제3 컨베이어(500)의 끝단에 설치되는 롤러는 영구자석 선별부(600)에서 분리되지 않고 통과한 강선이 있을 수 있기에, 이를 분리하기 위해 영구자석으로 구성한 영구자석롤러(5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알루미늄은 제3 컨베이어(500)로 이송되어 적재되고, 강선은 영구자석롤러(510)에 의해 흡착되어 회전하여 알루미늄이 적재되는 곳과는 반대쪽에 따로 적재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폐전선 분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전선(L)은 절연피복, 알루미늄 및 강선으로 구분되어지고, 이런 폐전선(L)의 굵에 맞게 커팅부(110)의 높이조절부재(124)로 한쌍의 원형 커터(122) 사이의 간격을 미리 조절해 놓는다.
이후, 폐전선(L)을 분쇄부(200)의 폐전선 투입구(125)에 투입하면, 원형의 커터(122)에 의해 폐전선(L)의 절연피복이 길이방향으로 커팅되고, 커팅된 폐전선(L)이 절단부(130)의 절단날(131)에 의해 세절 또는 분쇄되어 분쇄물 배출구(140)를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분쇄물은 제1 컨베이어(200)에 의해 진동선별부(300)로 이송된다.
진동선별부(300)에 투입된 분쇄물은 진동에 따라 분리망(310)에 1차적으로 입자가 작은 강선 및 알루미늄은 분리망(310) 아래로 걸러지고,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절연피복은 분리망(310)위에 그대로 남게 되며, 알루미늄 및 강선은 제1 가이드바(320)에 의해 제1 배출구(340)로 이송되고, 절연피복은 제2 가이드바(330)의 의해 제2 배출구(350)로 이송되어진다.
제1 배출구(340)로 배출된 절연피복은 제2 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되어 적재되고, 제2 배출구(350)로 배출된 강선, 알루미늄은 제3 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된다.
제2 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되는 절연피복은 적재되고, 제3 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되는 알루미늄과 강선은 제3 컨베이어(500)의 끝단에 설치된 영구자석 선별부(600)에 의해 알루미늄과 강선이 분리된다.
즉, 제3 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되면서 영구자석 선별부(600)를 지나게 되면, 금속인 강선은 영구자석 선별부(600)에 흡착되고, 흡착된 강선은 제4 컨베이어(640)에 의해 이송되어 적재되며, 비철금속인 알루미늄은 그대로 제3 컨베이어(500)에 의해 이송되어 적재되게 된다.
또한, 혹시 있을 지 모를 영구자석 선별부(600)에서 제대로 걸러지지 않은 강선은 제3 컨베이어(500)의 끝단에 영구자석으로 구성된 영구자석롤러(510)에 의해 마지막으로 흡착되어 회전되면서 알루미늄이 적재되는 곳과 반대의 곳에 적재된다.
이렇게 분류된 강선, 알루미늄 및 절연피복은 각각 재활용을 거처 사용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폐전선 분류 장치 100: 분쇄부
110: 몸체 120: 커팅부
121: 커팅지지대 122: 커터
123: 조절바 124: 높이조절부
125: 폐전선 투입구 126: 가이드홈
130: 절단부 131: 절단날
132: 절단기 케이스 140: 분쇄물 배출구
200: 제1 컨베이어 300: 진동선별부
310: 분리망 320: 제1 가이드바
330: 제2 가이드바 340: 제1 배출구
350: 제2 배출구 400: 제2 컨베이어
500: 제3 컨베이어 510: 영구자석롤러
600: 영구자석 선별부 610: 프레임
620: 지지대 630: 롤러
640: 제4 컨베이어 650: 영구자석
700: 감지센서 L: 폐전선

Claims (7)

  1. 폐전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연피복을 커팅하고,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분쇄물을 공급하는 분쇄부;
    상기 절단된 분쇄물을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분쇄물을 알루미늄, 강선과 절연피복으로 분류하는 진동선별부; 그리고,
    상기 진동선별부에 의해 분류된 절연피복을 이송하는 제2 컨베이어;
    상기 진동선별부에 의해 분류된 알루미늄 및 강선을 이송하는 제3 컨베이어;
    상기 제3 컨베이어 끝단에 설치되어 강선과 알루미늄을 분류하는 영구자석 선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몸체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복수의 커팅지지대;
    상기 커팅지지대 내측의 가이드홈에 끼워져 설치되는 한쌍의 원형 커터;
    상기 원형커터 상부에 설치되어 맞물리는 커터 사이의 간격조절을 위한 높이조절부;
    상기 커팅지지대의 일측에 설치되는 폐전선 투입을 위한 폐전선 투입구;를 포함하는 커팅부;와
    상기 커팅부를 통해 배출되는 폐전선을 일정간격으로 절단하도록 절단날이 구비된 절단부; 그리고,
    상기 절단부로부터 절단된 분쇄물을 배출하도록 형성된 분쇄물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선별부는
    투입되는 절단된 분쇄물을 입자가 작은 알루미늄, 강선과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절연피복을 구분되어 걸려지도록 설치된 분리망;과
    상기 분리망을 통해 분리된 분쇄물을 각각 제1 및 제2 배출구로 가이드 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선별부는
    제3 컨베이어의 끝단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양끝단에 설치되는 롤러;
    상기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복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지지재;
    상기 프레임과 롤러에 벨트를 연결하여 제3 컨베이어의 진행방향과 직각되게 설치되는 제4 컨베이어;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되며, 제4 컨베이어 내부에 설치되어 제3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강선을 분리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컨베이어의 끝단에 설치되는 롤러는 영구자석 선별부를 통과한 분쇄물에서 강선을 분리하기 위해 영구자석으로 구성한 영구자석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류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의 폐전선 투입구의 일측에는 인입되는 폐전선의 유무를 센싱하여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감지센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류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하부에 조절바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바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커팅지지대에 설치된 한쌍의 원형 커터 사이의 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전선 분류 장치.
KR1020170177737A 2017-12-22 2017-12-22 폐전선 분류 장치 KR102122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737A KR102122112B1 (ko) 2017-12-22 2017-12-22 폐전선 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737A KR102122112B1 (ko) 2017-12-22 2017-12-22 폐전선 분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159A true KR20190076159A (ko) 2019-07-02
KR102122112B1 KR102122112B1 (ko) 2020-06-26

Family

ID=6725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737A KR102122112B1 (ko) 2017-12-22 2017-12-22 폐전선 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1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1663A (zh) * 2020-09-25 2021-01-15 邵卫东 一种中药材粉碎筛选装置
CN115582272A (zh) * 2022-08-22 2023-01-10 余海院 一种建筑垃圾分选回收利用装置
CN117583085A (zh) * 2024-01-19 2024-02-23 江苏启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塑木环保型材用筛分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992B1 (ko) * 2005-04-29 2006-11-23 전운중 진동식 전선피복 선별장치
KR20080024459A (ko) * 2007-11-27 2008-03-18 이정걸 폐전주 재활용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파쇄장치
JP2008264639A (ja) * 2007-04-18 2008-11-06 Takamatsu Kk 分別装置と分別方法
KR200454449Y1 (ko) * 2009-04-10 2011-07-06 명등호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KR101049235B1 (ko) 2010-12-15 2011-07-13 (주)우창산업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장치
KR101426866B1 (ko) * 2014-02-17 2014-09-23 한상용 알류미늄 전선 피복 탈피장치
KR20140114577A (ko) * 2013-03-19 2014-09-29 (주) 두수 금속 분리 기능을 향상시킨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99066B1 (ko) * 2015-11-02 2017-11-17 명등호 폐 전선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992B1 (ko) * 2005-04-29 2006-11-23 전운중 진동식 전선피복 선별장치
JP2008264639A (ja) * 2007-04-18 2008-11-06 Takamatsu Kk 分別装置と分別方法
KR20080024459A (ko) * 2007-11-27 2008-03-18 이정걸 폐전주 재활용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파쇄장치
KR200454449Y1 (ko) * 2009-04-10 2011-07-06 명등호 폐전선의 동 회수장치
KR101049235B1 (ko) 2010-12-15 2011-07-13 (주)우창산업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장치
KR20140114577A (ko) * 2013-03-19 2014-09-29 (주) 두수 금속 분리 기능을 향상시킨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26866B1 (ko) * 2014-02-17 2014-09-23 한상용 알류미늄 전선 피복 탈피장치
KR101799066B1 (ko) * 2015-11-02 2017-11-17 명등호 폐 전선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1663A (zh) * 2020-09-25 2021-01-15 邵卫东 一种中药材粉碎筛选装置
CN115582272A (zh) * 2022-08-22 2023-01-10 余海院 一种建筑垃圾分选回收利用装置
CN117583085A (zh) * 2024-01-19 2024-02-23 江苏启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塑木环保型材用筛分装置
CN117583085B (zh) * 2024-01-19 2024-04-05 江苏启发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塑木环保型材用筛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112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4171A (en) Installation for crushing used vehicle tires and the like, and for separating the metal parts from the non-metal parts of the crushed material
KR20190076159A (ko) 폐전선 분류 장치
KR101799066B1 (ko) 폐 전선 처리장치
US8910794B2 (en) Method for removing metal pieces from gypsum board wastes
US8640879B2 (en) Inclined chute sorter
KR20180072803A (ko) 자력 선별 장치, 자력 선별 방법 및 철원의 제조 방법
US20140367312A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orting a particulate material
JP6202394B2 (ja) 選別装置
US9358552B2 (en) Device and method for sorting out fine particles from a particle mixture
US4459206A (en) Separation of non-ferromagnetic metals from fragmented material
US8910795B2 (en) Magnetic separator
JPH11197530A (ja) 破砕不適物を含む廃棄物の破砕分別処理システム
CN111670077A (zh) 线状物的去除方法、线状物的去除装置以及电子、电气设备部件屑的处理方法
US111306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on of long parts
EP0296791A2 (en) Non-Ferrous metal stripping from electric cables
JP6662318B2 (ja) 磁力選別装置
KR20190130321A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JP3434644B2 (ja) 静電選別装置
CN109317417B (zh) 钢厂破碎机尾料分选系统
EP2328688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solid particles
JP6964831B1 (ja) 分離処理装置
RU2104317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бронированного кабеля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2203142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or sorting a set of parts
US202302492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or sorting a set of parts
CN211888373U (zh) 物料分类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