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321A -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321A
KR20190130321A KR1020180054808A KR20180054808A KR20190130321A KR 20190130321 A KR20190130321 A KR 20190130321A KR 1020180054808 A KR1020180054808 A KR 1020180054808A KR 20180054808 A KR20180054808 A KR 20180054808A KR 20190130321 A KR20190130321 A KR 20190130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iece
unit
belt conveyor
iron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144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14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18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magnets moving du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는: 이송물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와,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검출하는 철편검출부와, 벨트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이송물을 안내하는 슈트부와, 슈트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철편을 자력으로 부착시켜 이동시키는 철편분리부와, 슈트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철편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철편을 외부로 이송하는 철편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APPARATUS OF REMOVEING SCRAP IRON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제거하여 벨트컨베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광석 등 원료와 같은 이송물을 대량으로 장거리 이송하기 위하여 벨트컨베이어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물에는 철편이 혼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52763호(발명의 명칭: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는 철편을 제거하는 철편제거장치및 그 제거방법, 공개일:2002.07.0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제거하여 벨트컨베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는: 이송물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이송물을 안내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자력으로 부착시켜 이동시키는 철편분리부; 및 상기 슈트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철편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철편을 외부로 이송하는 철편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검출하는 철편검출부; 및 상기 철편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철편이송부 및 상기 철편분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편이송부는, 상기 슈트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철편이송부본체;상기 철편이송부본체에 복수개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철편을 이송하는 롤러부; 및 상기 슈트부에 설치되며, 상기 철편이송부본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편이송부본체는 상기 롤러부가 설치되는 측면부의 상측이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멀어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편검출부로부터 철편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철편이송부본체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편분리부는, 상기 롤러부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풀리부; 및 상기 풀리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풀리부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고,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편분리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편검출부로부터 철편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롤러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는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자력으로 부착시켜 이동시키는 철편분리부와, 철편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철편을 외부로 이송하는 철편이송부를 통해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제거하여 벨트컨베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편검출부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철편검출부로부터 철편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으면, 철편분리부를 작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철편이송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철편분리부를 통해 이송물에서 분리된 철편이 슈트부로 낙하되어 이송물과 다시 혼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부가 설치되는 철편이송부본체의 측면부의 상측이 벨트컨베이어로부터 멀어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므로, 철편분리부에서 분리된 철편이 롤러부로 낙하되면, 롤러부를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의 철편검출부로부터 철편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 의해 철편이송부 및 철편분리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철편이송부의 철편이송부본체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의 철편검출부로부터 철편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 의해 철편이송부 및 철편분리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의 철편검출부로부터 철편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 의해 철편이송부 및 철편분리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철편이송부의 철편이송부본체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의 철편검출부로부터 철편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 의해 철편이송부 및 철편분리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1)는 벨트컨베이어(100), 철편검출부(200), 슈트부(300), 철편분리부(400) 및 철편이송부(500)를 포함한다. 벨트컨베이어(100)는 이송물(10)을 이송한다. 벨트컨베이어(100)는 풀리부재(110), 벨트부재(120) 및 지지롤러부(130)를 포함한다. 벨트부재(120)는 풀리부재(110)에 걸쳐져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된다. 지지롤러부(130)는 지지롤러(131)와 지지롤러대(132)를 포함한다. 지지롤러(131)는 회전되는 벨트부재(120)를 지지한다. 지지롤러대(132)에는 지지롤러(1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철편검출부(200)는 벨트컨베이어(100)에 설치되고, 이송물(10)에 포함된 철편(20)을 검출한다. 철편검출부(200)는 철편검출설치대(210)와 철편검출센서(220)를 포함한다. 철편검출설치대(210)는 한 쌍으로 지지롤러대(132)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철편검출센서(220)는 철편검출설치대(210) 사이에 설치되되, 벨트컨베이어(1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철편검출센서(220)는 벨트컨베이어(100)의 벨트부재(120)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물(10)에 포함된 철편(20)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를 제어부(600)에 전달한다(도 2 참조).
슈트부(300)는 벨트컨베이어(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벨트컨베이어(100)로부터 낙하되는 이송물(10)을 안내한다. 슈트부(300)에는 운송물이 낙하되는 내측통로(미도시)가 형성된다. 내측통로로 낙하된 운송물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벨트컨베이어(미도시)를 따라 이송된다.
철편분리부(400)는 슈트부(3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이송물(10)에 포함된 철편(20)을 자력으로 부착시켜 이동시킨다. 철편분리부(400)는 자력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이송물(10)에 포함된 철편(20)이 철편분리부(400)에 인접하면 철편(20)이 이송물(10)에서 분리되어 철편분리부(400)에 부착된다. 이렇게 철편분리부(400)에 부착된 철편(20)은 외부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철편이송부(500)는 슈트부(30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철편분리부(400)를 통해 분리된 철편(20)을 외부로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철편이송부(500)는 철편분리부(400)에 부착되어 이동되는 철편(20) 중 철편분리부(400)에서 낙하되는 철편(20)을 외부로 이송한다.
제어부(600)는 철편검출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토대로 철편이송부(500) 및 철편분리부(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600)가 철편검출부(200)로부터 철편(20)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으면, 철편분리부(400)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철편이송부(500)가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철편이송부(500)를 작동시킨다. 반대로, 제어부(600)가 철편검출부(200)로부터 철편(20)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면, 철편분리부(400)의 작동을 멈추는 동시에 철편이송부(500)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철편이송부(500)를 작동시킨다.
철편이송부(500)는 철편이송부본체(510), 롤러부(520) 및 작동부(530)를 포함한다. 철편이송부본체(510)는 슈트부(3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철편이송부본체(510)는 너비가 슈트부(300)의 상측너비보다 크며, 하측으로 이동되면 슈트부(300)와 겹쳐진다.
롤러부(520)는 철편이송부본체(510)에 복수개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철편(20)을 이송한다. 롤러부(520)는 철편분리부(400)에서 철편이 낙하되면, 회동되면서 철편(20)을 외부로 이송한다. 철편이송부본체(510)는 롤러부(520)가 설치되는 측면부(511)의 상측이 벨트컨베이어(100)로부터 멀어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그 결과, 철편분리부(400)에서 분리된 철편(20)이 롤러부(520)로 낙하되면, 롤러부(520)를 따라 하측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복수개의 롤러부(520)는 체인 등의 연결부(미도시)로 연결되어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철편(20)이 롤러부(520)를 따라 보다 빠르게 배출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작동부(530)는 실린더로 슈트부(300)에 설치되며, 철편이송부본체(5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길이가 조절된다.
제어부(600)는 철편검출부(200)로부터 철편(20)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작동부(530)를 작동시켜 철편이송부본체(51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도 4, 도 5 참조). 이로 인해, 철편분리부(400)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이동되는 철편(20) 중 낙하되는 철편(20)이 슈트부(300)로 낙하되지 않고, 롤러부(520)로 낙하되어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즉, 이송물(10)에서 분리된 철편(20)이 슈트부(300)에 낙하되어 이송물(10)과 다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600)는 철편검출부(200)로부터 철편(20)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 작동부(530)의 작동을 멈추고, 철편이송부본체(51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이송물(10)이 슈트부(300) 측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철편분리부(400)는 풀리부(410)와 철편분리벨트(420)를 포함한다. 풀리부(410)는 롤러부(520)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풀리부(410)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될 수 있다.
철편분리벨트(420)는 풀리부(410)의 외측면을 감싸며, 풀리부(410)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고,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철편분리벨트(420)는 풀리부(410)의 작동에 의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된다.
제어부(600)는 철편검출부(200)로부터 철편(20)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풀리부(410)를 작동시킨다. 풀리부(410)가 작동되면 자석이 구비된 철편분리벨트(420)가 회전된다. 철편(20)이 자력에 의해 철편분리벨트(420)에 부착되어 회전되는 철편분리벨트(420)를 따라 이동된다(도 4, 도 5 참조). 반대로, 제어부(600)는 철편검출부(200)로부터 철편(20)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지 못한 경우 풀리부(410)의 작동을 멈춘다. 그 결과, 철편제거작업이 불필요한 경우 풀리부(410)가 작동되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어부(600)는 철편검출부(200)로부터 철편(20)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으면, 풀리부(410)를 작동시켜 철편분리벨트(420)를 회동시키는 동시에 작동부(530)를 작동시켜 철편이송부본체(510)가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송물(10)에 포함된 철편(20)이 철편분리벨트(420)에 부착되어 외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철편(20)이 슈트부(300) 측으로 낙하되어 이송물(10)과 다시 혼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철편(20)으로 인해 벨트컨베이어(1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10 : 이송물
20 : 철편 100 : 벨트컨베이어
110 : 풀리부재 120 : 벨트부재
130 : 지지롤러부 131 : 지지롤러
132 : 지지롤러대 200 : 철편검출부
210 : 철편검출설치대 220 : 철편검출센서
300 : 슈트부 400 : 철편분리부
410 : 풀리부 420 : 철편분리벨트
500 : 철편이송부 510 : 철편이송부본체
511 : 측면부 520 : 롤러부
530 : 작동부 600 : 제어부

Claims (7)

  1. 이송물을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이송물을 안내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자력으로 부착시켜 이동시키는 철편분리부; 및
    상기 슈트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철편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철편을 외부로 이송하는 철편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고,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검출하는 철편검출부; 및
    상기 철편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신호를 토대로 상기 철편이송부 및 상기 철편분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철편이송부는,
    상기 슈트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철편이송부본체;
    상기 철편이송부본체에 복수개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철편을 이송하는 롤러부; 및
    상기 슈트부에 설치되며, 상기 철편이송부본체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철편이송부본체는 상기 롤러부가 설치되는 측면부의 상측이 상기 벨트컨베이어로부터 멀어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편검출부로부터 철편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철편이송부본체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철편분리부는,
    상기 롤러부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풀리부; 및
    상기 풀리부의 외측면을 감싸며, 상기 풀리부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고,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편분리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철편검출부로부터 철편이 검출된 전기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롤러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20180054808A 2018-05-14 2018-05-14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2089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08A KR102089144B1 (ko) 2018-05-14 2018-05-14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08A KR102089144B1 (ko) 2018-05-14 2018-05-14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321A true KR20190130321A (ko) 2019-11-22
KR102089144B1 KR102089144B1 (ko) 2020-03-13

Family

ID=6873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808A KR102089144B1 (ko) 2018-05-14 2018-05-14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4661A (zh) * 2023-07-28 2023-08-29 山西科为磁感技术有限公司 一种矿用物料输送机用铁磁材料检测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031B1 (ko) 2020-12-03 2023-01-26 한일엔지니어링공업(주) 컨베이어 이송라인의 고효율 자력선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466A (ko) * 2000-12-19 2002-06-26 이구택 루트변경용 슈트의 철편 제거장치
KR101477095B1 (ko) * 2013-05-30 2014-12-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편제거기용 테스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466A (ko) * 2000-12-19 2002-06-26 이구택 루트변경용 슈트의 철편 제거장치
KR101477095B1 (ko) * 2013-05-30 2014-12-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철편제거기용 테스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4661A (zh) * 2023-07-28 2023-08-29 山西科为磁感技术有限公司 一种矿用物料输送机用铁磁材料检测系统
CN116654661B (zh) * 2023-07-28 2023-10-27 山西科为磁感技术有限公司 一种矿用物料输送机用铁磁材料检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144B1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0321A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1433461B1 (ko)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원료로부터의 철편 추출장치
KR20160148802A (ko) 절단스크랩 분리수거장치
KR102237626B1 (ko) 철편 제거장치
KR20120121531A (ko) 철편 제거장치
KR101826884B1 (ko) 밀폐형 자력 선별기
KR102121412B1 (ko) 인출유닛을 갖는 목재 가공장치
KR102065772B1 (ko) 가래떡 분리공급장치
KR2013004656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950576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237062B1 (ko) 슈트 감지장치
KR10127749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85788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KR102133100B1 (ko) 철편 검출기 테스트 장치
KR102043548B1 (ko) 철편검출기용 파손 방지장치
KR20130088412A (ko) 철편 선별장치
KR101938069B1 (ko) 스커트 장치
KR20160015562A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탄 처리장치
KR101277535B1 (ko) 철편분리기의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24430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238380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 제거장치
KR101757551B1 (ko) 소결원료 장입장치
TWI763143B (zh) 用於在片材堆饋送器中更換片材堆的裝置及方法
KR101277582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20120041548A (ko) 운송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