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620A -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620A
KR20190075620A KR1020170177357A KR20170177357A KR20190075620A KR 20190075620 A KR20190075620 A KR 20190075620A KR 1020170177357 A KR1020170177357 A KR 1020170177357A KR 20170177357 A KR20170177357 A KR 20170177357A KR 20190075620 A KR20190075620 A KR 20190075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drying
porosity
supply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1555B1 (en
Inventor
김원종
김태완
김미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555B1/en
Publication of KR20190075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6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5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54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0Control of the operating time, e.g. reduction of overall operating tim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06F39/003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comprises: a step of measuring a washing water supply amount; a step of determining a cloth by classifying the cloth as a first cloth if the measured water supply amount is lower than a first water supply amount, as a second cloth if high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water supply amount and lower than a second water supply amount, and as a third cloth if high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water supply amount; and a step of performing a first drying cycle if the determined cloth is the first cloth, a second drying cycle if the cloth is the second cloth, and a third drying cycle if the cloth is the third cloth. A cloth can be easily determined to store drying time and drying energy in accordance with the cloth.

Description

세탁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0001]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0002]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washing machine.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물이 담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에는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다.Generally, a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processes laundry through various operations such as washing, dehydrating and / or drying. The washing machine includes a tub containing water and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the drum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water passes.

세탁기는, 상기 드럼 내에 의류나 침구 등의 세탁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여 원하는 코스를 선택하면, 선택된 코스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이 실행됨으로써, 급배수, 세탁, 헹굼, 탈수 등이 실시된다.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course by using the control panel in a state where laundry such as clothes or bedding is put in the drum, a predetermined algorith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urse is executed, whereby the laundry is drained, washed, rinsed, And so on.

세탁운전은 통상적으로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행정의 진행 과정은 컨트롤 패널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The washing operation is generally divided into a washing cycle, a rinsing cycle and a dehydration cycle. The progress of such a strok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display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세탁행정은 드럼 내로 물과 함께 세제를 공급하여, 세제에 의한 화학작용과, 펄세이터 및/또는 드럼의 회전에 의한 물리적 작용을 이용하여 포에 뭍은 오염을 제거하는 것이다.The washing cycle is to supply the detergent together with water into the drum to remove contamination from the laundry by utilizing the chemical action by the detergent and the physical action by the pulsator and / or rotation of the drum.

헹굼행정은 드럼 내로 세제가 용해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공급하여, 포를 헹구는 것으로, 특히, 세탁행정시 포에 흡수된 세제가 제거된다. 헹굼행정 시에는 물과 함께 섬유 유연제가 공급되기도 한다.The rinsing step is to remove the detergent absorbed in the washing step by supplying clean water in which the detergent is not dissolved into the drum and rinsing the cloth. A fiber softening agent may be supplied together with water during the rinsing cycle.

탈수행정은 헹굼행정이 완료된 이후에, 드럼을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포를 탈수시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탈수행정이 완료됨으로써, 세탁기의 모든 운전이 종료되나, 건조 겸용 세탁기의 경우는, 탈수행정 이후에 건조행정이 더 추가될 수 있다.After the rinsing step is completed, the dewatering step is to spin the drum at a high speed to dewater the dough. Normally, all the operations of the washing machine are completed by completing the dewatering process, but in the case of the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a drying machine, a drying cycle can be further added after the dewatering process.

세탁기의 세탁운전은 드럼 내에 투입된 포량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 포량에 따라 급수수위, 세탁강도, 배수시간, 탈수시간 등이 설정된다.The washing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is set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undry put into the drum. For example, the water level, the washing strength, the drainage time, the dehydration time, and the like are set according to the replenishing amount.

그런데, 세탁성능은 포량 뿐만 아니라 포질에 따라서도 편차가 발생되는 것으로, 세탁운전을 설정함에 있어서 포량만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세탁성능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shing performance varies not only with the amount of the laundry, but also with the porcelain, so that when setting the washing operation, only the laundry amount is taken into consideration, sufficient washing performance can not be expected.

예를 들어, 함습율(포가 물을 함유하는 비율)이 낮은 발수성의 기능성 소재의 경우에는 포량이 큰 경우에도, 적은 물로도 충분한 세탁이 가능하며, 반대로, 겨울 옷이나, 침구류 등과 같이 함습율이 높은 포의 경우에는 포량은 낮게 감지되더라도 더 많은 물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함습율에 따라 포질을 판단하고, 포질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세탁운전의 설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ater-repellent functional material having a low moisture content (a ratio of water containing water), sufficient washing can be performed even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and conversely, In the case of this high capsule, the bulk amount needs more water even if it is detected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judge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porosity and to configure the setting of the washing operation in an appropriate manner according to the porosity.

또한, 세탁건조 겸용 세탁기의 경우 건조기와 달리 별도로 건조 정도를 감지 판단할 수 있는 건조도 판단 전용 센서가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고, 이에 초기 포량 무게를 대변하는 값들을 이용, 그에 해당하는 건조시간으로 건조 종료를 시키는 경우가 많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washing and drying, unlike a dryer,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re is no dedicated sensor for judging the degree of drying, which can detect the degree of drying, and the values representing the initial weight of the laundry are used, Termination.

예를 들면, 기존 세탁건조 겸용 세탁기의 경우 대체로 탈수 후 옷감 무게만으로 초기 건조시간을 결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포질 특성을 건조에 반영하는데에 한계가 있어, 잘 마르는 옷감에 대하여 불필요한 건조 시간과 에너지가 투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washing and drying machine for washing and drying, the initial drying time is determined mainly by weight of fabric after dehydration. However, this method has a limitation i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rcelain to the drying, so that unnecessary drying time and energy may be injected into a well-dried cloth.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세탁단계에서 포량을 감지함과 동시에 포질을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easily detecting a discharged amount in a washing step and determining a porosity.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건조에너지를 저감하고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reducing drying energy and shortening a drying time.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에 있어서,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asing; A tub disposed in the casing;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receiving laundry;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상기 드럼 내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 Sensing a quantity of the drum in the drum;

상기 드럼 내에 설정 수위까지 세탁수의 급수를 실시하는 단계; Performing water supply of washing water to a set water level in the drum;

급수량을 측정하는 단계; Measuring a water supply amount;

측정된 상기 급수량이 제1 급수량 미만일 경우 제1 포질, 제1 급수량 이상 제2 급수량 미만일 경우 제2 포질, 제2 급수량 이상일 경우 제3 포질로 구분하여 포질을 판정하는 단계; Determining a porosity by dividing into a first porosity when the measured water supply amount is less than the first water supply amount, a second porosity when the first water supply amount is less than the second water supply amount, and a third porosity when the water supply amount is more than the second water supply amount;

세탁행정이 종료되고, 헹굼 및 탈수 행정이 수행되는 단계; The washing cycle is terminated, and a rinsing and dewatering cycle is performed;

판정된 상기 포질이 제1 포질일 경우 제1 건조행정, 제2 포질일 경우 제2 건조행정, 제3 포질일 경우 제3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 first drying step when the determined porosity is the first porosity, a second drying stroke when the porosity is the second porosity, and a third drying stroke when the porosity is the third porosity.

급수량은, 세탁기에 구비되어 있는 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설정 수위까지 급수를 하기 위해, 초기 급수 다음에 재급수를 실시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amount can be measured by using a flow meter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In order to supply water up to the set water level, refill water can be performed after the initial water supply.

상기 제1 건조행정, 상기 제2 건조행정 및 상기 제3 건조행정에서 실시되는 컴프레서 주파수, 건조행정의 제어 온도, 및/또는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이 각각 다를 수 있다.The compressor frequency, the control temperature of the drying cycle, and / or the drying operation time of the drying cycl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rying step, the second drying step and the third drying step.

상기 제3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이 제2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보다 더 길 수 있고, 상기 제2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보다 상기 제1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이 더 길 수 있다.The drying operation time of the third drying step may be longer than the drying time of the second drying step and the drying time of the first drying step may be longer than the drying time of the second drying step.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세탁단계에서 포량감지 이후 세탁수가 세탁조에 일정 수위까지 급수될 때, 급수량을 측정하여 급수량에 따라 포질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First,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shing tub after the detection of the washing amount in the washing step, the water amount is measured to provide a simple and easy classification of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water amount.

둘째, 별도의 기구 변경 없이 제품에 있는 유량계를 이용하여 급수량을 파악하고, 급수량에 따른 포질을 판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Second, it provides the effect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water by using the flow meter in the product without changing the mechanism, and determin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셋째, 측정된 포질에 따라 건조시간을 달리하여, 불필요하게 투입되는 건조에너지 및 건조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ird, the drying time is varied according to the measured porosity,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drying energy and drying time.

도 1은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유량계를 포함하여 세탁기 몸체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괄적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급수량에 따른 포질을 판단하고 포질에 따른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소재에 따른 수분율(Absorption Regain) 및 흡수적분열(Heat of wetting)과의 관계를 도시한 표이다
도 6은 실험을 통하여 JEMA규격에 해당하는 포의 경우 재급수에 따른 급수량을 다른 재질에 따른 급수량과 비교하여 정리한 표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ing machin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including the flow meter.
3 is a flowchart showing a general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a porosity according to an amount of water and performing a drying process according to a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table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isture content (absorption regain) and the heat of wetting according to the material
FIG. 6 is a table summarizing the water amount according to the JEMA standard according to the experiment and the water amount according to the different materials according to the re-watering.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but the dimensions of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Furtherm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comprising", "comprising" or "comprising" in this application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세탁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washing machine.

도 2는 유량계를 포함하여 세탁기 몸체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including the flow meter.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개략적인 세탁기의 내외부를 살펴보면, 먼저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 케이싱(10) 내에 설치되는 터브(21), 터브(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20)을 포함한다.1 and 2, the washing machine includes a casing 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tub 21 installed in the casing 10, a tub 21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21, And a drum 20 for receiving the laundry.

케이싱(10)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케이싱(10) 내에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1)가 설치되고, 터브(21) 내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터브(21) 내에 담긴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casing 1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washing machine. A tub 21 for storing wash water is installed in the casing 10, and a drum 20, in which laundry is received, do. A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tub 21 may be further provided.

케이싱(10)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된 캐비닛(11)과, 캐비닛(11)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되고 캐비닛(1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12)와, 캐비닛(11) 상측에 구비되는 탑커버(13)를 포함한다. 프론트 커버(12)에는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개폐하는 도어(16)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casing 10 includes a cabinet 11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washing machine and having a front and an upper surface opened, a base supporting the cabinet 11, a laundry inlet / And a top cover 13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binet 11. The front cover 12 includes a front cover 12, The front cover 12 is rotatably provided with a door 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aundry access hole.

드럼(20) 내부의 세탁물이 보일 수 있도록 도어(16)에는 글래스(17)가 구비될 수 있다. 글래스(17)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어(16)가 닫힌 상태에서 글래스(17)의 선단이 드럼(20) 내측까지 돌출될 수 있다.The door 16 may be provided with a glass 17 so that the laundry inside the drum 20 can be seen. The glass 17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and the tip of the glass 17 may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drum 2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6 is closed.

세제 박스는 예비 또는 본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표백제 등의 첨가제를 수용하는 것으로, 케이싱(10)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detergent box accommodates additives such as preliminary or main laundry detergent, fabric softener, bleaching agent and the like, and can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casing 10.

드럼(20)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완충될 수 있도록, 터브(21)는 스프링에 의해 탑커버(13)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고, 터브(21)를 지지하는 댐퍼가 하측에 더 설치될 수 있다.The tub 21 is suspended from the top cover 13 by a spring so that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drum 20 rotates can be buffered and a damper for supporting the tub 21 can be further installed on the lower side have.

터브(21)와 드럼(20) 간에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드럼(20)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드럼(20)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이 들어 올렸다가 떨어질 수 있도록, 드럼(20)의 내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리프터(22)가 구비된다.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drum 20 so that water can flow between the tub 21 and the drum 20. The drum 2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um 20, At least one lifter 22 is provi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er.

드럼(20)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드럼(20)의 후방부가 수평보다 밑으로 내려오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드럼(20)을 회전 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The drum 20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and the rear portion of the drum 20 may b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lower than the horizontal. (Not shown) for providing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drum 20 is provided.

캐비닛(11)과 터브(21) 사이에는 개스킷(23)이 구비된다. 개스킷(23)은 일측이 캐비닛(11)과 결합되고, 타측이 터브(21)의 개구된 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다. 따라서 터브(21)에 저수된 물이 터브(21)와 캐비닛(11)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gasket (23) is provided between the cabinet (11) and the tub (21). One side of the gasket 23 is engaged with the cabinet 11 and the other side is join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ed front portion of the tub 21. [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stored in the tub 21 from leaking between the tub 21 and the cabinet 11. [

또한 개스킷(23)은 터브(21)의 진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접철됨으로써 진동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개스킷(23)은 다소 간의 탄력성을 갖는 변형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천연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gasket 23 is elastically 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vibration of the tub 21, thereby buffering the vibration. The gasket 23 may be made of a deformable flexible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mewhat, and may be formed using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esi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괄적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general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세탁기의 드럼(20)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세탁기가 ON되면, 세탁기는 제어부(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세탁물에 대한 세탁행정을 개시한다. (S1) 세탁행정이 개시되면 드럼(20) 내의 포량이 감지된다. (S2)When the washing machine is turned on after the laundry is inserted into the drum 20 of the washing machine, the washing machine starts a washing cycle for the laundry according to a signal from a controller (not shown). (S1) When the washing cycle is started, the amount of the laundry in the drum 20 is detected. (S2)

이하 포량 감지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세탁행정은 세탁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고, 세탁물에 흡수된 세탁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 동작이 구현되는바, 이와 같은 드럼(20)의 회전을 위한 모터토크, 관성토크, 마찰토크, 부하토크가 작용하게 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detecting the extinc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washing cycle, a rota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laundry and to remove the washing water absorbed in the laundry. The motor torque, inertia torque, friction torque and load torque for the rotation of the drum 20 .

여기서 모터토크는, 드럼(20)에 연결된 모터를 회전동작 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힘이고, 관성토크는 회전 중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 기존의 운동상태(회전)를 유지하고자 하는 관성에 의해 방해하는 힘이며, 마찰토크는 드럼(20)과 세탁물, 도어(16)와 세탁물, 또는 세탁물간의 마찰로 인해 회전을 방해하는 힘이고, 부하토크는 세탁물의 무게에 의해 드럼(20)의 회전을 방해하는 힘이다.Here, the motor torque is a force applied to rotate the motor connected to the drum 20, and the inertia torque is a force which interferes with inertia to maintain the existing motion state (rotation) when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during rotation , The friction torque is a force which interferes with the rotation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drum 20 and the laundry, the door 16 and the laundry or the laundry, and the load torque is a force which interferes with the rotation of the drum 20 by the weight of the laundry .

세탁기는 드럼(20)의 회전동작 중에 포량을 판단할 수 있는데, 먼저 모터토크는 모터 동작 시 필요한 힘이므로, 관성토크, 마찰토크, 부하토크가 합산된 값으로 나타난다. 모터토크는 세탁물을 들어올리는 힘에 터브(21)의 반지름을 곱한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Since the motor torque is a force necessary for operating the motor, the inertia torque, the friction torque, and the load torque are shown as a summed value. The motor torque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lift of the laundry by the radius of the tub 21.

관성토크는 회전동작 중 가속 또는 감속하는 경우 드럼(20) 및 세탁물의 분포에 따른 관성의 힘을 통하여 회전동작을 방해하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때, 관성토크는 질량, 드럼(20)의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할 수 있다.The inertia torque can act as a force that interferes with the rotational motion through the inertia force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of the drum 20 and laundry when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At this time, the inertia torque may be proportional to the mass, the square of the radius of the drum 20.

마찰토크는 세탁물과 터브(21), 세탁물과 도어(16)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므로, 회전속도에 비례할 수 있다. 마찰토크는 마찰계수와 회전속도의 곱으로 산출할 수 있다.Since the frictional torque is a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laundry and the tub 21, the laundry and the door 16, it may be proportional to the rotating speed. The friction torque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friction coefficient by the rotation speed.

부하토크는 기동시 세탁물의 분포에 따라 작용하는 중력으로, 세탁물의 무게, 중력가속도, 드럼(20)의 반지름 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The load torque can be calculated from the weight of the laundry,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and the radius of the drum 20, which is gravity acting in accordance with the distribution of the laundry during start-up.

이와 같이 드럼(20)이 회전하는 중에 모터토크, 관성토크, 마찰토크, 부하토크가 동시에 작용하고, 이러한 힘의 성분은 모터의 전류값에 반영되므로, 제어부는 모터 동작 중 전류 감지부를 통해 측정되는 전류값을 이용하여 포량을 산출할 수 있다.Since the motor torque, the inertial torque, the friction torque, and the load torque act simultaneously during the rotation of the drum 20, and the component of such force is reflected in the current value of the motor, the control unit is measured through the current sensing uni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ischarge amount using the current value.

드럼(20) 내에 있는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한 후에는, 설정 수위까지 세탁 급수를 실시한다. (S3) 이때, 포량 감지의 결과에 따라 설정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설정 수위를 포량에 비례하여 설정할 수 있고, 기 설정된 테이블이나 수식 등에 포량을 대입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After detecting the amount of laundry in the drum 20,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set water level. (S3) At this time, the set water level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volume. More specifically, the set water level can be set in proportion to the volume, and the volume set in the preset table or formula can be set by substituting.

급수는 급수밸브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에 따른 수위 설정이 필요하므로, 이에 따른 수위를 판단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가 설정된 수위에 이를 때까지 급수밸브를 on 시킬 수 있다. 급수밸브가 on될 경우, 세탁수는 드럼(20)의 내부로 급수될 수 있다. 급수된 세탁수는 드럼(20)의 하측부터 차올라 점차 그 수위가 높아질 수 있다.The water supply can be made through a water supply valve.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rmining a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may be provided. The control unit can turn on the water supply valve until the water level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reaches the set water level. When the water supply valve is turned on, the wash water can be supplied into the drum 20. The water level of the wash water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lower side of the drum 20 to the water level.

제어부는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가 설정 수위에 이르면, 급수밸브를 off 시킬 수 있다. 설정 수위가 포량에 비례하여 설정된 경우, 포량이 적은 경우에는 설정 수위는 보다 낮을 수 있고, 포량이 많은 경우에는 설정 수위는 보다 높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turn off the water supply valve when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reaches the set water level. If the set water level is set in proportion to the water level, the set water level may be lower when the water level is low, and the set water level may be higher when the water level is large.

포량에 따른 설정수위가 정해진 경우에는, 해당 수위에 맞게 초기 급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초기 급수를 할 경우, 초기 급수 수량은 설정 수위에 맞게 타겟 펄스로 정해질 수 있다. If the set water lev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e initial water level can be set to the water level. In the case of an initial water supply, the initial water supply quantity can be set to the target pulse in accordance with the set water level.

또한 함습량이 높은 포의 경우에는 세탁급수가 일어나고 수위가 상승하는 중에도 포가 세탁수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설정 수위에 다시 도달하기 위한 재급수를 실시할 수 있다. Also, in the case of a bag having a high moisture content, the laundry can be re-watered to reach the set water level because the laundry water can be absorbed even when the water level rises and the water level rises.

재급수를 하는 동안에도 함습량이 높은 포의 경우에는 수분을 더 흡수할 수 있으므로, 재급수는 한번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번 시행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shell having a high moisture content even during the re-watering, water can be further absorbed, so that the re-watering can be carried out several times, not just once.

합습량은 포질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므로, 포질이 다른 포에 대하여 다른 재급수 횟수와 재급수량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함습량이 높은 포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횟수의 재급수를 시행할 수 있고, 함습량이 낮은 포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횟수의 재급수를 시행할 수 있다.Since the moisture content differs depending on the porosity, the number of different re-feeds and the re-feed rate can be set for different types of porosity. Therefor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re-watering can be performed in the case of a shell having a high moisture content, and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times of re-watering can be performed in a shell having a low moisture content.

설정수위까지 급수가 됨에 따라, 그에 따른 급수량을 측정한다. (S4) 이때, 상기 급수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급수량을 감지하는 유량계(30)가 구비된다. 유량계(30)는 세탁기의 유입포트(미도시)로 유동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유입포트에 장착될 수 있다. As the water level reaches the set water level, the water level is measured. (S4) At this time, as a method of measuring the water supply amount, a flow meter 30 for sensing the water supply amount is provided. The flow meter 30 can be mounted to the inlet port to measure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ort (not shown) of the washing machine.

유량계(30)는 물이 흐르는 유동 경로에 구비된 임펠러(미도시)가 물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에 따른 펄스수를 통하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The flow meter 30 can measure the flow rate through the number of puls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not shown) provided in th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by the flow of water.

세탁행정에서 급수량이 측정된 이후에는 급수량에 따른 포질을 판단한다. (S5) 수분을 많이 흡수하는 포질의 경우에는 세탁행정에서 포에 수분이 많이 흡수되기 때문에 급수량이 더 많아질 수 있다. 반대로 수분을 적게 흡수하는 포질의 경우에는 세탁행정에서 포에 수분이 적게 흡수되기 때문에 급수량이 적어질 수 있다.After the amount of water is measured in the washing cycle, the amount of the water depends on the water amount. (S5) In the case of a water-absorbing foam, water may be supplied more because the water is absorbed in the foam in the washing cycl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foam that absorbs less water, the amount of water may be reduced because water is less absorbed in the bag in the washing cycle.

따라서 함습량이 높은 포의 경우에는 더욱 많은 수분을 흡수하여 함습하고 있으므로, 그만큼 재급수를 많이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급수량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급수량이 많은 포의 경우에는 함습량이 높은 포임을 알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paddles with high moisture content, more water is absorbed and absorbed. Therefore, the amount of water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water having a large amount of water, the moisture content is high.

함습량이 낮은 포의 경우에는 수분을 상대적으로 적게 흡수하여 함습하고 있으므로, 그만큼 재급수를 적게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급수량은 감소하고, 급수량이 적은 포의 경우에는 함습량이 낮은 포임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of low moisture content, relatively low water content is absorbed, which means that the re-watering can not be avoided. Therefore, the amount of water is decreased, and in the case of water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the moisture content is low.

포질이 판단된 후에는, 세탁행정이 종료된다. (S6) 세탁행정이 종료된 이후에는 헹굼행정이 수행되고 (S7), 헹굼행정 이후에는 탈수행정이 수행된다. (S8) 탈수행정은 포질에 따라 각각의 포질에 적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fter the porosity is judged, the washing cycle is terminated. (S6) After the washing cycle is completed, the rinsing cycle is performed (S7), and after the rinsing cycle, the spinning cycle is performed. (S8) The dewatering step can be set to suit each of the porosities according to porosity.

탈수행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건조행정이 수행된다. (S9) 건조행정에서는 앞서 급수량을 통한 포질을 판단하여 분류한 데이터를 통하여 각 포질에 맞는 건조행정을 수행한다.After the dewatering process is completed, the drying process is performed. (S9) In the drying step, the drying proces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orosities is carried out through the data obtained by judging the porosity through the water amount.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함습량이 낮은 포라고 판단하고, 함습량이 낮은 포의 포질에 맞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건조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급수량이 많은 경우보다 건조 시간 및 건조 에너지를 절약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water supply amount is small, it is judged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low, and a drying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porcelain having low moisture content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drying step can be performed by saving the drying time and the drying energ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water supply amount is large in performing the drying step.

급수량이 많은 경우에는 함습량이 높은 포라고 판단하고, 함습량이 높은 포의 포질에 맞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건조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급수량이 적은 경우보다 건조 시간 및 건조 에너지를 좀 더 투입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water is large, it is judged that the moisture content is high, and the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orcelain having a high moisture content. In this case, the drying step can be performed by further adding drying time and drying energy to the drying step,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water amount is small.

구체적인 급수량에 따른 포질의 구분 및 구분된 포질별 건조행정에 관하여는 도 4에서 설명한다.Fig. 4 shows the classification of the fuels according to the specific amount of water and the drying schedule for the fuels separatel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급수량에 따른 포질을 판단하고 포질에 따른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for determining a porosity according to an amount of water and performing a drying process according to a poro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세탁기의 드럼(20)에 세탁물이 투입된 후,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세탁물에 대한 세탁 행정이 시작된다. (S10) 세탁행정이 진행되는 동안 드럼(20) 내에 있는 포의 포량을 감지한다. (S11) 포량을 감지한 후에는, 설정된 수위까지 세탁급수를 실시한다. (S12) 이때 설정된 수위만큼 급수가 되었는지 여부는 수위센서를 통하여 판단할 수 있다. 설정 수위만큼 급수가 된 경우 그에 따른 급수량을 측정한다. (S13) Referring to FIG. 4, after the laundry is put into the drum 20 of the washing machine, the laundry is started to be wash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S10) Detects the amount of the cloth in the drum 20 during the washing cycle. (S11) After detecting the discharged amount,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set water level. (S12) At this time, it can be judg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whether or not the water level has reached the predetermined water level.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the set water level, the water level is measured. (S13)

그리고 급수량에 따라서 포질을 분류할 수 있다. 기본적인 급수량으로서 초기 급수 수량이 정해져 있고, 포질에 따라서 재급수를 통하여 급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포질이 수분을 많이 흡수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재급수 횟수가 늘어날 수 있고, 포질이 수분을 적게 흡수할 수 있는 경우에는 재급수 횟수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재급수 횟수는 포질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And the porosity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The initial water supply amount is determined as a basic water supply amount, and the water supply amount may be changed through re-watering depending on the porosity. If the porridge can absorb a large amount of water, the number of re-watering can be increased, and if the porridge can absorb less moisture, the number of re-watering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number of re-watering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rosity.

따라서 급수량에 따라서 포질을 판단할 경우 상기 급수량은 초기 급수 수량에 재급수 횟수에 따라 재급수한 수량을 더한 값이 급수량이 될 수 있다.Therefore, when determin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the water supply amount may be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water re-supply amount to the initial water supply amou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supply.

급수량의 판단은, 먼저 급수량이 제1 급수량보다 많은지 적은지 판단하고, (S14) 급수량이 제1 급수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급수량이 제2 급수량보다 많은지 적은지 판단한다. (S15) 상기 두단계의 판단을 통하여 급수량에 따른 포질을 세가지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1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ter supply amount is larger than the first water supply amount or not. If the water supply amount is larger than the first water supply amoun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ter supply amount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second water supply amount. (S15) Through the above-described two step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ree types of porosity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측정한 세탁 급수량이 제1 급수량보다 적으면, 이때의 포질을 제1 포질로 판정한다. (S26) 제1 포질로 판단된 경우, 세탁행정이 종료되고 (S27), 헹굼행정과 탈수행정도 종료되면 (S28, S29) 소정의 제1 건조행정을 실시한다. (S30) 제1 건조행정에서 수행되는 컴프레서 주파수와 건조를 위한 제어 온도 그리고 건조 운전 시간 등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다.If the measured washing water supply amount is smaller than the first water supply amount, the porosity at this time is judged as the first water quality. (S26) When it is judged as the first formation, the washing cycle is finished (S27), and when the rinsing cycle and the dewatering cycle are completed (S28, S29), a predetermined first drying cycle is performed. (S30) The compressor frequency, the control temperature for drying, and the drying operation time, which are performed in the first drying cycle, are preset and stored.

측정한 세탁 급수량이 제1 급수량보다 크나 제2 급수량보다 적으면, 이때의 포질을 제2 포질로 판단한다. (S21) 제2 포질로 판단된 경우, 세탁행정이 종료되고 (S22), 헹굼행정과 탈수행정도 종료되면 (S23, S24) 제2 건조행정을 실시한다. (S25) 제2 건조행정에서 수행되는 컴프레서 주파수와 제어 온도 그리고 건조 운전 시간 등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다.If the measured washing water supply amount is larger than the first water supply amount but smaller than the second water supply amount, the porosity at this time is judged as the second water quality. (S21), the washing cycle is ended (S22), and when the rinsing cycle and the dewatering cycle are completed (S23, S24), the second drying cycle is performed. (S25) The compressor frequency, the control temperature, the drying operation time, etc. performed in the second drying cycle are preset and stored.

측정한 세탁 급수량이 제2 급수량보다 많으면, 이때의 포질을 제3 포질로 판단한다. (S16) 제3 포질로 판단된 경우, 세탁행정이 종료되고 (S17) 헹굼행정과 탈수행정도 종료되면(S18, S19) 제3 건조행정을 실시한다. (S20) 제3 건조행정에서 수행되는 컴프레서 주파수와 제어 온도 그리고 건조 운전 시간 등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다. If the measured amount of washing water is larger than the second water supply amount, the porosity at this time is judged as the third water quality. (S16)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hird condition is satisfied, the washing cycle is finished (S17), and the rinsing cycle and the dewatering cycle are completed (S18, S19). (S20) The compressor frequency, the control temperature, the drying operation time, etc. performed in the third drying cycle are preset and stored.

급수량이 많을수록 그만큼 포질에서 흡수하는 수분의 양이 많으므로, 건조 운전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The larger the water supply amount, the larger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in the porcelain so that the drying operation time may take a long time.

건조 운전 시간의 경우, 제1 포질이 흡수하는 수분의 양보다 제2 포질이 흡수하는 수분의 양이 많으므로, 제1 포질에 따른 제1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보다 제2 포질에 따른 제2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이 더 길다.In the case of the drying operation time, since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by the second porcelain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by the first porcelain, The drying time of the drying cycle is longer.

또한 제2 포질이 흡수하는 수분의 양보다 제3 포질이 흡수하는 수분의 양이 많으므로, 제2 포질에 따른 제2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보다 제3 포질에 따른 제3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이 더 길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by the third porosity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by the second porosity, the drying operation of the third drying cycle according to the third porosity Time is longer.

그리고 각 건조행정 방식 별로 건조행정시 다른 제어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온도가 높으면 온도에 따른 수분의 증발이 많이 일어나므로 온도가 높아질 수록 건조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온도가 특정 범위를 초과하여 상승하는 경우에는 포에 손상이 갈 수 있으므로, 포에 손상이 가지 않으면서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제어 온도를 높일 수 있다.For each drying stroke, different control temperatures can be set during the drying stroke. The higher the control temperature, the more evaporation of water occur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so that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better the drying performance. However, if the temperature rises above a certain range, the foam may be damaged, so that the control temperature can be increas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foam is not damaged and the dry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각 건조행정 방식 별로 건조행정시 다른 컴프레서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컴프레서는 공기를 압축하여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컴프레서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는 그만큼 온도를 상승시켜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컴프레서 주파수에 따라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different compressor frequencies can be set during the drying cycle for each drying stroke method. Since the compressor compresses the air to raise the temperature, when the compressor frequency is high, the temperature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drying performance. Therefore, the dry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compressor frequency.

도 5는 소재에 따른 수분율(Absorption Regain) 및 흡수적분열(Heat of wetting)과의 관계를 도시한 표이다.FIG. 5 is a table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isture content (absorption regain) and the heat of wetting according to the material.

상기 수분율은 영문으로 moisture regain 이며 absorption regain과 같은 의미이고, 상기 흡수적분열은 영문으로 integral heat of absorption 이며 heating of wetting과 같은 의미이다.The moisture content is the moisture regain in English and has the same meaning as the absorption regain. The absorption fraction is the integral heat of absorption in English and is equivalent to heating of wetting.

흡수 적분열의 경우 단위는 J/g으로서, 이는 건조 시료의 단위 무게당 흡수열을 의미한다. 따라서 흡수적분열 값이 0이라면 물을 전혀 흡수하지 않는 다는 의미이며, 흡수적분열이 크다면 상대적으로 물을 많이 흡수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e case of sorption fission, the unit is J / g, which means the heat of absorption per unit weight of the dry sample. Therefore, if the value of the absorption fraction is zero, it means that the water does not absorb at all. If the absorption fraction is large, it means that it absorbs relatively water.

해당 표의 소재별 수분율과 흡수 적분열의 값을 비교해 보면, 흡수 적분율이 큰 울의 경우, 흡수 적분열 값이 113이고 이때의 수분율 또한 14~18의 값을 가진다. 또한 흡수 적분율이 작은 폴리에스터의 경우 흡수 적분열 값이 5이며 이와 마찬가지로 수분율 또한 작은 0.4의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소재도 마찬가지로 비교해 볼 ?, 흡수 적분열과 수분열은 비슷한 경향성을 가지는 관계임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wool having a high absorption coefficient, the absorption fraction of the wool is 113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wool is also in the range of 14 to 18. In case of polyester with low absorption fraction, it is found that the absorption fraction is 5 and the water content is also small 0.4. As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of other materials, it can be seen that the absorption and fracture ties have a similar tendency.

흡수 적분열이 큰 경우와 흡수 적분열이 작은 경우의 구분은 급수량에 따른 포질의 판단과 연관성을 가질 수 있다. The distinction between large absorptive fragmentation and small absorptive fragmentation can be related to the determination of porosity by water supply.

흡수 적분열이 작으면, 포가 물을 별로 흡수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 졌다고 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세탁시 설정 수위에 해당하는 만큼의 급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따라서 적은 급수량에 해당하는 포질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해당 급수량에 따른 포질을 판단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If the sorption fragmentation is small,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bag is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bsorb much water, and as a result, the water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et water level during washing may be relatively small.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re is a porosity corresponding to a small amount of water, so that the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determin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흡수 적분열이 크면, 포가 물을 많이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 졌다고 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세탁시 설정 수위에 해당하는 만큼의 급수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급수량에 해당하는 포질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해당 급수량에 따른 포질을 판단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If the absorption split is large, it can be said that the bag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a lot of water, and as a result, the water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et water level may be relatively large.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re is a porosity corresponding to a large amount of water, so that the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determining the porosity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amount.

또한 공지된 사실로서 수분율과 습윤열의 관계에서 보면, 수분율이 높은 소재는 습윤열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습윤열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동일 조건에서 건조시간이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It is also know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oisture content and wet heat that a material having a high moisture content has a high wet heat. The higher the wet heat, the more drying time is requi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따라서, 흡수 적분열이 작은 포의 경우에는, 급수량이 적고, 수분율이 낮으며, 습윤열도 낮으므로 건조 운전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는다. 흡수 적분열이 큰 포의 경우에는, 급수량이 많고, 수분율이 높으며, 습윤열도 높으므로 건조 운전 시간이 많이 걸린다. 이는 결과적으로 포질에 따라서 건조 운전 시간이 결정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small bubble, the water supply amount is low, the water content is low, and the wet heat is low, so that the drying operation time does not take much time. In the case of a bubble having a large absorption capacity, it takes a lot of drying operation time because the amount of water is high, the water content is high, and the wet heat is high. This indicates that the drying operation time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orosity as a result.

도 6은 실험을 통하여 JEMA규격에 해당하는 포의 경우 재급수에 따른 급수량을 다른 재질에 따른 급수량과 비교하여 정리한 표이다.FIG. 6 is a table summarizing the water amount according to the JEMA standard according to the experiment and the water amount according to the different materials according to the re-watering.

도 6을 참조하면, 일본전기공업회 JEMA에서 규정한 세탁기 성능 평가 기준에 따른 포의 경우를 기준으로 하고, 실사용 구성포와 타월만으로 이루어진 포를 대상으로 하여 설정 수위에 따른 급수량을 판단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Referring to FIG. 6,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according to the set water level, based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according to the JEMA standards of the Japan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Respectively.

JEMA 규격에 따르면, JEMA 규격 코스이면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품인 'Wash+Dry' 코스를 선택할 경우, JEMA 규격부하 6kg를 감지하여 정해진 시간만큼 세탁행정을 수행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JEMA standard, when the 'Wash + Dry' course, which is a JEMA standard course and a produc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selected, the performance can be evaluated based on a case where the JEMA standard load 6 kg is detected and the washing stroke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JEMA 규격에 해당하는 포의 기준은 cotton과 poly가 53:47의 비율을 가지는 포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한다. 실사용 구성에 따른 포는 cotton이 50% 이하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한다. 타월의 경우는 cotton으로써 100%가 이루어진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한다.The standard of the bamboo corresponding to the JEMA standard is judged based on the bamboo having a ratio of cotton to poly of 53:47. According to the actual use configuration, the bubble is judged based on the case where cotton is less than 50%. In case of towel, 100% cotton is judged based on the case.

일단 설정 수위만큼 세탁수의 급수를 실시하여야 한다. 설정 수위의 경우에는 수위 센서를 통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수위 센서가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있으므로, 수위 센서가 감지하는 수위의 최고값과 최저값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초기 급수 수량과 재급수 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Once the water level has been set, the washing water should be supplied. In the case of the set water level, it can be judg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At this time, since there is a probability of error in the water level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and to measure the initial water supply amount and the refeed water amoun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규격 부하인 6kg의 포에 대한 기준이 되는 급수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실험에서는, 기준이 되는 급수량인 타겟 펄스를 2640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사용 구성, JEMA 규격, 타월 모두 6Kg을 기준으로 급수하여 포질 이외에 다른 실험 조건은 통제하였다. It is possible to set the standard water supply amount for 6kg of standard load. In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setting the target pulse amount to 2640 as the reference water supply amount. The experimental conditions except the porosity were controlled by watering based on the actual composition, JEMA standard, and towel of 6 kg.

초기 급수 수량은 타겟 펄스에 맞게 급수될 수 있다. 초기 급수 수량을 타겟 펄스에 맞추는 과정에서 약간의 오차가 생길 수 있다.The initial water supply quantity can be watered to the target pulse. There may be some errors in fitting the initial water supply to the target pulse.

초기 급수가 진행되면서, 동시에 포질에 따른 함습량이 차이가 있을수 있다. 다시 설명하자면, 포가 급수된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포질에 따른 함습량이 다르므로 각 포마다 수분 흡수량이 다르게 된다. 따라서 포가 초기 급수된 수분을 일정량 흡수하기 때문에 초기 급수 수량으로는 설정 수위를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포가 수분을 함유한 만큼의 재급수를 통하여 설정 수위를 맞추어야 한다.As the initial feed progresses,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moisture content depending on the porosity. To reiterate, the cannon is able to absorb the water that has been fed, and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by each can be different because the moisture content varies with the porosit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set water level to the initial amount of water because the cannon absorbs the initial amount of water. Therefore, the set water level must be adjusted through re-watering as long as the pot contains water.

결과적으로 포질이 다르면 함습량이 다르고, 그에 따라 설정 수위에 맞추기 위해서는 포가 함유한 수분만큼의 재급수가 필요하며, 재급수량 및 횟수를 바탕으로 하여 포질을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if the porosity is different, the moisture content is different, and accordingly, to meet the set water level, the water needs to be replenished as much as the water contained in the bag, and the porosity can be judged based on the amount and frequency of re-

재급수의 경우에는 초기 급수가 진행되는 동안에 계속적으로 포가 수분을 흡수하기 ?문에 한번의 재급수 이후에도 포의 수분 흡수는 계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수차례의 재급수를 통하여 포가 최대로 함습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급수에 따른 설정 수위를 맞출 수 있도록 하여 급수량을 판단한다.In the case of re-watering, since the water is continuously absorbed during the initial watering, the water absorption of the water can be continuously continued even after one re-water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traps by repeated re-feeding, and at the same time, the set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can be adjusted to determine the water supply amount.

실험 결과에 따르면, 실사용 구성의 경우, 수분을 잘 흡수할 수 있는 cotton 소재가 50% 이하를 차지하고 있기 ?문에, 상대적으로 함습량이 적을 수 밖에 없다.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he case of practical construction, the cotton material which can absorb moisture is less than 50%, so the relative humidity is relatively low.

따라서 실험 결과에 따르면 그에 따른 재급수도 두차례에 그치고 있다. 결과적으로 초기 급수 수량과 재급수량을 합친 수량이 급수량으로써 판단되므로, 실험 결과상 펄스값은 3274 정도의 값을 가진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he refueling has been stopped twice. As a result, the amount of water combined with the initial water supply amount and the refilled water amount is judged as the water supply amount, so that the pulse value of the experimental result has a value of about 3274.

JEMA 규격에 맞는 포의 경우, cotton과 poly가 53 대 47의 비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앞선 실사용 구성상의 포보다 좀 더 수분을 잘 흡수할 수 있으며 함습량이 많을 수 있다. Cotton and poly have a ratio of 53 to 47 in the case of bamboo which conforms to the JEMA standard. Therefore, it may absorb more moisture than the bolls in the previous yarn configuration and may have a higher moisture content.

따라서 그에 따른 재급수도 네차례가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초기 급수 수량과 재급수량을 합친 수량이 급수량으로써 판단되므로, 실험 결과상 펄스값은 4291 정도로 기록되었다.Therefore, the re-supply of water was carried out four times. As a result, the amount of water combined with the initial water supply amount and the refilled water amount is judged as the water supply amount, so that the pulse value was recorded as about 4291 in the experimental result.

타월의 경우, 수분을 잘 흡수할 수 있는 cotton 소재만으로 구성되어 있기 ?문에, 상대적으로 함습량이 많을 수 밖에 없다. In the case of towels, it is composed of only cotton material which absorbs moisture well, so there is a relatively high moisture content.

따라서 수분을 잘 흡수하고 함유하므로, 그에 따른 재급수도 여섯차례나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초기 급수 수량과 재급수량을 합친 수량이 급수량으로써 판단되므로, 실험 결과상 펄스값은 5762 정도로 기록되었다.Therefore, the water was absorbed and contained well, and the refeeding was also carried out six times. As a result, the amount of water combined with the initial water supply amount and the refilled water amount is judged as the water supply amount, so that the pulse value is recorded as about 5762 in the test result.

실험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하여 보면, 제1 급수량이 가질 수 있는 값은 실사용 구성 포의 경우의 급수량인 3274 펄스와 JEMA 규격 포의 경우의 급수량인 4291 사이의 오차 범위 내의 값이 될 수 있다.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of the first water supply amount is within the error range between the water supply amount of 3274 pulses for the actual use composition type and the water supply amount of 4291 for the JEMA standard type .

제2 급수량이 가질 수 있는 값은 JEMA 규격 포의 경우의 급수량인 4291 펄스와 타월 포의 경우의 급수량인 5762 사이의 오차 범위 내의 값이 될 수 있다.The value that the second water supply can have is the value within the error range between 4291 pulses for JEMA standard gun water and 5762 water for towel gun.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牡㎰?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 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케이싱 11 : 캐비닛
12 : 프론트 커버 13 : 탑커버
14 : 세제박스 15 : 세제박스 하우징
16 : 도어 17 : 글래스
20 : 드럼 21 : 터브
22 : 리프터 23 : 개스킷
30 : 유량계
10: Casing 11: Cabinet
12: front cover 13: top cover
14: detergent box 15: detergent box housing
16: Door 17: Glass
20: drum 21: tub
22: lifter 23: gasket
30: Flowmeter

Claims (10)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세탁행정이 시작되는 단계;
상기 드럼 내의 포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드럼 내에 감지된 상기 포량에 따라 설정 수위까지 세탁수의 급수를 실시하는 단계;
세탁수의 급수량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급수량이 제1 급수량 미만일 경우 제1 포질, 제1 급수량 이상 제2 급수량 미만일 경우 제2 포질, 제2 급수량 이상일 경우 제3 포질로 구분하여 포질을 판정하는 단계;
세탁행정이 종료되고, 헹굼 및 탈수 행정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의 판정된 포질이 제1 포질일 경우 제1 건조행정, 제2 포질일 경우 제2 건조행정, 제3 포질일 경우 제3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Casing;
A tub disposed in the casing;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tub and receiving laundry; A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Starting a washing cycle;
Sensing a quantity of the drum in the drum;
Performing water supply to the set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laundry sensed in the drum;
Measuring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washing water;
Determining a porosity by dividing into a first porosity when the measured water supply amount is less than the first water supply amount, a second porosity when the first water supply amount is less than the second water supply amount, and a third porosity when the water supply amount is more than the second water supply amount;
The washing cycle is terminated, and a rinsing and dewatering cycle is performed;
Wherein the first drying step is performed when the determined porosity is the first porosity, the second drying is performed when the porosity is the second porosity, and the third drying is performed when the porosity is the third porosit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급수량은, 세탁기에 구비되어 있는 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asured water supply amount is measured using a flow meter provided in the washing machi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위까지 세탁수의 급수를 하기 위해, 초기 급수 다음에 재급수를 실시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is performed after the initial water supply in order to supply water to the set water leve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재급수의 급수 횟수는 상기 포질에 따라 결정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number of water supply times of the refill wat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rosity.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량은 상기 초기 급수 수량과 상기 재급수 수량을 합한 수량인 세탁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ater supply amount is a sum of the initial water supply amount and the refilled water supply amou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위는 수위센서를 통해 판단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t water level is determined through a water level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행정, 상기 제2 건조행정 및 상기 제3 건조행정의 컴프레서 주파수가 각각 다른 세탁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mpressor frequency of the first drying step, the second drying step and the third drying ste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행정, 상기 제2 건조행정 및 상기 제3 건조행정의 제어 온도가 각각 다른 세탁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temperature of the first drying step, the second drying step, and the third drying ste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행정, 상기 제2 건조행정 및 상기 제3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이 각각 다른 세탁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ying operation times of the first drying step, the second drying step and the third drying ste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이 제2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보다 더 길 수 있고, 상기 제2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보다 상기 제1 건조행정의 건조 운전 시간이 더 긴 세탁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rying operation time of the third drying cycle may be longer than the drying operation time of the second drying cycle and the drying operation time of the first drying cycle is longer than the drying operation time of the second drying cycle .
KR1020170177357A 2017-12-21 2017-12-21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1024015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357A KR102401555B1 (en) 2017-12-21 2017-12-21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357A KR102401555B1 (en) 2017-12-21 2017-12-21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620A true KR20190075620A (en) 2019-07-01
KR102401555B1 KR102401555B1 (en) 2022-05-23

Family

ID=6725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357A KR102401555B1 (en) 2017-12-21 2017-12-21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55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291A (en) * 2001-04-09 2002-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ing/drying machine
JP2004008670A (en) * 2002-06-11 2004-01-15 Sharp Corp Washer-dryer
KR20100056205A (en) * 2008-11-19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wash machine
JP2014104264A (en) * 2012-11-29 2014-06-09 Toshiba Corp Washing and dry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291A (en) * 2001-04-09 2002-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hing/drying machine
JP2004008670A (en) * 2002-06-11 2004-01-15 Sharp Corp Washer-dryer
KR20100056205A (en) * 2008-11-19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wash machine
JP2014104264A (en) * 2012-11-29 2014-06-09 Toshiba Corp Washing and dry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555B1 (en) 202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1089B2 (en)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BRPI0601914B1 (en) method in a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JP2012157417A (en) Washing machine
JP6663827B2 (en) Washing machine
WO2013011606A1 (en) Drum washing machine
CN115038832A (en) Washing machine with dynamically selected load type
EP2415919B1 (en) Operating method of a laund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washing machine implementing such method
JP5501091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BRPI0900912A2 (en) method for determining load size and / or adjusting water level in a washing machine
KR20100102311A (en) Laundry machine and laundry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047709B1 (en) A laundry treating apparuts and a method of the same
JPH10127979A (en) Drum type drying and washing machine
JP4718509B2 (en) Drum washing machine
KR20100005436A (en) Drum wash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70868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JP5879485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its program
US20190276974A1 (en) Detergent box and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ing same
EP2400053A1 (en) Drying machine and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20190075620A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200075439A (en) Control method f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3078531A (en) Washing machine
CN112095287B (en) Washing machine dehydration control method and washing machine
JP2012130424A (en) Washing/drying machine
JP2013052054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program thereof
JP2013052055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progra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