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127A -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127A
KR20190074127A KR1020170175528A KR20170175528A KR20190074127A KR 20190074127 A KR20190074127 A KR 20190074127A KR 1020170175528 A KR1020170175528 A KR 1020170175528A KR 20170175528 A KR20170175528 A KR 20170175528A KR 20190074127 A KR20190074127 A KR 20190074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old
stretch
presen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912B1 (ko
Inventor
류기택
박형근
강명창
김광호
Original Assignee
(주)파인테크
재단법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 연구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인테크, 재단법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 연구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파인테크
Priority to KR102017017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9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2210/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 B26F2210/08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of ceramic green sheets,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 필름; 및 상기 제1 필름과 정전기로써 합지되어 상기 제1 필름과 같은 방향으로 공급되는 제2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칩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FPCB FILM CUTTING APPARATUS USING STRETCH FILM}
본 발명은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칩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각금형(embossed mold)은 기존의 목형 및 프레스 금형으로 절단하는 정밀하고 복잡한 모양의 기능성 필름이나 양면테이프 등을 더욱 정교하고 안정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양각으로 제작된 판체 형상의 금형이다.
종래에는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양면 테이프, 패킹재, 절연체, 정밀가공재, 액정 표시 장치 및 보호 필름 등을 목형 및 금형으로 절단해 왔다.
그러나, 전자 부품의 집적도가 향상되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 및 컴팩트화가 이루어지는 추세이서 이러한 제품들을 더욱 정교하고 안정되게 절단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 양각 금형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등록특허 제10-1410811호의 "양각금형 제조방법"(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금형플레이트의 표면에 칼날가공용부재를 쌓아 올려 일체화시킨 후 상기 칼날가공용부재를 가공하여 양각칼날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을 포함한 양각금형들은 대부분 반복 작업에 따라 블레이드 사이에 적층되는 칩 배출 문제가 대두되므로, 칩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4108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칩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 필름; 및 상기 제1 필름과 정전기로써 합지되어 상기 제1 필름과 같은 방향으로 공급되는 제2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필름은 타발 대상이되는 작업대상 필름이며,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제1 필름이 타발된 후 상기 제1 필름으로부터 발생되는 칩을 상기 정전기로 부착시켜 제거하는 스트레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필름은 PP, 상기 제2 필름은 PE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필름은, 상기 제1 필름을 타발하는 금형과 마주보는 제1 면과, 상기 제1 필름과 합지되는 상기 제2 필름과 마주보는 제2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필름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필름과 합지되어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1 필름을 받침 지지하는 제1 금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금형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필름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필름을 타발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 제2 금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필름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 금형의 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금형의 외측면을, 상기 제1 필름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순환하는 제3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필름은 PET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금형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필름과 합지된 상기 제1 필름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타발 압력을 조절 가능한 압력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압력조절기는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가 상기 제2 필름의 상면까지 이동되게 상기 제2 금형의 하강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 필름; 및 제1 필름과 정전기로써 합지되어 제1 필름과 같은 방향으로 공급되는 제2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1 필름에 대하여 발생되는 제2 필름의 정전기를 이용하여 칩을 제거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칩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불량 발생을 대폭적으로 줄이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름은 타발 대상이되는 작업대상 필름이며, 제2 필름은 제1 필름이 타발된 후 제1 필름으로부터 발생되는 칩을 정전기로 부착시켜 제거하는 스트레치 필름인 것으로부터, 칩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불량 발생을 대폭적으로 줄이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름은, 제1 필름을 타발하는 금형과 마주보는 제1 면과, 제1 필름과 합지되는 제2 필름과 마주보는 제2 면을 포함함으로써, 제2 면에 대하여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제2 필름을 이용하여 칩 배출을 확실하고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불량 발생을 대폭적으로 줄이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필름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제2 필름과 합지되어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 필름을 받침 지지하는 제1 금형을 더 구비함으로써, 반복적인 타발 작업에도 제2 필름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원자재 사용을 대폭적으로 줄여 생산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금형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 필름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제1 필름을 타발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 제2 금형을 더 구비함으로써, 칩 배출이 이루어지는 타발 작업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필름의 하면과 마주보는 제1 금형의 상면을 포함하여 제1 금형의 외측면을, 제1 필름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순환하는 제3 필름을 더 구비함으로써, 반복적인 타발 작업에도 제2 필름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원자재 사용을 대폭적으로 줄여 생산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금형에 구비되어 제2 필름과 합지된 제1 필름에 대한 블레이드의 타발 압력을 조절 가능한 압력조절기를 더 구비하되, 압력조절기는 블레이드의 단부가 제2 필름의 상면까지 이동되게 제2 금형의 하강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반복적인 타발 작업에도 제2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고 제2 필름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원자재 사용을 대폭적으로 줄여 생산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의 II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의 주요부인 제1 필름에 제2 금형이 타발하여 칩을 형성하기 직전까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제1 필름으로부터 제2 금형이 이격된 상태를, 도 2(b)는 제1 필름에 제2 금형이 이동하여 칩을 형성하려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 부분 단면 개념도
도 3은 도 1의 III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의 주요부인 제1 필름으로부터 발생된 칩이 제2 필름의 정전기로 부착되어 분리 제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II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의 주요부인 제1 필름(10)에 제2 금형(50)이 타발하여 칩(15)을 형성하기 직전까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제1 필름(10)으로부터 제2 금형(50)이 이격된 상태를, 도 2(b)는 제1 필름(10)에 제2 금형(50)이 이동하여 칩(15)을 형성하려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 부분 단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III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의 주요부인 제1 필름(10)으로부터 발생된 칩(15)이 제2 필름(20)의 정전기로 부착되어 분리 제거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 필름(10)과, 전술한 제1 필름(10)과 정전기로써 합지되어 제1 필름(10)과 같은 방향으로 공급되는 제2 필름(20)을 포함하되, 제1 필름(10)은 타발 대상이되는 작업대상 필름이며, 제2 필름(20)은 제1 필름(10)이 타발된 후 제1 필름(10)으로부터 발생되는 칩(15)을 정전기로 부착시켜 제거하는 스트레치 필름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필름(10)은 PP, 제2 필름(20)은 PE 재질일 수 있으며, 제2 필름(20)은 정전기 발생이 빈번한 PE 재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스트레칭 필름으로써 기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필름(10)은, 제1 필름(10)을 타발하는 금형과 마주보는 제1 면(11)과, 제1 필름(10)과 합지되는 제2 필름(20)과 마주보는 제2 면(12)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타발 작업은 제1 면(11)으로부터 제2 면(12)을 향하여 이루어지면서 칩(15)이 발생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2 필름(2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제2 필름(20)과 합지되어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 필름(10)을 받침 지지하는 제1 금형(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필름(20)은, 제2 면(12)과 합지되는 제3 면(21)과, 제1 금형(40)의 상면과 마주보는 제4 면(22)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타발 작업은 제2 면(12)을 통하여 관통됨에 따라 발생된 칩(15)이 제3 면(21)에 부착되어(이하 도 3 참조) 배출됨으로써 완료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2 필름(20)과 합지된 제1 필름(10)을 제1 금형(40)측으로 이송 안내하는 공급 롤러(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공급 롤러(60)와 제1 금형(40) 사이에 배치되어 변위 가능하며, 제1 금형(40)측으로 이송 안내되는 제2 필름(20)과 합지된 제1 필름(10)의 인장력을 일정 정도로 유지시키는 텐션 롤러(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텐션 롤러(70)의 변위는 공급 롤러(60)에 의하여 제1 금형(40)측으로 이송되는 제1 필름(10)과 제2 필름(20)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상하) 또는 평행(좌우)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제2 필름(20)에 정전기로 합지된 제1 필름(10)이 항상 일정 정도의 장력을 유지하며 이송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금형(40)을 통과하면서 제1 필름(10)과 분리되어 제1 필름(10)으로부터 타발되어 제거된 복수의 칩(15)들을 부착한 제2 필름(20)을 감는 권취 롤러(8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필름(20)과 분리되어 칩(15)이 제거된 제1 필름(10)을 일방향으로 계속 이송 안내하는 이송 롤러(85)와, 이송 롤러(85)에 의하여 안내되는 제1 필름(10)을 일정 길이마다 절단하는 절단 블레이드(9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금형(40)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 필름(10)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제1 필름(10)을 타발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 제2 금형(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제2 필름(20)의 하면과 마주보는 제1 금형(40)의 상면을 포함하여 제1 금형(40)의 외측면을, 제1 필름(10)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순환하는 제3 필름(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필름(10)이 공급되는 방향을 따라 제3 필름(30)을 순환 이송시키도록, 제1 금형(40)의 외측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구동순환 롤러(41)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필름(30)의 순환 이송이 가능하도록, 제1 금형(40)의 외측에 상,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종동순환 롤러(42, 43, 44)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3 필름(30)은 PET 재질을 포함하는 내구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2 금형(50)에 구비되어 제2 필름(20)과 합지된 제1 필름(10)에 대한 블레이드의 타발 압력을 조절 가능한 압력조절기(5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압력조절기(55)는 블레이드의 단부가 제2 필름(20)의 상면까지 이동되게 제2 금형(50)의 하강 압력을 조절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칩을 배출시키는 과정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작업자는 제1 필름(10)의 제2 면(12)에 제2 필름(20)의 제3 면(21)이 정전기로써 합지되게 한 후, 컨트롤러(이하 미도시) 조작으로 제2 필름(20)과 합지된 제1 필름(10)을 공급 롤러(60)를 통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이송되는 제1 필름(10)이 제1 금형(40)의 상면에 도달하기 전에 컨트롤러 조작으로 구동순환 롤러(41)를 가동시켜 제3 필름(30)을 제1 금형(40)의 상면을 포함한 외곽을 따라 순환 이송시킨다.
다음으로, 제1 필름(10)의 제1 면(11)이 제2 금형(50)의 블레이드(51)와 대면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제1 필름(10)을 정전기로써 합지한 제2 필름(20)의 제4 면(22)이 제3 필름(30)과 접촉하여 이송되면, 제2 금형(50)이 하강한다.
여기서, 제2 금형(50)의 블레이드(51)가 과도하게 하강하여 제2 필름(20)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작업자는 컨트롤러 조작으로 압력조절기(55)를 이용하여 테스트 타발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테스트 타발 결과에 따라 제2 필름(20)의 제3 면(21)에 블레이드(51)의 압력에 의한 칼날 자국이 생기지 않으면서 제1 필름(10)이 완전히 관통되어 칩(15)이 배출될 수 있는 최적의 압력값이 도출되면, 그 압력값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제2 금형(50)이 승강하며 타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설정된 압력값에 따라 제2 금형(50)을 승강시키고 제2 필름(20)과 합지된 제1 필름(10)을 일정 거리만큼 이송시키는 동작이 가능하도록, 컨트롤러 조작으로써 공급 롤러(60)와 구동순환 롤러(41) 및 제2 금형(50)측에 가동 신호를 전달한다.
이후, 제2 금형(50)이 하강하여 타발 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제1 필름(10)으로부터 발생되는 칩(15)은 권취 롤러(80)에 감겨져 제1 필름(10)으로부터 분리되는 제2 필름(20)의 제3 면(21)상에 부착된 상태로 배출 제거될 것이다.
다음으로, 칩(15)이 제거된 제1 필름(10)은 절단 블레이드(90)를 통과하며 일정 길이만큼 절단되며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 필름(10); 및 제1 필름(10)과 정전기로써 합지되어 제1 필름(10)과 같은 방향으로 공급되는 제2 필름(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1 필름(10)에 대하여 발생되는 제2 필름(20)의 정전기를 이용하여 칩을 제거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도 칩(15)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불량 발생을 대폭적으로 줄이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름(10)은 타발 대상이되는 작업대상 필름이며, 제2 필름(20)은 제1 필름(10)이 타발된 후 제1 필름(10)으로부터 발생되는 칩(15)을 정전기로 부착시켜 제거하는 스트레치 필름인 것으로부터, 칩(15)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불량 발생을 대폭적으로 줄이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필름(10)은, 제1 필름(10)을 타발하는 금형과 마주보는 제1 면(11)과, 제1 필름(10)과 합지되는 제2 필름(20)과 마주보는 제2 면(12)을 포함함으로써, 제2 면에 대하여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제2 필름을 이용하여 칩(15)의 배출을 확실하고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불량 발생을 대폭적으로 줄이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필름(2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제2 필름(20)과 합지되어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 필름(10)을 받침 지지하는 제1 금형(40)을 더 구비함으로써, 반복적인 타발 작업에도 제2 필름(20)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원자재 사용을 대폭적으로 줄여 생산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금형(40)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1 필름(10)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제1 필름(10)을 타발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 제2 금형(50)을 더 구비함으로써, 칩(15)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타발 작업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필름(20)의 하면과 마주보는 제1 금형(40)의 상면을 포함하여 제1 금형(40)의 외측면을, 제1 필름(10)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순환하는 제3 필름(30)을 더 구비함으로써, 반복적인 타발 작업에도 제2 필름(20)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원자재 사용을 대폭적으로 줄여 생산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금형(50)에 구비되어 제2 필름(20)과 합지된 제1 필름(10)에 대한 블레이드의 타발 압력을 조절 가능한 압력조절기(55)를 더 구비하되, 압력조절기(55)는 블레이드의 단부가 제2 필름(20)의 상면까지 이동되게 제2 금형(50)의 하강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반복적인 타발 작업에도 제2 필름(20)의 손상을 방지하고 제2 필름(20)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원자재 사용을 대폭적으로 줄여 생산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칩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제1 필름
11...제1 면
12...제2 면
15...칩
20...제2 필름
21...제3 면
22...제4 면
30...제3 필름
40...제1 금형
41...구동순환 롤러
42, 43, 44...종동순환 롤러
50...제2 금형
51...블레이드
55...압력조절기
60...공급 롤러
70...텐션 롤러
80...권취 롤러
85...이송 롤러
90...절단 블레이드

Claims (10)

  1.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 필름; 및
    상기 제1 필름과 정전기로써 합지되어 상기 제1 필름과 같은 방향으로 공급되는 제2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은 타발 대상이되는 작업대상 필름이며,
    상기 제2 필름은 상기 제1 필름이 타발된 후 상기 제1 필름으로부터 발생되는 칩을 상기 정전기로 부착시켜 제거하는 스트레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은 PP, 상기 제2 필름은 PE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은,
    상기 제1 필름을 타발하는 금형과 마주보는 제1 면과,
    상기 제1 필름과 합지되는 상기 제2 필름과 마주보는 제2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필름과 합지되어 일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제1 필름을 받침 지지하는 제1 금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필름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필름을 타발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 제2 금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 금형의 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금형의 외측면을, 상기 제1 필름의 공급 방향을 따라 순환하는 제3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필름은 PET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필름과 합지된 상기 제1 필름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타발 압력을 조절 가능한 압력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기는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가 상기 제2 필름의 상면까지 이동되게 상기 제2 금형의 하강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KR1020170175528A 2017-12-19 2017-12-19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KR102032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28A KR102032912B1 (ko) 2017-12-19 2017-12-19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28A KR102032912B1 (ko) 2017-12-19 2017-12-19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27A true KR20190074127A (ko) 2019-06-27
KR102032912B1 KR102032912B1 (ko) 2019-10-16

Family

ID=6705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528A KR102032912B1 (ko) 2017-12-19 2017-12-19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1005B (zh) * 2020-01-23 2021-09-17 南京冠佳科技有限公司 一种防止因材料静电吸附机器而套位不良的模切机
CN112936436B (zh) * 2021-05-17 2021-07-20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电池生产用绝缘片冲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861A (ko) * 2007-12-12 2009-06-17 주식회사 마이크로닉스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타발장치
KR101410811B1 (ko) 2013-09-09 2014-06-24 주식회사 와우기술 양각금형 제조방법
WO2014117448A1 (zh) * 2013-01-29 2014-08-07 深圳市华阳微电子有限公司 一种分体天线rfid标签的制造方法及设备
KR101577299B1 (ko) * 2015-07-30 2015-12-15 (주)파인테크 양각 금형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861A (ko) * 2007-12-12 2009-06-17 주식회사 마이크로닉스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타발장치
WO2014117448A1 (zh) * 2013-01-29 2014-08-07 深圳市华阳微电子有限公司 一种分体天线rfid标签的制造方法及设备
KR101410811B1 (ko) 2013-09-09 2014-06-24 주식회사 와우기술 양각금형 제조방법
KR101577299B1 (ko) * 2015-07-30 2015-12-15 (주)파인테크 양각 금형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912B1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4536B2 (en) Optical film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569798B1 (ko) 이차전지의 전극 노칭장치
EP3513929B1 (en) Electronic tag cutting device
CN106335679B (zh) 吸嘴安装装置
KR20190074127A (ko) 스트레치 필름을 이용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필름 절단 장치
KR101577299B1 (ko) 양각 금형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방법
CN104493855A (zh) 薄料剪切机
KR101577301B1 (ko) 양각 금형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방법
JP6353652B2 (ja) 打ち抜き切断装置
KR101604069B1 (ko) 다층 시트 부재용 프레스 가공 장치
CN117183559A (zh) 一种多层贴合产品模切装置及其模切方法
KR101683836B1 (ko) 필름 이송 장력조절용 진공장치
KR102088370B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용 커버레이 필름의 칩 제거 장치
KR101943543B1 (ko) 양각 금형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535771B1 (ko) 시트 자동이송부가 구비된 플렉시블시트 절단장치
JP2012082048A (ja) 長尺極薄材料搬送装置
CN215360360U (zh) 一种精密转贴复合机
US6320259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JP5951080B1 (ja) 帯状板の接合方法
CN109891481B (zh) 制造光学显示装置的方法
JP2005075598A (ja) テープ部材の貼着装置及び貼着方法
KR102145047B1 (ko) 피나클 금형 시스템
JP2007283456A (ja) シート材切断装置
KR101966319B1 (ko) 프레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프레스 방법
KR101687817B1 (ko) 백 테이프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