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087A -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087A
KR20190074087A KR1020170175466A KR20170175466A KR20190074087A KR 20190074087 A KR20190074087 A KR 20190074087A KR 1020170175466 A KR1020170175466 A KR 1020170175466A KR 20170175466 A KR20170175466 A KR 20170175466A KR 20190074087 A KR20190074087 A KR 20190074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tanks
tank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841B1 (ko
Inventor
방계환
Original Assignee
어업회사법인진솔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업회사법인진솔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업회사법인진솔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841B1/ko
Priority to PCT/KR2018/012057 priority patent/WO2019088497A1/ko
Publication of KR2019007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생 생물의 양식이 가능한 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종의 수생 생물을 개별적으로 사육할 수 있도록 생태 환경을 조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수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An aquaculture tank and a stacked aquaculture tank system}
본 발명은 수생 생물(水生生物)의 양식이 가능한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종의 수생 생물을 개별적으로 사육할 수 있도록 생태 환경을 조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양식기술의 발전으로 대상생물을 바다가 아닌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도심지 등의 통제된 시설 내에서 다양한 종의 수생 생물을 양식하는 개념의 양식방법도 등장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대형마트, 수산시장, 활어 시장에서는 소비자에게 어패류 등의 수생 생물을 판매할 목적으로 수조에 어패류를 혼합하여 사육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수조에서 수생 생물을 혼합 사육하는 경우, 사육되는 이종의 다수의 수생 생물들에게 종간 공간 경쟁에 의한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며, 때로는 동종 생물이나 이종 생물 간 공식(서로 잡아먹는 현상)으로 인한 사육 수생 생물의 손실을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조의 대부분은 1구획/1개 수조로 구성되어 하나의 구획에 다양한 종의 수생 생물을 혼합 사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가능하다면 사육수조의 공간을 구획하여 수생 생물을 관리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4-0072236호 및 제10-2011-0087683호에는 치어 및 성어를 보호하기 위한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어항에 분리막을 장착하여 어항의 내부공간을 복수 개의 구역을 분할하여 큰 물고기와 치어 및 성어를 격리시킴으로써, 안전하게 치어 및 성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되는 보호용 분리장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수생 생물간의 커뮤니티 문제 및 공식(서로 잡아먹는 현상), 집단 폐사를 방지하고 사육 생산성을 극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식이 요구된다. 이에 최소 단위(단독 사육 공간)의 수조를 여러 층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육 밀집도를 높이고, 생물 사육의 시작, 육성, 완료(생산)에 이르기까지 최상의 생태, 사육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또한, 적층식 수조 시스템을 보다 낮은 비용으로 제작하고, 유지 관리도 용이한 적층식 수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수생 생물 및 수조의 유지 관리 및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러한 수조 내부의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복수 개로 적층된 수조 시스템에서 수생 생물의 유지 및 관리에 보다 유리한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면서도 수조의 제작 단가를 낮추는 것도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부면은 개구되고, 수생 생물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수조의 외부로 출수되는 출수구;
상기 출수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출수구가 위치한 부분으로 구획하는 이중 격벽으로서, 상기 이중 격벽은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출수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 1 격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 출수부에서 출수되어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제 2 격벽의 상단부를 넘어 상기 출수구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이중 격벽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바닥면이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수조의 출수구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상기 제 2 수조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출수부를 통하여,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의 표면의 유막이나 부유물이 배출될 수 있거나, 상기 하부 출수부를 보조하여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의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상부 출수부보다 높이 위치한 오버플로우 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출수부에 의하여, 물 또는 물과 함께 상기 저수 공간 내의 수생 생물이나 구조물이 상기 제 1 격벽 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상기 저수 공간의 하부면은 상기 출수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출수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제 1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생 생물의 배설물 등의 슬러지가 중력 및 물 흐름으로 상기 제 1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 출수부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 출수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제 2 경사면 및 제 3 경사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사면 및 제 3 경사면 각각은 상기 제 1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상부에 개구된 형상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수조를 들어 이동키시거나 상기 저수 공간 내에 수생 생물의 생육을 위한 먹이, 사료, 시약 또는 약품을 투입할 수 있고, 비상시의 조치(가령, 죽은 수생 생물의 사체 수거, 등)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 1 수조의 거치부는 하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우회 통로부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우회 통로부로 구획하는 우회 통로부 격벽과 상기 우회 통로부의 하부면의 우회 통로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의 높이는 상기 이중 격벽보다 높은, 상기 우회 통로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세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적층된 제 1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중간에 적층된 제 3 수조의 우회 통로부를 통해, 하단에 적층된 제 2 수조로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상기 제 1 수조의 출수구의 바로 아래에 상기 제 3 수조의 저수 공간이 위치하면 상기 제 1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 3 수조의 저수 공간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 1 수조의 출수구의 바로 아래에 상기 제 3 수조의 우회 통로부가 위치하면 상기 제 1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 3 수조의 우회 통로부를 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상기 수조의 수평 단면은 정사각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상기 하우징, 상기 거치부, 상기 이중 격벽, 및 상기 격벽의 재질은 각각 플라스틱, 투명 아크릴, 강화유리, 스테인리스스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상기 하우징, 상기 거치부, 상기 이중 격벽, 및 상기 격벽의 재질은 각각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S(Poly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을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의 각각은 상기 수조의 내부 공간을 복수 개의 서브 수조로 구획할 수 있는 분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 각각은:
상부면은 개구되고, 수생 생물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수조의 외부로 출수되는 출수구; 및
상기 출수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출수구가 위치한 부분으로 구획하는 이중 격벽으로서, 상기 이중 격벽은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출수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 1 격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 출수부에서 출수되어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제 2 격벽의 상단부를 넘어 상기 출수구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이중 격벽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은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 및 이중 격벽과 최대한 멀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 각각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은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 및 이중 격벽과 대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조 및 상기 제 2 수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조 및 상기 제 2 수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2 타입 서브 수조는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조 및 상기 제 2 수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조 및 상기 제 2 수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2 타입 서브 수조는 좌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우회 통로부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우회 통로부로 구획하는 우회 통로부 격벽과 상기 우회 통로부의 하부면의 우회 통로부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의 높이는 상기 이중 격벽보다 높은, 상기 우회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출수부를 통하여,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의 표면의 유막이나 부유물이 배출될 수 있거나, 상기 하부 출수부를 보조하여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의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상부 출수부보다 높이 위치한 오버플로우 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출수부에 의하여, 물 또는 물과 함께 상기 저수 공간 내의 수생 생물이나 구조물이 상기 제 1 격벽 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조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 1 수조의 거치부는 하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층식 수조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을 지지할 수 있는 수조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 받침대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이 상기 수조 받침대 위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거치부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 받침대의 하부면은 수조 받침대의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거치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볼록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는 상기 수조 받침대 및 상기 수조 받침대 상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게차의 포크 또는 크레인의 후크를 삽입할 수 있는 운반용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는 상기 출수구 및 상기 우회 통로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출수구 및 상기 우회 통로부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복수 개의 통로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는 상부 받침대 및 하부 받침대의 2 중 레이어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상부 받침대는 상기 상부 받침대 위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고정 및 지지하고, 상기 하부 받침대는 하부 받침대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의 재질은 플라스틱, 목재, 금속, 스테인리스스틸, 강화 유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플라스틱의 재질은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S(Poly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의 각각의 저수 공간에 상이한 환경이 조성되거나 상이한 종류의 수생 생물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하단의 아래에 위치하는 순환 수조로서, 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에서 출수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순환 수조;
상기 순환 수조의 내부 또는 상기 순환 수조의 부근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하단에 위치한 수조에서 출수되어 상기 순환 수조에서 여과된 물을 다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로 끌어올릴 수 있는 펌프; 및
상기 순환 수조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로 물을 공급하는 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및 상기 관에 의하여, 상기 순환 수조에서 여과된 물이 다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상단에 위치한 수조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의 수생 생물을 사육의 시작, 육성, 완료(생산)에 이르기까지 최소 단위의 수조에 개별적으로 해당 수생 생물에 대한 최상의 생태, 사육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육 공간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생 생물간의 커뮤니티 문제 및 공식(서로 잡아먹는 현상), 집단 폐사를 방지하고 사육 생산성을 극적으로 높일 수 있는 등, 유지 관리도 용이한 적층식 수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수조 및 수조 시스템에 따르면 별도의 급수관 및 배수관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의 제작 단가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수조를 복수 개로 적층식으로 적재하는 경우에, 적층식 수조 시스템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적층식 수조 시스템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도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수조를 복수 개를 두어 여러 층으로 적재한 적층식 수조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경우에, 수조 내부의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함으로써 적층식 수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수조 내에서도 수생 생물 의 생육 환경을 개별적으로 다양하게 조성할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수조 내에서도 다양한 종을 혼합 사육할 수 있어 수생 생물 및 수조의 유지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복수 개로 적층된 수조 시스템에서 수생 생물의 사육에 보다 유리한 급배수 구조를 구비하면서도 이러한 수조의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6b는 각각 도 1의 적층식 수조 시스템(1)에 사용되는 수조(10) 또는 수조(10)의 요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일 구현예를 사진으로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을 일부 변형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는 수조(20)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2') 및 이에 사용되는 수조 받침대(300)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9a 내지 도 9d의 수조 받침대(300)를 일부 변형한 수조 받침대(300') 및 수조 받침대(300')를 사용한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은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과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의 최하단의 아래에 위치하는 순환 수조(50)를 포함한다. 순환 수조(50)에서는, 수조(10)에서 출수된 물을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순환 수조(50)의 내부 또는 순환 수조(50)의 부근에는,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의 최하단에서 출수되어 순환 수조(50)에서 여과된 물을 다시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의 최상단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순환 수조로부터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의 최상단까지 물이 이동되어 수조(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관(도 7 참조)을 포함한다. 추가로,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의 최상부 수조의 위에 수조를 덮을 수 있는 덮개(미도시)가 마련되어 수조들이 덮개로 덮여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추가로, 최상부 수조의 위에 또는 특정 수조의 근처에 조명(미도시)을 설치하여 수조 내부에서 사육되는 수생 생물에게 적절한 광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조명으로서는, 백열등계열 광원, 방전등계열 광원, 반도체계열 광원, 형광계열 광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고 자연광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6b는 도 1의 수조 시스템(1)에 사용되는 수조(10) 또는 수조(10)의 요부를 도시한다. 수조(10)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후술할 물과 수생 생물이 수용(저장)될 수 있는 저수 공간(100)을 포함한다. 도 2a에서는 하우징(110)이 정육면체인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수조(10)들이 적층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직육면체,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저수 공간(100) 및 하우징(110)은 양식되는 수생 생물의 종류나 개체 수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이 위치한 공간의 크기나 환경, 등의 다양한 요인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 및 부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부면은 개구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하부면에는 거치부(120)를 포함하고, 거치부(120)는 하부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하우징(110)의 측면보다 더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상부 수조의 거치부(120)는 하부 수조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수조(10)들이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이 수평 방향으로도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의 하우징(110)의 외벽에 수조(10)들을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가령, 하우징(110)의 외벽에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각각 구비하여, 어떤 하나의 수조의 볼록부에 다른 하나의 수조의 오목부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하우징(110)의 하부면의 일 모서리 부분이나 일 측면에는 저수 공간(100) 내부의 물이 하단의 수조로 출수될 수 있는 출수구(130)를 포함한다. 출수구(130)의 형상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의 하단부의 일 모서리에 위치되어 삼각형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나 사각형일 수도 있고, 수조(10)의 하단부의 일 변을 따라 개구된 형상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들의 출수구(130)들을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표기된 바와 같이, 최상단의 수조로부터 최하단의 수조로 물이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수조(10)는 출수구(13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출수구(130) 인접 부분으로부터 종방향으로(horizontally) 뻗은 이중 격벽(140)을 포함한다. 이중 격벽(140)은 하우징(110)의 내부를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되어 출수구(130)가 위치한 부분과 수생 생물 및 물이 저장되는 부분을 구획한다. 이중 격벽(14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격벽(141)과 제 2 격벽(142)의 이중의 격벽들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제 1 격벽(141)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격벽(142)도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 1 격벽(141)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격벽(14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부(141a), 제 1 격벽(14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141b), 및 상부 출수부(141b)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오버플로우 출수부(141c)를 구비한다. 제 2 격벽(142)은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격벽(141)과 출수구(130) 사이에 위치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격벽(141)의 하부 출수부(141a)에서 출수되는 물이 제 1 격벽(141)과 제 2 격벽(14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 후 제 2 격벽(142)의 상단부를 넘어 물이 출수구(130)를 향하여 떨어진다. 제 2 격벽(142)의 높이는 제 1 격벽(141)의 높이 보다는 낮고, 제 2 격벽(142)의 높이에 따라 저수 공간(100) 내에 저장될 수 있는 물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저수 공간(100) 내의 수생 생물 등으로 인하여 저수 공간(100) 내의 물의 표면에 유막 등이나 비중이 작은 부유물 등이 떠다닐 수 있는데, 이러한 유막이나 부유물은 제 1 격벽(141)의 상부 출수부(141b)를 통하여 출수구(13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출수부(141b)는 하부 출수부(141a)의 예비적인 출수부 역할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 출수부(141a)가 슬러지나 수생 생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막히게 되는 경우에 저수 공간(100) 내의 물이 상부 출수부(141b)를 통해 출수구(130)로 배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격벽(141)은 하부 출수부(141a) 및 상부 출수부(141b) 외에도, 오버플로우 출수부(141c)를 구비하고 있는데, 저수 공간(100)의 수위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경우 오버플로우 출수부(141c)를 통하여서도 물이 출수될 수 있도록 하여, 물 또는 물과 함께 수생 생물이나 기타 저수 공간(100)에 설치된 구조물들이 제 1 격벽(141)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조(10)를 도 1과 같이 적층식으로 적재하여 적층식 수조 시스템(1)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바닥면(일 실시양태로서는, 제 1 수조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거치부(120))이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출수구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수조에 저장된 물을 제 2 수조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별도의 급수관 및 배수관이 없이도, 제 1 수조에 저장된 물을 제 2 수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10)의 하우징(110) 내부 공간에 이중 격벽(140)으로 저수 공간(100)과 출수구(130)이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급수관 및 배수관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수조(10)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제작 단가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수조(10)를 적층식으로 적재하는 경우에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므로(즉, 별도의 급수관 및 배수관이 없어지는 만큼의 공간이 더 확보되므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유지 관리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도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조(10)의 저수 공간(100)의 하부면에는, 하부면 위에 위치하는 경사면(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상, 도 4에서 하우징(110)의 측면은 도시하지 않았다. 경사면(150)은 출수구(130)로부터 연장되고 출수구(130)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제 1 경사면(150a)을 포함한다. 경사면(150)으로, 제 2 경사면(150b) 및 제 3 경사면(150c)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2 경사면(150b) 및 제 3 경사면(150c)은 제 1 경사면(150a)으로부터 연장되고 하우징(110)의 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구조이다. 제 1 경사면(150a)의 각도, 제 2 경사면(150b) 및 제 3 경사면(150c)의 각도는 저수 공간(100)내의 다양한 환경에 맞추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경사면(150)에 의하여, 수조(10) 내부의 수생 생물의 배설물 등의 슬러지가 중력 및 물의 흐름으로 경사면(150)을 따라 제 1 격벽(141)의 하부 출수부(141a) 부근에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로서, 슬러지가 중력 및 물 흐름에 의해 제 2 경사면(150b) 및 제 3 경사면(150c)을 따라 제 1 경사면(150a)으로 이동되고, 제 1 경사면(150a)은 제 1 격벽(141)의 하부 출수부(141a) 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슬러지가 제 1 경사면(150a)을 따라 제 1 격벽(141)의 하부 출수부(141a)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격벽(141)의 하부 출수부(141a) 부근으로 이동되는 슬러지는 하부 출수부(141a)를 통해 물과 함께 출수구(141)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경사면(150b) 및 제 3 경사면(150c)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제 1 경사면(150a) 쪽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슬러지가 모여지게 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수조(10)의 하우징(110) 내부에는, 출수구(130)와 이중 격벽(140)이 위치한 부분과는 상이한 부분에, 즉 출수구(130)와 이중 격벽(140)이 위치한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부분에 우회 통로부(16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수조(10)의 수평 단면이 정사각형인 경우에, 하우징의 하부면의 하나의 모서리에는 출수구가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모서리에는 우회 통로부(160)의 개구부(160b)가 위치한다. 우회 통로부(160)는 수조(10) 내부에 설치된 우회 통로부 격벽(160a)과 수조(10)의 우회 통로부(160)의 하부면의 우회 통로부 개구부(160a)를 더 포함한다. 수조(10)의 하우징(110) 내부는, 우회 통로부 격벽(160a)에 의해 물과 수생 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100)과 우회 통로부(160)로 구분될 수 있다. 우회 통로부(160)는 우회 통로부 개구부(160a)를 포함하여 해당 수조의 상부의 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이 해당 수조의 저수 공간(100)으로 유입되지 않고 우회 통로부(160)를 지나 해당 수조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 수조로 공급되도록 한다.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의 높이는 이중 격벽(140)의 높이보다 높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 1 수조(101)의 출수구(1301)로부터 출수된 물은 제 1 수조(101)의 하단에 위치한 제 2 수조(102)로 공급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수조(102)로 공급된 물은 제 2 수조(102)의 출수구(1302)를 통해 제 2 수조(102)의 하단에 위치한 제 3 수조(103)로 공급될 수 있다. 도 5c에서, i 번째 수조(10i)의 세부 구성요소인 저수 공간(100i), 출수구(130i), 우회 통로부(160i)에 대한 도면 번호는 이해의 편의상 도면에 표기를 생략한다.
한편, 제 3 수조(103)의 출수구(1303)의 바로 아래에 제 4 수조(104)의 우회 통로부(1604)가 위치하게 되면, 제 3 수조(103)의 출수구(1303)로부터 출수된 물은 제 4 수조(104)의 물과 수생 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1004)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 4 수조(104)의 우회 통로부(1604)를 지나, 제 4 수조(104)의 아래에 위치한 제 5 수조(105)로 공급된다. 이 때, 제 4 수조(104)의 우회 통로부(1604)의 개구부(160b4) 바로 아래에 제 5 수조(105)의 우회 통로부(1605)가 위치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제 4 수조(104)의 우회 통로부(1604)에서 흘러내린 물은 제 5 수조(105)의 저수 공간(1005)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 5 수조(105)의 우회 통로부(1605)를 지나 제 6 수조(106)로 공급된다.
제 6 수조(106)의 우회 통로부(1606)의 바로 아래에, 제 7 수조(107)의 우회 통로부(1607)가 위치하지 않고 제 7 수조(107)의 물과 수생 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1007)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수조(103)의 출수구(1303)로부터 출수된 물이 제 4 수조 내지 제 6 수조(104, 105, 106)의 물과 수생 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1004, 1005, 1006)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 4 수조 내지 제 6 수조의 우회 통로부(1604, 1605, 1606)를 지나 제 7 수조(107)로 직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 4 수조(104)의 저수 공간(1004)으로 공급될 물은 제 1 수조의 우회 통로부(1601)로 공급하여 제 2 수조 및 제 3 수조의 우회 통로부들(1602, 1603)을 지나 제 4 수조(104)의 저수 공간(1004)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정리하면, 도 5c에서 실선으로 표기된 화살표는 출수구(130)들을 통해 다음 하부의 수조의 내부공간(100)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또한, 점선으로 표기된 화살표는 수조의 우회 통로부(160)들을 통해 흐르는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수조(100)의 외부로 물이 흐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 5c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상단 수조와 하단 수조의 우회 통로부(160)들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최상단 수조로부터 최하단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통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수 공간(100)에 동일한 환경이 조성되거나 동일한 종류의 수생 생물을 가지는 수조들끼리는 출수구(130)로 물이 이동되도록 하고, 다른 환경이 조성되거나 다른 종류의 수생 생물을 가지는 수조들이 상단에 위치하여 상단의 수조(10)로부터는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단의 수조의 출수구(130) 바로 아래에 우회 통로부(160)를 두어 하단의 수조로 물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c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다른 수생 생물에 비하여 질병의 우려가 높거나 보다 까다로운 환경 조건을 요하는 수생 생물을 제 4 수조 내지 제 6 수조(104, 105, 106)에 수용한 경우에 제 4 수조 내지 제 6 수조(104, 105, 106)의 적재 방향만을 바꾸어, 다른 수조(101, 102, 103)의 출수구(1301, 1302, 1303)로부터 출수된 물이 해당 수생 생물이 수용된 수조(104, 105, 106)의 저수 공간(1004, 1005, 1006)으로 들어가지 않고 우회 통로부(1604, 1605, 1606)를 통해 흘러가게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의 수평 단면이 정사각형인 경우에, 배수 라인이 두 개(즉, 출수구(130) 및 우회 통로부(160)의 개구부(160b))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수조(10)의 수평 단면이 정육각형이거나 정팔각형일 수도 있고, 원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육각형인 경우에는 배수 라인을 3 개 둘 수도 있고, 정팔각형인 경우에는 배수 라인을 4 개 둘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도 6a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작업자가 수조(10)를 들어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로서, 손잡이부(170)는 하우징(110)의 측면 상부(예를 들면, 하우징(110)의 저수 공간(100)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수위보다 높은 부분)에 구비되는 개구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손잡이부(170)에 손을 넣어 수조(10)를 들어 이동시킬 수도 있고 손잡이부(170)에 지게차의 포크나 크레인의 후크를 삽입하여 수조(10)를 들어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부(170)가 위와 같이 개구부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손잡이부(170)를 통하여 저수 공간(100) 내에 수생 생물의 양식에 필요한 먹이, 사료, 시약이나 약품을 투입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부(170)를 통하여 비상시의 조치(가령, 죽은 수생 생물의 사체 수거, 등)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10)의 외벽에 오목부나 볼록부를 두어 손잡이부(170)로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70)가 개구부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하우징(100)에는 개구된 손잡이부(170)를 막을 수 있는 막음판(17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평상시에는, 막음판(171)으로 개구된 손잡이부(170)를 닫아두어 저수 공간(100) 내의 수생 생물이 개구된 손잡이부(170)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막음판(171)을 설치함으로써, 수조(10) 내의 외부로의 열 손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음판(171')을 변형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b의 경우에 막음판(171')의 상부의 양측은 원통형의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단면이 “U” 자형인 오목부에 결합될 수 있고 막음판(171')의 본체부분은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개구된 손잡이부(170)가 막음판(171')으로 닫혀 있더라도 작업자가 개구된 손잡이부(170) 내로 손이나 손가락 등으로 막음판(171')의 본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수조(10)를 구성하는 하우징(110), 거치부(120), 이중 격벽(140), 격벽(160a)의 재질은 플라스틱, 투명 아크릴, 강화유리, 스테인리스스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면, Polycarbonate(PC), Polypropylene(PP), Low-density polyethylene(LDPE), High-density polyethylene(HDP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Polystyrene(PS), Polyvinyl chloride(PV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작업자가 수조(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하우징(110)이나 거치부(120)가 강화유리인 경우에는, 적층된 상부 수조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은 도 1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을 일부 변형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는 수조(2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20)는 내부 공간을 복수 개의 서브 수조들로 구획하는 분리벽(280)을 포함한다. 수조(20)의 내부 공간은 분리벽(280)에 의하여 복수 개로 구획되어, 복수 개의 서브 수조들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복수 개의 저수 공간(200)들을 포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수조(20)의 내부 공간은 하나의 분리벽(280)에 의하여 2 개로 구획되고, 분리벽(28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한 2 개의 서브 수조(25)들을 포함한다.
서브 수조(25) 각각은 저수 공간(200) 내부의 물이 하단의 수조로 출수될 수 있는 출수구(230)를 포함하고, 출수구(23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출수구(230)에 서 종방향으로(horizontally) 뻗은 이중 격벽(240)을 포함한다. 이중 격벽(240)은 서브 수조(25)의 내부 공간을 출수구(230)가 위치한 부분과 수생 생물 및 물이 저장되는 부분으로 구획한다. 이중 격벽(240)은 일 실시양태로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격벽(141)과 제 2 격벽(142)의 이중의 격벽들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지만, 다른 실시양태로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격벽(242)은 도 2a의 제 2 격벽(142)을 일부 변형하여,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즉,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 형상)이어서 제 2 격벽(142) 내부의 단면은 출수구(230)의 형상에 일치할 수도 있다. 제 1 격벽(241)은 도 2a의 제 1 격벽(141)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고, 또한, 서브 수조(25)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격벽(242)도 서브 수조(25)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서브 수조(25) 각각은 우회 통로부(260)를 더 포함한다. 우회 통로부(260)는 우회 통로부 개구부(260b)를 포함하여 해당 서브 수조의 상부에 위치한 서브 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이 해당 서브 수조의 저수 공간(200)으로 유입되지 않고 우회 통로부(260)를 지나 해당 서브 수조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 서브 수조로 공급되도록 한다. 우회 통로부 격벽(260a)은 일 실시양태로서 도 5a의 우회 통로부 격벽(160a)과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고, 다른 실시양태로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즉,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 형상)이어서 우회 통로부 격벽(260a) 내부의 단면은 우회 통로부 개구부(260b)의 형상에 일치할 수도 있다. 우회 통로부 격벽(260a)도 서브 수조(25)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수조(20)는 수조의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거치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서브 수조(25)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에 관한 설명은 도 2a 내지 도 6b 및 이에 관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조(20)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수조(20)들을 적층하는 경우에(예를 들어, 제 1 수조(201)를 제 2 수조(202)의 상단에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201)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202)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과 최대한 멀리 위치한다.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서브 수조들을 포함하고 서브 수조의 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인, 수조(20)의 경우에, 제 1 수조(201)의 전방에 위치한 서브 수조(25a)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202)의 전방에 위치한 서브 수조(25b)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과 대각선으로 위치하고, 제 1 수조(201)의 전방에 위치한 서브 수조(25c)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202)의 전방에 위치한 서브 수조(25d)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과 대각선으로 위치한다. 제 1 수조(201)를 제 2 수조(202)의 적층 순서를 반대로 하여도, 마찬가지로, 상단에 위치한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하단에 위치한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과 대각선으로 위치한다.
도 8a의 예시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조(20)는 크게 두 가지의 타입의 수조들, 즉 제 1 수조(201) 및 제 2 수조(202)로 구현될 수 있고, 제 1 수조(201) 및 제 2 수조(202) 각각은 2 개의 서브 수조들을 구비하므로, 서브 수조들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4 가지 타입의 서브 수조들(25a, 25b, 25c, 25d)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제 1 수조(201)의 경우, 분리벽(280)을 기준으로 분리벽(280)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와 분리벽(280)의 후방에 위치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위치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의 각각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분리벽(280)을 사이에 두고 분리벽(28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의 경우 좌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이 위치하고,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의 경우 좌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의 각각의 우회통로부(260)는 예를 들면, 일 실시양태로서, 분리벽(280)을 사이에 두고 분리벽(28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의 경우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우회통로부(260)가 위치하고,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의 경우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우회통로부(26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의 각각의 우회통로부(260)의 위치는 본 발명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급배수 시스템의 우회통로부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 내의 다른 모서리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 2 수조(202)의 경우, 분리벽(280)을 기준으로 분리벽(280)의 전방에 위치한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와 분리벽(280)의 후방에 위치한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를 포함하는 제 2 수조(202)의 경우, 각각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를 포함하는 제 1 수조(201)의 경우와 달리, 분리벽(280)으로부터 이격되어 포함하는 제 2 수조(202)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의 경우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이 위치하고,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의 경우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이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과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고,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a)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과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를 포함하는 제 1 수조(201)를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를 포함하는 제 2 수조(202)의 상단에 적층하는 경우에, 상단에 적층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와 하단에 적층된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는 급배수 기능을 하는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이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상단에 적층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와 하단에 적층된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는 급배수 기능을 하는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이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단에서 급수되는 물이 하단의 수조로 곧바로 출수되지 않고 가능한 한 최대로 저수 공간(200)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를 포함하는 제 1 수조(201)를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를 포함하는 제 2 수조(202)의 하단에 적층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상단에서 급수된 물이 하단의 수조로 곧바로 출수되지 않고 가능한 한 최대한 저수 공간(200)에 머무를 수 있을 수 있게 된다.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의 각각의 우회통로부(260)는 예를 들면, 일 실시양태로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리벽(280)을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으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의 경우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우회통로부(260)가 위치하고,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의 경우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우회통로부(26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의 각각의 우회통로부(260)의 위치는 본 발명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급배수 시스템의 우회통로부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내의 다른 모서리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내부 공간이 복수 개의 서브 수조들로 구획된 수조(20)를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8a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크게 두 가지의 타입의 수조들, 즉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를 포함하는 제 1 수조(201) 및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를 포함하는 제 2 수조(202)에 해당하는 금형만을 제작한 후, 제 1 수조(201) 및 제 2 수조(202)들을 복수 개로 제작하여 후술할 도 8c에 도시된 적층식 수조 시스템(2) 또는 도 9a에 도시된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두 가지의 금형 제작만으로도 복수 개의 서브 수조들로 구획된 수조(20)를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2, 2')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제작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수조(20), 즉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를 포함하는 제 1 수조(201)와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를 포함하는 제 2 수조(202)의 각각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수조(20)를 적층한 경우를 도시하고, 복수 개의 수조(20)들이 적층된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의 기타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은 도 2a 내지 도 6b 및 이에 관한 상기의 적층식 수조 시스템(1)에 관한 설명을 참조한다.
복수 개의 서브 수조들을 포함하는 수조(20)에 대하여 본 발명은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내용과 이에 관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에 적층된 서브 수조와 하부에 적층된 서브 수조 간에 급배수 구조가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등으로 최대한 멀리 위치하는 것이면 충분하고, 수조(20)의 내부에 구획되는 서브 수조의 개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도 있고, 서브 수조의 단면의 형상을 원형이나 정육각형 등으로 변형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 및 우회통로부(260)의 위치를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가령, 도 8a에 도시된 경우와 정반대로, 제 1 수조(201)의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에서는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제 1 수조(201)의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에서는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는 한편, 제 2 수조(202)의 제 2 타입 서브 수조(25b)에서는 좌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제 2 수조(202)의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는 좌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 9a는 도 8a에 도시된 수조(20)를 복수 개 적층한 경우를 일부 변형하여 구현한 경우의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을 도시한다.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은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지지하는 수조 받침대(300)를 더 포함하고, 수조 받침대(300)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수조(20)들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b는 도 9a의 적층식 수조 시스템(2')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수조 받침대(300)를 도시한다. 도 9c는 도 9b의 수조 받침대(300) 정면도이고, 도 9d는 수조 받침대(300)의 상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수조 받침대(300)의 상부면은 복수 개의 수조(20)들이 수조 받침대(300) 위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수조(20)의 거치부(220, 도 8a 참조)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오목부들(310)을 포함한다. 또한, 수조 받침대(300)의 하부면은 수조 받침대(300)의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수조(20)의 거치부(22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볼록부들(320)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오목부들(310) 및 복수 개의 볼록부들(32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예를 들면 수조(20)의 크기, 수조(20)의 개수,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이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수조 받침대(300)는 수조 받침대(300) 및 수조 받침대(300) 상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게차의 포크나 크레인의 후크를 삽입할 수 있는 운반용 개구부(330)를 포함한다. 운반용 개구부(330)는 수조 받침대(3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형상의 개구부일 수 있고, 이러한 운반용 개구부(330)는 적어도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게차의 포크나 크레인의 후크 운반용 개구부(330)에 결합하여 수조 받침대(300)를 들어올림으로써, 보다 많은 개수의 수조(20)들을 한번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9d를 참조하면, 수조 받침대(300)는 복수 개의 수조(20)들의 출수구(230) 및 우회통로부(260)와 연결될 수 있고 출수구(230) 및 우회통로부(260)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복수 개의 통로부(340)를 더 포함한다. 통로부(340)의 단면의 형상은 출수구(230) 및 우회통로부의 개구부(260a)와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a에 도시된 적층식 수조 시스템(2')에서 복수 개의 적층된 수조(20)들의 중간에 수조 받침대(300)가 위치하더라도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의 최상부에 위치한 수조에 공급된 물이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의 최하부에 위치한 수조로 급배수의 흐름이 단절되지 않고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9b 내지 도 9d에 도시된 수조 받침대(300)의 통로부(340)들은 도 8a의 제 1 수조(201)의 출수구(230) 및 우회통로부(260)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 9b 내지 도 9d에 도시된 수조 받침대(300)는 제 1 수조(201)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는 것으로 제작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수조 받침대(300)의 통로부(340)들을 제 2 수조(202)의 출수구(230) 및 우회통로부(26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것으로 변형하여 제작하고 이를 제 2 수조(202)의 아래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9a 내지 도 9d의 수조 받침대(300)를 일부 변형한 수조 받침대(300') 및 수조 받침대(300')를 사용한 적층식 수조 시스템(2')를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d에 따른 수조 받침대(300')는 상부 받침대(300a') 및 하부 받침대(300b')의 2 레이어 구조로 되어 있고, 상부 받침대(300a') 및 하부 받침대(300b')는 서로 결합 분리가 가능하다. 수조 받침대(300')(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받침대(300a')) 위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들어올려 이동시키려는 경우에, 상부 받침대(300a')를 들어올리면 상부 받침대(300a')와 함께 상부 받침대(300a') 위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이 같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 때, 상부 받침대(300a') 및 하부 받침대(300b')는 서로 분리가 가능하므로, 하부 받침대(300b')는 상부 받침대(300a')로부터 분리되어 상부 받침대(300a')와 같이 들어올려지지 않고, 하부 받침대(300b')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부 받침대(300a') 및 상부 받침대(300a')위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하부 받침대(300b')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에 다소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하부 받침대(300b') 하부 받침대(300b')가 하부 받침대(300b')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고정 및 지지하고 있으므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다시 하부 받침대(300b')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운반하는 경우에, 복수 개의 수조(20)들 아래에 위치한 또 다른 상부 받침대(300a')를 들어 올리더라도, 복수 개의 수조(20)들 위에 상기 하부 받침대(300b')가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고정 및 지지하고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상부 받침대(300a')와 하부 받침대(300b')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각각 볼록부들 및 오목부들을 구비하여, 상부 받침대(300a')와 하부 받침대(300b')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부 받침대(300a')에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게차의 포크나 크레인의 후크를 삽입할 수 있는 운반용 개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부 받침대(300a')와 하부 받침대(300b') 각각에 운반용 개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조 받침대(300, 300')의 재질은 플라스틱, 목재, 금속, 스테인리스스틸, 강화 유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플라스틱의 재질은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S(Poly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을 사용함으로써, 수조(10) 별로 다양하게 저수 공간(100)에 모래, 수초, 산란장, 등의 환경을 개별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다양한 종의 수생 생물의 혼합 사육시, 종별 구획 사육으로 수생 생물 별 다양한 양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여, 수생 생물의 품질 및 생존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수생 생물을 사육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수생 생물의 관리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적층식 수조 시스템 10: 수조
50: 순환 수조 100: 저수 공간
110: 하우징 120: 거치부
130: 출수구 140: 이중 격벽
141: 제 1 격벽 141a: 하부 출수부
141b: 상부 출수부 141c: 오버플로우 출수부
142: 제 2 격벽 150: 경사면
160: 우회 통로부 160a: 우회 통로부 격벽
160b: 우회 통로부 개구부 170: 손잡이
171: 막음판 2: 적층식 수조 시스템
20: 수조 25: 서브 수조
25a: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 25b: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
25c: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 25d: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
200: 저수 공간 220: 거치부
230: 출수구 240: 이중 격벽
241: 제 1 격벽 242: 제 2 격벽
260: 우회 통로부 260a: 우회 통로부 격벽
260b: 우회 통로부 개구부 280: 분리벽
2': 적층식 수조 시스템 300: 수조 받침대

Claims (16)

  1.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을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의 각각은 상기 수조의 내부 공간을 복수 개의 서브 수조로 구획할 수 있는 분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 각각은:
    상부면은 개구되고, 수생 생물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수조의 외부로 출수되는 출수구; 및
    상기 출수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출수구가 위치한 부분으로 구획하는 이중 격벽으로서, 상기 이중 격벽은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출수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 1 격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 출수부에서 출수되어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제 2 격벽의 상단부를 넘어 상기 출수구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이중 격벽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은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 및 이중 격벽과 최대한 멀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 각각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은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 및 이중 격벽과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조 및 상기 제 2 수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조 및 상기 제 2 수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2 타입 서브 수조는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조 및 상기 제 2 수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수조 및 상기 제 2 수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2 타입 서브 수조는 좌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우회 통로부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우회 통로부로 구획하는 우회 통로부 격벽과 상기 우회 통로부의 하부면의 우회 통로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의 높이는 상기 이중 격벽보다 높은, 상기 우회 통로부를 더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출수부를 통하여,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의 표면의 유막이나 부유물이 배출될 수 있거나, 상기 하부 출수부를 보조하여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의 배출할 수 있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상부 출수부보다 높이 위치한 오버플로우 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 출수부에 의하여, 물 또는 물과 함께 상기 저수 공간 내의 수생 생물이나 구조물이 상기 제 1 격벽 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조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 1 수조의 거치부는 하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식 수조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을 지지할 수 있는 수조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 받침대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이 상기 수조 받침대 위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거치부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 받침대의 하부면은 수조 받침대의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거치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는 상기 수조 받침대 및 상기 수조 받침대 상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게차의 포크 또는 크레인의 후크를 삽입할 수 있는 운반용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는 상기 출수구 및 상기 우회 통로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출수구 및 상기 우회 통로부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복수 개의 통로부들을 더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는 상부 받침대 및 하부 받침대의 2 중 레이어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상부 받침대는 상기 상부 받침대 위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고정 및 지지하고, 상기 하부 받침대는 하부 받침대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의 재질은 플라스틱, 목재, 금속, 스테인리스스틸, 강화 유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적층식 수조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의 재질은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S(Poly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적층식 수조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의 각각의 저수 공간에 상이한 환경이 조성되거나 상이한 종류의 수생 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하단의 아래에 위치하는 순환 수조로서, 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에서 출수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순환 수조;
    상기 순환 수조의 내부 또는 상기 순환 수조의 부근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하단에 위치한 수조에서 출수되어 상기 순환 수조에서 여과된 물을 다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로 끌어올릴 수 있는 펌프; 및
    상기 순환 수조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로 물을 공급하는 관을 더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KR1020170175466A 2017-10-30 2017-12-19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KR102089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66A KR102089841B1 (ko) 2017-12-19 2017-12-19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PCT/KR2018/012057 WO2019088497A1 (ko) 2017-10-30 2018-10-12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466A KR102089841B1 (ko) 2017-12-19 2017-12-19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87A true KR20190074087A (ko) 2019-06-27
KR102089841B1 KR102089841B1 (ko) 2020-03-16

Family

ID=6705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466A KR102089841B1 (ko) 2017-10-30 2017-12-19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471B1 (ko) 2020-09-07 2023-01-10 하희정 결로수 배수용 배수 유닛이 적용된 수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8794B2 (ja) * 2005-08-09 2008-06-11 学校法人西沢学園 水槽
KR20140101057A (ko) * 2013-02-07 2014-08-19 박송범 적층식 해삼 양식장치
KR101483606B1 (ko) * 2014-06-05 2015-01-19 대한민국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KR20160114827A (ko) * 2015-03-25 2016-10-06 공백렬 활어 수조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어 수조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8794B2 (ja) * 2005-08-09 2008-06-11 学校法人西沢学園 水槽
KR20140101057A (ko) * 2013-02-07 2014-08-19 박송범 적층식 해삼 양식장치
KR101483606B1 (ko) * 2014-06-05 2015-01-19 대한민국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KR20160114827A (ko) * 2015-03-25 2016-10-06 공백렬 활어 수조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어 수조 세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841B1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803B2 (en) Device for farming benthic organisms such as bivalves
KR102220048B1 (ko) 다층 생장 장치
KR101483606B1 (ko)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KR20140022524A (ko) 자동 부침식 다층 적재형 복합 가두리 양식 장치
JP3241401U (ja) 魚類・植物共生型生態養殖システム
KR20140028218A (ko) 회류식 다층 복합양식수조
CN112602651B (zh) 一种最佳适渔性流场养殖水舱
KR20190074087A (ko)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KR101898818B1 (ko)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JP5466318B1 (ja) 水生生物養殖水槽装置
KR100903260B1 (ko) 곤충사육장치
KR101426228B1 (ko) 갑각류,무척추류 양식 및 증식용 복합장치
JP3215559U (ja) 養殖水槽
KR101898817B1 (ko)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KR101718360B1 (ko)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
KR102053500B1 (ko)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JP3502153B2 (ja) 海水魚の飼育方法及びその装置
CN105941293A (zh) 水族缸
KR101587853B1 (ko)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
WO2019088497A1 (ko)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JP2019041701A (ja) 貝類の養殖装置
KR101572987B1 (ko) 다단 양식장
CN210143603U (zh) 萤火虫养殖装置
US20050218050A1 (en) Flushable water changing base and multi-tasking caps
EP3698625A1 (en) Water tank set with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