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88497A1 -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88497A1
WO2019088497A1 PCT/KR2018/012057 KR2018012057W WO2019088497A1 WO 2019088497 A1 WO2019088497 A1 WO 2019088497A1 KR 2018012057 W KR2018012057 W KR 2018012057W WO 2019088497 A1 WO2019088497 A1 WO 20190884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partition
tank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20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방계환
Original Assignee
어업회사법인진솔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4239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9881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4239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5350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7546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89841B1/ko
Application filed by 어업회사법인진솔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업회사법인진솔원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90884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884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ank and a laminated water tank system capable of culturing aquatic life (aquatic lif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ank and a laminate water tank system capable of forming and managing an ecological environment so that a variety of aquatic organisms can be individually raised. To a drinking water tank system.
  • Korean Patent Laid-open Nos. 10-2004-0072236 and 10-2011-0087683 disclose a separation device for protecting fry and fishes, in which a separation membrane is mounted on a fish tank of various sizes, And separating the large fish, the fish, and the adult fish, thereby protecting the fish and the adult fish safely.
  • the passage of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most water tank to the lowermost water tank can be variously configured.
  • a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and containing therein a water storage space in which aquatic organisms and water can be accommodated;
  • a water outle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flows out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 the double partition wall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and a second partition wall
  • the first partition wall is divided into a first partition and a second partitio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being located adjacent to the outflow port and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and the portion where the outlet port is located
  • the second parti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outlet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partition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
  • a second partition wall extending from a lower outlet of the first partition so as to pass through a space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to move to the outlet beyo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water tank located at the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ter tank located at the lower side so that water,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port of the first water tank, And can be directly moved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 the bypass passage portion located inside the housing, the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and the bypass passage portion, and the bypass passa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 And the bypass passage portion has a height higher than that of the double partition wall.
  • the water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three water tanks are stacked,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tank stacked on the upper side is passed through the bypass passage portion of the second water tank stacked in the middl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tank is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second water tank when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second water tank is located immediately below the outlet of the first water tank , The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tank may pass through the bypass passage portion of the second water tank when the bypass passage portion of the second water tank is located just below the outflow port of the first water tank.
  • the first parti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water outlet located above the first partition and an overflow water outlet higher than the upper water outlet.
  •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outflow port and increasing in height from the outflow port.
  • the water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inclined surface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wherein each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third inclined surface extends from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has a height Can be increased.
  • At least one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may be detachable to the housing.
  •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capable of mounting detachable double partitions.
  • the mounting portion may have a shape of a recess into which the double partition wall can be fitted.
  • the first partition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set of the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may include an upper water outlet portion located at an upper portion, And an overflow water outlet, wherein the size of the lower water outle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artitions is different, or the size of the upper water outle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artitions is different, or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artitions
  • the size of the overflow head portion may be different.
  • the first partition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set of the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may include an upper water outlet portion located at an upper portion, wherein the first partition is one selected from a set of the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and the height of the upper exit part is different from the set of the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 the first partition may be one selected from a set of the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and the heigh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second bank is one selected from the set of the plurality of second bank walls, and the height of the set of the plurality of second bank walls may be different.
  • the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is detachable to the housing, and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may include two mounting portions to which the double partition wall and the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can respectively be mounted have.
  • the water tank further includes a handle portion shaped like an opening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water tank may be moved through the handle portion, , Reagents or medicines may be introduced, or emergency measures for aquatic organisms may be possible.
  • the handle portion may be provided as a pair of grip portions facing each other.
  • the water tank further includes a mount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recessed from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wherein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water tanks, The mount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 tank may be coupled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ter tank which is stacked on the lower portion.
  •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water tank may be regular polygonal or circular.
  •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water tank may be square, and the opening may be located at one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pening of the bypass passage may be located at the other corner.
  • the material of the housing, the first bank, and the second bank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stic, transparent acrylic, tempered glass, stainless steel, Lt; / RTI >
  • the material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 barrier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stic, transparent acrylic, tempered glass, stainless steel,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plastic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carbonate, polypropylene (PP),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styrene, polyvinyl chloride (PVC), and combinations thereof.
  • PP polypropylene
  • LDPE low-density polyethylene
  • HDPE high-density polyethylene
  • PVC polyvinyl chloride
  • a laminated water tank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 tan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laminated manner, different environments may be formed in the respective water storage spaces of a plurality of water tanks, or different types of aquatic organisms may be accommodated.
  • a circulation water tank positioned below the lowermost end of the plurality of water tanks, wherein the circulation water tank includes a device capable of filtering water outflowed from the plurality of water tanks, water tank;
  • a pump which is located in the circulation water tank or in the vicinity of the circulation water tank and is capable of being drawn out from a water tank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plurality of water storage tanks and drawing the filtered water back into the plurality of water storage tanks;
  • the water filtered in the circulating water tank can be supplied again to the water tank located at the top of the plurality of water tanks by the pump and the pipe.
  • a partition wall capable of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tank into a plurality of sub water tanks
  •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tanks comprises:
  • a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and containing therein a water storage space in which aquatic organisms and water can be accommodated;
  • a water outle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flows out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 the double partition wall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and a second partition wall, and the first partition wall is divided into a first partition and a second partitio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being located adjacent to the outflow port and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and the portion where the outlet port is located,
  • the second parti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outlet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partition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can be moved out of the lower outlet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and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to move to the outlet beyo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 the water tank includes a sub tank of the first type located in front of the partition wall and a sub tank of the third type located behind the partition wall,
  • the sub tanks of the three types are respectively rectangular or square.
  • an outlet and a double diaphragm are located at the left rear corner, and the sub tank of the third type has an outlet and a double The bulkhead may be located.
  • the water tank includes a sub tank of the second type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partition wall and a sub tank of the fourth type located at the rear of the partition wall,
  • the sub-water tanks of the four types are respectively rectangular or square.
  • the water outlet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are located at the right front corner, and the sub- The bulkhead may be located.
  • each of the plurality of sub-water tanks may include a bypass passage portion located inside the housing, a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and the bypass passage portion, And the bypass passage portion opening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assage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 partition wall is higher than the double partition wall.
  • the water tank includes a sub tank of the first type located in front of the partition wall and a sub tank of the third type located behind the partition wall,
  • the sub tanks of the three types are respectively rectangular or square.
  • the outlet and the double partition are located at the left rear corner and the bypass passage is located at the right rear corner.
  • the outlet port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may be located at the left front corner and the bypass passage may be positioned at the right front corner.
  • the water tank includes a sub tank of the second type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partition wall and a sub tank of the fourth type located at the rear of the partition wall,
  • the sub tank of the fourth type is respectively a rectangular shape or a square shape and the sub tank of the second type is provided with a water outlet and a double diaphragm at the right front corner and a bypass passage at the right rear corner,
  • the outlet and the double partition are positioned at the right rear corner and the bypass passage can be positioned at the right front corner.
  •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tanks may have a rectangular or square cross section.
  • the partition walls may be disposed diagonally to the outflow ports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s in the respective sub-water tanks of the second water tank located at the bottom.
  • the first parti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water outlet located above the first partition and an overflow water outlet higher than the upper water outlet.
  • each of the plurality of water tanks further includes a mount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recess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
  • the mounting portion of the first water tank, which is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ter tank which is stacked on the lower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aminated water tank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 tan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laminated manner, wherein a different environment is form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of each sub tank, or different kinds of aquatic organisms can be accommodated,
  •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suppor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storage tanks which can be coupled to the water tank support so that the plurality of water storage tanks can be stably stacked on the water tank support
  •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ray suppo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mounting portion of the water tank to stably fix the plurality of water tanks stacked below the water tray support.
  • the water tank support can insert a fork of a forklift or a hook of a crane so that a plurality of water tanks stacked on the water tank support and the water tank support can be easily moved And a transporting opening having an opening.
  • the water tank support may be connected to the outflow port and the bypass passage portion, and a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which are the passages through which the water outflows from the outflow port and the bypass passage portion, As shown in FIG.
  • the water tank support may have a double layer structure of an upper support and a lower support capable of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suppo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water tanks stacked on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pedestal can fix and support a plurality of water tanks stacked below the lower pedestal.
  • the material of the water tank suppor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stic, wood, metal, stainless steel, tempered glass,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material of the plastic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carbonate, polypropylene (PP),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 PS (polystyrene), PVC (polyvinyl chloride), and combinations thereof.
  • PP polypropylene
  • LDPE low-density polyethylene
  • HDPE high-density polyethylene
  • PS polystyrene
  • PVC polyvinyl chloride
  • a circulation water tank positioned below the lowermost end of the plurality of water tanks, wherein the circulation water tank includes a device capable of filtering water outflowed from the plurality of water tanks, water tank;
  • a pump which is located in the circulation water tank or in the vicinity of the circulation water tank and is capable of being drawn out from a water tank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plurality of water storage tanks and drawing the filtered water back into the plurality of water storage tanks;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vide various kinds of aquatic organisms for the best ecological and breeding environment for aquatic organisms individually in a minimum unit water tank from the start, development and completion (production) of rearing, And management can be efficiently operated.
  • a multi-layered water tank system that is easy to maintain, such as preventing community problems and formulas (a phenomenon of mutual eating), collective mortality, and dramatically increasing breeding productivity.
  •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tan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water supply pipe and a water discharge pip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water tank and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is advantageously lowered.
  • the space occupied by the stacked water tank system is reduc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space more efficiently and to increase the production amount per unit area of the stack water tank system.
  • the passage of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most water tank to the lowermost water tank can be variously configured.
  • the passage of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most water tank to the lowermost water tank can be variously configured.
  • Water can be flowed only between water tanks having aquatic organisms such as water and drainage.
  •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and the flow rate of the water to be discharged can be easily adjusted by detaching a plurality of various double partition walls.
  • by simply chang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doubl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without changing the loading direction of the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flow of water between the plurality of stacked water tank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more diverse living environments.
  • the space inside the water tank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so that even in a single water tank constituting the multi-layer water tank system, It is possible to diversify the environment individually and to mix and breed various species even in one tank, which makes it easier to maintain aquatic life and aquariums.
  • Fig. 1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A to 4 illustrate the essential parts of the water tub 10 or the water tub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5A to 5C each show a main part of the water tank 10 or the water tank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6A to 6E each show a substantial part of the water tub 10 or the water tub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7A to 7C show the essential parts of the water tub 10 or the water tub 10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 9 is a photograph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according to Fig.
  • Figs. 10A to 10C show a water tank 20 and a laminated water tank system 2 which can be us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artially modifying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according to Fig.
  • 11A to 11D show a laminated water tank system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ater tank base 300 used therein.
  • Figs. 12A to 12D show a stacked water tank system 2 " using a water tank support 300 'and a water tank support 300' in which the water tank support 300 of Figs. 11A to 11D is partially modified.
  • a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and containing therein a water storage space in which aquatic organisms and water can be accommodated;
  • a water outle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rough which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flows out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 the double partition wall includes a first partition wall and a second partition wall
  • the first partition wall is divided into a first partition and a second partitio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being located adjacent to the outflow port and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and the portion where the outlet port is located
  • the second parti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outlet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partition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
  • a second partition wall extending from a lower outlet of the first partition so as to pass through a space between the first partition and the second partition to move to the outlet beyond an upper end of the second partition
  •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water tank located at the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ter tank located at the lower side so that water, which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port of the first water tank, And can be directly moved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includes a plurality of laminated water tanks 10 and a circulation water tank 50 located below the lowermost ends of the plurality of laminated water tanks 10.
  • the circulating water tank 50 the water that has come out of the water tank 10 can be filtered.
  • water that has been withdrawn from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stacked water tanks 10 and is filtered in the circulation water tank 50 is introduced into a plurality of stacked water tanks 10 And a pump (not shown) that can be lifted up to the uppermost stage of the pump.
  • a cov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most water tank of the plurality of stacked water tanks 10 so as to cover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tanks may be covered with the cover.
  • illumination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or near the top water tank to provide an aquatic environment suitable for aquatic life within the water tank.
  • any one or more light sources selected from an incandescent light source, a discharge light series light source, a semiconductor series light source, and a fluorescent light source may be used, or natural light may be used.
  • Figs. 2A to 4 each show a main portion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water tan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 tank 10 shown in Figs. 2A to 4 can be used in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of Fig.
  • the water tank (10) includes a housing (110).
  • the housing 110 includes a water storage space 100 in which water and aquatic organisms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received (stored).
  • the housing 110 is a cub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hape of the housing 110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cylinder, and the like within a range where a plurality of water tanks 10 can be stacked.
  • the water storage space 100 and the housing 11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izes and volumes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ype and the number of aquatic organisms being cultured, the size and environment of the space where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is located, .
  •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is open.
  •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includes a mount 120.
  • the mount 12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and is concave more than the side of the housing 110.
  • the mounting portion 120 of the upper water tank is coupled to the upper opened portion of the lower water tank so that a plurality of water tanks 10 can be stably stacked.
  • a plurality of stacked type water tanks 10 are coupled to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water tanks 1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lurality of stacked type water tanks 10 can be st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110 may have a convex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concave portion of one of the water tanks may be coupled to the convex portion of any one of the water tanks.
  • a water outlet 130 through which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100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tank is included.
  • the shape of the outlet 130 may be a triangular shape located at one corner of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ircular or rectangular, And may have a shape that is opened along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The water can be moved from the uppermost water tank to the lowermost water tank through the outlets 130 of the water tanks 10 as indicated by the arrows, as shown in FIG. 2B.
  • the water bath 10 includes a double partition wall 140 positioned adjacent to the outlet 130 and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adjacent portion of the outlet 130.
  •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is integrally formed across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to define a portion where the outlet 130 is located and a portion where aquatic organisms and water are stored.
  • the dual barrier ribs 140 are formed as a double barrier rib between the first barrier ribs 141 and the second barrier ribs 142.
  • the first barrier ribs 141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or may be detachable.
  • the second barrier ribs 142 may be fixed 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or may be detachably mountable. Referring to FIG.
  • the first partition 141 includes a lower water outlet 141a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141, an upper water outlet 141b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artition 141, And an overflow water outlet 141c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water outlet 141b.
  • the second partition 14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artition 141 and the outlet 130.
  • the height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42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 wall 141 and the height of the water that can be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econd partition wall 142.
  • a float or the like having a small weight or a specific gravity may float on the surface of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100 due to aquatic organisms or the like in the water storage space 100.
  • Such an oil film or float may float above the first partition wall 141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 130 through the outlet 141b.
  • the upper water outlet 141b can also serve as a preliminary water outlet for the lower water outlet 141a.
  •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100 may be discharged to the water outlet 130 through the upper water outlet 141b.
  • the first partition 141 has the overflow water outlet 141c in addition to the lower water outlet 141a and the upper water outlet 141b.
  • the overflow water outlet 141c in addition to the lower water outlet 141a and the upper water outlet 141b.
  •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water tank located at the upper side (in one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120 provided on the surface) is coupled to the open top surface of the second water tank located below. Further, the water exiting from the outlet of the first water tank located at the upper part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of the second water tank located at the lower part. In other words,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is moved to the second water tank,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water tank can be moved to the second water tank without a separate water pipe and a drain pipe.
  •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is advantageously lowered.
  • the space occupied by the stacked water tank system 1 is reduced (that is, since a space sufficient for eliminating separate water supply pipes and drain pipes is secured)
  • the maintenance of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can be made easier and the production amount per unit area of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can be increased.
  •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100 of the water tank 10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surface 150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 the inclined surface 150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150a extending from the outlet 130 and having a height higher as the outlet 130 is away from the outlet 130.
  • the second inclined face 150b and the third inclined face 150c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clined face 150b and a third inclined face 150c as the inclined face 150.
  • the second inclined face 150b and the third inclined face 150c may extend from the first inclined face 150a, And the height increases toward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 the angle of the first inclined plane 150a, the angle of the second inclined plane 150b and the angle of the third inclined plane 150c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in various environments in the water storage space 100.
  • Sludge such as excretion of aquatic organisms inside the water bath 10 is moved by the gravity surface 150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outlet 141a of the first partition 141 along the inclined surface 150 by the flow of gravity and water .
  • the sludge is moved to the first inclined face 150a along the second inclined face 150b and the third inclined face 150c by gravity and water flow and the first inclined face 150a is moved to the first partition wall 141
  • the sludge can be moved toward the lower outlet 141a of the first partition 141 alo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150a.
  • the sludge moved to the vicinity of the lower water outlet 141a of the first partition 141 can be discharged to the water outlet 141 together with the water through the lower water outlet 141a.
  • the sludge can be collected more effectively toward the first inclined face 150a.
  • Figs. 5A to 5C each show a main portion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water tank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 tank 10 shown in Figs. 5A to 5C can be used in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of Fig.
  • the housing 110 of the water tub 10 is provided at a portion different from the portion where the outlet 130 and the double partition 140 are located, that is, the outlet 130 and the double partition 140
  • the bypass passage portion 160 is provided at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portion in which the valve body 160 is located. For example, whe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water tank 10 is a rectangle or a square, the outlet is located at one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opening 160b of the bypass passage 160 is located at the other corner .
  • the bypass passage portion 160 further includes a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160a provided in the water tank 10 and a bypass passageway opening portion 160b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 160 of the water tank 10.
  •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of the water tank 10 can be divided into a water storage space 100 and a bypass passage 160 in which water and aquatic plants can be accommodated by the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160a.
  • the bypass passage portion 160 includes the bypass passage portion opening portion 160b so tha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does not flow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100 of the water tank and passes through the bypass passage portion 160, To be supplied to the lower water tank located below the water tank.
  • the height of the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160a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 the water outflow water from chulsugu 130 of the first water tank (10 1) is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tank (10 2)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water tank (10 1), as in the second tank ( supplied as 10 2)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third tank (10 3) at the bottom of the second tank (10 2) through the chulsugu 130 of the second water tank (10 2).
  • a view number for the i-th in the water storage space detailed components of the bath (10 i) (100), chulsugu 130, bypass passage 160 is not mentioned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 the fourth tank (10, 4), a bypass passage 160 of the fifth water tank (10, 5) just below the opening portion (160b) of the bypass passage 160 located in, as in the fourth tank (10 4) drinking from the bypass passage 160 of the fifth water tank (10, 5) is not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100 in the fifth tank (10, 5) first through the bypass passage 160, six tank of (10 6 ).
  • bypass passage 160 of the seventh water and aquatic plants are not located bypass passage 160 of the water tank (10, 7) the seventh water tank (10, 7) when the water storage space 100 that can be accommodated position, as shown in Figure 5c, a third of the water is the fourth tank through the sixth water tank outflow pipe from chulsugu 130 of the water tank (10 3) (10: 4 , 10 5 and 10 6 are not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100 in which the water and the aquatic plants can be accommodated but are passed through the bypass passage 160 of the fourth to sixth water tanks to the seventh water tank 107 Can be supplied directly.
  • the fourth water tank (10, 4), the second tank and the third through the bypass passage portions 160, the fourth tank of the tank is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100 is supplied to the bypass passage 160 of the first tank To the water storage space (100) of the water tank (10 4 ).
  • arrows indicated by solid lines in FIG. 5C indicate the flow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outlets 130 to the inner space 100 of the next lower tank.
  • the arrows indicated by dotted lines indicate the flow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s 160 of the water tank and do not mean that the water flows outside the water tank 10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5C, and the passage of water supplied from the uppermost water tank to the lowermost water tank can be variously configur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bypass water passages 160 of the upper water tank and the lower water tank.
  • water tanks having the same environment in the water storage space 100 or water tanks having the same kind of aquatic life can be moved to the water outlet 130, and water tanks having different environments or having different kinds of aquatic life
  • the bypass passage 160 may be provided just below the water outlet 130 of the upper water tank to allow the water to move to the lower water tank . Further, referring to FIG.
  • aquatic organisms requiring higher environmental conditions or more severe environmental conditions than the other aquatic organisms may be used in the fourth to sixth tanks 10 4 , 10 5 , and 10 6 .
  • Only the loading directions of the fourth to tenth water tanks 10 4 , 10 5 and 10 6 are changed so that the water outflowed from the water outlet 130 of the other water tanks 10 1 , 10 2 and 10 3 the aquatic organisms are accommodated a water bath (10 4, 10 5, 10 6), etc., which may be to flow through the water storage space 100 without entering bypass passage 160 to th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hanges.
  • the drainage line may be two (that is, the opening portion 160b of the outlet 130 and the bypass passage portion 160) whe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water tank 10 is rectangular .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water tank 10 may be hexagonal, octagonal, or circular.
  • three drainage lines may be used, and in the case of an octagon, four drainage lines may be used.
  • FIG. 6A to 6E each show a main portion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water tank 10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ater tank 10 shown in Figs. 6A to 6E can be used in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of Fig.
  • the water tank 10 shown in Figs. 6A to 6E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can be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 Fig. 6A showing a top view of the water tank 10 in which the double barrier ribs 140 are detachably mounted in the housing 110, a double barrier rib 140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10 And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ortion 110a that can be mounted.
  • the mounting portion 110a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10 in the shape of a recess into which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can be fitted.
  •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10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in the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110a or the manner in which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is detached.
  • the first barrier rib 141 and the second barrier rib 142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or only the first barrier rib 141 may be detachable, Only the two partition walls 142 may be detachab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 the dual barrier rib 140 of FIG. 6A includes a first barrier rib 141 and a second barrier rib 142 (see FIGS. 2A to 4).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arrier rib 141 and the second barrier rib 142 The water outflowed from the lower outlet 141a and / or the upper outlet 141b of the first partition 141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artition 141 and the second partition 14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42), passes over the second partition wall (14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30).
  • the first barrier rib 141 and the second barrier rib 14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barrier rib 141 and the second barrier rib 142 are coupled to each other,
  • One of the first barrier ribs 141 and the second barrier ribs 142 may have a protrusion between the barrier ribs 142 and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other of the first barrier ribs 141 and the second barrier ribs 142.
  • the two partition walls 142 may be mutually detachable, and may be modified or modified in various ways.
  • FIG. 6B shows the first partition 141 among the double partition walls 140 detachable inside the housing 110.
  • the types of the first barrier ribs 141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6C to 6E. 6C
  • the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 141 may be varied or the height of the upper outlet 140a of the first partition 141 may be varied as shown in FIG. 6D
  • 141 may be manufactured in a plurality of ways, and then the first barrier ribs 141 corresponding to the environment to be implemented in the water tank 10 may be mounted.
  • the second barrier ribs 142 of the double barrier ribs 14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heights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 6C, (Not shown).
  • the second partition wall 142 or the first partition wall 141 matching the desired water level in the water storage space 100 can be selected and mounted in the water tub 10.
  • a plurality of double barrier ribs 140 may be formed, and the size of the upper outgoing portion 140a of the double barrier ribs 140 may be variously varied among the plurality of double barrier ribs 140 So that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according to a desired flow rate of water exiting to the water outlet 130 can be changed and installed.
  • the size of the lower outlet 140b or the overflow outlet 140c may be varied.
  • Type double partition walls 140 can be mounted on the water tub 10 while changing them.
  • Figs. 7A to 7C show the main parts of the water tub 10 and the water tub 10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the water tank 10 shown in Figs. 7A to 7C can be used in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of Fig.
  • each of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and the bypass passageway partition wall 160a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 [ 7B shows a detourable detachable partition wall 160a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 the drawings relating to the detachable double partition wall 140 and the description thereof refer to Figs. 6A to 6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 each of the mounting portions 110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ess in which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and the bypass passageway partition wall 160a can be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10.
  •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10 may further include a concave portion.
  •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10a of one of the two mounting portions 110a and the bypass passage portion partition wall 160a may be mounted on the other mounting portion 110a.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in the shape of the mounting portion 110a and the manner in which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and the bypass passage portion partition wall 160a are detached.
  • the double barrier ribs 140 and the bypass barrier ribs 160a are formed in the water tank 10 equipped with the double barrier ribs 140 and the bypass barrier ribs 160a.
  •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and the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160a may be mounted again by removing the passage partition wall 160a and changing the position where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and the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160a are mounted. In this case, without chang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tray 10 is loaded, simply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double partition wall 140 and the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160a to change the flow of water shown in FIG. 5C to You can also change it.
  • Figs. 8A to 8B show the main parts of the water tub 10 and the water tub 10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the housing 110 may further include a grip portion 170 by which an operator can lift the water tray 10.
  • the handle portion 170 may be in the form of an opening provided in a sid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housing 110 that is higher than the water level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00) . ≪ / RTI > Further, the handle portion may be provided as a pair of grip portions facing each other.
  • the operator may lift the water tub 10 by putting his / her hand into the handle 170 and move the water tub 10 by inserting a fork of a forklift or a hook of a crane into the handle 170.
  • the handle 170 When the handle 170 is in the form of an opening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may feed the food, feed, reagent, or medicine necessary for aquatic organisms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100 through the handle 170 have.
  • emergency measures for example, collection of dead bodies of aquatic organisms, etc.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for example, by providing a recessed portion or a convex portion on the outer wall of the housing 110 to form the grip portion 170.
  • 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plate 171 that can close the handle portion 170 that is opened in the housing 100 It is possible.
  • the grip portion 170 opened by the blocking plate 171 may be closed to prevent aquatic organisms in the water storage space 100 from protruding into the opened grip portion 170. Further, by providing the blocking plate 171, heat loss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ub 10 can be prevented.
  • the blocking plate 171 '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rrier plate 171 '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can be coupled to a recess having a U-shaped section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Even if the opened handle portion 170 is closed by the blocking plate 171 ', the operator can easily remove the blocking plate 170 with the hand or the finger into the opened handle portion 170, So that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171 'can be lifted.
  • the material of the housing 110, the mounting portion 120, the double barrier ribs 140 and the bypass barrier ribs 160a constituting the water tank 10 may be made of plastic, transparent acrylic, tempered glass, stainless steel, or the like Polypropylene (PP),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polystyrene (PS), polyvinyl chloride (PVC) , Etc. may be used. The worker can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0 can be confirmed.
  • the housing 110 or the mounting portion 120 is tempered glass, it is preferable that the housing 110 and the mounting portion 120 have a thickness capable of withstanding the load of the stacked upper water tanks.
  • Fig. 9 is a photograph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according to Fig.
  • Fig. 10A shows a water tank 20 which can be us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artially modifying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according to Fig.
  • the water tank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ion wall 280 dividing the internal space into a plurality of sub-water tanks.
  •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tank 20 i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280 into a plurality of sub-water tanks to thereby include a plurality of water storage spaces 200.
  • the internal space of the water tank 20 shown in FIG. 10A is divided into two by a single separation wall 280, and two sub-water tanks 25 located respectively forward and backward of the separation wall 280, .
  • Each of the sub water tanks 25 includes a water outlet 230 through which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200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water tank a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water outlet 230 and fl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water outlet 230 and a horizontally extending double barrier wall 240.
  •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divides an internal space of the sub tank 25 into a portion where the outlet 230 is located and a portion where aquatic organisms and water are stored.
  • the dual barrier ribs 240 may have a structure composed of the double barrier ribs of the first barrier ribs 141 and the second barrier ribs 142 as shown in FIG. 2A, but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A, the second partition wall 242 partially deforms the second partition wall 142 of FIG.
  • the cross section of the inside of the two partition walls 142 may match the shape of the outflow port 230.
  • the first partition wall 241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artition wall 141 of FIG. 2A, and may be fixed to the inner space of the sub-water tank 25 or may be detachably attached thereto.
  • the second partition wall 242 may be either fixed to the inner space of the sub tank 25 or may be detachable.
  • each of the sub-water tanks 25 further includes a bypass passage portion 260.
  • the bypass passage portion 260 includes the bypass passage portion opening portion 260b so tha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sub tank connected to the sub tank is not introduced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200 of the sub tank, To the lower sub-tank located below the sub-tank.
  • the bypass passageway barrier wall 260a may, in one embodiment, have the same shape as the bypass passageway barrier wall 160a of FIG. 5A, and in another embodiment may have a tubular shape (i.e., The cross section of the inside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 barrier wall 260a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 opening portion 260b.
  • the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260a may be either fixed to the inner space of the sub tank 25 or may be detachable.
  • the water tank 20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portion 220 projecting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water tank and recess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 each constituent element constituting the sub tank 25 will be referred to FIGS. 2A to 6B and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 the water in the front of the first water tank 20 1 in chulsugu in the sub-tank (25a) (230) and the double barrier rib 240 has a second water tank (20 2) the sub-tank (25b) chulsugu 230, and the double barrier rib 240 in located in front of in the lower and it located diagonally, the first water tank (20 1) chulsugu 230, and the double barrier rib 240 in the sub-tank (25c) located at the rear of the sub-tank is located in the rear of the second tank (20 2)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in the partition wall (25d).
  • outflow port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in the uppermost sub-tank may be arranged in the sub-tank located at the lower end, even if the order of stacking the first water tank 20 1 and the second water tank 20 2 is reversed. And is diagonally positioned with the outlet 230 and the double barrier 240.
  • the water tank 20 can be largely realized by two types of water tanks, that is, a first water tank 20 1 and a second water tank 20 2 , Since each of the first water tank 20 1 and the second water tank 20 2 has two sub water tanks, the sub water tank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of sub tanks 25a, 25b, 25c, 25d.
  • the first case of the water tank (20 1) located in the rear of the first type of the sub-tank (25a) and the separation wall 280 located in front of the separating wall (280), based on the separation wall 280, the third Type sub-water tank 25c.
  • the outflow port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of the first type sub water tank 25a and the third type sub water tank 25c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parating wall 280 with the separating wall 280 therebetween . That is, as shown in FIG. 10A, in the case of the first type sub water tank 25a, the outlet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are located at the left rear corner, and in the case of the third type sub water tank 25c The outflow port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may be positioned at the left front corner.
  • Each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s 260 of the first type sub water tank 25a and the third type sub water tank 25c may be separated and provided as an embodiment by way of the separation wall 280, May be located adjacent wall 280.
  • the bypass passage portion 260 in the case of the first type sub water tank 25a, the bypass passage portion 260 is located at the right rear corner, and in the case of the third type sub water tank 25c And the bypass passage portion 260 may be positioned at the right front corner.
  • the positions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s 260 of the first type sub water tank 25a and the third type sub water tank 25c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the positions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s 260 of the bypass water passage And can be located at the other corners of the first type sub water tank 25a and the third type sub water tank 25c, respectively, so that the configura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 the respective outflow ports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s 240 are formed in the first type Unlike the case of the first water tank 20 1 including the sub water tank 25a and the third type sub water tank 25c,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water tank 20 2 , apart from the separating wall 280, Lt; / RTI >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0A, 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sub water tank 25b, the outlet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are positioned at the right front corner, and the sub tank 25d of the fourth type The outflow port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can be positioned at the right rear corner.
  • the outflow port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of the second type sub tank 25b are located diagonally to the outflow port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of the first type sub water tank 25a
  • the fourth type sub water tank 25d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are located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outlet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of the second type sub water tank 25a.
  • the first water tank 20 1 including the first type sub water tank 25a and the third type sub water water tank 25c is referred to as a second type sub water tank 25b and the fourth type sub water tank 25d
  • the first type sub water tank 25a stack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type sub water tank 25b stacked on the lower side are stack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water tank 20 2 including the water supply /
  • a third type sub water tank 25c stacked on the upper side and a fourth type sub water tank 25d stacked on the lower side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water tank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wall 240 are located diagonally to each other,
  • the water inlet 230 and the double partition 240 functioning as the water supply / drainage function are position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the water supplied at the upper end does not directly go out to the lower water tank, but stays in the water storage space 200 as much as possible. .
  • the first water tank 20 1 including the first type sub water tank 25a and the third type sub water tank 25c is referred to as a second type sub water tank 25b and the fourth type sub water tank 25d ) a second water tank (20 2) of the same principle, even if deposited on the bottom, able to be able to stay for a maximum water storage space a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op is not directly heading to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00 containing the do.
  • Each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s 260 of the second type sub water tank 25b and the fourth type sub water tank 25d may include a first type sub water tank 25a and a third type As shown in FIG. 10A, 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sub-water tank 25b, a bypass passage may be provided at the right-rear corner of the auxiliary water tank 25c, And the bypass passage portion 260 may be located at the right front corner in the case of the fourth type sub water tank 25d.
  • the positions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s 260 of the second type sub water tank 25b and the fourth type sub water tank 25d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the positions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s 260 of the bypass water passage And may be located at the other corners of the second type sub-tank 25b and the fourth type sub-tank 25d, respectively, so that the configura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 the second including a first water tank (20 1) and second type of the sub-tank (25b) and the fourth type of the sub-tank (25d) including a sub-tank (25a) and the sub-tank (25c) of the third type after the fabrication of only a mold for the water tank (20 2)
  • the first water tank (20 1) and a second water tank (20 2) of the laminated countertop system 2 shown in 10c also it is described later by making pieces plurality of or Fig.
  •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2 'shown in Fig. 11a can be construct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2, 2 'including the water tank 2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water tanks only by the production of the two molds,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markably reduced.
  • FIG. 10B shows a first water tank 20 1 including the water tank 20 shown in FIG. 10A, that is, a first type sub water tank 25a and a third type sub water tank 25c, (25b) and the second shows the respective top surface of the tank (20 2) also comprising a fourth type of the sub-tank (25d).
  • Fig. 10C shows a case in which the water tank 20 shown in Fig. 10A is laminated and a description of other components of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2 in which a plurality of water tanks 20 are laminated is shown in Figs. 2A to 6B and Figs. Reference is made to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1.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of FIGS. 10A to 10C and the description thereof, but may be applied to a water tank 20 including a plurality of sub-water tanks,
  • the number of the sub water tanks partitioned in the water tank 20 may be variously changed or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ub water tank may be changed into a circle or a regular hexag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utlet 230, the double partition 240, and the bypass passage 260, and the like.
  • the outflow port and the double partition are positioned at the front right corner
  • the third type sub tank 25b of the second water tank 20 2 is provided with a water outlet and a double partition at the left-
  • the fourth type sub water tank 25d of the second water tank 20 2 may have a water outlet and a double partition at the left rear corner.
  • Fig. 11A shows a laminated water tank system 2 'in which a plurality of water tanks 20 shown in Fig. 10A are stacked and partially modified.
  •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2 'further includes a water tank support 300 supporting a plurality of water tanks 20 and can be easily moved using the water tank support 300 have.
  • FIG. 11B shows an exemplary water tank base 300 that can be used in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2 'of FIG. 11A.
  • Fig. 11C is a front view of the water tray 300 of Fig. 11B
  • Fig. 11D is a top view of the water tray 300.
  •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support 30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220 (see FIG.
  •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support 300 has the same shape as the mounting portion 220 of the water tank 20 so as to stably fix the plurality of water storage tanks 20 stacked below the water tank support 3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320.
  • the number of the concave portions 310 and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3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environ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such as the size of the water tank 20, The size of the space where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2 'is installed, and the like.
  • the water tank support 300 includes a fork of the forklift or a hook for hooking the crane so that the water storage tank 300 and the water tank 20 stacked on the water tank support 300 can be easily moved.
  • the transport opening 330 may be an opening that is shaped to pass from the front to the back of the water tray 300, an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wo such opening 330 are provided. Accordingly, the worker is engaged with the fork of the forklift or the hook transporting opening 330 of the crane to raise the water tray 300, so that a larger number of the water tanks 20 can be moved at a time.
  • the water tank suppor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230 and the bypass passage 260 of the plurality of water tanks 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230 and the bypass passage 260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assage portions 340 through which water can move.
  •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passage portion 340 can coincide with the opening portion 230 of the outlet port 230 and the opening portion 260a of the bypass passage portion. Therefore, even if the water tank support 300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plurality of stacked water tanks 20 in the laminated water tank system 2 'shown in FIG.
  • the water tank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located at the top of the stacked water tank system 2' Water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stacked water tank system 2 'so that the water can move without interruption of the flow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 Figure 11b through the passage 340 of the water tank base 300 shown in Fig. 11d are can be coupled with the first chulsugu 230 and the bypass passage 260 of the water tank (20 1) of Fig. 10a, Fig. 11b to the water tank base 300 shown in Figure 11d shows that the production that can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water tank (20 1).
  • FIGS. 12A to 12D illustrate a stacked water tank system 2 'using a water tank support 300' and a water tank support 300 'in which the water tank support 300 of FIGS. 11A to 11D is partially modified.
  • the water tank support 300 'according to FIGS. 12A to 12D has a double layer structure of an upper support 300a' and a lower support 300b ', and the upper support 300a' and the lower support 300b '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 the upper support 300a' When lifting a plurality of water tanks 20 stacked on the water tank support 300 '(more specifically, the upper support 300a'), when the upper support 300a 'is lifted, the upper support 300a' A plurality of water tanks 20 stacked on the upper pedestal 300a 'together can be lifted together.
  • the lower pedestal 300b ' Since the upper and lower pedestals 300a 'and 300b'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lower pedestal 300b 'is separated from the upper pedestal 300a' and lifted up like the upper pedestal 300a ' And can be used to fix and support a plurality of water tanks 20 stacked below the lower pedestal 300b '. That is, a plurality of water tanks 20 stacked below the lower tier 300b 'are slightly impacted by lifting up a plurality of water tanks 20 stacked on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300a' and 300a ' The lower pedestal 300b 'of the lower pedestal 300b' fixes and supports a plurality of the water tanks 20 stacked below the lower pedestal 300b ' So that it can be stably transported and fixed.
  • the upper pedestal 300a 'and the lower pedestal 300b' are provided with convex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at portions where the upper pedestal 300a 'and the lower pedestal 300b' So that it can be stably bonded.
  • the upper pedestal 300a ' may further include a transport opening (not shown) through which a fork of the forklift or a hook of the crane can be insert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water tanks 20 can be easily moved.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in each of the upper pedestal 300a 'and the lower pedestal 300b', as the case may be.
  • the material of the water tank support 300 and 300 '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lastic, wood, metal, stainless steel, tempered glass, and combinations thereof.
  • the material of the plastic is PC (Polycarbonate), PP Polypropylene),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S (polystyrene), PVC (polyvinyl chloride), and combinations thereof. .
  •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sand, aquatic plants, spawning ground, etc. can be separately form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for each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quality and survival period of aquatic organisms by enabling various aquaculture environments for aquatic organisms to be established by breeding of various species of aquatic organisms in mixed breeding, and efficient use of space for breeding aquatic organisms And the management of aquatic organisms can be made easier.
  • bypass passage part 160a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 Blocking plates 2, 2 ', 2 " Laminated water tank system
  • 25a first type sub water tank 25b: second type sub water tank
  • 25c third type sub water tank 25d: fourth type sub water tank
  • first barrier rib 242 second barrier rib
  • bypass passage part 260a bypass passage partition wall
  • bypass passage opening portion 280 separating wal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생 생물의 양식이 가능한 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종의 수생 생물을 개별적으로 사육할 수 있도록 생태 환경을 보다 간편하게 조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수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본 출원은 2017.10.30.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10-2017-0142395호 및 10-2017-0142396 및 2017.12.19.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10-2017-0175466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수생 생물(水生生物)의 양식이 가능한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종의 수생 생물을 개별적으로 사육할 수 있도록 생태 환경을 조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양식기술의 발전으로 대상생물을 바다가 아닌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도심지 등의 통제된 시설 내에서 다양한 종의 수생 생물을 양식하는 개념의 양식방법도 등장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대형마트, 수산시장, 활어 시장에서는 소비자에게 어패류 등의 수생 생물을 판매할 목적으로 수조에 어패류를 혼합하여 사육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수조에서 수생 생물을 혼합 사육하는 경우, 사육되는 이종의 다수의 수생 생물들에게 종간 공간 경쟁에 의한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며, 때로는 동종 생물이나 이종 생물 간 공식(서로 잡아먹는 현상)으로 인한 사육 수생 생물의 손실을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조의 대부분은 1구획/1개 수조로 구성되어 하나의 구획에 다양한 종의 수생 생물을 혼합 사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가능하다면 사육수조의 공간을 구획하여 수생 생물을 관리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4-0072236호 및 제10-2011-0087683호에는 치어 및 성어를 보호하기 위한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크기의 어항에 분리막을 장착하여 어항의 내부공간을 복수 개의 구역을 분할하여 큰 물고기와 치어 및 성어를 격리시킴으로써, 안전하게 치어 및 성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신축되는 보호용 분리장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수생 생물간의 커뮤니티 문제 및 공식(서로 잡아먹는 현상), 집단 폐사를 방지하고 사육 생산성을 극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식이 요구된다. 이에 최소 단위(단독 사육 공간)의 수조를 여러 층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육 밀집도를 높이고, 생물 사육의 시작, 육성, 완료(생산)에 이르기까지 최상의 생태, 사육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또한, 적층식 수조 시스템을 보다 낮은 비용으로 제작하고, 유지 관리도 용이한 적층식 수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 및 수조 시스템에 따르면 최상단 수조로부터 최하단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통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수조를 여러 층으로 적재하는 경우, 수조 내부의 구조를 보다 간편하게 변경하거나 저수 공간의 수위를 보다 간편하게 조절하거나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보다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각 수조의 환경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또한, 수생 생물 및 수조의 유지 관리 및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러한 수조 내부의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복수 개로 적층된 수조 시스템에서 수생 생물의 유지 및 관리에 보다 유리한 급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면서도 수조의 제작 단가를 낮추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부면은 개구되고, 수생 생물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수조의 외부로 출수되는 출수구; 및
상기 출수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출수구가 위치한 부분으로 구획하는 이중 격벽으로서, 상기 이중 격벽은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출수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 1 격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 출수부에서 출수되어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제 2 격벽의 상단부를 넘어 상기 출수구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이중 격벽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바닥면이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수조의 출수구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상기 제 2 수조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우회 통로부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우회 통로부로 구획하는 우회 통로부 격벽과 상기 우회 통로부의 하부면의 우회 통로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의 높이는 상기 이중 격벽보다 높은, 상기 우회 통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적어도 세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적층된 제 1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중간에 적층된 제 2 수조의 우회 통로부를 통해, 하단에 적층된 제 3 수조로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제 1 수조의 출수구의 바로 아래에 상기 제 2 수조의 저수 공간이 위치하면 상기 제 1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 2 수조의 저수 공간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 1 수조의 출수구의 바로 아래에 상기 제 2 수조의 우회 통로부가 위치하면 상기 제 1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 2 수조의 우회 통로부를 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 및 상기 상부 출수부보다 높이 위치한 오버플로우 출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저수 공간의 하부면은 상기 출수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출수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제 1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제 2 경사면 및 제 3 경사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사면 및 제 3 경사면 각각은 상기 제 1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 및 상기 제 2 격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은 탈착 가능한 이중 격벽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이중 격벽이 끼워져 장착될 수 있는 오목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 각각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 및 상기 상부 출수부보다 높이 위치한 오버플로우 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 각각의 상기 하부 출수부의 크기가 상이하거나,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 각각의 상기 상부 출수부의 크기가 상이하거나,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 각각의 상기 오버플로우 출수부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 각각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 및 상기 상부 출수부보다 높이 위치한 오버플로우 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은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의 세트는 상기 상부 출수부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 각각의 높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벽은 복수 개의 제 2 격벽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복수 개의 제 2 격벽들의 세트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은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은 상기 이중 격벽 및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이 각각 장착될 수 있는 두 개의 장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상부에 개구된 형상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수조를 들어 이동키시거나 상기 저수 공간 내에 수생 생물의 생육을 위한 먹이, 사료, 시약 또는 약품을 투입할 수 있거나, 수생 생물에 대한 비상 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손잡이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 1 수조의 거치부는 하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수평 단면은 정다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수평 단면은 정사각형이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의 하나의 모서리에는 상기 출수구가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모서리에는 상기 우회 통로부 개구부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기 제 1 격벽, 및 상기 제 2 격벽의 재질은 각각 플라스틱, 투명 아크릴, 강화유리, 스테인리스스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의 재질은 각각 플라스틱, 투명 아크릴, 강화유리, 스테인리스스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의 재질은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S(Poly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를 복수 개로 적층식으로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으로서, 복수 개의 수조의 각각의 저수 공간에 상이한 환경이 조성되거나 상이한 종류의 수생 생물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하단의 아래에 위치하는 순환 수조로서, 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에서 출수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순환 수조; 상기 순환 수조의 내부 또는 상기 순환 수조의 부근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하단에 위치한 수조에서 출수되어 상기 순환 수조에서 여과된 물을 다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로 끌어올릴 수 있는 펌프; 및 상기 순환 수조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로 물을 공급하는 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및 상기 관에 의하여, 상기 순환 수조에서 여과된 물이 다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상단에 위치한 수조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내부 공간을 복수 개의 서브 수조로 구획할 수 있는 분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 각각은:
상부면은 개구되고, 수생 생물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수조의 외부로 출수되는 출수구; 및
상기 출수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출수구가 위치한 부분으로 구획하는 이중 격벽으로서, 상기 이중 격벽은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출수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 1 격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 출수부에서 출수되어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제 2 격벽의 상단부를 넘어 상기 출수구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이중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입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들의 단면은 각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상기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타입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들의 단면은 각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상기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우회 통로부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우회 통로부로 구획하는 우회 통로부 격벽과 상기 우회 통로부의 하부면의 우회 통로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의 높이는 상기 이중 격벽보다 높은, 상기 우회 통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입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들의 단면은 각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상기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우회 통로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우회 통로부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타입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들의 단면은 각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상기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우회 통로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우회 통로부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 각각의 단면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은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 및 이중 격벽과 대각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 및 상기 상부 출수부보다 높이 위치한 오버플로우 출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조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 1 수조의 거치부는 하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를 복수 개로 적층식으로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서브 수조의 저수 공간에 상이한 환경이 조성되거나 상이한 종류의 수생 생물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적층식 수조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을 지지할 수 있는 수조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 받침대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이 상기 수조 받침대 위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거치부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 받침대의 하부면은 수조 받침대의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거치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볼록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는 상기 수조 받침대 및 상기 수조 받침대 상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게차의 포크 또는 크레인의 후크를 삽입할 수 있는 운반용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는 상기 출수구 및 상기 우회 통로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출수구 및 상기 우회 통로부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복수 개의 통로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는 서로 분리 결합이 가능한 상부 받침대 및 하부 받침대의 2 중 레이어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상부 받침대는 상기 상부 받침대 위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고정 및 지지하고, 상기 하부 받침대는 하부 받침대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의 재질은 플라스틱, 목재, 금속, 스테인리스스틸, 강화 유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의 재질은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S(Poly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하단의 아래에 위치하는 순환 수조로서, 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에서 출수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순환 수조; 상기 순환 수조의 내부 또는 상기 순환 수조의 부근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하단에 위치한 수조에서 출수되어 상기 순환 수조에서 여과된 물을 다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로 끌어올릴 수 있는 펌프; 및 상기 순환 수조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로 물을 공급하는 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종의 수생 생물을 사육의 시작, 육성, 완료(생산)에 이르기까지 최소 단위의 수조에 개별적으로 해당 수생 생물에 대한 최상의 생태, 사육 환경을 효과적으로 조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육 공간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생 생물간의 커뮤니티 문제 및 공식(서로 잡아먹는 현상), 집단 폐사를 방지하고 사육 생산성을 극적으로 높일 수 있는 등, 유지 관리도 용이한 적층식 수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수조 및 수조 시스템에 따르면 별도의 급수관 및 배수관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의 제작 단가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수조를 복수 개로 적층식으로 적재하는 경우에, 적층식 수조 시스템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적층식 수조 시스템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도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 및 수조 시스템에 따르면 최상단 수조로부터 최하단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통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의 수조들이 적층되어 적층식 수조 시스템을 이루고 물이 최상단의 수조에 공급되어 최하단의 수조로 흐르는 경우이더라도, 우회 통로부를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수조 내의 저수 공간에 동일한 환경이 조성되거나 동일한 종류의 수생 생물을 가지는 수조들 간에만 급수 및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등 물이 흐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복수 개의 이중 격벽들을 탈착함으로써, 수조 내의 수위 및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더구나, 수조의 적재 방향을 바꾸지 않고도 간단히 이중 격벽과 격벽의 장착 위치만을 변경함으로써, 복수의 적층된 수조들 간의 물의 흐름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사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조를 복수 개를 두어 여러 층으로 적재한 적층식 수조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경우에, 수조 내부의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함으로써 적층식 수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수조 내에서도 수생 생물 의 생육 환경을 개별적으로 다양하게 조성할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수조 내에서도 다양한 종을 혼합 사육할 수 있어 수생 생물 및 수조의 유지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복수 개로 적층된 수조 시스템에서 수생 생물의 사육에 보다 유리한 급배수 구조를 구비하면서도 이러한 수조의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10) 또는 수조(10)의 요부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10) 또는 수조(10)의 요부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10) 또는 수조(10)의 요부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10) 또는 수조(10)의 요부를 도시한다.
도 9은 도 1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일 구현예를 사진으로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1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을 일부 변형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는 수조(20)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을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2') 및 이에 사용되는 수조 받침대(300)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11a 내지 도 11d의 수조 받침대(300)를 일부 변형한 수조 받침대(300') 및 수조 받침대(300')를 사용한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상부면은 개구되고, 수생 생물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수조의 외부로 출수되는 출수구; 및
상기 출수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출수구가 위치한 부분으로 구획하는 이중 격벽으로서, 상기 이중 격벽은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출수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 1 격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 출수부에서 출수되어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제 2 격벽의 상단부를 넘어 상기 출수구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이중 격벽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바닥면이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수조의 출수구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상기 제 2 수조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은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과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의 최하단의 아래에 위치하는 순환 수조(50)를 포함한다. 순환 수조(50)에서는, 수조(10)에서 출수된 물을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순환 수조(50)의 내부 또는 순환 수조(50)의 부근에는,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의 최하단에서 출수되어 순환 수조(50)에서 여과된 물을 다시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의 최상단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순환 수조로부터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의 최상단까지 물이 이동되어 수조(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관(도 9 참조)을 포함한다. 추가로,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의 최상부 수조의 위에 수조를 덮을 수 있는 덮개(미도시)가 마련되어 수조들이 덮개로 덮여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최상부 수조의 위에 또는 특정 수조의 근처에 조명(미도시)을 설치하여 수조 내부에서 사육되는 수생 생물에게 적절한 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조명으로서는, 백열등계열 광원, 방전등계열 광원, 반도체계열 광원, 형광계열 광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고 자연광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10) 및 수조(10)의 요부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된 수조(10)는 도 1의 적층식 수조 시스템(1)에 사용될 수 있다.
수조(10)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후술할 물과 수생 생물이 수용(저장)될 수 있는 저수 공간(100)을 포함한다. 도 2a에서는 하우징(110)이 정육면체인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수조(10)들이 적층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직육면체,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저수 공간(100) 및 하우징(110)은 양식되는 수생 생물의 종류나 개체 수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이 위치한 공간의 크기나 환경, 등의 다양한 요인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 및 부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부면은 개구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하부면에는 거치부(120)를 포함하고, 거치부(120)는 하부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하우징(110)의 측면보다 더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상부 수조의 거치부(120)는 하부 수조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수조(10)들이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이 수평 방향으로도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적층식 수조(10)들의 하우징(110)의 외벽에 수조(10)들을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가령, 하우징(110)의 외벽에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각각 구비하여, 어떤 하나의 수조의 볼록부에 다른 하나의 수조의 오목부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하우징(110)의 하부면의 일 모서리 부분이나 일 측면에는 저수 공간(100) 내부의 물이 하단의 수조로 출수될 수 있는 출수구(130)를 포함한다. 출수구(130)의 형상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의 하단부의 일 모서리에 위치되어 삼각형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나 사각형일 수도 있고, 수조(10)의 하단부의 일 변을 따라 개구된 형상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들의 출수구(130)들을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표기된 바와 같이, 최상단의 수조로부터 최하단의 수조로 물이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도 2a를 참조하면, 수조(10)는 출수구(13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출수구(130) 인접 부분으로부터 종방향으로(horizontally) 뻗은 이중 격벽(140)을 포함한다. 이중 격벽(140)은 하우징(110)의 내부를 가로질러 일체로 형성되어 출수구(130)가 위치한 부분과 수생 생물 및 물이 저장되는 부분을 구획한다. 이중 격벽(14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격벽(141)과 제 2 격벽(142)의 이중의 격벽들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제 1 격벽(141)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격벽(142)도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 1 격벽(141)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격벽(141)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부(141a), 제 1 격벽(14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141b), 및 상부 출수부(141b)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오버플로우 출수부(141c)를 구비한다. 제 2 격벽(142)은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격벽(141)과 출수구(130) 사이에 위치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격벽(141)의 하부 출수부(141a)에서 출수되는 물이 제 1 격벽(141)과 제 2 격벽(14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 후 제 2 격벽(142)의 상단부를 넘어 물이 출수구(130)를 향하여 떨어진다. 제 2 격벽(142)의 높이는 제 1 격벽(141)의 높이 보다는 낮고, 제 2 격벽(142)의 높이에 따라 저수 공간(100) 내에 저장될 수 있는 물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저수 공간(100) 내의 수생 생물 등으로 인하여 저수 공간(100) 내의 물의 표면에 유막 등이나 비중이 작은 부유물 등이 떠다닐 수 있는데, 이러한 유막이나 부유물은 제 1 격벽(141)의 상부 출수부(141b)를 통하여 출수구(13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출수부(141b)는 하부 출수부(141a)의 예비적인 출수부 역할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 출수부(141a)가 슬러지나 수생 생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막히게 되는 경우에 저수 공간(100) 내의 물이 상부 출수부(141b)를 통해 출수구(130)로 배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격벽(141)은 하부 출수부(141a) 및 상부 출수부(141b) 외에도, 오버플로우 출수부(141c)를 구비하고 있는데, 저수 공간(100)의 수위가 급격하게 높아지는 경우 오버플로우 출수부(141c)를 통하여서도 물이 출수될 수 있도록 하여, 물 또는 물과 함께 수생 생물이나 기타 저수 공간(100)에 설치된 구조물들이 제 1 격벽(141)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조(10)를 도 1과 같이 적층식으로 적재하여 적층식 수조 시스템(1)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바닥면(일 실시양태로서는, 제 1 수조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거치부(120))이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출수구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수조에 저장된 물을 제 2 수조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별도의 급수관 및 배수관이 없이도, 제 1 수조에 저장된 물을 제 2 수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10)의 하우징(110) 내부 공간에 이중 격벽(140)으로 저수 공간(100)과 출수구(130)이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급수관 및 배수관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수조(10)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제작 단가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수조(10)를 적층식으로 적재하는 경우에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되므로(즉, 별도의 급수관 및 배수관이 없어지는 만큼의 공간이 더 확보되므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유지 관리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도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조(10)의 저수 공간(100)의 하부면에는, 하부면 위에 위치하는 경사면(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해의 편의상, 도 4에서 하우징(110)의 측면은 도시하지 않았다. 경사면(150)은 출수구(130)로부터 연장되고 출수구(130)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제 1 경사면(150a)을 포함한다. 경사면(150)으로, 제 2 경사면(150b) 및 제 3 경사면(150c)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2 경사면(150b) 및 제 3 경사면(150c)은 제 1 경사면(150a)으로부터 연장되고 하우징(110)의 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구조이다. 제 1 경사면(150a)의 각도, 제 2 경사면(150b) 및 제 3 경사면(150c)의 각도는 저수 공간(100)내의 다양한 환경에 맞추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경사면(150)에 의하여, 수조(10) 내부의 수생 생물의 배설물 등의 슬러지가 중력 및 물의 흐름으로 경사면(150)을 따라 제 1 격벽(141)의 하부 출수구(141a)) 부근에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로서, 슬러지가 중력 및 물 흐름에 의해 제 2 경사면(150b) 및 제 3 경사면(150c)을 따라 제 1 경사면(150a)으로 이동되고, 제 1 경사면(150a)은 제 1 격벽(141)의 하부 출수부(141a) 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슬러지가 제 1 경사면(150a)을 따라 제 1 격벽(141)의 하부 출수부(141a)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 격벽(141)의 하부 출수부(141a) 부근으로 이동되는 슬러지는 하부 출수부(141a)를 통해 물과 함께 출수구(141)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경사면(150b) 및 제 3 경사면(150c)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제 1 경사면(150a) 쪽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슬러지가 모여지게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10) 및 수조(10)의 요부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수조(10)는 도 1의 적층식 수조 시스템(1)에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수조(10)의 하우징(110) 내부에는, 출수구(130)와 이중 격벽(140)이 위치한 부분과는 상이한 부분에, 즉 출수구(130)와 이중 격벽(140)이 위치한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부분에 우회 통로부(16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수조(10)의 수평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경우에, 하우징의 하부면의 하나의 모서리에는 출수구가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모서리에는 우회 통로부(160)의 개구부(160b)가 위치한다. 우회 통로부(160)는 수조(10) 내부에 설치된 우회 통로부 격벽(160a)과 수조(10)의 우회 통로부(160)의 하부면의 우회 통로부 개구부(160b)를 더 포함한다. 수조(10)의 하우징(110) 내부는, 우회 통로부 격벽(160a)에 의해 물과 수생 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100)과 우회 통로부(160)로 구분될 수 있다. 우회 통로부(160)는 우회 통로부 개구부(160b)를 포함하여 해당 수조의 상부의 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이 해당 수조의 저수 공간(100)으로 유입되지 않고 우회 통로부(160)를 지나 해당 수조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 수조로 공급되도록 한다.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의 높이는 이중 격벽(140)의 높이보다 높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 1 수조(10 1)의 출수구(130)로부터 출수된 물은 제 1 수조(10 1)의 하단에 위치한 제 2 수조(10 2)로 공급되고, 마찬가지로 제 2 수조(10 2)로 공급된 물은 제 2 수조(10 2)의 출수구(130)를 통해 제 2 수조(10 2)의 하단에 위치한 제 3 수조(10 3)로 공급될 수 있다. 도 5c에서, i 번째 수조(10 i)의 세부 구성요소인 저수 공간(100), 출수구(130), 우회 통로부(160)에 대한 도면 번호는 이해의 편의상 도면에 표기를 생략한다.
한편, 제 3 수조(10 3)의 출수구(130)의 바로 아래에 제 4 수조(10 4)의 우회 통로부(160)가 위치하게 되면, 제 3 수조(10 3)의 출수구(130)로부터 출수된 물은 제 4 수조(10 4)의 물과 수생 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100)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 4 수조(10 4)의 우회 통로부(160)를 지나, 제 4 수조(10 4)의 아래에 위치한 제 5 수조(10 5)로 공급된다. 이 때, 제 4 수조(10 4)의 우회 통로부(160)의 개구부(160b) 바로 아래에 제 5 수조(10 5)의 우회 통로부(160)가 위치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제 4 수조(10 4)의 우회 통로부(160)에서 흘러내린 물은 제 5 수조(10 5)의 저수 공간(100)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 5 수조(10 5)의 우회 통로부(160)를 지나 제 6 수조(10 6)로 공급된다.
제 6 수조(10 6)의 우회 통로부(160)의 바로 아래에, 제 7 수조(10 7)의 우회 통로부(160)가 위치하지 않고 제 7 수조(10 7)의 물과 수생 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100)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수조(10 3)의 출수구(130)로부터 출수된 물이 제 4 수조 내지 제 6 수조(10 4, 10 5, 10 6)의 물과 수생 식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100)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 4 수조 내지 제 6 수조의 우회 통로부(160)를 지나 제 7 수조(10 7)로 직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 4 수조(10 4)의 저수 공간(100)으로 공급될 물은 제 1 수조의 우회 통로부(160)로 공급하여 제 2 수조 및 제 3 수조의 우회 통로부들(160)을 지나 제 4 수조(10 4)의 저수 공간(1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정리하면, 도 5c에서 실선으로 표기된 화살표는 출수구(130)들을 통해 다음 하부의 수조의 내부공간(100)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다. 또한, 점선으로 표기된 화살표는 수조의 우회 통로부(160)들을 통해 흐르는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수조(100)의 외부로 물이 흐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도 5c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상단 수조와 하단 수조의 우회 통로부(160)들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최상단 수조로부터 최하단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통로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수 공간(100)에 동일한 환경이 조성되거나 동일한 종류의 수생 생물을 가지는 수조들끼리는 출수구(130)로 물이 이동되도록 하고, 다른 환경이 조성되거나 다른 종류의 수생 생물을 가지는 수조들이 상단에 위치하여 상단의 수조(10)로부터는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단의 수조의 출수구(130) 바로 아래에 우회 통로부(160)를 두어 하단의 수조로 물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5c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다른 수생 생물에 비하여 질병의 우려가 높거나 보다 까다로운 환경 조건을 요하는 수생 생물을 제 4 수조 내지 제 6 수조(10 4, 10 5, 10 6)에 수용한 경우에 제 4 수조 내지 제 6 수조(10 4, 10 5, 10 6)의 적재 방향만을 바꾸어, 다른 수조(10 1, 10 2, 10 3)의 출수구(130)로부터 출수된 물이 해당 수생 생물이 수용된 수조(10 4, 10 5, 10 6)의 저수 공간(100)으로 들어가지 않고 우회 통로부(160)를 통해 흘러가게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의 수평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에, 배수 라인이 두 개(즉, 출수구(130) 및 우회 통로부(160)의 개구부(160b))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수조(10)의 수평 단면이 육각형이거나 팔각형일 수도 있고, 원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육각형인 경우인 배수 라인을 3 개 둘 수도 있고, 팔각형인 경우에는 배수 라인을 4 개 둘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도 6a 내지 도 6e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10) 및 수조(10)의 요부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수조(10)는 도 1의 적층식 수조 시스템(1)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된 수조(10)는 이중 격벽(140)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중 격벽(140)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경우의 수조(10)의 상면도를 도시하는 도 6a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내벽에는 이중 격벽(140)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1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10a)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벽에, 이중 격벽(140)이 끼워질 수 있는 오목부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벽 중 하부면에도 오목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장착부(110a)의 형상이나 이중 격벽(140)이 탈착되는 방식에 관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중 격벽(140)은 제 1 격벽(141)과 제 2 격벽(142)의 쌍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탈착이 가능할 수도 있고, 제 1 격벽(141) 만이 탈착이 가능할 수도 있고, 제 2 격벽(142) 만이 탈착이 가능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도 6a의 이중 격벽(140)은 제 1 격벽(141)과 제 2 격벽(142)으로 이루어져 있는데(도 2a 내지 도 4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격벽(141)과 제 2 격벽(142) 사이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 제 1 격벽(141)의 하부 출수부(141a) 및/또는 상부 출수부(141b)에서 출수된 물이 제 1 격벽(141)과 제 2 격벽(142) 사이의 공간으로 흘러 제 2 격벽(142) 위로 넘어가 출수구(130)로 배출된다. 제 1 격벽(141)과 제 2 격벽(142) 사이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도 제 1 격벽(141)과 제 2 격벽(142)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격벽(141) 및 제 2 격벽(142) 사이에 제 1 격벽(141) 및 제 2 격벽(142) 중 하나에는 돌기가 있고 다른 하나에는 홈이 있어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 때, 제 1 격벽(141) 및 제 2 격벽(142)은 서로 탈착이 가능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도 6b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탈착이 가능한 이중 격벽(140) 중 제 1 격벽(141)을 도시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 1 격벽(141)의 종류를 도 6c 내지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가령,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격벽(141)을 높이를 다양하게 하거나,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격벽(141)의 상부 출수부(140a)의 높이가 다양한 제 1 격벽(141)을 복수 개로 제작한 다음, 수조(10) 내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환경에 맞는 제 1 격벽(141)을 장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중 격벽(140) 중 제 2 격벽(142)도 도 6c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높이를 다양하게 하여 복수 개로 제작한 다음, 수조(10) 내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환경에 맞는 제 2 격벽(142)을 장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수 공간(100) 내의 원하는 수위에 맞는 제 2 격벽(142) 또는 제 1 격벽(141)을 선택하여 수조(10) 내에 장착할 수 있다. 또는,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격벽(140)을 복수 개로 제작하는 한편, 이중 격벽(140)의 상부 출수부(140a)의 크기를 복수 개의 이중 격벽(140)들 간에 서로 다르게 다양하게 제작하여, 출수구(130)로 출수되는 물의 원하는 유량에 따른 이중 격벽(140)을 바꾸어 가며 장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출수부(140b) 또는 오버 플로우 출수부(140c)의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저수 공간(100) 내부를 원하는 수위를 조절한다든지, 출수되는 물의 유량 조절한다든지, 등의 수조(10) 내의 환경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6c 내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이중 격벽(140)들을 바꾸어가며 수조(10)에 장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10) 및 수조(10)의 요부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수조(10)는 도 1의 적층식 수조 시스템(1)에 사용될 수 있다.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중 격벽(140) 및 우회 통로부 격벽(160a) 각각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b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탈착이 가능한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을 도시한다. 탈착 가능한 이중 격벽(140)에 관한 도면 및 그에 관한 설명은 도 6a 내지 도 6e 및 그에 관한 설명을 참조한다.
이중 격벽(140) 및 우회 통로부 격벽(160a) 각각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경우의 수조(10)의 상면도를 도시하는 도 7a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내벽의 한 변의 양 모서리에는, 이중 격벽(140)과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이 장착될 수 있는 두 개의 장착부(110a)들을 더 포함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10a)들 각각은 하우징(110)의 내벽에 이중 격벽(140) 및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이 장착될 수 있는 오목부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벽 중 하부면에도 오목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장착부(110a)들 중 하나의 장착부(110a)에는 이중 격벽(140)을 끼워 장착하고, 다른 하나의 장착부(110a)에는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을 끼워 장착할 수 있다. 장착부(110a)의 형상이나 이중 격벽(140) 및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이 탈착되는 방식에 관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이중 격벽(140)과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에, 이중 격벽(140)과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이 장착된 수조(10)에서 이중 격벽(140)과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을 빼내어 이중 격벽(140)과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이 장착되었던 위치를 서로 변경하여 이중 격벽(140)과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을 다시 장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수조(10)가 적재된 방향을 바꾸지 않고도, 간단히 이중 격벽(140)과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의 장착 위치만을 서로 변경하여 도 5c에 도시된 물의 흐름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 부연하면, 상술한 도 5c의 경우에서 제 3 수조(10 3)의 이중 격벽(140 3)과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이 장착되었던 위치만을 서로 변경함으로써, 제 3 수조(10 3)의 적재 방향을 바꾸지 않고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흐름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10) 및 수조(10)의 요부를 도시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작업자가 수조(10)를 들어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로서, 손잡이부(170)는 하우징(110)의 측면 상부(예를 들면, 하우징(110)의 저수 공간(100)에 수용될 수 있는 물의 수위보다 높은 부분)에 구비되는 개구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손잡이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작업자는 손잡이부(170)에 손을 넣어 수조(10)를 들어 이동시킬 수도 있고 손잡이부(170)에 지게차의 포크나 크레인의 후크를 삽입하여 수조(10)를 들어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부(170)가 위와 같이 개구부의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손잡이부(170)를 통하여 저수 공간(100) 내에 수생 생물의 양식에 필요한 먹이, 사료, 시약이나 약품을 투입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부(170)를 통하여 비상시의 조치(가령, 죽은 수생 생물의 사체 수거, 등)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10)의 외벽에 오목부나 볼록부를 두어 손잡이부(170)로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70)가 개구부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하우징(100)에는 개구된 손잡이부(170)를 막을 수 있는 막음판(17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평상시에는, 막음판(171)으로 개구된 손잡이부(170)를 닫아두어 저수 공간(100) 내의 수생 생물이 개구된 손잡이부(170)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막음판(171)을 설치함으로써, 수조(10) 내의 외부로의 열 손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음판(171')을 변형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8b의 경우에 막음판(171')의 상부의 양측은 원통형의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단면이 “U” 자형인 오목부에 결합될 수 있고 막음판(171')의 본체부분은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개구된 손잡이부(170)가 막음판(171')으로 닫혀 있더라도 작업자가 개구된 손잡이부(170) 내로 손이나 손가락 등으로 막음판(171')의 본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수조(10)를 구성하는 하우징(110), 거치부(120), 이중 격벽(140), 우회 통로부 격벽(160a)의 재질은 플라스틱, 투명 아크릴, 강화유리, 스테인리스스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면, Polycarbonate(PC), Polypropylene(PP), Low-density polyethylene(LDPE), High-density polyethylene(HDP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Polystyrene(PS), Polyvinyl chloride(PV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작업자가 수조(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하우징(110)이나 거치부(120)가 강화유리인 경우에는, 적층된 상부 수조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은 도 1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의 일 구현예를 사진으로 도시한다.
도 10a은 도 1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1)을 일부 변형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는 수조(20)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20)는 내부 공간을 복수 개의 서브 수조들로 구획하는 분리벽(280)을 포함한다. 수조(20)의 내부 공간은 분리벽(280)에 의하여 복수 개로 구획되어, 복수 개의 서브 수조들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복수 개의 저수 공간(200)들을 포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수조(20)의 내부 공간은 하나의 분리벽(280)에 의하여 2 개로 구획되고, 분리벽(28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위치한 2 개의 서브 수조(25)들을 포함한다.
서브 수조(25) 각각은 저수 공간(200) 내부의 물이 하단의 수조로 출수될 수 있는 출수구(230)를 포함하고, 출수구(23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출수구(230)에 서 종방향으로(horizontally) 뻗은 이중 격벽(240)을 포함한다. 이중 격벽(240)은 서브 수조(25)의 내부 공간을 출수구(230)가 위치한 부분과 수생 생물 및 물이 저장되는 부분으로 구획한다. 이중 격벽(240)은 일 실시양태로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격벽(141)과 제 2 격벽(142)의 이중의 격벽들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지만, 다른 실시양태로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격벽(242)은 도 2a의 제 2 격벽(142)을 일부 변형하여,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즉,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 형상)이어서 제 2 격벽(142) 내부의 단면은 출수구(230)의 형상에 일치할 수도 있다. 제 1 격벽(241)은 도 2a의 제 1 격벽(141)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고, 또한, 서브 수조(25)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격벽(242)도 서브 수조(25)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서브 수조(25) 각각은 우회 통로부(260)를 더 포함한다. 우회 통로부(260)는 우회 통로부 개구부(260b)를 포함하여 해당 서브 수조의 상부에 위치한 서브 수조로부터 공급된 물이 해당 서브 수조의 저수 공간(200)으로 유입되지 않고 우회 통로부(260)를 지나 해당 서브 수조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 서브 수조로 공급되도록 한다. 우회 통로부 격벽(260a)은 일 실시양태로서 도 5a의 우회 통로부 격벽(160a)과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고, 다른 실시양태로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상(즉, 내부가 비어 있는 기둥 형상)이어서 우회 통로부 격벽(260a) 내부의 단면은 우회 통로부 개구부(260b)의 형상에 일치할 수도 있다. 우회 통로부 격벽(260a)도 서브 수조(25)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수조(20)는 수조의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거치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서브 수조(25)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에 관한 설명은 도 2a 내지 도 6b 및 이에 관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조(20)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수조(20)들을 적층하는 경우에(예를 들어, 제 1 수조(20 1)를 제 2 수조(20 2)의 상단에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20 1)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20 2)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과 최대한 멀리 위치한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서브 수조들을 포함하고 서브 수조의 단면이 직사각형(정사각형을 포함)인, 수조(20)의 경우에, 제 1 수조(20 1)의 전방에 위치한 서브 수조(25a)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20 2)의 전방에 위치한 서브 수조(25b)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과 대각선으로 위치하고, 제 1 수조(20 1)의 후방에 위치한 서브 수조(25c)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20 2)의 후방에 위치한 서브 수조(25d)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과 대각선으로 위치한다. 제 1 수조(20 1)를 제 2 수조(20 2)의 적층 순서를 반대로 하여도, 마찬가지로, 상단에 위치한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하단에 위치한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과 대각선으로 위치한다.
도 10a의 예시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조(20)는 크게 두 가지의 타입의 수조들, 즉 제 1 수조(20 1) 및 제 2 수조(20 2)로 구현될 수 있고, 제 1 수조(20 1) 및 제 2 수조(20 2) 각각은 2 개의 서브 수조들을 구비하므로, 서브 수조들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4 가지 타입의 서브 수조들(25a, 25b, 25c, 25d)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제 1 수조(20 1)의 경우, 분리벽(280)을 기준으로 분리벽(280)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와 분리벽(280)의 후방에 위치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위치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의 각각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분리벽(280)을 사이에 두고 분리벽(28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의 경우 좌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이 위치하고,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의 경우 좌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의 각각의 우회통로부(260)는 예를 들면, 일 실시양태로서, 분리벽(280)을 사이에 두고 분리벽(280)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의 경우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우회통로부(260)가 위치하고,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의 경우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우회통로부(26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의 각각의 우회통로부(260)의 위치는 본 발명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급배수 시스템의 우회통로부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 내의 다른 모서리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 2 수조(20 2)의 경우, 분리벽(280)을 기준으로 분리벽(280)의 전방에 위치한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와 분리벽(280)의 후방에 위치한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를 포함하는 제 2 수조(20 2)의 경우, 각각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를 포함하는 제 1 수조(20 1)의 경우와 달리, 분리벽(280)으로부터 이격되어 포함하는 제 2 수조(20 2)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의 경우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이 위치하고,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의 경우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이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과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고,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은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a)의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과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를 포함하는 제 1 수조(20 1)를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를 포함하는 제 2 수조(20 2)의 상단에 적층하는 경우에, 상단에 적층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와 하단에 적층된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는 급배수 기능을 하는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이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상단에 적층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와 하단에 적층된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는 급배수 기능을 하는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이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단에서 급수되는 물이 하단의 수조로 곧바로 출수되지 않고 가능한 한 최대로 저수 공간(200)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를 포함하는 제 1 수조(20 1)를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를 포함하는 제 2 수조(20 2)의 하단에 적층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상단에서 급수된 물이 하단의 수조로 곧바로 출수되지 않고 가능한 한 최대한 저수 공간(200)에 머무를 수 있을 수 있게 된다.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의 각각의 우회통로부(260)는 예를 들면, 일 실시양태로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리벽(280)을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으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의 경우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우회통로부(260)가 위치하고,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의 경우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우회통로부(260)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의 각각의 우회통로부(260)의 위치는 본 발명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급배수 시스템의 우회통로부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내의 다른 모서리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내부 공간이 복수 개의 서브 수조들로 구획된 수조(20)를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10a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크게 두 가지의 타입의 수조들, 즉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를 포함하는 제 1 수조(20 1) 및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를 포함하는 제 2 수조(20 2)에 해당하는 금형만을 제작한 후, 제 1 수조(20 1) 및 제 2 수조(20 2)들을 복수 개로 제작하여 후술할 도 10c에 도시된 적층식 수조 시스템(2) 또는 도 11a에 도시된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두 가지의 금형 제작만으로도 복수 개의 서브 수조들로 구획된 수조(20)를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2, 2')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제작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수조(20), 즉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를 포함하는 제 1 수조(20 1)와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25b)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를 포함하는 제 2 수조(20 2)의 각각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수조(20)를 적층한 경우를 도시하고, 복수 개의 수조(20)들이 적층된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의 기타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은 도 2a 내지 도 6b 및 이에 관한 상기의 적층식 수조 시스템(1)에 관한 설명을 참조한다.
복수 개의 서브 수조들을 포함하는 수조(20)에 대하여 본 발명은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내용과 이에 관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에 적층된 서브 수조와 하부에 적층된 서브 수조 간에 급배수 구조가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등으로 최대한 멀리 위치하는 것이면 충분하고, 수조(20)의 내부에 구획되는 서브 수조의 개수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도 있고, 서브 수조의 단면의 형상을 원형이나 정육각형 등으로 변형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출수구(230) 및 이중 격벽(240), 및 우회통로부(260)의 위치를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변경이 가능하다.
가령, 도 10a에 도시된 경우와 정반대로, 제 1 수조(20 1)의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25a)에서는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제 1 수조(20 1)의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25c)에서는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는 한편, 제 2 수조(20 2)의 제 3 타입 서브 수조(25b)에서는 좌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제 2 수조(20 2)의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25d)는 좌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1a는 도 10a에 도시된 수조(20)를 복수 개 적층한 경우를 일부 변형하여 구현한 경우의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을 도시한다.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은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지지하는 수조 받침대(300)를 더 포함하고, 수조 받침대(300)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수조(20)들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1b는 도 11a의 적층식 수조 시스템(2')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수조 받침대(300)를 도시한다. 도 11c는 도 11b의 수조 받침대(300) 정면도이고, 도 11d는 수조 받침대(300)의 상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수조 받침대(300)의 상부면은 복수 개의 수조(20)들이 수조 받침대(300) 위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수조(20)의 거치부(220, 도 10a 참조)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오목부들(310)을 포함한다. 또한, 수조 받침대(300)의 하부면은 수조 받침대(300)의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수조(20)의 거치부(22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볼록부들(320)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오목부들(310) 및 복수 개의 볼록부들(32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환경, 예를 들면 수조(20)의 크기, 수조(20)의 개수,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이 설치되는 공간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수조 받침대(300)는 수조 받침대(300) 및 수조 받침대(300) 상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게차의 포크나 크레인의 후크를 삽입할 수 있는 운반용 개구부(330)를 포함한다. 운반용 개구부(330)는 수조 받침대(3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는 형상의 개구부일 수 있고, 이러한 운반용 개구부(330)는 적어도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게차의 포크나 크레인의 후크 운반용 개구부(330)에 결합하여 수조 받침대(300)를 들어올림으로써, 보다 많은 개수의 수조(20)들을 한번에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11d를 참조하면, 수조 받침대(300)는 복수 개의 수조(20)들의 출수구(230) 및 우회통로부(260)와 연결될 수 있고 출수구(230) 및 우회통로부(260)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복수 개의 통로부(340)를 더 포함한다. 통로부(340)의 단면의 형상은 출수구(230) 및 우회통로부의 개구부(260a)와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a에 도시된 적층식 수조 시스템(2')에서 복수 개의 적층된 수조(20)들의 중간에 수조 받침대(300)가 위치하더라도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의 최상부에 위치한 수조에 공급된 물이 적층식 수조 시스템(2')의 최하부에 위치한 수조로 급배수의 흐름이 단절되지 않고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1b 내지 도 11d에 도시된 수조 받침대(300)의 통로부(340)들은 도 10a의 제 1 수조(20 1)의 출수구(230) 및 우회통로부(260)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 11b 내지 도 11d에 도시된 수조 받침대(300)는 제 1 수조(20 1)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는 것으로 제작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수조 받침대(300)의 통로부(340)들을 제 2 수조(20 2)의 출수구(230) 및 우회통로부(26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것으로 변형하여 제작하고 이를 제 2 수조(20 2)의 아래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도 11a 내지 도 11d의 수조 받침대(300)를 일부 변형한 수조 받침대(300') 및 수조 받침대(300')를 사용한 적층식 수조 시스템(2')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d에 따른 수조 받침대(300')는 상부 받침대(300a') 및 하부 받침대(300b')의 2 중 레이어 구조로 되어 있고, 상부 받침대(300a') 및 하부 받침대(300b')는 서로 결합 분리가 가능하다. 수조 받침대(300')(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받침대(300a')) 위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들어올려 이동시키려는 경우에, 상부 받침대(300a')를 들어올리면 상부 받침대(300a')와 함께 상부 받침대(300a') 위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이 같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 때, 상부 받침대(300a') 및 하부 받침대(300b')는 서로 분리가 가능하므로, 하부 받침대(300b')는 상부 받침대(300a')로부터 분리되어 상부 받침대(300a')와 같이 들어올려지지 않고, 하부 받침대(300b')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부 받침대(300a') 및 상부 받침대(300a')위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하부 받침대(300b')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에 다소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하부 받침대(300b') 하부 받침대(300b')가 하부 받침대(300b')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고정 및 지지하고 있으므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다시 하부 받침대(300b')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운반하는 경우에, 복수 개의 수조(20)들 아래에 위치한 또 다른 상부 받침대(300a')를 들어 올리더라도, 복수 개의 수조(20)들 위에 상기 하부 받침대(300b')가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고정 및 지지하고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상부 받침대(300a')와 하부 받침대(300b')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각각 볼록부들 및 오목부들을 구비하여, 상부 받침대(300a')와 하부 받침대(300b')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부 받침대(300a')에 복수 개의 수조(20)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게차의 포크나 크레인의 후크를 삽입할 수 있는 운반용 개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부 받침대(300a')와 하부 받침대(300b') 각각에 운반용 개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조 받침대(300, 300')의 재질은 플라스틱, 목재, 금속, 스테인리스스틸, 강화 유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플라스틱의 재질은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S(Poly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식 수조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수조 별로 다양하게 저수 공간에 모래, 수초, 산란장, 등의 환경을 개별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다양한 종의 수생 생물의 혼합 사육시, 종별 구획 사육으로 수생 생물 별 다양한 양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여, 수생 생물의 품질 및 생존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수생 생물을 사육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수생 생물의 관리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부호의 설명]
1: 적층식 수조 시스템 10: 수조
50: 순환 수조 100: 저수 공간
110: 하우징 110a: 장착부
120: 거치부 130: 출수구
140: 이중 격벽 150: 경사면
160: 우회 통로부 160a: 우회 통로부 격벽
160b: 우회 통로부 개구부 170: 손잡이
171: 막음판 2, 2', 2”: 적층식 수조 시스템
20: 수조 25: 서브 수조
25a: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 25b: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
25c: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 25d: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
200: 저수 공간 220: 거치부
230: 출수구 240: 이중 격벽
241: 제 1 격벽 242: 제 2 격벽
260: 우회 통로부 260a: 우회 통로부 격벽
260b: 우회 통로부 개구부 280: 분리벽
300, 300': 수조 받침대

Claims (42)

  1. 수조에 있어서:
    상부면은 개구되고, 수생 생물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수조의 외부로 출수되는 출수구; 및
    상기 출수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출수구가 위치한 부분으로 구획하는 이중 격벽으로서, 상기 이중 격벽은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출수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 1 격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 출수부에서 출수되어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제 2 격벽의 상단부를 넘어 상기 출수구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이중 격벽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바닥면이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수조의 출수구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상기 제 2 수조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직접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우회 통로부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우회 통로부로 구획하는 우회 통로부 격벽과 상기 우회 통로부의 하부면의 우회 통로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의 높이는 상기 이중 격벽보다 높은, 상기 우회 통로부를 더 포함하는, 수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세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적층된 제 1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중간에 적층된 제 2 수조의 우회 통로부를 통해, 하단에 적층된 제 3 수조로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제 1 수조의 출수구의 바로 아래에 상기 제 2 수조의 저수 공간이 위치하면 상기 제 1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 2 수조의 저수 공간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 1 수조의 출수구의 바로 아래에 상기 제 2 수조의 우회 통로부가 위치하면 상기 제 1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제 2 수조의 우회 통로부를 지나는, 수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 및 상기 상부 출수부보다 높이 위치한 오버플로우 출수부를 더 포함하는, 수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공간의 하부면은 상기 출수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출수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제 1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수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경사면 및 제 3 경사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사면 및 제 3 경사면 각각은 상기 제 1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수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 및 상기 제 2 격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은 탈착 가능한 이중 격벽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수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이중 격벽이 끼워져 장착될 수 있는 오목부의 형상을 갖는, 수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 각각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 및 상기 상부 출수부보다 높이 위치한 오버플로우 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 각각의 상기 하부 출수부의 크기가 상이하거나,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 각각의 상기 상부 출수부의 크기가 상이하거나,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 각각의 상기 오버플로우 출수부의 크기가 상이한, 수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 각각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 및 상기 상부 출수부보다 높이 위치한 오버플로우 출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은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의 세트는 상기 상부 출수부의 높이가 상이한, 수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복수 개의 제 1 격벽들 각각의 높이가 서로 상이한, 수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벽은 복수 개의 제 2 격벽들의 세트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복수 개의 제 2 격벽들의 세트의 높이가 상이한, 수조.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은 상기 하우징에 탈착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은 상기 이중 격벽 및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이 각각 장착될 수 있는 두 개의 장착부들을 포함하는, 수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상부에 개구된 형상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수조를 들어 이동키시거나 상기 저수 공간 내에 수생 생물의 생육을 위한 먹이, 사료, 시약 또는 약품을 투입할 수 있거나, 수생 생물에 대한 비상 조치가 가능한, 수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손잡이부로 마련된, 수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 1 수조의 거치부는 하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는, 수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수평 단면은 정다각형 또는 원형인, 수조.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수평 단면은 정사각형이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의 하나의 모서리에는 상기 출수구가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모서리에는 상기 우회 통로부 개구부가 위치하는, 수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기 제 1 격벽, 및 상기 제 2 격벽의 재질은 각각 플라스틱, 투명 아크릴, 강화유리, 스테인리스스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수조.
  2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의 재질은 각각 플라스틱, 투명 아크릴, 강화유리, 스테인리스스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수조.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 중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의 재질은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S(Poly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수조.
  23.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조를 복수 개로 적층식으로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으로서, 복수 개의 수조의 각각의 저수 공간에 상이한 환경이 조성되거나 상이한 종류의 수생 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하단의 아래에 위치하는 순환 수조로서, 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에서 출수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순환 수조;
    상기 순환 수조의 내부 또는 상기 순환 수조의 부근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하단에 위치한 수조에서 출수되어 상기 순환 수조에서 여과된 물을 다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로 끌어올릴 수 있는 펌프; 및
    상기 순환 수조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로 물을 공급하는 관을 더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및 상기 관에 의하여, 상기 순환 수조에서 여과된 물이 다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상단에 위치한 수조로 공급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26. 수조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내부 공간을 복수 개의 서브 수조로 구획할 수 있는 분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 각각은:
    상부면은 개구되고, 수생 생물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수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수조의 외부로 출수되는 출수구; 및
    상기 출수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출수구가 위치한 부분으로 구획하는 이중 격벽으로서, 상기 이중 격벽은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출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출수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격벽의 높이는 상기 제 1 격벽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저수 공간의 물이 상기 제 1 격벽의 하부 출수부에서 출수되어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제 2 격벽의 상단부를 넘어 상기 출수구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이중 격벽을 포함하는, 수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입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들의 단면은 각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상기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는, 수조.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타입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들의 단면은 각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상기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상기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는, 수조.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 각각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한 우회 통로부로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저수 공간과 상기 우회 통로부로 구획하는 우회 통로부 격벽과 상기 우회 통로부의 하부면의 우회 통로부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회 통로부 격벽의 높이는 상기 이중 격벽보다 높은, 상기 우회 통로부를 더 포함하는, 수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타입 및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들의 단면은 각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상기 제 1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우회 통로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 3 타입의 서브 수조는 좌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우회 통로부가 위치하는, 수조.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분리벽의 전방에 위치한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와 상기 분리벽의 후방에 위치한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타입 및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들의 단면은 각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상기 제 2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우회 통로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 4 타입의 서브 수조는 우측 후방의 모서리에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이 위치하고 우측 전방의 모서리에 우회 통로부가 위치하는, 수조.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수조 각각의 단면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고,
    적어도 두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위치한 제 1 수조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 및 이중 격벽은 하부에 위치한 제 2 수조의 각각의 서브 수조에서의 출수구 및 이중 격벽과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수조.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제 1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출수부 및 상기 상부 출수부보다 높이 위치한 오버플로우 출수부를 더 포함하는, 수조.
  34.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보다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의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수조들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부에 적층되는 제 1 수조의 거치부는 하부에 적층되는 제 2 수조의 개구된 상부면에 결합되는, 수조.
  35. 제 26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조를 복수 개로 적층식으로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서브 수조의 저수 공간에 상이한 환경이 조성되거나 상이한 종류의 수생 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식 수조 시스템은 복수 개의 수조들을 지지할 수 있는 수조 받침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조 받침대의 상부면은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이 상기 수조 받침대 위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거치부가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오목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 받침대의 하부면은 수조 받침대의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거치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볼록부들을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는 상기 수조 받침대와 상기 수조 받침대 상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게차의 포크 또는 크레인의 후크를 삽입할 수 있는 운반용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는 상기 출수구 및 상기 우회 통로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출수구 및 상기 우회 통로부로부터 출수되는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인 복수 개의 통로부들을 더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는 서로 분리 결합이 가능한 상부 받침대 및 하부 받침대의 2중 레이어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상부 받침대는 상기 상부 받침대 위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고정 및 지지하고, 상기 하부 받침대는 하부 받침대 아래에 적층된 복수 개의 수조들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받침대의 재질은 플라스틱, 목재, 금속, 스테인리스스틸, 강화 유리,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적층식 수조 시스템.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의 재질은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LDPE(Low-density polyethylene),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S(Polystyrene), PVC(Polyvinyl chlor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적층식 수조 시스템.
  42.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하단의 아래에 위치하는 순환 수조로서, 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에서 출수된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순환 수조;
    상기 순환 수조의 내부 또는 상기 순환 수조의 부근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의 최하단에 위치한 수조에서 출수되어 상기 순환 수조에서 여과된 물을 다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로 끌어올릴 수 있는 펌프; 및
    상기 순환 수조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수조들로 물을 공급하는 관을 더 포함하는, 적층식 수조 시스템.
PCT/KR2018/012057 2017-10-30 2018-10-12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WO201908849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396A KR101898818B1 (ko) 2017-10-30 2017-10-30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KR10-2017-0142396 2017-10-30
KR1020170142395A KR102053500B1 (ko) 2017-10-30 2017-10-30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KR10-2017-0142395 2017-10-30
KR1020170175466A KR102089841B1 (ko) 2017-12-19 2017-12-19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KR10-2017-0175466 2017-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497A1 true WO2019088497A1 (ko) 2019-05-09

Family

ID=6633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2057 WO2019088497A1 (ko) 2017-10-30 2018-10-12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08849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831Y1 (ko) * 2002-08-23 2002-11-29 이건 이.씨.엠 주식회사 양어용 수조
JP4098794B2 (ja) * 2005-08-09 2008-06-11 学校法人西沢学園 水槽
KR20140101057A (ko) * 2013-02-07 2014-08-19 박송범 적층식 해삼 양식장치
KR101483606B1 (ko) * 2014-06-05 2015-01-19 대한민국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KR20160114827A (ko) * 2015-03-25 2016-10-06 공백렬 활어 수조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어 수조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831Y1 (ko) * 2002-08-23 2002-11-29 이건 이.씨.엠 주식회사 양어용 수조
JP4098794B2 (ja) * 2005-08-09 2008-06-11 学校法人西沢学園 水槽
KR20140101057A (ko) * 2013-02-07 2014-08-19 박송범 적층식 해삼 양식장치
KR101483606B1 (ko) * 2014-06-05 2015-01-19 대한민국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KR20160114827A (ko) * 2015-03-25 2016-10-06 공백렬 활어 수조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활어 수조 세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606B1 (ko)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KR20140022524A (ko) 자동 부침식 다층 적재형 복합 가두리 양식 장치
Hamner Design developments in the planktonkreisel, a plankton aquarium for ships at sea
WO2019088497A1 (ko)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US9155288B1 (en) Fish tank with a function of discharging waste water from a bottom thereof
JP2005508644A (ja) 水生生物の養殖用水路
JP2012075359A (ja) 孵化装置
US20230033944A1 (en) Integrated coral cultivation system
WO2017142340A1 (ko)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
KR101898818B1 (ko)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WO2015186978A1 (ko)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KR20190074087A (ko)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JP3215559U (ja) 養殖水槽
JP6216725B2 (ja) 浮上槽及び仔稚魚管理方法
WO2020022542A1 (ko) 셔틀 장치를 사용하는 적층형 스마트 양식 개체사육 수조 시스템
KR101898817B1 (ko)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US5568790A (en) Worm trap for a breeding tank assembly
KR101718360B1 (ko)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
KR20190047975A (ko) 수조 및 적층식 수조 시스템
CN215188838U (zh) 一种沙蚕养殖装置
CN105706988A (zh) 自动化鱼类放养柜
CN210143603U (zh) 萤火虫养殖装置
KR101953792B1 (ko) 어류 보호장치
JPH07322788A (ja) 海水魚の飼育方法及びその装置
TWM584098U (zh) 螢火蟲養殖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743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43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43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28.01.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743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