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155A -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155A
KR20190073155A KR1020170174520A KR20170174520A KR20190073155A KR 20190073155 A KR20190073155 A KR 20190073155A KR 1020170174520 A KR1020170174520 A KR 1020170174520A KR 20170174520 A KR20170174520 A KR 20170174520A KR 20190073155 A KR20190073155 A KR 20190073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xybutyrate
polyhydroxyalkanoate
acid
ala
g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930B1 (ko
Inventor
김재형
강동균
양세우
이현섭
이명한
김상은
최반석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74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9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09J2201/61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코엔자임 A (Coenzyme A; CoA) 전이효소 유전자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polyhydroxyalkanoate; PHA)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미생물, 상기 재조합 벡터 및/또는 재조합 미생물을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제조 방법,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2-hydroxybutyate; 2HB) 유래 반복 단위 함유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및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Polyhydroxyalkanoate}
코엔자임 A (Coenzyme A; CoA) 전이효소 유전자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polyhydroxyalkanoate; PHA)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 재조합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미생물, 상기 재조합 벡터 및/또는 재조합 미생물을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제조 방법,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2-hydroxybutyate; 2HB) 유래 반복 단위 함유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최근, 전기 및 전자부품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전기, 전자부품 제조에 이용되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대량 생산 공정을 위하여 연속적인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경화 속도가 빠른 UV 경화 방법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UV 경화 시에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UV 경화형 점착제 등과 같은 환경친화적인 고기능성 점착제를 선호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친화적인 접착제의 한 예로 핫멜트형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상기 핫멜트형 점착제는 물이나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 (thermoplastic resin)를 사용하는 접착제로서, 고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고, 기재 또는 피착제에 적용 후 실온에서 수초 내에 냉각 및 고화되어 점착력을 발휘하는 열용융 접착제이다. 상기 핫멜트형 점착제는 UV 경화형 접착제보다 가격이 비교적 저렴할 뿐만 아니라, 고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기재 또는 피착제 상에 적용 (예컨대, 도포 등)하고 압착하기에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는 1960년대 듀퐁 (Dupont)사에 의해 에틸렌-초산비닐수지 (EVA)가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공정 자동화를 통한 높은 생산성과 환경 친화적 특징, 광범위한 적용 범위, 재접착 가능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용제형 접착제에 비해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상기 핫멜트형 접착제는 냉각되면서 응집성과, 내크리프성 등을 가지는 경질의 상(phase)을 형성하기 때문에, 전자재료, 기저귀, 여성위생용품, 일회용 산업용 테이프, 포장 테이프, 라벨의 감압 접착제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KR 10-1211767 B1
일 예는 코엔자임 A (Coenzyme A; CoA) 전이효소 유전자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polyhydroxyalkanoate; PHA)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재조합 미생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는 상기 재조합 벡터, 재조합 미생물,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는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배양하는 단계는 락테이트,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2-hydroxybutyate; 2HB),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hydroxypropionate; 3HP),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및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4H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를 기질로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모노머로 첨가되는 기질은, (1)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또는 (2)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락테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상온 (약 20℃)에서의 점도가 약 103 PaS 이상, 약 104 PaS 이상, 또는 약 105 PaS 이상이고, 고온 (약 50℃이상, 예컨대,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80℃)에서의 점도가 약 103 PaS 미만, 약 5x102 PaS 이하, 또는 약 102 PaS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제공한다.
다른 예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핫멜트 점착 필름 또는 접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상온 (약 20℃)에서의 점도가 약 103 PaS 이상, 약 104 PaS 이상, 또는 약 105 PaS 이상이고, 고온 (약 50℃이상, 예컨대,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80℃)에서의 점도가 약 103 PaS 미만, 약 5x102 PaS 이하, 또는 약 102 PaS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가 큰 다양한 조합의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및 이의 접착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예는 코엔자임 A (Coenzyme A; CoA) 전이효소 유전자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polyhydroxyalkanoate; PHA)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공한다.
다른 예는 코엔자임 A (Coenzyme A; CoA) 전이효소 유전자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polyhydroxyalkanoate; PHA)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미생물을 제공한다. 상기 재조합 미생물은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것(상기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미생물은, 추가로, 락테이트 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유전자 (ldh), 예컨대, ldhA가 불활성화(결실)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는 상기 재조합 벡터, 재조합 미생물,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예는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이 코엔자임 A 전이효소 유전자 및 PHA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고, 락테이트 탈수소효소 유전자가 불활성화되지 않은 것인 경우, 모노머로 락테이트를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이 코엔자임 A 전이효소 유전자 및 PHA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고, 락테이트 탈수소효소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것인 경우, 모노머로 락테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배양하는 단계는 재조합 미생물에 따라서 적절한 배지를 사용하여 적절한 배양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재조합 미생물에 따른 적절한 배지 및 배양 조건은 관련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상기 배양하는 단계는 락테이트,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2-hydroxybutyate; 2HB),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hydroxypropionate; 3HP),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4HB), 및 이들의 전구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가 기질로 첨가된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모노머로 첨가되는 기질은, (1)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2)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또는 이의 전구체와, 락테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이들의 전구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의 조합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이 코엔자임 A 전이효소 유전자 및 PHA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고, 락테이트 탈수소효소 유전자가 불활성화되지 않은 것인 경우, 상기 배양하는 단계는 락테이트,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2-hydroxybutyate; 2HB),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hydroxypropionate; 3HP),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4HB), 및 이들의 전구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 (예컨대, (1)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2)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또는 이의 전구체와, 락테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이들의 전구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의 조합)이 기질로 첨가된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이 코엔자임 A 전이효소 유전자 및 PHA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고, 락테이트 탈수소효소 유전자가 불활성화된 것인 경우, 상기 배양하는 단계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2-hydroxybutyate; 2HB),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hydroxypropionate; 3HP),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B),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4HB), 및 이들의 전구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 (예컨대, (1)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또는 이의 전구체, 또는 (2)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또는 이의 전구체와,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이들의 전구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의 조합)이 기질로 첨가된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배양하는 단계 이후에,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세포, 배양물, 또는 배양 배지로부터 분리 및/또는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 및/또는 정제하는 단계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모든 고분자 분리 및/또는 정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2-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예컨대,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가 커서 접착제, 특히, 핫멜트 접착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제공한다. 상기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앞서 설명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는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상기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예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 필름 또는 접착 테이프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및 접착 테이프는 각각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핫멜트 접착 필름 및 핫멜트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상온 (약 20℃)에서의 점도가 약 103 PaS 이상, 약 104 PaS 이상, 또는 약 105 PaS 이상이고, 고온 (약 50℃이상, 예컨대,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80℃)에서의 점도가 약 103 PaS 미만, 약 5x102 PaS 이하, 또는 약 102 PaS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 적용가능할 뿐 아니라, 의약적 용도로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접착 필름 및 접착 테이프,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핫멜트 접착 필름, 및 핫멜트 접착 테이프는 전자재료, 기저귀, 여성위생용품, 일회용 산업용 테이프, 포장 테이프, 라벨의 감압 접착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할 뿐 아니라, 의료용(수술용) 테이프 등의 의료 분야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로서, 접착제,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는 영구적 또는 장시간 접착성을 갖는 접착제뿐 아니라, 일시적 또는 단시간, 및/또는 반복적인 접착성(점착성)을 접착제(점착제)를 모두 포함하며, 이는 접착 필름 (예컨대, 핫멜트 접착 필름) 및 접착 테이프 (예컨대, 핫멜트 접착 테이프)에도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로서, 핫멜트 접착제는 물이나 용제를 포함하지 않고 열가소성 수지 (thermoplastic resin)를 포함하는 접착제로서, 고온에서 액상으로 존재하고, 기재 또는 피착제에 적용 후 실온에서 수초 내에 냉각 및 고화되어 점착력을 발휘하는 열용융 접착제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접착제,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 용도로 사용 가능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온도에 따른 점도변화가 큰 모든 종류의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상온 (약 20℃)에서의 점도가 약 103 PaS 이상, 약 104 PaS 이상, 또는 약 105 PaS 이상이고, 고온 (약 50℃이상, 예컨대,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80℃)에서의 점도가 약 103 PaS 미만, 약 5x102 PaS 이하, 또는 약 102 PaS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다양한 하이드록시알카노에트 모노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거나 구성된 고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 3-, 4-, 5- 또는 6-하이드로알케노에트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하이드록시알카노에트 모노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가 상기 기재된 범위인 고분자일 수 있다: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3-hydroxybutyrate), 3-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3-hydroxyvalerate),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4-hydroxybutyrate), 탄소수가 6~14개인 중간사슬 길이의 (D)-3-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D)-3-hydroxycarboxylic acids), 3-하이드록시프로피온산(3-hydroxypropionic acid), 3-하이드록시헥산산(3-hydroxyhexanic acid), 3-하이드록시헵탄산(3-hydrowyheptanoic acid), 3-하이드록시옥탄산(3-hydroxyoctanoic acid), 3-하이드록시노난산(3-hydroxynonanoic acid), 3-하이드록시데칸산(3-hydroxydecanoic acid), 3-하이드록시운데칸산(3-hydroxyundecanoic acid), 3-하이드록시 도데칸산(3-hydroxydodecanoic acid), 3-하이드록시테트라데칸산(3-hydroxytetradecanoic acid), 3-하이드록시헥사데칸산(3-hydroxyhexadecanoic acid), 4-하이드록시발레르산(4-hydroxyvaleric acid), 4-하이드록시헥산산(4-hydroxyhexanoic acid), 4-하이드록시헵탄산(4-hydroxyheptanoic acid), 4-하이드록시옥탄산(4-hydroxyoctanoic acid), 4-하이드록시데칸산(4-hydroxydecanoic acid), 5-하이드록시발레르산(5-hydroxyvaleric acid), 5-하이드록시헥산산(5-hydroxyhexanoic acid), 6-하이드록시도데칸산(6-hydroxydodecanoic acid), 3-하이드록시-4-펜텐산(3-hydroxy-4-pentenoic acid), 3-하이드록시-4-trans-헥센산(3-hydroxy-4-trans-hexenoic acid), 3-하이드록시-4-cis-헥센산(3-hydroxy-4-cis-hexenoic acid), 3-하이드록시-5-헥센산(3-hydroxy-5-hyxenoic acid), 3-하이드록시-6-trans-옥텐산(3-hydroxy-6-trans-octenoic acid), 3-하이드록시-6-cis-옥텐산(3-hydroxy-6-cis octenoic acid), 3-하이드록시-7-옥텐산(3-hydroxy-7-octenoic acid), 3-하이드록시-8-노넨산(3-hydroxy-8-nonenoic acid), 3-하이드록시-9-데센산(3-hydroxy-9-decenoic acid), 3-하이드록시-5-cis-도데센산(3-hydroxy-5-cis-dodecenoic acid), 3-하이드록시-6-cis-도데센산(3-hydroxy-5-cis-dodecenoic acid), 3-하이드록시-5-cis-테트라데센산(3-hydroxy-5-cis-tetradecenoic acid), 3-하이드록시-7-cis-테트라데센산(3-hydroxy-7-cis-tetradecenoic acid), 3-하이드록시-5,8-cis-cis-테트라데센산(3-hydroxy-5,8-cis-cis-tetradecenoic acid), 3-하이드록시-4-메틸발레르산(3-hydroxy-4-methylvalericacid), 3-하이드록시-4-메틸헥산산(3-hydroxy-4-methylhexanoic acid), 3-하이드록시-5-메틸헥산산(3-hydroxy-5-methylhexanoic acid), 3-하이드록시-6-메틸헥산산(3-hydroxy-6-methylhexanoic acid), 3-하이드록시-4-메틸옥탄산(3-hydroxy-4-methyloctanoic acid), 3-하이드록시-5-메틸옥탄산(3-hydroxy-5-methyloctanoic acid), 3-하이드록시-6-메틸옥탄산(3-hydroxy-6-methyloctanoic acid), 3-하이드록시-7-메틸옥탄산(3-hydroxy-7-methyloctanoic acid), 3-하이드록시-6-메틸노난산(3-hydroxy-6-methylnonanoic acid), 3-하이드록시-7-메틸노난산(3-hydroxy-7-methylnonanoic acid), 3-하이드록시-8-메틸노난산(3-hydroxy-8-methylnonanoic acid), 3-하이드록시-7-메틸데칸산(3-hydroxy-7-methyldecanoic acid), 3-하이드록시-9-메틸데칸산(3-hydroxy-9-methyldecanoic acid), 3-하이드록시-7-메틸-6-옥텐산(3-hydroxy-7-methyl-6-octenoic acid), 말산(malic acid), 3-하이드록시숙신산-메틸에스테르(3-hydroxysuccinic acid-methylester), 3-하이드록시아디핀산-메틸에스테르(3-hydroxyadipinic acid-methylester), 3-하이드록시스베린산-메틸에스테르(3-hydroxysuberic acid-methylester), 3-하이드록시아젤라인산-메틸에스테르(3-hydroxyazelaic acid-methylester), 3-하이드록시세바신산-메틸에스테르(3-hydroxysebacic acid-methylester), 3-하이드록시스베린산-에틸에스테르(3-hydroxysuberic acid-ethylester), 3-하이드록시세바신산-에틸에스테르(3-hydroxysebacic acid-ethylester), 3-하이드록시피메린산-프로필에스테르(3-hydroxypimelic acid-propylester), 3-하이드록시세바신산-벤질에스테르(3-hydroxysebacic acid-benzylester), 3-하이드록시-8-아세톡시옥탄산(3-hydroxy-8-acetoxyoctanoic acid), 3-하이드록시-9-아세톡시노난산(3-hydroxy-9-acetoxynonanoic acid), 페녹시-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henoxy-3-hydroxybutyric acid), 페녹시-3-하이드록시발레르산(phenoxy-3-hydroxyvaleric acid), 페녹시-3-하이드록시헵탄산(phenoxy-3-hydroxyheptanoic acid), 페녹시-3-하이드록시옥탄산(phenoxy-3-hydroxyoctanoic acid), para-시아노페녹시-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ara-cyanophenoxy-3-hydroxybutyric acid), para-시아노페녹시-3-하이드록시발레르산(para-cyanophenoxy-3-hydroxyvaleric acid), para-시아노페녹시-3-하이드록시헥산산(para-cyanophenoxy-3-hydroxyhexanoic acid), para-니트로페녹시-3-하이드록시헥산산(para-nitrophenoxy-3-hydroxyhexanoic acid), 3-하이드록시-5-페닐발레르산(3-hydroxy-5-phenylvaleric acid), 3-하이드록시-5-시클로헥실부티레이트(3-hydroxy-5-cyclohexylbutyric acid), 3,12-디하이드록시도데칸산(3,12-dihydroxydodecanoic acid), 3,8-디하이드록시-5-cis-테트라데센산(3,8-dihydroxy-5-cis-tetradecenoic acid), 3-하이드록시-4,5-에폭시데칸산(3-hydroxy-4,5-epoxydecanoic acid), 3-하이드록시-6,7-에폭시도데칸산(3-hydroxy-6,7-epoxydodecanoic acid), 3-하이드록시-8,9-에폭시-5,6-cis-테트라데칸산(3-hydroxy-8,9-epoxy-5,6-cis-tetradecanoic acid), 7-시아노-3-하이드록시헵탄산(7-cyano-3-hydroxyheptanoic acid), 9-시아노-3-하이드록시헵탄산(7-cyano-3-hydroxyheptanoic acid), 3-하이드록시-7-플루오로헵탄산(3-hydroxy-7-fluoroheptanoic acid), 3-하이드록시-9-플루오로노난산(3-hydroxy-9-fluorononanoic acid), 3-하이드록시-6-클로로헥산산(3-hydroxy-6-chlorohexanoic acid), 3-하이드록시-8-클로로옥탄산(3-hydroxy-8-chlorooctanoic acid), 3-하이드록시-6-브로모헥산산(3-hydroxy-6-bromohexanoic acid), 3-하이드록시-8-브로모옥탄산(3-hydroxy-8-bromooctanoic acid), 3-하이드록시-11-브로모운데칸산(3-hydroxy-11-bromoundecanoic acid), 3-하이드록시-2-부텐산(3-hydroxy-2-butenoic acid), 6-하이드록시-3-도데센산(6-hydroxy-3-dodecenoic acid), 3-하이드록시-2-메틸부티레이트(3-hydroxy-2-methylbutyric acid), 3-하이드록시-2-메틸발레르산(3-hydroxy-2-methylvaleric acid), 및 3-하이드록시-2,6-디메틸-5-헵텐산(3-hydroxy-2,6-dimethyl-5-heptenoic acid).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 또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와, 락테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로부터 유래한 반복단위의 조합
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전체 고분자에 대하여,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모노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10 내지 40 몰%, 10 내지 35 몰%, 10 내지 30 몰%, 10 내지 25 몰%, 15 내지 40 몰%, 15 내지 35 몰%, 15 내지 30 몰%, 또는 15 내지 25 몰%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노머 함량은 GC (Gas Chromatography)를 통하여 확인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고분자 내 모노머 함량 측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측정 수단을 통하여 확인된 것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하기하는 고분자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i)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이들 간 함량비는, 몰비로, 10:90 내지 40:60 또는 20:80 내지 30:70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몰: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i) 다른 예에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이들 간 함량비는, 몰비로, 10~30:10~20:50~80 또는 15~25:12~18:57~73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몰: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몰: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몰)의 몰비로 포함하는 고분자일 수 있다.
(iii) 다른 예에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및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이들 간 함량비는, 몰비로, 15~35:40~60:5~45 또는 20~30:50~60:10~30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몰: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몰: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몰)의 몰비로 포함하는 고분자일 수 있다.
(iv) 다른 예에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및 락테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이들 간 함량비는, 몰비로, 10~40:30~45:30~45 또는 14~24:38~43:38~43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몰: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몰:락테이트의 몰)의 몰비로 포함하는 고분자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아래의 분자량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약 1 내지 약 4, 약 1 내지 약 3.7, 약 1 내지 약 3.4, 약 1 내지 약 3, 약 1 내지 약 2.7, 약 1 내지 약 2.4, 약 1 내지 약 2.3, 약 1.3 내지 약 4, 약 1.3 내지 약 3.7, 약 1.3 내지 약 3.4, 약 1.3 내지 약 3, 약 1.3 내지 약 2.7, 약 1.3 내지 약 2.4, 약 1.3 내지 약 2.3, 약 1.5 내지 약 4, 약 1.5 내지 약 3.7, 약 1.5 내지 약 3.4, 약 1.5 내지 약 3, 약 1.5 내지 약 2.7, 약 1.5 내지 약 2.4, 또는 약 1.5 내지 약 2.3의 다중 분산도 (PDI; 중량평균분자량(Mw)/수평균분자량(Mn));
약 1000 내지 약 100,000, 약 1000 내지 약 50,000, 약 1000 내지 약 45,000, 약 1000 내지 약 40,000, 약 1000 내지 약 35,000, 약 1000 내지 약 30,000, 약 1000 내지 약 25,000, 약 1000 내지 약 20,000, 약 1000 내지 약 15,000, 약 5000 내지 약 100,000, 약 5000 내지 약 50,000, 약 5000 내지 약 45,000, 약 5000 내지 약 40,000, 약 5000 내지 약 35,000, 약 5000 내지 약 30,000, 약 5000 내지 약 25,000, 약 5000 내지 약 20,000, 약 5000 내지 약 15,000, 약 8000 내지 약 100,000, 약 8000 내지 약 50,000, 약 8000 내지 약 45,000, 약 8000 내지 약 40,000, 약 8000 내지 약 35,000, 약 8000 내지 약 30,000, 약 8000 내지 약 25,000, 약 8000 내지 약 20,000, 또는 약 8000 내지 약 15,000의 수평균분자량(Mn);
약 1000 내지 약 500,000, 약 1000 내지 약 100,000, 약 1000 내지 약 50,000, 약 1000 내지 약 45,000, 약 1000 내지 약 40,000, 약 1000 내지 약 35,000, 약 1000 내지 약 30,000, 약 2500 내지 약 500,000, 약 2500 내지 약 100,000, 약 2500 내지 약 50,000, 약 2500 내지 약 45,000, 약 2500 내지 약 40,000, 약 2500 내지 약 35,000, 약 2500 내지 약 30,000, 약 5000 내지 약 500,000, 약 5000 내지 약 100,000, 약 5000 내지 약 50,000, 약 5000 내지 약 45,000, 약 5000 내지 약 40,000, 약 5000 내지 약 35,000, 또는 약 5000 내지 약 30,000의 중량평균분자량 (Mw(D)); 및
약 1000 내지 약 500,000, 약 1000 내지 약 100,000, 약 1000 내지 약 50,000, 약 1000 내지 약 45,000, 약 1000 내지 약 40,000, 약 1000 내지 약 35,000, 약 1000 내지 약 30,000, 약 2500 내지 약 500,000, 약 2500 내지 약 100,000, 약 2500 내지 약 50,000, 약 2500 내지 약 45,000, 약 2500 내지 약 40,000, 약 2500 내지 약 35,000, 약 2500 내지 약 30,000, 약 5000 내지 약 500,000, 약 5000 내지 약 100,000, 약 5000 내지 약 50,000, 약 5000 내지 약 45,000, 약 5000 내지 약 40,000, 약 5000 내지 약 35,000, 또는 약 5000 내지 약 30,000의 피크 분자량 (Mp; Peak molecular weight).
상기 분자량 특성은, 예컨대,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분자의 분자량 측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수단으로 측정한 것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유리전이온도 (Tg)가 약 -25℃ 내지 약 30℃, 약 -25℃ 내지 약 25℃, 약 -25℃ 내지 약 20℃, 약 -25℃ 내지 약 17℃, 약 -25℃ 내지 약 15℃, -25℃ 내지 약 12℃, -25℃ 내지 약 10℃, 약 -20℃ 내지 약 30℃, 약 -20℃ 내지 약 25℃, 약 -20℃ 내지 약 20℃, 약 -20℃ 내지 약 17℃, 약 -20℃ 내지 약 15℃, -20℃ 내지 약 12℃, -20℃ 내지 약 10℃, 약 -18℃ 내지 약 30℃, 약 -18℃ 내지 약 25℃, 약 -18℃ 내지 약 20℃, 약 -18℃ 내지 약 17℃, 약 -18℃ 내지 약 15℃, -18℃ 내지 약 12℃, -18℃ 내지 약 10℃, 약 -16℃ 내지 약 30℃, 약 -16℃ 내지 약 25℃, 약 -16℃ 내지 약 20℃, 약 -16℃ 내지 약 17℃, 약 -16℃ 내지 약 15℃, -16℃ 내지 약 12℃, 또는 -16℃ 내지 약 1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로 측정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분자의 열적 특성 측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측정 수단을 통하여 확인된 것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고온 (약 50℃이상, 예컨대,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80℃)에서 액상 (낮은 점도)이고 상온 (약 20℃)에서 굳는(고형화되는; 높은 점도) 특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기 위하여,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상온 (약 20℃)에서의 점도(PaS)가 고온 (약 50℃이상, 예컨대,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80℃)에서의 점도의 약 2.5배 이상, 약 5배 이상, 약 7.5배 이상, 약 10배 이상, 약 20배 이상, 약 30배 이상, 약 40배 이상, 약 50배 이상, 약 60배 이상, 약 70배 이상, 약 80배 이상, 약 90배 이상, 또는 약 100배 이상 높을 수 있다 (점도 차이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약 103배 또는 약 104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상온 (약 20℃)에서의 점도가 약 103 PaS 이상, 약 104 PaS 이상, 또는 약 105 PaS 이상이고 (상온에서의 점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일 예에서 약 1010 PaS, 약 109 PaS, 약 108 PaS, 약 107 PaS, 약 106 PaS, 또는 약 105 PaS일 수 있음), 고온 (약 50℃이상, 예컨대,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80℃)에서의 점도가 약 103 PaS 미만, 약 5x102 PaS 이하, 또는 약 102 PaS 이하인 것일 수 있다 (고온에서의 점도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일 예에서 약 1 PaS 또는 약 10 PaS일 수 있음). 예컨대, 상기 점도는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ARES)로 측정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분자의 점도 측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측정 수단을 통하여 확인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의 이러한 점도 특성은 접착제,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로서의 적합성 또는 유용성 측면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코엔자임-A(CoA) 전이효소는 CoA를 상기한 모노머에 전달하는 (결합시키는) 활성을 갖는 모든 효소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프로피오닐-CoA 전이효소일 수 있다. 프로피오닐-CoA 전이효소 (EC 2.8.3.1)는 다음의 반응식 1의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acetyl-CoA + propanoate ⇔ acetate + propanoyl-CoA (반응식 1).
일 예에서, 상기 프로피오닐-CoA 트랜스퍼라아제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클로스트리디움 프로피오니쿰(Clostridium propionicum) 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피오닐-CoA 트랜스퍼라아제 암호화 유전자는,
(a)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
(b)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A1200G (1200번째 염기인 A가 G로 치환된 변이를 의미함; 이하 기재되는 염기서열 변이 표현에 동일하게 적용됨)의 변이를 포함하는 염기서열;
(c)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T78C, T669C, A1125G 및 T1158C의 변이를 포함하는 염기서열;
(d)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A1200G의 변이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1과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G335A (335번째 아미노산 Gly이 Ala로 치환된 변이를 의미함, 이하 기재되는 아미노산 서열 변이 표현에 동일하게 적용됨)의 변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e)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A1200G의 변이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1과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A243T의 변이가 포함된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f) 서열번호 1 의 염기서열에서 T669C, A1125G 및 T1158C의 변이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1과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D65G의 변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g)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A1200G의 변이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1과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D257N의 변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h)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T669C, A1125G 및 T1158C의 변이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1과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D65N의 변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i)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T669C, A1125G 및 T1158C의 변이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1과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T199I의 변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및
(j)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T78C, T669C, A1125G 및 T1158C의 변이를 포함하고, 서열번호 1과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에서 V193A의 변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상기 프로피오닐-CoA 전이효소는 상기 염기서열에 의하여 암호화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합성효소 (polyhydroxyalkanoate (PHA) synthase)는 CoA와 hydroxy fatty acid의 티오에스테르를 기질로 사용하여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생합성하는 효소로서, 탄소수 3-5의 지방산을 사용하는 type (예컨대, Cupriavidus necator, Alcaligenes latus 등의 다양한 박테리아 유래)과 탄소수 6-14의 지방산을 사용하는 type (예컨대, Pseudomonas 속 유래)의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PHA 합성효소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슈도모나스 속 (Pseudomonas sp.) 균주, 예컨대, 슈도모나스 속 6-19 균주(Pseudomonas sp. 6-19)에서 유래한 PHA 합성효소(phaC)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HA 합성효소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L18H, V24A, K91R, M128V, E130D, N246S, S325T, S477R, S477H, S477F, S477Y, S477G, Q481M, Q481K, Q481R 및 A527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변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
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PHA 합성효소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에서,
(i) S325T 및 Q481M;
(ii) E130D, S325T 및 Q481M;
(iii) E130D, S325T, S477R 및 Q481M;
(iv) E130D, S477F 및 Q481K; 및
(v) L18H, V24A, K91R, M128V, E130D, N246S, S325T, S477G, Q481K 및 A527S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변이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PHA 합성효소 암호화 유전자는 상기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효소들은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인 변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 및 펩티드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교환은 아미노산 잔기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hr/Phe, Ala/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Asp/Gly 간의 교환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단백질은, 인산화(phosphorylation), 황화(sulfation), 아크릴화(acrylation), 당화(glycosylation), 메틸화(methylation), 파네실화(farnesylation) 등으로 수식(modification) 될 수도 있다. 또한, 아미노산 서열 상의 변이 또는 수식에 의해서 단백질의 열, pH 등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증가하거나 단백질 활성이 증가한 효소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기능적으로 균등한 코돈 또는 (코돈의 축퇴성에 의해) 동일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코돈, 또는 생물학적으로 균등한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코돈을 포함하는 핵산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핵산 분자는 표준 분자 생물학 기술, 예를 들어 화학적 합성 방법 또는 재조합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 또는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CoA 전이효소 (예컨대, 프로피오닐-CoA 전이효소) 유전자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합성효소 유전자를 각각 포함하거나, 하나의 벡터에 함께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벡터"는 개체의 세포 내에서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작제물을 말하며,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을 숙주세포로 도입되기 위한 수단이 된다.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및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 등의 바이러스 벡터, 박테리오파지 벡터, 코즈미드 벡터, YAC(Yeast Artificial Chromosome) 벡터 등 다양한 벡터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플라스미드 벡터는 pBlue (예컨대, pBluescript II KS(+)), pSC101, pGV1106, pACYC177, ColE1, pKT230, pME290, pBR322, pUC8/9, pUC6, pBD9, pHC79, pIJ61, pLAFR1, pHV14, pGEX 시리즈, pET 시리즈, pUC19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박테리오파지 벡터는 lambda gt4 lambda B, lambda-Charon, lambda Δz1, 및 M13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바이러스 벡터는 SV40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재조합 벡터"는 외래의 목적 유전자를 포함하는 클로닝 벡터 및 발현 벡터를 포함한다. 클로닝 벡터는 복제기점, 예를 들어 플라스미드, 파지 또는 코스미드의 복제 기점을 포함하며, 다른 DNA 절편이 부착되어 부착된 절편이 복제될 수 있는 레플리콘이다. 발현 벡터는 단백질을 합성하는데 사용되도록 개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벡터는 원핵세포 또는 진핵세포 등 각종 숙주세포에서 목적하는 효소 유전자를 발현하고 이를 생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벡터 내로 삽입되어 전달된 유전자가 숙주세포의 게놈 내로 비가역적으로 융합되어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지속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벡터는, 목적 유전자가 선택된 숙주 내에서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전사 및 해독 발현 조절 서열을 포함한다. 발현 조절 서열로는, 전사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모터, 그러한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오퍼레이터 서열, 적합한 mRNA 리보좀 결합 부위를 코딩하는 서열 및/또는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핵생물에 적합한 조절 서열은 프로모터, 임의로 오퍼레이터 서열 및/또는 리보좀 결합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진핵세포에 적합한 조절 서열은 프로모터, 터미네이터 및/또는 폴리아데닐화 시그날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 코돈 및 종결 코돈은 일반적으로 목적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의 일부로 간주되며, 유전자 작제물이 투여되었을 때 개체에서 작용을 나타내야 하며 코딩 서열과 인프레임(in frame)에 있어야 한다. 벡터의 프로모터는 구성적 또는 유도성일 수 있다. 또한 복제 가능한 발현벡터인 경우 복제 기원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 인핸서, 목적하는 유전자의 5' 말단 및 3' 말단의 비해독영역, 선별 마커(예컨대, 항생제 내성 마커), 또는 복제가능단위 등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도 있다. 벡터는 자가 복제하거나 숙주 게놈 DNA에 통합될 수 있다.
유용한 발현 조절 서열의 예로는, 아데노바이러스의 초기 및 후기 프로모터들, 원숭이 바이러스 40(SV40), 마우스 유방 종양 바이러스(MMTV) 프로모터, HIV의 긴 말단 반복부(LTR) 프로모터, 몰로니 바이러스, 시토메갈로바이러스(CMV) 프로모터, 엡스타인 바이러스(EBV) 프로모터, 로우스 사코마 바이러스(RSV) 프로모터, RNA 폴리머라제 Ⅱ 프로모터, β-액틴 프로모터, 사람 헤로글로빈 프로모터 및 사람 근육 크레아틴 프로모터, lac 시스템, trp 시스템, TAC 또는 TRC 시스템, T3 및 T7 프로모터들, 파지 람다의 주요 오퍼레이터 및 프로모터 영역, fd 코드 단백질의 조절 영역, 포스포글리세레이트 키나아제 (phosphoglycerate kinase, PGK) 또는 다른 글리콜분해 효소에 대한 프로모터, 포스파타제의 프로모터들, 예를 들어 Pho5, 효모 알파-교배 시스템의 프로모터 및 원핵세포 또는 진핵세포 또는 이들의 바이러스의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구성과 유도의 기타 다른 서열 및 이들의 여러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세포에서 형질전환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목적하는 유전자와 전사 및 해독 발현 조절 서열이 서로 작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작동가능하게 연결된"은 연결된 DNA 서열이 접촉하고, 또한 분비 리더의 경우 접촉하고 리딩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전서열(pre-sequence) 또는 분비 리더(leader)에 대한 DNA가 단백질의 분비에 참여하는 전단백질로서 발현되는 경우 폴리펩타이드에 대한 DNA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프로모터 또는 인핸서가 서열의 전사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 코딩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또는 리보좀 결합 부위는 서열의 전사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 코딩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또는 리보좀 결합 부위는 번역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코딩 서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들 서열의 연결은 편리한 제한 효소 부위에서 라이게이션(연결)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그러한 부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통상의 방법에 따른 합성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어댑터(oligonucleotide adaptor) 또는 링커(linker)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는 숙주세포의 성질, 벡터의 복제 수, 복제 수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및 당해 벡터에 의해 코딩되는 다른 단백질, 예를 들어 항생제 마커의 발현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적합한 각종 벡터, 발현 조절 서열, 숙주 등을 선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재조합 미생물은 상기 재조합 벡터를 사용하여 숙주 미생물 세포를 형질전환시켜서 얻어질 수 있다.
용어, "형질전환"은 목적 유전자를 숙주 미생물로 도입시켜 목절 유전자가 염색체외 인자로서 또는 염색체 통합완성에 의해 복제가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숙주 미생물로 사용 가능한 미생물은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DNA의 도입효율이 높고, 도입된 DNA의 발현효율이 높은 미생물이 숙주 미생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숙주 미생물이 구체 예로, 대장균 (예를 들어, E. coli DH5a, E. coli JM101, E. coli K12, E. coli W3110, E. coli X1776, E. coli B 및 E. coli XL1-Blue)을 포함하는 에스케리키아 속, 슈도모나스 속, 바실러스 속,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어위니아 속, 세라티아 속, 프로비덴시아 속, 코리네박테리움 속, 렙토스피라 속, 살모넬라 속, 브레비박테리아 속, 하이포모나스 속, 크로모박테리움 속, 노카디아 속, 진균 또는 효모와 같은 주지의 진핵 및 원핵 숙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당한 숙주로 형질전환되면, 벡터는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하고 기능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경우에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숙주세포는 탄소원으로부터 하이드록시아실-CoA를 생합성하는 경로를 가지고 있는 미생물일 수 있다.
형질전환 방법으로는, 당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적합한 표준 기술, 예들 들어,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전기주입법(electroinjection),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 인산칼슘공동-침전법(calcium phosphate co-precipitation), 염화캄슘/염화루비듐법, 레트로바이러스 감염(retroviral infection), DEAE-덱스트란(DEAE-dextran), 양이온 리포좀(cationic liposome)법, 폴리에틸렌 글리콜 침전법(polyethylene glycol-mediated uptake), 유전자총(gene gun)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원형의 벡터를 적절한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선형의 벡터 형태로 도입할 수 있다.
상기 형질전환된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여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고분자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재조합 미생물을 적절한 배지에서 배양하여,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고분자를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배지와 배양조건은 재조합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배양 시 세포의 생육과 고분자의 생산에 적합하도록 온도, 배지의 pH 및 배양시간 등의 조건들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양 방법의 예에는, 회분식, 연속식 및 유가식 배양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로, 상기 배양은 락테이트,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이들의 전구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구체는 미생물의 대사 과정에서 락테이트,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또는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 전환 가능한 모든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이 락테이트,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를 생합성 할 수 있다면, 상기 물질들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아도 통상적인 탄소원 공급으로 상기 고분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 외에,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특정한 균주의 요구조건을 적절하게 만족시켜야 한다. 상기 배지는 다양한 탄소원, 질소원, 인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배지 내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오스, 사카로오스, 락토오스, 프락토오스, 말토오스, 전분, 셀룰로오스와 같은 당 및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등과 같은 오일 및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물질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배지 내 질소원으로는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대두밀 및 요소 또는 무기 화합물,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질소원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배지 내 인원으로는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수소이칼륨 또는 상응하는 나트륨-함유 염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배양 배지는 성장에 필요한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포함하거나,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 성장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된 원료들은 배양 과정에서 배양물에 적절한 방식에 의해 회분식으로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와 같은 기초 화합물 또는 인산 또는 황산과 같은 산 화합물을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배양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배양물 내로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 (예, 공기)를 주입할 수 있으며, 배양물의 온도는 보통 2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일 수 있다. 배양은 원하는 고분자의 생산량이 최대로 얻어질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의 제조 방법은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 이후에, 생산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고분자를 배양물로부터 회수 (또는 분리 또는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재조합 미생물로부터 생산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고분자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세포 또는 배양 배지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다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고분자의 회수 방법의 예로서, 원심분리, 초음파파쇄, 여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 등의 방법이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재조합 벡터 또는 재조합 미생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PHA 고분자는 2HB를 함유할 수 있고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가 커서 접착제,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pPs619C1310-CpPCT540 벡터의 제작 과정 및 개열 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pPs619C1249.18H-CPPCT540 벡터의 개열 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다양한 모노머 조성의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의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PHA 생산에 사용하기 위한 재조합 벡터의 제조
1-1. pPs619C1310-CPPCT540 재조합 벡터의 제조
프로피오닐-CoA 트랜스퍼라아제 유전자(pct)는 클로스트리듐 프로피오니쿰(Clostridium propionicum) 유래의 프로피오닐-CoA 트랜스퍼라아제(CP-PCT)의 변이체를 사용하였고, PHA 합성효소 유전자는 슈도모나스 속 MBEL 6-19 (KCTC 11027BP) 유래의 PHA 합성효소의 변이체를 사용하였다. 이 때 사용된 벡터는 pBluescript II (Stratagene Co., USA)이다.
우선, PHA 합성효소(phaC1Ps6-19)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하여, 슈도모나스 속 MBEL 6-19 (KCTC 11027BP)의 전체 DNA를 추출하고, phaC1Ps6-19 유전자 서열(서열번호 3)에 기반하여, 프라이머[5'-GAG AGA CAA TCA AAT CAT GAG TAA CAA GAG TAA CG-3'(서열번호 5), 5'-CAC TCA TGC AAG CGT CAC CGT TCG TGC ACG TAC-3'(서열번호 6)]를 제작하고, 상기 추출한 전체 DNA를 주형으로 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얻어진 PCR 산물을 전기영동하여, phaC1Ps6-19 유전자에 해당하는 1.7 kb 크기의 유전자 절편을 확인하고, phaC1Ps6-19 유전자를 수득하였다.
phaC1Ps6-19 합성효소를 발현시키기 위하여, pSYL105 벡터(Lee et al., Biotech. Bioeng., 1994, 44:1337-1347)에서 Ralstonia eutropha H16 유래의 PHB 생산 오페론이 함유된 DNA 절편을 BamHI/EcoRI으로 절단하여, pBluescript II (Stratagene Co., USA)의 BamHI/EcoRI 인식부위에 삽입함으로써 pReCAB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다. pReCAB 벡터는 PHA 합성효소(phaCRE)와 단량체 공급효소(phaARE 및 phaBRE)가 PHB 오페론 프로모터에 의해 항시적으로 발현된다. BstBI/SbfI 인식 부위가 각각 양끝에 하나씩만 포함된 phaC1Ps6-19 합성효소 유전자 절편을 만들기 위해 우선 내재하고 있는 BstBI 위치를 SDM(site directed mutagenesis) 방법으로 아미노산의 변환 없이 제거하였고, BstBI/SbfI 인식부위를 첨가하기 위해 프라이머[5'- ATG CCC GGA GCC GGT TCG AA -3'(서열번호 7), 5'- CGT TAC TCT TGT TAC TCA TGA TTT GAT TGT CTC TC - 3'(서열번호 8), 5'- GAG AGA CAA TCA AAT CAT GAG TAA CAA GAG TAA CG -3' (서열번호 9), 5- CAC TCA TGC AAG CGT CAC CGT TCG TGC ACG TAC 3'(서열번호 10), 5'- GTA CGT GCA CGA ACG GTG ACG CTT GCA TGA GTG 3'(서열번호 11), 5'- AAC GGG AGG GAA CCT GCA GG -3'(서열번호 12)]를 이용하여 오버랩핑 PCR을 수행하였다. pReCAB 벡터를 BstBI/SbfI으로 절단하여 R.eutropha H16 PHA 합성효소 (phaCRE)를 제거한 다음, 상기에서 수득한 phaC1Ps6-19 유전자를 BstBI/SbfI 인식부위에 삽입함으로써 pPs619C1-ReAB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다.
SCL(short chain length)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산 위치 3 곳을 아미노산 서열 배열분석을 통해 찾았고, 프라이머[5'- CTG ACC TTG CTG GTG ACC GTG CTT GAT ACC ACC- 3'(서열번호 13), 5- GGT GGT ATC AAG CAC GGT CAC CAG CAA GGT CAG- 3'(서열번호 14), 5'- CGA GCA GCG GGC ATA TC A TGA GCA TCC TGA ACC CGC- 3'(서열번호 15), 5'- GCG GGT TCA GGA TGC TCA TGA TAT GCC CGC TGC TCG- 3'(서열번호 16), 5'- ATC AAC CTC ATG ACC GAT GCG ATG GCG CCG ACC- 3'(서열번호 17), 5'- GGT CGG CGC CAT CGC ATC GGT CAT GAG GTT GAT- 3'(서열번호 18)]를 사용한 SDM 방법을 이용하여, E130D, S325T, Q481M 을 포함하는 phaC1Ps6-19 합성효소 변이체인 phaC1Ps6-19300을 함유한 pPs619C1300-ReAB 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프로피오닐-CoA 트랜스퍼라아제가 같이 발현되는 오페론 형태의 항시적 발현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클로스트리듐 프로피오니쿰(Clostridium propionicum) 유래의 프로피오닐-CoA 트랜스퍼라아제 (CP-PCT)를 사용하였다. CP-PCT는 클로스트리듐 프로피오니쿰의 염색체 DNA를 프라이머[5'-GGAATTCATGAGAAAGGTTCCCATTATTACCGCAGATGA-3'(서열번호 19), 5'-gc tctaga tta gga ctt cat ttc ctt cag acc cat taa gcc ttc tg-3'(서열번호 20)]를 이용하여 PCR하여 얻어진 단편을 사용하였다. 이 때, 원래 야생형 CP-PCT에 존재하는 NdeI site를 cloning의 용이성을 위해 SDM 방법을 이용하여 제거하였고, SbfI/NdeI 인식부위를 첨가하기 위해 프라이머[5'-agg cct gca ggc gga taa caa ttt cac aca gg- 3'(서열번호 21), 5'-gcc cat atg tct aga tta gga ctt cat ttc c- 3'(서열번호 22)]를 이용하여 오버랩핑 PCR을 수행하였다. pPs619C1300-ReAB 벡터를 SbfI/NdeI으로 절단하여 Ralstonia eutrophus H16 유래의 단량체 공급효소 (phaARE 및 phaBRE)를 제거한 다음, 상기 PCR 클로닝한 CP-PCT 유전자를 SbfI/NdeI 인식 부위에 삽입함으로써 pPs619C1300-CPPCT 재조합 벡터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CP-PCT 유전자에 무작위적 돌연변이(random mutagenesis)를 도입하기 위해 상기에서 제작된 pPs619C1300-CPPCT을 주형으로 하고, 프라이머[5'-CGCCGGCAGGCCTGCAGG-3'(서열번호 23), 5'-GGCAGGTCAGCCCATATGTC-3'(서열번호 24)]를 이용하여 Mn2+이 첨가되고 dNTPs의 농도 차이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Error-prone PCR을 실시하였다. 그 후, 무작위적 돌연변이가 포함된 PCR 단편을 증폭하기 위해 상기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일반 조건에서 PCR하였다. pPs619C1300-CPPCT 벡터를 SbfI/NdeI으로 절단하여 야생형 CP-PCT 를 제거한 후, 상기 증폭된 돌연변이 PCR 단편을 SbfI/NdeI 인식부위에 삽입시킨 ligation mixture를 만들어 E. coli JM109에 도입하여 ~105정도 규모의 CP-PCT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된 CP-PCT 라이브러리는 고분자 검출배지(LB agar, glucose 20g/L, 3HB 1g/L, Nile red 0.5μg/ml)에서 3일간 생육시킨 후 고분자 생성 여부를 확인하는 스크리닝 작업을 수행하여 ~80여 개체의 후보를 1차 선정하였다. 이들 후보를 고분자가 생성되는 조건에서 4일간 액체 배양(LB agar, glucose 20g/L, 3HB 1g/L, ampicillin 100mg/L, 37℃)하였고, FACS(Fl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분석을 통하여 2 개체, 즉 CP-PCT Variant 512 (핵산치환 A1200G 포함) 및 CP-PCT Variant 522 (핵산치환 T78C, T669C, A1125G, T1158C 포함)를 선정하였다. 상기 1차 선별된 돌연변이체들(CP-PCT Variant 512, CP-PCT Variant 522)을 기본으로 다시 상기 Error-prone PCR의 방법으로 무작위적 돌연변이를 수행하여 다양한 CP-PCT 변이체들을 얻을 수 있었고, 그 중 CP-PCT Variant 540 (Val193Ala 및 침묵돌연변이 T78C, T669C, A1125G, T1158C 포함)를 2차 선별하여 pPs619C1300-CPPCT540 벡터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한 phaC1Ps6-19 합성효소 변이체(phaC1Ps6-19300)를 기초로 하여 프라이머[5'-GAA TTC GTG CTG TCG AGC CGC GGG CAT ATC- 3' (서열번호 25), 5'-GAT ATG CCC GCG GCT CGA CAG CAC GAA TTC- 3'(서열번호 26), 5'-GGG CAT ATC AAG AGC ATC CTG AAC CCG C-3'(서열번호 27), 5'-G CGG GTT CAG GAT GCT CTT GAT ATG CCC-3'(서열번호 28)]를 사용한 SDM 방법을 이용하여 E130D, S477F 및 Q481K 이 변이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슈도모나스 속 MBEL 6-19 유래 PHA 합성효소 변이체(phaC1Ps6-19310) 를 함유한 pPs619C1310-CPPCT540 벡터를 제조하였다(도 1).
1-2. pPs619C1249.18H-CPPCT540 재조합 벡터의 제조
상기 1-1 에서 제조한 pPs619C1310-CPPCT540 벡터를 주형으로 하여 프라이머[5'-ATGCCCGGAGCCGGTTCGAA-3'(서열번호 29) 및 5'-GAAATTGTTATCCGCCTGCAGG-3'(서열번호 30)]를 사용하여 error-prone PCR을 수행하였다. error-prone PCR을 수행한 후 돌연변이가 포함된 PCR 단편을 증폭하기 위해 상기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다시 PCR 한 후 증폭된 돌연변이들을 pPs619C1310-CPPCT540 벡터의 BstBI/SbfI 위치에 삽입하여 변이체들에 대한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변이체 라이브러리를 E.coli XL-1Blue에 형질전환 시키고, 이를 PHB 검출배지(LB agar, glucose 20g/L, Nile red 0.5μg/ml)에서 3일 동안 배양했다. 배양 후 스크리닝 과정을 통해 최종 선별된 변이체는 L18H, V24A, K91R, M128V, E130D, N246S, S325T, S477G, Q481K 및 A527S이 변이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pPs619C1249.18H 이었다. 이렇게 하여 재조합 벡터 pPs619C1249.18H-CPPCT540 벡터를 제조하였다(도 2).
실시예 2: PHA 생산을 위한 재조합 균주의 제조
2.1. ldhA 유전자가 넉아웃(knock-out)된 E.coli XL1-Blue 변이체 제작
Escherichia coli XL1-Blue (Stratagene, USA)를 바탕으로 하여 락테이트가 포함되지 않는 중합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대장균의 대사과정 중 락테이트 생산에 관여하는 D-락테이트디하이드로게나제(LdhA)를 genomic DNA에서 knock-out시켜, ldhA이 결실된 대장균 변이체 E. coli XL1-Blue(ΔldhA)를 제작하였다. 유전자의 결실은 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red-recombinat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ldhA를 결실시키기 위해 사용된 올리고머는 서열번호 31(5'-ATCAGCGTACCCGTGATGCTAACTTCTCTCTGGAAGGTCTGACCGGCTTTAATTAACCCTCACTAAAGGGCG-3') 및 서열번호 32 (5'-ATCAGCGTACCCGTGATGCTAACTTCTCTCTGGAAGGTCTGACCGGCTTTAATTAACCCTCACTAAAGGGCG-3')의 염기서열로 합성하였다.
실시예 2.2. PHA 생산용 재조합 균주의 제작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작된 재조합 벡터를 E. coli XL1-blue (Stratagene, USA)에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을 이용하여 형질전환시시켜, 모노머로 락테이트를 포함하는 PHA의 생산을 위한 재조합 균주를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작된 재조합 벡터를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작된 ldhA이 결실된 대장균 변이체 E. coli XL1-Blue(ΔldhA)에 형질전환시켜, 모노머로 락테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PHA의 생산을 위한 재조합 균주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다양한 모노머 조성의 PHA 제조
상기 실시예 2.1. 및 2.2에서 제조된 재조합 균주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노머 조성의 PHA들을 제조하기 위해 플라스크 배양을 수행하였다.
먼저, 전 배양(seed culture)을 위해 상기 재조합 대장균을 100mg/L 앰피실린(ampicillin)이 함유되어 있는 3 mL의 LB 배지[BactoTM Triptone(BD) 10g/L, BactoTM yeast extract(BD) 5g/L, NaCL(amresco) 10g/L]에서 12시간 배양하였다. 본 배양을 위해, 상기 전배양된 배양액 1ml를 2HB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HP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HB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4HB(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각각 1g/L, 앰피실린 100mg/L, 및 thiamine 10mg/L이 추가로 함유된 100ml MR 배지(1L 당 Glucose 10g, KH2PO4 6.67g, (NH4)2HPO4 4g, MgSO4·7H2O 0.8g, citric acid 0.8g, 및 trace metal solution 5mL; 여기에서, Trace metal solution은 1L 당 5M HCl 5mL, FeSO4·7H2O 10g, CaCl2 2g, ZnSO4·7H2O 2.2g, MnSO4·4H2O 0.5g, CuSO4·5H2O 1g, (NH4)6Mo7O2·4H2O 0.1g, 및 Na2B4O2·10H2O 0.02g)에 접종하여 30℃에서 3일간 250 rpm 으로 교반하며 배양하였다.
배양 후, 고분자 정제를 위해 원심분리를 이용해 배양액으로부터 세포만을 회수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2번 세척 단계를 거쳐 동결건조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동결건조된 세포에 클로로포름을 고분자 농도 기준으로 약 30g/L가 되도록 첨가한 후, 자석교반기(magnetic stirrer)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고분자를 추출하였다. 그 후, 클로로포름, 증류수, 메탄올의 비율이 2:1:1 이 되도록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온에서 층 분리를 유도한 후 분별 깔때기를 이용하여 아래층의 고분자 추출액을 분리시켰다. 그리고 여과지를 이용하여 세포 잔유물로부터 분리 여과하였다. 다음으로, 증발(evapotation)을 통해 여과된 고분자 용액으로부터 클로로포름을 미량만 남기고 모두 제거한 후 메탄올을 첨가하여 고분자를 침전시켰다. 침전된 고분자를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후, 최종적으로 드라이 오븐(75℃)에서 건조시켰다.
그 결과, 하기와 같이 다양한 조성의 PHA 고분자가 제조되었다:
P(LA-2HB-4HB); P(LA-2HB-3HP); P(2HB-3HP); P(2HB-3HB-3HP); P(2HB-3HB-4HB); P(2HB-3HP-4HB); P(3HP-4HB) (이 중에서, 모노머로서 락테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고분자는 실시예 2.2에서 ldhA이 결실된 대장균 변이체 E. coli XL1-Blue(ΔldhA)에 형질전환시켜 얻어진 재조합 균주로부터 얻어짐).
실시예 4. PHA의 물성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준비된 PHA에 대하여 모노머 함량비, 열적 물성, 및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모노머 함량비 (몰%)는 가스크로마토 그래피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실시예 3의 배양액을 4℃, 4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하고 충분한 양의 증류수로 2회 씻어준 후 80℃ 에서 12시간 건조하였다. 제거된 균체를 정량한 후 100℃에서 클로로포름을 용매로 사용하여 황산 촉매 하에서 메탄올과 반응시켜 주었다. 이를 상온에서 클로로포름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피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두 개의 층으로 분리될 때까지 정치시켰다. 두 개의 층 중에서 메틸화된 고분자의 단량체들이 녹아 있는 클로로포름층을 채취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로 고분자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내부 표준물질로는 벤조에이트(benzoate)를 사용하였다. 이 때 사용된 GC 분석조건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GC 분석조건
Item Quality
Model Hewlett Packard 6890N
Detector Flame ionization detector(FID)
Column Alltech Capillary ATTM-WAX, 30m, 0.53mm
Liquid phase 100% polyethylene Glycol
Inj.port temp/Det.port temp 250℃/ 250℃
Carrier gas He
Total flow 3ml/min
septum purge went flow 1ml/min
Column head pressure 29kPa
Injection port mode Splitless
Injection volumn/Solvent 1㎕/chloroform
Initial temp./Time 80℃/5min
Final temp./Time 230℃/5min
Ramp of temp. 7.5℃/min
상기 PHA 고분자들의 열적 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차주사열량계(DSC :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분석을 실시하였다. DSC 측정시 승온을 두 번 수행하였으며, 두번째 승온 구간에서 유리전이온도(Tg) 및 용융온도(Tm)를 측정하였다. 승온시 초기 온도는 -60℃ 이었고, 온도상승속도는 10℃/min 이었으며, 최종 온도는 200℃ 로 하였다. DSC 분석을 위한 carrier gas 로는 질소를 사용하였다.
고분자의 분자량 분포 및 중량평균분자량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 기기: Agilent technologies 사의 1200 series
- 컬럼: Polymer laboratories 사의 PLgel mixed B 2개 사용
- 용매: Chloroform
- 컬럼온도: 30℃
- 샘플 농도: 1mg/mL, 100L 주입
- 표준: 폴리스티렌(Mp: 3900000, 723000, 316500, 52200, 31400, 7200, 3940, 485)
분석 프로그램은 Agilent technologies 사의 ChemStation을 사용하였으며, GPC에 의해 중량평균분자량(Mw), 수평균분자량(Mn)을 구한 후, 중량평균분자량/수평균분자량(Mw/Mn)으로부터 분자량분포(PDI)를 계산하였다.
상기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Polymer 모노머 몰 함량비 [Mol%] DSC GPC
Tg[℃] Tm[℃] Mn [D] Mw [D] MP [D] PDI
P(LA-2HB-4HB) 54:21:25 18.05 ND 10,500 21,100 14,200 2.00
P(LA-2HB-3HP) 40:18:42 9.91 ND 8,830 18,700 12,900 2.11
P(2HB-3HP) 24:76 -11.69 ND 9,030 20,700 13,600 2.29
P(2HB-3HB-3HP) 21:16:63 -11.33 ND 8,670 19,300 13,000 2.22
P(2HB-3HB-4HB) 27:36:37 -15.02 ND 7,960 27,400 14,200 3.44
P(2HB-3HP-4HB) 25:55:20 -14.56 ND 18,700 33,000 27,800 1.77
P(3HP-4HB) 56:44 -29.24 ND 583,000 1,460,000 843,000 2.50
실시예 5. PHA의 점도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준비된 다양한 PHA에 대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점도는 온도를 0℃ 내지 80℃ 범위에서 변화시키면서 ARES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ARES-G2, TA Instruments)이용하여 1Hz의 주파수 및 선형영역 스트레인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서 제조된 PHA 고분자들, 특히 2HB를 포함하는 PHA 고분자들은 온도에 따른 점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50℃ 이상의 고온에서는 점도가 낮고 (약 5x102 PaS 이하), 상온(20℃)에서는 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103 PaS 이상). 이러한 결과는 PHA 고분자가 핫멜트 접착제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110> LG CHEM, LTD. <120>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Polyhydroxyalkanoate <130> DPP20173750KR <160> 3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75 <212> DNA <213> Clostridium propionicum <220> <221> gene <222> (1)..(1575) <223> popionyl-CoA transferase <400> 1 atgagaaagg ttcccattat taccgcagat gaggctgcaa agcttattaa agacggtgat 60 acagttacaa caagtggttt cgttggaaat gcaatccctg aggctcttga tagagctgta 120 gaaaaaagat tcttagaaac aggcgaaccc aaaaacatta cctatgttta ttgtggttct 180 caaggtaaca gagacggaag aggtgctgag cactttgctc atgaaggcct tttaaaacgt 240 tacatcgctg gtcactgggc tacagttcct gctttgggta aaatggctat ggaaaataaa 300 atggaagcat ataatgtatc tcagggtgca ttgtgtcatt tgttccgtga tatagcttct 360 cataagccag gcgtatttac aaaggtaggt atcggtactt tcattgaccc cagaaatggc 420 ggcggtaaag taaatgatat taccaaagaa gatattgttg aattggtaga gattaagggt 480 caggaatatt tattctaccc tgcttttcct attcatgtag ctcttattcg tggtacttac 540 gctgatgaaa gcggaaatat cacatttgag aaagaagttg ctcctctgga aggaacttca 600 gtatgccagg ctgttaaaaa cagtggcggt atcgttgtag ttcaggttga aagagtagta 660 aaagctggta ctcttgaccc tcgtcatgta aaagttccag gaatttatgt tgactatgtt 720 gttgttgctg acccagaaga tcatcagcaa tctttagatt gtgaatatga tcctgcatta 780 tcaggcgagc atagaagacc tgaagttgtt ggagaaccac ttcctttgag tgcaaagaaa 840 gttattggtc gtcgtggtgc cattgaatta gaaaaagatg ttgctgtaaa tttaggtgtt 900 ggtgcgcctg aatatgtagc aagtgttgct gatgaagaag gtatcgttga ttttatgact 960 ttaactgctg aaagtggtgc tattggtggt gttcctgctg gtggcgttcg ctttggtgct 1020 tcttataatg cggatgcatt gatcgatcaa ggttatcaat tcgattacta tgatggcggc 1080 ggcttagacc tttgctattt aggcttagct gaatgcgatg aaaaaggcaa tatcaacgtt 1140 tcaagatttg gccctcgtat cgctggttgt ggtggtttca tcaacattac acagaataca 1200 cctaaggtat tcttctgtgg tactttcaca gcaggtggct taaaggttaa aattgaagat 1260 ggcaaggtta ttattgttca agaaggcaag cagaaaaaat tcttgaaagc tgttgagcag 1320 attacattca atggtgacgt tgcacttgct aataagcaac aagtaactta tattacagaa 1380 agatgcgtat tccttttgaa ggaagatggt ttgcacttat ctgaaattgc acctggtatt 1440 gatttgcaga cacagattct tgacgttatg gattttgcac ctattattga cagagatgca 1500 aacggccaaa tcaaattgat ggacgctgct ttgtttgcag aaggcttaat gggtctgaag 1560 gaaatgaagt cctaa 1575 <210> 2 <211> 524 <212> PRT <213> Clostridium propionicum <220> <221> PEPTIDE <222> (1)..(524) <223> propionyl-CoA transferase <400> 2 Met Arg Lys Val Pro Ile Ile Thr Ala Asp Glu Ala Ala Lys Leu Ile 1 5 10 15 Lys Asp Gly Asp Thr Val Thr Thr Ser Gly Phe Val Gly Asn Ala Ile 20 25 30 Pro Glu Ala Leu Asp Arg Ala Val Glu Lys Arg Phe Leu Glu Thr Gly 35 40 45 Glu Pro Lys Asn Ile Thr Tyr Val Tyr Cys Gly Ser Gln Gly Asn Arg 50 55 60 Asp Gly Arg Gly Ala Glu His Phe Ala His Glu Gly Leu Leu Lys Arg 65 70 75 80 Tyr Ile Ala Gly His Trp Ala Thr Val Pro Ala Leu Gly Lys Met Ala 85 90 95 Met Glu Asn Lys Met Glu Ala Tyr Asn Val Ser Gln Gly Ala Leu Cys 100 105 110 His Leu Phe Arg Asp Ile Ala Ser His Lys Pro Gly Val Phe Thr Lys 115 120 125 Val Gly Ile Gly Thr Phe Ile Asp Pro Arg Asn Gly Gly Gly Lys Val 130 135 140 Asn Asp Ile Thr Lys Glu Asp Ile Val Glu Leu Val Glu Ile Lys Gly 145 150 155 160 Gln Glu Tyr Leu Phe Tyr Pro Ala Phe Pro Ile His Val Ala Leu Ile 165 170 175 Arg Gly Thr Tyr Ala Asp Glu Ser Gly Asn Ile Thr Phe Glu Lys Glu 180 185 190 Val Ala Pro Leu Glu Gly Thr Ser Val Cys Gln Ala Val Lys Asn Ser 195 200 205 Gly Gly Ile Val Val Val Gln Val Glu Arg Val Val Lys Ala Gly Thr 210 215 220 Leu Asp Pro Arg His Val Lys Val Pro Gly Ile Tyr Val Asp Tyr Val 225 230 235 240 Val Val Ala Asp Pro Glu Asp His Gln Gln Ser Leu Asp Cys Glu Tyr 245 250 255 Asp Pro Ala Leu Ser Gly Glu His Arg Arg Pro Glu Val Val Gly Glu 260 265 270 Pro Leu Pro Leu Ser Ala Lys Lys Val Ile Gly Arg Arg Gly Ala Ile 275 280 285 Glu Leu Glu Lys Asp Val Ala Val Asn Leu Gly Val Gly Ala Pro Glu 290 295 300 Tyr Val Ala Ser Val Ala Asp Glu Glu Gly Ile Val Asp Phe Met Thr 305 310 315 320 Leu Thr Ala Glu Ser Gly Ala Ile Gly Gly Val Pro Ala Gly Gly Val 325 330 335 Arg Phe Gly Ala Ser Tyr Asn Ala Asp Ala Leu Ile Asp Gln Gly Tyr 340 345 350 Gln Phe Asp Tyr Tyr Asp Gly Gly Gly Leu Asp Leu Cys Tyr Leu Gly 355 360 365 Leu Ala Glu Cys Asp Glu Lys Gly Asn Ile Asn Val Ser Arg Phe Gly 370 375 380 Pro Arg Ile Ala Gly Cys Gly Gly Phe Ile Asn Ile Thr Gln Asn Thr 385 390 395 400 Pro Lys Val Phe Phe Cys Gly Thr Phe Thr Ala Gly Gly Leu Lys Val 405 410 415 Lys Ile Glu Asp Gly Lys Val Ile Ile Val Gln Glu Gly Lys Gln Lys 420 425 430 Lys Phe Leu Lys Ala Val Glu Gln Ile Thr Phe Asn Gly Asp Val Ala 435 440 445 Leu Ala Asn Lys Gln Gln Val Thr Tyr Ile Thr Glu Arg Cys Val Phe 450 455 460 Leu Leu Lys Glu Asp Gly Leu His Leu Ser Glu Ile Ala Pro Gly Ile 465 470 475 480 Asp Leu Gln Thr Gln Ile Leu Asp Val Met Asp Phe Ala Pro Ile Ile 485 490 495 Asp Arg Asp Ala Asn Gly Gln Ile Lys Leu Met Asp Ala Ala Leu Phe 500 505 510 Ala Glu Gly Leu Met Gly Leu Lys Glu Met Lys Ser 515 520 <210> 3 <211> 1677 <212> DNA <213> Pseudomonas sp. 6-19 <220> <221> gene <222> (1)..(1677) <223> PHA synthase <400> 3 atgagtaaca agagtaacga tgagttgaag tatcaagcct ctgaaaacac cttggggctt 60 aatcctgtcg ttgggctgcg tggaaaggat ctactggctt ctgctcgaat ggtgcttagg 120 caggccatca agcaaccggt gcacagcgtc aaacatgtcg cgcactttgg tcttgaactc 180 aagaacgtac tgctgggtaa atccgggctg caaccgacca gcgatgaccg tcgcttcgcc 240 gatccggcct ggagccagaa cccgctctat aaacgttatt tgcaaaccta cctggcgtgg 300 cgcaaggaac tccacgactg gatcgatgaa agtaacctcg cccccaagga tgtggcgcgt 360 gggcacttcg tgatcaacct catgaccgaa gcgatggcgc cgaccaacac cgcggccaac 420 ccggcggcag tcaaacgctt ttttgaaacc ggtggcaaaa gcctgctcga cggcctctcg 480 cacctggcca aggatctggt acacaacggc ggcatgccga gccaggtcaa catgggtgca 540 ttcgaggtcg gcaagagcct gggcgtgacc gaaggcgcgg tggtgtttcg caacgatgtg 600 ctggaactga tccagtacaa gccgaccacc gagcaggtat acgaacgccc gctgctggtg 660 gtgccgccgc agatcaacaa gttctacgtt ttcgacctga gcccggacaa gagcctggcg 720 cggttctgcc tgcgcaacaa cgtgcaaacg ttcatcgtca gctggcgaaa tcccaccaag 780 gaacagcgag agtggggcct gtcgacctac atcgaagccc tcaaggaagc ggttgacgtc 840 gttaccgcga tcaccggcag caaagacgtg aacatgctcg gggcctgctc cggcggcatc 900 acttgcactg cgctgctggg ccattacgcg gcgattggcg aaaacaaggt caacgccctg 960 accttgctgg tgagcgtgct tgataccacc ctcgacagcg acgtcgccct gttcgtcaat 1020 gaacagaccc ttgaagccgc caagcgccac tcgtaccagg ccggcgtact ggaaggccgc 1080 gacatggcga aggtcttcgc ctggatgcgc cccaacgatc tgatctggaa ctactgggtc 1140 aacaattacc tgctaggcaa cgaaccgccg gtgttcgaca tcctgttctg gaacaacgac 1200 accacacggt tgcccgcggc gttccacggc gacctgatcg aactgttcaa aaataaccca 1260 ctgattcgcc cgaatgcact ggaagtgtgc ggcaccccca tcgacctcaa gcaggtgacg 1320 gccgacatct tttccctggc cggcaccaac gaccacatca ccccgtggaa gtcctgctac 1380 aagtcggcgc aactgtttgg cggcaacgtt gaattcgtgc tgtcgagcag cgggcatatc 1440 cagagcatcc tgaacccgcc gggcaatccg aaatcgcgct acatgaccag caccgaagtg 1500 gcggaaaatg ccgatgaatg gcaagcgaat gccaccaagc atacagattc ctggtggctg 1560 cactggcagg cctggcaggc ccaacgctcg ggcgagctga aaaagtcccc gacaaaactg 1620 ggcagcaagg cgtatccggc aggtgaagcg gcgccaggca cgtacgtgca cgaacgg 1677 <210> 4 <211> 559 <212> PRT <213> Pseudomonas sp. 6-19 <220> <221> PEPTIDE <222> (1)..(559) <223> PHA synthase <400> 4 Met Ser Asn Lys Ser Asn Asp Glu Leu Lys Tyr Gln Ala Ser Glu Asn 1 5 10 15 Thr Leu Gly Leu Asn Pro Val Val Gly Leu Arg Gly Lys Asp Leu Leu 20 25 30 Ala Ser Ala Arg Met Val Leu Arg Gln Ala Ile Lys Gln Pro Val His 35 40 45 Ser Val Lys His Val Ala His Phe Gly Leu Glu Leu Lys Asn Val Leu 50 55 60 Leu Gly Lys Ser Gly Leu Gln Pro Thr Ser Asp Asp Arg Arg Phe Ala 65 70 75 80 Asp Pro Ala Trp Ser Gln Asn Pro Leu Tyr Lys Arg Tyr Leu Gln Thr 85 90 95 Tyr Leu Ala Trp Arg Lys Glu Leu His Asp Trp Ile Asp Glu Ser Asn 100 105 110 Leu Ala Pro Lys Asp Val Ala Arg Gly His Phe Val Ile Asn Leu Met 115 120 125 Thr Glu Ala Met Ala Pro Thr Asn Thr Ala Ala Asn Pro Ala Ala Val 130 135 140 Lys Arg Phe Phe Glu Thr Gly Gly Lys Ser Leu Leu Asp Gly Leu Ser 145 150 155 160 His Leu Ala Lys Asp Leu Val His Asn Gly Gly Met Pro Ser Gln Val 165 170 175 Asn Met Gly Ala Phe Glu Val Gly Lys Ser Leu Gly Val Thr Glu Gly 180 185 190 Ala Val Val Phe Arg Asn Asp Val Leu Glu Leu Ile Gln Tyr Lys Pro 195 200 205 Thr Thr Glu Gln Val Tyr Glu Arg Pro Leu Leu Val Val Pro Pro Gln 210 215 220 Ile Asn Lys Phe Tyr Val Phe Asp Leu Ser Pro Asp Lys Ser Leu Ala 225 230 235 240 Arg Phe Cys Leu Arg Asn Asn Val Gln Thr Phe Ile Val Ser Trp Arg 245 250 255 Asn Pro Thr Lys Glu Gln Arg Glu Trp Gly Leu Ser Thr Tyr Ile Glu 260 265 270 Ala Leu Lys Glu Ala Val Asp Val Val Thr Ala Ile Thr Gly Ser Lys 275 280 285 Asp Val Asn Met Leu Gly Ala Cys Ser Gly Gly Ile Thr Cys Thr Ala 290 295 300 Leu Leu Gly His Tyr Ala Ala Ile Gly Glu Asn Lys Val Asn Ala Leu 305 310 315 320 Thr Leu Leu Val Ser Val Leu Asp Thr Thr Leu Asp Ser Asp Val Ala 325 330 335 Leu Phe Val Asn Glu Gln Thr Leu Glu Ala Ala Lys Arg His Ser Tyr 340 345 350 Gln Ala Gly Val Leu Glu Gly Arg Asp Met Ala Lys Val Phe Ala Trp 355 360 365 Met Arg Pro Asn Asp Leu Ile Trp Asn Tyr Trp Val Asn Asn Tyr Leu 370 375 380 Leu Gly Asn Glu Pro Pro Val Phe Asp Ile Leu Phe Trp Asn Asn Asp 385 390 395 400 Thr Thr Arg Leu Pro Ala Ala Phe His Gly Asp Leu Ile Glu Leu Phe 405 410 415 Lys Asn Asn Pro Leu Ile Arg Pro Asn Ala Leu Glu Val Cys Gly Thr 420 425 430 Pro Ile Asp Leu Lys Gln Val Thr Ala Asp Ile Phe Ser Leu Ala Gly 435 440 445 Thr Asn Asp His Ile Thr Pro Trp Lys Ser Cys Tyr Lys Ser Ala Gln 450 455 460 Leu Phe Gly Gly Asn Val Glu Phe Val Leu Ser Ser Ser Gly His Ile 465 470 475 480 Gln Ser Ile Leu Asn Pro Pro Gly Asn Pro Lys Ser Arg Tyr Met Thr 485 490 495 Ser Thr Glu Val Ala Glu Asn Ala Asp Glu Trp Gln Ala Asn Ala Thr 500 505 510 Lys His Thr Asp Ser Trp Trp Leu His Trp Gln Ala Trp Gln Ala Gln 515 520 525 Arg Ser Gly Glu Leu Lys Lys Ser Pro Thr Lys Leu Gly Ser Lys Ala 530 535 540 Tyr Pro Ala Gly Glu Ala Ala Pro Gly Thr Tyr Val His Glu Arg 545 550 555 <210> 5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5 gagagacaat caaatcatga gtaacaagag taacg 35 <210> 6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6 cactcatgca agcgtcaccg ttcgtgcacg tac 33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7 atgcccggag ccggttcgaa 20 <210> 8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8 cgttactctt gttactcatg atttgattgt ctctc 35 <210> 9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9 gagagacaat caaatcatga gtaacaagag taacg 35 <210> 10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0 cactcatgca agcgtcaccg ttcgtgcacg tac 33 <210> 11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1 gtacgtgcac gaacggtgac gcttgcatga gtg 33 <210> 1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2 aacgggaggg aacctgcagg 20 <210> 13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3 ctgaccttgc tggtgaccgt gcttgatacc acc 33 <210> 14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4 ggtggtatca agcacggtca ccagcaaggt cag 33 <210> 15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5 cgagcagcgg gcatatcatg agcatcctga acccgc 36 <210> 16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6 gcgggttcag gatgctcatg atatgcccgc tgctcg 36 <210> 17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7 atcaacctca tgaccgatgc gatggcgccg acc 33 <210> 18 <211> 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8 ggtcggcgcc atcgcatcgg tcatgaggtt gat 33 <210> 19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9 ggaattcatg agaaaggttc ccattattac cgcagatga 39 <210> 20 <211> 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0 gctctagatt aggacttcat ttccttcaga cccattaagc cttctg 46 <210> 21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1 aggcctgcag gcggataaca atttcacaca gg 32 <210> 22 <211> 3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2 gcccatatgt ctagattagg acttcatttc c 31 <210> 2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3 cgccggcagg cctgcagg 18 <210> 2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4 ggcaggtcag cccatatgtc 20 <210> 25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5 gaattcgtgc tgtcgagccg cgggcatatc 30 <210> 26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6 gatatgcccg cggctcgaca gcacgaattc 30 <210> 27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7 gggcatatca agagcatcct gaacccgc 28 <210> 28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8 gcgggttcag gatgctcttg atatgccc 28 <210> 2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9 atgcccggag ccggttcgaa 20 <210> 30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30 gaaattgtta tccgcctgca gg 22 <210> 31 <211> 7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ligomer <400> 31 atcagcgtac ccgtgatgct aacttctctc tggaaggtct gaccggcttt aattaaccct 60 cactaaaggg cg 72 <210> 32 <211> 7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ligomer <400> 32 atcagcgtac ccgtgatgct aacttctctc tggaaggtct gaccggcttt aattaaccct 60 cactaaaggg cg 72

Claims (10)

  1.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인, 접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 또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와, 락테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로부터 유래한 반복단위의 조합
    을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 10 내지 40 몰%를 포함하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다음의 고분자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접착제 조성물: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10:90 내지 40:60의 몰비(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몰: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몰)로 포함하는 고분자;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10~30:10~20:50~80의 몰비(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몰: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몰: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몰)로 포함하는 고분자;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및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15~35:40~60:5~45의 몰비(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몰: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몰: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몰)로 포함하는 고분자; 및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및 락테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10~40:30~45:30~45의 몰비(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몰: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의 몰:락테이트의 몰)로 포함하는 고분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상온(20℃)에서의 점도(PaS)가 80℃에서의 점도보다 5배 이상 높은 것인, 접착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다음의 분자량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1 내지 4의 다중분산도 (중량평균분자량(Mw)/수평균분자량(Mn));
    1000 내지 100,000의 수평균분자량(Mn); 및
    1000 내지 5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Mw).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유리전이온도가 -25℃ 내지 30℃인 것인, 접착제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코엔자임 A (Coenzyme A; CoA) 전이효소 유전자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polyhydroxyalkanoate; PHA)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미생물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하는 단계는
    (1)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또는
    (2)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와, 락테이트,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과의 조합
    을 첨가한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인,
    접착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은 코엔자임 A 전이효소 유전자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합성효소 유전자를 포함하고, 락테이트 탈수소효소 유전자가 결실된 것이고,
    상기 제조되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는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로부터 유래한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락테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접착제 조성물.
KR1020170174520A 2017-12-18 2017-12-18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KR102318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520A KR102318930B1 (ko) 2017-12-18 2017-12-18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520A KR102318930B1 (ko) 2017-12-18 2017-12-18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155A true KR20190073155A (ko) 2019-06-26
KR102318930B1 KR102318930B1 (ko) 2021-10-27

Family

ID=6710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520A KR102318930B1 (ko) 2017-12-18 2017-12-18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229A1 (ko) * 2020-10-23 2022-04-28 씨제이제일제당(주) Pha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2419A (ja) * 2000-10-27 2004-04-22 メタボリ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低分子量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211767B1 (ko) 2009-06-30 2012-12-12 한국과학기술원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합성효소 변이체를 이용한 락테이트 중합체 및 락테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170113101A (ko) * 2016-03-28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상의 바이오폴리머,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12419A (ja) * 2000-10-27 2004-04-22 メタボリ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低分子量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含有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211767B1 (ko) 2009-06-30 2012-12-12 한국과학기술원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합성효소 변이체를 이용한 락테이트 중합체 및 락테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170113101A (ko) * 2016-03-28 2017-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상의 바이오폴리머,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6229A1 (ko) * 2020-10-23 2022-04-28 씨제이제일제당(주) Pha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930B1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22532B2 (en) Mutants of PHA synthase from Pseudomonas sp.6-19 and method for preparing lactate homopolymer or copolymer using the same
KR101045572B1 (ko) Clostridium propionicum 유래의프로피오닐―CoA 트랜스퍼라아제 변이체 및 상기변이체를 이용한 락테이트 중합체 또는 락테이트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N111194353B (zh) 使用微生物的聚(3-羟基丙酸酯-b-乳酸酯)嵌段共聚物
JP5626735B2 (ja) ポリ乳酸またはポリ乳酸共重合体生成能を有する組換えラルストニアユートロファ及びこれを利用してポリ乳酸またはポリ乳酸共重合体を製造する方法
KR101114912B1 (ko) 폴리락테이트와 그 공중합체 생성능이 개선된 변이 미생물을 이용한 폴리락테이트와 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090026035A (ko) 수크로스로부터 폴리락틱산 또는 폴리락틱산 공중합체를제조할 수 있는 재조합 미생물 및 이러한 미생물을이용하여 수크로스로부터 폴리락틱산 또는 락틱산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88504B1 (ko) 3-하이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락테이트를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삼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8930B1 (ko)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KR102088503B1 (ko)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를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삼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0641B1 (ko) 액상의 바이오폴리머, 이의 용도 및 제조방법
KR102538109B1 (ko) ldhD 유전자가 도입된 재조합 미생물을 이용한 폴리락트산 단일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2002096B1 (ko)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락테이트를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삼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1618B1 (ko)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의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1259B1 (ko) 5&#39;-비번역영역 서열 조절을 통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트 함량 조절 방법
KR101293904B1 (ko) 자일로스로부터 폴리락틱산 또는 폴리락틱산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재조합 미생물 및 이러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자일로스로부터 폴리락틱산 또는 락틱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88502B1 (ko)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락테이트를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사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7785B1 (ko)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락테이트의 공중합체 제조를 위한 재조합 균주 및 방법
KR102623585B1 (ko)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2-하이드록시이소발레레이트 및 락테이트의 삼중합체 제조를 위한 재조합 균주 및 방법
KR20200145119A (ko) 락트산 함량이 증가된 락테이트, 2-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삼중합체의 제조 방법
KR101260187B1 (ko) 글리세롤로부터 폴리락틱산 또는 폴리락틱산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재조합 미생물 및 이러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글리세롤로부터 폴리락틱산 또는 락틱산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9420B1 (ko) 글루코즈를 이용한 락테이트-4-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중합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