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821A -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2821A
KR20190072821A KR1020170173898A KR20170173898A KR20190072821A KR 20190072821 A KR20190072821 A KR 20190072821A KR 1020170173898 A KR1020170173898 A KR 1020170173898A KR 20170173898 A KR20170173898 A KR 20170173898A KR 20190072821 A KR20190072821 A KR 20190072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ixel
green
red
pix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582B1 (ko
Inventor
양유철
류지호
이용백
김동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582B1/ko
Priority to TW107142775A priority patent/TWI685701B/zh
Priority to US16/211,085 priority patent/US10804330B2/en
Priority to EP18211357.1A priority patent/EP3499578B1/en
Priority to CN201811540039.7A priority patent/CN110035272B/zh
Publication of KR20190072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3Equalising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image components, e.g. their average brightness or colour ba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04N13/351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8Reflective anodes, e.g. ITO combined with thick metallic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3Passive-matrix OLED displays comprising banks or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changing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e.g. widening the viewing angle, adapting the viewing angle to the view di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균일한 고휘도를 갖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OLED의 서브화소들과 컬러필터들을 배치 구조, 서브화소들 간의 간격, 및 블랙매트릭스의 배치 구조로 인해,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제 1 내지 제 3 적색 서브화소들을 통해 적색광의 제 1-1, 제 2-1, 제 3-1 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도록 하고, 제 1 내지 제 3 녹색 서브화소들을 통해 녹색광의 제 1-2, 제 2-2, 제 3-2 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도록 하고, 제 1 내지 제 3 청색 서브화소들을 통해 청색광의 제 1-3, 제 2-3, 제 3-3 뷰 영상을각각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멀티 뷰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발광다이오드의 제 1 전극 하부로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을 더욱 위치시킴으로써, 제 1-1 내지 제 3-3 뷰 영상들이 모두 균일한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Multi-view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균일한 고휘도를 갖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경량 및 박형의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위와 같은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이하, OLED라 함)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OLED는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로서, 발광다이오드는 유기전계 발광현상을 통해 발광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 발광현상에 의한 발광원리를 갖는 발광다이오드의 밴드다이어그램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10)는 애노드 및 캐소드전극(21, 25)과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으로 이루어지는데, 유기발광층은 정공수송막(hole transport layer : HTL)(33)과 전자수송막(electron transport layer : ETL)(35) 그리고 정공수송막(33)과 전자수송막(35) 사이로 개재된 발광막(emission material layer : EML)(4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애노드전극(21)과 정공수송막(33) 사이로 정공주입막(hole injection layer : HIL)(37)이 개재되며, 캐소드전극(25)과 전자수송막(35) 사이로 전자주입막(electron injection layer: EIL)(39)이 개재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10)는 애노드전극(21)과 캐소드전극(25)에 각각 양(+)과 음(-)의 전압이 인가되면 애노드전극(21)의 정공과 캐소드전극(25)의 전자가 발광막(40)으로 수송되어 엑시톤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될 때 광이 발생되어 발광막(40)에 의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발광다이오드(10)를 포함하는 OLED는 2차원 디스플레이장치로 여러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은 뷰어(viewer)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이한 각도에서 동일한 양질의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지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각각의 사용자들이 동일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이한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운전자는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보고 싶어할 수 있지만 동승자는 영화를 보고 싶어할 수 있다. 다른예로서, 2인용 이상의 컴퓨터 게임에서의 각각의 플레이어는 그 자신만의 시각으로 게임을 보고 싶어한다.
이러한 상충되는 요구사항은 두개의 개별적인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으로써 충족될 수 있지만, 이는 과도한 공간을 차지할 것이며 비용을 증대시킬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이미지를 다른 방향에서 볼 수 있도록 둘 이상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멀티 뷰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어레이기판 상에 정의되며, 하나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에 각각 대응되어 위치하며, 제 1 및 제 2 경사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을 연결하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과, 상기 어레이기판과 마주보는 컬러필터인캡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적색 컬러필터와,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녹색 컬러필터와,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각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는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과 상기 평탄면 상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은 각각 제 1-1 뷰 영상과, 제 1-2 뷰 영상과, 제 1-3 뷰 영상을 표시하게 되며,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은 각각 제 2-1 뷰 영상과, 제 2-2 뷰 영상과, 제 2-3 뷰 영상을 표시하게 되며,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은 각각 제 3-1 뷰 영상과, 제 3-2 뷰 영상과, 제 3-3 뷰 영상을 표시하게 되며, 상기 제 1-1 내지 상기 제 1-3 뷰 영상은 제 1 뷰 영상을 구현하며, 상기 제 2-1 내지 상기 제 2-3 뷰 영상은 제 2 뷰 영상을 구현하며, 상기 제 3-1 내지 상기 제 3-3 뷰 영상은 제 3 뷰 영상을 구현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는 같은 색을 발광하는 서브화소 사이로 상이한 색을 발광하는 서브화소가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은 제 1 청색, 적색, 녹색 서브화소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에 이웃한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은 제 2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에 이웃한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은 제 3 녹색, 청색, 적색 서브화소가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은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지향각에 대응되는 20 ~ 60°이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중,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 상에 위치하는 서브화소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컬러필터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은 상기 제 1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경사면 상에 제 1 청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평탄면 상에 제 1 적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제 2 경사면 상에 제 1 녹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은 상기 제 2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경사면 상에 제 2 적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평탄면 상에 제 2 녹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제 2 경사면 상에 제 2 청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은 상기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경사면 상에 제 3 녹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평탄면 상에 제 3 청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제 2 경사면 상에 제 3 적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색 서브화소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과 상기 평탄면 상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전극과 제 1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녹색 서브화소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과 상기 평탄면 상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전극과 제 2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청색 서브화소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과 상기 평탄면 상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전극과 제 3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사이에는 뱅크가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기발광층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별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뱅크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기발광층 상부로는 제 2 전극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는 상기 제 1 뱅크패턴의 상기 평탄면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제 1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녹색 서브화소는 상기 제 1 뱅크패턴의 상기 제 2 경사면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제 2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청색 서브화소는 상기 제 1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경사면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제 3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사이에는 뱅크가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기발광층은 상기 제 1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별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뱅크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기발광층 상부로는 제 2 전극이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적색광은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적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1-1 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1 녹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녹색광은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녹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1-2 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2 적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적색광은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적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2-1 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2 녹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녹색광은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녹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2-2 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2 청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청색광은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청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2-3 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2 녹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녹색광은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녹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3-2 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3 청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청색광은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청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3-3 뷰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컬러필터인캡기판에는 블랙매트릭스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평탄면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와 상기 제 2 녹색 서브화소 그리고 상기 제 3 청색 서브화소와는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 상에 위치하는 제 1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와 상기 제 2 적색 및 청색 서브화소 그리고 상기 제 3 녹색 및 적색 서브화소와는 1/2이 중첩되며,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제 1 블랙매트릭스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제 1 청색 서브화소의 중심부에 대응되며, 타측 끝단은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의 일측 끝단과 대응되며, 상기 제 2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제 1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의 폭에 대응되는 사이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상기 제 2 블랙매트릭스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며, 타측 끝단은 상기 제 1 녹색 서브화소의 중심부에 대응되어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 2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제 3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제 1 녹색 서브화소의 1/2의 폭과, 상기 제 2 적색 서브화소의 1/2의 폭에 대응되는 사이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 1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제 2 블랙매트릭스 사이의 간격은 (셀갭 + 블랙매트릭스의 두께) * tan(20°)*2을 만족하며, 상기 제 2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제 3 블랙매트릭스 사이의 간격은 (셀갭 + 블랙매트릭스의 두께) * tan(60°)을 만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와 상기 제 2 적색 및 청색 서브화소 그리고 상기 제 3 녹색 및 적색 서브화소 간의 사이간격은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와 상기 제 2 적색 및 청색 서브화소 그리고 상기 제 3 녹색 및 적색 서브화소와 상기 평탄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와 상기 제 2 녹색 서브화소 그리고 상기 제 3 청색 서브화소와의 사이간격에 비해 좁으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은 상기 어레이기판 상에 구비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상부로 위치하는 보호층 상부로 위치하며,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별로 위치하며, 반도체층과, 반도체층 상부로 위치하는 게이트절연막,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부로 위치하는 게이트전극, 상기 게이트전극 상부로 위치하는 제 1 층간절연막, 상기 제 1 층간절연막 상부로 위치하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OLED의 서브화소들과 컬러필터들을 배치 구조, 서브화소들 간의 간격, 및 블랙매트릭스의 배치 구조로 인해,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제 1 내지 제 3 적색 서브화소들을 통해 적색광의 제 1-1, 제 2-1, 제 3-1 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도록 하고, 제 1 내지 제 3 녹색 서브화소들을 통해 녹색광의 제 1-2, 제 2-2, 제 3-2 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도록 하고, 제 1 내지 제 3 청색 서브화소들을 통해 청색광의 제 1-3, 제 2-3, 제 3-3 뷰 영상을 각각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멀티 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발광다이오드의 제 1 전극 하부로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을 더욱 위치시킴으로써, 제 1-1 내지 제 3-3 뷰 영상들이 모두 균일한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전계 발광현상에 의한 발광원리를 갖는 발광다이오드의 밴드다이어그램.
도 2a는 3개의 다른 방향에서 각각의 이미지를 볼 수 있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b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사생활보호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루는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인캡기판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a ~ 6c는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지향각을 나타낸 실험결과 그래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3개의 다른 방향에서 각각의 이미지를 볼 수 있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b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한 사생활보호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는 시야각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패널(110)에서 2개 또는 3개의 다른 이미지를 표시하게 된다.
즉, 가운데(Center), 왼쪽(Left), 그리고 오른쪽(Right) 부분에서 각각 서로 다른 이미지(V1, V2, V3)를 표시하게 되는데, 도면에는 패널(110)을 정면(Center)에서 보는 경우(V1)와 왼쪽(Left) 50도 경사에서 보는 경우(V3), 그리고 오른쪽(Right) 50도 경사에서 보는 경우(V2)에 있어서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볼 수 있는 트리플 뷰 디스플레이장치를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는 단일 디스플레이패널(110)을 이용하여 시청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다중 이미지(V1, V2, V3)를 동시에 제공하게 되는데, 배리어(barrier)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11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중앙(Center), 왼쪽(Left), 오른쪽(Right)으로 분리하여 3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V1, V2, V3)들을 동시에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앙(Center)에서는 TV를 시청하고, 왼쪽(Left)이나 오른쪽(Right)에서는 게임이나, 인터넷서핑을 할 수 있는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는 다(多)화면 표시가 가능한 자동차 네비게이션기기와 광고디스플레이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네비게이션기기의 경우, 운전자에게는 네비게이션 화면을 제공하여 목적지로의 도로 정보를 표시하면서, 조수석의 동행자에게는 관광 정보가 검색 가능하도록 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뒷자리에서는 DVD 영화 영상을 즐기는 등의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광고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보행자의 진행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3개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는 둘 이상의 사용자에게 다른 이미지(V1, V2, V3)들을 보여줄 수 있어 둘 이상의 개별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공간 및 비용 측면에서 상당한 절약을 제공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가 2개의 다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우,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은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로 인해 두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면 사람의 뇌는 이 두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3차원 입체영상에 의해 사람은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생활 보호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데, 사생활 보호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패널(110)을 정면(Center)에서 바라보는 사용자만 프라이버시 영상(V1)을 제공하게 되고, 디스플레이패널(110)의 왼쪽(Left) 또는 오른쪽(Right)에서 바라보는 사용자는 블랙 영상 또는 노이즈 영상(V2, V3)을 보게 된다. 여기서, 프라이버시 영상(V1)은 사용자가 보안 또는 사생활 보호 등을 위해 타인에게는 보이지 않게 하고 싶은 영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루는 어레이기판과 컬러필터인캡기판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레이기판(101) 상에 하나의 단위 화소(P)를 이루는 다수의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와,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를 구획하는 뱅크(119)만을 도시하였으며, 컬러필터인캡기판(130) 상에는 컬러필터(R-CF, G-CF, B-CF)와 블랙매트릭스(BM)만을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는 OLED로 이루어지는데, OLED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도 4 참조)와 발광다이오드(E, 도 4 참조)가 구비되는 어레이기판(101)과, 어레이기판(101)과 마주하는 컬러필터인캡기판(130)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어레이기판(101) 상에 매트릭스 방식으로 배열된 다수의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들을 포함하는데, 다수의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는 각각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으로 나뉘어 정의되는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은 1개의 단위 화소(P)를 이루게 된다.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은 적색광을 발광하는 제 1 내지 제 3 적색 서브화소(1R-SP, 2R-SP, 3R-SP)와, 녹색광을 발광하는 제 1 내지 제 3 녹색 서브화소(1G-SP, 2G-SP, 3G-SP) 그리고 청색광을 발광하는 제 1 내지 제 3 청색 서브화소(1B-SP, 2B-SP, 3B-SP)를 각각 포함한다.
즉,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은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 그리고 제 1 청색 서브화소(1B-SP)로 이루어지며,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은 제 2 적색 서브화소(2R-SP),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 그리고 제 2 청색 서브화소(2B-SP)로 이루어지며,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은 제 3 적색 서브화소(3R-SP), 제 3 녹색 서브화소(3G-SP) 그리고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로 이루어진다.
제 1 내지 제 3 적색 서브화소(1R-SP, 2R-SP, 3R-SP), 제 1 내지 제 3 녹색 서브화소(1G-SP, 2G-SP, 3G-SP)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청색 서브화소(1B-SP, 2B-SP, 3B-SP)는 모두 1개의 단위 화소(P)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각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는 각각 발광영역(EA)을 포함하며, 각 발광영역(EA)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뱅크(119)가 배치되어 비발광영역(NEA)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가 동일한 폭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것과 같이 도시하였으나,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는 서로 다른 폭으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의 비발광영역(NEA) 상에는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도 4 참조, 미도시)가 구비되며,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 내의 발광영역(EA) 상에는 각각 제 1 전극(111, 도 4 참조), 유기발광층(113, 도 4 참조) 및 제 2 전극(115, 도 4 참조)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E, 도 4 참조)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은 각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 내에 포함되는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를 통해 각각 3개의 뷰 영상(V1, V2, V3)들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은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를 통해 제 1-1 뷰 영상(V1-1)을 표시하게 되며,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를 통해 제 1-2 뷰 영상(V1-2)을 표시하게 되며, 또한 제 1 청색 서브화소(1B-SP)를 통해서는 제 1-3 뷰 영상(V1-3)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서브화소 그룹(2GP)과 제 3 서브화소 그룹(3GP) 또한 각 제 2 및 제 3 적색 서브화소(2R-SP, 3R-SP)를 통해 각각 제 2-1 뷰 영상(V2-1)과 제 3-1 뷰 영상(V3-1)을 표시하게 되며, 제 2 및 제 3 녹색 서브화소(2G-SP, 3G-SP)를 통해 각각 제 2-2 뷰 영상(V2-2)과 제 3-2 뷰 영상(V3-2)을 표시하게 되며, 또한 제 2 및 제 3 청색 서브화소(2B-SP, 3B-SP)를 통해 각각 제 2-3 뷰 영상(V2-3)과 제 3-3 뷰 영상(V3-3)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 1-1 뷰 영상(V1-1)과 제 1-2 뷰 영상(V1-2) 그리고 제 1-3 뷰 영상(V1-3)은 하나의 제 1 뷰 영상(V1)을 표시하게 되며, 제 2-1 뷰 영상(V2-1)과 제 2-2 뷰 영상(V2-2) 그리고 제 2-3 뷰 영상(V2-3)은 하나의 제 2 뷰 영상(V2)을 표시하게 되며, 제 3-1 뷰 영상(V3-1)과 제 3-2 뷰 영상(V3-2) 그리고 제 3-3 뷰 영상(V3-3)은 하나의 제 3 뷰 영상(V3)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1개의 단위 화소(P)는 9개의 뷰 영상으로 나뉘어 정의되는 제 1 내지 제 3 뷰 영상(V1, V2, V3)의 3개의 뷰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은 도면상으로 정의한 제 1 방향을 따라 제 1 청색 서브화소(1B-SP),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 그리고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 순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 1 방향은 게이트배선(미도시)의 길이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은 제 2 적색 서브화소(2R-SP),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 제 2 청색 서브화소(2B-SP) 순으로 위치하게 되며, 또한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은 제 3 녹색 서브화소(3G-SP),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 그리고 제 3 적색 서브화소(3R-SP) 순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컬러필터인캡기판(130) 상에는 다수의 블랙매트릭스(BM)와 컬러필터(R-CF, G-CF, B-CF)가 구비되며, 블랙매트릭스(BM)와 컬러필터(R-CF, G-CF, B-CF)는 9개의 뷰 영상을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배리어(barrier) 역할을 하게 된다.
컬러필터인캡기판(130) 상에 구비되는 컬러필터(R-CF, G-CF, B-CF)는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에 대응하여 적색 컬러필터(R-CF)가 위치하게 되며,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에 대응하여 녹색 컬러필터(G-CF)가 위치하게 되며,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에 대응하여 청색 컬러필터(B-CF)가 위치하게 된다.
즉,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1R-SP, 1G-SP, 1B-SP)는 적색 컬러필터(R-CF)와 중첩되어 배치되며,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2R-SP, 2G-SP, 2B-SP)는 녹색 컬러필터(G-CF)와 중첩되어 배치되며,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의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3R-SP, 3G-SP, 3B-SP)는 청색 컬러필터(B-CF)와 중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로는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로부터 발광된 적색광은 컬러필터인캡기판(130)에 구비되는 적색 컬러필터(R-CF)를 투과하여 제 1-1 뷰 영상(V1-1)을 표시하게 된다. 하지만,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와 제 1 청색 서브화소(1B-SP)로부터 발광된 녹색광과 청색광은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적색 컬러필터(R-CF)를 투과하지 못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2 및 제 3 서브화소 그룹(2GP, 3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녹색 컬러필터(G-CF) 및 청색 컬러필터(B-CF)를 각각 투과하여 제 1-2 뷰 영상(V1-2)과 제 1-3 뷰 영상(V1-3)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로부터 발광된 녹색광은 컬러필터인캡기판(130)에 구비되는 녹색 컬러필터(G-CF)를 투과하여, 제 2-2 뷰 영상(V2-V)을 표시하게 된다. 하지만,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적색 서브화소(2R-SP)와 제 2 청색 서브화소(2B-SP)로부터 발광된 적색광과 청색광은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녹색 컬러필터(G-CF)를 투과하지 못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3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적색 컬러필터(R-CF) 및 청색 컬러필터(B-CF)를 각각 투과하여 제 2-1 뷰 영상(V2-1)과 제 2-3 뷰 영상(V2-3)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의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로부터 발광된 청색광은 컬러필터인캡기판(130)에 구비되는 청색 컬러필터(B-CF)를 투과하여, 제 3-3 뷰 영상(V3-3)을 표시하게 되나,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의 제 3 적색 서브화소(3R-SP)와 제 3 녹색 서브화소(3G-SP)로부터 발광된 적색광과 녹색광은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청색 컬러필터(B-CF)를 투과하지 못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서브화소 그룹(1GP, 2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적색 컬러필터(R-CF) 및 녹색 컬러필터(G-CF)를 각각 투과하여 제 3-1 뷰 영상(V3-1)과 제 3-3 뷰 영상(V3-3)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적색 컬러필터(R-CF)를 투과하여 표시되는 제 1-1 뷰 영상(V1-1)과, 녹색 컬러필터(G-CF)를 투과하여 표시되는 제 1-2 뷰 영상(V1-2) 그리고 청색 컬러필터(B-CF)를 투과하여 표시되는 제 1-3 뷰 영상(V1-3)이 제 1 뷰 영상(V1)을 구현하게 되며, 또한, 제 2-1 뷰 영상(V2-1)과, 제 2-2 뷰 영상(V2-2) 그리고 제 2-3 뷰 영상(V2-3)이 제 2 뷰 영상(V2)을 구현하게 되며, 제 3-1 뷰 영상(V3-1)과 제 3-2 뷰 영상(V3-2) 그리고 제 3-3 뷰 영상(V3-3)이 하나의 제 3 뷰 영상(V3)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OLED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에 각각 대응되어 위치하는 컬러필터(R-CF, G-CF, B-CF)를 투과하지 못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컬러필터(R-CF, G-CF, B-CF)를 투과하는 제 1-2, 제 1-3, 제 2-1, 제 2-3, 제 3-1, 제 3-2 뷰 영상(V1-2, V1-3, V2-1, V2-3, V3-1, V3-2)들은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로부터 측면으로 발광되는 광이 투과되어 형성됨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에 각각 대응되어 위치하는 컬러필터(R-CF, G-CF, B-CF)를 투과하는 제 1-1, 제 2-2, 제 3-3 뷰 영상(V1-1, V2-2, V3-3)에 비해 낮은 휘도를 갖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발광다이오드(E, 도 4 참조)의 제 1 전극(111, 도 4 참조) 하부로 뱅크패턴(200a, 200b, 200c, 도 4 참조)을 더욱 위치시킴으로써, 제 1-2, 제 1-3, 제 2-1, 제 2-3, 제 3-1, 제 3-2 뷰 영상(V1-2, V1-3, V2-1, V2-3, V3-1, V3-2)들 또한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로부터 정면으로 출광되는 광이 투과되어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멀티 뷰 영상들이 모두 균일한 고휘도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4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a ~ 6c는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지향각을 나타낸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발광된 광의 투과방향에 따라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과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부 발광방식을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된 어레이기판(101)과 어레이기판(101)과 마주보는 컬러필터인캡기판(130)으로 구성되며, 어레이기판(101)과 컬러필터인캡기판(130) 서로 합착됨으로써, OLED를 이룬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어레이기판(101) 상에는 게이트배선(미도시)과 데이터배선(미도시) 그리고 전원배선(미도시)이 배치되어 각각의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를 정의한다.
이때, 다수의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는 각각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으로 나뉘어 정의되는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은 1개의 단위 화소(P)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어레이기판(101) 상의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의 스위칭영역(TrA) 상에는 반도체층(103)이 위치하는데, 반도체층(103)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103a) 그리고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반도체층(103)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105)이 위치한다.
게이트절연막(105) 상부로는 반도체층(103)의 액티브영역(103a)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107)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배선(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게이트전극(107)과 게이트배선(미도시)을 포함하는 상부로는 층간절연막(109a)이 위치하며, 이때 층간절연막(109a)과 그 하부의 게이트절연막(105)은 액티브영역(103a) 양측면에 위치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6)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6)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109a) 상부로는 서로 이격하며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16)을 통해 노출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7a, 117b)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17a, 117b)과 두 전극(117a, 117b) 사이로 노출된 층간절연막(109a) 상부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17b)을 노출하는 드레인콘택홀(118)을 갖는 보호층(109b)이 위치한다.
이때, 소스 및 드레인 전극(117a, 117b)과 이들 전극(117a, 117b)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103b, 103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03)과 반도체층(103) 상부에 위치하는 게이트절연막(105) 및 게이트전극(107)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되는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STr)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도면에서는 반도체층(103)이 폴리실리콘 반도체층 또는 산화물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탑 게이트(top gate) 타입을 예로써 보이고 있으며, 이의 변형예로써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보텀 게이트(bottom gate) 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반도체층(103)이 산화물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질 경우 반도체층(103) 하부로 차광층(미도시)이 더욱 위치할 수 있으며, 차광층(미도시)과 반도체층(103) 사이로 버퍼층(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보호층(109b) 상부로는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이 위치하는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은 각각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 대응되어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은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과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은 연결하는 평탄면(230)을 포함한다.
이때, 제 1 뱅크패턴(200a)의 제 1 경사면(210)은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청색 서브화소(1B-SP)에 대응되며, 제 1 뱅크패턴(200a)의 평탄면(230)은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에 대응되며, 제 1 뱅크패턴(200a)의 제 2 경사면(220)은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에 대응되어 위치한다.
또한, 제 2 뱅크패턴(200b)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은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적색 및 청색 서브화소(2R-SP, 2B-SP)에 대응되어 위치하며, 평탄면(230)은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에 대응되어 위치하며, 제 3 뱅크패턴(200c)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은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의 제 3 녹색 및 적색 서브화소(3G-SP, 3R-SP)에 대응되어 위치하며, 평탄면(230)은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의 제 3 청색 서브화소(3R-SP)에 대응되어 위치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의 모든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가 정면으로 광을 발광하게 되어, 모두 균일한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추호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보호층(109b)을 포함하는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 상부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17b)과 연결되며 예를 들어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로 발광다이오드(E)의 양극(anode)을 이루는 제 1 전극(111)이 위치한다.
제 1 전극(111)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와 같은 금속 산화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전극(111)은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 별로 위치하는데,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청색 서브화소(1B-SP)의 제 1 전극(111)은 제 1 뱅크패턴(200a)의 제 1 경사면(210) 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 1 적색 서브화소(1)의 제 1 전극(111)은 제 1 뱅크패턴(200a)의 평탄면(230) 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의 제 1 전극(111)은 제 1 뱅크패턴(200a)의 제 2 경사면(220)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적색 서브화소(2R-SP)의 제 1 전극(111)은 제 2 뱅크패턴(200b)의 제 1 경사면(210) 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의 제 1 전극(111)은 제 2 뱅크패턴(200b)의 평탄면(230) 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 2 청색 서브화소(2B-SP)의 제 1 전극(111)은 제 2 뱅크패턴(200b)의 제 2 경사면(220) 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의 제 3 녹색 서브화소(3G-SP)의 제 1 전극(111)은 제 3 뱅크패턴(200c)의 제 1 경사면(210) 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의 제 1 전극(111)은 제 3 뱅크패턴(200c)의 평탄면(230) 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 3 적색 서브화소(3R-SP)의 제 1 전극(111)은 제 3 뱅크패턴(200c)의 제 2 경사면(220)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 별로 위치하는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bank : 119)가 위치한다. 즉, 제 1 전극(111)은 뱅크(119)를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 별 경계부로 하여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 별로 분리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에 위치하는 서브화소(1G-SP, 1B-SP, 2R-SP, 2B-SP, 3R-SP, 3G-SP) 사이의 뱅크(119)의 폭(D2)은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에 위치하는 서브화소(1G-SP, 1B-SP, 2R-SP, 2B-SP, 3R-SP, 3G-SP)와 평탄면(230)에 위치하는 서브화소(1R-SP, 2G-SP, 3B-SP) 사이의 뱅크(119)의 폭(D1)에 비해 좁게 형성된다.
즉,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와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 사이에 위치하는 뱅크(119)의 폭(D1)은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와 이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적색 서브화소(2R-SP)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뱅크(119)의 폭(D2)에 비해 넓게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뱅크(119)의 폭(D1, D2)은 어레이기판(101)과 컬러필터인캡기판(130) 사이의 거리 등을 통해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뱅크(119)를 포함하는 제 1 전극(111)의 상부에 유기발광층(113)이 위치하는데,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은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의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 별로 적색, 녹색, 청색 광을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청색 서브화소(1B-SP)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c)은 청색광을 발광하게 되며,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a)은 적색광을,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b)은 녹색광을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적색 서브화소(2R-SP)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a)은 적색광을,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b)은 녹색광을, 제 2 청색 서브화소(2B-SP)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c)은 청색광을 발광하게 되며,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의 제 3 녹색 서브화소(3G-SP)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b)은 녹색광을,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c)은 청색광을, 제 3 적색 서브화소(3R-SP)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a)은 적색광을 발광하게 된다.
즉,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의 각 제 1 내지 제 3 적색 서브화소(1R-SP, 2R-SP, 3R-SP)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은 적색광을 발광하는 제 1 유기발광층(113a)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내지 제 3 녹색 서브화소(1G-SP, 2G-SP, 3G-SP)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은 녹색광을 발광하는 제 2 유기발광층(113b)으로 이루어지며, 제 1 내지 제 3 청색 서브화소(1B-SP, 2B-SP, 3B-SP)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은 청색광을 발광하는 제 3 유기발광층(113c)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 별로 위치하는 각각의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은 미세금속마스크(fine metal mask, FMM)를 이용하여 증착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의 상부로는 전면에 음극(cathode)을 이루는 제 2 전극(115)이 위치한다.
제 2 전극(115)은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 2 전극(115)은 이중층 구조로, 일함수가 낮은 금속 물질인 Ag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금속과 Mg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2 금속이 일정 비율로 구성된 합금의 단일층 또는 이들의 다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OLED는 선택된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11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광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유기발광층(113a, 113b, 113c)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제 2 전극(115)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상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이때, 제1 전극(111)은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반사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일예로, 반사층은 알루미늄-팔라듐-구리(aluminum-paladium-copper: APC)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극(115)은 ITO/APC/ITO의 3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115)은 마그네슘(Mg), 은(Ag), 또는 마그네슘(Mg)과 은(Ag)의 합금과 같은 반투과 금속물질(Semi-transmissive Conductiv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15)이 반투과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마이크로 캐비티(micro cavity)에 의해 출광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제2 전극(115) 상에는 캡핑층(capping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 상부에는 얇은 박막필름 형태인 컬러필터인캡기판(130)이 형성되어, OLED는 컬러필터인캡기판(130)을 통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컬러필터인캡기판(130)은 외부 산소 및 수분이 OLED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보호필름을 적어도 2장 적층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2장의 무기보호필름 사이에는 무기보호필름의 내충격성을 보완하기 위한 유기보호필름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보호필름과 무기보호필름이 교대로 반복하여 적층된 구조에서는 유기보호필름의 측면을 통해서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무기보호필름이 유기보호필름을 완전히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OLED는 외부로부터 수분 및 산소가 OLED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컬러필터인캡기판(130) 상부로 제 1 내지 제 3 컬러필터(R-CF, G-CF, B-CF)와, 블랙매트릭스(BM1, BM2, BM3, BM4, BM5, BM6)를 포함하는 배리어층이 위치하는데, 블랙매트릭스(BM1, BM2, BM3, BM4, BM5, BM6)는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청색, 적색, 녹색 서브화소(1B-SP, 1R-SP, 1G-SP) 중, 중앙에 배치되는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와는 중첩되지 않으며,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와 제 1 청색 서브화소(1B-SP)와는 1/2이 중첩된다.
즉,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에는 제 1 및 제 2 블랙매트릭스(BM1, BM2)가 위치하게 되는데, 제 1 블랙매트릭스(BM1)는 일측 끝단이 제 1 청색 서브화소(1B-SP)의 중심부에 대응되며, 타측 끝단은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의 일측 끝단과 대응된다.
그리고, 제 2 블랙매트릭스(BM2)는 제 1 블랙매트릭스(BM1)와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의 폭에 대응되는 사이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하며, 따라서 제 2 블랙매트릭스(BM2)의 일측 끝단은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며, 타측 끝단은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의 중심부에 대응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에 위치하는 제 3 및 제 4 블랙매트릭스(BM3, BM4)는 제 3 블랙매트릭스(BM3)의 일측 끝단이 제 2 적색 서브화소(2R-SP)의 중심부에 대응되며, 타측 끝단은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의 일측 끝단과 대응된다.
따라서, 제 2 블랙매트릭스(BM2)와 제 3 블랙매트릭스(BM3)는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의 1/2의 폭과,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적색 서브화소(2R-SP)의 1/2의 폭에 대응되는 사이간격(=투과부)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 4 블랙매트릭스(BM4)는 제 3 블랙매트릭스(BM3)와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의 폭에 대응되는 사이간격(=투과부)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하며, 따라서 제 4 블랙매트릭스(BM4)의 일측 끝단은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며, 타측 끝단은 제 2 청색 서브화소(2B-SP)의 중심부에 대응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5 및 제 6 블랙매트릭스(BM5, BM6)는 제 5 블랙매트릭스(BM5)의 일측 끝단이 제 3 녹색 서브화소(3G-SP)의 중심부에 대응되며, 타측 끝단은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의 일측 끝단과 대응되며, 제 6 블랙매트릭스(BM6)는 일측 끝단이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며, 타측 끝단은 제 3 적색 서브화소(3R-SP)의 중심부에 대응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제 4 블랙매트릭스(BM4)와 제 5 블랙매트릭스(BM5)는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청색 서브화소(2B-SP)의 1/2의 폭과,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의 제 3 녹색 서브화소(3G-SP)의 1/2의 폭에 대응되는 사이간격(=투과부)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며, 제 5 블랙매트릭스(BM5)와 제 6 블랙매트릭스(BM6)는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의 폭에 대응되는 사이간격(=투과부)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6 블랙매트릭스(BM1, BM2, BM3, BM4, BM5, BM6)의 폭은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 폭 * 0.5)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블랙매트릭스(BM1, BM2, BM3, BM4, BM5, BM6)의 폭이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 폭 * 0.5) 보다 작을 경우, 이웃하는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으로 광이 섞임되어 출사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멀티 뷰를 구현하기 어려워지게 된다.
여기서,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의 폭과, 블랙매트릭스(BM1, BM2, BM3, BM4, BM5, BM6)의 폭은 어레이기판(101)과 컬러필터인캡기판(130) 사이의 거리 등을 통해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컬러필터인캡기판(130) 상에 구비되는 컬러필터(R-CF, G-CF, B-CF)는,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에 대응하여 적색 컬러필터(R-CF)가 위치하게 되며,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에 대응하여 녹색 컬러필터(G-CF)가 위치하게 되며,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에 대응하여 청색 컬러필터(B-CF)가 위치하게 된다.
즉,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1R-SP, 1G-SP, 1B-SP)는 적색 컬러필터(R-CF)와 중첩되어 배치되며,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2R-SP, 2G-SP, 2B-SP)는 녹색 컬러필터(G-CF)와 중첩되어 배치되며,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의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3R-SP, 3G-SP, 3B-SP)는 청색 컬러필터(B-CF)와 중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어레이기판(101) 상에 정의되는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 각각의 최외각에 위치하는 서브화소(1B-SP, 1G-SP, 2R-SP, 2B-SP, 3G-SP, 3R-SP)는 이웃하는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컬러필터(R-CF, G-CF, B-CF)와 동일한 컬러를 갖게 된다.
즉,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우측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는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녹색 컬러필터(G-CF)와 동일한 컬러의 광을 발광하게 되며,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좌측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2 적색 서브화소(2R-SP)는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적색 컬러필터(R-CF)와 동일한 컬러의 광을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우측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2 청색 서브화소(2B-SP)는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에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청색 컬러필터(B-CF)와 동일한 컬러의 광을 발광하게 되며,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의 좌측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 3 녹색 서브화소(3G-SP)는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녹색 컬러필터(G-CF)와 동일한 컬러의 광을 발광하게 된다.
이때, 적색, 녹색, 청색 컬러필터(R-CF, G-CF, B-CF)는 각각 서로 다른 광 투과 파장대를 가지며,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컬러필터(R-CF, G-CF, B-CF)들 각각은 특정한 파장의 광 만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파장의 광은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 경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의 제 1 내지 제 3 적색 서브화소(1R-SP, 2R-SP, 3R-SP)로부터 발광되는 적색광은 적색 컬러필터(R-CF)는 투과하게 되나, 녹색 또는 청색 컬러필터(G-CF, B-CF)는 투과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녹색 서브화소(1G-SP, 2G-SP, 3G-SP)로부터 발광되는 녹색광은 녹색 컬러필터(G-CF)는 투과하게 되나, 적색 또는 청색 컬러필터(R-CF, B-CF)는 투과하지 못하게 되며, 제 1 내지 제 3 청색 서브화소(1B-SP, 2B-SP, 3B-SP)로부터 발광되는 청색광은 청색 컬러필터(B-CF)는 투과하게 되나, 적색 또는 녹색 컬러필터(R-CF, G-CF)는 투과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로부터 발광된 적색광은 제 1 및 제 2 블랙매트릭스(BM1, BM2) 사이의 투과부를 통과하여 컬러필터인캡기판(130)에 구비되는 적색 컬러필터(R-CF)를 투과하여, 제 1-1 뷰 영상(V1-1)을 표시하게 된다.
하지만,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로부터 발광된 녹색광은 제 2 및 제 3 블랙매트릭스(BM2, BM3) 사이의 투과부를 통해 적색 컬러필터(R-CF)와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녹색 컬러필터(G-CF)로 진행하게 되는데,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로부터 발광된 녹색광은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적색 컬러필터(R-CF)는 투과하지 못하고,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녹색 컬러필터(G-CF)만을 투과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로부터 발광된 녹색광은 제 1-2 뷰 영상(V1-2)만을 표시하게 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서브화소 그룹(1GP)의 제 1 청색 서브화소(1B-SP)로부터 발광된 청색광은 이웃하여 위치하는 서브화소 그룹의 청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1-3 뷰 영상(도 3의 V1-3)만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로부터 발광된 녹색광은 컬러필터인캡기판(130)에 구비되는 녹색 컬러필터(G-CF)를 투과하여, 제 2-2 뷰 영상(V2-2)을 표시하게 된다. 하지만,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제 2 적색 서브화소(2R-SP)와 제 2 청색 서브화소(2B-SP)로부터 발광된 적색광과 청색광은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녹색 컬러필터(G-CF)를 투과하지 못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3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적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를 각각 투과하여 제 2-1 뷰 영상(V2-1)과 제 2-3 뷰 영상(V2-3)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의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로부터 발광된 청색광은 컬러필터인캡기판(130)에 구비되는 청색 컬러필터(B-CF)를 투과하여, 제 3-3 뷰 영상(V3-3)을 표시하게 되나,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의 제 3 적색 서브화소(3R-SP)와 제 3 녹색 서브화소(3G-SP)로부터 발광된 적색광과 녹색광은 제 3 서브화소 그룹(3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청색 컬러필터(B-CF)를 투과하지 못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서브화소 그룹(1GP, 2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적색 컬러필터(R-CF) 및 녹색 컬러필터(G-CF)를 각각 투과하여 제 3-1 뷰 영상(V3-1)과 제 3-2 뷰 영상(V3-2)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적색 컬러필터(R-CF)를 투과하여 표시되는 제 1-1 뷰 영상(V1-1)과, 녹색 컬러필터(G-CF)를 투과하여 표시되는 제 1-2 뷰 영상(V1-2) 그리고 청색 컬러필터(B-CF)를 투과하여 표시되는 제 1-3 뷰 영상(V1-3)이 제 1 뷰 영상(V1)을 구현하게 되며, 또한, 제 2-1 뷰 영상(V2-1)과, 제 2-2 뷰 영상(V2-2) 그리고 제 2-3 뷰 영상(V2-3)이 제 2 뷰 영상(V2)을 구현하게 되며, 제 3-1 뷰 영상(V3-1)과 제 3-2 뷰 영상(V3-2) 그리고 제 3-3 뷰 영상(V3-3)이 하나의 제 3 뷰 영상(V3)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OLED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현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따른 OLED는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들과 컬러필터(R-CF, G-CF, B-CF)들을 배치할 뿐만 아니라,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들 간의 간격을 조정하고 블랙매트릭스(BM1, BM2, BM3, BM4, BM5, BM6)를 배치함으로써,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로부터 표시되는 제 1-1 뷰 영상(V1-1)은 제 1 뷰 영역(V1)으로 출력되고, 또한 제 1 녹색 서브화소(1G-SP)로부터 표시되는 제 1-2 뷰 영상(V1-2)은 제 1 뷰 영역(V1)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적색 서브화소(2R-SP)로부터 표시되는 제 2-1 뷰 영상(V2-1)은 제 2 뷰 영역(V2)으로 출력되고,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로부터 표시되는 제 2-2 뷰 영상(V2-2) 또한 제 2 뷰 영역(V2)으로 출력되며, 제 2 청색 서브화소(2B-SP)로부터 표시되는 제 2-3 뷰 영상(V2-3) 또한 제 2 뷰 영역(V2)으로 출력되게 된다. 또한, 제 3 녹색 서브화소(3G-SP)로부터 표시되는 제 3-2 뷰 영상(V3-2)은 제 3 뷰 영역(V3)으로 출력되며,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로부터 표시되는 제 3-3 뷰 영상(V3-3) 또한 제 3 뷰 영역(V3)으로 출력되게 된다.
또한, 제 1 청색 서브화소(1B-SP)로부터 표시되는 제 1-3 영상(V1-3)은 제 1 뷰 영역(V1)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제 3 적색 서브화소(3R-SP)로부터 표시되는 제 3-1 영상(V3-1)은 제 3 뷰 영역(V3)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는 곧,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적색, 녹색, 청색서브화소(1R-SP, 1G-SP, 1B-SP)들을 이용하여 제 1-1 내지 제 1-3 뷰 영상(V1-1, V1-2, V1-3)들 각각을 제 1 뷰 영역(V1)으로 각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제 2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2R-SP, 2G-SP, 2B-SP)들을 이용하여 제 2-1 내지 제 2-3 뷰 영상(V2-1, V2-2, V2-3)들 각각을 제 2 뷰 영역(V2)으로 각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3R-SP, 3G-SP, 3B-SP)들을 이용하여 제 3-1 내지 제 3-3 뷰 영상(V3-1, V3-2, V3-3)들 각각을 제 3 뷰 영역(V3)으로 각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멀티 뷰를 구현할 수 있어,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로 트리플 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생활 보호 모드를 구현할 수 있어,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거나, 정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블랙매트릭스(BM1, BM2, BM3, BM4, BM5, BM6)의 폭과 컬러필터(R-CF, G-CF, B-CF)의 폭은 어레이기판(101)과 컬러필터인캡기판(130) 사이의 거리인 셀갭(H1)과 블랙매트릭스(BM1, BM2, BM3, BM4, BM5, BM6)의 두께(H2)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데, 아래 (수식 1)을 만족하는 한도 내에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식 1)
(셀갭 + 블랙매트릭스의 두께) * tan(60°) < (서브화소의 폭 * 1.5)
이때,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의 평탄면(230) 상에 위치하는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와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 그리고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에 각각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블랙매트릭스(BM1, BM2) 사이의 거리와, 제 3 및 제 4 블랙매트릭스(BM3, BM4) 사이의 거리(W1) 그리고 제 5 및 제 6 블랙매트릭스(BM5, BM6) 사이의 거리는 (셀갭 + 블랙매트릭스의 두께) * tan(20°)*2를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서브화소 그룹(1GP)과 제 2 서브화소 그룹(2GP)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 2 블랙매트릭스(BM2)와 제 3 블랙매트릭스(BM3) 사이의 거리(W2)와 제 4 블랙매트릭스(BM4)와 제 5 블랙매트릭스(BM5) 사이의 거리는 (셀갭 + 블랙매트릭스의 두께) * tan(60°)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tan 20°와 tan 60°는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지향각(=시야각)으로, 첨부한 도 6a를 참조하면 각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로부터 발광되는 광은 정면으로 약 40°의 지향각을 가지고 발광하게 된다.(E영역으로 표시)
즉,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의 평탄면(230) 상에 위치하는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와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 그리고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로부터 발광되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은 모두 -20 ~ +20°도의 지향각을 가지고 컬러필터인캡기판(130)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에 반해, 도 6b를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에 위치하는 제 1 청색 및 녹색 서브화소(1B-SP, 1G-SP)와 제 2 적색 및 청색 서브화소(2R-SP, 2B-SP) 그리고 제 3 녹색 및 적색 서브화소(3G-SP, 3R-SP)로부터 발광되는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은 모두 -60 ~ -20°와 +20 ~ +60°의 지향각을 가지고 컬러필터인캡기판(130)을 향해 진행하게 된다. (F영역으로 표시)
여기서,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각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되는 광은 정면 휘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측면으로 발광되는 광은 정면으로 발광하는 광에 비해 휘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의 평탄면(230) 상에 위치하는 제 1 적색 서브화소(1R-SP)와 제 2 녹색 서브화소(2G-SP) 그리고 제 3 청색 서브화소(3B-SP)로부터 발광되는 광은 (셀갭 + 블랙매트릭스의 두께) * tan(20°)*2를 만족하는 블랙매트릭스(BM1, BM2, BM3, BM4, BM5, BM6)의 투과부를 통해 컬러필터인캡기판(130)을 진행하게 되고,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에 위치하는 제 1 청색 및 녹색 서브화소(1B-SP, 1G-SP)와 제 2 적색 및 청색 서브화소(2R-SP, 2B-SP) 그리고 제 3 녹색 및 적색 서브화소(3G-SP, 3R-SP)로부터 발광되는 광은 (셀갭 + 블랙매트릭스의 두께) * tan(60°)를 만족하는 블랙매트릭스(BM1, BM2, BM3, BM4, BM5, BM6)의 투과부를 통해 컬러필터인캡기판(130)을 진행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멀티 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발광다이오드(E)의 제 1 전극(111) 하부로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을 더욱 위치시킴으로써, 제 1-1 내지 제 3-3 뷰 영상(V1-1, V1-2, V1-3, V2-1, V2-2, V2-3, V3-1, V3-2, V3-3)들이 모두 균일한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이 보호층(109b)과 이루는 각도(α) 또한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에 위치하는 제 1 청색 및 녹색 서브화소(1B-SP, 1G-SP)와 제 2 적색 및 청색 서브화소(2R-SP, 2B-SP) 그리고 제 3 녹색 및 적색 서브화소(3G-SP, 3R-SP)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지향각(=시야각)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이 보호층(109b)과 이루는 각도(α)는 20 ~ 60°범위를 갖도록 하여, 정면으로 위치하는 컬러필터(R-CF, G-CF, B-CF)를 투과하지 못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컬러필터(R-CF, G-CF, B-CF)를 투과하는 광들이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에 의해 실질적으로는 정면으로 발광하게 된다.
여기서, 첨부한 도 6c를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제 1 및 제 2 경사면(210, 220)에 위치하는 제 1 청색 및 녹색 서브화소(1B-SP, 1G-SP)와 제 2 적색 및 청색 서브화소(2R-SP, 2B-SP) 그리고 제 3 녹색 및 적색 서브화소(3G-SP, 3R-SP)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지향각이 정면으로 발광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영역으로 표시)
따라서, 제 1-2, 제 1-3, 제 2-1, 제 2-3, 제 3-1, 제 3-2 뷰 영상(V1-2, V1-3, V2-1, V2-3, V3-1, V3-2)들은 제 1-1, 제 2-2, 제 3-3 뷰 영상(V1-1, V2-2, V3-3)과 동일한 휘도를 갖게 되므로, 멀티 뷰 영상들이 모두 균일한 고휘도를 구현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들과 컬러필터(R-CF, G-CF, B-CF)들을 배치 구조, 서브화소(1R-SP, 1G-SP, 1B-SP, 2R-SP, 2G-SP, 2B-SP, 3R-SP, 3G-SP, 3B-SP)들 간의 간격, 및 블랙매트릭스(BM1, BM2, BM3, BM4, BM5, BM6)의 배치 구조로 인해,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1GP, 2GP, 3GP)의 제 1 내지 제 3 적색 서브화소(1R-SP, 2R-SP, 3R-SP)들을 통해 적색광의 제 1-1, 제 2-1, 제 3-1 뷰 영상(V1-1, V2-1, V3-1)을 각각 표시하도록 하고, 제 1 내지 제 3 녹색 서브화소(1G-SP, 2G-SP, 3G-SP)들을 통해 녹색광의 제 1-2, 제 2-2, 제 3-2 뷰 영상(V1-2, V2-2, V3-2)을 각각 표시하도록 하고, 제 1 내지 제 3 청색 서브화소(1B-SP, 2B-SP, 3B-SP)들을 통해 청색광의 제 1-3, 제 2-3, 제 3-3 뷰 영상(V1-3, V2-3, V3-3)을 을 각각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멀티 뷰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는 발광다이오드(E)의 제 1 전극(111) 하부로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200a, 200b, 200c)을 더욱 위치시킴으로써, 제 1-1 내지 제 3-3 뷰 영상(V1-1, V1-2, V1-3, V2-1, V2-2, V2-3, V3-1, V3-2, V3-3)들이 모두 균일한 고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9b : 보호층
111 : 제 1 전극, 113b : 제 2 유기발광층, 115 : 제 2 전극
119 : 뱅크
200a, 200b : 제 1 및 제 2 뱅크패턴
210, 220 : 제 1 및 제 2 경사면, 230 : 평탄면
E : 발광다이오드, BM2, BM3, BM4 : 제 2 내지 제 4 블랙매트릭스
G-CF : 녹색 컬러필터
1G-SP, 2R-SP, 2G-SP : 제 1 녹색 서브화소, 제 2 적색 서브화소, 제 2 녹색 서브화소
V2-1, V1-2, V2-2 : 제 2-1 뷰 영상, 제 1-2 뷰 영상, 제 2-2 뷰 영상

Claims (15)

  1. 어레이기판 상에 정의되며, 하나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에 각각 대응되어 위치하며, 제 1 및 제 2 경사면과,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을 연결하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과;
    상기 어레이기판과 마주보는 컬러필터인캡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적색 컬러필터와,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녹색 컬러필터와,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청색 컬러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각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는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과 상기 평탄면 상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은 각각 제 1-1 뷰 영상과, 제 1-2 뷰 영상과, 제 1-3 뷰 영상을 표시하게 되며,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은 각각 제 2-1 뷰 영상과, 제 2-2 뷰 영상과, 제 2-3 뷰 영상을 표시하게 되며,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은 각각 제 3-1 뷰 영상과, 제 3-2 뷰 영상과, 제 3-3 뷰 영상을 표시하게 되며,
    상기 제 1-1 내지 상기 제 1-3 뷰 영상은 제 1 뷰 영상을 구현하며, 상기 제 2-1 내지 상기 제 2-3 뷰 영상은 제 2 뷰 영상을 구현하며, 상기 제 3-1 내지 상기 제 3-3 뷰 영상은 제 3 뷰 영상을 구현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는 같은 색을 발광하는 서브화소 사이로 상이한 색을 발광하는 서브화소가 이웃하여 배치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은 제 1 청색, 적색, 녹색 서브화소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에 이웃한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은 제 2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에 이웃한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은 제 3 녹색, 청색, 적색 서브화소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은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되는 광의 지향각에 대응되는 20 ~ 60°인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중,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 상에 위치하는 서브화소는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컬러필터와 동일한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은 상기 제 1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경사면 상에 제 1 청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평탄면 상에 제 1 적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제 2 경사면 상에 제 1 녹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은 상기 제 2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경사면 상에 제 2 적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평탄면 상에 제 2 녹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제 2 경사면 상에 제 2 청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은 상기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경사면 상에 제 3 녹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평탄면 상에 제 3 청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며, 상기 제 2 경사면 상에 제 3 적색 서브화소가 위치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색 서브화소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과 상기 평탄면 상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전극과 제 1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녹색 서브화소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과 상기 평탄면 상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전극과 제 2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청색 서브화소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과 상기 평탄면 상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전극과 제 3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사이에는 뱅크가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기발광층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별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뱅크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기발광층 상부로는 제 2 전극이 위치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는 상기 제 1 뱅크패턴의 상기 평탄면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제 1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녹색 서브화소는 상기 제 1 뱅크패턴의 상기 제 2 경사면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제 2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청색 서브화소는 상기 제 1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경사면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과 제 3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사이에는 뱅크가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기발광층은 상기 제 1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별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뱅크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기발광층 상부로는 제 2 전극이 위치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적색광은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적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1-1 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1 녹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녹색광은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녹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1-2 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2 적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적색광은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적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2-1 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2 녹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녹색광은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녹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2-2 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2 청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청색광은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청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2-3 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2 녹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녹색광은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녹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3-2 뷰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3 청색 서브화소로부터 발광된 청색광은 상기 제 3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상기 청색 컬러필터를 투과하여 제 3-3 뷰 영상을 표시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인캡기판에는 블랙매트릭스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서브화소 그룹의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평탄면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와 상기 제 2 녹색 서브화소 그리고 상기 제 3 청색 서브화소와는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 상에 위치하는 제 1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와 상기 제 2 적색 및 청색 서브화소 그리고 상기 제 3 녹색 및 적색 서브화소와는 1/2이 중첩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제 1 블랙매트릭스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제 1 청색 서브화소의 중심부에 대응되며, 타측 끝단은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의 일측 끝단과 대응되며,
    상기 제 2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제 1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의 폭에 대응되는 사이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상기 제 2 블랙매트릭스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의 타측 끝단과 대응되며, 타측 끝단은 상기 제 1 녹색 서브화소의 중심부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제 2 서브화소 그룹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제 3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제 1 녹색 서브화소의 1/2의 폭과, 상기 제 2 적색 서브화소의 1/2의 폭에 대응되는 사이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위치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제 2 블랙매트릭스 사이의 간격은 (셀갭 + 블랙매트릭스의 두께) * tan(20°)*2을 만족하며,
    상기 제 2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제 3 블랙매트릭스 사이의 간격은 (셀갭 + 블랙매트릭스의 두께) * tan(60°)을 만족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의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와 상기 제 2 적색 및 청색 서브화소 그리고 상기 제 3 녹색 및 적색 서브화소 간의 사이간격은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와 상기 제 2 적색 및 청색 서브화소 그리고 상기 제 3 녹색 및 적색 서브화소와 상기 평탄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적색 서브화소와 상기 제 2 녹색 서브화소 그리고 상기 제 3 청색 서브화소와의 사이간격에 비해 좁은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뱅크패턴은 상기 어레이기판 상에 구비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상부로 위치하는 보호층 상부로 위치하며,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색, 녹색, 청색 서브화소 별로 위치하며, 반도체층과, 반도체층 상부로 위치하는 게이트절연막,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부로 위치하는 게이트전극, 상기 게이트전극 상부로 위치하는 제 1 층간절연막, 상기 제 1 층간절연막 상부로 위치하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70173898A 2017-12-18 2017-12-18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KR102463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898A KR102463582B1 (ko) 2017-12-18 2017-12-18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TW107142775A TWI685701B (zh) 2017-12-18 2018-11-29 多畫面顯示裝置
US16/211,085 US10804330B2 (en) 2017-12-18 2018-12-05 Multi-view display device
EP18211357.1A EP3499578B1 (en) 2017-12-18 2018-12-10 Multi-view display device
CN201811540039.7A CN110035272B (zh) 2017-12-18 2018-12-17 多视点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3898A KR102463582B1 (ko) 2017-12-18 2017-12-18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21A true KR20190072821A (ko) 2019-06-26
KR102463582B1 KR102463582B1 (ko) 2022-11-03

Family

ID=6466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3898A KR102463582B1 (ko) 2017-12-18 2017-12-18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04330B2 (ko)
EP (1) EP3499578B1 (ko)
KR (1) KR102463582B1 (ko)
CN (1) CN110035272B (ko)
TW (1) TWI6857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438A1 (ko) * 2022-05-20 2023-11-23 주식회사 야스 유기발광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230B2 (en) * 2017-03-01 2019-03-26 Avalon Holographics Inc. Directional pixel for multiple view display
KR20200037891A (ko) * 2018-10-01 2020-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CN110518040A (zh) * 2019-08-29 2019-11-29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799393B (zh) * 2020-07-20 2023-08-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柔性显示装置
US20230164302A1 (en) * 2021-01-25 2023-05-2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30109619A1 (en) * 2021-10-04 2023-04-06 Applied Materials, Inc. Led displays with reduced optical crosstalk
CN114187837A (zh) * 2021-12-13 2022-03-15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608A (ko) * 2008-10-31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74495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75135A (ko) * 2013-12-24 2015-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28303A (en) 2005-07-08 2007-01-24 Sharp Kk An illumination system for switching a display between a public and private viewing mode
US8253781B2 (en) * 2007-10-08 2012-08-28 Chimei Innolux Corporation Asymmetric viewing angles for a dual view display
JP2009186876A (ja) * 2008-02-08 2009-08-2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958644B1 (ko) 2008-10-21 2010-05-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N101404765B (zh) * 2008-10-24 2010-12-08 宁波大学 一种交互式多视点视频编码方法
JP2011113736A (ja) * 2009-11-25 2011-06-09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有機el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865083B2 (en) 2010-11-03 2018-01-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inpainting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KR20120087647A (ko) 2011-01-28 2012-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14398B1 (ko) * 2013-07-01 2020-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09252A (ko) 2013-07-16 201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콘텐츠 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콘텐츠 뷰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96547A (ko) 2014-02-14 2015-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49685B1 (ko) * 2015-08-11 2022-09-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표시장치
KR102467221B1 (ko) * 2017-12-18 2022-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뷰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608A (ko) * 2008-10-31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74495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075135A (ko) * 2013-12-24 2015-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438A1 (ko) * 2022-05-20 2023-11-23 주식회사 야스 유기발광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35272A (zh) 2019-07-19
TW201928471A (zh) 2019-07-16
US10804330B2 (en) 2020-10-13
US20190189704A1 (en) 2019-06-20
EP3499578B1 (en) 2020-10-28
KR102463582B1 (ko) 2022-11-03
EP3499578A1 (en) 2019-06-19
TWI685701B (zh) 2020-02-21
CN110035272B (zh)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5272B (zh) 多视点显示装置
JP6457613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JP6814843B2 (ja) 表示装置
EP333389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WI528545B (zh) 顯示裝置
CN110010654B (zh) 多视图显示装置
KR102539570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US8581271B2 (en) Display apparatus using separat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s in a single pixel
US9176327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for naked eyes
KR10256283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02173B1 (ko) 양방향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70113866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200080741A (ko) 표시장치
US20230329030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445868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10086287A (ko) 표시장치
US7345658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KR102665230B1 (ko) 표시장치
KR20210040519A (ko) 표시장치
KR20190038320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JP2010092666A (ja) 有機el表示装置
KR20210041892A (ko) 표시장치
KR20120011611A (ko) 다중시역 유기전계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