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031A -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 - Google Patents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031A
KR20190071031A KR1020170171478A KR20170171478A KR20190071031A KR 20190071031 A KR20190071031 A KR 20190071031A KR 1020170171478 A KR1020170171478 A KR 1020170171478A KR 20170171478 A KR20170171478 A KR 20170171478A KR 20190071031 A KR20190071031 A KR 20190071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iercing
panel
shi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797B1 (ko
Inventor
정종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방부 해군참모총장)
Priority to KR102017017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7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6Temporary equipment for stopping leaks, e.g. collision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파공으로 인한 유체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침수 사고용 다단 조절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기력을 이용해서 불규칙한 파공을 보수하는 한편, 파도에 의한 위치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형태와 크기에 따라 치수를 조절해서 파공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INTEGRAL PLUG FOR VESSEL PUNCTURE}
본 발명은 선박의 파공으로 인한 유체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침수 사고용 다단 조절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기력을 이용해서 불규칙한 파공을 보수하는 한편, 파도에 의한 위치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형태와 크기에 따라 치수를 조절해서 파공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선박과 해상전투 목적을 위한 함정의 경우는 적과의 교전 발발시 선체의 파공현상은 번번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함정뿐만 아니라 작전용 도강교량이나 해군장갑차, 유류저장탱크 등 고정해양시설에서도 선체나 기체 등에 외부충격으로 인한 파공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선박이 파공된 경우 선체 내부가 비어있는 경우에는 나무쐐기 등을 이용한 응급 봉쇄를 할 수 있으나, 유조선등과 같이 선체 내부에 오일(또는 기타 화물)이 채워져 있는 경우 선체 외부에서는 응급봉쇄를 행해야 하는데, 주로 철판을 용접하는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용접 방식의 경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기상악화시 작업자체가 불가능한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그로인해 해상으로 대량의 오일이 유출되거나 선박이 침몰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으로, 선박종사자들의 경우 상기와 같이 선체 파공시 용접작업 없이 단시간에 응급으로 파공 부위를 봉쇄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공 플러그가 개발되었고, 이러한 파공 플러그는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114848호인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와, 국내 공개특허 제10-2017-0034744호인 선박의 파공부위 차단장치 및 국내 등록특허 제10-1737953호인 자력 부착식 선박 파공 봉쇄 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패킹(40)이 내장된 덮개판넬(30)이 파공부위(90) 크기를 초과하는 크기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판넬(30)을 관통하여 파공부위(90)에 삽입되는 유도파이프(20)가 형성되며, 유도파이프(20)의 삽입되는 안쪽 끝부분은 꺽쇠(25) 형태로 구성되어 파공부위(90) 내부로 들어가 선체벽체(10) 내부에 걸리게 되고, 바깥쪽에 형성된 고정나사(55)에서 고정너트(50)를 조임으로 인해 덮개판넬(30)이 선체벽체(10) 외부에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선박의 파공부위 차단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수지제로 구성되며, 원추형으로 형성된 개스킷(1)에 핸들(3)을 나사부(31)및 나사공(21)에 의해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체 개스킷(1)의 스핀들(2)은 영구자석(4)의 축공(41)에 슬라이드 상태로 삽입하여 파공부(10)에 개스킷(1)이 삽입되고, 영구자석(4)이 개스킷(1)의 걸림턱(11)에 지지되면서 자력에 의해 압박되어 선체(20)의 파공부(10)를 방수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자력 부착식 선박 파공 봉쇄 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선체(90)의 파공부(99)를 응급 봉쇄하는 자력 부착식 선박 파공 봉쇄 장치로서, 파공부(99) 및 파공부(99) 주변 선체(90) 표면에는 가요성 밀착포(10)가 밀착되고, 밀착포(10)의 표면에는 다수의 장방형 압착판(20)이 부착되되, 압착판(20)의 양측 단부에는 영구자석(39)이 내장된 자착판(30)이 부착되어, 자착판(30)의 자력이 압착판(20) 및 밀착포(10)를 관통하여 선체(90)에 작용함으로써, 압착판(20)이 밀착포(10)를 선체(90)측으로 압착하고, 압착판(20)의 표면에는 호형(弧形)의 판체로서 압착판(20)과 직교하는 호형접합판(25)이 압착판(20)의 중심선을 따라 접합되는 자력 부착식 선박 파공 봉쇄 장치에 있어서, 자착판(30)의 측면에는 회동축(36)이 형성되고; 회동축(36)에는 일단에 돌출곡면부(37)가 형성된 레버(35)가 연결되어, 레버(35)가 회동축(36)을 축으로 회동됨에 따라 레버(35) 일단의 돌출곡면부(37)가 자착판(30)의 부착면측으로 돌출되면서, 자착판(30)을 부착면에서 이격시키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파공 플러그는 쐐기 형상의 말뚝을 선박이나 파이프의 파공 부위에 밀어 넣은 후 충격을 가해서 물리적으로 그 부위를 막아주는 원시적인 형상물인데, 플러그는 크기나 형태가 제각각인 파공의 일부만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유체는 계속 유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5-0114848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7-0034744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7379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기력을 이용해서 불규칙한 파공을 보수하는 한편, 파도에 의한 위치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형태와 크기에 따라 치수를 조절해서 파공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선박의 파공 부위에 설치되는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에 있어서, 합성수지 재질로 상기 파공 부위에 삽입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상의 콘 형태 형성되고, 내면에 자석 패드가 부착되는 플러그 본체와; 상기 파공 부위 측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의 하단 외측면에서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되,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자석 패드가 부착되는 패널; 및 상기 파공 부위 측면에 더 넓게 부착되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각각의 끝단에서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정면에 상기 자석 패드가 부착되는 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파공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의 강도보다 강도가 더 높은 합성수지의 밀폐캡이 전면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플러그 본체는 다단으로 구분되어 절첩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자석 패드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원형 또는 사각형의 돌기가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 내부에 C형 자석이 인서트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에 따르면, 선박 내 침수 또는 외부 유출 사고 발생 시 용도나 부위를 한정하지 않고, 사용이 가능(선체 현측, 파이프, 탱크 등)하며, 다단 플러그를 접거나 펼침으로써 단일 규격의 개체가 파공의 형태와 크기제한 없이 사용 가능한 수치적 범위가 넓어 다양한 파공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가 내부 또는 외부에서 흐르는 성질을 이용하여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돌기가 휘어지기 때문에 폐쇄한 파공의 압력이 높아도 휘어진 돌기가 파공 부위에 걸리게 되면서 패널이 그 반력을 받아 밀착되어 3차(1차 : 플러그, 2차 : 패널)적인 폐쇄가 가능하여 보다 완벽하게 파공 부위를 폐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파공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절첩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가 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가 배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가 설치되어 동작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를 보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절첩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100)는 플러그 본체(110)와, 패널(120) 및 날개(130)로 이루어진다.
먼저, 플러그 본체(110)는 PP, PE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파공 부위에 삽입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상의 콘 형태 형성되고, 내면에 자석 패드(140)가 부착된다.
그리고, 플러그 본체(110)는 파공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플러그 본체(110)의 강도보다 강도가 더 높은 합성수지의 밀폐캡(111)이 전면에 결합된다.
또한, 플러그 본체(110)는 삼단봉과 같은 형태로 다단으로 구분되어 절첩되어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시킨다.
이어서, 패널(120)은 파공 부위 측면에 부착되도록 플러그 본체(110)의 하단 외측면에서 수평하게 일체로 사출 형성되되,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자석 패드(140)가 부착된다.
계속해서, 날개(130)는 파공 부위 측면에 더 넓게 부착되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판 형태로 형성되어 패널(120)의 각각의 끝단에서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정면에 자석 패드(140)가 부착된다.
한편, 자석 패드(140)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원형 또는 사각형의 돌기(141)가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며, 돌기(141) 내부에 네오디움인 C형 자석(143)이 인서트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의 사용 상태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가 선박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가 배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가 설치되어 동작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를 보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100)는 플러그 본체(110)를 절첩하고, 날개(130)를 일부 절첩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하고, 필요시 여러개를 한번에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공 부위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플러그 본체(110)와 날개(130)를 펼친 상태에서 플러그 본체(110) 내부에 막대기와 같은 도구를 삽입한 다음 밀폐캡(111)을 밀어 플러그 본체(110)를 파공 부위에 삽입한다.
플러그 본체(110)가 파공 부위에 삽입되면 자석 패드(140)의 C형 자석(143)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그런 다음, 패널(120)과 날개(130)에 구비된 자석 패드(140)를 이용하여 플러그 본체(110)의 측면, 즉 파공 부위 측면에 패널(120)를 부착하여 플러그 본체(110)가 막지 못한 유체를 2차로 막도록 한다.
한편, 패널(120)의 접착력이 부족하거나 둥근 형상에 발생한 파공을 막기 위해서 날개(130)를 펼쳐서 부착시킨다.
그리고, 플러그 본체(110)가 파공 부위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도와 같은 유체의 흐름 현상에 의해 플러그 본체(110)가 흐름 방향으로 휘게 되고, 이로 인해 플러그 본체(110)가 파공 부위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며, 패널(120)에 압력이 발생하여 패널(120) 역시 파공 부위에 더욱 밀착되어 유체를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관과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누구나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여 초동 조치용 도구로서 탁월하며, 특히 함정 특성상 불규칙한 철판의 파공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플러그 본체 120 : 패널
130 : 날개 140 : 자석 패드
141 : 돌기 143 : C형 자석

Claims (4)

  1. 선박의 파공 부위에 설치되는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에 있어서,
    합성수지 재질로 상기 파공 부위에 삽입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중공상의 콘 형태 형성되고, 내면에 자석 패드가 부착되는 플러그 본체와;
    상기 파공 부위 측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의 하단 외측면에서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되,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자석 패드가 부착되는 패널; 및
    상기 파공 부위 측면에 더 넓게 부착되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패널의 각각의 끝단에서 절첩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정면에 상기 자석 패드가 부착되는 날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파공 부위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플러그 본체의 강도보다 강도가 더 높은 합성수지의 밀폐캡이 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다단으로 구분되어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패드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원형 또는 사각형의 돌기가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 내부에 C형 자석이 인서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
KR1020170171478A 2017-12-13 2017-12-13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 KR102013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478A KR102013797B1 (ko) 2017-12-13 2017-12-13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478A KR102013797B1 (ko) 2017-12-13 2017-12-13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031A true KR20190071031A (ko) 2019-06-24
KR102013797B1 KR102013797B1 (ko) 2019-08-28

Family

ID=6705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478A KR102013797B1 (ko) 2017-12-13 2017-12-13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7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155B1 (ko) * 2020-11-24 2021-05-31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가변공간부를 갖는 파공 봉쇄장치
KR20220147433A (ko)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선박 파공 봉쇄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8678A (ja) * 2001-10-10 2003-04-23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の係留用ユニット
CN202743451U (zh) * 2012-08-16 2013-02-20 权永信 一种折叠式快速堵漏板
KR101518759B1 (ko) * 2014-07-05 2015-05-11 이용구 철재 구조물의 응급복구용 장비
KR20150114848A (ko) 2014-04-02 2015-10-13 주식회사스카이유엠에스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KR20160024159A (ko) * 2014-08-25 2016-03-04 에임텍 주식회사 선박의 유체 누설 차단장치
KR20170034744A (ko) 2015-10-13 2017-03-29 (주)코리아오션텍 선박의 파공부위 차단장치
KR101737953B1 (ko) 2016-11-30 2017-05-24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자력 부착식 선박 파공 봉쇄 장치
KR20170116596A (ko) * 2017-09-27 2017-10-19 최진서 선박용 긴급 파공 봉쇄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8678A (ja) * 2001-10-10 2003-04-23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の係留用ユニット
CN202743451U (zh) * 2012-08-16 2013-02-20 权永信 一种折叠式快速堵漏板
KR20150114848A (ko) 2014-04-02 2015-10-13 주식회사스카이유엠에스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KR101518759B1 (ko) * 2014-07-05 2015-05-11 이용구 철재 구조물의 응급복구용 장비
KR20160024159A (ko) * 2014-08-25 2016-03-04 에임텍 주식회사 선박의 유체 누설 차단장치
KR20170034744A (ko) 2015-10-13 2017-03-29 (주)코리아오션텍 선박의 파공부위 차단장치
KR101737953B1 (ko) 2016-11-30 2017-05-24 (주)승화기술정책연구소 자력 부착식 선박 파공 봉쇄 장치
KR20170116596A (ko) * 2017-09-27 2017-10-19 최진서 선박용 긴급 파공 봉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155B1 (ko) * 2020-11-24 2021-05-31 주식회사 오션파이브 가변공간부를 갖는 파공 봉쇄장치
KR20220147433A (ko)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선박 파공 봉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797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1031A (ko) 선박 파공용 일체형 플러그
KR101809107B1 (ko) 선박용 긴급 파공 봉쇄장치
US20190023362A1 (en) Apparatus for blocking fluid spill and flooding through wall damage
KR101635909B1 (ko) 선박의 유체 누설 차단장치
KR102189957B1 (ko) 선체 파공 방수/방유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78595A (ko) 선박 파공부위 셔터형 차폐 장치
KR20150114848A (ko)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EP4142892A1 (en) An extinguishing system and an extinguishing method
US4574971A (en) Sealing assembly for vessels
KR101809106B1 (ko) 선박용 긴급 파공 봉쇄장치
KR100540079B1 (ko) 선박용 벤트홀 또는 디스차지 관의 해수 유입 막음 장치
CA209124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sealing ruptured tanks
KR101544554B1 (ko) 선박 파공 부위 봉쇄 장치
KR101828439B1 (ko) 응급용 파공 봉쇄장치
WO2014144333A4 (en) Tank assemblies with a liner, liner, apparatus for attaching a hose and a valve to a manhole lid and methods of installing a liner in a tank
US3351105A (en) Rechargeable dispenser
KR101809103B1 (ko) 선박용 긴급 파공 봉쇄장치
RU265041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ременной заделки пулевых пробоин в заполненных жидкостью жестких полых изделиях
US2999515A (en) Pipe line leak clamp
KR102098866B1 (ko) 스위치 자기장치를 이용한 선박 파공 봉쇄장치
KR101857439B1 (ko) 파공부의 봉쇄장치
KR101954818B1 (ko) 씨체스트 개폐 장치
US4881854A (en) Pressure activated fluid retaining system and method
JP2003276675A (ja) 船首スラスター用外板開口部の船体抵抗低減装置
JP2018516813A (ja) 漏れ防止デバイス及びこうしたデバイスを備える、液体を輸送するための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