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789A -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789A
KR20190070789A KR1020170171663A KR20170171663A KR20190070789A KR 20190070789 A KR20190070789 A KR 20190070789A KR 1020170171663 A KR1020170171663 A KR 1020170171663A KR 20170171663 A KR20170171663 A KR 20170171663A KR 20190070789 A KR20190070789 A KR 20190070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ehicle
filter
air
pol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안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7017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0789A/ko
Publication of KR2019007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33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with provisions for regenerating or cleaning the filte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83Filtering the quality of the filter or the air being checked
    • F24F2003/163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은, 차량의 실내를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에 각각 설치된 콘솔 바디, 상기 콘솔 바디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고, 정화 필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필터 오염 감지부,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의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는 실내 오염 감지부,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로부터 결과값을 제공받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콘솔 표시부 및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로부터 결과값을 제공받아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오염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결과값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콘솔 바디 중 오염 구역으로 판정된 상기 기결정된 구역에 위치되는 콘솔 바디가 우선 동작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AIR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N OBJECTED SPACE IN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 등과 같은 공기 처리 과정을 거쳐서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로서, 최근 차량의 고급화 및 대기 오염의 심화 등을 이유로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
종래의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는, 먼지 등과 같은 차량 내부의 오염 물질 또는 악취를 걸러주는 필터 부재가 사용되는데, 필터 부재의 기능이 다할 경우 이의 교체가 예정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의 일실시예는, 필터 부재의 교환을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필터 부재의 오염도에 따라 자동으로 필터 부재를 청소하는 자동 청소 장치가 별도로 구비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정확한 필터 부재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없어 필터 부재의 교체 시기를 장시간 놓쳐 오염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우려가 있었다.
아울러, 복수개의 기설정된 구역으로 구획된 차실 내부의 개별 구역에 공기 오염이 발생하거나, 차실 내부의 개별 구역의 공조가 필요한 경우에도 차실 전체를 정화하거나 공조하여야 하는 바, 공기 정화 시간이 길어질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화 필터를 살균할 수 있으며 차량의 천장에 장착될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화 필터의 교체 시기를 차량 탑승자에게 효율적으로 알릴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천장부에 장착되어, 차량 내부의 공기를 여과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천장부에 장착되어, 차량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에 각각 설치된 콘솔 바디, 상기 콘솔 바디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고, 정화 필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필터 오염 감지부,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의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는 실내 오염 감지부,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로부터 결과값을 제공받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콘솔 표시부 및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로부터 결과값을 제공받아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오염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결과값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콘솔 바디 중 오염 구역으로 판정된 상기 기결정된 구역에 위치되는 콘솔 바디가 우선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게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벽에 형성되는 흡입부,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가 정화된 후 토출되는 토출부 및 상기 복수개의 기결정된 구역 각각의 상기 차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는, 상기 정화 필터를 기준으로 상기 콘솔 바디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는, 상기 정화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풍압을 측정하는 풍압 측정 센서 또는 상기 정화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 측정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솔 표시부는,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 점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솔 표시부는,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를 문자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는, 와이파이 통신 또는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을 토대로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 시기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콘솔 표시부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 시기와 역순으로 남아있는 잔여 날짜 또는 잔여 시간으로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 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 의하여 회복된 상기 정화 필터의 잔여 수명을 고려하여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 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은 상기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을 토대로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 시기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 시기로부터 역순으로 계산하여 잔여 날짜 또는 잔여 시간이 설정 날짜 또는 설정 시간보다 적을 경우 상기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표시하는 차량 실내의 기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산출부로부터 상기 정화 필터 교체 시기를 수신한 경우, 정기적으로 활성화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실내 오염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공기 오염도 및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 정보는 상기 송신부를 매개로 차량의 전자제어부(ECU)로 전달되고, 상기 차량의 전자제어부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온도 정보를 토대로 차량에 구비된 공조 유닛을 동시에 작동 제어하되, 상기 기결정된 구역의 개별 공조가 우선적으로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은, 차실 내부의 천장을 형성하는 헤드 라이너 및 차실 내부를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헤드 라이너의 복수개소에 형성된 장착 구멍에 각각 결합되되, 콘솔 바디와,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게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벽에 형성된 흡입부와,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가 정화된 후 토출되는 토출부와, 상기 흡입부 및 토출부 사이에 배치된 정화 필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필터 오염 감지부와,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의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는 실내 오염 감지부와,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로부터 결과값을 제공받아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에 구비된 콘솔 표시부 및 상기 차량 소유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공기 청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오염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결과값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콘솔 바디 중 오염 구역으로 판정된 상기 기결정된 구역에 위치되는 콘솔 바디가 우선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청정 장치는, 차실 내부의 루프 패널에 구비되되, 상기 기결정된 구역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기 청정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기결정된 구역 각각의 상기 차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 정보 및 상기 실내 오염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공기 오염 정보를 상기 송신부를 매개로 차량의 전자제어부(ECU)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전자제어부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온도 정보를 토대로 차량에 구비된 공조 유닛을 작동 제어하되, 해당 구역의 개별 공조가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전자제어부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공기 오염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개의 공기 청정 장치를 작동 제어하되, 해당 구역의 개별 정화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를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정화 필터를 자외선 조사부를 이용하여 수시로 살균할 수 있으므로 정화 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실내 오염 감지부를 이용하여 정화 필터의 정확한 교체 시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줌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에 구비되는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II-II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선 III-III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의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로서,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에 구비되는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는, 차량의 실내등(11) 및 이 실내등(11)을 온/오프 하는 실내등 스위치(12)와 함께 차량의 천장에 마련되는 오버 헤드 콘솔(10)에 포함될 수 있다.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는 차량의 내부로 노출되는 콘솔 바디(13);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에 형성되는 흡입부(21); 및 흡입부(21)의 양 옆에 배치되는 한 쌍의 토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는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에 배치되는 온/오프 스위치(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 위에 배치되는 오버 헤드 콘솔(10)에 포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의 도 1의 선 II-II에 따른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의 도 1의 선 III-III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의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는 차량의 내측 천장, 예를 들어 헤드 라이닝(2)에 형성되는 장착 구멍(3)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콘솔 바디(13); 차량의 내부 공간에 노출되는 상기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에 형성된 도어 개구(137)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22); 도어 개구(137)에 배치되는 정화 필터(28); 콘솔 바디(13)의 일 측벽(133)에 연결되고, 정화 필터(28)의 상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팬 하우징(30); 팬 하우징(30)의 내부에 마련되는 송풍부(40); 팬 하우징(30)의 흡입구측 벽(31)의 하측에 배치되어, 정화 필터(28)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 조사부(54); 및 팬 하우징(30)의 유로부(33)에 연결되고,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에 마련되는 토출부(50)를 포함하며, 흡입구측 벽(31)에는 팬 하우징(30)의 내부와 도어 개구(137)를 연통시킬 수 있는 메인 개구(32)가 형성된다.
콘솔 바디(13)는 공기 청정 장치(20)가 차량의 천장, 예를 들어 헤드 라이닝(2)에 형성되는 장착 구멍(3)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콘솔 바디(13)는 차량의 내부에 노출되는 외측벽(136), 이 외측벽(136)에서 차량의 루프 패널(1) 쪽으로 연장되는 전방측 측벽(133), 후방측 측벽(131), 우측 측벽(134), 좌측 측벽(135), 및 이 측벽(131, 133, 134, 135)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측벽(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벽(132)에는 차량의 천장을 형성하는 고정 부재에 고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20, 20a, 20b)은 오버 헤드 콘솔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 청정 장치(20, 20a, 20b)는 차량 천장 중앙 조명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썬루프 장착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에 마련되는 흡입부(21)는, 외측벽(136)에 형성되는 도어 개구(137)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22), 및 도어(22)의 내측면 측에 배치되는 정화 필터(28)를 포함한다.
도어 개구(137)는 외측벽(136)에,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개구(137)의 크기는 송풍부(40)의 팬(42) 용량 및 차량의 내부 공간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어 개구(137)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22)는, 일 가장자리, 예를 들어 후방측 측벽(131)에 인접한 가장자리 양측에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힌지 회전 부재(25), 힌지 회전 부재(25)에 형성된 개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축(26), 및 이 힌지축(26)을 콘솔 바디(13)의 내면에서 지지하는 힌지축 지지체(5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어 개구(137)를 개방할 수 있고, 화살표(A)의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어 개구(137)을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도어(22)가 개방되면, 송풍부(40)의 팬(42)을 정지시킬 수 있는 스위치(도시 안됨)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어(22)가 폐쇄되어 있을 때 스위치가 가압되어 팬(42)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가 연결되고, 반면, 도어(22)가 개방되면 스위치가 팬(42)에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화 필터(28)의 교체를 위해서 도어(22)를 개방하는 경우, 자동으로 팬(42)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22)는, 힌지 회전부재(25)가 마련되는 가장자리의 반대쪽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걸림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부재(24)는 도어(22)의 내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단에 전방측으로 라운드지며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굴곡부가 마련되도록 굽어있다. 따라서, 도어(22)가 폐쇄되면, 걸림 부재(24)가 도어 개구(137)를 둘러싸는 외측벽(136)에 걸려서, 도어(22)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부재(24)는 콘솔 바디(13)의 외부에서 손으로 가압됨으로써 외측벽(136)에 대한 고정이 느슨해져 도어(22)가 콘솔 바디(13) 외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어(22)에는 흡입구(23)가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통해서 차량 내부의 공기가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어(22)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어, 오염된 정화 필터(28)의 교체 작업이 간단해진다. 또한, 도어(22)를 개방하여 정화 필터(28)의 오염 정도를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정화 필터(28)의 교체 시기를 육안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 필터(28)는 도어 개구(137)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 개구(137)의 양측에는, 송풍부(40)의 유로부(33)가 배치되며, 이 유로부(33)에는 정화 필터(28)를 탈착가능하게 끼울 수 있는 필터 끼움편(29)이 마련될 수 있어, 정화 필터(28)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정화 필터(28)는 정화 필터(28)의 상측에 마련되는 송풍부(40)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전방측 측벽(133)에 인접하도록 자외선 조사부(54)가 마련되며, 이 자외선 조사부(54)에 인접한 부분이 하향 경사지도록 정화 필터(28)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부(54)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의 더 많은 양이 정화 필터(28)의 상측면에 조사될 수 있고, 따라서 자외선 조사부(54)의 정화 필터(28)에 대한 살균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자외선 조사부(54)로부터 정화 필터(28)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일부는 정화 필터(28)를 통과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의 외부로 조명광으로서 조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 조사부(54)로부터 정화 필터(28)를 통과하여 일부 외부로 조사되는 광은, 차량 내부의 무드등 또는 실내등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실내등에 비하여 광량이 크지 않아 차량 탑승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주위 조명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의 내부에는 자외선 조사부(54) 외에 필터 조명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조명부는 정화 필터(28)를 향하여 조명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 조명광은 정화 필터(28)를 경유하여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화 필터(28)를 통과 내지 경유하여 외부로 추가로 조사되는 광량이 확보될 수 있다. 더불어, 필터 조명부로부터의 광은 자외선 조사부(54)로부터 정화 필터(28)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광(자외선)의 색과 다른 색일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색"이란 시각적으로 인식가능한 광의 색상을 의미하며, 이로써, 다양한 분위기의 조명 설정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러한 자외선 조사부(54) 및 필터 조명부는 별도의 제어부가 마련되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의 제어부의 기능에 포함되어, 이러한 제어부에 의해 자외선 조사부(54) 및 필터 조명부의 세기(밝기), 점등 간격(점등 시간)이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제어부에는 배터리 방전 방지부가 포함되어, 자외선 조사부(54) 또는 필터 조명부의 작동에 의해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정화 필터(28)는, 공기중의 비교적 대형 분진을 걸러내기 위한 먼지 필터, 또는 마이크로파이버글래스로 제작되어, 예를 들어 0.1 ~ 0.3 ㎛의 미세 먼지들을 여과할 수 있고, 공기중의 바이러스, 박테리아, 균류를 여과할 수 있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lulate Air) 필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화 필터(28)에 의해서 걸러지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및 균류 등은 자외선 조사부(54)에서 방출되는, 예를 들어, 254 ~ 395 nm의 자외선에 의해서 살균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는 더욱 쾌적한 공기를 차량의 실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과 정화 필터(28) 사이에 투명 관찰창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 또는 도어(22)에는 정화 필터(28)의 오염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관찰창이 마련될 수 있다. 관찰창은 콘솔 바디(13)의 일부분을 투명한 재질의 재료로 만들어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탑승자가 도어(22)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정화 필터(28)의 오염도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화 필터(28)의 교체 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팬 하우징(30)은 콘솔 바디(13)의 내부에 배치되며, 송풍부(40)를 수용하며,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팬 하우징(30)은 콘솔 바디(13)의 전방측 측벽(133)에 연결되는 흡입구측 벽(31), 이 흡입구측벽(31)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팬(42)의 둘레 일부를 이격된 거리에서 둘러싸는 중앙 유로부(35), 중앙 유로부(35)의 상측을 덮는 상측 벽부(138), 및 중앙 유로부(35)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토출부(50)에 연결되는 유로부(33)를 포함한다. 또한, 흡입구측 벽(31)에는 팬(42)에 대응하는 위치에 메인 개구(32)가 형성되어, 흡입부(21)를 통과한 공기가 팬(42)을 향해서 유동해 갈 수 있다.
흡입구측 벽(31)의 일단부는 전방측 측벽(133)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는 외측벽(136)의 내면에서 돌출되도록 연장되는 지지벽(36)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흡입구측 벽(31)과 정화 필터(28) 사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자외선 조사부(54)가 정화 필터(28)의 상측면에 배치되기 어렵고, 정화 필터(28)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정화 필터(28)의 상측 면에 자외선 조사부(54)의 자외선의 많은 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정화 필터(28)는 흡입구측 벽(31)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자외선조사부(54)를 이용하여 정화 필터(28)를 살균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의 수직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자외선 조사부(54)로부터 정화 필터(28)로 자외선이 조사되면, 정화 필터(28)의 주위에서 반짝거림이 발생하여 미세 조명으로서의 역할 및 심미감 증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전방측 측벽(133)에 인접한 흡입구측 벽(31)의 하측에는 자외선 조사부(54)의 기판(51)이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판 장착부(53)가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기판(51)은 기판 장착부(53)에 나사 또는 본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고정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핀-홀 체결부 방식 등과 같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기판(51) 또는 UV-LED(52)의 고장 등으로 인한 자외선 조사부(54)를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팬 하우징(30)의 중앙 유로부(35)에는 팬(42), 예를 들어 시로코 팬이 배치되며, 팬(42)은 모터(41)에 의해서 회전된다. 모터(41)는 팬 하우징(30)의 상측 벽부(138)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중앙 유로부(35)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토출부(50)에 연결되는 유로부(33)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팬(42)의 회전 방향으로 굽어지는 형상이며, 따라서 시로코 팬(42)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부(50)로 효과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유로부(33)에는 이온 발생기(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온 발생기(60)는, 도시되지 않은 봉상의 본체와 침상의 전극부가 돌출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정화 필터(28)를 통과한 청정 공기는 이온 발생기(60)의 전극부에서 발생하는 양(+)전위와 음(-)전위에 의해서 이온화될 수 있다. 또한, 세균과 곰팡이 및 악취를 살균/ 탈취처리할 수 있고, 따라서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청정도를 향상시켜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a)의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에 비하여, 인체 감지 센서(62), 적외선 센서(63), 모션 인지 센서(64), 작동 예약부(65), 필터 오염 감지부(67), 실내 오염 감지부(61), 또는 방향제 분사부(69)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인체 감지 센서(62), 적외선 센서(63), 모션 인지 센서(64), 작동 예약부(65), 필터 오염 감지부(67), 또는 실내 오염 감지부(61)의 신호에 따라서, 전원 공급 라인(68)을 통해서 송풍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62)는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인체 감시 센서(62)의 신호에 따라서, 차량 내에 탑승자의 승차 여부를 판단하여, 송풍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차량 내 탑승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송풍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최소화하고,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차량 내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션 감시 센서(64)는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모션 인지 센서(64)의 신호에 따라서, 차량 내에 탑승자의 승차 여부, 또는 활동량의 다소를 판단하여, 송풍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활동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송풍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증가시켜, 처리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작동 예약부(65)는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에 장착될 수 있으며, 차량 탑승자가 작동 예약부(65)에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a)의 작동 시작 시각, 작동 종료 시각, 또는 작동 시간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작동 예약부(65)의 신호에 따라서, 송풍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63)는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적외선 센서(63)의 신호에 따라서, 탑승자의 흡연 여부를 판단하여, 송풍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63)를 통해서 미리 결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가 측정되면, 탑승자가 라이터를 켰거나, 담배에 점화가 된 것으로 판단하고, 송풍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증가시키거나, 별도의 배출 라인(미도시)을 통해서 차량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필터 오염 감지부(67)는 콘솔 바디의 내측에 구비되고, 흡입부의 내측에 구비된 정화 필터(28)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 오염 감지부(67)는, 정화 필터(28)를 기준으로 콘솔 바디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 오염 감지부(67)는, 정화 필터(28)를 통과한 공기의 풍압을 측정하는 풍압 측정 센서 또는 정화 필터(28)를 통과한 공기의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 측정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필터 오염 감지부(67)가 풍압 측정 센서로 구비될 경우, 풍압 측정 센서는 정화 필터(28)를 통과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풍압을 측정한 데이터와 정화 필터(28)의 초기 장착 후 곧바로 측정된 풍압에 관한 기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화 필터(28)의 예상 교체 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필터 오염 감지부(67)가 냄새 측정 센서로 구비될 경우에는, 정화 필터(28)를 통과한 공기 중의 화학적 성분을 측정한 후 정화 필터(28)의 초기 장착 후 곧바로 측정된 화학적 성분과의 비교를 통해 정화 필터(28)의 예상 교체 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그러나, 필터 오염 감지부(67)가 반드시 풍압 측정 센서 또는 냄새 측정 센서일 필요는 없고, 미세 먼지 등의 농도를 측정하는 파티클 센서로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정화 필터(28)의 초기 장착 후 곧바로 측정된 먼지의 농도와 비교하여 정화 필터(28)의 예상 교체 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이 때, 실내 오염 감지부(61)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티클 센서로 구비될 경우, 필터 오염 감지부(67)의 파티클 센서와 실내 오염 감지부(61)의 파티클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값을 비교하여 정화 필터(28)를 통과한 후의 정화율로 환산한 다음 보다 정확한 정화 필터(28)의 예상 교체 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정화 필터(28)의 예상 교체 시기는, 콘솔 바디(13)의 외측에 구비되고, 필터 오염 감지부(67)로부터 결과값을 제공받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콘솔 표시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콘솔 표시부는, 정화 필터(28)의 교체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70)일 수 있고, 이 경우 인디케이터(70)를 점등시키거나, 점멸 또는 그 색상을 바꾸거나, 알람 음을 발생시키는 동작으로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솔 표시부는, 정화 필터(28)의 교체를 문자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문자는 정화 필터(28)의 잔여 수명을 잔여 날짜 또는 잔여 시간으로 표시해주는 문자일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 오염 감지부(67)로부터 그 결과값을 제공받아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90)로 송신부(80)를 경유하여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80)는 와이파이(Wifi) 또는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90)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20)는, 필터 오염 감지부(67)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을 토대로 정화 필터(28)의 교체 시기를 산출하는 산출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출부(85)는, 콘솔 표시부 또는 휴대용 단말기(90)로 정화 필터(28)의 교체 시기와 역순으로 남아있는 잔여 날짜 또는 잔여 시간으로 표시해주는 방식으로 정화 필터(28)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산출부(85)는, 자외선 조사부에 의하여 회복된 정화 필터(28)의 잔여 수명을 고려하여 정화 필터(28)의 교체 시기를 더욱 더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90)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터 오염 감지부(67)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은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산출부(85)는, 정화 필터의 교체 시기로부터 역순으로 계산하여 잔여 날짜 또는 잔여 시간이 설정 날짜 또는 설정 시간보다 적을 경우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스마트폰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의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산출부(85)가 스마트폰에 정화 필터(28)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면,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산출부(85)로부터 정화 필터(28)의 교체 시기를 수신한 경우, 정기적으로 활성화하여 휴대용 단말기(90)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내 오염 감지부(61)는,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에 배치되어, 차량 실내 공기 중의 파티클(먼지 농도 포함)의 양을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100)에 보내는 파티클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파티클의 양이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송풍부(4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측정된 파티클의 양에 따라서, 송풍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오염 감지부(61)가 파티클 센서로 구비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파티클 센서로 구비된 필터 오염 감지부(67)의 측정 결과값과 비교하여 정화 필터(28)의 예상 교체 시기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향제 분사부(69)는 토출부(5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방향제를 분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방향제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a)는 풍량 조절 스위치(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탑승자는 풍량 조절 스위치(16)를 이용하여, 제어부(100)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100)는 이 신호에 따라 송풍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송풍부(40)의 팬(4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오프 스위치(15)는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에 배치될 수 있고, 송풍부(40) 및 자외선 조사부(54)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온/오프 스위치(15)가 온되면, 송풍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최고치로 한 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최고치 이하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a)은 차량의 배터리(110)에서 전원 공급 라인(112) 및 제어부(100)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 측정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111)는 측정된 전압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100)에 보내고, 제어부(100)는 이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의 전압이 미리 결정된 값 미만인 경우, 배터리(110)가 방전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송풍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배터리(110)의 전압이 약한 경우, 공기 청정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어, 배터리(110)가 방전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20, 20a, 20b)의 배출부(50)에는 풍향 조절 부재, 예를 들어 루버 및 그릴 부재 등이 부착될 수도 있다. 풍향 조절 부재는 풍향을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된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송풍부(40), 특히 팬(4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00)는 자외선 조사부(54)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UV-LED(52)가 점멸되도록 자외선 조사부(54)의 UV-LED(52)에 펄스 주파수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살균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정화 필터(22)에는 광촉매 물질, 예를 들어 이산화 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등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물질이 코팅되어,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정화 필터(22)에는 VOCs(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이 코팅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는 먼지 센서, 또는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센서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알리며, 제어부(100)는 이를 외부에 표시하거나, 농도 값에 따라 팬(4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스 센서는 차량 실내 공기 중의 가스 오염 물질의 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알리며, 제어부(100)는 이를 외부에 표시하거나, 팬(42)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술한 별도의 배출 라인을 개방하여 차량 내부 공기를 차량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20)는, 예를 들어 콘솔 바디(13)의 외측벽(136)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공기 청정 장치(20)의 작동 상태, 예를 들어 송풍 강도, 유로 변경 여부 등을 표시하기 위한 콘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솔 표시부는 이온 발생기(60), 방향제 분사부(69), 팬(42), 및 자외선 조사부(54)의 동작 여부(즉, 온(ON) 상태에 있는지 오프(OFF)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다. 콘솔 표시부는 이온 발생기(60)의 동작 시 이온 발생기(60)에서 발생하는 이온 농도 또는 이온 발생량을 알려줄 수 있다. 콘솔 표시부는 방향제 분사부(69)의 동작 시 방향제 분사부(69)에서 분사하는 향의 종류를 알려줄 수 있다. 콘솔 표시부는 자외선 조사부(54)의 동작 시 자외선의 조사 강도를 알려줄 수 있다.
콘솔 표시부는 팬(42)의 동작시 팬(42)의 송풍 세기를 알려줄 수 있다. 콘솔 표시부는 오버 헤드 콘솔 모듈(100)의 동작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으로 출력하여 알려줄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 방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전압 측정부를 이용하였으나, 전류 측정부를 이용하여 배터리 방전 현상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는, 송풍부의 모터가 시로코 팬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식으로 연결되며, 송풍부의 토출부가 시로코 팬의 양측부에 마련되어, 전체 두께가 얇게 구성될 수 있어, 차량 천장에 부착되더라도, 탑승자의 머리에 부딪히거나 닿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천장에 장착될 수 있어, 차량 바닥 등에 쌓인 먼지의 부유를 최소화하면서 공기를 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화 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어, 정화 필터에 서식하는 일반 세균 등을 살균함으로써, 더욱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차량의 루프 패널(1) 중 기결정된 복수개의 구역에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는, 상술한 실내 오염 감지부(61) 및 미도시의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내부의 복수개의 기결정된 구역은, 운전석 상측, 조수석 상측 및 후방석의 좌측, 후방석의 우측에 해당하는 루프 패널(1)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 청장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각각의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에 구비된 실내 오염 감지부(61)에 의하여 감지된 개별 구역의 공기 오염도에 따라 개별 동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실내 오염 감지부(61)에 의하여 감지된 공기 오염도 뿐만 아니라, 필터 오염 감지부(67)를 통해 산출된 정화 필터(28)의 교체 시기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90)로 송신부(80)를 매개로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정보들 중 차량 실내의 개별 구역의 온도 정보 및 개별 구역의 공기 오염 정보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송신부(80)를 매개로 차량의 전자제어부(200, ECU, Electronic Control Unit)로 전송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차량의 전자제어부(200)는 상기 온도 정보 및 공기 오염 정보를 기초로 차량에 구비된 차량의 공조 유닛(300, Heat, Ventilation and Air-Conditioner, HVAC Unit)을 작동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운전석 부근에 설치된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에 구비된 온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차량 실내의 온도가 다른 구역보다 온도차가 발생할 경우 또는 다른 구역을 제외한 운전석이 위치된 구역만의 공조가 필요할 경우, 차량의 전자제어부(200)는 차량의 공조 유닛(300)을 작동 제어하여, 운전석이 위치된 구역으로의 공조 공기 송풍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운전석을 제외한 다른 구역의 공조 제어가 요구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자제어부(200)는, 각각의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의 실내 오염 감지부(61)에 의하여 감지된 공기 오염도가 상이할 경우, 개별적으로 신속한 공기 정화가 가능하도록 개별 구역의 공기 오염 정도에 따라 복수개의 차량용 공기 청장 장치의 개별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가 단수개 구비된 경우로서 개별 구역의 공기 정화가 어려울 경우, 차량의 전자제어부(200)는 차량의 윈도우의 개방량을 자동 조절하여 가능한 신속하게 해당 구역의 공기 오염(정화)이 가능하도록 개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전자제어부(200)는 차실내에 마련된 AVN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즉, 운전자)가 해당 구역의 공기가 오염된 사실을 미리 알 수 있도록 소리 및 시각 요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자제어부(200)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90)를 통해 해당 구역의 오염 정보를 송신부(80)를 통해 동시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시예는, 차실 내부 중 특정 구역의 오염 공기를 정화하거나 특정 구역의 공조가 필요한 경우, 개별 제어가 가능한 바, 공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을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이는 구성요소들을 공지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요소로 치환하거나 변형하는 것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보이는 사상 및 그 균등범위까지 미친다.
1: 루프 패널 2: 헤드 라이닝
3: 장착 구멍 10: 오버헤드 콘솔
11: 실내등 12: 실내등 스위치
13: 콘솔 바디 15: 온/오프 스위치
16: 풍량 조절 스위치 19: 유로 변경 스위치
20: 공기 청정 장치 21: 흡입부
22: 도어 23: 흡입구
28: 정화 필터 30: 팬 하우징
31: 흡입구측 벽 36: 지지벽
40: 송풍부 50: 토출부
54: 자외선 조사부 61: 실내 오염 감지부
67: 필터 오염 감지부 80: 송신부
85: 산출부 90: 휴대용 단말기
100: 제어부 110: 배터리
111: 전압 측정부 112: 전원 공급 라인
131,133,134,135: 측벽 132: 상측벽
136: 외측벽 137: 도어 개구
200: ECU 300: 공조 유닛

Claims (17)

  1. 차량의 실내를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에 각각 설치된 콘솔 바디;
    상기 콘솔 바디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고, 정화 필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필터 오염 감지부;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의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는 실내 오염 감지부;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로부터 결과값을 제공받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콘솔 표시부; 및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로부터 결과값을 제공받아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오염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결과값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콘솔 바디 중 오염 구역으로 판정된 상기 기결정된 구역에 위치되는 콘솔 바디가 우선 동작되는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게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벽에 형성되는 흡입부;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가 정화된 후 토출되는 토출부; 및
    상기 복수개의 기결정된 구역 각각의 상기 차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는, 상기 정화 필터를 기준으로 상기 콘솔 바디의 내측에 구비된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는, 상기 정화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풍압을 측정하는 풍압 측정 센서 또는 상기 정화 필터를 통과한 공기의 냄새를 측정하는 냄새 측정 센서 중 어느 하나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솔 표시부는,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 점등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솔 표시부는,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를 문자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인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와이파이 통신 또는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을 토대로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 시기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콘솔 표시부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 시기와 역순으로 남아있는 잔여 날짜 또는 잔여 시간으로 표시해주는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정화 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 의하여 회복된 상기 정화 필터의 잔여 수명을 고려하여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 시기를 산출하는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은 상기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값을 토대로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 시기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부는, 상기 정화 필터의 교체 시기로부터 역순으로 계산하여 잔여 날짜 또는 잔여 시간이 설정 날짜 또는 설정 시간보다 적을 경우 상기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켜 표시하는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산출부로부터 상기 정화 필터 교체 시기를 수신한 경우, 정기적으로 활성화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실내 오염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공기 오염도 및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 정보는 상기 송신부를 매개로 차량의 전자제어부(ECU)로 전달되고,
    상기 차량의 전자제어부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온도 정보를 토대로 차량에 구비된 공조 유닛을 동시에 작동 제어하되, 상기 기결정된 구역의 개별 공조가 우선적으로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14. 차실 내부의 천장을 형성하는 헤드 라이너; 및
    차실 내부를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헤드 라이너의 복수개소에 형성된 장착 구멍에 각각 결합되되, 콘솔 바디와,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게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벽에 형성된 흡입부와,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가 정화된 후 토출되는 토출부와, 상기 흡입부 및 토출부 사이에 배치된 정화 필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필터 오염 감지부와,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소의 기결정된 구역의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는 실내 오염 감지부와, 상기 필터 오염 감지부로부터 결과값을 제공받아 상기 콘솔 바디의 외측에 구비된 콘솔 표시부 및 상기 차량 소유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공기 청정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오염 감지부로부터 제공된 결과값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콘솔 바디 중 오염 구역으로 판정된 상기 기결정된 구역에 위치되는 콘솔 바디가 우선 동작되는, 차량.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 장치는, 차실 내부의 루프 패널에 구비되되, 상기 기결정된 구역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기 청정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기결정된 구역 각각의 상기 차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 정보 및 상기 실내 오염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공기 오염 정보를 상기 송신부를 매개로 차량의 전자제어부(ECU)로 전달되는 차량.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자제어부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온도 정보를 토대로 차량에 구비된 공조 유닛을 작동 제어하되, 해당 구역의 개별 공조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자제어부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공기 오염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개의 공기 청정 장치를 작동 제어하되, 해당 구역의 개별 정화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KR1020170171663A 2017-12-13 2017-12-13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90070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63A KR20190070789A (ko) 2017-12-13 2017-12-13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63A KR20190070789A (ko) 2017-12-13 2017-12-13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789A true KR20190070789A (ko) 2019-06-21

Family

ID=6705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663A KR20190070789A (ko) 2017-12-13 2017-12-13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078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149Y1 (ko) * 2019-06-27 2020-02-26 (주)제이앤지 차량 실내 공기정화기가 구비된 램프 일체형 오버 헤드 콜솔
KR102096443B1 (ko) * 2019-10-14 2020-04-02 윤상근 버스용 실내 공기 정화 장치
CN111251840A (zh) * 2020-03-03 2020-06-09 新石器慧通(北京)科技有限公司 无人车和空气净化方法
CN111806192A (zh) * 2020-06-24 2020-10-23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汽车空气净化功能的控制方法
KR20210008274A (ko) * 2019-07-12 2021-01-21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다단으로 형성되는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RU204757U1 (ru) * 2021-02-19 2021-06-0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ЛЭЙСКО" Бактерицидный рециркулятор
KR20220012441A (ko) * 2020-07-22 2022-02-0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자외선 반도체 광원과 광촉매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통합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3038597A1 (en) * 2021-09-10 2023-03-16 Rema Yapi Ve Mi̇marlik Anoni̇m Şi̇rketi̇ Vehicle interior air cleaner
KR102613252B1 (ko) * 2022-06-22 2023-12-13 허성수 Oled 발광체와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149Y1 (ko) * 2019-06-27 2020-02-26 (주)제이앤지 차량 실내 공기정화기가 구비된 램프 일체형 오버 헤드 콜솔
KR20210008274A (ko) * 2019-07-12 2021-01-21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다단으로 형성되는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096443B1 (ko) * 2019-10-14 2020-04-02 윤상근 버스용 실내 공기 정화 장치
CN111251840A (zh) * 2020-03-03 2020-06-09 新石器慧通(北京)科技有限公司 无人车和空气净化方法
CN111806192A (zh) * 2020-06-24 2020-10-23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汽车空气净化功能的控制方法
KR20220012441A (ko) * 2020-07-22 2022-02-04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자외선 반도체 광원과 광촉매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통합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RU204757U1 (ru) * 2021-02-19 2021-06-0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ЛЭЙСКО" Бактерицидный рециркулятор
WO2023038597A1 (en) * 2021-09-10 2023-03-16 Rema Yapi Ve Mi̇marlik Anoni̇m Şi̇rketi̇ Vehicle interior air cleaner
KR102613252B1 (ko) * 2022-06-22 2023-12-13 허성수 Oled 발광체와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0789A (ko) 차량 실내의 기결정된 국부 정화용 공기 청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50116800A (ko) 차량용 공기 청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4561710B2 (ja) 脱臭機能再生装置
JP5218308B2 (ja) 脱臭機能再生装置
KR101191756B1 (ko)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KR102580905B1 (ko) 차량의 암레스트 공기청정기
JP2014202421A (ja) 空気調和機
KR20150137293A (ko) 차량 내부 스마트 살균램프 시스템
DE10254496B4 (de) Verfahren zur Bekämpfung von Gerüchen und/oder Schadstoffen im Fahrzeuginnenraum
KR100763481B1 (ko) 차량용 공기 청정시스템
JP5222050B2 (ja) 空気調和機
KR20090028299A (ko) 살균 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KR101513538B1 (ko) 자체 공기 정화 흡연부스
KR20180047162A (ko) 오버헤드 콘솔형 차량용 공기 정화장치
KR100478706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살균탈취장치
KR20180045570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0658798B1 (ko) 필터카트리지 및 이 카트리지가 장착된 공기정화장치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JP2012050701A (ja) 空気清浄機
KR20150124672A (ko) 공기 청정 장치
KR20190055863A (ko) 인체 스캔형 공기청정기
JP3770784B2 (ja) 空気清浄機
JP2008200645A (ja) 空気清浄機
JP2006290001A (ja) 車両用空気清浄器
KR20150022186A (ko) 차량의 공기필터살균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