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756B1 -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756B1
KR101191756B1 KR1020120052486A KR20120052486A KR101191756B1 KR 101191756 B1 KR101191756 B1 KR 101191756B1 KR 1020120052486 A KR1020120052486 A KR 1020120052486A KR 20120052486 A KR20120052486 A KR 20120052486A KR 101191756 B1 KR101191756 B1 KR 101191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feedback
air supply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범
Original Assignee
(주)동양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동양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2005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위치에 산재되어 있는 복수의 개별적인 공기조화기와; 상기 복수의 개별적인 공기조화기로부터 각 공기조화기의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복수의 원격수집기와; 상기 원격수집기에 의해 수집된 복수의 공기조화기의 상태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저장하는 집중기와; 상기 집중기에서 통합 저장된 각 공기조화기의 상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받아 저장하고 분석하여 공기조화기의 현재 상태와 이상 유무를 판단하며, 이력 관리 및 고장 발생시 알람 발생,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조화기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부와; 상기 흡기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는 정화살균부와; 상기 정화살균부를 거친 공기를 일정한 온도와 습도로 조절 유지시키는 항온항습부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정화, 살균 및 항온항습된 공기를 급기휀과 급기덕트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부와; 상기 정화살균부 및 항온항습부를 거친 공기의 질을 감지하여 공기 중에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급기부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한하고, 공기의 일부를 다시 정화살균부의 유입측으로 피드백시키는 피드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HIGH CLEAN PHOTOSTERILIZING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NETWORK INFRA}
본 발명은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하이드, 초산, 톨루엔, 포름알데하이드, 석면, 라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생활의 질은 물론 공공장소 또는 교육기관 등의 장소에 발암물질인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최적의 공기질을 제공하며,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원격 중앙제어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적의 유지보수를 통한 2차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공기조화기 내부에 급기구를 통해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샘플링하여 공기질을 분석함으로써 필터의 세정 및 살균 정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체크함과 아울러, 충분히 세정 및 살균되지 않은 공기의 실내 공급량을 제한하고 이를 피드백시켜 다시 세정 및 살균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한 후 정화, 살균, 냉각, 가열 및 가습하여 실내에 신선하고 쾌적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 통상적인 공기조화기(출처: http://blog.naver.com/yangww/1001047088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휀(1)과, 상기 급기휀을 구동하는 모터(2), 냉각코일(3), 가열코일(4), 필터(5), 환기구(6) 및 외기유입구(7)를 포함한다. 상기 외기유입구(7)로부터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환기구(6)를 통하여는 실내에 공급된 후 오염되어 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다시 환기 유입된다. 공기조화기 내부로 유입된 외기와 환기는 필터(5)를 통과하면서 정화 및 살균이 수행되고, 냉각코일(3)과 가열코일(4)을 통과하면서 적절한 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된 후 추가적으로 가습기(8)에 의해 적절한 습도로 가습된 후 급기휀(1)에 의해 실내로 공급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일 부분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일일이 고장 내역을 확인하여 A/S 센터 등에 고장 수리 요청을 해야하는데,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비전문가인 경우가 많아 고장 내역을 정확하게 확인하기가 어려워, 수리공이 도착한 후에 별도의 고장 확인 작업이 요구되기 때문에 신속한 고장 수리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조화기 내에서 누전이나 합선 등에 의해 1차적인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하지 못하여 대형 화재를 불러오는 경우가 많았으며, 고장 또는 화재 발생이 감지되더라도 A/S 센터의 수리공 등 처리부서 담당자들이 해당 이상이 발생된 공기조화기의 위치를 정확히 찾지 못하여 복구 및 화재 진압 등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20-0440834호에서 공기조화기의 자가진단이 가능하고, 유선전화망, 무선전화망 및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해당 공기조화기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공기조화기의 고장 진단 및 원격제어 및 수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용하였으나, 당시의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전국적으로 산재해있는 다수의 공기조화기의 통합 감시 및 제어가 어려웠고, 주로 유선전화망 또는 무선전화망에 의한 원격제어에 한정되었다는 점에서 기능상 한계가 있었다.
한편, 종래 공기조화기의 경우, 단순히 필터에만 의존하여 공기의 정화가 수행되는 바, 필터의 성능과 노후화의 정도에 따라 정화 기능에 큰 차이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천편일률적인 구성의 필터를 사용하여 공기 정화 능력의 향상을 가져오지 못하고 있으며, 사용중 필터의 교체시기 체크가 어려워 노후된 필터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공기 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노후된 필터에 의한 공기의 2차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본체 케이싱 내부에 곰팡이나 세균이 서식함으로써, 필터에 의해 공기 정화가 이루어지더라도 본체 케이싱에서 재오염되어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가 오히려 병균을 유포하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하여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다수의 공기조화기를 통합 감시 및 원격제어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사후 관리 및 비상시 신속한 대처로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필터 성능을 개선함과 아울러, 필터 성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쉽게 알 수 있고, 충분히 세정 및 살균되지 않은 공기의 실내 공급량을 제한하고 이를 피드백시켜 다시 세정 및 살균 과정을 거치도록 하며,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청정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은, 다양한 위치에 산재되어 있는 복수의 개별적인 공기조화기와; 상기 복수의 개별적인 공기조화기로부터 각 공기조화기의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복수의 원격수집기와; 상기 원격수집기에 의해 수집된 복수의 공기조화기의 상태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저장하는 집중기와; 상기 집중기에서 통합 저장된 각 공기조화기의 상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받아 저장하고 분석하여 공기조화기의 현재 상태와 이상 유무를 판단하며, 이력 관리 및 고장 발생시 알람 발생,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중앙관제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조화기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부와; 상기 흡기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는 정화살균부와; 상기 정화살균부를 거친 공기를 일정한 온도와 습도로 조절 유지시키는 항온항습부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정화, 살균 및 항온항습된 공기를 급기휀과 급기덕트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부와; 상기 정화살균부 및 항온항습부를 거친 공기의 질을 감지하여 공기 중에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급기부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한하고, 공기의 일부를 다시 정화살균부의 유입측으로 피드백시키는 피드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위치를 복수의 구역으로 획정하고, 획정된 구역별로 하나의 원격수집기가 해당 구역에 설치된 복수개의 공기조화기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상태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원격수집기는 복수의 공기조화기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본체 케이싱의 내부 표면에는 우레탄층과, 열차단필름층 및 항균코팅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살균부는 AC필터와, HEPA필터와, 광살균램프와, 은나노필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급기부의 급기휀 흡입측에 설치되며, 급기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를 포집하여, 포집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토샘플러와; 상기 급기부의 급기덕트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오토샘플러의 오염도 측정 결과 공기중에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오염된 공기를 정화살균부의 유입측으로 피드백시키기 위한 피드백덕트와; 상기 급기부의 급기덕트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평시 급기덕트를 통하여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오토샘플러의 오염도 측정 결과 공기중에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덕트측으로 선회되어 오염된 공기를 피드백덕트로 유도하는 피드백댐퍼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오토샘플러는 하우징과; 상기 급기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를 하우징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 연결된 흡입펌프와; 상기 흡입펌프의 토출측에 구비되어 유입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질센서와; 상기 공기질센서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오염도 측정이 완료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오토샘플러의 전체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질센서에서 측정된 공기 오염도 측정 결과를 미리 저장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오염 여부를 판정하는 마이컴과; 외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오토샘플러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와 흡입펌프 사이에는 제1전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질센서와 배출구 사이에는 제2전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자밸브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공기의 유입을 위해 개방되고 오염도 측정에 필요한 양의 공기가 포집되면 자동으로 폐쇄되며, 상기 제2전자밸브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제1전자밸브가 개방되어 공기질센서로 공기가 유입되는 동안 폐쇄되었다가 오염도 측정이 완료되면 개방되어 측정 완료된 공기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피드백댐퍼는 판형상의 부재로서, 중앙부에 회전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홈에 회전축이 삽입된 후, 회전축의 양단부가 급기덕트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구비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급기덕트의 일측면을 관통한 후 댐퍼구동모터에 연결되며, 오토샘플러에서 포집된 공기가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댐퍼구동모터가 작동되어 회전축이 회전되고 상기 피드백댐퍼가 수직 위치로부터 피드백덕트측을 향하여 선회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백댐퍼에는 회전축홈을 기준으로 하반부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하여 광범위한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다수의 공기조화기를 통합 감시 및 원격제어할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사후 관리 및 비상시 신속한 대처로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필터 성능을 개선함과 아울러, 필터 성능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쉽게 알 수 있고, 충분히 세정 및 살균되지 않은 공기의 실내 공급량을 제한하고 이를 피드백시켜 다시 세정 및 살균 과정을 거치도록 하며,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 통상적인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오토샘플러 내부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오염 공기 피드백 구성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오염 공기 피드백 구성이 도시된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오염 공기 피드백 작동 방법이 도시된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공기조화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구성은 공기조화기(100)로서, 여기서는 먼저 공기조화기(100)의 성능 향상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추후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시스템 구성 및 원격 제어 방법 순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시스템의 주요 구성인 공기조화기 내부 구조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본체 케이싱(110)과, 흡기부(A), 정화살균부(B), 항온항습부(C), 급기부(D) 및 피드백부(E)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케이싱(110)은 공기조화기(100)의 내부 구성들을 외부에서 둘러싸는 함체로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긴 정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골격은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구성되고, 위 골격 사이를 덮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스틸 등 금속재질의 판으로 구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 케이싱(110)에는 공기조화기(100)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콘트롤러는 공기조화기(100)의 작동 제어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100)의 운전상태, 예컨대, 공기조화기(100) 온오프 상태, 온도 및 습도 설정 상태, 냉매량, 부하전류 상태, 고장 발생 여부 등의 데이터를 공기조화기(100)의 각 부에 구비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실시간으로 이력관리한다. 이러한 콘트롤러 및 센서에 의한 실시간 감시 기능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100)의 본체 케이싱(110) 내면에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나 기타 오염물질등이 흡착될 뿐만 아니라, 습기로 인하여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본체 케이싱(110) 내부 표면에 우레탄층(112), 열차단필름층(114), 항균코팅층(116)을 형성하였다.
상기 우레탄층(112)은 금속재 판으로 구성되는 본체 케이싱(110)의 내부 표면 상층에 형성되어 단열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우레탄 패널 또는 우레탄 폼(foam)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착제에 의해 본체 케이싱(110) 내부 표면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우레탄층(112)의 단열 효과로 인하여, 본체 케이싱(110) 내부 공기의 열손실이 방지되어 공기의 냉각 또는 히팅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로 방지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열차단필름층(114)은 상기 우레탄층(112)의 상층에 점착 부착되어 열을 차단하는 층으로서, 통상적으로 차량이나 실내 윈도우에 부착하여 적외선광을 차단하는 열차단필름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차단필름층(114)은 우레탄층(112)과 마찬가지로 본체 케이싱(110)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에너지 절감 및 결로 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항균코팅층(116)은 상기 열차단필름층(114)의 상층에 형성되는 코팅층으로서, 상기 열차단필름층(114)의 표면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본체 케이싱(110) 내부의 공기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공기가 더 이상 오염되지 않도록 하고 항균작용을 수행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항균코팅층(116)은 항균성 은나노 코팅층, 음이온 코팅층, 원적외선 방사 코팅층, UV 광촉매 코팅층, 플라즈마 코팅층 등 항균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코팅층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 케이싱(110) 내부에 단열층 및 항균층들이 구성됨에 따라 에너지 절감 효과와 추가적인 항균 작용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흡기부(A)는 본 발명에 다른 공기조화기(100)의 본체 케이싱(1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부분으로, 환기구(130), 흡기휀(120), 외기유입구(150)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구(130)는 후술하는 급기부(D)에서 실내로 공급된 신선한 공기가 실내를 순환한 후 그 일부가 다시 공기조화기(100)의 본체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환기구(130)측 본체 케이싱(110) 내부에는 흡기휀(120)이 구비되는데, 상기 흡기휀(120)은 모터(122)와 밸트(124)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122) 작동에 따라 회전되어 환기구(13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후술하는 정화살균부(B)로 송풍한다. 한편, 상기 환기구(13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기휀(120)의 토출측에는 배기구(140)가 구비되어 공기조화기(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구(140)의 일측에는 외기유입구(150)가 구비되는 바, 상기 외기유입구(150)로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흡기휀(120)의 송풍 작용에 의해 후술하는 정화살균부(B)로 이송된다. 이러한 흡기부(A)의 구성은 통상적인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화살균부(B)는 흡기부(A)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는 부분으로, AC필터(160), HEPA필터(170), 광살균램프(180), 실버나노폼필터(190)를 포함한다.
상기 AC필터(160)는 통상 활성탄(Activated Carbon) 필터라 불리우는 것으로, 수많은 모세관이 존재하는 다공성 탄소물질인 활성탄의 관능기가 주위의 액체 또는 기체에 인력을 가하여 피흡착질의 분자를 흡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식의 필터이다. 이러한 AC필터(160)는 0.3~10㎛ 기준 계수법 90%의 집진 효율을 갖는다. 또한, 상기 AC필터(160)는 악취 또는 유해가스를 흡착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HEPA필터(170)는 고효율 입자 공기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로서, 입경 0.3㎛ 이하의 에어로졸 입자를 99.97% 이상 포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AC필터(160)와 HEPA필터(170)에서는 분진과 같은 입자성 오염물질과 악취 또는 유해가스들이 흡착 제거된다.
AC필터(160)와 HEPA필터(17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광살균램프(180)에서 살균처리된다. 상기 광살균램프(180)는 UV-C(단파), UV-A(장파) 램프를 주로 사용하며, 내산성 및 내알칼리성으로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티타늄을 광촉매로 사용하여 VOC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세균 등을 산화시켜, 공기 정화, 탈취, 살균 작용을 수행한다.
광살균램프(180)에서 살균된 공기는 다시 실버나노폼필터(190)를 통과한다. 상기 실버나노폼필터(190)는 오염 공기내에 포함된 바이러스, 박테리아, 화학적 유해물질, 악취, 곰팡이 등을 제거하는 항균성 필터로서, 폴리우레탄과 같은 수지 발포체(foam) 표면을 은(Ag)으로 도금한 후, 내부의 다공성 수지 발포체를 열처리를 통해 제거하여 제조된 것으로, 대체로 판상으로 구성되며, 표면에 발포체 특유의 기공이 다수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버나노폼필터(190)는 다공성 발포체로서, 표면에 수많은 기공이 형성되므로 미세 부유물질이 상기 기공에 침투하여 포집됨으로써 공기 정화 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표면에 코팅된 은 성분은 SH 그룹과 결합하여 단백질과 반응함으로써 단백질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단백질로 구성된 각종 세균을 살균하며, 산소 전하 수용액에서 미생물의 산화를 촉진시키고, 은이온이 단백질의 Thiol 계통과 반응하여 세균성 단백질의 비활성화를 유도하며, 은 이온이 세균 주변 및 내부의 산소를 빼앗아 결합함으로서 산소 결핍으로 세균의 호흡이 억제되어 죽거나 생식기관 파괴로 번식을 방해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은 이온은 인체에 작용하여, 혈액 정화 및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고, 피로 회복, 자율신경 안정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효능을 갖는 은 성분을 발포폼 형태로 구성하여 필터로 사용함으로써, 부유물 포집, 공기 정화 및 살균 효과가 극대화된다.
상기와 같은 정화살균부(B)를 거친 공기는 항온항습부(C)에서 실내 활동에 적합하고 쾌적한 온도와 습도로 조절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항온항습부(C)는 냉각코일(200)과 히팅코일(210) 및 가습기(220)를 구비한다. 상기 냉각코일(200)과 히팅코일(210)은 서로 인접 배치되며, 각각 냉수와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다. 상기 냉각코일(200) 및 히팅코일(210)의 냉각 또는 가열 온도는 사용자가 실내 온도조절기를 통하여 설정한 온도로 수행된다.
급기부(D)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정화, 살균, 항온항습 조절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부분으로, 급기휀(230)과 급기덕트(240)을 포함한다. 상기 급기휀(230)은 모터와 밸트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 작동에 따라 회전됨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토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급기휀(230)의 토출측에는 급기휀(2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통로로서 작용하는 급기덕트(240)가 연결된다. 급기덕트(240)는 실내 급기구와 연결되어 급기휀(230)으로부터 토출되는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피드백부(E)는 정화살균부(B) 및 항온항습부(C)를 거친 공기의 질을 감지하여 공기 중에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급기부(D)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제한하고, 공기의 일부를 다시 정화살균부(B)의 유입측으로 피드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피드백부(E)는 오토샘플러(260), 피드백댐퍼(270), 피드백덕트(280)를 포함한다.
상기 오토샘플러(260)는 급기휀(230)의 흡입측에 설치되며, 급기휀(23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를 포집하여 공기질, 즉,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부분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61), 흡입구(262), 제1전자밸브(S1), 흡입펌프(264), 공기질센서(265), 배출구(267), 마이컴(MIC), 전원공급부(PS) 및 통신모듈(COM)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61)은 오토샘플러(260)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외부에서 둘러싸는 함체로서,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급기휀(230)의 흡입측에 직접 설치되거나, 별도의 스탠드나 브라켓에 의해 급기휀(230)의 흡입측에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61)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급기휀(230)의 흡입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공기에 대향하는 위치에 흡입구(262)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262)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관체로 구성되어 일단은 상기 하우징(261)의 일측에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261)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262)의 노출된 일단은 공기의 유입량을 높일 수 있도록 대체로 깔대기 형상으로 확장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61) 내측에 삽입된 흡입구(262)의 타단부에는 제1전자밸브(S1)가 구비된다. 상기 제1전자밸브(S1)는 후술하는 마이컴(MIC)의 제어에 따라 공기의 유입을 위해 개방되고 공기질 측정에 필요한 양의 공기가 포집되면 자동으로 폐쇄된다.
상기 제1전자밸브(S1)의 출구측에는 흡입펌프(264)가 구비되어 흡입구(262)를 통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흡입펌프(264)의 토출측에는 공기질센서(265)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질센서(265)는 흡입된 공기내에 들어있는 분진, VOC, 이산화탄소 등의 오염물질을 측정하여 공기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내부에 흡입구(26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일시 저장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공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공기내 오염물질들을 센서에 흡착시킨 후 농도를 측정함에 따라 공기질을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이러한 공기질센서(265)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진, VOC, 이산화탄소 등 다양한 오염물질의 감지를 위하여 가스감지센서, 분진측정기, VOC/산소/오존 측정기, CO2 센서 다양한 유형의 센서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공기의 오염 여부 및 오염물질의 종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공기질센서(265)에서 측정이 완료된 공기는 배출구(267)를 통하여 오토샘플러(260)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공기는 급기휀(230)의 흡입측으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공기질센서(265)와 배출구(267) 사이에는 제2전자밸브(S2)가 구비되는 바, 상기 제2전자밸브(S2)는 제1전자밸브(S1)가 개방되어 공기질센서(265)로 측정에 필요한 일정량의 공기가 유입되는 동안 폐쇄되었다가 측정이 완료되면 마이컴(MIC)의 제어에 따라 개방되어 측정 완료된 공기를 배출구(267)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상기 마이컴(MIC)은 오토샘플러(260)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전원공급부(PS)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1전자밸브(S1)와 제2전자밸브(S2), 그리고 흡입펌프(264)의 작동을 제어하며, 공기질센서(265)에서 측정된 결과를 저장하며, 통신모듈(COM)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통신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MIC)은 공기질센서(265)에서 공기가 기준치 이상으로 오염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후술하는 댐퍼구동모터(276)와 피드백댐퍼(270)의 제3전자밸브(S3)를 제어하여 오염된 공기가 정화살균부(B)로 피드백되도록 한다.
위에서는 상기 오토샘플러(260)가 급기휀(230)의 흡입측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오토샘플러(260)는 급기휀(230)의 토출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피드백 기능을 위해, 상기 급기덕트(240)에는 피드백댐퍼(27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는 기준치 이상으로 오염된 공기를 정화살균부(B)로 피드백시키기 위한 피드백덕트(280)가 설치된다. 도 2에 상기 피드백댐퍼(270)와 피드백덕트(28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 분해사시도로 보다 상세히 도시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덕트(240)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의 관체로 구성되되, 일단은 급기휀(230)의 토출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내 급기구에 연결된다. 상기 피드백댐퍼(270)는 상기 급기덕트(240)의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평시에는 급기덕트(240)를 통하여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고, 공기가 기준치 이상으로 오염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선회되어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최대한 줄이고, 오염된 공기 대부분을 피드백덕트(280)를 통해 정화살균부(B)로 피드백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피드백댐퍼(270)는 대체로 직사각 형상의 판재로 구성되되, 중앙부에 회전축홈(27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홈(272)에 회전축(274)이 삽입된 후, 회전축(274)의 양단부가 급기덕트(240)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베어링(25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74)의 일단은 급기덕트(240)의 일측면을 관통한 후 모터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74)과 회전축홈(272)은 억지끼움 등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축(274) 및 피드백댐퍼(270)가 수직 위치로부터 수평 위치로 선회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드백댐퍼(270)는 선회 작동에 따라 오염된 공기를 후술하는 피드백덕트(280)쪽으로 유도하는데, 급기덕트(240)를 통하여 공기가 전혀 실내로 토출되지 않으면 공기조화기(100) 내부의 압력 증가로 공기의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드백댐퍼(270)에는 회전축홈(272)을 기준으로 하반부측에 다수의 통공(278)이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통공(278)을 통하여 일부의 공기만이 제한적으로 통과되어 실내로 유입되므로 공기조화기(100) 내부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면서도 실내 공기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드백덕트(280)는 급기덕트(240)의 타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조화기(100) 내부의 항온항습부(C)측 및 정화살균부(B)를 향하는 쪽 면에 연결되는 덕트로서, 본체 케이싱(110) 내부에서 항온항습부(C) 및 정화살균부(B)의 상측을 통하여 연장되어 단부가 정화살균부(B)의 유입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백덕트(280)에는 제3전자밸브(S3)가 구비되어 마이컴(MIC)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도 5 에는 상술한 피드백부(E)의 구성이 측단면도로 도시되고, 도 6 에는 오토샘플러(260)에서 포집된 공기가 기준치 이상으로 오염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급기휀(230)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피드백시키는 방법이 도시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샘플러(260)는 급기휀(23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를 포집하여 실시간으로 공기질을 체크하며, 공기질에 이상이 없을 경우(오염도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피드백댐퍼가 급기덕트(240) 내부에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급기휀(230)으로 유입된 공기가 실내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오토샘플러(260)의 체크 결과 공기조화기(100)의 정화살균부(B)를 통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공기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오토샘플러(260) 내부의 마이컴(MIC)이 댐퍼구동모터(276)를 제어하여,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댐퍼(270)의 상단이 피드백덕트(280)쪽으로 선회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급기휀(2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대부분은 피드백댐퍼(270)에 의해 피드백덕트(280)쪽으로 유도되고, 이와 동시에 마이컴(MIC)의 제어에 따라 제3전자밸브(S3)가 개방되어 피드백덕트(280)를 따라 오염된 공기가 정화살균부(B)의 유입측으로 피드백된다. 상기 피드백댐퍼(270)의 하반부측에 형성된 통공(278)을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극히 제한된 양으로 토출됨으로써 공기조화기(100), 특히, 급기휀(230)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정화살균부(B)로 피드백된 오염 공기는 오염도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질때까지 반복적으로 정화 및 살균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신선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다수회에 걸쳐 피드백 과정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공기의 오염도가 실질적으로 개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화살균부(B)의 필터 노후화 또는 살균 수단의 성능 저하가 그 원인일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마이컴(MIC)이 외부에 필터 교체 등의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오토샘플러(260)가 급기휀(230)의 토출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급기덕트(240)에 피드백댐퍼(270)를 설치하지 않고, 피드백덕트(280)에 별도의 댐퍼(미도시)를 설치하거나 피드백덕트(280)에 기 설치된 제3전자밸브(S3)를 이용하여 피드백덕트(280)로 오염 공기가 피드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실내 곳곳에 공기질 센서를 설치할 필요없이, 공기조화기(100) 내부에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오염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봉쇄하고 반복적인 피드백 및 정화, 살균을 통하여 실내에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노후화된 필터 및 살균수단의 교체 시기를 알려주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0)는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하여 통합 관제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도 7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공기조화기(100), 원격수집기(300), 집중기(400), 중앙관제센터(500), 원격지사무실, 관제실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위에서 이미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은 공기조화기(100)로서, 다양한 위치에 산재되어 있는 복수의 개별적인 공기조화기(100)를 포함한다. 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공기조화기(100)는 콘트롤러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어됨과 아울러 실시간으로 공기조화기(100)의 상태 데이터가 저장되어 이력이 관련된다.
상기 원격수집기(300)는 다양한 위치에 산재되어 있는 복수의 개별적인 공기조화기(100)로부터 해당 공기조화기(100)의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공기조화기(100)가 설치된 위치를 복수의 구역으로 획정하고, 획정된 구역별로 하나의 원격수집기(300)가 해당 구역에 설치된 복수개의 공기조화기(100)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원격수집기(300)는 공기조화기(100)의 콘트롤러와 통신함으로써 공기조화기(100)의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며, 공기조화기(100)와의 거리에 따라 무선 원격수집기(300) 또는 유선 원격수집기(300')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집중기(400)는 각 원격수집기(300)에 의해 수집된 복수의 공기조화기(100)의 상태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저장하는 것으로, 각 원격수집기(300)와 소출력무선통신 또는 TCP/IP 등의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집중기(400)에서 통합 저장된 각 공기조화기(100)의 상태 데이터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관제센터(500)에 전달된다. 중앙관제센터(500)는 운영서버(510) 및 DB서버(520)를 포함하여, 집중기(400)로부터 전달된 공기조화기(100)의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공기조화기(100)의 현재 상태와 이상 유무 등을 판단하며, 이력 관리 및 고장 발생시 알람을 울리거나 원격으로 고장 수리 등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관제센터(500)에는 라우터(530)를 포함하여 CDMA 무선전화망을 통하여 각 공기조화기(100)의 이상 발생시 각 공기조화기(100)의 관리자단말기(540)에 SMS 또는 EMAL로 공기조화기(100)의 이상 여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제센터(500)는 스위치(550)를 더 포함하여, 내부망을 통하여 관제실 컴퓨터(560)를 통하여 공기조화기(100)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받고 원격 관리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망에는 원격지 컴퓨터(600)가 접속되어, 해당 공기조화기(100)의 관리자가 원격지 사무실에서도 실시간으로 공기조화기(100)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받아 원격 관리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오토샘플러(260) 내부에 구비된 마이컴(MIC)은 공기질센서(265)에서 측정된 공기의 오염도 데이터를 공기조화기(100)의 콘트롤러로 전송하고, 콘트롤러는 다시 위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관제센터(500)에 공기의 오염도 데이터를 전송하여, 원격에서 공기의 오염도 관리 및 피드백 관리 또한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공기조화기 110 : 본체 케이싱
112 : 우레탄층 114 : 열차단필름층
116 : 항균코팅층 A : 흡기부
120 : 흡기휀 122 : 모터
124 : 벨트 130 : 환기구
140 : 배기구 150 : 외기유입구
B : 정화살균부 160 : AC필터
170 : HEPA필터 180 : 광살균램프
190 : 실버나노폼필터 C : 항온항습부
200 : 냉각코일 210 : 히팅코일
220 : 가습기 D : 급기부
230 : 급기휀 240 : 급기덕트
250 : 베어링 E : 피드백부
260 : 오토샘플러 261 : 하우징
262 : 흡입구 S1 : 제1전자밸브
264 : 흡입펌프 265 : 공기질센서
S2 : 제2전자밸브 267 : 배출구
MIC : 마이컴 COM : 통신모듈
PS : 전원공급부 270 : 피드백댐퍼
272 : 회전축홈 274 : 회전축
276 : 댐퍼구동모터 278 : 통공
280 : 피드백덕트 S3 : 제3전자밸브
300 : 원격수집기 400 : 집중기
500 : 중앙관제센터 510 : 운영서버
520 : DB서버 530 : 라우터
540 : 관리자단말기 550 : 스위치
560 : 관제실 컴퓨터 600 : 원격지 컴퓨터

Claims (10)

  1. 다양한 위치에 산재되어 있는 복수의 개별적인 공기조화기와;
    상기 복수의 개별적인 공기조화기로부터 각 공기조화기의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복수의 원격수집기와;
    상기 원격수집기에 의해 수집된 복수의 공기조화기의 상태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저장하는 집중기와; 상기 집중기에서 통합 저장된 각 공기조화기의 상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받아 저장하고 분석하여 공기조화기의 현재 상태와 이상 유무를 판단하며, 이력 관리 및 고장 발생시 알람 발생,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중앙관제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조화기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부와;
    상기 흡기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 및 살균하는 정화살균부와;
    상기 정화살균부를 거친 공기를 일정한 온도와 습도로 조절 유지시키는 항온항습부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정화, 살균 및 항온항습된 공기를 급기휀과 급기덕트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부와;
    상기 정화살균부 및 항온항습부를 거친 공기의 질을 감지하여 공기 중에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급기부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다시 정화살균부의 유입측으로 피드백시키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위치를 복수의 구역으로 획정하고, 획정된 구역별로 하나의 원격수집기가 해당 구역에 설치된 복수개의 공기조화기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광살균 공기 조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수집기는 복수의 공기조화기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광살균 공기 조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본체 케이싱의 내부 표면에는 우레탄층과, 열차단필름층 및 항균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광살균 공기 조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살균부는 AC필터와, HEPA필터와, 광살균램프와, 은나노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광살균 공기 조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부는,
    상기 급기부의 급기휀 흡입측에 설치되며, 급기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를 포집하여, 포집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토샘플러와;
    상기 급기부의 급기덕트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오토샘플러의 오염도 측정 결과 공기중에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오염된 공기를 정화살균부의 유입측으로 피드백시키기 위한 피드백덕트와;
    상기 급기부의 급기덕트 중앙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평시 급기덕트를 통하여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오토샘플러의 오염도 측정 결과 공기중에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덕트측으로 선회되어 오염된 공기를 피드백덕트로 유도하는 피드백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광살균 공기 조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샘플러는,
    하우징과; 상기 급기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를 하우징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에 연결된 흡입펌프와; 상기 흡입펌프의 토출측에 구비되어 유입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공기질센서와; 상기 공기질센서의 출구측에 구비되어 오염도 측정이 완료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오토샘플러의 전체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공기질센서에서 측정된 공기 오염도 측정 결과를 미리 저장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오염 여부를 판정하는 마이컴과; 외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과; 오토샘플러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광살균 공기 조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흡입펌프 사이에는 제1전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질센서와 배출구 사이에는 제2전자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전자밸브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공기의 유입을 위해 개방되고 오염도 측정에 필요한 양의 공기가 포집되면 자동으로 폐쇄되며, 상기 제2전자밸브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제1전자밸브가 개방되어 공기질센서로 공기가 유입되는 동안 폐쇄되었다가 오염도 측정이 완료되면 개방되어 측정 완료된 공기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광살균 공기 조화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댐퍼는 판형상의 부재로서, 중앙부에 회전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홈에 회전축이 삽입된 후, 회전축의 양단부가 급기덕트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에 구비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급기덕트의 일측면을 관통한 후 댐퍼구동모터에 연결되며, 오토샘플러에서 포집된 공기가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댐퍼구동모터가 작동되어 회전축이 회전되고 상기 피드백댐퍼가 수직 위치로부터 피드백덕트측을 향하여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광살균 공기 조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댐퍼에는 회전축홈을 기준으로 하반부측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청정 광살균 공기 조화 시스템.
KR1020120052486A 2012-05-17 2012-05-17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KR101191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486A KR101191756B1 (ko) 2012-05-17 2012-05-17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486A KR101191756B1 (ko) 2012-05-17 2012-05-17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756B1 true KR101191756B1 (ko) 2012-10-16

Family

ID=4728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486A KR101191756B1 (ko) 2012-05-17 2012-05-17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75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147A1 (ko) * 2014-11-28 2016-06-0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20160065390A (ko) * 2014-11-28 2016-06-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20160065389A (ko) * 2014-11-28 2016-06-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CN106949558A (zh) * 2017-04-01 2017-07-14 合肥梦飞电器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
KR20190114922A (ko) * 2018-03-29 2019-10-10 (주)신영에어텍 공기정화시스템
CN111878932A (zh) * 2020-09-02 2020-11-03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高污染建筑空间排风多流程综合消杀系统及方法
KR20210008274A (ko) * 2019-07-12 2021-01-21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다단으로 형성되는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12696801A (zh) * 2020-12-29 2021-04-23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系统的控制方法
CN113804653A (zh) * 2020-06-16 2021-12-17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基于浊度传感器余量指示方法、存储介质、余量指示结构
KR20220008132A (ko) *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필터오염 측정기반 필터교체 시기 알람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사용한 필터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999B1 (ko) 2008-03-03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999B1 (ko) 2008-03-03 201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형 공기조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0690A (ko) * 2014-11-28 2021-11-0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102636454B1 (ko) 2014-11-28 2024-02-1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102319374B1 (ko) * 2014-11-28 2021-11-0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20160065390A (ko) * 2014-11-28 2016-06-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102356177B1 (ko) 2014-11-28 2022-02-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US10596294B2 (en) 2014-11-28 2020-03-24 Seoul Viosys Co., Ltd. Air cleaner
WO2016085147A1 (ko) * 2014-11-28 2016-06-0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20220136296A (ko) * 2014-11-28 2022-10-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20160065389A (ko) * 2014-11-28 2016-06-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102446396B1 (ko) * 2014-11-28 2022-09-2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CN106949558A (zh) * 2017-04-01 2017-07-14 合肥梦飞电器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
KR102336036B1 (ko) * 2018-03-29 2021-12-07 (주)신영에어텍 공기정화시스템
KR20190114922A (ko) * 2018-03-29 2019-10-10 (주)신영에어텍 공기정화시스템
KR102229092B1 (ko) * 2019-07-12 2021-03-19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다단으로 형성되는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10008274A (ko) * 2019-07-12 2021-01-21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다단으로 형성되는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13804653B (zh) * 2020-06-16 2023-12-19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基于浊度传感器余量指示方法、存储介质、余量指示结构
CN113804653A (zh) * 2020-06-16 2021-12-17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基于浊度传感器余量指示方法、存储介质、余量指示结构
KR102364999B1 (ko) * 2020-07-13 2022-02-18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필터오염 측정기반 필터교체 시기 알람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사용한 필터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08132A (ko) * 2020-07-13 2022-01-20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필터오염 측정기반 필터교체 시기 알람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사용한 필터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N111878932B (zh) * 2020-09-02 2024-04-19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高污染建筑空间排风多流程综合消杀系统及方法
CN111878932A (zh) * 2020-09-02 2020-11-03 中铁建设集团有限公司 高污染建筑空间排风多流程综合消杀系统及方法
CN112696801A (zh) * 2020-12-29 2021-04-23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空调系统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756B1 (ko)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CN112041617A (zh) 智能通风系统
KR102238936B1 (ko) 공기 청정 시스템
US5616172A (en) Air treatment system
US201503599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irborne Contamination
EP1752714A1 (en) Air conditioner
US201302398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ir Replacement and Positive Air Pressure Isolation
US20060177356A1 (en) Positive pressure air purification and conditioning system
US20060130663A1 (en) System and method of air quality control for air-conditioning devices
JP2012149879A (ja) 空気処理装置とその方法
US200400415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CN201100715Y (zh) 空气质量调节机
JP2018036038A (ja) 適温式除湿装置
CN208075167U (zh) 智能控制型空气净化器
Swamy Development of an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to improve ventilation and air quality
CN111322694A (zh) 与空调联动的杀菌消毒设备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
WO2013065205A1 (ja) 微生物・ウイルスの捕捉・不活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3227623A (ja) 空気調和機
JP2022106652A (ja) 室内空気汚染の知能的な防止及び解決方法
JP3415108B2 (ja) 空気調和機
TW202225612A (zh) 智能室內空汙防治解決方法
JP4223306B2 (ja) 給気口構造及び換気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
JP4913705B2 (ja) 給気口構造及び換気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
CN1304792C (zh) 室内消毒灭菌净化装置
JP5087121B2 (ja) 給気口構造及び換気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