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036B1 - 공기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036B1
KR102336036B1 KR1020190106656A KR20190106656A KR102336036B1 KR 102336036 B1 KR102336036 B1 KR 102336036B1 KR 1020190106656 A KR1020190106656 A KR 1020190106656A KR 20190106656 A KR20190106656 A KR 20190106656A KR 102336036 B1 KR102336036 B1 KR 102336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er
induct
air quality
portabl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922A (ko
Inventor
김용희
백남원
김기영
유관호
이일영
박광조
Original Assignee
(주)신영에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3629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1886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에어텍 filed Critical (주)신영에어텍
Priority to KR1020190106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03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24F8/26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using oz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4Oz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구획공간이 형성되는 건물 안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의 공조를 위한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인덕트 살균장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각각 설치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각각 설치되는 공기질 측정유닛; 및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각각의 구획공간에 대한 공기질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제어하여 건물의 공기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시스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시스템{AIR PURIFYING SYSTEM OF INTERIOR ENVIRONMENT}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서 다른 목적에 따라 구획되는 공간별로 다른 조건의 공기질을 갖도록 제어를 할 수 있는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 시스템은 더운 공기나 차가운 공기를 건물 내에서 효율적으로 유동시켜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하며, 대부분의 건물에 이러한 공조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1053호(발명의 명칭: 실시간 통합 실내 공기질 알림지수 결정 방법 및 장치)와 같은 공조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일단, 종래에 따른 대부분의 공조 시스템은 오로지 건물 내의 온도 또는 습도의 조절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점차 심해지는 미세먼지의 제거 또는 병균과 같은 미생물의 제거에 미흡한 문제가 있다.
설사 미세먼지와 병균의 제거를 고려한 공조 시스템이 존재하더라도, 이러한 공조 시스템은 건물 내의 전체적인 컨디션을 관리하는 시스템일 뿐, 건물 내부에서 요구되는 공기의 컨디션을 구획별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병원은 다양한 환자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환자들뿐만 아니라 환자의 가족들까지 내원하는 공간으로서, 병원 내부의 상가, 대기실 등 다양한 기능별 공간들이 존재한다.
또한, 작금의 국내 병원 감염 관리의 추세는 다제내성균 증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박테리아, 곰팡이 등의 미생물 저감이나 살균에 대한 특이도 높은 기술과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대부분의 병원의 경우 병원 내 여러 구획에 대하여 단일 공조 시스템으로서 공기질이 제어되고 있으며, 병원 내 공기를 밖으로 빼내는 대책만 있을 뿐 직접적으로 살균하기 위한 대응 전략이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병원 내부는 감염 가능성이 매우 높은 장소로서, 접촉상 부주의, 소독과 멸균 관리 부실로 감염이 발생하며, 병원의 대형화 추세로 인해 전염균의 전파가 빠른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병원 내의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수술실, 입원실, 대기실, 응급실 등 각 공간별 공기질 특성을 반영한 최적화된 공기 질 관리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과 같은 건물 내의 광범위한 개별 공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공간별 모니터링을 실시간으로 수행하고, 공간별로 공기질을 관리할 수 있는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구획공간이 형성되는 건물 안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의 공조를 위한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인덕트 살균장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각각 설치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각각 설치되는 공기질 측정유닛; 및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각각의 구획공간에 대한 공기질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제어하여 건물의 공기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정화시스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는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튜브 및; 상기 튜브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로써 생성되는 음이온을 유동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은 오존농도,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건물 내의 구획공간에 대해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오존농도,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VOC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건물 내의 구획공간이 일반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구획공간 내에 설치된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을 기준으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제어하고, 건물 내의 구획공간이 특별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구획공간 내에 설치된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VOC량을 기준으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강 모드, 중 모드 및 약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이 400ppm 미만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약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이 400ppm 이상 1000ppm 이하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중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이 1000ppm 초과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강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강 모드, 중 모드 및 약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VOC량이 400㎍/㎥ 미만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약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VOC량이 400㎍/㎥ 이상 1000㎍/㎥ 이하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중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VOC량이 1000㎍/㎥ 초과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강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는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튜브와, 상기 튜브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로써 생성되는 음이온을 유동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오존농도가 0.015ppm~0.05ppm 범위 내에서 기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상기 튜브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모바일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고, 상기 모바일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로그인이 확인되면, 상기 모바일에서 선택된 해당 지역의 건물 내의 공기질 정보 및 외부 공기질 정보를 상기 모바일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해당 구획공간에 대한 공기질 정보를 수신받는 휴대용 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강 모드, 중 모드 및 약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휴대용 모니터에서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상기 휴대용 모니터에서 수신된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 컴퓨터와 연동되고, 상기 관리자 컴퓨터는 상기 제어부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전체 구획공간에 대한 공기질 정보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 컴퓨터와 연동되고,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설치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의 작동 오류시 상기 관리자 컴퓨터에 알람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 컴퓨터와 연동되고,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설치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의 기설정된 제품 수명이 경과하면 상기 관리자 컴퓨터에 알람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 컴퓨터와 연동되고,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강 모드, 중 모드 및 약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관리자 컴퓨터에서 해당 구획공간 또는 전체 구획공간에 대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상기 관리자 컴퓨터에서 수신된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구획별 상황에 따라 공기질 제어 조건을 세분화하고 모듈화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건물 내의 공기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분화된 모듈에 따라 건물 내에 개별적으로 적용 가능하므로, 건물의 구조가 다르더라도 공기정화시스템을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뿐만 아니라 사무실, 가정, 작업 공간 등 다양한 공간 내에 공기정화시스템의 최적화를 통한 커스터마이징을 구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살균장치 또는 인덕트 살균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에 저장된 기설정값의 예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니터에 표시되는 실내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제어화면 및 공기질 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모바일에 실내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휴대용 모니터로부터 수신받은 제어 정보로서 휴대용 살균장치 또는 인덕트 살균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휴대용 살균장치,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의 교체 정보를 유통사 컴퓨터 또는 제조사 컴퓨터에 송신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의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살균장치 또는 인덕트 살균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에 저장된 기설정값의 예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니터에 표시되는 실내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제어화면 및 공기질 측정유닛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모바일에 실내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휴대용 모니터로부터 수신받은 제어 정보로서 휴대용 살균장치 또는 인덕트 살균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휴대용 살균장치,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의 교체 정보를 유통사 컴퓨터 또는 제조사 컴퓨터에 송신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구획공간이 형성되는 건물 안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형 병원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병원은 응급실, 외래진료실, 격리병실, 치료실, 대기실, 스텝공간 및 수술실과 같은 구획공간을 가지며, 본 발명은 이러한 구획공간이 많은 건물에 최적화된 공기정화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건물에 기설치된 공조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는 것이므로 시공방법 및 시공비가 효과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서 병원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병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기질을 차등 제어할 필요가 있는 복수 개의 구획공간으로 구획된 건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100)은 크게 인덕트 살균장치(110), 휴대용 살균장치(120), 공기질 측정유닛(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모바일(150, 구체적으로는 모바일(15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휴대용 모니터(160), 관리자 컴퓨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는 건물의 공조를 위한 덕트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1차적으로 건물 전체에 대한 공기질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에 의해 건물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건물 외부로 유출되는 병원균을 살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는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 오토 모드로서 제어되거나, 또는 후술할 관리자 컴퓨터(170)에 의해 수동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는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튜브와, 상기 튜브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로써 생성되는 음이온을 유동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의 상기 송풍기는 기존 덕트에 배치된 팬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2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20)는 후술할 제어부(140)에 의해 오토 모드로서 제어되거나, 또는 후술할 휴대용 모니터(160) 및/또는 관리자 컴퓨터(170)에 의해 수동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용 살균장치(120)에 의해 각각의 구획공간에 대한 개별적인 공기질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구획공간 별 사용환경에 따라 집중적인 공기질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20)는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튜브와, 상기 튜브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로써 생성되는 음이온을 유동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20)는 내부에 오존제어를 위한 정밀센서가 별도로 내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밀센서에 의해 상기 휴대용 살균장치(120)에 내장된 튜브의 작동 여부 또한 자체적으로 제어되어 안전성을 더욱 보장받을 수 있다.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및 휴대용 살균장치(120)에 배치되는 튜브의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서, 유전체 장벽 방전(Dielectric Barrier Discharge)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음이온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이온화 가스상태인 플라즈마에는 전자, 양이온, 음이온, 자유 라디칼, 자외선, 광자 등을 포함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O2.- Superoxide), (OH. Hydroxyl), (RO2. Peroxyl), (RO. Alkoxyl), (HO2. Hydroperoxyl)이 발생되고, 미량의 과산화수소(H2O2: Hydrogen peroxide)와 오존(O3)이 생성된다.
또한, 같은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으로는 NO 라디컬(Nitric Oxide), NO2(Nitrogen dioxide) 등이 생성되어 오염된 부분에 살균력을 증가시킨다.
이때, 고농도의 활성종이 발생되면,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종에 의해 세포의 노화 혹은 파괴 과정이 일어나게 됨으로써 생명체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런 외부의 자극에 저항하기 위하여 인간의 세포는 이에 대항하는 효소를 만드는데 대표적인 효소로는 glutathione peroxidase,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가 있으며, 이러한 효소들은 반응을 유도하여, 활성산소종의 부작용에 대한 방어기전을 출족시킨다.
또한, 활성산소종은 광범위하게 세포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연구에 밝혀진 바로는 세포막의 구성물질인 지질, 세포의 효소, DNA, 구조 단백질에 작용하여 박테리아의 세포의 사멸을 이끈다.
특히, 활성산소 중 가장 반응성이 높은 슈퍼옥사이드(super oxide anion; O2.-)에 의한 살균효과는 프리라디칼이 가지고 있는 높은 반응성에 기인하기 때문에 반응성이 강한 슈퍼옥사이드는 세균뿐만 아니라 정상세포를 동시에 파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정상세포는 그다지 손상을 입지 않는다.
그 이유는 우리 몸의 세포가 반응성이 높은 슈퍼옥사이드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슈퍼옥사이드 변환효소(SOD)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SOD 방어효소가 없는 세균은 선택적으로 파괴되어 제거된다.
이온화된 산소에 의해, 신체에 산소 이온이 공급되어 생리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공기 중에 부유하던 유해물질, 미세먼지 또는 곰팡이포자 등이 결합 과정을 통해 포집, 흡착하여 보다 큰 입자로 만들어진 후 바닥으로 낙하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활성종은 미생물 세포막을 통해 확산되면서 세포막의 지질과 단백질, 그리고 세포 내의 DNA와 같은 거대 분자들과 반응하여 세포를 손상시켜 결핵균과 같은 미생물이 분해되거나, 또는 초미세먼지에 붙어있는 세균 등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오존농도,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에 의해 측정, 분석된 해당 구획공간의 공기질의 정보는 같은 공간에 배치된 후술할 휴대용 모니터(160)에 전송되거나, 후술할 제어부(14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은 구획공간의 특성에 따라 하나의 구획공간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건물의 공조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으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각각의 구획공간에 대한 공기질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및/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제어하여 건물의 공기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동하는 방식은 공지된 유선 및/또는 무선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건물 내의 구획공간에 대해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측정된 오존농도,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VOC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후술할 관리자에 의해 건물 내의 구획공간들에 각각 모듈화된 등급을 설정되면, 각각의 구획공간들은 설정된 등급에 맞게 공기질이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구획공간에 대한 등급의 세분화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건물 내의 구획공간을 일반공간과 특별공간이라는 두 개의 등급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강 모드, 중 모드 및 약 모드로 제어하여 각각의 구획공간의 공기질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40)는 건물 내의 구획공간이 일반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구획공간 내에 설치된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을 기준으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이 400ppm 미만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약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이 400ppm 이상 1000ppm 이하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중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이 1000ppm 초과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강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40)는 건물 내의 구획공간이 특별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구획공간 내에 설치된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측정된 VOC량을 기준으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측정된 VOC량이 400㎍/㎥ 미만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약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측정된 VOC량이 400㎍/㎥ 이상 1000㎍/㎥ 이하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중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측정된 VOC량이 1000㎍/㎥ 초과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강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단,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측정된 오존농도가 0.015ppm~0.05ppm 범위 내에서 기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상기 튜브의 전원을 차단하여 오존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송풍기의 구동은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모바일(150)과 연동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모바일(150)에 제공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환자 또는 간병인은 자신의 모바일(150)에 어플리케이션을 깔고, 회원가입 후 로그인을 하여, 해당 병원 내부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40)의 관점에서, 상기 제어부(140)는 모바일(15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고, 상기 모바일(15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로그인이 확인되면(S11), 상기 모바일(150)에서 선택된 해당 지역의 건물 내의 공기질 정보 및 외부 공기질 정보를 상기 모바일(150)에 제공할 수 있다(S13).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후술할 휴대용 모니터(160)에 표시되는 정보가 모바일(15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는 외부 공기질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당해 병원이 위치한 지역의 TM 좌표를 가지고 인근의 외부 기상 측정소(180)를 검색하여 공기질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S12).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환자 또는 간병인이 병원 내의 공기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병원에 대한 신뢰를 도모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모니터(16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40)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해당 구획공간에 대한 공기질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모니터(160)는 해당 구획공간 내에 배치된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130)에서 측정, 분석된 공기질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및/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의 작동 상태 정보를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모니터(160)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오토 모드로 관리되는 구획공간의 공기질을 수동 모드로 제어하기 위해, 해당 구획공간에 대한 공기질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14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모니터(160)에서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S21),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상기 휴대용 모니터(160)에서 수신된 공기 정화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S22).
예를 들어, 의사 또는 간호사가 해당 구획공간에 대한 공기질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모니터(160)를 조작할 수 있으며, 의사 또는 간호사가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거나,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의 구동을 강 모드, 중 모드 또는 약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컴퓨터(170)는 당해 건물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컴퓨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또한, 상술한 제어부가 포함된 컴퓨터일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란 건물에 기설치된 공조 시스템, 본 발명의 공기정화시스템(100)을 제어할 수 있는 자, 또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시스템(100)의 제조사의 관계자, 또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시스템(100)의 유통사의 관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컴퓨터(170)는 상기 제어부(140)와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40)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130)으로부터 전체 구획공간에 대한 공기질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 관점에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설치되는 휴대용 살균장치(120),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130)의 작동 오류시(S31) 상기 관리자 컴퓨터(170)에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S33).
또한, 상기 제어부(140) 관점에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설치되는 휴대용 살균장치(120),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130)의 기설정된 제품 수명이 경과하면(S32) 상기 관리자 컴퓨터(170)에 알람을 송신할 수 있다(S33).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관리자 컴퓨터(170)에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품 정보, 수명주기, 설치일과 같은 제반 사항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S33).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 관점에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관리자 컴퓨터(170)에서 해당 구획공간 또는 전체 구획공간에 대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110)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120)를 상기 관리자 컴퓨터(170)에서 수신된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건물로 유입되는 공기 및 유출되는 공기에 대한 1차적 살균을 통해 쾌적한 실내 공기질을 조성할 수 있으며, 건물 내의 구획공간 별 특수성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공기질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공기정화시스템 110: 인덕트 살균장치
120: 휴대용 살균장치 130: 공기질 측정유닛
140: 제어부 150: 모바일
160: 휴대용 모니터 170: 관리자 컴퓨터
180: 외부 기상 측정소

Claims (15)

  1. 복수 개의 구획공간이 형성되는 건물 안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의 공조를 위한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인덕트 살균장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각각 설치되는 휴대용 살균장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각각 설치되는 공기질 측정유닛; 및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각각의 구획공간에 대한 공기질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제어하여 건물의 공기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은 오존농도,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건물 내의 구획공간에 대해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오존농도,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및 VOC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강 모드, 중 모드 및 약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VOC량이 400㎍/㎥ 미만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약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VOC량이 400㎍/㎥ 이상 1000㎍/㎥ 이하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중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VOC량이 1000㎍/㎥ 초과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강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는,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튜브 및;
    상기 튜브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로써 생성되는 음이온을 유동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 컴퓨터와 연동되고,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설치되는 휴대용살균장치,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의 작동 오류 시 또는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설치되는 휴대용살균장치,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의 기설정된 제품의 수명 경과 시 상기 관리자 컴퓨터에 알람을 송신하는, 공기정화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물 내의 구획공간이 일반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구획공간 내에 설치된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을 기준으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제어하고,
    건물 내의 구획공간이 특별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구획공간 내에 설치된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VOC량을 기준으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강 모드, 중 모드 및 약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이 400ppm 미만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약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이 400ppm 이상 1000ppm이하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중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이 1000ppm 초과일 경우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강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는 플라즈마 방전을 발생시키는 튜브와, 상기 튜브에서 발생된 플라즈마로써 생성되는 음이온을 유동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오존농도가 0.015ppm~0.05ppm 범위 내에서 기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 상기 튜브의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바일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고,
    상기 모바일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로그인이 확인되면,
    상기 모바일에서 선택된 해당 지역의 건물 내의 공기질 정보 및 외부 공기 질 정보를 상기 모바일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구획공간 안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 또는 공기질 측정유닛으로부터 해당 구획공간에 대한 공기질 정보를 수신 받는 휴대용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강 모드, 중 모드 및 약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휴대용 모니터에서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상기 휴대용 모니터에서 수신된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 컴퓨터와 연동되고,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강 모드, 중 모드 및 약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관리자 컴퓨터에서 해당 구획공간 또는 전체 구획공간에 대해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인덕트 살균장치 또는 휴대용 살균장치를 상기 관리자 컴퓨터에서 수신된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
KR1020190106656A 2018-03-29 2019-08-29 공기정화시스템 KR102336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656A KR102336036B1 (ko) 2018-03-29 2019-08-29 공기정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298A KR102018864B1 (ko) 2018-03-29 2018-03-29 공기정화시스템
KR1020190106656A KR102336036B1 (ko) 2018-03-29 2019-08-29 공기정화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298A Division KR102018864B1 (ko) 2018-03-29 2018-03-29 공기정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922A KR20190114922A (ko) 2019-10-10
KR102336036B1 true KR102336036B1 (ko) 2021-12-07

Family

ID=7886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656A KR102336036B1 (ko) 2018-03-29 2019-08-29 공기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688B1 (ko) * 2020-07-23 2021-12-01 코넥스디엔티 주식회사 공기청정, 살균 및 체온추적관리기능이 포함된 마스크
KR102527889B1 (ko) * 2021-08-27 2023-05-02 주식회사 세이버 미세먼지 제거 및 공기살균 기능을 갖춘 산소공급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1043A (ja) 2009-02-03 2010-08-19 Daikin Ind Ltd 空調システム
KR101191756B1 (ko) * 2012-05-17 2012-10-16 (주)동양테크놀로지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1043A (ja) 2009-02-03 2010-08-19 Daikin Ind Ltd 空調システム
KR101191756B1 (ko) * 2012-05-17 2012-10-16 (주)동양테크놀로지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922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864B1 (ko) 공기정화시스템
US83540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ozone as a disinfectant
US201200208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Ozone As A Disinfectant
EP2051743B1 (en) Method for using ozone as a disinfectant
US200800317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ozone as a disinfectant
EP2127686A2 (en) Area decontamination via low-level concentration of germicidal agent
KR102336036B1 (ko) 공기정화시스템
KR20100058087A (ko) 스탠드형 실내공기 살균 및 소독장치
US20110165018A1 (en) Air decontamination unit
US20160101202A1 (en) System for Sterilizing Objects Utilizing Germicidal UV-C Radiation and Ozone
KR101191756B1 (ko)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KR102327934B1 (ko) Uvc 플라즈마 공기 살균기
Kowalski et al. Demonstration of a hermetic airborne ozone disinfection system: studies on E. coli
KR20090032093A (ko) 환경 평가 장치 및 환경 평가 방법
Claro et al. Cold-air atmospheric pressure plasma against Clostridium difficile spores: a potential alternative for the decontamination of hospital inanimate surfaces
KR20230081840A (ko) 능동형 스마트 공기살균정화시스템
KR20180133064A (ko) Iot 기반 지능형 감염 관리 시스템
US11098910B1 (en) HVAC decontamination system with regulated ozone output based on monitored ozone level in ambient air
KR102323229B1 (ko) 바이러스 검출 기반의 자동 공조 시스템
Schentag et al. SARS: clearing the air
KR20190046749A (ko) Iot 기반 지능형 감염 관리 시스템
TW202142771A (zh) 防疫全外氣行動載具
KR100567563B1 (ko) 실 내부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 정화기
Poirot et al. Evaluation of a new mobile system for protecting immune-suppressed patients against airborne contamination
WO2022245378A1 (en) Hvac decontamination system with regulated ozone output based on monitored ozone level in ambient 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