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0349A - 다중 글레이징 - Google Patents

다중 글레이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0349A
KR20190070349A KR1020197014743A KR20197014743A KR20190070349A KR 20190070349 A KR20190070349 A KR 20190070349A KR 1020197014743 A KR1020197014743 A KR 1020197014743A KR 20197014743 A KR20197014743 A KR 20197014743A KR 20190070349 A KR20190070349 A KR 20190070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glazing
layer
pan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필립 슈바이처
니콜라스 나드에드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90070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0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2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one layer at least containing a nitride, oxynitride, boronitride or carbonit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39Multilayers containing at least two functional metal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4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etal being 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57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having optical properties
    • C03C17/366Low-emissivity or solar control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34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03C17/36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 C03C17/3602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 C03C17/3681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with at least two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at least one coating being a metal the metal being present as a layer the multilayer coating being used in glazing, e.g. windows or wind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인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 공간(22, 24, 22)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바아(16, 16)에 의해서 분리되고 평행한 복수의 페인(12, 14, 20, 112, 120)을 포함하는 다중 글레이징(10, 100)에 관한 것으로서, 그러한 글레이징은, "기능적 페인"(20, 120)으로 지칭되는, 페인 중 적어도 하나가, 열적으로 템퍼링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얇은 유리 시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유리 시트의 두께(e1)는 0.1 내지 2 mm 범위 이내이고, 그 면들(20a, 120d)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은 층을 포함하는 얇은 층들의 로이(low-E) 적층체로 코팅되며, 그러한 적층체는, 식 Rc.e22 -115.n<25.e2와 관련된, 오옴으로 표현되는, 시트 저항(Rc)을 가지며, e2는, 적층체 내에 존재하는 은 층의 두께 또는 각각의 은 층의 두께의 합이고, n은 적층체 내에 존재하는 은 층의 수이다.

Description

다중 글레이징
본 발명은 글레이징, 보다 특히 다중 글레이징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종종 모순되는, 다수의 요건들이 다중 글레이징에서 요구된다. 다중 글레이징은 우수한 단열 특성을 나타내야 하고, 대류, 전도 또는 복사에 의한 임의의 열 손실을 가능한 한 많이 방지하여야 한다. 동시에, 태양 복사선이 건물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도록, 글레이징의 태양열 취득율(solar factor)이 최대화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글레이징은 특히 그 취급을 돕기 위해서 가능한 한 가벼워야 하면서도, 설치 중에 또는 사용 중에 임의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우수한 열기계적 강도를 보장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상이한 요건들을 가능한 한 최적으로 만족시키는 글레이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대상은 페인들(panes)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 공간을 경계 짓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부재에 의해서 분리된 복수의 평행 페인을 포함하는 다중 글레이징이며, 그러한 글레이징은, "기능적 페인"인, 페인 중 적어도 하나가, 열적으로 템퍼링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얇은 유리 시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유리 시트는 두께(t1)가 0.1 내지 2 mm 범위 이내이고 그 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은 층을 포함하는 낮은 방사율을 갖는 얇은 층들의 적층체로 코팅되며, 그러한 적층체는, 식: Rs.t22 - 115.n < 25.t2에 상응하는, 오옴으로 표현되는 시트 저항(Rs)을 나타내고, t2는, nm로 표현되는, 적층체 내에 존재하는 은 층의 두께 또는 각각의 은 층의 두께의 합이고, n은 적층체 내에 존재하는 은 층의 수이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낮은 방사율을 갖는 적층체 또는 또한 "로이(low-e)" 적층체는, 표준 EN 12898의 의미에서, 283 K에서의 정상 방사율이 일반적으로 0.05 이하, 특히 0.03 및 심지어 0.02 또는 0.01인 적층체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글레이징은, 독립적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모든 조합에 따라 취해진, 이하의 선택적인 특성 중 하나 이상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 그러한 또는 각각의 페인이, 특히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적어도 하나의 유리 시트를 포함하고, 사실상 심지어 유리 시트로 이루진다.
- 두께(t1)는 0.5 내지 1.6 mm, 사실상 심지어 1.0 내지 1.5 mm 범위 이내이거나, 0.2 내지 0.9 mm 범위 이내이다.
- 낮은 방사율을 갖는 적층체로 코팅된 적어도 하나의 면이 중간층 공간을 향한다. 그에 따라, 적층체가 화학적 또는 기계적 공격으로부터 보호된다.
- 면들 중 단지 하나 또는 그러한 또는 각각의 얇은 유리 시트는 낮은 방사율을 갖는 얇은 층들의 적층체로 코팅된다.
- 글레이징은 하나의 기능적 페인만을 포함한다.
- 글레이징이 적어도 2개의 기능적 페인, 특히 정확하게 2개 또는 3개의 기능적 페인을 포함한다.
- 글레이징이 이중 글레이징이다. 이는 그에 따라 바람직하게, 단일 중간층 공간을 경계 짓는 단일 이격부재에 의해서 분리된 2개의 단일 페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페인 중 적어도 하나, 특히 단지 하나, 또는 이러한 페인의 각각이 기능적 페인이다.
- 글레이징이 적어도 3개의 페인, 특히 정확하게 3개의 페인을 포함한다. 이는, 예를 들어, 삼중 또는 사중 글레이징일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라, 글레이징은, 단일 중간층 공간을 각각 경계 짓는 (p-1)개의 이격부재에 의해서 쌍으로 분리된 p개의 페인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라, 글레이징은 유리하게 단일 이격부재를 포함하고, 그러한 이격부재는 2개의 "외부" 페인들 사이에 고정되고, 그러한 외부 페인들 사이에 위치된 "내부" 페인을 각각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홈을 구비한다. 글레이징은 특히 정확하게 3개의 페인을 포함하고; 이는 이어서 삼중 글레이징이 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삼중 글레이징은 단일 이격부재를 포함하고, 그러한 이격부재는 2개의 외부 페인들 사이에 고정되고 그러한 외부 페인들 사이에 위치된 단일 내부 페인을 수용하는 단지 하나의 주변 홈을 구비한다.
- 그러한 또는 각각의 주변 홈은 탄성 중합체 재료,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고무를 기초로 하는 라이닝을 구비한다. 라이닝은 내부 페인을 홈 내에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한편, 내부 페인의 가능한 열팽창 변동을 보상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홈 내의 내부 페인의 무-응력 고정이 제공되어, 심지어 내부 페인이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기능적 페인일 때에도, 우수한 열기계적 강도를 갖는 글레이징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 적어도 하나의 내부 페인이 기능적 페인이다. 삼중 글레이징의 경우에, 내부 페인은 이어서 기능적 페인이다. 바람직하게, 내부 페인은 글레이징의 유일한 기능적 페인이다. 외부 페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2 내지 6 mm, 특히 2 내지 4 mm 범위 이내이다.
- 그러한 또는 각각의 기능적 페인은 단지 하나의 유리 시트로, 그에 따라 앞서 규정한 바와 같은 얇은 유리 시트로 이루어진다.
- 그러한 또는 각각의 기능적 페인은 적어도 2개의 유리 시트, 특히 정확하게 2개의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얇은 유리 시트가, 폴리비닐 부티랄(PVB)과 같은 라미네이션 중간층(lamination interlayer)에 의해서 다른 유리 시트에 접착식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얇은 유리 시트는 바람직하게 중간층 공간과 접촉된다. 다른 유리 시트는, 그 두께가 0.1 내지 2 mm, 특히 0.5 내지 1.6 mm 범위 이내라는 의미에서, 바람직하게 얇다. 이러한 다른 유리 시트는 얇은 층의 적층체로 코팅될 수 있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 글레이징의 적어도 하나의 페인이 기능적 페인이 아니다. 비기능적 페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2 내지 6 mm, 특히 2 내지 4 mm 범위 이내이다. 적어도 하나의 비기능적 페인이 그 면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특히 중간층 공간을 향하는 면 상에서, 기능적 페인의 얇은 유리 시트에 수반되는 층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얇은 로이 층의 적층체로 코팅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비기능적 페인이 그 면 중 적어도 하나 상에서 다른 기능, 특히 태양 제어, 응축 방지 또는 자가-세정 기능을 나타내는 얇은 층들의 적층체로 코팅될 수 있다.
- 낮은 방사율을 갖는 그러한 또는 각각의 얇은 층의 적층체는 1개, 2개, 3개 또는 4개의 은 층을 포함한다(n = 1, 2, 3 또는 4). 계속되는 문장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또는 각각의 은 층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 층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코팅에 의해서 프레임화된다(framed).
- 낮은 방사율을 갖는 그러한 또는 각각의 적층체는, 특히 마그네트론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서 적층체를 침착하는 스테이지, 그 후에, 특히 레이저 복사선 또는 섬광 램프에 의해서 적층체를 신속 어닐링하는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에 의해서 얻어진다. 이러한 기술에 관한 추가적인 상세 내용이 계속되는 문장에서 주어진다.
- 그러한 또는 각각의 얇은 유리 시트는 플로팅(floating)에 의해서 또는 인발에 의해서, 특히 하향 인발에 의해서, 특히 "융해-인발(fusion-draw)" 프로세스에 의해서 얻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단지 예로서 주어지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작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몇몇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단면으로 도시된, 삼중 글레이징을 도시한다.
도 2는 단면으로 도시된, 이중 글레이징을 도시한다.
도 1은, 각각 건물의 외측을 향하도록 의도되는 제1 페인(12) 및 건물의 내측을 향하도록 전형적으로 의도되는 제2 페인(14)인, 2개의 외부 페인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삼중 글레이징(10)을 도시한다. 이러한 2개의 외부 페인은, 외부 페인(12 및 14)의 연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이격부재(16)에 고정된다. 이격부재(16)는, 외부 페인들(12 및 14) 사이에 위치된 내부 페인(20)을 수용하는 주변 홈(18)을 구비한다.
일반적인 바와 같이, 페인의 면은, 면 1인, 외측과 접촉되는, 외부 페인(12)의 외부 면(12a)으로부터 시작하여 순서대로 증가되는, 1 내지 6 범위의 숫자에 의해서 명명된다.
2개의 외부 페인(12 및 14)은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외부 페인은, 예를 들어, 두께가 2 내지 6 mm, 특히 3 내지 5 mm 범위 이내인 단일체 유리 시트일 수 있다. 외부 페인은 또한, 특히 건물의 외측을 향하도록 의도되는 외부 페인(12)의 경우에, 예를 들어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제조된 라미네이션 중간층에 의해서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2개의 유리 시트의 조립체일 수 있고, 이는, 파괴-방지 및/또는 차음 및/또는 사람-안전(예를 들어, 비산방지(shatterproof))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루어진다.
외부 페인(12 및 14)의 상이한 면들이, 다양한 기능을 글레이징(10)에 부여하는 얇은 층의 적층체로 코팅될 수 있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페인(12)의 외부 면(12a)이,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나타제(anatase) 형태로 결정화된, 특히 티타늄 산화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광촉매 층을 포함하는 자가-세정 적층체로, 및/또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 특히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도핑된 아연 산화물의 층과 같은, 낮은 방사율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응축 방지 적층체로 코팅될 수 있다. 외부 페인(12 및 14)의 다른 면은 적어도 하나의 은 층을 포함하는 낮은 방사율의 얇은 층들의 적층체로 코팅될 수 있다.
이격부재(16)는 금속 및/또는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금속 재료의 예는, 특히,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한다. 적합한 중합체 재료의 예는, 특히,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를 포함한다. 이러한 재료의 임의 조합 또는 혼합물이 또한 생각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격부재의 각각의 프로파일링된 요소가 스테인리스 강 시트로 이루어진 보강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중합체 재료를 기초로 할 때, 프로파일링된 요소는 유리하게 섬유, 특히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에 의해서 보강된다.
홈(18)은 탄성 중합체 재료, 전형적으로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고무를 기초로 하는 라이닝(19)을 구비한다. 그에 의해서, 열적으로 템퍼링되지 않은 얇은 유리 시트를 내부 페인으로서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글레이징의 열기계적 강도가 개선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외부 페인(12, 14), 이격부재(16) 및 내부 페인(20)에 의해서 형성된 조립체는 2개의 중간층 공간(22 및 24)을 형성한다. 각각의 중간층 공간(22, 24)이 공기로 충진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각각의 중간층 공간(22, 24)은, 페인들 사이의 공기를 대체하는, 절연 가스의 밴드를 포함한다.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각각의 중간층 공간 내에서 절연 가스의 밴드를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가스의 예는, 특히, 아르곤(Ar), 크립톤(Kr), 및 크세논(Xe)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다중 글레이징 유닛의 각각의 중간층 공간 내의 절연 가스의 밴드는, 공기보다 낮은 열 전도도를 나타내는 적어도 85%의 가스를 포함한다. 적합한 가스는 바람직하게 무색이고, 무독성이며, 비부식성이고, 불연성이고, 그리고 자외선 노출에 민감하지 않다.
중간층 공간(22, 24)이 누출 방지되도록, 누출방지 스트립(26)이 2개의 외부 페인(12, 14) 및 이격부재(16)의 측방향 연부 사이에 배치된다. 누출방지 스트립(26)은, 예를 들어, 폴리이소부틸렌(부틸)을 기초로 한다.
이격부재(16)는, 중간층 공간(22, 24)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잔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서 건조제 재료(28)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형성한다. 건조제 재료(28)는, 특히 분자 체(molecular sieve), 실리카 겔, CaCl2, Na2SO4, 활성 탄소, 제올라이트, 및/또는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다중 글레이징(10)의 각각의 중간층 공간(22, 24) 내에 존재하는 공기 또는 가스의 밴드를 건조할 수 있는 임의 재료일 수 있다.
페인(12, 14)을 이격부재(16) 상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폴리설파이드 수지로 제조된 밀봉 장벽(30)이, 외부 페인들(12 및 14) 사이에서, 이격부재(16)의 외부 원주에 도포된다.
내부 페인(20)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기능적 페인이다. 이는 얇은 유리 시트이고, 그 두께는 0.1 내지 2 mm의 범위 이내이고, 중간층 공간(22)을 향하는, 글레이징의 면(3)인, 그 면(20a) 중 하나는 낮은 방사율을 갖는 얇은 층의 적층체로 코팅된다. 제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적층체는 유리 시트의 다른 면 또는 유리 시트의 양 면을 코팅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체는 n 개의 은 층(n은 예를 들어 1, 2, 3 및 기타의 값을 갖는다)을 포함하고, 식: Rs.t22 - 115.n < 25.t2에 상응하는, 오옴으로 표현되는, 시트 저항(Rs)을 나타내고, t2는 은 층의 두께 또는 각각의 은 층의 두께의 합이다.
적층체는 바람직하게, 기재로부터 시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전체 층, 적어도 하나의 은 층 및 선택적으로 오버블록커 층(overblocker layer)을 포함하는 제1 코팅,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전체 층을 포함하는 제2 코팅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또는 각각의 은 층의 물리적 두께가 6 내지 20 nm이다.
오버블록커 층은, 후속 층(예를 들어, 후속 층이 산화 또는 질화 대기 하에서 침착되는 경우)의 침착 중에 그리고 템퍼링 또는 굽힘 유형의 선택적인 열처리 중에, 은 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은 층은 또한 언더브록커 층 상에 침착될 수 있고 그와 접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적층체는, 그러한 또는 각각의 은 층의 측면에 위치되는(flanking) 오버블록커 층 및/또는 언더브록커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브로커(언더브록커 및/또는 오버블록커) 층은 일반적으로 니켈, 크롬, 티타늄, 니오븀, 또는 이러한 상이한 금속들의 합금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기초로 한다. 특히, 니켈/티타늄 합금(특히 각각의 금속을 약 50 중량%로 포함하는 합금) 또는 니켈/크롬 합금(특히 80 중량%의 니켈 및 20 중량%의 크롬을 포함하는 합금)을 언급할 수 있다. 오버블록커 층은 또한, 예를 들어, 기재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티타늄으로 그리고 이어서 니켈 합금(특히 니켈/크롬 합금)으로 이루어진, 또는 그 반대로 이루어진, 몇 개의 중첩된 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언급된 상이한 금속 또는 합금이 또한 부분적으로 산화될 수 있고, 특히 산소가 화학양론 미만(substoichiometric)일 수 있다(예를 들어, TiOx 또는 NiCrOx).
이러한 브록커(언더브록커 및/또는 오버블록커) 층은, 일반적으로 1 nm 미만의 두께로, 매우 얇고, 그에 따라 적층체의 광 투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중에 부분적으로 산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브록커 층은, 대기로부터 또는 기재로부터 기원하는 산소를 포획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은 층의 산화를 방지하는 희생 층이다.
제1 및/또는 제2 유전체 층은 전형적으로 산화물로 제조되고 (특히 주석 산화물로 제조되고), 또는 바람직하게 질화물로 제조되고, (특히, 기재로부터 가장 먼, 제2 유전체 층을 위해서) 특히 규소 질화물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음극 스퍼터링 기술에 의한 침착을 촉진하기 위해서, 규소 질화물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붕소로 도핑될 수 있다. (규소의 양에 대한 원자 백분율에 상응하는) 도핑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2%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러한 유전체 층의 기능은 은 층을 화학적 또는 기계적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고, 이들은 또한, 간섭 현상으로 인해서, 적층체의 광학적 성질, 특히 반사에 영향을 미친다.
제1 코팅은 하나의 유전체 층, 또는 몇 개의, 전형적으로 2개 내지 4개의 유전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코팅은 하나의 유전체 층, 또는 몇 개의, 전형적으로 2개 또는 3개의 유전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체 층은 바람직하게 규소 질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또는 아연 산화물, 또는 그 혼합물이나 고용체 중 임의의 하나, 예를 들어 주석 아연 산화물 또는 티타늄 아연 산화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제조된다. 제1 코팅 내에 또는 제2 코팅 내에 있든지 간에, 유전체 층의 물리적 두께 또는 모든 유전체 층의 전체 물리적 두께는 바람직하게 15 내지 60 nm, 특히 20 내지 50 nm이다.
제1 코팅은 바람직하게, 은 층 바로 아래에서 또는 광학적 언더브록커 층 아래에서, 습윤 층을 포함하고, 습윤 층의 기능은 은 층의 습윤 및 접합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특히 알루미늄으로 도핑된 아연 산화물이 이와 관련하여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제1 코팅은, 습윤 층 바로 아래에서, 평활화 층(smooth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고, 평활화 층은 부분적으로, 사실상 심지어 완전히 비정질 혼합 산화물이고(그에 따라 조도가 매우 낮고), 그 역할은 바람직한 결정학적 배향에 따른 습윤 층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고, 이는 에피택시 현상(epitaxy phenomena)에 의해서 은의 결정화를 촉진한다. 평활화 층은 바람직하게 Sn, Zn, In, Ga 및 Sb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2개의 금속의 혼합된 산화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산화물은 안티몬-도핑된 인듐 주석 산화물이다.
제1 코팅에서, 습윤 층 또는 선택적 평활화 층이 바람직하게 직접적으로 제1 유전체 층 상에 침착된다. 제1 유전체 층은 바람직하게 직접적으로 기재 상에 침착된다. 적층체의 광학적 특성(특히 반사에서의 외관)의 최적의 적응(adaptation)을 위해서, 제1 유전체 층이 대안적으로 다른 산화물 또는 질화물 층, 예를 들어 티타늄 산화물 층 상에 침착될 수 있다.
제2 코팅 내에서, 제2 유전체 층은 직접적으로 은 층 상에 또는 바람직하게 오버블록커 층 상에, 또는 또한 적층체의 광학적 특성의 적응을 위해서 의도된 다른 산화물 또는 질화물 층 상에 침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히 알루미늄으로 도핑된 아연 산화물 층, 또는 또한 주석 산화물 층이 오버블록커 층과, 바람직하게 규소 질화물로 제조된 제2 유전체 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으로 도핑된 아연 산화물은 은과 상부 층 사이의 접착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적층체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ZnO/Ag/ZnO 시퀀스를 포함한다. 아연 산화물은 알루미늄으로 도핑될 수 있다. 언더브록커 층이 은 층과 하부 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오버블록커 층이 은 층과 상부 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 코팅 위에, 관련 업계에서 "오버코트"로 종종 지칭되는 오버층(overlayer)이 위치될 수 있다. 적층체의 최종 층, 그리고 그에 따라 주위 공기와 접촉되는 층은, 적층체를 임의의 기계적 공격(긁힘 및 기타) 또는 화학적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오버코트는 일반적으로 매우 얇고, 그에 따라 적층체의 반사에서의 외관을 방해하지 않는다(그 두께는 전형적으로 1 내지 5 nm이다). 이는 바람직하게, 화학양론적 형태로 침착된, 특히 안티몬으로 도핑된, 티타늄 산화물 또는 혼합된 주석 아연 산화물을 기초로 한다.
적층체는 하나 이상의 은 층, 특히 2개 또는 3개의 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몇 개의 은 층이 존재할 때, 전술한 일반적인 아키텍처(architecture)가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주어진 은 층과 관련된(그에 따라 이러한 은 층 위에 위치된) 제2 코팅은 일반적으로 후속 은 층에 대한 제1 코팅과 일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적층체는 마그네트론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서 획득된다. 예를 들어 플라즈마-강화 화학기상증착(PECVD) 기술과 같은, 다른 침착 기술이 또한 가능하다.
극히 낮은 비저항 및 극히 낮은 방사율을 달성하기 위해서, 은 층은, 침착 중에 얻어질 수 없는, 높은 정도의 결정화를 나타내야 하고, 결과적으로 열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다. 통상적으로, 유리는 열 템퍼링되고, 즉 유리는 약 600 ℃ 내지 630 ℃의 온도로 가열되고, 이어서 급냉된다. 은 층의 비저항 및 방사율 특성에서의 개선 이외에 열 템퍼링은 페인의 열기계적 강도를 개선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열 템퍼링은 얇은 유리 시트에 대해서는 산업적으로 실행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적층체의 우수한 비저항 및 방사율 특성은 신속 어닐링 스테이지에 의해서, 특히 레이저 복사선 또는 섬광 램프에 의해서 얻어진다.
"신속 어닐링"이라는 용어는, 처리하고자 하는 적층체의 각각의 지점을 전형적으로 300 ℃ 이상의 온도까지 그리고 또한, 전형적으로 10초 미만, 특히 1초, 사실상 심지어 0.1초의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는 처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열은 유리 시트 내로 확산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유리 시트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50 ℃의 온도를 초과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신속 어닐링은 섬광 램프에 의해서 실시된다.
섬광 램프는 일반적으로 희가스로 충진되고 그 단부에서 전극을 가지는 밀봉된 유리 또는 석영 관 형태로 제공된다. 커패시터의 방전에 의해서 얻어지는, 짧은 지속 시간의 전기 펄스의 영향 하에서, 가스가 이온화되고 특히 강한 가간섭성 광(intense incoherent light)을 생성한다. 방출 스펙트럼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의 방출 라인을 포함하고; 이는 바람직하게 근자외선에서 최대 방출을 나타내는 연속적인 스펙트럼이다.
램프는 바람직하게 크세논 램프이다. 이는 또한 아르곤, 헬륨, 또는 크립톤 램프일 수 있다. 방출 스펙트럼은 바람직하게, 특히 파장 범위가 160 내지 1000 nm인 몇 개의 라인을 포함한다.
섬광의 지속시간은 바람직하게 0.05 내지 20 밀리초, 특히 0.1 내지 5 밀리초 범위 이내이다. 반복율은 바람직하게 0.1 내지 5 Hz, 특히 0.2 내지 2 Hz 범위 이내이다.
복사선은 나란히 배치된 몇 개의 램프, 예를 들어 5개 내지 20개의 램프, 또는 또한 8개 내지 15개의 램프로부터 초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더 넓은 면적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램프가 동시에 섬광을 방출할 수 있다.
그러한 또는 각각의 램프는 바람직하게 기재의 가장 넓은 측면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러한 또는 각각의 램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1 m, 특히 2 m 및 심지어 3 m의 길이를 가지며, 그에 따라 큰-크기의 기재를 처리할 수 있다.
커패시터는 전형적으로 500 V 내지 500 kV의 전압에서 대전된다. 전류 밀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4000 A/cm2이다. 적층체의 표면적과 관련한, 섬광 램프에 의해서 방출되는 전체 에너지의 밀도는 바람직하게 1 내지 100 J/cm2, 특히 1 내지 30 J/cm2, 사실상 심지어 5 내지 20 J/cm2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신속 어닐링은 레이저 복사선에 의해서 실시된다. 레이저 복사선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라인의 형태로 적층체 상으로 포커스된다.
레이저 복사선은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레이저 공급원 그리고 또한 형성 및 재지향 광학기기를 포함하는 모듈에 의해서 생성된다.
레이저 공급원은 전형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섬유 레이저, 특히 섬유, 다이오드 또는 또한 디스크 레이저이다. 레이저 다이오드는, 작은 공간 요건을 위해서, 전기 공급 파워와 관련하여, 높은 파워 밀도를 경제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섬유 레이저의 공간 요건이 보다 더 작고, 얻어지는 선형 파워 밀도가 보다 더 높을 수 있으나, 비용이 더 높다. "섬유 레이저"라는 용어는, 레이저 광이 생성되는 장소가 레이저 광이 전달되는 장소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레이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그러한 레이저 광은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에 의해서 전달된다. 디스크 레이저의 경우에, 레이저 광은 공진기 공동 내에서 생성되고, 그러한 공동 내에는 디스크, 예를 들어 Yb:YAG로 만들어진 얇은 디스크(약 0.1 mm 두께) 형태의 방출 매체가 위치된다. 그렇게 생성된 광은 처리 장소를 향해서 지향된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에 커플링된다. 섬유 또는 디스크 레이저는 바람직하게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펌핑된다.
레이저 공급원으로부터 초래된 복사선은 바람직하게 연속적이다.
레이저 복사선의 파장은 바람직하게 500 내지 2000 nm, 특히 700 내지 1100 nm, 사실상 심지어 800 내지 1000 nm 범위 이내이다. 808 nm, 880 nm, 915 nm, 940 nm 또는 980 nm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파장을 방출하는 고-파워 레이저 다이오드가 특히 매우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디스크 레이저의 경우에, 파장은, 예를 들어, 1030 nm(Yb:YAG 레이저를 위한 방출 파장)이다. 섬유 레이저의 경우에, 파장은 전형적으로 1070 nm이다.
비-섬유 레이저의 경우에, 형성 및 재지향 광학기기가 바람직하게 렌즈 및 거울을 포함하고, 복사선을 배치, 균질화 및 포커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배치 수단의 목적은, 적절한 경우에, 레이저 공급원에 의해서 방출되는 복사선을, 라인을 따라, 배열하는 것이다. 이들은 바람직하게 거울을 포함한다. 균질화 수단의 목적은, 전체 라인을 따라 균질한 선형 파워 밀도를 획득하기 위해서, 레이저 공급원들의 공간적 프로파일들을 중첩시키는 것이다. 균질화 수단은 바람직하게 렌즈를 포함하고, 그러한 렌즈는 입사 빔을 이차 빔들로 분리하는 것 그리고 그러한 이차 빔들을 균질한 라인으로 재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복사선-포커싱 수단은 처리하고자 하는 적층체 상에서 희망 길이 및 폭의 라인 형태로 복사선을 포커스할 수 있게 한다. 포커싱 수단은 바람직하게 포커싱 거울 또는 수렴 렌즈를 포함한다.
섬유 레이저의 경우에, 형성 광학기기들은 바람직하게, 그러한 또는 각각의 광섬유의 배출구에 배치된 광학 헤드 형태로 함께 그룹화된다.
광학 헤드의 형성 광학기기는 바람직하게 렌즈, 거울 및 프리즘을 포함하고, 복사선을 변환, 균질화 및 포커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변환 수단은 거울 및/또는 프리즘을 포함하고, 광섬유의 배출구에서 얻어진 원형 빔을, 라인 형상의, 이방성(anisotropic) 비-원형 빔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변환 수단은 그 축(레이저 라인의 패스트 축(fast axis), 또는 폭(w)의 축) 중 하나를 따라서 빔의 품질을 높이고, 다른 축(레이저 라인의 슬로우 축, 또는 길이(l)의 축)을 따라서 빔의 품질을 감소시킨다.
균질화 수단은, 전체 라인을 따라 균질한 선형 파워 밀도를 획득하기 위해서, 레이저 공급원들의 공간적 프로파일들을 중첩시킨다. 균질화 수단은 바람직하게 렌즈를 포함하고, 그러한 렌즈는 입사 빔을 이차 빔들로 분리하는 것 그리고 그러한 이차 빔들을 균질한 라인으로 재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복사선-포커싱 수단은, 작업 평면의 레벨에서, 다시 말해서 처리하고자 하는 적층체의 평면 내에서, 희망하는 길이 및 폭의 라인 형태로 복사선을 포커스할 수 있게 한다. 포커싱 수단은 바람직하게 포커싱 거울 또는 수렴 렌즈를 포함한다.
단일 레이저 라인이 이용될 때, 라인의 길이는 유리하게 기재의 폭과 동일하다. 이러한 길이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1 m, 특히 2 m 그리고 심지어 3 m이다. 또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그러나 기재의 전체 폭을 처리하도록 배치된, 몇 개의 라인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레이저 라인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10 cm 또는 20 cm, 특히 30 내지 100 cm, 특히 30 내지 75 cm, 사실상 심지어 30 내지 60 cm 범위 이내이다.
라인의 "길이"라는 용어는, 기재의 정방향 진행 방향에 횡방향인, 제1 방향을 따른 적층체의 표면 상에서 측정된, 라인의 가장 큰 치수를 의미하고, "폭"이라는 용어는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른 치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레이저 분야에서 일반인 바와 같이, 라인의 폭(w)은 빔의 축(복사선의 세기가 최대인 곳)과 복사선의 세기가 최대 세기의 1/e2 배인 지점 사이의 (이러한 제2 방향을 따른) 거리에 상응한다. 레이저 라인의 길이방향 축이 x로 지칭되는 경우에, w(x)로 지칭되는, 이러한 축을 따른 폭 분포를 규정할 수 있다.
그러한 또는 각각의 레이저 라인의 평균 폭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35 마이크로미터, 특히 4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 또는 40 내지 70 마이크로미터 범위 이내이다. 본 문서 전체를 통해서, 용어 "평균"은 산술 평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임의의 처리 이종성(heterogeneity)을 가능한 한 제한하기 위해서, 라인의 전체 길이에 걸쳐, 폭 분포가 좁다. 따라서, 가장 넓은 폭과 가장 좁은 폭 사이의 차이는 바람직하게 평균 폭의 값의 10% 이하이다. 이러한 숫자는 바람직하게 5% 이하 및 심지어 3%이다.
형성 및 재지향 광학기기, 특히 배치 수단은 수동적으로, 또는 그러한 광학기기의 배치를 원격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작동기를 이용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기(전형적으로 압전 모터 또는 블록)는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고 및/또는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자동 조정의 경우에, 작동기는 바람직하게 검출기에 그리고 또한 피드백 루프에 연결될 것이다.
레이저 모듈의 적어도 일부, 사실상 심지어 그 모두가 바람직하게 누출방지 상자 내에 배치되고, 그러한 누출방지 상자는, 그 열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유리하게 냉각되고, 특히 환기된다.
레이저 모듈은 바람직하게, 전형적으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금속 요소를 기초로 하는, "브릿지"로 지칭되는 강성 구조물 상에 장착된다. 그러한 구조물은 바람직하게 대리석 슬라브(marble slab)를 포함하지 않는다. 브릿지는 바람직하게 이송 수단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에 따라 그러한 또는 각각의 레이저 라인의 포컬 평면은 피처리 기재의 표면에 평행하게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브릿지는 적어도 4개의 받침부를 포함하고, 모든 상황 하에서 평행한 배치를 보장하기 위해서, 받침부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한 조정은, 거리 센서와 연결되어,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각각의 받침부에 위치된 모터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처리하고자 하는 기재의 두께를 고려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에 따라 기재의 평면이 그러한 또는 각각의 레이저 라인의 포컬 평면과 일치되게 보장하기 위해서, 브릿지의 높이가 (수동적 또는 자동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레이저 라인의 선형 파워 밀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300 W/cm, 유리하게 350 또는 400 W/cm, 특히 450 W/cm, 사실상 심지어 500 W/cm 및 심지어 550 W/cm이다. 이는 더 유리하게 적어도 600 W/cm, 특히 800 W/cm, 사실상 심지어 1000 W/cm이다. 선형 파워 밀도는, 그러한 또는 각각의 레이저 라인이 적층체 상에 포커스되는 장소에서 측정된다. 이는, 파워 검출기, 예를 들어, 특히 Coherent Inc.로부터의 Beam Finder S/N 2000716 파워 미터와 같은, 칼로리 측정 파워 미터(calorimetric power meter)를 라인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파워는 유리하게 그러한 또는 각각의 라인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질하게 분포된다. 바람직하게, 가장 큰 파워와 가장 작은 파워 사이의 차이는 평균 파워의 10% 미만이다.
적층체에 제공되는 에너지 밀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20 J/cm2, 사실상 심지어 30 J/cm2이다.
큰 파워 및 에너지 밀도는, 기재의 상당한 가열이 없이, 적층체를 매우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게 한다.
열처리 중에 적층체의 각각의 지점에 가해지는 최대 온도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300 ℃, 특히 350 ℃, 사실상 심지어 400 ℃, 및 심지어 500 ℃ 또는 600 ℃이다. 최대 온도는 일반적으로, 해당 적층체의 지점이 복사선 장치 아래, 예를 들어 레이저 라인 아래 또는 섬광 램프 아래를 통과하는 순간에 일어난다. 주어진 경우에, 복사선 장치 아래에(예를 들어, 레이저 라인 아래에) 위치된 적층체의 표면의 지점 및 (예를 들어, 1 밀리미터 미만으로 이격된) 그 바로 근접부만이 일반적으로 적어도 300 ℃의 온도가 된다. 레이저 라인의 하류를 포함하여, 2 mm 초과, 특히 5 mm의 (정방향 진행 방향을 따라 측정된) 레이저 라인까지의 거리에서, 적층체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50 ℃이하, 그리고 심지어 40 ℃ 또는 30 ℃이다.
적층체의 각각의 지점은, 유리하게 0.05 내지 10 ms, 특히 0.1 내지 5 ms, 또는 0.1 내지 2 ms 범위 이내의 기간 동안 열처리된다(또는 최대 온도가 된다). 레이저 라인에 의한 처리의 경우에, 이러한 기간은 레이저 라인의 폭 및 기재와 레이저 라인 사이의 상대적인 변위 속력 모두에 의해서 고정된다. 섬광 램프에 의한 처리의 경우에, 이러한 기간은 섬광의 지속시간에 상응한다.
레이저 복사선은 부분적으로 피처리 적층체에 의해서 반사되고, 부분적으로 기재를 통해서 투과된다. 안전 상의 이유로, 복사선-중단 수단을 이러한 반사된 및/또는 투과된 복사선의 경로 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사선-중단 수단은 전형적으로 유체, 특히 물의 순환에 의해서 냉각되는 금속 하우징일 것이다. 반사된 복사선이 레이저 모듈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러한 또는 각각의 레이저 라인의 전파 축이 바람직하게 기재에 대한 법선(normal)과 0이 아닌 각도, 전형적으로 5° 내지 20°의 각도를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글레이징(100)을 도시한다. 이중 글레이징(100)은, 각각 건물의 외측을 향하도록 의도되는 제1 페인(112) 및 건물의 내측을 향하도록 전형적으로 의도되는 제2 페인(120)인, 2개의 외부 페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2개의 외부 페인은, 외부 페인(112 및 120)의 연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이격부재(116)에 고정된다.
2개의 외부 페인(112 및 120)은 유리 시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부 페인(112)의 경우에, 이는, 두께가 2 내지 6 mm, 특히 3 내지 5 mm 범위 이내인 단일체 유리 시트일 수 있다.
이격부재(116)는, 도 1의 이격부재(16)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및/또는 중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페인(112, 120) 및 이격부재(116)에 의해서 형성된 조립체는 중간층 공간(122)을 형성한다. 이러한 중간층 공간(122)이 공기로 충진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중간층 공간(122)은, 페인들 사이의 공기를 대체하는, 절연 가스의 밴드를 포함한다. 가스의 예가, 도 1의 중간층 공간(22 및 24)과 관련하여 앞서서 주어졌다.
중간층 공간(122)이 누출 방지되도록, 누출방지 스트립(126)이 2개의 외부 페인(112, 120) 및 이격부재(116)의 측방향 연부 사이에 배치된다. 누출방지 스트립(126)은, 예를 들어, 폴리이소부틸렌(부틸)을 기초로 한다.
이격부재(116)는, 중간층 공간(122)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잔류 수분을 흡수하기 위해서 건조제 재료(128)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형성한다. 건조제 재료(128)는, 특히 분자 체, 실리카 겔, CaCl2, Na2SO4, 활성 탄소, 제올라이트, 및/또는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다중 글레이징(100)의 중간층 공간(122) 내에 존재하는 공기 또는 가스의 밴드를 건조할 수 있는 임의 재료일 수 있다.
페인(112, 120)을 이격부재(116) 상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폴리설파이드 수지로 제조된 밀봉 장벽(130)이, 외부 페인들(112 및 120) 사이에서, 이격부재(116)의 외부 원주에 도포된다.
외부 페인(120)은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기능적 페인이다.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기능적 페인(120)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 부티랄(PVB)로 제조된, 라미네이션 중간층(120c)에 의해서 접착식으로 접합된 2개의 얇은 유리 시트(120a, 120b)의 조립체이다.
얇은 유리 시트(120a, 120b)의 두께는 0.1 내지 2 mm 범위 이내이다.
중간층 공간(122)을 향하는, 글레이징의 면(3)인, 시트(120a)의 면들(120d) 중 하나가 낮은 방사율의 얇은 층의 적층체로 코팅된다. 낮은 방사율을 갖는 얇은 층의 적층체 및 그러한 것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과 관련하여 도 1과 관련해 앞서서 제공한 다양한 상세 내용이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유형의 글레이징과 관련하여, 도 2의 글레이징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페인들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중간층 공간(22, 24, 122)을 경계 짓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부재(16, 116)에 의해서 분리된 복수의 평행 페인(12, 14, 20, 112, 120)을 포함하는 다중 글레이징(10, 100)이며, 상기 글레이징은, "기능적 페인"(20, 120)인, 페인 중 적어도 하나가, 열적으로 템퍼링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얇은 유리 시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유리 시트는 두께(t1)가 0.1 내지 2 mm 범위 이내이고 그 면들(20a, 120d)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은 층을 포함하는 낮은 방사율을 갖는 얇은 층들의 적층체로 코팅되며, 상기 적층체는, 식: Rs.t22 - 115.n < 25.t2에 상응하는, 오옴으로 표현되는 시트 저항(Rs)을 나타내고, t2는, nm로 표현되는, 적층체 내에 존재하는 은 층의 두께 또는 각각의 은 층의 두께의 합이고, n은 적층체 내에 존재하는 은 층의 수인, 다중 글레이징(10, 100).
  2. 제1항에 있어서,
    두께(t1)가 0.5 내지 1.6 mm 범위 이내인, 다중 글레이징(10, 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낮은 방사율을 갖는 적층체로 코팅된 적어도 하나의 면(20a, 120d)이 중간층 공간(22, 122)을 향하는, 다중 글레이징(10, 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중 글레이징이 이중 글레이징인, 다중 글레이징(10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페인(12, 14, 20)을 포함하고, 특히 정확하게 3개의 페인을 포함하는, 다중 글레이징(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외부" 페인들(12, 14)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외부 페인들(12, 14) 사이에 위치된 "내부" 페인(20)을 각각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홈(18)을 구비하는, 단일 이격부재(16)를 포함하는, 다중 글레이징(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주변 홈(18)이 탄성중합체 재료를 기초로 하는 라이닝(19)을 구비하는, 다중 글레이징(10).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페인(20)이 기능적 페인인, 다중 글레이징(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얇은 유리 시트가 라미네이션 중간층에 의해서 다른 유리 시트에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다중 글레이징(10, 1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낮은 방사율을 갖는 상기 또는 각각의 적층체가, 특히 마그네트론 음극 스퍼터링에 의해서 상기 적층체를 침착하는 스테이지, 그 후에, 특히 레이저 복사선 또는 섬광 램프에 의해서 상기 적층체를 신속 어닐링하는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에 의해서 얻어지는, 다중 글레이징(10, 100).
KR1020197014743A 2016-10-26 2017-10-20 다중 글레이징 KR201900703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60382 2016-10-26
FR1660382A FR3057900A1 (fr) 2016-10-26 2016-10-26 Vitrage multiple comprenant au moins une feuille de verre mince revetue d'un empilement a faible emissivite
PCT/FR2017/052888 WO2018078248A1 (fr) 2016-10-26 2017-10-20 Vitrage multip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0349A true KR20190070349A (ko) 2019-06-20

Family

ID=5800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743A KR20190070349A (ko) 2016-10-26 2017-10-20 다중 글레이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284868A1 (ko)
EP (1) EP3532693A1 (ko)
JP (1) JP2019532905A (ko)
KR (1) KR20190070349A (ko)
CN (1) CN109963999A (ko)
BR (1) BR112019004097A2 (ko)
FR (1) FR3057900A1 (ko)
WO (1) WO2018078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1533A1 (de) * 2018-01-22 2019-07-25 Saint-Gobain Glass France Isolierverglasung, fens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R20210107726A (ko) * 2018-12-21 2021-09-0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3중 판유리 창호 조립체
US11697963B2 (en) * 2019-05-01 2023-07-11 Oldcastle BuildingEnvelope Inc. Insulating panel assembly
US11879290B2 (en) * 2021-02-17 2024-01-23 Vitro Flat Glass Llc Multi-pane insulating glass unit having a rigid frame for a third pan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1753C2 (de) * 1982-03-30 1985-03-28 Interpane Entwicklungs- und Beratungsgesellschaft mbH & Co. KG, 3471 Lauenförde Hochtransparenter, in Durch- als auch Außenansicht neutral wirkender und wärmedämmender Belag für ein Substrat aus transparentem Material sowie Verwendung des Belages
CN1153749A (zh) * 1995-11-02 1997-07-09 加迪安工业公司 中性高效耐久的低辐射率玻璃涂层体系、用其制造的隔热玻璃组件、及其制造方法
AU2003231310B2 (en) * 2002-05-03 2007-03-29 Vitro Flat Glass Llc Substrate having thermal management coating for an insulating glass unit
FR2864988B1 (fr) * 2004-01-09 2006-04-28 Saint Gobain Vitrage multiple a proprietes d'isolation acoustique et thermique
FR2906832A1 (fr) * 2006-10-09 2008-04-11 Saint Gobain Vitrage multiple a selectivite augmentee
CN201817401U (zh) * 2010-07-26 2011-05-04 林嘉宏 可异地加工的双银低辐射镀膜玻璃
US8559100B2 (en) * 2011-10-12 2013-10-15 Guardian Industries Corp. Coated article with low-E coating having absorbing layer over functional layer designed to increase outside reflectance
MX2015010548A (es) * 2013-02-14 2016-04-04 Agc Glass Europe Acristalamiento de control solar.
PT2958872T (pt) * 2013-02-20 2017-06-07 Saint Gobain Placa de vidro com revestimento refletor de radiação térmica
PL3008269T3 (pl) * 2013-06-14 2017-10-31 Saint Gobain Element dystansowy dla oszkleń potrójnych
JP6389258B2 (ja) * 2013-08-16 2018-09-12 ガーディアン インダストリ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Guardian Industries Corp. 低い可視光線透過率を有する低放射率コーティングを備えた被覆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32693A1 (fr) 2019-09-04
US20190284868A1 (en) 2019-09-19
JP2019532905A (ja) 2019-11-14
FR3057900A1 (fr) 2018-04-27
BR112019004097A2 (pt) 2019-05-28
WO2018078248A1 (fr) 2018-05-03
CN109963999A (zh)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8405B2 (ja) 導電性透明酸化物膜を含む積重体で被覆された基材の製造方法
KR20190070349A (ko) 다중 글레이징
JP6054890B2 (ja) 被覆物を備えた基材を得る方法
KR102289587B1 (ko) 코팅을 열처리하기 위한 방법
JP6204454B2 (ja) コーティングされた基材の製造方法
US20190330728A1 (en) Process for obtaining a substrate provided with a coating
EA022242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дложки
EA029723B1 (ru) Подложка, покрытая низкоэмиссионным набором слоев
DK3241068T3 (en) PROCEDURE FOR FAST HEAT TREATMENT OF A COMPLETE THROUGH FIXED ELECTROCHROME LAMINATE
US2022000982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chromic glazing
US20170137320A1 (en) Method for obtaining a material comprising a functional layer made from silver resistant to a high-temperature treatment
US20230415275A1 (en) Decoat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to decoat at least partially a portion of a coating system presents on a surface of a window mounted in si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