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575A - 프레임 어셈블리, 문자판 및 스마트 팔찌 - Google Patents

프레임 어셈블리, 문자판 및 스마트 팔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575A
KR20190069575A KR1020197015391A KR20197015391A KR20190069575A KR 20190069575 A KR20190069575 A KR 20190069575A KR 1020197015391 A KR1020197015391 A KR 1020197015391A KR 20197015391 A KR20197015391 A KR 20197015391A KR 20190069575 A KR20190069575 A KR 20190069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ssembly
rod
connecting ro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러 리아오
신위앤 시아
송야 천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69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5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원은 문자판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프레임 어셈블리는 왼쪽 프레임, 오른쪽 프레임 및 신축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왼쪽 프레임과 오른쪽 프레임은 서로 마주 향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양자 사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신축 어셈블리는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왼쪽 프레임과 오른쪽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다. 신축 어셈블리의 신축에 의해 왼쪽 프레임과 오른쪽 프레임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고, 따라서 프레임 어셈블리의 치수가 변화된다. 본원은 문자판 및 스마트 팔찌를 더 제공한다. 본원의 프레임 어셈블리는 스마트 팔찌의 문자판에 사용되고, 즉 문자판의 치수 소형화 요구를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 치수를 확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임 어셈블리, 문자판 및 스마트 팔찌
본 발명은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제품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팔찌의 문자판에 관한 것이다.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 제품의 발전과 그 응용이 점점 널리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도 점점 더 많아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편리하게 휴대하기 위해 치수 소형화를 요구하거나, 편리하게 시청하기 위해 대화면을 요구하는 등이다. 기존의 스마트 팔찌에 있어서, 문자판의 형상은 고정되어 있고, 일반적인 크기는 보통 2인치보다 작기 때문에, 대화면 시청 요구를 만족할 수 없다.
치수 소형화 요구를 만족함과 동시에 대화면 시청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문자판을 어떻게 설계하는지는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과제이다.
본원의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문제는, 스마트 팔찌의 문자판에 사용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며, 치수 소형화 요구를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 치수를 확대할 수 있다.
한 방면으로, 본원은 문자판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스크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프레임 어셈블리는 왼쪽 프레임, 오른쪽 프레임 및 신축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왼쪽 프레임과 오른쪽 프레임은 서로 마주 향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양자 사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신축 어셈블리는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왼쪽 프레임과 오른쪽 프레임 사이에 연결된다. 신축 어셈블리의 신축에 의해 왼쪽 프레임과 오른쪽 프레임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고, 따라서 프레임 어셈블리의 치수가 변화된다.
다른 한 방면으로, 본원은 스크린 어셈블리, 릴 어셈블리 및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문자판을 더 제공한다. 릴 어셈블리는 프레임 어셈블리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고 또한 프레임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릴 어셈블리는 스크린 어셈블리를 감는데 사용된다. 프레임 어셈블리는 스크린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 다른 한 방면으로, 본원은 문자판, 리스트 벨트 및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는 스마트 팔찌를 더 제공한다. 배터리 모듈은 리스트 벨트에 고정되어 있으며, 리스트 벨트의 일단은 문자판에 연결된다.
본원의 프레임 어셈블리는 스마트 팔찌의 문자판에 응용된다. 신축 어셈블리의 신축에 의해 왼쪽 프레임과 오른쪽 프레임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고, 따라서 프레임 어셈블리의 치수가 변화되고, 프레임 어셈블리 위에 설치된 스크린 어셈블리의 표시 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치수 소형화 요구를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 치수를 확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술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히 소개한다. 다음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할 뿐이고, 당업자는 또한 창조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도 있다는 점이 자명하다.
도 1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팔찌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팔찌의 문자판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팔찌의 문자판에 있어서의 프레임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 어셈블리의 왼쪽 프레임, 오른쪽 프레임 및 신축 어셈블리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왼쪽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오른쪽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신축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로드 어셈블리의 하나의 연결 로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 어셈블리가 왼쪽 프레임과 오른쪽 프레임에 장착된 조립도이고, 그중에서 신축 어셈블리는 수축 상태에 있다.
도 10은 도 9를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 어셈블리가 왼쪽 프레임과 오른쪽 프레임에 장착된 조립도이고, 그중에서 신축 어셈블리는 신장 상태에 있다.
도 12는 도 11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연결 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연결 시트가 신축 어셈블리에 설치되고, 또한 프레임 어셈블리의 내부에서 프레임 어셈블리 외부로 뻗어 나온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브라켓과 왼쪽 프레임 및 오른쪽 프레임의 조립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17에 도시된 브라켓과 왼쪽 프레임 및 오른쪽 프레임의 조립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9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조종 로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조종 로드와 도 14에 도시된 연결 시트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프레임 어셈블리는 수축 상태에 있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프레임 어셈블리가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 연결 시트와 조종 로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왼쪽 프레임, 오른쪽 프레임과 왼쪽 바닥판, 오른쪽 바닥판, 지지판 사이의 분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프레임 어셈블리의 조립도이고, 프레임 어셈블리는 수축 상태에 있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프레임 어셈블리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와 스크린 어셈블리 및 프레임 어셈블리의 오른쪽 프레임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26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27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위치 제한 부재의 입체도이다.
도 28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에 있어서의 위치 제한 부재에 장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나사의 입체도이다.
도 29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커넥터의 입체도이다.
도 30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의 고정 부재의 입체도이다.
도 31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릴 어셈블리를 오른쪽 프레임에 조립한 후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왼쪽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오른쪽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가 수축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지지 조립체가 전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왼쪽 지지 프레임과 트래이 및 회로 기판의 분해도이다.
도 37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판의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가 수축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지지 조립체의 분해도이며, 그중에서 왼쪽 지지 프레임과 오른쪽 지지 프레임은 프레임 본체에서 분해되어 있다.
도 40은 도 38에 도시된 지지 조립체가 전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도 38에 도시된 지지 조립체의 국부 확대 단면도이고, 주로 왼쪽 지지 프레임과 오른쪽 지지 프레임의 래크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42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판 내의 촉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중에서 문자판은 수축 상태에 있다.
도 43은 도 42에 도시된 수축 상태에서 촉발 장치의 탄성 시트 및 로드 어셈블리와 회로 기판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판 내의 촉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중에서 문자판은 전개 상태에 있다.
도 45는 도 44에 도시된 전개 상태에서 촉발 장치의 탄성 시트 및 로드 어셈블리와 회로 기판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촉발 장치의 회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판의 국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주로 문자판에서 외부로 뻗어 나온 FPC의 관련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FPC 및 그 위의 구조, 및 FPC가 문자판의 회로 기판에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는 도 48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주로 FPC의 다른 면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0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팔찌의 리스트 벨트와 문자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벨트의 한 방향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52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벨트의 다른 한 방향의 입체 분해도이다.
도 53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벨트의 지지 시트와 배터리 모듈 사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4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리스트 벨트의 FPC와 지지 시트 및 바닥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원의 실시예들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책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다음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고, 모든 실시예가 아니다는 점이 자명하다. 당업자가 창조적인 노력 없이 본원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한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원의 명세서, 청구범위 및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의 '첫째', '둘째', '셋째', '네번째'등 용어(존재하는 경우)는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는 데에 사용되며, 꼭 특정 순서 또는 전후 순위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은 문자판(10) 및 리스트 벨트(Wrist belt)(20)를 구비하는 스마트 팔찌에 관한 것이다. 리스트 벨트(20)의 내부에 배터리 모듈(30)이 설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문자판(10)과 배터리 모듈(30)은 마주 향하도록 설치된다(양자는 각각 손등 쪽과 손바닥 쪽에 위치하며, 여기에 기재된 마주 향하도록 설치된다는 것은 마침 정면으로 향하는 데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어긋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대면할 수도 있다). 배터리 모듈(30)은 리스트 벨트(20)에 고정되고, 리스트 벨트(20)의 일단은 문자판(1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마트 팔찌는 대략 C자형 또는 U자형을 이루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벨트(20)에는 또한 스위치 버튼(234), 확장 버튼(232), 홈(home) 버튼(231) 및 사운드 홀(235)이 설치되어 있다. 본원은 더 많은 전자 부품(예를 들어, 상술한 여러가지 버튼)을 리스트 벨트(20)에 설치하여 리스트 벨트(20)의 다기능성에 더욱 유리하며, 또한 문자판(10)에 더 많은 공간을 석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판(10)은 프레임 어셈블리(12), 지지 조립체(14), 스크린 어셈블리(16) 및 릴 어셈블리(18)를 포함한다. 프레임 어셈블리(12)의 내부에 수용 공간(121)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어셈블리(12)는 상단부(122)와 하단부(123)를 포함한다. 지지 조립체(14)는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상단부(122)에 설치되어, 스크린 어셈블리(16)를 지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릴 어셈블리(18)는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수용 공간(121) 내에 설치된다. 릴 어셈블리(18)는 프레임 어셈블리(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크린 어셈블리(16)의 일부를 감는 데에 사용된다. 본원에 있어서,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신축에 의해 지지 조립체(14) 및 스크린 어셈블리(16)의 치수가 변하게 되고, 스마트 팔찌의 문자판(10)의 치수를 확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신축될 수 있다. 본원의 프레임 어셈블리(12)는 또한 다른 휴대용 전자 기기(예를 들어, 휴대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스크린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스크린 어셈블리(16)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162) 및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164)을 구비하고, 양자는 적층되어 있으며, 또한 모두 구부릴수 있는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 어셈블리(12)는 왼쪽 프레임(124), 오른쪽 프레임(126), 신축 어셈블리(125)를 구비한다.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은 서로 마주 향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양자 사이에 수용 공간(121)이 형성된다. 신축 어셈블리(125)는 수용 공간(121) 내에 배치되고, 또한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된다.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 사이의 거리 변화는 신축 어셈블리(125)에 의해 실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프레임(124)은 제 1 바닥벽(1241), 제 1 바닥벽(1241)의 대향하는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측벽(1242), 제 1 바닥벽(1241)과 한쌍의 제 1 측벽(1242) 사이에 연결된 제 1 연결벽(1243)을 포함한다. 제 1 바닥벽(1241)에는 제 1 나사 구멍(1244) 및 길쭉한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바닥벽(1241)의 제 1 연결벽(1243) 및 한쌍의 제 1 측벽(1242)에 가까운 곳에는 두개의 코너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제 1 코너와 제 2 코너이다. 제 1 나사 구멍(1244)은 제 1 코너에 위치한다.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은 제 2 코너로부터 제 1 연결벽(124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 1 나사 구멍(1244) 및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은 신축 어셈블리(125)를 장착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중 하나의 제 1 측벽(1242)에는 두개의 제 1 홈(1246)이 형성되어 있고, 두개의 제 1 홈(1246)은 제 1 측벽(1242)의 제 1 연결벽(1243)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단면에 개구를 형성한다. 또한 두개의 제 1 홈(1246)은 서로 평행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프레임(126)과 왼쪽 프레임(124)은 거의 같은 구조이다. 오른쪽 프레임(126)은 제 2 바닥벽(1261), 제 2 바닥벽(1261)의 대향하는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제 2 측벽(1262), 제 2 바닥벽(1261)과 한쌍의 제 2 측벽(1262) 사이에 연결된 제 2 연결벽(1263)을 포함한다. 제 2 바닥벽(1261)의 두 코너에 제 2 나사 구멍(1264)과 길쭉한 제 2 위치 제한 슬롯(1265)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위치 제한 슬롯(1265)은 제 2 연결벽(1263)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 2 나사 구멍(1264) 및 제 2 위치 제한 슬롯(1265)은 신축 어셈블리(125)를 장착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중 하나의 제 2 측벽(1262)에는 두개의 제 2 홈(1266)이 형성되어 있고, 두개의 제 2 홈(1266)은 제 2 측벽(1262)의 제 2 연결벽(1263)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단면에 개구를 형성한다. 또한 두개의 제 2 홈(1266)은 서로 평행된다. 오른쪽 프레임(126)과 왼쪽 프레임(124)의 차별점은, 오른쪽 프레임(126)의 한쌍의 제 2 측벽(1262)에 각각 하나의 갭(1267)이 형성되어 있고, 갭(1267)은 제 2 측벽(1262)의 제 2 바닥벽(1261)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단면에 형성된다. 한쌍의 제 2 측벽(1262)에 형성된 두개의 갭(1267)은 서로 마주 향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제 2 연결벽(1263)에 가깝다. 두개의 갭(1267)은 지지 조립체(14)의 위치를 확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은 서로 마주 향하도록 설치되며, 제 1 바닥벽(1241)과 제 2 바닥벽(1261)은 동일한 평면 위에 있다. 한쌍의 제 1 측벽(1242)은 각각 한쌍의 제 2 측벽(1262)에 연결된다.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이 서로 접근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제 1 측벽(1242)은 각각 한쌍의 제 2 측벽(1262)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 때, 두개의 제 1 홈(1246)과 두개의 제 2 홈(1266)은 각각 중첩된다. 연결 소자는 제 1 홈(1246) 및 제 2 홈(1266)에 의해 프레임 어셈블리(12)의 내부에서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외측으로 뻗어 나와, 리스트 벨트(20)의 특징과 어울리도록 한다. 예컨대, 도 38 및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11) 및 연결 시트(127)는 두개의 제 1 홈(1246) 및 두개의 제 2 홈(1266)에 의해 프레임 어셈블리(12)의 내부에서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외부로 뻗어 나온다. 특히, FPC(11)는 윗쪽에 위치하는 제 1 홈(1246) 및 제 2 홈(1266)으로부터 뻗어 나오고, 연결 시트(127)는 아랫쪽에 위치하는 제 1 홈(1246) 및 제 2 홈(1266)으로부터 뻗어 나온다. 따라서 FPC(11)와 연결 시트(127)의 연장 경로는 서로 이격되어 양자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물론, 제 1 홈(1246)의 수량과 제 2 홈(1266)의 수량은 모두 하나일 수 있으며, FPC(11) 및 연결 시트(127)는 같은 홈으로부터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외측으로 뻗어 나온다.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과 제 2 위치 제한 슬롯(1265)은 서로 평행되고,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 및 제 2 위치 제한 슬롯(1265)의 연장 방향은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 사이의 상대 이동 방향에 수직된다.
본원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신축 어셈블리(125)는 복수의 연결 로드를 힌지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연결 로드 구조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신축 어셈블리(125)는 슬리브와 같은 구조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트렁크의 신축 구조와 유사하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 사용되는 신축 어셈블리(125)는 로드 어셈블리(1252)와 탄성 부재(1254)를 구비한다. 로드 어셈블리(1252)는 적어도 두개의 연결 로드를 구비하고, 적어도 두개의 연결 로드는 힌지로 연결된다. 탄성 부재(1254)는 코일 스프링 또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 부재(1254)는 로드 어셈블리(1252)의 적어도 두개의 연결 로드 사이에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탄성 부재(1254)가 신장 상태에 있을 때, 로드 어셈블리(1252)는 신장 상태에 있고, 로드 어셈블리(1252)가 수축 상태에 있을 때, 탄성 부재(1254)는 탄성 압축 상태에 있다.
로드 어셈블리(1252)는 왼쪽 프레임(124)에 고정된 제 1 고정단(P1), 오른쪽 프레임(126)에 고정된 제 2 고정단(P2), 왼쪽 프레임(1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이동단(P3), 오른쪽 프레임(1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이동단(P4)을 구비한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고정단(P1)은 제 1 나사 구멍(1244)에 고정되고, 제 2 고정단(P2)은 제 2 나사 구멍(1264)에 고정되며, 제 1 이동단(P3)은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에 장착되고, 제 2 이동단(P4)은 제 2 위치 제한 슬롯(1265)에 장착된다. 로드 어셈블리(1252)가 신장되거나 또는 수축되는 과정에서 제 1 이동단(P3)은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 내에서 이동하고, 제 2 이동단(P4)은 제 2 위치 제한 슬롯(1265) 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 사이의 상대 이동을 구동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 어셈블리(1252)의 양단에는 각각 두개의 단부가 설치된다. 제 1 고정단(P1) 및 제 2 고정단(P2)은, 왼쪽 프레임(124) 및 오른쪽 프레임(126)을 따라 신축 방향에서 함께 이동하지만,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로드 어셈블리(1252)가 신축될 경우, 신축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제 1 이동단(P3)과 제 1 고정단(P1) 사이의 거리, 제 2 이동단(P4)과 제 2 고정단(P2) 사이의 거리가 변하기 때문에, 제 1 이동단(P3) 및 제 2 이동단(P4)은 왼쪽 프레임(124) 및 오른쪽 프레임(126)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또한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에 대하여 이동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 어셈블리(1252)의 양단에는 단지 하나의 단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드 어셈블리(1252)는 두개의 연결 로드가 힌지로 연결되어 V자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로드 어셈블리(1252)가 신축되는 과정에서 로드 어셈블리(1252)의 양단의 단부와 왼쪽 프레임(124), 오른쪽 프레임(126) 사이의 상대 운동 궤적은 원호 형상이며, 로드 어셈블리(1252)의 신축이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확실하게 추진하도록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 어셈블리(1252)는 두개의 X자형 연결 로드 어셈블리를 차례로 직렬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 어셈블리(1252)는 단지 하나의 X자형 연결 로드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세개 또는 세개 이상의 X자형 연결 로드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로드 어셈블리의 구체적인 수량은 문자판(10)을 확대하려고 하는 치수의 범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두개의 X자형 연결 로드 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 신축 어셈블리(125)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어셈블리(1252)는 제 1 연결 로드(R1), 제 2 연결 로드(R2), 제 3 연결 로드(R3), 제 4 연결 로드(R4)를 구비한다. 네개의 연결 로드는 길이가 같은 막대 모양 구조이다. 제 1 연결 로드(R1)의 중간 부분과 제 3 연결 로드(R3)의 중간 부분은 힌지로 연결되어 X자형 구조를 형성한다. 제 2 연결 로드(R2)의 중간 부분과 제 4 연결 로드(R4)의 중간 부분은 힌지로 연결되어 X자형 구조를 형성한다. 제 1 연결 로드(R1)의 일단과 제 2 연결 로드(R2)의 일단은 힌지로 연결된다. 제 1 연결 로드(R1)의 타단에는 제 2 이동단(P4)이 설치되고, 제 2 연결 로드(R2)의 타단에는 제 1 이동단(P3)이 설치된다. 즉, 제 1 연결 로드(R1)와 제 2 연결 로드(R2)의 자유단(제 1 연결 로드(R1)와 제 2 연결 로드(R2)에 있어서의 양자의 힌지단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일단)은 각각 제 2 이동단(P4)과 제 1 이동단(P3)이다. 제 2 이동단(P4)은 오른쪽 프레임(126)의 제 2 위치 제한 슬롯(1265)을 통과하여 오른쪽 프레임(12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이동단(P3)은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을 통과하여 왼쪽 프레임(12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3 연결 로드(R3)의 일단과 제 4 연결 로드(R4)의 일단은 힌지로 연결된다. 제 3 연결 로드(R3)의 타단에는 제 2 고정단(P2)이 설치된다. 제 4 연결 로드(R4)의 타단에는 제 1 고정단(P1)이 설치된다. 즉, 제 3 연결 로드(R3)와 제 4 연결 로드(R4)의 자유단(제 3 연결 로드(R3)와 제 4 연결 로드(R4)에 있어서의 양자의 힌지단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일단)은 각각 제 2 고정단(P2)과 제 1 고정단(P1)이다. 제 1 고정단(P1)은 나사에 의해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나사 구멍(1244)에 고정되고, 제 2 고정단(P2)은 나사에 의해 오른쪽 프레임(126)의 제 2 나사 구멍(1264)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1254)는 코일 스프링이다. 탄성 부재(1254)는 제 1 연결 로드(R1)와 제 2 연결 로드(R2)의 힌지로 연결된 부분에 슬리브된다. 탄성 부재(1254)의 양단은 각각 제 1 연결 로드(R1)와 제 2 연결 로드(R2)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 어셈블리(1252)의 신축에 따라, 제 1 연결 로드(R1)와 제 2 연결 로드(R2)는 개폐 두가지 상태 사이에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탄성 부재(1254)는 탄성 변형된다. 구체적으로, 도 7, 도 9,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 로드(R1)에 클램프 슬롯(1255)이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슬롯(1255)은 제 1 연결 로드(R1)와 제 2 연결 로드(R2)의 힌지로 연결된 위치와 제 1 연결 로드(R1)의 중간부 사이에 위치한다. 클램프 슬롯(1255)은 제 1 연결 로드(R1)의 중간부와 가깝다. 탄성 부재(1254)의 일단은 클램프 슬롯(1255)에 고정된다. 제 2 연결 로드(R2)는 제 2 연결 로드(R2)의 표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256)를 포함하고, 돌출부(1256)와 제 2 연결 로드(R2)의 표면 사이에 내부 슬롯(1257)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1254)의 타단은 내부 슬롯(1257)에 고정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 로드(R1)의 제 3 연결 로드(R3)와 맞닿는 표면에는 계단(1258)이 설치되어 있으며, 로드 어셈블리(1252)의 신축 과정에서 위치를 제한하는 데에 사용된다. 계단(1258)은 제 1 연결 로드(R1)의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 3 연결 로드(R3)의 표면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계단(1258)은 신축 과정에서 제 1 연결 로드(R1)와 제 3 연결 로드(R3) 사이의 위치를 제한하는 데에 사용된다. 탄성 부재(1254)가 탄성 압축 상태에 있는 경우, 로드 어셈블리(1252)는 수축 상태에 있고, 이 때, 제 3 연결 로드(R3)는 제 1 연결 로드(R1)의 계단(1258)에 당접되어 제 1 연결 로드(R1)가 제 3 연결 로드(R3)에 대해 계속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마찬가지로, 제 4 연결 로드(R4)의 제 2 연결 로드(R2)와 맞닿는 표면에는 계단(1258)이 설치되어 있으며, 탄성 부재(1254)가 탄성 압축 상태에 있는 경우, 로드 어셈블리(1252)는 수축 상태에 있고, 이 때, 제 2 연결로드(R2)는 제 4 연결 로드(R4)의 계단(1258)에 당접된다.
로드 어셈블리(1252)가 수축 상태에 있는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단(P3)은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의 제 1 측벽(1242)에 가까운 한쪽에 위치하고, 제 2 이동단(P4)은 제 2 위치 제한 슬롯(1265)의 제 2 측벽(1262)에 가까운 한쪽에 위치하며, 탄성 부재(1254)는 탄성 압축 상태에 있다. 로드 어셈블리(1252)가 신장 상태에 있을 때,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이동단(P3)은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의 제 1 측벽(1242)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 위치하고, 제 2 이동단(P4)은 제 2 위치 제한 슬롯(1265)의 제 2 측벽(1262)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 위치하며, 탄성 부재(1254)는 자유 상태에 있다. 로드 어셈블리(1252)의 신축 방향은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에 있어서의 제 1 이동단(P3)의 이동 방향과 수직된다. 수축 상태에서 신장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제 1 연결 로드(R1)와 제 2 연결 로드(R2)의 힌지 연결 위치는 변하지 않고, 제 3 연결로드(R3)와 제 4 연결 로드(R4)의 힌지 연결 위치는 제 1 연결 로드(R1)와 제 2 연결 로드(R2)의 힌지 연결 위치에 접근하도록 이동한다. 제 1 고정단(P1)은 왼쪽으로 이동하고, 제 2 고정단(P2)은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제 1 이동단(P3)은 왼쪽으로 이동하는 한편 제 1 고정단(P1)을 향해 이동하고, 제 2 이동단(P4)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한편 제 2 고정단(P2)을 향해 이동한다. 수축 상태에서 신장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제 1 고정단(P1)과 제 1 이동단(P3)은 항상 서로 마주 향하는 위치 관계를 유지하며. 양자는 좌우 방향에서의 변위가 같고, 제 2 고정단(P2)과 제 2 이동단(P4)도 항상 서로 마주 향하는 위치 관계를 유지하며, 양자는 좌우 방향에서의 변위가 같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프레임 어셈블리(12)는 연결 시트(127)를 더 구비한다. 연결 시트(127)의 일단은 수용 공간(121) 내에 설치되어 로드 어셈블리(1252)에 연결된다. 연결 시트(127)는 하나의 제 1 홈(1246) 및 하나의 제 2 홈(1266)을 통과하여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수용 공간(121)의 외측으로 뻗어 나온다. 연결 시트(127)는 로드 어셈블리(1252)와 조종 로드(15)(도 18 및 도 19에 도시됨)에 연결된다. 연결 시트(127)와 조종 로드(15)가 협력하여 로드 어셈블리(1252)를 수축 상태로 고정시킨다. 로드 어셈블리(1252)가 수축 상태에 있는 경우, 조종 로드(15)는 연결 시트(127)에 맞물려 있고, 로드 어셈블리(1252)가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 조종 로드(15)는 연결 시트(127)와 분리된다.
연결 시트(127)의 한쪽에 고정 구멍(127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시트(127)의 한쪽은 고정부(1272), 연결부(1273) 및 본체(1274)를 포함한다. 고정부(1272)와 본체(1274)는 서로 평행되고 또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연결부(1273)는 고정부(1272)와 본체(1274)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고정 구멍(1271)은 고정부(1272)에 형성된다. 고정부(1272)의 길이는 본체(1274)의 길이보다 짧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시트(127)는 금속 시트 구조이며, 고정부(1272)와 연결부(1273)는 본체(1274)의 한쪽을 구부려서 형성된 구조이다. 본체(1274)는 제 1 홈(1246) 및 제 2 홈(1266)으로부터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외측으로 뻗어 나온다. 본체(1274)의 가장 자리에 결합 슬롯(1275)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274)의 연결부(1273)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즉 로드 어셈블리(1252)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은 제 1 경사면(1276)을 포함한다. 로드 어셈블리(1252)가 수축 상태에 있는 경우, 결합 슬롯(1275)은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외측에 위치하고, 결합 슬롯(1275)과 조종 로드(15)가 협동하여 로드 어셈블리(1252)를 수축 상태로 고정시킨다.
도 2,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문자판(10)은 브라켓(142)을 더 포함한다. 브라켓(142)은 지지 조립체(14)의 구성 부분이며, 프레임 어셈블리(12)의 구성 부분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브라켓(142)은 브라켓 본체(1421) 및 베이스(1422)를 포함한다. 로드 어셈블리(1252)는 브라켓 본체(1421)에 연결되고,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은 브라켓 본체(14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베이스(1422)는 브라켓 본체(1421)에 연결되고, 또한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수용 공간(121) 외부에 위치한다. 베이스(1422)는 리스트 벨트(20)에 밀어 넣게 된다.
조종 로드(15)와 베이스(1422) 사이는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시트(127)는 베이스(1422)로 들어와 조종 로드(15)와 협력하여 잠금 구조를 형성하며, 로드 어셈블리(1252)를 수축 위치에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422)는 조종 로드(15) 및 탄성 부재(17)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422)에는 서로 교차하고 또한 연통되는 제 1 안내 홈(G1) 및 제 2 안내 홈(G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안내 홈(G1)은 연결 시트(127)의 본체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 2 안내 홈(G2)은 조종 로드(15)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 2 안내 홈(G2)은 서로 마주 향하는 개구부(G21) 및 밑바닥(G22)을 포함한다. 개구부(G21)는 베이스(1422)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베이스(1422)의 외부와 제 2 안내 홈(G2)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한다.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422)에는 제 2 안내 홈(G2)과 연통되는 구멍(G3)이 더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안내 홈(G1)과 제 2 안내 홈(G2)의 연장 방향은 수직되고, 제 2 안내 홈(G2)의 연장 방향은 로드 어셈블리(1252)의 신축 과정에서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의 상대 이동 방향과 동일하다. 제 1 안내 홈(G1)은 프레임 어셈블리(12)의 내부 수용 공간(121)과 연통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종 로드(15)는 마주 향하여 설치된 헤드 엔드(151)와 테일 엔드(152), 헤드 엔드(151)와 테일 엔드(152) 사이에 연결된 바닥면(153) 및 협동면(154)을 구비하고, 바닥면(153)과 협동면(154)은 서로 마주 설치된다. 협동면(154)에는 돌출부(155), 오목부(156) 및 걸림부(157)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오목부(156)는 돌출부(155)와 걸림부(157) 사이에 설치된다. 조종 로드(15)는 제 2 안내 홈(G2) 내에 장착되고, 돌출부(155)는 구멍(G3) 내에 수용된다. 돌출부(155)의 치수는 구멍(G3)의 치수보다 작기 때문에, 돌출부(155)는 구멍(G3)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종 로드(15)가 제 2 안내 홈(G2)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한다. 걸림부(157)는 연결 시트(127)의 결합 슬롯(1275)과 걸림 결합하는 데에 사용된다. 걸림부(157)는 제 1 안내 홈(G1)의 안쪽을 향한 제 2 경사면(1572)을 포함하고, 제 2 경사면(1572)은 프레임 어셈블리(12)를 향한다. 제 2 경사면(1572)은 제 1 경사면(1276)과 협력하여 연결 시트(127)의 이동에 따라 조종 로드(15)가 제 2 안내 홈(G2) 내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실현한다. 조종 로드(15)의 걸림부(157)와 연결 시트(127)의 결합 슬롯(1275)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걸림부(157)는 결합 슬롯(1275)에 수용되고, 연결 시트(127)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17)는 조종 로드(15)와 베이스(1422) 사이에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7)는 제 2 안내 홈(G2) 내에 수용되고, 또한 조종 로드(15)의 테일 엔드(152)와 제 2 안내 홈(G2)의 밑바닥(G22) 사이에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조종 로드(15)의 헤드 엔드(151)는 제 2 안내 홈(G2)의 개구부(G21)에서 베이스(1422)의 바깥쪽으로 뻗어 나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로드 어셈블리(1252)가 수축 상태에 있을 때, 조종 로드(15)의 헤드 엔드(151)는 제 2 안내 홈(G2)의 개구부(G21)에서 뻗어 나와 베이스(1422)의 외부에 위치하고, 조종 로드(15)의 돌출부(155)는 구멍(G3)의 한쪽에 당접되며, 걸림부(157)와 결합 슬롯(1275)은 맞물려 연결 시트(127)의 위치가 제한되도록 하며, 로드 어셈블리(1252)에 대한 연결 시트(127)의 인장력은 로드 어셈블리(1252)의 탄성 부재(1254)의 탄성 회복력을 상쇄한다.
프레임 어셈블리(12)를 신장할 필요가 있는 경우, 조종 로드(15)의 헤드 엔드(151)를 누르면 조종 로드(15)는 제 2 안내 홈(G2) 내에서 이동하게 되며, 걸림부(157)가 결합 슬롯(1275)에서 떨어지도록 한다. 이 때, 로드 어셈블리(1252)에 대한 연결 시트(127)의 인장력은 제거되며, 로드 어셈블리(1252)의 탄성 부재(1254)의 탄성 회복력의 작용에 의해,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은 좌우 양측을 향해 이동하고, 연결 시트(127)는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수용 공간(121)으로 이동하게 한다. 조종 로드(15)의 헤드 엔드(151)를 놓으면, 베이스(1422) 내의 탄성 부재(17)의 탄성력의 작용에 의해, 조종 로드(15)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 간다.
프레임 어셈블리(12)를 수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을 중간쪽으로 가압하여 떠밀면,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은 마주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연결 시트(127)는 베이스(1422)의 제 1 안내 홈(G1) 내로 이동하게 된다. 연결 시트(127)의 제 1 경사면(1276)은 조종 로드(15)의 제 2 경사면(1572)에 맞닿아 조종 로드(15)가 제 2 안내 홈(G2)의 밑바닥(G22) 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연결 시트(127)가 걸림부(157)와 결합 슬롯(1275)이 맞물리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 2 안내 홈(G2) 내의 탄성 부재(17)는 탄성 회복되어 조종 로드(15)가 제 2 안내 홈(G2)의 개구부(G21) 쪽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걸림부(157)는 결합 슬롯(1275) 내로 이동하여 연결 시트(127)를 고정한다.
신장 과정 및 수축 과정에서 브라켓(142)의 위치는 그대로 유지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42)의 브라켓 본체(1421)는 프론트 배플(front baffle)(1423), 리어 배플(rear baffle)(1424), 플레이트(1425), 버팀대(1426)를 포함한다. 프론트 배플(1423)과 리어 배플(1424)은 마주 향하게 설치되고 또한 서로 이격되어 있다. 프론트 배플(1423) 및 리어 배플(1424)의 서로 마주 향하는 표면에는 모두 두개의 위치 제한 스트립(1427)이 설치되어 있으며, 두개의 위치 제한 스트립(1427) 사이에 위치 제한 통로가 형성된다. 위치 제한 통로는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측벽(1242)과 오른쪽 프레임(126)의 제 2 측벽(1262)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된다. 다시 말하자면, 위치 제한 통로는 왼쪽 프레임(124) 및 오른쪽 프레임(126)과 협력하여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이 브라켓(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플레이트(1425)와 버팀대(1426)는 프론트 배플(1423)과 리어 배플(1424)의 양측에 마주 향하게 설치된다. 플레이트(1425)의 마주 향하는 두 사이드의 가장자리는 각각 프론트 배플(1423)의 하나의 위치 제한 스트립(1427)과 리어 배플(1424)의 하나의 위치 제한 스트립(1427)에 연결되며, 프론트 배플(1423)과 리어 배플(1424)은 플레이트(1425)의 동일한 측에 위치한다. 플레이트(1425)는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의 꼭대기, 즉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바닥벽(1241)에 대향하는 한쪽과 오른쪽 프레임(126)의 제 2 바닥벽(1261)에 대향하는 한쪽에 장착된다. 버팀대(1426)의 한쪽의 가장자리는 프론트 배플(1423)의 다른 하나의 위치 제한 스트립(1427)에 연결되고, 버팀대(1426)의 다른 한쪽의 가장자리는 리어 배플(1424)의 다른 하나의 위치 제한 스트립(1427)에 연결된다. 버팀대(1426)와 플레이트(1425)는 마주 향하도록 설치된다. 버팀대(1426)는 프론트 배플(1423)과 리어 배플(1424) 사이에 연결되어, '工'자형 구조를 형성한다.
버팀대(1426)는 로드 어셈블리(1252)를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신축 어셈블리(125)는 버팀대(1426)를 중심으로 신축한다. 버팀대(1426)에는 제 3 나사 구멍(1429) 및 제 3 위치 제한 슬롯(1428)이 형성되고, 제 3 나사 구멍(1429)은 리어 배플(1424)에 가깝고, 제 3 위치 제한 슬롯(1428)은 프론트 배플(1423)에 가깝다. 프론트 배플(1423)의 리어 배플(1424)과 멀리 떨어져 있는 한쪽은 베이스(1422)에 연결된다. 제 3 나사 구멍(1429)은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바닥벽(1241)의 제 1 나사 구멍(1244)과 오른쪽 프레임(126)의 제 2 바닥벽(1261)의 제 2 나사 구멍(1264)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나사 구멍(1244), 제 3 나사 구멍(1429) 및 제 2 나사 구멍(1264)은 동일한 직선 위에 있다(이것은 삼자의 중심점이 동일한 직선 위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3 위치 제한 슬롯(1428)은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과 제 2 위치 제한 슬롯(1265)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 제 3 위치 제한 슬롯(1428) 및 제 2 위치 제한 슬롯(1265)은 서로 평행되고, 또한 삼자의 중심점은 동일한 직선 위에 있다. 제 3 나사 구멍(1429)은 제 1 연결 로드(R1)와 제 2 연결 로드(R2)의 힌지 연결 위치의 회전축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 3 위치 제한 슬롯(1428)은 제 3 연결 로드(R3)와 제 4 연결 로드(R4)의 힌지 연결 위치의 회전축을 장착하는 데에 사용된다. 연결 시트(127)의 한쪽의 고정 구멍(1271)은 제 3 연결 로드(R3)와 제 4 연결 로드(R4)의 힌지 연결 위치의 회전축에 고정 연결된다.
로드 어셈블리(1252)가 수축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바닥벽(1241) 및 제 2 바닥벽(1261)은 각각 버팀대(1426)의 마주 향하는 양측에 연결되어 있다.
플레이트(1425)의 표면에는 스크린 어셈블리(16)를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복수개의 돌출 리브(14252)가 설치되어 있고, 각 돌출 리브(14252) 사이는 서로 이격되며, 또한 한줄로 배열된다. 복수개의 돌출 리브(14252)가 설치된 브라켓(142)도 지지 조립체(14)의 일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22 ~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닥벽(1241) 및 제 2 바닥벽(1261)의 밑바닥에는 모든 돌출점(128)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어셈블리(12)는 왼쪽 바닥판(1291), 오른쪽 바닥판(1292) 및 지지판(1293)을 더 구비한다. 왼쪽 바닥판(1291)과 오른쪽 바닥판(1292)에는 모두 고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 구멍과 돌출점(128)의 배합에 의해 왼쪽 바닥판(1291)은 제 1 바닥벽(1241)의 바닥에 장착되고, 오른쪽 바닥판(1292)은 제 2 바닥벽(1261)의 바닥에 장착된다. 지지판(1293)은 브라켓(142)의 프론트 배플(1423) 및 리어 배플(1424)에 고정 연결되고, 또한 버팀대(1426)를 덮는다. 지지판(1293)은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지 않는다. 프레임 어셈블리(12)가 수축 상태에 있는 경우, 지지판(1293)은 왼쪽 바닥판(1291) 및 오른쪽 바닥판(1292)을 덮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지지판(1293)만 보인다. 프레임 어셈블리(12)가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 왼쪽 바닥판(1291) 및 오른쪽 바닥판(1292)은 지지판(1293)으로부터 뻗어 나오고,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을 지지하며,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바닥판(1291), 오른쪽 바닥판(1292) 및 지지판(1293)은 서로 연결되어 프레임 어셈블리의 연속적인 바닥면을 형성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어셈블리(18)는 스크린 어셈블리(16)를 감는 데에 사용되고, 릴 어셈블리(18)는 프레임 어셈블리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오른쪽 프레임(126)의 내부에 장착된다. 오른쪽 프레임(126)의 제 2 측벽(1262)에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로 릴 어셈블리(18)의 양단을 나사 구멍에 장착한다. 스크린 어셈블리(16)는 플렉서블 스크린이며, 프레임 어셈블리(12)가 수축될 경우, 스크린 어셈블리(16)의 일부는 릴 어셈블리(18)에 감기게 되고, 프레임 어셈블리(12)가 신장될 경우, 스크린 어셈블리(16)는 릴 어셈블리(18)로부터 석방되어 밖으로 전개된다.
릴 어셈블리(18)는 릴(181), 커넥터(182), 위치 제한 부재(183) 및 스프링(184)을 구비한다. 커넥터(182)는 프레임 어셈블리(12)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위치 제한 부재(183)는 프레임 어셈블리(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릴(181)의 한쪽은 커넥터(18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릴(181)의 다른 한쪽은 위치 제한 부재(183)에 고정 연결된다. 스프링(184)의 양단은 각각 커넥터(182)와 위치 제한 부재(183)에 고정 연결된다. 릴(181)이 회전할 경우, 위치 제한 부재(183)는 릴(181)과 함께 회전하지만, 커넥터(182)는 릴(181)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릴(181)이 회전할 경우, 스프링(184)의 한쪽은 위치 제한 부재(183)와 함께 회전하고, 다른 한쪽은 커넥터(182)에 고정된 상태이며, 따라서 탄성 회복력이 생기게 된다. 위치 제한 부재(183)는 버클(즉 아래 실시예에 기재된 계단(1832))에 의해 릴(181)의 다른 한쪽에 고정 연결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 어셈블리(18)는 릴(181), 커넥터(182), 위치 제한 부재(183), 스프링(184) 및 고정 부재(185)를 구비한다. 릴(181)은 마주 향하는 두개의 단면과 두 단면 사이에 연결된 측면을 구비하고, 측면은 원통형 표면이다. 릴(181)은 양단이 개구된 중공 원통 모양이다. 릴(181)의 측면에는 심(seam)(1812)이 형성되어 있고, 심(1812)은 스크린 어셈블리(16)를 고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커넥터(182)는 릴(181) 한쪽의 개구에 설치되고, 커넥터(182)와 릴(181) 사이는 원주 방향으로 자유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즉 릴의 원주 방향에서 그 어떤 위치 제한 구조도 없다), 커넥터(182)와 릴(181)의 회전 중심은 모두 릴(181)의 축심이다. 고정 부재(185)는 커넥터(182)를 오른쪽 프레임(126)의 제 2 측벽(1262)에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며, 고정 부재(185)와 오른쪽 프레임(126) 및 커넥터(182)가 협동하여 커넥터(182)와 오른쪽 프레임(126) 사이의 원주 방향에서의 위치 제한을 실현하게 되고, 즉 커넥터(182)는 오른쪽 프레임(126)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위치 제한 부재(183)는 릴(181) 다른 한쪽의 개구에 연결되어 있다. 위치 제한 부재(183)는 릴(181)에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위치 제한 부재(183)와 릴(181)은 원주 방향에서 위치가 제한되게 연결되어, 즉 위치 제한 부재(183)와 릴(181)은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없다. 위치 제한 부재(183)는 나사에 의해 오른쪽 프레임(126)의 나사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184)은 릴(181)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184)의 한쪽은 커넥터(182)에 연결되고, 스프링(184)의 다른 한쪽은 위치 제한 부재(183)에 연결된다. 스프링(184)은 릴(181) 내부에서 축 방향 압축 상태에 있고, 스프링(184)의 탄력은 커넥터(182)에 대하여 추진력을 생성하기 때문에, 커넥터(182)가 오른쪽 프레임(126)에 당접되도록 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제한 부재(183)는 밑받침(1831), 밑받침(1831) 위에 형성된 계단(1832)(상술한 버클에 해당된다), 돌출 기둥(1833)을 구비한다. 릴(181)의 위치 제한 부재(183)에 연결되는 한쪽에는 갭(1813)이 형성된다. 계단(1832)은 릴(181)의 갭(1813)에 맞물려 위치 제한 부재(183)와 릴(181) 사이의 원주 방향의 고정 연결을 실현한다. 돌출 기둥(1833)에는 관통 구멍(1834)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1834)은 스프링(184)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또한 밑받침(1831)은 릴(181)의 단면을 덮는다. 밑받침(1831)의 표면에 원형 테이블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돌출 기둥(1833)은 원형 테이블의 밑받침(1831)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한쪽 표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 기둥(1833)은 원형 테이블의 중앙 영역에 위치한다. 계단(1832)은 원형 테이블의 측면에 위치하고, 또한 밑받침(1831)의 표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계단(1832)의 수량은 두개이며, 또한 원형 테이블 주위에 대칭되게 분포되고, 대응하게 갭(1813)의 수량도 두개이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밑받침(1831)은 원반 모양이며, 릴(181)은 원통 모양이다. 원형 테이블은 릴(181) 내로 들어가 릴(181)의 내부 표면과 접촉한다. 위치 제한 부재(183)와 릴(181)이 함께 회전 할 때, 스프링(184)의 한쪽은 돌출 기둥(1833)을 따라 함께 회전하지만, 스프링(184)의 다른 한쪽은 커넥터(182)에 고정 연결되어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스프링(184)은 비틀려서 탄성 변형된다. 스프링(184)이 비틀려 생기는 탄성 변형은 릴(181)이 자동으로 되돌도록 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제한 부재(183)의 밑받침(1831)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186)와 나사 구멍의 협동에 의해, 위치 제한 부재(183)는 오른쪽 프레임(12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186)는 나사의 헤드쪽에 형성된 평탄 부분(1862)과 나사산 부분(1864)을 포함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 부분(1862)은 오른쪽 프레임(126)의 나사 구멍을 통과하고, 나사산 부분(1864)은 밑받침(1831)의 나사 구멍에 체결된다. 나사(186)는 밑받침(1831)에 고정되어 있으며, 나사(186)의 평탄 부분(1862)은 릴 어셈블리(18)가 오른쪽 프레임(126)에 연결되는 회전축에 해당된다. 평탄 부분(1862)의 표면은 매끄럽고, 평탄 부분(1862)은 오른쪽 프레임(126)의 나사 구멍에 틈새를 두고 끼워있으며, 평탄 부분(1862)과 오른쪽 프레임(126)은 서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82)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1821)와 돌기(1822)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821)에는 홈(1823)이 형성되어 있고, 홈(1823)은 비회전 대칭 구조이며, 예를 들어, 홈(1823)은 반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821)는 릴(181)의 단면을 덮고, 돌기(1822)는 릴(181) 내로 들어간다. 돌기(1822)에는 관통 구멍(1824)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1824)은 스프링(184)의 한쪽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돌기(1822)는 접촉면(18221)을 더 구비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면(18221)은 릴(181)의 내부 표면에 당접된다. 접촉면(18221)은 원통형 표면이며, 접촉면(18221)과 릴(181)의 내부 표면이 접촉함으로써, 커넥터(182)와 릴(181) 사이의 반경 방향에서의 위치 제한이 실현되며, 커넥터(182)와 릴(181)은 안정적으로 회전 연결되어 반경 방향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반경 방향은 릴(181)의 축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이다.
커넥터(182)는 오른쪽 프레임(126)의 내부에 위치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185)는 고정 헤드(1851)와 삽입 로드(1852)를 구비한다. 삽입 로드(1852)의 모양은 커넥터(182)의 베이스 플레이트(1821)에 형성된 홈(1823)의 모양과 일치하다. 삽입 로드(1852)와 홈(1823)은 모두 비회전 대칭 구조를 가지며, 삽입 로드(1852)와 홈(1823)이 협동하여 커넥터(182)와 고정 부재(185)의 고정 연결을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 로드(1852)는 원기둥 표면의 일부가 잘린 모양이며, 즉 원호면과 평면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 로드(1852)가 홈(1823)에 삽입된 다음에 홈(1823)에 대해 회전할 수 없는 한, 삽입 로드(1852)의 단면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른 불규칙적인 모양일 수도 있다. 고정 헤드(1851)도 비회전 대칭 구조이며, 예를 들어, 고정 헤드는 사각형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프레임(126)의 측벽에 고정 부재(185)의 고정 헤드(1851)와 알맞는 슬롯, 예를 들어 사각형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 헤드(1851)는 사각형 슬롯에 수용되어 양자는 회전할 수 없도록 연결된다. 고정 헤드(1851)의 단면에 구멍(1853)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182)는 릴(181)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커넥터(182)는 릴(18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지 않는다.
릴(181) 내의 스프링(184)의 원주 방향에서의 비틀림 힘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고정 부재(185)의 일부를 오른쪽 프레임(126)의 사각형 슬롯에서 뽑아낼 수 있고, 그 다음에 작업 도구를 고정 부재(185)의 고정 헤드(1851)의 구멍(1853)에 삽입하여 고정 헤드(1851)를 회전시킨다. 고정 부재(185)의 삽입 로드(1852)의 평면은 커넥터(182)의 홈(1823)의 평면에 당접되기 때문에, 커넥터(182)를 함께 회전시킨다. 커넥터(182)는 돌기(1822)에 의해 스프링(184)의 한쪽을 회전시켜 스프링(184)이 비틀려지고, 따라서 비틀림 힘을 조정할 수 있다. 오른쪽 프레임(126)에 형성된 사각형 슬롯은 제 2 측벽(1262)에 형성된 관통 슬롯이기 때문에,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외부에서 릴(181) 내의 스프링(184)의 비틀림 힘을 조정할 수 있고, 문자판(10)을 분해할 필요가 없다. 조정이 완료된 후, 고정 부재(185)를 다시 사각형 슬롯에 밀어 넣기만 하면 된다.
문자판(10)이 신장되어 전개될 때, 스크린 어셈블리(16)를 당겨 릴(181)이 회전됨에 따라 릴(181) 내의 스프링(184)이 비틀려서 변형되고, 따라서 탄성 복원력을 축적한다. 사용자가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을 떠밀어 문자판(10)을 수축시킬 때, 비틀림 탄력의 작용에 의해, 릴(181)이 회전하면서 스크린 어셈블리(16)가 릴(181)에 감겨진다. 따라서 본원은 스크린 어셈블리(16)가 자동적으로 감겨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릴(181) 내의 스프링(184)의 비틀림 변형의 탄력은 프레임 어셈블리(12)의 로드 어셈블리(1252)에 연결된 탄성 부재(1254)의 탄력보다 작으므로, 문자판(10)이 신장된 다음에 릴(181) 내의 스프링(184)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2 ~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조립체(14)는 왼쪽 지지 프레임(144),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 및 브라켓(142)을 포함한다. 프레임 어셈블리(12)도 지지 조립체(14)의 일부에 속한다. 왼쪽 프레임(124)과 오른쪽 프레임(126)은 브라켓(142)의 프론트 배플(1423)과 리어 배플(1424)의 위치 제한 스트립(1427)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왼쪽 지지 프레임(144)은 왼쪽 프레임(124)에 고정되고,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은 오른쪽 프레임(126)에 고정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지지 프레임(144)은 제 1 베이스(1441), 한쌍의 제 1 측판(1442), 제 1 바닥판(1443) 및 제 1 치형부(1444)를 구비한다.
제 1 베이스(1441)는 원호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1 베이스(1441)의 단면은 반원형이며, 제 1 베이스(1441)의 표면은 반원통 표면이다. 제 1 치형부(1444)와 제 1 바닥판(1443)은 각각 제 1 베이스(1441)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치형부(1444)의 표면에서 제 1 바닥판(1443)의 표면까지 원호 형상의 제 1 베이스(1441)에 의해 평활하게 과도 연장된다. 또한 제 1 치형부(1444)가 있는 평면과 제 1 바닥판(1443)이 있는 평면은 서로 평행된다. 한쌍의 제 1 측판(1442)은 각각 제 1 베이스(1441)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위치하며, 제 1 측판(1442)은 제 1 베이스(1441)와 제 1 바닥판(1443)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측판(1442)은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측벽(1242)에 고정 연결되는 데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측판(1442)에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나사 구멍을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제 1 측판(1442)은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측벽(1242)의 내부 표면에 고정된다. 제 1 측벽(1242) 및 제 1 바닥판(1443)은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수용 공간(121)에 수용된다. 왼쪽 지지 프레임(144)은 왼쪽 프레임(124)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스크린 어셈블리(16)의 한쪽은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제 1 베이스(1441)와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연결벽(1243)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고정 연결되고, 또한 내부의 전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치형부(1444)는 복수개의 래크(1445)를 포함한다. 각 래크(1445)는 근부 및 선단부를 포함한다. 근부에서 선단부까지의 거리가 래크(1445)의 길이이며, 래크(1445)의 길이 방향에 수직되는 치수가 래크(1445)의 폭이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치형부(1444)에 있어서, 인접한 두 래크(1445) 사이의 수직 거리(L)(즉 인접한 두 래크 사이의 틈새의 폭)는 단일 래크(1445)의 폭(W)의 두배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은 제 2 베이스(1461), 제 2 치형부(1464) 및 한쌍의 돌출 시트(1462)를 구비한다.
제 2 베이스(1461)는 원호 형상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베이스(1461)의 단면은 원호 모양이고, 제 2 베이스(1461)의 표면은 원기둥 표면의 1/4의 형상을 나타낸다. 제 2 베이스(1461)는 앞단면, 뒷단면, 앞단면과 뒷단면 사이에 연결된 측면을 포함한다. 제 2 치형부(1464)는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앞단면과 뒷단면에는 모두 나사 구멍(1463)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베이스(1461)는 나사 구멍(1463)을 통과하는 나사에 의해 오른쪽 프레임(126)의 제 2 측벽(1262)의 내부 표면에 고정된다. 한쌍의 돌출 시트(1462)는 각각 전단면 및 뒷단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며,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시트(1462)는 오른쪽 프레임(126)의 제 2 측벽(1262)의 갭(1267)에 끼워 있기 때문에,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을 오른쪽 프레임(126)에 편리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은 오른쪽 프레임(126)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스크린 어셈블리(16)의 다른 한쪽은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제 2 베이스(1461)와 오른쪽 프레임(126)의 제 2 연결벽(1263)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릴 어셈블리(18)에 감기게 된다.
제 2 치형부(1464)는 제 1 치형부(1444)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제 2 치형부(1464)의 래크(1465)의 치수는 제 1 치형부(1444) 래크(1445)의 치수와 동일하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치형부(1464)에 있어서, 인접한 두 래크(1465) 사이의 수직 거리(L)(즉 인접한 두 래크 사이의 틈새의 폭)는 단일 래크(1465)의 폭(W)의 두배이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제 1 치형부(1444)와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제 2 치형부(1464)는 동일한 평면 위에 있다. 왼쪽 지지 프레임(144)과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은 각각 브라켓(142)의 브라켓 본체(1421)의 양쪽에 위치한다. 브라켓 본체(1421)의 플레이트(1425) 표면의 복수개의 돌출 리브(1425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돌출 리브(14252)가 있는 평면은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제 1 치형부(1444)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제 2 치형부(1464)와 동일한 평면 위에 있다. 인접한 두개의 돌출 리브(14252) 사이의 간격은 수용 홈을 형성하고, 제 1 치형부(1444)의 래크(1445)와 제 2 치형부(1464)의 래크(1465)는 수용 홈에 수용될 수 있다. 각 수용 홈은 제 1 치형부(1444)의 하나의 래크와 제 2 치형부(1464) 하나의 래크를 수용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인접한 두개의 돌출 리브(14252) 사이의 간격의 폭은 제 1 치형부(1444)의 하나의 래크(1445)의 폭과 제 2 치형부(1464)의 하나의 래크(1465)의 폭의 합과 동일하다. 그 중 하나의 돌출 리브(14252)의 폭은 제 1 치형부(1444) 하나의 래크(1445)의 폭 또는 제 2 치형부(1464) 하나의 래크(1465)의 폭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수용 홈의 폭은 제 1 치형부(1444) 하나의 래크(1445)의 폭 또는 제 2 치형부(1464) 하나의 래크(1465)의 폭보다 크거나 같으며, 또한 제 1 치형부(1444)의 하나의 래크(1445)의 폭과 제 2 치형부(1464) 하나의 래크(1465)의 폭의 합보다 작다.
왼쪽 지지 프레임(144)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에 있어서, 인접한 두 래크 사이의 간격의 폭은 래크의 폭의 두배이지만, 브라켓 본체(1421)의 플레이트(1425) 표면에 있는 돌출 리브(14252)의 폭은 래크(1445, 1465)의 폭과 동일하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지지 프레임(144)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이 왼쪽 프레임(124) 및 오른쪽 프레임(126)과 함께 이동하여 완전히 수축된 경우,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래크(1465) 및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래크(1445)는 브라켓 본체(1421)의 돌출 리브(14252) 사이의 간격 내에 수용되어,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래크(1445)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래크(1465)와 브라켓 본체(1421)의 돌출 리브(14252)는 함께 비교적 평평한 평면을 형성하고, 평평한 평면 위의 스크린 어셈블리(16)의 터치 촉감을 보장하도록 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지지 프레임(144)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은 왼쪽 프레임(124) 및 오른쪽 프레임(126)과 함께 이동하여 신장된 경우,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래크(1465) 및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래크(1445)는 단지 일부분이 브라켓 본체(1421)의 돌출 리브(14252) 사이의 간격(즉 수용 홈) 내에 수용되어, 왼쪽 지지 프레임(144)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래크(1445, 1465)와 브라켓 본체(1421)의 돌출 리브(14252)는 함께 불연속적인 평면을 형성하고, 즉 인접한 지지면(래크(1445, 1465) 및 돌출 리브(14252)에 의해 스크린 어셈블리(16)를 지지하는 표면을 가리킴)은 수용 홈에 의해 분리된다. 하지만 좌우 방향(즉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에서 각 돌출 리브(14252)와 인접한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래크(1445)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래크(1465)는 연속적으로 분포된다. 상하 방향에서 인접한 두개의 래크(1445, 1465) 사이의 간격 및 인접한 두개의 돌출 리브(14252) 사이의 간격은 여전히 스크린 어셈블리를 잘 지지할 수 있다. 실제로, 사람의 손가락의 폭은 돌출 리브(14252) 사이의 간격과 래크(1445, 1465) 사이의 간격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스크린 어셈블리(16)에 대한 터치 촉감은 그다지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지지 프레임(144)에 또한 트래이(147)가 고정되어 있다. 트래이(147)는 제 1 치형부(1444)와 제 1 바닥판(1443) 사이에 있으며, 회로 기판(148)을 지지하고 그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트래이(147)의 밑바닥은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제 1 바닥판(1443)에 당접된다. 회로 기판(148)의 앞면과 뒷면에는 스크린 어셈블리(16)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메모리와 같은 전자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 기판(148)은 제 1 바닥판(1443)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트래이(147)는 나사에 의해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제 1 측판(1442)과 함께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측벽(1242)의 내부 표면에 고정된다. 트래이(147)에 후크(1472)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크(1472)는 회로 기판(148)을 트래이(147)에 매달아 위치 결정하는 데에 사용되며, 따라서 회로 기판(148)의 앞면과 뒷면에 모두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있도록 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제 1 바닥판(1443)과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바닥벽(1241)은 서로 이격되어 신축 어셈블리(125)(본 실시형태에서는 로드 어셈블리(1252)이다)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은 릴 어셈블리(18)의 윗쪽에 위치한다. 릴 어셈블리(18)는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과 로드 어셈블리(1252) 사이에 끼워 있다.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제 2 베이스(1461)와 오른쪽 프레임(126)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스크린 어셈블리(16)는 틈새로부터 오른쪽 프레임(126)의 내부에 들어가 릴(181)에 감기게 된다.
도 38 ~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은 다른 지지 조립체(14)의 구조를 더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지지 조립체(14)와 상술한 실시예의 지지 조립체(14) 사이의 구별점이라면, 왼쪽 지지 프레임(144)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치형부의 구조가 다르고, 브라켓(142)의 브라켓 본체(1421) 위에서 왼쪽 지지 프레임(144)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치형부 구조와 배합하는 구조가 다르다. 상술한 실시예의 지지 조립체(14)에 있어서, 브라켓(142)의 돌출 리브(14252) 사이에 수용 홈이 형성되고, 각 수용 홈에 왼쪽 지지 프레임(144)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래크가 수용되며, 하나의 수용 홈 내에 두개의 래크가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 조립체(14)에 있어서, 브라켓(142)의 브라켓 본체(1421)의 플레이트(1425) 표면에 돌출 리브(14252)가 설치되지 않고, 플레이트(1425) 표면과 왼쪽 지지 프레임(144)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치형부의 표면은 동일한 평면 위에 있고, 또한 플레이트(1425)의 표면에 복수의 수용 홈(14253)이 형성된다. 수용 홈(14253)의 분포는 상술한 실시예의 브라켓 본체(1421)의 수용 홈(14253)의 분포보다 더 밀집하며, 인접한 두 수용 홈(14253) 사이에 스크린 어셈블리(1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스트립이 형성되고, 또한 각 수용 홈(14253)에 오직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하나의 래크(1445) 또는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하나의 래크(1465)를 수용하며, 즉 하나의 수용 홈(14253)에 하나의 래크를 수용한다.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래크(1445)와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래크(1465)는 번갈아 간격을 두고 분포되고, 또한 수용 홈(14253)과 배합하며, 즉 수용 홈(14253)은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수용 홈(14253)의 수량은 제 1 치형부(1444)의 래크(1445)의 수량과 제 2 치형부(1464)의 래크(1465)의 수량의 합과 같으며, 인접한 두개의 수용 홈(14253)에 각각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래크(1445)와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래크(1465)가 수용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지지 프레임(144)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은 왼쪽 프레임(124) 및 오른쪽 프레임(126)과 함께 이동하여 신장되는 경우, 인접하는 지지면(스크린 어셈블리(16)를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래크(1445, 1465)의 표면 및 스크린 어셈블리(16)를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인접한 두개의 수용 홈(14253) 사이에 형성된 지지 스트립의 표면을 가르킨다)은 브라켓(142)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위치에서 연속된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조립체(14)의 래크(1445, 1465)의 단면은 대체로 원형이며, 스크린 어셈블리(16)에 더 잘 접촉하도록 그 상단은 잘려 평평한 지지면을 형성한다. 래크(1445, 1465)를 수용하기 위해 브라켓(142)의 수용 홈(14253)의 단면도 역시 상단이 잘린 원형이다.
왼쪽 지지 프레임(144) 및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래크(1445, 1465)는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구조이기 때문에 수용 홈(14253)의 단면도 위가 좁고 아래가 넓다. 즉 브라켓(142)의 플레이트(1425)의 표면에 수직되는 방향(즉 스크린 어셈블리(16)에 수직되는 방향)에서 수용 홈(14253)의 개구부는 그 내부 공간의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수용 홈(14253) 내의 래크(1445, 1465)는, 수용 홈(14253)의 내벽에 가려막혀 수직 방향에서 수용 홈(14253)에 의해 그 위치가 제한되며, 래크(1445, 1465)의 어느 위치든 모두 수용 홈(14253)에서 탈락되지 않는다. 따라서 래크(1445, 1465)의 말단은 위로 일어서지 않고 스크린 어셈블리(16)의 평탄도를 더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래크(1445)와 제 1 베이스(1441)는 일체성형될 수 있으며, 두 부분 구조일 수도 있으며, 즉 별도로 제조된 후에 다시 일체로 조립한다.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의 래크(1465)와 제 2 베이스(1461) 사이의 연결 관계도 일체성형되거나 또는 두 부분 구조일 수 있다.
본원은 촉발 장치를 더 개시하며, 스크린 어셈블리(16)의 화면 크기에 따라, 스크린 어셈블리(16)의 작업 영역을 선택적으로 촉발하여 스크린 어셈블리(16)의 작업 영역의 자동 전환 효과를 실현한다. 문자판(10)은 신축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판(10)이 수축된 경우, 촉발 장치는 스크린 어셈블리(16)를 촉발하여 단지 외부에 노출된 부분만 작동하고 감긴 부분은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문자판(10)이 전개된 경우, 스크린 어셈블리(16)의 노출 영역은 커지며, 촉발 장치는 스크린 어셈블리(16)를 촉발하여 모든 노출 영역이 작동하도록 한다.
촉발 장치는 제어 장치(1482), 스크린 어셈블리(16), 스크린 어셈블리(16)를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신축 가능한 지지 조립체(14), 지지 조립체(14)를 구동하는 데에 사용되는 구동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구동 어셈블리에는 제 1 접점이 설치되어 있고, 지지 조립체(14)에는 제 1 접점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 2 접점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조립체(14)의 신축 과정에서, 제 1 접점과 제 2 접점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접촉 상태에 있거나 또는 분리 상태에 있다. 제어 장치(1482)는 제 1 접점과 제 2 접점의 접촉 상태 또는 분리 상태에 따라 지지 조립체(14)가 수축 상태 또는 신장 상태의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스크린 어셈블리(16)의 표시를 제어한다.
도 42, 도 43, 도 44, 도 45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본 실시예의 로드 어셈블리(1252)에 해당하며, 제 1 접점은 로드 어셈블리(1252)에 설치된다. 제 2 접점은 탄성 시트(19)에 설치된다. 탄성 시트(19)는 지지 조립체(1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지지 조립체(14)의 구성 부분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조립체(14)는 제 1 방향을 따라 신축하고, 제 1 접점은 제 2 방향에 따라 제 2 접점에 대해 이동하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은 다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방향은 제 2 방향에 수직된다. 지지 조립체(14)가 제 1 방향에 따라 신축할 때에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도 제 1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구동 어셈블리는 서로 힌지로 연결된 제 1 연결 로드(R1) 및 제 2 연결 로드(R2)를 구비하고, 지지 조립체(14)가 신장되거나 또는 수축되는 경우, 제 1 연결 로드(R1)와 제 2 연결 로드(R2)는 서로에 대해 이동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접점은 제 2 연결 로드(R2)에 설치되고, 제 2 연결 로드(R2)는 도전성 재료로 제조되며, 제 2 연결 로드(R2)는 제어 장치(14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접점과 제 2 접점이 접촉하면, 제 2 연결 로드(R2)와 제어 장치(1482)는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 제 1 접점과 제 2 접점이 분리되면 제 2 연결 로드(R2)와 제어 장치(1482)에 형성된 전류 경로가 끊어진다.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제 1 접점은 접지되고, 제 2 접점은 제어 장치(1482)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장치(1482)는 또한 레지스터(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풀업 레지스터(pull-up resistor)(1483)이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접점과 제 2 접점이 접촉하면 제어 장치(1482)의 단자는 로우 레벨(low level)이 된다. 제 1 접점과 제 2 접점이 분리되면 레지스터(즉 풀업 레지스터(1483))는 하이 레벨 신호(high level signal)를 생성하여 제어 장치(1482)의 단자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촉발 동작은 로드 어셈블리(1252)의 하나 연결 로드(예를 들어, 제 2 연결 로드(R2))와 탄성 시트(19)의 협동에 의해 실현된다. 로드 어셈블리(1252)는 신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크린 어셈블리(16)를 지지하는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신축을 구동할 수 있다. 탄성 시트(19)는 프레임 어셈블리(12)의 왼쪽 프레임(12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로드 어셈블리(1252)는 돌출 기둥(194)을 포함한다. 로드 어셈블리(1252)의 신축 과정에서 돌출 기둥(194)은 탄성 시트(19)에 대해 변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 어셈블리(1252)의 제 1 이동단(P3)에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하단을 향해 연장된 돌출 기둥(194)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 기둥(194)은 제 2 연결 로드(R2)의 일단에 설치된다. 즉, 제 1 접점은 제 2 연결 로드(R2)에 형성된 돌출 기둥(194)을 포함하고, 제 2 접점은 탄성 시트(19)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지 조립체(14)는 트래이(147)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1482)는 트래이(147)의 윗쪽에 장착되며, 제 2 접점은 트래이(147)의 아랫쪽에 고정된다. 왼쪽 지지 프레임(144)의 하단(즉 제 1 바닥판(1443))에 트래이(147)의 밑바닥을 노출시키는 관통 홈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시트(19)는 고정 시트(192) 및 가압 시트(193)를 포함한다. 고정 시트(192)는 나사에 의해 관통 홈에 고정된다. 트래이(147) 및 회로 기판(148)은 제 1 바닥판(1443)에 있어서의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바닥벽(1241)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에 위치한다. 고정 시트(192)는 트래이(147)의 회로 기판(148) 위에 설치된 전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가압 시트(193)는 고정 시트(192)에서 로드 어셈블리(1252)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시트(193)는 만곡된 구조를 가지며, 고정 시트(192)와 일체로 성형된다. 가압 시트(193)는 고정 시트(192)에 수직될 수 있다. 가압 시트(193)는 로드 어셈블리(1252)에 당접되는 데에 사용된다.
도 43 및 도 45를 참조하면, 돌출 기둥(194)은 로드 어셈블리(1252)에 연결된 도선(195)에 의해 회로 기판(148)(지지 조립체(14)의 왼쪽 지지 프레임(144)에 설치된 회로 기판(148)을 가르킨다)의 접지 단자에 연결된다. 따라서 돌출 기둥(194)은 접지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 기둥(194)과 로드 어셈블리(1252)는 모두 도전성 재료이고, 예를 들면, 금속 로드이며, 로드 어셈블리(1252)는 도선(195)에 의해 회로 기판(148)의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로드 어셈블리(1252)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고, 돌출 기둥(194)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돌출 기둥(194)은 도선에 의해 회로 기판의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3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시트(19)는 도선(196)에 의해 회로 기판(148)의 제어 장치(14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돌출 기둥(194), 탄성 시트(19) 및 회로 기판(148)의 전자 부품은 감지 회로를 형성하고, 감지 회로는 돌출 기둥(194)과 탄성 시트(19)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감지하는 데에 사용되며, 또한 신호를 생성한다. 회로 기판(148)의 제어 장치(1482)는 감지 회로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고, 스크린 어셈블리(16)의 표시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문자판(10)이 수축될 경우, 제 1 이동단(P3)은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에 있어서의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측벽(1242)에 가까운 한쪽에 위치하고, 돌출 기둥(194)과 가압 시트(193)는 접촉하거나 또는 당접된다. 탄성 시트(19)와 로드 어셈블리(1252) 사이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감지 회로는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신호를 생성한다. 회로 기판(148)의 제어 장치(1482)는 신호를 수신하면 문자판(10)이 수축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제어 장치(1482)는 스크린 어셈블리(16)를 제어하여 단지 외부에 노출된 부분만 작동시킨다.
문자판(10)이 신장될 경우, 제 1 이동단(P3)은 제 1 위치 제한 슬롯(1245)에 있어서의 제 1 측벽(1242)에서 떨어진 한쪽으로 이동하여 돌출 기둥(194)과 가압 시트(193)는 분리되어 검출 회로의 전류 회로는 끊어진다. 제어 장치(1482)는 신호를 수신할 수 없고, 이 시점에서 제어 장치(1482)는 문자판(10)이 신장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스크린 어셈블리(16)를 제어하여 모든 노출 영역을 작동시킨다.
도 46을 참조하면,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촉발 장치의 회로 구성은 제어 장치(1482) 및 풀업 레지스터(1483)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1482)는 탄성 시트(1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탄성 시트(19)와 돌출 기둥(194) 사이에 스위치 구조가 형성된다. 탄성 시트(19)가 돌출 기둥(194)에 당접되면, 탄성 시트(19)는 돌출 기둥(194)의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 시점에서 제어 장치(1482)의 단자의 전압은 제로이며, 로우 레벨로 표현된다. 제어 장치(1482)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수신한 다음에 스크린 어셈블리(16)가 수축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탄성 시트(19)와 돌출 기둥(194)이 분리되면, 탄성 시트(19)는 접지 단자에서 분리되고, 이 시점에서 풀업 레지스터(1483)에 의해 생성된 하이 레벨 신호가 제어 장치(1482)의 단자에 입력된다. 제어 장치(1482)는 하이 레벨 신호를 수신한 다음에 스크린 어셈블리(16)가 신장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본원의 촉발 구조는 신축 구조(즉 로드 어셈블리(1252))를 사용하여 스크린 어셈블리(16)의 자동 전환 기능을 실현하기 때문에, 문자판(10) 내부에 복잡한 전환 장치를 증가할 필요가 없으며(구조가 간단한 탄성 시트(19)만 증가할 뿐이다), 문자판(10)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문자판(10)의 구조가 더 콤팩트하게 되고, 문자판(10)의 내부 공간을 절약하는 데에 유리하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문자판(10)의 왼쪽 프레임(124), 오른쪽 프레임(126), 왼쪽 지지 프레임(144), 오른쪽 지지 프레임(146) 등은 모두 금속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무선 통신 모듈이 문자판(10) 내에 설치될 경우, 금속 차폐 효과로 인해 잘 작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원은 또한 특별한 안테나 구조를 설계한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구조는 무선 통신 모듈(도시되지 않음)과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문자판(10) 내부의 회로 기판(148)에 설치된다. 제어 장치(1482)는 FPC(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FPC(11)의 일부는 지지 조립체(14)로부터 뻗어 나와 문자판(10)의 외부에 위치한다. FPC(11)에 있어서의 문자판(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안테나 모듈이 설치된다. 안테나 모듈은 문자판(10)에서 뻗어 나온 FPC(11)에 설치되고, 또한 도선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FPC(11)는 왼쪽 프레임(124)의 제 1 측벽(1242)의 제 1 홈(1246)과 오른쪽 프레임(126)의 제 2 측벽(1262)의 제 2 홈(1266)으로부터 프레임 어셈블리(12) 밖으로 뻗어 나온다. FPC(11)에는 버튼(112) 및 커플러(coupler)(113)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스트 벨트(20)의 구조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플러(113) 및 버튼(112)은 FPC(11)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도선(115)에 의해 회로 기판(148)의 전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FPC(11)에 있어서의 문자판(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안테나 모듈과 이격된 보강 구조(114)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보강 구조(114)와 안테나 모듈은 FPC의 같은 쪽에 위치한다. FPC(11)에 있어서의 문자판(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버튼(112)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버튼(112)과 안테나 모듈은 각각 FPC(11)의 양쪽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11)의 밑면에는 보강 구조(114)가 설치된다. 보강 구조(114)는 서로 독립적 인 두 부분을 포함한다. 보강 구조(114)는 강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FPC(11)의 경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FPC(11)가 문자판(10)에서 뻗어 나와 버튼, 커넥터 등 전자 부품에 평평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보강 구조(114)는 FPC에 설치된 버튼(112) 및 커플러(113)의 안정성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FPC(11)의 밑면에 설치된 보강 구조(114)는 금속 시트일 수 있다. 또한 보강 구조(114)는 안테나 모듈, 즉 안테나 방사체로 기능할 수 있으며, 도선에 의해 안테나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실현한다. 안테나 모듈은 역 F 안테나 또는 다른 종류의 안테나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왼쪽에 위치하는 보강 구조(114)와 오른쪽에 위치하는 보강 구조(114)는 홈에 의해 격리되고 또한 서로 절연된다. 왼쪽에 위치하는 보강 구조(114)의 면적은 오른쪽에 위치하는 보강 구조(114)의 면적보다 작다. 왼쪽에 있는 보강 구조(114)만 안테나 모듈로 사용되고, 오른쪽에 있는 보강 구조(114) 는 단지 지지 보강재로 사용된다.
문자판(10)에서 뻗어 나온 FPC(11)는 브라켓(142)의 베이스(1422)에 고정되고, FPC(11)의 바닥은 베이스(1422)에 접촉되며, 리스트 벨트(20)의 관련 구조와 결합되도록 FPC(11) 정면의 커플러(113) 및 버튼(112)은 밖으로 노출된다.
본원의 문자판(10)은 리스트 벨트(20)와 결합된다. 리스트 벨트(2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데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문자판(10)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본원은 배터리 모듈(30)을 리스트 벨트(20)에 설치하여, 문자판(10)의 내부 공간을 차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문자판(10)을 작은 크기로 설계하는 데에 유리하다.
도 50 ~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벨트(20)는 연결 부재(21), 지지 시트(22) 및 포장 부재(23)를 구비한다. 연결 부재(21)는 지지 시트(22)의 일단에 연결되어 지지 시트(22)를 문자판(10)에 연결하는 데에 사용된다. 포장 부재(23)는 지지 시트(22) 및 연결 부재(21)의 외부를 감싸 인체의 손목에 접촉하는 데에 사용된다.
연결 부재(21)는 단면(211), 바닥면(212), 상부면(213), 서로 마주 설치되고 또한 단면(211), 바닥면(212) 및 상부면(213) 사이에 연결된 제 1 측면(214)과 제 2 측면(215)을 포함한다. 상부면(213)은 원호 모양이다. 바닥면(212)은 상부면(213)에 대응하는 원호면 및 단면(211)에 대응하는 평면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21)의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단면(211)에 제 1 개구부(2112)가 형성되어 있다. 단면(211)은 문자판(10)에 결합되며, 문자판(10)의 일부는 제 1 개구부(2112)로부터 연결 부재(21)의 내부로 들어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개구부(2112)는 문자판(10)의 브라켓(142)의 베이스(1422)가 연결 부재(21)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부면(213)에 제 2 개구부(2132) 및 제 3 개구부(2133)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개구부(2132)는 단면(211)에 가깝고 제 1 개구부(2112)와 연통된다. 베이스(1422)가 연결 부재(21) 내부로 들어간 다음에, 베이스(1422)의 FPC(11) 위의 버튼은 제 2 개구부(2132)에 수용된다. 제 3 개구부(2133)는 바닥면(212)과 마주하고 있다.
지지 시트(22)는 탄성적인 금속 시트로 제조되며 포장 부재(23)의 내부에 삽입된다. 지지 시트(22)는 상단부(221), 하단부(222), 상단부(221)와 하단부(222) 사이에 연결된 만곡부(223)를 포함한다. 상단부(221)는 연결 부재(2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데에 사용된다. 하단부(222)는 배터리 모듈(30)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단부(221)가 있는 평면과 하단부(222)가 있는 평면은 거의 평행된다(즉 상단부(221)와 하단부(222)는 평행되거나 또는 거의 평행된다). 지지 시트(22)에 FPC(25)가 설치되어 있으며, FPC(25)는 지지 시트(22)의 하단부(222)에서 상단부(221)까지 연장된다. 지지 시트(22)의 FPC(25)는 문자판(10)의 FPC(11)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및 전류를 전도한다.
도 51 및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시트(22)의 상단부(221)는 바닥면(212)의 단면을 통과한다. 상단부(221)는 4 개의 나사에 의해 연결 부재(21)에 고정된다. 지지 시트(22)의 상단부의 한쪽에는 스피커(24)가 고정되어 있으며, 스피커(24)는 제 3 개구부(2133) 내에 수용된다. 물론 스피커(24)는 다른 전자 부품, 예를 들면 배터리 관리 칩, 플래시 라이트 등일 수도 있다. 연결 부재(21)의 제 1 측면(214)에 관통 구멍(2142)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2142)은 단면(211)에 가깝게 설치되고 또한 제 1 개구부(2112)와 연통된다. 베이스(1422)의 조종 로드(15)의 헤드 엔드(151)는 관통 구멍(2142) 내에 삽입된다.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시트(22)의 하단부(222)에는 FPC(25)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30)이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 모듈(30)은 하부 프레임(32) 및 상부 커버(34)를 구비한다.
하부 프레임(32)은 사출 성형 등 방법으로 지지 시트(22)의 하단부(222)에 결합된다. 하부 프레임(32)은 중공의 사각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네개의 측벽을 연결하여 형성된다. 네개의 측벽이 둘러싸서 개구부를 형성한다. 지지 시트(22)는 개구부로부터 노출된다.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시트(22)의 하단부(222)의 표면이 돌출되어 배플(baffle)(2221)을 형성한다. 배플(2221)의 수량은 두개이다. 배플(2221)은 하단부(222)를 잘라 만곡함으로써 형성된다. 배플(2221)은 하부 프레임(32)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단부(222)는 시트 모양 구조를 가지고, 배플(2221)은 하단부(222)의 표면에 수직된다. 지지 시트(22)의 배플(2221)은 하부 프레임(32)의 성형 과정에서 하부 프레임(32)의 하나의 측벽 내에 삽입되어 하부 프레임(32)과 지지 시트(22)의 결합이 더 든든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하부 프레임(32)을 하단부(222)에 형성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32)에는 버클 구멍(buckle hole)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34)에는 버클 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프레임(32)의 버클 구멍에 결합하는 데에 사용되며, 따라서 상부 커버(34)와 하부 프레임(32)을 고정한다. 또한 나사는 상부 커버(34)의 나사 구멍을 통과하여 하부 프레임(32)의 나사 구멍에 고정되어 양자를 고정한다.
하부 프레임(32)에는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커버(34)는 하부 프레임(32) 내에 수용된 배터리를 덮는다.
도 53을 참조하면, 본원에서는 또한 전원 스위치(40)가 설치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40)는 배터리 모듈(30)의 한쪽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원 스위치(40)는 리스트 벨트(20)의 FPC(25) 위에 설치된다. 지지 시트(22)에 설치된 FPC(25)는 지지 시트(22)의 하단부(222)에 대응되는 곳에서 사이드 윙(side wing)(252)을 형성한다. 전원 스위치(40)는 사이드 윙(252)에 설치되고, 사이드 윙(252)은 하부 프레임(32)의 측벽 내에 삽입되고, 또한 고정 구조에 의해 하부 프레임(32)의 측벽의 관통 구멍(322)에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FPC(25)의 아랫 부분은 십자형 구조를 형성하고 양쪽에서 위로 치켜세워 사이드 윙(252)을 형성한다. 하부 프레임(32)의 측벽에는 두개의 관통 구멍(322)이 형성되어 있고, FPC(25)의 사이드 윙(252)이 통과하도록 한다. FPC(25)는 지지 시트(22)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하부 프레임(32)은 지지 시트(22)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하부 프레임(32)의 측벽에 관통 구멍(322)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시트(22)의 하단부(222)에 그 바닥면과 상부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22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FPC(25)는 지지 시트(22)의 관통 구멍(2222)으로부터 하부 프레임(32) 내로 삽입되고, 사이드 윙(252)은 하부 프레임(32)의 관통 구멍(322) 내에 삽입된다. 그 중 하나의 사이드 윙(252)에는 전원 스위치(40)가 고정되어 있다. 배터리 모듈(30)은 지지 탄성 시트(36)를 더 구비한다. 지지 탄성 시트(36)는 마주 설치된 한쌍의 당접부(362)와 한쌍의 당접부(362) 사이에 연결된 탄성을 가진 연결 시트(364)를 포함한다. 한쌍의 당접부(362)는 각각 FPC(25)의 두개의 사이드 윙(252)에 당접되고, 연결 시트(364)는 한쌍의 당접부(362)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 스위치(4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전원 스위치(40)가 눌러진 후에 지지 탄성 시트(36)에 지지되어 원래의 위치로 회복되도록 한다. 지지 탄성 시트(36)는 FPC(25)와 함께 배터리를 둘러싸고, 두개의 사이드 윙(252)은 각각 배터리의 양쪽에 위치한다.
도 51, 도 52,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벨트(20) 내에 랩 시트(lap sheet)(26)를 더 구비한다. 지지 시트(22)의 하단부(222)는 리벳에 의해 랩 시트(26)에 연결된다. 랩 시트(26)는 변형 가능한 스테인레스 철편 재료로 제조된다. 랩 시트(26)와 지지 시트(22)는 부동한 재료로 제조되며, 랩 시트(26)의 강도는 지지 시트(22)의 강도보다 높고, 랩 시트(26)는 주로 포장 부재(23)를 성형하는 데에 사용되며, 인체의 손목 모양에 어울리도록 한다. 랩 시트(26)는 보다 뛰어난 유연성을 가지고, 임의의 위치로 구부릴수 있으며, 임의의 위치에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시트(22)에 의해 손목을 감싸고, 랩 시트(26)에 의해 리스트 벨트(20)의 탈락을 방지한다.
나사는 지지 시트(22)의 상단부(221), 연결 부재(21)의 바닥면(212)을 통과하여 브라켓(142)의 베이스(1422)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문자판(10), 연결 부재(21) 및 지지 시트(22)를 조립 고정한다.
포장 부재(23)는 연결 부재(21)와 지지 시트(22)를 감싸는 데에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포장 부재(23)는 연성 재료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시트(22)는 바람직하기로는 탄성을 갖는 망간 스틸 시트이고, 포장 부재(23)는 지지 시트(22) 위에 성형된 실리카겔이다.
도 50 ~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부재(23)는 상부(236)와 하부(237)를 포함하고, 상부(236)는 문자판(10)에 가깝고, 하부(237)는 문자판(10)에서 떨어져 있다. 포장 부재(23)의 상부(236)의 일단에는 연결 부재(2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351)이 형성되어 있다. 포장 부재(23)의 상부(236)의 상부면에는 홈 버튼(231)이 설치된다. 홈 버튼(231)은 연결 부재(21)의 제 2 개구부(2132)와 마주 향하도록 설치된다. 홈 버튼(231)은 FPC(11) 위의 버튼(112)에 대응된다. 홈 버튼(231)을 누르면 FPC(11) 위의 버튼(112)을 촉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크린 어셈블리(16)의 표시 내용이 홈 인터페이스로 돌아오도록 한다.
포장 부재(23)의 상부(236)의 측면에 확장 버튼(232)이 설치되어 있다. 확장 버튼(232)은 연결 부재(21)의 관통 구멍(2142)과 마주 향하도록 설치된다. 확장 버튼(232)은 조종 로드(15)의 헤드 엔드(151)에 대응된다. 확장 버튼(232)을 누르면 문자판(10)은 자동적으로 전개된다.
포장 부재(23)의 하부(237)의 측면에 스위치 버튼(2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위치 버튼(234)은 지지 시트(22)의 전원 스위치(40)에 대응된다. 스위치 버튼(234)을 누르면 문자판(10)은 시동되거나 또는 꺼진다.
포장 부재(23)에는 스피커(234)에 대응되는 사운드 홀(235)이 더 형성되어 있다. 스피커(24)에서 나오는 소리는 사운드 홀(235)에 의해 방출된다.
포장 부재(23)의 하부(237)의 자유단에는 꼬리 부분(2371)이 설치되어 있으며, 꼬리 부분(2371)은 랩 시트(26)를 감싸는 데에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설명해야만 하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원의 기술방안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되며, 본원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원의 보호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원에 개시된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수 있는 변경 또는 대체 방안은 모두 본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근거한다.

Claims (21)

  1. 스크린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프레임 어셈블리로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왼쪽 프레임, 오른쪽 프레임 및 신축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왼쪽 프레임과 상기 오른쪽 프레임은 서로 마주 향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양자 사이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신축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왼쪽 프레임과 상기 오른쪽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신축 어셈블리의 신축에 의해 상기 왼쪽 프레임과 상기 오른쪽 프레임 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치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어셈블리는 로드 어셈블리와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개의 연결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연결 로드는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연결 로드 사이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로드 어셈블리는 신장 상태에 있고, 상기 로드 어셈블리가 수축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탄성 부재는 탄성 압축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어셈블리는 제 1 고정단, 제 2 고정단, 제 1 이동단 및 제 2 이동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고정단은 상기 왼쪽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고정단은 상기 오른쪽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이동단은 상기 왼쪽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이동단은 상기 오른쪽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어셈블리는 제 1 연결 로드, 제 2 연결 로드, 제 3 연결 로드 및 제 4 연결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결 로드와 상기 제 3 연결 로드는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연결 로드와 상기 제 4 연결 로드는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연결 로드의 일단과 상기 제 2 연결 로드의 일단은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연결 로드의 타단에 상기 제 2 이동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연결 로드의 타단에 상기 제 1 이동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 3 연결 로드의 일단과 상기 제 4 연결 로드의 일단은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제 3 연결 로드의 타단에 상기 제 2 고정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 4 연결 로드의 타단에 상기 제 1 고정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연결 로드와 상기 제 2 연결 로드의 힌지로 연결된 부분에 슬리브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제 1 연결 로드와 상기 제 2 연결 로드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로드의 상기 제 3 연결 로드와 맞닿는 표면에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 어셈블리의 신축 과정에서 위치를 제한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 압축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 3 연결 로드는 상기 계단에 당접되어 상기 제 1 연결 로드가 상기 제 3 연결 로드에 대해 계속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 프레임은 제 1 바닥벽을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프레임은 제 2 바닥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바닥벽에는 제 1 나사 구멍 및 길쭉한 제 1 위치 제한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바닥벽에는 제 2 나사 구멍 및 길쭉한 제 2 위치 제한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고정단은 상기 제 1 나사 구멍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고정단은 상기 제 2 나사 구멍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이동단은 상기 제 1 위치 제한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이동단은 상기 제 2 위치 제한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 프레임은 상기 제 1 바닥벽의 대향하는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제 1 측벽과, 상기 제 1 바닥벽과 한쌍의 상기 제 1 측벽 사이에 연결된 제 1 연결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른쪽 프레임은 상기 제 2 바닥벽의 대향하는 양측에 형성된 한쌍의 제 2 측벽과, 상기 제 2 바닥벽과 한쌍의 상기 제 2 측벽 사이에 연결된 제 2 연결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닥벽과 상기 제 2 바닥벽은 동일한 평면 위에 있고, 상기 한쌍의 제 1 측벽은 각각 상기 한쌍의 제 2 측벽에 연결되며, 상기 왼쪽 프레임과 상기 오른쪽 프레임이 서로 접근하면, 상기 한쌍의 제 1 측벽은 각각 상기 한쌍의 제 2 측벽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 1 측벽의 그중 하나에는 제 1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홈은 상기 제 1 측벽의 상기 제 1 연결벽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단면에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제 2 측벽의 그중 하나에는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2 측벽의 상기 제 2 연결벽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단면에 개구를 형성하며, 상기 왼쪽 프레임과 상기 오른쪽 프레임이 서로 접근하면,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연결 시트, 조종 로드와 브라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은 브라켓 본체와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 어셈블리는 상기 브라켓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브라켓 본체에 연결되며, 상기 조종 로드는 상기 베이스에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 시트는 상기 왼쪽 프레임 및 상기 오른쪽 프레임을 통과하며, 또한 상기 연결 시트의 일단은 상기 로드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로 들어와 상기 조종 로드와 협력하여 잠금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로드 어셈블리를 수축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서로 교차하고 또한 연통되는 제 1 안내 홈 및 제 2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안내 홈은 상기 연결 시트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 2 안내 홈은 상기 조종 로드를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로드 어셈블리가 수축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조종 로드는 상기 연결 시트에 맞물려 있고, 상기 로드 어셈블리가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조종 로드는 상기 연결 시트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에 결합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안내 홈은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와 마주 설치된 밑바닥을 포함하고,
    상기 조종 로드는 서로 마주 향하게 설치된 헤드 엔드와 테일 엔드, 상기 헤드 엔드와 상기 테일 엔드 사이에 연결된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일 엔드와 상기 제 2 안내 홈의 밑바닥 사이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헤드 엔드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뻗어 나오고,
    상기 로드 어셈블리가 수축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결합 슬롯에 맞물려, 상기 로드 어셈블리를 수축 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조종 로드의 헤드 엔드를 누르면, 상기 걸림부와 상기 결합 슬롯 사이의 맞물림 관계를 해제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로드 어셈블리를 신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제 2 안내 홈과 연통되는 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종 로드에 있어서, 상기 헤드 엔드와 상기 걸림부 사이에 돌출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멍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구멍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조종 로드가 상기 제 2 안내 홈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상기 로드 어셈블리에서 멀리 떨어진 한쪽은 제 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조종 로드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 1 안내 홈을 향한 제 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경사면은 상기 제 1 경사면과 협력하여 상기 연결 시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조종 로드가 상기 제 2 안내 홈 내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본체는 프론트 배플, 리어 배플, 플레이트 및 버팀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배플과 상기 리어 배플은 마주 향하게 설치되고 또한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프론트 배플 및 상기 리어 배플의 서로 마주 향하는 표면에는 모두 위치 제한 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 제한 통로는 상기 왼쪽 프레임과 상기 오른쪽 프레임을 수용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버팀대는 상기 프론트 배플과 상기 리어 배플의 양측에 마주 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버팀대는 상기 로드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로드 어셈블리가 수축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왼쪽 프레임과 상기 오른쪽 프레임은 각각 상기 버팀대의 대향하는 양측에 연결되며, 상기 로드 어셈블리가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왼쪽 프레임과 상기 오른쪽 프레임은 상기 버팀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대에는 제 3 나사 구멍 및 제 3 위치 제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나사 구멍은 상기 리어 배플에 가깝고, 상기 제 3 위치 제한 슬롯은 상기 프론트 배플에 가까우며, 상기 제 3 나사 구멍은 상기 제 1 연결 로드와 상기 제 2 연결 로드의 힌지 연결 위치의 회전축을 고정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제 3 연결 로드와 상기 제 4 연결 로드의 힌지 연결 위치의 회전축은 상기 제 3 위치 제한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시트의 한쪽은 상기 제 3 연결 로드와 상기 제 4 연결 로드의 힌지 연결 위치의 회전축에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왼쪽 바닥판, 오른쪽 바닥판 및 지지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왼쪽 바닥판은 상기 왼쪽 프레임의 밑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오른쪽 바닥판은 상기 오른쪽 프레임의 밑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프론트 배플과 상기 리어 배플 사이에 고정 연결되고, 또한 상기 버팀대를 덮으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가 수축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지지판은 상기 왼쪽 바닥판 및 상기 오른쪽 바닥판을 덮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가 신장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왼쪽 바닥판, 상기 오른쪽 바닥판 및 상기 지지판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연속적인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20. 스크린 어셈블리, 릴 어셈블리 및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릴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릴 어셈블리는 상기 스크린 어셈블리를 감는데 사용되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스크린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판.
  21. 제 20 항에 기재된 문자판, 리스트 벨트 및 배터리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리스트 벨트의 일단은 상기 문자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팔찌.
KR1020197015391A 2016-11-02 2016-11-02 프레임 어셈블리, 문자판 및 스마트 팔찌 KR201900695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104339 WO2018081947A1 (zh) 2016-11-02 2016-11-02 框架组件、表盘及智能手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575A true KR20190069575A (ko) 2019-06-19

Family

ID=6160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391A KR20190069575A (ko) 2016-11-02 2016-11-02 프레임 어셈블리, 문자판 및 스마트 팔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37236A4 (ko)
JP (1) JP2020503589A (ko)
KR (1) KR20190069575A (ko)
CN (1) CN107820627B (ko)
WO (1) WO20180819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0694B2 (en) 2020-07-14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7604B (zh) * 2018-10-31 2021-06-11 绍兴艾笛薇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新材料车载电视固定架
CN110673695A (zh) * 2019-09-03 2020-01-10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智能手表及屏幕控制方法
CN110801084A (zh) * 2019-11-20 2020-02-18 歌尔科技有限公司 手环带体
CN111664337A (zh) * 2020-06-30 2020-09-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14501915A (zh) * 2020-10-27 2022-05-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4495703A (zh) * 2020-10-27 2022-05-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2290899B1 (ko) 2020-10-29 202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293884B (zh) * 2020-11-03 2021-09-03 深圳穿金戴银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可更换的连续调节式表带的手表
CN112293887A (zh) * 2020-11-20 2021-02-02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穿戴设备及其连接组件
CN112586843B (zh) * 2020-12-18 2022-11-15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腕戴设备
CN113450643B (zh) * 2021-07-28 2023-05-09 高创(苏州)电子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制备方法、中框结构、显示装置
CN114980637B (zh) * 2022-04-26 2024-03-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7490A (ja) * 1996-08-29 1998-03-10 Hino Motors Ltd パンタグラフジャッキ
NZ531323A (en) * 1999-06-11 2005-12-23 Firooz Ghassabian A wri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ntenna system which has a removable cover and a biasing mechanism
JP4505721B2 (ja) * 2004-02-02 2010-07-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TWM277958U (en) * 2004-12-31 2005-10-11 Ind Tech Res Inst An flexible displaying device for electronic information includes a device housing
US7558057B1 (en) * 2005-06-06 2009-07-07 Alex Naksen Personal digital device with adjustable interface
WO2008133510A2 (en) * 2007-04-25 2008-11-06 Polymer Vision Limite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with edge protectors
JP2009021660A (ja) * 2007-07-10 2009-01-29 Fujifilm Corp デジタルカメラ
JP2011081069A (ja) * 2009-10-05 2011-04-21 Sony Corp 表示装置
KR101227644B1 (ko) * 2010-08-10 2013-01-3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2123187B (zh) * 2011-03-15 2014-08-27 叶尔肯·拜山 伸缩式手机
CN103763409A (zh) * 2012-05-29 2014-04-30 青岛雅昡电子创意有限公司 一种双卷轴三倍屏式手机视频显示器
TWI582640B (zh) * 2013-01-10 2017-05-11 黃海濤 具可捲式螢幕的掌上型電子裝置及其顯示方法
CN103645628A (zh) * 2013-12-04 2014-03-19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可拉伸屏幕的智能手表
CN103716428B (zh) * 2013-12-30 2016-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便携式显示装置
CN104298337A (zh) * 2014-09-22 2015-01-21 叶尔肯·拜山 一种电子终端
CN204178148U (zh) * 2014-11-20 2015-02-2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屏幕可伸缩的智能手表
CN104851367A (zh) * 2015-05-26 2015-08-19 蔡锐峤 能调节显示区域尺寸的屏幕、屏幕显示区域尺寸的调节方法、基于上述屏幕的终端设备
CN105807850B (zh) * 2015-07-17 2022-06-14 广州奥翼电子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0694B2 (en) 2020-07-14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20627A (zh) 2018-03-20
EP3537236A4 (en) 2020-07-01
EP3537236A1 (en) 2019-09-11
CN107820627B (zh) 2020-06-02
JP2020503589A (ja) 2020-01-30
WO2018081947A1 (zh)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1797A (ko) 지지 조립체, 문자판 및 스마트 팔찌
KR20190069575A (ko) 프레임 어셈블리, 문자판 및 스마트 팔찌
KR20190077479A (ko) 릴 어셈블리, 문자판 및 스마트 팔찌
KR20190073522A (ko) 촉발 장치, 문자판 및 스마트 팔찌
CN107820401B (zh) 腕带及智能手环
KR20180064472A (ko) 모바일 단말의 폴더블 메커니즘 및 모바일 단말
KR20190100333A (ko) 지지 조립체 및 표시 장치
KR20190100329A (ko) 지지 조립체 및 표시 장치
KR20170095957A (ko) 스크린 확장 구조체, 가요성 스크린 조립체 및 단말기
JP2003069441A (ja) 折り畳み型携帯無線機
EP4160577B1 (en) Electronic device
JP2004253927A (ja) 携帯無線機
CN212163393U (zh) 一种电子设备
CN110769089A (zh) 折叠式移动终端
KR20190100330A (ko) 표시 장치 및 휴대 단말기
WO2022001345A1 (zh) 电子设备
KR20110062892A (ko) 휴대단말기용 스탠드 힌지모듈
CN112769980A (zh) 一种电子设备
CN110769088A (zh) 折叠式移动终端
CN214405309U (zh) 支撑底座及电子设备
CN218920449U (zh) 电子设备
CN117135248A (zh) 一种折叠式保护套
KR100548397B1 (ko) 폴더형 이동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