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275A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275A
KR20190068275A KR1020170168513A KR20170168513A KR20190068275A KR 20190068275 A KR20190068275 A KR 20190068275A KR 1020170168513 A KR1020170168513 A KR 1020170168513A KR 20170168513 A KR20170168513 A KR 20170168513A KR 20190068275 A KR20190068275 A KR 20190068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hanger
axis
elastic member
vibr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3820B1 (ko
Inventor
김재형
장세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168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82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8885620.7A priority patent/EP3722491A4/en
Priority to RU2021101609A priority patent/RU2021101609A/ru
Priority to CN202310850498.XA priority patent/CN116892112A/zh
Priority to PCT/KR2018/015456 priority patent/WO2019112354A1/ko
Priority to AU2018379509A priority patent/AU2018379509B2/en
Priority to RU2020122223A priority patent/RU2742206C1/ru
Priority to US16/957,881 priority patent/US11414810B2/en
Priority to CN201880088846.1A priority patent/CN111684123B/zh
Publication of KR2019006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820B1/ko
Priority to US17/868,387 priority patent/US1182113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B06B1/1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the masses being elastically coupl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9/00Iron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대해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바디;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심부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행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모듈; 및 상기 진동 모듈이 진동할 때 상기 진동 모듈에 탄성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편심부의 각속력가 변경 가능하게 구비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Fabric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의 의류를 진동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보다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열판이 닿지 않으므로 섬세하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리프레셔와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춤으로써,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의류가 걸리는 옷걸이봉을 소정 방향으로 진동 운동(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옷의 구김을 펴는 기능을 발휘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5568호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옷걸이봉이 진동 운동할 때, 다양한 진동수 및 진폭의 조절이 가능한 진동 운동 모션을 수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옷걸이봉의 진동수(주파수)를 변경시킬 경우에도 진폭이 유지되어, 제품에 무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주파수를 변경시키더라도 제품에 무리를 줄이게 하는 것이다.
종래에 상기 옷걸이봉를 흔들때 진폭이 유지되는 전제하에 진동수를 늘리는 것은 물리적 제한(예를 들어, 마찰력) 생기고 진동 발생을 위한 에너지가 과도해져, 진동수의 최대값이 어느 수준 이상 도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종래에 빠른 진동수로 행거 바디를 흔들때 진폭까지 크게 유지되면 의류에 지나친 충격이 가해져, 의류의 옷걸이봉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거나 의류의 손상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의류의 걸림 해제나 의류의 손상 없이 진동수를 현저히 상승시키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옷걸이봉을 진동 운동시킴에 있어서, 상기 진동 운동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도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불필요한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대해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바디;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심부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행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모듈; 및 상기 진동 모듈이 진동할 때 상기 진동 모듈에 탄성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편심부의 각속력가 변경 가능하게 구비된다.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상기 각속력이 각각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속력을 변경 제어하여,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수가 상대적으로 작고 진폭이 상대적으로 큰 제 1모드와,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수가 상대적으로 크고 진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 2모드를 수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모드의 진동수가 상기 제 2모드의 진동수보다 고유 진동수에 가깝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각속력이 0보다 큰 특정값일 때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의 정상상태의 진폭이 피크값을 가지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진동 모듈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진동 모듈이 진동 방향 중 일측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는 제 1탄성 부재와 타측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는 제 2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심부는, 소정의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1편심부; 및 상기 제 1회전축과 동일하거나 평행한 소정의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2편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대 위치가 고정된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축 및 상기 제 2회전축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행거 바디는, 상기 프레임에대해 소정의 진동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행거 바디가 상기 진동 방향으로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서, 상기 편심부의 각속력 변경만으로 다양한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 패턴을 다양화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의류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 및 의류 종류 등에 적합한 진동 패턴을 가진 행거 바디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2개 이상의 각속력이 각각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게 함으로써, 행거 바디의 진동 운동의 정상 상태(steady-state)가 2개 이상 구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수가 상대적으로 작고 진폭이 상대적으로 큰 제 1모드와,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수가 상대적으로 크고 진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 2모드를 수행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 1모드를 통해 의류를 큰 진폭으로 느리게 진동시키거나, 상기 제 2모드를 통해 의류를 작은 진폭으로 터는 대신 빠르게 진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수를 늘리더라도, 제품에 무리를 저감시킬 수 있고 의류의 걸림 해제나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진동 발생을 위한 에너지 소모가 현저히 줄어든다. 더 나아가, 물리적 제한없이 현저하게 상기 행거 바디 진동수의 최대값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각속력이 0보다 큰 특정값일 때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의 정상상태의 진폭이 피크값을 가지도록 기설정됨으로써,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수 및 진폭을 더욱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모드의 진동수가 상기 제 2모드의 진동수보다 상기 고유 진동수에 가깝도록 기설정됨으로써, 상기 제 1모드에서 보다 큰 진폭을 유도할 수 있고, 상기 제 2모드에서 제품에 무리없이 큰 진동수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 1편심부 및 상기 제 2편심부를 구비함으로써, 행거 바디의 진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의 불필요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진동 모듈이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되어 구조에 무리가 갈 수 있는 위험이 저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 모듈(50)의 편심부의 각속력(w) 변화에 따른 행거 바디(31)의 진폭(X(w))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및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도 7d는 도 1의 진동 모듈(50)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개념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50)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50)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며, 도 5a 및 도 5b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450)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제 4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50)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제 5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550)의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4a 내지 도 4d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50), 탄성 부재(260) 및 지지 부재(270)의 구조 예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로서, 외부 프레임(11b)을 제외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구조 예시의 상측 입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구조 예시에 따른 진동 모듈(250), 탄성 부재(260), 지지 부재(270), 및 행거 모듈(230)의 입면도와, 행거 주동부(258) 및 행거 종동부(231b)를 라인 S1-S1'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a 내지 도 6d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450), 탄성 부재(460) 및 지지 부재(470)의 구조 예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로서, 외부 프레임(11b)을 제외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의 구조 예시의 상측 입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구조 예시에 따른 진동 모듈(450), 탄성 부재(460), 지지 부재(470), 및 행거 모듈(430)을 보여주는 사시도와, 행거 주동부(458) 및 행거 종동부(431b)를 라인 S3-S3'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구조 예시를 라인 S2-S2'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8 내지 도 14의 진동 모듈(250, 450)의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의 작동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7a 내지 도 7d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550), 탄성 부재(560) 및 지지 부재(570)의 구조 예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로서, 외부 프레임(11b)을 제외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구조 예시의 상측 입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구조 예시에 따른 진동 모듈(550), 탄성 부재(560), 지지 부재(570), 및 행거 모듈(430)의 입면도와, 행거 주동부(558) 및 행거 종동부(431b)를 라인 S4-S4'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구조 예시의 진동 모듈(550), 탄성 부재(560) 및 지지 부재(570)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구조 예시에 따른 진동 모듈(550), 탄성 부재(560) 및 지지 부재(570)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구조 예시에 따른 진동 모듈(5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진동 모듈(550), 탄성 부재(560) 및 지지 부재(570)를 라인 S2-S2'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전달부(553),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를 상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Y)/후(-Y)/좌(+X)/우(-X)/상(+Z)/하(-Z)”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외부의 바닥에 놓이거나 외부의 벽에 고정되는 프레임(10)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 공간(10s)을 형성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에 공기, 스팀, 방향제 및 정전기 방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20)를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모듈(30, 230, 430)을 포함한다. 행거 모듈(30, 230, 430)은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을 포함한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행거 모듈(30, 230, 430)을 진동시킨다. 의류 처리 장치(1)는, 행거 모듈(30, 230, 430)이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60, 260, 460, 560)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60, 260, 460, 560)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이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탄성 부재(60, 260, 460, 560)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270, 470, 57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270, 470, 570)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270, 470, 570)는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공급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의 동작 여부 및 동작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처리 공간(10s)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감지하는 의류 인식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프레임(10)은 외관을 형성한다. 프레임(10)은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 공간(10s)을 형성한다. 프레임(1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탑 프레임(11)과,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12)과, 후측면을 형성하는 리어 프레임(미도시)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 프레임(11a)과,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 프레임(11b)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프레임(11a)의 내측면은 처리 공간(10s)을 형성시킨다. 내부 프레임(11a)과 외부 프레임(11b) 사이에 배치 공간(11s)이 형성된다. 배치 공간(11s) 내에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이 배치될 수 있다. 배치 공간(11s) 내에 탄성 부재(60, 260, 460, 560) 및 지지 부재(270, 470, 570)가 배치될 수 있다.
처리 공간(10s)은, 의류에 공기(예를 들어, 열풍), 스팀, 방향제 및/또는 정전기 방지제 등을 가해 의류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변하도록 처리하는 공간이다. 예를 들어, 처리 공간(10s)에서, 의류에 열풍을 가하여 의류를 건조하거나,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에 생긴 주름을 펴거나, 방향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향기가 나도록 처리하거나, 정전기 방지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의류 처리가 이루어진다.
처리 공간(10s) 내에 행거 모듈(30, 230, 43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처리 공간(10s) 내에 행거 바디(31, 231, 431)가 배치된다. 처리 공간(10s)은 의류가 출입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며, 개구된 면은 도어(15)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15)가 닫히면 처리 공간(10s)은 외부와 격리되고, 도어(15)가 열리면 처리 공간(10s)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 1을 참고하여, 공급부(20)는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급부(20)는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순환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부(20)는,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처리 공간(10s) 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공급부(20)는, 외부의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
공급부(20)는 소정의 처리 과정을 거친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부(20)는 가열시킨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부(20)는 냉각시킨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급부(20)는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은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급부(20)는 공기에 스팀, 방향제 또는 정전기 방지제 등을 첨가시켜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
공급부(20)는 처리 공간(10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20a)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20)는 처리 공간(10s) 내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공기 토출구(20b)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흡입구(20a)로 흡입된 공기는 소정의 처리를 거쳐 공기 토출구(20b)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공급부(20)는 처리 공간(10s)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 분사구(20c)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20)는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20)는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20)는 공기를 가압하는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20)에 의해 공급된 공기 및/또는 스팀은 처리 공간(10s) 내에 수용된 의류에 가해져 의류의 물리적 성질 또는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열풍 또는 스팀에 의해 의류의 조직 구조가 이완되어 주름이 펴지게 되고, 의류에 베어있는 냄새 분자가 스팀과 반응함으로써 불쾌한 냄새를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부(20)에 의해 발생한 열풍 및/또는 스팀은 의류에 기생하는 세균을 살균시킬 수 있다.
도 1, 도 10, 도 13, 도 14 및 도 19를 참고하여, 행거 모듈(30, 230, 430)은 처리 공간(10s)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 230, 430)은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된다. 행거 모듈(30, 230, 430)은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된다. 행거 모듈(30, 230, 430)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행거 모듈(30, 230, 430)은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에 연결되어,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의 진동을 전달받는다.
행거 모듈(30, 230, 430)은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바디(31, 231, 4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행거 바디(31, 231, 431)는 옷걸이가 걸리도록 걸림 홈(31a)을 형성하나, 다른 실시예에서 행거 바디(31, 231, 431)는 옷을 직접 걸 수 있도록 후크(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행거 바디(31, 231, 431)는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된다. 행거 바디(31, 231, 431)는 행거 유동부(33) 및 행거 지지부(35)를 통해 프레임(10)과 연결될 수 있다. 행거 바디(31, 231, 431)는 프레임(10)에 대해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행거 바디(31, 231, 431)는 프레임(10)에 대해 소정의 진동 방향(+X, -X)으로 운동(진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행거 바디(31, 231, 431)는 프레임(10)에 대해 진동 방향(+X, -X)으로 진동할 수 있다. 행거 바디(31, 231, 431)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에 의해 진동 방향(+X, -X)으로 왕복 운동한다. 행거 모듈(30, 230, 430)은 처리 공간(10s)의 상부에 매달린 채 왕복 운동한다.
행거 바디(31, 231, 431)는 진동 방향(+X, -X)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행거 바디(31, 231, 431)의 상측면에 복수의 걸림 홈(31a)이 진동 방향(+X, -X)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걸림 홈(31a)은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 230, 430)은 행거 바디(31, 231, 431)를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행거 유동부(33)를 포함한다. 행거 유동부(33)는 진동 방향(+X, -X)으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바디(31, 231, 431)가 운동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바디(31, 231, 431)가 운동할 때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의 상단은 프레임(10)에 고정되고 하단은 행거 바디(31, 231, 431)에 고정된다. 행거 유동부(33)는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의 상단은 행거 지지부(35)에 안착된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지지부(35)와 행거 바디(31, 231, 431)를 연결한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가이드부(37)를 상하로 관통하며 배치된다. 행거 유동부(33)의 수평 단면의 진동 방향(+X, -X)의 길이가 진동 방향(+X, -X)에 수직한 방향(+Y, -Y)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행거 모듈(30, 230, 430)은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행거 지지부(35)를 포함한다. 행거 지지부(35)는 행거 유동부(33)를 프레임(10)에 고정시킨다. 행거 지지부(35)는 내부 프레임(11a)에 고정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의 상단부는 행거 지지부(35)에 걸림되어 매달릴 수 있다. 행거 지지부(35)는 수평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지지부(35)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 230, 430)은 행거 유동부(33)의 위치를 안내하는 행거 가이드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행거 가이드부(37)는 프레임(10)에 고정된다. 행거 가이드부(37)의 상측면과 행거 유동부(33) 사이는 실링 처리될 수 있다. 행거 가이드부(37)의 하측부는 상측으로 함몰됨 홈을 형성되고,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가이드부(37)의 상기 상측으로 함몰된 홈 내에서 진동 방향(+X, -X)으로 유동할 수 있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행거 모듈(30, 230, 430)과 연결되는 행거 주동부(258, 458, 558)를 포함한다. 행거 바디(31, 231, 431)는 행거 주동부(258, 458, 558)와 연결되는 행거 종동부(231b, 431b)를 포함한다.
도 10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 주동부(258) 및 행거 종동부(231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행거 주동부(258)는, 진동 모듈(150, 250) 및 행거 바디(231)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행거 주동부(258)는, 진동 모듈(150, 250)의 하측부 및 행거 바디(231)의 중앙부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 모듈(150, 250) 및 행거 바디(231)은 일체로 진동하게 된다.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행거 주동부(258)는 중심축(Oc)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258)는 봉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258)는 후술할 소정의 연결축(Oh)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258)는 연결축(Oh)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행거 종동부(231b)는 상측이 개구된 케이싱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행거 종동부(231b)에 행거 주동부(258)가 고정된다. 행거 주동부(258)의 상단은 진동 모듈(150, 250)에 고정되고 하단은 행거 종동부(231b)에 고정된다. 행거 주동부(258)는 행거 종동부(231b)에 고정된 채 진동 모듈(150, 250)의 진동 방향(+X, -X) 왕복 운동 시, 행거 바디(231)는 진동 모듈(150, 250)과 일체로 진동 방향(+X, -X)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도 10의 부분 단면도에는, 행거 주동부(258)가 직선 왕복 운동하는 방향이 화살표로 도시되고, 이에 따라 좌우 방향(+X, -X)으로 진동하는 행거 종동부(231b)의 이동 범위가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13, 도 14 및 도 19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행거 주동부(458, 558) 및 행거 종동부(431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행거 주동부(458, 558) 및 행거 종동부(431b)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연장된 슬릿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후술할 중심축(Oc)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행거 종동부(431b)는 상기 방향(+Y, -Y)으로 연장된 슬릿(431bh)을 형성하고, 행거 주동부(458, 558)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슬릿(431bh)에 삽입되는 돌기부(458a, 558a)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예로, 행거 주동부는 상기 방향(+Y, -Y)으로 연장된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행거 종동부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행거 주동부의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458a, 558a)는 중심축(Oc)과 평행하게 돌출된다. 돌기부(458a, 558a)는 후술할 소정의 연결축(Oh)을 따라 연장된다. 돌기부(458a, 558a)는 연결축(Oh) 상에 배치된다. 슬릿(431bh)은 행거 모듈(430)의 진동 방향(+X, -X)과 직교하는 방향(+Y, -Y)으로 길게 형성된다. 돌기부(458a, 558a)는 슬릿(431bh)에 삽입된 채 중심축(Oc)를 기준으로 회전 시, 상기 직교하는 방향(+Y, -Y)으로 슬릿(431bh)에 대해 돌기부(458a, 558a)가 상대 운동하면서, 행거 바디(431)는 진동 방향(+X, -X)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도 13 및 도 19의 부분 단면도에는, 돌기부(458a, 558a)는 슬릿(431bh)에 삽입된 채로 소정 범위 내 호 운동(회전 운동)하는 방향이 화살표로 도시되고, 이에 따라 좌우 방향(+X, -X)으로 진동하는 행거 종동부(431b)의 이동 범위가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3a 내지 도 14 및 도 19 내지 도 24을 참고하여, 탄성 부재(60, 260, 460, 560)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이 진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탄성 부재(60, 260, 460, 560)는, 진동 바디(251, 451, 551)가 진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탄성 부재(60, 260, 460, 560)는, 행거 바디(31, 231, 431)가 진동 방향(+X, -X)으로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탄성 부재(60, 260, 460, 560)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이 소정 범위 내로 진동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탄성 부재(60, 260, 460, 560)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이 진동할 때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에 탄성력을 가한다.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60, 260, 460, 560)의 탄성력과 적어도 하나의 편심부(55, 56)의 원심력이 종합되어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의 진동 패턴(진폭 및 진동수)을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탄성 부재(60, 260, 460, 560)의 탄성력, 적어도 하나의 편심부(55, 56)의 원심력, 및 구조/의류 등의 요인에 따른 감쇠력(
Figure pat00001
)이 종합되어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의 진동 패턴(진폭 및 진동수)을 결정할 수 있다.
탄성 부재(60, 260, 460, 560)의 일단은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270, 470, 570)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60, 260, 460, 560)는 스프링이나 테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70, 470, 570)는 장력 스프링, 압축 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4d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제 1 및 2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60, 260)는, 진동 모듈(150, 250)이 진동 방향(+X, -X)으로 왕복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60, 260)는 진동 모듈(150, 250)이 소정 거리 범위 내로 진동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2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60, 260)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7d, 도 11 내지 도 14 및 도 17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제 3 내지 5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60, 460, 560)는, 진동 모듈(350, 450, 550)이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60, 460, 560)는 진동 모듈(350, 450, 550)이 소정 각도 범위 내로 진동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3 내지 5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60, 460, 560)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60)는 복수의 탄성 부재(60a, 6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60a, 60b)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이 진동 방향(+X, -X) 중 일측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는 제 1탄성 부재(60a)와 타측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는 제 2탄성 부재(6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4 및 도 17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지지 부재(270, 470, 570)는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270, 470, 570)는 내부 프레임(11a)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270, 470, 570)는 탄성 부재(60, 260, 460, 560)를 지지할 수 있다. 탄성 부재(60, 260, 460, 560)의 일단은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에 고정되고, 탄성 부재(60, 260, 460, 560)의 타단은 지지 부재(270, 470, 570)에 고정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제 1 및 2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270)는 진동 모듈(250)을 지지할 필요가 없다. 진동 모듈(250)은 행거 모듈(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270)는 진동 모듈(25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지지 부재(270)는 진동 모듈(250)의 진동 방향(+X, -X)을 안내해줄 수 있다. 지지 부재(270)는 진동 모듈(250)이 소정 방향(+X, -X) 이외의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이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 및 도 17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제 3 내지 5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470, 570)는 진동 모듈(450, 550)을 지지한다. 진동 모듈(450, 550)은 내부 프레임(11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진동 모듈(450, 550)은 지지 부재(470, 570)에 의해 프레임(1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470, 570)는 진동 모듈(450, 550)이 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470, 570)는 진동 모듈(450, 5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470, 570)는 진동 모듈(450, 550)이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470, 570)는 진동 바디(451, 551)를 지지한다. 진동 바디(451, 551)는 지지 부재(470, 570)에 의해 프레임(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8, 도 11 및 도 17을 참고하여,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행거 바디(31, 231, 431)를 운동(진동)시킨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행거 바디(31, 231, 431)에 연결되어,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의 진동을 행거 바디(31, 231, 431)에 전달한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내부 프레임(11a)과 외부 프레임(1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측의 내부 프레임(11a)은 하측으로 함몰되어 배치 공간(11s)을 형성하고,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배치 공간(11s)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처리 공간(10s)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행거 바디(31, 231, 4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4d를 참고하여, 제 1 및 2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150, 250)은 소정의 진동 방향(+X, -X)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기설정된다. 탄성 부재(60)는, 진동 모듈(150, 250)이 상기 직선 왕복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진동 모듈(150, 250)은 행거 바디(231)에 대한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행거 주동부(258)는 진동 모듈(150, 250)와 행거 바디(231)을 연결하여 서로 고정시킨다. 진동 모듈(150, 250) 및 행거 바디(231)는 일체로 진동한다.
진동 모듈(150, 250)은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만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 또는 지지 부재(270)는, 진동 모듈(150, 250)의 왕복 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진동 모듈(150, 250)과 접촉 가능한 리미트(limit)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탄성 부재(60)는, 진동 모듈(150, 250)이 이동함에 따라 탄성력이 커지고, 이에 의해 진동 모듈(150, 250)의 이동(진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7d를 참고하여, 상기 제 3 내지 5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350, 450, 550)은 소정의 중심축(Oc)이 기설정된다. 진동 모듈(350, 450, 550)은 프레임(10)에 대한 상대 위치가 고정된 소정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왕복 운동하게 기설정된다. 지지 부재(470, 570)는 진동 모듈(350, 450, 55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행거 바디(431)와 진동 모듈(350, 450, 550)은 상기 중심축(Oc)과 이격된 소정의 연결축(Oh) 상에서 연결된다. 행거 주동부(458, 558)는 진동 모듈(150, 250)과 일체로 회전 왕복 운동하고, 행거 바디(431)에 형성된 슬릿(431bh)을 따라 전후 방향(+Y, -Y)으로 돌기부(458a, 558a)가 상대 운동하여, 진동 방향(+X, -X)으로의 가진력(Fo(t))만 진동 모듈(350, 450, 550)에서 행거 바디(31)로 전달된다. 탄성 부재(60)는, 진동 모듈(350, 450, 550)이 상기 회전 왕복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된다.
진동 모듈(350, 450, 550)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 또는 지지 부재(470, 570)는, 진동 모듈(350, 450, 55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진동 모듈(350, 450, 550)과 접촉 가능한 리미트(limit)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탄성 부재(60)는, 진동 모듈(350, 450, 550)이 회전함에 따라 탄성력이 커지고, 이에 의해 진동 모듈(350, 450, 55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프레임(10)에 대해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진동 바디(251, 451, 551)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바디(251, 451, 551)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진동 바디(251, 451, 551)는 모터(52)를 지지한다. 진동 바디(251, 451, 551)와 행거 주동부(258, 458, 558)는 서로 고정된다. 진동 바디(251, 451, 551)는 웨이트 샤프트(54)를 지지한다. 진동 바디(251, 451, 551)는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를 지지한다. 진동 바디(251, 451, 551)는 내부에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를 수용할 수 있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회전축(Ow)(Ow1, Ow2)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심부(55)(55, 56)를 포함한다.
도 3a, 도 3b,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한 제 1 및 3 실시예에서, 진동 모듈(150, 350)은 회전축(Ow)를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편심부(55)를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6a 내지 도 7d를 참고한 제 2, 4 및 5 실시예에서, 진동 모듈(250, 450, 550)은, 제 1회전축(Ow, Ow1)를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1편심부(55), 및 상기 제 1회전축(Ow, Ow1)과 동일하거나 평행한 소정의 제 2회전축(Ow, Ow2)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2편심부(56)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제 2 및 4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50, 450)은 동일한 회전축(Ow)을 중심으로 각각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를 포함한다. 제 5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55)은 제 1회전축(Ow1)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1편심부(55), 및 제 1회전축(Ow2)과 서로 다른 제 2회전축(Ow2)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2편심부(56)를 포함한다.
편심부(55, 56)는 진동 바디(51, 251, 451, 55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편심부(55)(55, 56)는 진동 바디(51, 251, 451, 55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웨이트 샤프트(54)(554a, 55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1 내지 4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편심부(55)(55, 56)는 하나의 웨이트 샤프트(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5실시예에 따른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는 각각 서로 다른 제 1웨이트 샤프트(554a) 및 제 2웨이트 샤프트(55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편심부(55, 56)는 전달부(53, 553)와 접촉하여 회전축(Ow, Ow1, Ow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55b, 56b, 555b, 556b)를 포함한다. 회전부(55b, 56b, 555b, 556b)는 전달부(53, 553)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회전부(55b, 56b, 555b, 556b)는 전체적으로 대응하는 회전축(Ow, Ow1, Ow2)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편심부(55, 56)는 대응하는 회전부(55b, 56b, 555b, 556b)에 고정되는 웨이트 부재(55a, 56a, 555a, 556a)를 포함한다. 웨이트 부재(55a, 56a, 555a, 556a)는 대응하는 회전부(55b, 56b, 555b, 556b)와 일체로 회전한다. 웨이트 부재(55a, 56a, 555a, 556a)는 대응하는 회전부(55b, 56b, 555b, 556b)에 비해 비중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 웨이트 부재(55a, 56a, 555a, 556a)는 대응하는 회전축(Ow, Ow1, Ow2)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어, 대응하는 편심부(55, 56)의 무게 편심을 유도한다. 웨이트 부재(55a, 56a, 555a, 556a)는 전체적으로 밑면이 반원형인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적어도 하나의 편심부(55)(55, 56)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2, 55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52, 552)는 진동 바디(251, 451, 551)에 배치된다. 모터(52, 552)는 회전하는 모터축(52a, 552a)을 포함한다. 모터축(52a, 552a)은 전달부(53, 553)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모터(52, 552)의 회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편심부(55)(55, 56)에 전달하는 전달부(53, 5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53, 553)는 진동 바디(251, 451, 551)에 배치된다. 전달부(53, 553)는 기어, 벨트 및/또는 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진동 바디(251, 451, 551)와 행거 바디(31, 231, 431)를 연결하는 행거 주동부(258, 458, 558)를 포함한다. 행거 주동부(258, 458, 558)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과 행거 바디(31, 231, 431)를 연결하도록 기설정된다. 행거 주동부(258, 458, 558)는 진동 바디(251, 451, 551)에 고정된다. 행거 주동부(258, 458, 558)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의 진동을 행거 바디(31, 231, 431)에 전달한다. 행거 주동부(258, 458, 558)는 연결축(Oh) 상에서 진동 바디(251, 451, 551)의 진동을 행거 바디(31, 231, 431)에 전달할 수 있다.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은 탄성 부재(60, 260, 460, 560)의 일단이 걸림되는 탄성 부재 걸림부(259, 459, 559)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 걸림부(259, 459, 559)는 진동 바디(251, 451, 551)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 걸림부(259, 459, 559)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의 운동시 탄성 부재(60, 260, 460, 560)를 가압하거나 탄성 부재(60, 260, 460, 560)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d를 참고하여,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의 동작 메커니즘과 관련된 용어 및 도면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 방향(+X, -X)이란 행거 바디(31, 231, 431)가 왕복 운동을 하도록 기설정된 방향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방향이 진동 방향(+X, -X)으로 기설정된다.
본 설명 전체에서 언급하는 '중심축(Oc), 회전축(Ow, Ow1, Ow2), 및 연결축(Oh)'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회전축(Ow, Ow1, Ow2)은 대응하는 편심부(55, 56)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가상의 직선을 의미한다. 회전축(Ow, Ow1, Ow2)은 진동 모듈(251, 451, 551)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즉, 진동 바디(251, 451, 551)가 운동하더라도, 회전축(Ow, Ow1, Ow2)은 진동 바디(251, 451, 551)와 일체로 운동하며 진동 바디(251, 451, 551)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유지한다. 회전축(Ow, Ow1, Ow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축(Ow, Ow1, Ow2)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Ow, Ow1, Ow2) 상에 배치되는 웨이트 샤프트(54, 554a, 554b)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Ow, Ow1, Ow2)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로서 편심부(55, 56) 및 진동 바디(251, 451, 551) 중 어느 하나에서 회전축(Ow, Ow1, Ow2)을 따라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서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축(Ow, Ow1, Ow2)은 상기 진동 방향(+X, -X)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은 상기 진동 방향(+X, -X)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축(Oh)은,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의 진동 발생에 따라 행거 바디(251, 451, 551)에 가해지는 가진력(Fo(t))의 작용점이 배치는 가상의 직선을 의미한다. 상기 연결축(Oh)은 상기 가진력(Fo(t))의 작용점을 지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연결축(Oh)은 진동 바디(251, 451, 551)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다. 즉, 진동 바디(251, 451, 551)가 운동하더라도, 연결축(Oh)은 진동 바디(251, 451, 551)와 일체로 운동하며 진동 바디(251, 451, 551)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유지한다.
도 5a 내지 도 7d를 참고한 제 3 내지 5 실시예에서, 중심축(Oc)은 진동 모듈(350, 450, 550)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가상의 직선을 의미한다. 중심축(Oc)은 프레임(10)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가상의 직선이다. 중심축(Oc)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중심축(Oc)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 부재(70)에서 중심축(Oc)을 따라 돌출된 중심 축부(475, 575)가 형성되고, 진동 바디(451, 551)에 상기 중심 축부(475, 575)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중앙 홈(551h)이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축(Oc)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 바디(451, 551)에서 중심축(Oc)을 따라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지지 부재(470, 570)에 상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 내지 도 7d를 참고한 상기 제 3 내지 5 실시예에서, 회전축(Ow, Ow1, Ow2)은 중심축(Oc)과 평행하게 이격된다. 이를 통해, 편심부(55, 56)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F1, F2)으로 진동 모듈(350, 450, 550)을 효율적으로 회전 진동 운동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7d를 참고한 상기 제 3 내지 5 실시예에서, 연결축(Oh)은 중심축(Oc)과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진동 모듈(350, 450, 550)의 회전 왕복 운동(호 운동)이 행거 바디(31, 431)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되도록, 진동 모듈(350, 450, 550)과 행거 바디(31, 431)이 서로 연결된다.
도 5a 내지 도 7d를 참고한 상기 제 3 내지 5 실시예에서, 원주 방향(Dl)은,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을 의미하며, 시계 방향(Dl1) 및 반시계 방향(Dl2)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시계 방향(Dl1) 및 반시계 방향(Dl2)은, 중심축(Oc)의 연장 방향(+Z, -Z) 중 어느 한 방향(+Z)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된다. 또한, 직경 방향(Dr)은, 중심축(Oc)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의미하며, 원심(遠心) 방향(Dr1) 및 근심(近心) 방향(Dr2)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원심 방향(Dr1)은 중심축(O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근심 방향(Dr2)은 중심축(Oc)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 3 내지 5 실시예에서, 편심부(55)의 회전에 따른 회전축(Ow, Ow1)에 대한 원심력(F1)의 방향이 원주 방향(Dl)이 될 때 상기 원심력(F1)은 진동 모듈(350, 450, 550)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을 유도한다.
상기 제 3 내지 5실시예에서, 편심부(55)의 회전에 따른 회전축(Ow, Ow1)에 대한 원심력(F1)의 방향이 직경 방향(Dr)이 될 때 상기 원심력(F1)은 진동 모듈(350, 450, 550)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을 유도하지 않는다.
상기 제 4 및 5실시예에서, 제 1편심부(55)의 회전에 따른 회전축(Ow, Ow1)에 대한 원심력(F1)의 방향이 원주 방향(Dl)이 될 때 상기 원심력(F1)은 진동 모듈(450, 550)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을 유도하고, 제 2편심부(56)의 회전에 따른 회전축(Ow, Ow2)에 대한 원심력(F2)의 방향이 원주 방향(Dl)이 될 때 상기 원심력(F2)는 진동 모듈(450, 550)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을 유도한다.
상기 제 4 및 5실시예에서, 제 1편심부(55)의 회전에 따른 회전축(Ow, Ow1)에 대한 원심력(F1)의 방향이 직경 방향(Dr)이 될 때 상기 원심력(F1)은 진동 모듈(450, 550)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을 유도하지 않으며, 제 2편심부(56)의 회전에 따른 회전축(Ow, Ow2)에 대한 원심력(F2)의 방향이 직경 방향(Dr)이 될 때 상기 원심력(F2)는 진동 모듈(450, 550)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을 유도하지 않는다.
도 3a 내지 도 7d에는, 편심부(55, 56)의 무게 중심(m, m1, m2), 무게 중심(m, m1, m2)의 대응하는 회전축(Ow, Ow1, Ow2)에 대한 회전 반경(r, r1, r2), 및 편심부(55, 56)의 대응하는 회전축(Ow, Ow1, Ow2)을 중심으로 한 각속력(w)이 도시된다.
또한, 도 5a 내지 도 7d에는, 중심축(Oc)과 회전축(Ow, Ow1, Ow2) 사이의 거리(A, A1, A2), 중심축(Oc)과 연결축(Oh) 사이의 거리(B), 및 진동 모듈(350, 450, 550)이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θ)이 추가로 도시된다.
도 3a 내지 도 7d에는 회전축(Ow, Ow1)에 대한 편심부(55)의 원심력(F1)의 방향이 도시되고, 도 4a 내지 도 4d 및 도 6a 내지 도 7d에는 회전축(Ow, Ow2)에 대한 편심부(56)의 원심력(F2)의 방향이 추가로 도시된다. 상기 원심력(F1, F2)은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에 가해진다.
가진력(Fo(t))은, 상기 원심력(F1, F2)에 의해 행거 바디(31, 231, 431)에 가해지는 힘으로서, 시간(t)에 따른 진동 방향(+X, -X)의 외력을 의미한다. 또한, Fo는 진동 방향(+X, -X)의 외력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식
Figure pat00002
이 만족될 수 있다.
1개의 편심부(55)가 구비된 상기 제 1 및 3 실시예(도 3a, 도 3b, 도 5a 및 도 5b 참고)에서, 상기 원심력(F1)의 크기는
Figure pat00003
이다. 원심력(F1)는 진동 모듈(150, 350)에 가해지며, 원심력(F1)의 작용점은 각각 회전축(Ow) 상의 위치가 된다.
2개의 편심부(55, 56)이 구비된 상기 제 2, 4 및 5 실시예(도 4a 내지 도 4d 및 도 6a 내지 도 7d)에서, 상기 원심력(F1)의 크기는
Figure pat00004
이고, 상기 원심력(F2)의 크기는
Figure pat00005
이다. 원심력(F1, F2)는 진동 모듈(250, 450, 550)에 가해지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의 작용점은 각각 회전축(Ow, Ow1) 및 회전축(Ow, Ow2) 상의 위치가 된다.
상기 제 2, 4 및 5 실시예에서, 상기 원심력(F1) 및 상기 원심력(F2)은, 상기 진동 방향(+X, -X)으로 가진력(Fo(t))를 발생시킬때 서로 보강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 2, 4 및 5 실시예에서, 상기 원심력(F1) 및 상기 원심력(F2)은, 상기 진동 방향(+X, -X)으로 가진력(Fo(t))를 발생시키지 않을 때 서로 상쇄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의 작용 방향은 서로 반대이며 서로 같은 작용선 상에서 힘이 가해지므로, 원심력(F1)과 원심력(F2)의 합력의 크기는 원심력(F1)의 크기와 원심력(F2)의 크기의 차이값과 같아진다. 이에 따라, 원심력(F1)과 원심력(F2) 중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의해 상쇄된다.
여기서,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소정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t))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 서로 '완전 상쇄'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스칼라량
Figure pat00006
및 스칼라량
Figure pat00007
이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두가지 조건(r1=r2, m1=m2)이 만족되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회전 반경(r1) 및 회전 반경(r2)가 서로 다르고 무게(m1) 및 무게(m2)가 서로 다르더라도,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가 서로 동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의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이 서로 완전 상쇄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4 및 5 실시예에서,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는 서로 같은 각속력(w)으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의 회전에 따른 주기적인 원심력(F1, F2)의 보강 및 상쇄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각속력(angular speed)이란 회전 방향을 가지고 있지 않고 크기만 가지고 있는 스칼라(scalar)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회전 방향 및 크기를 가지고 있는 벡터(vector)인 각속도(angular velocity)와 구분되는 의미이다. 즉, 제 1편심부(55)의 각속력(w)과 제 2편심부(56)의 각속력(w)이 서로 동일하는 것은,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하다는 의미를 내포하지 않는다. 상기 제 2 및 4실시예에서, 제 1편심부(55)의 각속력(w)과 제 2편심부(56)의 각속력(w)이 서로 동일하더라도,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가 서로 반대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5실시예에서, 제 1편심부(55)의 각속력(w)과 제 2편심부(56)의 각속력(w)이 서로 동일하고 서로 같은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2, 4 및 5 실시예에서, ⅰ제 1편심부(55)의 제 1회전축(Ow, Ow1)과 중심축(Oc) 사이의 거리(A, A1) 및 ⅱ제 2편심부(56)의 제 2회전축(Ow2)과 중심축(Oc) 사이의 거리(A, A2)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4 및 5 실시예에서, 상기 제 1회전축(Ow, Ow1) 및 제 2회전축(Ow, Ow2)은, 중심축(Oc)으로부터 서로 같은 방향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중심축(Oc),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은 하나의 가상의 직선과 수직하게 교차하며 배치된다.
제 2 및 4 실시예에서 제 1회전축(Ow) 및 제 2회전축(Ow)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중심축(Oc)으로부터 이격된다.
제 5실시예에서 제 1회전축(Ow1) 및 제 2회전축(Ow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중심축(Oc)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를 통해, 진동 모듈(550)이 중심축(Oc)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편심되어 구조에 무리가 갈 수 있는 위험이 저감된다.
이하, 도 3a 내지 도 7d을 참고하여, 각 실시예별 가진력(Fo(t))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가진력(Fo(t))은, 편심부(55, 56)가 어느 한 특정의 각속력(w)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를 전제하여 구해진다.
도 3a 내지 도 4d를 참고한 제 1 및 2 실시예에서, 편심부(55, 56)의 회전에 따른 대응하는 회전축(Ow)에 대한 원심력(F1, F2)의 방향이 진동 방향(+X, -X)이 될 때, 상기 원심력(F1, F2)은 진동 모듈(150, 250)의 진동 방향(+X, -X)의 직선 운동을 유도한다. 또한, 편심부(55, 56)의 회전에 따른 대응하는 회전축(Ow)에 대한 원심력(F1, F2)의 방향이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이 될 때, 상기 원심력(F1, F2)은 진동 모듈(150, 250)의 진동 방향(+X, -X)의 직선 운동을 유도하지 않는다.
도 5a 내지 도 7d를 참고한 제 3 내지 5 실시예에서, 편심부(55, 56)의 회전에 따른 대응하는 회전축(Ow, Ow1, Ow2)에 대한 원심력(F1, F2)의 방향이 원주 방향(Dl)이 될 때, 상기 원심력(F1, F2)은 진동 모듈(350, 450, 550)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을 유도한다. 또한, 편심부(55, 56)의 회전에 따른 대응하는 회전축(Ow, Ow1, Ow2)에 대한 원심력(F1)의 방향이 직경 방향(Dr)이 될 때, 상기 원심력(F1, F2)은 진동 모듈(350, 450, 550)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을 유도하지 않는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한 제 1실시예에서, 일정한 각속력(w)으로 회전 운동하는 편심부(55)가 180도씩 회전한 각 순간의 상태를 보여준다. 진동 모듈(150)은 행거 바디(31)와 일체로 진동하는 바, 가진력(Fo(t))은 원심력(F1)의 진동 방향(+X, -X) 상의 힘으로 계산될 수 있다.
도 3a를 참고하여, 원심력(F1)에 의한 +X축 방향으로 진동 모듈(150)에 작용하는 가진력이 최대값(Fo)이 된다. 여기서,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F1이다.
도 3b를 참고하여, 원심력(F1)에 의한 -X축 방향으로 진동 모듈(150)에 작용하는 가진력(Fo(t))이 최대값(Fo)이 된다. 여기서, 가진력은 -X축 방향으로 F1이다.
따라서, 상기 제 1실시예에 따른 가진력(Fo(t))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구해진다.
Figure pat00010
이하, 도 4a 내지 도 4d를 참고한 제 2실시예에서, 같은 일정한 각속력(w)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가 90도씩 회전한 각 순간의 상태를 보여준다. 진동 모듈(250)은 행거 바디(31)와 일체로 진동하는 바, 가진력(Fo(t))은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의 진동 방향(+X, -X) 상의 합력으로 계산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c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모듈(250)에 진동 방향(+X, -X)으로 가해질 때 서로 보강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는 F1+F2이다.
도 4b 및 도 4d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모듈(250)에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가해질 때 서로 반대 방향이 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t))는 0이다. 또한,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의 가진력은
Figure pat00011
이다. 바람직하게는,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의 가진력은 0가 되게 기설정된다.
도 4a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서로 보강되어 +X축 방향으로 진동 모듈(250)에 작용한다.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가진력은 +X축 방향으로 최대값(Fo)이 된다. 여기서,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Figure pat00012
이다.
도 4b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방향(+X, -X)으로 진동 모듈(250)에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의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서로 상쇄된다.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은 0이 된다.
도 4c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서로 보강되어 -X축 방향으로 진동 모듈(250)에 작용한다.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가진력은 -X축 방향으로 최대값(Fo)이 된다. 여기서,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Figure pat00013
이다.
도 4d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방향(+X, -X)으로 진동 모듈(250)에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서로 반대 방향의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서로 상쇄된다.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은 0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가진력(Fo(t))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구해진다.
Figure pat00014
여기서, m1r1=m2r2 인 경우, 식
Figure pat00015
이 만족된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한 제 3실시예에서, 일정한 각속력(w)으로 회전 운동하는 편심부(55)가 180도씩 회전한 각 순간의 상태를 보여준다. 진동 모듈(350)은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바, 가진력(Fo)은 원심력(F1)에 모멘트 팔길이(A, B)를 고려하여 연결축(Oh) 상의 작용점을 가진 외력으로 변환하여 계산될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여, 시계 방향(Dl1)으로 회전축(Ow)에 대해 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진동 모듈(350)은 시계 방향(Dl1)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고,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가진력은 -X축 방향으로 최대값(Fo)이 된다. 여기서,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Figure pat00016
이다.
도 5b를 참고하여, 반시계 방향(Dl2)으로 회전축(Ow)에 대해 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진동 모듈(350)은 반시계 방향(Dl2)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고,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가진력은 +X축 방향으로 최대값(Fo)이 된다. 여기서,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Figure pat00017
이다.
따라서, 상기 제 3실시예에 따른 가진력(Fo(t))는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구해진다.
Figure pat00018
이하,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한 제 4실시예에서, 같은 일정한 각속력(w)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가 90도씩 회전한 각 순간의 상태를 보여준다. 진동 모듈(450)은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바, 가진력(Fo)은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의 합력을 모멘트 팔길이(A, B)를 고려하여 연결축(Oh) 상의 작용점을 가진 외력으로 변환하여 계산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c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모듈(450)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때 서로 보강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모멘트(
Figure pat00019
)는 가진력(Fo)에 의한 모멘트(
Figure pat00020
)와 등가인 바, Fo는
Figure pat00021
이 된다.
도 6b 및 도 6d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모듈(450)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 서로 반대 방향이 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t))는 0이다. 또한,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의 가진력은
Figure pat00022
이다. 바람직하게는,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의 가진력은 0가 되게 기설정된다.
도 6a를 참고하여, 시계 방향(Dl1)으로 제 1회전축(Ow)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시계 방향(Dl1)으로 제 2회전축(Ow)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진동 모듈(450)은 시계 방향(Dl1)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고,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가진력은 -X축 방향으로 최대값(Fo)이 된다. 여기서,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Figure pat00023
이다.
도 6b를 참고하여, 원심 방향(Dr1)으로 제 1회전축(Ow)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근심 방향(Dr2)으로 제 2회전축(Ow)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모듈(450)의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가진력은 0이 된다.
도 6c를 참고하여, 반시계 방향(Dl2)으로 제 1회전축(Ow)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반시계 방향(Dl2)으로 제 2회전축(Ow)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진동 모듈(450)은 반시계 방향(Dl2)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고,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가진력은 +X축 방향으로 최대값(Fo)이 된다. 여기서,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Figure pat00024
이다.
도 6d를 참고하여, 근심 방향(Dr2)으로 제 1회전축(Ow)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원심 방향(Dr1)으로 제 2회전축(Ow)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모듈(450)의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가진력은 0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 4실시예에 따른 가진력(Fo(t))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구해진다.
Figure pat00025
여기서, m1r1=m2r2 인 경우, 식
Figure pat00026
이 만족된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d를 참고한 제 5실시예에서, 같은 일정한 각속력(w)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가 90도씩 회전한 각 순간의 상태를 보여준다. 진동 모듈(550)은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바, 가진력(Fo)은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의 합력을 모멘트 팔길이(A1, A2, B)를 고려하여 연결축(Oh) 상의 작용점을 가진 외력으로 변환하여 계산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c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모듈(550)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때 서로 보강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모멘트(
Figure pat00027
)는 가진력(Fo)에 의한 모멘트(
Figure pat00028
)와 등가인 바, Fo는
Figure pat00029
이 된다.
도 7b 및 도 7d를 참고하여,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모듈(550)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한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 서로 반대 방향이 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Fo(t))은 0이다. 또한,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의 가진력은
Figure pat00030
이다. 바람직하게는, 원심력(F1) 및 원심력(F2)에 의한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Y, -Y)의 가진력은 0가 되게 기설정된다.
도 7a를 참고하여, 시계 방향(Dl1)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시계 방향(Dl1)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진동 모듈(550)은 시계 방향(Dl1)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고,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가진력은 -X축 방향으로 최대값(Fo)이 된다. 여기서,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Figure pat00031
이다.
도 7b를 참고하여, 근심 방향(Dr2)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근심 방향(Dr2)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모듈(550)의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가진력은 0이 된다.
도 7c를 참고하여, 반시계 방향(Dl2)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반시계 방향(Dl2)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F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진동 모듈(550)은 반시계 방향(Dl2)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고,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가진력은 +X축 방향으로 최대값(Fo)이 된다. 여기서, 가진력(Fo)은 +X축 방향으로
Figure pat00032
이다.
도 7d를 참고하여, 원심 방향(Dr1)으로 제 1회전축(Ow1)에 대해 제 1편심부(55)가 원심력(F1)을 발생시킬 때, 원심 방향(Dr1)으로 제 2회전축(Ow2)에 대해 제 2편심부(56)가 원심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원심력(F1) 및 원심력(F2)은 진동 모듈(550)의 회전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연결축(Oh) 상에서 행거 바디(31)에 전달되는 가진력은 0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 5실시예에 따른 가진력(Fo(t))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구해진다.
Figure pat00033
여기서, m1r1=m2r2 이고 A1=A2인 경우, 식
Figure pat00034
이 만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7d을 참고하여, 가진력(Fo(t))에 따른 강제 진동 운동 방정식 및 그에 따른 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진력(Fo(t))에 따른 진동 운동 방정식은 다음의 수학식 6에 따른 2차 상미분 방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구하고자 하는 값은, 시간(t)에 따른 진동 방향(+X, -X) 상 연결축(Oh)의 위치(x(t))이다.
Figure pat00035
여기서, p1, p2 및 p3는 0보다 큰 상수이다.
상기 수학식 6의 과도해(transient solution)(x1(t))는 다음의 수학식 7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36
여기서,
Figure pat00037
는 일반해(general solution)이고,
Figure pat00038
는 특수해(particular solution)이다.
상기 수학식 7에서 일반해(
Figure pat00039
)는 상기 수학식 6의 상수들(p1, p2, p3)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해로서, 알려진 바와 같이 시간(t)이 무한대(∞)로 발산할 때 일반해(
Figure pat00040
)는 0으로 수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학식 7에서 특수해(
Figure pat00041
)는 상기 수학식 6의 상수들(p1, p2, p3) 및 가진력(Fo(t))에 의해 결정되는 해이다.
상기 과도해(
Figure pat00042
)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의 작동이 없는 최초 시점(t=0)에서 작동이 시작되는 초기 시간 구간에서 매우 일시적으로 발생되는 현상까지 포함하는 해로서, 본 발명의 고려 사항이 아니다.
본 발명의 고려 사항은 이미 작동 중인 상태에서 상기 일반해(
Figure pat00043
)가 근사적으로 0이 된 상태(정상상태; steady-state)의 해인 정상상태 해(steady-state solution)(x2(t))이다. 상기 수학식 6의 정상상태 해(x2(t))는 다음의 수학식 8과 같다.
Figure pat00044
이하, 상기 수학식 6의 해(x(t))는 상기 수학식 8의 정상상태 해(x2(t))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수학식 6의 해(x(t))는 가진력(Fo(t))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본 발명에서 가진력(Fo(t))은
Figure pat00045
의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수학식 6의 해(x(t))는 알려진 2차 상미분 방정식의 풀이법에 의해 다음의 수학식 9와 같이 구해진다.
Figure pat00046
여기서,
Figure pat00047
,
Figure pat00048
,
Figure pat00049
,
Figure pat00050
,
Figure pat00051
상기 X(w)는, 어느 한 각속력(w)에 의한 정상상태에서 행거 바디(33)의 진동 방향(+X, -X)의 진폭(X(w))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Figure pat00052
는 가진력(Fo(t))과 해(x(t))의 위상차(
Figure pat00053
)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Figure pat00054
은 고유 각속력(
Figure pat00055
)이라 지칭할 수 있고,
Figure pat00056
는 고유 진동수(고유 주파수)(natural frequency)라 지칭할 수 있다.
계수(p2)가 0이라고 가정할 때, 각속력(w)이 상기 고유 각속력(
Figure pat00057
)에 근접하면 공진(resonance)이 발생한다.
실제적으로, 계수(p2)는 0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미 알려진 진동 방정식의 풀이에 따라 다음의 수학식 10이 만족되면, 편심부(55, 56)의 각속력(w)이 고유 각속력(
Figure pat00058
)의 근처의 어느 하나의 값(wmax)에서 진폭(X(w))이 최대값(피크값)(X(wmax))을 가지게 된다.
Figure pat00059
Figure pat00060
보다 많이 클수록, 도 2의 그래프와 같이 진폭(X(w))의 피크 형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되고, 피크값(X(wmax))가 더욱 커지게된다. 알려진 풀이법에 따라, 상기 피크값(X(wmax))은 p2 > 0일 때 유한하다. 또한, p2 > 0일 때 알려진 풀이법에 따라, 상기 값(wmax)은 하나의 값으로 구해지고, p2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고, p2가 0에 접근함에 따라 고유 각속력(wn)에 접근한다.
Figure pat00061
한편, 상기 수학식 10이 불만족(
Figure pat00062
)하면, 상기 피크값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진폭(X(w))은 w가 증가함에 따라 단조적으로 감소(decreasesing monotonously)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학식 10이 만족되도록 기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행거 바디(31)의 진동수(
Figure pat00063
) 및 진폭(X(w))을 더욱 다양하게 제어하기 용이해진다.
이하, 도 3a 내지 도 7d을 참고하여, 각 실시예별 강제 진동 운동 방정식 및 그에 따른 각종 성질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각 실시예별 강제 진동 운동 방정식은, 가진력(Fo(t))이 관성력, 감쇠력 및 탄성력의 합력과 같다는 점을 이용한다. 여기서, 감쇠력은 행거 모듈(30) 및 진동 모듈(50)의 구조적 요인 및/또는 행거 바디(31)에 걸린 의류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도 3a 내지 7d에서, 편의상 감쇠 계수(c)를 개념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감쇠 계수(c)는 연결축(Oh)의 진동 방향(+X, -X) 위치(x) 이동에 대해 적용되는 것으로 본다.
도 3a 내지 7d에서, 편의상 탄성 계수(k)를 개념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탄성 계수(k)는 연결축(Oh)의 진동 방향(+X, -X) 위치(x) 이동에 대해 적용되는 인장 또는 압축 탄성계수일 수도 있고, 진동 모듈(50)의 중심축(Oc)에 대한 회전각(θ)에 대해 적용되는 토션 탄성계수일 수도 있다. 이하, 제 1 내지 4실시예에서는 탄성계수(k)가 상기 인장 또는 압축 탄성계수인 것으로 보고 계산하며, 제 5실시예에서는 탄성계수(k)가 상기 토션 탄성계수인 것으로 보고 계산한다. 여기서, 인장 또는 압축 탄성계수란 인장 또는 압축 길이(x)에 비례하는 탄성력에 대한 탄성계수를 의미하고, 토션 탄성계수란 진동 모듈(350, 450, 550)의 회전각(θ)에 비례하는 탄성력에 대한 탄성계수를 의미한다.
각 실시예별 후술할 수학식 11, 12, 13, 14 및 15의 진동 운동 방정식을 상기 수학식 6과 비교하여, 상기 수학식 6의 각 계수들(p1, p2, p3)의 값이 구해진다. 또한, 각 실시예별 가진력(Fo(t))는 상기 수학식 1 내지 5과 같이 구해지는 것은 상술한 바 있다.
실시예별로, 상기 수학식 9 및 수학식 10에 구해진 계수들(p1, p2, p3) 및 구해진 가진력(Fo(t))을 대입함으로써, 각 실시예 별 해(x(t)) 및 진폭(X(w))를 구할 수 있고(상기 수학식 9 참고), 상기 피크값(H(wmax))이 있을 조건(상기 수학식 10 참고)도 알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한 상기 제 1실시예의 ⅰ강제 진동 운동 방정식, ⅱ진폭(X(w)) 및 ⅲ고유 각속력(
Figure pat00064
), 및 ⅳ피크값이 있을 조건은, 다음의 수학식 11과 같다.
Figure pat00065
(ⅱ)진폭:
Figure pat00066
(ⅲ)고유 각속력:
Figure pat00067
(ⅳ)피크값이 있을 조건:
Figure pat00068
여기서, m은 편심부(55)의 질량이고, r은 편심부(55)의 무게중심의 회전축(Ow)에 대한 회전 반경이고, M은 진동 방향(+X, -X)으로 이동하는 진동 모듈(150) 및 행거 바디(31)의 질량이고, k는 탄성 부재(60)의 진동 방향(+X, -X) 인장 또는 압축 탄성계수이고, c는 진동 방향(+X, -X)에 대한 감쇠 계수이다. 참고적으로,
Figure pat00069
은 관성력이고,
Figure pat00070
은 감쇠력이며,
Figure pat00071
은 탄성력이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d를 참고한 상기 제 2실시예의 ⅰ강제 진동 운동 방정식, ⅱ진폭(X(w)) 및 ⅲ고유 각속력(
Figure pat00072
), 및 ⅳ피크값이 있을 조건은, 다음의 수학식 12와 같다.
Figure pat00073
(ⅱ)진폭:
Figure pat00074
(ⅲ)고유 각속력:
Figure pat00075
(ⅳ)피크값이 있을 조건:
Figure pat00076
여기서, m1은 제 1편심부(55)의 질량이고, m2는 제 2편심부(56)의 질량이고, r1은 제 1편심부(55)의 무게중심의 회전축(Ow)에 대한 회전 반경이고, r2는 제 2편심부(56)의 무게중심의 회전축(Ow)에 대한 회전 반경이고, M은 진동 방향(+X, -X)으로 이동하는 진동 모듈(250) 및 행거 바디(31)의 질량이고, k는 탄성 부재(60)의 진동 방향(+X, -X) 인장 또는 압축 탄성계수이고, c는 진동 방향(+X, -X)에 대한 감쇠 계수이다. m1r1=m2r2 인 경우, 진폭
Figure pat00077
이 만족한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한 상기 제 3실시예의 ⅰ강제 진동 운동 방정식, ⅱ진폭(X(w)) 및 ⅲ고유 각속력(
Figure pat00078
), 및 ⅳ피크값이 있을 조건은, 다음의 수학식 13과 같다.
Figure pat00079
근사적으로
Figure pat00080
,
Figure pat00081
,
Figure pat00082
가 성립하므로, 이를 대입하면,
Figure pat00083
양변에 B를 곱하면,
(
Figure pat00084
(ⅱ)진폭:
Figure pat00085
(ⅲ)고유 각속력:
Figure pat00086
(ⅳ)피크값이 있을 조건:
Figure pat00087
여기서, A는 중심축(Oc)과 회전축(Ow) 사이의 거리이고, B는 중심축(Oc)과 연결축(Oh) 사이의 거리이고, m은 편심부(55)의 질량이고, r은 편심부(55)의 무게중심의 회전축(Ow)에 대한 회전 반경이고,
Figure pat00088
는 진동 모듈(350)의 중심축(Oc)에 대한 관성 모멘트이고, M은 진동 방향(+X, -X)으로 이동하는 행거 바디(31)의 질량이고, k는 탄성 부재(60)의 진동 방향(+X, -X) 인장 또는 압축 탄성계수이고, c는 진동 방향(+X, -X)에 대한 감쇠 계수이다. 참고적으로,
Figure pat00089
은 회전 관성력이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한 상기 제 4실시예의 ⅰ강제 진동 운동 방정식, ⅱ진폭(X(w)) 및 ⅲ고유 각속력(
Figure pat00090
), 및 ⅳ피크값이 있을 조건은, 다음의 수학식 14과 같다.
Figure pat00091
근사적으로
Figure pat00092
,
Figure pat00093
,
Figure pat00094
가 성립하므로, 이를 대입하면,
Figure pat00095
양변에 B를 곱하면,
(
Figure pat00096
(ⅱ)진폭:
Figure pat00097
(ⅲ)고유 각속력:
Figure pat00098
(ⅳ)피크값이 있을 조건:
Figure pat00099
여기서, A는 중심축(Oc)과 회전축(Ow) 사이의 거리이고, B는 중심축(Oc)과 연결축(Oh) 사이의 거리이고, m1은 제 1편심부(55)의 질량이고, m2은 제 2편심부(56)의 질량이고, r1은 제 1편심부(55)의 무게중심의 회전축(Ow)에 대한 회전 반경이고, r2는 제 2편심부(56)의 무게중심의 회전축(Ow)에 대한 회전 반경이고,
Figure pat00100
는 진동 모듈(450)의 중심축(Oc)에 대한 관성 모멘트이고, M은 진동 방향(+X, -X)으로 이동하는 행거 바디(31)의 질량이고, k는 탄성 부재(60)의 진동 방향(+X, -X) 인장 또는 압축 탄성계수이고, c는 진동 방향(+X, -X)에 대한 감쇠 계수이다. m1r1=m2r2 인 경우, 진폭
Figure pat00101
이 만족한다.
이하, 도 7a 내지 도 7d를 참고한 상기 제 5실시예의 ⅰ강제 진동 운동 방정식, ⅱ진폭(X(w)) 및 ⅲ고유 각속력(
Figure pat00102
), 및 ⅳ피크값이 있을 조건은, 다음의 수학식 15와 같다.
Figure pat00103
근사적으로
Figure pat00104
,
Figure pat00105
,
Figure pat00106
가 성립하므로, 이를 대입하면,
Figure pat00107
양변에 B를 곱하면,
Figure pat00108
(ⅱ)진폭:
Figure pat00109
(ⅲ)고유 각속력:
Figure pat00110
(ⅳ)피크값이 있을 조건:
Figure pat00111
여기서, A1는 중심축(Oc)과 제 1회전축(Ow1) 사이의 거리이고, A2는 중심축(Oc)과 제 2회전축(Ow2) 사이의 거리이고, B는 중심축(Oc)과 연결축(Oh) 사이의 거리이고, m1은 제 1편심부(55)의 질량이고, m2은 제 2편심부(56)의 질량이고, r1은 제 1편심부(55)의 무게중심의 제 1회전축(Ow1)에 대한 회전 반경이고, r2는 제 2편심부(56)의 무게중심의 제 2회전축(Ow2)에 대한 회전 반경이고,
Figure pat00112
는 진동 모듈(550)의 중심축(Oc)에 대한 관성 모멘트이고, M은 진동 방향(+X, -X)으로 이동하는 행거 바디(31)의 질량이고,
Figure pat00113
는 탄성 부재(60)의 회전각(θ)에 대한 토션 탄성계수이고, c는 진동 방향(+X, -X)에 대한 감쇠 계수이다. m1r1=m2r2 이고 A1=A2인 경우, 진폭
Figure pat00114
이 만족한다.
이하, 도 2를 참고하여, 각각의 각속력(w)에 따른 정상상태(steady-state)에서 행거 바디(33)의 진폭(X(w))을 보여주는 그래프의 예시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편심부(55, 56)의 각속력(w)이 변경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편심부(55, 56)의 각속력(w)를 변경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진동 모듈(50, 150, 250, 350, 450, 550)의 진동 운동을 정상상태(steady-state)에 도달시키는 각속력(w)이 2개 이상 기설정된다는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의류 처리 장치(1)는 편심부(55, 56)의 각속력(w)를 변경하여,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정상상태를 가지도록 기설정된다.
이를 위해, 의류 처리 장치(1)는,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상기 각속력(w)이 각각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 시간이란, 상기 정상상태가 되기 위한 충분한 시간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시간은 5초 정도만 되어도 충분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의류 처리 장치(1)는, 편심부(55, 56)의 각속력(w)을 변경 제어하여, 행거 바디(31)의 진동수(
Figure pat00115
)가 상대적으로 작고 진폭(X(w1))이 상대적으로 큰 제 1모드(mode1)와, 행거 바디(31)의 진동수(
Figure pat00116
)가 상대적으로 크고 진폭(X(w2))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 2모드(mode2)를 수행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통해, 행거 바디(31)의 모션을 더욱 다양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모드(mode1)를 통해 의류를 큰 진폭(X(w))으로 느리게 진동시키거나, 상기 제 2모드(mode2)를 통해 의류를 작은 진폭(X(w))으로 터는 대신 빠르게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모드(mode1)에서 편심부(55, 56)의 제 1각속력(w1)을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하고, 상기 제 2모드(mode2)에서 편심부(55, 56)의 제 2각속력(w2)를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한다. 상기 제 1각속력(w1)보다 상기 제 2각속력(w2)이 더 크게 기설정된다.
상기 제 1모드(mode1)의 진동수(
Figure pat00117
)가 상기 제 2모드(mode2)의 진동수(
Figure pat00118
)보다 상기 고유 진동수(
Figure pat00119
)에 가깝도록 기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2 실시예에서, 상기 수학식 11 및 수학식 12를 참고하여, 상기 제 1모드(mode1)의 진동수(
Figure pat00120
)가 상기 제 2모드(mode2)의 진동수(
Figure pat00121
)보다
Figure pat00122
에 가깝도록 기설정된다. 상기 제 3 내지 5 실시예에서, 상기 수학식 13 내지 수학식 15를 참고하여, 상기 제 1모드(mode1)의 진동수(
Figure pat00123
)가 상기 제 2모드(mode2)의 진동수(
Figure pat00124
)보다
Figure pat00125
또는
Figure pat00126
에 가깝도록 기설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모드(mode1)에서 보다 큰 진폭을 유도할 수 있고, 상기 제 2모드(mode2)에서 제품에 무리없이 큰 진동수를 유도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각속력(w)이 0보다 큰 특정값(wmax)일 때 행거 바디(31)의 진동의 정상상태의 진폭이 피크값(X(wmax))을 가지도록 기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수학식 11 내지 수학식 15를 참고하여, 피크값이 있을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상기 제 1 및 2 실시예의 상기 수학식 11 및 수학식 12를 참고하여, 상기 M 및 k는, 행거 바디(31, 231)에 걸을 수 있는 의류의 최대/최소 범위와 오차범위(안전치)까지 고려하여 c의 최대치를 가정하더라도,
Figure pat00127
이 만족되도록 기설정함으로써, 상기 피크값(X(wmax))을 가지도록 의류 처리 장치(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내지 5 실시예에서 상기 수학식 13 내지 수학식 15를 참고하여, 상기 I 및 k는, 행거 바디(31, 431)에 걸을 수 있는 의류의 최대/최소 범위와 오차범위(안전치)까지 고려하여 c의 최대치를 가정하더라도, 소정값(I, M, k, B에 의해 결정되는 소정값)
Figure pat00128
이 만족되도록 기설정함으로써, 상기 피크값(X(wmax))을 가지도록 의류 처리 장치(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내지 5실시예에서, 상기 수학식 13 내지 수학식 15를 참고하여, 상기 거리(A, A1, A2)가 크게 기설정될수록, 동일한 각속력(w)으로도 더 큰 진폭(X(w))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거리(B)가 0에 접근하면 X(w)의 분자값이 0에 접근하므로 소정 수준 이상의 거리(B)가 확보되어야 하나, B값이 커지면 X(w)의 분모값도 같이 커지므로, 동일한 각속력(w)으로 효율적으로 큰 진폭(X(w))을 얻기 위해서는 '중심축(Oc)과 연결축(Oh) 사이의 거리(B)보다 '중심축(Oc)과 회전축(Ow, Ow1, Ow2) 사이의 거리(A, A1, A2)가 크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론 및 실험을 거친 결과, 중심축(Oc)과 연결축(Oh) 사이의 거리(B)에 대한 상기 중심축과 상기 회전축 사이의 거리(A)의 비율(A/B)은 2.6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비율(A/B)은 프레임(10)에 의해 최대치가 제한된다. 즉, 진동 모듈은 케비닛 내부에 배치되는바 상기 거리(A)는 어느 수준 이상으로 길어질 수 없다.
이하, 도 8 내지 도 24를 참고하여, 상기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들의 구조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에 따른 구조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구조적 구현이 아래의 예시들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아래의 예시들은 상기 제 2, 4 및 5실시예에 대한 구조적 예시들이나, 이를 토대로 상기 제 1 및 3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바 제 1 및 3실시예에 대한 구조 예시에 대한 개시는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여, 상기 제 2 및 4 실시예의 공통적인 구조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 모듈(250, 450)은 프레임(10)에 대해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진동 바디(251, 451)를 포함한다. 진동 모듈(250, 450)은 회전축(Ow) 의 기능을 제공하는 웨이트 샤프트(54)와, 상기 웨이트 샤프트(54)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및 2 편심부(55, 56)를 포함한다.
제 1편심부(55)는 전달부(53)와 접촉하여 회전축(Ow)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회전부(55b)를 포함한다. 제 1회전부(55b)는 웨이트 샤프트(54)와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중심부(55b1)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 샤프트(54)는 중심부(55b1)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중심부(55b1)는 회전축(Ow)을 따라 연장된다. 중심부(55b1)는 회전축(Ow)을 따라 중앙 홀을 형성한다.
제 1회전부(55b)는 중심부(55b1)에 안착되는 주변부(55b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55b1)는 주변부(55b2)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주변부(55b2)는 전체적으로 회전축(Ow)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55b2)에는 제 1웨이트 부재(55a)가 안착되는 안착 홈(55b3)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55b3)은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55b3)의 회전축(Ow)을 중심으로 한 원심 방향 측면은 막혀있게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55b2)와 제 1웨이트 부재(55a)는 일체로 회전한다.
제 1편심부(55)는 베벨 기어(53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받는 톱니부(55b4)를 포함한다. 톱니부(55b4)는 주변부(55b2)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톱니부(55b4)는 회전축(Ow)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1편심부(55)는 제 1회전부(55b)에 고정되는 제 1웨이트 부재(55a)를 포함한다. 제 1웨이트 부재(55a)는 제 1회전부(55b)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 1웨이트 부재(55a)는 제 1회전부(55b)에 비해 비중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
제 1웨이트 부재(55a)는 회전축(Ow)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어, 제 1편심부(55)의 무게 편심을 유도한다.
제 2편심부(56)는 전달부(53)와 접촉하여 회전축(Ow)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회전부(56b)를 포함한다. 제 2회전부(56b)는 웨이트 샤프트(54)와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중심부(56b1)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 샤프트(54)는 중심부(56b1)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중심부(56b1)는 회전축(Ow)을 따라 연장된다. 중심부(56b1)는 회전축(Ow)을 따라 중앙 홀을 형성한다. 중심부(56b1)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회전부(56b)는 중심부(56b1)에 안착되는 주변부(56b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56b1)는 주변부(56b2)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주변부(56b2)는 전체적으로 회전축(Ow)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56b2)에는 제 2웨이트 부재(56a)가 안착되는 안착 홈(56b3)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56b3)은 하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56b3)의 회전축(Ow)을 중심으로 한 원심 방향 측면은 막혀있게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56b2)와 제 2웨이트 부재(56a)는 일체로 회전한다.
제 2편심부(56)는 베벨 기어(53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받는 톱니부(56b4)를 포함한다. 톱니부(56b4)는 주변부(56b2)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톱니부(56b4)는 회전축(Ow)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2편심부(56)는 제 2회전부(56b)에 고정되는 제 2웨이트 부재(56a)를 포함한다. 제 2웨이트 부재(56a)는 제 2회전부(56b)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 2웨이트 부재(56a)는 제 2회전부(56b)에 비해 비중이 큰 재질로 형성된다.
제 2웨이트 부재(56a)는 회전축(Ow)을 중심으로 일측에 배치되어, 제 2편심부(56)의 무게 편심을 유도한다.
제 1편심부(55)와 제 2편심부(56)는 중심축(Oc)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제 1편심부(55)와 제 2편심부(56)는 상하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제 1편심부(55)는 제 2편심부(5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모터축(52a) 및 베벨 기어(53a)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하나의 웨이트 샤프트(54)는 진동 바디(251, 451)에 고정된다. 웨이트 샤프트(54)의 상단 및 하단은 웨이트 케이싱(51b)에 고정될 수 있다. 웨이트 샤프트(54)는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바디(251, 451)는 내부에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를 수용하는 웨이트 케이싱(51b)을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 케이싱(51b)은, 상측부를 형성하는 제 1파트(51b1)와, 하측부를 형성하는 제 2파트(51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파트(51b2)는 하측면과 둘레면을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제 1파트(51b1)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부를 덮어줄 수 있다. 웨이트 케이싱(51b)은 모터(52)와 결합될 수 있다. 웨이트 케이싱(51b)의 일측면에 모터축(52a)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축(52a)은 제 1편심부(55)와 제 2편심부(56)의 사이로 삽입되며 돌출된다. 모터축(52a)은 전달부(53)에 연결된다.
전달부(53)는, 모터축(52a)과 일체로 회전하는 베벨 기어(53a)를 포함한다. 베벨 기어(53a)는 모터축(52a)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기어이를 형성한다. 베벨 기어(53a)는 제 1편심부(55)와 제 2편심부(56)의 사이에 배치된다.
전달부(53)는 베벨 기어(53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달축(53g)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축(53g)는 웨이트 샤프트(54)에 지지될 수 있다. 전달축(53g)의 일단은 웨이트 샤프트(54)에 고정되고 타단은 베벨 기어(53a)의 중심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및 4실시예의 공통적인 부품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제 2실시예 및 제 4실시예에서 서로 차이나는 부품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를 참고하여,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250), 탄성 부재(260) 및 지지 부재(270)의 구조 예시를 설명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 바디(251)는, 행거 바디(231)에 고정되어 행거 바디(231)와 일체로 운동하게 구비된다.
웨이트 케이싱(51b)는 모터(5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축(52a)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258)는 진동 바디(251) 및 행거 바디(231)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행거 주동부(258)는 진동 바디(251)에 고정된다. 행거 주동부(258)는 진동 바디(251)의 하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하단이 행거 바디(231)에 고정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258)의 하단은 행거 종동부(231b)에 고정된다. 행거 주동부(258)는 행거 종동부(231b)와 일체로 진동한다.
도 9를 참고하여, 연결축(Oh)은 회전축(Ow)과 모터(52)의 무게 중심(Mm)의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축(Ow)의 연장 방향(상측)에서 바라볼 때, 행거 주동부(258)는 모터(52)의 무게 중심(Mm)과 제 1회전축(Ow1) 사이의 위치에서 행거 바디(231)에 고정된다.
진동 모듈(250)이 좌우 왕복 운동할 때, 탄성 부재 걸림부(259)에 의해 탄성 부재(260)가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부재(260)의 복원력이 탄성 부재 걸림부(259)에 전달된다. 탄성 부재 걸림부(259)는 웨이트 케이싱(51b)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 걸림부(259)는 제 1탄성 부재(60a)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 1걸림부(259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걸림부(259a)는 웨이트 케이싱(51b)의 일측(+X)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 걸림부(259)는 제 2탄성 부재(60b)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 2걸림부(25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걸림부(259b)는 웨이트 케이싱(51b)의 타측(-X)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260)는 진동 모듈(250)과 지지 부재(2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260)의 일단은 진동 모듈(250)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270)의 탄성 부재 안착부(277)에 걸림된다. 탄성 부재(260)는 인장 스프링 및/또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 부재(60a, 60b)가 연결축(Oh)의 진동 방향(+X, -X)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60a, 60b)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부재(60a, 60b)는, 진동 모듈(250)이 진동 방향(+X, -X)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복원되게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부재(60a, 60b)는, 행거 바디(231)가 진동 방향(+X, -X)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복원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탄성 부재(60a)는 진동 바디(251)의 일측(+X)에 배치된다. 제 1탄성 부재(60a)의 일단은 제 1걸림부(259a)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270)의 제 1안착부(277a)에 걸림될 수 있다. 제 1탄성 부재(60a)는 진동 방향(+X, -X)으로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탄성 부재(60b)는 진동 바디(251)의 타측(-X)에 배치된다. 제 2탄성 부재(60b)의 일단은 제 2걸림부(259b)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270)의 제 2안착부(277b)에 걸림될 수 있다. 제 2탄성 부재(60b)는 진동 방향(+X, -X)으로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70)는 탄성 부재(260)의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부재 안착부(277)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 안착부(277)는 프레임(10)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 안착부(277)는 내부 프레임(11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안착부(277a)와 상기 제 2안착부(277b)는 연결축(Oh)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지지 부재(270)는 진동 모듈(250)이 진동 방향(+X, -X)으로 이동 가능하되,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모듈 가이드(2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가이드(278)는 행거 주동부(258)에 접촉하여 행거 주동부(258)의 진동 방향(+X, -X)을 안내할 수 있다. 모듈 가이드(278)는 상기 한 쌍의 안착부(277a, 477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가이드(278)는 진동 바디(25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가이드(278)는 수평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듈 가이드(278)는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제 4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450), 탄성 부재(460) 및 지지 부재(47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4실시예에 따른 진동 바디(451)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 4실시예에서, 웨이트 케이싱(51b)은 중심축(Oc)으로부터 원심 방향(Dr1)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웨이트 케이싱(51b)과 행거 주동부(458)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연결축(Oh)과 회전축(Ow)은 중심축(Oc)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모터(52)는 중심축(Oc)과 회전축(Ow)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축(52a)는 원심 방향(Dr1)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모터축(52a)은 -Y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진동 바디(451)는 중심 축부(47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이스 케이싱(451d)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 축부(475)는 베이스 케이싱(451d)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중심 축부(475)와 베이스 케이싱(451d)의 사이에 베어링(B)이 개재된다. 베이스 케이싱(451d)은 웨이트 케이싱(51b)과 탄성 부재 마운트(451c)의 사이에 배치된다.
진동 바디(451)는 모터(52)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부(451e)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지지부(451e)는 모터의 하단을 받쳐줄 수 있다. 모터 지지부(451e)는 웨이트 케이싱(51b)과 베이스 케이싱(451d)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바디(451)는 탄성 부재(460)의 일단이 걸림되는 탄성 부재 마운트(451c)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모듈(450)이 회전 진동 운동을 할 때, 탄성 부재 마운트(451c)는 탄성 부재(460)를 가압하거나 탄성 부재(460)로부터 복원력을 전달받는다.
탄성 부재 마운트(451c)는 진동 바디(451)의 원심 방향(Dr1)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 마운트(451c)는 중심축(Oc)과 연결축(Oh)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될 수 있다. 탄성 부재 마운트(451c)는 원심 방향(Dr1)으로 연장되어 말단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 부재 마운트(451c)는 중심축(Oc)을 기준으로 제 1 및 2 회전축(Ow)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 마운트(451c)는 베이스 케이싱(451d)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 마운트(451c), 베이스 케이싱(451d) 및 모터 지지부(451e)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4실시예에서, 모터(52)는 중심축(Oc)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52)는 중심축(Oc)과 제 1 및 2 회전축(Ow)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52)는 중심축(Oc)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모터축(52a)을 구비한다. 모터축(52a)은 모터에서 원심 방향(Dr1)으로 돌출될 수 있다.
행거 주동부(458)는 중심축(Oc)과 이격된 위치에서 행거 바디(431)와 연결된다. 행거 주동부(458)는, 중심축(Oc)과 이격된 위치에서 외부의 행거 바디(431)와 연결되도록 기설정된다.
행거 주동부(458)는, 연결축(Oh)을 따라 돌출된 돌기부(458a)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458a)는 행거 주동부(458)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돌기부(458a)는 연결축(Oh)을 따라 돌출된다. 행거 주동부(458)는 돌기부(458a)를 포함하는 커넥팅 로드(458a, 458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로드(458a, 458b)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458a, 458b)의 일단(458a)은 행거 종동부(431b)의 슬릿(431bh)에 삽입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458a, 458b)는 진동 모듈(450)의 회전 운동을 변환하여 행거 바디(431)를 좌우 왕복 운동시킨다.
커넥팅 로드(458a, 458b)는 진동 바디(451)에 고정된다. 커넥팅 로드(458a, 458b)의 상단부는 진동 바디(451)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458a, 458b)는 진동 바디(451)와 일체로 회전한다. 커넥팅 로드(458a, 458b)는 연결축(Oh)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458a, 458b)는 진동 바디(451)의 회전력을 행거 바디(431)에 전달할 수 있다.
커넥팅 로드(458a, 458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연장부(45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연장부(458b)는 연결축(Oh)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하 연장부(458b)의 상단은 탄성 부재 마운트(451c)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458a, 458b)는 상하 연장부(458b)의 말단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458a)를 포함한다. 돌기부(458a)는 상하 연장부(458b)의 하단에 배치된다.
진동 모듈(450)은 탄성 부재(460)의 일단이 걸림되는 탄성 부재 걸림부(459)를 포함한다. 진동 모듈(450)이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탄성 부재 걸림부(459)에 의해 탄성 부재(460)가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부재(460)의 복원력이 탄성 부재 걸림부(459)에 전달된다. 탄성 부재 걸림부(459)는 탄성 부재 마운트(451c)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 걸림부(459)는 제 1탄성 부재(60a)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 1걸림부(459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걸림부(459a)는 탄성 부재 마운트(451c)의 일측(+X)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 걸림부(459)는 제 2탄성 부재(60b)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 2걸림부(45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걸림부(459b)는 탄성 부재 마운트(451c)의 타측(-X)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460)는 진동 모듈(450)과 지지 부재(4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460)의 일단은 진동 모듈(450)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470)의 탄성 부재 안착부(477)에 걸림된다. 탄성 부재(460)는 인장 스프링 및/또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 부재(60a, 60b)가 연결축(Oh)의 진동 방향(+X, -X)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460)는 중심축(Oc)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60a, 60b)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부재(60a, 60b)는, 진동 모듈(450)이 시계 방향(Dl1) 및 반시계 방향(Dl2)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탄성 변형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탄성 복원되게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부재(60a, 60b)는, 행거 바디(431)가 진동 방향(+X, -X)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복원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탄성 부재(60a)는 진동 바디(451)의 일측(+X)에 배치된다. 제 1탄성 부재(60a)의 일단은 제 1걸림부(459a)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470)의 제 1안착부(477a)에 걸림될 수 있다. 제 1탄성 부재(60a)는 진동 방향(+X, -X)으로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탄성 부재(60b)는 진동 바디(451)의 타측(-X)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 마운트(451c)는 제 1탄성 부재(60a)와 제 2탄성 부재(60b)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 2탄성 부재(60b)의 일단은 제 2걸림부(459b)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470)의 제 2안착부(477b)에 걸림될 수 있다. 제 2탄성 부재(60b)는 진동 방향(+X, -X)으로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470)는 중심축(Oc)을 따라 돌출된 중심 축부(475)를 포함한다. 중심 축부(475)는 중심축 지지부(476)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중심 축부(475)는 진동 바디(451)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다. 중심 축부(475)는 베어링(B)을 통해 진동 바디(4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470)는 중심 축부(475)가 고정되는 중심축 지지부(476)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축 지지부(476)는 진동 바디(451)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중심축 지지부(476)는 프레임(10)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470)는 탄성 부재(460)의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부재 안착부(477)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 안착부(477)는 프레임(10)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 안착부(477)는 내부 프레임(11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안착부(477a)와 상기 제 2안착부(477b)는 연결축(Oh)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4을 참고하여, 제 5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550), 탄성 부재(560) 및 지지 부재(57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 5실시예에 따른 진동 바디(551)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진동 바디(551)는 내부에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을 수용하는 웨이트 케이싱(551b)을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 케이싱(551b)은 진동 모듈(50)의 상측부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웨이트 샤프트(554a, 554b)의 상단부는 웨이트 케이싱(551b)에 고정된다. 웨이트 케이싱(551b)은, 제 1편심부(55)의 상부를 덮어주는 제 1파트(551b1)와, 제 2편심부(56)의 상부를 덮어주는 제 2파트(551b2)를 포함한다. 제 1웨이트 샤프트(554a)의 상단부는 제 1파트(551b1)에 고정된다. 제 2웨이트 샤프트(554b)의 상단부는 제 2파트(551b2)에 고정된다.
진동 바디(551)는 하측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베이스 케이싱(551d)을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 샤프트(554a, 554b)의 하단부는 베이스 케이싱(551d)에 고정된다. 웨이트 케이싱(551b)과 베이스 케이싱(551d)의 사이에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가 배치된다. 제 1파트(551b1)과 베이스 케이싱(551d)의 사이에 제 1편심부(55)가 배치된다. 제 2파트(551b2)과 베이스 케이싱(551d)의 사이에 제 2편심부(56)가 배치된다.
진동 바디(551)는 모터(552)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부(551e)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지지부(551e)는 모터(552)의 하단을 받쳐줄 수 있다. 모터 지지부(551e)는 제 1파트(551b1)와 제 2파트(551b2)의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축(552a)은 모터 지지부(551e)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모터 지지부(551e)는 웨이트 케이싱(551b)에 고정될 수 있고, 웨이트 케이싱(551b)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바디(551)는 적어도 어느 한 탄성 부재(560)의 일단이 걸림되는 탄성 부재 마운트(551c)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 마운트(551c)는 진동 바디(551)의 상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 마운트(551c)는 제 1파트(551b1) 및 제 2파트(551b2)의 상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부재 마운트(551c)는 중심축(Oc)을 가로지르며 배치될 수 있다. 중심 축부(575)는 탄성 부재 마운트(551c)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바디(551)는 중심 축부(575)가 삽입되는 중앙 홈(551h) 또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중앙 홈(551h)은 진동 바디(551)의 상측 및/또는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 홈(551h)은 탄성 부재 마운트(551c)에 형성된다. 중앙 홈(551h)에 베어링(B1)이 배치되어 중심 축부(575)에 대해 진동 바디(55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모터(552)는 중심축(O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552)는 제 1편심부(55)와 제 2편심부(56)의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552)는 중심축(Oc) 상에 배치되는 모터축(552a)을 구비한다. 모터축(552a)은 하측으로 돌출되어, 전달부(553)에 연결된다.
전달부(553)는, 모터축(552a)과 일체로 회전하는 중심 전달부(553c)를 포함한다. 중심 전달부(553c)는 모터축(552a)에 고정될 수 있다. 전달부(553)는 중심 전달부(553c)의 회전력을 제 1편심부(55)에 전달하는 기어 또는 벨트를 포함하는 제 1전달부(553a)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553)는 중심 전달부(553c)의 회전력을 제 2편심부(56)에 전달하는 기어 또는 벨트를 포함하는 제 2전달부(55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웨이트 샤프트(554a)와 제 2웨이트 샤프트(554b)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제 1웨이트 샤프트(554a)는 제 1회전축(Ow1) 상에 배치된다. 제 2웨이트 샤프트(554b)는 제 2회전축(Ow2) 상에 배치된다. 제 1웨이트 샤프트(554a)와 제 2웨이트 샤프트(554b)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제 1웨이트 샤프트(554a)와 제 2웨이트 샤프트(554b)는 중심축(Oc)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제 1웨이트 샤프트(554a) 및 제 2웨이트 샤프트(554b)는 진동 바디(551)에 고정된다. 제 1웨이트 샤프트(554a)는 제 1회전부(555b)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제 2웨이트 샤프트(554b)는 제 2회전부(556b)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제 1편심부(55)와 제 2편심부(56)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제 1편심부(55)와 제 2편심부(56)는 수평으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방향(+X, -X) 중 일측(+X)에 제 1편심부(55)가 배치되고 타측(-X)에 제 2편심부(56)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편심부(55)는, 제 1웨이트 부재(555a)와 제 1회전부(55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회전부(555b)는 제 1웨이트 샤프트(554a)와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중심부(555b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웨이트 샤프트(554a)는 중심부(555b1)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중심부(555b1)는 제 1회전축(Ow1)을 따라 연장된다. 중심부(555b1)는 제 1회전축(Ow1)을 따라 중앙 홀을 형성한다.
제 1회전부(555b)는 중심부(555b1)에 안착되는 주변부(555b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555b1)는 주변부(555b2)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주변부(555b2)는 전체적으로 제 1회전축(Ow1)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555b2)에는 제 1웨이트 부재(555a)가 안착되는 안착 홈(555b3)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555b3)은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555b3)의 제 1회전축(Ow1)을 기준으로 한 원심 방향 측면은 막혀있게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555b2)와 제 1웨이트 부재(555a)는 일체로 회전한다.
제 2편심부(56)는, 제 2웨이트 부재(556a)와 제 2회전부(55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회전부(556b)는 제 2웨이트 샤프트(554a)와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중심부(556b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웨이트 샤프트(554a)는 중심부(556b1)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중심부(556b1)는 제 2회전축(Ow2)을 따라 연장된다. 중심부(556b1)는 제 2회전축(Ow2)을 따라 중앙 홀을 형성한다.
제 2회전부(556b)는 중심부(556b1)에 안착되는 주변부(556b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556b1)는 주변부(556b2)를 관통하며 배치된다. 주변부(556b2)는 전체적으로 제 2회전축(Ow2)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556b2)에는 제 2웨이트 부재(556a)가 안착되는 안착 홈(556b3)을 형성할 수 있다. 안착 홈(556b3)은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556b3)의 제 2회전축(Ow2)을 기준으로 한 원심 방향 측면은 막혀있게 형성될 수 있다. 주변부(556b2)와 제 2웨이트 부재(556a)는 일체로 회전한다.
전달부(553)는 기어형의 중심 전달부(553c)를 포함한다. 중심 전달부(553c)의 중심을 중심축(Oc)이 가로지르게 구비될 수 있다. 중심 전달부(553c)는 평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553)는, 중심 전달부(553c)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1전달부(55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전달부(553a)는 평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553)는, 중심 전달부(553c)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전달부(55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전달부(553b)는 평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부(553)는 제 1전달부(553a)의 회전축 기능을 제공하는 제 1전달축(553f)을 포함한다. 제 1전달축(553f)은 진동 바디(55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달부(553)는 제 2전달부(553b)의 회전축 기능을 제공하는 제 2전달축(553g)을 포함한다. 제 2전달축(553g)은 진동 바디(551)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편심부(55)는 제 1전달부(553a)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받는 톱니부(555b4)를 포함한다. 톱니부(555b4)는 주변부(555b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모터축(552a)이 회전력은, 순차적으로 중심 전달부(553c) 및 제 1전달부(553a)를 거쳐 톱니부(555b4)로 전달된다.
제 2편심부(56)는 제 2전달부(553b)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받는 톱니부(556b4)를 포함한다. 톱니부(556b4)는 주변부(556b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모터축(552a)이 회전력은, 순차적으로 중심 전달부(553c) 및 제 2전달부(553b)를 거쳐 톱니부(556b4)로 전달된다.
도 24의 예를 들어, 중심 전달부(553c)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전달부(553a) 및 제 2전달부(553b)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1편심부(55) 및 제 2편심부(56)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1에는, 중심축(Oc), 제 1회전축(Ow1), 제 2회전축(Ow2) 및 연결축(Oh)의 위치가 도시된다.
행거 주동부(558)는 진동 바디(551)에 고정된 회전 돌기(558c)를 포함한다. 회전 돌기(558c)의 상단부는 진동 바디(551)의 하측부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 돌기(558c)는 진동 바디(551)와 일체로 회전한다. 회전 돌기(558c)는 하측 지지부(571)를 중심축(Oc)을 따라 관통하며 배치된다. 회전 돌기(558c)와 하측 지지부(571)의 사이에 베어링(B2)이 개재(介在)되어, 회전 돌기(558c)는 하측 지지부(57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 돌기(558c)는 진동 바디(551)의 회전력을 커넥팅 로드(558a, 558b)에 전달할 수 있다.
행거 주동부(558)는 진동 모듈(50)의 회전력을 행거 바디(431)에 전달하는 커넥팅 로드(558a, 558b)를 포함한다. 커넥팅 로드(558a, 558b)는 회전 돌기(558c)에 고정되어, 회전 돌기(558c)와 일체로 회전한다. 회전 돌기(558c)의 하단에 커넥팅 로드(558a, 558b)가 고정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558a, 558b)는 회전 돌기(558c)에서 원심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원심 연장부(558b)를 포함한다. 원심 연장부(558b)의 근심 방향(Dr2)의 말단부는 회전 돌기(558c)에 고정된다. 커넥팅 로드(558a, 558b)는 연결축(Oh)을 따라 돌출된 상기 돌기부(558a)를 포함한다. 돌기부(558a)는 원심 연장부(558b)의 원심 방향(Dr1)의 말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진동 모듈(50)은 탄성 부재(560)의 일단이 걸림되는 탄성 부재 걸림부(559)를 포함한다. 진동 모듈(50)이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탄성 부재 걸림부(559)에 의해 탄성 부재(560)가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부재(560)의 복원력이 탄성 부재 걸림부(559)에 전달된다. 탄성 부재 걸림부(559)는 진동 바디(551)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 걸림부(559)는 제 1탄성 부재(60a)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 1걸림부(559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걸림부(559a)는 탄성 부재 마운트(551c)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 걸림부(559)는 제 2탄성 부재(60b)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 2걸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걸림부는 베이스 케이싱(551d)의 하측에 형성된다. 탄성 부재 걸림부(559)는 제 3탄성 부재(60c)의 일단이 걸림되는 제 3걸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걸림부는 커넥팅 로드(558a, 558b)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560)는 진동 모듈(50)과 지지 부재(5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560)의 일단은 진동 모듈(50)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570)의 탄성 부재 안착부(577)에 걸림된다. 탄성 부재(560)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 부재(60a, 60b, 60c)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탄성 부재(60a, 60b, 60c)는, 진동 모듈(50)이 시계 방향(Dl1)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탄성 변형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탄성 복원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탄성 부재(60a)는 진동 모듈(5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 1탄성 부재(60a)의 일단은 제 1걸림부(559a)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570)의 제 1안착부(577a)에 걸림될 수 있다. 제 1탄성 부재(60a)는 중심 축부(575)의 둘레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탄성 부재(60b)는 진동 모듈(5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 2탄성 부재(60b)의 일단은 진동 모듈(50)의 상기 제 2걸림부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570)의 제 2안착부(577b)에 걸림될 수 있다. 제 2탄성 부재(60b)는 회전 돌기(558c)의 둘레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탄성 부재(60c)는 하측 지지부(571)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 3탄성 부재(60c)는 하측 지지부(571)와 커넥팅 로드(558a, 558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탄성 부재(60c)의 일단은 진동 모듈(50)의 상기 제 3걸림부에 걸림되고, 타단은 지지 부재(570)의 제 3안착부(미도시)에 걸림될 수 있다.
지지 부재(570)는 진동 바디(55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지지부(571)를 포함한다. 하측 지지부(571)는 수평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지지부(571)는 중심축(Oc) 상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로 회전 돌기(558c)가 관통한다. 하측 지지부(571)의 상기 홀에 베어링(B2)이 배치되어, 회전 돌기(558c)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부재(570)는 진동 바디(551)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지지부(572)를 포함한다. 상측 지지부(572)는 수평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570)는, 상측 지지부(572)에서 중심축(Oc)을 따라 돌출된 중심 축부(575)를 포함한다. 중심 축부(575)는 상측 지지부(572)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중심 축부(575)의 하단은 진동 바디(551)의 중앙 홈(551h)에 삽입된다. 중심 축부(575)는 베어링(B1)을 통해 진동 바디(5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570)는, 하측 지지부(571)와 상측 지지부(572)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상하 연장부(573)를 포함한다. 상하 연장부(57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상하 연장부(573)가 상측 지지부(572)의 양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하 연장부(573)에 의해 상측 지지부(572)는 하측 지지부(571)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570)는 탄성 부재(560)의 일단이 걸림되는 탄성 부재 안착부(57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안착부(577a)는 상측 지지부(572)의 하측면에 고정 배치된다. 상기 제 2안착부(577b)는 하측 지지부(571)의 상측면에 고정 배치된다. 상기 제 3안착부는 상기 하측 지지부(571)의 하측면에 고정 배치된다.
1 : 의류 처리 장치 ` 20 : 공급부
30, 230, 430 : 행거 모듈 31, 231, 431 : 행거바디
231b, 431b : 행거 종동부 50, 150, 250, 350, 450, 550 : 진동 모듈
51, 251, 451, 551, : 진동 바디 52, 552 : 모터
53, 553 : 전달부 54, 554a, 554b : 웨이트 샤프트
55 : 제 1편심부 55a, 555a : 제 1웨이트 부재
55b, 555b : 제 1회전부 56 : 제 2편심부
56a, 556a : 제 2웨이트 부재 56b, 556b : 제 2회전부
258, 458, 558 : 행거 주동부 259, 459, 559 : 탄성 부재 걸림부
60, 260, 460, 560 : 탄성 부재 270, 470, 570 : 지지 부재
Ow, Ow1, Ow2 : 회전축 Oh : 연결축
Oc : 중심축 +X, -X : 진동 방향
Dl : 원주 방향 Dl1 : 시계 방향
Dl2 : 반시계 방향 Dr : 직경 방향
Dr1 : 원심 방향 Dr2 : 근심 방향

Claims (2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대해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바디;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심부를 구비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행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모듈; 및
    상기 진동 모듈이 진동할 때 상기 진동 모듈에 탄성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편심부의 각속력가 변경 가능하게 구비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상기 각속력이 각각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속력을 변경 제어하여,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수(
    Figure pat00129
    )가 상대적으로 작고 진폭이 상대적으로 큰 제 1모드와,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수(
    Figure pat00130
    )가 상대적으로 크고 진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 2모드를 수행 가능하게 구비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드의 진동수(
    Figure pat00131
    )가 상기 제 2모드의 진동수(
    Figure pat00132
    )보다 고유 진동수(
    Figure pat00133
    )에 가깝도록 기설정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속력이 0보다 큰 특정값일 때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의 정상상태의 진폭이 피크값을 가지도록 기설정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진동 모듈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는,
    상기 진동 모듈이 진동 방향 중 일측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는 제 1탄성 부재와 타측으로 이동할 때 탄성 변형되는 제 2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심부는,
    소정의 제 1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1편심부; 및
    상기 제 1회전축과 동일하거나 평행한 소정의 제 2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가 편심되게 회전하는 제 2편심부;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대 위치가 고정된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1회전축 및 상기 제 2회전축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바디는, 상기 프레임에대해 소정의 진동 방향(+X, -X)으로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행거 바디가 상기 진동 방향(+X, -X)으로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되게 구비되는, 의류 처리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듈은, 소정의 진동 방향(+X, -X)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기설정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진동 모듈이 상기 직선 왕복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되는, 의류 처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속력을 변경 제어하여,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수(
    Figure pat00134
    )가 상대적으로 작고 진폭이 상대적으로 큰 제 1모드와,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수(
    Figure pat00135
    )가 상대적으로 크고 진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 2모드를 수행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1모드의 진동수(
    Figure pat00136
    )가 상기 제 2모드의 진동수(
    Figure pat00137
    )보다
    Figure pat00138
    에 가깝도록 기설정되는, 의류 처리 장치.
    여기서, M은 상기 진동 모듈 및 행거 바디의 질량이고, k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진동 방향(+X, -X) 인장 또는 압축 탄성계수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각속력이 0보다 큰 특정값일 때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의 정상상태의 진폭이 피크값을 가지도록 기설정되는, 의류 처리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프레임에 대한 상대 위치가 고정된 소정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왕복 운동하게 기설정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중심축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상기 행거 바디와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중심축과 이격된 소정의 연결축 상에서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진동 모듈이 상기 회전 왕복 운동할 때 탄성 변형 또는 탄성 복원되게 구비되는, 의류 처리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각속력을 변경 제어하여,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수(
    Figure pat00139
    )가 상대적으로 작고 진폭이 상대적으로 큰 제 1모드와,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수(
    Figure pat00140
    )가 상대적으로 크고 진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 2모드를 수행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1모드의 진동수(
    Figure pat00141
    )가 상기 제 2모드의 진동수(
    Figure pat00142
    )보다
    Figure pat00143
    또는
    Figure pat00144
    에 가깝도록 기설정되는, 의류 처리 장치.
    여기서, I는 상기 진동 모듈의 상기 중심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이고, M은 상기 행거 바디의 질량이고, B는 상기 중심축과 상기 연결축 사이의 거리이고, k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상기 진동 방향(+X, -X) 인장 또는 압축 탄성계수이고,
    Figure pat00145
    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한 상기 진동 모듈의 회전각(θ)에 대한 토션 탄성계수임.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각속력이 0보다 큰 특정값일 때 상기 행거 바디의 진동의 정상상태의 진폭이 피크값을 가지도록 기설정되는, 의류 처리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과 상기 연결축 사이의 거리보다 상기 중심축과 상기 회전축 사이의 거리가 크도록 구비된, 의류 처리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과 상기 연결축 사이의 거리(B)에 대한 상기 중심축과 상기 회전축 사이의 거리(A)의 비율(A/B)은 2.6이상인, 의류 처리 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170168513A 2017-12-08 2017-12-08 의류 처리 장치 KR102003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513A KR102003820B1 (ko) 2017-12-08 2017-12-08 의류 처리 장치
RU2021101609A RU2021101609A (ru) 2017-12-08 2018-12-07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CN202310850498.XA CN116892112A (zh) 2017-12-08 2018-12-07 衣物处理装置
PCT/KR2018/015456 WO2019112354A1 (ko) 2017-12-08 2018-12-07 의류 처리 장치
EP18885620.7A EP3722491A4 (en) 2017-12-08 2018-12-07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AU2018379509A AU2018379509B2 (en) 2017-12-08 2018-12-07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RU2020122223A RU2742206C1 (ru) 2017-12-08 2018-12-07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16/957,881 US11414810B2 (en) 2017-12-08 2018-12-07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N201880088846.1A CN111684123B (zh) 2017-12-08 2018-12-07 衣物处理装置
US17/868,387 US11821134B2 (en) 2017-12-08 2022-07-19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513A KR102003820B1 (ko) 2017-12-08 2017-12-08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275A true KR20190068275A (ko) 2019-06-18
KR102003820B1 KR102003820B1 (ko) 2019-07-25

Family

ID=6675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513A KR102003820B1 (ko) 2017-12-08 2017-12-08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414810B2 (ko)
EP (1) EP3722491A4 (ko)
KR (1) KR102003820B1 (ko)
CN (2) CN116892112A (ko)
AU (1) AU2018379509B2 (ko)
RU (2) RU2742206C1 (ko)
WO (1) WO201911235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59A1 (en) * 2020-09-04 2022-03-1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WO2022050760A1 (en) * 2020-09-04 2022-03-1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WO2023163421A1 (ko) * 2022-02-22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301B1 (ko) 2017-12-08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EP4123081A4 (en) * 2020-03-18 2024-03-0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KR20220137320A (ko) * 2021-04-02 2022-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924B1 (ko) * 1995-11-07 1999-04-15 구자홍 저주파 진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US20030223309A1 (en) * 2002-05-15 2003-12-04 Hapke Kenyon A. Agitator for removing wrinkles from clothing
US20060037209A1 (en) * 2004-08-18 2006-02-23 Maytag Corporation Drying cabinet shaker mechanism
KR101525568B1 (ko)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02315A (en) * 1925-05-09 1926-10-05 Ideal Filter Company Clothes drier
US2206386A (en) * 1938-10-25 1940-07-02 Rudolf K Bernhard Testing apparatus
GB1347800A (en) * 1971-03-24 1974-02-27 Mc Graw Edison Co Steam air cabinet finisher
SU1442582A1 (ru) * 1987-04-24 1988-12-07 Азербайджан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Азерэлектромаш"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ушки текстильных изделий
WO2015006467A1 (en) * 2013-07-09 2015-01-15 Coactive Drive Corporation Synchronized array of vibration actuators in an integrated module
KR101457594B1 (ko) * 2008-08-20 201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US8296967B2 (en) 2008-12-09 2012-10-30 Lg Electronics Inc. Fabric treating apparatus
US9074313B2 (en) * 2008-12-09 2015-07-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155002B1 (ko) * 2009-01-15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1737841B1 (ko) 2010-12-31 2017-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2686941A4 (en) 2011-03-17 2014-12-03 Coactive Drive Corp ASYMMETRIC AND GENERAL VIBRATION WAVE SHAPES FROM MULTIPLE SYNCHRONIZED VIBRATION ACTUATORS
KR101819511B1 (ko) * 2011-10-10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의류처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83959B1 (ko) * 2013-04-25 2020-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02757B1 (ko) 2013-07-22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JP6426916B2 (ja) * 2014-05-27 2018-11-21 アクア株式会社 洗濯機
KR101721401B1 (ko) * 2015-04-17 2017-03-30 와이.엘산업주식회사 세탁물 건조장치
KR101832784B1 (ko) 2017-01-19 201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924B1 (ko) * 1995-11-07 1999-04-15 구자홍 저주파 진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US20030223309A1 (en) * 2002-05-15 2003-12-04 Hapke Kenyon A. Agitator for removing wrinkles from clothing
US20060037209A1 (en) * 2004-08-18 2006-02-23 Maytag Corporation Drying cabinet shaker mechanism
KR101525568B1 (ko)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59A1 (en) * 2020-09-04 2022-03-1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WO2022050760A1 (en) * 2020-09-04 2022-03-1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959222B2 (en) 2020-09-04 2024-04-16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1976412B2 (en) 2020-09-04 2024-05-07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WO2023163421A1 (ko) * 2022-02-22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379509B2 (en) 2022-03-03
CN111684123A (zh) 2020-09-18
US11821134B2 (en) 2023-11-21
RU2021101609A (ru) 2021-02-04
EP3722491A4 (en) 2021-09-15
EP3722491A1 (en) 2020-10-14
CN111684123B (zh) 2023-07-25
US20210363683A1 (en) 2021-11-25
KR102003820B1 (ko) 2019-07-25
AU2018379509A1 (en) 2020-07-16
CN116892112A (zh) 2023-10-17
WO2019112354A1 (ko) 2019-06-13
RU2742206C1 (ru) 2021-02-03
US11414810B2 (en) 2022-08-16
US20220364293A1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820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068440A (ko) 의류 처리 장치
EP396464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12031265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20240200260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439471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989103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989104B1 (ko) 의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