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401B1 - 세탁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401B1
KR101721401B1 KR1020150054274A KR20150054274A KR101721401B1 KR 101721401 B1 KR101721401 B1 KR 101721401B1 KR 1020150054274 A KR1020150054274 A KR 1020150054274A KR 20150054274 A KR20150054274 A KR 20150054274A KR 101721401 B1 KR101721401 B1 KR 10172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aundry
column
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737A (ko
Inventor
윤종열
Original Assignee
와이.엘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엘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엘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40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는, 바닥지지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부에 세탁물을 거치하는 행거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결합되는며,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구비된 본체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통해 세탁물을 단시간에 건조시키는 세탁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 둘레에 다수의 결합돌기가 하향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개방된 상부케이스와, 내측 둘레에 상기 상부케이스의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측에 고정되며, 하부 방향으로 온풍을 배출하여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기둥부를 통해 상기 행거의 세탁물이 흔들릴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는 일측에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에는 전원 인가 시간을 조정하는 타이머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면에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램프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빨래가 진동부에 의해 흔들리면서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열풍에 의해 습도가 높은 실내에서도 단시간에 자외선램프에 의해 살균 소독되어 건조되면서도 세탁물의 주름이 펴진 상태로 건조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탁물 건조장치 { Laundry dry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지지구의 상부에 세탁물을 거치하는 행거가 결합된 기둥부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 및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부의 내측에 온풍을 배출할 수 있도록 전열체가 구비된 송풍기와 진동모터의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구비된 본체가 설치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상기 진동자의 진동이 상기 기둥부를 통해 행거의 세탁물에 전달되어 세탁물이 흔들면서 상기 송풍기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온풍에 의해 세탁물의 주름이 펴지면서 단시간에 건조되는 세탁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은 실외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날씨가 좋지 않거나 최근 심각해진 대기오염으로 인해 세탁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세탁물을 실내에서 건조하게 되는 추세이다.
또한,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 등의 주거환경 변화로 실외에서 건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실내의 베란다 등에 빨래건조대를 설치하고 세탁물을 건조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내공간은 공기 흐름이 거의 없고,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없어 세탁물이 건조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세탁물에서 발생하는 습기에 의해 실내의 습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건조된 세탁물에서 세균 및 곰팡이 번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세탁물을 실내에서 단시간에 건조할 수 있는 다양한 건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건조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2900호의 "건조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이 건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상기 건조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상기 건조공간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고온의 공기와 함께 상기 진동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을 건조대상물에 가함으로써, 건조효과를 향상시키고 옷감 손상 및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건조기의 경우 캐비닛 형태로 구성되어 별도의 실내 공간이 필요하고, 캐비닛의 이동이 상당히 불편하며 다수의 건조대상물을 동시에 건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 순환식 건조 방법에 의해 열풍공급장치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로 이루어져 그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져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 또한 있었으며, 열풍공급장치의 구성이 고장으로 인해 유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0531호의 "샤워바람식 빨래 건조대"는 속도조절기와 타이머스위치를 장치한 지지판중앙에 지지봉을 고정하며, 지지봉의 상단과 하단에는 절첩이 가능한 빨래걸이대를 하단에 고정링으로 고정되게 설치하며 상단부에는 상,하보호커버에 내장된 모터와 건조팬을 지지봉에 고정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봉에 고정링으로써 우산살과 같이 설치되는 빨래걸이대에 건조시킬 빨래를 거치시킨 후 지지봉의 상단에 설치된 건조팬을 회전시켜 발생되는 바람으로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빨래건조대는 건조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이 상온의 실내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유지함에 따라 습도가 높은 경우 빨래가 건조되는 시간이 매우 더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지지구의 상부에 세탁물을 거치하는 행거가 결합된 기둥부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 및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부의 내측에 온풍을 배출할 수 있도록 전열체가 구비된 송풍기와 진동모터의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구비된 본체로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빨래가 진동부에 의해 흔들리면서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열풍에 의해 습도가 높은 실내에서도 단시간에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면에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램프브라켓이 형성되어 세탁물의 살균 소독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빨래가 열풍에 의해 건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진동부에 의해 지속적으로 흔들려 세탁물의 주름이 펴진 상태로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는 바닥지지구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부에 세탁물을 거치하는 행거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결합되는며,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구비된 본체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통해 세탁물을 단시간에 건조시키는 세탁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 둘레에 다수의 결합돌기가 하향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개방된 상부케이스와, 내측 둘레에 상기 상부케이스의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 내측에 고정되며, 하부 방향으로 온풍을 배출하여 상기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케이스부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기둥부를 통해 상기 행거의 세탁물이 흔들릴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는 일측에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측에는 전원 인가 시간을 조정하는 타이머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면에는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램프브라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기는 상기 케이스부 내측 둘레를 따라 양단이 상호 인접되도록 구비되되 일단부에 공기흡입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배출공이 관통된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원통체의 송풍케이스와; 상기 공기흡입공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팬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과 인접하는 상기 송풍케이스 내부에 전기적으로 인가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지지구의 상부에 세탁물을 거치하는 행거가 결합된 기둥부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둥부의 상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 및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부의 내측에 온풍을 배출할 수 있도록 전열체가 구비된 송풍기와 진동모터의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자로 이루어진 진동부가 구비된 본체로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빨래가 진동부에 의해 흔들리면서 송풍기에서 발생하는 열풍에 의해 습도가 높은 실내에서도 단시간에 건조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부면에 자외선램프가 구비된 램프브라켓이 형성되어 세탁물의 살균 소독되는 효과 또한 있다.
또한, 상기 빨래가 열풍에 의해 건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진동부에 의해 지속적으로 흔들려 세탁물의 주름이 펴진 상태로 건조되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에 커버부와 물받이판이 결합된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 중 바닥지지구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 중 기둥부의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 중 케이스부의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1)는 지면에 지지되는 바닥지지구(3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부(200)에 세탁물(2)을 거치하는 행거(10)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결합되는며, 상기 기둥부(200)의 상부에 구비된 본체(100)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통해 세탁물(2)을 단시간에 건조시키는 세탁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일측에 다수의 공기유입공(111)이 관통되며, 내측 둘레에 다수의 결합돌기(112)가 하향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개방된 상부케이스(110)와, 내측 둘레에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결합돌기(112)와 대응되는 다수의 삽입홈(122)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하부케이스(120)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160)와; 상기 케이스부(160) 내측에 고정되며, 하부 방향으로 온풍을 배출하여 상기 세탁물(2)을 건조시키는 송풍기(130)와; 상기 케이스부(160)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기둥부(200)를 통해 상기 행거(10)의 세탁물(2)이 흔들릴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1)는 전체적인 크기가 비교적 작고, 무게가 가벼워 실내의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둥부(200)에 결합되어 세탁물(2)을 거치하는 행거(10)는 상부에 완만한 곡선부가 형성된 삼각판 형태이며, 수직부의 상,하부에 상기 기둥부(200)를 감싸듯이 결착되는 탄성걸이부(1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세탁물(2)이 걸린 옷걸이 등을 걸 수 있는 복수개의 걸이공(12)이 관통된다.
이때, 상기 탄성걸이부(11)는 상기 행거(10)의 수직부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200) 외주면 일측을 감싸듯이 밀착되는 "U" 형태의 제1탄성걸이부(11)와, 상기 행거(10)의 수직부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200) 외주면 반대측을 감싸듯이 밀착되는 "U" 형태의 제2탄성걸이부(11)로 구성되어 상기 행거(10)의 모서리부를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제1탄성걸이부(11)를 상기 기둥부(200) 외주면 일측에 결착하고, 상기 모서리부를 하부로 내려 상기 제2탄성걸이부(11)를 상기 기둥부(200) 외주면 타측에 밀착시켜 상기 행거(10)를 상기 기둥부(200)에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행거(10)는 상기 기둥부(200)에서 360도 회전가능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누구나 손쉽게 탈결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행거(10)의 형태와 고정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기둥부(2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160)는 일측에 전원스위치(161)가 구비되는 원형, 사각, 타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내측 중앙부에 전원 인가 시간을 조정하는 타이머부(1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하부면에는 자외선램프(172)가 구비된 램프브라켓(17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중앙부는 상기 타이머부(150)가 구비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타이머부(150)는 타이머(151)와 축결합된 조절노브(152)를 회전하여 전원 회로 또는 입력 회로에 소정의 입력을 가함과 동시에 출력 신호를 보내고, 조절노브(152)가 회전하여 입력을 OFF한 시점부터 설정 시간 경과 후 출력을 OFF하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타이머부(150)는 상기와 같은 아날로그 방식은 물론 원터치식 디지털 타이머 등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식의 타이머 구조와 원리는 공지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하부면에는 상기 램프브라켓(17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브라켓안착홈(121)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램프브라켓(170)과 상호 결합되며, 상기 본체(100) 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20)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공(123)이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램프브라켓(170)의 하부면 중앙에 상기 기둥부(200)의 상단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고, 상기 관통공(123)과 대응되는 전원선 삽입공(17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자외선램프(172)는 상기 램프브라켓(170)의 하부면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 방향으로 전자기파를 방사(放射)하여 상기 세탁물(2)을 살균, 소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130)는 상기 케이스부(160) 내측 둘레를 따라 양단이 상호 인접되도록 구비되되 일단부에 공기흡입공(131)이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배출공(132a)이 관통된 다수의 돌출부(132)가 형성된 원통체의 송풍케이스(135)와, 상기 공기흡입공(131)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팬모터(133)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공기흡입공(131)을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공기배출공(132a)을 통해 배출하는 송풍팬(134)과, 상기 송풍팬(134)과 인접하는 상기 송풍케이스(135) 내부에 전기적으로 인가되어 상기 송풍팬(134)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부(160)에 형성된 공기유입공(111)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송풍기(130)의 공기흡입공(131)으로 흡입되고, 발열부(136)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공기배출공(132a)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130)의 양단을 연결하도록 마주보는 모서리부가 상기 송풍기(130)의 양단부 상측에 각각 고정되는 PCB기판(138)이 구비되어 상기 송풍기(130)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부(16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송풍케이스(135)는 상기 케이스부(160)의 형태에 케이스부(160) 둘레를 따라 양단이 인접되는 원형, 사각, 타원 등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케이스(135)는 둘레에 결속부(137)가 구비된 반원 형태의 상부 및 하부송풍케이스(135a,135b)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공(132a)이 관통된 상기 돌출부(132)는 상기 하부 송풍케이스(135)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20)를 관통하여 상기 공기배출공(132a)을 통해 온풍이 상기 세탁물(2)을 향해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발열부(136)는 상기 송풍팬(134)과 인접된 상기 송풍케이스(135) 내부에 구비되며, 십자형의 기판에 전열선이 나선형으로 감겨진 형태로 공지 기술인 헤어 드라이기 등의 발열부의 구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진동부(140)는 상기 케이스부(160) 일측에 구비된 진동모터(141)의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14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진동자(142)에 의해 상기 본체(100)와 기둥부(200)가 흔들리고, 상기 기둥부(200)에 거치된 행거를 통해 상기 세탁물(2)이 흔들리게 되어 상기 세탁물(2)의 건조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세탁물(2)의 주름이 펴진 상태로 건조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송풍기(130)에서 발생하는 열풍은 진동하는 본체(100)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흩어지면서 배출되어 상기 세탁물(2)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열풍이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진동부(14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진동자로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1) 중 상기 기둥부(2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지지구(300)에 결합되어 상향 돌출되며, 상측 외주면에 관통공(221)이 형성된 하부기둥(220)과, 상기 램프브라켓(170)의 하부에 결합되어 하향 돌출되며, 하측 외주면에 결합공(211)이 형성된 상부기둥(210)과, 상단부가 상기 상부기둥(210)의 하부에 삽입되며, 하단부가 상기 하부기둥(220)의 상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공(211) 및 관통공(221)과 각각 대응되는 제1삽입공(231) 및 제2삽입공(232)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진동흡수부재(230)로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기둥(210)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기둥(210)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삽입공(231) 및 관통공(221)과 대응되는 볼트삽입공(241)이 형성된 상부고정부재(2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하부기둥(220)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기둥(220)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삽입공(232) 및 결합공(211)과 대응되는 볼트고정공(251)이 형성된 하부고정부재(25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볼트삽입공(241) 및 볼트고정공(251)의 일측으로 볼트(B)가 삽입되고, 타측으로 상기 볼트(B)와 결합되는 너트(N)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기둥(210)과 하부기둥(220) 사이에 상기 진동흡수부재(230)가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볼트삽입공(241)과 볼트고정공(251)은 상기 볼트(B)의 머리부와 상기 볼트(B)의 끝단에 결합되는 너트(N)가 상기 상부 및 하부고정부재(240,25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고정부재(240,250)의 외주면 양측으로 돌출된 각각의 돌기부(242,252)의 홈(242a,252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흡수부재(230)는 내부가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며, 중간에는 주름부(233)가 형성되어 상기 진동부(14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하부기둥(220)이 흔들리지 않도록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흡수부재(230)는 자체탄성력이 우수한 러버(Rubber)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하 진동은 물론 전(全)방향 진동을 탄성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지지구(300)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진동에 의해 세탁물 건조장치(1)가 전복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부(200)에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20)이 상기 기둥부(20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클립(26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클립(260)은 상기 전원선(20)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전원선(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일측이 돌출된 형태로 상기 상부 및 하부기둥(210,220)을 감싸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클립(260)은 상기 기둥부(200)의 길이방향으로 2~3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바닥지지구(300)는 상기 하부기둥(22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이 기둥결착구(310)가 형성된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지지구(300)의 하부 둘레에는 하부면이 톱니형태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구(320)가 복수개 나사결합된다.
이와 더불어, 도 4는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에 커버부와 물받이판이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케이스부(160)에는 상기 기둥부(200)와 행거(10)의 둘레를 감싸는 커버부(4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400)는 상,하가 관통된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일측에 지퍼(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기둥부(20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400)의 상부가 하부보다 좁은 형태로 상기 케이스부(160) 중간에 걸쳐 하부로 늘어뜨린 형태로써 상기 본체(100)의 송풍기(130)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하부로 배출되는 온풍의 확산을 방지하여, 실내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 상기 세탁물(2)의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400)는 내측면에 상기 자외선램프(172)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외선 차단 필름이 코팅된 비닐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자외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지지구(300)의 상부에는 상기 세탁물(2)에서 기화되어 상기 커버부(400)의 내측벽에 맺혀 바닥으로 흐르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물받이부(5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물받이부(500)의 중앙에 상기 하부기둥(220)이 삽입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상기 물받이부(500)은 상기 커버부(400)의 하부 둘레보다 지름이 큰 원형의 함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 중 바닥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지지구(300)는 중앙에 상기 기둥부(20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기둥고정부(331)가 형성된 원통형의 다리고정구(330)와, 상기 다리고정구(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다리결착홈(3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고정돌기(342)가 형성되어 상기 다리고정구(330)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리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리부(340)는 상기 다리고정구(330)에 3~4개 구비되며, 상기 다리부(340) 타단 하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바닥지지구(3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부(341a)가 돌출된 수평조절구(341)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수평조절구(341)의 하부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 중 기둥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제1 및 제2기둥(270,280)이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행거(10)는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기둥(270,280)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행거(10)를 상기 기둥부(2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결합하여 상기 세탁물(2)을 다단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기둥(270,280)의 구성과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기둥(220)과 상기 상부기둥(210)과 하부기둥(220) 사이에 구비된 진동흡수부재(230)로 형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평면의 형태가 모서리에 라운드가 형성된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송풍기(130)의 송풍케이스(135) 역시 상기 케이스부(160)의 형태에 따라 케이스부(160)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게 된다.
상기한 형태로 구성된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장치(1)를 실내 소정의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기둥부(200)에 거치하는 세탁물(2)의 개수와 크기에 따라 다수의 행거(10)를 결합하고,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케이스부(160)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스위치(161)를 ON 시키게되며, 상기 송풍기(130)에서 열풍이 하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진동부(140)에서 진동이 발생하여 상기 본체(100)와 상기 상부기둥(210)이 흔들리고, 상기 세탁물(2)이 흔들리면서 건조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둥부(200)의 상부기둥(210)과 하부기둥(220) 사이에는 진동흡수부재(230)가 구비되어 상기 진동부(14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하부기둥(220)에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160) 상부에 구비된 타이머부(150)에 의해 상기 송풍기(130) 및 진동부(140)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에 따라 상기 송풍기(130) 내부에 구비된 발열부(136)를 ON/OFF 하여 열풍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세탁물 건조장치는 실내에서 열풍과 진동에 의해 세탁물(2)의 건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세탁물(2)의 주름이 펴진 상태로 건조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세탁물 건조장치 2: 세탁물
10: 행거 12: 걸이공
100: 본체 110: 상부케이스
120: 하부케이스 130: 송풍기
131: 공기흡입공 132: 돌출부
132a: 공기배출공 133: 팬모터
134: 송풍팬 135: 송풍케이스
136: 발열부 140: 진동부
141: 진동모터 142: 진동자
150: 타이머부 160: 케이스부
200: 기둥부 210: 상부기둥
220: 하부기둥 230: 진동흡수부재
240: 상부고정부재 250: 하부고정부재
260: 고정클립 270: 제1기둥
280: 제2기둥 300: 바닥지지구
310: 기둥결착구 320: 미끄럼방지구
330: 다리고정구 340: 다리부
400: 커버부 500: 물받이부

Claims (15)

  1. 바닥지지구(30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부(200)에 세탁물(2)을 거치하는 행거(10)가 다수개 결합되며, 상기 기둥부(200)의 상부에는 일측에 다수의 공기유입공(111)이 관통되며, 내측 둘레에 다수의 결합돌기(112)가 하향 돌출됨과 아울러 하부가 개방된 상부케이스(110)와, 내측 둘레에 상기 결합돌기(112)와 대응되는 삽입홈(122)이 형성된 하부케이스(120)가 상호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부(160)와, 상기 케이스부(160)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어 하부 방향으로 온풍을 배출하는 송풍기(130) 및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140)를 구비한 본체(100)에 의해 온풍과 진동을 통해 세탁물(2)을 단시간에 건조시키는 세탁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30)는 상기 케이스부(160) 내측 둘레를 따라 양단이 상호 인접되도록 구비되되 일단부에 공기흡입공(131)이 형성되고, 하부에 공기배출공(132a)이 관통된 다수의 돌출부(132)가 형성된 원통체의 송풍케이스(135)와, 상기 공기흡입공(131)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팬모터(133)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134)과, 상기 송풍팬(134)과 인접하는 상기 송풍케이스(135) 내부에 전기적으로 인가되어 상기 송풍팬(134)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13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풍케이스(135)는 둘레에 결속부(137)가 구비된 반원 형태의 상부 및 하부송풍케이스(135a,135b)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2)는 상기 하부 송풍케이스(135b)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20)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기둥부(200)는 상기 바닥지지구(300)에 결합되어 상향 돌출되며, 상측 외주면에 관통공(221)이 형성된 하부기둥(220)과; 상기 케이스부(160) 하부에 결합되어 하향 돌출되며, 하측 외주면에 결합공(211)이 형성된 상부기둥(210)과; 상단부가 상기 상부기둥(210)의 하부에 삽입되며, 하단부가 상기 하부기둥(220)의 상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공(211) 및 관통공(221)과 각각 대응되는 제1삽입공(231) 및 제2삽입공(232)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진동흡수부재(230)가 구비되며, 상기 진동흡수부재(230)의 중간에는 주름부(2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160)는 일측에 전원스위치(161)가 구비된 원형, 사각, 타원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내측 중앙부에는 전원 인가 시간을 조정하는 타이머부(1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하부면에는 자외선램프(172)가 구비된 램프브라켓(1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140)는 케이스부(160) 내부 일측에 구비된 진동모터(141)의 회전축에 편심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1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둥(210)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기둥(210)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삽입공(231) 및 결합공(211)과 대응되는 볼트삽입공(241)이 형성된 상부고정부재(24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하부기둥(220)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기둥(220)의 상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삽입공(232) 및 관통공(221)과 대응되는 볼트고정공(251)이 형성된 하부고정부재(25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볼트삽입공(241) 및 볼트고정공(251)의 일측으로 볼트(B)가 삽입되고, 타측으로 상기 볼트(B)와 결합되는 너트(N)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기둥(210)과 하부기둥(220) 사이에 상기 진동흡수부재(23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200)에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20)이 상기 기둥부(20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클립(2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케이스부(160)에는 상기 기둥부(200)와 행거(10)의 둘레를 감싸는 커버부(400)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지지구(300)의 상부에는 상기 커버부(400)의 내측벽을 따라 하부로 흘러 내리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물받이부(5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400)는 내측면에 자외선 차단 필름이 코팅된 비닐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구(300)는 상기 기둥부(20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기둥결착구(310)가 형성된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지지구(300)의 하부 둘레에는 하부면이 톱니형태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구(320)가 복수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구(300)는 중앙에 상기 기둥부(200)의 하단이 삽입되는 기둥고정부(331)가 형성된 원통형의 다리고정구(330)와, 상기 다리고정구(3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다리결착홈(33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고정돌기(342)가 형성되어 상기 다리고정구(330)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다리부(34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340) 타단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바닥지지구(3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부(341a)가 돌출된 수평조절구(34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제1 및 제2기둥(270,280)이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행거(10)는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기둥(270,280)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장치.
KR1020150054274A 2015-04-17 2015-04-17 세탁물 건조장치 KR101721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274A KR101721401B1 (ko) 2015-04-17 2015-04-17 세탁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274A KR101721401B1 (ko) 2015-04-17 2015-04-17 세탁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737A KR20160123737A (ko) 2016-10-26
KR101721401B1 true KR101721401B1 (ko) 2017-03-30

Family

ID=5725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274A KR101721401B1 (ko) 2015-04-17 2015-04-17 세탁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4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820B1 (ko) 2017-12-08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CN110130068B (zh) * 2019-06-13 2021-06-22 义乌市丹航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自动收衣晾衣架
CN114260642B (zh) * 2021-09-30 2023-12-19 四川鸿舰重型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锻造水压机平移缸修复方法
CN115125712A (zh) * 2022-06-17 2022-09-30 杭州乐妍服装有限公司 一种用于服装生产的摆动式吹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146Y1 (ko) * 1996-11-23 1999-06-01 오문섭 샤워바람식 빨래건조대
KR200247839Y1 (ko) * 2001-06-25 2001-10-26 송교성 펀칭볼 장치
KR100886771B1 (ko) * 2007-04-02 2009-03-04 (주)버팔로 기능성 장치를 구비한 절첩식 건조기
KR101312024B1 (ko) * 2012-03-06 2013-09-26 (주)에이치엔씨 의류 관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146Y1 (ko) * 1996-11-23 1999-06-01 오문섭 샤워바람식 빨래건조대
KR200247839Y1 (ko) * 2001-06-25 2001-10-26 송교성 펀칭볼 장치
KR100886771B1 (ko) * 2007-04-02 2009-03-04 (주)버팔로 기능성 장치를 구비한 절첩식 건조기
KR101312024B1 (ko) * 2012-03-06 2013-09-26 (주)에이치엔씨 의류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737A (ko)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401B1 (ko) 세탁물 건조장치
US6842581B2 (en) Body drier with interconnected cylindrical air blower housings
RU2448209C2 (ru) Безопасная машина для сушки одежды с большой вместимостью
JP4967021B2 (ja) 棚型衣類乾燥機
US2012024042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2001765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7178265B2 (en) Ambient air clothes dryer
US8631586B2 (en) Energy efficient clothes dryer and child safety barrier therefor
CN111851022A (zh) 一种衣物护理机
KR100886771B1 (ko) 기능성 장치를 구비한 절첩식 건조기
KR20130136894A (ko) 열풍 건조장치가 구비된 빨래 건조대
ES2358612T3 (es) Conjunto de electrodomésticos en forma de columna.
KR102136738B1 (ko) 세탁물 건조 장치
KR20090115388A (ko) 원적외선 빨래 건조대
KR20050090889A (ko) 전기열풍방식 빨래건조대
KR20140001722U (ko) 곡식 건조기
KR101712947B1 (ko) 급건조 기능을 갖는 건조대
KR200251944Y1 (ko) 세탁물 건조장치
KR102264484B1 (ko) 송풍성이 개선된 빨래 건조대
CN215051482U (zh) 一种宾馆专用的壁挂式干衣机
CN212771604U (zh) 一种衣物护理机
JP2009189408A (ja) 浴室用物干し竿
JPH11276797A (ja) 温風パイプハンガー
KR200320970Y1 (ko) 세탁물 건조기
KR200229734Y1 (ko) 타이머송풍팬이 부착된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