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320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320A
KR20220137320A KR1020210043232A KR20210043232A KR20220137320A KR 20220137320 A KR20220137320 A KR 20220137320A KR 1020210043232 A KR1020210043232 A KR 1020210043232A KR 20210043232 A KR20210043232 A KR 20210043232A KR 20220137320 A KR20220137320 A KR 20220137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support body
gear
pulley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완식
임형규
윤태준
장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7320A/ko
Priority to EP22165888.3A priority patent/EP4067556A1/en
Priority to US17/710,169 priority patent/US20220316128A1/en
Priority to PCT/KR2022/004608 priority patent/WO2022211530A1/en
Priority to CN202210348534.8A priority patent/CN115198501A/zh
Publication of KR20220137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2Preventing or reducing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9/00Iron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챔버; 상기 건조챔버로 공기와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옷걸이가 거치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의 일단을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연결하는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의 타단을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연결하는 제2연결바디가 구비된 지지부;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서 회전하는 암;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암의 회전운동을 상기 지지바디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건조챔버 외부에 위치하는 디스크 형상의 종동부; 상기 종동부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주동부; 및 상기 종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암이 상기 회전축에서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드럼으로 스팀이나 열풍을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도록 설계된 것이 있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스팀이나 열풍이 의류에 공급되어야 하므로(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곧게 펴진 상태가 아니므로) 의류에 주름이 남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분리된 공간을 제공하는 제2챔버, 상기 제2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로 스팀이나 열풍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제1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제1챔버 내부에 거치시키는 지지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가 제1챔버 내부에서 운동하게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설계된 것이 있다(등록특허 10-1674942).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펼쳐진 상태의 의류를 제1챔버 내부에서 흔들어 줌으로써 종래 장치의 문제(주름이 의류에 남는 문제)를 해결 가능하였다. 다만, 상기 지지부의 운동으로 인해 진동과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은 의류와 같은 건조대상의 주름을 제거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챔버; 상기 건조챔버로 공기와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옷걸이가 거치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의 일단을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연결하는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의 타단을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연결하는 제2연결바디가 구비된 지지부;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서 회전하는 암;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암의 회전운동을 상기 지지바디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건조챔버 외부에 위치하는 디스크 형상의 종동부; 상기 종동부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주동부; 및 상기 종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암이 상기 회전축에서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종동부의 영역 중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된 영역의 무게가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된 영역의 무게보다 무겁게 하는 질량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종동부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고정된 반원형상의 질량체, 또는 부채꼴형상의 질량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종동부의 원주면에 고정된 질량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암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된 슬롯; 및 일단은 상기 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지지바디의 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의 길이는 상기 체결부의 회전궤적의 지름과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상기 체결부의 회전궤적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주동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기어로 구비되고, 상기 종동부는 상기 주동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상기 종동기어의 상부면을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에 위치된 기어 제1영역과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기어 제2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기어 제2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상기 종동기어의 원주면을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에 위치된 기어 원주면 제1영역과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기어 원주면 제2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기어 원주면 제2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동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풀리로 구비되고, 상기 종동부는 벨트를 통해 상기 주동기어에 연결된 종동풀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상기 종동풀리의 상부면을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에 위치된 풀리 제1영역과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풀리 제2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풀리 제2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상기 종동풀리의 원주면을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에 위치된 풀리 원주면 제1영역과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풀리 원주면 제2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풀리 원주면 제2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의류와 같은 건조대상의 주름을 제거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지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지지부에 구비된 변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진동제어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 등의 건조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챔버(2), 상기 건조챔버(2)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상기 건조챔버(2) 내부에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지지부(5)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건조챔버(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챔버(3, 기계실), 및 상기 건조챔버(2)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챔버(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3)와 제2챔버(4)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캐비닛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제1챔버(3)는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챔버(2)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챔버(4)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챔버(2)의 상부에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의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일면(11, 전방면)에는 건조챔버(2)에 연통하는 제1연통홀(111) 및 상기 제1챔버(3)에 연통하는 제2연통홀(112, 도 1 참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면(11)에는 도어(13)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13)는 상기 제1연통홀(111) 및 상기 제2연통홀(112)을 모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에는 컨트롤패널(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4)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및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3)에는 상기 건조챔버(2)로 공기와 수분(스팀 또는 미스트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31, 32, 34, 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가 제1연통홀(111)을 개방한 때 상기 공급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안전사고 방지), 상기 제2연통홀(112)에는 커버(1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3, 기계실 도어)는 상기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2연통홀(112)을 폐쇄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이나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챔버(2)는 투입구(211)가 구비된 챔버 전방면(21), 상기 챔버 전방면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챔버 상부면(24), 상기 챔버 전방면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건조챔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챔버 바닥면(23), 상기 챔버 상부면과 바닥면을 연결하여 상기 건조챔버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챔버 후방면(2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211)는 상기 제1연통홀(111)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도어(13)가 상기 제1연통홀(111)을 개방하면 상기 투입구(211)가 캐비닛의 외부에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211)를 통해 상기 건조챔버(2)로 의류를 투입하거나, 상기 건조챔버(2)로부터 의류를 인출 가능하다.
상기 챔버 바닥면(23)은 상기 건조챔버(2)와 제1챔버(3)를 구분하는 벽(격벽)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 바닥면(23)에는 상기 건조챔버(2)와 제1챔버(3)를 연통시키는 배출구(231), 공기공급구(232), 및 수분공급구(2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231)는 상기 건조챔버(2)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1챔버(3)로 안내하는 관통홀이고, 상기 공기공급구(232) 및 상기 수분공급구(233)는 상기 공급부(31, 32, 34, 35)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수분을 상기 건조챔버(2)로 안내하는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31, 32, 34, 35)는 공기공급부(31)와 수분공급부(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공급부가 공기공급부(31) 및 수분공급부(34)를 모두 구비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공기공급부(31)는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2)에 공급하는 수단으로, 상기 배출구(231)와 공기공급구(232)를 연결하는 덕트(311), 상기 덕트(311) 내부에 구비된 팬(31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31)가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2)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덕트(311) 내부에는 열교환부(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32)는 상기 덕트(311)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공기를 응축하는 제1열교환기(321, 증발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에 열을 공급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322, 응축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는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327)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냉매관(327)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25), 냉매관을 따라 순환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326)가 구비된다.
상기 수분공급부(34)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341), 상기 저장부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343), 상기 저장부(341) 내부의 스팀을 상기 수분공급구(233)로 안내하는 공급관(34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343)는 전력이 공급되면 발열하는 전기저항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1)는 상기 커버(113)에 구비된 급수부(35)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부(35)는 상기 커버(11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탱크(351), 상기 탱크(351)를 상기 저장부(341)에 연결하는 연결관(353), 및 상기 연결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3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는 의류가 상기 건조챔버(2) 내부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수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5)는 상기 건조챔버(2) 내부에 위치하여 옷걸이(H1)가 거치되는 지지바디(51), 및 상기 지지바디(51)가 상기 건조챔버(2) 내부에서 운동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D)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51)는 상기 건조챔버의 너비방향(Y축 방향)에 평행한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51)의 상부면(챔버 상부면을 향하는 면)에는 옷걸이의 고리(H2)가 수용되는 다수의 수용홈(5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51)의 일단은 제1연결바디(511)를 통해 상기 챔버 상부면(24)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바디(51)의 타단은 제2연결바디(512)를 통해 상기 챔버 상부면(2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511, 512)에 의해 상기 지지바디(51)의 운동이 제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구동부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바디(511)와 제2연결바디(512)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연결바디(511)와 제2연결바디(512)는 상기 챔버 상부면(24)에 직접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챔버(4)에 구비된 고정부(5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각 연결바디(511, 512)가 상기 챔버 상부면(24)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부(52)에 고정된다면, 상기 지지바디(51)의 운동(Y축 방향에 평행한 왕복운동 등) 시 상기 건조챔버(2)에 전달되는 진동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각 연결바디(511, 512)가 상기 고정부(52)에 고정될 경우, 상기 챔버 상부면(24)에는 상기 제1연결바디(511)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241), 및 상기 제2연결바디(512)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242)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상기 건조챔버(2)로 공급된 공기나 수분이 상기 제2챔버(4)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관통홀(241, 242)에는 가스켓(gasket)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각 관통홀을 폐쇄 가능한 한 상기 가스켓의 형상이나 구조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51)는 상기 구동부(D)를 통해 상기 건조챔버(2)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데, 본 명세서에 사용된 '왕복 운동'의 의미는 상기 지지바디가 X축 또는 Y축을 따라 왕복하는 직선 운동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바디(51)가 X-Y평면 내에서 원 운동을 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구동부(D)는 모터(541)가 구비된 주동부(54), 상기 주동부가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552)이 구비된 종동부(55), 상기 회전축(552)의 회전운동을 상기 지지바디(51)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5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동부의 모터(541)는 상기 고정부(52)에 고정되어 상기 제2챔버(4)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542, 모터 축)에는 주동풀리(543)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종동부의 회전축(552)은 상기 고정부(52) 및 상기 챔버 상부면(24)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고정부(52)에는 상기 회전축(552)이 관통하는 고정부 제1관통홀(521)이 구비되고, 상기 챔버 상부면(24)에는 상부면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회전축(552)는 일단은 상기 건조챔버(2)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제2챔버(4)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부 제1관통홀(521)과 상부면 관통홀에 삽입된다.
상기 종동부(55)는 상기 회전축(552)의 양단에 고정되는 종동풀리(551) 및 암(553)이 구비된다. 상기 종동풀리(551)는 상기 제2챔버(4)에 위치된 회전축(552)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암(553)은 상기 건조챔버(2)에 위치된 회전축(552)의 일단에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553)은 일단(고정단)이 상기 회전축(552)에 고정된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동풀리(543)와 종동풀리(551)는 벨트(56)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축(542)의 회전 시 상기 회전축(552)의 일단에 고정된 상기 암(553)의 자유단은 상기 건조챔버(2) 내부에서 회전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주동풀리(543)는 주동기어로 변경되고, 상기 종동풀리(551)는 종동기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는 서로 치합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벨트가 불필요한 구조).
상기 변환부(57)는 상기 암(55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바디(51)에 고정된 슬롯(573), 및 일단은 상기 암(553)에 고정되고 타단(자유단)은 상기 슬롯(573)에 삽입되는 체결부(57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롯(573)은 상기 지지바디(51)에 직교하는 방향(X축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디(51)의 움직임은 상기 슬롯(573)의 길이와 상기 체결부(571)가 회전할 때 형성되는 회전궤적(T)의 지름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상기 슬롯(573)의 길이(L)가 상기 체결부(571)의 회전궤적(T)의 지름 이상으로 설정되면, 상기 암(553)의 회전 시 상기 지지바디(51)는 상기 건조챔버(2)의 너비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할 것이다. 상기 체결부(571)가 회전궤적(T)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슬롯(573)에는 슬롯에 직교하는 성분의 힘(A)과 슬롯에 평행한 성분의 힘(B)의 합력(F)이 작용한다. 그런데, 상기 슬롯의 지름(L)이 회전궤적(T)의 지름 이상이면, 상기 지지바디(51)는 슬롯에 직교하는 성분의 힘(A)에 의해서만 운동할 것이기 때문에, 도 4와 같은 조건에서 상기 지지바디(51)는 Y축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슬롯(573)의 길이(L)가 상기 체결부(571)의 회전궤적(T)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면, 상기 암(553)의 회전 시 상기 지지바디(51)는 X-Y 평면에서 타원궤적을 형성하는 왕복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슬롯(573)은 상기 지지바디(51)와 평행한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롯(573)의 길이(L)가 상기 체결부(571)의 회전궤적(T)의 지름 이상으로 설정되면, 상기 암(553)의 회전 시 상기 지지바디(51)는 상기 건조챔버(2)의 깊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할 것이다(연결바디들 및 관통홀들의 위치가 변경됨이 바람직함). 그러나, 상기 슬롯(573)의 길이(L)가 상기 체결부(571)의 회전궤적(T)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면, 상기 암(553)의 회전 시 상기 지지바디(51)는 X-Y 평면에서 타원궤적을 형성하는 왕복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회전축(552)의 회전 시 상기 지지바디(51)를 흔들어 줌으로써, 상기 건조챔버(2) 내부에 수납된 의류에서 냄새입자를 비롯한 먼지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31, 32, 34, 35)를 통해 공기나 수분이 공급되는 동안 상기 지지바디(51)를 흔들어주면, 의류에 발생한 주름을 제거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만으로 구성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지지바디(51)의 왕복주기가 짧아질수록 상기 건조챔버(2)의 진동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51)의 운동에 따른 상기 건조챔버(2)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5)에는 상기 지지바디(51)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을 억제하는 진동제어부(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진동제어부(6)는 상기 암(553)이 상기 회전축(552)에서 돌출된 방향(-Y축 방향)과 반대방향(+Y축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종동부(55)에 고정된 웨이트(weight)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종동풀리(551)의 영역 중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Y축 방향)에 위치된 영역(R2)의 무게가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Y축 방향)에 위치된 영역(R1)의 무게보다 무겁게 하는 질량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중심(552)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상기 종동풀리(551)의 상부면을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에 위치된 풀리 제1영역(R1)과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풀리 제2영역(R2)으로 구분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풀리 제2영역(R2)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진동제어부(6)가 상기 종동풀리(551)에 구비되면, 상기 지지바디(51)의 왕복운동 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웨이트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중첩된다(지지바디에 의한 진동의 일부를 감쇄하는 중첩이 발생). 상기 지지바디(51)에 의한 진동과 상기 웨이트에 의한 진동이 중첩되면 상기 지지바디(51)의 최대 진폭이 감소할 것이므로, 상기 진동제어부(6)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100)는 건조챔버(2) 및 캐비닛(1)의 진동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
상기 웨이트는 상기 종동풀리(551)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고정된 반원형상의 질량체 또는 부채꼴형상의 질량체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상기 웨이트가 종동풀리(551)의 상부면에 고정된 반원형상의 질량체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웨이트는 상기 종동풀리(551)의 원주면에 고정된 질량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웨이트는 상기 종동풀리(551)의 원주면(풀리 원주면 제1영역, 풀리 원주면 제2영역) 중 상기 풀리 제2영역(R2)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영역(풀리 원주면 제2영역)에 고정된 질량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동부(54)에는 주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종동부(55)에는 종동기어가 구비될 경우에도 상기 웨이트는 기어 제2영역에 고정되어야 한다. 즉,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상기 종동기어의 상부면을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에 위치된 기어 제1영역과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기어 제2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기어 제2영역에 고정되어야 한다.
나아가,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상기 종동기어의 원주면을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에 위치된 기어 원주면 제1영역과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기어 원주면 제2영역으로 구분한다면, 상기 웨이트는 상기 기어 원주면 제2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면
111: 제1연통홀 112: 제2연통홀 113: 커버
13: 도어 14: 컨트롤패널 2: 건조챔버
21: 챔버 전방면 211: 투입구 23: 챔버 바닥면
231: 배출구 232: 공기공급구 233: 수분공급구
24: 챔버 상부면 241: 제1관통홀 242: 제2관통홀
3: 제1챔버 31: 공기공급부 311: 덕트
312: 팬 32: 열교환부 34: 수분공급부
35: 급수부 4: 제2챔버 5: 지지부
51: 지지바디 511: 제1연결바디 512: 제2연결바디
513: 수용홈 52: 고정부 521: 고정부 제1관통홀
522: 고정부 제2관통홀 54: 주동부 541: 모터
542: 모터 축 543: 주동풀리 55: 종동부
551: 종동풀리 552: 회전축 553: 암
56: 벨트 57: 변환부 571: 체결부
573: 슬롯 6: 진동제어부

Claims (12)

  1.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챔버;
    상기 건조챔버로 공기와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옷걸이가 거치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의 일단을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연결하는 제1연결바디, 및 상기 지지바디의 타단을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연결하는 제2연결바디가 구비된 지지부;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서 회전하는 암;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암의 회전운동을 상기 지지바디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건조챔버 외부에 위치하는 디스크 형상의 종동부;
    상기 종동부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주동부; 및
    상기 종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암이 상기 회전축에서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종동부의 영역 중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된 영역의 무게가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된 영역의 무게보다 무겁게 하는 질량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종동부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고정된 반원형상의 질량체, 또는 부채꼴형상의 질량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종동부의 원주면에 고정된 질량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암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된 슬롯; 및 일단은 상기 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지지바디의 운동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길이는 상기 체결부의 회전궤적의 지름과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상기 체결부의 회전궤적의 지름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기어로 구비되고,
    상기 종동부는 상기 주동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기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상기 종동기어의 상부면을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에 위치된 기어 제1영역과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기어 제2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기어 제2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상기 종동기어의 원주면을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에 위치된 기어 원주면 제1영역과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기어 원주면 제2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기어 원주면 제2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부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풀리로 구비되고,
    상기 종동부는 벨트를 통해 상기 주동기어에 연결된 종동풀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상기 종동풀리의 상부면을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에 위치된 풀리 제1영역과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풀리 제2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풀리 제2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풀리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 상기 종동풀리의 원주면을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에 위치된 풀리 원주면 제1영역과 상기 암이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에 위치된 풀리 원주면 제2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웨이트는 상기 풀리 원주면 제2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43232A 2021-04-02 2021-04-02 의류처리장치 KR20220137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232A KR20220137320A (ko) 2021-04-02 2021-04-02 의류처리장치
EP22165888.3A EP4067556A1 (en) 2021-04-02 2022-03-31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7/710,169 US20220316128A1 (en) 2021-04-02 2022-03-31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CT/KR2022/004608 WO2022211530A1 (en) 2021-04-02 2022-03-31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2210348534.8A CN115198501A (zh) 2021-04-02 2022-04-01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232A KR20220137320A (ko) 2021-04-02 2021-04-02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320A true KR20220137320A (ko) 2022-10-12

Family

ID=8107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232A KR20220137320A (ko) 2021-04-02 2021-04-0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16128A1 (ko)
EP (1) EP4067556A1 (ko)
KR (1) KR20220137320A (ko)
CN (1) CN115198501A (ko)
WO (1) WO20222115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3996B2 (en) * 2002-05-15 2006-09-12 Ark-Les Corporation Agitator for removing wrinkles from clothing
US7137211B2 (en) * 2004-08-18 2006-11-21 Maytag Corporation Drying cabinet shaker mechanism
KR100638937B1 (ko) * 2005-03-31 2006-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의 모터 소음 저감 구조
KR101674942B1 (ko) * 2010-03-03 201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606117B1 (ko) * 2016-06-03 2023-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003820B1 (ko) * 2017-12-08 2019-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40140A (ko) * 2018-06-11 2019-12-19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의류처리장치
CN112513363B (zh) * 2018-07-30 2023-08-2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设备
KR102373876B1 (ko) 2019-10-11 2022-03-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용성 전구체를 사용하는 중질유 경질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98501A (zh) 2022-10-18
EP4067556A1 (en) 2022-10-05
US20220316128A1 (en) 2022-10-06
WO2022211530A1 (en)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511B1 (ko) 다중 의류처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254903B1 (ko) 의류처리장치
JP6656254B2 (ja) 芳香器具及びこれを含む衣類処理装置
US20230220605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10067754A (ko) 의류 처리장치
AU2024201959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407129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n air inlet assembly
CN116113736A (zh) 衣物处理设备
KR20220137320A (ko) 의류처리장치
CN115812115A (zh) 衣物处理装置
KR2019012467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0598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2809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306A (ko) 의류처리장치
EP409530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0675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401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86713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40125039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4187012A2 (en) Hanger for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30063855A (ko)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63854A (ko)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10129430A (ko) 건조기
KR2023006566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61131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