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215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215A
KR20190068215A KR1020170168388A KR20170168388A KR20190068215A KR 20190068215 A KR20190068215 A KR 20190068215A KR 1020170168388 A KR1020170168388 A KR 1020170168388A KR 20170168388 A KR20170168388 A KR 20170168388A KR 20190068215 A KR20190068215 A KR 20190068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xing
cable
twiste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전성원
김재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유엠 유한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유엠 유한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8215A/ko
Publication of KR20190068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도전성 터미널이 설치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도전성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서로 꼬인 관계의 복수의 내부 전선을 갖는 트위스트 케이블에 고정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되 소정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 상태를 이탈하여 소정 각도 회전한 후 다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꼬인 관계의 내부 전선을 갖는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구조를 유지하고 오픈 아이(open-eye)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트위스트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에 구비되는 전기 부품은 신호, 접지, 전원 등을 인가하고 주고 받기 위해 커넥터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통상, 커넥터 제작 시 커넥터의 하우징과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미널을 결합하는 공정에서는, 작업자가 전선의 단부를 잡고 터미널을 하우징 내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신호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복수의 전선들을 서로 꼬인 관계로 구현한 트위스트 케이블이 이더넷 통신 등에 적용되고 있다. 트위스트 케이블은 서로 꼬인 관계의 전선들에 각각 전달되는 전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호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적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트위스트 케이블은 복수의 전선 간 꼬임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전기적 성능에 매우 유리하다.
그런데, 트위스트 케이블에 커넥터 구조를 적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커넥터 제작 방식과 같이 전선의 단부를 집어 커넥터 하우징에 밀어 넣는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전선의 단부는 서로 꼬인 구조를 제거하여 일정 길이 이상의 서로 평행한 구조로 배치되어야 한다. 특히, 밀어 넣는 힘 등에 의해 전선 간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전선의 형상이 변경되는 오픈아이(open-eye)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 구조나 제작 방식에 의하면, 트위스트 케이블 전선의 꼬임 구조가 파괴되는 구간이 발생하거나 전선의 오픈아이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신호의 왜곡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저전류 및 저전압의 특성을 가지는 신호전달 목적의 이더넷 커넥터는, 꼬임 파괴나 오픈아이 현상에 의해 신호 왜곡 뿐만 아니라 신호 왜곡으로 인한 디지털 기기의 이상 출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여러 제어기(control unit)의 신호 오류로 인한 주행 중 장비의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4-0107070 A JP 1998-172651 A
이에 본 발명은, 서로 꼬인 관계의 내부 전선을 갖는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구조를 유지하고 오픈 아이(open-eye)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트위스트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도전성 터미널이 설치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도전성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서로 꼬인 관계의 복수의 내부 전선을 갖는 트위스트 케이블에 고정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되 소정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 상태를 이탈하여 소정 각도 회전한 후 다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은 그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용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영역은 직경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각각은 외부 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의 모서리에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고정용 관통홀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주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기 고정돌기의 경사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소정의 회전력에 의해 삽입된 고정용 관통홀에서 이탈하여 회전 후 다른 고정용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서로 꼬인 관계의 복수의 내부 전선을 갖는 트위스트 케이블의 단부에 고정되는 케이블 홀더;
상기 케이블 홀더로부터 노출된 내부 전선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터미널;
상기 도전성 터미널이 사전 설정된 배치 구조로 배치하도록 가이드하며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갖는 제1 하우징; 및
일단에는 상기 케이블 홀더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이 고정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제1 하우징이 고정되는 영역에 중공과 외주면 사이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용 관통홀을 갖는 제2 하우징;
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케이블 홀더는,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의 외피 밖으로 노출된 내부 전선을 관통시키며 상기 외피 단부를 지지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을 둘러싸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연장 방향의 단부는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에 접촉되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내면에는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의 외주면을 침투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케이블 홀더는 그 외주면에 상기 제2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중공의 내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 안착되는 고정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중공은 상기 케이블 홀더가 고정되는 영역에서 상기 케이블 홀더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영역은 직경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각각은 외부 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의 모서리에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고정용 관통홀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주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기 고정돌기의 경사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소정의 회전력에 의해 삽입된 고정용 관통홀에서 이탈하여 회전 후 다른 고정용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도전성 터미널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 도전성 터미널이 노출된 영역에 제1 하우징과 결합되면서 상기 노출된 도전성 터미널의 일부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도전성 터미널을 제1 하우징에 고정하는 터미널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조립 과정에서 도전성 터미널과의 연결 등을 위해 트위스트 케이블의 내부 전선이 직선화 되는 구간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내에서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상태가 해제 됨에 따라 트위스트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발생하는 잡음 및 신호 왜곡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트위스트 케이블이 차량의 이더넷 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해제로 인해 발생하는 잡음 등이 차량 내 전기 시스템에 미치는 악영향을 제거하여 차량 전기 시스템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에 이은 후속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에 이은 후속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도 7에 도시된 결합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b)는 횡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에 이은 후속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에 이은 후속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립 과정에 의한 형성된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조립 상태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상호 상대적인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의한 꼬임 구조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서로 꼬인 관계의 복수의 내부 전선(101)을 갖는 트위스트 케이블(100)의 단부에 고정되는 케이블 홀더(11)와, 케이블 홀더(11)로부터 노출된 내부 전선(101)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터미널(13)과, 도전성 터미널(13)이 사전 설정된 배치 구조로 배치하도록 가이드하며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갖는 제1 하우징(15) 및 일단에는 케이블 홀더(11)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제1 하우징(15)이 고정되는 중공을 가지며, 제1 하우징(15)이 고정되는 영역에 중공과 외주면 사이를 관통하고 제1 하우징(15)의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용 관통홀을 갖는 제2 하우징(1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제1 하우징(15)에 도전성 터미널(13)을 고정하는 터미널 홀더(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그 조립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이하의 조립 순서에 따른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더욱 상세한 구조와 그에 의한 작용 효과가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 중 가장 우선하는 과정으로서, 제2 하우징(17)에 트위스트 케이블(100)이 삽입된 구조이다.
제2 하우징(17)은 원통형 구조로 원통의 양 밑면을 서로 관통하는 구조의 중공을 갖는다. 이 중공을 관통하도록 트위스트 케이블(100)이 삽입된다. 제2 하우징(17)의 일단에 인접한 영역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고정용 관통홀(17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용 관통홀(171)은 제2 하우징(17)의 중공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용 관통홀(171)은 후속의 조립과정에서 제1 하우징(15)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도 3에 도시된 두 개의 내부 전선(101)과 두 개의 내부 전선(101)을 감싸는 외피(1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외피(103)의 외부로 노출된 내부 전선(101)은 커넥터 조립을 위해 꼬인 구조를 직선화한 부분에 해당한다. 하지만, 외피(103)의 내부에서는 두 내부 전선(101)이 서로 꼬여 감긴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 전선(101)은 전기 신호가 전달되는 도전성 코어와 이를 둘러싸는 절연성 피복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에 이은 후속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조립 과정은 트위스트 케이블(100)의 단부에 케이블 홀더(11)를 부착 고정하는 과정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블 홀더(11) 역시 중공을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블 홀더(11)의 일단은 트위스트 케이블(100)의 외피(103)가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이 개방되어 있으나, 그 타단은 트위스트 케이블(100)의 내부 전선(101)만 통과 가능하고 외피(103)가 통과하지 않고 걸림이 형성되는 스토퍼부(111)가 형성된다. 스토퍼부(101)로부터 트위스트 케이블(100)을 둘러싸도록 연장된 케이블 홀더(11)의 측면을 케이블 고정부(113)이라 하기로 한다.
스토퍼부(111) 반대측의 케이블 고정부(113) 단부에는 그 외주면에 트임 구조가 형성되어 트위스트 케이블(100)의 외피가 스토퍼부(111)까지 삽입된 이후 케이블 홀더(11)의 외주면을 트위스트 케이블(100) 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트위스트 케이블(100)에 케이블 홀더(11)의 내주면이 더욱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립 과정은 도 5의 (a)에서 (b)로 이어지는 조립 과정의 측면도를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위스트 케이블(100)에 접촉되는 케이블 고정부(113)는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의 외주면을 침투하는 걸림 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걸림 돌기(115)는 일정한 신축성을 갖는 트위스트 케이블(100)의 외피(103)의 외면을 침투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케이블 홀더(11)가 트위스트 케이블(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에 이은 후속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의 (a)는 도 7에 도시된 결합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b)는 횡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조립 과정에 이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블 홀더(11)의 스토퍼부(111)을 관통하여 노출된 트위스트 케이블(100)의 내부 전선(101)의 단부에 도전성 터미널(13)이 결합될 수 있다. 도전성 터미널(13)은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결합될 때 다른 커넥터의 전기 접촉부와 접속을 형성하게 되는 부분이므로 내부 전선(101)의 피복 내 도전성 코어와 직접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전성 터미널(13)의 내부 전선(101)이 결합되는 단부에 비해 그 반대측 단부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높이를 갖는 단차를 형성한다. 이 단차 구조는 후술하는 터미널 홀더(19)가 설치되는 경우 터미널 홀더(19)에 걸림이 발생하여 터미널 홀더(19)가 설치된 방향으로 도전성 터미널(13)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조립 과정에 후속하는 과정에서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하우징(17)을 도전성 터미널(13)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하우징(17)에 형성된 중공의 일단에 케이블 홀더(11)가 고정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블 홀더(11)의 외주면에는 케이블 홀더(11)가 제2 하우징(17)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이드 홈(11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17)의 중공 내주면에는 이 가이드 홈(117)에 안착되는 고정 돌기(173)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홀더(11)가 제2 하우징(17)에 고정을 위해 삽입되는 과정에서 고정 돌기(173)가 가이드 홈(117)에 안착되면서 케이블 홀더(11)는 삽입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원주 방향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 홀더(11)가 고정되는 제2 하우징(17)의 중공의 단부는 끝으로 갈수록 케이블 홀더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그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175)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케이블 홀더(11)는 제2 하우징(17)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에 이은 후속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립 과정에 의한 형성된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과정에 이어, 도전성 터미널(13)의 단부를 제1 하우징(15)에 일정 배치구조로 배치한 후 터미널 홀더(19)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제1 하우징(15)을 케이블 홀더(11)가 고정된 반대측의 제2 하우징(17) 단부에 삽입한다.
제1 하우징(15)은 도전성 터미널(13)이 배치될 수 있는 가이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도전성 터미널(13)의 단차 구조(131)가 노출되도록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개구부는 도 1에서 참조부호 '153'으로 지시된다. 이 개구부(153)에 클립 형태의 터미널 홀더(19)가 삽입 고정되면서 도전성 터미널(13)의 단차 구조(131)가 터미널 홀더(19)에 걸려 후퇴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터미널 홀더(19)는 도전성 터미널(13)의 단차 구조(131)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도전성 터미널(13)을 제1 하우징(15)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제2 하우징(17)의 중공으로 삽입되는 제1 하우징(15)의 단부에는 복수의 고정 돌기(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 돌기(151)는 제2 하우징(17)에 형성된 고정용 관통홀(17)에 삽입됨으로써 제1 하우징(15)을 제2 하우징(17)의 일단에 고정시키게 된다.
제1 하우징(15)이 제2 하우징(17)의 중공으로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게 하고, 상태에서 제1 하우징(15)과 제2 하우징(17)의 고정 상태에서 삽입 반대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 돌기(151)가 고정용 관통홀(171)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하우징(15)의 고정돌기(151)가 형성된 영역은 직경 방향으로 탄성력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조립 상태에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상호 상대적인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결합 상태에서, 제1 하우징(15)과 제2 하우징(17)은 상호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게 구현된다. 즉, 제2 하우징(17)에 형성된 고정용 관통홀(17)은 원주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15)의 고정 돌기(151)는 복수의 고정용 관통홀(171) 중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5) 또는 제2 하우징(17)에 작용하는 외부의 회전력에 의해 제1 하우징(15)의 고정돌기(151)는 그가 삽입된 고정용 관통홀(171)의 길이 만큼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력의 크기가 일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고정돌기(151)가 이전에 삽입되었던 고정용 관통홀(171)을 이탈하여 그 이웃의 고정용 관통홀(171)로 이동 삽입된다.
이러한, 제1 하우징(15)과 제2 하우징(17)의 상대적인 회전 시 고정돌기(151)가 인접한 고정용 관통홀(171)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고정돌기(151)의 회전방향에는 경사면(15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사면(151a)은 고정돌기(151)의 일 방향의 모서리에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의 회전만 용이하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충분한 걸림에 의한 고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에 의한 꼬임 구조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것과 같은 제1 하우징(15)과 제2 하우징(17)의 상대적인 회전은 커넥터의 터미널 연결을 위해 꼬임이 풀려 직선화된 내부 전선(101)에 다시 꼬임 구조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전성 터미널(13)이 고정된 제1 하우징(15)이 케이블 홀더(11)에 의해 트위스트 케이블이 고정된 제2 하우징(17)의 전후 방향으로 최초 삽입되면 외피(103)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내부 전선(101)은 상호 평행한 구조를 형성하거나 노출된 영역의 길이가 긴 경우 오픈아이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의 (a)와 같은 결합상태에서 제1 하우징(15)과 제2 하우징(17)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도 12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피(103)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내부 전선(101)에 꼬임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1 하우징(15)과 제2 하우징(17)의 회전 방향은, 트위스트 케이블(100)의 외피(103) 밖으로 노출된 내부 전선의 꼬임 방향이 외피(103) 내의 내부 전선(101)의 꼬임 방향과 일치하게 할 수 있으며, 이 내부 전선(101) 자체의 꼬임 방향을 고려하여 고정돌기(151)의 경사면(151a) 형성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7)에 형성된 고정용 관통홀(171)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므로, 회전을 통해 제1 하우징(15)의 고정돌기(151)가 삽입되는 고정용 관통홀(171)을 적절하게 결정함으로써, 외피(103)의 외부로 노출된 내부 전선(101)의 길이에 적절하게 꼬임의 양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는, 커넥터의 조립 과정에서 도전성 터미널과의 연결 등을 위해 트위스트 케이블의 내부 전선이 직선화 되는 구간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꼬임 상태가 해제 됨에 따라 트위스트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발생하는 잡음 및 신호 왜곡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트위스트 케이블이 차량의 이더넷 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해제로 인해 발생하는 잡음 등이 차량 내 전기 시스템에 미치는 악영향을 제거하여 차량 전기 시스템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트위스트 케이블 101: 내부 전선
103: 외피 11: 케이블 홀더
111: 스토퍼부 113: 케이블 고정부
115: 걸림 돌기 117: 가이드 홈
13: 도전성 터미널 131: 단차 구조
15: 제1 하우징 151: 고정 돌기
151a: 경사면 153: 개구부
17: 제2 하우징 171: 고정용 관통홀
173: 고정 돌기 175: 테이퍼 구조
19: 터미널 홀더

Claims (14)

  1. 도전성 터미널이 설치된 제1 하우징; 및
    상기 도전성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서로 꼬인 관계의 복수의 내부 전선을 갖는 트위스트 케이블에 고정된 제2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되 소정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 상태를 이탈하여 소정 각도 회전한 후 다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그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용 관통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영역은 직경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각각은 외부 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의 모서리에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고정용 관통홀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주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기 고정돌기의 경사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소정의 회전력에 의해 삽입된 고정용 관통홀에서 이탈하여 회전 후 다른 고정용 관통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서로 꼬인 관계의 복수의 내부 전선을 갖는 트위스트 케이블의 단부에 고정되는 케이블 홀더;
    상기 케이블 홀더로부터 노출된 내부 전선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성 터미널;
    상기 도전성 터미널이 사전 설정된 배치 구조로 배치하도록 가이드하며 외주면에 돌출된 복수의 고정 돌기를 갖는 제1 하우징; 및
    일단에는 상기 케이블 홀더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이 고정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제1 하우징이 고정되는 영역에 중공과 외주면 사이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 돌기가 삽입되는 고정용 관통홀을 갖는 제2 하우징;
    을 포함하는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는,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의 외피 밖으로 노출된 내부 전선을 관통시키며 상기 외피 단부를 지지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을 둘러싸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연장 방향의 단부는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에 접촉되는 상기 케이블 고정부의 내면에는 상기 트위스트 케이블의 외주면을 침투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홀더는 그 외주면에 상기 제2 하우징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중공의 내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 안착되는 고정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중공은 상기 케이블 홀더가 고정되는 영역에서 상기 케이블 홀더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영역은 직경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돌기 각각은 외부 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의 모서리에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고정용 관통홀은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주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용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기 고정돌기의 경사면 방향으로 작용하는 소정의 회전력에 의해 삽입된 고정용 관통홀에서 이탈하여 회전 후 다른 고정용 관통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도전성 터미널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며,
    상기 도전성 터미널이 노출된 영역에 제1 하우징과 결합되면서 상기 노출된 도전성 터미널의 일부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도전성 터미널을 제1 하우징에 고정하는 터미널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70168388A 2017-12-08 2017-12-08 커넥터 KR20190068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88A KR20190068215A (ko) 2017-12-08 2017-12-08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88A KR20190068215A (ko) 2017-12-08 2017-12-08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215A true KR20190068215A (ko) 2019-06-18

Family

ID=67102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388A KR20190068215A (ko) 2017-12-08 2017-12-08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821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651A (ja) 1996-12-12 1998-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割型コネクタ
KR20140107070A (ko) 2013-02-27 2014-09-04 타이코에이엠피(유)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651A (ja) 1996-12-12 1998-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割型コネクタ
KR20140107070A (ko) 2013-02-27 2014-09-04 타이코에이엠피(유)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3302B2 (ja) 回転負荷に耐える張力緩和器を有するパッチコード及び関連張力緩和器及びコネクタ
KR101659298B1 (ko) 내부 쉴딩 배열을 가진 동축 커넥터 및 이를 조립하는 방법
US10992087B2 (en) Contact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or
US7416448B2 (en) Cable plug
EP2419967A1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one
JPH0719623B2 (ja) はんだなしプラグ・ケーブル接続装置
CA2739750C (en) Plug connector for a star quad cable
CN111771307B (zh) 用于网络连接器的电气屏蔽构件
US4076367A (en) Solderless connector
JP2008123913A (ja) 内導体端子及び同軸コネクタ
WO2017199756A1 (ja) 信号端子とグランド端子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装置
KR20190068215A (ko) 커넥터
US9917388B2 (en) Multicore cable
JP2019200898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3299228B2 (ja) 同軸中継コネクタ
JP2009238465A (ja) シールド電線付きコネクタ
JP2002298970A (ja) ケーブル及びシールドケーブルの端末保持構造
JPH0119827Y2 (ko)
JP7265132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それ備えた車載カメラ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JPH11329521A (ja) 接続端子の電線保持構造
JP3693973B2 (ja) L字プラグとその組み立て方法
JPH08222286A (ja) ケーブル圧接用コネクタ
JP2023102025A (ja) 防水栓及びコネクタ
JP2002184536A (ja) 電子機器ケース、同軸ケーブル連結具及び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1176622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