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070A -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070A
KR20140107070A KR1020130044162A KR20130044162A KR20140107070A KR 20140107070 A KR20140107070 A KR 20140107070A KR 1020130044162 A KR1020130044162 A KR 1020130044162A KR 20130044162 A KR20130044162 A KR 20130044162A KR 20140107070 A KR20140107070 A KR 20140107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housing
receptacle
terminal
receptac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4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749B1 (ko
Inventor
임근택
정규택
조항구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CN201420085445.X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3871528U/zh
Publication of KR2014010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 단자와 하우징의 결합과,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부품수와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셉터클 단자들의 신호를 연결하는 다수의 탭 단자,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상기 탭 단자가 수용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가 삽입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JOINT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전기 접속을 위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리셉터클 단자의 정상 결합 여부를 검출 가능하며,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작업공정을 축소시킨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전자 기기에서 다수의 전기선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어느 한 커넥터에는 전기선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전기 단자가 배열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 커넥터에도 전기 단자가 배열되어, 커넥터의 하우징끼리 결합되면서 각 단자가 서로 통전되도록 접촉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어느 한 커넥터를 구성하는 전기 단자와 하우징의 결합은 전기 단자에 연결된 전기선이 당겨질 때 전기 단자가 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전기 단자에 형성된 홈에 하우징에서 돌출된 리테이너 지지부인 랜스가 끼워짐으로써 이탈을 방지하거나, 전기 단자와 하우징을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전기 단자와 하우징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걸림부재가 결합되어 전기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이 있다.
한편, 커넥터와 커넥터의 결합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식인 끼워지는 커넥터의 단면적이 점차 커지게 구성하거나, 타 커넥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커넥터의 내면 공간을 점차 작게 형성하여 강제끼움 시 꽉 끼워져 빠지지 않게 하는 구성을 가지거나, 어느 한 커넥터에 홈을 형성하고, 타 커넥터에는 이 홈에 걸리는 탄성 있는 고리를 형성하여, 홈과 고리의 결합에 의하여 커넥터간 결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모두 커넥터의 결속을 견고하게 하는 측면에서는 유용하지만, 랜스(lance)를 이용한 전기 단자의 구속은 자동차와 같이 진동이 빈번한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 랜스의 탄성이 진동에 의한 피로로 인하여 점차 감소되고, 랜스가 전기 단자의 홈을 지지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전기 단자가 커넥터에서 이탈됨으로써 전기 접속이 끊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는 걸림부재는 전기 단자와 하우징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지만, 각 커넥터마다 적어도 하나씩 별도의 부재로 준비하여야 하므로, 대량 생산에서 하우징과 걸림부재의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된다. 이는, 커넥터가 비교적 소형 부재이며, 전자 기기가 복잡할수록 사용 빈도가 증가함을 고려할 때, 생산성을 매우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커넥터와 커넥터 간의 결합시 각 커넥터마다 별도의 걸림부재가 필요하고, 커넥터의 형상에 따라 각 걸림부재도 서로 다르게 준비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 작업이 번거롭다.
한편, 기존의 커넥터는 단자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커넥터의 불량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넥터의 단자가 정위치에 삽입되지 않았을 때를 이를 조정하기 위한 리워크(rework) 작업이 번거롭고, 리테이너와 리어 홀더의 제작공정이 복잡한 문제 등 많은 불편함이 있어서, 이를 개선하는 제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에 삽입된 리셉터클 단자의 정상 위치 결합 여부를 검출하고, 리워크(rework) 작업성을 증대시키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셉터클 단자들의 신호를 연결하는 다수의 탭 단자,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상기 탭 단자가 수용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가 삽입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노출시키고, 상기 리테이너의 결합을 안내하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및 후면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밀폐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위치를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리워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워크부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홀 또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워크부에 삽입되어 상기 리워크부를 밀폐시키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쪽면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고정을 위한 제1 록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제1 록킹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록킹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록킹부는 서로 걸림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한 쪽이 돌기로 구성되고, 다른 한 쪽은 상기 돌기가 삽입 및 걸림 결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록킹부는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리테이너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를 설치 대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립이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는 상기 클립이 결합되는 클립 홀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립 홀더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쪽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 홀더부는 상기 클립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리셉터클 단자가 정상 위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와, 불량 결합된 리셉터클 단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어서, 조립 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의 리워크(rework) 작업성을 증대시키고, 리테이너와 리어 홀더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작업공정을 축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1에서 I-I 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에서 I-I 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1에서 I-I 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단면도들이고, 도 4는 도 1에서 I-I 선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는 14핀(pin) 커넥터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핀(pin)의 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리셉터클 단자(13)와 탭 단자(14)가 수용되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외측에 결합되는 리테이너(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전기 부품간 또는 특정 부품 내에서 전기적으로 공통되는 신호 또는 전기출력을 동시에 연결시키기 위한 부품이다.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리셉터클 단자(13)에 의해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거나 보내고, 탭 단자(14)는 특정 리셉터클 단자(13)들을 연결시켜 회로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단자(13) 중 일부는 자동차의 배터리와 연결되고, 나머지 리셉터클 단자(13)는 램프 등 전원이 요구되는 타 장치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탭 단자(14)에 의해서 모든 리셉터클 단자(13)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13)는 하우징(11) 내부에 삽입되고, 전도성 판재로 형성되어서 타 전자 전기 장치와 연결되는 전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탭 단자(14)는 하나의 하우징(11)에 다수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탭 단자(14)에 리셉터클 단자(13)들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리셉터클 단자(13)들은 결합된 탭 단자(14)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공통으로 가지게 되어, 하나의 커넥터에서 탭 단자(14)의 수만큼 공통의 신호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탭 단자(14)에 의해 구성되는 회로는 탭 단자(14)가 어느 리셉터클 단자(13)를 연결시키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우징(11)은 내부에 리셉터클 단자(13)와 탭 단자(14)가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일측에서 리셉터클 단자(13)가 삽입되고, 다른 쪽에서 탭 단자(14)가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1) 내부에서 리셉터클 단자(13)와 탭 단자(14)가 접촉 및 결합된다.
하우징(11)의 일측에는 내부에 구비된 리셉터클 단자(13)가 정상 위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가이드부(11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우징(11)에 리테이너(12)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리테이너(12)와 리셉터클 단자(13)의 간섭 여부를 통해서 리셉터클 단자(13)의 정상 결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1)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여 리셉터클 단자(1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가이드부(112)가 형성되고, 가이드부(112)는 하우징(11)에서 리셉터클 단자(13)가 삽입된 위치의 일부가 관통되어서 리셉터클 단자(1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홀 또는 슬릿 형태를 가진다. 리테이너(12)는 가이드부(112)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되는 삽입부(122)가 형성되어서, 가이드부(112) 내부에 삽입부(122)가 삽입 및 슬라이드 되면서 결합된다. 또한, 리셉터클 단자(13)의 정상 결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서, 가이드부(112)는 리셉터클 단자(13)가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112)는 리테이너(12)가 삽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연속된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13)가 정위치에 결합되지 않으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13)의 검출단부(131)가 가이드부(112)에서 돌출되므로, 해당 부분에서 삽입부(122)와 간섭이 발생하여 리테이너(12)가 삽입될 수 없다. 작업자는 하우징(11)에 리테이너(12)를 결합 시 리테이너(12)가 삽입되지 못하면, 리셉터클 단자(13)가 정위치에 결합되지 않았음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2)가 간섭이 발생하는 위치에 결합된 리셉터클 단자(13)가 정위치에 결합되지 못한 것이므로, 리셉터클 단자(13)의 정상 결합 여부뿐만 아니라 정상 결합되지 못한 리셉터클 단자(13)의 위치 역시 검출할 수 있다.
리테이너(12)는 하우징(11)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서, 하우징(11)의 일 측면에서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면에는 가이드부(112)에 삽입 결합되는 삽입부(122)가 형성된다. 삽입부(122)는 가이드부(112) 내부에 삽입되어 리테이너(12)가 슬라이드 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과, 가이드부(112) 내부에서 리셉터클 단자(13)와의 간섭 여부에 따라서 리셉터클 단자(13)의 정상 결합 여부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삽입부(122)는 가이드부(112)에 삽입되어 가이드부(112)를 밀폐시켜서 가이드부(112)를 통해서 이물질이 하우징(1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리셉터클 단자(13)의 리워크(rework)를 위해서, 하우징(11) 일측에는 리워크부(11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리워크부(113)는 하우징(11)에서 리셉터클 단자(13)가 일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홀 또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리워크부(113)는 가이드부(112)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워크부(113)의 형상 및 위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12)에는 리워크부(113)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123)는 상술한 삽입부(122)와 같이, 리워크부(113)에 삽입되어 리테이너(12)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과 리워크부(113)를 밀폐시켜서 이물질이 하우징(1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리테이너(12)를 하우징(11)에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부(111, 121)가 구비된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이나 양쪽면에는 리테이너(12)가 고정되는 제1 록킹부(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리테이너(12)에는 상기 제1 록킹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록킹부(121)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록킹부(111)와 제2 록킹부(121)는 서로 걸림 결합이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록킹부(111)와 제2 록킹부(121)는 리테이너(12)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리테이너(1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록킹부(111)는 하우징(11)의 하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돌기 형태를 갖고, 제2 록킹부(121)는 제1 록킹부(111)가 삽입 및 걸림 결합되는 홈 또는 슬릿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록킹부(121)는 리테이너(12)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제1 록킹부(1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긴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록킹부(121)의 형상과 위치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록킹부(111)가 하우징(11)의 하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1 록킹부(111)는 하우징(11)의 상면에 형성되거나, 상면 및 하면 모두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 면이나 양쪽면에 구비되어서 하우징(11)을 설치 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15)이 구비된다. 그리고, 리테이너(12)에는 클립(15)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클립 홀더부(125)가 형성되고, 예를 들어, 클립(15)은 하우징(11)에 슬라이드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리테이너(12)의 일측에는 클립(15)이 삽입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ㄱ'자 형상의 돌출부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 플랜지 형태의 클립 홀더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클립(15)의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립(15)의 형상과 크기는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결합된 리셉터클 단자(13)가 있으면, 리테이너(12)를 하우징(11)에 삽입할 때 해당 리셉터클 단자(13)와 리테이너(12)가 간섭되면서 리테이너(12)이 삽입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므로, 리셉터클 단자(13)가 정위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와 어느 위치에서 미결합이 발생했는지를 쉽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에 리워크부(113)가 형성되어 있어서, 리워크(rework)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2)와 커버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부품수를 줄이고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10) 제작 공정을 절감하여, 조립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2)는 리셉터클 단자(13)가 하우징(11) 내부에 정위치에 결합되었는지 여부 및 리셉터클 단자(13)가 불량으로 결합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서, 조립 시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단자(13)와 탭 단자(14)가 하우징(11)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후, 하우징(11)의 외측에 리테이너(12)를 슬라이드 삽입하면 제조가 완료된다. 여기서, 리테이너(12)를 하우징(1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리테이너(12)가 간섭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리셉터클 단자(13)가 정상 결합되었는지 여부와, 어느 위치에서 비정상 결합되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12)를 하우징(11)에 끝까지 삽입하면, 제2 록킹부(121)가 제1 록킹부(111)에 삽입 및 체결되면서, 리테이너(12)가 하우징(11)에 록킹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11: 하우징
111: 제1 록킹부
112: 가이드부
113: 리워크부
12: 리테이너
121: 제2 록킹부
122, 123: 삽입부
125: 클립 홀더부
13: 리셉터클 단자
131: 검출단부
14: 탭 단자
15: 클립

Claims (13)

  1. 다수의 리셉터클 단자;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셉터클 단자들의 신호를 연결하는 다수의 탭 단자;
    상기 리셉터클 단자와 상기 탭 단자가 수용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가 삽입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리테이너;
    를 포함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를 노출시키고, 상기 리테이너의 결합을 안내하는 슬릿 형상을 갖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및 후면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밀폐시키도록 형성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위치를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리워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리워크부는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홀 또는 슬릿 형상을 갖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워크부에 삽입되어 상기 리워크부를 밀폐시키는 제2 삽입부가 형성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쪽면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고정을 위한 제1 록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제1 록킹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록킹부가 구비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록킹부는 서로 걸림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한 쪽이 돌기로 구성되고, 다른 한 쪽은 상기 돌기가 삽입 및 걸림 결합되는 형태를 갖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록킹부는 상기 리테이너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서 상기 리테이너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를 설치 대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립이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에는 상기 클립이 결합되는 클립 홀더부가 형성된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홀더부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일면 또는 양쪽면에 형성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홀더부는 상기 클립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30044162A 2013-02-27 2013-04-22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39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20085445.XU CN203871528U (zh) 2013-02-27 2014-02-27 接头连接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199 2013-02-27
KR20130021199 2013-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070A true KR20140107070A (ko) 2014-09-04
KR102039749B1 KR102039749B1 (ko) 2019-11-01

Family

ID=5175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4162A KR102039749B1 (ko) 2013-02-27 2013-04-22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74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1978B2 (en) 2015-10-06 2017-09-12 Hyundai Motor Company Multi-ground connector for vehicle
US9793640B1 (en) 2016-04-21 2017-10-17 Hyundai Motor Company Joint connector with contact retainer
US10056724B2 (en) 2016-12-20 2018-08-21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assembly having two connector housings coupled to a cover in a sliding manner
KR20190052235A (ko) 2017-11-08 2019-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KR20190068214A (ko) 2017-12-08 201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KR20190068215A (ko) 2017-12-08 201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US10622740B1 (en) 2018-10-10 2020-04-14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and docking structure between vehicle body and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857A (ja) * 1997-12-22 1999-07-0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分解方法及びコネクタ
KR20060104271A (ko) * 2005-03-30 2006-10-09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20080004986U (ko) * 2007-04-24 2008-10-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클립
KR20100007443U (ko) * 2009-01-13 2010-07-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857A (ja) * 1997-12-22 1999-07-0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分解方法及びコネクタ
KR20060104271A (ko) * 2005-03-30 2006-10-09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20080004986U (ko) * 2007-04-24 2008-10-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클립
KR20100007443U (ko) * 2009-01-13 2010-07-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1978B2 (en) 2015-10-06 2017-09-12 Hyundai Motor Company Multi-ground connector for vehicle
US9793640B1 (en) 2016-04-21 2017-10-17 Hyundai Motor Company Joint connector with contact retainer
US10056724B2 (en) 2016-12-20 2018-08-21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assembly having two connector housings coupled to a cover in a sliding manner
KR20190052235A (ko) 2017-11-08 2019-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KR20190068214A (ko) 2017-12-08 201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KR20190068215A (ko) 2017-12-08 201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US10622740B1 (en) 2018-10-10 2020-04-14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and docking structure between vehicle body and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200040971A (ko) 2018-10-10 2020-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749B1 (ko)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7070A (ko)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US7044751B2 (en) Construction for connecting a circuit board and an electrical part, a brake oil pressure control unit
US9209582B2 (en) Connector
TWI437772B (zh) A mating guide member of the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having the mating guide member
JP6444775B2 (ja) コネクタ
US9941630B2 (en) Power source connector device
US6929489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1055397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for signal-transmitting connection of two circuit boards
JP2009151942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短絡方法
JP2020119692A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KR101613167B1 (ko) Usb 리셉터클
AU2010348146A1 (en) Housing base element of a multi-part housing and method for assembly of a housing
KR20150017759A (ko) 단자 금구 기판의 접속 구조
US20160104973A1 (en) Shield case
CN113196577A (zh) 多件式印刷电路板适配器插头
JP2010033991A (ja) 電子機器
JP2012182106A (ja) 電気コネクタ
EP1199575A1 (en) A testing unit and a connector tes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5022968A (ja) コネクタ
KR101508345B1 (ko) 스프링단자를 구비한 정션박스
KR20160007320A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11200265B (zh) 电气连接箱
KR20110109135A (ko) 암커넥터 조립체
KR101932278B1 (ko) 정션박스용 단자의 조립 불량 검출장치
JP201807346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