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214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214A
KR20190068214A KR1020170168387A KR20170168387A KR20190068214A KR 20190068214 A KR20190068214 A KR 20190068214A KR 1020170168387 A KR1020170168387 A KR 1020170168387A KR 20170168387 A KR20170168387 A KR 20170168387A KR 20190068214 A KR20190068214 A KR 20190068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wer housing
fixing member
dispos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0933B1 (ko
Inventor
이철훈
전성원
김재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유엠 유한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유엠 유한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9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며 터미널 수용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된 터미널; 및 상기 하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격 간격이 제거되면서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미널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추가 구성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서로 꼬인 관계의 복수의 전선으로 구성되는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구조를 유지하고 오픈 아이(open-eye)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우수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에 구비되는 전기 부품은 신호, 접지, 전원 등을 인가하고 주고 받기 위해 커넥터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통상, 커넥터 제작 시 커넥터의 하우징과 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미널을 결합하는 공정에서는, 작업자가 전선의 단부를 잡고 터미널을 하우징 내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신호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복수의 전선들을 서로 꼬인 관계로 구현한 트위스트 케이블이 이더넷 통신 등에 적용되고 있다. 트위스트 케이블은 서로 꼬인 관계의 전선들에 각각 전달되는 전류의 흐름이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호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적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트위스트 케이블은 복수의 전선 간 꼬임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전기적 성능에 매우 유리하다.
그런데, 트위스트 케이블에 커넥터 구조를 적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커넥터 제작 방식과 같이 전선의 단부를 집어 커넥터 하우징에 밀어 넣는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전선의 단부는 서로 꼬인 구조를 제거하여 일정 길이 이상의 서로 평행한 구조로 배치되어야 한다. 특히, 밀어 넣는 힘 등에 의해 전선 간 서로 대응되는 영역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전선의 형상이 변경되는 오픈아이(open-eye)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 구조나 제작 방식에 의하면, 트위스트 케이블 전선의 꼬임 구조가 파괴되는 구간이 발생하거나 전선의 오픈아이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신호의 왜곡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저전류 및 저전압의 특성을 가지는 신호전달 목적의 이더넷 커넥터는, 꼬임 파괴나 오픈아이 현상에 의해 신호 왜곡 뿐만 아니라 신호 왜곡으로 인한 디지털 기기의 이상 출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자동차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여러 제어기(control unit)의 신호 오류로 인한 주행 중 장비의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고정 구조물이나 재킷형 트위스트 케이블 등을 사용하거나, 자동화 설비 등을 마련하여 조립 중 꼬임 구조가 해제되는 구간을 최소화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해결 방안들은 모두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이나 추가적인 조립 설비 등이 요구되므로 생산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4-0107070 A JP 1998-172651 A
이에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 구성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서로 꼬인 관계의 복수의 전선으로 구성되는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구조를 유지하고 오픈 아이(open-eye)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성이 우수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며 터미널 수용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된 터미널; 및
상기 하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격 간격이 제거되면서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미널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터미널 고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은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의 단부에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외벽 및 상기 외벽 사이에 상기 외벽과 나란히 형성된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상기 터미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에는,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부분에 걸림이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내면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외면에는 가이드용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를 수용하고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의 상면 일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단 하부에는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외벽을 가지며 상기 외벽에 나란한 방향의 일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단과 연결된 터미널 수용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에 연결된 터미널;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배치되는 터미널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의 상면 일부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서로 이격시키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사이에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격 간격이 제거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상판부의 하면 중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안착된 터미널 상부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터미널 고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그 외벽에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외벽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부분에 걸림이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외면에는 가이드용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를 수용하고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단 하부에는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커넥터 조립 시 하우징에 터미널을 삽입하는데 있어 과도한 힘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이 풀리는 직선구간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오픈 아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굳이 고가의 자켓 타입 트위스트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상부 하우징에 마련된 걸림턱과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이중 걸림 구조로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터미널 이탈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터미널 고정부재의 설치 위치만 변경 시키면서 쉽게 커넥터 조립을 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조립 장비 등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따르면, 상하부 하우징에 각각 구비된 리브를 이용하여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구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트위스트 케이블의 꼬임 구조가 풀리는 현상과 꼬임 구조가 풀린 직선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픈 아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은 제조 단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우수한 전기적인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구조를 조립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상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상부 하우징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상부 하우징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라 하부 하우징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터미널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의 (a) 내지 (c)는 각각 도 8에 도시된 터미널 고정부재의 정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과 터미널 고정부재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a)에 도시된 D-D'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이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11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의 일부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으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구조가 나타나도록 상부 하우징의 측벽부의 단면이 드러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c)에 도시된 E-E'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c)에 도시된 F-F'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e)에 도시된 G-G'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e)에 도시된 H-H'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e)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구조를 조립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상부 하우징(10)과, 상부 하우징(10)의 하부에서 상부 하우징(10)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20)에 마련되는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케이블(50)에 연결된 터미널(30) 및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조립 과정에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고 최종 조립 시 터미널(30)이 하부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터미널 고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상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상부 하우징을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상부 하우징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은 상판부(11)와 상판부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된 측벽부(13)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하우징(10)에서 측벽부(13)가 연장되지 않는 단부의 수직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칭하고, 제1 방향의 수직 방향, 즉 측벽부(13)의 수직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칭하기로 한다. 하부 하우징(20)의 외벽과 접촉하는 측벽부(13)의 내면에는 하부 하우징의 가이드용 돌출부가 수용되는 가이드 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0)과 대면하는 상판부(11)의 하면에는 터미널(30)이 터미널 수용부에 안착된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턱을 제공할 수 있는 터미널 고정 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 고정 돌기(111)에 의해 터미널(30)의 위치가 고정되는 구조는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부 하우징(20)의 제1 방향 단부에는 터미널(30)에 연결된 케이블(50)을 고정하기 위해 하부로 돌출된 리브(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리브(113)에 의해 케이블(50)을 고정하는 구조 역시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라 하부 하우징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0)은 상부 하우징(10)의 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외벽(21)을 가지며 외벽 사이에 터미널(30)이 안착되는 터미널 수용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서로 꼬인 관계의 두 개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트위스트 케이블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경우, 외벽(21) 사이에 외벽(21)과 나란하게 내벽(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벽(21)과 내벽(23) 사이에 각각 하나씩 터미널(30)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립 과정에서 터미널(30)은 하부 하우징(20)의 제1 방향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삽입되는데 삽입 과정에 터미널(30)이 진입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들이 없어 큰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원하는 위치까지 터미널(30)이 이동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0)의 제1 방향 타단부에는 타 커넥터과의 연결시 타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이 하부 하우징(20)에 수용된 터미널(30)과의 전기적 접속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대터미널 인입구(201)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0)의 외벽(21) 및 내벽(23)에는 제2 방향으로 터미널 고정부재(4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이드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20)의 제1 방향의 일단부, 즉 터미널(30)이 터미널 수용부(25)에 안착되었을 때 터미널(30)에 연결된 케이블이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부로 돌출된 리브(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리브(29)는 전술한 상부 하우징(10)에 구비된 리브(113)와 유사하게 케이블(50)의 구조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리브(29)에 의해 케이블(50)을 고정하는 구조는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하우징(20)의 외벽(21)의 외면에는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형성된다. 가이드용 돌출부(211)는 상부 하우징(10)의 측벽부(13)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131)에 수용되어 가이드 홈(131)이 형성하는 경로에 따라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조립 과정에서, 터미널 고정 부재(40)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가이드 홈(131)의 일단에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배치되고, 터미널 고정 부재(40)가 제2 위치에 이동되어 상부 하우징(10)이 완전히 상부 하우징(20)과 결합될 때에는 가이드 홈(131)의 타단으로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이동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터미널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의 (a) 내지 (c)는 각각 도 8에 도시된 터미널 고정부재의 정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또한,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하부 하우징과 터미널 고정부재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a)에 도시된 D-D'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이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터미널 고정부재(40)의 형상은 다양한 구현예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 등 주변 요소들의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0)의 외벽(21)과 내벽(23)에는 터미널 고정 부제(40)의 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2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슬라이딩 가이드부(27)에 터미널 고정부재(40)가 삽입되어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터미널 고정부재(40)는 제2 방향의 단부에 내벽(23)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부(27)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상부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슬라이딩 가이드부(27)의 상부로 터미널 고정부재(40)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고정부재(40)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부(27)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특정 위치에서 슬라이딩을 중단하게 할 수 있는 복수의 홈 구조(43, 45)를 가질 수 있다. 이 홈 구조(43, 45)는 슬라이딩 가이드부(27)가 슬라이딩 가이드부(27)가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20)의 일부분에 의한 걸림이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의 (c)에서 터미널 고정부재(40)가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홈 구조(43)에 하부 하우징(20)의 일부분이 걸리면서 제1 위치에 터미널 고정부재(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어 도 9의 (c)에서 우측 방향으로 터미널 고정부재(40)를 이동시키는 힘이 더 작용하는 경우 터미널 고정부재(40) 제1 홈 구조(43)에 의해 형성된 걸림이 해제되고 터미널 고정부재(40)의 이동이 시작되며, 제2 홈 구조(45)에 하부 하우징(20)의 일부분이 걸리면서 제2 위치에 터미널 고정부재(4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터미널(30)은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결합될 때 다른 커넥터의 전기 접촉부와 접속을 형성하는 요소이다. 터미널(30)에는 그 높이가 변동되는 단차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단차부(31)가 상부 하우징(10)의 터미널 고정 돌기(111)나 터미널 고정부재(40)에 걸림을 형성함으로써 터미널(30)이 커넥터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커넥터의 조립 과정에 대한 설명은 커넥터의 작용 효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도 11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조립 과정의 일부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으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결합구조가 나타나도록 상부 하우징의 측벽부의 단면이 드러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0)의 슬라이딩 가이드부(27)에 터미널 고정부재(30)를 배치한다. 터미널 고정부재(30)는 하부 하우징(20)의 외벽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이드부(27)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삽입될 수 있으며, 제1 홈 구조(43)에 하부 하우징(20)의 외벽 일부분이 걸리면서 도 11의 (a)와 같은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제1 위치는 제2 방향에서 하부 하우징(20)의 외벽면 밖으로 터미널 고정부재(30)가 노출된 위치로, 상부 하우징(10)에 대한 걸림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이다.
즉, 도 11의 (b)와 같이, 상부 하우징(10)을 하부 하우징(20)의 상부에 배치할 때, 터미널 고정부재(30)는 상부 하우징(10)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일정 높이에서 차단하는 걸림턱이 된다. 이 과정에서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0)의 측벽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131)의 일단에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위치하게 된다.
도 11의 (b)와 같은 공정에서 상부 하우징(10)의 상판(11)의 하면은 하부 하우징(20)의 상단에 완전하게 밀착하지 못하고, 터미널 고정부재(40)에 의한 걸림에 의해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어, 도 11이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50)이 연결된 터미널(30)이 하부 하우징(20)의 제1 방향 일단으로 삽입되어 제1 방향 타단에 이동하여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c)에 도시된 E-E'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c)에 도시된 F-F'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미널 고정부재(14)는 제2 방향에서 하부 하우징(30)의 외벽 밖으로 노출되고, 외벽 밖에 위치한 터미널 고정부재(14)의 일 부분이 상부 하우징(10)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이 일정 간격(d) 이격되게 한다. 이로써, 터미널(30)이 쉽게 하부 하우징(2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쉽게 안착될 수 있다.
이어, 도 11의 (d) 및 도 12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미널 고정부재(40)는 제2 방향에서 하부 하우징(20)의 내부로 이동된다. 터미널 고정부재(40)가 하부 하우징(2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부 하우징(10)의 걸림이 해제 되고, 상부 하우징(10)이 하부로 더 이동하여 하부 하우징(20)과 밀착하게 될 수 있다.
이어, 도 12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하우징(1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을 하게 되면, 상부 하우징(10)의 측벽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131)의 구조에 따라 하부 하우징(20)의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가이드 홈(131)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 도 11의 (e) 및 도 12의 (d)와 같이 가이드용 돌출부(211)가 가이드 홈(131)의 타단까지 완전히 이동하면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이 밀착하여 최종적인 커넥터 구조를 완성하게 된다. 물론, 도 11의 (e) 및 도 12이 (d)와 같은 구조에서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주된 기술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는 도 11의 (e)에 도시된 G-G'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1의 (e)에 도시된 H-H'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1의 (e)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미널 고정부재(30)가 하부 하우징(20)의 내부로 삽입되면, 터미널(30)에 형성된 단차 구조의 후방에 배치되어 터미널(30)에 걸림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10)의 상판 하면에 돌출된 터미널 고정 돌기(111)도 터미널(30)에 형성된 단차 구조에 대한 걸림턱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상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20)의 결합 과정에서 이중 걸림 구조로 터미널(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부 하우징(10)에 형성된 리브(113)과 하부 하우징(20)에 형성된 리브(29)는 하우징 내에서 케이블을 고정하게 된다. 특히, 꼬임 구조의 트위스트 케이블의 경우, 상부 하우징(10)의 리브(113)은 꼬임 구조의 나선 사이에 삽입되어 꼬임 구조가 풀리는 현상과 꼬임 구조가 풀린 직선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픈 아이(open-ey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하부 하우징(20)에 형성된 리브(29)는 두 전선 사이에 돌출됨으로써 두 전선의 위치를 고정하여 꼬임 구조가 풀리는 현상과 꼬임 구조가 풀린 직선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픈 아이 현상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상부 하우징 11: 상판부
13: 측벽부 111: 터미널 고정 돌기
113: 리브 131: 가이드 홈
20: 하부 하우징 21: 외벽
23: 내벽 25: 터미널 수용부
27: 슬라이딩 가이드부 29: 리브
201: 상대터미널 인입구 30: 터미널
31: 단차부 40: 터미널 고정부재
41: 돌출부 43, 45: 홈 구조
50: 케이블

Claims (20)

  1.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며 터미널 수용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된 터미널; 및
    상기 하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격 간격이 제거되면서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미널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터미널 고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은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의 단부에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외벽 및 상기 외벽 사이에 상기 외벽과 나란히 형성된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상기 터미널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에는,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부분에 걸림이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의 내면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외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외면에는 가이드용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를 수용하고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의 상면 일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단 하부에는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양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외벽을 가지며 상기 외벽에 나란한 방향의 일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단과 연결된 터미널 수용부를 갖는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케이블에 연결된 터미널;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배치되는 터미널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의 상면 일부가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일부를 지지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을 서로 이격시키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 사이에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이격 간격이 제거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삽입된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의 하면 중 상기 터미널 수용부에 안착된 터미널 상부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터미널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터미널 고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그 외벽에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외벽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부분에 걸림이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외벽의 외면에는 가이드용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를 수용하고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의 타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단 하부에는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하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제1 방향의 일단에는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70168387A 2017-12-08 2017-12-08 커넥터 KR102530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87A KR102530933B1 (ko) 2017-12-08 2017-12-08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387A KR102530933B1 (ko) 2017-12-08 2017-12-08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214A true KR20190068214A (ko) 2019-06-18
KR102530933B1 KR102530933B1 (ko) 2023-05-11

Family

ID=6710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387A KR102530933B1 (ko) 2017-12-08 2017-12-08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93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651A (ja) 1996-12-12 1998-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割型コネクタ
JPH10191534A (ja) * 1996-12-26 1998-07-21 Yazaki Corp J/bのコネクタ接続構造
JPH10255891A (ja) * 1997-03-14 1998-09-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1197096A (ja) * 1997-09-17 1999-04-09 Sumitomo Wiring Syst Ltd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2003157923A (ja) * 2001-11-22 2003-05-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259521A (ja) * 2008-04-15 2009-11-05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140107070A (ko) 2013-02-27 2014-09-04 타이코에이엠피(유)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KR20150041119A (ko) * 2012-08-07 2015-04-15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커넥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2651A (ja) 1996-12-12 1998-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分割型コネクタ
JPH10191534A (ja) * 1996-12-26 1998-07-21 Yazaki Corp J/bのコネクタ接続構造
JPH10255891A (ja) * 1997-03-14 1998-09-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1197096A (ja) * 1997-09-17 1999-04-09 Sumitomo Wiring Syst Ltd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2003157923A (ja) * 2001-11-22 2003-05-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259521A (ja) * 2008-04-15 2009-11-05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KR20150041119A (ko) * 2012-08-07 2015-04-15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커넥터
KR20140107070A (ko) 2013-02-27 2014-09-04 타이코에이엠피(유) 조인트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933B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4868B1 (en) Optical connector
CN219696714U (zh) 用于通信连接器的触头以及通信连接器
US9972937B2 (en) Lever type connector
US795096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cover
JPH08106944A (ja) 電気コネクタ及び同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US10971851B2 (en) Miniaturized connector with a terminal holding member
EP2701241A1 (en) Connector
JP2009541919A (ja) 電気コネクタ
CN109768419B (zh) 连接器
KR101105537B1 (ko) 분할형 커넥터
KR20050047080A (ko) 교차-연결 모듈의 디지털 스위칭
JPH0328789B2 (ko)
JP2011501359A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5139188B2 (ja) 電気接続箱
US11239586B2 (en) Cable assembly modules detachably mounted upon corresponding circuit pads
KR100990021B1 (ko) 커넥터 구조
WO2006132358A1 (ja)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取付け構造
US9627799B2 (en) Cable connector
US10720718B2 (en) Branch connector and communication network
US9116316B2 (en) Optical connector, male connector housing for optical connector, and female connector housing for optical connector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90068214A (ko) 커넥터
US20210399499A1 (en) Terminal module and connector
WO2017217208A1 (ja) コネクタ
US11710933B2 (en) Terminal module, an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