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125A -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125A
KR20190068125A KR1020170168211A KR20170168211A KR20190068125A KR 20190068125 A KR20190068125 A KR 20190068125A KR 1020170168211 A KR1020170168211 A KR 1020170168211A KR 20170168211 A KR20170168211 A KR 20170168211A KR 20190068125 A KR20190068125 A KR 20190068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mpressor
module
cove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3431B1 (ko
Inventor
조완제
김연호
김재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4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된 냉매를 내부에 유입된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팽창밸브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내부에 유입되는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증발시키고 증발된 냉매를 상기 압축기에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CE 모듈에서,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가 각각 일면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COVER DEVICE FOR CENTRALIZED ENERGY MODUL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를 상변화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구성된 각 구성요소의 작동 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고, 내화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는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거나 냉방하기 위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는 공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조 시스템은 외부의 온도변화에 관계없이 자동차 실내의 온도를 적당한 온도로 유지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토출되는 냉매가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에 의한 열교환에 의하여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도록 구성된다.
즉, 공조 시스템은 여름철 냉방모드 시에는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상냉매가 응축기를 통하여 응축된 후 리시버 드라이어 및 팽창밸브를 거쳐 증발기에서의 증발을 통하여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낮추게 된다.
한편, 최근 에너지 효율과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면서 내연기관 자동차를 실질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친환경 자동차는 보통 연료전지나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나, 엔진과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구분된다.
이러한 친환경 차량 중,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에는 일반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히터가 사용되지 않으며, 친환경 차량에 적용되는 공조 시스템을 통상적으로 히트 펌프 시스템이라 한다.
한편,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는 산소와 수소의 화학적 반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 과정에서 연료전지 내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열에너지가 발생되는 바,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연료전지의 성능 확보에 있어 필수적이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도 일반적인 연료로 작동하는 엔진과 함께, 상기한 연료전지나, 전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해 모터를 구동시켜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바, 연료전지나 배터리, 및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야만 모터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에서는 모터와 전장품, 및 연료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발열을 방지하도록 냉각 시스템, 및 히트 펌프 시스템과 함께, 배터리 냉각 시스템이 각각 별도의 밀폐회로로 구성해야만 한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쿨링모듈의 크기 및 중량이 증가되고, 엔진룸 내부에서 각각의 히트 펌프 시스템과 냉각수단 및 배터리 냉각 시스템으로 냉매 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연결배관들의 레이아웃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냉매를 상변화시키는 압축기, 증발기, 컨덴서, 및 팽창밸브를 모듈화 구조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듈화 구조에서는 각 구성요소의 작동 시에 진동 및 소음이 크게 발생하여 차량으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화염 발생에 대한 안정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매를 상변화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구성된 각 구성요소의 작동 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고, 내화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된 냉매를 내부에 유입된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팽창밸브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내부에 유입되는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증발시키고 증발된 냉매를 상기 압축기에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CE 모듈에서,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가 각각 일면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증발기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에 장착되어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은 양측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포집 플레이트; 상기 포집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되는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에 장착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일단이 상기 배출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포집 플레이트의 외측에 지지되는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에는 상기 배출홀에 힌지 연결되는 일단에 리턴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박스로 형성되며, 내측면 둘레에는 흡음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은 그 재질이 난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에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파이프가 장착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음부재에는 각각의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선은 상기 관통홀의 중심을 방사 방향으로 지나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상기 증발기와 구획하도록 격벽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격벽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격벽에 결합되는 제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커버 하우징을 향하여 일정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제1 격벽에 대응하여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격벽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에는 상기 제2 격벽이 끼워지도록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격벽은 그 재질이 단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하우징에는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의 유지 보수를 위한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에는 개폐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커버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커버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개구홀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개구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수랭식 열교환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에 의하면, 냉매를 상변화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구성된 각 구성요소의 작동 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고, 내화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기의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에 의한 엔진룸 화염 발생 시에는 외부의 화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비용이 저렴하며, 고효율인 가연성 냉매 적용이 가능해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의 상변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각 구성요소의 고장 발생을 방지하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생산성 및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의 압축기 및 응축기와 저온의 증발기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는 격벽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열전달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여 성능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 장치가 적용되는 CE모듈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 장치가 적용되는 CE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에 적용되는 응축수 배출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에서 응축수 배출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3의 B 부분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에 적용되는 격벽유닛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에 적용되는 개폐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 장치가 적용되는 CE모듈의 투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 장치가 적용되는 CE모듈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에 적용되는 응축수 배출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에서 응축수 배출유닛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3의 B 부분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에 적용되는 격벽유닛의 결합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에 적용되는 개폐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10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1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된 냉매를 내부에 유입된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응축하는 응축기(20)와, 상기 응축기(2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팽창밸브(30)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내부에 유입되는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증발시키고 증발된 냉매를 상기 압축기(10)에 공급하는 증발기(30)를 포함하는 차량용 CE 모듈에서 상기 압축기(10), 상기 응축기(20), 상기 팽창밸브(30), 및 상기 증발기(4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20)와 상기 증발기(40)는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수랭식 열교환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커버 하우징(13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사각형상의 박스로 형성되며, 길이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압축기(10), 상기 응축기(20), 상기 팽창밸브(30), 및 상기 증발기(40)가 각각 일면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증발기(4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면에 장착되어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증발기(40)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유닛(1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120)은 상기 증발기(40)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냉각수가 상호 열교환될 경우, 온도 차이에 의해 상기 증발기(40)의 외측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부에 존재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응축수 배출유닛(12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집 플레이트(122), 배출홀(124), 및 밸브(12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포집 플레이트(122)는 양측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타면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포집 플레이트(122)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부와 연통되며,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포집 플레이트(122)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증발기(40)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포집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24)은 상기 포집 플레이트(122)의 중앙에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홀(124)은 상기 포집 플레이트(122)에 포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126)는 상기 배출홀(12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배출홀(124)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126)는 일단이 상기 배출홀(124)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포집 플레이트(126)의 외측에 지지되는 걸림부(127)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27)는 상기 배출홀(124)의 외부에서 상기 포집 플레이트(12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밸브(126)가 상기 배출홀(124)의 내부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126)는 상기 배출홀(124)에 힌지 연결되는 일단에 리턴 스프링(128)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리턴 스프링(128)은 상기 밸브홀(124)을 개방하도록 상기 밸브(126)가 상기 포집 플레이트(122)의 하부를 향하여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126)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응축수의 배출 완료 후, 상기 배출홀(124)이 폐쇄되도록 상기 밸브(126)를 신속하게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120)의 작동을 첨부한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증발기(4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일정량 이하일 경우, 상기 밸브(126)는 상기 배출홀(124)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증발기(40)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일정량 이상으로 상기 포집 플레이트(122)의 중앙부분에 포집되면, 상기 응축수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밸브(126)가 상기 포집 플레이트(122)의 외측인 하부를 향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배출홀(124)을 개방한다.
그러면, 응축수는 개방된 상기 배출홀(124)을 통해 상기 포집 플레이트(122)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응축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밸브(124)는 상기 리턴 스프링(128)의 탄성력에 의해 신속하게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배출홀(124)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통하여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12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부에 구비된 각 구성요소들은 응축수에 의한 고장, 또는 작동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하우징(130)은 상기 압축기(10), 상기 응축기(20), 및 상기 증발기(40)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 하우징(13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박스로 형성되며, 내측면 둘레에는 흡음부재(132)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 하우징(130)은 그 재질이 난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 하우징(13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10)의 작동 시에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과, 내부에서 냉매의 유동 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상기 흡음부재(132)를 통해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엔진룸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커버 하우징(130)이 난연성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내부의 각 구성요소가 화재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면서 고성능을 가진 가연성 냉매의 사용이 가능해져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하우징(130)에는 상기 응축기(20)와 상기 증발기(40)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파이프(P)가 장착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음부재(132)에는 상기 냉각수 파이프(P)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각각의 상기 관통홀(134)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1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선(136)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134)의 중심을 방사 방향으로 지나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수 파이프(P)들은 상기 관통홀(134)에 삽입될 경우, 상기 절개선(136)을 통하여 상기 흡음부재(132)를 원활하게 통과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 하우징(13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응축기(20)와 상기 증발기(4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커버 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상기 응축기(20)와 상기 압축기(10)를 상기 증발기(40)와 구획하도록 격벽유닛(14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격벽유닛(140)은 작동 시에 고온으로 작동하는 상기 압축기(10), 및 상기 응축기(20)와, 저온으로 작동하는 상기 증발기(40)가 열전달에 의해 작동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축기(10), 및 상기 응축기(20)와 상기 증발기(40)의 사이에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격벽유닛(140)은 제1 격벽(142)과 제2 격벽(146)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격벽(142)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격벽(142)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 상기 커버 하우징(130)을 향하여 일정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격벽(146)은 상기 제1 격벽(142)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하우징(130)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격벽(142)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 격벽(146)은 상기 제1 격벽(152)에 대응하여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커버 하우징(130)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격벽(142)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격벽(142)에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격벽(146)이 끼워지도록 돌출된 일단에 장착홈(14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격벽(146)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격벽(142)의 상부에서 상기 장착홈(144)에 끼워져 상기 제1 격벽(142)에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1, 및 제2 격벽(142, 146)은 상기 증발기(40)가 상기 압축기(10), 및 상기 응축기(20)와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그 재질이 단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하우징(130)에는 상기 압축기(10), 상기 응축기(20), 및 상기 증발기(40)의 유지 보수를 위한 개구홀(138)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홀(138)에는 상기 개구홀(13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유닛(150)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유닛(150)은 가이드 부재(152), 및 개폐부재(15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가이드 부재(152)는 상기 커버 하우징(130)의 외부에서 상기 커버 하우징(13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개구홀(138)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52)에는 가이드 홈(154)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56)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 홈(154)에 양측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상기 개구홀(138)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개폐유닛(15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로부터 커버 하우징(130)을 분리시키지 않아도 조립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상기 커버 하우징(13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개폐부재(156)를 통해 상기 개구홀(138)을 편리하게 개방시킬 수 있어 상기 압축기(10), 상기 응축기(20), 상기 팽창밸브(30), 및 상기 증발기(4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냉매의 보충 작업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100)는 냉매를 상변화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구성된 각 구성요소의 작동 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고, 내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축기(10)의 소음 및 진동이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에 의한 엔진룸 화염 발생 시에는 외부의 화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비용이 저렴하며, 고효율인 가연성 냉매 적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120)을 통하여 냉매의 상변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40)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각 구성요소의 고장 발생을 방지하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생산성 및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의 상기 압축기(10), 및 상기응축기(20)와 저온의 상기 증발기(40)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는 격벽유닛(150)을 설치함으로써, 열전달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여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커버장치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응축수 배출유닛
122 : 포집 플레이트
124 : 배출홀
126 : 밸브
127 : 걸림부
128 : 리턴 스프링
130 : 커버 하우징
132 : 흡음부재
134 : 관통홀
136 : 절개선
138 : 개구홀
140 : 격벽유닛
142 : 제1 격벽
144 : 장착홈
146 : 제2 격벽
150 : 개폐유닛
152 : 가이드 부재
154 : 가이드 홈
156 : 개폐부재

Claims (19)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된 냉매를 내부에 유입된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팽창밸브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내부에 유입되는 냉각수와 열교환을 통해 증발시키고 증발된 냉매를 상기 압축기에 공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CE 모듈에서,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가 각각 일면에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
    을 포함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증발기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에 장착되어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유닛이 더 구비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유닛은
    양측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포집 플레이트;
    상기 포집 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되는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에 장착되는 밸브;
    를 포함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일단이 상기 배출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포집 플레이트의 외측에 지지되는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배출홀에 힌지 연결되는 일단에 리턴 스프링이 개재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 형상의 박스로 형성되며, 내측면 둘레에는 흡음부재가 장착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은
    그 재질이 난연성 소재로 형성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에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 파이프가 장착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에는
    각각의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이 형성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상기 관통홀의 중심을 방사 방향으로 지나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응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상기 증발기와 구획하도록 격벽유닛이 장착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제1 격벽에 결합되는 제2 격벽;
    을 포함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커버 하우징을 향하여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제1 격벽에 대응하여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커버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격벽에 끼워져 결합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에는
    상기 제2 격벽이 끼워지도록 장착홈이 형성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격벽은
    그 재질이 단열 소재로 형성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에는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증발기의 유지 보수를 위한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에는 개폐유닛이 장착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커버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커버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개구홀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개구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는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수랭식 열교환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KR1020170168211A 2017-12-08 2017-12-08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KR102563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11A KR102563431B1 (ko) 2017-12-08 2017-12-08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11A KR102563431B1 (ko) 2017-12-08 2017-12-08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125A true KR20190068125A (ko) 2019-06-18
KR102563431B1 KR102563431B1 (ko) 2023-08-03

Family

ID=67103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211A KR102563431B1 (ko) 2017-12-08 2017-12-08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43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8773A (zh) * 2020-11-06 2021-03-02 三花控股集团有限公司 流体控制组件及热管理系统
KR20210090004A (ko) * 2020-01-09 2021-07-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의 냉매 시스템 모듈
KR20220157543A (ko) 2021-05-21 2022-11-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통합 쿨링 모듈
KR20220162479A (ko) 2021-06-01 2022-12-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통합 쿨링 모듈
KR20230011578A (ko) 2021-07-14 2023-01-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통합 쿨링 모듈
WO2023121097A1 (ko) * 2021-12-24 2023-06-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 모듈
KR20240063773A (ko) 2022-11-03 2024-05-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매 매니폴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0212U (ja) * 1984-04-23 1985-11-1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ク−ラユニツトの排出装置
JPH09118120A (ja) * 1995-10-25 1997-05-06 Zexel Corp 空調用ケース
KR19990030319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엔진오일 배출장치
JP2001004169A (ja) * 1999-06-18 2001-01-12 Fujitsu General Ltd 除湿機
KR200362174Y1 (ko) * 2004-06-12 2004-09-16 유연덕 실내 환기 시스템
JP2006322631A (ja) * 2005-05-17 2006-11-30 Uc Industrial Co Ltd ドレンホース用バルブ
KR20080056959A (ko) * 2006-12-19 2008-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20120216562A1 (en) * 2011-02-17 2012-08-30 Delphi Technologies, Inc. Unitary heat pump air conditioner having a heat exchanger with an integral accumulator
US20130283838A1 (en) * 2011-02-17 2013-10-31 Delphi Technologies, Inc. Unitary heat pump air conditioner
KR20140033600A (ko) * 2012-09-07 2014-03-19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배관연결부재
KR20160013456A (ko) * 2014-07-25 2016-02-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0212U (ja) * 1984-04-23 1985-11-1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ク−ラユニツトの排出装置
JPH09118120A (ja) * 1995-10-25 1997-05-06 Zexel Corp 空調用ケース
KR19990030319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엔진오일 배출장치
JP2001004169A (ja) * 1999-06-18 2001-01-12 Fujitsu General Ltd 除湿機
KR200362174Y1 (ko) * 2004-06-12 2004-09-16 유연덕 실내 환기 시스템
JP2006322631A (ja) * 2005-05-17 2006-11-30 Uc Industrial Co Ltd ドレンホース用バルブ
KR20080056959A (ko) * 2006-12-19 2008-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20120216562A1 (en) * 2011-02-17 2012-08-30 Delphi Technologies, Inc. Unitary heat pump air conditioner having a heat exchanger with an integral accumulator
US20130283838A1 (en) * 2011-02-17 2013-10-31 Delphi Technologies, Inc. Unitary heat pump air conditioner
KR20140033600A (ko) * 2012-09-07 2014-03-19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배관연결부재
KR20160013456A (ko) * 2014-07-25 2016-02-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004A (ko) * 2020-01-09 2021-07-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의 냉매 시스템 모듈
CN112428773A (zh) * 2020-11-06 2021-03-02 三花控股集团有限公司 流体控制组件及热管理系统
KR20220157543A (ko) 2021-05-21 2022-11-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통합 쿨링 모듈
KR20220162479A (ko) 2021-06-01 2022-12-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통합 쿨링 모듈
DE112022001862T5 (de) 2021-06-01 2024-01-25 Hanon Systems Integriertes kühlmodul
KR20230011578A (ko) 2021-07-14 2023-01-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통합 쿨링 모듈
DE112022001948T5 (de) 2021-07-14 2024-04-25 Hanon Systems Integriertes kühlmodul
WO2023121097A1 (ko) * 2021-12-24 2023-06-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열교환 모듈
KR20240063773A (ko) 2022-11-03 2024-05-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냉매 매니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431B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3431B1 (ko) 차량의 ce 모듈용 커버장치
KR102633867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JP7326074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102406126B1 (ko) 차량용 ce 모듈
US10994584B2 (en) Centralized energy module for vehicle
KR102633864B1 (ko) 차량용 배터리 냉각 시스템
KR20200133962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1448790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190002878A (ko) 차량용 ce 모듈
KR100803144B1 (ko) 공기조화기
KR20210000117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152795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US11794550B2 (en)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KR20210152794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155525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40791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21200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40794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059276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82430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40793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CN218514733U (zh) 空调装置
KR20240005340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CN212195006U (zh) 一种冷藏车用组合一体式制冷机
KR101893846B1 (ko) 복합 대공화기 냉방용 실외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