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124A - 쇽업소버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쇽업소버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124A
KR20190068124A KR1020170168210A KR20170168210A KR20190068124A KR 20190068124 A KR20190068124 A KR 20190068124A KR 1020170168210 A KR1020170168210 A KR 1020170168210A KR 20170168210 A KR20170168210 A KR 20170168210A KR 20190068124 A KR20190068124 A KR 20190068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ring
shock absorber
ring
upper stru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9046B1 (ko
Inventor
윤종관
서성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0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60G2400/61Load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 하우징에 장착되는 쇽업소버의 장착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쇽업소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는, 쇽업소버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지지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로서, 상기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상부 체결 홀이 그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상부 스트럿 링 및 상기 상부 스트럿 링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하부 체결 홀이 상기 상부 체결 홀과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스트럿 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쇽업소버 지지 구조{SUPPORTING STRUCTURE FOR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업소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쇽업소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shock absorber)는 현가장치의 구성요소로서, 자동차가 주행하는 동안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흡수 또는 감쇠시키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해, 쇽업소버는 외부의 하중으로부터 차체를 안정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쇽업소버는 하중을 받아 상쇄시키는 스프링의 작용을 부드럽게 하거나 스프링의 진동을 감쇠시킨다.
쇽업소버 하우징(shock absorber housing)은 차체의 프런트 사이드 멤버(front side member) 상에 설치되고, 쇽업소버가 장착되는 하우징이다. 이러한 쇽업소버 하우징에는 상기 쇽업소버가 장착되고 그 주위로는 현가장치가 지지되기 때문에 차체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높은 강성이 요구된다.
하지만, 상기 쇽업소버 하우징 자체의 강성이 확보되더라도 상기 쇽업소버가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쇽업소버 하우징에 체결되는 것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면, 상기 쇽업소버의 성능이 악화되거나 체결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쇽업소버 하우징에 장착되는 쇽업소버의 장착 안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쇽업소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는, 쇽업소버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지지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쇽업소버 지지 구조는, 상기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상부 체결 홀이 그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상부 스트럿 링 및 상기 상부 스트럿 링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하부 체결 홀이 상기 상부 체결 홀과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스트럿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스트럿 링과 상기 하부 스트럿 링은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체결 홀은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는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상부 체결 홀 중 하나와 다른 하나의 사이에 탄성변형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스트럿 링은,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되는 탄성변형 부 및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 부들을 연결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 부는,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 접촉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접촉부,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 접촉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접촉부, 및 상기 상부 스트럿 링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외측 접촉부와 상기 내측 접촉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체결 홀은 상기 중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간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접촉부 및 상기 내측 접촉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접촉부가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스트럿 링의 외주와 상기 외측 접촉부의 반경방향 외측이 용접되고, 상기 내측 접촉부가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스트럿 링의 내주와 상기 내측 접촉부의 반경방향 내측이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의 체결에 의해 상기 외측 접촉부 및 상기 내측 접촉부가 탄성변형 되어 상기 중간부와 상기 상부 스트럿 링의 이격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는 상기 상부 체결 홀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에 나사 홀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외측 접촉부 및 상기 내측 접촉부에 각각 나사 홀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 홀들에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 스트럿 링과 상기 하부 스트럿 링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쇽업소버 지지 구조는, 상기 체결수단이 볼트일 때, 상기 상부 스트럿 링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 체결 홀을 통과한 볼트와 체결되는 상부 너트 및 상기 상부 스트럿 링과 상기 하부 스트럿 링의 사이에서 상기 하부 체결 홀을 통과한 볼트와 체결되는 하부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에 이중 너트가 체결되어 쇽업소버의 장착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볼트가 이중 너트 및 이중 스트럿 링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하중의 분산이 효율적일 수 있다.
나아가, 이중 스트럿 링의 스프링 효과에 의해 쇽업소버의 완충성능이 보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의 스트럿 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의 스트럿 링의 결합 및 체결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의 스트럿 링의 스프링 효과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의 스트럿 링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의 스트럿 링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1)는 상부 스트럿 링(10) 및 하부 스트럿 링(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 및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은 전체적인 형상이 각각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과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은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쇽업소버(2)의 일부분은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의 중공(H1) 및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의 중공(H2)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를 포함하는 상기 쇽업소버(2)의 기본적인 구성 및 기능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은 상부 체결 홀(12) 및 탄성변형 홀(14)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체결 홀(12)은 상기 링 형상의 상부 스트럿 링(10)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도 1에는 3개의 상부 체결 홀(12)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상부 체결 홀(12)을 통하여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을 관통하는 체결수단(B)이 차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이 차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B)은 볼트(bolt)일 수 있으며, 당업자가 체결의 용이성 및 결합 강성을 고려하여 체결을 위한 다른 수단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상기 체결수단(B)으로서, 볼트(B)가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변형 홀(14)은 상기 링 형상의 상부 스트럿 링(10)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상부 체결 홀(12) 중 하나와 다른 하나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 홀(1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은 탄성변형이 용이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변형 홀(14)은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이 하중에 의해 영구적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탄성변형 홀(14)은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하중의 분산을 극대화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은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부 체결 홀(22), 탄성변형 부(24), 및 연결부(25)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상하방향은 차체의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하부 체결 홀(22)은 상기 링 형상의 하부 스트럿 링(20)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체결 홀(22)은 상기 상부 체결 홀(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 체결 홀(22)은 상기 상부 체결 홀(12)과 동일한 수로 형성되고,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된다. 나아가, 상기 하부 체결 홀(22)을 통하여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을 관통하는 볼트(B)가 차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이 차체에 결합된다. 다시 말해, 상기 볼트(B)는 상기 상부 체결 홀(12) 및 상기 하부 체결 홀(22)을 통과하여 차체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 및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이 결합되는 차체의 부분은 쇽업소버 하우징(shock absorber housing)일 수 있다. 이러한 쇽업소버 하우징은 상기 쇽업소버(2)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변형 부(24)는 상기 링 형상의 하부 스트럿 링(20)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외측 접촉부(24a), 내측 접촉부(24b), 및 중간부(24c)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접촉부(24a)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에 접촉되고, 상기 내측 접촉부(24b)는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중간부(24c)는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외측 접촉부(24a)와 상기 내측 접촉부(24b)의 사이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중간부(24c)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 접촉부(24a)와 상기 내측 접촉부(24b)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접촉부(24b)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간부(24c)와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의 중공(H2)의 사이에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하부 체결 홀(22)은 상기 중간부(24c)에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변형 부(24)는 상기 하부 체결 홀(22)과 동일한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5)는 상기 링 형상의 하부 스트럿 링(20)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 부(24) 중 하나와 다른 하나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5)는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간부(24c)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외측 접촉부(24a) 및 상기 내측 접촉부(24b)는 상기 연결부(25)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변형 부(24)의 구조는 상하방향 탄성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 및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은 각각 하나의 판을 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은 상기 탄성변형 부(24)의 외측 접촉부(24a), 내측 접촉부(24b), 및 중간부(24c)가 형성되도록 프레스 성형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의 스트럿 링의 결합 및 체결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1)는 상부 너트(N1), 하부 너트(N2), 외측 용접부(W1), 및 내측 용접부(W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너트(N1) 및 하부 너트(N2)는 상기 체결수단(B)이 볼트가 아닌 다른 수단으로 변경될 때에 그와 체결되도록 변경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볼트(B)와 체결 가능한 너트(nut)가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너트(N1)는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 체결 홀(12)을 통과한 볼트(B)와 체결된다.
상기 하부 너트(N2)는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의 상기 탄성변형 부(24) 중간부(24c)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 체결 홀(22)을 통과한 볼트(B)와 체결된다. 즉, 상기 하부 너트(N2)는 상기 중간부(24c)와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외측 용접부(W1)는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의 상기 탄성변형 부(24) 외측 접촉부(24a)가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의 외주와 상기 외측 접촉부(24a)의 반경방향 외측을 용접한 부분이다.
상기 내측 용접부(W2)는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의 상기 탄성변형 부(24) 내측 접촉부(24b)가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의 내주와 상기 내측 접촉부(24b)의 반경방향 내측을 용접한 부분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의 스트럿 링의 결합 및 체결의 순서는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에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용접부(W1) 및 상기 내측 용접부(W2)의 용접이 수행된 후에 상기 볼트(B)가 상기 하부 체결 홀(22) 및 상기 상부 체결 홀(1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하부 너트(N2) 및 상기 상부 너트(N1)와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1)에서는 상기 볼트(B)의 둘레를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 및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이 함께 지지한다. 또한, 상기 중간부(24c)가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 및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이 일정거리 이격된 지지점에서 상기 볼트(B)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볼트(B)를 지지하는 지지점의 단면계수가 증대되고, 상기 볼트(B)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도면의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탈되려 하는 상기 볼트(B)의 변형에 대한 지지력이 증대된다. 나아가, 상기 상부 너트(N1) 및 상기 하부 너트(N2)로 구성되는 이중 너트(N1, N2)가 상기 볼트(B)의 변형에 대한 지지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지지점의 증가는 하중의 효율적인 분산을 구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의 스트럿 링의 스프링 효과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 탄성변형이 용이한 상기 탄성변형 부(24)의 구조에 의해 완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볼트(B)와 상기 상부 너트(N1)의 체결에 의해 상기 외측 접촉부(24a) 및 상기 내측 접촉부(24b)가 탄성변형 되어 상기 중간부(24c)와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의 이격거리가 변형거리(T)만큼 짧아진다. 따라서, 휠(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하중에 대한 스프링 효과가 구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의 스트럿 링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1)의 스트럿 링(10, 20)의 결합은 용접대신 나사(P)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에는 상기 상부 체결 홀(12)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에 나사 홀(1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에는 이에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외측 접촉부(24a) 및 상기 내측 접촉부(24b)에 각각 나사 홀(15)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 홀(15)들을 통해 상기 나사(P)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과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과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의 결합을 위한 용접 및 나사 체결은 생산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당업자에 의해 선택되며, 용접 및 나사 체결을 통해 상기 스트럿 링(10, 20)의 이중 결합을 초과하는 삼중 이상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 지지 구조의 스트럿 링의 결합 및 체결의 순서는 상기 상부 스트럿 링(10)에 상기 하부 스트럿 링(20)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P)의 체결이 수행된 후에 상기 볼트(B)가 상기 하부 체결 홀(22) 및 상기 상부 체결 홀(1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하부 너트(N2) 및 상기 상부 너트(N1)와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B)에 이중 너트(N1, N2)가 체결되어 쇽업소버(2)의 장착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볼트(B)가 이중 너트(N1, N2) 및 이중 스트럿 링(10, 2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하중의 분산이 효율적일 수 있다. 나아가, 이중 스트럿 링(10, 20)의 스프링 효과에 의해 쇽업소버(2)의 완충성능이 보완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쇽업소버 지지 구조 2: 쇽업소버
10: 상부 스트럿 링 12: 상부 체결 홀
14: 탄성변형 홀 15: 나사 홀
20: 하부 스트럿 링 22: 하부 체결 홀
24: 탄성변형 부 24a: 외측 접촉부
24b: 내측 접촉부 24c: 중간부
25: 연결부
B: 체결수단(볼트) N1: 상부 너트
N2: 하부 너트 P: 나사
T: 변형거리 W1: 외측 용접부
W2: 내측 용접부

Claims (11)

  1. 쇽업소버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지지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상부 체결 홀이 그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상부 스트럿 링; 및
    상기 상부 스트럿 링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통과하는 하부 체결 홀이 상기 상부 체결 홀과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스트럿 링;
    을 포함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트럿 링과 상기 하부 스트럿 링은 동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체결 홀은 원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는 탄성변형이 용이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상부 체결 홀 중 하나와 다른 하나의 사이에 탄성변형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트럿 링은,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되는 탄성변형 부; 및
    상기 복수개의 탄성변형 부들을 연결하도록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 부는,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 접촉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 접촉부;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 접촉되도록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접촉부; 및
    상기 상부 스트럿 링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외측 접촉부와 상기 내측 접촉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부;
    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체결 홀은 상기 중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중간부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접촉부 및 상기 내측 접촉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접촉부가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스트럿 링의 외주와 상기 외측 접촉부의 반경방향 외측이 용접되고,
    상기 내측 접촉부가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스트럿 링의 내주와 상기 내측 접촉부의 반경방향 내측이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의 체결에 의해 상기 외측 접촉부 및 상기 내측 접촉부가 탄성변형 되어 상기 중간부와 상기 상부 스트럿 링의 이격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트럿 링에는 상기 상부 체결 홀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내측 및 외측에 나사 홀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외측 접촉부 및 상기 내측 접촉부에 각각 나사 홀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 홀들에 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상부 스트럿 링과 상기 하부 스트럿 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이 볼트일 때,
    상기 상부 스트럿 링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 체결 홀을 통과한 볼트와 체결되는 상부 너트; 및
    상기 상부 스트럿 링과 상기 하부 스트럿 링의 사이에서 상기 하부 체결 홀을 통과한 볼트와 체결되는 하부 너트;
    를 더 포함하는 쇽업소버 지지 구조.
KR1020170168210A 2017-12-08 2017-12-08 쇽업소버 지지 구조 KR102019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10A KR102019046B1 (ko) 2017-12-08 2017-12-08 쇽업소버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10A KR102019046B1 (ko) 2017-12-08 2017-12-08 쇽업소버 지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124A true KR20190068124A (ko) 2019-06-18
KR102019046B1 KR102019046B1 (ko) 2019-09-06

Family

ID=6710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210A KR102019046B1 (ko) 2017-12-08 2017-12-08 쇽업소버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0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7210B1 (en) * 2010-10-29 2012-11-27 Stempf Automotive Industries, Inc. Suspension height adjus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7210B1 (en) * 2010-10-29 2012-11-27 Stempf Automotive Industries, Inc. Suspension height adjus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046B1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6251B2 (ja) 車両用ダンパのマウント構造
US10046795B2 (en)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JP2013527818A (ja) 車両のための取付け装置
US9132709B2 (en) Suspension device, suspension support, and buffer member
US9399381B2 (en) Vehicle suspension device
WO2016159135A1 (ja) ラバーシート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367835B2 (ja) 油圧緩衝器の懸架ばね支持構造
KR20190068124A (ko) 쇽업소버 지지 구조
US6341678B1 (en) Strut
KR101873283B1 (ko) 스트럿 베어링 일체형 스트럿 마운트
CN111619300B (zh) 一种车辆滑柱上支承座总成和具有其的车辆
US20170120708A1 (en) Vehicle spring assembly
EP3088226B1 (en) Engine apparatus support structure, and engine apparatus installation method
JP4138715B2 (ja) ダンパーのマウント構造
JP2013155838A (ja) 懸架装置およびカバー部材
US20090085266A1 (en) Integrated insulator type strut assembly for suspension system
US10156278B2 (en) Dynamic damper apparatus with retaining structure
CN210881658U (zh) 发动机支架
JP2006264425A (ja) サスペンション用アッパサポ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懸架装置
KR20200012513A (ko) 서스펜션용 스트러트 베어링 어셈블리
CN210821718U (zh) 减震器总成和汽车
CN211314934U (zh) 减震器安装组件以及车辆
CN107310341B (zh) 悬架支撑结构、悬架及汽车
KR102552072B1 (ko)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및 서브프레임
JP4329646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