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072B1 -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및 서브프레임 - Google Patents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및 서브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072B1
KR102552072B1 KR1020160145123A KR20160145123A KR102552072B1 KR 102552072 B1 KR102552072 B1 KR 102552072B1 KR 1020160145123 A KR1020160145123 A KR 1020160145123A KR 20160145123 A KR20160145123 A KR 20160145123A KR 102552072 B1 KR102552072 B1 KR 102552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astening point
nut
fixing force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8046A (ko
Inventor
이해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5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0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8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서브프레임은 중공 홀이 뚫려진 마운팅 부시(10), 상기 중공홀의 내경에 밀착되는 상단 내측고정력(Aupper)과 함께 상기 마운팅 부시(10)가 눌러지는 상단외측고정력(Bupper)을 형성하는 마운팅 스터드(30), 상기 중공홀의 내경에 밀착되는 하단내측고정력(Alower)과 상기 마운팅 부시(10)가 눌러지는 하단외측고정력(Blower)을 형성하도록 상기 마운팅 스터드(30)와 나사 체결되는 마운팅 너트(40)로 구성된 마운팅 부시 유닛(1)을 포함함으로써 마운팅 부시(10)와 마운팅 스터드(30) 및 마운팅 너트(40)의 이중고정력에 의한 강한 체결력을 형성하고, 특히 상단/하단 내측고정력(Aupper,Alower)을 형성하는 원뿔형 구조로 조립공차와 함께 위치공차의 흡수가 이루어짐으로써 외부하중에 대한 서브프레임(100)의 회전과 강건성 유지로 차량 운동성능과 NVH 향상도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및 서브프레임{Inside Fixing type Mounting Bush Unit and Sub Frame thereby}
본 발명은 마운팅 부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측 고정력으로 조립공차 흡수 가능한 마운팅 부시 유닛이 적용된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서브프레임은 차체와 체결된 상태에서 차량 운동 성능을 결정하는 현가장치의 좌우 지오메트리 확보 성능을 좌우한다.
이를 위해 서브프레임은 마운팅 부시화 함께 구성되어 마운팅 부재로 차체에 체결됨으로써 마운팅 부시에 의한 서브프레임의 공차규제 충족과 함께 좌우 지오메트리 확보가 이루어진다.
일례로, "#"타입 후륜 서브프레임에는 총 4개소의 차체 체결점의 각각에 결합된 4개의 제1,2,3,4 마운팅 부시가 결합되고, 상기 제1 마운팅 부시에 형성된 정 홀을 기준으로 하여 제2 마운팅 부시에는 정 홀과 동일직경이면서 장공형상을 이루는 슬롯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3,4 마운팅 부시의 각각에는 정 홀보다 큰 직경으로 확공 홀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1,2 마운팅 부시는 차량후방쪽으로 위치되고, 제3,4 마운팅 부시는 차량 전방쪽으로 위치되도록 차체에 결합된다.
그러므로 "#"타입 후륜 서브프레임은 제1 마운팅 부시의 정홀을 기준으로 제2 마운팅 부시의 슬롯 홀을 맞추어 마운팅 부재를 매개로 차체에 체결되고, 제3,4 마운팅 부시의 확공 홀을 이용하여 공차를 흡수하면서 마운팅 부재로 차체에 체결됨으로써 공차규제가 충족된다.
그 결과 "#"타입 후륜 서브프레임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는 차량의 험로 주행 시에도 제1,2,3,4 마운팅 부시의 완충작용으로 향상된 NVH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04-0042595(2004년05월20일)
하지만 마운팅 부시는 부시 외부에서 차체와 고정력을 형성하는 마운팅 부재가 관통되는 경로 만 제공함으로써 서브 프레임 조립 상태가 슬롯 홀 위치 공차에 민감하다는 구조적 취약함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일례로, 슬롯 홀 위치 공차가 + 2T(T : 차량 전장방향)로 주어진 경우 제2 마운팅 부시의 슬롯 홀은 제1 마운팅 부시의 정 홀에 대해 +1T의 위치오차를 가짐으로써 그 만큼 서브프레임이 회전될 수 있는 여력을 가지게 되고, 불시에 일어나는 서브프레임 회전은 제3,4 마운팅 부시의 확공 홀에 대해 마운팅 부재의 한쪽 치우침을 발생시켜 준다.
그 결과 서브프레임 회전은 지오메트리의 좌우 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차량 운동성능을 불리하게 하고, 마운팅 부재 한쪽 치우침은 가혹 주행 시 소음을 발생시킴으로써 NVH저하와 함께 차량 품질저하로 발전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마운팅 부시 외부에서 차체와 외측고정구조를 형성하는 마운팅 부재가 마운팅 부시의 내경에서 내측고정구조를 더 형성함으로써 내측고정구조에 의한 조립공차와 함께 위치공차의 흡수가 가능하고, 특히 내/와측 고정구조의 시너지 작용으로 서브프레임 회전과 마운팅 부재 한쪽 치우침이 함께 방지됨으로써 차량 운동성능과 NVH 향상도 가능한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및 서브프레임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은 중공 홀이 뚫려지고,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구분된 마운팅 부시; 상기 상부측에서 상기 중공홀로 끼워져 상단 내측고정력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측에 걸려지는 마운팅 스터드; 상기 하부측에서 상기 중공홀로 끼워져 하단내측고정력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측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마운팅 스터드와 나사 체결되는 마운팅 너트;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마운팅 부시는 상기 중공홀과 함께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로 구분된 이너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내측고정력은 상기 이너 파이프의 원뿔형 어퍼 좌면부와 상기 마운팅 스터드의 원뿔형 볼트 좌면 바디가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단내측고정력은 상기 이너 파이프의 원뿔형 로어 좌면부와 상기 마운팅 너트의 원뿔형 너트 좌면 바디가 밀착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마운팅 부시는 상기 이너 파이프가 감싸이는 아우터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와 상기 이너 파이프의 사이에는 가류성형된 탄성체가 채워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마운팅 스터드에는 상기 볼트 좌면 바디의 한쪽으로 공구 끼움 홈을 형성한 헤드가 형성되고, 다른쪽으로 상기 마운팅 너트와 나사 체결되는 볼트 축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와 상기 볼트 좌면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헤드 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헤드와 동심원을 이루는 볼트 외측 가압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 외측 가압 플랜지는 상기 이너 파이프의 상기 상부에 걸려 상기 상부가 눌러지는 상단외측고정력을 형성해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마운팅 너트에는 상기 너트 좌면 바디의 한쪽으로 형성된 헤드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 좌면 바디와 상기 헤드에는 내주면으로 나사를 형성한 나사 홀이 관통된다. 상기 헤드와 상기 너트 좌면 바디의 사이에는 상기 헤드 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헤드와 동심원을 이루는 너트 외측 가압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너트 외측 가압 플랜지는 상기 이너 파이프의 상기 하부에 걸려 상기 하부가 눌러지는 하단외측고정력을 형성해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서브 프레임은 중공 홀이 뚫려진 마운팅 부시, 상기 중공홀의 내경에 밀착되는 상단 내측고정력과 함께 상기 마운팅 부시가 눌러지는 상단외측고정력을 형성하는 마운팅 스터드, 상기 중공홀의 내경에 밀착되는 하단내측고정력과 상기 마운팅 부시가 눌러지는 하단외측고정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마운팅 스터드와 나사 체결되는 마운팅 너트로 구성된 마운팅 부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마운팅 부시는 서브프레임의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에 결합된 제1 마운팅 부시, 후방 마운팅 체결점에 결합된 제2 마운팅 부시, 전방 좌측 마운팅 체결점에 결합된 제3 마운팅 부시, 전방 우측 마운팅 체결점에 결합된 제4 마운팅 부시로 부분되고, 상기 제1,2,3,4 마운팅 부시의 각각에 뚫려 상기 마운팅 스터드가 결합되는 중공홀은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가 적용된 서브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기존의 차체/서브프레임 마운팅 시 각 부품의 공차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마운팅 부시에 부여된 내측고정구조에 의한 부품공차흡수로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부시 반력에 의한 평형위치로 놓이게 함으로써 현 사양 대비 지오메트리 좌우 차 축소로 핸들링 및 승차감(R&H : Ride and Handling)성능 개선이 이루어진다. 셋째, 내측고정구조로 마운팅 부재 위치가 항상 마운팅 부시의 이너파이프 중앙에 놓여 짐으로써 가혹 주행 시에도 마운팅 부재 한쪽 치우침에 따른 소음 방지와 함께 NVH 개선이 이루어진다. 넷째, 내측고정구조가 마운팅 부시와 마운팅 스터드(stud) 및 마운팅 너트의 구배를 갖는 코니컬 형상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체결 면적 증대 및 축력 분산에 의한 체결 강건성 증대가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부시와 마운팅 부재의 분리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적용 서브프레임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부시와 마운팅 부재를 이용한 서브프레임의 차체 체결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프레임이 차체 체결 상태에서 서스펜션(suspension)의 지오메트리를 형성하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2는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마운팅 부시 유닛(1)은 마운팅 부시(10), 마운팅 스터드(stud)(30)와 마운팅 너트(40)로 쌍을 이루는 체결 부재(2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마운팅 부시 유닛(1)의 조립이 이루어지면, 상기 마운팅 스터드(30)는 마운팅 부시(10)의 상부부위(예, 마운팅 부시(10)의 길이방향의 한쪽 측면)에서 상단 이중 가압력을 형성하고, 상기 마운팅 너트(40)는 마운팅 부시(10)의 하부부위(예, 마운팅 부시(10)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측면)에서 하단 이중 가압력을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상단 이중 가압력은 마운팅 부시(10)의 내경으로 삽입된 마운팅 스터드(30)가 마운팅 부시(10)의 상단부위에서 마운팅 부시(10)의 내측과 밀착되는 상단내측고정력(Aupper)과 함께 마운팅 스터드(30)가 마운팅 너트(40)와 나사 체결됨으로써 마운팅 부시(10)의 상단부위를 눌러주는 상단외측고정력(Bupper)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단 이중 가압력은 마운팅 너트(40)가 마운팅 부시(10)의 하단부위에서 마운팅 부시(10)의 내측과 밀착되는 하단내측고정력(Alower)과 함께 마운팅 너트(40)가 마운팅 스터드(30)와 나사 체결됨으로써 마운팅 부시(10)의 하단부위를 눌러주는 하단외측고정력(Blower)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마운팅 부시(10)는 마운팅 스터드(30)와 마운팅 너트(40)의 상단/하단 내측고정력(Aupper,Alower)에 의한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로 구현되어 기존 마운팅 부시와 구별된다.
도 2(가)를 참조하면, 상기 마운팅 부시(10)는 서로 일체화된 아우터 파이프(11), 탄성체(13), 이너 파이프(15)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우터 파이프(11)는 중공 파이프타입의 강 재질로 이루어지고, 안쪽으로 절곡된 환형의 상단엔드로 상부부위를 형성하면서 바깥족으로 절곡된 환형의 하단엔드로 하부부위를 형성한다. 상기 탄성체(13)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아우터 파이프(11)의 내경으로 가류성형되어 이너 파이프(15)를 아우터 파이프(11)와 일체화시켜 준다. 상기 이너 파이프(15)는 중공 파이프타입의 강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깥족으로 절곡된 환형의 상단/하단엔드로 상부/하부부위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이너 파이프(15)의 상부부위(예, 이너 파이프(15)의 길이방향의 한쪽 측면)로 이너 파이프(15)의 내경을 이용해 어퍼 좌면부(15-1)가 형성됨과 더불어 하부부위(예, 이너 파이프(15)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측면)로 이너 파이프(15)의 내경을 이용해 로어 좌면부(15-2)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 좌면부(15-1)는 마운팅 스터드(30)와 함께 상단내측고정력(Aupper)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 좌면부(15-2)는 마운팅 너트(40)와 함께 하단내측고정력(Alower)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로어 좌면부(15-1,15-2)의 각각은 원뿔형(conical)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강한 상단/하단 내측고정력(Aupper,Alower)을 형성하고, 상기 원뿔형(conical)은 이너 파이프(15)의 안쪽을 향해 내경이 좁아지는 컨버전스 구조(convergence shape)로 이루어진다.
도 2(나)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 부재(20)는 서로 나사 체결되는 마운팅 스터드(30)와 마운팅 너트(4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운팅 스터드(30)는 공구 끼움 홈이 파여진 헤드(31), 헤드(31) 보다 큰 직경으로 헤드(3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헤드(31)의 한쪽 끝단에 형성된 볼트 외측 가압 플랜지(31-1), 헤드(31) 보다 작은 직경으로 헤드(31)와 동심원을 이루면서 길게 연장되어 외주면에 나사(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한 볼트 축(33), 헤드(31)와 볼트 축(33)의 연결부위를 형성하는 볼트 좌면 바디(35)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볼트 좌면 바디(35)는 헤드(31)쪽에서 볼트 축(33)으로 외경이 좁아지는 컨버전스 구조(convergence shape)의 원뿔형(conical)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운팅 너트(40)는 육각형상의 헤드(41), 헤드(41) 보다 큰 직경으로 헤드(4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헤드(41)의 한쪽 끝단에 형성된 너트 외측 가압 플랜지(41-1), 너트 외측 가압 플랜지(41-1)와 직경단차를 형성하면서 컨버전스 구조(convergence shape)의 원뿔형(conical)으로 돌출된 너트 좌면 바디(45)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헤드(41)와 상기 너트 좌면 바디(45)에는 내주면에 나사를 형성한 나사 홀이 관통된다.
한편 도 3은 서브프레임(100)로서, 상기 서브프레임(100)은 "#"타입을 이루어 4개의 마운팅 체결점(100-1,100-2,100-3,100-4)이 형성되고, 4개의 마운팅 부시(10-1,10-2,10-3,10-4)가 4개의 마운팅 체결점(100-1,100-2,100-3,100-4)의 각각으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4개의 마운팅 체결점(100-1,100-2,100-3,100-4)은 서브프레임(100)의 차체 체결방향을 기준으로 차량 후방으로 위치된 2개의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100-1)과 후방 마운팅 체결점(100-2) 및 차량 전방으로 위치된 2개의 전방 좌측 마운팅 체결점(100-3)과 전방 우측 마운팅 체결점(100-4)으로 구분된다. 특히, 상기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100-1)은 서브프레임(100)의 차체 체결 시 후방 마운팅 체결점(100-2)에 대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4개의 마운팅 부시(10-1,10-2,10-3,10-4)는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100-1)에 결합되는 제1 마운팅 부시(10-1), 후방 마운팅 체결점(100-2)에 결합되는 제2 마운팅 부시(10-2), 전방 좌측 마운팅 체결점(100-3)에 결합되는 제3 마운팅 부시(10-3), 전방 우측 마운팅 체결점(100-4)에 결합되는 제4 마운팅 부시(10-4)로 구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2,3,4 마운팅 부시(10-1,10-2,10-3,10-4)의 각각은 도 1과 도 2에서 기술된 마운팅 부시(10)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다만 동일한 구성요소의 마운팅 부시(10)가 각각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100-1), 후방 마운팅 체결점(100-2), 전방 좌측 마운팅 체결점(100-3), 전방 우측 마운팅 체결점(100-4)에 결합되므로 제1,2,3,4 마운팅 부시(10-1,10-2,10-3,10-4)는 그 체결 위치에 따른 구분 명칭일 뿐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1,2,3,4 마운팅 부시(10-1,10-2,10-3,10-4)는 이너 파이프(15)의 내경이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기존에 적용된 4개의 마운팅 부시는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100-1)용 이너파이프의 내경을 정홀로 하고,후방 마운팅 체결점(100-2)용 이너파이프의 내경을 슬롯 홀로 하며, 전방 좌측 마운팅 체결점(100-3)과 전방 우측 마운팅 체결점(100-4)용 각 이너파이프의 내경을 확장홀로 다르게 형성해야 하는데 반해 본 실시예의 경우 이너파이프(15)의 내경을 정홀( 또는 확장홀)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1개의 마운팅 부시(10)의 수량을 4개로 하여 서브프레임(100)에 사용되는 4개의 제1,2,3,4 마운팅 부시(10-1,10-2,10-3,10-4)를 구성함으로써 원가절감도 구현된다.
한편 도 4는 마운팅 부시(10)와 마운팅 스터드(30) 및 마운팅 너트(40)를 이용해 서브프레임(100)이 차체 패널(200)에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마운팅 부시(10)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4개의 구분 없이 설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패널(200)에 서브프레임(1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100-1)을 기준위치로 하여 후방 마운팅 체결점(100-2)을 위치시켜준다. 이 경우 상기 후방 마운팅 체결점(100-2)은 + 2T(T : 차량 전장방향)의 위치 공차로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100-1)에 대해 +1T의 위치오차를 가질 수 있으나 이러한 위치 공차는 조립 후 상단/하단 내측고정력(Aupper,Alower)과 상단/하단외측고정력(Bupper,Blower)으로 모두 흡수된다.
이어 마운팅 스터드(30)를 차체 패널(200)쪽에서 서브프레임(100)쪽으로 관통시킨 후 서브프레임(100)쪽에서 마운팅 너트(40)를 체결하여 준다. 이 과정에서 마운팅 스터드(30)의 원뿔형 볼트 좌면 바디(35)는 이너 파이프(15)의 원뿔형 어퍼 좌면부(15-1)와 밀착되고, 마운팅 너트(40)의 원뿔형 너트 좌면 바디(45)는 이너 파이프(15)의 원뿔형 로어 좌면부(15-2)와 밀착된다.
이후 마운팅 스터드(30)와 마운팅 너트(40)의 체결이 완료되면, 볼트 외측 가압 플랜지(31-1)는 이너 파이프(15)의 상단측면과 함께 상단외측고정력(Bupper)을 강하게 형성하고 동시에 볼트 좌면 바디(35)는 이너 파이프(15)의 어퍼 좌면부(15-1)에 밀착되어 상단내측고정력(Aupper)을 형성한다. 더불어 너트 외측 가압 플랜지(41-1)는 이너 파이프(15)의 하단측면과 함께 하단외측고정력(Blower)을 형성하고 동시에 너트 좌면 바디(45)는 이너 파이프(15)의 로어 좌면부(15-2)에 밀착되어 하단내측고정력(Alower)을 형성한다.
그 결과 마운팅 부시(10)는 상단/하단 내측고정력(Aupper,Bupper)과 상단/하단 외측고정력(Bupper,Bupper)의 이중 고정상태를 형성하고, 특히 상기 상단/하단 내측고정력(Aupper,Bupper)은 원뿔형 구조로 인해 +1T의 위치오차를 모두 흡수하면서 어떠한 외력하에서도 마운팅 스터드(30)를 마운팅 부시(10)의 정중앙으로 유지시켜준다.
위와 같은 작용은 서브프레임(100)의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100-1), 후방 마운팅 체결점(100-2),전방 좌측 마운팅 체결점(100-3), 전방 우측 마운팅 체결점(100-4)의 각각으로 구비된 제1,2,3,4 마운팅 부시(10-1,10-2,10-3,10-4)에서 동일하다.
한편 도 5는 차체 패널(200)에 체결된 서브 프레임(100)이 형성하는 서스펜션(suspension)의 지오메트리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100)은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100-1)에 대해 후방 마운팅 체결점(100-2)이 위치오차를 형성하지 않고 동시에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100-1)과 후방 마운팅 체결점(100-2) 및 전방 좌측 마운팅 체결점(100-3)과 전방 우측 마운팅 체결점(100-4)의 각각에서 한쪽 쏠림을 형성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서브프레임(100)은 차량 주행 중 전달되는 외력에서도 회전을 일으키지 않고, 특히 서브프레임(100)의 좌우 위치에서 차체 패널(200)과 결합된 좌측 서스펜션(300-1)과 우측 서스펜션(300-2)이 지오메트리를 좌우 편차 없이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좌우 동일한 지오메트리 특성을 갖는 좌,우 서스펜션(300-1,300-2)은 차량 운동성능을 불리하게 하지 않으면서 가혹 주행 시 소음 발생도 차단함으로써 개선된 NVH로 차량 품질저하을 향상시켜준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은 중공 홀이 뚫려진 마운팅 부시(10), 상기 중공홀의 내경에 밀착되는 상단 내측고정력(Aupper)과 함께 상기 마운팅 부시(10)가 눌러지는 상단외측고정력(Bupper)을 형성하는 마운팅 스터드(30), 상기 중공홀의 내경에 밀착되는 하단내측고정력(Alower)과 상기 마운팅 부시(10)가 눌러지는 하단외측고정력(Blower)을 형성하도록 상기 마운팅 스터드(30)와 나사 체결되는 마운팅 너트(40)로 구성된 마운팅 부시 유닛(1)을 포함함으로써 마운팅 부시(10)와 마운팅 스터드(30) 및 마운팅 너트(40)의 이중고정력에 의한 강한 체결력을 형성하고, 특히 상단/하단 내측고정력(Aupper,Alower)을 형성하는 원뿔형 구조로 조립공차와 함께 위치공차의 흡수가 이루어짐으로써 외부하중에 대한 서브프레임(100)의 회전과 강건성 유지로 차량 운동성능과 NVH 향상도 이루어진다.
1 : 마운팅 부시 유닛 10 : 마운팅 부시
10-1,10-2,10-3,10-4 : 제1,2,3,4 마운팅 부시
11 : 아우터 파이프 13 : 탄성체
15 : 이너 파이프 15-1,15-2 : 어퍼,로어 좌면부
20 : 체결 부재 30 : 마운팅 스터드(stud)
31,41 : 헤드 31-1,41-1 : 외측 가압 플랜지
33 : 볼트 축 35,45 : 좌면 바디
40 : 마운팅 너트
100 : 서브프레임 100-1 :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
100-2 : 후방 마운팅 체결점 100-3 : 전방 좌측 마운팅 체결점
100-4 : 전방 우측 마운팅 체결점
200 : 차체 패널 300-1,300-2 : 좌우 서스펜션

Claims (10)

  1. 중공 홀이 뚫려지고, 상기 중공홀과 함께 상부와 하부로 구분된 이너 파이프를 갖춘 마운팅 부시;
    상기 상부에서 상기 중공홀로 끼워져 상단 내측고정력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에 걸려지는 마운팅 스터드;
    상기 하부에서 상기 중공홀로 끼워져 하단내측고정력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마운팅 스터드와 나사 체결되는 마운팅 너트;가 포함되며;
    상기 마운팅 스터드의 볼트 외측 가압 플랜지는 상기 이너 파이프의 상기 상부에 걸려 상기 상부가 눌러지는 상단외측고정력을 형성해주고, 상기 마운팅 너트의 너트 외측 가압 플랜지는 상기 이너 파이프의 상기 하부에 걸려 상기 하부가 눌러지는 하단외측고정력을 형성해주며;
    상기 상단 내측고정력과 상기 하단내측고정력 및 상기 상단외측고정력과 상기 하단외측고정력은 서브프레임의 4개소 마운팅 체결점 중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과 후방 마운팅 체결점이 갖는 차량 전장방향으로의 공차를 흡수하고;
    상기 4개소 마운팅 체결점은 상기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 상기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을 위치 오차 기준으로 하는 상기 후방 마운팅 체결점, 전방 좌측 마운팅 체결점, 전방 우측 마운팅 체결점으로 구분되며;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마운팅 부시와 상기 마운팅 스터드 및 상기 마운팅 너트로 차체 패널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 내측고정력은 상기 이너 파이프의 원뿔형 어퍼 좌면부와 상기 마운팅 스터드의 원뿔형 볼트 좌면 바디가 밀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단내측고정력은 상기 이너 파이프의 원뿔형 로어 좌면부와 상기 마운팅 너트의 원뿔형 너트 좌면 바디가 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부시는 상기 이너 파이프가 감싸이는 아우터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아우터 파이프와 상기 이너 파이프의 사이에는 가류성형된 탄성체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스터드의 상기 볼트 외측 가압 플랜지는 상기 볼트 좌면 바디의 한쪽으로 공구 끼움 홈을 형성한 헤드와 다른쪽으로 상기 마운팅 너트와 나사 체결되는 볼트 축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볼트 외측 가압 플랜지는 상기 헤드 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헤드와 동심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너트의 상기 너트 외측 가압 플랜지는 상기 너트 좌면 바디와 상기 너트 좌면 바디의 한쪽으로 형성된 헤드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 좌면 바디와 상기 헤드에는 내주면으로 나사를 형성한 나사 홀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너트 외측 가압 플랜지는 상기 헤드 보다 큰 직경으로 상기 헤드와 동심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마운팅 부시 유닛;
    상기 마운팅 부시 유닛으로 차체 패널과 체결되도록 상기 마운팅 부시 유닛을 결합한 마운팅 체결점;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프레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체결점은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 상기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을 위치 오차 기준으로 하는 후방 마운팅 체결점, 전방 좌측 마운팅 체결점, 전방 우측 마운팅 체결점으로 구분되고;
    상기 마운팅 부시 유닛은 상기 후방 기준 마운팅 체결점과 상기 후방 마운팅 체결점 및 상기 전방 좌측 마운팅 체결점과 상기 전방 우측 마운팅 체결점의 각각에 결합되는 4개의 제1,2,3,4 마운팅 부시, 상기 제1,2,3,4 마운팅 부시의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차체 패널과 체결되는 4개의 마운팅 스터드, 상기 마운팅 스터드의 각각에 나사 체결되는 4개의 마운팅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프레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2,3,4 마운팅 부시의 각각에는 상기 차체 패널과 체결을 위한 중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홀은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 프레임.
KR1020160145123A 2016-11-02 2016-11-02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및 서브프레임 KR102552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123A KR102552072B1 (ko) 2016-11-02 2016-11-02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및 서브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123A KR102552072B1 (ko) 2016-11-02 2016-11-02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및 서브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046A KR20180048046A (ko) 2018-05-10
KR102552072B1 true KR102552072B1 (ko) 2023-07-06

Family

ID=6218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123A KR102552072B1 (ko) 2016-11-02 2016-11-02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및 서브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0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7748A (ja) * 2010-10-26 2012-06-07 Tokai Rubber Ind Ltd メンバマウント及びその組付構造
JP2016050669A (ja) 2014-09-02 2016-04-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車両用ブッシュおよびシャシフレーム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595A (ko) 2002-11-15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마운팅 구조
KR20050118408A (ko) * 2004-06-14 2005-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쇽업소버 마운팅부시 유격 조정장치
KR101152334B1 (ko) * 2010-11-17 2012-06-1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위치편차 흡수형 서브프레임 부시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7748A (ja) * 2010-10-26 2012-06-07 Tokai Rubber Ind Ltd メンバマウント及びその組付構造
JP2016050669A (ja) 2014-09-02 2016-04-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車両用ブッシュおよびシャシフレーム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046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628B2 (en) Tubular vibration-damping device
KR20190135083A (ko)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
JPH04262112A (ja) スタビライザ用ボールジョイント
US20150130251A1 (en) Seat elastic support structure
US20180111436A1 (en) Proportional radial loading spring isolator
KR20140011318A (ko) V-형 토크 로드를 위한 정점 내부 마운트 배열
JP2008105534A (ja) 車体用振動減衰装置の取付構造
KR102552072B1 (ko) 내측고정방식 마운팅 부시 유닛 및 서브프레임
US11434974B2 (en) Vibration absorb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vibration absorber
US10821860B2 (en) Seat device
US11801723B2 (en) Suspension mount
US9145074B2 (en) Seat component positioning structure
US8991839B1 (en) Axle suspension system
JP2008019992A (ja) 防振装置
JP2009216177A (ja) バウンドストッパ
KR20210050089A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마운팅장치
EP3632717B1 (en) Joint structure of stabilizer link
JP4617619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組付け構造
KR100836792B1 (ko)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US9434228B1 (en) Vehicle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JP7122222B2 (ja) ダンパマウント取付構造
KR101488210B1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3852292B2 (ja) 自動車用の防振ブッシュ構造
KR102019046B1 (ko) 쇽업소버 지지 구조
JP200215598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における油圧緩衝器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