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12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123A
KR20190068123A KR1020170168209A KR20170168209A KR20190068123A KR 20190068123 A KR20190068123 A KR 20190068123A KR 1020170168209 A KR1020170168209 A KR 1020170168209A KR 20170168209 A KR20170168209 A KR 20170168209A KR 20190068123 A KR20190068123 A KR 2019006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panel
display panels
communication unit
exter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475B1 (ko
Inventor
현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475B1/ko
Priority to US16/214,748 priority patent/US10691395B2/en
Priority to CN201880079066.0A priority patent/CN111448606A/zh
Priority to EP18885048.1A priority patent/EP3695399B1/en
Priority to PCT/KR2018/015639 priority patent/WO2019112402A1/en
Publication of KR2019006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 검출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캐비닛; 캐비닛의 일 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캐비닛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에서 수신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 검출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사이즈가 작은 엘이디 패널을 이용하여 대형 사이즈의 화면을 구현한다. 이러한,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 개념으로 작은 단위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다수 연결하여 대형 화면을 구성하는데,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달리 모듈 간의 경계(seam)가 눈에 거의 보이지 않아 초대형 스크린 구성에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듈로 구성되기 때문에 모듈 내에 불량이 발생하여 모듈을 교체하는 경우 또는 모듈 간 위치 조정을 위해 작업자가 모듈을 기구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장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리하는 작업 수행 시 타깃(target)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검출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캐비닛; 캐비닛의 일 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캐비닛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에서 수신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통신부에서 수신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후면에 대응되는 캐비닛에 배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는, 캐비닛에 장착된 제어 보드에 설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설치 위치와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디지털 신호 입력 포트로 마련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정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통신부에서 수신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를 검출하고, 에러가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캐비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결합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장치 주위에 형성된 검출회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출회로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결합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제 1 결합부재 및 캐비닛에 장착된 제 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제 1 결합 부재 및 제 2 결합 부재는 자기력에 의해 서로 잠금 또는 해제되도록 마련되고, 검출회로는, 제 1 결합부재 주위를 와인딩한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패터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장치는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복수 개로 마련되고, 결합 장치 주위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검출회로는 직렬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부재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석이 마련된 보조 용구가 검출 회로 주위에 접근하면, 검출 회로 주위의 자속 변화에 의해 검출 회로로부터 검출 신호가 생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통신부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통신부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설치 위치와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마련되고, 통신부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통신부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정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부에서 수신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검출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 검출 명령을 수신하고,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를 검출하고, 에러가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캐비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결합장치 및 결합장치 주위에 형성된 검출회로를 더 포함하고, 검출회로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부재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석이 마련된 보조 용구가 검출 회로 주위에 접근하면 검출회로 주위의 자속 변화에 의해 검출 회로로부터 검출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인디케이터를 통해 작업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교체 및 분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부분에 검출 회로를 형성하여 작업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교체 및 분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잇다.
이로써 인건비 절감, 시공 기간 단축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의 교체 및 분리 작업의 진행 시 발생하는 모듈의 파손을 저감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관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이다.
도 5는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관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다.
도 6은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7은 도 4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다.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련된 결합부재의 측면도 이다.
도 9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 및 분리에 사용되는 보조용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도 10은 도 6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캐비닛에 마련된 결합부재의 확대도 이다.
도 11은 도 9의 캐비닛에 마련된 결합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도 1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교체 작업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사용자 단말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 2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교체 작업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개시된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교체 작업 시 교체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로 지칭한다.)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하고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교체를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할 필요가 있으며, 이하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로 지칭하도록 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교체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 위치 또는 방식에 따라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검출 및 분리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서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출 및 분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화관과 같은 개방된 장소에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서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출 및 분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출 및 분리 작업이 수행되도록 마련된다.
이하, 이해를 돕기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 후 개시된 발명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재생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사용자 단말(30) 및 보조 용구(4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출 및 분리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에 다라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출 및 분리 작업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에서 수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영상 재생 장치(20)와, 사용자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출 및 분리 작업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서 수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영상 재생 장치(20)와, 보조 용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건물 옥상이나 버스정류장과 같은 옥외에 설치되는 대형 광고판으로 이용되거나, 영화관의 대형 스크린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옥외는 야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하철역, 쇼핑몰, 영화관, 회사, 상점 등과 같이 실내이더라도 다수의 사람들이 드나드는 곳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출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출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후면 모두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후면 모두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예로 들어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 100a, 100b, 100c, 100d)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 100a, 100b, 100c, 100d)은 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크기만큼 제 1 방향(X)으로 배열되거나, 제 2 방향(Y)으로 배열되거나,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으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 100a, 100b, 100c, 100d)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00a)과,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00a)에 대해 제 1 방향(X)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00b)과,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00a)에 대해 제 2 방향(Y)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디스플레이 모듈(100c)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00b)에 대해 제 2 방향(Y)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디스플레이 모듈(100d)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 100a, 100b, 100c, 100d)은 일체로 하나의 스크린(S)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 100a, 100b, 100c, 100d)은 일체로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S)에는 복수의 픽셀들(P)이 형성되며, 영상은 복수의 픽셀들(P)로부터 방출된 광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픽셀들(P)은 각각 다양한 밝기 및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복수의 픽셀들(P)이 방출하는 광들이 모자이크(mosaic)와 같이 조합됨으로써 스크린(S) 상에 하나의 영상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포함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로 마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세부 구조에 대해서는 관련 부분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에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111)가 설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111)의 설치 위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라도 무관하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캐비닛(11)은 또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장치(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00a)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00b)은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00a)의 캐비닛(11)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00b)의 캐비닛(11)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연결장치(13)에 의해 제 1 방향(X)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00a)과 제 3 디스플레이 모듈(100c)은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00a)의 캐비닛(11)과 제 3 디스플레이 모듈(100c)의 캐비닛(11)에 각각 마련되는 제 2 연결장치(14)에 의해 제 2 방향(Y)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연결장치(13)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00a)과 제 2 디스플레이 모듈(100b)의 일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링크(13a)과 타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링크(13b)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연결장치(130)는 제 1 디스플레이 모듈(100a)과 제 3 디스플레이 모듈(100c)의 일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링크(14a)와 타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링크(14b)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재생 장치(20)는 비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거나, 외부 컨텐츠 소스(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재생 장치(20)는 메모리에 컨텐츠 데이터의 파일을 저장하거나, 외부 컨텐츠 소스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재생 장치(20)는 저장되거나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영상 프레임 데이터로 디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데이터는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등 다양한 비디오 압축 표준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다. 영상 재생 장치(20)는 압축된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영상 프레임 각각을 나타내는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 재생 장치(20)는 복원된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재생 장치(20)는 별도로 마련된 영상 데이터 전송선을 통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재생 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별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일체화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단말(3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교체 작업 시 작업의 효율화를 위해 제공되는 구성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 단말(3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설치 위치와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로부터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입력 받고,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이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는 위치 검출 명령이라 정의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면,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거나,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과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되는 영상을 통해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들과의 경계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마련된 인디케이터를 통해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후면 교체 작업의 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은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안경, 콘택트 렌즈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용구(40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교체 작업 시 작업의 효율화를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 보조 용구(40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성으로 형성되며 자기력 원리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 작업 시 작업의 효율을 도모하도록 할 수 있다. 보조 용구(400)의 구성 및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관련 부분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관을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이고, 도 5는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외관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캐비닛(11)과 캐비닛(11)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엘이디 패널, 오엘이디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하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엘이디 패널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캐비닛(11)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측벽(140), 도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구분하도록 인디케이터(111)가 설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111)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분리 작업을 진행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에서 사용자가 타겟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인디케이터(111)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인디케이터(111)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면 중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200)들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면 중 디스플레이 패널(200)들의 특정 부분(예를 들어, 모서리)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인디케이터(111)의 설치 위치가 전술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디케이터(111)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여러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111)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위치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배치 형상을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일 영역에 마련되거나,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10)의 도어(150) 안쪽에 설치된 제어 보드(113)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인디케이터(111)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 경우를 전제로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인디케이터(111)는 미리 설정된 광을 출력하도록 마련된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컬러의 광을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11)의 동작에 대해 관련 부분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또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연결장치(12)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마련된 손잡이(15)가 형성될 수 있다.
측벽(14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결합되고, 도어(150)는 힌지(151)에 의해 측벽(14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150)가 힌지(151)에 의해 측벽(140)에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에는 도어락(152)이 설치될 수 있다.
캐비닛(11)의 내부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제어하도록 마련된 제어보드와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전원공급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보드에 연결된 각종 단자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측벽(140) 또는 도어(150)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도어(150) 또는 측벽(140)에는 전원이 들어가고 나갈 수 있는 전원 단자(153)가 마련될 수 있고,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154)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1)의 후방 커버가 여닫이 형식의 도어(150)로 마련되는 것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유지 보수 시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전원 단자(153)에 인렛 단자와 아웃렛 단자가 동시에 마련되는 것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또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결합하였을 때 각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전원 공급이 용이하도록 케스케이드(cascade)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함이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복수의 엘이디(210)가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기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캐비닛(11)에 장착되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사이에는 경계선 또는 시임(seam)이 형성될 수 있다. 고화질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기판(220)에 배열되는 엘이디(210)의 크기가 작아지면, 그에 따라 엘이디(210) 간의 간격이 작아지게 되는데, 디스플레이 패널(200) 간의 간격이 엘이디(210) 간의 간격보다 커지는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간에 단차가 생기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 간의 경계선이 드러나 보이게 된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 간에 경계선이 보이지 않는 시임리스(seamless)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서로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200) 간의 단차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단차 조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한 결합 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한 결합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되거나, 물리적인 구조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스크류와 같은 기구적인 체결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자기적으로 결합될 경우를 전제로 결합 구조의 형성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7은 도 4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고,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련된 결합부재의 측면도 이고, 도 9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 및 분리에 사용되는 보조용구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10은 도 6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캐비닛에 마련된 결합부재의 확대도 이고, 도 11은 도 10의 캐비닛에 마련된 결합부재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제 1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제 1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대해 제 1 방향(X)으로 배열되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2)과, 제 1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대해 제 2 방향(Y)으로 배열되는 제 3 디스플레이 패널(203)과, 제 2 디스플레이 패널(202)에 대해 제 2 방향(Y)으로 배열되는 제 4 디스플레이 패널(2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 1 방향(X)으로 2열, 제 2 방향(Y)으로 3열로 총 여섯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포함하고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캐비닛(1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결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은 결합 장치의 형성 방식 중 하나를 예로든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결합 장치의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마련되는 제 1 결합 부재(310) 및 캐비닛(11)에 마련되는 제 2 결합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기판(220)의 후면에는 제 1 결합부재(310)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재(310)는 사각형 형상의 디스플레이 기판(220)의 4개의 모서리 중심부와 4개의 코너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캐비닛(11)에 장착되는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중심부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가이드 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결합부재(310)는 디스플레이 기판(220)에서 엘이디(210)가 배치되는 면의 반대 면에 납땜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재(310)는 자기장 내에서 자화되는 물질, 즉 자성체를 포함하거나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재(310)는 제 2 결합부재(320)와 결합하였을 때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걸림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311)는 기둥 형상의 제 1 결합부재(310)의 일부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결합부재(320)와 결합하였을 때 제 1 결합부재(310)가 이탈되지 않을 수 있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재(310)의 주위에는 제 1 결합 부재(310) 주위에서 발생되는 자속 변화를 검출하도록 마련된 검출 회로(3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검출 회로(330)는 제 1 결합 부재(310) 주위를 와인딩한 형상으로 패터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회로(330)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검출 회로(330)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검출 회로(3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검출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경우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검출하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는 후술하는 보조 용구(400)를 사용하여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검출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보조용구의 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한 후 검출 회로(33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조립 및 분리에 사용되는 보조용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보조용구(400)는 바디(410)와 자석(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41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응 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자석(42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마련된 제1 결합부재(31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용구(400)에 마련되는 복수의 자석(420)은 같은 극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보조용구(400)의 바디(410)에는 개구(430)가 마련될 수 있는데, 개구(430)는 보조용구(400)를 엘이디 패널(200)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하였다가 보조용구(400)를 디스플레이 패널(200)로부터 제거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밀어낼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개구(430)가 형성됨으로 인하여 바디(410)의 일부가 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바디(410)에 별도의 손잡이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보조용구(400)에 마련된 자석(42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캐비닛(11)에 조립 또는 분리하는 사용 예에 따라 제2 결합부재(320)에 포함된 자석(321)과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양 극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자석(420)의 극성에 따라 보조용구(400)를 뒤집어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자석(420)이 전자석으로 마련되는 경우 보조용구(400)를 뒤집지 않고 극성을 바꿔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보조 용구(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재(310)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석이 마련되므로, 보조 용구(40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제 1 결합부재(310) 주위에 접근하게 되면 검출 회로(330) 주위의 자속 변화에 의해 검출 회로(330)에서 검출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검출 회로(330)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어부로 전달되게 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어부는 수신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표시되는 영상을 통해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불량 여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기판(220)에는 복수의 제 1 결합부재(310)가 마련되며, 검출 회로(330)는 각각의 제 1 결합부재(310)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검출 회로(330)들은 각각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검출 회로(330)들이 직렬 연결된 구조로 형성될 경우 복수의 검출 회로(330) 중 어느 하나의 검출 회로(330)에서 신호가 검출될 경우에도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위치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교체 작업 수행 시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검출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검출 회로(330)는 제 1 결합부재(310)와 디스플레이 기판(220)이 결합된 부분의 주위를 와인딩한 형상으로 패터닝될 수 있으며, 패터닝된 와인딩 수를 증가시킬 경우 검출 회로(330) 주위의 자속 변화에 따른 기전력이 증가하게 되어 검출 회로(330)의 검출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다만, 검출 회로(330)의 형성 방식이 전술한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후술하는 제 2 결합 부재(320)의 수용홈(325) 주위에 패터닝 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캐비닛(11)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캐비닛(11)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결합 부재(320)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결합부재(320)는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마련된 복수의 제 1 결합 부재(310)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제 2 결합부재(320) 주위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간의 단차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차 조절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가이드 부재(233)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홈(130)이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캐비닛(11)에 올바른 방향으로 장착될 경우 가이드 부재(233)는 가이드 홈(130)에 삽입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결합 장치의 부품들이 매립되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매립부(112)가 마련되며, 제 2 결합 부재(320)는 캐비닛(11)의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매립부(112)에 매립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매립부(112)에는 제 1 결합 부재(310)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수용홈(32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매립부(112)에는 제 1 결합 부재(310)가 수용홈(325)에 수용될 경우 제 1 결합 부재(310)의 걸림부(311)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잠금부(322)가 배치될 수 있다.
잠금부(322)는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부(322)는 자기력에 의해 잠금 위치 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잠금부(322)를 자석으로 마련하거나 잠금부(322) 주위에 별도의 자석(321)을 배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는, 커버(323)를 고정 부재(324)로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324)는 자성체로 형성되거나,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2 결합부재(320)가 제 1 결합부재(310)와 결합되지 않고 별도의 외력이 없을 경우 잠금부(322)는 자석(321)과 고정부재(324)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해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결합부재(320)는 고정부재(324) 외 잠금부(322)를 해제 위치에 있도록 하는 별도의 자성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잠금부(322)의 동작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결합부재(310)가 제2 결합부재(320)의 수용홈(325)에 수용된 후 별도의 자석 등을 이용한 외부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잠금부(322)가 잠금 위치로 이동하면, 자석(321)은 고정부재(324)와의 거리에 비하여 제1 결합부재(310)와의 거리가 더 가까워지게 되고 제1 결합부재(310)와의 자기적 인력이 고정부재(324)와의 자기적 인력에 비해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잠금부(322)는 제1 결합부재(310)와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잠금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제2 결합부재(320)와 결합하고 있는 제1 결합부재(310)를 별도의 자석 등을 이용하여 잠금부(322)에 포함된 자석(321)과 자기적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화시키면, 잠금부(322)는 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캐비닛(11)에서 분리한 후 잠금부(322)는 자석(321)과 고정부재(324)의 자기적 인력에 의해 해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자석(321)과 고정부재(324)를 제외한 제2 결합부재(320)의 다른 구성은 자기력에 반응하지 않는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캐비닛(11)과 디스플레이 패널(200)도 비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교체 작업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첨부된 제어 블록도를 참조하여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세부 제어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의 제어 블록도 이고,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어 블록도 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단말(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30)은 장치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교체 작업이 진행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와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 단말(30)은 네트워크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사용자 단말(30)은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을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은 입력부(31), 디스플레이부(32), 통신부(34), 메모리(36) 및 제어부(3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어 구성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30)의 입력부(31), 디스플레이부(32), 통신부(34), 메모리(36) 및 제어부(38)를 각각 제 1 입력부(31), 제 1 디스플레이부(32), 제 1 통신부(34), 제 1 메모리(36) 및 제 1 제어부(38)로 지칭하도록 한다.
제 1 입력부(3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 1 제어부(38)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입력부(31)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 검출 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 1 제어부(38)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러 검출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발생된 에러를 자체적으로 검출하도록 하는 명령으로, 일부 오류들은 본 명령을 통해 우선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제 1 입력부(31)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한 후,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결정 명령을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결정 명령”은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선택 시 온 상태로 전환된 인디케이터(111)를 계속해서 온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명령이다. 사용자는 교체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해 “결정 명령”을 입력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인디케이터(111)를 온 상태로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계속해서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해 에러 검출 작업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입력부(31)는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부(31)는 미리 정해진 명령(예를 들어, 동작 개시, 동작 중지, 타겟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버튼과,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예를 들어, 키보드, 숫자 패드 등)와, 화면 내에서의 좌표 값을 입력하기 위한 포인팅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디지타이저, 터치 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부(32)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부(32)는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구분하도록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부(32)는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액정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 등 다양한 표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제 1 입력부(31)와 일체로 마련된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제 1 디스플레이부(32)가 제 1 입력부(31)와 일체로 마련된 터치스크린 패널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통신부(34)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부(34)는 사용자로부터 제 1 입력부(31)에 입력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에러 검출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통신부로 전송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 1 통신부(34)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자동으로 검출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에러 정보를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제 1 통신부(34)는 사용자 단말(3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유선 통신 모듈, 무선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메모리(36)는 사용자 단말(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제 1 메모리(36)는 제 1 디스플레이부(32)에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 및 각종 버튼들을 표시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위치 검출 명령 또는 에러 검출 명령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메모리(36)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어부(38)는 사용자 단말(3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 단말(3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제어부(38)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되거나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의 제 1 메모리(36)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30)이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30)에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위치 검출 명령이 입력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 검출 명령이 입력되면, 제 1 제어부(38)는 제 1 통신부(34)를 통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화면이 제공되도록 제 1 디스플레이부(32)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30)과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교체 작업이 진행될 경우, 사용자 단말(30)과 연결되어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위치 검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용이하게 검출 및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교체 작업이 진행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사용자 단말(30)의 도움 없이 후술하는 검출 회로(330)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위치 검출 작업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용이하게 검출 및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입력부(340), 디스플레이부(350), 통신부(360), 메모리(370), 검출 회로(330), 제어부(380) 및 인디케이터(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사용자 단말(30)의 구성과 혼동을 피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입력부(340), 디스플레이부(350), 통신부(360), 메모리(370) 및 제어부(380)를 각각 제 2 입력부(340), 제 2 디스플레이부(350), 제 2 통신부(360), 제 2 메모리(370) 및 제 2 제어부(380)로 지칭하도록 한다.
제 2 입력부(34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 2 제어부(380)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입력부(34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대한 동작 명령 또는 모드 설정 명령 등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 2 제어부(380)로 출력할 수 있다.
제 2 입력부(340)는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앞서 제 1 입력부(31)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디스플레이부(3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부(350)는 각각의 디스플레 모듈에 마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통해 전체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브(352)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따라 영상을 생성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일반적인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이 일체로 하나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검출 작업 시에는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미리 설정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영상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이거나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꽉 채운 전체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표시된 영상을 통해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주위에 연결된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들과의 경계를 확인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가 되는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픽셀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브(352)로부터 영상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적 신호에 대응되는 광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픽셀이 출력하는 광학 신호가 조합됨으로써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엘이디 패널, 오엘이디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브(352)는 제 2 제어부(38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을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브(35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해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 각각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브(352)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구성하는 각각의 픽셀에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면 각각의 픽셀은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고, 각각의 픽셀은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을 출력하고, 각각의 픽셀이 출력하는 광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360)는 사용자 단말(30)을 포함하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부(36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에러 검출 명령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제 2 제어부(380)로 전달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제 2 통신부(260)는 동일한 비디오 월을 구성하는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에러 검출 명령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제 2 제어부(380)로 전달한다.
제 2 통신부(36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하도록 마련된다.
제 2 통신부(3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유선 통신 모듈, 무선 통신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앞서 설명한 제 1 통신부(3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메모리(3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메모리(37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특정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이 전달되면,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위치를 검출하고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대응되는 인디케이터(111)를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마련된 제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메모리(37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 검출 명령이 전달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를 검출하고, 에러가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11)를 온 상태로 전환하거나, 경우에 따라 에러가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제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메모리(370)는 검출 회로(330)로부터 전달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를 송출한 검출 회로(330)와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제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메모리(370)의 종류와 관련하여 앞서 제 1 메모리(36)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검출 회로(3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교체 작업 시 필요한 구성으로, 검출 회로(330)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는 제 2 제어부(380)로 전달된다. 이하, 검출 회로(330)에서 검출 신호가 생성되는 원리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제어부(380)는 프로세서(Processor),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제공되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영상 재생 장치(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제어부(38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거나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 2 메모리(37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제어부(380)는 제 2 통신부(360)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거나,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11)를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380)는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 검출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를 검출하고, 에러가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11)를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 2 제어부(380)는 에러가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제어부(380)는 검출 회로(330)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검출 회로(330)에 대응되는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해 복수의 검출 회로(330)들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 제 2 제어부(380)는 복수의 검출 회로(330)들 중 어느 하나의 검출 회로(330)에서 검출 신호가 생성되면, 해당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으로, 개시된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체적인 제어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전제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 원리 및 제어 방법을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검출 및 교체 작업이 진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장치의 전면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와 장치의 후면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를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 원리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a는 일 실시 예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고, 도 14b는 일 실시 예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고, 도 1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교체 작업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사용자 단말(30)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사용자 단말(30)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5 내지 도 17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a)가 각각 6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마련된 4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며, 이하 위와 같이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a)를 전제로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의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a)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고(510),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_B1)에 미리 설정된 영상(I)을 표시하고(520),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_B1)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11_B1)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것(530)을 포함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a)의 제 2 통신부(360)에서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이 입력되면, 위치 검출 명령에 대한 전기적 신호는 제 1 통신부(34)와 제 2 통신부(360)를 거쳐 디스플레이 장치(10a)로 전달된다.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입력 받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I1)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 단말(30)의 제 1 디스플레이부(32)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구분하도록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I1)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자 단말(30)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I1)의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의 제 1 디스플레이부(32)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I1)와 각종 버튼 아이콘들(C1, C2)이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I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구분 가능하도록 구분 선에 의해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I1)는 미리 설정된 제 1 구분선(L1)으로 디스플레이 모듈 영역(A)을 구분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제 2 구분선(L2)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영역(B)을 구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I1)의 제 1, 2 구분선(L1, L2)으로 구획된 영역들(A, B)에는 미리 설정된 그래픽 이미지(I2)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픽 이미지는 인디케이터(111)에 대한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 하단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자동 에러 검출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된 버튼 아이콘(C1)이 제공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선택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로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된 버튼 아이콘(C2)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의 구획된 영역들 중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200) 영역들 중 특정 디스플레이 패널 영역 B1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특정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특정 영역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은 다른 영역들과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B1 영역이 선택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B1 영역의 컬러가 변경되어 표시됨과 동시에 인디케이터 이미지(I2_B1)지가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B1 영역을 구분하는 구분선이 변경되어 표시되거나 B1 영역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a)의 제 2 제어부(38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면, 위치 검출 명령에 기초하여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검출하고,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고,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11)를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과,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11)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은 어느 하나의 과정이 다른 하나의 과정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두 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30)로부터 B1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a)는 B1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_B1)에 미리 설정된 영상(I)을 표시할 수 있으며, B1 영역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111_B1)를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분리 작업을 진행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a)의 후면에 온상태로 전환된 인디케이터(111_B1)를 통해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_B1)을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분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에서는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_B1)에 미리 설정된 영상(I)을 표시하고,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200_B1)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111_B1)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과 타깃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으오디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각각의 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a)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의 다른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a)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 검출 명령을 수신하고(540),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를 검출하고(550), 에러가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11)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것(560)을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3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 검출 명령을 수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30)의 자동 에러 검출 버튼 아이콘(B1)에 대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30)은 자동 에러 검출 명령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a)로 전송한다.
다음, 제 2 제어부(38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수신한 에러 검출 명령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해 자동 에러 검출 과정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a)는 본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발생된 에러를 자체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다음, 제 2 제어부(380)는 에러가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111)를 온 상태로 전환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a)가 자체적으로 검출 가능한 오류들을 한꺼번에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8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540, 550 및 560의 과정 후에는 도 14에서 설명한 510, 520 및 530 과정들이 이어서 진행될 수 있으며 이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대한 오류 검출 및 교체 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a)의 전면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a)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고, 도 20은 디스플레이 장치(10a)의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교체 작업이 수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a)의 제어 방법은 보조 용구(40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 주위에 접근하면 검출 회로(330)에서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610),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620)을 포함한다.
먼저, 보조 용구(40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 주위에 접근하면 검출 회로(330)에서 검출 신호가 생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작업자는 작업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a)의 디스플레이 패널(200) 주위에 보조 용구(400)를 접근시킨다. 보조 용구(40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석이 포함되는데, 보조 용구(40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 주위에 접근되면 앞서 설명한 검출 회로(330) 주위에 자속 변화가 발생되게 된다. 검출 회로(330)는 주위의 자속 변화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하여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출 신호를 제 2 제어부(380)로 전달한다.
다음, 제 2 제어부(380)는 검출 회로(330)로부터 수신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제어부(380)는 검출 신호를 송출한 검출 회로(330)와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보조 용구(40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주위에 접근하면 보조 용구(400)와 마주보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I)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보조 용구(400)가 200_B1, 200_B2, 200_B3 및 200_B4 디스플레이 패널들 주위에 접근하면 보조 용구(400)와 마주보는 200_B1, 200_B2, 200_B3 및 200_B4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미리 설정된 영상(I)이 표시된다.
보조 용구(4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마주본 채로 제 1 방향(X) 또는 제 2 방향(Y)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조 용구(400)의 이동에 의해 보조 용구(400)가 200_B1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마주보도록 이동되면 200_B2, 200_B3 및 200_B4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표시되던 영상(I)이 사라지고, 200_B1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표시되던 영상(I)이 유지된다.
작업자는 이와 같이 보조 용구(400)를 디스플레이 전면에서 제 1 방향(X) 또는 제 2 방향(Y)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제공되는 영상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 및 경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미리 설정된 영상이 제공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제공되는 영상이 미리 설정된 영상과 차이가 있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교체가 필요한 디스플레이 패널(200)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S: 스크린 P: 픽셀
X: 제 1 방향 Y: 제 2 방향
10: 디스플레이 장치 11: 캐비닛
12: 연결장치 13: 제1연결장치
13a: 제1링크 13b: 제2링크
14: 제2연결장치 14a: 제3링크
14b: 제4링크 15: 손잡이
20: 영상재생장치 30: 사용자 단말
31: 제 1 입력부 32: 제 1 디스플레이부
34: 제 1 통신부 36: 제 1 메모리
38: 제 1 제어부 100: 디스플레이 모듈
100a: 제 1 디스플레이 모듈 100b: 제 2 디스플레이 모듈
100c: 제 3 디스플레이 모듈 100d: 제 4 디스플레이 모듈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1: 인디케이터
112: 매립부 120: 단차 조절부
130: 가이드 홈 140: 측벽
150: 도어 151: 힌지
152: 도어락 153: 전원단자
154: 스위치 200: 디스플레이 패널
201: 제1디스플레이패널 202: 제2디스플레이패널
203: 제3디스플레이패널 204: 제 4 디스플레이패널
220: 디스플레이기판 233: 가이드 부재
310: 제1 결합부재 311: 걸림부
320: 제2 결합부재 321: 자석
322: 잠금부 323: 커버
324: 고정부재 325: 수용홈
330: 검출회로 340: 제 2 입력부
350: 제 2 디스플레이부 352: 디스플레이 드라이브
360: 제 2 통신부 370: 제 2 메모리
380: 제 2 제어부 400: 보조용구
410: 바디 420: 자석
430: 개구

Claims (24)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일 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캐비닛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후면에 대응되는 상기 캐비닛에 배치된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캐비닛에 장착된 제어 보드에 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설치 위치와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인접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신호를 수신하도록 디지털 신호 입력 포트로 마련된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정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를 검출하고, 에러가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결합장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 주위에 형성된 검출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회로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된 제 1 결합부재 및 상기 캐비닛에 장착된 제 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 2 결합 부재는 자기력에 의해 서로 잠금 또는 해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검출회로는,
    상기 제 1 결합부재 주위를 와인딩한 형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패터닝된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결합 장치 주위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검출회로는 직렬로 연결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석이 마련된 보조 용구가 상기 검출 회로 주위에 접근하면,
    상기 검출 회로 주위의 자속 변화에 의해 상기 검출 회로로부터 검출 신호가 생성되도록 마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16.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일 방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캐비닛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위치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통신부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하나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설치 위치와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로 구획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마련되고,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위치 검출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정하기 위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검출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 16항에 있어서,

    통신부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 검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들에 대한 에러를 검출하고,
    에러가 검출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를 온 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결합장치 및 상기 결합장치 주위에 형성된 검출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회로에서 생성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미리 설정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어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자석이 마련된 보조 용구가 상기 검출 회로 주위에 접근하면 상기 검출회로 주위의 자속 변화에 의해 상기 검출 회로로부터 검출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0168209A 2017-12-08 2017-12-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7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09A KR102407475B1 (ko) 2017-12-08 2017-12-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214,748 US10691395B2 (en) 2017-12-08 2018-12-10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880079066.0A CN111448606A (zh) 2017-12-08 2018-12-10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18885048.1A EP3695399B1 (en) 2017-12-08 2018-12-10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8/015639 WO2019112402A1 (en) 2017-12-08 2018-12-10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09A KR102407475B1 (ko) 2017-12-08 2017-12-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123A true KR20190068123A (ko) 2019-06-18
KR102407475B1 KR102407475B1 (ko) 2022-06-13

Family

ID=6669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209A KR102407475B1 (ko) 2017-12-08 2017-12-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91395B2 (ko)
EP (1) EP3695399B1 (ko)
KR (1) KR102407475B1 (ko)
CN (1) CN111448606A (ko)
WO (1) WO201911240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551A1 (en) * 2019-07-12 2021-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1256591A1 (ko) * 2020-06-19 202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3008939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25588B1 (ko) * 2022-12-29 2023-04-25 주식회사 마스코시스템 대형 영상 스크린 설치용 조립식 구조물
US11816385B2 (en) 2022-01-07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915629B2 (en) 2021-07-30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9052B1 (en) * 2017-12-15 2021-11-17 LG Display Co., Ltd. Tiled display device and tiling apparatus therefor
KR102481264B1 (ko) * 2018-01-04 202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USD876406S1 (en) * 2018-07-13 2020-02-25 Lumens Co., Ltd. Micro LED display module frame
USD876405S1 (en) * 2018-07-13 2020-02-25 Lumens Co., Ltd. Micro LED display module frame
US11353732B2 (en) * 2018-08-24 2022-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KR102550294B1 (ko) * 2018-09-28 2023-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의 갭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멀티디스플레이
KR20210017498A (ko) * 2019-08-08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06610A (zh) * 2019-10-18 2020-01-17 深圳视爵光旭电子有限公司 Led显示屏箱体
KR20210093671A (ko) * 2020-01-20 2021-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83087B1 (en) * 2020-04-30 2021-11-23 Draper, Inc. Support system for modular display system
USD974877S1 (en) 2020-04-30 2023-01-10 Draper, Inc. Electronic display mount
CN112562580B (zh) * 2020-12-18 2022-11-25 上海谦奕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led展示屏控制方法及系统
CN113516923B (zh) * 2021-07-29 2022-10-0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屏拼接装置以及拼接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049A (ko) * 2009-11-25 201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시스템
KR20160076227A (ko) *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60224306A1 (en) * 2015-01-30 2016-08-04 Cirrus Systems, Inc. Modular Display System with Automatic Locating Features
KR20170000575A (ko) * 2015-06-24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또는 해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795A (ko) 2001-09-04 2003-03-10 이재식 전광판 제어장치
US7474229B2 (en) 2006-09-13 2009-0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system indicator panel with exposed indicator edge
US9575714B2 (en) * 2009-12-16 2017-0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ggregate display
US8610822B2 (en) * 2010-04-19 2013-12-17 Apple Inc. Camera alignment and mounting structures
US9025111B2 (en) * 2012-04-20 2015-05-05 Google Inc. Seamless display panel using fiber optic carpet
US9959190B2 (en) 2013-03-12 2018-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site visualization of component status
US8872924B1 (en) * 2013-06-04 2014-10-28 Ati Technologies Ulc Imaging based auto display grid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JP6343995B2 (ja) * 2014-03-26 2018-06-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9817627B2 (en) * 2014-08-04 2017-11-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KR101738472B1 (ko) 2014-11-25 2017-05-24 (주)대성엘이디 자석부착식 led 모듈
JP6501614B2 (ja) * 2015-05-27 2019-04-17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CN106331465A (zh) * 2015-07-02 2017-01-11 宏碁股份有限公司 图像获取装置及其辅助拍摄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8049A (ko) * 2009-11-25 201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월 디스플레이시스템
KR20160076227A (ko) *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60224306A1 (en) * 2015-01-30 2016-08-04 Cirrus Systems, Inc. Modular Display System with Automatic Locating Features
KR20170000575A (ko) * 2015-06-24 201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조립 또는 해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551A1 (en) * 2019-07-12 2021-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327855B2 (en) 2019-07-12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1256591A1 (ko) * 2020-06-19 202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3008939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15629B2 (en) 2021-07-30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816385B2 (en) 2022-01-07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25588B1 (ko) * 2022-12-29 2023-04-25 주식회사 마스코시스템 대형 영상 스크린 설치용 조립식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91395B2 (en) 2020-06-23
EP3695399A4 (en) 2020-12-02
KR102407475B1 (ko) 2022-06-13
US20190179592A1 (en) 2019-06-13
EP3695399A1 (en) 2020-08-19
CN111448606A (zh) 2020-07-24
EP3695399B1 (en) 2023-02-01
WO2019112402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5399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32429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97992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mage sticking event on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7408371B (zh) 显示装置、终端装置以及显示系统
CN102782637B (zh) 显示图形用户接口对象的系统和方法
US9372657B2 (en) Multi-scre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ID setting apparatus, and ID setting method
KR20100081152A (ko)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201803489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0099224B (zh) 预监显示方法、装置及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80271613A1 (en) Medical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medical control system
CN110716661B (zh) 拼接式智能交互平板
KR101955257B1 (ko) 라이트 커튼 설치 방법 및 쌍방향 표시 장치
CN103294224B (zh) 控制方法和电子设备
KR102324398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US20180173485A1 (en) Digital signage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same
US20160085361A1 (en) Touch screen apparatus
CN106133670A (zh) 双向显示方法和双向显示装置
JP7210884B2 (ja) 情報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5120327A (zh) 一种电子设备间的输入方法及相应的电子设备
KR101868339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텔레스크린 장치 및 시스템
JP2008275984A (ja) 液晶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14554122B (zh) 图像显示设备
TWI400612B (zh) 控制資訊處理裝置之控制系統以及方法
US20240193810A1 (en) Display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JP5944000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情報端末、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