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3671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3671A
KR20210093671A KR1020200007548A KR20200007548A KR20210093671A KR 20210093671 A KR20210093671 A KR 20210093671A KR 1020200007548 A KR1020200007548 A KR 1020200007548A KR 20200007548 A KR20200007548 A KR 20200007548A KR 20210093671 A KR20210093671 A KR 20210093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module
location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린
손창훈
선종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3671A/ko
Priority to US16/921,228 priority patent/US11494151B2/en
Priority to PCT/KR2020/009008 priority patent/WO2021149883A1/en
Publication of KR20210093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2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for monitor identif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센서,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가 맵핑된 모듈 맵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모듈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고,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특정 모듈의 위치를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많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관리 이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종래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에 대해 관리 번호를 부여하고 수기로 이를 유지하여 유지 보수를 하였으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된 설치 환경이 장치의 후면이 좁은 통로 형태이며 어두움에 따라 수기로 작성한 관리 번호를 이용하여 에러가 발생한 특정 모듈을 찾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구비된 모듈들 중 특정 모듈을 편리하게 찾기 위한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센서,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가 맵핑된 모듈 맵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모듈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후면에 마련된 식별 코드 또는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로의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에러가 발생된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UI 항목,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UI 항목,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UI 항목 또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하좌우의 사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방향 버튼 중 하나의 방향 버튼이 입력된 후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면,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방향 버튼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맵핑하여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맵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모듈 맵 정보 및, 타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모듈 맵 정보를 통합하여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 맵 정보는, 상기 타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되어 외부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동작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가 맵핑된 모듈 맵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모듈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후면에 마련된 식별 코드 또는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로의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에러가 발생된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UI 항목,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UI 항목,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UI 항목 또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상하좌우의 사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방향 버튼 중 하나의 방향 버튼이 입력된 후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면,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방향 버튼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맵핑하여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맵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모듈 맵 정보 및, 타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모듈 맵 정보를 통합하여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모듈 맵 정보는, 상기 타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되어 외부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동작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가 가능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을 효율적으로 트래킹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제공하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을 찾기 위한 최단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맵 정보를 통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러가 발생된 모듈을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디오 월(video wall),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장치라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패널,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μLED(Micro light-emitting diodes), Mini LED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이 결합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의 캐비닛(Cabinet)을 포함하고, 복수의 캐비닛 각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캐비닛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지칭하는 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전면에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를 포함하는 LED 캐비넷(cabinet) 또는 LED 어레이(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은 복수의 자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마이크로 LED(micro LED)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LED는 약 5 ~ 100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LED로서, 컬러 필터 없이 스스로 빛을 내는 초소형 발광 소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비디오 월(video wall),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등으로 구현되어 공공장소, 상업 공간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불특정 다수에게 정보, 엔터테인먼트, 광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크기가 대형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효율적인 유지, 보수, 관리 등을 위해 전자 장치(미도시)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을 트랙킹(Tracking)하기 위한 방법,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의 보수 이력 등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센서(110), 디스플레이(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센서(110)는 전자 장치(100)의 주변 일 영역을 스캔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예로, 센서(110)는 카메라,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카메라로 구현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마련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일 영역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고유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센서(110)는 리더기로 구현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마련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일 영역을 스캔하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의 후면에 마련된 식별 코드 또는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코드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바코드(Barcode)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식별 번호는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은 서로 다른 고유의 식별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센서(11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태깅을 통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센서(110)의 구현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1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120)는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비자발광 소자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s), 마이크로 LED(micro LED), Mini LED, PDP(Plasma Display Panel),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2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데이터가 프로세서(140)의 외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100) 또는 프로세서(140) 중 적어도 하나의 구현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3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 정보가 맵핑된 모듈 맵(Module Map)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서, NPU (Neural Processing Unit),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하나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센서(110)로부터 수신되면, 메모리(130)에 저장된 모듈 맵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하도록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0) 각각의 후면에는 식별 정보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식별 코드 또는 식별 번호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제조 단계에서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할당된 고유 ID(identification)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로,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할당된 고유 ID일 수도 있고,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센서(1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마련된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프로세서(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센서(110)로부터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모듈 맵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듈 맵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식별 정보와 각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위치 정보가 맵핑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내에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행, 열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의 캐비닛의 장착 및 고정이 가능한 복수의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캐비닛 각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의 장착 및 고정이 가능한 복수의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4개의 캐비닛의 장착 및 고정으로 구현되며, 복수의 캐비닛 각각은 16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장착 및 고정이 가능함을 상정하여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개수 및 크기 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크기, 목적, 구현 예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모듈 맵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우측 최상단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모듈이면, 프로세서(140)는 모듈 맵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식별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행, 열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의 위치와 식별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영역을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영역과는 상이한 색상, 밝기 등으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센서(110)를 통해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 관련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요청에 따라 수신된 동작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관련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의 정상 작동 여부, 설치 이력, 최근 점검 이력 또는 구동 시간 등 해당 디스플레이 모듈의 유지, 보수, 관리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찾고자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에러가 감지된 디스플레이 모듈,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점검 기간이 도래한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조건, 목적 등에 의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어느 하나가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행, 열 형태로 입력하여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넘버를 입력하여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의미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찾는 모듈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A003과 같은 식별 번호 또는 QR 코드와 같은 식별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인식 코드(예를 들어, A384)로 도시하였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현재 위치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지칭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모듈 맵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예를 들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로의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대형화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서치(Search)하기 어렵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의 보수 이력 등을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센서(110)를 통해 센싱된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현재 위치로 제공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찾는 위치(또는, 목표 위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현재 위치에서 찾는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최적을 코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센서(110)를 통해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이하,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5행 10열)를 디스플레이하고,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50행 3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와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간 차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와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간 차이는 45행 7열이고, 프로세서(140)는 차이에 기초하여 왼쪽으로 7칸, 아랫쪽으로 45칸 이동 시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에 도달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Notify).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의 위치, 식별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및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에서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및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을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영역과는 상이한 색상, 밝기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에서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최적의 이동 경로(예를 들어, 화살표 등)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및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사용자가 인지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모듈 맵 정보를 생성,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상하좌우의 사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사방향 버튼 중 하나의 방향 버튼이 입력된 후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센서(110)로부터 수신되면,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입력된 방향 버튼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가 1행 1열이고, 사방향 버튼 중 우측 방향 버튼이 입력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센서(110)로부터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1행 2열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고, 1행 2열을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가 1행 1열이고, 사방향 버튼 중 하측 방향 버튼이 입력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센서(110)로부터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2행 1열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고, 2행 1열을 위치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위치 정보 및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를 맵핑하여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 및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가 맵핑된 모듈 맵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100)는 서버(미도시)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대응되는 모듈 맵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제1 모듈 맵 정보를 획득하고, 외부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0), 서버, 또는 타 사용자 단말 장치 등)로부터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제2 모듈 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제1 모듈 맵 정보 및 제2 모듈 맵 정보를 통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모듈 맵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맵 정보를 통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듈 맵 정보는 전자 장치(100)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모듈 맵 정보 및, 타 전자 장치(200)에 의해 획득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모듈 맵 정보를 통합하여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설치 시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일부는 제1 작업자에 의해 설치되며, 나머지는 제2 작업자에 의해 설치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작업자의 전자 장치(100)는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설치와 해당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맵핑된 제1 모듈 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작업자의 타 전자 장치(200)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설치와 해당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들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가 맵핑된 제2 모듈 맵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듈 맵 정보는 외부 서버(300)로 전송되며,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외부 서버(300)로부터 제2 모듈 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장치(100)는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모듈 맵 정보와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모듈 맵 정보를 통합하여 모듈 맵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서버(300)는 전자 장치(100) 및 타 전자 장치(200) 각각으로부터 제1 및 제2 모듈 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및 제2 모듈 맵 정보를 통합하여 모듈 맵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모듈 맵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모듈 맵 정보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한 UI 항목, 모듈 맵 정보를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UI 항목,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UI 항목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UI 항목은 센서(110)를 통해 스캔하여 획득한 식별 정보 및 4방향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한 위치 정보를 맵핑하여 모듈 맵 정보를 생성, 업데이트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 항목은 센서(110)를 통해 스캔하여 획득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내에서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위치 정보, 및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기준으로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로의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로 구현되어 외부 공공장소에 배치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특정 사용자(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관리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후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보완, 유지 등을 위해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후면에 위치한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 간의 원활한 의사 소통, 후면에 위치한 사용자가 작업(또는, 수리) 중인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전자 장치(100)를 통해 센싱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과는 상이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해당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타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100)를 통해 센싱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등을 타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예로, 타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타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을 설정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로부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로의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러가 발생된 모듈을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40)는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에러가 발생된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를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0)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중 에러가 발생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모듈 맵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 및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40)는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영역을 음영 처리하여 위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로 돌아와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 입력부(미도시) 및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타입의 컨텐츠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는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IEEE 1394,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AES/EBU(Audio Engineering Society/ European Broadcasting Union),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소스 장치), 외부 저장 매체(예를 들어, USB 메모리), 외부 서버(예를 들어 웹 하드) 등으로부터 다양한 유형의 컨텐츠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영상 신호, 기사, 텍스트 정보, 게시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 리모콘 송수신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리모콘 송수신부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거나, 리모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구현 예에 따라 튜너 및 복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튜너(미도시)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미도시)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튜너를 통해 수신된 입력 영상은 복조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된 후,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14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가 맵핑된 모듈 맵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센서로부터 수신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모듈 맵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1010).
이어서, 획득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1020).
여기서, 식별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후면에 마련된 식별 코드 또는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하는 S1020 단계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 및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위치를 기준으로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로의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획득하는 S1010 단계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에러가 발생된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를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모듈 맵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UI 항목, 모듈 맵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UI 항목,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UI 항목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하좌우의 사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및 사방향 버튼 중 하나의 방향 버튼이 입력된 후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센서로부터 수신되면,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입력된 방향 버튼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위치 정보 및 획득된 식별 정보를 맵핑하여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맵 정보는,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모듈 맵 정보 및, 타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모듈 맵 정보를 통합하여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듈 맵 정보는, 타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되어 외부 서버로 전송되며, 외부 서버로부터 전자 장치로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동작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모든 유형의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센서
120: 디스플레이 130: 메모리
140: 프로세서

Claims (20)

  1. 센서;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가 맵핑된 모듈 맵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모듈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후면에 마련된 식별 코드 또는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로의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에러가 발생된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로 식별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UI 항목,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UI 항목,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UI 항목 또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하좌우의 사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방향 버튼 중 하나의 방향 버튼이 입력된 후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면,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방향 버튼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맵핑하여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맵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모듈 맵 정보 및, 타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모듈 맵 정보를 통합하여 획득된 정보인,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듈 맵 정보는,
    상기 타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되어 외부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동작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식별 정보 및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가 맵핑된 모듈 맵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하나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모듈 맵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의 후면에 마련된 식별 코드 또는 식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로의 방향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에러가 발생된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UI 항목,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UI 항목,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UI 항목 또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하좌우의 사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사방향 버튼 중 하나의 방향 버튼이 입력된 후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를 스캔하여 획득된 식별 정보가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되면,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방향 버튼의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 및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맵핑하여 상기 모듈 맵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맵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모듈 맵 정보 및, 타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모듈 맵 정보를 통합하여 획득된 정보인,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 맵 정보는,
    상기 타 전자 장치에 의해 획득되어 외부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로 수신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동작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동작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00007548A 2020-01-20 2020-01-2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93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48A KR20210093671A (ko) 2020-01-20 2020-01-2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921,228 US11494151B2 (en) 2020-01-20 2020-07-06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20/009008 WO2021149883A1 (en) 2020-01-20 2020-07-09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48A KR20210093671A (ko) 2020-01-20 2020-01-2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671A true KR20210093671A (ko) 2021-07-28

Family

ID=7685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548A KR20210093671A (ko) 2020-01-20 2020-01-20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94151B2 (ko)
KR (1) KR20210093671A (ko)
WO (1) WO202114988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939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013919A1 (ko) * 2021-08-06 2023-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15629B2 (en) 2021-07-30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68140A (zh) * 2021-02-23 2022-08-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获取传感器数据的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241B1 (ko) 2012-05-04 2019-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월 배열 자동 검출방법 및 비디오 월 시스템
US9959190B2 (en) 2013-03-12 2018-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site visualization of component status
KR101488809B1 (ko) 2013-07-02 2015-02-05 심철희 Led 모듈 이력 관리 시스템
JP6415046B2 (ja) 2013-12-20 2018-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管理装置およ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管理プログラム
US9817627B2 (en) * 2014-08-04 2017-11-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KR101548351B1 (ko) 2014-12-08 2015-08-28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다중신호 전송라인으로 제어되는 자가진단 및 복구형 전광판 시스템
KR102262764B1 (ko) 2014-12-24 2021-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무선 타일드 디스플레이
US10338874B2 (en) * 2015-01-30 2019-07-02 Cirrus Systems, Inc. Modular display system with automatic locating features
TWI599990B (zh) * 2016-04-07 2017-09-21 永奕科技股份有限公司 使用標籤進行巡檢之方法、系統和通訊終端
KR20170116619A (ko) 2016-04-11 2017-10-2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 및 서버를 이용한 가상 led 전광판
KR102435193B1 (ko) 2017-11-09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비전 설정 방법
KR102407475B1 (ko) 2017-12-08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0458B1 (ko) 2018-06-14 202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47185A (ko) 2018-10-26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939A1 (ko) * 2021-07-30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15629B2 (en) 2021-07-30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13919A1 (ko) * 2021-08-06 2023-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9883A1 (en) 2021-07-29
US20210224017A1 (en) 2021-07-22
US11494151B2 (en)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3671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3628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126957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2267397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20046072A1 (en) User terminal, remote terminal, and method for shar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US10002553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micro digital signage devices
US20130111360A1 (en) Accessed Location of User Interface
US1095020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of
CN102498512A (zh) 用于确定活跃输入区域的方法和装置
JP2019158986A (ja) 電子機器、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電子機器の制御方法、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43092B2 (en) Display apparatus that determines a pointing position of a poin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971521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21008784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U2014218012B2 (en) Tag-based interactive system for a device distributing a multimedia content
US903228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modifying a web page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US9990076B2 (en) Touch screen apparatus
KR101896099B1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2018026093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1562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698724B2 (en) Multi-host touch display
KR20230031085A (ko)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189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67679A (ko) 복수의 드라이버 ic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1668A (ko) 스마트폰으로 컬러코드를 전송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갖는 가시광 송수신 시스템
KR202300957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