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894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8944A
KR20230018944A KR1020210101022A KR20210101022A KR20230018944A KR 20230018944 A KR20230018944 A KR 20230018944A KR 1020210101022 A KR1020210101022 A KR 1020210101022A KR 20210101022 A KR20210101022 A KR 20210101022A KR 20230018944 A KR20230018944 A KR 20230018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module
modules
modul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준
양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8944A/ko
Priority to PCT/KR2022/011165 priority patent/WO2023008939A1/ko
Priority to CN202280041348.8A priority patent/CN117461020A/zh
Priority to EP22849914.1A priority patent/EP4300285A1/en
Priority to US17/952,951 priority patent/US11915629B2/en
Publication of KR2023001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06F3/1462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remot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 배치 관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고,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발 및 보급되는 추세이다.
특히,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대형화, 고해상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캐비닛의 개수가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설치 난이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들 간의 케이블 연결 시에 종래의 정형화된 규칙, 형태, 포맷이 아닌, 임의로 디스플레이 장치들 간을 연결하는 경우도 빈번한 실정이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캐비닛의 개수가 매우 많은 상황에서, 여러 디스플레이 모듈 중에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찾기란 불편함, 어려움이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불균일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시스템 설치 환경 상 선택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기 위해서 일일이 카운팅을 하거나, 수 차례의 재확인 절차를 동반하여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선택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어왔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이 타 디스플레이 모듈과 차별되는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 배치 관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고, 상기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배치 관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속한 제1 그룹 내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또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속한 제1 그룹 내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 및 상기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 또는 상기 제1 그룹에 인접한 제2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타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인접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에 인접한 제2 그룹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각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디스플레이 모듈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4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이미지와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보다 순차적으로 낮은 휘도의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에서 휘도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조정하기 위한 모드에서 색상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색상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배치 관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속한 제1 그룹 내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또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속한 제1 그룹 내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위치 및 상기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 또는 상기 제1 그룹에 인접한 제2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타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인접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에 인접한 제2 그룹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각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이며, 상기 선택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디스플레이 모듈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4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이미지와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보다 순차적으로 낮은 휘도의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에서 휘도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조정하기 위한 모드에서 색상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색상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또는, 디스플레이 캐비닛)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휘도, 색상 등을 조정하기 위해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 시에 사용자가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 간의 연결 관계, 각 디스플레이 모듈의 식별 정보 등을 사용자가 고려할 필요 없이,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방향 이동에 따라 새롭게 선택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하는 경우에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디오 월(video wall),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장치라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패널,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μLED(Micro light-emitting diodes), Mini LED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은 복수의 캐비닛(Cabinet)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캐비닛(Cabinet) 각각은 기 설정된 개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하나의 캐비닛을 구성하며, 복수의 캐비닛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구체적인 숫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캐비닛은 해당 캐비닛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들(예를 들어, 1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지칭하는 단위일 수 있고, 캐비닛은 그룹(group), 서브 스크린(sub-screen)으로 불릴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룹으로 통칭하도록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각각은 복수의 자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마이크로 LED(micro LED)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LED는 약 5 ~ 100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LED로서, 컬러 필터 없이 스스로 빛을 내는 초소형 발광 소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월(video wall),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등으로 구현되어 공공장소, 상업 공간 등에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불특정 다수에게 정보, 엔터테인먼트, 광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크기가 대형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의 개수도 비례하여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간의 조립 공차 없이, 즉, 심리스(Seamless)하게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이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수가 증가하고, 디스플레이 모듈들 간의 경계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간의 휘도 및 색상의 균일성(uniformity)을 설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어느 것인지(예를 들어, 어디에 위치하는지),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인접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어느 정도의 불균일성(non-uniformity)을 가지는 지를 설정자(setter,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관련 엔지니어(engineer), 이하,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왔다.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의 효율적인 유지, 보수, 관리 등을 위해 전자 장치(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 각각을 트랙킹(Tracking)하는 방법,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각각의 설정 값(예를 들어, 휘도 값, 색상 값 등)을 조정하기 위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한 경우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용이하게 식별하고,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인접한 디스플레이 모듈들과 어느 정도의 불균일성을 가지는 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특정한 이미지(예를 들어, 특정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듈러 디스플레이 장치(즉, 디스플레이 시스템)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가 될 수 있고, 자체적으로 독립적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구현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는 방송 컨텐츠, 멀티 미디어 컨텐츠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유저 인터페이스(UI) 및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각각은 IC 칩을 포함하고, IC 칩은 프로세서(13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IC 칩은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LED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LED 구동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픽셀들의 발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IC 칩은 LED 드라이버 IC 칩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비자발광 소자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s), 마이크로 LED(micro LED), Mini LED, PDP(Plasma Display Panel),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데이터가 프로세서(130)의 외부 메모리(120)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프로세서(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현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특히, 메모리(12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간 배치 관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간 배치 관계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각각에 할당된 좌표 정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각각의 연결 관계 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각각의 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치 관계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각각에 할당된 (x, y) 형태의 행, 열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이며, 배치 관계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각각을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메모리(120)에 저장된 배치 관계 정보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수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그룹 각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치 관계 정보는 복수의 그룹 간의 배치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그룹 간의 배치 관계 정보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할당된 좌표 정보, 복수의 그룹 각각의 연결 관계 또는 복수의 그룹 각각의 배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AI(Artificial Intelligence)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또는 복수의 그룹 각각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로 테스트 이미지를 전송하며,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은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스트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자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며, 전자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어 신호, 비디오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값(예를 들어, 휘도 값, 색상 값) 등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가상 현실(virtual reality(VR)) 구현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을 식별할 수도 있고,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을 식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이미지는 Full Color의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또는 White 이미지를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특정 문자, 기호, 모양, 패턴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의미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과는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 관점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즉,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 관점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즉,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과 인접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즉,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 간 불균일성(non-uniformity)을 용이하게 식별하고,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설정 값(예를 들어, 휘도 값 또는 색상 값)을 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설치 과정 또는 장치 설정 과정에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에러가 발생한 모듈 또는, 설정 값의 조정이 요구되는 모듈)을 식별하기에 난해한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사용자 명령에 따라 현재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어느 것인지 육안으로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현재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에러가 발생한 모듈 또는, 설정 값의 조정이 요구되는 모듈)까지의 이동, 추적 (tracking)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이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과는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함에 따라, 사용자 관점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즉,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이며,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또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을 식별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관점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의 휘도 또는 색상 값을 미세 조정하여 타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과의 불균일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 등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특정 위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로 지칭하고,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로 지칭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각각은 무기 발광 소자(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각각은 R(Red) 서브 픽셀, G(Green) 서브 픽셀, B(Blue)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픽셀을 복수 개 포함하는 LED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10)은 1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4x3의 배열로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4x3 배열의 하나의 그룹은 일 실시 예일 뿐,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열 형태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픽셀의 개수는 제조사의 목적, 제조 과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들의 배열 형태 및 개수 또한, 제조사의 목적, 제조 과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1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4x3의 배열로 결합되어 하나의 그룹(또는, 캐비닛(cabinet), 서브 스크린(sub-screen))을 구성하며, 복수의 그룹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그룹의 개수는 제조사의 목적, 제조 과정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specification)에 따른 해상도,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하도록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은 복수의 그룹(10-1 내지 10-n)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간 배치 관계 정보를 포함하며, 배치 관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배치 관계 정보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또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할당된 좌표 정보,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또는, 연결 관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 크기 등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또는 복수의 그룹(10-1 내지 10-n)의 개수도 비례하여 증가한다. 이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간 배치 관계 또는, 통신 연결 관계는 종래의 정형화된 통신 연결 관계 또는 데이지 체인(Daisy chain) 통신 연결 관계 외에도 복잡하게 또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30)가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을 식별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간 배치 관계 정보, 복수의 그룹(10-1 내지 10-n)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이 속한 제1 그룹(10-1) 내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제1 그룹(10-1) 내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과 동일한 그룹(예를 들어, 제1 그룹(10-1))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상이한 그룹(예를 들어, 제2 그룹(10-1))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이 속한 제1 그룹 내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식별된 위치 및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그룹(10-1) 또는 제1 그룹(10-1)에 인접한 제2 그룹(10-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하도록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의 위치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이 타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인접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이 속한 제7 그룹(10-7)을 식별하며,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제7 그룹(10-7)이 아닌, 제3 그룹(10-3), 제6 그룹(10-6) 등에 속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이 타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인접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복수의 그룹(10-1 내지 10-n)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7 그룹(10-1)에 인접한 제2 그룹(10-2), 제3 그룹(10-3), 제4 그룹(10-4), 제6 그룹(10-6) 및 제8 그룹(10-8)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그룹(10-2), 제3 그룹(10-3), 제4 그룹(10-4), 제6 그룹(10-6), 제7 그룹(10-7) 및 제8 그룹(10-8) 각각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과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테스트 이미지는 White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에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이미지(예를 들어, Full White 이미지)와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과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며,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므로, 사용자 관점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즉,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예를 들어, Full Whit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사용자 관점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을 설정 값(예를 들어, 휘도 값, 색상 값) 등을 조정하여 인접한 디스플레이 모듈(즉,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과의 휘도 및 색상의 불균일(non-uniformity)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를 제공하며, 해당 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자체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미도시)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기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패턴(pattern)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2 그룹(10-2)에 속한 디스플레이 모듈(즉,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이 선택되고,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예를 들어, 제3 그룹(10-3)에 속한 디스플레이 모듈(즉,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하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의 휘도보다 순차적으로 낮은 휘도의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이미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사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을 기준으로하는 그라데이션(Gradation) 패턴 이미지와 유사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하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가 디스플레이하는 테스트 이미지 대비 색상, 채도, 명도 등이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성하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가 디스플레이하는 테스트 이미지 대비 채도를 순차적으로 감소시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순차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구성의 의미는, 거리가 증가함에 비례하여 휘도, 색상, 채도 또는 명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만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하며, 사용자 관점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안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의 휘도 또는 색상 값을 미세 조정하여 타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과의 불균일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휘도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에서 휘도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의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색상을 조정하기 위한 모드에서 색상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의 색상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신호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되는 폭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입력부(미도시)의 일 구성 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예시에서 제1 내지 제8 그룹,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 등 구체적인 숫자는 일 예시이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듈 즉,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과는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함은 물론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7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제1 방향으로 인접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도 8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제 8에 따른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와는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과의 이격 거리에 비례하여 테스트 이미지에서 휘도, 색상, 채도 또는 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예를 들어, 증가 또는 감소)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을 선택하는 경우에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방향 이동 신호,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선택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신호에 기초하여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이동 신호는, 상하좌우의 4방향 이동 신호를 의미하며, 이는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하좌우, 대각선의 8방향 이동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즉,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2 그룹에 속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이며, 오른쪽 이동 명령(또는,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된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3 그룹에 속한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도 8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방향 이동 신호, 특정 디스플레이 모듈 선택 신호 등)에 대응되는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제3 그룹에 속한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을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내지 110-n)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변경된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과 이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 관점에서 변경된 타겟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인접한 디스플레이 모듈들과의 비교를 통해 휘도 값, 색상 값 등을 미세 조정하여 불균일성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10-1, 110-n)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불균일성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시에서는, 제1 모드 즉, 일반 모드만을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 예는 제2 모드 즉, 하이라이트 모드에서도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반 모드 및 하이라이트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일반 모드로 통칭하도록 한다.
한편, 일반 모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들이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pattern)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로 구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라이트 모드는, 사용자 명령(또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들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과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가 선택(또는, 실행)되면, 프로세서(130)는 일반 모드 또는 하이라이트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모드(예를 들어, 일반 모드 또는 하이라이트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모드에 따라, i) 일반 모드의 경우에는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110-2)이 동일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하고, ii) 하이라이트 모드의 경우에는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110-1)이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과는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우선,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한다(S910).
이어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한다(S920).
이어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한다(S930).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며, 배치 관계 정보는,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S920 단계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속한 제1 그룹 내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제1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또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S920 단계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속한 제1 그룹 내에서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위치 및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그룹 또는 제1 그룹에 인접한 제2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S920 단계는, 식별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타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인접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그룹에 인접한 제2 그룹을 식별하는 단계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그룹 및 제2 그룹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이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선택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디스플레이 모듈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제3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4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 및 제3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S930 단계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는 테스트 이미지와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S930 단계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보다 순차적으로 낮은 휘도의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에서 휘도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조정하기 위한 모드에서 색상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색상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모든 유형의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에서의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Claims (20)

  1.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 배치 관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고,
    상기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배치 관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속한 제1 그룹 내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또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속한 제1 그룹 내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위치 및 상기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 또는 상기 제1 그룹에 인접한 제2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타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인접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에 인접한 제2 그룹을 식별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각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디스플레이 모듈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4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고,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이미지와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보다 순차적으로 낮은 휘도의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에서 휘도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조정하기 위한 모드에서 색상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색상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배치 관계 정보는,
    상기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속한 제1 그룹 내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또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속한 제1 그룹 내에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위치 및 상기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 또는 상기 제1 그룹에 인접한 제2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이 타 그룹 내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인접 배치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복수의 그룹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에 인접한 제2 그룹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간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그룹 및 상기 제2 그룹 각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설정 값 조정을 위한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이며,
    상기 선택된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디스플레이 모듈이 선택되는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배치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듈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4 디스플레이 모듈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디스플레이 모듈이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 중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테스트 이미지와 상이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테스트 이미지와 휘도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테스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디스플레이 모듈 각각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보다 순차적으로 낮은 휘도의 테스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에서 휘도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휘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조정하기 위한 모드에서 색상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내는 키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듈의 색상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210101022A 2021-07-30 2021-07-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18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022A KR20230018944A (ko) 2021-07-30 2021-07-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11165 WO2023008939A1 (ko) 2021-07-30 2022-07-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2280041348.8A CN117461020A (zh) 2021-07-30 2022-07-29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EP22849914.1A EP4300285A1 (en) 2021-07-30 2022-07-2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952,951 US11915629B2 (en) 2021-07-30 2022-09-26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022A KR20230018944A (ko) 2021-07-30 2021-07-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944A true KR20230018944A (ko) 2023-02-07

Family

ID=8508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022A KR20230018944A (ko) 2021-07-30 2021-07-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18944A (ko)
WO (1) WO20230089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4065A1 (en) * 2010-01-06 2011-07-07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Display Bezel Compensation For A Single Large Surface Display Formed By A Plurality Of Displays
KR102584423B1 (ko) * 2016-11-17 202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7475B1 (ko) * 2017-12-08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5037B1 (ko) * 2018-09-12 202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20210093671A (ko) * 2020-01-20 2021-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8939A1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9005B2 (en) Display driving circuit configured to secure sufficient time to stabilize channel amplifiers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0043492B2 (en) Display driver,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9997096B2 (en)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468833B2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transition between different refresh rates on a display device
US20160343301A1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US9230473B2 (en) Dual duty cycle OLED to enable dynamic control for reduced motion blur control with constant brightness i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20220366832A1 (en) Operation method for gamma voltage according to display area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AU2017266815A1 (en) Operating method for display corresponding to luminance, driv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127332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ource driving of pixel on basis of characteristics of image, and image output method using electronic device
KR20210093671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7274A (ko)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96676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915629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189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00491A (ko)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459576B2 (en) Display apparatus and input method thereof
KR2023000850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368707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54176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27384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83719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40153468A1 (e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driver ic,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10027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15011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19918B2 (en) In-band tear detec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