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975A -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975A
KR20190066975A KR1020170166914A KR20170166914A KR20190066975A KR 20190066975 A KR20190066975 A KR 20190066975A KR 1020170166914 A KR1020170166914 A KR 1020170166914A KR 20170166914 A KR20170166914 A KR 20170166914A KR 20190066975 A KR20190066975 A KR 20190066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eturn roller
shaft
roll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695B1 (ko
Inventor
안영열
김기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6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6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 리턴롤러의 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가 회동하면서 리턴롤러의 각도를 변화시켜 벨트의 사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벨트가 사행되어 발생하는 벨트가 잘려나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는 ⅰ) 벨트를 지지하는 리턴롤러, ⅱ) 벨트의 측부와 맞닿는 가이드롤러 및 가이드롤러와 연결되고 구동힌지축을 매개로 회동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리턴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 ⅲ) 일측은 제1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은 리턴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제1 프레임의 회동시 리턴롤러의 회전축을 이동시켜 리턴롤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MEANDERING OF BELT CONVEYOR}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 설비는 제철소의 수송물을 각 공정 별로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벨트를 회전시키는 롤러부와 연결될 수 있다. 벨트컨베이어는 수송물의 상태, 주변설비, 수송물의 낙하 각도 등에 따라 편적이 진행되어 벨트의 사행 현상이 발생 될 수 있다.
벨트의 사행 현상이 지속될 경우, 벨트의 접힘 현상으로 인해 구조물과 과밀착되어 열화에 의한 화재발생위험이 생기게 될 뿐만 아니라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편마모가 발생되고 고질적 사행이 발생되어 벨트의 조기 교환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벨트의 사이드 부분이 구조물과 접촉될 경우 벨트 사이드가 순간적으로 잘려나가는 대형 설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벨트의 리턴부를 지지하는 브라켓과의 접촉 마찰이 지속되어 브라켓이 마모되므로 벨트의 손상을 가중시킬 수 있다.
종래의 벨트 조정장치는 벨트의 양측에 복수개의 롤러를 고정하였는데, 양측 롤러와 벨트가 밀착됨에 따라 벨트의 측면이 마모될 수 있어 조정 능력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양측 롤러는 벨트의 측면에 단순 위치하므로 벨트의 사행 정도에 맞게 벨트를 제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벨트 리턴롤러의 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가 회동하면서 리턴롤러의 각도를 변화시켜 벨트의 사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벨트가 사행되어 발생하는 벨트가 잘려나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는 ⅰ) 벨트를 지지하는 리턴롤러, ⅱ) 벨트의 측부와 맞닿는 가이드롤러 및 가이드롤러와 연결되고 구동힌지축을 매개로 회동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리턴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 ⅲ) 일측은 제1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은 리턴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제1 프레임의 회동시 리턴롤러의 회전축을 이동시켜 리턴롤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부는, 리턴롤러의 회전축의 일측이 삽입되는 축하우징, 축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하는 이동부재, 이동부재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프레임의 회동시 축하우징이 이동되는 가이드부, 축하우징의 일측과 연결되고 축하우징의 이동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는, 리턴롤러의 회전축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력을 인가할 수 있다. 조정부는, 가이드부에 설치되는 고정판, 고정판의 일측에 위치하고 축하우징과 탄성부를 연결하는 크랭크핀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는, 고정판에 삽입되는 스프링축, 스프링축 선단과 고정판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는, 축하우징의 이동시 스프링축이 축하우징을 따라 이동하고 스프링의 일측이 고정판과 맞닿아 압축될 수 있다.
리턴롤러의 회전축의 타측과 연결되고 제1 프레임의 회동시 변환힌지축을 매개로 회동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부는, 리턴롤러의 회전축의 타측이 삽입되는 변환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가 일측으로 사행되어 가이드롤러와 맞닿을 경우 구동부가 회동하면서 리턴롤러의 회전축을 이동시켜 벨트를 타측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벨트의 사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벨트의 사이드 부분이 구조물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벨트의 절단 현상이나 구조물의 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벨트의 사행 현상에 따른 벨트 구조물 사고를 방지하고, 벨트 작업의 안정화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의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는 구동부(10), 조정부(20), 변환부(30), 리턴롤러(R), 벨트(B) 그리고 본체프레임(F)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B)는 리턴롤러(R)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리턴롤러(R)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B)는 리턴롤러(R)의 상부에서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본체프레임(F)은 리턴롤러(R)의 양단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부(10)는 리턴롤러(R)의 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10)는 가이드롤러(11), 구동힌지축(12) 그리고 제1 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11)는 벨트(B)의 측부와 맞닿을 수 있다. 제1 프레임(13)은 가이드롤러(1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3)은 구동힌지축(12)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다. 조정부(20)의 일측은 제1 프레임(13)과 연결될 수 있다. 조정부(20)의 타측은 리턴롤러(R)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벨트(B)에 사행 현상이 발생될 경우, 벨트(B)의 측면은 가이드롤러(11)와 맞닿으며 가이드롤러(11)에 힘을 가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11)와 연결된 제1 프레임(13)은 사행된 벨트(B)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구동힌지축(1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조정부(20)는 제1 프레임(13)의 회동시 리턴롤러(R)의 회전축을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리턴롤러(R)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벨트(B)의 사행 현상을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벨트는 수송물의 상태, 수송물의 낙하 지점, 설비 조건 등에 따라 편적이 발생될 수 있다. 벨트의 편적 현상이 지속될 경우 벨트가 롤러의 일측으로 쏠리는 사행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사행 현상은 벨트가 구조물과 과밀착되어 벨트의 길이 방향으로 편마모가 발생할 수 있어 벨트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벨트의 사이드 부분이 구조물과 접촉될 경우 벨트가 잘려나가는 설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는 벨트(B)가 화살표 방향으로 사행될 경우, 구동부(10) 및 조정부(20)를 이용하여 리턴롤러(R)의 회전축을 이동시켜 리턴롤러(R)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각도 조절에 따라 리턴롤러(R)가 일직선 상태에서 대각선 상태가 되면 우측으로 밀리던 벨트(B)가 다시 좌측으로 유도될 수 있으므로, 벨트(B)의 사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는 벨트(B)의 절단 현상이나 구조물의 마모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의 구동부(10) 및 조정부(2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10)는 가이드롤러(11), 구동힌지축(12) 그리고 제1 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11)는 벨트(B)와 맞닿을 수 있으므로, 내마모성이 높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11)의 하측 단부는 제2 프레임(14)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4)은 리턴롤러(R)의 회전축이 뻗은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뻗으며 제1 프레임(1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3)은 제2 프레임(14)과 볼팅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11)와 제1 프레임(13)은 제2 프레임(14)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므로 구조적 안전성이 높아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3)은 제2 프레임(14)과 수직인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제1 프레임(13)은 구동힌지축(12)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3)은 일측은 제2 프레임(14)과 연결되고 타측은 x축 방향으로 뻗으며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3)은 디귿자 형상을 가지며 본체프레임(F)을 감싸며 위치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3)은 조정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조정부(20)는 가이드부(21), 축하우징(23), 탄성부(24), 고정판(25), 그리고 크랭크핀(29)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1)는 본체프레임(F)의 단부와 연결된 플레이트(P)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1)는 축하우징(23)의 y축 방향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축하우징(23)이 y축 방향 선상을 이탈하지 않고 직선으로 전후진 할 수 있다. 가이드부(21)는 레일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축하우징(23)은 리턴롤러(R)의 회전축이 삽입될 수 있다. 축하우징(23)은 가이드부(21)를 따라 y축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다. 축하우징(23)은 연결판(231)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231)의 일측은 축하우징과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제1 프레임(13)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판(231)의 타측은 크랭크핀(29)을 통해 탄성부(24)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24)는 스프링(26), 스프링축(27), 조절볼트(28)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축(27)은 고정판(25)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축(27)은 크랭크핀(29)을 통해 연결판(231)과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26)은 스프링축(27)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26)의 일측은 고정판(25)과 맞닿고 타측은 조절볼트(28)와 맞닿을 수 있다. 조절볼트(28)는 스프링(26)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벨트(B)에 사행 현상이 발생될 경우, 가이드롤러(11)는 벨트(B)의 측면 맞닿으며 벨트(B)의 사행 정도에 따른 힘을 받을 수 있다. 가이드롤러(11)와 연결된 제1 프레임(13)은 벨트(B)의 사행에 따라 구동힌지축(12)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3)이 회동하면, 제1 프레임(13)과 연결된 축하우징(23)이 가이드부(21)를 따라 -y축 방향으로 전진되고, 축하우징(23)에 삽입된 리턴롤러(R)의 회전축도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리턴롤러(R)의 회전축이 일직선 상태에서 대각선 상태로 조정될 수 있으므로 우측으로 밀리던 벨트(B)는 다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벨트(B)의 사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는 가이드롤러(11)와 접촉된 벨트(B)의 사행 정도에 대응하여 축하우징(23)에 삽입된 리턴롤러(R)의 회전축의 이동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리턴롤러(R)의 회전축의 이동량에 따라 리턴롤러(R)의 각도가 조정될 수 있으므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는 벨트(B)의 사행량에 맞추어 사행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사행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력 제공의 부수적인 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성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한 조정력에 따른 벨트(B)의 반대편 사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벨트(B)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되는 편마모를 줄일 수 있다.
도 3은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의 조정부(2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부(20)는 가이드부(21), 이동부재(22a, 22b) 축하우징(23), 탄성부(24) 그리고 크랭크핀(29)을 포함할 수 있다. 크랭크핀(29)은 한 쌍의 결합핀(291a, 291b)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핀(291a, 291b)은 크랭크핀(29)의 하부에 상호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24)는 리턴롤러(R)의 회전축이 대각선 상태에서 일직선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력을 인가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부재(22a, 22b)는 축하우징(2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부재(22a, 22b)는 상호 이격하며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부재(22a, 22b)가 상호 이격된 이격부에는 가이드부(21)가 위치할 수 있다. 축하우징(23)은 전후진시, 한 쌍의 이동부재(22a, 22b)를 통해 가이드부(21)를 이탈하지 않고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축하우징(23)은 연결판(231) 및 연결공(23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231)은 축하우징(23)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판(231)은 축하우징(23)의 외주연을 감싸며 위치할 수 있으므로, 축하우징(23)의 구조적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연결판(231)의 타측은 연결공(23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축(27)은 일측 단부에 관통공(271)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공(232)에는 결합핀(291a)이 삽입될 수 있다. 관통공(271)에는 결합핀(291b)이 삽입될 수 있다. 축하우징(23)과 스프링축(27)은 크랭크핀(29)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므로, 축하우징(23)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스프링축(27)도 전후진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의 변환부(3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부(30)는 변환하우징(31), 변환힌지축(32), 변환프레임(33)을 포함할 수 있다. 변환하우징(31)은 리턴롤러(R)의 회전축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다. 변환하우징(31)은 변환힌지축(32)을 매개로 화살표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다. 변환힌지축(32)은 본체프레임(F)에 삽입될 수 있다.
변환프레임(33)은 변환하우징(31)과 변환힌지축(32)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변환프레임(33)의 일측은 변환힌지축(32)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변환하우징(31)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변환프레임(33)은 상호 직교 방향으로 뻗는 변환하우징(31)과 변환힌지축(32)을 연결하므로, 니은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변환부(30)는 리턴롤러(R)의 회전축의 일측과 연결된 제1 프레임(13)이 회동하면 변환힌지축(32)을 매개로 회동할 수 있다. 변환부(30)는 축하우징(23)에 삽입된 리턴롤러(R)의 회전축이 제1 프레임(13)의 회동에 의해 전진 할 경우, 리턴롤러(R)의 변환 각도에 따라 동시에 회동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벨트(B)가 일측으로 사행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구동부(10)와 조정부(20)를 통해 사행된 벨트(B)를 제어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B)가 화살표 방향에 따라 우측으로 사행될 경우, 벨트(B)의 측면은 가이드롤러(11)와 맞닿고, 벨트(B)의 사행 정도에 따라 가이드롤러(11)를 회동시킬 수 있다. 제1 프레임(13)은 구동힌지축(12)을 매개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 프레임(13)과 연결된 축하우징(23)이 가이드부(21)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축하우징(23)이 가이드부(21)를 따라 이동한 이동량은 벨트(B)의 사행량과 대응할 수 있다.
리턴롤러(R)의 회전축은 축하우징(23)에 삽입되므로, 축하우징(23)의 이동에 따라 리턴롤러(R)는 일직선에서 대각선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 때, 리턴롤러(R)의 대각선 각도는 벨트(B)의 사행된 정도에 대응 할 수 있다. 리턴롤러(R)는 일직선에서 대각선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우측으로 사행된 벨트(B)는 다시 좌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변환하우징(31)은 제1 프레임(13)의 회동에 따라 동시에 회동각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B)는 리턴롤러(R)의 대각선 각도에 따라 우측으로 사행된 만큼 좌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리턴롤러(R)의 중앙부로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축하우징(23)이 다시 화살표 방향을 따라 복귀되고, 축하우징(23)과 연결된 제1 프레임(13)도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동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벨트(B)가 일측으로 사행된 상태의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를 y축을 중심으로 대칭시켜 벨트(B)가 타측으로 사행된 상태의 또다른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는 구동부(10) 및 조정부(20)를 이용하여 벨트(B)의 사행 정도만큼 리턴롤러(R)의 대각선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행된 벨트(B)를 다시 리턴롤러(R)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는 사행된 벨트의 접힘 현상으로 인한 과밀착 현상 및 열화에 의한 화재발생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벨트 구조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벨트 작업의 안정화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1)는 리턴롤러(R)의 양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리턴롤러(R)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구동부 11. 가이드롤러
12. 구동힌지축 13. 제1 프레임
14. 제2 프레임 20. 조정부
21. 가이드부 22. 이동부재
23. 축하우징 24. 탄성부
25. 고정판 26. 스프링
27. 스프링축 28. 조절볼트
29. 크랭크핀 30. 변환부
31. 변환하우징 32. 변환힌지축
33. 변환프레임 231. 연결판
232. 연결공 271. 관통공

Claims (8)

  1. 벨트를 지지하는 리턴롤러,
    상기 벨트의 측부와 맞닿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와 연결되고 구동힌지축을 매개로 회동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리턴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
    일측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리턴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회동시 상기 리턴롤러의 회전축을 이동시켜 상기 리턴롤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정부
    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리턴롤러의 회전축의 일측이 삽입되는 축하우징, 상기 축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회동시 상기 축하우징이 이동되는 가이드부, 상기 축하우징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축하우징의 이동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리턴롤러의 회전축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력을 인가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축하우징과 상기 탄성부를 연결하는 크랭크핀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판에 삽입되는 스프링축, 상기 스프링축 선단과 상기 고정판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축하우징의 이동시 상기 스프링축이 상기 축하우징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상기 고정판과 맞닿아 압축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롤러의 회전축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회동시 변환힌지축을 매개로 회동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리턴롤러의 회전축의 타측이 삽입되는 변환하우징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KR1020170166914A 2017-12-06 2017-12-06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KR102042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914A KR102042695B1 (ko) 2017-12-06 2017-12-06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914A KR102042695B1 (ko) 2017-12-06 2017-12-06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975A true KR20190066975A (ko) 2019-06-14
KR102042695B1 KR102042695B1 (ko) 2019-11-08

Family

ID=66846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914A KR102042695B1 (ko) 2017-12-06 2017-12-06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6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42A (ko) * 2019-06-26 2021-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장력 조정 장치
CN114408474A (zh) * 2022-01-21 2022-04-29 惠州得三重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半自动夹线皮带机用防皮带跑偏校正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616B1 (ko) * 2010-12-03 2012-12-03 주식회사 금산중공업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20130125011A (ko) *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 사행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616B1 (ko) * 2010-12-03 2012-12-03 주식회사 금산중공업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20130125011A (ko) *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 사행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842A (ko) * 2019-06-26 2021-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장력 조정 장치
CN114408474A (zh) * 2022-01-21 2022-04-29 惠州得三重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半自动夹线皮带机用防皮带跑偏校正装置
CN114408474B (zh) * 2022-01-21 2024-09-10 惠州得三重工业科技有限公司 一种半自动夹线皮带机用防皮带跑偏校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695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709B2 (en) Guidance unit for conveyor belt
US7896765B2 (en) Belt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RU2276654C2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вейерной ленты
US20080152465A1 (en) Transportation apparatus and tension adjustment method of belt in the same
KR20190066975A (ko)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 사행 제어 장치
KR100301712B1 (ko) 밸트이동교정부재를갖는밸트구동장치
US10258511B2 (en) Folding device and folding method using same
KR102679347B1 (ko)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및 기판 턴오버 머신
US20160268151A1 (en) Fixture for conveying mask plate
KR20200118485A (ko)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및 기판 턴오버 머신
JPH05254702A (ja) ウェブ誘導機構
KR101967932B1 (ko) 기판 반송 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WO2020140629A1 (zh) 皮带输送机
KR102679348B1 (ko) 기판 턴오버 머신 조립체 및 기판 턴오버 머신
KR100923476B1 (ko) 가요성 평면재로서 회로기판을 운반하는 장치
US2797794A (en) Conveyor belt guide
JP2003054725A (ja) 物品の搬送装置
KR20120067239A (ko) 벨트를 이용한 단축로봇
KR101156063B1 (ko) 듀얼 레인 컨베이어의 폭 조절 구조
CN110026927A (zh) 屏体位置的校正装置
US4369878A (en) Conveyor belt tracking
KR101399878B1 (ko) 압연용 측면가이드 장치
JP2003040415A (ja) 基板搬送装置
KR101611862B1 (ko) 캐터필러 체인 구동장치
KR100707859B1 (ko) 레이저 가공 장치의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