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596A -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596A
KR20190065596A KR1020170164910A KR20170164910A KR20190065596A KR 20190065596 A KR20190065596 A KR 20190065596A KR 1020170164910 A KR1020170164910 A KR 1020170164910A KR 20170164910 A KR20170164910 A KR 20170164910A KR 20190065596 A KR20190065596 A KR 20190065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preventing
handle
frame
draw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870B1 (ko
Inventor
박현성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7016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8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6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3/48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or cov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차단기 본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가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설치되어 진퇴되는 차단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결되는 회전 방지 부재 및 상기 회전 방지 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이송 핸들에 결합되는 핸들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프레임과 상기 회전 방지 부재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회전 방지 돌기와 회전 방지홈이 구비되는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Draw-in and draw-out device of circuit braker}
본 발명은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차단기는 정상부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진공인터럽터(VI, Vaccum Interrupter)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회로 및 기기 보호용 기기이다.
이러한 진공차단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과, 크래들에 대해 인출입 가능한 인출입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인출입 위치에 따라 차단기 본체의 단자에 연결되는 단자를 구비하는 크래들과, 상기 크레들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기본체를 인출입 동작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송유닛에는 차단기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가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이송스크류의 전단에는 핸들결합부가 마련되며, 사용자는 이송핸들을 핸들결합부에 체결하여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단기 본체를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인출입 핸들로 인출입 조작시 종료지점에 도착하였음에도 계속 힘을 가하여 더 인입하려 하는 경우를 대비해 변형이 없도록 불필요한 구조 강도를 보유해야 하며 또한, 그러한 조작 후 비뚤어진 핸들 접속구로 인해 다음 인출입 조작시 인출입 핸들 접속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04430호
인출입 조작시 과도한 조작 과정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핸들 결합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는 차단기 본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가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설치되어 진퇴되는 차단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결되는 회전 방지 부재 및 상기 회전 방지 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이송 핸들에 결합되는 핸들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프레임과 상기 회전 방지 부재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회전 방지 돌기와 회전 방지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 프레임에는 상기 회전 방지 부재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회전 방지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방지 부재에는 상기 회전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회전 방지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방지 돌기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 방지홈은 상기 회전 방지 돌기에 대응되도록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 방지 돌기는 상기 차단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 방지홈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방지 돌기는 상기 차단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인접 배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 방지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이송 핸들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 핸들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되는 안내돌기에 대응되는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인출입 조작시 과도한 조작 과정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핸들 결합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100)는 차단기 본체(10)를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차단기 본체(10)는 진공인터럽터(미도시)와, 상기 진공인터럽터에 구비된 고정도체(미도시)와 가동도체(미도시) 각각에 연결되는 단자(미도시)와, 상기 가동도체를 가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기 본체(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인출입형 진공차단기에 포함되는 다양한 형태의 차단기 본체(1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100)는 일예로서, 이송스크류(110), 고정 프레임(120), 차단 프레임(130), 회전 방지 부재(140), 핸들 결합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110)는 차단기 본체(10)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차단기 본체(10)는 다양한 기계적 구성을 통해 이송스크류(110)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인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스크류(110)는 고정 프레임(120)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고정 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20)에는 이송스크류(11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차단기 본체(10)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고정 프레임(120)에는 이송스크류(110)와 나란히 배치되어 차단기 본체(10)의 인출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 프레임(120)의 전면에는 이송 핸들(102)이 관통되는 관통홀(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홀(124) 내에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126)가 고정 프레임(12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송 핸들(102)에는 상기 안내돌기(126)에 대응되는 안내홈(102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송 핸들(102)이 일정한 방향으로 고정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핸들 결합부재(15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차단 프레임(130)은 탄성부재(104)를 매개로 하여 고정 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 프레임(130)은 이송 핸들(102)에 의해 진퇴될 수 있다.
한편, 차단 프레임(130)은 이송 핸들(102) 및 핸들 결합부(150)가 통과할 수 있는 연통홀(131a)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131) 및 회전 방지 부재(140)가 통과할 수 있는 설치홀(132a)이 형성되는 제2 프레임(1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핸들(102)이 차단 프레임(130)을 후방으로 누르는 경우에, 차단 프레임(130)은 이송 핸들(102)에 의해 밀려서 후퇴되고, 이 때 차단 프레임(13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핸들 결합부(150)에 이송 핸들(102)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이송 핸들(102)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경우 차단 프레임(130)은 탄성부재(104)에 의해 핸들 결합부(150)의 전방으로 원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132)에는 회전 방지 돌기(134)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 방지 돌기(134)는 차단 프레임(130)이 후퇴하는 경우 회전 방지 부재(140)로부터 이탈되어 회전 방지 부재(140)가 회전될 수 있다.
일예로서, 회전 방지 돌기(134)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회전 방지 돌기(134)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차단 프레임(130)이 탄성부재(104)에 의해 전진하는 경우 회전 방지 돌기(134)는 회전 방지 부재(140)에 결합되어 회전 방지 부재(1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 프레임(130)이 원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회전 방지 돌기(134)에 의해 회전 방지 부재(140)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외력에 의해 핸들 결합부(15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방지 부재(140)는 고정 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송 스크류(110)에 연결된다. 회전 방지 부재(140)에는 차단 프레임(130)의 회전 방지 돌기(134)가 결합되는 회전 방지홈(142)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 방지 부재(1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회전 방지홈(142)은 회전 방지 돌기(134)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예로서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방지 돌기(134)가 회전 방지홈(142)에 삽입된 위치에서만 차단 프레임(130)이 탄성부재(104)에 의해 후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출입 종료지점에서 인입을 더 하기 위해 과다한 회전 조작력을 적용했다 하더라도 이송 핸들(102)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회전 방지 돌기(134)가 회전 방지홈(14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회전 방지 부재(140)를 복귀시켜야만 이송 핸들(102)을 제거할 수 있다.
결국, 차단기 본체(10)의 입출 시 핸들 결합부재(15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과도한 조작 과정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핸들 결합부재(150)는 회전 방지 부재(140)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이송 핸들(102)에 결합된다. 즉, 사용자가 이송 핸들(102)을 핸들 결합부재(150)에 결합하여 회전시키는 경우 이송 스크류(110)가 회전되어 차단기 본체(10)가 입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 결합부재(150)는 회전 방지 부재(140)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간략하게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이송 핸들(102)이 핸들 결합부재(150)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 프레임(130)은 탄성부재(104)에 의해 고정 프레임(120)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이때, 차단 프레임(130)은 회전 방지 부재(140)의 전방에 배치되며, 핸들 결합부재(150)는 제1,2 프레임(131,132)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차단 프레임(130)의 회전 방지 돌기(134)는 회전 방지 부재(140)의 회전 방지홈(142)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회전 방지 부재(14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핸들(102)이 핸들 결합부재(150)에 결합되는 경우 이송 핸들(102)에 의해 차단 프레임(130)이 고정 프레임(120) 측으로 후퇴된다.
이때, 회전 방지 부재(140)가 제1,2 프레임(131,132)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 핸들(102)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차단 프레임(130)이 후퇴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차단 프레임(130)의 회전 방지 돌기(134)는 회전 방지 부재(140)의 회전 방지홈(142)을 통해 이동된다.
이후, 이송 핸들(102)를 회전시켜 차단기 본체(10)를 이동시킬 때 인출입 종료지점에서 인입을 더 하기 위해 과다한 회전 조작력을 적용했다 하더라도 이송 핸들(102)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회전 방지 돌기(134)가 회전 방지홈(14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회전 방지 부재(140)를 복귀시켜야만 이송 핸들(102)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 본체(10)의 입출 시 핸들 결합부재(15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과도한 조작 과정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출입 조작시 과도한 조작 과정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핸들 결합부(15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110 : 이송스크류
120 : 고정 프레임
130 : 차단 프레임
140 : 회전 방지 부재
150 : 핸들 결합부재

Claims (7)

  1. 차단기 본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 스크류가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에 탄성부재를 매개로 설치되어 진퇴되는 차단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결되는 회전 방지 부재; 및
    상기 회전 방지 부재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이송 핸들에 결합되는 핸들 결합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프레임과 상기 회전 방지 부재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회전 방지 돌기와 회전 방지홈이 구비되는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프레임에는 상기 회전 방지 부재 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회전 방지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 방지 부재에는 상기 회전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회전 방지홈이 구비되는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돌기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 방지홈은 상기 회전 방지 돌기에 대응되도록 반원 형상을 가지는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돌기는 상기 차단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 방지홈에 삽입 배치되는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돌기는 상기 차단 프레임이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인접 배치되는 경우 상기 회전 방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이송 핸들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돌기가 구비되는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핸들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구비되는 안내돌기에 대응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KR1020170164910A 2017-12-04 2017-12-04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KR10201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910A KR102018870B1 (ko) 2017-12-04 2017-12-04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910A KR102018870B1 (ko) 2017-12-04 2017-12-04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596A true KR20190065596A (ko) 2019-06-12
KR102018870B1 KR102018870B1 (ko) 2019-09-06

Family

ID=6684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910A KR102018870B1 (ko) 2017-12-04 2017-12-04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070B1 (ko) 2020-03-02 2022-01-14 주식회사 포스코 차단기 인출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640A (ko) * 2009-06-25 2010-12-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방지장치
KR101604281B1 (ko) * 2014-01-28 2016-03-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접지대차
KR101704430B1 (ko) 2014-11-26 2017-0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640A (ko) * 2009-06-25 2010-12-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방지장치
KR101604281B1 (ko) * 2014-01-28 2016-03-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접지대차
KR101704430B1 (ko) 2014-11-26 2017-0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870B1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7852B1 (en) Device for preventing withdrawing and inserting of a circuit breaker
KR100505052B1 (ko)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인입출 장치
US9685282B2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20190065596A (ko) 차단기용 인출입 장치
KR101697582B1 (ko) 진공차단기 인입출 핸들 가이드 장치
KR20180035079A (ko) 배전반 내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US10811209B2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KR101669907B1 (ko) 진공차단기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10170443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CN101557692B (zh) 一种拉手条组件结构
CN211350528U (zh) 插入式断路器
KR101701816B1 (ko)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US10665408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maintaining system therefor, and associated maintaining method
KR200152572Y1 (ko) 고압전류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KR20110010169U (ko) 진공차단기의 3-포지션 인출입장치
CN111477513A (zh) 插入式断路器
KR200196957Y1 (ko) 진공차단기의 포지션 록장치
KR20160090686A (ko) 차단기 인출 방지 장치를 갖는 이송장치
KR100430223B1 (ko) 인출형 차단기
KR101700576B1 (ko) 회로차단기
KR20100019044A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멀티 배전반
US11476646B2 (en) Retracting and extending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with interlock module
KR100954558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배전반
KR19990037647U (ko) 배전반 기기유니트의 인입인출장치
KR20020092537A (ko) 진공차단기의 대차부 인입,출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