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978A -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호스 커플링 - Google Patents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호스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978A
KR20190062978A KR1020170161696A KR20170161696A KR20190062978A KR 20190062978 A KR20190062978 A KR 20190062978A KR 1020170161696 A KR1020170161696 A KR 1020170161696A KR 20170161696 A KR20170161696 A KR 20170161696A KR 20190062978 A KR20190062978 A KR 20190062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hose coupling
movable
ma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열
양현모
Original Assignee
(주)씨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씨티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6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2978A/ko
Publication of KR2019006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 F16L37/4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only one of the two pipe-end fittings with a lift valve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hooks hinged about 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hooks hinged about an axis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커플링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호스 커플링은, 호스 커플링에 있어서, 제1호스에 연결된 암 호스 커플링; 및 제2호스에 연결된 수 호스 커필링을 포함하고, 암 호스 커플링과 수 호스 커플링의 연결에 의해 제1호스와 제2호스는 서로 연결되어 제1호스의 고압공기가 제2호스에게 전달되고, 암 호스 커플링은, 제1호스와 연결된 고정프레임부; 고정프레임부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압공기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고압공기를 오픈시키는 오픈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가동밸브몸체; 고정프레임부와 가동밸브몸체 사이에 연결된 제1스프링; 가동밸브몸체의 내경부에 설치된 선단밀착부; 고정프레임부의 외경에 위치하는 이동슬리브부; 이동슬리브부와 고정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제2스프링; 및 이동선단부, 힌지부, 돌출부 및 후단고정부를 가지는 가동폴을 포함하고, 수 호스 커플링은, 제2호스와 연결된 수 호스 고정부; 및 수 호스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선단부, 돌출부 및 오목고정부를 가지는 수 호스 커플링몸체를 포함하고, 수 호스 커플링의 선단부가 가동밸브몸체의 선단밀착부를 밀어서 가동밸브몸체가 오픈위치로 이동하면 가동폴의 이동선단부는 이동슬리브부를 일정거리 이동시킨 후 제2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위치하며, 가동폴의 후단고정부는 수 호스커플링의 오목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호스 커플링 {A horse coupling for transferring comprerssed air}
본 발명은 자동차, 조선, 철강, 전자, 화학 산업의 생산라인에서 사용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전달하는 고압호스를 서로 연결하는 호스 커플링에 관한 발명이다.
자동차, 조선, 전자 등의 생산라인에는 고압의 에어공구 혹은 자동조립 공구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생산라인에 사용하는 고압의 공기라인은 라인의 용도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필요한 작업자에게 필요한 공기압력을 적절한 호스 길이별로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통상의 호스 커플링은 제1호스에 연결된 암호스 커플링(Female Horse Coupling)과 제2호스가 연결된 수호스 커플링(Male Horse Coupling)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채택한다.
이때, 종래의 호스 커플링은 암호스 커플링(Female Horse Coupling)과 수호스 커플링(Male Horse Coupling)이 서로 불완전하게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가 누출이 발생하거나, 두 개의 호스 커플링을 작업자가 분리할 때 고압공기의 차단 및 분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부주의로 호스 커플링이 바닥에 떨어져서 손상을 입는 문제점이 발생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호스에 연결된 암호스 커플링(Female Horse Coupling)과 제2호스가 연결된 수호스 커플링(Male Horse Coupling)이 서로 연결되면, 즉시 고압의 공기가 누출 없이 즉시 연결되도록 하고, 두 개의 커플링을 분리할 때 고압의 차단 및 호스 커플링의 분리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한 고압의 차단 및 분리가 가능한 호스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스 커플링에 있어서, 제1호스에 연결된 암 호스 커플링; 및 제2호스에 연결된 수 호스 커필링을 포함하고, 상기 암 호스 커플링과 상기 수 호스 커플링의 연결에 의해 상기 제1호스와 상기 제2호스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호스의 고압공기가 상기 제2호스에게 전달되고, 상기 암 호스 커플링은, 상기 제1호스와 연결된 고정프레임부;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압공기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고압공기를 오픈시키는 오픈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가동밸브몸체; 상기 고정프레임부와 상기 가동밸브몸체 사이에 연결된 제1스프링; 상기 가동밸브몸체의 내경부에 설치된 선단밀착부;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외경에 위치하는 이동슬리브부; 상기 이동슬리브부와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제2스프링; 및 이동선단부, 힌지부, 돌출부 및 후단고정부를 가지는 가동폴을 포함하고, 상기 수 호스 커플링은, 상기 제2호스와 연결된 호스고정부; 및 상기 호스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선단부, 돌출부 및 오목고정부를 가지는 수 호스 커플링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 호스 커플링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가동밸브몸체의 상기 선단밀착부를 밀어서 상기 가동밸브몸체가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오픈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가동폴의 이동선단부는 상기 이동슬리브부를 일정거리 이동시킨 후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위치하며, 상기 가동폴의 후단고정부는 수 호스커플링의 상기 오목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 호스 커플링과 상기 수 호스 커플링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슬리브부를 이동시키면, 상기 가동폴의 힌지동작으로 상기 가동밸브몸체는 상기 오픈위치에서 상기 차단위치로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고압의 공기는 차단되나, 상기 가동폴의 후단고정부는 상기 수 호스 커플링몸체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수호스 커플링은 상기 암 호스 커플링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커플링을 분리 할 때는 먼저 고압을 차단하고 이동슬리브부가 원위?기 전에는 분리되지 않도록 가압한다.
상기 이동슬리브부가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하면 상기 가동폴의 후단고정부는 상기 호스 커플링의 돌출부와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수 호스커플링은 상기 암 호스 커플링으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져 고압의 차단 및 분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의 분리동작은 먼저 고압을 차단하고 이후에 분리하도록 하여 고압 차단 시 복귀하는 스프링의 힘으로 수호스 커플링이 바닥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라인에 자유로운 길이의 고압 호스라인을 공급가능하며, 특히 두 개의 호스 커플링을 연결하면 즉시 고압의 공기가 누출 없이 공급되며, 두 개의 호스 커플링을 해제하면 첫 번째 단계는 고압의 해제를 수행하고 두 번째 단계는 두 개의 호스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한 분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이 완전히 결합하기 전에 가동밸브몸체가 차단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이 완전히 결합하여 가동밸브몸체가 오픈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이 완전히 결합하기 전으로서 가동밸브몸체가 차단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가동폴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이 완전히 결합하기 직전 가동밸브몸체가 오픈위치 근방으로 이동하고 가동폴이 회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이 완전히 결합하여 가동밸브몸체가 오픈위치로 완전히 이동하고 가동폴이 수호스 커플링 몸체를 락킹하고 이동슬리브가 원위치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이 결합한 상태에서 이동슬리브를 조작하여 가동폴의 락킹을 해제하고 가동밸브몸체가 제1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위치한 상태에서 가동폴의 후단고정부가 수호스 커플링몸체의 돌출부를 가압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이동슬리브의 파지를 해제하면 제2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이동슬리브가 원위치하고 가동폴이 힌지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여 수호스 커플링몸체의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암호스 커플링으로부터 수호스 커플링을 완전히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이 완전히 결합하기 전에 가동밸브몸체가 차단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암호스 커플링(100)은, 제1고압호스(10), 가동밸브몸체(20), 고정프레임(30), 이동슬리브(40), 후단캡(50), 가동폴(60, 도3), 제1압축스프링(70), 제2압축스프링(80) 및 접촉링(90)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프레임(30), 후단캡(50), 접촉링(90)은 고정프레임부로 명명한다.
수호스 커플링(200)은 수호스 커플링선단부(210), 돌출고정부(220), 오목고정부(230), 수호스커플링몸체(240), 호스고정부(250) 및 제2고압호스(26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도1은 수호스 커플링(200)의 선단부(210)가 암호스 커플링(100)의 구멍에 삽입하여 수호스 커플링 선단부(210)가 암호스 커플링(100)의 선단밀착부(26)에 접촉만 하고 삽입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암호스 커플링(100)의 가동밸브몸체(20)는 차단위치에 있고, 암호스 커플링(100)의 차단고무링(22)는 접촉링(90)의 격벽과 밀착하므로 제1고압호스(10)로부터 인가되는 고압의 공기는 수호스 커플링(200)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이 완전히 결합하여 가동밸브몸체가 오픈위치로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강한 압력을 수호스커플링(200)에 가하면, 수호스커플링선단부(210)는 가동밸브몸체(20)을 좌측으로 밀어서 제1압축스프링(70)의 탄성을 이기면서 좌측으로 전진하고, 결국 가동밸브몸체(20)의 차단고무링(22)은 접촉링(90)의 격벽에서 이탈하여, 제1고압호스(10)로부터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는 제2고압호스부(260)쪽으로 이동하여 고압의 공기는 서로 커플링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이 완전히 결합하기 전에 가동밸브몸체가 차단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가동폴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의 암호스 커플링(100) 및 수호스 커플링(200)은 기본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도 3은 도 1과 거의 같은 단면도이나, 도 3은 가동폴(60)이 있는 부분의 단면도 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암호스 커플링(100)은, 제1고압호스(10), 가동밸브몸체(20), 고정프레임(30), 이동슬리브(40), 후단캡(50), 가동폴(60), 제1압축스프링(70), 제2압축스프링(80) 및 접촉링(90)으로 이루어진다.
가동폴(60)은 선단에서 이동슬리브(40)을 이동시키는 이동선단부(62), 중앙의 힌지부(64), 후단의 후단고정부(66) 후단 상측의 돌출부(68)로 이루어진다.
수호스 커플링(200)은 수호스 커플링선단부(210), 돌출고정부(220), 오목고정부(230), 수호스커플링몸체(240), 호스고정부(250) 및 제2고압호스부로 이루어진다.
수호스 커플링(200)의 선단부(210)는 암호스 커플링(100)의 구멍에 삽입하여 수호스 커플링 선단부(210)가 암호스 커플링(100)의 선단밀착부(26)에 접촉만 하고 삽입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암호스 커플링(100)의 가동밸브몸체(20)는 차단위치에 있고, 암호스 커플링(100)의 차단고무링(22)은 접촉링(90)의 격벽과 밀착하므로 제1고압호스(10)으로부터 인가되는 고압의 공기는 수호스 커플링(200)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가동폴(60)은 힌지부(64)를 중심으로 아직 회동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자유롭게 수호스 커플링(200)은 암호스 커플링(100)의 구멍에 삽입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이 완전히 결합하기 직전 가동밸브몸체가 오픈위치 근방으로 이동하고 가동폴이 회동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3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강한 압력을 수호스 커플링(200)에 인가하면, 수호스커플링선단부(210)는 가동밸브몸체(20)을 좌측으로 밀어서 제1압축스프링(70)의 탄성을 이기면서 좌측으로 전진하고, 결국 가동밸브몸체(20)의 차단고무링(22)은 접촉링(90)의 격벽에서 이탈하여, 제1고압호스(10)로부터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는 제2고압호스부(260)쪽으로 이동하여 고압의 공기는 서로 커플링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 상태에서 가동폴(60)은 이동슬리브(40)를 좌측으로 함께 걸어서 이동시키고 고정프레임(30)에 설치된 제2위치결정부(32)에 도달하기 전에는 이동슬리브(40)는 원위치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이 완전히 결합하여 가동밸브몸체가 오픈위치로 완전히 이동하고 가동폴이 수호스커플링 몸체를 락킹하고 이동슬리브가 원위치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의 상태에서 수호스커플링(200)이 더 전진하면 가동밸브몸체(20)는 완전히 접촉링(90)을 이탈하고, 이때 가동폴(60)은 제2위치결정부(32) 위치에서 일순간 까딱하는 회동운동을 수행하도록 하여 이동슬리브(40)는 가동폴(60)의 선단(62)으로부터 이탈하고 제2압축스프링(80)의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가동폴(60)의 후단고정부66)는 수호스 커플링(200)의 오목고정부(230)에 결합하여 암호스 커플링(100) 및 수호스 커플링(200)의 커플링을 완성한다. 따라서, 고압의 공기는 제1고압호스(10)로부터 제2고압호스(260)로 전달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스 커플링과 수호스 커플링이 결합한 상태에서 이동슬리브를 조작하여 가동폴의 락킹을 해제하고 가동밸브몸체가 제1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위치한 상태에서 가동폴의 후단고정부가 수호스커플링몸체의 돌출부를 가압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작업자는 암호스 커플링(100)과 수호스 커플링(200)을 해제하기 위하여 이동슬리브(4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동슬리브(40)의 하측 돌출부는 가동폴(60)의 선단 돌출부(62)를 회동시키고, 가동폴(60)은 힌지(64)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동운동하여 가동폴(60)의 후단 고정부(66)는 수호스 커플링(200)의 오목고정부(230)를 이탈하고, 가동밸브몸체(20) 및 수호스 커플링(200) 전체는 제1압축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압공기 차단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가동폴(60)의 후단고정부(66)는 수호스 커플링(200)의 돌출고정부(220)를 가압하고, 가동폴(60)의 돌출부(68)는 여전히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의 이동슬리브(40)의 후측 하단 돌출부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도6의 경우에는 가동밸브몸체(20)의 복귀로 인하여 고압공기는 차단되나, 아직 수호스 커플링(200)은 암호스 커플링(100)에서 분리되지 못하도록 가압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은 사용자가 이동슬리브의 파지를 해제하면 제2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이동슬리브가 원위치하고 가동폴이 힌지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여 수호스커플링몸체의 가압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사용자가 이동슬리브(40)의 파지를 해제하면 이동슬리브(40)는 제2압축스프링(80)의 복원력으로 원위치로 복귀한다.
가동폴(60)은 이동슬리브(40)로부터 간섭 받지 않아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며, 가동폴(60)의 후단고정부(66)의 가압은 해제되고, 수호스 커플링(200)은 암호스 커플링(100)으로부터 자유롭게 이탈이 가능하다.
도 8은 사용자가 암호스 커플링으로부터 수호스 커플링을 완전히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작업자는 자유롭게 수호스 커플링(200)을 암호스 커플링(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가동폴을 개시하였다. 본원발명은 가동폴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동폴을 사용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수호스 커플링을 장착 후 해제하는 경우에 고압차단 및 분리해제를 두 단계로 분리하는 것이 본원발명의 넓은 개념이며 상기 실시예 외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원발명의 개념을 달성한다면 모두 본원발명에 포함된다.
100 : 암호스 커플링
10 : 제1고압호스
20 : 가동밸브몸체
22 : 차단고무링
24 : 공기흡입구멍부
26 : 선단밀착부
30 : 고정프레임
32 : 제2위치결정부
40 : 이동슬리브
42 : 이동슬리브접촉부
50 : 후단캡
60 : 가동폴
62 : 이동선단부
64 : 힌지부
66 : 후단고정부
68 : 돌출부
70 : 제1압축스프링
80 : 제2압축스프링
90 : 접촉링
200 : 수호스 커플링
210 : 수호스 커플링 선단부
220 : 돌출고정부
230 : 오목고정부
240 : 수호스 커플링 몸체
250 : 호스고정부
260 : 제2고압호스

Claims (3)

  1. 호스 커플링에 있어서,
    제1호스에 연결된 암 호스 커플링; 및
    제2호스에 연결된 수 호스 커필링을 포함하고, 상기 암 호스 커플링과 상기 수 호스 커플링의 연결에 의해 상기 제1호스와 상기 제2호스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호스의 고압공기가 상기 제2호스에게 전달되고,
    상기 암 호스 커플링은,
    상기 제1호스와 연결된 고정프레임부;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압공기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고압공기를 오픈시키는 오픈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가동밸브몸체;
    상기 고정프레임부와 상기 가동밸브몸체 사이에 연결된 제1스프링;
    상기 가동밸브몸체의 내경부에 설치된 선단밀착부;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외경에 위치하는 이동슬리브부;
    상기 이동슬리브부와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제2스프링; 및
    이동선단부, 힌지부, 돌출부 및 후단고정부를 가지는 가동폴을 포함하고,
    상기 수 호스 커플링은,
    상기 제2호스와 연결된 호스고정부; 및
    상기 호스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선단부, 돌출부 및 오목고정부를 가지는 수 호스 커플링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 호스 커플링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가동밸브몸체의 상기 선단밀착부를 밀어서 상기 가동밸브몸체가 상기 차단위치에서 상기 오픈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가동폴의 이동선단부는 상기 이동슬리브부를 일정거리 이동시킨 후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위치하며, 상기 가동폴의 후단고정부는 수 호스커플링의 상기 오목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호스 커플링과 상기 수 호스 커플링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슬리브부를 이동시키면, 상기 가동폴의 힌지동작으로 상기 가동밸브몸체는 상기 오픈위치에서 상기 차단위치로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고압의 공기는 차단되나,
    상기 가동폴의 후단고정부는 상기 수 호스 커플링몸체의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여 상기 수호스 커플링은 상기 암 호스 커플링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플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슬리브부가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하면 상기 가동폴의 후단고정부는 상기 호스 커플링의 돌출부와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수 호스커플링은 상기 암 호스 커플링으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져 고압의 차단 및 분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커플링.
KR1020170161696A 2017-11-29 2017-11-29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호스 커플링 KR20190062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696A KR20190062978A (ko) 2017-11-29 2017-11-29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호스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696A KR20190062978A (ko) 2017-11-29 2017-11-29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호스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978A true KR20190062978A (ko) 2019-06-07

Family

ID=6685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696A KR20190062978A (ko) 2017-11-29 2017-11-29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호스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29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8759A (zh) * 2020-07-20 2020-10-27 宁波源码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接头
KR20220048736A (ko)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피티엠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
KR20220048746A (ko)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피티엠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냉각오일 공급 동기 순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8759A (zh) * 2020-07-20 2020-10-27 宁波源码智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接头
KR20220048736A (ko)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피티엠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
KR20220048746A (ko) *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피티엠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냉각오일 공급 동기 순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4081B2 (en) Coaxial connector with quick locking and separating mechanism
US7673911B2 (en) Safety type quick connector
KR20190062978A (ko)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호스 커플링
US8833733B2 (en) Valve connections
US7926783B1 (en) Safety type quick release connector
US20130292591A1 (en) Quick-release coupling
JPH02225898A (ja) 加圧流体回路用自動結合器
KR20100126325A (ko) 관 조인트용 소켓 및 관 조인트
JP6618477B2 (ja) 流体搬送接続具
US9464742B2 (en) Socket and pipe fitting including same
US20170237201A1 (en) High-current plug with clip lock
CN111828761A (zh) 一种快速接头
JP3224262U (ja) 流体継手
KR101858164B1 (ko) 호스용 밸브 조립체
JPWO2009150739A1 (ja) 管継手
JP2001208268A (ja) 迅速継手のソケット
KR101940993B1 (ko) 분리방지 기능을 구비한 에어 커플러
KR102250122B1 (ko) 원터치 고압 커넥터
KR101277814B1 (ko)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US4844513A (en) Remotely operable quick connector for a coupling device
JP3114420U (ja) 管継手装置の開閉弁装置における自動逃し弁機構
CN108375455B (zh) 一种自动脱落密封接头、真空检漏装置及检测方法
KR101873245B1 (ko) 산불진화 호스용 연결구
CN218582565U (zh) 一种快速连接结构
EP2770207A1 (en) Automatic-switch nozzle head having two valve mouths and single-mouth nozzle h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