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946A - 냉온장고 - Google Patents

냉온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946A
KR20190062946A KR1020170161641A KR20170161641A KR20190062946A KR 20190062946 A KR20190062946 A KR 20190062946A KR 1020170161641 A KR1020170161641 A KR 1020170161641A KR 20170161641 A KR20170161641 A KR 20170161641A KR 20190062946 A KR20190062946 A KR 20190062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hermoelectric element
air guide
electrothermal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937B1 (ko
Inventor
오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937B1/ko
Priority to EP18207936.8A priority patent/EP3492842B1/en
Priority to EP20169413.0A priority patent/EP3708927B1/en
Priority to US16/201,350 priority patent/US11313604B2/en
Priority to CN201811444465.0A priority patent/CN109838956B/zh
Publication of KR20190062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05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combined with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6/00Devices using a combination of a cooling mode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with a cooling mode not associated with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1Control thereof
    • F25B2321/0211Control thereof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1Control thereof
    • F25B2321/0212Control thereof of electric power, current or vol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6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ld storage 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1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장고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열전소자와; 열전소자와 접촉되고 저장공간을 향하는 제1전열바디와; 열전소자와 접촉된 제2전열바디를 포함하고, 제1전열바디는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열전소자 보다 큰 전열케이스와; 밀폐공간에 수용된 상변화물질과; 밀폐공간에 위치되게 전열케이스에 내부에 형성된 전열바디를 포함하고, 제1전열바디는 열전소자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열전소자와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부을 갖고, 전열바디는 접촉부에서부터 비접촉부까지 연장되어, 저장공간 내의 온도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온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온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변화물질과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음식물 등을 보온할 수 있는 냉온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온장고는 보온 대상물을 보온하거나 보냉하여 저장하는 것으로서, 냉장고와 온장고의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이러한, 냉온장고는 보온 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 가능하고, 저장공간이 형성된 이너 용기와, 이너 용기와 이격된 아우터 용기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는 예가 가능하고, 저장공간이 형성된 이너 용기의 외면을 단열재로 감싸는 예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냉온장고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온 대상물의 온도 변화가 발생되고, 실질적으로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이 짧을 수 있다.
냉온장고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을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것도 가능하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51824 Y1(2001년11월22일 공고)에는 보온 대상물인 음료수를 적정 온도로 냉장할 수 있도록 한 냉장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냉장용기는 내부의 격판에 의해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으로 분할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제2수용공간에 장착되어 전기적 특성에 따라 에너지 수준요소가 변환하는 반도체로 이루어진 열전소자와; 열전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냉기를 축적하여 격판을 포함한 케이싱의 상반부에 제공하기 위한 축열부재와; 냉매가 충전된 2중벽을 갖고 제1수용공간내에 착탈 가능하며 음료수 등을 담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 음료수 수용통과; 격판을 통과하고 음료수 수용통에서 배출되는 음료수를 유도하는 유도관과; 유도관에 연결되어 음료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콕크가 개시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51824 Y1(2001년11월22일 공고)
종래 기술에 따른 냉온장고는 냉매가 충진된 2중벽을 갖는 음료수 수용통의 크기가 전열소자 보다 클 경우, 열 또는 냉기가 냉매 전체에 고루 전달되는데 장시간 소요될 수 있고, 2중벽 내에 충진된 전체 냉매의 온도가 균일해지는 동안 음료수 수용통 내부의 온도 편차가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저장공간 내의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냉온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열전소자와; 열전소자와 접촉되고 저장공간을 향하는 제1전열바디와; 열전소자와 접촉된 제2전열바디를 포함하고, 제1전열바디는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열전소자 보다 큰 전열케이스와; 밀폐공간에 수용된 상변화물질과; 밀폐공간에 위치되게 전열케이스에 내부에 형성된 전열바디를 포함하고, 제1전열바디는 열전소자와 접촉되는 접촉부 및 열전소자와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부을 갖고, 전열바디는 접촉부에서부터 비접촉부까지 연장된다.
전열바디는 복수개가 밀폐공간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열케이스는 저면이 열전소자를 향하는 로어 바디와; 상면이 저장공간을 향하는 어퍼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전열바디의 하단은 로어 바디와 연결될 수 있고, 전열바디의 상단은 어퍼 바디와 연결될 수 있다.
전열케이스는 로어 바디와 어퍼 바디를 연결하고 중공 형상의 연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전열바디는 연결 바디와 연결되는 연결단을 갖을 수 있다.
열전소자는 다각형 형상이고, 연결 바디는 중공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는 아우터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케이스에는 어퍼 바디가 상측 방향으로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에는 연결 바디가 면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냉온장고는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캡과;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저장공간을 내측의 이너 통로와, 외측의 아우터 통로로 구획하는 유로바디와; 유로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이너 통공이 형성된 순환팬 커버와; 순환팬 커버와 전열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순환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열바디는 전열케이스 상면에 형성되어 순환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핀은 전열케이스의 상면에서 순환팬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유로바디는 아우터 핀과 접촉될 수 있다.
유로바디는 상단이 캡과 이격되고 하단이 전열 케이스와 이격된 중공 원통일 수 있다.
순환팬 커버는 유로바디의 내부에 상기 아우터 핀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냉온장고는 전열케이스의 상부에 아우터 핀을 둘러싸게 배치된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아우터 통로를 향하는 아우터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는 전열 케이스의 상부에 중공 형상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아우터 에어가이드와; 아우터 에어가이드의 상부에 형성되고 아우터 통공이 형성된 어퍼 에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에는 유로바디의 하부가 삽입되는 유로바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통공은 유로바디 삽입공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순환팬 커버는 유로바디의 내부에 전열 케이스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의 이너 케이스에는 에어 가이드가 상측 방향으로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고, 에어 가이드가 면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냉온장고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된 팬 커버와, 팬 커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열바디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을 더 포함하고, 팬 커버는 팬의 둘레를 둘러싸는 아우터 커버와, 아우터 커버의 하부에 형성되고 팬의 아래에 위치하는 로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 커버와 로어 커버 각각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의 외둘레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전열바디 전체가 신속하게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고, 제1전열바디의 온도산포가 고른 상태에서 보온대상물을 보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열바디가 어퍼 바디를 지지하여 어퍼 바디가 밀폐 공간을 향해 휘거나 쳐지지 않게 지탱할 수 있고, 제1전열바디의 파손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열바디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각각으로 신속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로바디 및 순환팬이 저장공간 내부에 순환기류를 형성하여, 저장공간 내의 보온대상물을 보다 신속하게 보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전열바디에 형성된 아우터 핀이 제1전열바디와 저장공간의 열교환을 촉진시킬 수 있고, 저장공간 내부를 보다 신속하게 희망온도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와 제1전열바디 및 열전소자가 확대 도시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전열바디 내부가 도시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냉온장고는 케이스(1)(2)와, 열전소자(4)와, 제1전열바디(5)와, 제2전열바디(6)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의 내부에는 보온 또는 보냉을 희망하는 대상이 수용되어 저장되는 저장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공간(S1)에 저장되는 대상은 물이나 맥주 등의 음료가 담겨진 음료용기인 것이 가능하고, 과일이나 육류 등과 같은 음식물인 것도 가능하며, 액상의 음료인 것도 가능하고, 저장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 저장공간(S1)에 수용되는 대상을 보온대상물(C)로 칭하여 설명한다.
냉온장고는 열전소자(4)를 이용하여 보온대상물(C)을 냉각하거나 가열하면서 저장할 수 있는 냉온장고일 수 있다.
케이스(1)(2)는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열전달부재와, 열전달부재를 단열시키는 단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부재는 단열부재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2)는 다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전달성능이 높은 재질로 성형된 이너 케이스(1)와, 단열성능이 높은 재질로 성형된 아우터 케이스(2)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장공간(S1)은 이너 케이스(1)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는 아우터 케이스(2) 보다 열전달율이 높은 케이스일 수 있다.
이너 케이스(1)는 스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중공 통 형상일 수 있다. 이너 케이스(1)는 중공 원통 형상일 수 있고, 그 내부에 저장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는 그 상면 및 하면이 각각 개방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2)는 ABS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것이 가능하고, ABS 등의 합성수지와 단열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아우터 케이스(2)는 이너 케이스(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의 외둘레면을 둘러쌀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2)는 이너 케이스(1)과 같이, 중공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냉온장고는 저장공간(S1)을 개폐하는 캡(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3)은 케이스(1)에 연결되어 저장공간(S1)을 덮는 것이 가능하고, 케이스(1)에서 분리되어 저장공간(S1)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전소자(4; TEM: Thermoelement)는 펠티어 효과에 의한 흡열 또는 발열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금속을 결합하고 전류를 흐르게 하였을 때 서로 다른 금속의 양 단면에 온도 차가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열전소자(4)는 제1전열바디(5)와 제2전열바디(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전열바디(5)는 열전소자(4)의 일면과 접할 수 있고, 제2전열바디(6)는 열전소자(4)의 타면과 접할 수 있다.
제1전열바디(5)는 열전소자(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열전소자(4)는 제2전열바디(6)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열전소자(4)는 저온부(Cold side)와 고온부(Hot side)를 포함할 수 있고, 열전소자(4)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저온부와 고온부의 온도차가 결정될 수 있다.
열전소자(4)는 냉각 운전시, 고온부가 대략 35도일 때, 저온부가 5도일 수 있고, 인가되는 전압 조절에 의해 저온부를 보온에 적합한 55도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열전소자(4)는 히팅 운전시, 저온부가 대략 15도일 때, 고온부가 70도일 수 있고, 인가되는 전압 조절에 의해 고온부를 보냉에 적합한 12도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열전소자(4)는 제1전열바디(5)의 열을 흡열하여 제2전열바디(6)로 전달하거나, 제2전열바디(6)을 흡열하여 제1전열바디(5)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전열바디(5)가 히트 싱크이면 제2전열바디(6)가 냉각 플레이트이고, 반대로 제2전열바디(5)가 히트 싱크이면, 제1전열바디(5)가 냉각 플레이트일 수 있다.
열전소자(4)는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저온부와 고온부가 바뀔 수 있다.
열전소자(4)의 상면은 제1전열바디(5)와 접하는 제1전열면일 수 있고, 열전소자(4)의 하면은 제2전열바디(6)와 접하는 제2전열면일 수 있다.
제1전열면이 고온부이면, 제2전열면은 저온부일 수 있고, 반대로 제1전열면이 저온부이면, 제2전열면은 고온부일 수 있다.
열전소자(4)는 제1전열바디(5)의 열을 흡열하여 제2전열바디(6)로 전달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전열바디(5)는 저장공간(S1)이나 보온대상물의 열을 흡열하여 보온대상물(C)을 냉각하는 냉각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전열바디(5)가 냉각 플레이트일 경우, 제2전열바디(6)는 열전소자(4)의 열을 흡열하여 외부로 방열하는 히트 싱크일 수 있다.
반대로, 열전소자(4)는 제2전열바디(6)의 열을 흡열하여 제1전열바디(5)로 전달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전열바디(5)는 저장공간(S1)이나 보온대상물로 열을 방출하여 보온대상물(C)을 승온시키는 히트 싱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전열바디(5)가 히트 싱크일 경우, 제2전열바디(6)는 저장공간(S1) 외부의 열을 흡열하여 열전소자(4)로 전달하는 냉각 플레이트일 수 있다.
냉온장고는 열전소자(4)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단열재(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열바디(5)는 저장공간(S1)이나 보온대상물(C)을 직접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것으로서, 열전소자(4)의 열을 축열하여 저장공간(S1)이나 보온대상물(C)를 장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저장공간(S1)이나 보온대상물(C)의 열을 축열하면서 저장공간(S1)이나 보온대상물(C)를 장시간 동안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전열바디(6)는 열전소자(4)에 접촉되는 접촉판(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전열바디(6)는 접촉판(61)에서 열전소자(4)의 반대편 방향으로 돌출된 핀(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온장고는 제2전열바디(6)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온장고는 팬(7)을 보호하는 팬 커버(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 커버(8)는 팬(7)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아우터 커버(81)와, 아우터 커버(81)의 하부에 배치되고 팬(7)의 아래에 위치하는 로어 커버(8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커버(81)와 로어 커버(82) 각각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H1)(H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냉온장고는 베이스(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9)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입체적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9)는 로어 플레이트(91)과, 로어 플레이트(91)의 상부에 형성된 어퍼 베이스(9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베이스(9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어퍼 베이스(92)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H3)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베이스(92)는 전체적인 형상이 그릴 형상일 수 있다.
팬 커버(8)는 베이스(9)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냉온장고의 하중은 베이스(9)에 작용될 수 있다. 베이스(9)는 후크 등의 걸이구조에 의해 팬 커버(8)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팬(7)이 일 예는 제2전열바디(6)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송풍하는 축류팬일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9)의 통공(H3)은 냉온장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공일 수 있고, 로어 커버(82)의 통공(H2)는 베이스(9)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팬 커버(8)의 내부로 흡입되는 연통공일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 커버(81)의 통공(H1)은 팬(7)에서 송풍된 후 제2전열바디(6)와 열교환된 공기가 냉온장고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공일 수 있다.
팬(7)의 다른 예는 제2전열바디(6)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송풍하는 축류팬일 수 있다. 이 경우, 아우터 커버(81)의 통공(H1)은 냉온장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공일 수 있고, 로어 커버(82)의 통공(H2)는 제2전열바디(6)와 열교환된 공기가 베이스(9)의 내부로 송풍되는 연통공일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9)의 내부로 송풍된 공기가 냉온장고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공일 수 있다.
냉온장고는 충전용 배터리(94)가 구비될 수 있다. 충전용 배터리(94)는 베이스(9)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용 배터리(94)는 어퍼 베이스(9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냉온장고는 충전용 배터리(94)가 구비되어, 일정시간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냉온장고는 열전소자(4) 및 팬(7)을 제어하는 제어모듈(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95)은 베이스(9)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모듈(95)는 어퍼 베이스(9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냉온장고는 냉온장고의 운전모드 및 희망온도 등을 조절하는 컨트롤러(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96)는 냉각모드와 히팅모드 선택할 수 있는 냉온선택 스위치(97)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96)는 희망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 다이얼(9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96)는 베이스(9)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냉온장고는 베이스(9)와, 충전용 배터리(94)와, 제어모듈(95) 및 컨트롤러(95)가 조립된 베이스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냉온장고의 구성 중 이러한 베이스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보온대상물을 보온/보냉하는 보온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모듈은 팬 커버(8)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모듈은 보온모듈과 분리되어, 별도로 충전용 배터리(84)를 충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냉온장고를 충전하기 위해 냉온장고 전체를 이동시킬 필요없이, 베이스모듈만을 이동시켜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와 제1전열바디 및 열전소자가 확대 도시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전열바디 내부가 도시된 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너 케이스(1)에는 전열케이스(51)의 상단이 상측방향으로 걸리는 걸림턱(11)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은 이너 케이스(1)의 내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은 전열케이스(51)의 상단 가장자리와 면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케이스(1)에는 전열케이스(51)가 접촉되는 접촉면(12)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12)은 이너 케이스(1)의 내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12)는 전열케이스(51)의 외둘레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제1전열바디(5)와 이너 케이스(1)의 조립시, 제1전열바디(5)는 이너 케이스(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걸림턱(11)과 접촉면(12)은 이너 케이스(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전열케이스(51)는 이너 케이스(1)의 하측에서 이너 케이스(1)의 내부로 삽입되어 이너 케이스(1)와 결합될 수 있다.
전열케이스(51)는 걸림턱(11) 및 접촉면(12)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걸림턱(11)에 걸릴 수 있다.
전열케이스(51)의 상면 이너 케이스(1)의 내둘레면과 함게 저장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전열 케이스(51)가 이너 케이스(1)에 결합되었을 때, 이들은 컵과 같이 상면이 개방된 용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전열바디(5)와 이너 케이스(1)가 저장공간(S1)을 직접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직냉식 냉각용기 또는 직접 가열식 가열용기일 수 있다.
전열케이스(51)의 내부에는 상변화물질(55) 및 후술하는 전열바디(56)이 수용되는 밀폐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전열바디(5)는 내부에 밀폐공간(S2)이 형성되고 열전소자(4) 보다 큰 전열케이스(51)와; 밀폐공간(S2)에 수용된 상변화물질(55)과; 밀폐공간(S2)에 위치되게 전열케이스(51)에 내부에 형성된 전열바디(5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열케이스(51)는 로어 바디(52)와; 어퍼 바디(53)와; 연결 바디(54)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52)는 그 저면이 열전소자(4)를 향할 수 있다. 로어 바디(52)는 제1전열바디(5)의 하면을 구성할 수 있다. 로어 바디(52)의 하면은 제1전열바디(5)의 하면일 수 있다.
어퍼 바디(53)는 그 상면이 저장공간(S1)을 향할 수 있다. 어퍼 바디(53)는 제1전열바디(5)의 상면을 구성할 수 있다. 어퍼 바디(53)의 상면은 제1전열바디(5)의 상면일 수 있다.
어퍼 바디(53)는 로어 바디(5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로어 바디(52)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연결 바디(54)는 로어 바디(52)와 어퍼 바디(53)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바디(54)는 로어 바디(52)와 어퍼 바디(53)의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결 바디(54)는 제1전열바디(5)의 외둘레면을 구성할 수 있다. 연결 바디(54)의 외둘레면은 제1전열바디(5)의 외둘레면일 수 있다.
제1전열바디(5)와 이너 케이스(1)와 열전소자의 조립시, 어퍼 바디(53)는 걸림턱(11)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걸림턱(11)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연결바디(54)는 이너 케이스(1)의 접촉면(12)에 면접촉될 수 있다.
제1전열바디(5)는 어퍼 바디(53)와 연결바디(54)를 통해 이너 케이스(1)와 열교환할 수 있다. 어퍼바디(52)와 연결바디(54)는 제1전열바디(5) 중 이너 케이스(1)와 실제로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고, 이너 케이스(1) 및 저장공간(S1)와 상변화물질(55)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일 수 있다.
제1전열바디(5)는 로어 바디(52)와 연결 바디(54)와 어퍼 바디(53)에 의해 밀폐공간(S2)을 형성할 수 있고, 상변화물질(55)은 이러한 밀폐공간(S2)에 채워져 수용될 수 있다.
로어 바디(52)와 어퍼 바디(53)는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연결 바디(54)는 중공 통 형상일 수 있다. 연결 바디(54)는 로어 바디(52) 및 어퍼 바디(53)에 대응하여 중공 원통 형상 또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전열케이스(51)는 내부에 밀폐공간(S2)이 형성된 원판 또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상변화물질(55)는 밀폐공간(S2)에 주입되어 전열케이스(51) 내부에서 축열/축냉하는 축열/축냉재일 수 있다.
제1전열바디(5)는 열전소자(4)와 접촉되는 접촉부(52A) 및 열전소자(4)와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부(52B)을 갖는다.
접촉부(52A)는 열전소자(4)의 상측에 위치하고 열전소자(4)를 상하 방향으로 향하는 부분이다.
접촉부(52A)의 하면은 열전소자(4)의 상면과 직접 면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고, 접촉부(52A)의 하면과 열전소자(4)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별도의 전열패드나 접착재를 통해 열전소자(4)의 상면과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로어 바디(52)는 열전소자(4)를 향하고 열전소자(4)와 접촉되는 접촉부(52A)와, 열전소자(4)를 향하지 않고 열전소자(4)와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부(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접촉부(52A)에서 비접촉부(52B)까지 연장될 수 있다.
밀폐공간(S2)는 접촉부(52A)를 향하는 여부에 따라, 2개의 영역(C)(N)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밀폐공간(S2)는 접촉부(52A)를 향하는 제1영역(C)과, 비접촉부(52B)를 향하는 제2영역(N)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영역(C)은 밀폐공간(S2) 중 접촉부(52A) 위 영역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접촉부(52A)를 향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영역(N)은 밀폐공간(S2) 중 비접촉부(52A) 위 영역으로서, 상하방향으로 비접촉부(52B)를 향하는 영역일수 있다.
접촉부(52A)는 열전소자(4)와 제1영역(C)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는 부분일 수 있다.
로어 바디(52) 중 접촉부(52A)는 열전소자(4)와 크기 및 외곽 형상이 동일한 영역일 수 있고, 제1영역(C)은 밀폐공간(S2) 중 접촉부(52A)를 향하는 영역이며, 제1영역(C)은 열전소자(4)와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열전소자(4)가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일 경우, 접촉부(52A) 및 제1영역(C)은 열전소자(4)와 같이,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제2영역(N)은 제1영역(C)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고, 중앙에 다각형 형상의 홀이 형성된 링 형상의 영역일 수 있다.
제1영역(C)은 밀폐공간(S2) 중 상하 방향으로 열전소자(4)를 향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영역(N)은 밀폐공간(S2) 중 상하 방향으로 열전소자(4)를 향하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제1영역(C)에서부터 제2영역(N)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영역(C)은 상대적으로 전열 소자(4)와 더 근접할 영역이고, 제1영역(C)은 제2영역(N) 보다 먼저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영역(N)은 제1영역(C) 보다 상대적으로 늦게 가열되거나 냉각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제1영역(C)과 제2영역(N) 상호간의 열전달을 촉진하는 것으로서, 제1영역(C)에서부터 제2영역(N)까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수평방향으로 길이가 긴 막대 형상일 수 있고, 어퍼 바디(53)와 로어 바디(52) 사이에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전열케이스(51) 내부에 채워진 상변환물질(55)의 열전달을 촉진시키는 전열 핀(Fin)일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전열케이스(51)의 내부에 배치된 이너 핀일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로어 바디(52)와 어퍼 바디(53) 사이에서 로어 바디(52)와 어퍼 바디(53) 상호간의 열전달을 도울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하단이 로어 바디(52)와 연결될 수 있고, 상단(56A)이 어퍼 바디(53)와 연결될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로어 바디(52)와 어퍼 바디(53) 서로간의 열전달을 촉진할 수 있고, 로어 바디(52)와 어퍼 바디(53)는 연결 바디(54)와 상변화물질(55) 및 전열바디(56) 각각을 통해 열을 교환할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연결 바디(54)와 연결되는 연결단(56C)을 갖을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길이 방향으로 일단(56D)이 접촉부(52A)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연결단(56C)이 전열바디(56)의 타단으로서, 전열바디(56) 중 연결 바디(54)에 연결된 타단일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그 길이방향으로 접촉부(52A) 및 열전소자(4)와 근접한 제1바디부(56E)과, 제1바디부(56E)와 연결 바디(54) 사이의 제2바디부(56B)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부(56E)는 전열바디(56) 중 접촉부(52A)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바디부(56F)는 전열바디(56) 중 비접촉부(52B)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밀폐공간(S2)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전열바디(56)는 밀폐공간(S2)에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열바디(56)는 밀폐공간(S2)을 복수개의 단위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고, 상변화물질(55)은 이러한 복수개의 단위 공간 각각에 수용될 수 있다.
전열케이스(51)의 내부 중앙에는 복수개의 전열바디(56)가 연결되는 센터 코어(56G)가 형성될 수 있다.
상변화물질(55)는 복수개의 단위 공간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고, 어느 한 단위 공간에 채워진 상변화물질(55)은 전열바디(56)에 막혀 그 옆에 위치하는 타 단위 공간으로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상변화물질(55)은 특정 단위공간에 쏠리지 않고, 복수개의 단위 공간에고루 채워질 수 있고, 전열케이스(51)는 그 전체가 고르게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열바디(56)는 전열케이스(51)를 구성하는 로어 바디(52)와 어퍼 바디(53)와, 연결바디(55) 상호간의 열전달을 촉진할 수 있고, 제1영역(C)에 위치하는 상변화물질과 제2영역(N)에 위치하는 상변화물질 상호간의 열전달을 촉진할 수 있으며, 제1전열바디(5)는 그 전체 온도가 신속하게 균일화될 수 있다.
제1전열바디(5)의 상면은 열전소자(4)와 상대적으로 근접한 영역과, 상대적으로 근접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제1전열바디(5) 전체의 온도 산포가 크기 않기 때문에, 제1전열바디(5)의 상면도 전체적으로 온도가 균일할 수 있고, 저장공간(S1)의 온도도 전체적으로 균일할 수 있다.
한편, 전열케이스(51)의 제작시, 로어 바디(52)와 어퍼 바디(53) 중 어느 하나에는 상변화물질(55)을 밀폐 케이스(51) 내부로 채우기 위한 상변화물질 투입구(53A)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상변화물질 투입구(53A)는 상변화물질(55)이 채워진 후 덮개(53B)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덮개(53B)는 용접이나 접착재 등에 의해 어퍼 바디(53)에 접합될 수 있고, 전열케이스(51)의 내부는 밀폐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모듈(95)는 열전소자(4)와 팬(7)을 제어할 수 있다.
냉온장고는 제1전열바디(5)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95)는 컨트롤러(96)를 통해 입력된 냉각모드 및 히팅모드와, 희망온도와,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열전소자(4)과 팬(7)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95)은 열전소자(4) 및 팬(7)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제어모듈(95)는 열전소자(4)의 온시, 열전소자(4)로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저장공간(S1)의 온도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모듈(95)는 냉각모드 및 히팅모드시, 열전소자(4)와 팬(8)을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및 목표온도에 따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목표온도는 컨트롤러(96)을 통해 입력된 희망온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냉각 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각 모드시, 제어모듈(95)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목표온도 이상이면, 열전소자(4) 및 팬(8) 각각을 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열전소자(4) 및 팬(7)이 온이면, 제1전열바디(5)는 저장공간(S1)에서 전달된 열을 축열하면서 열전소자(4)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2전열바디(6)는 열전소자(4)로부터 전달된 열을 방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저장공간(S1)의 열은 상변화물질(55)에 축열됨과 아울러 제2전열바디(6)를 통해 방열되므로, 신속하게 낮아질 수 있다.
냉각 모드시, 제어모듈(95)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목표온도 미만이면, 열전소자(4) 및 팬(7) 각각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하, 히팅 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히팅 모드시, 제어모듈(95)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목표온도 미만이면, 열전소자(4) 및 팬(7)를 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열전소자(4) 및 팬(7)이 온이면, 열전소자(4)의 열은 제1전열바디(5)로 전달할 수 있고, 열전소자(4)에서 제1전열바디(5)로 전달된 열은 상변환물질(55)에 축열될 수 있고, 저장공간(S1)으로 방열될 수 있고, 저장공간(S1)의 온도는 승온될 수 있다.
히팅 모드시, 제어모듈(95)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목표온도 이상이면, 열전소자(4) 및 팬(7)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열전소자(4) 및 팬(7)이 오프이면, 제1전열바디(5)에 축열되어 있던 열은 저장공간(S1)으로 전달될 수 있고, 저장공간(S1)는 열전소자(4) 및 팬(7)이 오프인 동안 급격한 온도변화 없이 일정시간 동안 적정 온도를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케이스(1)(2) 내부에 공기가 순환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바디(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케이스(1)(2)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에 의해 케이스(1) 내부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간냉식 냉각용기 또는 간접가열식 가열용기일 수 있다.
유로바디(100)는 케이스(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바디(100)는 케이스(1)(2) 특히, 이너 케이스(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저장공간(S1) 즉, 이너 케이스(1)의 내부를 내측의 이너 통로(P1)와, 외측의 아우터 통로(P2)로 구획할 수 있다.
이너 통로(P1)는 유로바디(100)의 내둘레면에 의해 형성된 영역일 수 있고, 아우터 통로(P2)는 유로바디(100)의 외둘레면과 케이스(1)(2)의 내둘레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바디(100)는 이너 케이스(1)의 내둘레면과 이격될 수 있고, 유로바디(100)의 외둘레면과 이너 케이스(1)의 내둘레면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아우터 통로(P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통로(P1)는 보온대상물(C)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보온대상물 수용공간일 수 있다.
아우터 통로(P2)는 저장공간(S1) 내부의 공기가 순환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통로(P2)는 이너 통로(P1)와 함께 보온대상물 수용공간으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로바디(100)는 공기가 이너 통로(P1)와 아우터 통로(P2)를 순환하면서 전열케이스(51)와 열교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로바디(100)의 상단(101)은 캡(3)과 이격될 수 있고, 유로바디(100)의 상단(101)과 캡(3)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어퍼 갭(S)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갭(G1)은 이너 통로(P1)의 상부와 아우터 통로(P2)의 상부를 잇는 어퍼 연결 통로일 수 있다.
유로바디(100)의 하단(102)은 전열 케이스(51)와 이격될 수 있고, 유로바디(100)의 하단(102)과 전열 케이스(51)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로어 갭(G2)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 갭(G2)은 이너 통로(P1)의 하부와 아우터 통로(P2)의 하부를 잇는 로어 연결 통로일 수 있다.
유로바디(100)는 캡(3)과 전열 케이스(51) 각각과 이격된 중공 원통일 수 있다.
이너 통로(P1)의 공기는 어퍼 갭(G1)과, 아우터 통로(P2)와 로어 갭(G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이너 통로(P1)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고, 로어 갭(G2)와 아우터 통로(P2)와 어퍼 갭(G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이너 통로(P1)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유로바디(100)에 의해 저장공간(S1)의 내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상승되는 기류와, 하측 방향으로 하강되는 기류를 입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냉온장고는 순환팬 커버(110)와, 순환팬(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 커버(110)는 순환팬(120)을 보호하는 커버일 수 있다. 그리고, 순환팬 커버(110)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이너 통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순환팬 커버(110)에는 다수의 이너 통공(112)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이너 통공(112)은 순환팬(120) 및 이너 통로(P1)을 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통공(112)은 순환팬(120)와 이너 통로(P1)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순환팬(120)에 의해 유동된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연통공일 수 있다.
순환팬 커버(110)는 유로바디(100) 하단에 배치되거나 유로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팬 커버(110)는 보온대상물(C)이 올려질 수 있는 보온대상물 안착바디가 될 수 있고, 보온대상물(C)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기능할 수 있다.
순환팬 커버(110)는 유로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유로바디(100) 내부를 상,하 구획하는 구획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순환팬 커버(110)는 유로바디(100)의 내부를 보온대상물이 수용되는 보온대상물 수용공간과, 순환팬(120)이 수용되는 순환팬 수용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순환팬 커버(110)가 유로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경우, 순환팬(120)는 유로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순환팬(120)은 유로바디(100)의 내둘레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유로바디(100)는 순환팬(120)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팬하우징을 겸할 수 있다.
순환팬 커버(110)는 유로바디(100)의 내부에 후술하는 아우터 핀(57)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순환팬 커버(110)와 아우터 핀(57)의 사이는 순환팬(120)이 위치되는 공간이 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순환팬 커버(110)의 하단은 아우터 핀(57)의 상단과 이격될 수 있다.
순환팬 커버(110)가 유로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될 경우, 이너 통공(112)은 보온대상물 수용공간과, 순환팬 수용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고, 공기는 순환팬 수용공간에서 이너 통공(112)을 통과하여 보온대상물 수용공간으로 유동되거나, 반대로 보온대상물 수용공간에서 이너 통공(112)을 통과하여 순환팬 수용공간을 유동될 수 있다.
순환팬(120)은 저장공간(S1) 내부에 순환기류를 형성하는 기류 발생장치일 수 있다. 순환팬(120)은 공기를 축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축류팬일 수 있다. 순환팬(120)은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을 포함할 수 있고, 모터는 순환팬 커버(110)에 장착될 수 있다.
순환팬(120)은 순환팬 커버(110)와 전열 케이스(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순환팬 커버(110)와 아우터 핀(5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순환팬(120)의 구동시, 공기는 전열 케이스(51)의 상면을 따라 유동되면서 전열 케이스(51)의 상면 및 아우터 핀(57)과 열교환될 수 있다.
냉온장고는 제1전열바디(5)의 열전달을 촉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핀(57)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핀(57)는 전열 케이스(51)에 형성되어 전열 케이스(51)의 열전달을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우터 핀(57)은 전열 케이스(5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순환팬(12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아우터 핀(57)은 수평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아우터 핀(57)은 전열 케이스(51)의 상면에서 순환팬(12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핀(57)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핀(57)는 전열 케이스(51)의 상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아우터 핀(57)은 전열 케이스(51)의 상면에 방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아우터 핀(57)은 전열 케이스(51)의 상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냉온장고는 아우터 핀(57)을 둘러싸는 에어가이드(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58)는 저장공간(S1)을 순환하는 공기가 아우터 핀(57)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58)에는 아우터 통로(P2)를 향하는 아우터 통공(58C)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통로(P2)의 공기는 아우터 통공(58C)를 통과하여 에어가이드(58) 내부로 유동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58) 내부에서 아우터 핀(57)과 열교환될 수 있다.
아우터 통공(58C)은 에어가이드(58)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에어가이드(58)는 에어가이드(58)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58)는 제1전열바디(5)와 별도로 구성되어 제1전열바디(5)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1전열바디(5)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어가이드(58)는 전열 케이스(51)의 상부에 배치될 있고, 전열 케이스(51)의 상면에 형성된 아우터 핀(57)을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58)는 아우터 에어가이드(58A)와, 어퍼 에어가이드(58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에어가이드(58A)는 전열 케이스(51)의 상부에 중공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에어가이드(58A)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에어가이드(58A)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전열 케이스(51)의 상면에 돌출된 아우터 핀(57)을 수용하는 공간일 수 있고,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일 수 있다.
어퍼 에어가이드(58B)는 아우터 에어가이드(58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통공(58C)은 어퍼 에어가이드(58B)에 형성될 수 있고, 어퍼 에어가이드(58B)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아우터 핀(57)으로 향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에어가이드(58)은 그 외둘레가 이너 케이스(1)의 내둘레면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에어가이드(58A)의 일예는 이너 케이스(1)의 내둘레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아우터 통공(58C)은 어퍼 에어가이드(58B)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가이드(8)의 상단은 이너 케이스(1)의 걸리턱(11)에 상측 방향으로 걸릴 수 있고, 에어가이드(8)의 외둘레면은 전열 케이스(51)의 외둘레면과 함께 이너 케이스(1)의 접촉면(12)에 접촉될 수 있다.
아우터 에어가이드(58A)의 다른예는 이너 케이스(1)의 내둘레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아우터 통공(58C)은 어퍼 에어가이드(58B)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거나 아우터 에어가이드(58A)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에이가이드(58A)의 외둘레면과 이너 케이스(1)의 내둘레면 사이의 틈은 아우터 통로(P2)와 상하 방향으로 통할 수 있고, 아우터 통로(P2)의 공기는 아우터 에이가이드(58A)의 외둘레면과 이너 케이스(1)의 내둘레면 사이의 틈을 통과한 후 아우터 통공(58C)을 통과할 수 있고, 에어가이드(58)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6) 특히, 아우터 에어가이드(58A)는 전열 케이스(51)와 이너 케이스(51) 사이에서 상호간의 열전달을 도울 수 있다. 즉, 에어가이드(6)는 아우터 핀(57)을 보호하는 기능과 유로바디(100)를 고정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열전달을 촉진하는 기능을 더 갖을 수 있다.
한편, 유로바디(100)는 그 하부가 에어가이드(58)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58)에는 유로바디 삽입공(58D)이 형성될 수 있다.
유로바디(100)의 하단(102)은 유로바디 삽입공(58D)를 통과하여 에어가이드(58)의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유로바디(100)의 하단(102)은 에어가이드(58)의 공간에서 아우터 핀(57)에 올려질 수 있다. 유로바디(100)의 하단(102)이 아우터 핀(57)의 상단에 올려지고, 아우터 핀(57)의 상단과 접촉될 경우, 유로바디(100)와 아우터 핀(57)은 직접 열교환될 숭 있고, 유로바디(100)는 보다 신속하게 가열되거나 냉각될 수 있다.
유로바디 삽입공(58D)은 에어가이드(58) 특히, 어퍼 에어가이드(58B)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유로바디 삽입공(58D)의 직경은 유로바디(10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조금 클 수 있다. 어퍼 에어가이드(58B)의 내둘레는 유로바디(100)의 외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고, 어퍼 에어가이드(58B)는 유로바디(100)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가이드(58)는 유로바디(100)가 흔들리거나 전복되지 않도록 유로바디(100)를 지지하는 유로바디 서포터일 수 있다.
유로바디(100)는 아우터 핀(57)과 에어가이드(58)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에어가이드(58)에 유로바디 삽입공(58C)이 형성될 경우, 아우터 통공(58C)은 유로바디 삽입공(58C)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유로바디(100)와, 순환팬 커버(110)와, 순환팬(120) 및 아우터 핀(57)과, 에어가이드(58) 이외의 기타 구성이 본 발명 일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모듈(95)는 열전소자(4)와 팬(7) 및 순환팬(120)을 제어할 수 있다.
냉온장고는 제1전열바디(5)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95)는 컨트롤러(96)를 통해 입력된 냉각모드 및 히팅모드와, 희망온도와,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열전소자(4)과 팬(7)과 순환팬(12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95)는 열전소자(4)로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저장공간(S1)의 온도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모듈(95)는 순환팬(120)로 인가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저장공간(S1)의 온도를 가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모듈(95)은 열전소자(4) 및 팬(7)를 온,오프시키면서 순환팬(120)을 고전압 온시키거나 저전압 온시킬 수 있다.
제어모듈(95)는 냉각모드 및 히팅모드시, 열전소자(4)와 팬(8)을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및 목표온도에 따라 온,오프시킬 수 있고, 순환팬(120)을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및 목표온도에 따라 고전압 온시키거나 저전압 온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목표온도는 컨트롤러(96)을 통해 입력된 희망온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냉각 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각 모드시, 제어모듈(95)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목표온도 이상이면, 열전소자(4) 및 팬(8) 각각을 온시키고, 순환팬(120)를 고전압으로 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열전소자(4) 및 팬(7)이 온이고, 순환팬(120)이 고전압 온이면, 저장공간(S1)의 공기는 빠르게 유동되면서 저장공간(S1)의 열을 제1전열바디(5)로 전달할 수 있고, 제1전열바디(5)은 저장공간(S1)에서 전달된 열을 축열하면서 열전소자(4)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2전열바디(6)는 열전소자(4)로부터 전달된 열을 방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저장공간(S1)의 열은 상변화물질(55)에 축열됨과 아울러 제2전열바디(6)를 통해 방열되므로, 신속하게 낮아질 수 있다.
냉각 모드시, 제어모듈(95)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목표온도 미만이면, 열전소자(4) 및 팬(7) 각각을 오프시키고, 순환팬(120)를 저전압으로 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열전소자(4) 및 팬(7)이 오프이고, 순환팬(120)이 저전압 온이면, 저장공간(S1)의 공기는 천전히 유동되면서 저장공간(S1)의 열을 제1전열바디(5)로 전달할 수 있고, 이러한 열은 상변화물질(55)에 축열될 수 있고, 저장공간(S1)은 열전소자(4)가 오프인 동안 냉각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저장공간(S1)의 열은 상변화물질(55)에 천천히 축열되고, 저장공간(S1)은 열전소자(4) 및 팬(7)이 오프인 동안 큰 온도변화 없이 일정 시간 동안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히팅 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히팅 모드시, 제어모듈(95)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목표온도 미만이면, 열전소자(4) 및 팬(7)를 온시키고, 순환팬(120)를 고전압으로 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열전소자(4) 및 팬(7)이 온이고, 순환팬(120)이 고전압 온이면, 열전소자(4)의 열은 제1전열바디(5)로 전달할 수 있고, 열전소자(4)에서 제1전열바디(5)로 전달된 열은 상변환물질(55)에 축열될 수 있고, 저장공간(S1)으로 방열될 수 있다. 저장공간(S1)의 공기는 순환팬(120)에 의해 빠르게 유동되면서 제1전열바디(5)의 열을 저장공간(S1)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저장공간(S1)의 온도는 신속하게 상승될 수 있다.
히팅 모드시, 제어모듈(95)는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목표온도 이상이면, 열전소자(4) 및 팬(7)를 오프시키고, 순환팬(120)를 저전압으로 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열전소자(4) 및 팬(7)이 오프이고, 순환팬(120)이 저전압 온이면, 저장공간(S1)의 공기는 천전히 유동되면서 제1전열바디(5)에 축열되어 있던 열을 저장공간(S1)으로 전달될 수 있고, 저장공간(S1)는 열전소자(4) 및 팬(7)이 오프인 동안 급격한 온도변화 없이 일정시간 동안 적정 온도를 유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 : 케이스 4: 열전소자
5: 제1전열바디 6: 제2전열바디
51: 전열케이스 52: 로어 바디
52A: 접촉부 52B: 비접촉부
55: 상변화물질 56: 전열바디
S1: 저장공간 S2: 공간

Claims (20)

  1.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와 접촉되고 상기 저장공간을 향하는 제1전열바디와;
    상기 열전소자와 접촉된 제2전열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열바디는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열전소자 보다 큰 전열케이스와;
    상기 밀폐공간에 수용된 상변화물질과;
    상기 밀폐공간에 위치되게 상기 전열케이스에 내부에 배치된 전열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열바디는 상기 열전소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열전소자와 접촉되지 않는 비접촉부을 갖고,
    상기 전열바디는 상기 접촉부에서 비접촉부까지 연장된 냉온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바디는 복수개가 상기 밀폐공간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냉온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케이스는
    저면이 상기 열전소자를 향하는 로어 바디와;
    상면이 상기 저장공간을 향하는 어퍼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바디의 하단은 상기 로어 바디와 연결되고,
    상기 전열바디의 상단은 상기 어퍼 바디와 연결된 냉온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케이스는 상기 로어 바디와 어퍼 바디를 연결하고 중공 형상의 연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전열바디는 상기 연결 바디와 연결되는 연결단을 갖는 냉온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다각형 형상이고,
    상기 연결 바디는 중공 원통 형상인 냉온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케이스에는 상기 어퍼 바디가 상측 방향으로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에는 상기 연결 바디가 면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된 냉온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캡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공간을 내측의 이너 통로와, 외측의 아우터 통로로 구획하는 유로바디와;
    상기 유로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이너 통공이 형성된 순환팬 커버와,
    상기 순환팬 커버와 전열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순환팬을 더 포함하는 냉온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열바디는
    상기 전열케이스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순환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핀을 더 포함하는 냉온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핀은 상기 전열케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순환팬을 향해 돌출된 냉온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바디는 상기 아우터 핀과 접촉된 냉온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바디는 상단이 상기 캡과 이격되고 하단이 상기 전열 케이스와 이격된 중공 원통이고,
    상기 순환팬 커버는 상기 유로바디의 내부에 상기 아우터 핀과 이격되게 배치된 냉온장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아우터 핀을 둘러싸게 배치된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아우터 통로를 향하는 아우터 통공이 형성된 냉온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전열 케이스의 상부에 중공 형상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아우터 에어가이드와;
    상기 아우터 에어가이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통공이 형성된 어퍼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에는 상기 유로바디의 하부가 삽입되는 유로바디 삽입공이 형성된 냉온장고.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통공은 상기 유로바디 삽입공 외측에 형성된 냉온장고.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바디는 상단이 상기 캡과 이격되고 하단이 상기 전열 케이스와 이격된 중공 원통이고,
    상기 순환팬 커버는 상기 유로바디의 내부에 상기 전열 케이스와 이격되게 배치된 냉온장고.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바디의 하부가 삽입되는 유로바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통로를 향하는 아우터 통공이 형성된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냉온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아우터 에어가이드와;
    상기 아우터 에어가이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통공이 형성된 어퍼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냉온장고.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아우터 케이스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케이스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가 상측 방향으로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가 면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된 냉온장고.
  20.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된 팬 커버와,
    상기 팬 커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열바디로 공기를 송풍하는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 커버는 상기 팬의 둘레를 둘러싸는 아우터 커버와, 상기 아우터 커버의 하부에 형성되고 팬의 아래에 위치하는 로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커버와 로어 커버 각각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외둘레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통공이 형성된 냉온장고.
KR1020170161641A 2017-11-29 2017-11-29 냉온장고 KR10241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641A KR102416937B1 (ko) 2017-11-29 2017-11-29 냉온장고
EP18207936.8A EP3492842B1 (en) 2017-11-29 2018-11-23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EP20169413.0A EP3708927B1 (en) 2017-11-29 2018-11-23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US16/201,350 US11313604B2 (en) 2017-11-29 2018-11-27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CN201811444465.0A CN109838956B (zh) 2017-11-29 2018-11-29 温度调节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641A KR102416937B1 (ko) 2017-11-29 2017-11-29 냉온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946A true KR20190062946A (ko) 2019-06-07
KR102416937B1 KR102416937B1 (ko) 2022-07-05

Family

ID=6445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641A KR102416937B1 (ko) 2017-11-29 2017-11-29 냉온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13604B2 (ko)
EP (2) EP3492842B1 (ko)
KR (1) KR102416937B1 (ko)
CN (1) CN10983895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163B1 (ko) * 2022-11-30 2023-03-30 보람엔에스 주식회사 이동형 냉장 및 온장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5106B2 (ja) * 2016-07-19 2021-08-25 富士フイルム富山化学株式会社 搬送装置
US10702083B2 (en) * 2017-08-16 2020-07-07 Southern Technologies Group, Llc Systems for use with drinking containers to provide flows of air to users
US20200085013A1 (en) 2018-09-19 2020-03-19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27906B2 (en) 2018-09-19 2022-12-13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65202B2 (en) 2018-09-19 2023-01-31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653627B2 (en) 2018-09-19 2023-05-23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771058B2 (en) 2018-09-19 2023-10-03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596127B2 (en) 2018-09-19 2023-03-07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659812B2 (en) 2018-09-19 2023-05-3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871732B2 (en) 2018-09-19 2024-01-16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US11659813B2 (en) 2018-09-19 2023-05-30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KR20200033132A (ko) 2018-09-19 2020-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 급수기
US11590438B2 (en) 2018-09-19 2023-02-28 Lg Electronics Inc.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EP3943845A4 (en) * 2019-03-22 2022-11-30 LG Electronics Inc. FRIDGE
KR102154631B1 (ko) * 2019-07-22 2020-09-1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냉온장 컵홀더
US11394227B2 (en) * 2020-05-01 2022-07-19 Lenovo (Singapore) Pte. Ltd. Power management during system startup at low temperatures
US11375726B2 (en) * 2020-08-06 2022-07-05 John C. Hoover Storage of post-climacteric fruit
WO2022263840A1 (en) * 2021-06-18 2022-12-22 Hubl Logistics Ltd Transport pods
CN113686071B (zh) * 2021-07-05 2023-05-05 上海斯丹姆医药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冷链中断显色预警型疫苗冷藏装置
CN113899140B (zh) * 2021-09-23 2023-04-07 迈克医疗电子有限公司 试剂仓及试剂冷藏装置
US11566628B1 (en) * 2022-01-29 2023-01-31 Lifang Liu Handheld fa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8465A (ja) * 2000-01-31 2001-08-03 Pentel Corp 飲料用保温保冷器
KR200251824Y1 (ko) 2001-08-03 2001-11-22 주식회사 이노벤텍 냉장용기
KR20050039578A (ko) * 2003-10-23 2005-04-29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항온액조
KR20070025801A (ko) * 2005-09-05 2007-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냉온장고
KR20070106028A (ko) * 2005-02-21 2007-10-31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냉장 음료 보관 장치
KR20140073137A (ko) * 2012-12-06 2014-06-1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1881A (en) 1972-07-14 1974-07-02 Mobile Metal Prod Inc Refrigerator box with door mounted refrigeration unit
US5522216A (en) * 1994-01-12 1996-06-04 Marlow Industries, Inc. Thermoelectric refrigerator
KR980010274A (ko) 1996-07-23 1998-04-30 오상수 열전소자를 이용한 식품저장고
JP4213465B2 (ja) * 2000-11-02 2009-01-21 テルレッ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温度制御式貯蔵システム
US20020162339A1 (en) * 2001-05-04 2002-11-07 Harrison Howard R. High performance thermoelectric systems
FR2853400A1 (fr) * 2003-04-02 2004-10-08 Philippe Lutringer Refrigerateur instantane de boissons
DE102005030362B3 (de) * 2005-06-29 2006-11-23 Ipv Inheidener Produktions- Und Vertriebsgesellschaft 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rechterhaltung einer Temperatur
US8961152B2 (en) * 2009-05-15 2015-02-24 Cynthia WARK Portable fan
US20130145988A1 (en) * 2011-12-12 2013-06-13 Intermolecular, Inc. Substrate Processing Bubbler Assembly
US8807814B1 (en) * 2012-01-27 2014-08-19 Joseph Gregory Glenn Combination fan and light attachable to a hat
GB201318405D0 (en) * 2013-10-17 2013-12-04 Gray David A portable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US9435578B2 (en) * 2013-12-05 2016-09-06 Tokitae Llc Storage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for storing temperature-sensitive items
US20170115039A1 (en) * 2015-10-21 2017-04-27 Ami Industries, Inc. Thermoelectric based heat pump configuration
US20170219256A1 (en) * 2016-02-02 2017-08-03 Tokitae Llc Thermal transfer devices, temperature stabilized containers including the same, and related methods
US10859295B2 (en) * 2016-04-13 2020-12-08 ZeoThermal Technologies, LLC Cooling and heating platfor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8465A (ja) * 2000-01-31 2001-08-03 Pentel Corp 飲料用保温保冷器
KR200251824Y1 (ko) 2001-08-03 2001-11-22 주식회사 이노벤텍 냉장용기
KR20050039578A (ko) * 2003-10-23 2005-04-29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항온액조
KR20070106028A (ko) * 2005-02-21 2007-10-31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냉장 음료 보관 장치
KR20070025801A (ko) * 2005-09-05 2007-03-08 한라공조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냉온장고
KR20140073137A (ko) * 2012-12-06 2014-06-1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163B1 (ko) * 2022-11-30 2023-03-30 보람엔에스 주식회사 이동형 냉장 및 온장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8927A1 (en) 2020-09-16
KR102416937B1 (ko) 2022-07-05
EP3492842A1 (en) 2019-06-05
EP3708927B1 (en) 2021-10-27
EP3492842B1 (en) 2020-08-05
US20190162460A1 (en) 2019-05-30
CN109838956A (zh) 2019-06-04
CN109838956B (zh) 2021-10-26
US11313604B2 (en)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2946A (ko) 냉온장고
US5111664A (en) Portable refrigerating/heating apparatus
JP4560550B2 (ja) 熱電冷却/加熱器具
JP6792558B2 (ja) 飲料の冷却
CA2491870C (en) Food chiller with optimized air flow
US20100307168A1 (en) Thermo-electric cooler
JPH1089828A (ja) 食品貯蔵庫
KR101909370B1 (ko) 냉온장고
KR101873857B1 (ko) 냉온 분리를 이용한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US20180014635A1 (en) Food service apparatus with heating and cooling systems
KR101756376B1 (ko)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KR10093035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소형냉장고가 승강식으로 구비된 테이블
KR10189505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
JP6601560B2 (ja) 保冷装置
US20100043451A1 (en) Thermoelectric hot/cold pans
US20190226728A1 (en) Thermo-electric beverage container
KR200377824Y1 (ko) 차량용 냉온수기
KR200300360Y1 (ko) 주류용기의 보냉장치
JP6638809B2 (ja) 保冷装置
KR20080083849A (ko) 음료 및 주류 냉각 테이블
JPH09324972A (ja) 温冷装置
AU2003248802C1 (en) Food chiller with optimized air flow
KR200368561Y1 (ko) 저장고를 포함하는 식탁
JP2004271035A (ja) 保冷保温庫
JP2006105508A (ja) 冷温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