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674A -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 - Google Patents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674A
KR20190061674A KR1020170160297A KR20170160297A KR20190061674A KR 20190061674 A KR20190061674 A KR 20190061674A KR 1020170160297 A KR1020170160297 A KR 1020170160297A KR 20170160297 A KR20170160297 A KR 20170160297A KR 20190061674 A KR20190061674 A KR 20190061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chamber
substrate
organic compound
vapor deposition
deposi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9279B1 (ko
Inventor
정영도
신항범
오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60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2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12Formation types
    • H01L21/02617Deposition types
    • H01L21/02631Physical deposition at reduced pressure, e.g. MBE, sputtering, evapo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48Temperature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진공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기판 상에 기체 상태의 유기 화합물을 증착시킴으로써, 일면에 우수한 순도 및 흡착 밀도를 가지는 지지층을 형성된 기판을 제조할 수 있는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VAPOR DEPOSITION APPARATUS AND DEPOSI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기상 증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센서 및 트랜스듀서로 활용되고 있는 소자들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특히 유전자, 단백질 등의 다양한 생체물질의 유무 및 그 농도를 전기적 방법으로 검출하는 바이오 센서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바이오 센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임피던스 전극의 제조, 바이오 물질의 선택적 흡착을 위한 바이오 리셉터 물질과 전극과의 결합이 필요하다.
상기 전극 물질로는 금, 은, 구리, 백금 등의 금속 물질이 주로 쓰이며, 바이오리셉터 물질로는 항원/항체 등이 사용된다. 이 둘을 연결하기 위해 전극 표면에 바이오리셉터 물질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지지층이 마련되어야 한다.
기존에는 상기 지지층을 전극 표면에 증착시키기 위해서 액상 증착 방법을 이용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 증착 방법은 액상(또는 용액)에서 지지층 물질을 소킹(soaking) 방법을 이용하여 자기조립박막을 형성시킨 후 상기 자가조립박막을 전극 표면에 증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소킹(soaking)과 같이 액상 증착 방법은 용매가 전극의 표면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용매 선택에 제한이 있다. 또한, 액상 증착 방법의 조절 인자, 예를 들어, 지지층 물질의 농도 및 소킹 시간 등을 조절하더라도 지지층의 품질 또는 흡착 밀도를 세밀하게 조절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액상 증착 방법은 공정 후 액상 폐기물이 발생하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751809호
본 출원은 기판 상에 지지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흡착 밀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상 증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판이 내부에 안착되는 반응 챔버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 용액이 채워지고, 상기 용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제1 열원이 마련된 반응조와, 상기 기화된 반응성 화합물이 반응 챔버로 유입되도록 반응 챔버와 반응조를 연결하는 가스 연결관과, 상기 반응 챔버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진공 펌프 및 상기 반응 챔버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열원을 포함하는 기상 증착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증착 대상이 되는 기판을 반응 챔버의 내부에 마련하는 준비 단계 및 기상의 유기 화합물을 상기 반응 챔버로 유입시켜 기판 상에 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성 단계는 진공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는 기상 증착 방법이 제공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기상 증착 장치는, 진공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기판 상에 기체 상태의 유기 화합물을 증착시킴으로써, 일면에 우수한 순도 및 흡착 밀도를 가지는 지지층을 형성된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기상 증착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따라 지지층이 형성된 기판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흡착 밀도를 SEM으로 측정한 이미지이다.
도 3은 종래 액상 증착 방법에 따라 지지층이 형성된 기판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흡착 밀도를 SEM으로 측정한 이미지이다.
본 출원은 기상 증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본 출원의 기상 증착 장치는 진공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기판 상에 유기 화합물을 기상 증착시킴으로써, 일면에 우수한 순도 및 흡착 밀도를 가지는 지지층이 형성된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지지층이 형성된 기판은 예를 들어, 바이오 센서 등에 적용되는 임피던스 전극일 수 있다.
상기에서 「기상 증착」은 증착되는 과정에서, 증착 물질이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조건에서 수행하는 증착 방법을 의미하고, 다른 의미로, 증착 물질이 고체 또는 액체 상태의 물질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기상 증착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 기상 증착 장치는 반응 챔버 (10), 제1 열원(20), 반응조(30), 가스 연결관(40), 진공 펌프(50) 및 제2 열원(6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상 증착 장치는 기판(11)이 내부에 안착되는 반응 챔버(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 용액이 채워지고, 상기 용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제1 열원(20)이 마련된 반응조(30)와, 상기 기화된 유기 화합물이 반응 챔버(10)로 유입되도록 반응 챔버(10)와 반응조(30)를 연결하는 가스 연결관(40)과, 상기 반응 챔버(10)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진공 펌프(50) 및 상기 반응 챔버(10)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열원(60)을 포함한다.
상기 반응 챔버(10)에 안착된 기판(11)은 기화된 유기 화합물이 증착되어 일면에 지지층이 형성될 수 있고, 본 장치는 반응 챔버(10)의 압력, 온도 및 기화된 유기 화합물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층의 흡착 밀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용액」은 기체, 액체, 고체 상태의 용질이 액체 상태의 용매에 녹아 있는 혼합물을 의미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액체 상태의 용질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 화합물 용액은 용매가 포함되지 않은 액상의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지지층의 단일층이고, 그 두께는 유기 화합물의 종류에 의해 결정되며, 예를 들어, 0.5 nm 내지 10n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지층의 두께는 반응 챔버의 압력, 온도 및 반응 챔버(10)로 유입된 기화된 유기 화합물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상기 두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반응조(30)에 마련된 제 1 열원(20)은 반응조(30)의 온도를 유기 화합물의 비점 보다 높은 온도로 조절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반응조(30)의 온도를 50 내지 500℃의 온도 범위로 조절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열원(20)은 전기히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열원(20)은 반응조(30)의 온도를 상기 반응조(30)에 채워진 유기 화합물의 비점보다 높은 온도로 조절함으로써, 유기 화합물 용액을 기화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가스 연결관(40)은 반응 챔버(10)로 유입되는 기화된 유기 화합물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 밸브(7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70)를 이용하여 유기 화합물의 유입량을 조절함으로써, 기판(11) 상에 형성된 지지층의 흡착 밀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흡착 밀도」는 기판(11)의 단위 면적 내 유기 화합물이 밀집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흡착 밀도는 EDC 커플링을 이용하여 형광 물질을 상기 유기 화합물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제1 밸브(70)가 개방되는 경우, 유기 화합물이 반응 챔버(1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제1 밸브(70)의 개방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기판(11) 상에 형성된 지지층의 흡착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70)의 개방 시간이 증가하여, 반응 챔버(10) 내 유기 화합물의 유입량이 많아지면, 기판(11) 상에 형성된 지지층의 흡착 밀도는 높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밸브(70)는 잠기는 경우, 유기 화합물이 반응 챔버 내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 상에 증착되는 유기 화합물의 유입량이 충분한 경우 상기 제1 밸브(70)는 잠길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진공 펌프(50)는 제2 밸브(80)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밸브(80)에 의해 반응 챔버(10)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80)가 개방되는 경우, 반응 챔버(10)의 내부에 음압이 걸릴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80)는 기판(11)에 유기 화합물이 증착 되기 전 반응 챔버(10)의 내부가 진공 분위기가 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밸브(80)는 기판(11)에 유기 화합물이 증착 과정에서 밀봉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잠길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밸브(70)가 개방되어 기화된 유기 화합물이 반응 챔버(10)로 유입되는 동안 제2 밸브(80)는 잠길 수 있다.
상기 제2 열원(60)은 반응 챔버(10)의 온도를 50 내지 250 ℃ 범위로 조절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히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열원(60)은 반응 챔버(10) 내에서 기화된 유기 화합물이 증착되는 동안 반응 챔버(10)에 고온의 온도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고온의 온도는 유기 화합물의 종류 및 원하는 지지층의 흡착 밀도를 고려하여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장치는 반응 챔버(10)에 연결되고, 반응 챔버(10)의 압력을 상압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3 밸브(9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밸브(90)는 반응 챔버(10)의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유지하거나 상압으로 조절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 챔버(10)의 내부를 진공 분위기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3 밸브(90)는 잠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밸브(90)가 개방되는 경우, 반응 챔버(10)의 압력이 상압으로 조절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지지층이 형성된 기판(11)을 반응 챔버(10)의 외부로 꺼낼 때, 제3 밸브(90)를 개방하여, 반응 챔버(10)의 압력을 상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 밸브(90)를 개방하여 반응 챔버(10)의 압력을 상압으로 조절함으로써, 기판(11)에 증착되지 않고 남은 유기 화합물을 반응 챔버(10)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압」은 대기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1기압을 의미한다.
본 장치는 진공 분위기 하에서 상기 기판(11) 상에 기화된 유기 화합물이 증착될 수 있다. 상기 진공 분위기는 예를 들어, 제2 밸브(80)의 개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내지 제3 밸브(70, 80, 90)가 잠길 경우, 반응 챔버(10)의 내부는 밀봉된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본 장치는 상기 밸브 및 열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내지 제3 밸브(70, 80, 90), 및 제1 및 제2 열원(20, 60)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증착 과정에서 요구되는 압력, 온도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기판(11)은 바이오 센서 전극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임피던스 전극에 적용되는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11)의 종류로는, 바이오 센서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기판은 금, 구리, 티탄, 니켈, 은, 알루미늄, 게르마늄, 텅스텐, 주석, 안티모니, 인듐, 카드뮴, 팔라듐, 납, 아연 및 백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의 산화물일 수 있다.
상기 유기 화합물은 반응성 관능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예를 들어, 2 이상 또는 3 이상을 가지는 다관능성 유기 화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응성 관능기는 바이오 리셉터와 유기 화합물을 결합시킬 수 있는 관능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머캅토기, 실란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에폭시기일 수 있다. 상기에서 바이오 리셉터는 항원 또는 항체를 의미한다.
본 출원은 기상 증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전술한 기상 증착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따라서,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예시적인 본 출원에 따른 기상 증착 방법은 기판을 반응 챔버에 안착시키는 준비 단계와 유기 화합물을 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화된 유기물을 반응 챔버로 유입시켜 기판 상에 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성 단계는 밀폐된 진공 분위기 하에서 수행된다.
상기 준비 단계는 반응 챔버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제2 밸브를 개방하여 반응 챔버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기화 단계는 전술한 반응조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반응조의 온도는 제1 열원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어, 50 내지 내지 500℃ 온도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형성 단계는 전술한 제2 열원에 의해 반응 챔버의 내부 온도가 50 내지 500℃ 온도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에서 용어 「밀폐된 진공 분위기」는 전술한 제2 밸브의 개방에 의해 반응 챔버가 진공 상태로 조성된 후, 제1 내지 제3 밸브가 모두 잠궈 밀폐된 공간에 놓여진 상태를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형성 단계 후 반응 챔버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각각 상온 및 상압으로 조절한 후 기판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 단계는 제1 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반응 챔버의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제1 밸브를 잠그고 제3 밸브를 개방하여 진공 상태의 반응 챔버 내 압력을 상압으로 변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기상 증착 방법과 기존 액상 증착 방법으로 제조된 기판의 지지층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금 기판을 반응 챔버 안에 안착시키고, 제2 밸브를 개방하여 반응 챔버를 진공 분위기로 조성하고, 제2 열원을 이용하여 반응 챔버의 온도를 100℃로 유지하였다. 또한, MPA(Mercapto Propionic acid) 을 반응조에 채운 후 제1 열원을 사용하여 반응조의 온도를 100℃로 가열함으로써, 유기 화합물을 기화시켰다. 상기 기화된 유기화합물이 반응 챔버로 유입되도록 제1 밸브를 60 초간 개방하고, 다시 제1 밸브를 잠근 후 10 분간 유지하여 기판에 유기 화합물을 증착시켰다.
상기 제2 밸브를 개방하고, 반응 챔버의 온도를 상온으로 낮췄다. 그 후 제2 밸브를 잠그고 제3 밸브를 개방하여 반응 챔버의 압력을 상압으로 변환한 후 반응 챔버로부터 지지층이 형성된 기판을 수집하였다.
EDC 커플링을 이용하여 비오틴(Biotin)을 지지층에 결합시켰고, 20nm 금 나노 입자가 결합된 Streptavidin와 상기 비오틴의 선택적으로 흡착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SEM으로 지지층의 흡착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 를 살펴보면 본 출원의 제조 장치 및 방법에 따라 제조된 지지층의 흡착 밀도는 1256개/㎛2으로 측정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하나의 비교예로서, 액상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지지층이 형성된 기판을 제조하였고, 구체적으로, 금 기판을 1% 지지층 용액에 24 시간 담지 한 후, 용매로 3 회 전극을 세척하여 지지층이 형성된 기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교예의 기판에 대하여,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지지층의 흡착 밀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도 3과 같다. 도 3을 살펴보면, 지지층의 흡착 밀도는 213 개/㎛2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출원의 제조 장치 및 방법은 종래 액상 증착 방법에 비하여 기판에 형성된 지지층이 우수한 흡착 밀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10: 반응 챔버
11: 기판
20: 제1 열원
30: 반응조
40: 가스 연결관
50: 진공펌프
60: 제2 열원
70: 제1 밸브
80: 제2 밸브
90: 제3 밸브

Claims (13)

  1. 기판이 내부에 안착되는 반응 챔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 용액이 채워지고, 상기 용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제1 열원이 마련된 반응조;
    상기 기화된 유기 화합물이 반응 챔버로 유입되도록 반응 챔버와 반응조를 연결하는 가스 연결관;
    상기 반응 챔버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진공 펌프; 및
    상기 반응 챔버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열원을 포함하는 기상 증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열원은 반응조의 온도를 50 내지 500℃ 범위로 조절하는 기상 증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 연결관은 반응 챔버로 유입되는 기화된 유기 화합물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1 밸브가 마련된 기상 증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진공 펌프는 제2 밸브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밸브에 의해 반응 챔버의 압력이 조절되는 증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챔버와 연결되고, 반응 챔버의 압력을 상압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3 밸브가 마련된 기상 증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열원은 반응 챔버의 온도를50 내지 250 ℃ 범위로 조절하는 증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진공 분위기 하에서 상기 기판 상에 기화된 유기 화합물이 증착되는 기상 증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바이오 센서 전극에 적용되는 기상 증착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금, 구리, 티탄, 니켈, 은, 알루미늄, 게르마늄, 텅스텐, 주석, 안티모니, 인듐, 카드뮴, 팔라듐, 납, 아연 및 백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금속의 산화물인 기상 증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관능기는 머캅토기, 실란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에폭시기인 기상 증착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기상 증착 장치를 사용하여 기상 증착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기판을 반응 챔버에 안착시키는 준비 단계;
    유기 화합물을 기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화된 유기 화합물을 반응 챔버로 유입시켜 기판 상에 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성 단계는 밀폐된 진공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는 기상 증착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형성 단계는 50 내지 250 ℃ 온도에서 수행하는 기상 증착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형성 단계 후 반응 챔버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을 각각 상온 및 상압으로 조절한 후 기판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상 증착 방법.
KR1020170160297A 2017-11-28 2017-11-28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 KR102469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297A KR102469279B1 (ko) 2017-11-28 2017-11-28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297A KR102469279B1 (ko) 2017-11-28 2017-11-28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674A true KR20190061674A (ko) 2019-06-05
KR102469279B1 KR102469279B1 (ko) 2022-11-22

Family

ID=6684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297A KR102469279B1 (ko) 2017-11-28 2017-11-28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0777A (zh) * 2019-09-18 2021-03-19 夏泰鑫半导体(青岛)有限公司 抽气装置及其抽气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718A (ko) * 1996-08-23 1998-05-25 김광호 반도체 저압화학기상증착설비의 배기장치
KR20060073926A (ko) * 2004-06-04 2006-06-29 어플라이드 마이크로스트럭쳐스, 인코포레이티드 산화물 층에 의해 부착된 다층 코팅의 제어되는 기상 증착
KR20070000063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기판 가공 장치의 진공 시스템 및 이의 모니터링방법
KR20090082419A (ko) * 2006-11-22 2009-07-30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전극 피복 재료, 전극 구조체 및, 반도체 장치
KR20090116593A (ko) * 2008-05-07 2009-1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바이오센서
KR101751809B1 (ko) 2016-02-05 2017-06-28 주식회사 에이엠피올 생체물질 측정센서 및 생체물질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718A (ko) * 1996-08-23 1998-05-25 김광호 반도체 저압화학기상증착설비의 배기장치
KR20060073926A (ko) * 2004-06-04 2006-06-29 어플라이드 마이크로스트럭쳐스, 인코포레이티드 산화물 층에 의해 부착된 다층 코팅의 제어되는 기상 증착
KR20070000063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기판 가공 장치의 진공 시스템 및 이의 모니터링방법
KR20090082419A (ko) * 2006-11-22 2009-07-30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전극 피복 재료, 전극 구조체 및, 반도체 장치
KR20090116593A (ko) * 2008-05-07 2009-11-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바이오센서
KR101751809B1 (ko) 2016-02-05 2017-06-28 주식회사 에이엠피올 생체물질 측정센서 및 생체물질 측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0777A (zh) * 2019-09-18 2021-03-19 夏泰鑫半导体(青岛)有限公司 抽气装置及其抽气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279B1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ydenova et al. Multifunctional graphene supports for electron cryomicroscopy
TW201005827A (en) Film formation device and film formation method
Gong et al. Hydrophilic mechanical buffer layers and stable hydrophilic finishes on polydimethylsiloxane using combined sequential vapor infiltration and atomic/molecular layer deposition
JP2015212419A (ja) 多層コーティング、多層コーティングの製造方法及び多層コーティングの使用
US10384169B2 (en) Supported carbon nanotube membranes and their preparation methods
US202103871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films of porous coordination polymers by flow of reagents
JP2014531508A5 (ko)
Zhu et al. A versatile and facile surface modification route based on polydopamine for the growth of MOF films on different substrates
KR102469279B1 (ko) 기상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
US20060182884A1 (en) Volatile copper(I) complexes for deposition of copper films by atomic layer deposition
JPH0645886B2 (ja) 堆積膜形成法
CN108603277B (zh) 用于将CdTe-层沉积在基材上的方法
JPH0643248B2 (ja) 遷移金属ほう化物繊維の製造法
JP2004091233A (ja) 金属硫化物薄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551328A (en) Selectively absorbent layer for solar collectors, and method of making it
KR102545477B1 (ko) 코발트가 도핑된 삼산화텅스텐 나노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가스 센서
CN108085742A (zh) 形成过渡金属二硫属化物(tmdc)材料层的方法
JP3459970B2 (ja) 薄膜形成方法
JPS62139875A (ja) 堆積膜形成法
US20220018834A1 (en) Biosens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00068322A (ko)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S63216331A (ja) 堆積膜形成法
CN110777329A (zh) 一种提高钢材在锌液中润湿性的方法
KR20240051831A (ko) 성막 방법 및 성막 장치
KR100995252B1 (ko) MoO₃ 분말을 이용한 MoO₃의 박막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