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492A - 스마트 욕조 - Google Patents

스마트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492A
KR20190061492A KR1020170159928A KR20170159928A KR20190061492A KR 20190061492 A KR20190061492 A KR 20190061492A KR 1020170159928 A KR1020170159928 A KR 1020170159928A KR 20170159928 A KR20170159928 A KR 20170159928A KR 20190061492 A KR20190061492 A KR 20190061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user
mounting part
bathtub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227B1 (ko
Inventor
강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티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티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티마
Priority to KR102017015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2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47K3/004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욕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들어갈 수있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수용홈을 갖는 욕조본체; 상기 욕조본체의 상면에 일단부가 힌지로 결합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되 수용홈에 앉은 사용자의 상반신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의 내부 천장에는 사용자에게 온수를 분사하도록 다수의 온수분사노즐이 형성되고, 덮개의 내부에는 발열수단이 형성되며, 발열수단에서 발생된 열이 사용자에게 도달될 수 있도록 방열패널이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가정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사용한 물을 반복적으로 복귀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순환시스템에 의하여 극소량의 수량만으로 사우나가 가능하며, 순환수의 분사에 의하여 마사지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반신욕하는 중에도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 없이 사용가능하므로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욕조{SMART BATHTUB}
본 발명은 스마트 욕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신욕을 즐길 수 있고, 반신욕 중에도 동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욕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로부터 방출되는 땀은 몸에 축적되어 있는 노폐물을 배출시켜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람들의 건강 유지에 큰 도움을 주지만 많은 현대인들이 주로 사무실에서 근무하거나 운동을 할 여건이 마련되지 못하여 체내에 축적된 노폐물을 제대로 방출시킬 수 없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사우나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땀을 배출시킬 수 있어 현대인이 땀과 함께 체내의 노폐물을 방출시키기에 적합하고, 또한 체온을 높여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등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효과가 있어 많은 사람이 온천이나 대중목욕탕 등을 찾아 즐겨 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사우나를 즐기기 위해서는 온천이나 목욕탕까지 직접 찾아가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어서 일상이 바쁜 사람이나, 또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경우에는 사용이 어려운 것이고, 따라서 일부의 가정에서는 욕조를 설치하여 사우나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입수자의 몸 전체가 물에 잠기도록 하여야 하므로 욕조에 물을 가득 담아야 하고, 따라서 물을 받는 동안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물의 소비량이 지나치게 많아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고, 특히 이렇게 탕욕에 사용한 물을 사용 후 버리게 되는데 일회성으로 사용하기에는 낭비가 심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탕욕은 욕조에 담겨져 있는 온수의 증기가 외부로 발산되면서 온도가 쉽게 식어버리게 되고, 이때 원하는 온도로 물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을 계속적으로 보충해 주어야 하는데, 이에 따라 물의 소비가 더욱 심화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반신욕 중에 독서를 하거나 신문을 보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보다는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나 스마트폰을 물에 빠트려 침수되는 사고가 자주 발생되었고, 배터리 소모를 대비하기 위한 충전기능도 감전이나 수분으로 인한 누전사고의 우려 때문에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 20-0351635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정에서 간편하게 사우나를 즐김으로써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물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또한 짧은 시간에 사우나 준비가 가능하면서도 사우나를 하는 동안 사우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사우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반신욕하는 중에도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 없이 사용가능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욕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들어갈 수있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수용홈을 갖는 욕조본체; 상기 욕조본체의 상면에 일단부가 힌지로 결합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되 수용홈에 앉은 사용자의 상반신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의 내부 천장에는 사용자에게 온수를 분사하도록 다수의 온수분사노즐이 형성되고, 덮개의 내부에는 발열수단이 형성되며, 발열수단에서 발생된 열이 사용자에게 도달될 수 있도록 방열패널이 형성된 스마트 욕조에 의해 달성될수있다.
상기 덮개의 전면에는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있는 영상장치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장치거치부와 연결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의 전면에 형성되어 발열, 온수분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장치거치부는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전원을 충전하고 스피커와 연동되도록 하는 전원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커넥터에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영상을 외부에 표출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사용한 물을 반복적으로 복귀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순환시스템에 의하여 극소량의 수량만으로 사우나가 가능하며, 순환수의 분사에 의하여 마사지 효과가 있다.
또한, 온수가 분사되어질 때 발생하는 증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 열손실을 방지하고, 온수보일러를 이용하여 온수를 반복적으로 재공하여 물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단시간 사용시에도 사우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기존에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욕조를 철거할 필요없이 장비의 추가설치로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므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극소량의 물만을 사용하므로 물의 낭비를 방지하고 유지비용을 절감할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반신욕하는 중에도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 없이 사용가능하므로 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욕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욕조를 개방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욕조를 폐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욕조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욕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욕조를 개방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욕조를 폐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욕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 따른 스마트 욕조(A)는,
사용자가 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앉을 수 있는 수용홈(120)을 갖는 욕조본체(100);
상기 욕조본체(100)의 상면에 일단부가 힌지로 결합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되 수용홈(120)에 앉은 사용자의 상반신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200);를 포함한다.
덮개(200)는 욕조본체(100)의 상부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작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들어 힌지부(210)가 덮개(200)의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됨으로써 덮개(200)의 개폐작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힌지부(210)는 단순한 경첩이거나 또는 좀더 개폐작동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댐퍼유닛(230)일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퍼유닛(230)은 내부에 유체압력 또는 스프링 등의 유압수단이 내장되어 실린더로드(232)가 인출 또는 인입작동될 수 있으면써 일정한 구간을 지나가면 유압수단이 실린더로드(232)의 인출 또는 인입작동을 보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200)의 내부 천장에는 사용자에게 온수를 분사하도록 다수의 온수분사노즐(230)이 형성된다.
온수분사노즐(230)에 연동되며 더운물을 연속순환시켜 온수분사노즐(230)에 공급하는 펌프(240)와, 상기 펌프(240)가 형성되며 온수가 저수되는 온수탱크(180)가 욕조본체(100)에 형성된다.
따라서 펌프(240)의 작동에 의해 더운물을 온수분사노즐(230)을 통해 분무함으로써 사우나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온수분사노즐(230)에 온수를 공급하는 펌프(240)의 작동은 사용자가 제어부(30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작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1회 작동시키거나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 작동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온수분사노즐(230)에 온수의 공급은 온수관에서 직접 제공받아 펌프(240)에 의해 온수분사노즐(230)로 공급하거나 또는 욕조본체(100)의 수용홈(120)에 저장된 물을 펌프(240)로 재순환시켜 온수분사노즐(23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수용홈(12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수용홈(120)에서 재순환시키는 온수의 온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면 온수관의 온수를 직접 공급받도록 조절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용홈(120)의 온수를 재활용하는 경우 오물이 포함되어 있어 온수분사노즐(230)이 막힐 우려가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온수탱크(180)에 저장된 깨끗한 온수를 직접 펌프(240)를 통해 온수분사노즐(230)로 공급하여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덮개(200)의 내부에는 발열수단(270)이 형성된다.
상기 발열수단(270)은 할로겐 램프 또는 원적외선히터 중 선택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발열수단이 선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발열수단(270)의 열에너지가 사용자에 도달될 수 있도록 투광성의 방열패널(274)이 덮개(2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방열패널(274)은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패킹이 부착되어 덮개(200)에 장착된다.
아울러 발열수단(270)의 주변에도 밀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패킹처리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덮개(200)의 전면에는 스마트폰(3)을 거치할 수 있는 영상장치거치부(500)가 형성된다.
상기 영상장치거치부(500)는 스마트폰(3)이 거치되는 거치부(520)와, 상기 거치부(520)에 형성되어 스마트폰(3)에 연결되어 전원을 충전하고 스피커(540)와 연동되도록 하는 전원커넥터(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치부는 하부에 힌지가 형성되어 회전될 수 있으므로 거치된 스마트폰의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거치부(520)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방수커버(570)가 형성되어 방수 기능을 갖도록 한다.
방수커버(570)를 열어 스마트폰(3)을 넣거나 꺼낼 수 있고, 스마트폰(3)의 장착이 완료된 후 방수커버(570)를 닫아 밀봉상태가 되도록 하여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원커넥터(560)에 연결되어 스마트폰(3)의 영상을 외부에 표출하는 모니터(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장치거치부(500)와 연결되는 스피커(540)를 포함함으로써 영상장치거치부(500)에 거치된 스마트폰(3)의 소리가 스피커를 통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덮개(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발열수단(270)의 발열 작동 및 온수분사노즐(230)의 온수 분사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포함된다.
제어부(300)는 터치형이거나 또는 버튼 조작방식이며, 시각적인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액정화면에 온도, 시간 등을 디지털숫자로 표시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욕조본체(100)의 수용홈(120)에 인접되어 상부면에 머리받침부(600)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받침부(600)는 욕조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부(620)와, 상기 요홈부(620)에 삽입되며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패드(64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패드(640)의 힌지부에는 패드(640)의 회전각도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각도조절부재가 형성된다.
각도조절부재의 일 예로는 볼스토퍼(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볼스토퍼는 패드의 힌지축에 결합되며 다수의 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볼 및 볼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패드(640)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경사지게 인출시킨 후 뒷머리를 기댈 수 있어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욕조본체 120 ; 수용홈
200 ; 덮개 210 : 힌지부
232 ; 댐퍼유닛 230 ; 온수분사노즐
240 ; 펌프 270 ; 발열수단
300 ; 제어부 500 ; 영상장치거치부
520 ; 거치부 540 ; 스피커
560 ; 전원커넥터 570 ; 방수커버

Claims (9)

  1. 사용자가 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수용홈을 갖는 욕조본체;
    상기 욕조본체의 상면에 일단부가 힌지로 결합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되 수용홈에 앉은 사용자의 상반신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의 내부 천장에는 사용자에게 온수를 분사하도록 다수의 온수분사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내부에는 발열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수단에서 발생된 열이 사용자에게 도달될 수 있도록 방열패널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면에는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있는 영상장치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거치부와 연결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전면에 형성되어 발열수단의 발열 작동과, 상기 온수분사노즐의 온수 분사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거치부는, 스마트폰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에 형성되어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전원을 충전하고 스피커와 연동되도록 하는 전원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커넥터에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영상을 외부에 표출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본체의 수용홈에 인접되어 상부면에 머리받침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욕조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며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본체는 온수분사노즐에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가 형성되며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탱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욕조.
KR1020170159928A 2017-11-28 2017-11-28 스마트 욕조 KR10202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28A KR102025227B1 (ko) 2017-11-28 2017-11-28 스마트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928A KR102025227B1 (ko) 2017-11-28 2017-11-28 스마트 욕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92A true KR20190061492A (ko) 2019-06-05
KR102025227B1 KR102025227B1 (ko) 2019-09-25

Family

ID=6684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928A KR102025227B1 (ko) 2017-11-28 2017-11-28 스마트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2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7846Y2 (ja) * 1990-03-30 1996-08-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浴槽用ヘッドレストの取付構造
JP2001046459A (ja) * 1999-08-12 2001-02-20 Katsutoshi Masuda 人体洗浄方法および人体洗浄装置
KR200351635Y1 (ko) 2004-03-11 2004-05-24 지태봉 반신욕 욕조덮개
JP2006078067A (ja) * 2004-09-08 2006-03-23 Sekisui Chem Co Ltd 浴室暖房装置
KR100840143B1 (ko) * 2007-03-08 2008-06-23 기현주 욕조용 테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7846Y2 (ja) * 1990-03-30 1996-08-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浴槽用ヘッドレストの取付構造
JP2001046459A (ja) * 1999-08-12 2001-02-20 Katsutoshi Masuda 人体洗浄方法および人体洗浄装置
KR200351635Y1 (ko) 2004-03-11 2004-05-24 지태봉 반신욕 욕조덮개
JP2006078067A (ja) * 2004-09-08 2006-03-23 Sekisui Chem Co Ltd 浴室暖房装置
KR100840143B1 (ko) * 2007-03-08 2008-06-23 기현주 욕조용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227B1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345964U (zh) 全自动按摩足浴一体智能多功能沙发
JP2009056237A (ja) スチーム発生装置
CN204995308U (zh) 一种智能足浴盆
KR20190061492A (ko) 스마트 욕조
US3391411A (en) Whirlpool bath
KR200433009Y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애견목욕장치
JP7089927B2 (ja) ノズル体
KR101792835B1 (ko) 피부 세정 진공흡입장치
JP4133730B2 (ja) サウナ用蒸気発生装置
KR200314230Y1 (ko) 초음파 가열 찜질기
JP3131045U (ja) 負圧誘導式蒸気分流吐出器付き樽形スチームバス
KR200397106Y1 (ko) 족욕기
JP2007151959A (ja) スチーム発生装置
KR0135994Y1 (ko) 입욕용 욕조
JP2004357955A (ja) 足温浴器
JP2003275272A (ja) ミスト発生装置
JP2004290314A (ja) ミストサウナ装置
CN219090626U (zh) 一种多功能面部年轻化美容设备
KR20140096531A (ko) 간이 사우나 욕조
JP3110603U (ja) 半身浴用シャワー装置
KR101086241B1 (ko) 월풀욕조
KR100772430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애견목욕장치
JP3247627B2 (ja) 水流マッサージ装置
TWI252102B (en) Steam generator for sauna bath
JP2004003315A (ja) 給水装置及び同給水装置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