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234A -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허벌 에센스 조합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허벌 에센스 조합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234A
KR20190061234A KR1020170159375A KR20170159375A KR20190061234A KR 20190061234 A KR20190061234 A KR 20190061234A KR 1020170159375 A KR1020170159375 A KR 1020170159375A KR 20170159375 A KR20170159375 A KR 20170159375A KR 20190061234 A KR20190061234 A KR 20190061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roma
activity
fragrance
absol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095B1 (ko
Inventor
김성문
최연희
박세진
김민주
손하라라잔 칸다사미
디파 포누벨
송지은
최우진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0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허벌 에센스 타입(herbal essence type)의 조합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모마일 (chamomile) 향료, 캐러웨이 (caraway) 향료, 레몬밤 (lemon balm) 향료, 실리범 마리아눔 (silybum marianum) 향료, 안젤리카 (angelica) 향료, 에틸 알코올 (ethyl alcohol), d-리모넨 (d-limonene), 박하 (peppermint) 정유추출물, 진피 (mandarin orange) 정유추출물, 엘더 플라원 앱솔루트 (elder flower absolute), 바닐라빈 앱솔루트 (vanilla bean absolute), 제라니움 오일 이집트(geranium oil egypt)로 구성된 조합향료 조성물로 허벌(herbal)한 향취를 가지며, 뇌파분석시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이완시키고 안정화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합향료 조성물은 사용시 심신의 이완과 안정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향료제품의 개발에 응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허벌 에센스 조합향료 조성물 { Aroma composition enhances psychological stability of human by increasing the relative fast alpha activity at T8 region and decreasing the relative gamma activity at Cp6 regio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허벌 에센스 타입(herbal essence type)의 조합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모마일 (chamomile) 향료, 캐러웨이 (caraway) 향료, 레몬밤 (lemon balm) 향료, 실리범 마리아눔 (silybum marianum) 향료, 안젤리카 (angelica) 향료, 에틸 알코올 (ethyl alcohol), d-리모넨 (d-limonene), 박하 (peppermint) 정유추출물, 진피 (mandarin orange) 정유추출물, 엘더 플라원 앱솔루트 (elder flower absolute), 바닐라빈 앱솔루트 (vanilla bean absolute), 제라니움 오일 이집트(geranium oil egypt)로 구성된 조합향료 조성물로 허벌 (herbal) 타입의 향취를 가지며, 뇌파분석시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이완시키고 안정화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향료는 향기를 전달하는 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복합체로 분자량이 26~300 g/mol 인 것이 대부분이며, 비중은 1.0 전후이고, 성상은 액상, 수지상 또는 결정상으로 휘발성이 강하며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알코올에는 잘 녹는 특성을 갖는대. 향료는 재료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천연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향료와 유기합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합성향료로 나뉜다.
천연향료는 동물에서 얻을 수 있는 동물성 향료와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식물성 향료로 나뉘는데, 동물성 향료에는 향유고래에서 얻는 앰버그리스(ambergris), 사향고양이에서 얻는 시벳(civetone), 사향노루에서 얻는 사향(muscone), 비버에서 얻는 해리향(castorium)을 들 수 있다. 식물성 향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500여 종의 식물로부터 채취가 가능한데 대표적인 식물성 향료로는 bergamot, clary sage, eucalyptus, grapefruit, jasmine, juniper, lavender, lemon, orange, patchouli, peppermint, rose, sandalwood, tea tree, vanilla, ylang-ylang, benzoin, cinnamon bark, atlas cedarwood, cypress, hyssop, mandarinm pine, roman chamomile, thyme, yarrow 등을 들 수 있다. 현재는 채취하기가 어려운 동물향료보다는 채취가 쉬운 식물향료가 시장에서 더 많이 판매되고 있다.
식물로부터 향료를 얻기 위한 방법은 식물의 종류와 추출부위에 따라 달라지는데 수증기증류법, 압착법, 휘발성 용매추출법,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는 비휘발성 용매추출법이 사용되고 있다. 각 추출법의 장단점은 아래의 표 1 에 나타내었다.
향료 추출법 간의 장단점 비교
추출법 장 점 단 점
수증기 증류법 o 가장 경제적인 방법임.
o 단시간에 많은 양을 추출할 수 있음
o 향기물질이 물과 열에 의해 분해될 수 있음.
압착법 o 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o 시트러스 계열의 오일만 추출 가능
휘발성 용매추출법 o 비교적 수율이 높음 o 휘발성 용매를 완전히 제거해야 함
비휘발성 용매추출법 o 용매를 제거할 필요가 없음 o 시간이 많이 필요
o 많은 노동력이 필요
향료는 휘발성의 유기화합물이므로 휘발시에는 인간의 비강내로 유입되면 비강내 후각수용체와 결합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적ㆍ화학적 신호는 뇌 CT (computed tomography), MEG (magnetoencephalography), 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EEG (electroencephalography) 를 통해 얻을 수 있는데 특히 뇌파를 측정하는 EEG는 비침습적이고도 실시간적으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뇌파란 뇌 신경세포의 활동에 수반되어 생성되는 전기적 변화를 외부에서 측정하고 기록된 것인데, 뇌파를 통해 뇌의 기능적 변화를 쉽게 알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두피상에서 측정되는 뇌파의 전위변동은 수 μV에서 수백 μV로 매우 낮은 전위를 갖기 때문에 두피상에 전극을 접착시켜 얻은 전위를 뇌파계를 통해 증폭한다. 이렇게 두피에서 발생한 전위를 전극으로 유도하고 뇌파계에 입력ㆍ증폭시켜 시간에 따른 전위를 측정하는 것을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라고 한다(윤중수. 2010. 임상뇌파학. 고려의학. p.7-14). EEG는 사용하는 전극이나 설치방법에 따라 뇌피질뇌파(electrocorticogram, ECoG), 접형전극뇌파(sphenoidal electrode EEG), 난원공전극뇌파(foramen ovale electrode EEG), 심부전극뇌파(depth electrode EEG) 등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간단한 경련성 질환 등의 검사에 활용되고 있다.
인간의 뇌에서는 발생되는 뇌파로는 0.5~3Hz 주파수의 delta 파, 4~7Hz 주파수의 theta 파, 8~13Hz 주파수의 alpha 파, 14~30Hz 주파수의 beta 파, 그리고 30Hz 이상 주파수의 gamma 파가 있는데, delta 파는 서파(slow wave)로 0.5~3Hz의 주파수를 나타내며, 특히 깊은 잠에 빠져 있을 때 전두부에서 많이 검출되며 theta 파는 4~7Hz 주파수를 나타내며, 정신을 눈을 감고 깊은 명상에 빠지거나, 논리적 사고를 행하는 등의 초학습능력 상태일 때 발생하게 된다.
Alpha 파는 서파로 8~13Hz의 주파수와 10~150μV의 진폭을 나타내며 두정엽과 후두엽에서 잘 기록되며 정상 성인의 각성, 안정 상태에서 발생한다. alpah 파는 주파수에 따라 slow alpha 파(7~8Hz), mid alpha 파(9~11Hz), fast alpha 파(12~13Hz)로 구분되는데 slow alpha 파는 긴장이 풀려 있고, 잠들거나 휴식하는 방향으로 뇌가 집중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게 된다. Mid alpha 파는 평상시의 사고 집중 상태로 긴장을 수반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며, 명상, 창조적인 활동, 혹은 뇌에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효율적으로 주입할 때 나타나고, fast alpha 파는 긴장하여 집중할 때 나타나게 된다(이사은. 2011. 라임향과 클로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Beta 파는 14~30 Hz의 주파수와 5~10μV의 낮은 진폭을 갖는 속파(fast wave)인데, 일반적인 작업을 하거나 의식적인 행동을 할 때 나타나며 정보처리와 같은 정신활동이 있을 때 활성화된다. Beta 파는 주파수 영역에 따라 slow beta 파(12-15Hz), mid beta 파(15-20Hz), 그리고 high beta 파(20-30Hz)로 구분되는데, slow beta 파는 SMR(sensory motor rhythm)파라고도 하며 신체의 움직임이 없는 운동감각 피질의 활동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주의를 기울이는 등의 비교적 단순한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나며, mid beta 파는 특정한 주제에 대하여 집중하는 등의 사고활동을 수행할 때 나타난다. 그리고 high beta 파는 비교적 복잡한 추론이나 정신부하가 높은 편인 복잡한 정보처리 활동을 수행하거나 혹은 정서적인 긴장, 불안, 흥분상태에서 우세해진다(임영희, 김미숙. 2007. 운동강도에 따른 요가운동프로그램이 주의집중 관련 뇌파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1(3):101-122). 적당한 긴장 속에 일상 행동을 하고 있을 때 주로 beta 파가 발생하여 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지만, 스트레스가 심하여 지나친 긴장으로 흥분하게 되면 high beta 파가 발생하게 된다.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에서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 천연정유는 뇌파 중 slow alpha 파의 감소와 high beta 파의 증가를 통해 정신집중 및 각성효과를 나타내었다 (김성문, 이사은, 연보람. 2013. 어수리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1313255).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에서 김과 유(2005)는 인덴 (indene), 3-메틸스티렌 (3-methylstyrene), 베타-메틸스티렌 (beta-styrene), 베타-카리오필렌(beta-caryophyllene), 듀렌 (dureen) 등 총 13 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구성된 무궁화 잎 추출물에 hydroxy citronellal (15%) 10%, PEA (15%) 8%, benzoin (5%) 6%, benzyl acetate (10%) 6%, lyral (5%) 6%, terpineol (10%) 6%가 함유되어 있는 스위트 (sweet), 플로럴 (floral), 소프트 (soft), 파우더리 (powdery), 웜 (warm), 핑크 (pink) 한 향취를 갖는 무궁화 향수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10-1102552).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 (Fp2) 부위에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값을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에서 오렌지 (orange) 오일, 안젤리카 (angelica) 오일, 패출리 (patchouli) 오일, 샌달우드 (sandalwood) 오일, 갈락솔리드 (galaxolide), 리구스트랄 (ligustral), 리날룰 (linalool), 리날릴 아세테이트 (linalyl acetate), 릴리알 (lilial), 바닐린 (vanillin),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styrallyl acetate), 시스-3-헥세닐 살리실레이트 (cis-3-hexenyl salicylate), 신나믹 알데히드 (cinnamic aldehyde), 알릴 아밀 글리콜레이트 (allyl amyl glycolate), 에틸 말톨 (ethyl maltol), 칸톡살 (canthoxal), 토날라이드 (tonalide), 헤디온 (hedion) 으로 구성된 조합향료 조성물은 뇌파분석시 인간의 인지기능이 고도로 집중된 좌측 전전두엽 부위의 상대적 베타파(relative beta power)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우측 전전두엽 부위의 SEF50 값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10-134952).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 (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서 라벤더(lavender)오일, 레몬(lemon)오일, 바질(basil)오일, 버가모트(bergamot)오일, 베티버(vetiver)오일, 아코러스(acorus)오일, 패츌리(patchouli)오일, 페티그레인(petitgrain)오일, 메틸 이오논 감마(methyl ionone gamma),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시트랄(citral), 에버닐(evernyl), 유게놀(eugenol), 쿠마린(coumarin), 헤디온(hedion), 헥실 신나믹 알데히드(hexyl cinnamic aldehyde), 헬리오날(helional)로 구성된 조합향료는 시트러스(citrus), 코니퍼러스(coniferous), 그린(green), 허벌(herbal), 민티(minty), 오일리(oily), 파우더리(powdery), 스파이시(spicy)한 향취를 갖는다. 그리고 조합향료를 EEG를 이용한 뇌파분석시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통계학적으로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10-72754). (오미자 정유와 참당귀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리적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향료 조성물)에서 오미자 정유와 참당귀 정유의 조합향료는 흡입 전과 비교하여 흡입 중 좌측 두정엽에서 뇌파지표인 RFA의 증가, 우측 두정엽에서 RLB의 증가, 우측 두정엽에서 RST의 증가, 좌측 전전두엽에서 SEF90의 감소, 우측 및 좌측 두정엽에서 ASEF의 증가를 유도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10-2016-0112927).
(기술문헌 1) 뇌파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천연정유 역시 뇌파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고되어 있다. 쾌향의 라임 천연정유 흡입은 뇌의 우측 측두엽 부위에서 low beat 파를 증가시켰고, 우측 전두엽과 좌측 측두엽 부위에서 mid beta 파를 증가시켰는데(이사은. 2012. 라임향과 클로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러한 결과는 라임 천연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향료물질들이 고도의 주의집중, 인지작용과 함께 각성을 일으켰으리라 추론된다. 또한 클로브 천연정유의 흡입은 뇌의 좌우 전전두엽, 좌우 전두엽, 우측 측두엽 부위에서 fast alpha 파, 그리고 좌측 두정엽 부위에서 mid beta 파를 증가시켰는데 이는 클로브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향료물질들이 뇌를 안정된 상태에서 창의력, 과학적, 논리적 사고에 몰입시켜 집중력을 강화시켰다는 것을 나타낸다(이사은. 2012. 라임향과 클로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기술문헌 2) 향료는 뇌파에 영향을 미치는데 향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뇌파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벤터 향료를 포도씨 정유에 희석시켜 피험자들에게 자극한 결과, 전두엽에서 세타파와 알파파가, 그리고 측두엽에서 알파파와 베타파가 증가되었는데 이러한 뇌파변화는 피험자들의 긴장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전기영, 김재문, 이일근, 김지현, 주은연, 홍승봉, 변홍식, 이주영. 2004. 방향성 후각자극에 의한 대뇌피질의 활성: Low Resolution Electromagrnetic Tomography(LOREATA)를 이용한 비모수 통계 지도. 대한신경과학회지 22(4):334-339). (기술문헌 3) 김(2003)은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버가못, 제라늄, 라벤더, 클라리세이지를 혼합한 졍유를 흡입하도록 했을 때 좌우 전두엽에서 알파파가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김정숙. 2003. 향기흡입이 중년기 여성의 심리와 생리 반응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P.110). (기술문헌 4) 서 등(2016)은 구상나무 향료를 피험자들의 한쪽 코와 양쪽 코로 흡입시킨 후 뇌파 변화를 측정한 결과, 한쪽 코로 흡입한 경우 앱솔루트 베타파와 세타파가 감소된 반면 양쪽 코로 흡입한 경우에는 앱솔루트 알파파와 앱솔루트 하이알파파가 증가시켰다고 보고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어느 쪽 코로 향료를 흡입했느냐에 따라 뇌파 변화가 달리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Seo M, Sowndhararajan K, Kim S. 2016. Influence of binasal and uninasal inhalations of essential oil of Abies koreana twigs o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of human. Behavioural Neurology. ID 9250935). (기술문헌 5) 김 등(2017)은 화학식과 분자량은 같으면서도 화학구조가 다른 구조이성질체인 알파-피넨(alpha-pinene)과 베타-피넨(beta-pinene)을 피험자들에게 흡입시킨 후 각각의 화합물이 인간의 뇌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 결과, 여성의 경우 알파-피넨은 앱솔루트 알파파, 앱솔루트 베타파가 유의성 있게 증가시킨 반면, 베타-피넨은 앱솔루트 하이 알파파와 베타파를 증가시켜 같은 성별이라도 다른 뇌파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Kim M, Sowndhararajan K, Park S, Kim S. 2017. Effect of inhalation of isomers, (+)-alpha-pinene and (+)-beta-pinene on huma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according to gendere difference. European Joural of Integrative Medicine. 17:33-39).
본 발명은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허벌 에센스 향취를 갖는 조합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은 (a) 다양한 천연 및 합성향료를 이용한 향료 조성물 제작 단계, (b) 향료 조성물의 선호도 조사 단계, (c) 향료 조성물의 향취평가 단계, (d) 향료 조성물의 뇌파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카모마일 (chamomile) 향료, 캐러웨이 (caraway) 향료, 레몬밤 (lemon balm) 향료, 실리범 마리아눔 (silybum marianum) 향료, 안젤리카 (angelica) 향료, 에틸 알코올 (ethyl alcohol), d-리모넨 (d-limonene), 박하 (peppermint) 정유추출물, 진피 (mandarin orange) 정유추출물, 엘더 플라원 앱솔루트 (elder flower absolute), 바닐라빈 앱솔루트 (vanilla bean absolute), 제라니움 오일 이집트(geranium oil egypt)로 구성된 것으로 허벌 에센스 향취를 특징으로 하고, 향료 조성물 흡입시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키고, 또 측두엽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이완 및 안정을 주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조합향료 조성물은 흡입시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키고, 또 측두엽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이완 및 안정을 주는 특징이 있으므로, 심리적 편안함과 안정감을 필요로 하는 대중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향장(fragrance)과 향미(flavor) 관련 산업제품의 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뇌파측정기기 QEEG-64FX.
도 2는 뇌파측정을 위한 32 지점의 위치 및 명칭.
도 3은 뇌파측정을 위하여 뇌파캡을 착용한 피실험자.
도 4는 허벌 에센스 향취의 조합향료 4 흡입 전과 흡입 중의 RG power spectrum 변화에 대한 3D mapping
도 5는 허벌 에센스 향취의 조합향료 4의 흡입 전과 흡입 중의 RFA power spectrum 변화에 대한 3D mapping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천연향료와 합성향료를 이용한 허벌 에센스 타입의 향료 조합
본 발명의 허벌 에센스 타입 향료 조성물의 원료는 천연에서 추출하여 얻은 천연향료와 유기합성을 통하여 얻은 합성향료로 구분된다. 사용된 천연향료는 카모마일 (chamomile) 향료, 캐러웨이 (caraway) 향료, 레몬밤 (lemon balm) 향료, 실리범 마리아눔 (silybum marianum) 향료, 안젤리카 (angelica) 향료, 박하 (peppermint) 향료, 진피 (mandarin orange) 향료, 엘더 플라워 앱솔루트 (elder flower absolute), 바닐라빈 앱솔루트 (vanilla bean absolute), 제라니움 오일 이집트 (geranium oil egypt) 이었고, 사용된 합성향료는 d-리모넨 (d-limonene) 이었다.
허벌 에센스 타입의 조합향료를 개발하기 위한 천연향료와 합성향료의 조성물과 조성비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허벌 에센스 타입의 조합향료 개발을 위한 조성물과 조성비
향료명 조성비 (%)
조합
향료
1
조합
향료
2
조합
향료
3
조합
향료
4
조합
향료
5
조합
향료
6
조합
향료
7
조합
향료
8
천연
향료
카모마일 향료 45.00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캐러웨이 향료 6.00 9.00 12.00 15.00 18.00 21.00 24.00 27.00
레몬밤 향료 21.00 19.00 17.00 15.00 13.00 11.00 9.00 7.00
실리범 마리아눔 향료 6.00 9.00 12.00 15.00 18.00 21.00 24.00 27.00
안젤리카 향료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19.00
박하 향료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진피 향료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엘더 플라워 앱솔루트 향료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바닐라빈 앱솔루트 향료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제라니움 오일 이집트 향료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합성
향료
D-리모넨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에틸 알코올 9.48 9.48 9.48 9.48 9.48 9.48 9.48 9.48
합 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2. 허벌 에센스 타입의 조합향료의 선호도 조사
본 실시예 1에서 조향된 8종의 조합향료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최소 6개월 이상의 후각훈련이 되어 있는 전문가 패널 7명이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 2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모두 20대이었으며, 이들은 대학 혹은 대학원에 재학 중이었다. 각각의 조합향료를 분무기를 이용하여 시향지(0.5 cm x 13 cm)에 뿌려 적신 다음, 코로부터 5cm 되는 위치에서 향을 맡고 가장 선호하는 향료에 10점, 가장 비선호하는 향료에 0점을 주도록 하였다. 선호도 결과를 바탕으로 평균값을 구하였고, 이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허벌 에센스 타입의 조합향료 8종에 대한 선호도 조사
선호도 조성비 (%)
조합
향료
1
조합
향료
2
조합
향료
3
조합
향료
4
조합
향료
5
조합
향료
6
조합
향료
7
조합
향료
8
평균값 4.2 8.1 8.0 9.2 6.0 4.7 5.4 7.6
실시예 3. 허벌 에센스 타입의 조합향료 4의 향취 평가
본 실시예 2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조합향료 4에 대한 향취를 강원대학교 향수개발동아리 Rose of Sharon의 전문 패널 5명에게 의뢰하여 평가하였다. 향취는 정유의 향기 특징을 구분하는 향료 평가용어에 따라 평가하였다.
허벌 에센스 타입의 조합향료 4의 향취
향취타입 조합향료 4 향취
알데히드 (aldehyde)
애니멀릭 (animalic)
발사믹 (balsamic)
시트러스 (citrus)
코니퍼러스 (coniferous)
얼티 (earthy)
플로랄 (floral)
프루티 (fruity)
그린 (green)
허벌 (herbal)
메디시널 (medicinal)
민티 (minty)
마린 (marine)
? (wet)
무스키 (musky)
오일리 (oily)
오리엔탈 (oriental)
파우더리 (powdery)
스모키 (smoky)
스파이시 (spicy)
스위트 (sweet)
우디 (woody)
실시예 4. 허벌 에센스 타입의 조합향료 4의 뇌파 측정 및 데이터 분석
본 실시예 3의 허벌 에센스 타입 향취를 갖는 조합향료 4를 인간이 흡입하였을 때 뇌파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실험하였다. 뇌파 측정에 사용한 기기는 QEEG-64FX(LAXTHA Inc. Korea)이었으며(도 2), 피험자의 뇌파신호 측정은 LAXTHA의 데이터 수집 장비 및 분석프로그램(Telescan)을 이용하였다. 피험자들에게 10~20 국제표준 전극 부착법(도 1)을 이용하여 32개의 접지전극을 뇌파전용 Electro-Gel(Electro-Cap Internationals, Inc. U.S.A.)을 사용하여 좌측과 우측 전전두엽 (Fp1, Fp2, Fpz, Af3, Af4, Afz), 좌측과 우측 전두엽 (F3, F4, F7, F8, Fz, Fc1, Fc2, Fc5, Fc6), 좌측과 우측 측두엽 (T3, T4, T7, T8, Cp5, Cp6), 좌측과 우측 두정엽 (P3, P4, P7, P8, Cp1, Cp2, Cz, Pz), 좌측과 우측 후두엽 (O1, O2, Oz) 부분에 부착하고 오른쪽과 왼쪽 귓불에도 각각 그라운드 및 레퍼런스 전극을 부착하였다(도 1, 2).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의 무자극과 허벌 에센스 타입의 조합향료 4의 흡입(유자극)으로 하여 각각 45초씩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도 1. 뇌파측정기기 QEEG-64FX.
Figure pat00002
도 2. 뇌파측정을 위한 32 지점의 위치 및 명칭.
Figure pat00003
도 3. 뇌파측정을 위하여 뇌파캡을 착용한 피실험자.
허벌 에센스 조합향료 4에 대한 뇌파측정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피험자의 뇌파신호 중 대표적인 30초간의 뇌파신호만을 추출하여 뇌파일괄처리 프로그램(batch processing)으로 수치화 및 영상화 하였으며 이를 통계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SPSS(SPSS 23.0 version)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분석을 위한 뇌파지표의 종류는 표 5에, 그리고 각각의 뇌파 지표의 의미는 표 6에 나타내었다.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지표의 종류
No. 분석 지표 뇌파분석 지표의 전체 이름 파장대(Hz)
1 AT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4~8
2 AA Absolute Alpha Power Spectrum 8~13
3 AB Absolute Beta Power Spectrum 13~30
4 AG 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30~50
5 AFA Absolute Fast Alpha Power Spectrum 11~13
6 ASA Absolute Slow Alpha Power Spectrum 8~11
7 ALB 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 12~15
8 AMB Absolute Mid Beta Power Spectrum 15~20
9 AHB 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 20~30
10 RT Relative Theta Power Spectrum (4~8) / (4~50)
11 RA Relative Alpha Power Spectrum (8~13) / (4~50)
12 RB Relative Beta Power Spectrum (13~30) / (4~50)
13 RG Relative Gamma Power Spectrum (30~50) / (4~50)
14 RFA 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11~13) / (4~50)
15 RSA Relative Slow Alpha Power Spectrum (8~11) / (4~50)
16 RLB Relative Low Beta Power Spectrum (12~15) / (4~50)
17 RMB 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15~20) / (4~50)
18 RHB Relative High Beta Power Spectrum (20~30) / (4~50)
19 RST Ratio of SMR to Theta (12~15) / (4~8)
20 RMT (Ratio of Mid Beta to Theta) (15~20) / (4~8)
21 RSMT Ratio of (SMR~Mid Beta) to Theta (12~20) / (4~8)
22 RAHB Ratio of Alpha to High Beta (8~13) / (20~30)
23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4~50
24 SEF90 Spectral Edge Frequency 90% 4~50
25 ASEF Spectral Edge Frequency 50% of Alpha Spectrum Band 8~13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 뇌파 지표의 의미
No. 분석 지표 의미
1 AT Theta파의 절대파워 (명상, 졸릴때)
2 AA Alpha파의 절대파워 (이완, 안정)
3 AB Beta파의 절대파워 (긴장, 각성, 활성, 인지작용)
4 AG Gamma파의 절대파워 (고도의 인지작용 또는 불안, 흥분)
5 AFA Fast alpha파의 절대파워 (편안하면서 몰입, 창의력)
6 ASA Slow alpha파의 절대파워 (이완)
7 ALB Low beta파의 절대파워, SMR파라고도 함 (주의나 경계)
8 AMB Mid beta파의 절대파워 (집중, 주의)
9 AHB High beta파의 절대파워 (스트레스, 정신부하, 긴장)
10 RT 전체 중 theta파의 비율
11 RA 전체 중 alpha파의 비율
12 RB 전체 중 beta파의 비율
13 RG 전체 중 gamma파의 비율
14 RFA 전체에서 fast alpha파의 비율
15 RSA 전체에서 slow alpha파의 비율
16 RLB 전체에서 low beta파의 비율
17 RMB 전체에서 mid beta파의 비율
18 RHB 전체에서 high beta파의 비율
19 RST 전체 중 SMR파에서 theta파의 비율
20 RMT 전체 중 mid beta파에서 theta파의 비율
21 RSMT SMR~mid beta파/theta파 (뇌파집중지표)
22 RAHB Alpha파/high beta파 (안정 및 이완도)
23 SEF50 Median Frequency 뇌 활성도 (뇌파각성)
24 SEF90 Median Frequency 뇌 활성도 (정신부하, 스트레스)
25 ASEF Alpha파의 SEF50 (쾌적성: fast alpha파가 많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조합향료 4가 인간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25개의 뇌파지표 중 RG, RFA 지표에서만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나타났으며(p<0.05), 나머지 지표들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차이를 보인 RG와 RFA 지표만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조합향료 4는 측두엽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는데 (p<0.05) 그 결과값은 표 7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그 결과값을 가지고 영상화시킨 자료는 3D mapping 으로 도 4에 나타내었다. RG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 파워에 대한 gamma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gamma파 영역(30~50 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 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Gamma 파는 두뇌 활동 파장 중 가장 속파에 속하며, 정서적으로 초조한 상태이거나 추리, 판단 등의 고도의 인지작용 시 활성화 된다고 알려져 있다.
허벌 에센스 향취의 조합향료 4 흡입 전과 흡입 중의 RG (relative gamma) power spectrum의 변화
RG (Relative gamm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Cp6 Before 20 0.2031 0.0794 2.1245 0.0470
During 20 0.1763 0.0680
본 실시예의 허벌 에센스 향취의 조합향료 4에 의한 RG power spectrum 변화를 brain map으로 도식화 한 것을 도 4에 나타내었다. 조합향료 4를 흡입 전과 흡입 중에 우측 측두엽 Cp6 부위가 붉은색에서 초록색으로 크게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4
도 4. 허벌 에센스 향취의 조합향료 4 흡입 전과 흡입 중의 RG power spectrum 변화에 대한 3D mapping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조합향료 4는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는데 (p<0.05) 그 결과값은 표 8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그 결과값을 가지고 영상화시킨 자료는 3D mapping 으로 그림 5에 나타내었다. RFA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fast alpha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fast alpha파 영역(11~13 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상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허벌 에센스 향취의 조합향료 4는 뇌를 심리적으로 이완 및 편안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허벌 에센스 향취의 조합향료 4 흡입 전과 흡입 중의 RFA (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의 변화
RFA (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T8 Before 20 0.0558 0.0181 -2.2774 0.0345
During 20 0.0666 0.0227
본 실시예의 허벌 에센스 향취의 조합향료 4에 의한 RFA power spectrum 변화를 brain map으로 도식화 한 것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조합향료 4를 흡입 전과 흡입 중에 우측 측두엽 T8 부위가 파란색에서 붉은색으로 크게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5
도 5. 허벌 에센스 향취의 조합향료 4의 흡입 전과 흡입 중의 RFA power spectrum 변화에 대한 3D mapping
본 실시예 4의 뇌파 분석 결과들은 허벌 에센스 향취를 나타내는 조합향료 4가 피험자들의 뇌 부위 중 측두엽에서 뇌파변화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변화시켰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뇌 부위 중 측두엽은 인간의 대뇌피질의 용적 중 약 22%를 차지하고 있으며 언어를 처리하는 청각영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청각피질은 측두엽의 위쪽 둑방과 실비안열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청각피질 바로 뒤에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는 베르니케 영역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측두엽은 기억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도 수행하며, 신앙의 원천으로 종교적 믿음의 근원 부위로도 잘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 4의 뇌파변화는 조합향료 4에 함유되어 있는 허벌 에센스 향취의 휘발성 유기화합물들이 만들어 내었는데, 피험자들이 조합향료 4를 흡입하면 이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들이 비강내 후각상피층(olfactory epithelium)에 있는 mucos에 녹아 후각 결합 단백질(olfactory binding protein)과 결합하고, 이때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가 axon을 따라 후각멍울 (olfactory bulb)에 도달하게 된다. 후각멍울은 두뇌의 전두엽 부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전기적인 시그널을 후각로(olfactory tract)를 따라서 후각피질(piriform cortex)로 전달하고, 후각피질에서 전기적인 시그널이 전전두엽까지 전달되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R. J. Zatorre, M. Jones-Gotman, A. C. Evans and E. Meyer. 1992. Functional localization and lateralization of human olfactory cortex. Nature 360:339-340; R. Axel. 1995. The molecular logic of smell. Scientific American. October. 154-159; 박태현, 윤응식. 1998. 냄새의 인지과정과 후각 센서. 한국생물공학회지 13(6):631-637), 조합향료 4에 의한 전기적인 시그널 역시 위에서 언급된 후각통로를 따라 측두엽까지 전달되었을 것이라 추론된다.
향장(fragrance)산업제품군 및 향미(flavor)산업제품군에 응용 가능

Claims (3)

  1. 카모마일 향료(30.00%), 캐러웨이 향료(15.00%), 레몬밤 향료(15.00%), 실리범 마리아눔 향료(15.00%), 안젤리카 향료(15.00%), 박하 향료(0.15%), 진피 향료(0.15%), 엘더 플라워 앱솔루트(0.05%), 바닐라빈 앱솔루트(0.05%), 제라니움 오일 이집트(0.02%), d-리모넨(0.10%), 에틸 알코올(9.4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벌 에센스 향취의 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시트러스, 프루티, 그린, 허벌, 민티, 스위트한 향취가 조화롭게 섞여서 허벌 에센스한 향취를 만들어내는 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EEG를 이용한 뇌파분석시 측두엽의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시키고,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시켜 인간의 두뇌를 심리적으로 이완시켜 편안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KR1020170159375A 2017-11-27 2017-11-27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허벌 에센스 조합향료 조성물 KR102000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75A KR102000095B1 (ko) 2017-11-27 2017-11-27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허벌 에센스 조합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75A KR102000095B1 (ko) 2017-11-27 2017-11-27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허벌 에센스 조합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34A true KR20190061234A (ko) 2019-06-05
KR102000095B1 KR102000095B1 (ko) 2019-07-16

Family

ID=6684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375A KR102000095B1 (ko) 2017-11-27 2017-11-27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허벌 에센스 조합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752A (ko) * 2020-05-06 2021-11-16 목진완 두뇌의 쾌적 및 활발한 각성상태로 만들어주는 그린 시트러스 향취의 조합향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0573A (ja) * 1986-05-19 1987-11-24 Taiyo Koryo Kk 新規なテルペンアルコ−ル、そのエステル誘導体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香料組成物
JPH08509489A (ja) * 1993-04-30 1996-10-08 クエスト・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ー・ブイ 香料組成物
JP2013006967A (ja) * 2011-06-24 2013-01-10 Lion Corp 香料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繊維製品用処理剤組成物
JP2014118434A (ja) * 2012-12-13 2014-06-30 Kao Corp 香料組成物
JP2016198026A (ja) * 2015-04-09 2016-12-01 長谷川香料株式会社 果実香味増強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70573A (ja) * 1986-05-19 1987-11-24 Taiyo Koryo Kk 新規なテルペンアルコ−ル、そのエステル誘導体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香料組成物
JPH08509489A (ja) * 1993-04-30 1996-10-08 クエスト・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ー・ブイ 香料組成物
JP2013006967A (ja) * 2011-06-24 2013-01-10 Lion Corp 香料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繊維製品用処理剤組成物
JP2014118434A (ja) * 2012-12-13 2014-06-30 Kao Corp 香料組成物
JP2016198026A (ja) * 2015-04-09 2016-12-01 長谷川香料株式会社 果実香味増強剤

Non-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기술문헌 1) 뇌파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천연정유 역시 뇌파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고되어 있다. 쾌향의 라임 천연정유 흡입은 뇌의 우측 측두엽 부위에서 low beat 파를 증가시켰고, 우측 전두엽과 좌측 측두엽 부위에서 mid beta 파를 증가시켰는데(이사은. 2012. 라임향과 클로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러한 결과는 라임 천연정유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향료물질들이 고도의 주의집중, 인지작용과 함께 각성을 일으켰으리라 추론된다. 또한 클로브 천연정유의 흡입은 뇌의 좌우 전전두엽, 좌우 전두엽, 우측 측두엽 부위에서 fast alpha 파, 그리고 좌측 두정엽 부위에서 mid beta 파를 증가시켰는데 이는 클로브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향료물질들이 뇌를 안정된 상태에서 창의력, 과학적, 논리적 사고에 몰입시켜 집중력을 강화시켰다는 것을 나타낸다(이사은. 2012. 라임향과 클로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기술문헌 2) 향료는 뇌파에 영향을 미치는데 향료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뇌파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벤터 향료를 포도씨 정유에 희석시켜 피험자들에게 자극한 결과, 전두엽에서 세타파와 알파파가, 그리고 측두엽에서 알파파와 베타파가 증가되었는데 이러한 뇌파변화는 피험자들의 긴장완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전기영, 김재문, 이일근, 김지현, 주은연, 홍승봉, 변홍식, 이주영. 2004. 방향성 후각자극에 의한 대뇌피질의 활성: Low Resolution Electromagrnetic Tomography(LOREATA)를 이용한 비모수 통계 지도. 대한신경과학회지 22(4):334-339).
(기술문헌 3) 김(2003)은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버가못, 제라늄, 라벤더, 클라리세이지를 혼합한 졍유를 흡입하도록 했을 때 좌우 전두엽에서 알파파가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김정숙. 2003. 향기흡입이 중년기 여성의 심리와 생리 반응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P.110).
(기술문헌 4) 서 등(2016)은 구상나무 향료를 피험자들의 한쪽 코와 양쪽 코로 흡입시킨 후 뇌파 변화를 측정한 결과, 한쪽 코로 흡입한 경우 앱솔루트 베타파와 세타파가 감소된 반면 양쪽 코로 흡입한 경우에는 앱솔루트 알파파와 앱솔루트 하이알파파가 증가시켰다고 보고하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어느 쪽 코로 향료를 흡입했느냐에 따라 뇌파 변화가 달리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Seo M, Sowndhararajan K, Kim S. 2016. Influence of binasal and uninasal inhalations of essential oil of Abies koreana twigs o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of human. Behavioural Neurology. ID 9250935).
(기술문헌 5) 김 등(2017)은 화학식과 분자량은 같으면서도 화학구조가 다른 구조이성질체인 알파-피넨(alpha-pinene)과 베타-피넨(beta-pinene)을 피험자들에게 흡입시킨 후 각각의 화합물이 인간의 뇌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 결과, 여성의 경우 알파-피넨은 앱솔루트 알파파, 앱솔루트 베타파가 유의성 있게 증가시킨 반면, 베타-피넨은 앱솔루트 하이 알파파와 베타파를 증가시켜 같은 성별이라도 다른 뇌파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Kim M, Sowndhararajan K, Park S, Kim S. 2017. Effect of inhalation of isomers, (+)-alpha-pinene and (+)-beta-pinene on huma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according to gendere difference. European Joural of Integrative Medicine. 17:33-39).
(무궁화 잎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에서 김과 유(2005)는 인덴 (indene), 3-메틸스티렌 (3-methylstyrene), 베타-메틸스티렌 (beta-styrene), 베타-카리오필렌(beta-caryophyllene), 듀렌 (dureen) 등 총 13 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구성된 무궁화 잎 추출물에 hydroxy citronellal (15%) 10%, PEA (15%) 8%, benzoin (5%) 6%, benzyl acetate (10%) 6%, lyral (5%) 6%, terpineol (10%) 6%가 함유되어 있는 스위트 (sweet), 플로럴 (floral), 소프트 (soft), 파우더리 (powdery), 웜 (warm), 핑크 (pink) 한 향취를 갖는 무궁화 향수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10-1102552).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에서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 천연정유는 뇌파 중 slow alpha 파의 감소와 high beta 파의 증가를 통해 정신집중 및 각성효과를 나타내었다 (김성문, 이사은, 연보람. 2013. 어수리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대한민국특허 10-1313255).
(오미자 정유와 참당귀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리적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향료 조성물)에서 오미자 정유와 참당귀 정유의 조합향료는 흡입 전과 비교하여 흡입 중 좌측 두정엽에서 뇌파지표인 RFA의 증가, 우측 두정엽에서 RLB의 증가, 우측 두정엽에서 RST의 증가, 좌측 전전두엽에서 SEF90의 감소, 우측 및 좌측 두정엽에서 ASEF의 증가를 유도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10-2016-0112927).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 (Fp2) 부위에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값을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에서 오렌지 (orange) 오일, 안젤리카 (angelica) 오일, 패출리 (patchouli) 오일, 샌달우드 (sandalwood) 오일, 갈락솔리드 (galaxolide), 리구스트랄 (ligustral), 리날룰 (linalool), 리날릴 아세테이트 (linalyl acetate), 릴리알 (lilial), 바닐린 (vanillin), 스티랄릴 아세테이트 (styrallyl acetate), 시스-3-헥세닐 살리실레이트 (cis-3-hexenyl salicylate), 신나믹 알데히드 (cinnamic aldehyde), 알릴 아밀 글리콜레이트 (allyl amyl glycolate), 에틸 말톨 (ethyl maltol), 칸톡살 (canthoxal), 토날라이드 (tonalide), 헤디온 (hedion) 으로 구성된 조합향료 조성물은 뇌파분석시 인간의 인지기능이 고도로 집중된 좌측 전전두엽 부위의 상대적 베타파(relative beta power)를 유의성 있게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우측 전전두엽 부위의 SEF50 값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화시키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10-134952).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 (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서 라벤더(lavender)오일, 레몬(lemon)오일, 바질(basil)오일, 버가모트(bergamot)오일, 베티버(vetiver)오일, 아코러스(acorus)오일, 패츌리(patchouli)오일, 페티그레인(petitgrain)오일, 메틸 이오논 감마(methyl ionone gamma),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시트랄(citral), 에버닐(evernyl), 유게놀(eugenol), 쿠마린(coumarin), 헤디온(hedion), 헥실 신나믹 알데히드(hexyl cinnamic aldehyde), 헬리오날(helional)로 구성된 조합향료는 시트러스(citrus), 코니퍼러스(coniferous), 그린(green), 허벌(herbal), 민티(minty), 오일리(oily), 파우더리(powdery), 스파이시(spicy)한 향취를 갖는다. 그리고 조합향료를 EEG를 이용한 뇌파분석시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통계학적으로 증가시켜 주의 집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752A (ko) * 2020-05-06 2021-11-16 목진완 두뇌의 쾌적 및 활발한 각성상태로 만들어주는 그린 시트러스 향취의 조합향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095B1 (ko)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592B1 (ko) 좌측 전전두엽 (Fp1) 부위에서 베타파를 감소시키고, 우측 전전두엽 (Fp2) 부위에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 값을 감소시켜 심신을 이완시키고 안정을 유도하는 조합향료 조성물
Sowndhararajan et al. Influence of fragrances on human psychophysiological activ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human electroencephalographic response
KR101372754B1 (ko) 좌측 전전두엽 부위(Fp1)의 절대 로우 베타파(absolute low 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우측 두정엽 부위(P4)의 절대 하이 베타파(absolute high beta power spectrum)를 증가시키며, 또한 좌측 두정엽 부위 (P3) 및 우측 두정엽 부위(P4)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 세타파에 대한 중간 베타파의 비)를 증가시켜 주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Sowndhararajan et al. Effect of olfactory stimulation of isomeric aroma compounds,(+)-limonene and terpinolene on huma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US10042023B2 (en) Method for measuring the emotional response to olfactive stimuli
WO2012165831A2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im et al. Effect of inhalation of isomers,(+)-α-pinene and (+)-β-pinene on human electroencephalographic activity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KR101843977B1 (ko) 뇌파 지표 rsmt, rb, rmt, afa를 증가시키는 편백나무, 측백나무, 구상나무 혼합 향료 조성물
KR102151761B1 (ko)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00095B1 (ko) 측두엽 T8 부위에서 RFA 지표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Cp6 부위에서 RG 지표를 감소시켜 심신의 안정을 유도하는 허벌 에센스 조합향료 조성물
KR102001127B1 (ko) 전두엽 Fc5 부위에서 RSA 지표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전전두엽 Af3 부위와 두정엽 Cz 부위에서 RHB 지표를 증가시켜 정신의 집중을 유도하는 플로럴 부케 내추럴 조합향료 조성물
KR101986127B1 (ko) 전전두엽 부위, 측두엽 부위, 두정엽 부위, 후두엽 부위에서 rfa 지표를 감소시켜 두뇌의 안정을 유도하는 후르츠 믹스 조합향료 조성물
KR102060957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딥 포레스트 믹스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517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로마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60B1 (ko) 두뇌를 쾌적하고 편안하게 하는 센슈얼 루미너스 플라워 향취의 향료 조성물
KR1020609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트로피칼 패션 플라워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533673B1 (ko)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313255B1 (ko)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KR102340205B1 (ko) 두뇌의 집중력을 높이고 각성을 증가시키는 우디 향취의 향료조성물
KR102363321B1 (ko) 두뇌의 쾌적 및 활발한 각성상태로 만들어주는 그린 시트러스 향취의 조합향료
KR102369379B1 (ko) 스트레스 완화용 그루망 플로랄 향취의 향료조성물
KR102506624B1 (ko) 두뇌의 집중력을 증진시키는 프루티 프로랄 구상나무 향료 조성물
KR101791217B1 (ko) 측백엽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한약 조성물
KR20200055335A (ko) 흡입시 전두엽에서 AB 지표(absolute beta power spectrum), AG 지표(absolute gamma power spectrum), AMB 지표(absolute mid-beta power spectrum), AHB 지표(absolute high-beta power spectrum)를 감소시키고, 측두엽에서 RMT 지표(ratio of mid beta to theta)와 후두엽에서 RSMT 지표(ratio of (SMR-mid beta) to theta)를 증가시켜 두뇌를 집중시키면서도 진정시키는 특성을 갖는 프루티 재스민 플로랄 향취의 조합향료 조성물
EP4119968A1 (en) A method for measuring the response to olfactive stimu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