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247A - 푸시-피스를 갖는 타임피스 케이스 - Google Patents

푸시-피스를 갖는 타임피스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247A
KR20190059247A KR1020180144594A KR20180144594A KR20190059247A KR 20190059247 A KR20190059247 A KR 20190059247A KR 1020180144594 A KR1020180144594 A KR 1020180144594A KR 20180144594 A KR20180144594 A KR 20180144594A KR 20190059247 A KR20190059247 A KR 20190059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case
piece
cam track
guid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9440B1 (ko
Inventor
장 베블러
요니 뷔흘러
Original Assignee
해리 윈스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H00381/18A external-priority patent/CH714383A2/fr
Application filed by 해리 윈스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해리 윈스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59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01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by push butt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6Operation by rotation and axial movement with extra function of axial shift of operating element, e.g. crown combined with push butt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3/00Gearwork
    • G04B13/02Wheels; Pinions; Spindles; Pivo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1Construction of crowns for rotating movement; connection with the winding stem; winding stem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8Operation exclusively by axial movement of a push-button, e.g. for chronograph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8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by parts of the cas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Abstract

타임피스 케이스 (20) 로서, 탄성의 복귀 수단 (15) 에 대해 압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구동 수단 (30) 과 일체형인 제어 부재 (2) 를 포함하는,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피스 (1) 를 그 내측에서 안내하는 시트 (26) 를 포함하고, 푸시-피스 (1) 또는 케이스 (20) 는 플랫형 캠 트랙 (18) 를 포함하고, 케이스 (20) 또는 푸시-피스 (1) 는 이러한 트랙 (18) 의 프로파일을 따라 핀 (16) 을 보유하는 아암 (17) 을 피봇팅하는 피봇 (19) 을 포함하고, 상기 트랙은 피봇 (19) 을 향해 지향되고 핀 (16) 의 안정적인 위치들 (23; 24) 를 규정하는 엘보우들 및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제어 부재 (2) 에 적용되는 임의의 압력이 핀 (16) 을 그 안정적인 위치 (23; 24) 로부터 나오게 하고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의 작용하에서, 또 다른 안정적인 위치 (24; 23) 를 향해 트레블링하게 하도록 배열되는 램프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푸시-피스를 갖는 타임피스 케이스{TIMEPIECE CASE WITH PUSH-PIECE}
본 발명은 타임피스 케이스에 관한 것이고, 상기 타임피스 케이스는 메카니즘을 리와인딩하거나 또는 리세팅하기 위한, 또는 저장 수단에 또는 메카니즘 또는 유저 회로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푸시-피스를 그 내측에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피스는 탄성의 복귀 수단에 대해 고유의 직선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상기 탄성의 복귀 수단에 대해 유저에 의해 적용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직선 방향을 따라 작동되도록 배열되고 구동 수단과 일체형인 제어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타임피스, 특히 와치에 관한 것이고, 상기 타임피스, 특히 와치는 그러한 케이스를 포함하고 에너지를 변환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메카니즘 또는 수단과 협동하는 입력 휠을 갖는다.
크라운을 사용하여 작은 크기의 와치들을 리와인딩하는 것은 특히 여성용 와치들 또는 초슬림 와치들의 경우에 종종 불편하다. 유저가 긴 손톱을 갖는 다면 이러한 작동은 심지어 보다 어렵다.
본 발명은 또한 와치 케이스 내측에 최소한의 공간을 점유하면서 타이머 또는 미닛 리피터 (minite repeater) 를 활성화하고, 스핀들을 변경하는 등과 같은 와치의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적절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와치들에 대한 보다 인체 공학적 리와인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 에 따른 타임피스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특히 와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독특한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을 정독한다면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 도 1 은 푸시-피스가 선형 트레블 경로를 갖는 특정한 비제한적인 변형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와치 케이스 및 그 푸시-피스를 푸시-피스의 축선을 따라 종방향으로 분할하고 부분적인 개략적인 형태로 도시하고;
- 도 2 내지 도 6 은 이러한 푸시-피스의 완벽한 운동학적 작동 사이클을 도 1 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시하고;
- 도 7 은 케이스에 고정된 피봇 주위로 피봇팅하는 힌지형 아암의 단부에 위치된 가이드 핀의 트레블 운동을 허용하도록 배열되고 앞선 도면들에 따른 푸시-피스에 포함되는 캠 트랙의 상세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 도 8 은 그러한 케이스를 포함하는 와치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 도 9 내지 도 20 은 도 1 내지 도 8 의 것과 동일한 원리에 기초하여 또 다른 구조적 설계의 상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 도 9 는 투명한 형태로 도시된 커버가 본 발명에 따른 푸시-피스 메카니즘을 둘러싸고 연결 플레이트가 내부의 메카니즘에 유저에 의해 작동되는 부품과 결합하고, 그 피봇팅 아암이 케이스의 측에 하우징된 점퍼와 협동하는 와치 케이스의 위로부터의 도면을 도시하고;
- 도 10 은 분해된 연결 플레이트 및 커버를 도 9 와 유사한 도면으로 도시하고;
- 도 11 은 연결 플레이트 구역의 클로즈업 도면이고;
- 도 12 은 랙 및 캠 트랙을 갖는 플랫형 플레이트를 위한 안내 시스템을 위로부터 도시하고;
- 도 13 은 피봇팅 아암 및 점퍼와 접촉하는 그 후방 구역을 도시하고;
- 도 14 는 연결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 도 15 는 스프링을 안내하기 위한 제 1 지지 러그를 포함하고 연결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랙 및 캠 트랙을 갖는 플랫형 플레이트를 위로부터 도시하고;
- 도 16 은 연결 플레이트를 갖는 제어 부재의 조립체의 상세이고;
- 도 17 은 지지 러그들에 의해 그 두개의 단부들에서 스프링의 보유를 도시하고, 그 중 하나는 플랫형 플레이트와 일체형이고 그 중 다른 하나는 케이스에 장착된다;
- 도 18 및 도 19 는 그 자체의 플랫형 플레이트를 위로부터 그리고 아래로부터 도시하고;
- 도 20 은 이러한 푸시-피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스의 바닥을 도시하고;
- 도 21 내지 도 30 은 조립 및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와치 케이스의 변형예를 도 9 내지 도 20 과 유사하게 도시한다.
본 발명은 타임피스, 특히 와치의 케이스 (20) 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케이스 (20) 는 특히 그리고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메카니즘을 리와인딩하거나 또는 리세팅하기 위한, 또는 저장 수단에 또는 메카니즘 또는 유저 회로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푸시-피스 (1) 를 그 내측에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26) 를 포함한다.
이러한 푸시-피스 (1) 는 탄성의 복귀 수단 (15) 에 대해 고유의 직선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탄성의 복귀 수단 (15) 에 대해 유저에 의해 적용된 압력에 의해 적어도 직선 궤적을 따라 작동되도록 배열되는 크라운 등과 같은 제어 부재 (2) 를 포함한다.
도시 생략된 변형예들에서, 제어 부재 (2) 는 피봇팅에 의해 작동될 수 있거나 또는 피봇팅에 의해 및/또는 병진 운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동축방향의 2 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부재 (2) 는 타임피스의 컨슈머 기능을 위해 운동 및/또는 에너지을 제공하도록 구동 수단 (30) 과 일체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푸시-피스 (1), 또는 각각 케이스 (10) 는 폐쇄형 및 플랫형 캠 트랙 (18) 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 (20), 또는 각각 푸시-피스 (1) 는 케이스 (20) 에 또는 각각 푸시-피스 (1) 에 고정되는 피봇 (19) 주위로 피봇팅하는 아암 (17) 의 단부에서, 캠 트랙 (18) 의 프로파일을 따르도록 배열되는 가이드 핀 (16) 을 포함한다.
이러한 피봇팅 아암 (17) 은 캠 트랙 (18) 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피봇팅하도록 설계된다.
캠 트랙 (18) 은 피봇 (19) 을 향해 지향되고 제어 부재 (2) 의 안정적인 위치들에 상응하는 가이드 핀 (16) 의 안정적인 위치들 (23, 24) 을 규정하는 적어도 두개의 엘보우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두개의 그러한 엘보우들 및 두개의 안정적인 위치들을 갖는 도면을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예시한다.
캠 트랙 (18) 의 프로파일은 램프들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들은 상기 가이드 핀이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 각각의 정지 위치는 안정적인 위치 (23, 24) 에 상응함 - 제어 부재 (2) 에 적용된 임의의 압력이 가이드 핀 (16) 을 이러한 안정적인 위치 (23, 24) 로부터 나오게 하여 가이드 핀을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의 작용하에서, 또 다른 안정적인 위치 (24, 23) 를 향해 트레블링하게 허용하도록 배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캠 트랙 (18) 의 프로파일은 가이드 핀 (16) 을 단지 캠 트랙 (18) 을 따라 한방향으로 트레블 경로를 따르게 강제하도록 배열된다.
유리하게, 서로에 대해 운동 중에 캠 트랙 (18) 과 관련하여 가이드 핀 (16) 의 위치에서의 변경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이들 적어도 두개의 엘보우들은 도 7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궤적을 따라 피봇 (19) 과 관련하여 횡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이러한 도 7 은 특정한 비제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캠 트랙 (18) 은,
- 푸시-피스 (1) 의 트레블 경로의 축방향 단부에 상응하는 제 1 안정적인 위치 (23) 와 제 1 불안정적인 위치 (21) 사이에서, 가이드 핀 (16) 이 제어 부재 (2) 에서 유저에 의해 적용되는 압력에 따라 트레블링되는 제 1 섹션 (C);
- 제 1 불안정적인 위치 (21) 와 제 2 안정적인 위치 (24) 사이에서, 가이드 핀 (16) 이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의 작용 하에서 트레블링되는 제 2 섹션 (D);
- 제 2 안정적인 위치 (24) 와 제 2 불안정적인 위치 (22) 사이에서, 가이드 핀 (16) 이 제어 부재 (2) 에서 유저에 의해 적용되는 압력에 따라 트레블링되는 제 3 섹션 (A);
- 제 2 불안정적인 위치 (22) 와 제 1 안정적인 위치 (23) 사이에서, 가이드 핀 (16) 이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의 작용 하에서 트레블링되는 제 4 섹션 (B) 을 포함한다.
트레블 경로들 (C 및 A) 에 상응하는 도면에서 블랙 화살표는 제어 부재 (2) 에서 유저에 의해 적용되는 압력을 따르는 운동을 나타내는 한편, 트레블 경로들 (D 및 B) 에 상응하는 화이트 화살표는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의 작용 하에서 수행되는 운동들을 나타낸다. 동일한 것이 또한 도 3 내지 도 6 에 적용 가능하고, 이는 도 2 에 도시된 정지 위치로부터, 상이한 트레블 경로들 (A, B, C 및 D) 을 각각 예시한다. 푸시-피스 (1) 의 두개의 안정적인 위치들은 케이스 (20) 의 기준 표면과 관련하여 제어 부재 (2) 의 단부의 신장부들 (L1 및 L3) 에 상응하고,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불안정적인 일시적인 위치들은 신장부 (L2) 에 상응하고 이는 캠 트랙 (18) 의 프로파일의 형태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캠 트랙 (18) 의 프로파일은 도 7 에 도시된 예에서 한편으로 제 1 안정적인 위치 (23) 와 제 1 불안정적인 위치 (21) 사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 1 안정적인 위치 (23) 와 제 2 불안정적인 위치 (22) 사이에서 동일한 종방향 이격을 갖지만; 이러한 이격은 또한 상이할 수 있다. 도 7 에서, 섹션 (C) 은 굴절 위치 (26) 를 갖는 대향하는 방향으로의 두개의 램프들을 포함하고, 섹션 (B) 은 일직선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일직선 부품 다음에는 굴절 위치 (25) 를 통해 통과한 후에 램프가 이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봇팅 아암 (17) 은 자유롭게 피봇팅하고, 그 피봇팅 운동은 서로 관련된 상대적인 트레블 중에 캠 트랙 (18) 및 피봇 (19) 의 상대적인 위치 설정으로부터 기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선 궤적은 도면들의 경우에서와 같이 플랫형이다.
심지어 보다 구체적으로, 직선 궤적은 선형 방향 (DL) 을 따른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 수단 (30) 은 입력 휠 (31) 과 협동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랙을 포함하고 케이스 (20) 는 상기 입력 휠을 포함한다.
도시 생략된 다른 변형예들에서, 이들 구동 수단은 로커 아암 등을 작동시키는 단순한 핑거, 마찰 요소, 스프링 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들에 예시된 경제적인 설계를 위해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은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헬리컬 스프링은 케이스 (29) 의 보어 내측에 하우징된 튜브 (12) 내측에 또는 챔버 내측에 하우징되고 스프링을 위한 축방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정지부 (13) 에 대해 전방으로 지지한다. 도시된 변형예에서, 도 1 은 케이스 (20) 의 보어 내측에 그러한 튜브 (12) 를 도시하고, 이러한 튜브 (12) 는 푸시-피스 (1) 의 구조적 요소에 스크류들 (11) 에 의해 고정되는 앵글 블랭킷과 일체형이고; 튜브 (12) 는 바람직하게 공기를 소개하기 위해 보어 등을 갖는다. 도면들에 도시된 정지부 (13) 는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케이스의 보어 내측에 안착되고 스프링을 위한 내부 축방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스톱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변형예는 케이스 (20) 에 형성된 전방 그루브에서 스프링을 안착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푸시-피스의 궤적이 선형인 변형예에서, 제어 부재 (2) 와 튜브 (12) 사이에서 올바른 정렬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푸시-피스 (1) 는, 캠 트랙 (18) 이 그 안에 형성되고 그러한 구조적 요소를 구성하고 또 다른 스크류 (10) 에 의해 제어 부재 (2) 에 고정되는 실질적으로 플랫형 플레이트 (9) 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푸시-피스 (1) 는 이러한 제어 부재 (2) 의 영역에서, 케이스 (20) 의 시트 (26) 에 형성된 원통형 보어와, 푸시-피스 (1) 의 전체 트레블 경로를 따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 (8) 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7) 를 갖는 원통형 부품 (6) 을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21 은 보다 용이한 조립 및 분해를 위해 배열되기 때문에 약간 보다 많은 수의 구성 요소들을 갖는 또 다른 구조적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비제한적인 변형예는 피봇팅 레버 (17) 의 안정성을 개선하도록, 피봇팅 레버 (17) 의 후방 프로파일 (56) 에 작용하는 점퍼 (43) 인 쌍안정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프로파일 (56) 은 실질적으로 수형인 V 형상을 갖는다.
다른 대안적인 해결책들은 또한 피봇팅 레버 (17) 의 안정성 : 축선을 따라 폴리머 개스킷 등에 의한 마찰, 자국 발생, 금속 포일, 측방향 마찰 스프링, 쌍안정 스프링의 삽입을 개선하는 데 편리할 수 있다.
구동 수단 (30) 은 또한 여기서 랙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플랫형 플레이트 (9) 의 형태의 단일한 구성 요소는 이러한 경우에 또한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을 안내하기 위해 이러한 랙 (30), 캠 트랙 (18) 및 제 1 지지 러그 (47) 를 통합한다. 헬리컬 스프링은 케이스 (20) 의 보어 (58) 내측에 안착된 제 2 지지 러그 (130) 에 의해 다른 단부에서 안내된다. 플레이트 (9) 는 플레이트 (9) 의 플랫형 부품의 측에서 연장되고 케이스 (20) 의 평면으로 연장되는 제 1 지지 러그 (47) 에 수직한 핀 (44) 을 다시 포함한다. 시트 (55) 는, 연결 플레이트 (41) 의 보어 (54) 내측을 통해 핀 (44) 에 의해 위치 설정된 플레이트 (9) 상에서, 연결 플레이트 (41) 에 형성된 구멍 (53) 을 통해 연결 플레이트 (41) 를 고정하기 위한 페그 또는 스크류 (46) 를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연결 플레이트 (41) 는 여기에서 제어 부재 (2) 의 원통형 부품 (6) 의 단부에 제공되는 보스 (52) 의 프로파일에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개구 (51) 를 포함한다. 개구 (51) 및 보스 (52) 는 랙 및 푸시-피스 (1) 의 스템 (2) 의 평행한 배열을 보장하도록 여기서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이다. 함께 로킹은 이때 보스 (52) 에 형성된 내부 나사산 내측에 고정된 스크류 (45) 에 의해 수행된다. 원통형 부품 (2) 은 따라서 매우 짧을 수 있고 조립은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핀 (44) 의 바닥 부품은 유리하게 케이스 (20) 에 형성된 제 1 직사각형 그루브 (48) 와 협동한다. 대향하는 측에서 플레이트 (9) 와 일체형인 또 다른 핀 (59) 은 케이스 (20) 의 제 2 직사각형 그루브 (49) 내측에 슬라이딩된다. 명백히 반대의 안내 배열이 또한 가능하지만, 보다 많은 공간을 사용한다.
커버 (42), 또는 보강 브릿지는 상이한 구성 요소들의 유격을 제한하고 특히 스프링 (15) 의 임의의 버클링을 방지한다.
도 21 내지 도 30 은 조립 및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선된 와치 케이스의 변형예를 도 9 내지 도 20 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시한다:
- 피봇팅 레버 (17) 는 피봇 (19) 의 연장부를 따라 지지 러그 (190) 및 직사각형 개구 (171) 를 통해 접근 가능한 보어 (170) 의 부가에 의해 변경되고;
- 제 1 지지 러그 (47) 는 짧아지고, 제 2 지지 러그 (130) 는 신장된 설계부 (470) 를 갖는 것에 의해 대체되고;
- 연결 플레이트 (41) 는 스템의 축선 및 핀 (44) 의 위치를 함께 보다 가깝게 이동시키도록 변경되고, 세장형 개구 (410) 는 개구 (51) 를 대체하고;
- 애퍼츄어 (310) 가 부가되고 입력 휠 (31) 로의 접근을 허용하고;
- 정정기 (corrector : 425) 는 변경되고 단일한 치형을 포함하고;
- 제 1 직사각형 애퍼츄어는 로케이터 (480) 로 변경된다.
본 발명은 또한 타임피스, 특히 와치 (100) 에 관한 것이고, 상기 타임피스, 특히 와치 (100) 는 그러한 케이스 (20) 를 포함하고 상기 타임피스, 특히 와치 (100) 의 입력 휠 (31) 은 메카니즘 또는 에너지 변환 및/또는 저장 수단과 협동한다.
하나의 변형예에서, 와치 (100) 는 일반적인 트리거 피스들에 유리한 대체예를 형성하는 푸시-피스 (1) 에 의해 작동되는 미닛 레피티션 (minute repetition)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와치 (100) 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베럴 및 입력 휠 (31) 과 적어도 하나의 베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를 포함한다.
추가의 또 다른 변형예에서, 와치 (100) 는 복수의 푸시-피스들 (1)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가능예는 매우 많다.
리와인딩 기능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은 여성용 와치들, 작은 와치들, 초슬림 와치들 등의 작동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결과로서, 또한 특히 실질적으로 플랫형 제어 메카니즘의 사용으로 인해 운동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이 감소된다, .

Claims (20)

  1. 타임피스 케이스 (20) 로서,
    메카니즘을 리와인딩하거나 또는 리세팅하기 위한 또는 저장 수단에 또는 메카니즘 또는 유저 회로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푸시-피스 (1) 를 상기 타임피스 케이스 (20) 내측에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 (26) 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피스 (1) 는 탄성의 복귀 수단 (15) 에 대해 고유의 직선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탄성의 복귀 수단 (15) 에 대해 유저에 의해 적용되는 압력에 의해 적어도 직선 방향을 따라 작동되도록 배열되고 구동 수단 (30) 과 일체형인 제어 부재 (2) 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피스 (1) 또는 각각 상기 케이스 (20) 는 폐쇄형 및 플랫형 캠 트랙 (18) 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20) 또는 각각 상기 푸시-피스 (1) 는 상기 케이스 (20) 에 또는 각각 상기 푸시-피스 (1) 에 고정된 피봇 (19) 주위로 피봇팅하는 아암 (17) 의 단부에서, 상기 캠 트랙 (18) 의 프로파일을 따르도록 배열되는 가이드 핀 (16) 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팅 아암 (17) 은 상기 피봇 (19) 을 향해 지향되고 상기 제어 부재 (2) 의 안정적인 위치들에 상응하는 상기 가이드 핀 (16) 의 안정적인 위치들 (23; 24) 을 규정하는 적어도 두개의 엘보우들을 포함하는 상기 캠 트랙 (18) 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피봇팅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캠 트랙 (18) 의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안정적인 위치 (23; 24) 에 상응하는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제어 부재 (2) 에 적용되는 임의의 압력이 상기 가이드 핀 (16) 을 상기 안정적인 위치 (23; 24) 로부터 나오게 하고 상기 가이드 핀 (16) 을 상기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의 작용하에서, 또 다른 상기 안정적인 위치 (24; 23) 를 향해 트레블링하게 허용하도록 배열되는 램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트랙 (18) 의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가이드 핀 (16) 을 단지 상기 캠 트랙 (18) 을 따라 한방향으로 트레블 경로를 따르게 강제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엘보우들은 상기 궤적을 따라 상기 피봇 (19) 과 관련하여 횡방향으로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트랙 (18) 은,
    상기 푸시-피스 (1) 의 상기 트레블 경로의 축방향 단부에 상응하는 제 1 안정적인 위치 (23) 와 제 1 불안정적인 위치 (21)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핀 (16) 이 상기 제어 부재 (2) 에서 상기 유저에 의해 적용되는 압력에 따라 트레블링되는 제 1 섹션 (C),
    상기 제 1 불안정적인 위치 (21) 와 제 2 안정적인 위치 (24)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핀 (16) 이 상기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의 작용하에서 트레블링되는 제 2 섹션 (D),
    상기 제 2 안정적인 위치 (24) 와 제 2 불안정적인 위치 (22)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핀 (16) 이 상기 제어 부재 (2) 에서 유저에 의해 적용되는 압력에 따라 트레블링되는 제 3 섹션 (A), 및
    상기 제 2 불안정적인 위치 (22) 와 상기 제 1 안정적인 위치 (23)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 핀 (16) 이 상기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의 작용하에서 트레블링되는 제 4 섹션 (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팅 아암 (17) 은 자유롭게 피봇팅하고, 상기 피봇팅 아암 (17) 의 피봇팅 운동은 서로 관련된 상대적인 트레블 중에 상기 캠 트랙 (18) 및 상기 피봇 (19) 의 상대적인 위치로부터 기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팅 아암 (17) 은 자유롭게 피봇팅하고, 상기 피봇팅 아암 (17) 의 피봇팅 운동은 서로 관련된 상대적인 트레블 중에 상기 캠 트랙 (18) 및 상기 피봇 (19) 의 상대적인 위치로부터 기인되고,
    상기 피봇팅 아암 (17) 은 쌍안정 (bistable) 스프링 (43) 의 지지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궤적은 플랫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궤적은 선형 방향 (DL) 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 (30) 은 입력 휠 (31) 과 협동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랙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20) 는 상기 입력 휠 (3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은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헬리컬 스프링은 상기 케이스 (20) 내측에 하우징된 튜브 (12) 내측에 또는 챔버 내측에 하우징되고 상기 헬리컬 스프링의 축방향 가이드를 포함하는 정지부 (13) 에 대해 정면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은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헬리컬 스프링은 상기 케이스 (20) 와 커버 (42) 사이에 하우징되고, 한편으로 상기 구동 수단 (30) 과 일체형으로 장착된 제 1 지지 러그 (37) 및, 다른 한편으로 상기 케이스 (20) 에 고정된 제 2 지지 러그 (130) 에 의해 두개의 원위 단부들에서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피스 (1) 는 상기 탄성의 복귀 수단 (15) 을 안내하기 위해 랙 (30), 상기 캠 트랙 (18) 및 제 1 지지 러그 (47) 를 통합하는 실질적으로 플랫형 플레이트 (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9) 는 상기 케이스 (20) 의 평면에 수직이고 상기 케이스 (20) 에 형성된 직사각형 그루브들 (48, 49) 내측으로 안내되는 추가의 두개의 핀들 (44, 59) 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9) 는 상기 제어 부재 (2) 의 일단부와 협동하는 연결 플레이트 (41) 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 (41) 는 상기 제어 부재 (2) 의 단부에 제공되고 형상이 상기 제어 부재 (2) 및 상기 랙 (30) 의 평행한 배열을 보장하는 보스 (52) 의 프로파일에 상보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개구 (5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피스 (1) 는 상기 캠 트랙 (18) 이 형성된 실질적으로 플랫형 플레이트 (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피스 (1) 는 상기 케이스 (20) 의 상기 시트 (26) 에 형성된 원통형 보어와, 상기 푸시-피스 (1) 의 전체 트레블 경로를 따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 (8) 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 (7) 를 포함하는 원통형 부품 (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케이스 (20).
  17. 제 1 항에 따른 케이스 (20) 를 포함하는 와치 (100) 로서,
    상기 와치의 입력 휠 (31) 은 메카니즘 또는 에너지 변환 및/또는 저장 수단과 협동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와치 (100).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치 (100) 는 상기 푸시-피스 (1) 에 의해 작동되는 미닛 레피티션 (minute repetition)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와치 (100).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치 (100) 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베럴 및 상기 입력 휠 (41) 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베럴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멈춤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와치 (100).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치 (100) 는 복수의 상기 푸시-피스들 (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와치 (100).
KR1020180144594A 2017-11-22 2018-11-21 푸시-피스를 갖는 타임피스 케이스 KR102159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3115.5 2017-11-22
EP17203115.5A EP3489760B1 (fr) 2017-11-22 2017-11-22 Boîte d'horlogerie avec poussoir
CH00381/18 2018-03-21
CH00381/18A CH714383A2 (fr) 2017-11-22 2018-03-21 Boîte de pièce d'horlogerie avec pousso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247A true KR20190059247A (ko) 2019-05-30
KR102159440B1 KR102159440B1 (ko) 2020-09-24

Family

ID=6045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594A KR102159440B1 (ko) 2017-11-22 2018-11-21 푸시-피스를 갖는 타임피스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22941B2 (ko)
EP (1) EP3489760B1 (ko)
JP (1) JP6619861B2 (ko)
KR (1) KR102159440B1 (ko)
CN (1) CN109814363B (ko)
RU (1) RU270117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9641A1 (fr) * 2022-04-27 2023-11-15 Richemont Int Sa Dispositif d'actionnement pour mouvement horloger, mouvement horloger et pièce d'horlogerie corresponda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598A (ko) * 2002-10-04 2004-04-13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크로노그래프 연결기구
US20040090872A1 (en) * 2001-03-21 2004-05-13 Christian Schmiedchen Timepiece component comprising a mechanism for interlocking a time indicating function and simultaneous winding of a barrel spring
EP1939699A1 (fr) 2006-12-29 2008-07-02 Montres Breguet S.A. Dispositif correcteur coaxial multifonction
CH703455A1 (fr) * 2010-07-17 2012-01-31 Pibor Iso S A Couronne et procede d'activation d'une telle couronne sur une boîte de montr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7162A (en) * 1971-08-06 1974-09-24 H Meitinger Device for adjusting the dial train of watches
CH688495B5 (fr) * 1995-09-04 1998-04-30 Smh Management Services Ag Pièce d'horlogerie comportant un mécanisme de commande à tige et à tirette.
EP1336907A2 (de) * 2002-02-14 2003-08-20 Richemont International S.A. Steuerungsmechanismus für Einstellvorrichtungen einer Uhr sowie diesen Mechanismus integrierende Uhren
JP4631839B2 (ja) * 2006-02-22 2011-0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時計
RU2407050C2 (ru) * 2008-03-12 2010-12-20 Константин Юрьевич Чайкин Заводная головка часов (варианты)
CH705090A2 (fr) * 2011-06-08 2012-12-14 Omega Sa Dispositif pour l'orientation d'une couronne vissée d'une pièce d'horlogerie.
EP2560054B1 (fr) * 2011-08-17 2017-11-15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Remontage d'un mécanisme d'horlogerie par pression ou traction
FR2995414B1 (fr) * 2012-09-12 2015-06-05 Cheval Freres Ensemble de couronne telescopique a effet d'effacement dans le boitier d'une montre
CH710271B1 (fr) * 2014-10-21 2019-02-15 Montres Breguet Sa Organe de commande télescopique.
EP3070543A1 (de) * 2015-03-18 2016-09-21 Glashütter Uhrenbetrieb GmbH Repetitionsschlagwerk mit integrierter Auslösesper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0872A1 (en) * 2001-03-21 2004-05-13 Christian Schmiedchen Timepiece component comprising a mechanism for interlocking a time indicating function and simultaneous winding of a barrel spring
KR20040031598A (ko) * 2002-10-04 2004-04-13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크로노그래프 연결기구
EP1939699A1 (fr) 2006-12-29 2008-07-02 Montres Breguet S.A. Dispositif correcteur coaxial multifonction
CH703455A1 (fr) * 2010-07-17 2012-01-31 Pibor Iso S A Couronne et procede d'activation d'une telle couronne sur une boîte de mont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01176C1 (ru) 2019-09-25
CN109814363B (zh) 2021-02-02
EP3489760A1 (fr) 2019-05-29
US20190171163A1 (en) 2019-06-06
CN109814363A (zh) 2019-05-28
US11022941B2 (en) 2021-06-01
JP2019095440A (ja) 2019-06-20
JP6619861B2 (ja) 2019-12-11
EP3489760B1 (fr) 2020-08-26
KR102159440B1 (ko)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8959B2 (en) Watch case with orientable and indexed bezel
US11460812B2 (en) Band and wrist-worn device
US7217897B2 (en) Backpanel insertion switch
KR20190059247A (ko) 푸시-피스를 갖는 타임피스 케이스
US8801268B2 (en) Detent escapement for timepiece and mechanical timepiece
CZ302190B6 (cs) Tlacítko pro aretaci nebo klícování
US7517138B2 (en) Watch control device
JP2006284585A (ja) 計時器ムーブメント
US6198697B1 (en) Watch case fitted with control means
JP7205524B2 (ja) 連結体、バンドおよび時計
ATE306684T1 (de) Betätigungsvorrichtung mit einem druckknopf für uhren
US5089678A (en) Mechanical momentary or alternate action switch
JP4255609B2 (ja) 照明器具
US7777942B2 (en) Device for modifying the distance between a microscope objective and a microscope stage
JP5981701B2 (ja) ミシン用照明装置
US5095184A (en) Mechanical momentary of alternate action switch
KR20210019995A (ko) 빔 확장기 및 빔 확장기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CN113552789B (zh) 开关装置以及钟表
JP2017198654A (ja) 車セットを保持するデバイス
RU2474904C2 (ru) Механизм выключателя для утопленных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JP2593477Y2 (ja) 光スイッチの切換機構
GB2377554A (en) Switch
JP2000311021A (ja) クリック装置
KR20210055016A (ko) 다이얼을 고정 및/또는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
US9019800B2 (en) Sealing device for a minute-rep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