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081A -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Google Patents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9081A KR20190059081A KR1020170156665A KR20170156665A KR20190059081A KR 20190059081 A KR20190059081 A KR 20190059081A KR 1020170156665 A KR1020170156665 A KR 1020170156665A KR 20170156665 A KR20170156665 A KR 20170156665A KR 20190059081 A KR20190059081 A KR 201900590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frame
- fixed
- moving
- sea
- lan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05 oil s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4—Flo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64U30/29—Constructional aspects of rotors or rotor support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96—Rotors with variable spatial positions relative to the UAV body
- B64U30/297—Tilting r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60/00—Undercarriages
- B64U60/1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wat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 B64C2201/024—
-
- B64C2201/042—
-
- B64C2201/108—
-
- B64C2201/1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은 기름 유출/적조 출현/냉수대 출현/저염분 출현/선박 사고 등의 각종 해상 사고/재난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과 선박/해상 구조물의 결함 진단이 무인비행하는 소형 드론을 통해서도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 모터 틸팅 기반의 수평추력 발생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해상 착륙 후 해수면에서의 수평이동이 가능해져 각종 해상환경 점검을 위한 활동영역의 확장과 해상환경 운항적응력 향상이 도모되도록 하며, 채수기와 CTD 측정기의 상하이동 제어를 위한 다양한 구조의 액추에이터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드론의 운항(비행, 이착륙, 자세제어)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도 해수 채취/해수 상태정보 측정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은 해상에서의 무인 공중비행과 이착륙이나 해상 착륙 후의 수평이동을 수행하게 되는 몸체프레임(10)과; 몸체프레임(10) 가장자리 둘레 부위를 따라 설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설정각도 범위에서 틸팅동작하게 되는 복수의 구동모터(20)와; 각 구동모터(20)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복수의 로터 회전체(30)와; 몸체프레임(10)에 고정되어 복수의 구동모터(20)와 연결되고, 각 구동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배터리(40)와; 몸체프레임(10) 하측에 설치되어 몸체프레임(10)이 수중으로 잠기지 않고 수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부유체(50)와; 몸체프레임(10)에 설치되어 해상환경 상태정보를 검출하게 되는 해상환경 검출모듈(60) 및; 구동모터(20)의 회전동작 제어 및 틸팅동작 제어를 통해 몸체프레임(10)의 공중비행과 이착륙이나 해상 착륙 후의 수평이동을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은 해상에서의 무인 공중비행과 이착륙이나 해상 착륙 후의 수평이동을 수행하게 되는 몸체프레임(10)과; 몸체프레임(10) 가장자리 둘레 부위를 따라 설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설정각도 범위에서 틸팅동작하게 되는 복수의 구동모터(20)와; 각 구동모터(20)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복수의 로터 회전체(30)와; 몸체프레임(10)에 고정되어 복수의 구동모터(20)와 연결되고, 각 구동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배터리(40)와; 몸체프레임(10) 하측에 설치되어 몸체프레임(10)이 수중으로 잠기지 않고 수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부유체(50)와; 몸체프레임(10)에 설치되어 해상환경 상태정보를 검출하게 되는 해상환경 검출모듈(60) 및; 구동모터(20)의 회전동작 제어 및 틸팅동작 제어를 통해 몸체프레임(10)의 공중비행과 이착륙이나 해상 착륙 후의 수평이동을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기름 유출/적조 출현/냉수대 출현/저염분 출현/선박 사고 등의 각종 해상 사고/재난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과 선박/해상 구조물의 결함 진단이 무인비행하는 소형 드론을 통해서도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하여 모터 틸팅 기반의 수평추력 발생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해상 착륙 후 해수면에서의 수평이동이 가능해져 각종 해상환경 점검을 위한 활동영역의 확장과 해상환경 운항적응력 향상이 도모되도록 하며, 채수기와 CTD 측정기의 상하이동 제어를 위한 다양한 구조의 액추에이터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드론의 운항(비행, 이착륙, 자세제어)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도 해수 채취/해수 상태정보 측정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조종사가 필요치 않은 무인비행체인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 국제 분쟁 지역에서 적진을 정찰하고 파괴하는 군사용 목적으로 개발 및 사용되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운반 및 보관의 편리성과 조작의 용이성 때문에 그 사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즉, 드론은 비교적 가볍고 조작이 용이하기 때문에 방송 촬영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지역에서 야생동물을 관찰하고 밀렵을 감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재해 및 재난 지역에 날아가 그곳 상황을 정찰하는 임무에까지 그 사용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기름 유출/적조 출현/냉수대 출현/저염분 출현/선박 사고 등의 각종 해상 사고/재난 발생을 모니터링하거나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의 결함 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활용도를 넓힐 필요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채수기/CTD 측정기/열화상 카메라가 구비되도록 하는 한편, wi-fi 통신안테나/LoRaWAN(Long Range Wide-Area Network) 통신안테나/GPS 통신안테나 등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기름 유출/적조 출현/냉수대 출현/저염분 출현/선박 사고 등의 각종 해상 사고/재난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과 선박/해상 구조물의 결함 진단이 무인비행하는 소형 드론을 통해서도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수직배치된 구동모터가 경사지게 틸팅되면서 수평추력이 발생하는 구조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해상 착륙 후 해수면에서의 수평이동이 가능해져 각종 해상환경 점검을 위한 활동영역의 확장과 해상환경 운항적응력 향상이 도모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채수기와 CTD 측정기의 상하이동 제어를 위한 다양한 구조의 액추에이터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드론의 운항(비행, 이착륙, 자세제어)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도 해수 채취/해수 상태정보 측정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해상에서의 무인 공중비행과 이착륙이나 해상 착륙 후의 수평이동을 수행하게 되는 몸체프레임(10)과; 몸체프레임(10) 가장자리 둘레 부위를 따라 설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설정각도 범위에서 틸팅동작하게 되는 복수의 구동모터(20)와; 각 구동모터(20)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복수의 로터 회전체(30)와; 몸체프레임(10)에 고정되어 복수의 구동모터(20)와 연결되고, 각 구동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배터리(40)와; 몸체프레임(10) 하측에 설치되어 몸체프레임(10)이 수중으로 잠기지 않고 수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부유체(50)와; 몸체프레임(10)에 설치되어 해상환경 상태정보를 검출하게 되는 해상환경 검출모듈(60) 및; 구동모터(20)의 회전동작 제어 및 틸팅동작 제어를 통해 몸체프레임(10)의 공중비행과 이착륙이나 해상 착륙 후의 수평이동을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은 몸체프레임(10)의 가장자리 둘레 부위의 설정 지점에 각각 고정되는 틸팅용 액추에이터(21)와; 틸팅용 액추에이터(21)와 일체로 결합되어 설정각도만큼 회전하게 되고, 구동모터(20)가 고정되는 모터 고정체(22)을 구비하고, 구동모터(20)는 상향 수직배치된 모터축이 틸팅동작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수평추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 컨트롤러(70)는 180°이격각도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구동모터(20)에 의해 발생되는 수평추력으로 몸체프레임(10)의 해상 착륙 후 수평이동이 제어되도록 하고, 나머지 구동모터(20)에 의해 몸체프레임(10)의 자세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 부유체(50)는 전방 상부를 유선형으로 구현한 부유형 플로트(51) 한쌍이 좌우측으로 이격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해상 착륙 후 수평이동 시 유체저항에 의해 몸체프레임(10)이 전방으로 넘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 해상환경 검출모듈(60)는, 설정된 목표지점의 해수를 채취하는 채수기(61)와; 수온 정보, 염분 정보를 포함하는 해수 상태정보를 측정하게 되는 CTD 측정기(6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 채수기(61)는, 입수 시 유입되는 해수를 채취 보관하는 해수보관용 관체(611)와; 해수보관용 관체(611)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개폐동작하게 되는 한쌍의 마개(612)와; 해수보관용 관체(61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한쌍의 마개(612)와 결합되어 각 마개(61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613)과; 해수보관용 관체(611) 외부에 고정되어 한쌍의 마개(612)와 연결되고, 마개(612)에 대한 당김 동작으로 해수보관용 관체(611)의 양단부를 개방시키거나, 마개(612)에 대한 당김 해제동작으로 해수보관용 관체(611)의 양단부를 밀폐시키는 마개 개폐유도체(6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은 접힘동작과 펼침동작으로 상하길이가 조절되는 링크프레임(641)과 링크프레임(641) 하단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테이블(642)을 구비한 시저스 리프트(scissors lift) 구조로 이루어져 몸체프레임(10) 하부에 배치되는 리프트(64)와; 몸체프레임(10)과 리프트(64)의 테이블(642)에 상하단이 고정되는 연결라인(651), 연결라인(651)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통과하도록 배열된 움직도르래(652)와 고정도르래(653), 움직도르래(652)를 수평이동시키는 도르래 액추에이터(65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움직도르래(652)의 정/역방향 수평이동에 따라 리프트(64)의 접힘동작과 펼침동작이 유도되도록 하는 리프트 구동체(65)를 구비하여, 리프트 구동체(65)에 의한 펼침동작으로 하강하는 리프트(64)의 테이블(642) 하부에 고정된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를 통해 설정된 목표지점의 해수 채취 및 해수 상태정보의 측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한편, 해수 채취 및 해수 상태정보 측정 완료시 리프트 구동체(65)에 의한 접힘동작으로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가 해수면으로부터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은 몸체프레임(10)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고정되는 한쌍의 윈치(66)를 구비하여, 각 윈치(66)의 연결와이어(661)에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고정되어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가 승강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은 몸체프레임(10)에 좌우방향으로 이격 고정되는 한쌍의 리드 스크류(671), 리드 스크류(671)의 이동너트(6711)에 고정되어 상하이동하는 제1이동판(672)으로 구성되는 상단 스크류 이동체(67a)와; 상단 스크류 이동체(67a)에 좌우방향으로 이격 고정되는 한쌍의 리드 스크류(671), 리드 스크류(671)의 이동너트(6711)에 고정되어 상하이동하는 제2이동판(673)으로 구성되는 하단 스크류 이동체(67b)를 구비하여, 하단 스크류 이동체(67b)의 제2이동판(673)에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가 고정되어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가 승강하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 의하면, 기름 유출/적조 출현/냉수대 출현/저염분 출현/선박 사고 등의 각종 해상 사고/재난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과 선박/해상 구조물의 결함 진단이 무인비행하는 소형 드론을 통해서도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예상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 의하면, 모터 틸팅 기반의 수평추력 발생구조를 통해 해상 착륙 후 해수면에서의 수평이동이 가능해져 각종 해상환경 점검을 위한 활동영역의 확장과 해상환경 운항적응력 향상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 의하면, 채수기와 CTD 측정기의 상하이동 제어를 위한 다양한 구조의 액추에이터 구성이 제안되어 드론의 운항(비행, 이착륙, 자세제어)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도 해수 채취/해수 상태정보 측정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의 기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의 외형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의 구동모터와 로터 회전체가 틸팅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와 로터 회전체의 틸팅을 위한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와 로터 회전체가 틸팅된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의 수평추력에 의한 수평이동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의 구동모터 배치 및 제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의 부유체 구성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 사용되는 채수기 구성 예시도;
도 10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의 해양환경 검출모듈이 부유체에 고정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의 해양환경 검출모듈이 시저스 리프트 구조에 의해 수직이동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의 해양환경 검출모듈이 윈치에 의해 수직이동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의 해양환경 검출모듈이 리드 스크류에 의해 수직이동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의 배터리 현재 잔량 모니터링 및 알림신호 생성/전송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의 외형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의 구동모터와 로터 회전체가 틸팅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와 로터 회전체의 틸팅을 위한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와 로터 회전체가 틸팅된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의 수평추력에 의한 수평이동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의 구동모터 배치 및 제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의 부유체 구성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 사용되는 채수기 구성 예시도;
도 10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의 해양환경 검출모듈이 부유체에 고정배치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의 해양환경 검출모듈이 시저스 리프트 구조에 의해 수직이동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의 해양환경 검출모듈이 윈치에 의해 수직이동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의 해양환경 검출모듈이 리드 스크류에 의해 수직이동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에서의 배터리 현재 잔량 모니터링 및 알림신호 생성/전송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드론, 구동모터, 로터 회전체, 배터리, 부유체, 틸팅용 액추에이터, 드론 자세제어, 드론 호버링, 채수기, CTD 측정기, 시저스 리프트(scissors lift), 윈치, 리드 스크류, FLIR(forward looking infrared) 열화상 카메라, 통신안테나, wi-fi 통신안테나, LoRaWAN(Long Range Wide-Area Network) 통신안테나, GPS 통신안테나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1)은 도 1에서와 같이 몸체프레임(10), 복수의 구동모터(20), 복수의 로터 회전체(30), 배터리(40), 부유체(50), 해상환경 검출모듈(60),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몸체프레임(10)은 해상에서의 무인 공중비행과 이착륙이나 해상 착륙 후의 수평이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몸체프레임(10)에 복수의 구동모터(20), 복수의 로터 회전체(30), 배터리(40), 부유체(50), 해상환경 검출모듈(60), 컨트롤러(70)가 장착 고정된다. 몸체프레임(10)은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구동모터(20)가 고정되는 복수의 모터장착대(11)를 방사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복수의 구동모터(20)는 몸체프레임(10) 가장자리 둘레 부위를 따라 설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20)는 도 3에서와 같이 설정각도 범위에서 틸팅동작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1)은 도 4에서와 같이 틸팅용 액추에이터(21), 모터 고정체(22)를 구비할 수 있다.
틸팅용 액추에이터(21)는 몸체프레임(10)의 가장자리 둘레 부위의 설정 지점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틸팅용 액추에이터(21)로는 틸팅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모터 고정체(22)는 틸팅용 액추에이터(21)와 일체로 결합되어 설정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모터 고정체(22)는 도 5에서와 같이 틸팅용 액추에이터(21)의 연결핀(211)과 결합되어 회전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터 고정체(22)에 구동모터(20)가 고정되어 틸팅용 액추에이터(21) 구동에 따라 틸팅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모터(20)는 상향 수직배치된 모터축이 틸팅동작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도 6에서와 같이 수평추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복수의 로터 회전체(30)는 각 구동모터(20)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배터리(40)는 몸체프레임(10)에 고정되어 복수의 구동모터(20)와 연결되는 것으로, 각 구동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부유체(50)는 몸체프레임(10) 하측에 설치되어 몸체프레임(10)이 수중으로 잠기지 않고 수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와 도 8에서와 같이 부유체(50)는 전방 상부를 유선형으로 구현한 부유형 플로트(51) 한쌍이 좌우측으로 이격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1)의 해상 착륙 후 수평이동 시 유체저항에 의해 몸체프레임(10)이 전방으로 넘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컨트롤러(70)는 구동모터(20)의 회전동작 제어 및 틸팅동작 제어를 통해 몸체프레임(10)의 공중비행과 이착륙이나 해상 착륙 후의 수평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70)는 도 7에서와 같이 180°이격각도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구동모터(20)에 의해 발생되는 수평추력으로 몸체프레임(10)의 해상 착륙 후 수평이동이 제어되도록 하고, 나머지 구동모터(20)에 의해 몸체프레임(10)의 자세제어가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몸체프레임(10)의 해상 착륙 후 수평이동 제어에 사용된 한쌍의 구동모터(20)는 몸체프레임(10)의 자세가 안정된 후 호버링 시에만 사용될 수 있다.
해상환경 검출모듈(60)은 몸체프레임(10)에 설치되어 해상환경 상태정보를 검출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해상환경 검출모듈(60)에는 채수기(61)나 CTD 측정기(62)가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1)은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를 모두 구비하게 된다.
채수기(61)는 설정된 목표지점의 해수를 채취하는 것이고, CTD 측정기(62)는 수온 정보, 염분 정보를 포함하는 해수 상태정보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채수기(61)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9에 예시된 채수기(61)는 해수보관용 관체(611), 한쌍의 마개(612), 스프링(613), 마개 개폐유도체(6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해수보관용 관체(611)는 채수기(61) 입수 시 유입되는 해수를 채취 보관하게 되는 관체이고, 한쌍의 마개(612)는 해수보관용 관체(611)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개폐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스프링(613)은 해수보관용 관체(61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스프링(613)의 양단부가 한쌍의 마개(612)와 결합되어 각 마개(612)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마개 개폐유도체(614)는 해수보관용 관체(611) 외부에 고정되어 한쌍의 마개(612)와 연결되는 것으로, 마개(612)에 대한 당김 동작으로 해수보관용 관체(611)의 양단부를 개방시키거나, 마개(612)에 대한 당김 해제동작으로 해수보관용 관체(611)의 양단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를 위한 마개 개폐유도체(614)의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도 9에서와 같이 회전축(6141)과 일체로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대(6142)가 경사지게 배치되고, 각 마개(612)와 연결된 와이어(6143)가 와이어 고정대(6142)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전축(6141)의 회전에 따라 마개(612)가 당겨지면서 마개(612)의 개방동작이 수행되거나, 마개(612)에 대한 당김력이 감소되면서 스프링(61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마개(612)의 밀폐동작이 수행된다.
해상환경 검출모듈(60)을 이루는 채수기(61)나 CTD 측정기(62)는 해수와 접촉하거나 입수되면서 해수의 채취나 해수 상태정보의 측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도 10의 (a)에서와 같이 부유체(50)를 이루는 좌우측 부유형 플로트(51)의 하단 부위에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가 독립적으로 분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0의 (a)에서와 같이 부유체(50)를 이루는 좌우측 부유형 플로트(51)에 길이방향 양단부가 고정되는 가로대(63) 하측에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를 수직으로 배치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리프트(64)와 리프트 구동체(65)에 의해 채수기(61)나 CTD 측정기(62)가 상하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리프트(64)는 접힘동작과 펼침동작으로 상하길이가 조절되는 링크프레임(641)과 링크프레임(641) 하단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테이블(642)을 구비한 시저스 리프트(scissors lift)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몸체프레임(10) 하부에 배치된다.
리프트 구동체(65)는 몸체프레임(10)과 리프트(64)의 테이블(642)에 상하단이 고정되는 연결라인(651), 연결라인(651)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통과하도록 배열된 움직도르래(652)와 고정도르래(653), 움직도르래(652)를 수평이동시키는 도르래 액추에이터(65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복수의 움직도르래(652)가 일측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편, 복수의 고정도르래(653)가 타측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되며, 움직도르래(652)와 고정도르래(653)는 지그재그 패턴으로 교번되게 배치된다.
리프트 구동체(65)는 도르래 액추에이터(654)에 의한 움직도르래(652)의 정/역방향 수평이동에 따라 리프트(64)의 접힘동작과 펼침동작을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움직도르래(652)의 정방향 수평이동은 고정도르래(653)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도르래(653)와의 이격거리를 좁히는 이동이고, 움직도르래(652)의 역방향 수평이동은 고정도르래(653)와의 이격거리를 늘리는 이동이다. 움직도르래(652)의 정방향 수평이동시 움직도르래(652)와 고정도르래(653) 간 이격거리가 좁혀지면서 연결라인(651)이 길게 늘어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연결라인(651)이 고정된 하부 테이블(642)이 하강하게 되면서 리프트(64)의 펼침동작이 유도된다. 이와 같은 리프트 구동체(65)에 의한 펼침동작으로 하강하는 리프트(64)의 테이블(642) 하부에 고정된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를 통해 설정된 목표지점의 해수 채취 및 해수 상태정보의 측정이 수행되고, 해수 채취 및 해수 상태정보 측정 완료시 리프트 구동체(65)에 의한 접힘동작으로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가 해수면으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서와 같이 윈치(66)에 의해 채수기(61)나 CTD 측정기(62)가 상하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쌍의 윈치(66)는 몸체프레임(10)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고정되는 것으로, 각 윈치(66)의 연결와이어(661)에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고정되어 승강하게 된다. 물론 윈치(66)의 개수가 한쌍으로만 한정되는 것으 아니며,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수의 윈치(6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와 같이 리드 스크류(671)에 의해 채수기(61)나 CTD 측정기(62)가 상하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1)은 상단 스크류 이동체(67a)와 하단 스크류 이동체(67b)를 구비할 수 있다.
상단 스크류 이동체(67a)는 몸체프레임(10)에 좌우방향으로 이격 고정되는 한쌍의 리드 스크류(671), 리드 스크류(671)의 이동너트(6711)에 고정되어 상하이동하는 제1이동판(67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단 스크류 이동체(67b)는 상단 스크류 이동체(67a)에 좌우방향으로 이격 고정되는 한쌍의 리드 스크류(671), 리드 스크류(671)의 이동너트(6711)에 고정되어 상하이동하는 제2이동판(67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드 스크류(671)는 모터(6713)에 의한 스크류(6712) 회전시 스크류(6712)에 삽입되어 있는 이동너트(6711)가 상하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1)은 하단 스크류 이동체(67b)의 제2이동판(673)에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가 고정되면서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1)은 리드 스크류(671)을 대신하여 볼 스크류(6712)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전술(前述)된 2단 구조가 아닌 1단 구조나 3단 이상의 다단 구조의 스크류 이동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1)에는 도 2와 도 14에서와 같이 FLIR(forward looking infrared) 열화상 카메라(80)와 통신안테나(90)이 구비될 수 있다.
FLIR 열화상 카메라(80)는 몸체프레임(10)에 고정되는 것으로, 전방 영상 촬영 및 영상분석을 통해 선박/해상구조물의 균열 감지, 적조생물 분포관찰 등을 수행하게 된다.
통신안테나(90)은 몸체프레임(10)에 고정되는 것으로, wi-fi 통신안테나(91), LoRaWAN(Long Range Wide-Area Network) 통신안테나(92), GPS 통신안테나(93)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70)는 도 14에서와 같이 배터리(40)의 현재 잔량정보를 검출하고, 배터리(40)의 현재 잔량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알림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알림신호 생성시 통신안테나(90)에 구비되는 GPS 통신안테나(93)를 통해 실시간 확인되는 현재 위치정보를 알림신호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게 된다. 이를 통해 드론(1)의 배터리 소모에 대응하는 적절한 조치가 드론 관제센터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1)은 채수기(61), CTD 측정기(62), 열화상 카메라(80)가 구비되도록 하는 한편, wi-fi 통신안테나(91), LoRaWAN 통신안테나(92), GPS 통신안테나(93) 등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기름 유출/적조 출현/냉수대 출현/저염분 출현/선박 사고 등의 각종 해상 사고/재난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과 선박/해상 구조물의 결함 진단이 무인비행하는 소형 드론을 통해서도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1)은 수직배치된 구동모터(20)가 경사지게 틸팅되면서 수평추력이 발생하는 구조가 제공되도록 하므로, 해상 착륙 후 해수면에서의 수평이동이 가능해져 각종 해상환경 점검을 위한 활동영역의 확장과 해상환경 운항적응력 향상이 도모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1)은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의 상하이동 제어를 위한 다양한 구조의 액추에이터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드론의 운항(비행, 이착륙, 자세제어)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도 해수 채취/해수 상태정보 측정이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10 : 몸체프레임
11 : 모터장착대
20 : 구동모터
21 : 틸팅용 액추에이터
211 : 연결핀
22 : 모터고정체
30 : 로터 회전체
40 : 배터리
50 : 부유체
51 : 부유형 플로트
60 : 해상환경 검출모듈
61 : 채수기
611 : 해수보관용 관체
612 : 마개
613 : 스프링
614 : 마개 개폐유도체
6141 : 회전축
6142 : 와이어 고정대
6143 : 와이어
62 : CTD 측정기
63 : 가로대
64 : 리프트
641 : 링크프레임
642 : 테이블
65 : 리프트 구동체
651 : 연결라인
652 : 움직도르래
653 : 고정도르래
654 : 도르래 액추에이터
66 : 윈치
661 : 연결와이어
67a : 상단 스크류 이동체
67b : 하단 스크류 이동체
671 : 리드 스크류
6711 : 이동너트
6712 : 스크류
6713 : 모터
672 : 제1이동판
673 : 제2이동판
70 : 컨트롤러
80 : FLIR 열화상 카메라
90 : 통신안테나
91 : wi-fi 통신안테나
92 : LoRaWAN 통신안테나
93 : GPS 통신안테나
10 : 몸체프레임
11 : 모터장착대
20 : 구동모터
21 : 틸팅용 액추에이터
211 : 연결핀
22 : 모터고정체
30 : 로터 회전체
40 : 배터리
50 : 부유체
51 : 부유형 플로트
60 : 해상환경 검출모듈
61 : 채수기
611 : 해수보관용 관체
612 : 마개
613 : 스프링
614 : 마개 개폐유도체
6141 : 회전축
6142 : 와이어 고정대
6143 : 와이어
62 : CTD 측정기
63 : 가로대
64 : 리프트
641 : 링크프레임
642 : 테이블
65 : 리프트 구동체
651 : 연결라인
652 : 움직도르래
653 : 고정도르래
654 : 도르래 액추에이터
66 : 윈치
661 : 연결와이어
67a : 상단 스크류 이동체
67b : 하단 스크류 이동체
671 : 리드 스크류
6711 : 이동너트
6712 : 스크류
6713 : 모터
672 : 제1이동판
673 : 제2이동판
70 : 컨트롤러
80 : FLIR 열화상 카메라
90 : 통신안테나
91 : wi-fi 통신안테나
92 : LoRaWAN 통신안테나
93 : GPS 통신안테나
Claims (9)
- 해상에서의 무인 공중비행과 이착륙이나 해상 착륙 후의 수평이동을 수행하게 되는 몸체프레임(10)과;
몸체프레임(10) 가장자리 둘레 부위를 따라 설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설정각도 범위에서 틸팅동작하게 되는 복수의 구동모터(20)와;
각 구동모터(20)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복수의 로터 회전체(30)와;
몸체프레임(10)에 고정되어 복수의 구동모터(20)와 연결되고, 각 구동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배터리(40)와;
몸체프레임(10) 하측에 설치되어 몸체프레임(10)이 수중으로 잠기지 않고 수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부유체(50)와;
몸체프레임(10)에 설치되어 해상환경 상태정보를 검출하게 되는 해상환경 검출모듈(60) 및;
구동모터(20)의 회전동작 제어 및 틸팅동작 제어를 통해 몸체프레임(10)의 공중비행과 이착륙이나 해상 착륙 후의 수평이동을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제 1항에 있어서,
몸체프레임(10)의 가장자리 둘레 부위의 설정 지점에 각각 고정되는 틸팅용 액추에이터(21)와; 틸팅용 액추에이터(21)와 일체로 결합되어 설정각도만큼 회전하게 되고, 구동모터(20)가 고정되는 모터 고정체(22)가 구비되고,
구동모터(20)는 상향 수직배치된 모터축이 틸팅동작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수평추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제 1항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180°이격각도로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구동모터(20)에 의해 발생되는 수평추력으로 몸체프레임(10)의 해상 착륙 후 수평이동이 제어되도록 하고, 나머지 구동모터(20)에 의해 몸체프레임(10)의 자세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제 1항에 있어서,
부유체(50)는 전방 상부를 유선형으로 구현한 부유형 플로트(51) 한쌍이 좌우측으로 이격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해상 착륙 후 수평이동 시 유체저항에 의해 몸체프레임(10)이 전방으로 넘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제 1항에 있어서,
해상환경 검출모듈(60)는,
설정된 목표지점의 해수를 채취하는 채수기(61)와; 수온 정보, 염분 정보를 포함하는 해수 상태정보를 측정하게 되는 CTD 측정기(6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제 5항에 있어서,
채수기(61)는,
입수 시 유입되는 해수를 채취 보관하는 해수보관용 관체(611)와;
해수보관용 관체(611)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개폐동작하게 되는 한쌍의 마개(612)와;
해수보관용 관체(61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한쌍의 마개(612)와 결합되어 각 마개(61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613)과;
해수보관용 관체(611) 외부에 고정되어 한쌍의 마개(612)와 연결되고, 마개(612)에 대한 당김 동작으로 해수보관용 관체(611)의 양단부를 개방시키거나, 마개(612)에 대한 당김 해제동작으로 해수보관용 관체(611)의 양단부를 밀폐시키는 마개 개폐유도체(6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제 5항에 있어서,
접힘동작과 펼침동작으로 상하길이가 조절되는 링크프레임(641)과 링크프레임(641) 하단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테이블(642)을 구비한 시저스 리프트(scissors lift) 구조로 이루어져 몸체프레임(10) 하부에 배치되는 리프트(64)와;
몸체프레임(10)과 리프트(64)의 테이블(642)에 상하단이 고정되는 연결라인(651), 연결라인(651)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통과하도록 배열된 움직도르래(652)와 고정도르래(653), 움직도르래(652)를 수평이동시키는 도르래 액추에이터(65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움직도르래(652)의 정/역방향 수평이동에 따라 리프트(64)의 접힘동작과 펼침동작이 유도되도록 하는 리프트 구동체(65)를 구비하여,
리프트 구동체(65)에 의한 펼침동작으로 하강하는 리프트(64)의 테이블(642) 하부에 고정된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를 통해 설정된 목표지점의 해수 채취 및 해수 상태정보의 측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한편, 해수 채취 및 해수 상태정보 측정 완료시 리프트 구동체(65)에 의한 접힘동작으로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가 해수면으로부터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제 5항에 있어서,
몸체프레임(10)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고정되는 한쌍의 윈치(66)를 구비하여,
각 윈치(66)의 연결와이어(661)에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고정되어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가 승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제 5항에 있어서,
몸체프레임(10)에 좌우방향으로 이격 고정되는 한쌍의 리드 스크류(671), 리드 스크류(671)의 이동너트(6711)에 고정되어 상하이동하는 제1이동판(672)으로 구성되는 상단 스크류 이동체(67a)와;
상단 스크류 이동체(67a)에 좌우방향으로 이격 고정되는 한쌍의 리드 스크류(671), 리드 스크류(671)의 이동너트(6711)에 고정되어 상하이동하는 제2이동판(673)으로 구성되는 하단 스크류 이동체(67b)를 구비하여,
하단 스크류 이동체(67b)의 제2이동판(673)에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가 고정되어 채수기(61)와 CTD 측정기(62)가 승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665A KR102049599B1 (ko) | 2017-11-22 | 2017-11-22 |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PCT/KR2017/013592 WO2019103209A1 (ko) | 2017-11-22 | 2017-11-27 |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6665A KR102049599B1 (ko) | 2017-11-22 | 2017-11-22 |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9081A true KR20190059081A (ko) | 2019-05-30 |
KR102049599B1 KR102049599B1 (ko) | 2019-11-27 |
Family
ID=6663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6665A KR102049599B1 (ko) | 2017-11-22 | 2017-11-22 |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9599B1 (ko) |
WO (1) | WO2019103209A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14939A (zh) * | 2020-05-14 | 2020-09-01 | 杭州武盛广告制作有限公司 | 一种小区安防监控系统用的监控装置 |
KR102241634B1 (ko) | 2019-10-10 | 2021-04-19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 |
KR20210053501A (ko) | 2019-11-04 | 2021-05-12 | (주)코아이 | 무인 이동체와 연동되어 유출유를 회수하는 유출유 회수 장치 |
KR20210053500A (ko) | 2019-11-04 | 2021-05-12 | (주)코아이 | 유출유 탐색 및 회수 장치 |
CN112918675A (zh) * | 2021-03-15 | 2021-06-08 | 杭州翰昌电子商务有限公司 | 一种维持动态平衡的水质监测用无人机 |
KR20210073320A (ko) | 2019-12-10 | 2021-06-18 | 한국항로표지기술원 | 드론용 도킹 시스템 |
CN116800285A (zh) * | 2022-08-24 | 2023-09-22 | 赵薛强 | 一种用于测绘无人机的数据采集信号定向加强装置及使用方法 |
CN117466192A (zh) * | 2023-12-25 | 2024-01-30 | 青岛海洋地质研究所 | 一种空海两栖航行器用水剖面参数采集器的起吊机构 |
CN117799884A (zh) * | 2024-03-01 | 2024-04-02 | 沈阳迎新网络科技有限公司 | 一种可用于水面降落的无人机 |
KR20240077917A (ko) | 2022-11-25 | 2024-06-03 | 유니원아이앤씨 주식회사 | 재고 탐색과 인식이 가능한 인공 지능 드론을 활용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플랫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78783A (zh) * | 2019-06-14 | 2020-12-15 | 成都理工大学工程技术学院 | 中子伽马集成检测系统 |
CN110861775B (zh) * | 2019-11-26 | 2022-04-29 | 交通运输部南海航海保障中心广州海事测绘中心 | 一种水文监测用无人机结构 |
IT202000001339A1 (it) | 2020-01-23 | 2021-07-23 | Neabotics Srl | Sistema robotico e procedimento per il monitoraggio e la valutazione dei dati ambientali delle acque di superficie e profonde |
KR102192725B1 (ko) * | 2020-07-03 | 2020-12-18 | 주식회사 나청메이커앤드론 | 수중 탐사 기반의 드론 시스템 |
CN113955105A (zh) * | 2020-07-20 | 2022-01-21 | 江苏雨能水利工程有限公司 | 一种多功能水文测量用无人机 |
KR102437532B1 (ko) * | 2020-10-27 | 2022-08-29 | (주)우연시스템 | Ctd 기반 염분 농도 모니터링 시스템 |
KR102572063B1 (ko) | 2021-04-13 | 2023-08-30 | 주식회사 유니텍코리아 | 외곽체부를 구비한 비행체 |
IT202100013148A1 (it) * | 2021-05-21 | 2021-08-21 | Green Tech Solution Srl | Sistema automatico di monitoraggio e bonifica delle acque e relativo procedimento |
WO2022251768A1 (en) * | 2021-05-27 | 2022-12-01 |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 Integrated autonomous oil-slick sampler and storage preservation device |
CN113607494A (zh) * | 2021-07-30 | 2021-11-05 | 华东理工大学 | 无人机自动取水装置及其方法 |
CN113501092B (zh) * | 2021-08-19 | 2022-12-27 | 南方科技大学 | 海洋调查系统 |
CN114414760A (zh) * | 2022-01-22 | 2022-04-29 | 山东广为海洋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海水污染的实时监测系统 |
KR102439224B1 (ko) * | 2022-01-28 | 2022-09-01 | 주식회사 해양드론기술 | 해상용 드론 조립체 |
KR20230120443A (ko) | 2022-02-09 | 2023-08-17 | 주식회사 혜성마린텍 | 이동식 스마트 양식장 시스템 |
KR20230166757A (ko) | 2022-05-31 | 2023-12-07 | 주식회사 유니텍코리아 | 비행체 |
KR102611408B1 (ko) * | 2022-11-30 | 2023-12-07 | 임승희 | 드론용 모듈형 채수장치 |
CN117686272B (zh) * | 2024-02-04 | 2024-05-10 | 河南省新乡水文水资源测报分中心 | 一种水资源多点取样器 |
CN118348070B (zh) * | 2024-06-14 | 2024-08-20 | 内蒙古农业大学 | 一种基于分层监测的地下水水质监测装置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9474B1 (ko) | 2006-12-28 | 2008-01-02 | 주식회사 아이에스에스 | 재난 비상통신용 무인 원격조정 위성통신시스템 |
US20130292512A1 (en) * | 2012-05-07 | 2013-11-07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Environmental sampling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
KR101535401B1 (ko) | 2015-04-01 | 2015-07-08 | 오인선 |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
KR20150133536A (ko) | 2014-05-20 | 2015-11-30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US20170015412A1 (en) * | 2015-07-17 | 2017-01-19 | iDrone LLC | Thrust vectoring on a rotor-based remote vehicle |
KR20170116765A (ko) * | 2016-04-12 | 2017-10-20 |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 수자원 관리용 드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1997Y1 (ko) * | 2001-09-28 | 2002-02-06 | 주식회사 한국플랑크톤연구소 | 채수기 |
KR20150140172A (ko) * | 2014-06-05 | 2015-12-15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드론 비행체를 이용한 해저 스캐닝 탐사 시스템 및 그 드론 비행체 |
KR101736381B1 (ko) * | 2015-10-02 | 2017-05-16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자동 윈치를 탑재한 드론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 해양관측 방법 |
KR20170096460A (ko) * | 2016-02-16 | 2017-08-24 | 주식회사 산엔지니어링 | 수중 운행 변환 구조의 드론 |
-
2017
- 2017-11-22 KR KR1020170156665A patent/KR1020495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1-27 WO PCT/KR2017/013592 patent/WO201910320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9474B1 (ko) | 2006-12-28 | 2008-01-02 | 주식회사 아이에스에스 | 재난 비상통신용 무인 원격조정 위성통신시스템 |
US20130292512A1 (en) * | 2012-05-07 | 2013-11-07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Environmental sampling with an unmanned aerial vehicle |
KR20150133536A (ko) | 2014-05-20 | 2015-11-30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드론을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101535401B1 (ko) | 2015-04-01 | 2015-07-08 | 오인선 |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
US20170015412A1 (en) * | 2015-07-17 | 2017-01-19 | iDrone LLC | Thrust vectoring on a rotor-based remote vehicle |
KR20170116765A (ko) * | 2016-04-12 | 2017-10-20 | 주식회사 에이치큐테크 | 수자원 관리용 드론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1634B1 (ko) | 2019-10-10 | 2021-04-19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수륙양용 드론용 드론데크를 구비한 전기추진 선박 시스템 |
KR20210053501A (ko) | 2019-11-04 | 2021-05-12 | (주)코아이 | 무인 이동체와 연동되어 유출유를 회수하는 유출유 회수 장치 |
KR20210053500A (ko) | 2019-11-04 | 2021-05-12 | (주)코아이 | 유출유 탐색 및 회수 장치 |
KR20210073320A (ko) | 2019-12-10 | 2021-06-18 | 한국항로표지기술원 | 드론용 도킹 시스템 |
CN111614939A (zh) * | 2020-05-14 | 2020-09-01 | 杭州武盛广告制作有限公司 | 一种小区安防监控系统用的监控装置 |
CN112918675A (zh) * | 2021-03-15 | 2021-06-08 | 杭州翰昌电子商务有限公司 | 一种维持动态平衡的水质监测用无人机 |
CN116800285A (zh) * | 2022-08-24 | 2023-09-22 | 赵薛强 | 一种用于测绘无人机的数据采集信号定向加强装置及使用方法 |
CN116800285B (zh) * | 2022-08-24 | 2024-01-16 | 赵薛强 | 一种测绘无人机数据采集信号定向加强装置及使用方法 |
KR20240077917A (ko) | 2022-11-25 | 2024-06-03 | 유니원아이앤씨 주식회사 | 재고 탐색과 인식이 가능한 인공 지능 드론을 활용한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플랫폼 |
CN117466192A (zh) * | 2023-12-25 | 2024-01-30 | 青岛海洋地质研究所 | 一种空海两栖航行器用水剖面参数采集器的起吊机构 |
CN117466192B (zh) * | 2023-12-25 | 2024-03-12 | 青岛海洋地质研究所 | 一种空海两栖航行器用水剖面参数采集器的起吊机构 |
CN117799884A (zh) * | 2024-03-01 | 2024-04-02 | 沈阳迎新网络科技有限公司 | 一种可用于水面降落的无人机 |
CN117799884B (zh) * | 2024-03-01 | 2024-04-26 | 沈阳迎新网络科技有限公司 | 一种可用于水面降落的无人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03209A1 (ko) | 2019-05-31 |
KR102049599B1 (ko) | 2019-1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59081A (ko) | 해양 모니터링용 드론 | |
CN107697286B (zh) | 无人机、其控制系统及方法,以及无人机降落控制方法 | |
JP6527570B2 (ja) | 無人機、そ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無人機降着制御方法 | |
Jo et al. | A low-cost and small USV platform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 |
JP6883461B2 (ja) | 無人飛行体を用いた水中調査システム及び水中調査方法 | |
KR101706171B1 (ko) | 선박 추진장치를 구비한 수질 검사용 멀티콥터 및 이를 이용한 수질 검사 방법 | |
KR101808942B1 (ko) | 수자원 관리용 드론 | |
CN102173310B (zh) | 旋翼飞行器 | |
ES2730975T3 (es) |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examinar una superficie en cuanto a defectos de material | |
KR101779376B1 (ko) | 드론을 이용한 다중 해양 관측 시스템 | |
US20220090992A1 (en) | Sampler Apparatus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 |
US20160376000A1 (en) | Submersible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
EP3267189B1 (en) | Defect inspection device, defect inspection method, and program | |
JP5002760B2 (ja) | 無人浮流物質監視用ブイ、浮流物質監視システム及び浮流物質監視方法 | |
KR20190016484A (ko) | Ndt 검사들을 위한 무인 항공기들의 사용 | |
KR102415909B1 (ko) | 해양 환경 감시 시스템 | |
CN110341889B (zh) | 一种空投波浪测量浮标 | |
CN105513247A (zh) | 一种基于浮空系留艇的火灾监测定位系统及方法 | |
JP2021049985A (ja) | 無人飛行体を用いた水中調査システム及び水中調査方法 | |
KR20210073320A (ko) | 드론용 도킹 시스템 | |
Wang et al. | Unmanned surface vessel for monitoring and recovering of spilled oil on water | |
Lukaczyk et al. | Unmanned aircraft as mobile components of Ocean Observing Systems for management of marine resources | |
JP2023072596A (ja) | 無人点検システムおよび無人点検方法 | |
EP3256380A1 (de) | Unterwassergleiter, kontrollstation und ueberwachungssystem, insbesondere tsunami-warnsystem | |
CN211364947U (zh) | 一种观测水尺标线的无人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